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44_0405_a_01L종경록 제73권


연수 지음
송성수 번역


무릇 여덟의 식(識)안에서 진실을 덮고 허망을 익히지만, 어느 식이 업(業)을 짓고 어느 식이 인(因)이 되며 어느 식이 의지[依]가 되어서 그 허망한 종자를 이루는 것인가.
【답】 앞의 다섯 식[前五識]은 대경[塵]을 취하고 제6식은 인이 되며 제7식은 나[我]를 헤아리면서 업을 짓고 제8식은 의지가 되나니, 이로써 생사(生死)의 괴로운 결과가 끊이지 아니한다.
능가경(楞伽經)의 게송에서 말하였다.

마치 물이 다 흘러버리면
물결이 일어나지 않게 되나니
이와 같아서 의식(意識)이 소멸하면
갖가지 식이 생기지 않는다.

해석[釋]에서 말하였다. “다섯의 식이 대경을 취하여 6식에 굴러 들어가면 6식은 그 법을 기억하므로 인이 되고 7식은 연(緣)을 끌어당기며 6식은 선악의 업을 지어 미래 세상의 생사를 짓게 되므로 8식을 가려서 나타나지 못한다.
만일, 다섯의 식이 대경을 취하지 않으면 곧 6식이 없고, 6식이 없기 때문에 7식이 생기지 아니하며, 7식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선업(善業)ㆍ악업(惡業)이 없다. 선업ㆍ악업이 없기 때문에 생사가 없으며, 생사가 없기 때문에 여래장(如來藏)인 마음이 잔잔하나니, 바로 이것이 6식ㆍ7식이 소멸하여 8식을 이룩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또 8식은 5ㆍ6ㆍ7식의 의지할 바[所依]가 되므로 모든 식의 인이 되어 주는 것으로 곧 제6식의 마음은 모든 식이 의지하게 됨은 마치 물이 다하면 물결이 없는 것과 같다.
6식이 소멸하면 7식 또한 생기지 않기 때문에 ‘한생각인 무명(無明)의 바람이 불어서 진여(眞如)의 바다를 움직인다’고 하나니, 무명의 바람이 다하여 식(識)의 물결이 생기지 아니하면 각(覺)의 바다 성품이 근원을 맑게 하고 근원이 맑으면 그 각은 원래부터 묘하다.”
【문】 온갖 세간의 인과(因果)는 서로 갚으면서 생사가 끊이지 아니한데, 모든 식 가운데서 어느 식이 주(主)가 되는가.
【답】 나고 소멸하는 인연(因緣)은 맨 처음에 아뢰야식(阿賴耶識)을 의지하여 체성[體]으로 삼고 의식(意識)으로써 작용[用]을 삼는다.
이렇게 하여 3세(世)의 인과는 유전(流轉)하면서 끊이지 않나니, 그 공(功)이 의식에 있다는 이런 이치 때문에 뜻[意]을 상속식(相續識)이라고 한다.
기신론(起信論)에 말하였다. “다시 나고 소멸하는 인연이란, 모든 중생이 마음에 의지하여 의식이 구르는 것이다.
이 뜻은 무엇인가 하면, 아뢰야식에 의지하여 무명이 있어서 불각(不覺)이 일어나 능히 보고 능히 다투며 능히 경계를 취하여 분별하며 상속(相續)하므로 뜻이라 하느니라.
이 뜻에는 다시 다섯 가지의 다른 이름이 있다. 첫째 이름은 업식(業識)이다. 즉 무명의 힘으로 불각의 마음이 움직인다. 둘째 이름은 전식(轉識)으로서, 움직이는 마음에 의지하여 경계를 능히 보는[能見] 모양이다. 셋째 이름은 현식(現識)으로서, 온갖 경계와 모양을 나타낸다. 마치 밝은 거울이 색상(色像)을 다투는 것처럼 현식도 그와 같아서 그 다섯 가지 대경이 이르면 이내 나타나서 앞과 뒤가 없으며, 공력을 들이지 아니한다. 넷째 이름은 지식(智識)으로서, 물들거나 깨끗함[染淨]의 모든 차별된 법을 분별한다. 다섯째 이름은 상속식(相續識)으로서, 항상 짓는 뜻과 상응하여 끊어지지 않으며, 과거의 선업ㆍ악업 등을 맡아 지녀서 잃거나 파괴되지 않게 하고 현재와 미래의 고락(苦樂)의 과보를 성숙시켜 어김이 없게 하며, 전에 겪었던 일은 홀연히 기억하고 아직 겪지 않은 일은 망령되이 분별을 낸다.
그러므로 삼계(三界)의 온갖 것은 모두가 마음으로 제 성품[自性]을 삼나니, 마음을 여의면 여섯 가지 대경이 없다.
왜냐하면 온갖 모든 법은 마음을 주인으로 삼아 허망한 생각으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이다. 무릇 분별한 바는 모두가 자기 마음을 분별하는 것이로되 마음이 마음을 보지 못하며 모양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온갖 세간의 경계와 모양은 모두가 중생의 무명인 허망한 마음에 의지하여 건립되게 된다. 마치, 거울 속의 형상과 같아서 체성이 없으며 오직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으로부터 생길 뿐이므로, 마음이 생기면 갖가지 법이 생기고 마음이 소멸하면 갖가지 법이 소멸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해석에서 말하였다. “다섯 가지 식을 통틀어 논하여 모두 뜻[意]이라고 하지만, 근본에 나아가서 말한다면 업식(業識)만을 취하나니, 가장 미세하여 모든 식의 근본이 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이와 같은 업식은 견분(見分)ㆍ상분(相分)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나, 모든 보살들은 마음의 허망한 동요임을 알기에 앞의 경계가 없고 온갖 법은 이 식의 헤아림뿐임을 아는지라 앞과 바깥의 집착을 버리나니, 업을 따르는 식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업식이라고 한다.
“마음이 마음을 보지 못하며 모양을 얻을 수 없다”고 함은, 바로 모든 법은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이치를 밝힌 것이다.
입능가경(入楞伽經)의 게송에서 말하였다.

몸이 삶을 돕고 머물러 유지함은
마치 꿈속에서 사는 것과 같나니
두 가지 마음이 있어야 하는데도
마음에는 두 가지 모양이 없다.

마치 칼이 제 몸을 베지 못하고
손가락이 제 손가락을 만져보지 못하듯
마음이 그 마음을 보지 못하는
그 일 역시 그와 같으니라.

만일 꿈속에서 보게 되는 일들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곧 능히 봄[能見]과 본 것[所見]의 두 모양이 있어야 할 터인데도 그 꿈속의 것은 실로 두 가지 법이 없나니, 삼계의 모든 마음은 모두가 이 꿈과 같다.
마음을 여의고서 그 밖에 분별할 만한 것이 없기 때문에 ‘온갖 분별은 곧 자기 마음을 분별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기 마음에 나아가서 보면 자기 마음을 볼 수 없는 것이 마치 칼과 손가락 따위와 같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마음을 보지 못한다’고 한다.
이미 다른 이가 볼 수 없기에 역시 자기도 볼 수 없나니, 본 것이 없기 때문에 능히 봄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주관[能]과 객관[所]의 두 모양에 모두 얻을 바가 없기 때문에 ‘모양을 얻을 수 없다’고 말한다.
또 한 마음이 무명을 따라 움직여서 다섯 가지 식[五識]을 짓기 때문에 ‘삼계는 마음으로 굴릴 뿐이다’라고 설명하나니, 이 마음을 따라 훈습하여 비슷하게 나타남이 비록 갖가지가 있기는 하지만 그 인연을 궁구하면 마음으로 지을 뿐이다.
현식(現識)을 여의면 여섯 가지 대경이 없나니, 도리어 여섯 가지 대경을 증험해 보라. 이것은 한 마음일 뿐이기 때문에 ‘마음을 여의면 경계 등이 없다’고 말한다.
【문】 현재 여섯 가지 경계가 실제로 있거늘, 어째서 마음뿐이라고 하는가.
【답】 온갖 법은 모두 이 마음을 따라 훈습하며 일으키는 것이라, 다시는 다른 체성이 없기 때문에 마음뿐이라고 설명한다. (의심하여 말한다.) 무엇이 모든 법을 짓는 것인가.
【답】 망령된 생각으로 훈습하기 때문에 모든 법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망령된 생각으로부터 일어난다”고 하는 것이 역시 옳다.
(의심하여 말한다.) 법이 마음뿐이라면 나는 어째서 보지 못하며, 내가 보는 것은 바로 다른 마음일 뿐인가.
