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40_0725_c_01L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 제15권


시호 한역
김영덕 번역


11.삼세륜대만나라광대의궤분②

이 때에 금강최상명보살마하살(金剛最上明菩薩摩訶薩)은 곧 수여받은 금강차(金剛叉)를 바퀴처럼 돌려서 묘한 선무공양(旋舞供養)의 사업을 행하고 이 게송을 읊는다.

위대하도다, 모든 정각존이시여.
대보리심은 위가 없도다.
성스러운 존의 발에 닿았을 때에
그로 말미암아 나는 성불을 얻으리라.

이 때에 금강수보살마하살은 금강분노삼마지로부터 일어나서 앞의 부처님께 말씀드린다.
“세존이시여. 제가 처음에 손으로 모든 여래의 대금강저를 받았는데, 다시 저에게 금강수관정법을 주십니다. 그 때에 대자재천 등이 모두 외계(外界)의 모든 금강부에 처하고, 지금 이 항삼세대만나라를 건립하고 나서 제가 한 것처럼 그 인(因)으로 말미암은 까닭에 이들 유정들이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에서 물러서지 않게 됩니다.”
이 때에 세존이신 대비로자나여래응공정등정각께서는 곧 모든 여래의 대사정륜대명(大士頂輪大明)을 송하신다.

옴 바아라 사도 사니 사훔 바타1)
唵引嚩日囉二合薩都引瑟尼二合引沙吽引癹吒半音一句

이 대명을 송할 때에 모든 여래의 정수리 가운데로부터 구덕금강수대보살의 형상을 출현한다. 그 형상 가운데에는 다시 무수한 색의 광명을 나타내어 두루 세계를 비추었고, 비추고 나서 빙 돌아와 금강수대보살 위에서 합한다. 그런 다음에 이에 모든 여래의 정륜의 빛의 덩어리를 이루고, 이 빛의 덩어리 가운데에서 이 모든 여래의 정륜대명(頂輪大明)을 내어 송한다.

옴 나모살­바 다타 아도 사니 사뎨 유 라 시 나바로 기다
唵引那莫薩哩嚩二合怛他引誐都引瑟尼二合引沙帝引儒仁祖切囉引尸引那嚩路引吉多
무 리다 훔 아바 라 달가달가 미날라미날라 친나 빈나훔 바타2)
母引哩馱二合吽引一句入嚩二合羅二達哥達哥三尾捺囉尾捺囉四親那五頻那吽引癹吒
半音六

이 때에 금강수보살마하살은 이 자부의 사자(使者)가 설하는 자심명(自心明)을 송한다.

옴 니숨바바아라 훔 바타3)
唵引儞遜婆嚩日囉二合吽引癹吒半音一句

다시 다음에 금강수보살마하살은 거듭 자심 등의 대명을 송한다.

옴 타키약4)
唵引吒枳𠺁一句

이 때에 금강장보살마하살은 이 자부의 최상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라달노 달마 아바 라야훔 바타5)
唵引嚩日囉二合囉怛努二合引怛摩一句入嚩二合引囉野吽引發吒半音二

이 때에 금강안보살마하살은 이 자부의 최상대명을 송한다.

옴 사바 부슈타 바아라 바나마 수 다야 살­망 미녜수 타
唵引莎婆引嚩秫馱一句嚩日囉二合鉢訥摩二合輸引馱野二薩哩網二合引尾禰踰二合引怛
마훔 바타6)
摩吽引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교업보살마하살은 이 자부의 최상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갈­모 타마 바아라 다라삼마야마뇩삼마 라 숨바
唵引嚩日囉二合葛哩謨二合引怛摩一句嚩日囉二合馱囉三摩野摩耨三摩二合囉二遜婆
니숨바 갈­사 야 바라 볘 사야 볘 사야 만다야삼마양글라 하
儞遜婆引葛哩沙二合野三鉢囉二合吠引設野引吠引設野四滿馱野三摩煬屹囉二合引賀
야 살­바 갈­마 니미 고로 마하 살타훔 바타7)
野五薩哩嚩二合葛哩摩二合引尼彌引酤嚕六摩賀引薩埵吽引癹吒半音七

이 때에 금강최상명보살마하살(金剛最上明菩薩摩訶薩)은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봉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옴 슘바니슘바 바아라 미녜유 달마훔 바타8)
唵引遜婆儞遜婆一句嚩日囉二合尾禰踰二合引怛摩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분노금강명왕(忿怒金剛明王)은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봉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바아라 슈 라9)
嚩日囉二合戌引羅一句

이 때에 마사금강명왕(摩邪金剛明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마 야 날­사 야살­바 훔 바타10)
唵引嚩日囉二合摩引野引捺哩舍二合野薩哩嚩二合吽引癹吒半音一句

이 때에 금강령명왕(金剛鈴明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간타 라나라나훔 바타11)
唵引嚩日囉二合健吒一句囉拏囉拏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적묵금강명왕(寂黙金剛明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모 나마하 몯라 다훔 바타12)
唵引嚩日囉二合謨引那摩賀引沒囉二合多吽引癹吒半音一句

