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6_1016_c_01L불정존승다라니염송의궤법
(佛頂尊勝陀羅尼念誦儀軌法)


불공(不空) 한역
김영덕 번역


염송다라니법(念誦陀羅尼法)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荼羅)에서 성인 대중[聖衆]들로부터 관정(灌頂)을 받아 본존(本尊)을 확인하고, 스승으로부터 삼매야를 받는다. 곧 산간의 한가한 곳이거나 깨끗한 방에서 본존인 존승다라니상(尊勝陀羅尼像)을 그려, 동쪽 벽에 안치하고서, 다라니를 지송(持誦)하는 자는 얼굴을 그곳으로 향한다.
그 염송하는 장소는 땅의 깊이가 1주(肘)1) 반 정도 되게 파고, 땅 속에 만약 기와 조각이나 뼈를 태운 부스러기나 터럭 및 모든 더러운 것들이 있으면, 이것을 반드시 제거하라. 만약 원래의 흙을 채우는 데에 모자라면, 메워 채우고 쌓아서 평평하고 바르게 하라. 만일 흙이 남으면, 그 땅은 길상(吉祥)한 것이다. 구마이(瞿摩夷)2)를 좋은 흙과 섞어 지면(地面)에 발라서 고르게 한다. 또 구마이를 가져다가 물과 섞고 무능승다라니(無能勝陀羅尼)를 스물한 번을 염송하여 구마이를 가지(加持)하라. 그 무능승진언(無能勝眞言)은 다음과 같다.

나모사만다몯 다 남 옴 호로호로 젼나리 마등이 사바 하3)
曩莫三曼多沒入馱引喃引一唵引二虎魯虎魯三戰拏理四摩蹬儗五丁以反娑嚩二合引賀引

가지하고 난 뒤에, 동북쪽의 모퉁이로부터 시작해서 오른쪽으로 돌면서 이것을 발라라. 그런 다음 촉규엽(蜀葵葉)이나 연자엽(蓮子葉)을 가져다가 닦고 문질러서 그곳을 매우 깨끗하게 하고서, 흰 가루를 가져다 물과 섞어 밧줄을 이용해 9위(位)로 나누어 정리하고, 백단향(白壇香)을 돌에 비벼서 9위에 바르라. 그 9위란 다음과 같다. 중앙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모시는 자리이고, 오른쪽은 관자재(觀自在)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며, 관자재보살 뒤에는 자씨(慈氏)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다. 비로자나불의 뒤에는 허공장(虛空藏)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며, 이 보살의 왼쪽은 보현(普賢)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다. 비로자나불의 왼쪽에는 금강수(金剛手)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며, 금강수보살의 자리 아래에는 문수사리(文殊師利)보살을 모시는 자리이며, 비로자나불의 앞에는 제개장(除蓋障)보살을 모시고, 제개장보살의 오른쪽에는 지장(地藏)보살을 모신다. 이것을 9위(位)라 이름한다.
다시 백단향으로 9위를 발라라. 이로써 현성(賢聖)을 청하여 맞이하는 자리로 삼는다. 모퉁이 윗부분은 휘장으로 덮고 네 면에는 깃발을 건다. 도량의 네 변에는 아침[晨朝]에 우유죽[乳糜]을 봉헌하고, 점심[齋時]에 낙반(酪飯)과 감이식(甛膩食)과 온갖 음료와 과자를 바쳐라. 네 문(門)에는 네 개의 향로(香爐)를 두고, 네 모서리에는 네 개의 정병(淨甁)에 향수를 채우고 꽃이나 푸른 잎이나 나뭇가지를 꽂아서 공양하라. 4각(角)에는 넉 잔의 소등(酥燈)을 켜고, 도량 앞 염송하는 자의 자리 앞에는 알가향수(閼伽香水)4)를 두 개의 작은 그릇에 담아 둔다. 공양물을 담는 그릇은, 금이나 은ㆍ숙동(熟銅:정제를 거친 구리)ㆍ자기(瓷器) 혹은 새로 구운 토기(新瓦器)나 소라로 만든 잔[螺盃]이나 새로운 깨끗한 잎[新淨葉]으로 하되, 다른 것으로 해서는 안 된다. 음식을 담고자 할 때에는, 우선 그릇을 깨끗이 씻고 이것을 엎어 향과 연기로 그 안쪽을 쐬며, 음식을 채우고 나서도 반드시 향과 연기로 이를 쐰다. 무능승다라니(無能勝陀羅尼)를 외워 수(水)에 가지(加持)하여 이것에 뿌리고, 곧 단 가운데에 오른쪽으로 빙 둘러 나열한다. 그 다음에 단 앞에 낮은 평상[卑脚床子]를 두어라. 땅을 반 촌(寸) 정도 파고 깨끗한 띠 풀을 그대로 깔거나 거적으로 만들어 놓고, 염송하는 사람은 그 위에 앉는다. 염송하는 사람은 깨끗하게 목욕해야 하는데, 목욕하는 법은 『소실지경(蘇悉地經)』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혹은 법으로써 목욕한다고 상상하며 실상을 관하면서 이것을 목욕으로 삼아라. 혹은 재가자이거나 출가자이거나 본 율의계(律儀戒)를 호지하고 범하지 않는다면 이것을 목욕으로 삼아라. 혹은 매일 세 때에 부처님 앞에 예불하고 발로참회(發露懺悔)하며 수희(隨喜)하고 권청(勸請)하며 발원(發願)하고 회향하는 것을 목욕하는 것으로 삼아라. 또는 청정한 진언으로 7편을 가지하고 이것을 목욕하는 것이라고 여겨라. 목욕하고 바르게 염송할 때에는 일체법의 본성이 청정하다고 관하며 나 또한 청정하다고 이와 같이 생각하면서 바로 조욕진언(澡浴眞言)을 염송하라.