해석에서 이르되, “다른 마음[異心]이란 바로 망령된 생각으로 분별하면서 짓기 때문에 ‘망령된 생각으로 생긴다’고 한다.
이미 경계가 식일 뿐[唯識]이요 그 밖에 다른 법이 없으므로 이 때문에 갖가지의 분별이 모두 자기 마음이며, 곧 대경에 마음이 없으면 식이 스스로 반연하지 않으므로 이 때문에 대경이 없어서 식이 생기지 아니하면 마음이 마음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고 했다.
섭론(攝論)에서 말하였다. “따로의 법이 있어서 따로의 법을 능히 취하는 것이 없다.” 즉 주관과 객관이 이미 다하였기 때문에 모양을 얻을 수가 없다.
마음이 생기면 갖가지의 법이 생기고 마음이 소멸하면 갖가지의 법이 소멸한다고 함에 대해, 유가론(瑜伽論)에서 물었다. “관행(觀行)을 닦는 모든 이들이 변계소집(遍計所執)에 모양이 없음을 보는 때에는 어떠한 성질[性]에 들었다고 말해야 겠는가.” 대답했다. “원성실성(圓成實性)에 들어간 것이다.” 물었다. “원성실성에 들어간 때에는 어떠한 성질을 버렸다고 해야겠는가.” 대답했다. “의타기성(依他起性)을 버린 것이다”라고 했나니,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유식관(唯識觀)이 성립되면 식(識)이 없는 것이다.
능가경(楞伽經)의 게송에서도 말하였다.
“마음이 없는 심량(心量)인데/나는 심량이라고 말하도다.”
이것은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만일 이 논(論)에 의한다면, 무명(無明)이 진여(眞如)를 움직여서 생멸하는 연기[生滅緣起]를 이루므로 무명의 바람이 사라지면 식(識)의 물결이 이내 그치나니, 이 진여는 평등하고 평등할 뿐이다.
이 경계는 마음을 여의고서 그 밖에 체성을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이것이 바로 마음이기 때문에 다시는 체성이 없다. 마치 거울 밖에는 체성이 없고 거울 안에도 체성이 없는 것과 같다.
(의심하여 말한다.) 이미 체성이 없다면 어째서 분명하게 나타나는가.
해석에서 이르되, “이는 다 같이 참 마음[眞心] 위에서 허망하게 나타난 것이다. 어디에 체성이 있어서 얻을 수 있겠는가.
(의심하여 말한다.) 무엇으로 마음 위에서 나타난 줄 아는가.
해석에서 이르되, “마음이 생기면 갖가지의 법이 생긴다”고 했기 때문이니, 무명의 힘으로 불각(不覺)의 마음이 움직여서 온갖 경계가 나타나면 마음이 따라 훈습하며 움직이기 때문에 ‘생긴다’고 한다.
만일 무명이 소멸하면 경계가 따라 소멸하고 모든 분별의식이 모두 소멸하여 남는 것이 없기 때문에 “마음이 소멸하면 갖가지 법이 소멸한다”고 했나니, 이야말로 마음 근원이 도리어 깨끗해지기 때문에 ‘소멸한다’고 한다.
이미 마음이 불각을 따르는지라 모든 경계가 망령되이 나타나면 모든 경계를 증험해 보라. 마음일 뿐이요 체성이 없다.
또한 무릇 마음이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징조를 나타내며 동정(動靜)이 자기 마음에 응(應)하지 아니함이 없다.
마치 시(詩)에서 이르되, “나를 생각하면 재채기가 난다[願言則嚔]”고 함과 같나니, 원(願)이란 생각한다[思]는 것이요 언(言)이란 나[我]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다른 사람이 혹시 자기를 생각하면 재채기가 나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마음은 천 리(千里)까지 응하며 설령 먼 곳에 있으면서 생각한다 해도 나는 모두 다 안다.
그러므로 온갖 일은 마음이 먼저 알기 때문에 심령(心靈)이라 일컫게 되는 것이니,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마치 태산(太山) 오백무(吳伯武)가 아우를 잃어버린 지 20여 년이 되었는데, 서로가 우연히 저자에서 만나 서로 싸우면서 때리다가 백무의 마음이 어쩐지 슬퍼졌으므로 물어보았더니 형제였었다고 하는 사실과 같다.
【문】 생멸하는 인연[生滅因緣]은 특별히 무엇으로 인(因)을 삼고 무엇으로 연(緣)을 삼으면서 생기게 되는가.
【답】 옛 스님의 해석에서 이르되, “생멸하는 인연에는 체성[體]과 모양[相] 둘이 있다. 첫째는 아뢰야(阿賴耶)인 마음의 체성이 제 성품[自性]을 지키지 않고 변하면서 모든 법을 지으므로 이것이 생멸하는 것의 인이요, 근본 무명(根本無明)이 마음의 체성을 움직이므로 이것이 생멸하는 것의 연이다.
또 무명이 머무는 자리는 모든 물듦[染]의 근본이어서 모든 생멸을 일으키므로 인이라고 하며, 여섯 가지 대경은 7식(識)의 물결을 움직여 생멸하므로 이것은 생멸하는 것의 연이다”라고 했나니, 이 두 가지 뜻에 의지하여 인연을 나타낸다.
모든 생멸은 서로가 모여서 생기기 때문에 ‘중생’이라고 한다. 그러나 따로 체성이 없고 마음인 체성에 의지하기 때문에 ‘마음에 의지한다[依心]’고 하나니, 바로 이 아뢰야식이 자기 마음의 모양이다.
또 진실[眞]과 허망[妄]이 화합하여 모든 식의 인연이 생기나니, 네 가지 글귀로 말한다. 첫째 여래장(如來藏)은 오직 생멸하지 않을 뿐이므로 마치 물의 축축한 성질[濕性]과 같다. 둘째 일곱 가지 식[七識]은 오직 생멸할 뿐이므로 마치 물의 물결과 같다. 셋째 아뢰야식은 생기기도 하고 소멸하기도 하며, 또한 생멸하지 않기도 하므로 마치 바다가 움직임과 고요함을 다 포함한 것과 같다. 넷째 무명의 뒤바뀐 집착은 생멸이 아니기도 하고 생멸하지 않는 것도 아니므로 마치 물결을 일으키는 사나운 바람이 물도 아니고 물결도 아닌 것과 같다.
【문】 아뢰야식은 움직임과 고요함에 다 통하는 것이라 생멸문(生滅門)에만 있지 않아야겠다.
【답】 고요함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움직임을 이루는 것이라 따로 움직이는 체성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요한 성질은 움직임에 따르는 것이라 역시 생멸문 안에 있다.
아뢰야식이 움직임과 고요함을 다 갖추어서 이 생멸문에 있을 뿐만 아니라, 역시 여래장은 움직이지 않는 것이로되 그 역시 이 문 안에 있다. 왜냐하면 저 생멸에는 따로 체성이 없기 때문이니, 마치 물에 물결이 이는 것과 같다.
또 기신론(起信論)에서 설명한다. “무명이 인(因)이 되고 경계가 연(緣)이 되어 세 가지의 세밀한 식[三細之識]과 여섯 가지의 거친 모양[六麤之相]을 내면 헷갈려서 어두운 연을 따르면서 육취(趣)에 잠기고, 시각(始覺)이 인이 되고 5도(度)가 연이 되면 깨쳐서 아는 연을 따르면서 1승(乘)에 오른다”고 했다.
또 설명하였다. “헷갈리면 항하(恒河) 모래보다도 많은 망령된 물듦[妄染]의 법이 있어서 이내 물든 연(緣)이 생기면서 깨끗한 연은 소멸하며, 깨치면 항하 모래보다도 많은 깨끗한 공덕들이 있어서 이내 깨끗한 연이 일어나면서 물든 연은 소멸한다”고 했다.
그러나 한 마음으로 짓게 될 뿐이요 다시는 두 개의 근원은 없나니, 이치로는 깨침을 좇고 미혹을 좇는다고 설명하나 실은 능히 좇는 것[能遂]이나 좇을 바[所遂]가 없다.
그러므로 논(論)에서 말하였다. “온갖 법은 모두가 마음으로부터 망령된 생각을 일으키면서 생기며, 무릇 분별한 것은 모두 자기 마음을 분별한 것이로되 마음이 마음을 보지 못하며 모양을 얻을 수 없다”고 했다.
마치 고덕(古德)의 해석에, 물결과 물의 비유는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두 문이니, 물의 습기로는 심진여(心眞如)에 비유하고 물결의 움직임으로는 심생멸(心生滅)에 비유한 것과 같다.

