통합대장경

033_1008_a_01L보리행경 제4권


용수 집송
천식재 한역
김용표 번역


7. 보리심반야바라밀다품(菩提心般若波羅蜜多品)1)

여래는 지혜롭고 어질어
일체 세간을 위하여
고통을 멀리 여의게끔 하나니
그러므로 반드시 반야의 지혜를 얻어야 한다.

진여(眞如)2)와 세간(世間)3)
이 두 가지로 법을 설한다.
부처는 진여를 아는 까닭에
법을 설하는 것이 지혜가 된다.

세간의 범부(凡夫)는
두 가지 상응(相應)을 본다.
해(害)와 승해(勝害) 등이
곧 세간의 상응이다.

이 두 가지 일을 본 뒤에
곧 지혜롭게 도니다.
지혜는 세간성(世間性)을 보나니
이것은 진여에 비유된다.

이 설법은 오고 감이 없고
지혜로운 자는 보지 않음이 없다.
색(色) 등도 매우 분명하여
곧 세간에 상응하는 일이다.

부정(不淨)한 것을 깨끗하게 하며
지혜로운 자는 이를 유리(有利)에 비유한다.
세간을 알기 때문에
이것을 세간성(世間性)이라 말한다.

진여를 보기 때문에
보는 것이 찰나에 머무른다.
세간의 행과 상응하니
이러한 행은 과실(過失)이 없다.

여인이 부정(不淨)함을 아는
세간의 모든 해로운 일과는 달리 구별된다.
부처님의 복을 허환(虛幻)이라 일컫는데
나로 하여금 어찌 믿으라 하는가?

유정이 만일 환(幻)의 경계[境]가 된다면
어찌 다시 생멸(生滅)하리오.
인(因)이 모이고 화합하여
곧 환연(幻緣)을 얻는다.

유정은 종자로부터 생기는데
어찌 진실이 있으리오.
허환(虛幻)의 사람을 죽인다 하더라도
본래 심성에 죄가 되지는 않는 것이다.

평등심은 허환이며
죄와 복은 생기(生起)를 얻는다.
진언력(眞言力)4)과 등지(等持)는
환(幻)의 경계에 마음이 집착하지 않는다.

그 갖가지 환(幻)으로써
갖가지의 인업(因業)이 생긴다.
어찌 한 사람이
일체의 힘을 얻는다 할 것인가?

만일 진여에 머무르거나
또는 정계(淨戒)에 머무른다면
이와 같은 것을 곧 부처의 행이니
누가 보리행이라 하는가?

인연을 당연히 끊어 없애면
환화(幻化)는 얻을 수가 없다.
인연이 만일 끊어져 없어진다면
스스로 무생(無生)을 얻는다.

만일 의혹과 거짓에 머무르지 않으면
환의 경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환의 경계가 만약 없어지면
일체는 얻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음은 즉 진여이니
마음의 본체가 나타나게 된다.
마음이 이와 같이 만일 분명하다면
허환(虛幻)을 무엇으로 말미암아 보겠는가?

마음은 자신의 마음을 보지 못하니
세존(世尊)이 설하신 바와 같다.
칼날[劍刃]이 비록 날카롭다 할지라도
스스로를 끊지는 못함과 같다.

자성(自性)도 이와 같아
다시 비유한다면 등잔 빛과 같으니
어둠을 깨뜨리고 이름을 얻더라도
스스로를 비춘다고는[自照]하지 않는 것과 같다.

또 수정과 같아
체(體)의 근원이 오직 맑고 투명하다.
푸름으로 인해 푸르게 되고
뭇 색을 따라 그림자가 나타난다.

푸름이 없는데 푸르게 나타남은
마음 스스로가 만들어낸 것과 같고
또 등잔 빛과 같다.
지혜로운 자는 이 말을 이해하리라.

지혜는 여기에서 열어 통한다.
아는 사람이 어찌 말하는 바가 있겠느냐?
열리더라도 열리지 않음이요
사람이 보는 바가 없음과 같다.

석녀(石女)5)는 의(義)를 만들지 않으며
이 의(義)는 둘이 아니다.
또 심식(心識)이 없음과 같다.
생각에 연함[緣念]은 소득이 없다.

생각하지 않아 따로 생겨나며[別生]
허망한 생각은 독과 같다.
이른바 인(因)이나 과(果)로
법을 위하여 스스로 설한다.

눈에 대한 약의 처방을 말하고
병(甁)을 보았으나 약이 없는 것은
보고 듣고 깨달아 알더라도
이것이 있는 것은 있음이 아닌 것과 같다.

생각으로 고뇌의 원인을 끊는다.
실제로 당연히 이렇다 생각한다.
아주 짧은 순간에 차별이 없으니
이 마음은 평등에 해당된다.

전(前)의 번뇌[塵]는 항상 사람을 미혹하게 하나니
그것을 깨달아 소유하지 않으면
마치 환(幻)이 실재하지 않는 것처럼
망심(妄心)을 스스로 본다.

번뇌[塵]에 머물러 윤회하는 것은
비유하면 공(空)에 의지함이 없는 것과 같다.
번뇌의 성품에 머무름 또한 이러하니
또한 아무 소득도 없다.

만일 불선(不善)을 갖추면
불선은 그대의 소득이다.
만일 마음에 취사(取捨)함이 있으면서
일체를 여래에게 베풀면

이와 같은 심의(心意)를 사용하여서는
어떠한 공덕이 있겠는가?
환(幻)의 경계 일체를 안다 하여도
번뇌를 어떻게 끊겠는가?

저 환(幻)의 삼독(三毒)을
멀리 여의고 짓지 않는다.
번뇌심을 알지만
그 지음은 아직 다하지 않았다.

그것에 대해 득견(得見)할 때,
공(空)은 뜻[意]은 있지만 힘은 없다.
번뇌의 성품이 다하지 않아
공과 서로 섞인다.

그는 배울 것이 없음[無所學]에 이르러
후에 곧 다함[盡]을 얻는다.
저 성품은 얻음이 없고
또다시 볼 수도 없다.

저 성품이 만일 머묾이 없다면
어찌 이 몸에 머물겠는가.
만일 성품[性]이 없다면
몸은 성품이 없음에 머무른다.

이 성품은 오고 감[去來]이 여여하여
수현[隨現]하는 데에 집착함이 없으니
겁수(劫樹)6)나 마니(摩尼)7)
능히 뜻대로 원만할 수 있음과 같다.

부처의 변화도 또한 이러하여
마땅히 그 행원(行願)을 이룬다.
비유하면 숲에 주술법을 외울 때
주문이 이루어지면 나무가 말라 죽는 것과 같다.

비록 독(毒) 등에 오래 해침을 입었더라도
그것들을 모두 소멸하여 제거한다.
보살의 수행도
여러 가지 사업(事業)을 한다.

보리행은 최승(最勝)으로
불수(佛樹)를 능히 성취하니,
그 평등의 행으로써
적정(寂靜)에 머무르게 한다.

또 부사의(不思議)를 만들어 공양하면
어떠한 과(果)를 얻겠는가?
저 행한 바의 인(因)을 따라
그 과를 얻는다.

공양 등은 진실의
과를 얻는다고 실로 일컬어진다.
어찌 법의 공함을 얻어
실로 해탈법을 얻을 것인가?

석가모니부처님의 도를 떠나지 않으면
당연히 보리를 얻게 된다.
그대여, 대승을 구하지 않고
어떤 법에서 원만을 구하는가?