이 때에 금강기장명왕(金剛器仗明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유다나 마가훔 바타13)
唵引嚩日囉二合引喩馱捺引摩哥吽引癹吒半音一句

이들은 명왕의 대중이다. 이 때 금강군나리금강분노왕(金剛軍拏梨金剛忿怒王)은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봉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군나리 마하 바아라 고로 다글리 한나 하나
唵引嚩日囉二合軍拏梨一句摩賀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馱屹哩二合恨拏二合二賀那三
나하 바자 미다마 사야 바아리 나모 리다 나스바 라야 빈
捺賀四跛左五尾特網二合薩野六嚩日哩二合引拏母引哩馱二合引曩颯頗二合引羅野七頻
나흘리 나얌 바아라 고로 다훔 바타14)
那紇哩二合捺煬八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馱吽引癹吒半音九

이 때에 금강광금강분노왕(金剛光金剛忿怒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바라 바 마 라야 소먀고로 다훔 바타15)
唵引嚩日囉二合鉢囉二合婆一句摩引囉野二燥咩骨嚕二合引馱吽引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장금강분노왕(金剛杖金剛忿怒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난나 타 나야살­바 눌­잠 마하 고로
唵引嚩日囉二合難拏一句多引拏野薩哩嚩二合訥瑟詀竹咸切下同二合引二摩賀引骨嚕二合引
다훔 바타16)
馱吽引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빙아라금강분노왕(金剛氷★羅金剛忿怒王)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빙아라비 샤야살­바 눌­점 비 마골로 다훔
唵引嚩日囉二合氷誐羅毘引沙野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一句毘引摩骨嚕二合引馱吽引
바타17)
癹吒半音二

이들은 금강분노왕(金剛忿怒王)의 대중이다. 이 때에 금강순나대마주(金剛舜拏大魔主)는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본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순 나마하 가나발디 락사살­바 눌­띠 비유
唵引嚩日囉二合舜引拏摩賀引誐拏鉢底一句犖叉薩哩嚩二合訥瑟致二合引毘踰二合引二
바아라 달라 예염 바 라야훔 바타18)
嚩日囉二合達囉引倪焰二合播引羅野吽引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만대마주(金剛鬘大魔主)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마 라아나바뎨 마 라 갈­사 야 바라 볘 사야 볘
唵引嚩日囉二合摩引羅誐拏鉢帝引一句摩引羅引葛哩沙二合野二鉢囉二合吠引設野引吠
사야 만타야만타야 바시 고로마 라야훔 바타19)
引設野三滿馱野滿馱野四嚩尸引酤嚕摩引羅野吽引癹吒半音五

이 때에 금강경애대마주(金剛敬愛大魔主)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바시 마하 아나바다예 바시 고로훔 바타20)
唵引嚩日囉二合嚩尸引摩賀引誐拏鉢多曳引一句嚩尸引酤嚕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최승금강대마주(最勝金剛大魔主)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미아야미아양고로 마하 아나바뎨훔 바타21)
唵引嚩日囉二合尾惹野尾惹煬酤嚕一句摩賀引誐拏鉢底吽引癹吒半音二

이들은 대마주(大魔主)의 대중이다. 이 때에 금강목사라금강사자(金剛穆娑羅金剛使者)는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봉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모사라 고타고타살­바 놀­타 바아라 노 다훔
唵引嚩日囉二合穆沙羅一句酤吒酤吒薩哩嚩二合訥瑟吒二合引二嚩日囉二合努引多吽引
바타22)
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풍금강사자(金剛風金剛使者)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아니라 마하 볘 아 나야살­바 놀­잠 훔 바타23)
唵引嚩日囉二合阿儞囉一句摩賀引吠引誐引那野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금강화금강사자(金剛火金剛使者)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아나라마하 노 다 아바 라야살­바 바싣미 고로
唵引嚩日囉二合阿那羅摩賀引努引多一句入嚩二合引羅野薩哩嚩二合跋悉彌二合引酤嚕

살­바 놀­잠 훔 바타24)
二合二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吽引癹吒半音三

이 때에 금강배라바금강사자(金剛陪囉嚩金剛使者)는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바라바나 다 박사야살­바 놀­잠 마하 약사훔
唵引嚩日囉二合陪囉嚩努引多一句薄叉野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二摩賀引藥叉吽引
바타25)
癹吒半音三

이들은 금강사자(金剛使者)의 대중이다. 이 때에 금강구금강복사(金剛鉤金剛僕使)가 금강수보살마하살의 발에 예경하고 봉헌하기 위하여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람 고샤 갈­사 야살­바 마하 뎨 타 훔 바타26)
唵引嚩日囕二合引酤舍引葛哩沙二合野薩哩嚩二合一句摩賀引際引吒半音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금강가라금강복사(金剛哥羅金剛僕使)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가 라마하 미리 다융 오다바 나야훔 바타27)
唵引嚩日囉二合哥引羅摩賀引蜜哩二合怛融二合一句嗢怛播二合引捺野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금강미나야가금강복사(金剛尾那野哥金剛僕使)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비나 야가 사 미근나 고로훔 바타28)
唵引嚩日囉二合尾那引野哥引寫一句尾覲曩二合酤嚕吽引癹吒半音二

이 때에 용금강금강복사(龍金剛金剛僕使)가 자심명을 송한다.