물결이 습기와 다름이 없는 움직임이라면 진여와 다름이 없는 생멸이라 곧 물로써 물결을 말하므로 변하지 않는 성질이면서 인연의 생김이요, 물이 움직임과 다름이 없는 습기라면 생멸을 여읨이 없는 진여라 곧 물결로써 물을 밝히므로 인연을 떨어 버리면서 진실과 다름없는 것이다.
【문】 기억하는 일은 반드시 어느 법에 속하여 생기는가.
【답】 대승의 설명[大乘說]으로는 “기억하는 법에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자증분(自證分)이 견분(見分)을 기억한다. 둘째 별경(別境) 안의 생각이 전에 겪었던 일들을 기억한다. 셋째 식(識) 안의 종자(種子)는 망령되이 생기지 않고 스스로 현행(現行)한다”고 했다.
유식소(唯識疏)에서 이르되, “마치 전에 겪었던 경계가 아니면 반드시 기억할 수 없는 것과 같다”고 했나니, 현행(現行)의 물질로서 일찍이 견분(見分)의 연을 입었다면 뒷날에 반드시 기억할 수 있지만, 만일 일찍이 상분(相分)의 연이 되지 않았다면 뒷날에 반드시 기억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능히 반연하는[能緣] 견분은 과거의 때와 현재 세상에서 상분을 반연할 뿐이므로 일찍이 스스로가 반연하지 않았다면 전에 이미 소멸된 마음이라 벌써 지나가버렸거늘 오늘날의 견분이 무슨 까닭이 있기에 스스로 기억될 수 있겠는가. 옛날에 대해서도 일찍이 반연으로 돌아가지 않는 제 견분이기 때문이다.
이미 오늘날의 심심소법(心心所法)이 스스로 기억할 수 있다고 인정한다면, 분명히 옛날에는 자증분(自證分)이 견분을 반연함이 있었으므로 그 경계를 증명하는 양과(量果)가 되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오늘날에 기억하는 것이다.
【문】 생멸문(生滅門)의 유루위(有漏位)에서, 교(敎)에서 논한 바를 보면 몇 가지 생사가 있는가.
【답】 대략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분단생사(分段生死)요, 둘째는 변역생사(變易生死)이다.
식론(識論)에서 말하였다. “첫째는 분단생사이다. 모든 유루의 선업(善業)과 불선업(不善業)이 번뇌장(煩惱障)의 연(緣)을 돕는 세력으로 말미암아 삼계(三界)의 거친 이숙과(里熟果)를 받게 되고 몸과 수명의 장단이 인연의 힘을 따라 정해진 분한(分限)이 있기 때문에 분단이라고 한다.
둘째는 부사의(不思議)한 번역생사이다. 모든 무루(無漏)의 분별 있는 업이 소지장(所知障)의 연을 돕는 세력으로 말미암아 뛰어나고 미세한 이숙과를 받게 되고 몸과 수명을 바꾸며, 고쳐서 정해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변역이라고 하며, 무루의 정력(定力)과 원력(願力)이 바로 돕고 받게 하는 것이라 묘한 작용이 헤아리기 어려우므로 부사의라고 하며, 혹은 의생신(意生身)이라고도 하나니, 뜻과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계경(契經)에서 설명한다. “취(取)와 같은 것이 연(緣)이 되고 유루의 업인(業因)이면 후유(後有)가 계속 되는 이라 3유(有:三果)에 나게 되고, 이 무명습지(無明習地)와 같은 것으로 연이 된다. 무루의 업인이면 아라한(阿羅漢)과 독각(獨覺)이 있으며, 이미 자재함을 얻은 보살의 세 가지 이생신도 변화신(變化身)이라 한다. 무루의 정력으로 차츰차츰 본래와 다르게 함이 변화와 같기 때문이다”라고 함과 같다.
【문】 논에서 이르되, “소지장이 해탈(解脫)을 장애하지 아니함은 발업(發業)과 윤생(潤生)의 작용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했거늘, 무슨 작용으로 나고 죽는 고통을 돕고 받게 되는가.
【답】 두 가지 이익이 이룩되기 때문에 다시금 삶[生]을 도와야 한다.
논에서 말하였다. “자신이 보리(菩提)를 증득하면 남을 이롭게 하고 즐겁게 하기 때문이니, 부정성(不定性)의 독각ㆍ성문과 자재함을 얻은 큰 원력 보살이다. 이미 영영 번뇌장을 끊고 조복했기 때문에 다시는 장차 분단(分段)의 몸을 받음이 없지만, 오랜 세월 동안 닦을 보살행(菩薩行)을 그만둘까 두려우므로 드디어 무루의 훌륭한 정력과 원력으로 마치 수명을 늘려 오래 사는 법처럼 현재 몸의 인(因)을 도와 그로 하여금 오랜 세월 동안 결과를 부여하여 끊어지지 않게 한다.
자주자주 이와 같은 정력과 원력으로 도우면서 위없는 보리를 증득하기까지에 이르거늘, 또한 그에게 왜 소지장의 도움이 필요하겠는가. 아직 모양 없는[無相] 대비(大悲)를 원만히 증득하지 못한지라, 보리와 유정(有情)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집착하지 아니하면 날카로운 대비원력[悲願]을 일으킬 수 없다.
또 소지장은 큰 보리를 장애하므로 영원히 끊고 없애기 위해서 몸을 멈추어 오래 사는 것이며, 또 소지장은 유루의 의지[依]가 되므로 이 소지장이 없다면 그는 결정코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니, 몸의 머무름에서 크게 돕는 힘이 있다.
만일 멈추고 있는 몸이 유루의 정력과 원력으로 돕게 되는 이라면 분단의 몸에 속하나니 2승(乘)의 이생(異生)이면 소지장의 경계이기 때문이며, 무루의 정력과 원력으로 돕게 되는 이면 변역의 몸에 속하나니, 저 경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변역생사의 성질은 바로 유루의 이숙과에 속하며 무루의 업에서는 바로 증상과(增上果)인 줄 알아야 한다.”
해석에서 말하였다. “자재함을 얻은 큰 원력 지닌 보살은 이미 영영 번뇌장을 끊고 조복했다 함은 8지(地) 이후의 보살을 말하는 것이니, 비록 번뇌를 지닌 생사를 빌려서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범부와 2승에서 설명하는 현행(現行)ㆍ종자(種子) 및 윤생(潤生)과는 같지 않다.
번뇌를 일으켜 유정들을 이익되게 하는 업의 세력으로 말미암아야 비로소 생사의 과보를 받게 되므로, 번뇌가 만일 조복되면 업의 세력이 이내 다하기 때문에 모름지기 법집(法執)으로 원력을 도와 삶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니, 이미 영영 끊고 조복했다면 다시는 미래의 분단 과보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두 가지 이익이 있지만 분단생사의 과보가 끝났음을 관하여 알면 오랜 세월 동안 닦을 보살행을 그만둘까 두려운지라 드디어 무루의 뛰어난 정력과 원력에 들어가서 마치 아라한의 수명을 늘리는 법처럼 현재 몸의 인을 돕는 것이니, 곧 과거를 도와서 몸으로 하여금 업을 받게 하고 그 업으로 오랜 세월 동안 과보를 부여하면서 끊어지지 않게 한다.
아직은 모양 없는 대비[無相大悲]를 원만하게 증득하지 못한지라 보리와 유정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집착하지 아니하면 날카로운 대비 원력[悲願]을 일으킬 수 없다고 함은, 아직은 부처가 되어서 모양 없는 대비의 한 맛[一味]이요 평등하다고 함의 이해를 원만하게 증득하지 못한지라 만일 ‘보리는 구해야 한다. 유정은 제도해야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 존재한 것이라고 집착하지 않는다면 날카로운 대비와 날카로운 원력을 일으킬 수가 없는 것이니, 소지장으로 구해야 하고 제도해야 한다는 집착이 우선해야 비로소 무루의 업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업(業)을 말하여 인(因)으로 삼음은 이것이 뛰어나기 때문이요 무명을 연(緣)으로 삼음은 소원(疎遠)하기 때문이니, 번뇌와 같은 것이 유루의 업을 돕는 것이 아니요 연의 이치가 동일할 뿐이며 서로가 조금 비슷하다.
또 소지장이 큰 보리의 장애가 됨은 바로 지혜의 장애가 되기 때문이니, 이 소지장을 영영 끊어 없애기 위하여 몸을 멈추어 오래 사는 것이며, 그것을 말하여 연이라 함은 끊을 것의 연이 되기 때문이다.
또 이 소지장은 온갖 유루의 의지[依]가 되나니, 이 장애가 있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변천하는 법을 함께 하면서 무루를 이루지 않기 때문이다.