이승(二乘)은 성취를 얻어도
그 성취는 원만하지 않다.
그는 지은 바로 인하여
대승을 두려워하리라.

다른 두려움을 두려워함은 진실이 아니고
이 두려움을 진실로 두려움이라 이름한다.
이 법요(法要)는
대승의 소론(所論)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를 떠난 다른 법은
외도(外道)의 논임을 알라.
법은 곧 승(僧)의 근본이며
승은 법의 출리(出離)를 안다.

마음이 만일 집착하는 곳이 있으면
열반을 얻지 못한다.
해탈심은 집착함이 없어
번뇌의 소멸을 얻는다.

번뇌의 업을 소멸시킴은
해탈력(解脫力)에 의한다.
애(愛)와 취(取)가 서로 연(緣)하지 않음으로
이로써 집지(執持)가 없게 된다.

애(愛)의 업(業)이 쇠약해지면
이는 어리석음에 애착함이 없다.
수(受)와 애(愛)가 서로 연(緣)하면
이 수(受)는 얻음이 있다.

안주(安住)하고 집착하는 마음이 있으면
이 얻음을 처처(處處)라 이름한다.
만일 마음이 공하지 않으면
다시 얻음에 집착한다고 이름한다.

마음의 성품이 만약 공하다고 한다면
식(識)을 얻지 못함과 같나니,
마치 응(應)ㆍ정등각(正等覺)께서
설한 묘법(妙法)과 같다.

이는 곧 대승의 의미이고
대승은 평등을 행하니,
설법의 한때[一時]에
일체 과환(過患)을 깨닫는다.

일미(一味)의 평등은
모든 부처가 설하지 않음이 없다.
가섭대존자8)
말을 알지 못한과 같다.

그대는 깨닫지 못했다 말하고
당연히 무언가 지어야 함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해탈력(解脫力)을 만약 두려워하면
윤회를 성취하리라.

저 고(苦)와 공(空)의 일에 미혹하여
이 과(果)를 얻는다.
공에 미혹한 그도 이와 같으니
법을 비방해서는 안 된다.

이 공을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의혹이 없게 된다.
어둠을 떠나서 번뇌를 알며
법으로 인해 공(空)을 안다.

속히 일체를 알고자 하여
그 말을 자세히 관찰한다.
만약 물질이 고(苦)를 낳는다면
이 고는 두려움이 생기게 한다.

저 고(苦)가 공(空)으로 인하여 만들어진다면
어찌 두려움이 생기겠는가?
만일 저 물질을 두려워하면
이는 곧 나의 소유[我所]라 이름한다.

이와 같은 나의 소유가 없이
고통의 두려움을 어찌 얻으리오.
이빨ㆍ머리털ㆍ손발톱과
뼈ㆍ살ㆍ피ㆍ골수와

콧물ㆍ눈물ㆍ침ㆍ고름ㆍ점액[涎]과
기름[脂肪]ㆍ창자ㆍ위(胃)와
배변[便痢)ㆍ땀ㆍ더운 바람[熱風]과
아홉 구멍[九漏]과 육식(六識) 등

이와 같은 모든 법[諸法] 등은
일체가 무아(無我)이다.
지혜로 소리[聲]를 설하면
소리는 항상 일체를 받는다.

만약 소리가 지(智)를 여의었다 하면
그 여읨을 어찌 알겠는가?
만약 지(智)를 알지 못한다면
이는 지(智)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智)가 이미 결정되었다면
곧 지지(智智)에 가깝고
이 지는 소리를 받지 않으니
저 소리를 어떻게 들을 수 있겠는가?

그 소리는 마음에 가깝고
색(色)을 아는 것이 이와 같다.
만일 색이 소리를 받는다면
색이 다시 무명을 받겠는가?

저 한 사람이 아버지이면서 자식인 것과 같아
사유해도 진실이 없나니,
마치 유정(有情)ㆍ진(塵)ㆍ소예(所翳)9)와 같아서
아버지도 없고 또한 자식도 없다.

소리와 색도 이와 같이
또한 자성(自性)이 없음을 알라.
저 색도 이와 같음을 알아야 하나니
비유하면 즐거움이 잠시 화합한 것과 같다.

저 자성도 이와 같아
이것은 하나로 말한다.
나머지 색은 모두 실답지 않아
이를 색의 하품(下品)이라 한다.

저 일체 지심(智心)은
번뇌를 모두 청정(淸淨)하게 한다.
일각심(一覺心)을 사유하면
그것들은 없는 것과 같다.

애착이 만일 허망하여 진실되지 않는다면
어찌 견(見)에 머무르겠는가?
나[我]도 없고 마음도 없으니
이 마음은 화상(畫像)과 같다.

이 마음은 지(智)와 상응하고
청정하여 어리석음을 깨뜨린다.
이와 같은 자심(自心)은
그를 짓되, 무엇을 짓는단 말인가?

어리석어 행함이 없으면
나는 헛됨을 짓는 것이다.
행이 있어 스스로 출리(出離)하면
악업(惡業)의 과(果)가 없다.

파괴의 업을 행한다면
선과(善果)를 어떻게 얻겠는가?
이 두 가지의 행과(行果)는
서로 파괴하고 성취한다.

이 말이 헛되지 않음을 알아
그 자신에게는 무사(無事)가 되며
인과가 정해져 상응하여
악견(惡見)이 나지 않음을 구하는 것이다.

이 행은 실제로 머무르니
짓는 자와 받는 자를 이제 설하리라.
과거와 미래의 마음엔
그[彼]와 내[我]가 생함이 없다.

이러한 마음이 생긴다면 나는 파괴되어
다시 생기(生起)하지 않는다.
마치 파초와 줄기와 같아
능히 승임(勝任)하는 바가 없으리라.

나의 마음이 생기는 것 또한 이러하여
여기에서 선(善)의 관찰을 얻는다.
유정이 만약 있지 않다면
이 행을 어떻게 행하겠는가?

이 행을 지금 만일 행한다면
어리석은 일(癡事)을 행하게 된다.
유정은 어떠한 실다움도 없으니
어리석음은 그 애사(愛事)에 비유한다.

만일 고뇌(苦惱)를 멸하려면
당연히 어리석은 일을 끊어야 한다.
아만(我慢)은 고통의 원인이 되며
어리석음은 이것을 증장시킨다.

사심(事心)으로 돌아오지 않으며
관공(觀空)을 최상으로 한다.
다리가 없고 정강이와 무릎도 없으며
허리도 없고 또 넓적다리도 없다.

팔이 없고 또 어깨가 없으며
배꼽이 없고 가슴과 등이 없으며
갈비[肋]가 없고 아울러 옆구리가 없으며
손이 없고 또 코가 없다.

목이 없고 머리가 없다.
쇄골[骨鎖] 등이 모두 이러하다.
일체 몸을 관(觀)하여
어떠한 곳[一處]에서도 행하지 않는다.

처처(處處)에서 행하니
어느 곳에 스스로 안주(安住)하겠는가?
이 몸과 손 등이
일체 처(處)에 모두 머무른다.

일신(一身)도 이와 같다.
손 등에 이르기까지
안도 없고 밖도 없는 몸이
어찌 홀로 몸과 손 등뿐이겠는가?

손(手) 등의 분별없이
어찌 또 있다 하리오.
이는 이미 어리석음이 없는 몸[無癡身],
오히려 의수(意手) 등을 말한다.

머무름을 다하니 수승(殊勝)에 가깝다.
관찰하는 자는 사람의 비유를 아나니
만일 저 인(因)이 화합하면
나무를 사람으로 보는 것과 같으리라.