옴 나 아바아라 아 나야살­바 다나다 냐 혜라냐­ 소바
唵引那引誐嚩日囉二合句阿引那野薩哩嚩二合達那馱引▼(寧+也)切身下同二呬囉尼也二合蘇嚩
란나 마니모하다 람가 라 녜 니 살­무 바갈라나 니 바아라
蘭拏二合摩尼目訖多二合引覽哥引囉引禰引儞三薩哩舞二合引波葛囉拏引儞四嚩日囉
달라삼마야마뇩삼마 라 갈다 그리 한나 만타 하라하라바라
二合達囉三摩野摩耨三摩二合囉引五葛茶六屹哩二合恨拏二合七滿馱八賀囉賀囉鉢囉
난 마하 뎨 타 훔 바타29)
二合引赧引九摩賀引際引吒半音吽引癹吒半音十

이들은 금강복사(金剛僕使)의 대중이다. 이 때에 금강수보살마하살은 이 일체금강부의 구소삼매대명(鉤召三昧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람 고샤 갈­사 야훔30)
唵引嚩日囕二合引酤舍引葛哩沙二合野吽引一句

다시 인입대명(引入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바 샤갈다훔31)
唵引嚩日囉二合播引設葛茶吽引一句

다시 다음에 삼매박대명(三昧縛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스보 타밤32)
唵引嚩日囉二合颯怖二合引吒鍐一句

다시 갈마대명(羯磨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갈­마 사 다야흘리 도33)
唵引嚩日囉二合葛哩摩二合娑引達野訖哩二合咄半音一句

이 때에 금강수보살마하살은 이 모든 금강부의 대만나라를 설한다.

나는 지금 차례대로 연설하리니
대만나라는 뛰어나 위가 없으며
그 상은 마치 법륜단(法輪壇)과 같도다.
다음에 의거하여 모든 만나라를 측량하라.

평선대명(抨線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소 타라 갈­사 야 살­바 만나람34)
唵引嚩日囉二合蘇引怛囉二合引葛哩沙二合野一句薩哩嚩二合曼拏覽引二

만나라 가운데에는 마땅히
갈녜라목(朅禰囉木)을 말뚝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 선은 두 배로 법의(法儀)에 의거하여
만들고 나서 양에 따라 단위(壇位)를 측량한다.

용궐대명(用橛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계 라 계라야살­바 미근낭 훔 바타35)
唵引嚩日囉二合計引羅一句計羅野薩哩嚩二合尾覲曩二合引吽引癹吒半音二

네 선은 법에 의거하여 섞고
다음과 같이 마땅히 저 윤단(輪壇)을 측량한다.
점차 나아가서 그 외계(外界)를 측량하는데
역시 다시 앞에서처럼 두 배로 만든다.

혹 다시 세 배로 만듦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외만나라를 측량한다.
저 모든 모퉁이는 본의(本儀)에 의거하여
그 경계의 모퉁이를 알맞게 측량하라.

이것은 곧 평선의궤(抨線儀軌)이다.

그런 다음에 그 선을 측량함에 따라서
다섯 가지 색을 사용하여 깨끗하고 원만하게 하고
왼손으로 대금강권(大金剛拳)을 만들어
차례대로 뜻에 따라 단의 경계에 분(粉)을 바른다.

오색대명(五色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라 람아삼마야훔36)
唵引嚩日囉二合囕誐三摩野吽引一句

단(壇) 가운데 법에 의거하여 이루고 나서
아사리는 등인심(等引心)에 머문다.
다음에 단문(壇門)을 여는 데에 주의하고
차례대로 뜻에 따라 단의 경계에 분을 바른다.

개문대명(開門大明)을 송한다.

옴 바아로 나가 타야 삼마야바라 미샤시 가람 삼마 라
唵引嚩日嚕二合引訥伽二合引吒野一句三摩野鉢囉二合尾設尸引竭覽二合二三摩二合囉
바아라 삼마야훔 바타37)
嚩日囉二合三摩野吽引癹吒半音三

법답게 혹은 금이나 은을 사용하고
혹은 흙을 이겨 쓰거나 비단에 탱화를 그린다.
네 부처의 형상은 가르침과 같게
마땅히 4방에 안포하여야 한다.

제불의 대명을 송한다.

옴 살­바 미도38)
唵引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句

다시 다음에 그 부처의 4면에
마땅히 비밀의 4대사(大士)를 그려야 한다.
중앙에는 금강수성존(金剛手聖尊)을 안치하고
항삼세분노상(降三世忿怒相)을 만들라.

