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4_0462_b_01L
불설대승관상만다라정제악취경 하권


법현 한역
김영덕 번역


석가불(釋迦佛)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바라나미슈다니 모훔 바타1)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嚩囉拏尾輸馱儞母吽發吒半音二

금강대불정(金剛大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훔 훔2)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

보생불정(寶生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다람 다라 타3)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怛囕二合怛囉二合半音二

연화불정(蓮花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하르4)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紇陵二合引二

갈마불정(羯磨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아아5)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惡惡

광명불정(光明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옴 옴6)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

보당불정(寶幢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훔 훔7)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

금강리불정(金剛利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디바타8)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提發吒半音二

백산개불정(白繖蓋佛頂)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가리 바타9)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訖梨二合發吒半音二

희(戱)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마하 바아로 나바 바 나나바 라미다 보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引訥婆二合儺那波囉弭多
이훔10)
𡁠吽引三

만(鬘)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마하 바아로 나바 바 시라바 라미다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引訥婆二合尸羅波囉弭多
보이예 다람11)
布𡁠曳二合引怛囕二合引三

가(歌)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마하 바아로 나바 바 잔디바 라미다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引訥婆二合羼底波囉弭多
보이야 하르12)
布囕也二合引紇陵二合引三

무(舞)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마하 바아로 나바 바 미 리자 바라미다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訥婆二合哩遮二合波囉弭多
보이야 아13)
布𡁠也二合引

향(香)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 - 바 바 야미슈 다니 달마달마 도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尾輸馱儞引二達摩達摩
바야쟈 나바 라미다보이야 훔 바타14)
波野𠆙切身那波囉弭多布𡁠也二合引發吒半音四

화(花)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나리가 디슈다니 가리 슈바가리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訥哩誐二合底輸馱儞訖里二合引輸鉢訖里
샤체 나니 보사바 미로기니 바 라야- 바 라미다 보이야
二合引設砌那儞布瑟波二合尾魯吉儞引四二合倪也二合引囉弭多布𡁠也
다람 훔 바타15)
二合引五怛囕二合發吒半音六

등(燈)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바 야미슈다니 야- 나로가가리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尾輸馱儞也二合引那魯哥哥哩


바라 니디바 라미다 보이야 하르 훔 바타16)
鉢囉二合尼地波囉弭多布𡁠也二合引四紇陵二合引發吒半音五

도향(塗香)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바 야안다나 샤니 바아라 안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巘馱那設儞嚩日囉二合
도바 야바 라미다 보이예 아훔 바타17)
度播野波囉弭多布𡁠曳二合引三惡吽發吒半音四

금강구(金剛鉤)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나라가가다 야 아 갈-사 니 훔자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那囉哥誐爹哥哩沙二合吽𠺁仁作切
바타18)
發吒半音三

금강삭(金剛索)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나라가 온다라니 훔 훔 바타19)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那囉哥嗢馱囉尼發吒半音四

금강쇄(金剛鎖)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바 야만다나모자니훔 밤바타20)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滿馱那謨左儞吽鍐發吒半音

금강령(金剛鈴)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살-바 바 야가디 가하나미슈다니훔 호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誐底誐賀那尾輸達儞吽
바타21)
發吒半音三

16대보살진언

자씨(慈氏)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매하라나야사바 하22)
昧賀囉拏野娑嚩二合引引一

불공견(不空見)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아모 기 아모 가나리세 훔23)
阿謨引一阿謨伽那哩世二合引引二

제일체죄장(除一切罪障)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바 야자하 살-바 바 야슈 다니 훔24)
薩哩嚩二合引野惹賀薩哩嚩二合引野輸達儞引二
파일체우암(破一切憂闇)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슈가다모 니리가 다나마디훔25)
薩哩嚩二合輸哥怛謨儞哩伽二合多那摩底吽引一

향상(香象)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안다하싣디 니훔26)
巘馱賀悉底二合儞吽引一

용맹(勇猛)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슈람가미 훔27)
戍囕誐彌引一

허공장(虛空藏)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가가니 가가나로자니 훔28)
誐誐儞引一誐誐那路左儞引二

지당(智幢)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야- 나켸 도 야- 나 바디훔29)
倪也二合引那計倪也二合引嚩底吽引二

감로광(甘露光)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아마리 다바라 비 아마리 다바디훔30)
阿蜜哩二合多鉢囉二合引一阿蜜哩二合多嚩底吽引二

월광(月光)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잔나라 싣뎨 잔나라 먁바로기뎨 사바 하31)
贊捺囉二合悉梯二合引一贊捺囉二合藐嚩路吉帝娑嚩二合引引二

현호(賢護)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바나라 바디 바나라 바 리훔32)
跋捺囉二合嚩底跋捺囉二合里吽引二

치성광(熾盛光)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자바 리니 마하 자바 리니 훔33)
入嚩二合引里儞引一摩賀入嚩二合里儞引二

금강장(金剛藏)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바아라 가리니 훔34)
嚩日囉二合誐哩毘二合引引一

무진의(無盡意)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악사예 바타 악사야갈-마 바라마 미슈다니 사바 하35)
惡叉曳發吒半音一惡叉野羯哩摩二合引嚩囉拏尾輸達儞娑嚩二合引引三

변적(辯積)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바라 디바 니 마하 바라 디바 니 바라 디바 나고디 사바
鉢囉二合底婆引一摩賀鉢囉二合底婆引二鉢囉二合底婆那酤致娑嚩
36)
二合引引三

보현(普賢)보살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사만다바나리 훔37)
三滿多跋捺哩二合引引一

아사리가 이와 같은 모든 부처님과 대보살들의 미묘한 진언을 지송하고자 할 때에는 그때마다 세 가지[三密]로 상응하는 삼마지를 일으켜 현성들을 관상한다. 그리하여 바로 눈앞에 나타나게 되면, 그 다음에 비로소 개문인(開門印)을 결한다. 그 인은 두 손으로 금강권을 하였다가 두 집게손가락을 펴고 두 새끼손가락을 서로 사슬처럼 얽는다. 그리고 곧 다음과 같은 개문(開門)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바아라 나바 로나가 다야훔38)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訥嚩二合引嚕訥伽二合引吒野吽引二

이 진언을 송하고 나서 곧 고리를 여는 것과 같이 손을 뻗은 다음에 설법금강인(說法金剛印)을 결한다.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였다가 다시 왼손을 고쳐 탄지하는 모습을 한다. 이 인을 결할 때에 마음으로 석가부처님을 생각하며 다음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바아라 자가리 훔39)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作訖哩二合引二