만일 이와 같이 상(相)을 요지[了]한다면
저 몸은 이러한 견(見)과 동일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발가락을 버리면
손가락 또한 모두 버린다.

먼저 마디[節]의 합[合]을 관(觀)하고
후에 마디가 스스로 떠남을 본다.
이 몸의 파함[破]이 이미 다하여
분별의 견(見)에 머무른다.

분별하여 이 몸을 보면
얻음도 비유하면 허공과 같다.
이와 같은 꿈속의 색을
지혜로운 자가 어찌 즐기겠는가?

시설[設施]되었더라도 만일 몸이 없으면
어찌 남녀 등이 있다 하겠는가?
만일 정말로 고통의 얻음을 즐거워한다면
이 사람이 어찌 해탈하지 못하겠는가?

이를 관찰함에 어찌 애락(愛樂)하여
번뇌가 깊어진다 하겠는가?
낙(樂)의 부실함은
집수(執受)함이 없는 것과 같다.

그대의 고(苦)는 또 어찌하여
그처럼 스스로 얻음이 없는가?
저 고통은 미세하게 있기는 하나
원래 미세하여 설하지 않는다.

그것은 미세한 것이기 때문에
설하지 않고 다른 것을 기쁘게 한다.
성냄으로 인하여 고가 생겨나고
이미 생한 것은 멸한다.

만약 선정에서 본다면
생(生)을 스스로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미 알고
이와 같이 인과(因果)를 관(觀)한다.

선(禪)과 애(愛)가 상응하여
그 의심의 경지를 생한다.
선근(善根)의 이로운 바는
모두 어떤 사람을 위한 것인가?

저것과 이것이 어떻게 화합하고
화합하여 무엇을 얻는가?
사람을 허공에 비유하면
비록 합하더라도 들어감이 없다.

들어가지 않으면 화합이라고 하지 않나니,
이것은 무분별행(無分別行)이다.
화합의 이름을 구하지 않고
만약 본다면 봄이 없으리라.

화합하여 저것을 구하지 않는데
어떻게 생을 얻는다고 이름할 것인가?
대상[物]이 있어도 화합하지 않으니
마치 인도하여 먼저 아는 것과 같다.

그러나 저 식은 상(相)이 없고
화합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 법에 접촉함이 이와 같으니
무엇을 받아들여 생함을 얻을 것인가?

나는 지금 무엇을 소유하여
고통의 해를 입는가?
만약 받아들인 바를 얻지 않는다면
고통의 해를 깨닫지 못하리라.

이 지위에서 이를 본다.
무슨 애착이 멀리 떨어지지 않을 것인가?
지금 이 꿈을 꾸며 보는 것은
자신의 마음의 허깨비[幻化]이다.

이미 그 촉성[觸性]을 본다면
그대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또한 가능하다.
먼저 세계와 나중의 세계는
염염(念念)하여 받아들임이 없다.

만약 그 자신을 관한다면
받아들임도 또한 얻는 바가 없다.
받아들인 바가 이미 실하지 않다면
저것은 곧 있지 않음을 아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없다면
어찌 이와 같이 해가 되겠는가?
색성(色性)이 스스로 머무르는 것은
근본이 없고, 중간도 없다.

안도 없으며 밖도 없는 색(色)은
다른 곳 또한 얻지 못한다.
몸이 만약 다른 곳이 없다면
합(合)도 없으며 분별도 없다.

유정의 자성(自性)은
적정(寂靜)하며 그 소유가 없다.
지혜로운 자가 만약 먼저 안다면
어찌 이에 집착할 것인가?

지혜로운 자는 슬기로우니
그의 생에 어찌 집착하겠는가?
이 지혜는 후에 얻어지는 것
그러면 그 지혜는 어떻게 얻는가?

이와 같은 일체법은
생함에도 불구하고 얻음이 없다.
이와 같이 법이 만약 없다면
이 법이 어찌 둘이겠는가?

저 나머지 법도 이와 같다면
유정은 모두 적정하다.
그 다른 마음은 의심스러우나
스스로 있지 않도다.

그 정함과 그 후유(後有)에
이 법은 피차가 없다.
자신의 마음을 사유하여
이 둘은 서로 머무른다.

바른 머무름을 얻음과 같이
일체의 지혜로운 자는 설한다.
만약 여러 지혜가 있는 자는
지지(智智)를 획득한다.

지혜로운 자는 이 지혜를 얻으며
그것은 지위가 없다.
지혜로운 자가 이 지혜를 얻는다면
얻어도 머무름이 없다.

무주(無住)는 즉 무생(無生)
이는 열반에서 설한다.
이 두 법은
이와 같이 지극히 머무르기 어렵다.

만일 법이 지(智)에 의한다면
지혜로운 자는 무슨 인(因)으로 있겠는가?
이 지(智)는 지(知)로 말미암으니
지자(知者)는 얻을 바가 없다.

두 법은 서로 연유하며
이 유정(有情)은 성품이 없다.
부모가 없으면 정히 자식도 없으니
자식을 낳고자 하지만 어찌 얻을 수 있겠는가?

부모가 있기에 자식이 있듯
이 두 법도 또한 이러하다.
싹은 종자에서 생기는데
종자는 어디서 구하여 얻는가?

지(知)는 지혜에서 생기니
실로 어찌 행하지 못한다 하겠는가?
싹은 지혜의 종자에서 생겨나며
지(知)는 지혜(智)의 싹을 따라 있다.

만일 지(知)를 알지 못한다면
어찌 지지(智智)를 얻으리오.
일체 사람의 인연은
그전에 모두 다하였다고 말한다.

인과(因果)가 생기(生起)하는 것은
한결같이 비유하면 연화(蓮花)와 같다.
인과는 어떤 연유로 만들어지는가?
모두 과거에 따라서 만들어진다.

이 과(果)는 무엇을 얻는다 하겠는가?
과거의 업력에 의한다.
세간은 자재에 의한다면
자재10)는 무엇을 말하는가?

이와 같이 후유(後有)를 얻어
그것들[彼彼]은 어떤 뒤섞임이라 이름한다.
이 것[事]은 그저[唯] 정해지지 않아
마음도 아니고, 현성(賢聖)도 아니다.

허물과 악함으로 선보(善報)가 없으니
어찌 자재(自在)를 얻으리오.
허공과 같이 보지 않고서는
자신의 과거를 보지 못한다.

자재는 사의(思議)하지 않는다.
이 이치[理]는 마땅히 설하지 않을 것이다.
저 주인[主]이 어찌 최상이 되었다 하는가?
그것 또한 스스로 정한 것이 아니다.

선악의 각 자성(自性)에 대해
지혜로운 자는 한계가 없음[無邊]을 안다.
업(業)에 의해 고락(苦樂)이 있으니
그 말은 무엇 등을 짓는가.

먼저, 인(因)이 만일 존재하지 않는다면
과보는 누가 받는다 할 것인가?
어찌하여 항상 만들지 못하는가?
이에는 다른 견해가 없다.

그 지음[作]이 원래 다르지 않으니
어찌 각각[彼彼]의 견(見)을 얻겠는가?
만일 화합의 인(因)을 본다면
다시는 자재라 말하지 않을 것이다.

이 화합에 주인이 없으면
저 법에도 곧 주인이 없다.
저 애(愛)는 스스로를 애착하지 않으니
이 애는 지음이 없다[無作].