4대사대명(大士大明)을 송한다.

옴 숨바니숨바훔 그리 한나 그리 한나 훔 그리 한나
唵引遜婆儞遜婆吽引一句屹哩二合恨拏二合屹哩二合恨拏二合吽引二屹哩二合恨拏二合引
바야훔 아 나야호 바아밤 바아라 훔 바타39)
波野吽引三阿引那野呼引婆誐鍐四嚩日囉二合吽引癹吒半音五

옴 바아라 몯리 고지고로 다 나야 살­바 라트난 혜 바
唵引嚩日囉二合勃哩二合酤胝骨嚕二合引馱引那野一句薩哩嚩二合囉怛曩二合引係引癹
40)
吒半音二

옴 바아라 나리 ­티 고로 다나리 ­ 야 마 라야훔41)
唵引嚩日囉二合捺哩二合瑟致二合一句骨嚕二合引馱捺哩二合瑟吒野三合引摩引囉野吽引二

옴 바아라 미설고로 다고로 살­마 미설로 바타야 사 다야훔
唵引嚩日囉二合尾說骨嚕二合引馱酤嚕一句薩哩網二合尾說嚕引波多野引娑引達野吽
바타42)
引癹吒半音二

아래로 선을 그을 때는 집중해서
분한(分限)을 넘나들지 않게 해야 한다.
금강보(金剛步)로 차례대로 나아가서
저 모든 단의 경계를 법에 의거하여 행하라.

금강보대명(金剛步大明)을 송한다.


바아라 볘 아43)
嚩日囉二合呔引誐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동쪽에는 제1만나라를 펼친다.
경궤(經軌)44)와 같이 그 차례에 의거하여
마야(摩耶) 등의 네 명왕을 두어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자가라 훔45)
唵引嚩日囉二合作訖囉二合吽引一句

옴 바아라 간다훔46)
唵引嚩日囉二合健吒吽引一句

옴 바아라 난나강 바훔47)
唵引嚩日囉二合難拏崗引嚩吽引一句

옴 바아라 유다훔48)
唵引嚩日囉二合喩馱吽引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남쪽에 제2만나라를 펼친다.
금강분노존을 안포(安布)하고
군나리(軍拏梨) 등의 넷을 차례와 같게 배치하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바라 아바 리다바라 녜 바다 바아라 훔49)
唵引嚩日囉二合鉢囉二合入嚩二合里多鉢囉二合禰引鉢多二合嚩日囉二合吽引一句

옴 바아라 소 먀훔50)
唵引嚩日囉二合燥引藐吽引一句

옴 바아라 난나훔51)
唵引嚩日囉二合難拏吽引一句

옴 바아라 미글리 다훔52)
唵引嚩日囉二合尾訖哩二合多吽引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서쪽에 제3만나라를 펼친다.
금강목사라(金剛穆娑羅) 등의
네 금강사자(金剛使者)를 차례에 의하여 배치하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목사라훔53)
唵引嚩日囉二合穆娑羅吽引一句
옴 바아라 바타훔54)
唵引嚩日囉二合鉢吒吽引一句


옴 바아라 아바 라훔55)
唵引嚩日囉二合入嚩二合引羅吽一句

옴 바아라 그라 하훔56)
唵引嚩日囉二合屹囉二合訶吽引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북쪽에 제4만나라를 펼친다.
금강구(金剛鉤) 등의 네 복사(僕使)를
가르침의 차례대로 마땅히 배치하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낭­따라 훔57)
唵引嚩日囉二合能瑟吒囉三合吽引一句

옴 바아라 마 라나훔58)
唵引嚩日囉二合摩引囉拏吽引一句

옴 바아라 미갈나 훔59)
唵引嚩日囉二合尾竭那二合吽引一句

옴 바아라 하라나훔60)
唵引嚩日囉二合賀囉拏吽引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법에 의거하여 마땅히 네 문을 그리라.
금강순나(金剛舜拏) 등의 마주(魔主)는
그 차례대로 마땅히 배치하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마나훔61)
唵引嚩日囉二合摩那吽引一句