이와 같이 하고 나서 뜻에 따라 지송하라.
다음에 아사리가 이전에 배우고 익힌 대로 만다라와 모든 부처님ㆍ보살 본신(本身)의 모습ㆍ진언ㆍ인계ㆍ변화 등의 온갖 법을 관상한다. 모두 모름지기 하루에 세 때40)에 관상을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상응하게 된 후에 비로소 운심(運心)하여 온갖 법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한 달이나 석 달 혹은 여섯 달 동안 그 선행(先行)을 닦아 아주 익숙하게 하고 난 다음에 모든 부처님과 현성들께서 위력으로 가피하시어 경계의 모습[境像]을 나타내 보여주시기를 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길상(吉祥)한 징조를 얻으면 그 다음에 땅을 선택하기 시작하여 만다라를 만들고 성현 등을 채색하여 그린다.
다음에 아사리가 만다라를 건립하려고 할 때에는 모름지기 수행하기에 알맞은 훌륭한 땅[勝地]을 택하여야 한다. 이를테면 절[寺舍]이나 마을의 원림(園林) 같은 곳을 택하되 혹 먼저 결계를 하였던 땅을 택하면 안 된다. 만일 결계한 적이 없는 땅이라면, 깊이가 목까지 오거나 혹은 배꼽까지 오거나 혹은 무릎까지 오게 판다. 아사리가 잘 살펴보아서 만일 재[灰]ㆍ숯[炭]ㆍ겨[糠]ㆍ뼈ㆍ모래ㆍ돌 같은 것이 있으면 모두 다 제거하고 따로 향기롭고 깨끗하고 좋은 흙으로 가득 메워 평평하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사리가 불안보살(佛眼菩薩)ㆍ금강야차명왕(金剛夜叉明王)ㆍ감로군다리(甘露軍茶梨)의 진언을 송하여 가지한 물을 뿌려 그 땅을 청정하게 한다. 그리고 아사리가 곧 그곳에서 금강발견제마삼마지(金剛發遣諸魔三摩地)에 들어 심장에서 진언을 따라 두 눈이 해나 달과 같은 대분노명왕을 출생하여 손에 불꽃이 치성한 갈마저(羯磨杵)41)를 들고 금강보(金剛步)42)로 좌우를 돌아보며 한 순간에 모든 악마를 굴복시킨다고 생각한다. 그러고 나서 아사리가 곧 왼손에 금강령(金剛鈴)을 들고 오른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금강보로 만다라지(曼拏羅地)로 가서 금강위(金剛圍)43)에 이른다. 다시 근본인을 결한 다음에 견마(遣魔)진언과 훔자(吽字)를 송하되 오른쪽을 향하여 춤추는 형세를 하고 명왕같이 자재한 모습으로 그 땅을 둥글게 돌며 진언을 송하여 모든 악마를 쫓아버린다. 진언을 송한다.

옴 바아라 계리기리 살-바 미가나 만다훔 바타44)
嚩日囉二合計哩吉哩薩哩嚩二合尾伽曩二合滿馱吽發吒半音二
다음에 금강궐(金剛橛)45)진언을 송하며 말뚝을 땅에 박는다. 진언을 송한다.

옴 가가 가 다야가 다야 살-바 나-캄 바타 계 라야계 라
竭竭怛野伽怛野薩哩嚩二合訥瑟鵮二合引發吒半音三羅野計
야 살-바 바 방바타 바아라 계 라 바아라 다로야- 바야
薩哩嚩二合謗發吒半音五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達嚕倪也二合引鉢野
야디사바 하46)
底娑嚩 二合引引七

아사리가 만다라를 건립하고자 좋은 땅을 선택하여 얻은 다음에는 곧 먼저 하여야 할 일에 따라 크기를 재어야 한다. 만일 국왕을 위한 일이면 반드시 100주(肘)나 50주로 하여야 하고, 만일 대신이나 서민을 위한 일을 때에는 25주나 12주로 하며, 만일 무능한 사람을 위해서 할 때에는 1주로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크기를 정한 다음에 곧 구마이(瞿摩夷)47)를 다 칠하고 다시 가지한 오정수(五淨水)를 뿌려 깨끗이 하고 또 바르는 향을 발라 장식한다. 이 일을 마친 후에 아사리가 깨끗이 목욕하고 향을 몸에 바른 다음에 깨끗한 새옷을 입고 보관(寶冠)을 쓰고 화만으로 장식하여 깨끗이 치장한다. 그리고 곧 만다라지에 들어가 먼저 호신(護身)한다. 반드시 길이가 8 지(指)ㆍ8릉(稜) 되는 가시가 있는 젖은 땔감을 사용하고 다시 독약ㆍ겨자ㆍ피ㆍ사람의 뼛가루 등을 쓰고 매운 기름과 잘 섞어 젖은 땔감과 함께 태워 호마를 하고 오른손으로 탄지하며 다음의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바아라 삼마 자자 훔 맘호48)
薩哩嚩二合尾咄嚩日囉二合三摩惹𠺁仁作切𤚥呼

만일 땅에 결계를 하였다면 메우고 장식해서는 안 된다. 곧 먼저 그 땅에 소 한 마리의 가죽만한 크기를 헤아려 구마이를 칠하여 장식하고 그 위에 법에 따라 다섯 개의 알가병을 안치하며 호마법을 행하여야 한다. 반드시 젖은 나무와 길이가 12지 되는 누런 소나무를 사용하고, 검은 기름ㆍ참깨ㆍ대맥(大麥)ㆍ소맥(小麥)ㆍ멥쌀ㆍ밥ㆍ소(酥) 등으로 먼저 호마를 하되, 지천(地天)에게 ‘내가 지금 국왕ㆍ대신ㆍ제자ㆍ권속을 위하여 이 땅에 만다라를 건립하고자 한다. 그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서이니, 그대들 지천들은 자비심을 내어 나에게 좋은 일을 지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호마를 하고나면 곧 모든 일을 성취할 수 있다. 그 아사리가 그런 다음에 도와주는 이와 함께 만다라를 이을 만한 양의 실을 잡는다. 다섯 가지 색의 실을 하룻밤 동안 향수에 담근 다음에 금 그릇에 넣고 두 손으로 받들어 5불정(佛頂)진언을 송하여 가지하여 다섯 부처님께 봉헌한다. 그리고 다시 다섯 부처님께 다시 이 실을 구하여 ‘원하오니 부처님께서 자비를 베푸시어 저희에게 함께 내려주소서’라고 한다. 곧 다섯 가지 색의 실을 모두 합하여 하나로 만든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게송[伽陀]을 읊는다.

모든 법 분별하였으니
이제 서로 바르게 거두리.
진실한 이치는 둘이 없으니
이 실 역시 이와 같다네.

또다시 만다라의 크기에 따라 그만큼 되는 실의 길이를 모두 합하여 만든 다음 곧 진언을 송하여 가지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아라 소다라 아 가리사 야만나리 훔49)
嚩日囉二合素怛囉二合哥哩沙二合野曼拏哩引一

아사리가 이와 같이 실에 가지하고서 곧 도와주는 이와 함께 만다라의 서남쪽 모서리에 서서 다음과 같은 진언을 송한다.