얻을 것이 남에게 연유하니
어찌 자재를 짓는다 말하겠는가?
이른바 만일 항상 멸하지 않는다면,
이는 과거를 만들지 않는다.

애는 최상의 수(數)가 된다.
이른바 세간에 늘 항상(恒常)한다.
유정(有情)ㆍ진(塵)ㆍ암폐(闇蔽)11) 등은
악의 공덕에 머무른다.

이른바 이 설(說)은 최상이며
세간의 악을 설한다.
하나에 세 가지의 자성(自性)은
합해지지 않아 존재하지 않는다.

이 덕은 소유가 없다.
각각 세 가지의 덕이
비록 소리[聲]는 없다 하더라도
소리에는 환원(還遠)이 있다.

의(衣) 등과 같은 것은 무심(無心)하지만
이에 의해 쾌락이 생겨난다.
색(色)의 성품도 또한 이러하여
이를 관(觀)하여야 성품이 없다.

저들 쾌락의 원인[因]의
무유(無有)는 옷[衣] 등과 같다.
이러한 옷 등의 쾌락은
곧 성품의 쾌락이다.

저들 쾌락은
구원(久遠)함을 얻을 수 없고,
이것은 미세(微細)12)를 얻는다.
어찌 이것이 추세(麤細)라 하겠는가?

쾌락이 이와 같이 실(實)하니
사유를 어찌하여 받지 않겠는가?
거침[麤]을 떠나 미세(微細)를 얻으나
미세는 구원(久遠)하지 않다.

일체의 물질 또한 이러하니
구원(久遠)을 어찌하여 얻지 못하는가?
쾌락은 거칠지 않음을 얻고
쾌락은 항상 일정하지 않다.

그것은 생하는 바가 없어
이 설(說)은 진실하지 않다.
그것은 진실의 덕에서 생하며
그것은 머물고자 함이 없음을 얻는다.

식(食)이 부정식(不淨食)이라면
인(因)에 과(果)가 있는 것이다.
값비싼 옷을 좋아하면서
도라(睹羅) 종자를 사는 것과 같다.

세간의 어리석음을 좋아하지 말고
저 진여의 지혜에 머무르라.
저 지혜는 세간에 있는데
어찌하여 보지 못하는가?

그것은 세간의 지식[量]과 동일하다.
만일 이것을 분명히 본다면,
세간은 지식에 의하여 헤아릴 수 없다.
이는 거짓말[妄言]이 아니다.

이런 까닭에 진여를 관(觀)하며
그것은 공(空)이어서 생함이 없다.
앎[知]의 성품의 접촉하지 않음,
이 성품은 집착이 없다.

이 성품은 진실로 실(實)하지 않기 때문에
실다운 성품이 아니다.
이러한 까닭에 꿈에서 깨어나면
이러한 의심, 그것은 없게 된다.

만일 성품의 존재를 보았다면
곧 부실(不實)의 생자(生者)이다.
이런 까닭으로 그 성(性)을 알아
인연하지 아니하면 곧 무소(無所)라 안다.

일체가 주인이 없이
인연 중에 안주(安住)한다.
이는 특별함이 없는 까닭에
머물지도 않으며 또한 가지도 않는다.

실로 만일 미혹하다면
도리어 세간의 승(勝)이 되니
인(因)으로부터 생겨난 것이고
환(幻)을 좇아 화작(化作)된 것이다.

어디에서 오며 어디로 가는가?
요지(了知)함이 이와 같으니
만일 이렇게 분명히 안다면
곧 성품이 없음을 보리라.

어찌 가실(假實)을 안다 말하겠는가?
그림자 등과 같다.
성품이 스스로 있는 것[自有]이라 말한다면
이 인(因)은 무엇에 의해, 서는 것[立]인가?

만일 이것이 있지 않으면
이 인(因) 때문에 사용되지 못한다.
유무(有無)의 성(性)과 상(相)은
억백천에 인(因)한다.
그 지위[位]가 어찌 성품이라 말하겠으며
어찌 따로 성품을 얻겠는가?
저 성품이 무성(無性)일 때에
이 성품은 어느 때에 얻겠는가?

무성(無性)은 곧 무생(無生)이라
마땅히 그 성품의 행에 의존하게 된다.
성품은 과거의 성품이 없으며
성품에 의하여 생겨나지 않는다.

성품이 있지 않아 성품이 없으니
비유하면 환화(幻化)가 화합한 것과 같다.
일체 유무(有無)의 성(性)은
이와 같이 멸하지 않는다.

이 일체 세간은
이러한 까닭에 생멸하지 않으며,
행이 공(空)하고 실답지 않음을 알아야 하나니
비유하면 꿈과 같고 파초(芭蕉)와 같다.

멸함과 멸하지 않음을 분별하면
일체는 얻을 수 없다.
성품이 공(空)함도 곧 이와 같으니
무엇을 얻고 무엇을 받겠는가?

실답지 않음이 항상 이와 같으니
그것들을 어찌 얻겠는가?
무엇을 고통스러워하고 무엇을 쾌락하며
무엇을 애착하며 무엇을 애착하지 않을 것인가?

저 애착은 어느 곳에 있는 애착인가?
요컨대 마땅히 자성(自性)을 알아야 한다.
세간도 또한 알아야 하나니,
무엇을 이름하여 무상이라 하는가?

어떤 사람이 무엇에 친숙하며
어떻게 나고[生], 무엇을 얻는가?
일체는 비유하면 허공과 같나니
이것을 받으나 모두 잃는다.

환희나 성냄은 상대되는 것이니
기쁨이나 투쟁이 원인이 된다.
성냄과 번뇌는 모든 삿된 행을 하니
일체를 파괴한다.

죄악은 스스로 애락(愛樂)하여
이에 악취(惡趣)의 이름을 얻는다.
죽어서 곧 악취(惡趣)에 떨어져서
고통을 얻고도 뉘우치지 못한다.

혹은 하늘을 왕래하며
생(生)마다 즐거움을 얻는 것은
수많은 죄의 벼랑에 버려지는 것이니
이른바 진실이 이와 같다.

이와 같은 진(眞)은 무성(無性)이니
또한 서로 미워하고 사랑하며
장차 악(惡)을 말하여
끝이 없는[無邊] 고해(苦海)에 빠진다.

색력(色力) 및 수명을
그가 얻더라도 아주 적으며
쾌락을 획득할지라도
굶주림에 고통받는다.

수면과 재해에 헤매니
마치 허환(虛幻)이 화합한 것과 같다.
마땅히 그 허환을 다해야 한다.
만일 이렇게 하여도 얻기 어렵다면,

그가 배우더라도 무슨 짓는 바가 있겠는가?
무엇을 행하고 무엇을 끊어 없애겠는가?
그러한 모든 마사(魔事)들을
큰 죄의 낭떠러지라고 한다.

많은 정도(正道)에서
이기기 어려워 행하지 않으며,
또 찰나 중에
깨달음[覺悟]을 얻기 힘들다.

과거ㆍ미래의 고통이
번뇌의 바다를 마르게 하기 힘들다.
그리하여 이 고통의 바다에서
나는 고통을 원망하여 떠나기를 구한다.

이와 같이 여기에 안주(安住)하여
만일 스스로 즐거이 머무르지 않는다면,
순간순간에
불에 들어가 목욕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자리(自利)를 보면
이러한 고통을 받는다.
늙음과 죽음에는 자재함이 없어
저 현행하는 인[行因]이 이와 같다.

저 악법이 오는 것으로부터
악을 받기 이전에 죽어버린다.
고통의 화열(火熱)은 이와 같으니
내가 어느 때 쉬겠는가?