옴 사바 바 바슏타 살바달마 사바 바 바슛 도함
唵引娑嚩二合婆引嚩秫馱引薩嚩達摩入娑嚩二婆引嚩戌引度憾5)

매일 도량에 들어가 염송함에 그 시간을 정하라. 혹은 두 번, 즉 새벽과 황혼에, 혹은 세 번, 즉 [새벽과 황혼에] 정오를 더하라. 혹은 네 번, 유가(瑜伽)에 의하여 한밤중을 더하라. 만약 본 가르침인 『존승다라니경』에서 매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업장(業障)을 없애고 연명(延命)을 위해서는 반드시 천 번을 염송하라. 그러면 세간을 초월한 삼마지를 증득하고 다라니를 잊지 않게 될 것이다. 그 날, 하루 낮 하룻밤을 먹지 않는 것이 제일 좋으니, 혹은 3백식(白食)만을 먹어라. 이른바 우유와 낙(酪)과 멥쌀밥이다. 또한 죽(粥)을 중(中)으로 삼고, 평상시와 같은 음식을 하(下)로 친다. 몸에는 깨끗한 의복을 입고 마음을 경건하게 가지며, 청정한 믿음을 가져야 하고 마음에 망설임을 갖지 말아야 한다.
만약 다라니를 지니어 염송하려면, 도량에 이르러 우선 양 무릎을 땅에 대고, 비로자나불과 8대보살께 예를 올리고 발로참회(發露懺悔)하며 5대원(大願)6)을 발하라. 첫째 끝없는 중생 제도(濟度)하길 서원하며, 둘째 끝없는 복덕과 지혜 모으기를 서원하며, 셋째 끝없는 법문 깨치기를 서원하며, 넷째 끝없는 여래 섬기기를 서원하며, 다섯째 위없는 보리 증득하기를 서원한다. 그리고 나서 결가부좌하고, 향을 손에 바르고 삼매야인을 맺고는 진언을 염송한다.

나모사만다몯다남 아사메 디리 삼몌 사매예사바 하7)
曩莫三曼多沒馱喃一阿三冥二底哩二合三冥三三昧曳娑嚩二合引賀引

그 인(印)의 모양은, 두 손을 합장해서 두 엄지손가락을 세운 것이다. 인을 지어 다섯 군데, 즉 이마와 오른쪽 어깨ㆍ왼쪽 어깨ㆍ심장ㆍ목에 두고 진언을 각각 한 번씩 외워 가지(加持)하고서, 정수리 위에서 풀어라. 삼매야인과 진언의 위신력으로 말미암아 능히 여래지(如來地)를 정화하고, 지바라밀(地波羅蜜)8)을 원만히 하며, 세간과 출세간의 실지(悉地)9)를 성취하리라.
다음에 법계생인(法界生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 남 달라마 다 토 사바 사바 구함10)
曩莫三曼多沒馱引南一達囉麽二合馱引賭二娑嚩二合娑嚩二合句憾

인을 맺는 모양은,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속에 두고 각기 주먹을 쥔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세워서 그 측면을 나란히 합한다. 정수리 위에 두고, 정수리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서서히 내리고서 풀어라. 진언을 세 번 염송하고, 바로 자신이 법계와 동등하다고 관(觀)하라. 그러면 모든 경계와 모양[色相]을 여의는 것이 마치 허공과 같게 된다.
다음에 금강살타법륜인(金剛薩埵法輪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바아라 남 옴 바아라 달마 구 함11)
曩莫三曼多嚩日囉二合喃引唵引嚩日囉二合引怛摩二合句引憾

인을 맺는 모양은, 두 손등을 서로 교차하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의 손바닥 안에 넣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서로 맞댄다. 그리고 바로 진언을 세 번 염송하면, 자신이 금강살타와 같게 된다.
다음에 금강갑주인(金剛甲冑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바아라 남 옴 바아라 가바자훔
曩莫三曼多嚩日囉二合喃引唵引嚩日囉二合迦嚩者吽12)

인을 맺는 모양은, 두 손으로 허심합장(虛心合掌)13)하고 두 집게손가락을 각기 가운뎃손가락의 뒤에 대고, 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합하여 가운뎃손가락의 중간마디 위에 둔다. 인을 이루어 앞과 같이 다섯 군데에 두면서 각기 진언을 한 번씩 염송하라. 이렇게 가지(加持)하면, 자기 몸에 금강갑주가 생기게 되어 모든 천마(天魔)가 가까이 할 수 없게 된다.
다음에 부동존인(不動尊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바아라 남 젼나마하로사나 바사바 가타야 훔다라 타
曩莫三曼多嚩日囉二合喃一戰拏摩賀嚧沙拏二句嚩薩叵二合迦吒耶三吽怛囉二合吒
함 맘14)
憾引𤚥引

인을 맺는 모양은,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각각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손톱 위에 대고, 가운뎃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각각 세워서 이를 나란히 한 다음, 왼손은 칼집[鞘]으로 삼고 오른손은 칼[刀]로 삼아서, 칼을 칼집에 넣은 형상이다. 오른손의 도인(刀印)을 왼쪽으로 돌려서 도량 가운데서 온갖 마군이 짓는 장애를 없애고, 오른쪽으로 돌려서 8방(方)과 위ㆍ아래의 경계를 결하라. 그런 다음에 도량 가운데에 수미산을 상상하라. 산 정수리에 칠보로 이루어진 누각을 상상하라. 누각 가운데에 비로자나불께서 10지(地)를 만족한 80구지(俱胝)의 보살마하살을 권속으로 삼으시고 그들에게 둘러싸여 계시는데, 네 문과 네 모퉁이에 각기 4보살과 8공양(供養), 내외공양(內外供養)으로 봉헌하는 것을 뚜렷하고 분명하게 관상하라.
다음에 성스러운 대중을 받들어 청하는 여래구인[奉請聖眾如來鉤印誦]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 사 만다몯다남 오 살바다라 바라 디아뎨다타 아다구샤
曩莫上三去滿馱沒馱南引一噁二引薩嚩怛囉二合鉢羅二合底呵諦怛他引蘖當矩捨三
모디자라리야 파리보 라가 사바 하15)
冒地者囉哩耶二合跛哩布引囉迦四娑嚩二合引賀引