옴 바아라 소다라 마가리사 야마디가라 마훔50)
嚩日囉二合素怛囉二合一麽哥哩沙二合野末底訖囉二合摩吽引二

진언을 송하고 나서 아사리는 실의 한쪽 끝을 잡고 동쪽을 향하여 가서 동남쪽 모서리에 이르러 서고, 도와주는 이는 실의 한쪽 끝을 잡고 북쪽을 향하여 가서 서북쪽 모서리에 이르러 선다. 이렇게 선을 이은 다음 아사리가 북쪽을 향하여 가다가 동북쪽 모서리에 이르고, 도와주는 이는 남쪽을 향하여 가다가 서로 남쪽 모서리에 이른다. 이와 같이 둥글게 돌면서 실을 이어 사방에 실을 잇고 두 겹 세 겹째도 역시 이 차례와 같게 한다. 이와 같이 법에 따라 실을 이으면 이를 구족만다라(具足曼拏羅)라고 한다. 만일 법에 따르지 않으면 아사리와 도와주는 이 모두의 과실이 된다. 그 만다라는 사방으로 되어 있으며 네 개의 문이 있고 각각의 문에는 누각이 있다. 문루(門樓) 위에는 해ㆍ달ㆍ보배 영락으로 마음대로 장식하고 중심에는 8폭륜(輻輪)을 그리고 윤 밖에는 금강위(金剛圍)를 그린다. 그런 다음 먼저 윤의 중심에 석가모니불을 그리고, 동쪽 바퀴 살 자리에 금강대불정여래를 그리며, 남쪽 바퀴살 자리에 보생불정(寶生佛頂)을 그리고, 서쪽 바퀴살 자리에 연화불정(蓮花佛頂)을 그리며, 북쪽 바퀴살 자리에 갈마불정(羯磨佛頂)을 그린다. 이와 같이 네 분의 여래를 그리고 나서 다음에는 동남쪽 모서리에 광명불정(光明佛頂)을 그리고 서남쪽 모서리에 보당불정(寶幢佛頂)을 그리며, 서북쪽 모서리에 금강리불정(金剛利佛頂)을 그리고, 동북쪽 모서리에 백산개불정(白繖蓋佛頂)을 그린다. 이와 같이 윤의 여덟 개의 바퀴살에 여덟 분의 여래를 그리고 난 다음에 윤의 네 모서리에 네 명의 친근(親近)보살을 그리고, 두 겹째의 네 모서리에 희(戱)ㆍ만(鬘)ㆍ가(歌)ㆍ무(舞)의 네 공양보살을 그리며, 세 겹째의 네 모서리에 향(香)ㆍ화(花)ㆍ등(燈)ㆍ도(塗)의 네 공양보살을 그린다. 다음에 네 개의 문에 네 명의 문을 지키는 보살을 그리고, 사방에 열여섯 명의 대보살을 그리며 네 개의 문 밖 양 옆에 각각 코끼리와 사자를 그린다. 문의 두 변에는 여덟 가지 길상(吉祥)을 그리고 산위(山圍) 안에 여덟 명의 호세(護世)51)를 그린다. 동쪽에는 제석천(帝釋天)을 그리되 오른손에 금강저를 잡고 왼손은 허리 옆에 놓고 여섯 상아를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두 변에는 천녀를 그리되, 한 명은 설시(設尸)라 이름하고 또 한 명은 오리바시(烏哩嚩尸)라 이름한다. 동남쪽에는 화천(火天)을 그리되, 적색의 몸에 광명이 치성하고 오른손에 군지를 잡고 왼손에는 보배 지팡이를 잡으며 적색의 암양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남쪽에는 야마천(夜摩天)을 그리되 몸은 녹색을 띠고 있고 왼손은 권을 쥐어 허리 옆에 놓으며 오른손에 보배 지팡이를 잡고 물소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두 변에는 중천상(中天像)을 그린다. 서남쪽에는 나찰주(羅刹主)를 그리되, 검붉은 색의 몸에 광명이 마치 불꽃이 모인 것과 같고 오른손에 검을 잡고 왼손을 허리 옆에 놓으며 귀신을 타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서쪽에는 수천(水天)을 그리는데 황백색의 몸에 머리 위에 용의 머리가 나타나고 오른손으로 그물을 잡고 왼손에 묘한 보배를 잡으며 붉은 마갈어(摩竭魚)52)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두 변에 용녀와 권속들을 그린다. 서북쪽 모서리에 풍천(風天)을 그리되, 허공색의 몸을 하였으며 손에 번기[幡]를 잡고 사슴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북쪽에는 야차주(夜叉主)를 그리는데 금색의 몸에 오른손으로 보배 나뭇가지를 잡고 왼손에 보배자루를 쥐고 백마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리며 두 변에 야차녀를 그린다. 동북쪽 모서리에 부다주(部多主)를 그리되, 회색의 몸에 오른손으로 삼차(三叉)를 잡고 왼손의 금강자군지(金剛子軍持)를 잡으며 누런 소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만다라 앞의 아랫면에는 지천(地天)을 그리되, 금색의 몸에 두 손은 가슴 앞에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오른쪽에는 아수라(阿修羅)를 그리되 적색의 몸에 갑옷과 투구를 걸치고 손에 예리한 검을 잡고 고리가룡(酤里哥龍)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왼쪽에는 대용왕을 그리는데 백색의 몸으로 본래의 자리에 앉아 손에 온갖 보배가 가득 들어 있는 보배그릇을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리고 두 명의 용녀를 그리되, 황색의 몸에 단엄한 모습을 갖추고 손에 『반야경』ㆍ염주ㆍ군지를 쥐고 소원대로 베풀어 주는 모습을 하고 있는 형상으로 그린다. 만다라 앞의 윗면 왼쪽에는 해를 그리고 오른쪽에는 둥근 달을 그린다. 철위산 밖의 동남쪽 모서리에는 아비지옥 등 여덟 대지옥을 그리고, 서남쪽 모서리에는 아귀의 세계를 그리며, 서북쪽 모서리에는 온갖 축생의 세계를 그리고, 동북쪽 모서리에는 사람의 세계를 그린다.
이와 같이 그린 다음에 아사리가 만다라 안에 공구마향(恭俱摩香)과 온갖 향ㆍ꽃ㆍ음식 등을 봉헌하고 또 알가병에 가득 찬 향수에 금강야차(金剛夜叉)진언을 송하여 가지하고, 만다라에 필요한 온갖 물건들을 각각 본진언으로 가지한 다음 모든 현성에게 봉헌하여 모두 환희하게 한다. 그리고 다시 금강야차진언으로 만다라를 가지하고 곧 훔(吽)자를 송하며 네 곳에 결계한 금강궐을 모두 뽑아내고 곧 오색가루를 가득 채워 평평하게 만든다. 그런 다음에 아사리가 동북쪽 모서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오색가루를 뿌려 모든 부처님과 현성들의 형상을 만든다. 가루를 뿌릴 때에는 백색ㆍ청색ㆍ적색ㆍ녹색의 순서대로 한다. 중심에는 황색으로 8폭륜을 만들고, 동쪽은 순백색으로 하며, 남쪽은 짙은 청색으로 하고, 서쪽은 적색으로 하며, 북쪽은 녹색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성들의 형상을 다 그리고 나서 아사리는 다시 이전과 같이 허공에 만다라를 관상한다. 먼저 두 손의 금강지(金剛指)로 견고하게 우러르는 모습을 만들고 진언이 허공만다라에서 일어난다고 관상하며, 다시 이전처럼 합해져서 필경에 하나의 만다라를 이룬다고 관상한다. 그리고 곧 다시 만다라의 남문 밖에 따로 시방의 너비가 1주(肘)쯤 되는 하나의 작은 대(臺)를 세우고 땅에 떨어지지 않은 구마이를 바른 뒤에 5정수를 뿌려 깨끗이 한다. 그리고 다시 백단향으로 대의 중심에 둥근 달 같은 만다라를 칠하고, 그 위에 향ㆍ꽃ㆍ음식으로 온갖 공양을 [행하며, 온갖 공양을 상징하는 보살들이] 출생(出生)한다고 관상한다.
그리고 다시 푸른 길상초를 덮고 그 위에 알가병을 안치한다. 알가병 속에는 다섯 가지 보배ㆍ다섯 가지 곡식ㆍ다섯 가지 약ㆍ온갖 종류의 꽃ㆍ과일ㆍ나뭇가지ㆍ잎 등이 들어 있다. 병의 꼭대기에 푸른 옷 하나를 묶어 본 진언으로 가지하고 이 물로 큰 이익을 얻게 해 달라고 원한다. 또 본 진언을 송하여 흰 겨자의 흰 꽃 등에 가지하고 진언을 입으로 송하면서 흰 겨자와 흰 꽃으로 사람을 치거나 사람의 이름이나 옷 등을 치고 다시 알가수를 뿌려 깨끗이 한다. 이와 같이 행하면 식재(息災)나 증익(增益) 등의 일에서 모두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을 얻는다. 더구나 죽은 사람의 뼈나 이름을 치면 죽은 사람이 모든 악취를 여의고 천계에 왕생하게 된다.
그 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바 바나하나 바아라 훔 바타53)
薩哩嚩二合波捺賀那嚩日囉二合發吒半音二

