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8_0257_a_01L정원신정석교목록(貞元新定釋敎目錄) 제 16 권


원조(圓照) 지음

[총록(總錄)]    

2. 총집군경록(總集群經錄)

19) 대당(大唐) 시대 ⑥
(40) 대광지불공(大廣智不空) ②
이 때 좌우의 육군사(六軍使)들은 이러한 상서로운 구름을 보고 표(表)를 올려 봉하(奉賀)하였다. 그 표는 다음과 같다.
“영태(永泰) 원년 9월 3일에 특진우용무대장군지군사상주국서국공(特進右龍武大將軍知軍事上柱國徐國公) 신(臣) 유선지(劉仙智) 등은 표를 올립니다. 신 선지 등은 말씀드립니다. 어제 새로 번역한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을 맞이할 때 삼가 상서로운 구름이 상서로움을 드리우는 것을 보았습니다. 다섯 가지 색깔이 채색을 흩자 온 하늘이 혜일(慧日)을 안은 듯 더욱 선명하였으며 상서로운 바람을 따라 성스러움이 나타났습니다. 엎드려 생각해보건대, 폐하께옵서는 큰 도로써 만물에 그 덕이 미치게 하였으며 지덕(至德)으로 나라에 임하시니, 그 정성이 신령에 감응하여 이 상서로움이 내려오게 된 것입니다. 신 등은 직분이 분수에 넘치게 시위(侍衛)의 자리만 차지한 채 오래도록 맑은 바람에 목욕하다가 친히 이 상서로운 현상을 눈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 경사스러움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우은대문(右銀臺門)을 찾아가 표를 받들어 경하의 말씀을 진달하오며 아뢰나이다. 신 유선지 등은 참으로 황공하여 머리를 조아리며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寶應元聖文武皇帝)는 표에 대한 비답(批答)을 내려 말하였다.
“불이(不二)의 문에서 일찍부터 비장(秘藏)을 전해 왔는데, 다시 그 뜻을 베풀어 그 말씀이 널리 알려지기를 바랐었다. 특히 패엽(貝葉)의 글을 널리 펴서 이로써 연궁(蓮宮)에서 모임을 열게 하였더니, 하늘에 상서로운 빛이 나타나고 태양 아래에 경사스런 구름이 아름답게 떠있었다. 신통(神通)을 나타내서 그 상서로운 감응을 드러내었으니, 이는 화평의 조짐으로서 이를 경하하고 위문[慶慰]하는 마음은 마찬가지이니, 그 경하하는 마음을 알겠노라.”
이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하루에 두 번 법좌에 올라 경을 강의하고 하루에 두 번 도를 행하였다. 음식과 차ㆍ약 등은 모두 담당 관청에서 나왔으며, 육률(六律)과 오성(五聲)이 밤낮으로 끊어지지 않았다. 16일에 이르자 서명사에서는 재(齋)모임을 산회하였는데, 고악(鼓樂)과 현가(絃歌) 및 온갖 놀이들이 하루 종일 계속되었다. 서명사에서 강의를 끝마치고 나서 표를 올려 하례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태 원년 9월 10일에 서명사의 상좌사문 회감(懷感) 등은 삼가 표를 올립니다. 서명사의 상좌사문 회감 등은 말씀드립니다. 특별히 은명(恩命)을 받들어 백좌(百座)법회를 열어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을 강의하였사온데, 오늘로써 경전 강의를 모두 마치고 재를 마련하여 경하하며 일을 끝냈습니다. 여기에 모인 모든 중생들은 손뼉 치고 뛸 듯한 기쁨을 이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엎드려 생각해보니 폐하께옵서는 천지를 재조(再造)하시어 그 밝기가 일월과 같사옵니다. 옷을 드리우시는 여가에 다시 진경(眞經)을 번역하시니 성심(聖心)과 불심(佛心)이 함께 같은 진리로 귀결되었으며, 당나라의 말과 범어가 간격이 없어졌습니다. 다른 나라의 꽃을 꿴 듯한 게송이 갖추어 알려져 등불을 전하는 스님들이 보게 되었습니다. 금승(金繩)의 세계에 미륵불이 하생하였으며, 옥경(玉京:하늘 위에 옥황상제가 산다는 서울) 가운데에 금륜왕이 나타나셨습니다. 가을 하늘의 아름다운 경관 속에 곡식 농사도 곧 성숙하려 하는데 오색구름이 하늘에 떠올랐으니, 요망한 기운을 제거해 반드시 다 없어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 임금께서는 지극하신 성인이시고, 부처님의 힘은 지극히 자비하시어 법이 항하(恒河)의 모래알만큼 수많은 세계를 적셔 주시니 천하가 매우 다행하옵나이다. 회감 등은 분수에 넘치게 기수(祇樹:佛寺)에 깃들게 되어 뛸 듯한 기쁨이 그지없습니다. 머리를 조아리고 분향한다 한들 어찌 상감의 은혜에 보답하겠습니까. 그동안 공덕을 쌓은 사람의 수효는 별도의 장계를 쓰고 봉해서 진상하겠습니다. 삼가 표를 받들어 감사의 말씀을 올려 아뢰옵나이다. 사문 회감 등은 참으로 환희에 젖어 있습니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가 비답을 내려 말하였다.
“스님들은 진경을 연설하여 드러내었고, 묘한 뜻을 널리 펴서 인덕과 수명[仁壽]을 늘어나게 하였으며, 중생들을 구제하고 보호하였다. 법회가 이미 끝났다니 마땅히 함께 경하할 일이로다.”
이 때 대령군왕(大寧郡王) 복고회은(僕固懷恩)이 신분이 열사(列士)의 지위에 있었고 벼슬이 태사(太師)의 자리에 이르렀는데도, 천은을 배역(背逆)하고 멀리 영무(靈武) 땅에서 국경 지방의 추한 오랑캐들을 모아 풍릉(馮陵)과 경양(涇陽) 지방을 점거하자, 칙명을 내려 서명사의 백좌대덕들을 함께 자성사(資聖寺)의 백좌도량으로 가게 하였다. 영태 원년 9월 17일에 고품(高品) 이희일(李希逸)이 칙명을 받들고 이에 먼저 서명사로 가서 그곳의 백좌 대덕법사들과 함께 자성사의 불전에 나아가 나라를 위하여 경을 독송하고 도를 행하였다. 그때 자성사 백좌도량의 법사 양분(良賁)이 백좌 가운데 50좌로 하여금 전에 하던 것과 같이 『인왕반야호국경』과 『밀엄경』을 강설하여 널리 창생들에게 미치게 하였고, 경성의 모든 절의 스님들과 도관(道觀)의 도사들로 하여금 하루 두 차례씩 거처하는 곳에서 경을 독송하고 도를 행하게 하였다. 이어 삼강(三綱:승려와 도사들을 관장하는 관리)에게 명령하여 요사승(了事僧:일을 담당할 스님)을 차출하여 오로지 검교(檢校)만을 맡아보게 하고, 힘써 정밀하고 자세하게 닦는데 있어서 소홀히 하거나 태만하지 않게 하였다.
그때 양가(兩街)의 대덕들과 백좌법사들은 칙명에 따라 모두 자성사에 모여서 하루 두 차례씩 경전을 강독하고 두 번씩 법좌에 올라 경전을 독송하고 도를 행하였다. 그리하여 오시(午時: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와 날이 저물 때 음악을 진설하여, 초저녁에서 새벽까지 바꾸는 일이 없었다. 모두가 대강당 안에 모여서 소리를 같이 하여 ‘마하반야바라밀다(摩訶般若波羅蜜多)’를 칭념하며 나라와 집안을 위하여 근심과 두려움이 없기를 원하였다. 서울의 절과 도관에서의 독경ㆍ염불도 또한 그러하였다. 당시 제사(制使) 관내하중부원수(關內河中副元帥) 사도(司徒) 겸 중서령(中書令) 상주국분양군왕(上柱國汾陽郡王) 곽자의(郭子儀)가 병권을 받아[杖節]20) 출병하여 전쟁터로 나가게 되어 친히 군율을 총괄하고 서울을 출발하여 경양(涇陽)21)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하늘의 위엄을 믿고 또한 이 경에 힘입은지라 양군(兩軍)이 서로 대치하여 진(陣)을 치고 줄지어 서로 바라보면서 징소리와 북소리가 일어나며 칼과 창이 눈발처럼 교차할 때, 분양왕(汾陽王) 곽자의가 단기(單騎)로 직접 적의 앞으로 나아가 우뚝 군대 앞에 서서 감격어린 한 마디 말로 “회은(懷恩)아, 물러가라”라고 하니 서쪽 오랑캐와 북쪽 오랑캐들이 각자 서로 공격하여 10일 사이에 왕국이 크게 평정되었다. 이로써 『인왕호국반야진경』은 성심(聖心)이며 불심(佛心)이기 때문에, 온 나라 백성들을 자식처럼 길러 내는 그 뜻이 같다는 것을 알았다.
그런 다음에 병력을 거두어 규율을 정돈하고 군용을 떨치면서 서울로 돌아와 친히 천자의 용안[天顔]을 대하니, 특별히 하사품을 받는 은혜를 입게 되었다. 이어 자성사의 백좌도량에 칙명을 내려 10월 23일에 무차재(無遮齋)를 마련하여 경하의 뜻을 이루고 흩어지게 하였다. 이날 절의 남문(南門) 밖에 도량을 펴니, 모든 정일방(正一坊)과 동ㆍ서쪽 두 거리 안에 휘장과 천막이 구름같이 깔리고, 깃발과 꽃이 하늘을 찬란하게 수놓았다. 부처님의 존용(尊容)이 환연히 빛나 그 광명이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비추었다. 스님들의 공양이 끝나자 육악(六樂)이 다투어 베풀어졌고, 온갖 놀이가 큰 거리를 메웠으며 노래 소리와 나팔 소리가 밤새도록 계속되었다. 이날 서울의 대덕들에게는 각기 30필, 불공삼장에게는 9백 필의 명주ㆍ무명ㆍ비단 등이 선물로 제공되어 그 수효를 메웠으며, 시자와 소승(小僧)들에게도 각각 15필의 비단이 하사되었다. 또한 특별한 은지(恩旨)가 내려 자성사(資聖寺)의 강당을 영태선법지당(永泰善法之堂)이라 부르게 하고 어찰(御札:임금의 편지)로 방(牓)을 썼다. 이는 곧 천추만고에 전할 법문(法門)의 고사(故事)가 될 일이다.
국경 지방의 오랑캐가 경내로 들어오면서부터 밤에 승려들을 대강당에 모아 일제히 소리 내어 ‘마하반야바라밀다’를 염송하게 하니,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다른 생각이 없었는데, 여러 달이 다 차지 아니하여서 과연 태평하고 평화로운 세월을 얻게 되었으니, 이는 곧 성인의 힘이며 경전의 위력으로 이러한 복된 보응에 감응하게 된 것이다. 경전을 번역한 스님과 백좌도량의 스님들에게 보배와 재물이 하사된 것은 불법이 동방에 유입된 이래로 이보다 더 숭상된 적이 없었다.
그 후 11월 1일에 이르러 은지를 거듭 내려 칙명으로 불공(不空)삼장화상과 예전의 금강(金剛)삼장에게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라는 벼슬을 추증하고 이어 대홍교삼장(大弘敎三藏)이란 시호를 추증하였다. 이미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같은 날에 또 홍은(鴻恩:넓고 큰 은혜)이 내려졌는데 이어 그 홍은이 불공삼장에게까지 미쳤다. 불공삼장에게 다음과 같은 칙지가 내려졌다.
“불공삼장은 연화궁의 석종(釋種)이며 향계(香界)의 도사(導師)이다. 성품은 진여를 밝히고 학문은 비장(秘藏)에 정밀하였다. 감원(紺園:佛寺의 별칭)의 묘지를 이어 받아 사의(四依)22)를 열어 보였으며, 금구(金口:부처님 설법)의 미묘한 말씀을 번역하여 육취(六趣)의 진량(津梁)이 되게 하였다. 몸에 범협(梵夾)을 지니고 멀리 모래가 흩날리는 사막 지대[流沙]를 건너 더욱 밝게 등불을 전하여 두루 감로에 젖게 하였다. 화택(火宅:사바세계)에 자비의 구름을 뿌리고 유도(幽塗:귀신의 세계)에 지혜의 태양을 드러내며, 필요한 사람이 몸소 뛰어난 인연을 묻게 되면 널리 방편을 시현하여 영원히 의문의 그물을 끊게 하였:고 나의 지혜의 싹을 기름지게 하였다. 비록 대상 경계를 벗어난 마음으로 모든 명예로운 자리에 대해 사양한 사람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러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높이는 의식은 현철한 사람을 세상에 정표하는 방법이 된다. 이들을 황제의 가명(嘉命:조정에서 관작을 주는 칙명)에 응하게 함으로써 조정의 규칙과 일치하게 하여야 한다. 그에게 특진시홍로경(特進試鴻臚卿)의 벼슬을 내리는 것이 옳다.”