스스로 쾌락을 만들고
복운(福雲)에 감기어
나는 무엇을 보고 알며
지혜와 공(空)을 설하겠는가?

구족된 지혜에 머리 숙이며
복덕에 깊이 머리 숙여 예경한다.

8. 보리심회향품(菩提心迴向品)13)

보리행은 이와 같으니
보리행의 복덕을 깊이 사유하라.
보리행의 장엄은
모든 사람들이 다 성취할 수 있다.

일체의 곳에
몸과 마음의 고뇌에 시달리는 이들,
그들은 이러한 미묘한 복을 얻어
쾌락의 바다에서 환희하리라.

만일 자재하지 못하여
윤회에 머물러 있는 자라도
세간의 즐거움을 얻게 하고
보리의 즐거움을 얻게 하리라.

만일 세계 가운데 있거나
지옥에 있더라도
그들 모두로 하여금
모두 지극한 쾌락을 얻게 하리라.

한고(寒苦)지옥에서는 따뜻함을 얻고
열고(熱苦)지옥에서는 시원함을 얻게 하며
보살의 큰 구름을 덮고
또 법수(法水)의 바다에서 목욕하리라.

철수철산(鐵樹鐵山) 봉우리에서는
검림(劍林)이 빛나고,
일체는 겁수(劫樹)를 이루어
죄인은 안락함을 즐거워한다.

비유하면 가나마(迦那摩)ㆍ가라나(迦囉拏)14)
원앙ㆍ거위ㆍ기러기의 소리가 즐거워
연못을 청정히 하여 탁하고 더러움이 없고
미묘한 갖가지 향으로 희락(喜樂)하게 함과 같다.

지옥 화로의 잿더미는
마니구슬 더미가 되고
더운 땅에서는 수정으로 장엄되며
또 보산(寶山)에 화합한다.

이와 같은 공양으로
선서(善逝)의 궁전이 다 채워진다.
숯불과 뜨거운 칼의 비[雨]는
이후 꽃비가 되어 내린다.

그 칼은 서로를 베어[殺]
이후에는 꽃이 되어 서로 흩어지니
모든 신육(身肉)을 난도(爛搗)하는 것이
비유하면 군나화색(君那花色)과 같다.

육골(肉骨)이 불과 같은
나하수(奈河水)에 떨어졌더라도
나의 선력(善力) 때문에
천(天)의 궁전을 얻게 되리라.

그 빛은 천 개의 태양과 같아서
나지니(那枳儞)15)에 만족하니
염마(焰魔)의 옥졸을 본 사람도
놀라고 두려워하지 않는다.

까마귀ㆍ독수리 등의 나는 것들은
모두 악식(惡食)의 고통을 떠나
사랑과 안락을 널리 얻으니
이것이 어떤 선(善)을 얻어서 생하는 것인가?

복(福)은 허공에 비유되니
상하(上下) 등을 관(觀)하여,
금강수(金剛手)16)를 본 것과 같이
속히 재환(災患)을 멸제(滅除)한다.

꽃 향[花香]을 비처럼 내리고
지옥의 불을 파멸(破滅)한다.
무엇을 쾌락이라 이름하고
무엇을 환희라 이름하는가?

지옥에 머물러 있는 자는
관자재(觀自在)를 보게 된다.
마찬가지로 일체의 위덕(威德)을 지닌
구지계동자(俱胝髻童子)는

대비의 보리심을 가지고
일체를 제도[救度]한다.
저 천(天)의 공양물인
천관(天冠)과 천화(天花),

그리고 비심화(悲心花),
즐거운 보배 누각[寶樓閣],
천녀(天女)의 언설(言說),
백천 종류의 가영(歌詠)을 가지고

대성문수(大聖文殊)와
보현보살(普賢菩薩)을 찬양한다.
이러한 선공덕(善功德)을
지옥에 있는 이에게도 같이 한다.

대성관자재(大聖觀自在)가
지옥의 고통을 관찰하니
무량한 고통이 두려워할 만하므로
손을 내밀어 감로의 우유를 주어

저 모든 굶주린 아귀를 건지고
음식을 주고 목욕시켜 주어
배부르고 시원하게 해 주니
고를 여의고 쾌락을 얻게 된다.

북주(北洲)17) 사람의
모습ㆍ근력ㆍ수명과 같게 하니
귀먹은 자는 소리를 듣고
눈 먼 자는 색(色)을 보고,

임신과 출산이
비유하면 마야(摩耶)18)처럼 고통이 없으니
비록 옷이나 음식이라 할지라도
장엄하고 청정히 한다.

일체 구하는 뜻에 따라
이로움을 얻고 또 유익함을 얻는다.
두려운 자는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고
즐겁지 않던 자는 즐거움을 얻게 된다.

번뇌하던 자마다 번뇌가 없어지게 되니
보는 사람마다 모두 환희한다.
병자(病者)는 안락을 얻어
일체의 얽매임에서 해탈하리라.

힘이 없는 자는 힘을 얻으며
사랑의 마음으로 서로에게 베풀어
시방이 안락해지니
어느 곳에 가더라도

악한 일은 모두 다 사라져서
마땅히 좋은 일을 이루게 되리라.
장사를 하려고 배에 오른 사람은
원하는 것을 모두 얻게 되리라.

안락하게 피안(彼岸)에 도달하며
친척들도 모두가 한결같이 희희(嬉戱)한다.
기근(饑饉)일 때 길을 가더라도
도반을 얻어 두려움이 없게 된다.

도적과 호랑이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또 미혹함에 취함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광야에서 병의 재난이 없고
늙거나 어려서 주재할 수 없으면

현성(賢聖)이 모두 가호(加護)하여
모든 번뇌에서 해탈하게 하며
자비와 연민과 믿음과 지혜를
구족하고 항상 수행한다.

항상 숙명통(宿命通)을 얻되
무진장(無盡藏)과
허공장(虛空藏)을 얻으리라.
연(緣)도 없고 방편도 없으며

적은 재주[少才]로도 즐겁지 않음이 없어
유정의 명문(名聞)이 결핍됐으면
마땅히 큰 명칭을 얻게 된다.
만일 추루(醜陋)한 자가 출가하면

마땅히 색상(色相)을 갖추게 될 것이며
만일 그가 삼계에 있다면,
그로 하여 장부상[丈夫]을 얻게 될 것이며
또 높고 낮은 지위를 떠나게 되고

당연히 아만(我慢)의 생각을 깨뜨리게 될 것이니,
이제 나는 일체의 복으로
모든 유정 등을 이롭게 하며
마땅히 일체의 죄를 떠난다.

항상 선리(善利)의 일을 짓되
보리심으로 짓고
보리행에서 물러나지 않으며
멀리 아만의 업을 떠난다.

장차 부처의 수기(受記)를 얻어
일체의 유정 등이
무량의 수명을 얻고
수명이 영원토록 길어짐을 얻으리라.

무상(無常)의 소리를 파괴하여
겁수(劫樹)의 동산이 기쁘게 된다.
일체가 바야흐로
묘법(妙法)을 얻어 뜻한 대로 된다.

한결같이 부처와 부처들로 원만하게 되며
그 모든 높고 낮은 바위들은
손바닥과 같이 평탄해지고
유연하여 유리(琉璃)의 색(色)이 된다.