옴 살-바 바 바미슈다나 바아라 훔 바타54)
薩哩嚩二合波尾輸達那嚩日囉二合發吒半音二

옴 살-바 갈-마 바라나 니 바새미 호로훔 바타55)
薩哩嚩二合羯哩摩二合引嚩囉拏跋濕彌二合引酤嚕吽發吒半音二
옴 도룡 미나 사야 바라나 니 훔 바타56)
㪍龍二合引尾那舍野嚩囉拏發吒半音二

옴 도룡 미슈다야아바라나 니 훔 바타57)
突龍二合尾輸達野阿嚩囉拏發吒半音二

옴 자바 라자바 라 다가다가 하나하나 아 바라나 니 훔 바타58)
入嚩二合羅入嚩二合達哥達哥賀那賀那嚩囉拏發吒半音五

옴 소룡 사라사라 바라 사라바라 사라 아 바라나 니 훔 바타59)
窣龍二合娑囉娑囉鉢囉二合娑囉鉢囉二合娑囉嚩囉拏發吒半音四

옴 훔 하라하나 살-바 바라나 니 훔 바타60)
賀囉賀囉薩哩嚩二合嚩囉拏引二發吒半音三

옴 훔 바타 살-바 아바라나 니 사포 타야훔 바타61)
發吒半音薩哩嚩二合阿嚩囉拏塞怖二合引吒野吽發吒半音二

옴 바리 다바리 다 살-바 아바라나 니 훔 바타62)
勃哩二合多勃哩二合薩哩嚩二合阿嚩囉拏發吒半音三

옴 다라 타 다라 타 살-바 아바라나 니 훔 다라 타63)
怛囉二合半音怛囉二合半音一薩哩嚩二合阿嚩囉拏怛囉二合半音三


옴 친나친나 미나라 바야미나라 바야 살-바 아바라나 니 훔
親那親那尾捺囉二合引鉢野尾捺囉二合引鉢野薩哩嚩二合阿嚩囉拏
바타64)
發吒半音四

옴 하나하나 살-바 나라가가디혜 도훔 바타65)
那賀那賀薩哩嚩二合那囉哥誐底呬東吽發吒半音二

옴 바자바자 살-바 바례 다가디 혜 도훔 바타66)
鉢左鉢左薩哩嚩二合必㘑二合引多誐底東吽發吒半音三

옴 마타마타 살-바 뎨리야 가디 혜 도훔 바타67)
摩他摩他薩哩嚩二合引帝哩野二合誐底東吽發吒半音三

그리고 다시 죄장을 씻어 없애는 진언[洗除罪障眞言]을 송한다. 이 진언을 송할 때 이전에 알가병에 든 물을 뿌리면 죄장이 씻겨 없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나모바가바뎨 살-바 나리가 디 바리슈다나라 자야 다타
那謨婆誐嚩帝引一薩哩嚩二合訥哩誐二合波哩輸達那囉惹野怛他
가다 야 아라아 뎨 삼먁-삼 몯다 야 다냐 타 슈다니 슈다니
誐多阿囉曷二合三藐訖三二合沒馱怛▼(寧+也)切身引六輸達儞輸達儞
살-바 바 바미슈다니 슈디 미슈디 살-바 갈-마 아바
引七薩哩嚩二合波尾輸達儞引八秫提尾秫提引九薩哩嚩二合羯哩摩二合阿嚩
라나 미슈디 사바 하68)
囉拏尾秫提娑嚩二合引十一

이 진언을 송하고 나서 만일 죽은 사람을 위할 때에는 반드시 다시 전생정토(轉生淨土)나 정도(淨道) 등의 진언을 송해야 하며, 만일 증익ㆍ길상ㆍ관정 등의 일을 하려고 할 때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전생정토진언을 송한다.

옴 라다니 라다니 라다나 삼바미 라다나 기라니 라다나
囉怛儞二合囉怛儞二合引一囉怛那二合三婆微引二囉怛那二合枳囉尼引三囉怛那二合
마 라미슈디 슈다야살-바 바 나 훔 다라 타69) samyaksaṃbuddhaya tad yathā oṃ śodhaneśodhane sarvabā- vaṃbiśodhane śuddhe biśuddhe sarvakarmāḥ avaraṇi biśodh- ane svāhā.
69) oṃ ratne ratne mahāratne ratnasaṃbhave ratnakiratne ratnamā- lābiśuddhe śodhaya sarvabābaṃ hūṃ traṃ phaṭ.

羅尾秫提引四輸達野薩哩嚩二合引五怛囉二合半音六

정도진언을 송한다.