옴 바아라 마 라훔62)
唵引嚩日囉二合摩引囉吽引一句

옴 바아라 리타 훔63)
唵引嚩日囉二合引哩他二合吽引一句

옴 바아라 아새훔64)
唵引嚩日囉二合阿室吽引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외만나라의 분위(分位)를 펼친다.
주위에는 마땅히 모든 모천(母天)을 그리고
가르침의 차례대로 마땅히 나누어 배치하라.
네 금강문(金剛門) 가운데에는
문을 지키는 현성을 앞에서 설한 바대로 하라.
내가 설한 저 뛰어난 단의(壇儀)는
낱낱이 모두 의궤에서 설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삼세륜대만나라(三世輪大曼拏羅) 가운데 구소(鉤召) 등의 사업은 낱낱이 모두 본 가르침에 의거하여 행하고 나서, 금강아사리는 마땅히 스스로 금강분노제리제리인(金剛忿怒帝哩帝哩印)을 결하고 이에 제자에게 일러 말한다.
“나는 저 금강삼매지(金剛三昧智)로부터 출생하였다. 너는 이 삼매법을 따르지 않거나, 사람들을 위해 번번이 설하여서, 재앙을 초래하고 목숨을 잃으며, 목숨이 끊어진 다음에 대지옥에 떨어지지 않게 하여라.”
이와 같이 말하고 나서 다시 그 서심대명(誓心大明)을 수여한다. 그 다음에 금강분노제리제리인을 결하여 이에 나타내 보이고 또 이렇게 말한다.
“만약 삼매박(三昧縛)을 거스르게 되면 이 금강분노삼매가 정수리로부터 일어나서 그 몸을 파괴하리라. 이러한 까닭에 마땅히 법에 의거하여 행하여야 하느니라.”
040_0725_c_01L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教王經 卷第十五 威西天譯經三藏朝奉大夫試光祿卿傳法大師賜紫沙門臣 施護 等奉 詔譯三世輪大曼拏羅廣大儀軌分第十一之二爾時金剛最上明菩薩摩訶薩卽以所受大金剛叉如輪旋轉作妙旋舞供養事業說此頌曰大哉一切正覺尊 大菩提心無有上聖尊勝足若觸時 由斯我當得成佛爾時金剛手菩薩摩訶薩從金剛忿怒三摩地起前白佛言世尊我初手受一切如來大金剛杵而復授我金剛手灌頂法彼時大自在天等悉處外界諸金剛部今此建立降三世大曼拏羅已如我所作由斯因故此等有情悉得不退轉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爾時世尊大毘盧遮那如來應供正等正覺卽說一切如來大士頂輪大明曰嚩日囉二合薩都瑟尼二合引沙吽癹咤半音一句說是大明時從一切如來頂中出現具德金剛手大菩薩像像中復現無數色光普照世界照已旋還合於金剛手大菩薩上然後乃成一切如來頂輪光聚於是光聚中出此一切如來頂輪大明曰那莫薩哩嚩二合怛他誐都二合引沙帝仁祖切那嚩路吉多母哩馱二合引一句入嚩二合達哥達哥尾捺囉尾捺囉親那頻那癹咤半音六爾時金剛手菩薩摩訶薩說此自部使者說自心明曰你遜婆嚩日囉二合癹咤半音一句復次金剛手菩薩摩訶薩重說自心等大明曰咤枳一句爾時金剛藏菩薩摩訶薩說此自部最上大明曰嚩日囉二合囉怛努二合引怛摩一句入嚩二合引羅野吽癹咤半音二爾時金剛眼菩薩摩訶薩說此自部最上大明曰莎婆嚩秫馱一句嚩日囉二合鉢訥摩二合馱野薩哩網二合引尾禰踰二合引怛摩癹咤半音三爾時金剛巧業菩薩摩訶薩說此自部最上大明曰嚩日囉二合葛哩謨二合引怛摩一句嚩日囉二合馱囉三摩野摩耨三摩二合遜婆你遜婆葛哩沙二合鉢囉二合設野設野滿馱野三摩煬屹囉二合引薩哩嚩二合葛哩摩二合引尼彌酤嚕摩賀薩埵吽癹咤半音七爾時金剛最上明菩薩摩訶薩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自心明曰遜婆你遜婆一句嚩日囉二合尾禰踰二合引怛摩吽癹咤半音二爾時忿怒金剛明王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一句爾時摩邪金剛明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捺哩舍二合野薩哩嚩二合癹咤半音一句爾時金剛鈴明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健咤一句囉拏囉拏吽癹咤半音二爾時寂默金剛明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那摩賀沒囉二合癹咤半音一句爾時金剛器仗明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引喩馱捺摩哥吽半音一句如是等明王衆爾時金剛軍拏梨金剛忿怒王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自心明曰嚩日囉二合軍拏梨一句摩賀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馱屹哩二合恨拏二合二賀那捺賀跛左尾特網二合薩野嚩日哩二合引哩馱二合引曩颯頗二合引羅野頻那紇哩二合捺焬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馱吽癹咤半音九爾時金剛光金剛忿怒