인을 맺는 모양은,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를 껴 쥐고,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폈다가 갈고리 모양과 같이 굽힌다. 진언을 세 번 염송하면, 인과 진언의 위신력으로 인해 제불여래(諸佛如來)와 성중(聖衆)이 본서(本誓)에 거스르지 않고 모두 다 집회한다.
다음에 자리를 봉헌하는 인[奉獻座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남 아16)
曩莫三曼多沒馱喃引惡引急呼

인계의 모양은, 두 손을 허심합장을 한 상태에서 두 새끼손가락과 두 엄지손가락을 각각 서로 합하고 나머지 여섯 손가락은 벌리고 펴서 조금 굽혀 마치 연꽃이 핀 모양과 같게 한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말미암아 일체의 미묘한 보좌(寶座)를 마치 구름과 바다처럼 유출하여 여래와 일체 성중을 봉헌하리라.
다음에 알가(閼伽)를 봉헌하며,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남 아가가나삼마삼마사바 하17)
曩莫三曼多沒馱南一惡誐誐曩三摩三摩娑嚩二合賀引

곧 양손으로 그릇을 받들어 이마에 대고 호궤(胡跪)18)해서 세 번을 염송하라. 알가를 봉헌하여 성중을 목욕시킨다.
다음에 바르는 향을 봉헌하는 인[奉獻塗香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 사 만다몯다남 미슈 다안 두 바나바 야사바 하19)
曩莫上三去曼多沒馱南引一微輸上馱巘引度上婆納嚩引耶婆嚩二合引賀

인계의 모양은, 오른손을 세우고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며 왼손으로 오른손 손목을 잡는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말미암아 일체의 바르는 향이 구름과 바다 같이 나와서 일체여래와 모든 성중을 공양하게 된다.
다음에 화만을 봉헌하는 인[奉獻花鬘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남 마하 매달리야 나아뎨사바 하20)
曩莫三曼多沒馱南引摩賀引昧怛哩夜三合那蘖帝娑嚩二合賀

인계의 모양은,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를 끼고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다음, 집게손가락을 서로 맞댄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일체의 화만이 구름과 바다처럼 나와서 일체 여래와 성스러운 대중을 공양하리라.
다음에 사르는 향을 봉헌하는 인[奉獻燒香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 남 달마마 다바 나 아뎨 사바 하21)
曩莫三曼多沒馱引南一達麽馱引怛嚩二合引拏鼻音蘖帝引娑嚩二合賀

인계의 모양은, 두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새끼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구부려서 세우고, 서로 등지게 한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일체의 사르는 향이 구름과 바다처럼 나와서 일체 여래와 모든 성스러운 대중을 공양하리라.
다음에 음식(飮食)을 봉헌하는 인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남 아라라가라마리나니마하 마니사바 하22)
曩莫三曼多沒馱南引阿囉囉迦囉沫隣捺埿摩賀引沫履娑嚩二合賀

인계의 모양은, 허심합장을 은밀하게 열어 손바닥을 그릇처럼 만든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끝없는 음식이 구름과 바다처럼 나와서 일체여래와 모든 성스러운 대중을 공양하리라.
다음에 등불[燈明]을 봉헌하는 인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 남 다타 가타자사바 라녜 바바 사나 가가뇨나리야
曩莫三曼多沒馱引南引怛他引蘖怛紫娑叵二合羅寧二嚩婆去娑娜三誐誐猱娜哩野
사바 하23)
二合娑嚩二合賀

인계의 모양은, 오른손으로 주먹을 쥐고 가운뎃손가락을 세운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의 중간마디에 댄다. 세 번을 염송하면, 이 인과 진언의 위력으로 일체의 등불이 구름과 바다처럼 나와서 일체 여래와 모든 성스러운 대중을 공양하리라.
또한 대승(大乘)에서 말하는 것처럼 당기[幢]ㆍ일산[蓋]ㆍ번기[幡]ㆍ그물[網]ㆍ영락(瓔珞)ㆍ의복ㆍ비단[繒綵] 등 온갖 공양물이 구름과 바다처럼 법계(法界)에 가득 차 있다고 관상하면서, 정성스럽고 참다운 말의 게송[伽他]으로 찬탄하라.

나의 공덕력(功德力)과
여래의 가지력(加持力)과
법계력(法界力)으로써
널리 공양하여 머무나이다.

다음에 허공장명비인(虛空藏明妃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하라.