옴 바나미 바나미 바나모 나바 미 소카 바다양 가찬도
鉢訥彌二合鉢訥彌二合引一鉢訥謨二合訥婆二合引二酥珂嚩怛羊二合引誐璨睹
사바 하70)
娑嚩二合引引三

다음에 앞과 같이 단을 세우고 지송하여 식재법이나 증익법이나 길상 등의 일을 하려고 하면 반드시 모름지기 하루 세 때에 향ㆍ꽃ㆍ온갖 공양구를 만다라의 모든 부처님과 현성에게 공양하여야 하며, 길상한 찬탄으로써 모든 부처님과 현성들을 받들어 찬탄하고 온 마음을 기울여 게으르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사흘이나 닷새나 이레 동안 한 다음에 비로소 호마를 하여 온갖 소원을 구할 수 있다. 만일 제자를 위하여 관정을 수여하려 할 때에는 곧 알가병을 안치하고 땅에 흰 연꽃을 그리며 꽃 안에 8폭륜을 그려야 한다. 그 윤의 중심에 다시 흰색 알가병을 안치한다. 병 안에 다섯 가지 보배와 다섯 가지 약 등의 온갖 물건들을 담아 뿌리는 정수(淨水)를 만든 다음에 다시 본 진언으로 가지하여야 한다. 그런 뒤에 법에 따라 제자를 만다라 안으로 인도하여 관정을 수여하고 다시 오묘한 법 등을 베풀어 주어야 한다. 나아가 법에 따라 윤회 가운데에 떠도는 모든 악취 중생들이 모두 목욕하여서 죄업을 다 없애고 공덕신(功德身)을 이루어 도리천(忉利天)이나 도솔천(兜率天)에 태어난다고 관상하여 상응하여야 한다.
다음에 알가병에 대해 설명하겠다. 반드시 흰색 뚜껑으로 목이 길고 배 둘레가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향수를 가득 채우고 온갖 꽃과 과일 나뭇가지를 꽂고 다섯 가지 보배ㆍ다섯 가지 약ㆍ다섯 가지 곡식 등을 담아서 푸른 길상초를 깔고 병을 그 위에 안치한 다음에 병의 목에 푸른 옷을 묶어야 한다. 이것이 알가병법이다. 만일 호마를 하려면 반드시 만다라의 동쪽 문에 이와 같이 병을 안치하고 그 위에 백산개와 화만 등을 걸고 다시 네 면에 다섯 개의 깃발을 설치한 다음 그 앞에 호마로를 만들어야 한다. 호마로의 너비는 2주(肘)가 되게 하고 밑으로 1주에 이르게 하되, 높고 낮고 깊고 얕은 것과 안색(顔色)과 표치는 모두 근본대교법칙에 의거한다. 호마를 할 때에는 필리양우향(必利焬虞香)ㆍ용화(龍花)ㆍ길상과(吉祥果)ㆍ온갖 과일ㆍ검은 기름ㆍ참깨ㆍ대맥ㆍ소맥ㆍ멥쌀ㆍ밥ㆍ소(酥)를 사용하고 우유와 젖은 땔감 등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물건들을 다 갖춘 다음에 아사리가 손으로 금강령과 금강저를 잡아 모든 물건 위에 놓고 누르며 각기 본 진언으로 108번 가지한다. 형상을 안치하고 경찬(慶讚)하는 것 역시 이 의식과 같게 한다. 호마에 사용되는 모든 물건은 다 호마로의 오른쪽에 놓고 오직 출생에 쓰는 발우만 호마로의 왼쪽에 놓은 다음에 아사리가 법에 따라 세 가지 상응관(相應觀)을 한 연후에 청정한 물을 호마로에 뿌려 깨끗이 하고 곧 호마로 안에 불을 피운다. 불이 활활 타면 또 알가수를 불꽃에 약간 뿌린 다음에 아사리가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여 화천(火天)을 부른다고 관상한다. 그리하여 화천이 불 속에 나타나면 소ㆍ꿀ㆍ낙을 화천에게 바치되, 세 번 불 속에 던지며 진언을 송하면서 화천에게 바친다. 그러고 나서 금강륜인(金剛輪印)을 결하되, 두 손으로 금강권을 하였다가 다시 고쳐 금강박을 하여 인을 이루고 아울러 다음과 같은 금강륜진언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 바아라 자가리 싣질디훔 바샤 바아라
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作訖梨二合引悉迭底吽引二嚩賖嚩日囉
살마 이 나 바아라 사다미모 사나 자 훔 밤호71)
薩摩二合引𡁠嚩日囉二合蹉吒尾謨叉奈引四𠺁轉聲呼鍐呼引五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할 때에 마음속으로 만다라가 화로 안에 나타난다고 관상한다. 모든 부처님ㆍ보살ㆍ모든 현성들이 다 바로 눈앞에 나타나면 아사리는 곧 경건한 마음을 가지고 온갖 호마물(護摩物)로 백여덟 개 솔로바(窣嚕嚩)를 만든다. 만일 오로지 소(酥)만 사용할 때에는 단지 일곱 개의 솔로바만 던진다. 이와 같이 모든 부처님과 현성에게 공양한 다음에 희ㆍ만ㆍ가ㆍ무 등의 여덟 공양보살에게 공양하고 나아가서 스물다섯 가지 공양을 한다.
아사리는 이와 같이 만다라를 관상하고 온갖 법으로 호마한다. 혹은 국왕ㆍ대신ㆍ선비ㆍ서민ㆍ제자 등을 위하여 구하는 일에 따라 중생에게 이익을 주어야 하며, 나아가서 따라 기뻐하고 보고 들으면 모두 한량없는 공덕을 얻을 것이다.
034_0462_b_01L佛說大乘觀想曼拏羅淨諸惡趣經卷下 高西天譯經三藏朝散大夫試光祿卿明教大師臣 法賢 奉 詔譯釋迦佛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囉拏尾輸馱你母吽癹咤半音二金剛大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寶生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怛囕二合二合半音二蓮花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紇陵二合引二羯磨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惡惡光明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寶幢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引二金剛利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提癹咤半音二白繖蓋佛頂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訖梨二合癹咤半音二戲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引訥婆二合儺那波囉弭多布𡁠吽引三鬘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日嚕二合引訥婆二合尸羅波弭多布𡁠曳二合引怛囕二合引三歌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日嚕二合引訥婆二合羼底波囉弭多布𡁠也二合引紇陵二合引三舞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摩賀嚩日嚕二合訥婆二合哩遮二合波囉弭多布𡁠也二合引香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尾輸馱你引二達摩達摩度波野切身那波囉弭多布𡁠也二合引癹咤半音四花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