이어 대광지불공삼장(大廣智不空三藏)이란 법호가 내려졌다. 엎드려 듣건대, 어머니가 자식 때문에 귀한 신분이 되는 것은 속가의 예법에 변치 않는 규범이나, 스승이 제자로 인해서 영예를 얻는 것은 불문에서는 거의 없는 일이다. 이에 공손히 영광된 명을 받고 기쁨과 두려운 감회로 머리 위에 받들고 황공하여 어찌할 바를 몰라 표를 진달하여 감사함을 표하였다. 그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태 원년 11월 5일에 특진시홍로경 삼장 대흥선사 사문 대광지불공은 삼가 표를 올려 말씀드립니다. 이달 1일의 제령을 받들어 보니 예전의 대화상 금강삼장에게 개부의동삼사의 벼슬을 추증하는 것이 옳다고 하셨고 이어 대홍교삼장이란 시호를 하사하셨으며, 불공에게는 특진시홍로경의 벼슬이 하사되었고 이어 대광지불공삼장이라는 법호가 하사되었습니다. 한 차례의 비가 하늘에서 내려 뿌리와 나뭇잎을 적셔 윤택하게 하고 둥근 털에서 고운 빛깔이 일어나서 비춤이 유명(幽明:유형과 무형의 사물)에 미치게 하였습니다. 이 명을 머리 위에 받들고 방황하니 슬픔과 기쁨이 아울러 모여듭니다. 불공은 참으로 환희에 젖으면서도 처연한 생각과 두려운 생각에 젖어 있습니다. 불공이 들은 바에 의하면, 부처님의 십호(十號)는 덕을 표시하는 각각 다른 칭호이며, 벼슬아치의 구경(九卿)은 하도(河圖)를 상징하는 중대한 지위입니다. 예전의 대화상께서는 도가 등불을 전하는 데에 흡족하였으니, 참으로 입멸(入滅)하심으로써 그 유열(遺烈:후세에 길이 남는 공적)이 드러난 것이라 하겠으나, 불공은 법이 스승의 뒤를 이어 읍하였다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사람인데 헛되게 함께 황제의 큰 사은(私恩)을 입게 되었으니, 마치 연나라에서 나는 보잘것없는 돌멩이가 형산의 옥과 그 빛남을 뒤섞는 것과도 같고, 제나라에서 나는 대나무 막대기를 소상에서 생산되는 이름난 퉁소처럼 함부로 불어대는 것과 같습니다. 영광이 산자와 죽은자[存沒]에 함께 내려졌고 총애가 스승과 제자에 함께 미치게 되었으므로 공손히 받들고 두렵고 놀라 우러러 말씀드리려고 하여도 얼굴을 대하기가 부끄럽습니다. 더구나 출가하여 낙채(落彩)23)한 스님이란 본래 영욕(榮辱)을 잊고 정성만을 지닌 채 나라에 보답하는 것이 스님 된 사람의 공통된 규범입니다. 폐하께서는 널리 금륜(金輪)을 운행하시며, 곡진히 기왓장이나 자갈 같은 보잘것없는 사람을 거두어들이시어 이들을 이끌어 황제가 거처하시는 곳에서 선(禪)에 안주하게 하시고 찬양하고 추숭하는[褒崇] 특수한 예를 표하시니, 비록 산을 등에 업을 힘은 없으나 자취를 밟아 물가에는 가까이 갈 수 있습니다. 은거하는 법류(法流)를 훼손시키고, 소욕(少欲)하는 맑은 자취에 오점을 찍게 되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면대해서 세 번 사양[三讓]한 공덕을 상주하여, 말이 구중궁궐을 번거롭게 한 것은 저의 간절한 정성을 심히 비추어 보시기를 바란 것이지, 어찌 확고하여 움직이지 않는 뜻이 있었겠습니까? 양이 끄는 수레에 탄 어린 아이가 광지(廣智)란 법호를 부끄럽게 생각하여 망연자실하고 있으며, 녹원(鹿苑)에 사는 낮은 재목감이 홍로(鴻臚)란 벼슬을 부끄러워하면서 심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지극한 감대(感戴)24)의 정을 감당할 수 없어 삼가 표를 받들어 사은의 말씀을 올려 아뢰옵니다. 사문 불공은 참으로 환희에 젖어 있습니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비답을 내려 말하였다.
“화상께서는 도를 쌍림에서 전해 받았고, 공덕은 정각을 초월하여 멀리 천축으로부터 이 땅에 와서 진언을 유포시켰다. 얼마 전에 나는 화상에게 귀의할 수 있게 되어 친히 부처님의 부촉을 받았다. 찬양하고 추숭하는 법전에는 예법과 순서가 앞서는 것이며 인수(印綬:官印의 끈)의 영예를 더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스승과 제자 간의 공경함을 존중하고 아울러 총애로 인한 추증의 뜻을 펴서 추영(追榮)의 뜻을 표한 것이다.”
사은의 표를 올리는 일이 끝나자 그에 대한 답제(答制)가 다시 선포되어 존몰(存沒)에 얽힌 슬픔과 영광에 다만 감격과 위안만이 더해질 따름이었다.
다음으로 『대허공장보살소문경(大虛空藏菩薩所問經)』 8권을 번역하였다.
위 1부 8권은 영태 원년 6월 18일에 칙명에 따라 부주(鹿州)와 방주(坊州) 등 고을의 도방어사(都防禦使) 특진시(特進試) 태상경(太常卿) 사지절(使持節) 부주제군사(鹿州諸軍事) 부주자사(鹿州刺史) 겸 어사중승(御史中承) 상주국(上柱國) 정국공(鄭國公) 두면(杜冕)이 다음과 같이 상주하였다.
“선주(宣州)에서 실봉(實封)받은 일백호(壹伯戶)의 녹봉은 보응(寶應) 원년(762) 5월 19일에 칙명으로 하사받은 것입니다. 신은 본래 아무 공훈도 없는데 곡진한 은혜에 젖어 총애로 하사된 땅을 잘못 밟게 된 것이니, 성인의 자비에 보답하기를 원하여 지금 이를 회향하는 것입니다. 보응(寶應) 1년 이후 영태(永泰) 원년(765)에 이르는 동안 그 이전에 받은 봉록으로 대략 계산하여 1만여 관(貫)의 돈을 나라를 위해 회향하여 공덕 짓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보응 1년에 봉토(封土)받아 먼저 얻게 된 2500여 관의 서울에 도착한 몫은 흥선사의 불공삼장에게 분부하여 불경 번역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가 요청하여 도착한 봉물과 돈은 도량에서 지내는 재(齋)의 비용과 번역하고 초사(抄寫)하는 양식 등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공급해 주기를 청하오며, 그 가운데 아직 서울에 도착하지 못한 것은 먼저 아우인 담(紞)을 통하여 보내니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각각 경유하는 곳에 사람을 내려 보내 계속 공급하기를 바랍니다. 그 불경 중에 혹 아직 번역하지 못한 범협(梵夾)이 있으면 나라에 알려서 전역하기를 바랍니다. 고본(古本)이 비록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뜻과 의미가 아직 완전히 전해지지 아니한 것은 특별히 천은(天恩)으로 용무군장군(龍武軍將軍) 이원종(李元琮)에게 위임하여 이를 담당하게 하여 삼장 흥선사의 대덕 잠진(潛眞)과 함께 상량[量]하고 서울의 의학(義學) 대덕 10인이 함께 참여하게 하여 상세하게 번역하도록 하소서. 각기 21본을 베껴 써서 여러 도와 서울의 모든 사찰에 나누어 보여주어서, 곧 그것이 삼천세계에 전해지고 만 년 동안 유포시킴으로써 당나라에 신하 노릇을 하지 않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들에게서 봉만(蜂蠆:벌과 독충)의 형체가 없어지게 하고, 미친 오랑캐에게서 늑대와 이리의 발자국이 일소되게 하소서.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서 가없는 복덕을 받아들이시어 가없는 아름다움에 응하신다면, 어리석은 신의 미미한 정성으로 생사에 걸친 소원이 마치게 될 것입니다. 특별히 바라오니 성인의 자비로 신의 소청을 윤허하여 주시옵소서.”
이에 칙명을 내려 상주한 그대로 시행하게 하였다. 이때부터 여러 대승의 경전이 번역되었는데 먼저 『인왕경』ㆍ『밀엄경』ㆍ『인왕경염송법염송의궤』 등이었다. 영태 2년 경오(景午) 11월 12일에 연호를 바꾸어 대력(大曆) 원년(元年)이라 하고 세차는 그대로 경오로 하였다.
다음으로 번역된 것이 『허공장보살소문경』이다. 이 경은 진(晉)나라 때부터 당(唐)나라에 이르기까지 모두 다섯 번 번역되었다.
첫 번째는 서진(西秦) 시대의 사문 성견(聖堅),혹 법견(法堅) 또는 견공(堅公)이라고 하는 이가 처음 한 본(本)을 번역하였는데 이는 『방등주허공장경(方等主虛空藏經)』이라 이름하였고, 혹 여기에 『허공장소문경』이라 하여 소문이란 두 글자를 더한 것도 있으며, 혹 『권발보살장엄보리경(勸發菩薩莊嚴菩提經)』이라고도 한다.
두 번째는 북량(北涼)의 담무참(曇無讖) 삼장이 다시 『방등대집경(方等大集經)』 60권을 번역한 가운데 이 경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음으로는 한(漢)나라의 지참(支讖)과 요진(姚秦)의 구마라집이 번역한 것이 있으니 이는 모두 『대집경』의 일부분이다. 『구록(舊錄)』에는 이를 합쳐서 『대집경』 안에 편입하였으나, 지금 이 목록에서는 이론과 뜻이 심오한 까닭에 다시 별도로 번역 출간하였을 따름이다.
이때는 대력(大曆) 4년(769) 12월 19일인데 불공 삼장과 서울의 대덕들이 장계를 갖추어 황제에게 아뢰자 곧이어 제령(制令)이 있었다. 거기에는 대성문수사리보살, 서울의 대덕 특진시홍로경 대흥선사 삼장사문 대광지불공 등이 상주한 것이라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수에 넘치게 치문(緇門)에 발자국을 남기고 오랫동안 범행을 닦았으며, 성전을 익히고 번역하게 되어 자못 현문(玄門)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대성문수사리보살의 대승밀교는 모두 끊임없이 이어지기 때문에 지금 오대산을 지키고 계셔서 복덕이 늘어나 조짐이 서민에 미치고 있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보응원성황제 폐하께서는 덕이 천지와 합치고 밝기가 일월과 나란히 하여 가없는 복이 우리 서민들을 편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엎드려 바라오니, 지금 이후로는 천하에 명하여 식당(食堂) 안의 빈두로(賓頭盧)25) 앞에서 밥을 먹는 사람으로 하여금 특별히 문수사리보살의 형상을 안치하여 상좌(上座)로 삼게 하소서. 이는 모든 성전에 명문의 승기율[僧祇]이 갖춰 있는 것으로 여래(如來)조차도 그 훈지(訓旨)를 받으셨으니, 모든 출가한 사람은 진실로 옷의 앞자락을 들어 올려 스승으로 모셔야만 합니다. 보현보살과 관세음보살도 오히려 불자[拂]를 손에 잡고 시자가 되었으며, 성문과 연각들도 역시 수(篲)를 가슴에 안고 그 뒤에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곧 오천축국이 모두 그렇게 하고 있는 일이며, 저희 승려들의 비루한 견해가 아닙니다.”
그리고는 이어 길이 변함없는 법식이 되게 하여 달라고 요청하였다. 그러자 중서문하(中書門下)에서 사부(祠部)에 보낸 통첩이 있었는데 그 내용은 이러했다.