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鉢囉二合一句囉野燥咩骨嚕二合引馱吽癹咤半音三爾時金剛杖金剛忿怒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難拏一句拏野薩哩嚩二合訥瑟詁竹咸切下同二合引二摩賀骨嚕二合引馱吽癹咤半音三爾時金剛冰誐羅金剛忿怒王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冰誐羅毘沙野薩哩嚩二合訥瑟詁二合引一句摩骨嚕二合引馱吽癹咤半音二如是等金剛忿怒王衆爾時金剛舜拏大魔主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拏摩賀誐拏鉢底一句犖叉薩哩嚩二合訥瑟致二合引毘踰二合引二嚩日囉二合達囉倪焰二合羅野吽癹咤半音三爾時金剛鬘大魔主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羅誐拏鉢帝引一句葛哩沙二合鉢囉二合設野設野滿馱野滿馱野嚩尸酤嚕摩囉野吽癹咤半音五爾時金剛敬愛大魔主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嚩尸摩賀誐拏鉢多曳引一句嚩尸酤嚕吽癹咤半音二爾時最勝金剛大魔主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尾惹野尾惹焬酤嚕一句摩賀誐拏鉢底吽癹咤半音二如是等大魔主衆爾時金剛穆娑羅金剛使者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穆娑羅一句酤咤酤咤薩哩嚩二合訥瑟咤二合引二嚩日囉二合多吽癹咤半音三爾時金剛風金剛使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阿你羅一句摩賀那野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癹咤半音二爾時金剛火金剛使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阿那羅摩賀一句入嚩二合引羅野薩哩嚩二合跋悉彌二合引酤嚕二合二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癹咤半音三爾時金剛陪囉嚩金剛使者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陪囉嚩努一句薄叉野薩哩嚩二合訥瑟詀二合引二摩賀藥叉吽癹咤半音三如是等金剛使者衆爾時金剛鉤金剛僕使爲禮敬奉獻金剛手菩薩摩訶薩足故說自心明曰嚩日囕二合引酤舍葛哩沙二合野薩哩二合一句摩賀半音癹咤半音二爾時金剛哥羅金剛僕使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羅摩賀蜜哩二合二合一句嗢怛播二合引捺野吽癹咤半音二爾時金剛尾那野哥金剛僕使說自心明曰嚩日囉二合尾那野哥一句尾覲曩二合酤嚕吽癹咤半音二爾時龍金剛金剛僕使說自心明曰誐嚩日囉二合一句那野薩哩嚩二合達那馱▼(寧+也)切身下同二呬囉尼也二合蘇嚩蘭拏二合摩尼目訖多二合引覽哥哩舞二合引波葛囉拏嚩日囉二合達囉三摩野摩耨三摩二合引五葛茶屹哩二合二合七滿馱賀囉賀囉鉢囉二合引𧹞引九半音癹咤半音十如是等金剛僕使衆爾時金剛手菩薩摩訶薩說此一切金剛部鉤召三昧大明曰嚩日囕二合引酤舍葛哩沙二合野吽引一句次說引入大明曰嚩日囉二合設葛茶吽引一句次說三昧縛大明曰嚩日囉二合颯怖二合引咤鍐一句次說羯磨大明曰嚩日囉二合葛哩摩二合達野訖哩二合半音一句爾時金剛手菩薩摩訶薩說此一切金剛部大曼拏羅我今次第當演說 大曼拏羅勝無上其相猶如法輪壇 依次抨諸曼拏羅抨線大明曰嚩日囉二合怛囉二合引葛哩沙二合一句薩哩嚩二合曼拏覽引二曼拏羅中應當用 朅禰囉木作於橛其線二倍依法儀 作已隨量抨壇位用橛大明曰嚩日囉二合一句計羅野薩哩嚩二合尾覲曩二合引癹咤半音二四線依法而和合 如次應抨彼輪壇漸出抨其外界中 亦復如前二倍作或復三倍隨應作 如次抨外曼拏羅彼諸隅分依本儀 抨其隅界當如量此卽抨線儀軌然後隨其所抨線 用五種色淨圓滿左手作大金剛拳 次第隨意粉壇界五色大明曰嚩日囉二合囕誐三摩野吽引一句壇中依法所成已 阿闍梨住等引心次當注意開壇門 彼金剛門開其四開門大明曰嚩日嚕二合引訥伽二合引咤野一句三摩野鉢囉二合尾設尸竭覽二合二三摩二合囉嚩日囉二合摩野吽癹咤半音三依法或用金或銀 或塑或繪於㡧像隨應安布於四方 四佛形像當如教諸佛大明曰薩哩嚩二合尾咄半音一句復次於其佛四面 應畫祕密四大士中安金剛手聖尊 作降三世忿怒相四大士大明曰遜婆你遜婆吽引一句屹哩二合恨拏二合二合恨拏二合引二屹哩二合恨拏二合引波野吽引三那野呼婆誐鍐嚩日囉二合半音五嚩日囉二合勃哩二合酤胝骨嚕二合引那野一句薩哩嚩二合囉怛曩二合引癹咤半音二嚩日囉二合捺哩二合瑟致二合一句骨嚕二合引捺哩二合瑟咤野三合引囉野吽引二嚩日囉二合尾說骨嚕二合引馱酤嚕一句哩網二合尾說嚕波多野達野吽癹咤半音二若下線時當注念 不應出入違分限以金剛步依次行 彼諸壇界皆依法金剛步大明曰嚩日囉二合一句以金剛步而漸進 東布第一曼拏羅依其次第如軌儀 安摩耶等四明王此等大明曰嚩日囉二合作訖囉二合引一句嚩日囉二合健咤吽引一句嚩日囉二合難拏岡嚩吽引一句嚩日囉二合喩馱吽引一句以金剛步而漸進 