일체의 지위가 모두 얻으니
모든 대보살중(大菩薩衆)은
모든 국토에 보편(普遍)하여
스스로 광명(光明)에 머물러

대지를 장엄함에
모든 나무들과 나는 짐승이
빛으로 허공을 밝히며
설법의 소리를 그치지 않는다.

모든 유정은 항상 듣고
부처님과 불자들은
각각 항상 봄[見]을 얻으며
끝없고 구름같은 공양으로
세존을 공양한다.

하늘에서는 때맞추어 비 내리고
곡식[穀麥]은 모두 풍성히 열매를 맺으며
세간은 구족을 얻으며,
왕은 법답게 다스리리라.

약초의 힘은 배로 증가하고
명력(明力)19)이 모두 성취되리라.
나찰(羅刹)ㆍ나길니(拏吉儞)
이들은 모두 자비롭고 연민을 가지게 된다.

괴로운 유정이 없고
죄도 없고 또한 병이 없으며
하열한 자들을 멸시하지 않고
번뇌를 얻는 바가 없게 된다.

독송하는 것이 자재롭고
뜻에 따라[隨意] 가고 머물며
승가는 곧 항상하여
승사(僧事)로 성취한다.

필추(苾芻)는 정계(淨戒)에 머물러
또한 일체의 요해(了解)를 얻으며
심업(心業)을 관찰하여
모든 번뇌를 여읜다.

필추는 이로움을 얻고
당연히 싸움을 멀리 여의어야 하나니
모든 출가자도 또한 이러하여
금계(禁戒)를 깨뜨려서는 안 되고

계(戒)를 얻고 수호하여
항상 모든 죄를 기꺼이 없앤다.
만일 그가 파계(破戒)하지 않는다면
유익함을 얻어 천취(天趣)에 가게 된다.

만약 그가 발우를 가진 자라면
선리(善利)를 얻기 때문에
청정함의 종자를 얻는 것이니,
명성이 사방에 가득하리라.

영원히 죄의 고통을 받지 않으며
항상 고통이 없는 곳에 가게 된다.
끝없는 모든 유정이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면

당연히 일천신(一天身)을 받게 된다.
이는 성불하여 세간과
유정을 사의(思議)하지 않으며,
부처를 즐기고 즐거움을 얻는다.

원하건대, 세간을 위하여
보살은 성취를 얻고
저 존자들이 생각하면
저 유정들로 하여금 얻게 할지이다.

벽지불은 안락하고
성문도 즐거움을 얻을 것이며
하늘과 인간과 아수라는
뜻이 깊어[意重] 항상 보호한다.

만일 숙명통(宿命通)이 있다면
출가자는 이를 항상 얻을 것이다.
만약 환희지(歡喜地)가 된다면
문수사리에 머무를 것이며

내가 만일 그 자리에 있다면
힘닿는 대로 능히 함께 할 것이다.
만일 화합의 머무름을 안다면
일체를 생하게 될 것이다.

만일 보고자 하는 자가 있고
듣고자 하는 자가 있다면
이와 같은 그는
문수사리존자를 보게 되리라.

마치 태양이 시방을 비추듯이
일체 유정을 위한
저 문수(文殊)의 수행을,
나도 이와 같은 행을 얻을지이다.

그가 혹 허공에 머물거나
혹은 세간에 머물거나
지금의 나도 또한 그와 같이 머물러
세간의 고통을 무너뜨리게 될지어다.

세간에 만일 고통이 있다면
그 일체를 내가 대신 받고,
세간의 일체의 선과
보살의 즐거움 얻기를 원한다.

하나의 악으로 세간을 구하여
일체가 모두 부유하고 즐거워지며
일체가 똑같은 이익을 얻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이 영원토록 이 세상에 머물지이다.