“칙명을 받들라. 대성문수사리보살은 법왕의 아들이시다. 위덕이 특히 존귀하시어 모든 부처님의 도사(導師)가 되시었으며 중생들의 마음의 눈을 씻어 주시고 우리 억조 서민을 편안하게 하고 계신다. 이 덕은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저 부처님을 존숭함이 없다면 사람들이 어찌 우러러 바라보겠느냐? 지금 서울의 대덕들이 간곡히 이 일을 신주(申奏)해 왔는데 이것은 정녕 성전과 합치된다. 그들이 요청한 일은 꼭 그대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통첩이 이르자 칙명인 옛 첩지에 준하게 되었다. 그 『허공장보살소문경』은 곧 대종(代宗) 예문효무황제(睿文孝武皇帝) 대력(大曆) 연간에 출간된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번역본으로 특진시홍로경 대흥선사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범어 원문을 번역하여 펴낸 것이다. 엎드려 생각하면, 삼장화상은 학예(學藝)가 높고 깊으며, 신의(神儀)가 뛰어나고 아득하였다. 유가삼밀(瑜伽三密)에 있어서도 남천축국에서 독보적인 존재였으며 오로지 일승에 온 정성을 기울이니, 모두 그를 동하(東夏)에 추천하였다. 두 지방의 세속적 논의를 깨우쳐 주었고, 성명학[聲明]에 더욱 능통하여 오부(五部)의 진언에 통달하였으며, 법인(法印)을 다 통해 아셨다. 조서를 받들어 번역한 책은 훌륭히 그 진수를 얻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 경은 법성(法性)의 대승으로 문리(文理)가 소명하게 밝혀져야 하는 것인데, 전역된 지는 비록 오래 되었으나 세간에서는 아직 이를 받아 간직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마치 구슬을 옷 속에 매달아 놓은 것과 같고 금은보화가 방 안에 숨겨져 있는 것과 같아서, 이것을 능히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대사 밖에 없다. 전 부주방(鹿州坊)의 방어사(防禦使) 겸 어사중승(御史中丞) 정국공(鄭國公) 두면(杜冕)은 충성으로 임금님을 받들고 효도로 어버이를 편안하게 하며, 의리를 존중하고 재물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이다. 그가 봉토의 논전을 보시하여 번역을 요청하였고, 또한 서울의 삼학(三學) 대덕들에게 요청해서 함께 법회를 높여 주기를 바랐다. 강론대덕(講論大德) 대안국사(大安國寺) 상좌사문(上座沙門) 자린(子鄜)이 필수(筆受)하였고, 대흥선사(大興善寺) 상좌사문 잠진(潛眞)이 윤문하였으며, 임단대덕(臨壇大德) 서명사(西明寺) 상좌사문 승여(乘如)가 증의하였다. 강론대덕 장경사(章敬寺) 상좌사문 봉국(奉國)과 임단대덕 천복사(千福寺) 사문 비석(飛錫)과 강론대덕 승광(勝光) 사문 신효(神曉)와 서명사주(西明寺主) 사문 도액(道液)과 서명사 도유나(都維那) 사문 귀성(歸性)과 임단대덕 대천복사(大薦福寺) 사문 여정(如淨)과 대흥선사주 사문 원경(圓敬) 등이 모두 함께 내용을 증명하였다. 역어대덕(譯語大德) 천복사(千福寺) 사문 법숭(法崇)이 범어 원문을 증명하여 다 같이 『대허공장보살염송법』 한 권을 번역하였다. 두 번 세 번 상세히 교정(校正)하면서 번거로운 부분과 거친 표현 등은 잘라내고 삭제하여 함(函)에 넣어서 장엄하니 그 빛남이 사람들의 눈을 밝게 하였다. 그 후 대력(大曆) 6년 10월 12일에 특진시홍로경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삼가 대종(代宗)황제의 탄신일을 기해 표를 올렸는데 그 내용은 이러했다.
“사문 불공은 말씀드립니다. 불공은 어릴 때부터 선사이신 대홍교삼장화상을 섬기고 그 가르침을 들은 지 어언 24년, 그 동안 유가(瑜伽)의 법문을 품수 받았고, 그 후 오천축국을 돌아다니면서 미처 가르침을 받지 못했던 것을 찾고 구하며 아울러 여러 경ㆍ논을 찾아 다시 거듭 이를 배우고 익혔습니다. 그 결과 얻은 범어 원본의 유가 진언과 경ㆍ논 등이 모두 5백여 부에 달하였습니다. 이것을 받들어 국가를 위하여 성인의 말씀을 소상하게 번역하여 복우(福祐)를 널리 숭상하고자 천보(天寶) 5년(746)에 그곳에서 물러나 상도(上都)에 이르렀습니다. 그리하여 현종(玄宗) 황제의 은명(恩命)을 받들어 대내[內]에 도량을 건립하고, 가지고 온 범어 경전을 모두 번역하는 일을 허락받았습니다. 그 후 숙종(肅宗) 황제께서 하늘과 필적할 만한 덕이 있으므로 성인의 자리를 이어 받으시게 되자 윤지(綸旨:황제의 말씀)를 받들어 내전의 도량에 호마(護魔) 및 관정법(灌頂法)을 건립하였습니다. 또한 나라를 위하여 경전을 번역하여 황제의 덕화[皇化]를 베푸는 일을 도우면서 여러 번 두 성군(聖君)의 은칙을 받들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선대의 삼장이 가지고 있던 범어 원문을 모두 찾아보게 하여, 그 가운데 환색(絙索:큰 목록)에서 탈락된 것이 있으면 이를 모두 수보(修補)하게 하고, 그 가운데 아직 번역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 계속 번역하기를 글을 올려 아뢰었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서는 황제의 운명[皇運]을 이어 받으시어 크게 중생[含靈]들을 비호하시며, 널리 복전을 열어 다시 일월(日月)을 밝게 하셨습니다. 황제의 은혜가 먼 곳까지 미치고 법(法)의 비가 골고루 내리니, 사해가 한집안의 마음이 되고 만방이 기뻐하며 지극히 공경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부처님의 부촉이 진실로 성군(聖君)에게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불공은 분수에 넘치게 넓고 두터운 은택을 받아 영광되고 다행스러움이 실로 깊어 밤낮으로 어떻게 하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할까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먼저 선황(先皇)의 성제(聖制)를 받들어 미언(微言:뜻이 깊은 말)을 천명하게 하였고, 다시 폐하의 은명(恩明)을 받들어 공손히 유지(遺旨)에 따라 다시 번역으로 나날을 보내면서 중생들을 이롭게 제도하려 하였습니다. 비록 저희들이 사시(四時)에 정근하였다고 하더라도 아직 성은의 만분의 일도 갚지 못하였습니다. 그런 까닭에 낮과 밤으로 구구하게 진언과 대승 경전만을 번역하면서 물방울같이 미미한 정성을 이루어 위로 황도(皇道)를 돕게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동안 번역한 금강정유가법문(金剛頂瑜伽法門)은 성불하는 가장 신속하고 빠른 길입니다. 그것을 수행하는 사람은 반드시 단번에 범부의 경계를 초월하여 피안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밖의 다른 부(部)의 진언도 모두가 부처님의 방편이며 그 종류가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또한 번역한 여러 가지 대승의 경전도 모두가 위로 나라를 도와 재액과 위난을 그치고 소멸하게 하며, 별들이 어그러지지 않고 비바람이 순하고 고르게 하여, 우러러 부처님의 힘을 믿고 국가를 보필하여 이루게 하는 경전들입니다. 전후로 해서 찬집하여 번역을 마친 것이 개원(開元) 연간에서부터 지금 대력 6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101권 76부에 달합니다. 아울러 목록 한 권과 필수(筆受)한 스님과 속인의 이름을 적어 베껴 쓰기를 이미 끝내고, 삼가 폐하의 강탄하신 날을 맞아 삼가 갖추어 진봉하여 진언의 복우(福祐)를 얻어 길이 성궁(聖躬)을 보호하고, 대승의 위력으로 나라 안이 길이 강녕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아직 번역되지 않은 경전 가운데 오직 국가를 호지하고 생령들을 윤택하게 할 만한 것이 있으면 계속 번역하여 아뢰겠나이다. 지극히 경건한 정성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표를 받들어 아뢰옵나니, 사문 불공은 참으로 황송하고 참으로 두려워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다음과 같은 비답을 내렸다.
“화상께서는 일찍이 선대 조정을 섬겨 오묘한 교리를 널리 천양하시고, 이 패엽(貝葉)경전을 연설하시어 널리 미진(迷津)26)에 나타내 보이셨다. 나는 선대 황제의 웅대한 계획을 이어 받고 공손히 예지(睿旨)를 들었다. 화상께서는 더욱 자세하게 번역하여 지금 권축(卷軸)을 이어 마치시고 길이 생령들을 제도하시니, 깊이 가상하고 찬탄할 만한 일이다. 마땅히 안과 밖에 선포하고 일체경(一切經)의 목록에 편입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그 달 22일에 중사(中使) 이헌성(李憲誠)이 칙지를 받들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덕들은 요즘 번역하느라 노고가 많았습니다. 불공삼장에게는 비단과 명주 등 모두 8백 필을 하사하는 것이 마땅하고, 함께 번역한 10명의 대덕들에게도 각각 비단 30필을 하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공경히 묻건대, 여러 스님들은 점차 날씨가 추워지는데 모두들 잘 계십니까?”
대덕들은 다음날 사은의 말씀을 아뢰었다.
“대력 6년 10월 23일에 경전을 번역한 대덕 대흥선사의 상좌사문 잠진(潛眞) 등은 표를 올리나이다. 잠진 등이 말씀드리옵니다. 삼가 이 달 22일에 중사 이헌성이 이르러 봉선(奉宣)한 성지(聖旨)를 받들어 보니, 경을 번역한 열 사람의 대덕들에게 각기 비단 30필을 하사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잠진 등이 듣건대, 교(敎)를 드리우신 사람은 법왕으로서 삼계의 왕이 되어 자취를 나타내 보이셨으며, 교를 실행하는 사람은 임금으로서 사해의 주인이 되어 교를 유포하고 전하십니다. 법왕이 아니면 사구(四句)의 글을 개진할 길이 없고, 임금이 아니면 일승의 진리를 천명할 길이 없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보응원성문무황제 폐하께서는 도가 천지와 합치하고 은혜가 초목에까지 미치시며, 전륜왕으로 즉위하시고 관정(灌頂)으로 칭존(稱尊)하사 자비 방편의 문을 운용하시니, 홍선(弘宣)을 부촉하는 자리에 마땅합니다. 이번에 번역한 『인왕경』ㆍ『허공장보살소문경』ㆍ『밀엄경』 등 80부의 경은 모두가 원음(圓音)의 지극한 가르침이며 보계(寶界)의 진실한 말씀입니다. 미래도 없고 과거도 없는 몸은 상주(常住)하는 법신이며, 불생불멸하는 모든 부처님은 곧 자기 마음의 부처입니다. 허공을 가리켜서 창고로 삼고, 색상을 나타내고 장엄하시어 유가(瑜伽)의 무궁한 법문을 연설하시니, 이것이 진언이어서 다하지 않는 것을 알게 됩니다. 스스로 재주와 행동이 모두 아름답고 선정과 지혜가 모두 조화된 사람이 아니라면, 어찌 미묘한 법을 떨쳐 일으키고 심오한 진리를 널리 베풀 수 있겠습니까? 대광지불공삼장화상께서는 말은 두 지방 언어에 능통하시고, 수행은 삼밀(三密)에 능통하시어 정만여래(淨滿如來)의 가지(加持)하시는 힘을 얻고, 보응명주(寶應明主)의 널리 보호하는 인연을 받들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이론과 논리를 소명하게 밝혀서 문구가 불꽃같이 빛나게 되었습니다. 잠진 등은 영취산의 미세한 먼지요, 기원(祇園)의 작은 나뭇잎 같은 존재로서 지식과 지혜가 어둡고 비천하며 학문과 기예가 용렬하고 얕은데도 요행이 하늘의 돌보심을 입어 분수에 넘치게 경전을 번역하는 자리에 있게 되었습니다. 성인의 힘으로 굽어보시고 가피하심을 받아 찬양하고 윤색함으로써 끝마무리를 얻게 되니, 비록 어리석고 눈 먼 소경이긴 하지만 오히려 그 경사롭고 위안됨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물며 위로 하늘의 자비심과 계합하게 되어 이것을 중외에 선포하는 것이 허락되었고, 이어 비단을 하사하심으로써 우졸한 저희들을 빛내 주셨으니, 모든 법문에 있는 사람으로서는 그 경사롭고 다행함을 이기지 못하옵나이다. 이 일상과 다른 지극함을 머리 위에 짊어지고 매는 것을 감당할 수 없어 삼가 중사 이헌성 편에 붙여 표를 받들어 사은의 말씀을 진달하여 아뢰옵나이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가 비답을 내렸는데 그 내용은 이러했다.
“스님들은 도행이 정밀하고 깊으며 지식이 넓고 원대하여 삼승(三乘)의 오지(奧旨)와 십엽(十葉)의 유편(遺編)을 번역하고 유행시켜 국가를 이롭게 하고 제도하였기에 엷게 하사의 명을 편 바 있는데 번거롭게 사은하기에까지 이르렀구나.”
그 후 대력 7년 정월 27일에 이르러 특진시홍로경 대흥선사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삼장이 이미 묵제(墨制)27)의 은총을 입어 특별히 유행하는 일이 허용되자 뛸 듯이 기뻐하며 황공해하면서 표를 올려 사례하였다.