나모사만다몯다 남 살바타캄오나아 뎨사바라혜 맘가가감사바
曩莫三曼多沒馱引南引薩嚩他缺烏娜蘖二合帝娑叵囉呬引𤚥誐誐劍娑嚩二合引
24)
賀引

그 인계의 모양은, 두 손을 서로 깍지를 껴 합장하되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르도록 한다. 일곱 번을 염송한 다음에, 자신의 심장 가운데에 둥글고 밝은 월륜이 매우 분명하고 뚜렷하게 있다고 상상하라. 그 월륜 위에 흠(欠)자가 있는데, 흰색의 큰 광명을 내뿜어 두루 시방의 일체세계를 비춘다고 관상하라. 흠자는 참된 모습의 진리[實相義]이니, 이른바 일체의 법은 허공과 동등하여 모든 색상(色相)을 여의고 모든 장애를 떠난다는 것이다. 곧 진실한 이치 가운데에서 자신이 금강바라밀불모보살상(金剛波羅蜜佛母菩薩像)이 된다고 관상한다. 왼손에 연꽃을 지니고 있는데 그 연꽃 위에 오고금강저(五鈷金剛杵)가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향해 내려뜨려서 시원인의 모양[施願勢]을 한 모습이다. 머리에 쓴 관[頭冠]은 영락(瓔珞)으로 장식되어 있고, 얼굴은 일체중생을 가엾이 여겨 구원하려는 모습이다. 이렇게 관상하고 나서, 두 손을 밖으로 서로 깍지를 껴 쥔 상태에서 두 가운뎃손가락을 세워라. 이 금강바라밀인(金剛波羅蜜印)으로 네 군데를 가지(加持)해야 하니, 즉 심장ㆍ이마ㆍ목ㆍ정수리를 인(印)한다. 인하고 나서 바로 손을 풀고, 금강바라밀진언을 염송하라.

옴사다바 바아리 훔25)
唵薩怛嚩二合嚩日哩二合吽

네 군데를 인할 때마다 한 번씩 염송하라. 그리고 곧 앞의 인을 지어 이마 위에 두고, 세 번을 염송하라. 이로써 관정(灌頂)을 삼으니, 관정하고 나면 그 인을 맺은 손을 양쪽으로 나누어 금강권(金剛拳)을 하고 정수리의 뒤에 두고는, 진언을 염송하라.

옴바아라 비사차26)
唵嚩日囉二合引鼻詵遮

세 번을 염송하고 바로 피갑인(被甲印)27)을 맺어야 하니, 두 손을 각각 금강권을 한 상태에서 각기 집게손가락을 세워서 심장에 대고 서로 얽어서 갑주를 이은 것처럼 한다. 바로 등 뒤에서도 이렇게 하라. 다음에 배꼽, 다음에 양 무릎에 하고는, 허리를 두른 뒤에 점차 심장 가까이에 댄다. 다음에 양 어깨도 역시 이렇게 한다. 다음에 정수리 밑, 목 뒤, 이마 앞으로부터 이어서 머리 뒤에 양 금강권을 대고는, 마치 머리띠를 두르는 자세처럼 손을 양쪽으로 드리워서 서서히 내려라. 곧 양손의 손바닥을 서로 세 번 마주쳐 소리를 내고, 피갑진언(被甲眞言)을 염송하라.

옴 침28)
唵引砧誅唵反

또 박장진언(拍掌眞言)을 염송하라.

옴바아라 도샤야 호29)
唵嚩日囉二合覩史耶二合穀

스스로 자기의 몸이 본존을 이미 이루었다고 관상하라. 두 손을 합장한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의 손톱을 서로 등지게 붙이고, 두 엄지손가락으로 두 집게손가락의 끝을 눌러 손가락을 튕기는 자세와 같게 하라. 그리고 곧 존승다라니(尊勝陀羅尼)를 염송하라.

나모 바가바뎨 다래 로 기야 바라 디 미싣-따 야 몯
曩募引婆誐嚩帝一怛▼(口+賴)二合路引枳也二合二鉢囉二合底丁二反三尾始瑟吒二合引也四勃
다 야 바가바뎨 다냐- 타 옴 미슈 다야 삼마삼만다바바사 사바
馱引耶五婆誐嚩帝六怛儞也二合他引七唵八尾戌引馱也九三麽三滿多嚩婆娑十薩頗
라나 아디 가하나 살바 바 바슏 뎨 아비신자맘
二合囉拏十一蘖底丁異反誐賀曩十二薩囉二合婆引嚩秫輪律反下並同第十三阿鼻詵左𤚥十四
소가다바라바자나 미리 다 비새계 아 하라아 하라 아
引素誐多嚩囉嚩左曩十五蜜嘌二合多引鼻囇罽十六入阿引賀囉阿引上賀囉十七阿引入
욕산다 라니 슈 다야슈다야 가가나미슏뎨 오스니 사 미자
欲散馱引囉抳十八戌引馱也戌馱也十九誐誐曩尾秫第二十鄔瑟抳三合沙二十一尾惹
야미슏뎨 사하사라 라스미 산조 뎨뎨 살바다타 가다
也尾秫提二十二娑賀娑囉二合二十三囉濕弭二合散祖引禰帝二十四薩嚩怛他引蘖多上二
딛- 따 나 딛- 띠 다 모나례 바아라 가 야 싱
十五地瑟侘引二合曩引地瑟耻二合多二十六畝捺㘑二合二十七嚩日囉二合迦引耶上二十八僧
하다나슏뎨 살바 바라나미슏뎨 바라 디니말다야 아 욕슏뎨
去賀怛那秫第二十九薩嚩引嚩囉拏尾秫帝三十鉢囉二合底儞靺多也三十一阿引欲秫第
삼마야 딛-띠 뎨 마니마 다달다 보다구디 파리슏뎨
三十二三麽耶引地瑟耻二合帝三十三麽抳麽三十四怛闥多引步多俱胝三十五跛哩秫第三
미사보 타 몯디슏뎨 자야자야 미자야미자야 사마
十六尾娑怖二合吒三十七勃地秫第三十八惹也惹也三十九尾惹也尾惹也四十娑麽二合
라사마 라 살바몯다 딛-띠 다슏뎨 바아례 바아라 가볘
囉娑麽二合囉四十一薩嚩勃馱引地瑟耻二合多秫第四十二嚩日㘑二合嚩日囉二合蘖鞞
바아람 바바도 마마 살바사다바 난 자가
四十三嚩日囕二合婆嚩覩四十四麽麽四十五某甲薩嚩薩怛嚩二合引四十六難上引左迦上引
야미슏뎨 살바가디 바리슏뎨 살바다타 가다 삼마 스바
也尾秫第四十七薩嚩蘖底四十八跛哩秫第四十九薩嚩怛他引蘖多五十三麽引濕嚩二合引
사 딛 -띠 뎨 몯쟈몯쟈 모 다야모 다야 사만다바리슏뎨
娑引地瑟耻二合帝五十一勃𠆙勃𠆙五十二冒引馱也冒引馱也五十三三滿多跛哩秫第五十
살바다타 가다 딛 -따 나 딛 - 띠 다 마하 모나례
四薩嚩怛他引蘖多引五十五地瑟姹二合引曩引五十六地瑟耻二合多五十七麽賀引畝捺㘑二
사바 하
合五十八娑嚩二合引賀引五十九30)