訥哩誐二合底輸馱你訖里二合引鉢訖里二合引設砌那你布瑟波二合尾魯吉你引四鉢囉二合倪也二合引囉弭多布𡁠也二合引五二合癹咤半音六燈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野尾輸馱你倪也二合引魯哥哥哩鉢囉二合尼地波弭多布𡁠也二合引四紇陵二合引癹咤半音五塗香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巘馱那設你嚩日二合巘度播野波囉弭多布𡁠曳二合引三惡吽癹咤半音四金剛鉤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那囉哥誐爹哥哩沙二合吽仁作切癹咤半音三金剛索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那囉哥嗢馱囉尼癹咤半音四金剛鎖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滿馱那謨左你吽癹咤半音金剛鈴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薩哩嚩二合引野誐底誐賀那尾輸達你吽癹咤半音三十六大菩薩眞言慈氏菩薩眞言曰昧賀囉拏野娑嚩二合引引一不空見菩薩眞言曰阿謨引一阿謨伽那哩二合引引二除一切罪障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引野惹賀哩嚩二合引野輸達你引二破一切憂闇菩薩眞言曰薩哩嚩二合輸哥怛謨你哩伽二合多那摩底吽引一香象菩薩眞言曰巘馱賀悉底二合你吽引一勇猛菩薩眞言曰戍囕誐彌引一虛空藏菩薩眞言曰誐誐你引一誐誐那路左你引二智幢菩薩眞言曰倪也二合引那計倪也二合引嚩底吽引二甘露光菩薩眞言曰阿蜜哩二合多鉢囉二合引一阿蜜哩二合多嚩底吽引二月光菩薩眞言曰贊捺囉二合悉梯二合引一贊捺二合藐嚩路吉帝娑嚩二合引引二賢護菩薩眞言曰跋捺囉二合嚩底跋捺囉二合里吽引二熾盛光菩薩眞言曰入嚩二合引里你引一摩賀入嚩二合里你引二金剛藏菩薩眞言曰嚩日囉二合誐哩毘二合引引一無盡意菩薩眞言曰惡叉曳癹咤半音一惡叉野羯哩摩二合引嚩囉拏尾輸達你娑嚩二合引引三辯積菩薩眞言曰鉢囉二合底婆引一摩賀鉢囉二合底婆引二鉢囉二合底婆那酤致娑嚩二合引引三普賢菩薩眞言曰三滿多跋捺哩二合引引一阿闍梨每欲持誦如是諸佛及大菩薩微妙眞言時起三種相應三摩地觀想賢聖得現前已方作開門印印以二手作金剛拳舒二頭指二小指相鉤如鎖卽誦開門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訥嚩二合引嚕訥伽二合引咤野吽引二誦此眞言已卽掣手如開鎖勢然後作說法金剛印以二手作金剛縛改左手作彈指作此印時心想釋迦佛口誦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作訖哩二合引二如是作已隨意持誦復次阿闍梨如前所修觀想曼拏羅諸佛菩薩本身相貌眞言印契及變化等種種之法皆須日別三時作其觀想得相應已方可運心作種種法如此經一月或三月乃至六月修其先行令得精熟仍求諸佛賢聖威力加被示現境像得吉祥已然後起首擇地作曼拏羅及粉畫聖賢等復次阿闍梨欲建曼拏羅須擇勝地或寺舍或聚落園林等處或得曾結界地不須修持如非結界地當掘深至頸或至臍或至膝阿闍梨正視有灰炭糠骨乃至砂石之類當悉去別用香淨好土塡滿平正阿闍梨誦佛眼菩薩金剛夜叉明王及甘露軍茶梨眞言加持水灑淨其地阿闍梨卽於彼處入金剛發遣諸魔三摩又想心中從眞言出生大忿怒明王二目如日月手持羯磨杵光焰熾作金剛步左右顧視於一剎那中能降一切魔阿闍梨卽左手持鈴手持金剛杵作金剛步行曼拏羅地乃至金剛圍又復結根本印誦遣魔眞言及稱吽字如右舞勢及如明王自在相旋繞彼地誦眞言發遣一切眞言曰嚩日囉二合計哩吉哩薩哩二合尾伽曩二合滿馱吽癹咤半音二次誦金剛橛眞言以橛釘地眞言曰竭竭怛野伽怛野薩哩嚩二合訥瑟鵮二合引癹咤半音三羅野計羅野薩哩嚩二合謗癹咤半音五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達嚕倪也二合引鉢野底娑嚩二合引引七阿闍梨作曼拏羅選得勝地已卽先以所爲事量其大小若爲國王當作一百肘或五十肘若爲大臣乃至庶可作二十五肘或十二肘若無力者可作一肘如是量度已卽用瞿摩夷塗畢復用加持五淨水灑淨又用塗香塗飾畢已然後阿闍梨沐浴潔以香塗身著新鮮衣頂戴寶冠及以花鬘裝飾嚴潔已卽於曼拏羅地先作護摩當用濕柴有刺長八指八稜者復用毒藥芥子血人骨末等苦辣油調和與濕柴同燒作護摩右手作彈指誦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嚩日囉二合惹仁作切𤚥呼若得已結界地不須塡飾卽先於彼量度廣闊可一牛皮用瞿摩夷塗於上依法安五閼伽甁作護摩法當用濕柴及黃松木長十二指黑油麻大麥小麥粇米飯酥等先作護摩而告地天言我今爲國王或大臣乃至弟子眷屬等於此地作曼拏羅利益故汝等地天發慈悲心當爲於而作善事如是護摩已能成一切事其阿闍梨然後與其助伴執線絣量曼拏羅用五色以香水經宿浸漬然後用金器盛二手捧持誦五佛頂眞言加持已奉獻五佛復從五佛卻求此線佛慈悲共賜與我卽以五色都合爲誦伽陁曰分別一切法 今正互相攝 眞實理無二此線亦如是又復此線短長之數隨曼拏羅量都合成已卽誦眞言加持眞言曰嚩日囉二合素怛囉二合哩沙二合野曼拏哩引一阿闍梨如是加持線已卽與助伴立曼拏羅西南隅誦眞言曰嚩日囉二合素怛囉二合一麽哥哩沙二合野末底訖囉二合摩吽引二誦眞言已阿闍梨持線一頭面東行至東南隅立助伴持線一頭向北行至西北隅立絣已次阿闍梨向北行至東北隅助伴向南行至西南隅線如是旋繞四方絣線第二第三重亦同此次第絣線若依法者名爲具足曼拏羅若不依法阿闍梨與助伴俱有過失其曼拏羅四方四門門各有樓於門樓上畫日月及寶瓔珞隨意嚴飾於中心畫八輻輪輪外畫金剛圍先於輪心畫釋迦佛東輻位畫金剛大佛頂如來南輻位畫寶生佛頂西輻位畫蓮花佛頂北輻位畫羯磨佛頂如是畫四如來已次從東南隅畫光明佛頂西南隅畫寶幢佛西北隅畫金剛利佛頂東北隅畫白繖蓋佛頂如是於輪八輻畫八如來已次於輪四隅畫四親近菩薩第二重四隅畫戲鬘歌舞四菩薩第三重四隅畫香花燈塗四菩薩四門畫四護門菩薩次於四方畫十六大菩薩於四門外各於頰畫象及師子於門二邊畫八吉祥於山圍內畫八護世東方畫帝釋天右手持金剛杵左手安腰側乘六牙白象兩邊畫天女一名設尸二名烏哩嚩尸南方畫火天身赤色光明熾盛右手執軍持左手執寶杖乘赤色羖羊方畫夜摩天身作綠色左手作拳安腰側右手執寶杖乘於水牛兩邊畫中天像西南方畫羅剎主身赤黑色光如火聚右手執劍左手安腰側鬼爲座西方畫水天身黃白色頭上現龍頭右手持羂索左手持妙寶赤色摩竭魚兩邊畫龍女及眷屬等西北隅畫風天身如虛空色手持幡乘於鹿北方畫夜叉主身如金色右手執寶樹枝左手持寶囊乘於白馬邊畫夜叉女東北隅畫部多主身如灰色右手持三叉左手持金剛子軍乘於黃牛於曼拏羅前下面畫地身如金色二手於胸前持甘露甁坐蓮花座於右邊畫阿修羅身赤黑色被挂甲冑手執利劍乘酤里哥龍於左邊畫大龍王身作白色坐於本手持寶器衆寶盈滿及畫二龍女身作黃色具端嚴相手持般若經數珠軍持及施願相於曼拏羅前上面左畫日輪右畫圓月於山圍外東南畫阿鼻等八地獄西南隅畫餓鬼西北隅畫種種畜趣東北隅畫人如是畫已阿闍梨於曼拏羅中恭俱摩香及種種香花飮食等又用滿閼伽甁香水誦金剛夜叉眞言持及曼拏羅所用種種物各以本眞言加持已奉獻諸賢聖皆悉令歡喜復用金剛夜叉眞言加持曼拏羅已卽誦吽字四徧取出結界金剛橛尋以五色粉塡滿修令平正然後阿闍梨從東北隅起首下五色粉作諸佛賢聖像當下粉時以白靑赤綠爲中心用黃色爲八輻輪東方純白南方大靑色西方赤色北方綠色如是粉賢聖像畢阿闍梨復同前觀想虛空曼拏羅先以二手金剛指作堅仰相及想眞言起虛空曼拏羅同前想合爲一成畢竟曼拏羅已復於曼拏羅南門外別建一小臺方廣闊可一肘量以不墮地瞿摩夷塗之後用五淨水灑淨復以白檀香於臺中心塗曼拏羅如圓月相於上獻香花飮食種種供養乃至出生等復鋪靑吉祥草上安閼伽甁甁內盛五寶五穀五藥及插種種花果樹枝葉等於甁項上繫一靑衣然以本眞言加持願以此水作大利益又誦本眞言加持白芥子及白花等口誦眞