착한 뜻과 청정함으로
문수보살께 귀명하옵니다.
나는 선지식을 설하였나니
청정함이 곧 증장하리라.
033_1008_a_01L菩提行經卷第四 書聖龍樹菩薩集頌西天中印度惹爛馱囉國密林寺三藏明教大師賜紫沙門臣天息災奉 詔譯菩提心般若波羅蜜多品第七如來智慧仁 爲一切世間 令求遠離苦是故智慧生 眞如及世間 今說此二法知佛眞如故 說法而智慧 彼世間凡夫見二種相應 害及勝害等 乃世相應事彼二事見已 見之乃爲智 智見世間性是喩於眞如 此說無去來 智者無不見色等甚分明 乃世相應事 不淨而爲淨智者喩有利 爲知世間故 是說世間性爲見於眞如 見以剎那住 世間行相應此行無過失 知女人不淨 異世諸害事謂佛福虛幻 使我云何信 有情若幻境云何復生滅 彼因集和合 乃得於幻緣有情種子生 云何有眞實 殺彼虛幻人無心性等罪 平等心虛幻 罪福得生起眞言力等持 幻境心無著 以彼種種幻種種因業生 何有於一人 得於一切力若住於眞如 或住於淨戒 如是卽佛行誰云菩提行 因緣當斷盡 幻化不可得因緣若斷盡 無生而自得 若不住疑妄幻境而不立 幻境若彼無 一切不可得如是卽眞如 得現於心體 心如是若分虛幻何由見 心不自見心 世尊之所說如劍刃雖利 雖利不自斷 自性由若斯復喩如燈光 破闇然得名 而不云自照又若水精珠 體本唯淸澈 因靑而有靑影現隨衆色 非靑而現靑 如心而自作又如彼燈光 智者知此說 智慧此開通知者何所說 雖開而不開 如人無所睹石女義不生 與此義不二 亦同無心識緣念無所得 非念而別生 虛妄念如毒謂若因若果 爲法而自說 有談眼藥方見甁而無藥 若見聞覺知 此有而非有念斷於苦因 此實念當念 念念而無別此心當平等 前塵常惑人 了之無所有如幻而不實 妄心而自見 住塵處輪迴喩空無所依 住塵性亦然 亦無有所得若與不善俱 不善汝所得 若心有取捨施一切如來 如是用心意 而有何功德幻境一切知 煩惱云何斷 於彼幻三毒遠離而不作 知於煩惱心 彼作而未盡於彼得見時 空有意無力 煩惱性非盡與空而相雜 至彼無所學 彼後乃得盡彼性而無得 亦復不能見 彼性若無住云何住此身 若性而無有 身住於無性是性如去來 隨現而無著 劫樹與摩尼能如意圓滿 佛變化亦然 當爲斯行願喩法呪林樹 呪成而枯壞 毒等雖久害彼彼皆消除 菩薩之修行 所作諸事業菩提行最勝 佛樹能成就 以彼平等行而住於寂靜 及作不思議 供養得何果隨彼所行因 而得於彼果 供養等眞實得果而稱實 云何得法空 實得解脫法不離牟尼道 當得於菩提 汝不求大乘何法求圓滿 二乘得成就 成就非圓滿若彼所作因 怖畏於大乘 別怖怖非實此怖實名怖 此法要當知 大乘之所論離此爲他法 知彼外道論 法乃僧根本僧知法出離 心若有著處 涅盤不可得解脫心無著 煩惱得消滅 煩惱業消除斯由解脫力 愛取不相緣 以此無執持愛業而羸劣 是無有癡愛 受愛得相緣此受而有得 安住有著心 是得名處處若心之不空 復得名爲著 心性若云空如識而無得 如應正等覺 所說之妙法是義乃大乘 大乘行平等 說法之一時了一切過患 一味之平等 諸佛無不說迦葉大尊者 如言之不知 彼汝云不覺不受當何作 解脫力若怖 輪迴得成就迷彼苦空事 而得於此果 迷空彼若此不得謗於法 此空審觀察 是故得不疑離闇知煩惱 因法知於空 欲速一切知彼言審觀察 若物生於苦 是苦怖得生彼苦因空作 彼何得生怖 若於彼物怖斯卽名我所 如是我無所 苦怖云何得牙齒髮爪甲 骨肉幷血髓 鼻涕唾膿涎脂肪及腸胃 便痢汗熱風 九漏幷六識如是諸法等 一切皆無我 說彼智與聲聲恒受一切 若說聲智離 彼離云何知若智之不知 彼智難知故 彼智旣決定乃近於智智 此智非聲受 彼聲何以聞彼聲近於心 彼知色如是 若受於色聲而色復何受 如彼一父子 思惟無眞實有情塵所翳 無父亦無子 知聲色如是亦無於自性 彼色如是知 喩樂暫和合彼自性如是 彼一而言有 餘色咸不實此說色下品 彼一切智心 煩惱悉淸淨思惟一覺心 彼等彼若無 愛若虛不實云何住於見 無我而無心 此心喩畫像是心智相應 淸淨愚癡破 如是之自心彼作云何作 彼愚癡無行 此我而虛作有行自出離 而無惡業果 破壞業若爲善果云何得 此二之行果 互相破成就彼說知不虛 彼自而無事 因果定相應惡見要不生 此行而實住 作受今當說過去未來心 彼我無有生 此心生我破我無復生起 如芭蕉作柱 無所能勝任我心生亦然 是得善觀察 有情若不有此行云何爲 彼行今若爲 而爲有癡事有情何實無 癡喩其愛事 若滅於苦惱當斷於癡事 我慢爲苦因 癡是得增長彼事心不迴 觀空爲最上 無足無脛膝無腰復無腿 無臂亦無肩 無臍無胸背無肋兼無脅 無手亦無鼻 無項復無頭骨鎖等皆爾 觀此一切身 不行於一處彼行於處處 何處自安住 以彼身手等一切處皆住 彼一身如是 乃至於手等無內無外身 何獨身手等 手等無分別云何彼復有 彼旣無癡身 寧云意手等住已近殊勝 觀者知人喩 若彼因和合木人此可同 若了如是相 彼身同此見如是捨足指 手指亦皆捨 彼初觀節合後見節自離 此身破已竟 彼住分別見分別見此身 得喩如虛空 如是之夢色智者何所樂 設施若無身 何有男女等若喜眞得苦 此者何不解 觀察此云何愛樂深煩惱 樂者之不實 如彼無執受汝苦復云何 如彼自無得 彼有苦微細旣微而不說 以彼微細故 不說令他喜因瞋而苦生 旣生而有滅 若於定有見於生自不受 如是而旣知 如是觀因果禪愛或相應 得生彼疑地 善根之所利皆爲於何人 彼此何和合 和合而何得人喩於虛空 雖合而無入 無入而非合是無分別行 不求和合名 若見而無見和合彼不求 云何名得生 有物非和合如導而先知 而彼識無相 不住於和合彼觸法如是 何受而得生 我今何所爲而得於苦害 若不得所受 苦害而不覺此位彼得見 何愛不遠離 今見此夢觸自心之幻化 旣見彼觸性 彼受汝亦得先世與後世 念念而無受 若此觀自身受亦無所得 所受旣不實 彼卽知無有若此無自身 云何如是害 色性之自住無根無中間 無內無外心 別處亦不得身若無異處 無合無分別 有情之自性寂靜彼無所 智者若先知 云何而有著智者同智故 彼生何得著 是智是後得是智云何得 如是一切法 雖生而無得如是法若無 是法云何二 彼餘法若是有情皆寂靜 彼他心有疑 於自卽無有彼定彼後有 此法無彼此 思惟於自心是二互相住 如得於正住 一切智者說若有諸智者 獲得於智智 智者得是智彼卽是無位 智者得是智 有得而無住無住卽無生 彼說於涅盤 若彼之二法如是極難住 若法由於智 智者何因有是智由於知 知者無所得 二法互相由是有情無性 無父定無子 欲子生何得有父而有子 彼二法亦爾 芽從種子生種子得何求 知從智所生 彼實何不行芽從智種生 知從智芽有 若彼知不知何得有智智 一切人因緣 彼前皆已說因果所生起 等喩如蓮花 因果何由作皆從於過去 此果云何得 由過去業力世間因自在 自在彼何說 如是得後有彼彼名何雜 是事唯不定 非心非賢聖過惡無善報 彼何得自在 不見如虛空不見自過去 自在不思議 此理不應說彼主何最上 彼亦自無定 善惡各自性智者知無邊 因業有苦樂 彼說何等作先因若不有 果報誰云得 云何不作恒彼無於別見 彼作旣無別 何得見彼彼若見和合因 無復云自在 此和合無主彼法乃無主 彼愛不自愛 此愛而無作所得而由他 何云自在作 彼不作過去謂若恒不滅 愛此最上數 謂世間恒常有情塵闇蔽 住此惡功德 謂此說最上此說世間惡 一三之自性 不合而無有是德無所有 彼各各三種 功德雖無聲此聲有還遠 如衣等無心 由此生快樂色性之亦然 觀之性無有 彼等快樂因有無若衣等 此衣等快樂 此乃性快樂彼等之快樂 不能得久遠 彼得是微細云何彼麤細 快樂如是實 思惟何不受離麤得微細 微細不久遠 一切物亦然久遠何不得 快樂得不麤 快樂不常定彼無有所生 此說不眞實 彼眞實德生彼得無欲住 爲食不淨食 而有於因果愛無價之衣 買睹羅種子 不愛世間癡彼住眞如智 彼智世間有 云何而不見同彼世間量 若此分明見 世量而非量彼無妄言說 是故觀眞如 