“사문 불공은 말씀드립니다. 중사 이헌성이 성지를 받들어 선포하기를 ‘새로 번역한 경전의 목록을 보내고, 모든 도에 칙명을 내려 제령에 회답하여 경을 진상하게 하고, 모든 도에 칙명을 표하여 특별히 중외에 시행케 하라’라고 하였고, 이어 일체경의 목록에 편입하게 하시니, 이 칙지를 머리 위에 받들고 기뻐 뛰고 짊어지면서 참으로 기쁘고 송구한 마음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다시금 찬탄하고 다시금 부끄럽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서는 법왕의 부촉을 받으시고 인심의 지원(志願)을 만족시키셨습니다. 보현보살의 밀인(密印)을 지니시고, 천자의 정교(正敎)를 행하시어 황제의 병풍을 둘러친 팔방에 지혜의 태양을 밝게 비추시고, 경각 사이에 만물에 넓은 은택을 쏟아 부으셨습니다. 이는 곧 온 천하에 매우 다행스런 일이거늘, 하물며 이 불공에게 있어서야 더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그러나 이 불공이 번역한 성전은 40여 년에 걸쳐서 삼조(三朝:삼대의 조정) 이래로 공덕을 기리고 닦은 것으로, 그 뜻이 불법을 선전함으로써 위로 왕실을 돕고 아래로 생령들을 윤택하게 하려 한 것입니다. 오랫동안 품어온 소원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줄을 어찌 생각인들 했겠습니까? 성은이 광대하여 누겁(累劫)이 지나도 갚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다시 번역을 특별히 허락하셨으니, 이는 아직까지 번역되지 않은 범어의 원본이라 갑절이나 슬픔과 기쁨이 더해집니다. 감히 마음과 힘을 모두 다하여 성지를 받아 계속 번역해서 진봉하겠나이다. 지극한 은총을 품어 기쁨과 송구함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중사 이헌성에 인연하여 표를 받들어 아뢰옵나니, 사문 불공은 참으로 기쁘고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비답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화상께서는 오래 전에 보리를 증득하시어 부처님의 지견(知見)에 드신 분으로서, 번역하신 경전이 모두 정미(精微)한 종지를 훤하게 밝힌 것이다. 이에 시행하도록 명하여 지혜의 비춤을 전하고, 온 천하에 반포[頒示]하여 널리 함령(含靈:중생)들을 제도하려 한 것인데, 아직 자비의 뱃길이 빛나지도 아니하였거늘 번거롭게 진사(陣謝)하기에 이르렀구나.”
다시 그해 10월 16일에 이르자 중서문하(中書門下)에서 불공삼장에게 통첩이 내려 왔다. 그 통첩은 칙명을 받들어 서울과 천하의 비구ㆍ비구니들로 하여금 절 안에서 각기 뛰어난 한 곳을 가려내서 문수사리보살원을 설치하게 하였고, 이어 각각 본주(本州)에 위임하여 고을의 장관이 곧 사찰의 수집(修葺:집을 고치고 지붕을 새로 이는 일)을 담당하고, 아울러 문수보살상을 소성[塑]하고 채화(綵畫)로 장식하게 하였다. 공사가 끝나면 각기 그림으로 그려서 장계를 갖추어 상주하여 아뢰도록 하고, 다시 절 밖에서 따로 불상을 조성하여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통첩이 이르자 전의 통첩에 따랐다. 그 달 27일에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표를 올려 감사를 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이러했다.
“사문 불공은 말씀드립니다. 엎드려 살펴보건대, 이 달 16일에 특별히 칙명으로 서울과 지방에 있는 모든 비구와 비구니들로 하여금 절 안에서 각기 뛰어난 한곳을 가려 대성문수사리보살원을 설치하고, 아울러 문수보살상을 소성하고 채화로 장식하게 하셨습니다. 불공이 듣기에 오직 성인만이 법을 만드시는데, 그 덕은 하늘을 움직이시고 그 혜택은 생령들을 적셔 주시니, 그 은혜가 하늘에 떠있는 해와 달 같다고들 합니다. 불공은 참으로 기쁘고 참으로 감사하여 이에 흐뭇하여 뛸 듯이 기뻐하고 있습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옵서는 법왕의 현묘한 조화를 열고 비상한 복전을 개척하시었으며, 문수보살의 진용(真容)을 건립하셔서 온 하늘 아래 백성들이 우러러 바라보게 하시니, 승려의 입장에 있어서는 그 영광과 행운이 더욱 깊습니다. 또한 문수성자는 곧 모든 부처님의 조사로서 대자 대비한 큰 원으로 정각을 취하지 아니하시고, 대승으로 인도하시어 그 이익됨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석가여래께서 앞서 현기(懸記)28)함이 있었으며, 일승의 전고(典誥:전적)가 그 흥성함을 중화(中華) 땅에 있게 하였으니, 곧 지극한 성인ㆍ제왕이 나타나 반드시 대승으로 나라를 다스릴 때가 있게 될 것이라 하였습니다. 그 후 8백여 년이 지나면서 역대의 제왕 가운데 성인과 현인도 많았습니다만 폐하와 같은 황제는 아직 없었습니다. 불공은 무슨 행운으로 살아서 성조(聖朝)를 만나 부분적으로나마 대승을 닦고 문수사리보살을 섬기고 받들게 되었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항상 성인의 진언으로 받들어 국가를 위하여 지니고 독송하여 늘 호념(護念)을 입어 그 은덕이 날이 갈수록 더욱 깊어졌습니다. 낮이나 밤이나 이를 생각하면서도 위에 보답할 길이 없었는데, 뜻밖에 홀연히 하늘의 자비가 두루 만물을 적셔 주어 해묵은 정성에 기름지게 드리워졌습니다. 잠자는 것도 그만 두고 밥 먹는 것도 잊어 슬픔과 기쁨을 맡길 곳이 없습니다. 머리 위에 받들고 어깨 위에 짊어질 지극한 감사의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중사 양귀진(楊貴珍)의 편에 붙여 표를 받들어 경하의 뜻을 진달하오며 아뢰옵니다. 불공은 참으로 기쁘고 참으로 즐겁습니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비답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성인 문수보살님은 오래 전에 정각의 위계에 오르시어 중생들을 삼계에서 구출하시고 독룡을 오봉(五峯)에서 진압하셨다. 그 자비의 도는 깊으시며 널리 제도하시는 공(功)이 멀다. 그런 까닭에 석가 대중[釋衆]으로 하여금 다 같이 이에 귀의하게 한 것이다. 삼장은 범역(梵域)의 종사(宗師)이니 아마도 깊이 위안이 되고 마음에 들것이다. 경하하는 마음은 알겠다.”
그 후 대력(大曆) 8년 정월 8일에 중서문하(中書門下)에 다음과 같은 칙명이 내렸다.
“『신역대허공장보살경(新譯大虛空藏菩薩經)』[흥선사(興善寺)의 대덕 잠진(潛眞)법사를 초청해서 보수사(保壽寺)에서 강의하였고, 자성사(資聖寺)의 대덕 도액(道液)법사를 초청해서 서명사(西明寺)에서 강의하였다.]은 특진시홍로경 대흥선사의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삼장이 앞에 말한 안건의 경을 조서를 받들어 반포하고 발행한 것인데, 일찍이 한 번도 개천(開闡)되지 아니한 것이다. 이것을 만약 칭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성인의 공적을 세상에 표명할 수 있겠는가? 그리하여 위의 안건에 대하여 대덕들이 모두 서술한 소(疏)가 이미 이루어졌고, 동서 양가(兩街)의 대덕들을 청해서 각기 한 사찰에서 항상 이 경을 강의하여 복덕의 강물이 잠잠히 흘러가 위로 성수(聖壽)를 돕기를 바라게 되었다. 이 칙지를 받들어 통첩하는 것이니, 마땅히 통첩대로 시행하여야 한다. 통첩이 도착하거든 칙명인 고첩(故牒)에 준하여 시행하도록 하라.”
이에 앞서 대력(大曆) 6년에 칙명이 있어, 삼장에게 『대성문수사리보살불찰공덕장엄경(大聖文殊舍利菩薩佛刹功德莊嚴經)』을 번역해 줄 것을 청하였다. 전기와 기록에서 해설한 것을 살펴보니, 이 경은 진(晉)나라 때부터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모두 세 차례의 번역이 있었다.
첫 번째는 서진(西晉)시대 혜제(惠帝) 태희(太熙) 원년(元年) 경술(庚戌)년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하여 『문수사리불토엄정경(文殊師利佛土嚴淨經)』이라 이름 지었으며, 두 권으로 엮어 『엄정불토경(嚴淨佛土經)』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문장의 기세가 고풍스러운 것이 많아 말이 간결하고 내포된 이치가 그윽하였다.
두 번째는 황당(皇唐:大唐) 천후(天后:측천무후) 시대인 구시(久視) 원년 경자(庚子)년에 우전국[于闐]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陁), 당나라 말로는 희학(喜學)이 서울의 청선사(淸禪寺)에서 번역하여 『문수사리수기경(文殊師利授記經)』이라 이름 지은 것으로 3권으로 엮었다. 현범(玄範)법사가 필수(筆受)하고 복예(復禮)법사가 윤문한 것으로 문장의 체세(體勢)가 『화엄경』과 비슷하고 범어의 뜻이 교략(巧略:솜씨있게 줄여 생략한 것)에 가까웠다.
세 번째는 대종(代宗) 예문효무황제(睿文孝武皇帝) 대력(大曆) 6년에 번역한 것이다. 번역한 대덕은 『허공장보살소문경』을 번역한 대덕과 같다. 어사중승(御史中丞) 두면(杜冕)이 봉토의 녹전을 희사하고, 번역을 요청하여 대력 8년 5월에 사본(寫本)의 장정이 비로소 이루어져서 단옷날에 보배 함에 봉해서 황제에게 진상하였다. 이때 사문 불공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엎드려 은지를 받들고 『대성문수사리보살불찰공덕장엄경』을 번역하였습니다. 하늘의 힘이 호지하여 권축(卷軸)의 공을 마쳤습니다. 증의(證義)하고 필수한 스님과 속인의 이름, 연ㆍ월ㆍ일ㆍ장소 등도 함께 끝 편에 나열하여 기록하였습니다. 지금 단옷날에 인연하여 삼가 진봉(進奉)하는 바입니다. 불공은 참으로 기쁘고 참으로 송구하옵니다. 불공이 듣기로는, 가르침을 여신 분은 부처님이며, 이를 널리 전하는 사람은 군주라 하였으니, 불사를 시행하는 사람은 성주(聖主)가 아니고 누구이겠습니까?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옵서는 해와 달을 황도(黃道)에서 되돌려 놓으시고, 비와 이슬을 창생들에게 드리우시어 사람들의 심정[物情]을 윤택하게 적셔 주셨습니다. 그 가운데서도 승려들이 특히 행운이 많아서, 분수에 따라 자기를 성찰하여 어떻게 보답해야 좋을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그러나 이 경은 모든 수행의 근원이며, 정토의 다른 이름입니다. 보살의 큰 서원과 공덕의 장엄과 삼매의 신통력과 부처님의 법인(法印) 등을 구족하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잠시 듣고 따라 기뻐하기만 하여도 그 복덕이 무궁무진하거늘, 하물며 이 경을 독송ㆍ수지하는 공덕이야 어찌 한량이 있겠습니까? 이 법의 이익으로 은혜의 만 분의 일이라도 갚게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특히 바라옵건대, 천은으로 천하에 명령하시어 큰 절에는 일곱 명의 승려로, 작은 절에서는 세 명의 승려로 하여금 새로 설치한 문수원(文殊院)에서 오래도록 나라를 위하여 이 경을 강선(講宣)ㆍ독송케 하고, 결원(缺員)이 생기면 계속 그 자리를 메우게 하여 힘써 법음(法音)이 서로 이어져 전등이 단절되지 않게 하여서 영원히 온 나라 안이 평안하게 하고, 길이 성궁(聖躬)을 수호하게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성된 소원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표를 받들어 올려 아뢰옵나이다. 사문 불공은 참으로 황송하여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그 후 다시 10월 13일에 이르러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장계와 함께 『대성문수사리보살불찰공덕장엄경』 1부 3권을 진상하였다.[아울러 보축함(『寶鈿函)도 함께 진상하였다.]
“이것은 불공이 앞서 윤지(綸旨)를 받들고 지금 이 경을 번역하게 된 것이온데, 천은이 굽어 비추시어 모두를 이미 이룩하였습니다. 당나라 말과 범어를 참조 비교하여 번역할 말과 음을 결정하였으며, 번역한 연ㆍ월ㆍ일과 장소, 필수(筆受)ㆍ증의(證義)한 승려와 속인의 이름을 함께 책 속에 기록하였습니다. 문수보살의 일의 자취와 연기(緣起)의 근본 이유에 관해서도 처음 발심하기 시작해서부터 마지막 정각에 이르기까지 정토를 장엄하신 일이 이 경에 갖추어 기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모든 부처님의 진리의 바탕과 보살들의 수행문과 법계(法界) 유정(有情)의 무생(無生) 실상이 분명히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공덕은 광대하여 다른 경에서는 그 짝을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 뛰어난 인연이 위로 성조(聖祚:천자의 지위)의 뒷받침이 되기를 바랍니다. 엎드려 비옵건대, 이 경을 온 세상에 선시(宣示)하시어 생령들을 복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특히 천은(天恩)으로 옳다고 하신 새로 설치한 문수원에 큰 절에서는 일곱 명의 승려를, 작은 절에서는 세 명의 승려를 오래도록 배치하여 나라를 위하여 이 경을 강선(講宣)하고 송습(誦習)하게 하며, 결원이 생기면 계속 그 자리를 메우게 하여 주시기를 바라나이다. 이것은 법등(法燈)이 계속 밝혀져 단절되지 않게 하는 일이니, 신령한 신이나 모든 중생들 가운데 누구인들 기쁜 마음이 되지 않겠습니까? 다행히 윤왕(輪王)께서 강탄하신 날을 맞아 하늘세계와 인간세계가 함께 기뻐하고, 축하하며 같이 환희하여 큰 복덕과 최상의 이익과 수산(壽山:산과 같은 수명)을 비옵나이다. 원컨대 법의 강물이 성해(聖海)에 첨가되기를 바라며, 삼가 장계를 올려 아뢰옵나이다. 천은으로 이를 윤허하신다면 바라건대 묵칙(墨勅)을 내려 주시옵소서.”