言白芥子及白花擊人或擊人名及衣等復以閼伽水灌灑如是所作息災增益等事皆獲功德無量無邊乃至擊亡人身骨及名當使亡人離諸惡趣生天界眞言曰薩哩嚩二合波捺賀那嚩日囉二合癹咤半音二薩哩嚩二合波尾輸達那嚩日囉二合癹咤半音二薩哩嚩二合羯哩摩二合引嚩囉拏跋濕彌二合引酤嚕吽癹咤半音二㪍龍二合引尾那舍野嚩囉癹咤半音二突龍二合尾輸達野阿嚩囉拏癹咤半音二入嚩二合羅入嚩二合達哥達哥賀那賀那嚩囉拏癹咤半音五窣龍二合娑囉娑囉鉢囉二合娑囉鉢囉二合娑囉嚩囉癹咤半音四賀囉賀囉薩哩嚩二合嚩囉拏引二癹咤半音三癹咤半音薩哩嚩二合嚩囉拏塞怖二合引咤野吽癹咤半音二㪍哩二合多㪍哩二合薩哩二合阿嚩囉拏半音三怛囉二合半音怛囉二合半音一薩哩嚩二合阿嚩囉拏二合半音三親那親那尾捺囉二合引鉢野尾捺囉二合引鉢野薩哩嚩二合嚩囉拏癹咤半音四那賀那賀薩哩嚩二合那囉哥誐底呬東吽癹咤半音二鉢左鉢左薩哩嚩二合必㘑二合引多誐底東吽癹咤半音三摩他摩他薩哩嚩二合引帝哩二合誐底東吽癹咤半音三復誦洗除罪障眞言誦眞言時以前閼伽甁水灌灑以成洗除罪障眞言那謨婆誐嚩帝引一薩哩嚩二合訥哩誐二合波哩輸達那囉惹野怛他誐多阿囉曷二合三藐訖三二合沒馱怛▼(寧+也)切身引六輸達你輸達你引七薩哩嚩二合波尾輸達你引八尾秫提引九薩哩嚩二合羯哩摩二合阿嚩囉拏尾秫提娑嚩二合引十一誦此眞言已若爲亡人者當復與誦轉生淨土及淨道等眞言若爲增益吉祥及灌頂事卽不用之轉生淨土眞言曰囉怛你二合囉怛你二合引一囉怛二合三婆微引二囉怛那二合枳囉尼引三囉怛那二合羅尾秫提引四達野薩哩嚩二合引五二合半音六淨道眞言曰鉢訥彌二合鉢訥彌二合引一鉢訥二合訥婆二合引二酥珂嚩怛二合引誐璨睹娑嚩二合引引三復次如上建壇持誦求息災增益吉祥等事當須一日三時以香花及種種供具供養曼拏羅諸佛賢聖及以吉祥讚歎奉讚諸佛賢聖專心不懈或三日或五日或八日已方作護摩求種種願若爲弟子授灌頂者卽當於安閼伽甁地畫白蓮花花中畫八輻輪於輪中心復安白色閼伽甁中盛五寶五藥等種種物作灑淨水復以本眞言加持已然後依法引弟子入曼拏羅與授灌頂復施妙法等乃至依法作相應觀想輪迴中一切惡趣衆生悉得沐浴滅盡罪業成功德身轉生忉利天或兜率天復次說閼伽甁當用白色覆脣長項大腹者滿貯香水插衆花果樹枝及盛五寶五藥五穀等鋪靑吉祥草安甁於上甁項繫一靑衣此爲甁法作護摩者當於曼拏羅東門如是安甁及上挂白繖蓋花鬘等復於四面設五首幡於前作護摩爐爐廣闊二肘下至一肘高低深淺顏色幖幟依根本大教法則護摩所用必利煬虞香龍花吉祥果及種種果黑油麻大麥小麥粇米飯酥蜜酪具乳濕柴如是諸物悉具足已阿闍梨手執金剛鈴杵按諸物上各以本眞言加持一百八徧安像慶讚亦同此儀是護摩所用諸物悉安護摩爐右出生鉢安於爐左阿闍梨依法作三相應觀然後以淨水灑爐作灑淨已卽於爐內燃火得火熾已又用閼伽水微灑火焰然後阿闍梨結印誦眞言請召火天想火天現於火內然以酥蜜酪及獻火天物三擲火中誦眞言獻於火天然後結金剛輪印以二手作金剛拳復改作金剛縛成印幷誦金剛輪眞言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嚩日囉二合作訖梨二合引悉迭底吽引二嚩賖嚩日囉二合薩摩𡁠嚩日二合蹉咤尾謨叉奈引四轉聲呼鍐呼引五結印誦眞言時心想曼拏羅現於爐諸佛菩薩一切賢聖皆悉現前闍梨卽虔志以種種護摩物作一百八窣嚕嚩若唯用酥只擲七窣嚕嚩如是供養諸佛賢聖及作戲鬘歌舞等八供養乃至作二十五種供養阿闍梨如是作觀想曼拏羅及護摩種種之法或爲國王大臣士庶弟子等當隨所求事利益衆生乃至隨喜見皆獲無量功德佛說大乘觀想曼拏羅淨諸惡趣經卷下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oṃ sarvabid sarvaāvaranabiśodhanimu hūṃ phaṭ.
  2. 2)oṃ sarvabid hūṃ hūṃ.
  3. 3)oṃ sarvabid traṃ traṭ.
  4. 4)oṃ sarvabid hrīḥ.
  5. 5)oṃ sarvabid a a.
  6. 6)oṃ sarvabid oṃ oṃ.
  7. 7)oṃ sarvabid hūṃ hūṃ.
  8. 8)oṃ sarvabidyā phaṭ.
  9. 9)oṃ sarvabid kriṭa phaṭ.
  10. 10)oṃ sarvabid mahābajrod bhava dānapāramitāpūja hūṃ.
  11. 11)oṃ sarvabid mahābajrod bhava śīlapāramitāpūjaya traṃ.
  12. 12)oṃ sarvabid mahābajrod bhava kṣāntipāramitāpūjaya hrīḥ.
  13. 13)oṃ sarvabid mahābajrod bhava bīryapāramitāpūjaya aḥ.
  14. 14)oṃ sarvabid sarvaabāyabiśodhani dhama dhama dhupa dhyānapā- ramitāpūjaya hūṃ phaṭ.
  15. 15)oṃ sarvabid sarvadurgatiśodhani kleśacchedani puṣpabilokini pr- ajñāpāramitāpūjaya traṃ hūṃ phaṭ.
  16. 16)oṃ sarvabid sarvaabāyabiśodhani jñanalokakare praṇidhapāram- itāpūjaya hrīḥ hūṃ phaṭ.
  17. 17)oṃ sarvabid sarvaabāyagandhabināśani bajra gandobayapāram- itapūjaya aḥ hūṃ phaṭ.
  18. 18)oṃ sarvabid narakagadaya ākarṣani hūṃ ja phaṭ.
  19. 19)oṃ sarvabid sarvanaraka uddhāraṇi hūṃ hūṃ phaṭ.
  20. 20)oṃ sarvabid sarvaabāyabandha namo kṣani hūṃ baṃ phaṭ.
  21. 21)oṃ sarvabid sarvaabāyagati gahanabiśodhani hūṃ ho phaṭ.
  22. 22)oṃ maitre haraṇāya svāhā.
  23. 23)oṃ amoghe amogha darśani hūṃ.
  24. 24)oṃ sarva abāyajahaṃ sarvaabāyaśodhani hūṃ.
  25. 25)oṃ sarvaśokatamo nirdhatanamati hūṃ.
  26. 26)oṃ gandhahastini hūṃ.
  27. 27)oṃ śuraṅgame hūṃ.
  28. 28)oṃ gagane gagana locane hūṃ.
  29. 29)oṃ jñanaketu jñanabati hūṃ.
  30. 30)oṃ amritaprabhe amritabati hūṃ.
  31. 31)oṃ candra siddhi candra avalokete svāhā.
  32. 32)oṃ bhadrabati bhadrapāle hūṃ.
  33. 33)oṃ jvalini mahājvalini hūṃ.
  34. 34)oṃ bajra garbhe hūṃ.
  35. 35)oṃ akṣaya phaṭ akṣaya karma āvaraṇa biśodhane svāhā.
  36. 36)oṃ pratibhāni mahāpratibhāni pratibhānakoṭi svāhā.
  37. 37)oṃ samantabhadra svāhā.
  38. 38)oṃ sarvabid bajrodbhava udgaṭaya hūṃ.