이 의지할 바[所依]의 장애가 만일 없다면 저 능히 의지함[能依]의 유루는 결정코 있는 것이 아니다. 이제 몸을 멈추어서 오래 삶은 소지장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연을 삼는다. 따라서 이 장애를 말하는 것이며, 몸의 머무름에서 크게 돕는 힘이 있게 되므로 연이라고 말한다.
이 변역생사라야 바로 보살이 대비 원력을 성취하고 보리가 원만하게 되나니, 만일 분단생사라면 이것은 범부의 망령된 마음에서 짓는 바라 생각생각마다 즐겨 빠져서 크게 고통받는 바퀴에 들어가 휴식함이 없게 된다.”
대열반경(大涅槃經)에서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가섭(迦葉)에게 말씀하셨다. ‘세간의 중생들은 뒤바뀌어 가려진 마음으로 태어남의 모양을 탐착하면서 늙고 죽음을 싫어하느니라.
가섭아, 마치 어떤 여인이 다른 사람의 집으로 들어가는데 이 여인이 단정하고 얼굴이 고우며 좋은 영락(瓔珞)으로 그 몸을 장식했으므로, 집 주인이 보자마자 물었느니라.
그녀의 이름은 무엇이며, 누구에게 속해 있느냐고 묻자, 여인은 대답하기를, 그녀의 몸은 바로 공덕대천(功德大天)이라고 하였다. 주인이 묻기를, 그녀가 와 있는 곳에서는 하는 일이 무엇이냐고 하였다. 여인은 대답하기를, 그녀가 가 있는 곳에서는 갖가지 금ㆍ은ㆍ유리(琉璃)ㆍ파려(玻瓈)ㆍ진주(眞珠)ㆍ산호(珊瑚)ㆍ호박(琥珀)ㆍ자거(硨磲)ㆍ마노(瑪瑙)ㆍ코끼리ㆍ말ㆍ탈 것ㆍ종이ㆍ심부름꾼 등을 주게 된다고 했느니라.
그 주인은 듣자마자, 마음으로 한량없이 기뻐 뛰면서, 그가 지금의 복덕으로 그녀를 그의 집으로 오게 하겠다고 하면서, 곧 향을 사르고 꽃을 뿌리며 공양 공경하면서 예배하였느니라.
다시 문 밖에서 한 여인을 보게 되었는데 그 모양이 누추하고 옷은 해졌으며 때가 잔뜩 끼고 살갗은 얼어 터져서 새하얗게 되어 있었으므로, 보고 묻기를, 그녀의 이름은 무엇이며, 누구의 집에 속해 있는가 물었다. 여인은 대답하기를, 그녀의 이름은 흑암(黑闇)이라고 하므로 다시 흑암이라고 이름한 까닭을 묻자, 여인은 대답하기를, 그녀가 있는 곳에서는 그 집에 있는 온갖 재산과 보물이 다 없어지게 한다고 하였느니라.
주인은 그 말을 듣고 나서 이내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말하기를, 그녀가 만일 가지 않는다면, 그녀의 목숨을 끊어야겠다고 하였다. 여인이 대답하기를, 주인이야말로 참으로 어리석고 지혜가 없는 이라고 하였다. 주인은 그녀에게 어째서 어리석고 지혜가 없다고 하는지 물었다.
여인은 대답하기를, 주인집 안에 있는 이가 바로 그녀의 언니이며, 그녀는 언제나 언니와 행동을 같이하고 있으므로, 만일 주인이 그녀를 쫓아낸다면 그 언니도 쫓아내야 한다고 하였느니라.
주인은 도로 들어가서 공덕천에게, 밖에 한 여인이 있는데, 그녀가 공덕천의 동생이라고 하는데 사실이 그러한지 물었다. 공덕천은 그렇다고 말하였다. 그녀는 공덕천의 동생이며 자신은 그 동생과 함께 행동하면서 서로가 떨어진 일이 없다고 하였다. 가 있는 곳마다 그녀는 언제나 좋은 일을 하고 동생은 언제나 나쁜 짓을 하며 그녀는 언제나 이익되게 하고 동생은 언제나 손해를 끼친다고 하였다. 만일 그녀를 사랑한다면 동생도 사랑해야 하고 그녀가 공경받는다면 동생도 공경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주인은 또한 말하기를, 만일 그렇게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다면, 그에게는 모두 필요 없다고 하며 각자 마음대로 가라고 하였느니라.
이때 두 여인은 서로 함께 그들의 갈 곳으로 떠나갔으므로, 주인은 그들이 돌아가는 것을 보고 마음으로 기뻐하며 뛸 듯이 좋아하기가 한량없었느니라’ ”라고 하였다.
해석하여 보자. ‘공덕천(功德天)’이란 태어남[生]에 비유하고 ‘흑암(黑闇) 여인’은 죽음에 비유한 것이다. 이 세간에서 나고 죽는 두 법은 모든 악(惡)의 근본이요 뭇 고통의 근원일 뿐이므로, 현인과 성인들은 다 같이 꾸짖었고 어리석은 이들은 가리어 보이지 않는다.
‘주인이 보자마자’라 함은 마음이 경계를 보는 것이므로 본다[見]고 한다. ‘이내 물었다’고 함은 앎으로써 태어나기를 관(觀)하고 태어나기의 진실을 구하는 것이니, 묻는다[問]고 한다.
‘여인이 대답했다’고 함은 경계가 마음을 대(對)한다는 뜻이니, 대답한다[答]고 한다. 공덕대천이란 태어나기는 바로 출생하는 모양[出相]에 비유한 것이며, 공덕천이 주인에게 보답할 것은 6식(識)의 광명을 갖추어서 6진(塵)의 경계를 비추는 것이니, 공덕천이라고 한다.
‘누구에게 속하는가’라고 함은 혹업(惑業)에 속한다고 말해야 한다. ‘제가 지금의 복덕으로’라고 함은 전생에 착한 원인을 닦은지라 금생에 하늘[天]의 과보를 받는 것이므로, 나의 집에 오게 한다[令至我宅]고 한다.
‘다시 문 밖에’라고 함은 죽음은 몸과 집을 버린다는 뜻으로 문 밖[門外]이라고 하며, ‘누구의 집에 속했느냐’고 함은, 연(緣)이 죽게 되면 소속이 없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나의 이름은 흑암이다’라고 함은 죽음 이것은 침몰하는 모양이니, 비록 다섯 가지 감각이 있기는 하나 깨닫고 아는 바가 없으므로 흑암이라고 한다.
‘나는 언제나 언니와 행동을 함께 한다’고 함은 나고 죽게 하는 행동을 함께 한다는 것이요, ‘주인이 이내 말하기를, 만일 그렇게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다면 그에게는 모두 필요 없다’고 함은 무릇 나기에 대해서 기뻐하지 않는 이면 죽음을 당해도 근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때 주인은 그들이 돌아가는 것을 보고 마음으로 기뻐하며 뛸 듯이 좋아하기가 한량없었다’라고 함은 초지(初地)를 증득할 때는 분단(分段)의 죽음을 여의고서 환희지(歡喜地)에 들어가는 것이므로, 기쁨이 한량없다고 한다.
【문】 안의 식[內識]이 있을 뿐이요 바깥 연[外緣]은 없거늘, 어째서 또 여섯 곳[六處]에 바퀴 돌듯 하면서 생사가 상속한다고 하는가.
【답】 식론(識論)의 게송에서 말하였다.

모든 업의 습기(習氣)로 말미암아
두 가지 취[二取]의 습기는 함께 하며
앞의 이숙(異熟)이 다하고 나면
다시 그 밖의 이숙이 생긴다.

모든 업이란 복업(福業)ㆍ죄업(罪業)ㆍ부동업(不動業)이며, 곧 유루(有漏)의 착하거나 착하지 않은 사업(思業)이요 사업의 권속들도 업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나니, 똑같이 이숙과를 부르고 당기고 가득 채우기 때문이다.
이것이 비록 겨우 일어나자마자 사이 뜰 틈도 없고 차별의 상태[義]가 없으면서 장차의 이숙과를 부른다 하더라도 본식(本識)에 훈습되어 제 공능(功能)을 일으키므로, 곧 이 공능을 습기라 한다.
이 업의 기분(氣分)이 훈습되어 이룩되는 것이요 전의 것과 현재의 업을 간별(簡別)하기 위하여 습기라 한다. 이와 같은 습기는 차츰차츰 상속하면서 성숙된 때가 되면 이숙과를 부르는 것이다. 이것은 그 결과[果]에 대한 뛰어난 증상연(增上緣)을 드러낸 것이다.