대광지불공삼장화상의 본래의 휘(諱)는 지장(智藏)이고, 법호는 불공금강(不空金剛)이며 범어로는 아목거발일라(阿目佉跋日囉)이다. 그는 본래 서역 사람인데, 예전에 대홍교금강지삼장(大弘敎金剛智三藏)화상을 섬겨 그에게서 진언을 품수하면서 24년 동안 제자로서 청익(請益)하였다. 대사가 세상을 떠난 후에, 본국으로 돌아가 오천축국을 찾아가서 범어 원본의 유가(瑜伽)를 갖추어 모두 펴서 열람하였다. 두루 유행하면서 인도를 구경하고, 다시 돌아와 제경(帝京)으로 찾아갔다. 그리하여 혹 황하 서쪽[河西] 지방에서 교화하기도 하였고, 혹 영남 땅에 자리 잡기도 하였으며, 혹 관내(關內)에 거주하기도 하였다. 혹 왕궁에서 거처하기도 하면서 진경(真經)을 번역하는데 침식(寢食)을 생각할 여유도 없었다.
그 후 천보(天寶) 말년(755)에 이르러 오랑캐의 병마가 관중으로 들어 왔는데, 지덕(至德) 2년(757)에 경락(京洛:서울)을 수복할 수 있게 되자 화상은 친히 성지(聖旨)를 받고 관정사(灌頂師)가 되었다. 왕비와 공주가 섬돌 아래로 내려갔고, 육궁(六宮)이 줄지어 예배를 드리면서 삼조(三朝)에 걸쳐서 총애와 대우를 받았다. 그는 항상 도량을 세우고, 깊고 미묘한 진언을 상세하게 고증하면서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그리하여 내궁에서 번역하는 것은 번역을 마치자마자 황제에게 알려져서, 혹 이미 널리 펴서 유행된 것도 있고, 혹 아직 궁중[中禁]에서 머물고 있는 것도 있다. 그 가운데 이미 얻은 것은 갖추어 앞에 기록한 것과 같이 목록에 기록하였으나, 그 가운데 아직 얻지 못한 것은 일심으로 이를 구하고 찾고 있을 따름이다. 화상은 정근(精勤)하고 태만하지 않았으며, 많은 세월을 겪어 오다가 대력(大曆) 9년(774)에 이르자 미미한 병이 나타났다. 이에 제사(制使)가 수고롭게 병문안하고, 황제도 이름난 의원을 내려 보내서 침과 약이 계속하여 새벽에서 저녁까지 계속해서 이르렀다. 그 후 병이 차도가 없자 황제의 마음이 극히 불안하였다. 하늘같은 자비심이 굽어 비추어 관작과 봉토가 하사되었다. 대력 9년 6월 11일 다음과 같은 칙서가 내렸다.
“대도의 행해짐은 함께 다른 모습과 합치한다. 왕은 지극한 천리로 모두 정법에 귀의해야만 화성(化城)이 함께 이룩되는 것인데, 어찌 유교와 불교의 길이 다르겠는가? 그런 까닭에 전시대의 제왕들이 불교를 숭상하며 받들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며, 법의 교화가 널리 천명된 것은 시대와 함께 행해진 것이었다. 특진시홍로경 대흥선사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스님은 우리들의 종사(宗師)이며, 사람들의 배[舟]와 노[檝]에 해당하는 스님이다. 그는 초연하게 삼학(三學)을 깨달아서 앉은 자리에서 견취(見取)의 테두리를 벗어났고, 만행을 수지하여 항상 화멸(化滅)을 나타내 보였다. 율법을 손에 잡고 속박을 버려 계율을 수호하는 것을 위의(威儀)로 삼았다. 거룩한 가르침의 뜻을 이어 밝히고 찾아와 인왕(人王)의 청을 받아들였다. 나는 지난날 선대 조정 때에 일찌감치 도의 요점[道要]을 듣고, 그 후 부처님의 부촉을 감당하게 되면서부터 항상 귀의하는 바가 되어 늘 경을 손에 잡았다. 내전에서 법장을 열게 되면 앞자리에서 책상에 의지하는 것은 교서(膠序)29)의 예와 같이 하였고, 풍속에 따르는 것은 공동산[崆峒]의 물음30)에 비교되었다. 묘음을 원만하게 연설하고 밀행을 마음속에 간직하며, 물음을 기다렸다가 여여하게 설법하면 스스로 헤아려 모두 밝아졌다. 혼망(昏妄)한 마음을 씻어 제거하고 마원(魔怨)을 조복시켜며, 천인(天人)이 제도하는 문에서 마음을 씻게 되고, 용과 귀신이 신인(神印)에서 식(識)을 받게 되었다. 이는 처음부터 기(氣)로 재앙과 전염병을 소멸시키고, 그 복덕이 길상(吉祥)을 이루었기 때문이니, 진실로 생각하면 우리들에게 많은 것을 넓혀 준 것이며, 어찌 나만을 이롭게 하는 아름다움에 그치겠는가? 나라에는 일찍이 명질(命秩:명령ㆍ관작의 질서)이 있어 이것으로 우대하는 예를 펴게 되는 것인데, 스승을 얻은 것이 성대해지고 도를 맛보는 것이 더욱 깊어지는 것이다. 다시 억지로 이름 지어 줄 일을 생각하게 되었고, 이것으로 전날의 뜻을 밝히고자 한다. 무릇 묘계(妙界)에는 장엄하는 보살이 있고, 그 안의 품계에는 도과(道果)의 지위가 다르나 모두가 덕을 숭상하는 데 근본을 둔 것이니, 공경히 이 시대의 법전에 따라 스님에게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라는 벼슬을 내리는 것이 좋겠다.”
이어 숙국공(肅國公)에 봉하고 식읍(食邑) 3천 호(戶)를 하사하였다. 나머지 호칭은 예전과 같다. 삼장화상은 다시 은총을 입어 관작과 봉토가 새롭게 더해졌다. 그러나 기력이 점점 미약해져서 황제를 알현할 말미가 없어졌다. 그 달 15일에 이르러 개부의동삼사 숙국공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표를 지어 올려 이별을 고하였는데, 그 글의 내용은 이러했다.
“사문 불공은 말씀드립니다. 불공은 어려서 선사(先師)를 섬겨 이미 20년이 넘었습니다. 일찍 하늘의 은택을 입어 40여 년 동안 유가(瑜伽)의 법문을 베풀어 여러 성군(聖君)의 은면(恩眄:은혜롭게 돌봄)를 받들어 왔습니다. 폐하께서 임어(臨御:임금이 임함)하시면서부터 신하에 대한 은총이 점점 깊어지셨으며, 대신(大臣)에게 벼슬을 하사하심으로써 편안하게 거처하게 되었습니다. 황제께서 신분을 낮추시어 도를 물으시니, 쌓인 은혜가 중첩하여 세월을 따라 서로 이어져서, 비록 간곡한 정성을 다했다 하더라도 어찌 그 은혜의 만 분의 일이라도 갚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이슬 같고 번갯불 같은 생명이 한자리에 머물기 어려워 갯버들[蒲柳]같은 몸이 쉽게 노쇠하게 되었습니다. 한 번 침상에 눕게 되면서부터 봄부터 여름까지 폐하의 깊으신 돌보심으로 두 번 세 번 문안이 있었으며, 중사(中使)와 명의(名醫)가 도로에서 서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다만 고황(膏盲:명치)에 박힌 병은 비록 침과 약으로 치료한다 하더라도 살아남기는 어려우니, 생멸의 바탕을 어찌 그리워하고 아까워한다고 굳힐 수 있겠습니까? 홀연히 어젯밤부터 그 이후로 갑자기 기력이 더욱 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몸이란 자기 소유물이 아니기에 순식간에 마치고 사라지게 됩니다. 심신이 잠기고 쇠하게 되면 성조(聖朝:어진 임금의 조정)를 떠나는 예를 어기게 되니 연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불공은 나이가 중수(中壽)31)를 넘었으니 요절[夭逝]이라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지난날 남해를 건너 오천축국을 돌아다니며,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경전을 찾아다니고 아직 해득하지 못한 법문을 모으다가 얻게 된 『금강정유가(金剛頂瑜伽)』의 게송 십만 수와 여러 부의 진언 및 경ㆍ론 등 50여만 수의 게송을 모두 번역하여 조금이나마 나라의 은총에 보답하기를 바랐었는데, 어찌하여 숙원을 아직 끝내지 못하고 홀연히 나의 생애가 이미 다하게 되었는지 이것이 불공이 한탄으로 여기는 이유입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폐하께옵서는 모든 부처님의 자비와 혜택을 내려 주시어 아래로 사람들의 소원을 따라 주셨습니다. 불공은 앞서 『대성문수불찰경(大聖文殊佛剎經)』을 진상하였사온데, 성정(聖情)으로 곧 이어 나라 안팎에 반포[頒示]하는 것이 허락되었습니다. 엎드려 원하옵건대, 애처롭고 가엽게 생각하시어 임종의 한 마디 말을 잊지 마시고, 황가(皇家)를 기름지고 복되게 하여 길상(吉祥)한 운세가 만겁에 이어지기를 바라옵니다. 이것이 진실로 승려가 된 사람의 생사의 다행스럽고 영광스러운 일입니다. 오고(五鈷)의 금강령과 금강저[金剛鈴杵]는 선사께서 전수하신 물건인데, 아울러 은반자(銀盤子)와 보리자(菩提子) 및 수정(水精)으로 된 염주(念珠)와 합자(合子)32)도 아울러 모두 삼가 표와 함께 진상하고 봉헌하나이다. 종이를 대하니 설움이 복받쳐 마냥 눈물이 번갈아 흘러내립니다. 영구히 성군의 시대[聖代]와 이별하게 되니, 지극한 연모의 정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감사(監使) 이헌성(李憲誠) 편에 부쳐 표를 받들어 이별의 말씀을 아뢰옵나이다. 사문 불공은 참으로 슬프고 참으로 그리워 삼가 말씀드립니다.”
대력 9년 6월 15일에 개부의동삼사 숙국공 삼장사문 대광지불공이 표를 올리니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비답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화상께서는 행이 십지(十地)의 경지에 올랐었고, 오천축국에서 오셔서 유가(瑜伽)를 부연하시어 범협(梵夾)을 베풀어 유행케 하였다. 만 리 길을 두루 노닐고, 세 조정에서 여러 벼슬을 차례로 지내면서 성인의 말씀에 광택을 더하였다. 나는 친히 스승의 전수를 받아 하무(下武)33)의 흥운을 만났으며, 앞의 땔나무의 불이 옮겨 전한 것을 이어 받아서 보살심을 홍법하여 중생들을 위하였다. 병이 오래도록 낳지 않아서 문병을 하였으나, 크게 슬퍼하는 마음이 더욱 깊어진다. 마땅히 청한 대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 때 개부의동삼사 홍로경 숙국공 대광지불공 삼장화상은 표를 올려 하고 싶은 말을 다 아뢰고 나자 성은이 내렸다. 손수 쓴 제령이 문득 내려와 화상이 청한 것은 모두 그대로 시행하게 하니 눈물을 흘렸다. 이에 화상은 정(情)과 예(禮)를 펼 수 있게 되어 일심으로 관행을 닦으면서 오른편 겨드랑이를 바닥에 대고 발을 포개서 고요히 세상을 떠났다. 그러자 제자들이 통곡하면서 펄펄 뛰는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중사가 상주하여 황제에게 알리자 성상께서 크게 슬퍼하심이 남다르게 깊었다. 그리고 조정의 조례(朝禮)를 사흘 동안 폐지하고, 이에 중사를 내려 보내서 승람(僧藍:절ㆍ사원)을 찾아가 대중들을 선위(宣慰)하게 하였다. 이어 부조로 내린 명주 3백 필과 포백 2백 단(端), 백미ㆍ갱미(粳米:멥쌀)가 각기 다섯 수레였으며, 백밀가루도 역시 그러했다. 땔나무 열 수레, 기름 일곱 섬, 숯 세 수레를 하사 증정하였다. 모든 것을 서울에서 베푸는 것과 같게 하여 물건을 찾아보고 만약 기준삼아 견줄 곳이 없을 경우에는 상주해오면 곧 특별히 지급하여 보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그 달 28일에 내시 위수종(韋守宗)에게 칙명을 내려 명주 752필을 보내서 선사의 영탑(靈塔)을 조성하는 값에 충당하게 하였다. 그 후 7월 5일에 이르러 사공(司空)의 벼슬을 추증하니, 성군의 돌보심이 특별히 깊었다. 다시 시호(諡號)를 내리라는 칙명이 있었다. 그 칙서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적멸은 즐거움이 되기 때문에 진여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이고, 부촉은 인연이 있는 까닭에 그 일컫는 말씀을 존중하는 것이다. 지난날의 일을 닦아 그 가운데 혹 억지로 명호를 짓기도 하는 것이다. 고(故) 개부의동삼사 특진시 홍로경 숙국공 대흥선삼장 대광지불공은 덕이 성하고 도가 높아 내가 스승으로 우러러 본 분이다. 마음에 비밀히 법인(法印)을 지니고 수행은 육도의 문을 뛰어 넘었으며, 정미한 종지에 설하신 말씀이 있었으나 그 말씀은 광대하여 형상이 없었다. 비를 내려 적셔줌에 중생들에게 흡족히 전해졌고, 백 개의 등(燈)으로 전해 온 법이 두루 정각에서 밝혀졌다. 한편으로는 논리의 취향에 통달하면서 널리 유교와 도교에도 정통하여, 성인의 마음과 합치함이 마치 부절이 딱 들어맞는 것과 같았다. 나는 그의 도풍 앞에 순종하여 앞자리에서 도를 쌓은 지가 여러 해가 되었는데, 자비의 배는 한 곳에 머물지 않아 대들보 나무가 무너지고, 아름다운 음성이 영원히 막혀서 큰 슬픔이 남다르게 깊도다. 도를 논하는 관청에서는 뒤쫓아 스승의 예로 장엄하였고, 이어 시호를 더해 줌으로써 명실상부하게 하였다. 스님에게 사공의 벼슬을 추증하는 것이 좋겠으며, 이어 시호를 대변정광지불공삼장화상(大辯正廣智不空三藏和上)이라 내리는 것이 좋겠다.”