彼空而不生知性之不觸 是性而無執 彼性實非實是故非實性 是故彼夢覺 此疑彼無有彼性若見有 乃不實生著 是故知彼性無因卽無所 一切皆無主 因緣中安住由彼無別異 不住復不去 於實彼若迷返爲世間勝 爲從因所生 爲從幻化作何來彼何去 了知而若此 若此而了知乃見彼無性 云何知假實 同於影像等性若云自有 是因何所立 彼若是不有彼因故不用 有無之性相 因俱胝百千彼位云何性 何得於別性 彼性無性時是性何時得 無性卽無生 當依彼性行性無過去性 而由性不生 無有性無性喩幻化和合 一切有無性 有如是不滅此一切世間 是故不生滅 知行空不實喩夢喩芭蕉 分別滅不滅 一切不可得性空乃如是 何得而何受 不實恒若斯彼彼云何得 何苦何快樂 何愛何不愛彼愛何所愛 要當知自性 世間亦可知何名爲無上 何人何所親 何生而何得一切喩虛空 彼此受皆失 歡喜瞋相對因喜或鬪諍 瞋惱諸邪行 一切令破壞罪惡自愛樂 是得惡趣名 死卽墮惡趣得苦而無悔 或往來天中 生生而得樂捨於多罪崖 謂眞實如是 如是眞無性復互相憎愛 說彼將來惡 溺無邊苦海色力幷壽命 彼得而唯少 雖獲於快樂而由飢困者 眠睡災昏迷 如虛幻和合當盡彼虛幻 若此而難得 彼學何所作何行何斷除 彼彼諸魔事 斯爲大罪崖於彼多正道 難勝而不行 復於剎那中難得生覺悟 過去未來苦 難竭煩惱海而於此苦海 我恨苦求離 如是此安住若自不樂住 如須臾須臾 入火而澡浴見如是自利 而受於此苦 無老死自在彼行因如是 從彼惡法來 感惡而前死苦火熱如是 我何時得息 自作於快樂福雲生繚繞 以我何見知 而說知慧空稽首具足知 稽首福德重菩提行經菩提心迴向品第八菩提行若此 思惟於行福 菩提行莊嚴一切人皆得 乃至一切處 身心苦惱者彼得此妙福 歡喜快樂海 若有不自在而處輪迴者 使得世間樂 及得菩提樂若有世界中 乃至於地獄 而令彼等人悉受極快樂 寒苦得溫暖 熱苦得淸涼菩薩大雲覆 復浴法水海 鐵樹鐵山峯劍林光閃爍 一切成劫樹 罪人喜安樂喩迦那摩迦囉拏 鴛鴦鵝鴈聲適悅池沼淸淨無濁穢 微妙諸香生喜樂地獄爐炭聚 而得摩尼聚 熱地水精嚴復寶山和合 以如是供養 善逝宮皆滿炭火熱劍雨 今後灑花雨 彼劍互相殺今後花互散 爛搗諸身肉 喩君那花色肉骨與火同 棄墮奈河水 以我善力故令得天宮殿 彼光如千日 彼滿那枳你焰魔之獄卒 見者不驚怖 烏鷲等飛類悉離惡食苦 愛彼普快樂 此得何善生福喩於虛空 觀此上下等 如見金剛手速滅除災患 降彼花香雨破滅地獄火云何名快樂 云何名歡喜 處彼地獄者得見觀自在 同一切威德 俱胝髻童子大悲菩提心 救度於一切 以彼天供養天冠及天花 乃至悲心花 適悅寶樓閣天女之言說 百千種歌詠 讚大聖文殊及普賢菩薩 以此善功德 同於地獄者大聖觀自在 觀察地獄苦 無量苦可怖手出甘露乳 濟彼諸餓鬼 與食與洗浴令飽滿淸涼 離苦得快樂 如彼北洲人色力幷壽命 聾者得聞聲 盲者得見色妊娠及產生 喩摩耶無苦 雖衣雖飮食莊嚴而淸淨 一切隨求意 得利復得益怖者不受怖 不樂而得樂 煩惱得無惱見者皆歡喜 病者獲安樂 解脫一切縛無力而得力 愛心互相施 安樂於十方行道一切至 惡事皆滅盡 當成就好事乘舩商賈人 得滿所求意 安樂到彼岸親等同嬉戲 飢饉時路行 得伴無所畏不怖賊與虎 復不怖迷醉 曠野無病難耄幼無主宰 賢聖悉加護 諸煩惱解脫悲愍信智慧 具足相修行 恒得宿命通而得無盡藏 乃至虛空藏 無緣無方便無少才不喜 有情乏名聞 當得大名稱出家若醜陋 當得具色相 若彼有三界使彼得丈夫 亦離高下品 當破我慢意今我一切福 利諸有情等 常離一切罪恒作善利事 菩提心所行 菩提行不退遠離我慢業 當得佛受記 一切有情等得無量壽命 壽命得恒長 破壞無常聲劫樹苑適悅 一切方皆得 妙法而適意同佛佛圓滿 彼諸高下石 如掌而平坦柔軟瑠璃色 一切地皆得 諸大菩薩衆普徧諸國土 以自住光明 莊嚴於大地諸樹及飛禽 光明於虛空 說法聲不住諸有情常聞 佛及佛子等 彼彼恒得見無邊供養雲 供養於世尊 天雨依時節穀麥咸豐實 世間得具足 王法得依行藥力倍增盛 明力皆成就 羅剎拏吉你斯等皆悲愍 無有苦有情 無罪復無病不輕慢下劣 煩惱無所得 讀誦而自在隨意而行住 衆集乃恒常 成就於僧事苾芻住淨戒 復得一切解 觀察於心業捨離諸煩惱 苾芻所得利 當遠離鬪諍諸出家亦然 不得破禁戒 得戒而守護恒樂盡諸罪 若彼不破戒 得益往天趣若彼持鉢者 爲得於善利 得淸淨種子名聞滿諸方 永不受罪苦 恒行無苦處無邊諸有情 供養一切佛 當受一天身彼成佛世間 不思議有情 樂佛而得樂願爲於世間 菩薩得成就 彼尊若思惟彼有情令得 辟支佛安樂 及得聲聞樂天人阿修羅 意重而恒護 若彼宿命通出家此恒得 若彼歡喜地 文殊師利住我若以彼位 隨力而能與 若知和合住得生於一切 若有欲見者 及有欲聞者如是彼得見 文殊師利尊 如日照十方爲一切有情 彼文殊修行 我得如是行彼或住虛空 或住於世間 今我住亦然得壞世間苦 世間若有苦 彼一切我得世間一切善 菩薩之樂得 一藥救世間一切皆富樂 一切同利養 佛教而久住以善意淸淨 歸命於文殊 我說善知識淸淨此增長菩提行經卷第四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범본 Ⅸ. Prajñā-pāramitā.
  2. 2)진제(眞諦) 또는 제일의제(第一義諦)로 번역.
  3. 3)세속제(世俗諦) 또는 속제(俗諦).
  4. 4)범어로 mantra. 여래(如來)의 어밀(語密)이다. 대개는 법신불(法身佛)의 설법(說法)을 말한다.
  5. 5)임신하지 못하는 여자.
  6. 6)겁파수(劫波樹)의 약자. 제석천(帝釋天)의 희림원(喜林園)에 있는 나무의 이름.
  7. 7)보배 구슬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마니는 불행과 재난을 없애 주고 흐린 물을 깨끗하게 하는 힘이 있다고 한다. 특히 무엇이든지 하고자 하는 대로 가지가지의 진보(珍寶)를 내는 덕이 있는 구슬을 여의보주(如意寶珠)라고 한다.
  8. 8)두타제일(頭陀第一)이며, 법부장(法附藏)의 제1조.
  9. 9)이하는 수론학파(數論學派)의 교의(敎義)를 다룬다. 유정(有情)ㆍ진(塵)ㆍ소예(所翳, Sattva-raj stamas, 喜夏暗), 수론(數論, Samkhya)의 술어(術語)로 세 가지 덕[性, Guna]을 말한다.
  10. 10)범어로 lavara이다. 창조신(創造神)을 말함.
  11. 11)삼덕(三德, guna)을 말함.
  12. 12)범어로 suksma이다. 수론(數論)의 술어(術語).
  13. 13)범어로 Parinamana이다.
  14. 14)범어로 Kadamba-Karam이다.
  15. 15)범어로 dakini. 다지니(茶枳尼)ㆍ나길니(拏吉儞)ㆍ타지니(吒枳尼)라 음사한다. 야차(夜叉) 귀신의 하나로 자재(自在)의 통력(通力)을 가지고 있다. 사문보공(四門補供)의 일신(一神)이다.
  16. 16)범어로 vajrapani. 손에 금강장(金剛杖) 또는 금강저를 가진 보살. 집금강(執金剛) 또는 지금강(持金剛)이라고도 한다.
  17. 17)대해(大海) 중심에 서 있는 수미산의 사방(四方)에 존재하는 사대주(四大洲) 중 북방 대주(北方大洲).
  18. 18)범어로 Maya이며 환(幻)ㆍ환술(幻術)의 의미.
  19. 19)범어로 mantra이며, 진언(眞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