염송하는 소리는 높지도 낮지도 않게 하며,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게 하라. 한마음으로 계속해서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분명하게 관하면서 진언을 일곱 번 염송하고 나서, 인을 정수리 위에서 풀어라. 보리자나무 열매[菩提子]로 만든 염주를 손바닥 안에 넣고 염주를 가지하는 진언을 염송하라.

옴미로자나마라사바 하31)
唵尾嚧遮那麽羅娑嚩二合引賀引

일곱 번 염송하고 나서 염주를 정수리 위에 두었다가 왼손을 심장에 대고는, 염주 알을 세는데 오른손으로 염주 알을 옮긴다. 매번 사바하(娑嚩二合賀) 소리를 균등하게 내면서 염주 알을 하나씩 옮긴다. 백팔 번을 염송하거나 내지 천 번을 염송하고 나서, 염주를 손바닥에 넣고 합장하고는, 정수리 위에 두어라. 그리고 구하고자 하는 청정한 원을 발하면, 일체 중생이 그 원을 다 획득할 것이다.
다시 본존인(本尊印)을 맺고 일곱 번을 염송하거나 세 번을 염송하고서, 다시 금강바라밀인을 맺어라. 또한 다섯 가지의 공양인(供養印)을 맺고, 아울러 다섯 가지 진언(眞言)을 염송하여 이를 공양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곧 부동존인(不動尊印)을 맺고 한 번 염송하고는, 인(印)을 왼쪽으로 돌리면 바로 해계(解界)를 이룰 것이다. 알가기(閼伽器)을 집어서 봉헌하고 공양하라. 곧 앞의 삼매야인을 맺고 정수리 위에서 봉송(奉送)하라. 삼매야진언 한 번을 염송하고, 이 인을 풀지 말고, 바로 금강해탈진언(金剛解脫眞言)을 염송하라.