7월 6일 계묘일[癸卯]에 이르자 장례를 진설하여 성남(城南)으로 천신(遷神:영구나 유체를 옮기는 일)하여 다비공양을 올렸다. 이때 황제는 내급사(內給事) 유선학(劉仙鶴)을 파견하여 향과 차를 올리고 공경을 다해 대변정광지삼장의 영전에 제사지내게 하였다. 그 제문은 다음과 같다.
“생각하면, 영(靈)께서는 지식이 명오(明晤)하였고, 하늘에서 타고난 자태가 총달하였으며, 범행(梵行)을 숙세에 심었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도를 알아 그 수행 인연이 훌륭했고, 오천축국에서 빼어나게 뛰어나 두루 만 리 길을 유람하였다. 마음에 쌓은 것[心蘊]이 바다 같은 창고를 이루었으며, 중국과 오랑캐 말에 달통하여 패엽(貝葉)의 경을 전하고, 유가(瑜伽)의 가르침을 베풀어 억조 서민에게 널리 이익을 주셨습니다. 삼조(三朝)에 출입하면서 도는 말이 끊어진 데 있었고, 이치는 평등하여 자취가 없었습니다. 열반의 영원한 적멸로 지극한 성인과 같은 곳으로 돌아가심에, 향을 사르고 몸을 씻어 조화와 더불어 세상을 다하셨습니다. 나는 얼마 전 명료한 논리를 듣고, 예를 갖추어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맺었습니다. 오늘 영결하는 날 아침에 슬픔이 더욱 깊어 향과 차의 제수로 제사지내니, 혼령이 있다면 이를 비추어 보소서.”
이 달에 여러 재상과 대신, 궁중의 귀족, 신책육군(神策六軍), 어사대부 및 경성의 부윤(府尹)ㆍ상서(尙書)ㆍ복야(僕射)ㆍ시랑ㆍ열경(列卿)ㆍ제위(諸衛)의 장군들이 각기 제수를 갖추어 제례(祭禮)를 올렸고, 그 밖의 승려와 속인들의 조문객도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았다. 7일 새벽에 다시 표를 올려 감사의 뜻을 진달하였다. 그 표의 내용은 이러했다.
“초당사(草堂寺) 사문 혜랑(惠朗) 등은 말씀드립니다. 어제 7월 6일 선사의 다비날 저녁에 성군의 자비하신 애도로 사공(司空)의 벼슬을 추증하시고, 이에 시호를 대변정광지불공삼장화상이라 내리셨습니다. 그리고 밝게 나라의 예를 베푸시어 은총이 신도(神道)를 빛나게 하셨으며, 삼공(三公)이 보낸 애도의 정도 옛 법도를 넘는 성대함이 있었습니다. 화상이라는 칭호는 선대의 경전에 아직 실려 있지 않은 호칭입니다.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높은 하늘의 혜택이 강과 바다를 적시어서 끝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저승길에 오른 혼령도 해와 달의 광명이 아래로 비추는 혜택을 입었을 것입니다. 제자라고 말하는 수천 명의 대중들도 슬픔 속에서 성은(聖恩)에 감격하여 그 은혜를 감당할 길이 없어 삼가 중사(中使) 이헌성(李憲誠) 편에 부쳐 감사의 말씀을 아뢰옵나이다. 사문 혜랑 등은 참으로 황공하고도 부끄럽습니다. 삼가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대하여 보응원성문무황제는 비답을 내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화상께서는 오천축국에서 발자취를 시작하여 만 리 길을 주유(周遊)하시며 정법을 베푸시어 생령들을 구제하고 깨우쳐 주시다가 열반하시어 영원불변의 세계로 돌아가셨다. 그 행적을 생각하여 시호를 내리는 것은 예경(禮經)에 실려 있는 일인데 번거롭게 이것을 사은(謝恩)하였구나.”
같은 날 다시 칙명을 받들었는데, 승려 혜랑 등에게 말하기를 “사원에서 검교(撿挍)하는 일을 전담하고, 아울러 후학들을 가르치고 순서에 따라 한 가지 존중해야 할 일이나 한 가지 약속해야 할 일만 있어도 상주하여 나라에 알리도록 하라”고 하였다. 그 날 승려 혜승(惠勝)이 인편에 부쳐 상주하기를 탑소(塔所)에서 3년 동안 공양을 드리면서 감히 단근(丹勤:붉은 정성, 眞心)의 정을 다하고, 항상 향화(香火)의 예를 닦겠다고 하여 다시 칙명을 받들게 되었다. 그 칙명에서 혜승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혜승은 화상이 계실 때에 그 스승의 제자 가운데 특별히 화상의 뜻을 얻은 사람인데, 지금 알려 오기를 탑소에서 향불을 사르며 탑을 수호하겠다고 하였다. 예전에 화상의 곁에서 보현염송법(普賢念誦法)을 전수받을 때에 나와 더불어 존중하며 노력하여 정밀히 수행하기를 3년을 채운 뒤에, 곧 나에게 찾아와서 본존법(本尊法)을 헤아려 생각한 바가 있었으니, 소청한 일은 마음대로 시행하게 하라.”
이 때 다비의 불이 꺼진 뒤에 거두어 얻은 유신(遺身)의 뼈와 정수리 뼈 등에 모두 사리가 있었다. 그 빛나는 모습이 맑고 아름다워 마치 유리보석처럼 밝게 빛났다. 이 사실을 갖추어 나라에 알리니, 황제는 마음으로부터 애도하였고, 내궁에서는 머리를 조아리며 이를 도량에 안치하였다. 그 후 7월 15일이 되자 다시 칙명을 내려 서울의 절과 도관(道觀:道士가 수도하는 곳)을 담당하는 공덕사(功德使)인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우용무군대장군(右龍武軍大將軍) 지군사(知軍事) 상주국(上柱國) 양국공(涼國公) 이원종(李元琮)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고(故) 대변정광지불공삼장화상의 탑소를 만드는 일을 잠시 정지하게 하고, 따로 좋은 땅을 골라 기수(起修:공사를 시작함)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는 8월 28일에 다시 칙지를 내려 이원종에게 말씀하셨다.
“고 대변정삼장화상의 다비에서 얻은 사리는 해당 사원에 명하여 사리탑을 조성하게 하고, 사리탑의 조성이 끝나면 큰 비석을 건립하게 하라.”
그리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어사대부(御史大夫) 상주국풍익현개국공(上柱國馮翊縣開國公) 엄영(嚴郢)이 비문을 지었으며, 은청광록대부팽왕부(銀靑光祿大夫彭王傅) 상주국 회계군개국공(會稽郡開國公) 서호(徐浩)가 비문의 글씨를 썼다.
이상을 총론 하여 말한다면, 예전부터 고승 석덕(碩德)들이 제왕의 은총과 대우를 받아 특수한 은혜를 입는 일이 있었으나, 살아 있을 때는 영예롭게 처우하다가도 죽고 나면 그만이었다. 지금 대변정삼장화상의 경우는 이와 같지 않았다. 살아서는 극진한 은총을 받아 세 조정을 두루 겪으며 황제를 섬겨 공경대부의 반열에 해당하는 품계를 받았고 특진시의 벼슬을 더하였다. 병으로 눕게 되자 위문[勞問]이 이어졌고, 중사(中使)와 명의(名醫)가 뒤를 이어 찾아 갔으며, 특별히 개부의동삼사숙국공의 벼슬이 더해졌다. 죽음에 이르게 되자 성상께서는 더욱 크게 애도하여 3일 동안 조정을 철수하시고, 더욱 우대하는 벼슬을 추증하여 사공(司空)의 벼슬로서 대변정(大辯正)이란 시호를 내리시고 이어 화상이라 부르게 하였다. 이는 선고(先古)에 듣지 못한 영예다. 그리하여 성 밖에서 다비하고 절 안에 탑을 세우는 일이 얼마 안 되어 모두 성취되었다. 아울러 큰 비석를 세워서 그 덕행을 기념하였으니, 이는 고금[今古]에 첫 번째로 상례를 벗어난 스님으로 평가되는 일이었다. 또 아상(亞相)이 비문을 짓고 왕부(王傅)가 글씨를 썼으니, 이는 곧 만대 후에도 썩지 않는 일이다.
여기서 내가 서술한 것은 그 대강만을 간략하게 들어 말한 것이다. 만약 갖추어 그 상세한 내력을 알고자 한다면, 『사공대변정광지삼장표제집(司空大辯正廣智三藏表制集)』에 갖추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가 번역한 경 110부 도합 143권은 한 부 한 권도 잃어버린 것이 없고, 그 일은 세 조정을 겪어 오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지금 성상의 칙문에 따라 이를 『정원신정석교목록』에 편입하였다.”