상(相)과 견(見)ㆍ이름[名]과 물질[色]ㆍ마음[心]과 심소(心所]ㆍ근본[本]과 끝[末]의 취(取)들은 모두 두 가지 취에 속하는 것이니, 소훈(所熏)이 친함[親]을 내어 본식 위의 공능을 생기게 하므로 두 가지 취의 습기라 한다. 이것은 오는 세상에서 받는 이숙과의 마음과 그와 상응한 모든 인연의 종자를 드러낸 것으로 업(業)과 종자(種子)가 함께 하되 두 가지 취의 종자가 함께 하는 것이니, 이는 성근 연[疎緣]과 친한 연[親緣]이 서로서로 돕는다는 뜻이다.
업은 나기[生]를 부르면서 드러나기 때문에, 게송에서도 먼저 앞의 이숙[前異熟]이라고 말한 것이니, 전전생(前前生)에 지은 업의 이숙과이다.
그 밖의 이숙[餘異熟]이라 함은 후후생(後後生)에 지은 업의 이숙과를 말하는 것이며, 비록 두 가지 취는 종자로 받는 과보는 그지없다고 하더라도 업의 습기로 받는 과보는 다함이 있다.
이숙과로 말미암아 성질은 구별되어 초래하기가 어려운 것인데 등류과(等流果)와 증상과(增上果)의 성질은 같아서 쉽게 받으며, 그 밖의 생(生)에서 받게 되는 업 등의 종자가 성숙됨으로 말미암아 앞의 이숙과를 다 수용(受用)했을 때에는 뒤에 따로 그 밖의 이숙과가 생기는 것이니, 이로 말미암아 생사가 바퀴 돌 듯하며 끝이 없다. 어찌 바깥 인연을 빌어서 비로소 상속하게 되겠는가.
이 게송의 뜻으로 설명하면, 업의 두 가지 취로 말미암아 생사에 윤회하는 것이며, 모두가 식(識)을 여의지 않나니, 심심소법(心心所法)은 그의 성품이기 때문이다.
해석에서 이르되, “이것이 비록 겨우 일어나자마자 사이 뜰 틈도 없고 차별의 상태가 없으면서 장차의 이숙과를 부른다고 함은, 비록 현재의 작용에 과거의 체성이 없으면서 장차 오는 세상의 진이숙과(眞異熟果)를 초래한다고 하더라도, 현행(現行)하는 업이 지어질 때에 본식(本識)에 훈습되어 제 업의 공능을 일으키는 것으로 그 공능이 곧 습기이니, 습기가 차츰차츰 서로 이어지면서 성숙하게 되는 때에 이숙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상(相)과 견(見), 이름과 물질, 마음과 심소, 근본과 끝의 취들은 모두 두 가지 취[二取]에 속한다고 함은, 첫째가 상과 견이니, 그것을 취함에서 진실로 능히 취함[能取]과 진실로 취할 바[所取]이므로 두 가지 취라 한다.
둘째의 취는 이름과 물질이니, 물질이란 색온(色蘊)이요 이름이란 4온(蘊)이다. 바로 이것이 5온을 집취(執取)한다는 뜻이 된다.
앞에서 말한 상(相) 중에서도 무위(無爲)를 취하는 것에 통함은 본질(本質)로 삼기 때문이지만 지금 여기서는 취의 친한 소연[親所緣]만을 드러내므로 능연(能緣)으로는 마음 밖의 법을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무위(無爲)의 영상분(影相分)이 변하는 것도 이름에 속하므로, 마음 등을 여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의 취는 마음과 심소이니, 온갖 5온의 법은 이 두 가지의 법을 여의지 않았기 때문이다.
넷째는 근본과 끝이니, 취의 친한 결과[親果]이다. 제8식 이것은 모든 이숙의 근본이기 때문이요. 또 총보(總報)의 품류이기 때문에 근본이라 하며, 그 밖의 식(識) 등은 이숙의 별보(別報)의 품류이기 때문에 끝이라 하나니, 곧 취는 하나의 이숙이다.
다섯째 저 취들[彼取]이라 함은 바로 그 위의 네 가지 취들이다. 이 모든 취는 모두가 두 가지 취에 속하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현행(現行)의 취이다.
비록 두 가지의 취는 종자로 받는 과보가 그지없다고 하더라도 업의 습기로 받는 과보는 다함이 있으며, 이숙과로 말미암아 성질은 구별되어 초래하기가 어려운 것인데 등류과와 증상과의 성질은 같아서 쉽게 받는다고 함의 두 가지 취가 종자로 받는 과보는 그지없다는 것은 섭론(攝論)의 설명이지만, 습기는 다함이 있다[習氣有盡].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이숙과로 말미암아 첫째의 성질의 구별[性別]이니, 업의 성질과는 달라서 대개 서로 순종하지 아니한다. 둘째는 초래하기가 어려운 것[難招]이니, 업이 비록 초래되어 얻어졌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다른 세상에서의 결과라야 비로소 성숙되기 때문이며 업의 습기가 다함이 있음은 마치 사향노루가 빠져 있는 더러운 풀은 시들어 버린 것과 같기 때문이다.
그 등류과(等流果)와 증상과(增上果)는 첫째 성질이 같으므로 체성(體性)이 서로 순종하며, 둘째는 쉽게 받는 것[易感]이니 동시에 생기기 때문이요, 이 생각이 훈습되고 나면 이내 결과를 내기 때문에 두 가지 취의 종자는 결과를 쉽게 받는다.
무엇이 등류(等流)며 무엇이 증상(增上)인가 하면, 증상은 관대한 것이므로 등류에서만은 반드시 힘을 주어 증진[增上]하게 한다.
등류라 함은 종자(種子)와 현행(現行)과 제 종자[自種]가 본래부터 갖추어진 동류인(同類因)이기 때문이며, 증상의 것에서는 따로의 체성이 없음은 곧 같은 종류[等流]의 성질이기 때문이다.
또 이것이 등류과이기 때문에 성질이 같고, 이것이 증상과이기 때문에 쉽게 받는다.
또 종자를 현행에서 보면 이것이 증상이요, 제 종류에서 보면 이것이 등류이다.
업의 종자를 저 현행과 종자에서 보면 모두 성질을 달리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이숙일 뿐이다.
앞의 이숙을 다 수용했을 때에 다시는 그 밖의 이숙과가 생길 수 없다는 것의 뜻은, 장차 오는 다른 세상을 받게 됨으로 말미암아 업 등의 종자가 성숙되기 때문이니, 지금의 몸속에서 앞의 이숙과를 다 받아 써버렸을 때는 바로 그것이 이 몸의 마지막 죽는 자리이다.
저 성숙된 업은 다시 따로 그와 다른 과보를 일으키므로 곧 먼저의 업이 다할 때가 뒷날의 과보 종자가 성숙되는 때이니, 그것이 다르게 성숙된 과보[異熟果]로서 다시 생기게 된다. 그런 까닭에 나고 죽는 것이 끊어지지 아니한다. 이로 말미암아 업의 과보는 끊임이 없어서 생사가 서로 이어지면서 바퀴 돌듯 함이 끝이 없거늘, 어찌 마음 밖의 인연을 빌려서 비로소 생사가 상속되겠는가.
이 상속식(相續識)이 끊어짐이 없을 때에, 만일 부딪치는 곳마다 관(觀)을 이루어서 진실로 자기 마음임을 아직 모른다면 모두 대(對)하는 경계마다 의심이 날 것이요, 앞 법의 온갖 생사에 집착되어 이것이 다 의심일 것이니, 마음일 뿐임을 분명히 알면 저절로 허물이 없게 될 것이다.
만일 법이라 의심하다가 병에 걸렸다면, 어찌 실제 경계야 붙좇음이 있겠는가. 마치 달려있는 모래주머니가 고픈 배를 가시게 함과 같나니, 이것은 자기 마음으로 낸 생각일 뿐이다”라고 했다.
진서(晋書)의 악광전(樂廣傳)에, “광(廣)에게 친한 객(客)이 있었는데 오랫동안 발을 끊고 오지 않았으므로 광이 그 까닭을 물었더니, 대답하기를 ‘전에 자리에서 내리신 술잔을 받아 보니 뱀이 있었습니다. 몹시 기분이 나쁘더니 그를 마시고는 병이 들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때 하남(河南) 청서(廳署)의 벽 위에는 뿔이 있었고 그 뿔 가에 뱀이 그려 있었다.
광은 잔 속의 뱀이란 바로 그 뿔 그림자라 생각하고, 다시 전의 그 자리에다 술을 놓았더니, 객은 그만 깨닫고 마음이 풀리면서 그 고질병이 단번에 나았다”고 한 것과 같다.