옴바아라 모 가샤 무32)
唵嚩日囉二合謨引訖叉二合穆

모든 부처님과 성스러운 대중을 봉송(奉送)하되, 앞에서처럼 예배ㆍ발로참회(發露懺悔)ㆍ수희(隨喜)ㆍ권청(勸請)ㆍ발원회향(發願迴向)하고 나서, 도량을 나온다. 다음에 바로 고요한 곳에서 대승경(大乘經)을 전독(轉讀)하라. 제일의제(第一義諦)를 관하고 이 묘한 복으로 구하는 것을 널리 회향하고 실지(悉地)를 도와 이루어라.
만약 식재법(息災法)을 하려면, 얼굴을 북쪽으로 향하고 그 단은 둥글게 하여 성스러운 대중이 흰색이라고 관하라. 도량에 있는 공양물을 모두 흰색으로 하고 몸에는 흰옷을 걸치고, 얼굴을 북쪽으로 향하여 앉아 침수향(沈水香)을 태워라. 만약 증장법(增長法)을 하려면,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여 앉고 본존이나 공양물 그리고 자신의 의복이 모두 황색이어야 하며, 백단향(白壇香)을 태워라. 만약 항복법(降伏法)을 하려면, 얼굴을 남쪽으로 향하여 앉고 본존이나 공양물, 아울러 의복을 모두 청색이거나 혹은 흑색으로 하고 안식향(安息香)을 태워라. 만약 경애법(敬愛法)을 하려면,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여 앉고 본존의 적색(赤色)을 관하라. 아울러 음식과 의복은 모두 적색이며, 소합향(酥合香)을 태워라.
036_1016_c_01L佛頂尊勝陁羅尼念誦儀軌法一卷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 詔譯夫念誦陁羅尼法先於三昧耶曼茶見聖衆得灌頂知本尊#從師受得三昧耶卽於山閒閑處或於淨室本尊尊勝陁羅尼像安於東壁上持誦者以面對之其念誦處掘地深一肘半地中若有瓦礫骨灰毛髮及諸穢物等竝須除之若無還取本土塡滿築令平正土若有餘其地吉祥以瞿摩夷和好土泥地面令平正又取瞿摩夷和水誦無能勝陁羅尼二十一遍加持瞿摩夷其無能勝眞言曰曩莫三曼多沒引一引 二虎魯虎魯戰拏理摩蹬儗五 丁以 反娑嚩二 合引加持已後從東北隅起首右旋塗之次取蜀葵葉或蓮子葉揩拭令其光於上取白粉和水以繩分九位拼石上磨白檀香用塗九位其九位中央安毘盧遮那佛位右邊安觀自在菩薩位觀自在後安慈氏菩薩位毘盧遮那佛位後安虛空藏菩薩此菩薩左邊安普賢菩薩位毘盧遮那佛位左邊安金剛手菩薩位剛手菩薩位下安文殊師利菩薩位毘盧遮那佛前安除蓋障菩薩位蓋障菩薩位右邊安地藏菩薩位名九位竝用白檀香塗之以爲迎請賢聖之位耳上安帳蓋四面懸幡場四邊晨朝奉獻乳糜齋時獻酪飯幷甜膩食及以諸漿兼諸菓子四門安四香爐四隅安四淨甁盛香水插花或靑葉樹枝以爲供養四角燃四盞酥燈道場前於念誦者座前安置閼伽香水兩椀所盛供養取金銅瓷器或新瓦器或螺盃或新淨葉餘竝不堪欲盛食時先淨洗器覆之以香煙熏內旣盛食已又須香煙熏之無能勝陁羅尼加持水灑之則於壇中右旋布列然後於壇前安卑腳牀子地半寸或茅草薦或藉以淨物念誦者坐之念誦人應淨澡浴澡浴法如蘇悉地中說或以法澡浴觀法實相以爲澡浴或以在家出家護持本律儀戒無所毀犯以爲澡浴或每日三佛前禮佛發露懺悔隨喜勸請願迴向以爲澡浴或以淸淨眞言持七遍以爲淸淨澡浴正誦之時一切法本性淸淨我亦得淸淨如是作意卽誦澡浴眞言曰娑嚩二 合嚩秫馱薩嚩達摩娑嚩二 合嚩戍度憾每日入道場念誦定其時節或二時謂早朝黃昏或三時加午時或四時依瑜伽加中夜若於本教尊勝陁羅尼經於白月十五日除滅業障增福延命期誦一千遍證出世三摩地得不忘陁羅尼其日一日一夜不食爲上或食三白食所謂乳酪粳米飯或粥爲中如常齋食爲下身著淨衣服心應虔誠淨信心不猶預若欲持誦至道場先雙膝著地禮毘盧遮那佛及八大菩發露懺悔發五大願一衆生無邊誓願度二福智無邊誓願集三法門無邊誓願學四如來無邊誓願事無上菩提誓願成結加趺坐以香塗手結三昧耶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喃阿三冥二 合三冥三昧曳娑嚩二 合引其印二手合掌豎二大指印於五處額右肩左肩心喉各誦眞言一遍持頂上散由三昧耶印眞言威神力能淨如來地地波羅蜜圓滿能成就世閒出世閒悉地次結法界生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達囉麽娑嚩二 合娑嚩二合句結印相二手大指安於掌中各作拳豎二頭指側竝合安於頂上從頂向徐徐下散誦眞言三遍卽觀自身等同法界離諸色相猶如虛空次結金剛薩埵法輪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嚩日囉二 合嚩日囉二 合引怛摩二 合結印相二手背相叉以左大指安右手掌中與右手大指相拄卽誦眞言三遍獲得自身如金剛薩埵次結金剛甲冑印眞言曰曩莫三曼多嚩日囉二合嚩日囉二 合迦嚩者吽其印相二手虛心合掌二頭指各安於中指背二大指竝合於中指中莭上成印同前五處各誦眞言一遍此加持自身成被金剛甲冑一切天魔無能親近次結不動尊印眞言曰曩莫三曼多嚩日囉二 合一引拏摩賀嚧沙拏二 句薩叵二 合咤耶吽怛囉二 合咤憾𤚥結印二手各以大指捻小指及無名指甲上各豎中指頭指竝之左手爲鞘右手爲刀以刀入鞘狀右刀手印左旋轉辟除道場中諸魔作障者旋轉八方結上下方隅界然後想道場中須彌山於山頂上想七寶樓閣於樓閣中毘盧遮那佛與八十俱胝十地滿足菩薩摩訶薩以爲眷屬自圍遶四門四隅各四菩薩及八供以內外供養觀想奉獻了了分明次結奉請聖衆如來鉤印誦眞言曰曩莫滿馱沒馱南引一 薩嚩怛囉二 合鉢囉二 合底呵諦怛他蘖當矩捨冒地者囉哩耶二 合跛哩布囉迦娑嚩二合引印相二手內相叉作拳申右手頭指如鉤形誦三遍由印眞言威神力故諸佛如來及以聖衆不違本誓皆悉集會次結奉獻座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喃引急呼契相二手虛心合掌二小指二大指相餘六指開舒微屈如蓮花敷誦三由此印及眞言威力流出一切微妙寶座猶如雲海奉獻如來一切聖衆次奉獻閼伽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南誐誐曩三摩三摩娑嚩二 合卽以兩手捧器當額䠒跪誦三遍獻閼伽沐浴聖衆次結奉獻塗香印誦眞言曰曩莫曼多沒馱南引 一微輸馱巘納婆嚩耶娑嚩合 引契相右手豎掌向外以左手握右手誦三遍由此印眞言威力故流出一切塗香雲海供養一切如來及諸聖衆次結奉獻花鬘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南摩賀昧怛哩夜三 