038_0257_a_01L貞元新定釋教目錄卷第十六 感西京西明寺沙門 圓照 撰㧾集群經錄上之十六左右六軍使睹此慶雲陳表奉賀永泰元年九月三日特進右龍武大將軍知軍事上柱國徐國公臣劉仙智等上表臣仙智等言昨日迎新譯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伏有慶雲應瑞呈五色彩散一天抱慧日而逾鮮順祥風而表聖伏惟陛下以大道賴物以至德臨邦精誠感神靈應斯降臣等職忝侍衛夂沐淳風親睹禎祥無任慶幸謹詣右銀臺門奉表陳賀以聞臣仙智等誠惶誠恐頓首頓首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不二之門早傳秘藏重宣其義庶廣其言將敷貝葉之文用啓蓮宮之會天浮瑞色日麗慶雲見以神通彰其瑞應和平之兆慶慰同懷所賀知從是初日至白月終兩上講經二時行道茶藥竝出有司六律五聲晝夜不絕至十六日西明散齊絃歌百戲彌日西明講終表奉賀永泰元年九月十日西明寺上座沙門懷感等上表西明寺上座沙門懷感等言特奉恩命令開百座講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以今日經周設齋慶畢凡是生靈不勝抃躍伏惟陛下再造天地明齊日月垂衣之睱重譯眞經聖心佛心同歸一理唐言梵語不隔殊方貫花之偈備聞傳燈之僧可睹金繩之界彌勒下生玉京之中輪王出見秋天麗景稼穡將成彩雲浮空祓氛必盡吾君至聖佛力至慈法潤恒沙天下幸甚懷感等忝棲祇樹躍無涯稽首焚香何階上答功德數別狀封進謹奉表陳謝以聞沙門懷感等誠歡誠喜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師等演暢眞經弘宣妙旨用滋仁壽拯護生靈法會旣終當同慶也大寧郡王僕固懷恩分第列位至太師背逆天恩遠自靈武合聚蕃醜馮陵涇陽勅下西明百座大德同赴資聖寺百座道場永泰元年九月十七日高品李希逸奉應先西明寺百座法師大德竝赴資聖寺佛殿爲國轉經行其資聖寺百座法師良賁五十座依前講說仁王般若護國密嚴等經普及蒼生其京城諸寺觀僧道等竝二時於當處轉經行道仍令三綱差了事僧知撿挍務在精修不得疏怠爾時兩街大德百座法師准咸皆萃資聖寺二時講唱上轉經行道午時及與日暮設音樂無易於初夜後夜悉集大講堂內齊聲稱念摩訶般若波羅蜜多爲國爲家願無憂懼城寺觀轉念亦然制使閞內河中副元帥司徒兼中書令上柱國汾陽郡王郭子儀杖節出親摠戎律發于帝里洎彼涇陽馮恃天威賴茲經力兩軍交對列陣相望鉦鼓發聲劍戟如雪陽王單騎直出挺立軍前感激一言懷恩屛退西戎北狄各自相攻浹旬之間王國大定是知仁王護國般若眞經聖心佛心子育萬姓其義一也然後收軍整律振旅還京親對特蒙賜賚資聖寺百座道場取閏十月二十三日設無遮齋以成慶散日也寺南門外陳布道場盡正一坊東西街內弈幕雲布幡花麗天尊容煥然光照人里飯僧旣畢六樂爭陳百戲充衢歌吹盡日京城大德各䞋三十不空三藏賜九百疋絹帛錦綵以充數侍者小僧各十五疋又特降恩旨賜資聖寺講堂名爲永泰善法之堂御扎題牓此卽萬古千秋法門故事也自蕃戎入境夜集僧徒於大講堂齊聲念摩訶般若波羅蜜多一志一心更無異想盈累月果得淸平此乃聖力經感斯福應翻經百座錫賚珍財自佛法東流莫尚於茲日也至十一月一日恩旨荐臻不空三藏和上故金剛三藏可贈開府儀同三司仍賜號大弘教三藏已如前述同日又降鴻恩延及不空三藏不空三藏蓮宮釋種香界導性表眞如學精秘藏承紺園之妙旨開示四依譯金口之微津梁六趣身持梵夾遠涉流傳燈益明甘露溥潤散慈雲於火宅揚慧日於幽塗頃者躬問勝因弘示方便永決疑網予智芽雖出塵之心齊謝於名而襃崇之典式旌於賢哲應嘉命用叶朝章可特進試鴻臚卿仍賜號大廣智不空三藏伏聞母以子貴俗禮恒規師因弟榮釋門罕有恭受榮命喜懼感懷捧戴屛營陳表謝曰永泰元年十一月五日特進試鴻臚卿三藏大興善寺沙門大廣智不空表進詞曰三藏沙門不空奉今月一日制錫故大和上金剛三藏可贈開府儀同三司仍贈號大弘教三藏不空特進試鴻臚卿仍賜號大廣智不空三藏一雨自潤流根葉圓毫發豔照及幽捧戴傍惶悲喜交集不空誠歡誠喜以悽以懼不空聞十號者表德之殊稱九卿者象河之重位故大和上道洽傳燈誠以彰其遺烈不空法慚紹搆虛竝荷於 鴻私猶燕石之混同齊竽之濫吹榮兼存歿及師資祇奉兢驚瞻言靦恧出家落彩本志榮辱絜誠報僧者通規陛下廣運金輪曲收瓦礫引安禪於中禁旌襃崇之殊禮雖負山無力而踐迹近賓虧高謝之法流點少欲之淸躅是以面奏三讓言煩 九重冀殷鑑於懇豈礭然之不拔羊車稚子慚廣智而茫然鹿苑卑材愧鴻臚而甚矣無任感戴之至謹奉表陳謝以聞沙門不空誠歡誠喜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和上道秘雙林功超正覺遠從天竺來布眞言頃得歸依親承付囑襃崇之典禮秩攸先俾增印綬之榮式重師資之敬兼申寵贈庶表追榮也表謝已訖制又宣存歿哀榮但增感慰大虛空藏菩薩所問經八卷右一部八卷准永泰元年六月十八日勅鄜坊等州都防禦使特進試太常卿使持節鄜州諸軍事鄜州刺史兼御史中承上柱國鄭國公杜冕奏宣州實封壹佰戶寶應元年五月十九日勅賜臣素無功勳曲霑恩渥謬踐寵錫願答聖慈今廻寶應元年已後至永泰元年以前約計錢一萬餘貫臣請爲國迴造功德其寶應元年封先請得二千五百餘貫到京分付興善寺不空三藏助翻譯佛經其所請到封物錢請充給道場齋儭翻譯抄寫糧食等用其請未到者先差弟紞請受望請下所由發遣續供其佛經或有梵夾未翻冀聞傳譯古本雖著義味不周特望天恩委龍武軍將軍李元琮句當與三藏及興善寺大德潛眞僉量京城義學大德十人同參會翻詳各寫二十一本頒示諸道及京城大卽傳諸千界流布萬年使不 臣者滅蜂蠆之形狂虜者掃豺狼之迹伏惟陛下納無彊之福膺無彊之休卽愚臣微誠生死願畢特望聖慈允臣所請勅旨依奏從是翻譯諸大乘經先仁王經及密嚴經及仁王經念誦法念誦儀軌永泰二年景午十一月十二日改爲大曆元歲仍景午次譯虛空藏經經從晉至唐凡經五譯一西秦沙門聖堅或云法堅或云堅公初譯一本名方等主虛空藏經或加云所問經或云勸發菩薩莊嚴菩提二北涼曇無讖三藏又譯方等大集經六十卷中與漢支讖姚秦羅什出者竝同此卽大集經之一分也舊錄合入大集經今以理義幽深又別翻出耳時大曆四年十二月十九日藏不空及京城大德具狀奏聞尋有制曰大聖文殊師利菩薩右京城大德特進試鴻臚卿大興善寺三藏沙門大廣智不空等奏忝迹緇門夂修梵行習譯聖典頗悟玄門大聖文殊師利菩薩大乘密教皆因流演鎭在臺山福滋兆庶伏惟寶應元聖皇帝陛下德合乾坤明竝日月無彊之福康我生人伏望自今已後令天下食堂中於賓頭盧上特置文殊師利形像以爲上座諸聖典具有明文僧祇如來尚承訓凡出家者固合摳衣普賢觀音猶執拂而爲侍聲聞緣覺亦擁篲而居後斯乃五天竺國皆然 僧等鄙見仍請永爲恒式中書門下 牒祠部牒奉大聖文殊師利菩薩法王之威德特尊爲諸佛之導師群生之心目康我兆庶是德無不有尊崇人何瞻仰今京城大德懇慈申奏雅合聖典所請宜依牒至准故牒其虛空藏菩薩所問經代宗睿文孝武皇帝大曆年中當第五譯也進試鴻臚卿大興善寺三藏沙門大廣智不空宣譯梵文伏以三藏和上學藝崇深神儀秀邈瑜伽三密獨步南天專精一乘共推東夏曉二方之世論尤善聲明達五部之眞言妙窮法印詔翻譯善得其眞然此經是法性大乘文理照顯傳譯雖久世未受持若明珠繫於衣中金寶隱於室內能發撣者其惟大師前鄜坊防禦使兼御史中丞鄭國公杜冕忠以奉主孝以寧重義輕財施封請譯又請京城三學大德同崇法會講論大德大安國寺上座沙門子鄜筆大興善寺上座沙門潛眞潤臨壇大德西明寺上座沙門乘如證義講論大德章敬寺上座沙門奉國臨壇大德千福寺沙門飛錫講論大德勝光沙門神曉西明寺主沙門道液西明寺都維那沙門歸性臨壇大德大薦福寺沙門如淨大興善寺主沙門圓敬等竝同證義譯語大德千福寺沙門法崇證梵文兼譯大虛空藏菩薩念誦法一再三詳挍刊削繁蕪函帙莊嚴光炫人目至大曆六年十月十二日特進試鴻臚卿三藏沙門大廣智不空謹因代宗皇帝降誕之晨隨表進上沙門不空言不空爰自幼年承事先師大弘教三藏和上二十有四載稟受瑜伽法門後遊五天尋求所未受者幷諸經論重學習凡得梵本瑜伽眞言經論五百餘部奉爲國家詳譯聖廣崇福祐天寶五載卻至上玄宗皇帝恩命於內建立道場所齎梵經盡許翻譯肅宗皇帝配天繼聖特奉綸旨於內道場建立護魔及灌頂法又爲國譯經助宣 皇化累奉二聖恩勅先代三藏所有梵文使搜訪其中有絙索脫落便令修補其未經翻譯者續譯奏聞伏惟陛下纘承皇運大庇含靈廣闢福田重明日月恩波遠被法雨分流四海宅心萬方欣戴是知佛之付囑允在聖君不空叨承渥澤榮幸實深日夜思之如何報 國先奉先皇聖制令闡微言又奉陛下恩命恭遵遺旨再遣翻譯利濟群生雖復四時精勤未酬萬一是以區區於日夕詳譯眞言及大乘經典效涓微上資皇道其所譯金剛頂瑜伽法門是成佛速疾之路其修行者能頓超凡境達于彼岸餘部眞言諸佛方便其徒不一所譯諸大乘經典皆是上資邦國息滅災危星辰不愆風雨順序仰恃佛力輔成國家謹纘集前後所翻譯訖者自開元至今大曆六凡一百一卷七十六部幷目一卷及題筆受僧俗名字繕寫已訖謹因降誕之晨謹具進奉庶得眞言福祐長護聖躬大乘威力永康國界其未翻梵本經中但有護持於國澤潤生靈者續譯奏聞不勝虔誠之至謹奉表以聞門不空誠惶誠恐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和尚夙事先朝弘闡妙教演茲貝葉廣示迷津朕嗣纘丕圖恭承睿旨和上再加詳譯今卷軸續畢永濟生靈深可嘉仍宣付中外編入一切經目至其月二十二日中使李憲誠奉宣勅旨大德比翻譯多勞也不空三藏宜賜錦綵絹等共八百疋同翻經十大德各賜綵三十疋敬問諸德漸寒各得好在德等明日謝聞大曆六年十月二十三日翻譯經大德大興善寺上座沙門潛眞等上表沙門潛眞等言伏奉今月二十二日中使李憲誠至奉聖旨翻經十大德各賜綵三十疋潛眞聞垂教者法王王三界而示迹行教者人主主四海而流傳非法王無以開四句之文人主無以闡一乘之理伏惟寶應元聖文武 皇帝陛下道合天地恩加草木轉輪馭極灌頂稱尊運慈悲方便之門當付囑弘宣之位然所譯仁王虛空藏密嚴等八十部經者竝圓音至寶界眞說無來無去卽身爲常住之身不滅不生諸佛是自心之佛指虛空爲庫藏現色相而莊嚴演瑜伽之無窮知眞言而不竭自非才行兼美定慧俱安能發揚幽微弘宣秘奧廣智不空三藏和上言善兩方行通三密得淨滿如來加持之寶應明主弘護之緣由是理義昭彰文句炳煥潛眞等靈山細祇樹小葉識智荒鄙學藝庸幸蒙天睠濫在翻經聖力而俯被得讚潤而終畢曰愚瞽猶知慶慰況上契天慈許宣中外仍錫綵帛以光愚拙凡在法門不勝慶幸無任戴荷殊常之至謹附中使李憲誠陳謝以聞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師等道行精深智識弘遠三乘奧旨十葉遺編翻譯流行利濟國家薄申錫命煩至謝恩至大曆七年正月二十七日進試鴻臚卿大興善寺三藏沙門大廣智不空三藏旣荷墨制特許流行踊躍屛營陳表奉謝沙門不空言中使李憲誠奉宣聖旨送新翻經目錄勅一道答進經表勅一道特令中外施行仍入一切經目錄奉戴忻躍喜荷無任誠歡誠悚再歎再愧伏惟陛下承法王之付囑滿人心之志願持普賢之密印行天子之正教浹辰之際朗慧日於八方在於頃刻注洪澤于萬物斯乃普天幸甚而況在不空者焉不空所翻聖典四十餘年三朝已來贊修功德志在宣傳上資王室下潤生靈豈意夙心一朝願滿聖恩廣大累劫難酬況更特許翻譯所是未翻梵本倍增悲喜敢罄竭心力承奉聖旨續譯進奉不勝歡悚懷恩之至謹因中使李憲誠奉表以沙門不空誠喜誠愧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和上夂證菩提入佛知見所翻經典皆洞精微爰命施行式傳惠照頒示寰宇廣濟含靈未光慈航煩至陳謝也又至其年十月十六日中書門下 