또 율(律) 중의 사식장(四食章)과 옛 스님의 의문수초(義門手鈔)에서 이르되, “사식(思食)이라 함은, 마치 흉년 때에 어린아이가 어머니에게 밥을 달라고 울면서 그치지 않으므로, 어머니는 드디어 모래주머니를 달아 놓으면서 속이며 이르기를, ‘이것이 밥이다’라고 했다.
이 아이는 7일 동안 그 주머니를 자세히 쳐다보면서 ‘장차 이 밥을 먹게 되겠구나’라고 여겼는데, 그 어머니가 7일 후에 그것을 풀어서 내려 보여주자, 그 아이는 그것이 모래임을 보고 낙심하면서 그로 인해 죽어버린 것과 같다”고 했다.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을 견주며 증험하라. 이는 모두가 자기의 마음이니, 땅ㆍ물ㆍ불ㆍ바람[地水火風]이 끝내 따로 체성이 없다.
그러므로 중생은 생사에 빠져 집착하고 2승은 생사를 두려워하나니, 모두가 마음 밖에는 법이 없음을 환히 모른 탓으로 경계에 걸려 있다.
가지고 버림[取捨]이 비록 다르나 모두가 해탈이 아니다. 왜냐하면 중생은 생사의 속박을 받고 2승은 열반의 속박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능가경(楞伽經)에서 말하시기를 “대혜(大慧)야, 모든 성문들이 생사의 망령된 생각의 고통을 두려워하면서 열반(涅槃)을 구함은 생사와 열반의 차별된 모양을 모름에서이니, 온갖 모두는 허망한 분별이라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니라.
미래의 모든 감관[根]과 경계의 소멸을 망령되이 헤아리면서 열반을 삼음은 스스로가 아는 경계를 증득하여 차츰차츰 의지할 바[所依]의 장식(藏識)이 큰 열반이 되는 줄 알지 못함에서이며, 저 어리석은 사람들은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들이 말씀하신 자기 마음의 경계를 모르고 마음 밖의 경계를 취하는지라 언제나 생사의 윤회가 끊이지 않느니라”고 하셨다.
【문】 생사의 상속이 두 가지 취[二取]의 유지(有支)와 아집(我執)ㆍ명언(名言)의 두 가지 습기로 말미암아 이숙과를 이룬다면 그 생사하는 업이 먼저 오고 뒤에 가는 것은 결정코 어느 식(識)에 속하는가.
【답】 제8식일 뿐이니, 이것이 모든 이숙의 근본이다. 만일 이 식이 없다면 생사라는 것이 성립되지 아니한다.
앞의 7전식(轉識)은 간단이 있고 주(主)가 아니기 때문에 이 식 또한 집지식(執持識)이라 하지만 종자와 감관인 몸[根身]을 능히 붙잡고[執] 지님[持]에서이다.
처음 한 생각에 집취(執趣)와 결생(結生)이 있어서 상속한다는 뜻이니, 바로 이것이 삼계(三界)와 6취(趣)로 가서 난다는 뜻이다.
이 집취와 결생은 과위(果位)에 통하지 않으므로, 8지(地) 이상은 집취와 결생이 통하지 아니한다.
여기서는 종자와 감관 몸을 붙잡고 지닌다는 뜻을 취할 뿐이므로 집지라고 한다는 뜻이지만 이것은 온갖 지위에 다 통하나니, 바로 나는 지위[生位]에서 맨 처음 어머니의 태(胎)를 잡고 몸을 이루는 것에서부터 죽을 때에 이르러서 앞의 모든 식이 모두 혼미해지면서 옮아 사라지기까지이다.
이숙식(異熟識)만은 최후까지 온몸을 집수(執受)하므로 집수를 버리는 곳에서는 차가운 감촉이 생기게 되며, 수명[壽]ㆍ온기[煖]ㆍ식(識)의 세 가지는 서로 여의지 않기 때문에 차가운 감촉이 일어날 때는 이것은 유정(有情)이 아니니, 비록 변하는 것도 연(緣)이기는 하나 집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범부를 위하고 성인을 위하여 언제나 의지할 바[所依]가 되고, 생(生)을 버리고 생에 나아가는 데서는 항상 그 주인이 된다.
【문】 생사가 의지하는 곳[依處]은 요약하여 몇 가지 일이 있는가.
【답】 생사에 헤맴[流轉]의 의지할 바 일에는 세 가지가 있다. 경(經)에서 말하였다.
“세 가지의 헤맴이 있다. 첫째는 이 처소[處]에서 헤맴이니, 삼세(三世)의 처소에서 나[我]로 말미암아 분별한다. 둘째는 이 일[事]에서 헤맴이니, 바깥 여섯 처소[外六處]에서 나로 말미암아 분별한다. 셋째는 이와 같이 하면서 헤맴이니, 모든 업의 이숙의 상속으로 헤맨다.”
【문】 두 가지 취(取)의 습기로 생사가 이루어진다면 반드시 현행(現行)의 공능으로 인하여 습기가 성립된다. 그렇다면 현행은 어느 법의 훈습으로 생사를 이루는가.
【답】 처음은 무명(無明)으로 인하여 발업(發業)을 알지 못하고, 다음에는 정애(情愛)로 인하여 윤생(潤生)을 탐착한다. 그러므로 이르되, “어리석음에서부터 정애가 있다면 나라는 병이 생긴다”고 했다. 어리석음과 정애 때문에 생각생각마다 상속하는 것이니, 생각이 큰 생사인 줄 알아야 한다.
경에서 말하였다. “한 생각의 선(善)을 일으키면 인간과 천당의 몸을 받고, 한 생각의 악(惡)을 일으키면 3악도(惡道)의 몸을 받는다.” 그러므로 알아야 한다. 밤과 낮의 생각과 생각이 미래의 생사하는 몸을 짓고 있는 데, 어찌 다하는 때가 있겠는가.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의 서문(序文)에서 말하였다. “손가락 튕기는 잠깐 동안에 마음은 9백60번 변한다. 하루 낮 하룻밤 사이에는 13억의 뜻[意]이 있고 그 뜻에는 하나의 몸이 있되, 마음이 스스로를 알지 못함은 마치 종자의 크기와 같다.”
보살처태경(菩薩處胎輕)에서 말하였다. “한 번 손가락을 튕기는 동안에 32억 백천의 생각이 있고 그 생각생각마다 형상을 이루고 그 형상형상마다 모두 식(識)이 있는데, 부처님의 거룩한 신력으로 그 미세한 식 가운데로 들어가서 모두 제도되게 한다. 이 식으로 교화하는지라 식이 없는 것이 아니다.”
【문】 생사의 법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답】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만일 있다고 한다면 하나의 몸 안과 바깥의 땅ㆍ물ㆍ불ㆍ바람은 저마다 성품이 공해서 일찍이 모이거나 흩어진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생김이 없는 생김[無生之生]을 생김이라 할 수 있고 소멸이 없는 소멸[無滅之滅]을 소멸이라 말할 수 있다.
암제차녀사자후요의경(菴提遮女師子吼了義經)에서 말한 것과 같다. “만일 땅ㆍ물ㆍ불ㆍ바람의 네 가지 연(緣)이 마침내 스스로 화합한 바가 있는 일이 없음을 분명히 알면서 그 근기에 따라 설명한 바가 있다면 그것이 태어남[生]이라는 뜻이 되며, 또한 만일 땅ㆍ물ㆍ불ㆍ바람이 필경에는 스스로 흩어져 무너지는 일이 없음을 알면서 그 근기에 따라 설명한 바가 있다면 그것이 죽음[死]이라는 뜻이 된다.”
만일 이것이 없다고 한다면, 물들거나 깨끗함의 진여(眞如)가 제 성품을 지키지 않고 모르는 결에 인연을 따라 허깨비[幻]를 일으키면서 생기고 소멸하기 때문에 “법신(法身)이 다섯 가지 갈래[五道]를 헤매므로 이름하여 중생이라 한다”고 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서, 범부와 성인의 두 가지 생사는 모름지기 생사의 중도(中道)를 알아야 아주 없음[斷]과 항상함[常]을 여읜다.
그러므로 생김에서의 생김이 없는지라 참 성품은 잔잔하고 생김 없음에서의 생김이라 업의 과보가 뚜렷하다. 참 성품이 잔잔하므로 항상하다고 집착할 수 없고, 업의 과보가 뚜렷하므로 아주 없다고 집착할 수 없다.