  39. 39)oṃ sarvabid bajra cakra hūṃ.
  40. 40)초야(初夜), 중야(中夜), 후야(後夜)를 말한다.
  41. 41)karmavajra. 갈마저(羯磨杵)ㆍ윤갈마(輪羯磨) 또는 갈마바일라(羯磨嚩日羅)라고도 한다. 세가닥 금강저[三股杵] 두 개를 십자 모양으로 조합한 것이 보통이다. 여래의 작업을 표시한 윤보(輪寶)로서 수법(修法)에 사용한다. 갈마금강저는 반드시 금속을 가지고 만들므로 갈마금강(羯磨金剛)이라고도 한다. 끝에 세갈래는 신구의 삼업의 뜻이며, 십자의 결합에 의해서 중생과 부처 두 세계의 3업이 명합한다는 뜻이 있다.
  42. 42)왼쪽 발꿈치로 오른쪽 발가락 앞을 밟거나 오른쪽 발꿈치로 왼쪽 발가락 앞을 밟는 것이다. 이를 빠른 속도로 가는 것을 볘사카보(吠舍佉步)라 한다. 만일 만다라의 동방에서 금강보로 걸으려면 먼저 왼쪽 발꿈치로 오른쪽 발가락 앞을 밟고, 다음에 오른쪽 발꿈치로 왼쪽 발가락 앞을 밟으면서 차례대로 행보하여 왼쪽으로 도는데 이것을 지금강보(智金剛步)라 한다. 만다라의 남방에서 금강보로 걸으려면 먼저 오른발 앞에 왼발을 둔다. 그리고 오른쪽 발꿈치로 왼쪽 발가락 앞을 밟고 이와 같이 서로서로 돌아가면서 속히 옮기고 속히 들어 올려서 마치 거품이 일듯이 하는 것을 보금강보(寶金剛步)라고 한다. 만다라의 서쪽에서 금강보로 걸으려면 먼저 왼쪽 발꿈치로 오른쪽 발가락 앞을 밟고 왼쪽에서 땅을 그어서 발 앞에서 멈추고, 다시 오른쪽 발꿈치로 왼쪽 발가락을 밟고 오른쪽에서 땅을 그어서 발 앞에 멈추는데, 이것을 금강연화보(金剛蓮花步)라 한다. 다음에 먼저 감로군다리를 의지하여 서북방에 서서 볘사카보로 걸어서 동북방에 이르고 정진하는 마음으로 만다라를 돌며 바로 서남방에 도착하는데, 그 방향마다 갖가지로 찬탄하고 공양한다. 다시 본방위로 돌아오는데 이것을 갈마금강보라고 한다. 만일 모든 만다라가 있는 곳에서 처음으로 금강보를 시작하려는 자는 반드시 금강보(金剛步)진언을 염송해야 한다.
  43. 43)Cakravāḍaparvata, 또는 철위산(鐵圍山)ㆍ윤위산(輪圍山)ㆍ금강산(金剛山)이라고도 한다. 곧 수미산과 사대주의 바깥 바다를 둘러싼 철로 만들어진 산이다. 이 철의 성품은 견고하므로 금강이라 말한다. 이러한 금강산이 만다라지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고 관상한다.
  44. 44)oṃ sarvakili kili sarvabignāṃ bandha hūṃ phaṭ.
  45. 45)vajrakilaka. 수법할 때에 단 위의 네 구석에 세우는 기둥. 벌절라지라가(伐折囉枳羅迦)라 음역하며 사방궐(四方橛)ㆍ사궐(四橛)이라고도 한다. 그 모양은 독고저(獨股杵)와 같고 길이는 6촌(寸)ㆍ8촌 4푼(分)ㆍ9촌 등이 있다. 그 머리모양은 연꽃이나 보배 모양으로 만드나 그 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46. 46)oṃ gha gha ghataya ghataya sarvaduṣṭa phaṭ kilaya kilaya sar- vapābaṃ phaṭ bajra kilaya bajra dhara añjabayati svāhā.
  47. 47)gomaya. 소의 똥[牛糞]. 인도에서는 예부터 소를 신성시하였으며 제단을 깨끗이 하기 위해 소똥을 바른다. 밀교에도 수법을 행할 때 단장(壇場)에 소똥과 소 오줌을 섞어서 바르고 혹은 호마를 할 때에도 공양물의 하나로서 소똥을 화로에 던져 넣는다.
  48. 48)oṃ sarvabid bajra samājaḥ jaḥ hūṃ baṃ ho.
  49. 49)oṃ bajra sutraṃ akarṣayamaṇṭale hūṃ.
  50. 50)oṃ bajra sutraṃ akarṣayamati krama hūṃ.
  51. 51)호세팔방천(護世八方天)을 가리킨다. 즉 동⋅남⋅서⋅북⋅동북⋅동남⋅서남⋅서북방 등의 팔방에 각기 하나의 수호천신(守護天神)이 있다. 그들의 명칭과 위치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설명하고 있다.
  52. 52)makara. 인도신화에 나오는 물고기의 이름. 마가라(摩伽羅)⋅마가라(摩迦羅)라고 음역하고 경어(鯨魚)⋅거오어(巨鼇魚)라 번역한다. 물고기의 왕을 뜻한다. 큰 바다에 살며 머리와 앞다리는 영양(羚羊)을 닮았고, 몸체와 꼬리는 물고기의 형상을 한 괴어(怪魚)로 두 눈은 태양과 같고 코는 태산과 같으며, 붉은 골짜기와 같은 입을 벌려 물을 마시면 분류(奔流)를 일으켜 배도 삼킨다고 한다.
  53. 53)oṃ sarvapābaṃ dahana bajra hūṃ phaṭ.
  54. 54)oṃ sarvapābaṃ biśodhana bajra hūṃ phaṭ.
  55. 55)oṃ sarvakarmā baraṇāni bhasmi kuru hūṃ phaṭ.
  56. 56)oṃ truṃ binaśaya āvaraṇāni hūṃ phaṭ.
  57. 57)oṃ truṃ biśodhaya āvaraṇani hūṃ phaṭ.
  58. 58)oṃ jvala jvala dhaka dhaka hana hana āvaraṇāni hūṃ phaṭ.
  59. 59)oṃ sruṃ sara sara prasara prasara āvaraṇāni hūṃ phaṭ.
  60. 60)oṃ hūṃ hara hara sarvaāvaraṇāni hūṃ phaṭ.
  61. 61)oṃ hūṃ phaṭ sarvaāvaraṇāni sphoṭaya hūṃ phaṭ.
  62. 62)oṃ prita prita sarvaāvaraṇāni hūṃ phaṭ.
  63. 63)oṃ traṭa traṭa sarvaāvaraṇāni hūṃ draṭ.
  64. 64)oṃ cchindha cchindha bidrabaya bidrabaya sarva āvaraṇāni hūṃ phaṭ.
  65. 65)oṃ daha daha sarvanarakagati hetuṃ hūṃ phaṭ.
  66. 66)oṃ paca paca sarvapretagati hetuṃ hūṃ phaṭ.
  67. 67)oṃ matha matha sarvatiryagati hetuṃ hūṃ phaṭ.
  68. 68)oṃ namo bagavati sarvadurgati pariśodhanarājaya tathāgataya
  69. 70)oṃ padme padme padma saṃbhava mahāsukhābati gacchantu sv- āhā.
  70. 71)oṃ sarvabid bajra cakravarti siddhi hūṃ vame bajra samamena bajra ccheṭa bimokṣajaḥ hūṃ baṃ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