牒不空三藏牒奉京城及天下僧尼寺內各揀一勝處置大聖文殊師利菩薩仍各委本州府長官卽句當修葺幷塑文殊像裝飾綵畫功各畫圖具狀聞奏不得更於寺外別造牒至准勅故牒其月二十七日三藏沙門大廣智不空上表謝曰沙門不空言伏見今月十六日特勅京城及天下僧尼寺內㨂一勝處置大聖文殊師利菩薩院幷塑文殊像裝飾綵畫者不空聞惟聖作法其德動天潤生靈懸之日月不空誠歡誠載忻載躍伏惟陛下開法王之玄造闢非常之福田建文殊眞容使普天瞻仰在於緇侶光幸尤深且文殊聖卽諸佛祖師大悲弘願不取正覺大乘引導利益無垠釋迦如來先有懸記一乘典誥興在中華當有至聖帝王必以大乘理國八百餘載歷代帝王聖賢多矣實未有如陛下者也不空何幸生遇聖朝分修大乘奉事文殊師利常以此聖眞言奉爲國家持誦每蒙護念恩德逾深日夜思之無諧上報不爲忽然天慈普洽垂沃宿誠廢寢忘飡無任悲喜不勝戴荷之至謹附中使楊貴珍奉表陳賀以聞空誠歡誠悅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大聖文殊夂登正覺拯生人於三界鎭毒龍於五峯慈悲道弘濟功遠故令釋衆同此歸三藏梵域宗師當深慰愜也所賀知洎大曆八年正月八日中書門下 勅新譯大虛空藏經興善寺大德潛眞法師請保壽寺講資聖寺大德道液法師請西明寺講右特進試鴻臚卿大興善寺三藏沙門大廣智不空奏前件經奉 詔頒行曾未開闡若不稱讚寧表聖功上件大德竝述疏已成請東西兩街各於一寺常 講此經冀福河潛流上資聖壽牒奉勅宜依牒至准 勅故牒先於六年有 勅請三藏譯大聖文殊師利菩薩佛剎功德莊嚴經按傳錄所說此經自晉至凡經三譯一西晉惠帝太熙元年庚戌之歲竺法護譯名文殊師利佛土嚴淨經兩卷亦名嚴淨佛土經文勢多古語簡理幽皇唐天后久視元年庚子歲闐三藏實叉難陁唐言喜學京淸禪寺譯名文殊師利授記經三卷玄範法師筆受復禮法師潤文體勢類於花嚴梵旨近於巧略代宗睿文孝武皇帝大曆六年所譯者也翻譯大德與虛空藏經同御史中丞杜冕捨封請譯八年五月裝寫方成端午之晨寶函封進沙門不空言伏奉恩旨翻譯大聖文殊師利菩薩佛剎功德莊嚴經天力護持卷軸功畢證義筆受僧俗名字年月處所咸列終篇今因端午之晨謹以進奉不空誠歡誠悚不空聞開教者如來弘傳者君主施行佛事非聖主而誰伏惟陛下廻日月於黃道垂雨露於蒼生霑潤物情僧侶偏幸循涯撫己未知何報然此經者衆行之本源淨土之殊稱菩薩大願功德莊嚴三昧神通如來法印無不具足暫聞隨喜福尚無窮況讀誦受持功德何限冀茲法利酬恩萬一特望天恩令天下大寺七僧小寺三於新置文殊院長時爲 國講宣讀誦有闕續塡務使法音相續傳燈不絕永康率土長護聖躬不勝誠願 謹奉表陳進以聞沙門不空誠悚謹言又至十月十三日三藏沙門大廣智不空狀進大聖文殊師利菩薩佛剎功德莊嚴 經一部三卷幷寶鈿函右不空先奉 綸旨今譯此經天恩曲臨竝已成辦參挍唐梵譯定言音年月處所筆受證義僧俗之名咸題卷中文殊事迹緣起根由始于發心至成正覺莊嚴淨土此經具載諸佛理體菩薩行門法界有情無生實相分明表示功德廣大餘經罕儔願此勝因上資聖祚伏乞宣示寰宇以福生靈特望天恩所是新置文殊院大寺七小寺三僧於文殊院中長時爲國講宣誦習有闕續塡是使法燈繼明不絕靈神庶類孰不歡心幸因輪王降誕之晨天人 喜賀同歡之日冀茲景福上益壽山願以法流添於聖海謹隨狀陳進以聞天恩允許請降墨勅依大廣智不空三藏和上本諱智號不空金剛梵曰阿目佉跋 日囉二合本西域人也昔事大弘教剛智三藏和上稟受眞言十四年摳衣請益大師歿後還詣五天梵本瑜伽備皆披閱遊徧覽旋赴 帝京或化河西或居嶺表或居䦕內或處王宮翻譯眞經不遑寢食屬天寶未歲胡馬入䦕至德二年剋復京洛和上親承聖旨爲灌頂師妃主降階六宮羅拜三朝寵遇恒建道場詳考幽微卷不釋手內宮譯者隨竟上聞或已宣行或留中禁其已得者具錄如前其未獲者一心求訪耳 和上精勤不怠多歷歲時洎大曆九年示有微疾使勞問天降名醫鍼藥相仍曉夕繼至疾將未損 宸極不安天慈曲錫以官封大曆九年六月十一日勅大道之行同合於異相者至理摠歸於正法方化城之齊何儒釋之殊途故前代帝王罔不崇奉法教弘闡與時偕行特進試鴻臚卿大興善寺三藏沙門大廣智不空我之宗師之舟楫超悟三學坐離於見取修持萬行常示於化滅執律捨護戒爲儀繼明善教之志受人王之請朕往在先朝早聞道要及當付囑常所歸依每執經內殿開法前席馮几同膠序之禮順風比崆峒之問而妙音圓演密行內持扣待如說自涯皆晤滌除昏妄調伏魔怨天人洗心於度門龍鬼受識於神印固以氣消災厲福致吉祥實惟弘我之多寧止利吾之羙嘗有命秩用申優禮而得師爲盛味道滋深思復强名載明前志妙界有莊嚴之土內品有果地之殊本乎尚德敬順時典可開府儀同三司仍封肅國公食邑三千戶餘如故三藏和上再蒙 恩寵官封增然氣力轉微無由謁見至十五日開府儀同三司肅國公三藏沙門大廣智不空修表上辭文曰沙門不空言不空幼事先師已過二紀早承天澤四十餘年演瑜伽之法門奉 累聖之恩眄自從陛下臨御殊私轉深賜 黃閤以宴居降 紫微而問道積恩重疊日月相繼雖復精懇豈酬萬一而露電難駐蒲柳易一從伏枕自春徂夏陛下深睠存問再三中使名醫相望道路但以膏肓之病雖鍼藥而難生生滅之質寧戀惜而能固忽從昨夜已來頓覺氣力彌惙身非己有瞬息掩忽心神浸微違謝聖朝不任戀慕不空者年過中未爲夭逝但以往時越度南周遊五天尋其未聞集其未所得金剛頂瑜伽十萬頌部眞言及經論等五十餘萬頌冀摠翻譯少荅國恩何夙願之未終忽生涯之已盡此不空所以爲恨也伏惟陛下降諸佛之慈惠下從人之所願不空先進大聖文殊佛剎聖情尋許頒示中外伏願哀愍念臨終之一言冀福皇家滋吉祥之萬劫實爲僧人生死榮幸五鈷金剛鈴杵先師所傳幷銀盤子菩提子及水精念珠幷合子竝謹隨表進奉紙涕泣悲淚交流永辭聖代不勝戀慕之至謹附監使李憲誠奉表陳辭以聞沙門不空誠悲誠戀謹言大曆九年六月十五日開府儀同三司肅國公三藏沙門大廣智不空上表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和上行登十地來自五天敷演瑜伽宣流梵夾周遊萬里踐歷三朝光澤聖言親承師授當下武之興運繼前薪之火傳而弘菩薩心爲衆生病彌留有問悼增深宜依所請也爾時開府儀同三司試鴻臚卿肅國公大廣智不空三藏和上上表陳情聖恩垂涕墨制旋降所請皆依和上情禮獲申一心觀行右脅累足怗然而薨弟子號踊無筭中使奏聞聖上宸悼殊深廢朝三日爰降中使詣于僧藍宣慰衆徒乃錫賻贈絹三百疋布二百端白米粳米各五車白麪亦爾柴十車油七石炭三車竝如京宣索如無准擬奏來當別支送至其月二十八日勅內侍韋守宗送絹七百五十二疋充先師造靈塔直洎七月五日追贈司空聖睠殊深又錫謚號寂滅爲樂所以歸於眞付囑有緣所以尊其稱修其故事或强名故開府儀同三司試鴻臚卿肅國公大興善寺三藏大廣智不空德盛道高朕所師仰心密法印行超度門精微有說廣大無相一雨之潤傳洽於群百燈所傳遍明於正覺傍達義趣博通儒玄聖人之情合若符契朕順風前席積有歲年航不留梁木其壞徽音永隔悼殊深論道之官追嚴師禮加謚號用副名實可贈司空謚號大辯正廣智不空三藏和洎六日癸夘陳設葬儀神城南荼毘供養皇帝遣內給事劉仙鶴以香茶之奠敬祭于故大辯正廣智三藏和上之靈靈智識明晤天姿聰達夙植梵生知勝因挺秀五天周遊萬心蘊海藏音通華夷貝葉傳經瑜伽演教弘利兆庶出入三朝道在不言理均無迹涅槃常寂至聖同歸焚香澡身化而盡朕頃承了義禮具師資永訣之晨攸深震慟香茶之奠有靈照之是月也宰臣中貴策六軍御史大夫及京兆尹尚書僕射侍郞列卿諸衛將軍各申奠祭其餘緇素不可具陳七日平晨又陳表謝草堂沙門惠朗等言昨六日先師茶毘之夕聖慈哀悼追贈司空仍謚號大辯正廣智不空三藏和上昭宣國禮寵光神道三公之贈有越舊章和上之稱先經未載是知高天之澤浸江海而無涯幽途之靈蒙日月而下照凡曰弟子數千衆人悲感聖恩無任戴荷謹附中使李憲誠奉表陳謝以聞沙門惠朗等誠惶誠愧謹言寶應元聖文武皇帝批曰和上發迹五天周遊萬里宣演正法拯晤生靈涅槃歸常考行崇謚禮經斯在煩以謝恩同日又奉勅語僧惠朗專知撿挍院事兼及教授後學一尊一契有次第者聞奏其日僧惠勝附奏請塔所供養三年敢效丹勤常修香火又奉勅語惠勝和上在日阿師子偏得意旨今聞於塔所焚香火守先於和上邊受得普賢念誦與朕同尊努力精修三年滿卽來對朕與商量本尊法請任依是時也火滅已後收得遺身髏頂等中皆有舍利光相瑩淨皎若琉璃具以上聞聖情哀悼內宮稽首置在道場至十五日勅語句當京城寺觀修功德使開府儀同三司右龍武軍大將軍知軍事上柱國涼國公李元故大辯正廣智不空三藏和上塔所修造宜令且停別擇好地起修洎八月二十八日勅語元琮故辯正三藏荼毘得舍利令於當寺院造舍利塔造塔畢建立豐碑銀靑光祿大夫御史大夫上柱國馮翊縣開國公嚴郢撰文銀靑光祿大夫彭王傅上柱國會稽郡開國公徐浩書字論曰自古高僧碩德寵遇殊恩生時則榮歿則已矣今大辯正三藏和上則不如是生承恩渥歷事三朝授以列卿品加特進及臥疾也勞問相仍中使名醫晨夕相繼特加開府封肅國公洎乎薨焉上彌震悼輟朝三日錫贈增優授以司空謚大辯正仍號和上先古未聞城外茶毘寺中起塔不日不月悉成就焉兼樹豐碑紀其德行冠絕今古首出僧論亞相作文王傅書字斯乃萬代不朽也此之所述略擧大綱若欲具知備如空大辯正廣智三藏表制集中廣說然所譯經一百一十部一百四十三卷無失一部一卷事歷三朝准上勅文編入貞元新定釋教目錄中矣貞元新定釋教目錄卷第十六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20)고대 제왕이 장수에게 병권을 수여하여 혹 사방에 파견하는데, 의장[旄節]을 주어 믿고 의지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2. 21)중국 섬서성(陝西省) 함양(咸陽)에 있는 현(縣)이다.
  3. 22)보살의 네 가지 의지처를 말한다. 첫째, 가르침의 뜻에 의지하되 말이나 글을 따르지 말 것[依義不依語]. 둘째, 가르침에 의지하되 가르치는 사람에 의지하지 말 것[依法不依人]. 셋째, 지혜에 의지하되 생각에 의지하지 말 것[依智不依識]. 넷째, 궁극적 진리에 의지하되 그릇된 가르침에 의지하지 말 것[依了義經 不依不了義經].
  4. 23)낙발(落髮)과 같은 말로, 머리를 깎고 중이 된다는 뜻이다.
  5. 24)감사하는 마음으로 공경하여 높이 받듦을 말한다.
  6. 25)석가모니의 부촉을 받들어 열반에 들지 아니하고, 천축 마리지산(摩利支山)에 살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아라한이다. 머리가 하얗고 눈썹이 길다. 우리나라에서는 독성(獨聖), 나반존자라고 하여 절마다 봉안한다.
  7. 26)깨달음[悟]의 피안(彼岸)에 대하여, 미혹[迷]의 차안(此岸)을 이르는 말이다.
  8. 27)황제가 친필로 쓴 조서로 직접 하달하는 명령을 말한다.
  9. 28)부처님이 미래(未來)의 일에 대하여 미리 말하여 둔 일을 말한다.
  10. 29)교서(膠序)의 교(膠)는 주(周)나라, 서(序)는 은(殷)나라 때 학교를 말한다.
  11. 30)『장자』 「재유(在宥)」편에 황제가 공동산(崆峒)에 있는 광성자(廣成子)를 찾아가 그에게 도를 물었다는 내용을 말한다.
  12. 31)보통 사람보다 웬 만큼 많은 나이, 또는 그 사람을 말한다.
  13. 32)뚜껑 달린 작은 그릇의 총칭이다.
  14. 33)『시경(詩經)』 대아(大雅)의 한 편명으로 무왕(武王)의 업적을 노래한 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