또 모든 부처님들이 세상에 나오는 것도 오히려 허공 꽃이 어지러이 생겼다가 어지러이 소멸한 것과 같거늘, 하물며 중생의 뒤바뀐 생사이겠는가. 다만, 허망한 꿈과 같고 미치고 취한 것과 같을 뿐이니, 어찌 이것이 진실이겠는가.
융 대사(融大師)가 말하였다. “온갖 범부와 성인으로서 3악도 이상으로부터 종지(種智) 이내까지는 모두가 허망한 생각인데도 있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이것은 다 같이 꿈속의 것이다.
마치 꿈속에서 지옥에 와 있는 것을 보고 여러 가지 방편을 쓰면서 벗어나려고 쓸데없이 애를 쓰는 것과 같나니, 모두 떨어버리고 깨나기만 하라. 이내 온갖 일이 모두 없다. 지금의 이것들은 다 같이 꿈속에서 하는 일들인데 도리어 꿈의 과보를 받고 있다.
또 미치고 취한 사람은 항상 사물을 따라 움직인다. 그런 까닭에 온갖 중생들은 무명의 술을 마시고 5주(住)의 자리에 누워서 오랜 겁 동안 흐리멍덩해 있거늘, 그 누군들 깨어난 이가 있겠는가. 홀연히 견성(見性)하게 될 때에는 마치 같이 취해 있다가 깨어나는 것과 같다.
경의 게송에서 말하였다.

비유하자면 취해서 흐리멍덩한 사람이
술이 녹은 뒤에야 깨나는 것처럼
부처의 위없는 몸을 얻으면
이것이 나의 참된 법신일세.

또 만일 종경(宗鏡)에 들어가서 진실한 성품이 단번에 밝아지면, 도리어 세간의 생사라는 이름과 모양의 거짓됨이 마치 어린아이 장난과 같고 또 재주부리는 사람과 같다고 보리라.
그러나 비록 고치고 바꾸어져서 천 가지로 틀리다고 해도 하나의 성품만은 뚜렷이 움직이지 않으리니, 초당화상(草堂和尙)이 게송으로 말한 것과 같다.

즐겨 노는 아이가 본시 몸은 하나인데
벼슬아치도 되고 종도 되는 구나
이름ㆍ눈ㆍ복장이 아무리 변했어도
끝까지 종과 주인 다른 아이 아닐세.
044_0405_a_01L宗鏡錄卷第七十三 策慧日永明寺主智覺禪師 延壽集夫八識之中覆眞習妄何識造業何識爲因何識爲依成其妄種前五識取塵第六識爲因第七識計我造業第八識爲依以此生死苦果不斷楞伽經偈云如水大流盡浪則不起如是意識滅種種識不生釋云五識取塵轉入六識六識記法爲因七識攀六識造善惡業得未來生死覆障八識不得顯現若五識不取塵卽無六識六識無故七識不生七識不生故則無善惡業無善惡業故卽無生死無生死故如來藏心湛然常卽是六七識滅建立八識又八識爲五七識所依與諸識作因者卽第六識心諸識依之如水盡則無波浪六識滅七識亦不生故云一念無明風鼓動眞如海無明風盡識浪不生則覺海性澄源源澄覺元妙一切世間因果相酬生死不絕於諸識中何識爲生滅因緣最初依阿賴耶識爲體以意識爲用如是三世因果流轉不絕功在意識以是義故意名相續識起信論云復次生滅因緣者謂諸衆生依心意識轉此義云何依阿賴耶識有無明不覺起能見能現能取境界分別相續說名爲意此意復有五種異一名業識謂無明力不覺心動二名轉識謂依動心能見境相三名現識謂現一切境界相猶如明鏡現衆色像現識亦爾如其五對至卽現無有前後不由功力四名智識謂分別染淨諸差別法五名相續識謂恒作意相應不斷任持過去善惡等業令無失壞成熟現未苦樂等報使無違越已曾經事忽然憶念未曾經事妄生分別是故三界一切皆以心爲自性離心則無六塵境界何以故一切諸法以心爲主從妄念起凡所分別皆分別自心心不見心無相可得是故當知一切世間境界之相皆依衆生無明妄念而得建立如鏡中像無體可得唯從虛妄分別心心生則種種法生心滅則種種法滅故釋通論五種之識皆名爲意就本而言但取業識以最微細作諸識本故如是業識見未分然諸菩薩知心妄動無前境界了一切唯是識量捨前外執順業識義故名業識心不見心無相可得者是明諸法非有之義入楞伽經偈云身資生住持若如夢中生有二種心而心無二相如刀不自割如指不自觸如心不自見其事亦如是若如夢中所見諸事是實有者卽有能見所見二相而其夢中實無二法三界諸心皆如此夢離心之外無可分別故言一切分別卽分別自心就自心不能自見如刀指等故言心不見心旣無他可見亦不能自見所見無故能見不所二相皆無所得故言無相可得又一心隨無明動作五種識故說三界唯心轉也此心隨熏似現雖有種種然窮其因緣唯心作也離現識則無六塵境反驗六塵唯是一故云離心則無境等現有六塵境云何唯心以一切法皆是此心隨熏所起更無異體故說唯心疑云何作諸法耶由妄念熏故生起諸法故云從妄念起亦可疑云旣唯心我何不見而我所見唯是異心釋云異心者是妄念分別而作故云妄念生也境唯識無外異法是故種種分別皆是自心卽塵無相識不自緣是故無塵識不生則心不見心矣攝論云無有別法能取別法能所旣窮故無相可得也心生種種法生心滅種種法滅者瑜伽論問諸修觀行者見徧計所執無相時當言入何等性入圓成實性入圓成實性時當言遣何等性遣依他起以此當知唯識觀成則無有識楞伽經偈亦云無心之心量我說爲心量此之謂也依此論無明動眞如成生滅緣起無明風滅識浪卽止唯是眞如平等平等也此境界離心之外無體可得也又亦卽是心故復無體如鏡外無體鏡內復無體也疑云旣其無何以宛然顯現釋云竝是眞心之上虛妄顯現何處有體而可得也疑云何以知心上顯現釋云以心生則種種法生以無明力不覺心動能現一切境界則心隨熏動故云生若無明滅境界隨滅諸分別識皆滅無餘故言心滅則種種法滅此則心原還淨故云滅也旣心隨不覺妄現諸境則驗諸境唯心無體也又夫心者形於未兆動靜無不應於自心如詩云願言則啑願思也言我也謂人或思已則啑故知心應千里設有處遠而思我皆知矣是以萬事唯心先知故得稱心斯之謂也如太山吳伯武與弟相失二十餘年相遇於市仍共相敺伯武覺心神悲慟因問乃兄弟也生滅因緣別以何爲因以何爲緣而得生起古師釋云生滅因緣體相有二一阿賴耶心體不守自性變作諸法是生滅因根本無明熏動心體是生滅又復無明住地諸染根本起諸生滅故說爲因六塵境界能動七識波浪生滅是生滅依此二義以顯因緣諸生滅相聚集而生故名衆生而無別體唯依心體故言依心是阿賴耶自心相也又眞妄和合諸識緣起以四句辯之一以如來藏唯不生滅如水濕二七識唯生滅如水波浪三賴耶識亦生亦滅亦不生滅如海含動靜四無明倒執非生滅非不生滅如起浪猛風非水非浪耶旣通動靜不應唯在生滅門爲起靜以成動無別有動體是故靜性隨於動亦在生滅門中非直賴耶具動靜在此生滅中亦乃如來藏唯不動亦在此門中何以故彼生滅無別體故如水作波又起信論說無明爲因境界爲緣生三細之識六麤之相則隨迷昧之緣而沈六趣始覺爲因五度爲緣則隨悟解之緣而昇一乘又說迷#則有過恒沙等妄染之法卽染緣生而淨緣滅悟則有過恒等諸淨功德卽淨緣起而染緣亡然但一心所作更無二原義說逐悟逐迷實無能逐所故論云以一切法皆從心起妄念而生所分別皆分別自心心不見心無相可得古德釋波水之喩眞如生滅二門以水濕喩心眞如以波動喩心生滅波無異濕之動無異眞如之生滅卽水以辯於波不變性而緣起也水無異動之濕則無有離生滅之眞卽波以明於水不捨緣而卽眞也憶之事定屬何法而生大乘說能記