南布第二曼拏羅安布金剛忿怒尊 軍拏梨等四如次此等大明曰嚩日囉二合鉢囉二合入嚩二合里多鉢囉二合鉢多二合嚩日囉二合引一句嚩日囉二合藐吽引一句嚩日囉二合難拏吽引一句嚩日囉二合尾訖哩二合多吽引一句以金剛步而漸進 西布第三曼拏羅金剛穆娑羅等四 金剛使者依次第此等大明曰嚩日囉二合穆娑羅吽引一句嚩日囉二合鉢咤吽引一句嚩日囉二合入嚩二合引羅吽引一句嚩日囉二合屹囉二合訶吽引一句以金剛步而漸進 北布第四曼拏羅金剛鉤等四僕使 如教次第當安置此等大明曰嚩日囉二合能瑟咤囉三合引一句嚩日囉二合摩引囉拏吽引一句嚩日囉二合尾竭那二合引一句嚩日囉二合賀囉拏吽引一句以金剛步而漸進 依法應畫於四門金剛舜拏等魔主 如其次第當安布此等大明曰嚩日囉二合摩那吽引一句嚩日囉二合羅吽引一句嚩日囉二合引哩他二合引一句嚩日囉二合阿室吽引一句以金剛步而漸進 布外曼拏羅分位周帀應畫諸母天 如教次第當分列所有四金剛門中 護門賢聖前所說而我說彼勝壇儀 一一皆如儀軌說如是三世輪大曼拏羅中所有鉤召等事業一一皆依本教作已金剛阿闍梨應當自結金剛忿怒帝哩帝哩乃謂弟子言我今從彼金剛三昧智所出生汝不應以此三昧法輒爲人說無令返招殃咎壞失身命命終之後墮大地獄如是言已復爲授其誓心大明後以所結金剛忿怒帝哩帝哩印乃爲表示又作是言若有違越三昧縛者此金剛忿怒三昧從頂發起破壞其身是故應當依法所作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教王經 卷第十五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1)범어로 Oṃ vajra-satvoṣṇīṣa huṃ phaṭ
  2. 2)범어로 Oṃ namaḥ sarva-tathāgatoṣṇīṣa-tejo-rāśi an-avalokita-mūrdha hūṃ jvala dhaka vidhaka vidara vidara cchinda bhinda hūṃ phaṭ.
  3. 3)범어로 Oṃ niśumbha-vajra huṃ phaṭ
  4. 4)범어로 Oṃ ṭakki jjaḥ.
  5. 5)범어로 Oṃ vajra-ratnottama jvālaya huṃ phaṭ.
  6. 6)범어로 Oṃ svabhāva-śuddha-vajra-padma śodhaya sarvān vidyottama huṃ phaṭ
  7. 7)범어로 Oṃ vajra-karmottama-vajra-dhara-samayam anusmara śumbha niśumbh'ākarṣaya praveśay'āveśaya bandhaya samayaṃ grāhaya sarva-karmāṇi me kuru mahā-satva huṃ phaṭ.
  8. 8)범어로 Oṃ śumbha niśumbha vajra-vidyottama huṃ phaṭ.
  9. 9)범어로 vajra-śūla
  10. 10)범어로 Oṃ vajra-māya vidarśaya sarvaṃ huṃ phaṭ
  11. 11)범어로 Oṃ vaajra-ghaṇṭa raṇa raṇa huṃ phaṭ
  12. 12)범어로 Oṃ vajra-mauna mahā-vrata huṃ phaṭ
  13. 13)범어로 Oṃ vajr'āyudha dāmaka huṃ phaṭ
  14. 14)범어로 Oṃ vajra-kuṇḍali-mahā-vajra-krodha gṛhṇa daha paca vidhvaṃsaya vajreṇa mūrdhānaṃ sphālaya bhinda hṛdayaṃ vajra-krodha huṃ phaṭ.
  15. 15)범어로 Oṃ vajra-prabha māraya saumya-krodha hūṃ phaṭ
  16. 16)범어로 Oṃ vajra-daṇḍa tāḍaya sarva-duṣṭān mahā-krodha huṃ phaṭ
  17. 17)범어로 Oṃ vajra-piṅgala bhīṣaya sarva-duṣṭān bhīma-krodha huṃ phaṭ
  18. 18)범어로 Oṃ vajra-śauṇḍa mahā-gaṇa-pati rakṣa sarva-duṣṭebhyo vajra-dhar'ājñāṃ pālaya huṃ phaṭ
  19. 19)범어로 Oṃ vajra-māla-gaṇa-pate mālay'ākarṣaya praveśaya bandhaya bandhaya vaśī-kuru māraya huṃ phaṭ
  20. 20)범어로 Oṃ vajra-vaśī-mahā-gaṇa-pate vaśī-kuru huṃ phaṭ
  21. 21)범어로 Oṃ vajra-vijaya vajayaṃ kuru mahā-gaṇa-pati huṃ phaṭ
  22. 22)범어로 Oṃ vajra-musala kuṭṭa kuṭṭa sarva-duṣṭān vajra-dūta huṃ phaṭ