合毘庾二 合那蘖帝娑嚩契相二手內相叉仰掌頭指相拄誦三遍由此印及眞言威力流出一切花鬘雲海供養一切如來聖衆次結奉獻燒香印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達麽馱怛嚩二合引鼻 音蘖帝娑嚩契相二手仰掌以小指中指無名指屈豎相背誦三遍由此印眞言威力流出一切燒香雲海供養一切如來及諸聖衆次結奉獻飮食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南阿囉囉迦囉沫鄰捺埿摩賀沫履娑嚩二 合契相虛心密令開掌如器誦三遍此印眞言威力流出無邊飮食雲海供養一切如來及諸聖衆次結奉獻燈明印誦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 怛他蘖怛紫娑叵二合羅寧嚩婆娑娜誐誐猱娜哩野二合娑嚩二合契相右手作拳豎中指以大指捻中指中節誦三遍由此印眞言威力出一切燈明雲海供養一切如來及諸聖衆又復如來大乘經所說當觀想幢蓋幡網瓔珞衣服繒綵等物諸供養雲海充遍法界誠實言伽他而讚以我功德力 如來加持力 及以法界力普供養而住次結虛空藏明妃印眞言曰曩莫三曼多沒馱薩嚩他欠烏娜蘖二合帝娑叵囉呬𤚥誐誐劍娑嚩二合引其契相二手相叉合掌右押左誦七次想自身於心中有圓明月輪了分明於月輪上想欠字白色放大光明遍照十方一切世界思欠字實相義所謂一切法等同虛空離諸色相離諸障礙則於眞實理中觀自身作金剛波羅蜜佛母菩薩像左手持蓮花其蓮花上有五股金剛杵右手作仰掌垂手爲施願具頭冠瓔珞面貌慈愍拔濟一切衆生勢作是觀已二手外相叉作拳豎二中指以此金剛波羅蜜印加持印於四處謂印心額喉頂印已便散手誦金剛波羅蜜眞言曰唵薩怛嚩二合嚩日哩二合當印四處時各誦一遍卽用前印安於額上誦三遍以爲灌頂灌頂已其印手分兩邊以金剛拳繼頂後誦眞言唵嚩日囉二合引鼻詵遮誦三遍卽結被甲印二手各作金剛各豎頭指當心相纏如繼甲冑於背後亦復如是次臍次兩膝卻繞腰後漸當心次兩肩亦如是繼次繼項下項後額前卻於腦後以兩金剛繼漸垂手兩邊徐徐下如垂帶勢卽以兩手掌相拍三聲誦被甲眞言曰誅唵反又拍掌眞言曰唵嚩日囉二 合睹史耶二 合自想己身成本尊已二手合掌屈二頭指甲相背以二大指壓二頭指頭如彈指勢卽誦尊勝陁羅尼曰曩慕婆誐嚩帝怛𡃤二合枳也二合二鉢囉二合丁以反三尾始瑟咤二合引婆誐嚩帝怛你也二合引七尾戍馱也三麽三滿多嚩婆娑薩頗二合囉拏十一孽底丁異反賀曩十二薩嚩二合嚩秫輸律反下竝同十三阿鼻詵左𤚥十四引素誐多嚩囉嚩左十五蜜㗚二合鼻曬罽十六入賀囉阿引上賀囉十七引入欲散馱十八馱也戍馱也十九誐誐曩尾秫提二十鄔瑟抳二合二十一尾惹也尾秫提二十二娑賀娑囉二合二十三囉濕弭二合散祖禰帝二十四薩嚩怛他孽多引二十五地瑟侘引二合地瑟恥二合二十六畝捺㘑二合二十七嚩日囉二合土二十八賀怛那秫第二十九薩嚩嚩囉拏尾秫第三十鉢囉二合底你靺多三十一欲秫第三十二三麽耶地瑟恥二合三十三麽抳麽抳三十四怛闥步多俱胝三十五跛哩秫第三十六尾娑怖二合三十七勃地秫第三十八也惹也三十九尾惹也尾惹也四十娑麽二合囉娑麽二合四十一薩嚩勃馱瑟恥二合多秫第四十二嚩日㘑二合嚩日二合孽鞞四十三嚩日囕二合婆嚩睹四十四麽麽四十五某甲薩嚩薩怛嚩二合引四十六上引左迦上引也尾秫第四十七薩嚩孽底四十八跛哩秫第四十九薩嚩怛他孽多五十三摩濕嚩二合引地瑟恥二合五十一勃勃五十二馱也冒馱也五十三三滿多跛哩秫第五十四嚩怛他孽多引五十五地瑟姹二合引引五十六地瑟恥二合五十七摩賀畝捺二 合 五 十 八 娑嚩二 合引引 五十 九所誦之聲不高不下不緩不急一心緣觀毘盧遮那佛了了分明誦七遍印頂上散取菩提子念珠安於掌誦加持念珠眞言曰唵尾嚧遮那麽羅 娑嚩二 合引誦七遍已安頂上以左手當心承珠手移珠每與娑嚩二合賀齊聲移一珠念誦至一百八遍乃至一千遍卻取珠蟠於掌中合掌安於頂上而發所求淸淨妙願願一切衆生皆悉獲得復結本尊印誦七遍或三遍復結金剛波羅蜜印又復結五種供養印幷誦七種眞言而供養之具如上說卽結不動尊印誦一遍以印左轉卽成解界執閼伽器奉獻供養卽結前三昧耶印當頂上奉送誦三昧耶眞言一遍不解此便誦金剛解脫眞言曰唵嚩日囉二合訖叉二合奉送諸佛聖衆如前禮拜發露懺悔隨喜勸請發願迴向已出道場後卽於靜處轉讀大乘經觀第一義諦以此妙福迴向所求助成悉地若作息災法面向北其壇圓觀聖衆白色道場中所供養物皆白身著白衣面向北座#燒沈水香若作增長法面向東坐本尊及供養幷自身衣服悉皆黃色燒白檀若作降伏法面向南坐本尊及供養幷衣服竝靑色或黑色燒安息香若作敬愛法面向西坐觀本尊赤色及飮食衣服皆赤燒酥合香佛頂尊勝陁羅尼念誦儀軌法一卷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길이의 단위이다. 1주의 길이는 1척 5촌이라고도 하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기준은 팔꿈치의 관절에서부터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이다.
  2. 2)범어로는 gomaya이니, 소의 똥[牛糞]이다. 인도에서는 예부터 소를 신성시하였으며 제단을 깨끗이 하기 위해 소똥을 바랐다. 밀교에도 법을 수행할 때 단장(壇場)에 소똥과 소의 오줌을 섞어서 바르고, 혹은 호마를 할 때에도 공양물의 하나로서 소똥을 화로에 던져 넣는다.
  3. 3)namaḥ samanta buddhānām oṃ horohoro caṇḍrimātaṅgi svāhā.
  4. 4)범어로 argha이니, 공덕수(功德水)⋅알가향수(閼伽香水)⋅무탁(無濁)⋅기(器)라 번역한다. 알가정(閼伽井)으로부터 떠온 물에 밀(樒)⋅향말(香末)을 넣은 물을 알가수(閼伽水)라고 부르며, 관정용(灌頂用)⋅수법용(修法用)의 알가수를 알가정으로부터 퍼 올리는 것이 ‘알가작법(閼伽作法)’이다. 밀교수법에 있어서 6종공양의 하나이다. 전공양(前供養)의 알가는 본지로부터 청래(請來)한 본존의 발 씻는 물을 관하고, 후공양(後供養)의 알가는 치주(馳走) 후의 입을 헹구는 물이라고 관한다. 작법은 밀교의 유파에 따라 다소 다른 점이 있지만 행자가 알가기(閼伽器)를 들고 소향(燒香)한 연기에 쐬어 가지하고, 알가인(閼伽印)을 결한 그 위에 받들어서, 진언⋅게문을 염송하고, 한 방울의 물이라도 바다라고 생각하며 제불에 바치고, 본존⋅성중의 두 발을 씻는다. 행자는 이것에 의해서 번뇌를 씻어 없애고 3업의 청정을 얻는다고 관하고 나서, 세 번 반(盤) 위에 물을 떨어뜨린다.