  23. 23)범어로 Oṃ vajrānila-mahā-veg'ānaya sarva-duṣṭān huṃ phaṭ
  24. 24)범어로 Oṃ vajrānala-mahā-dūta jvālaya sarvam bhasmī-kuru sarva-duṣṭān huṃ phaṭ
  25. 25)범어로 Oṃ vajra-bhairava-dūta bhakṣaya sarva-duṣṭān mahā-yakṣa huṃ phaṭ.
  26. 26)범어로 Oṃ vajrāṅkuś'ākarṣaya sarvaṃ mahā-ceṭa huṃ phaṭ.
  27. 27)범어로 Oṃ vajra-kāla mahā-mṛtyum utpādaya huṃ phaṭ.
  28. 28)범어로 Oṃ vajra-vināyakāsya vighnaṃ kuru huṃ phaṭ.
  29. 29)범어로 Oṃ nāga-vajr'ānaya sarva-dhana-dhānya-hiraṇya-suvarṇa-maṇi- muktā'laṃkār'ādīni sarvopakaraṇāni vajra-dhara-samayaṃ anusmar'ākaḍḍha gṛhṇa bandha hara hara prāṇān mahā-ceṭa huṃ phaṭ
  30. 30)범어로 Oṃ vajrāṅkuś'ākarṣaya hūṃ
  31. 31)범어로 Oṃ vajra-pāś'ākaḍḍha hūṃ.
  32. 32)범어로 Oṃ vajra-sphoṭa vaṃ
  33. 33)범어로 Oṃ vajra-karma sādhaya kṛṭ
  34. 34)범어로 Oṃ vajra-sūtr'ākarṣaya sarva-maṇḍalān.
  35. 35)범어로 Oṃ vajra-kīla kīlaya sarva-vighnān bandha hūṃ phaṭ.
  36. 36)범어로 Oṃ vajra-raṅga-samaya huṃ..
  37. 37)범어로 Oṃ vajrodghāṭana-samaya praviśa śīghraṃ smara vajra-samaya huṃ phaṭ.
  38. 38)범어로 Oṃ sarva-vit.
  39. 39)범어로 Oṃ śumbha niśumbha huṃ gṛhṇa gṛhṇa huṃ gṛhṇāpaya huṃ ānaya ho bhagavan vajra huṃ phaṭ.
  40. 40)범어로 Oṃ vajra-bhṛkuṭi-krodh'ānaya sarva-ratnān he phaṭ.
  41. 41)범어로 Oṃ vajra-dṛṣṭi-krodha dṛṣṭyā māraya huṃ.
  42. 42)범어로 Oṃ vajra-viśva-krodha kuru sarvaṃ viśva-rūpa-tayā sādhaya hūṃ phaṭ.
  43. 43)범어로 vajra-vega.
  44. 44)밀교의 경전과 의궤(儀軌)를 말한다. 의궤(儀軌)는 범어 kalpa의 번역으로 밀교에서 행하는 의식궤범(儀式軌範). 밀교의 경전에 설한 불ㆍ보살ㆍ천ㆍ신 등을 염송 공양하는 의식을 기록한 책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45. 45)범어로 Oṃ vajra-cakra hūṃ
  46. 46)범어로 Oṃ vajra-ghaṇṭa hūṃ.
  47. 47)범어로 Oṃ vajra-daṇḍa-kāṣṭha hūṃ.
  48. 48)범어로 Oṃ vajr'āyudha hūṃ.
  49. 49)범어로 Oṃ vajra-prajvalita-pradīpta-vajra hūṃ.
  50. 50)범어로 Oṃ vajra-saumya hūṃ.
  51. 51)범어로 Oṃ vajra-daṇḍa hūṃ
  52. 52)범어로 Oṃ vajra-vikṛta hūṃ.
  53. 53)범어로 Oṃ vajra-musala hūṃ
  54. 54)범어로 Oṃ vajra-paṭa hūṃ.
  55. 55)범어로 Oṃ vajra-jvāla hūṃ.
  56. 56)범어로 Oṃ vajra-graha hūṃ
  57. 57)범어로 Oṃ vajra-daṃṣṭra hūṃ.
  58. 58)범어로 Oṃ vajra-māraṇa hūṃ.
  59. 59)범어로 Oṃ vajra-vighna hūṃ.
  60. 60)범어로 Oṃ vajra-haraṇa hūṃ.
  61. 61)범어로 Oṃ vajra-mada hūṃ.
  62. 62)범어로 Oṃ vajra-māla hūṃ
  63. 63)범어로 Oṃ vajrārtha hūṃ
  64. 64)범어로 Oṃ vajrāsi hū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