  5. 5)oṃ svabhāva viśuddhe sarva dharma svabhāva śuddho'haṃ.
  6. 6)밀교에서 대일여래의 본원(本願) 또는 제불보살의 총원(總願)인 다섯 가지의 큰 서원이다.
  7. 7)namaḥ samanta buddhānām asame trisame samaya svāhā.
  8. 8)10지(地)의 보살이 수행하는 열 가지의 바라밀을 말한다. 10승행(勝行)라고도 한다.
  9. 9)밀교에서 진언의 수법에 의해서 성취하는 이상적인 경지를 실지(悉地, siddhi)라고 한다.
  10. 10)namaḥ samanta buddhānām dharma-dhatū svāsvāko'haṃ.
  11. 11)namaḥ samanta vajranām oṃ vajrātmako'ham.
  12. 12)namaḥ samanta vajrānām oṃ vajra kavaca hūm.
  13. 13)합장한 두 손의 사이를 비운 모양의 합장이다.
  14. 14)namaḥ samanta vajranām caṇḍra mahāroṣcaṇa basapa kataya hūm traṭ'haṃ māṃ.
  15. 15)namaḥ samanta buddhānām ah sarva tra pratiha tathāgatakosa svāhā.
  16. 16)namaḥ samanta buddhānām ah.
  17. 17)namaḥ samanta buddhānām ah gagana samasama svāhā.
  18. 18)호인(胡人)이 예경하기 위해 두 무릎을 꿇어 땅에 대고 두 다리를 세우고 몸을 버티는 것을 말한. 여기에 호궤(胡跪:互跪)ㆍ좌궤(左跪)ㆍ장궤(長跪)의 세 가지가 있다. 한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한쪽 발을 세우는 호궤는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는 것으로 불자(佛子)들의 습관이 되어 있다. 우슬착지(右膝着地)가 바로 이것이다.
  19. 19)namaḥ samanta buddhānām viśodha gandhu bhanavaya svāhā.
  20. 20)namaḥ samanta buddhānām mahā maitreya nagati svāhā.
  21. 21)namaḥ samanta buddhānām dharma dhātv-anugate svāhā.
  22. 22)namaḥ samanta buddhānām ararakarara balim dāmi mahā baliḥ svāhā.
  23. 23)namaḥ samanta buddhānām tathāgatārci sphuraṇāvabhāsana aga- ganodārya svāhā.
  24. 24)namaḥ samanta buddhānām sarva tathāgata tisapārahi māṃ gag- ama khaṃ svāhā.
  25. 25)oṃ satva vajri hūṃ.
  26. 26)oṃ vajrābhiṣiñca.
  27. 27)수행자의 몸을 보호하는 인(印)이다. 금강갑주(金剛甲冑)를 입고 삿된 귀신과 악마의 해를 막기 위해 결하는 인계이다. 갑주인(甲冑印)이라고도 한다.
  28. 28)oṃ tuṃ.
  29. 29)oṃ vajra tuṣya hoḥ. 
  30. 30)namo bhagavate trailokya prativiśiṣṭāya buddhāya bhagavate, tad yathā: oṃ viśodhaya samāsamantāvabhāsa spharaṇa gati gahana svabhāva viśuddhe, abhiṣiñcatu māṃ, sugata vara vacanāṃrtāb- hiṣekair āhara āhara, āyuḥ saṃdhāraṇi śodhaya śodhaya, gagana viśuddhe, uṣṇīṣa vijaya viśuddhe, sahasra raśmi saṃcodite, sarva tathāgata adhiṣṭhānādhiṣṭhite mudre, vajra kāya saṃhātana śud- dhe, sarv'āvaraṇa viśuddhe, pratinivartaya āyuḥ śuddhe, samayā- dhiṣṭhite, maṇima tathātā bhūta koṭi pariśuddhe, visphuṭa buddhi śuddhe, jaya jaya vijaya vijaya smara smara, sarva buddhād- hiṣṭhita śuddhe vajri vajra garbhe vajraṃ bhavatu mama sarva sattvānāṃś ca kāya viśuddhe, sarva gati pariśuddhe, sarva tathāgatāś samāśvāsādhiṣṭhite, budhya budhya bodhaya bodhaya samanta pariśuddhe, sarva tathāgata adhiṣṭhānādhiṣṭhita mahā mudre, svāhā
  31. 31)oṃ virocanamara svāhā.
  32. 32)oṃ vajra mokṣa m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