憶法有三一自證分能記憶見分二別境中念能記憶曾所更事三識中種子能不妄生自現行唯識疏云如不曾更境必不能憶如現行色曾被見分緣者後必能憶若不曾爲相分緣者後時必不能記憶也以能緣見分於過去時及現在世但緣相分不曾自緣前已滅心旣過去已今時見分有何所以能自憶以於昔時不曾返緣自見分故旣許今時心心所法能自記憶明由昔時有自證分緣於見分證彼緣境作量果故故今能憶生滅門中有漏位內約教所論有幾種生略有二種一分段二變易識論云分段生死謂諸有漏善不善業由煩惱障緣助勢力所感三界麤異熟果身命短長隨因緣力有定劑限故名分段二不思議變易生謂諸無漏有分別業由所知障緣助勢力所感殊勝細異熟果由悲願力故轉身命無定劑限故名變易無漏定願正所資感妙用難惻名不思議或名意生身隨意願成故契經說如取爲緣有漏業因續後有者而生三有如是無明習地爲緣無漏業因有阿羅漢獨覺已得自在菩薩三種意生身亦名變化身無漏定力轉令異本如變化故所知障不障解脫無能發業潤生用故用資感生死苦爲成二利故更須資生論云自證菩提利樂他故謂不定性獨覺聞及得自在大願菩薩已永斷伏煩惱障故無容復受當分段身恐廢長時修菩薩行以無漏勝定願力如延壽法資現身因令彼長時與果不絕數數如是定願資助乃至證得無上菩提彼復何須所知障助旣未圓證無相大悲不執菩提有情實有無由發起猛利悲願又所知障障大菩提爲永斷除留身久住又所知障爲有漏依此障若無彼定非故於身住有大助力若所留身有漏定願所資助者分段身攝二乘異生所知境故漏定願所資助者變易身攝非彼境故由此應知變易生死性是有漏異熟果攝於無漏是增上果釋云得自在大願菩薩已永斷伏煩惱障者謂八地已去菩薩雖藉煩惱生死受生不同凡夫及二乘說現及種潤由起煩惱利益有情業勢方能感生死果煩惱若伏業勢便盡故須法執助願受生故已永斷伏無容復受當分段果旣有二利之益觀知分段報終恐廢長時修菩薩行遂入無漏勝勝願之力如阿羅漢延壽之法資現身之卽資過去感令身業令業長時與果不絕旣未圓證無相大悲不執菩提有情實有由發起猛利悲願者旣未成佛圓證無相大悲一味平等之解若不執菩提可求有情度爲實有者無有因由可能起猛利大悲及猛利願以所知障可求可度執爲先方能發起無漏業故說業爲因以是勝故無明爲緣以疏遠故非如煩惱資有漏業但緣義同少分相似又所知障障大菩提正障智故爲永斷除此所知障留身久住說之爲緣爲所斷緣故又此所知障能爲一切有漏之依由有此障俱諸行法不成無漏故此所依之障無彼能依有漏決定非有今旣留身久住有所知障爲緣故說此障爲於身住有大助說爲緣也此變易生死乃是菩薩成就悲願圓滿菩提若分段生死卽是凡夫妄心所念念耽著入大苦輪無有休息如大涅槃經云佛告迦葉世間衆生顚倒覆心貪著生相厭患老死迦葉菩薩不爾觀其初生已見過患迦葉如有女人入於他舍是女端正顏貌繢麗以好瓔珞莊嚴其身主人見已便問汝字何等繫屬於誰女人荅言我身卽是功德大天主人問言汝所至處爲何所作人荅言我所至處能與種種金琉璃玻瓈眞珠珊瑚琥珀硨磲瑪瑙象馬車乘奴婢使主人聞已心生歡喜踊躍無量我今福德令汝來至我舍宅卽便燒香散華供養敬禮拜復於門外更見一女其形醜陋衣裳弊壞多諸垢膩皮膚皴裂其色艾白見已問汝字何等繫屬誰家女人荅言我字黑闇復問何故名爲黑闇女人荅言我所行處能令其家所有財寶一切衰耗主人聞已卽持利刀作如是言汝若不去當斷汝命女人荅汝甚愚癡無有智慧主人問言云何名爲癡無智慧女人荅言汝舍中者卽是我姊常與姊進止共俱汝若驅我亦當驅彼主人還入問功德天外有一女云是汝妹實爲是功德天言實是我妹我與此妹行住共俱未曾相離隨所住處我常作好彼常作惡常利益彼作衰耗若愛我者亦應愛彼若見恭敬亦應敬彼主人卽言若有如是好惡事我俱不用各隨意去是時二女俱共相將還其所止爾時主人見其還去心生歡喜躍無量釋曰功德天者卽喩於生黑闇女者卽喩於死只是世間生死二法諸惡之本苦之原賢聖共訶愚癡所蔽主人見已者矚於境名爲見也卽便問言者以解觀生求生之實名爲問女人荅言者境對於心義稱荅也功德大天者喩生是出相也功德報主具六識光明照六塵境界名功德天也繫屬於誰者應言屬惑業我今福德者宿修善因今受天報名至我宅也復於門外者死捨身家義云門外繫屬誰家者緣應卽死無所屬我字黑闇者死是沒相雖有五根無所覺名黑闇也我常與姊進止共俱者卽生卽死爲進止俱主人卽言若有如是好惡事者我俱不用者夫於生不喜者見死則不憂也爾時主人見其還去心生歡喜踊躍無量者證初地時離分段死入歡喜地故云歡喜無唯有內識而無外緣云何復說六趣輪迴生死相續識論頌云由諸業習氣二取習氣俱前異熟旣盡復生餘異熟諸業謂福業罪業不動業卽有漏善不善思業業之眷屬亦立業名同招引滿異熟果故雖纔起無間卽滅無義能招當異熟果而熏本識起自功能卽此功能說爲習氣是業氣分熏習所成簡曾現業故名習氣如是習氣展轉相續至成熟時招異熟果此顯當果勝增上緣相見名色心及心所本末彼取皆二取攝彼所熏發親能生彼本識上功能名二取習氣此顯來世異熟果心及彼相應諸因緣種謂俱業種二取種俱是疏親緣互相助業招生顯故頌先說前異熟者謂前前生業異熟果餘異熟者謂後後生業異熟果二取種受果無窮而業習氣受果有盡由異熟果性別難招等流增上性同易感由感餘生業等種熟前異熟果受用盡時後別能生餘異熟果由斯生死輪轉無窮何假外緣方得相續此頌意說由業二取生死輪迴皆不離識心心所法爲彼性故釋云此雖纔起無卽滅無義能招當異熟果者雖現用無有過去體能招當來眞異熟果而現行之業當造之時熏於本識起自業之功能功能卽習習氣展轉相續至成熟時招異熟果相見名色心及心所本末彼取皆二取攝者一者相見謂卽取彼實能取實所取名二取二者取名色色者色蘊名者四蘊卽是執取五蘊爲義前言相中亦通取無爲以爲本質故此唯顯取親所緣不能緣得心外法故又變無爲之影相分亦名所攝不離心等故三者取心及心所一切五蘊法不離此二故四者本末謂取親果第八識是諸異熟之根本故又摠報品故名本餘識等異熟別報品故名卽取一異熟也五彼取者卽彼上四取也此諸取皆是二取所攝卽是現行之取也二取種受果無窮而業習氣受果有盡由異熟果性別難招等流增上性同易感者二取種子受果無窮攝論說習氣有盡所以者何由異熟果一者性別與業性殊不多相順者難招業雖招得謂必異世果方熟故業習氣有盡如沈麝穢草有萎歇故其等流果及增上果一者性同體性相順二者易感同時生故此念熏已卽能生果故二取種易感果何者爲等流何者爲增上增上寬但等流必增上等流者謂種子與現行及自種爲俱生同類因故也增上處無別體卽等流性故又是等流果故性同是增上果故易感又種望現行是增上望自類種是等流業種望彼現及種皆異性故但是異熟前異熟受用盡復不能生餘異熟果意由感當來餘生業等種子熟故於今身中前異熟果受用盡時卽是此身臨終之位彼所熟業復別能生彼餘果起卽先業盡時後果種熟時其異熟果而復得生所以生死不斷絕也由此業果無斷生死相續輪轉無窮何假藉心外之緣得生死相續此相續識無有斷時若未觸途成觀諦了自心皆對境生疑執有前法一切生死盡是疑情但了唯心自然無咎若疑蛇得病豈有實境居懷猶懸砂止飢但是自心想起如晉書樂廣傳廣有親客久闊不復來廣問其故荅曰前在座蒙賜酒見盃中有蛇意甚惡之旣飮而疾于時河南廳署壁上有角角邊畫作蛇廣意盃中蛇卽角影也復置酒前處客豁然意解沈痾頓愈又律中四食古師義門手鈔云思食者如饑饉之歲兒從母求食啼而不止母遂懸砂囊誑云是飯兒七日諦視其囊將爲是食其母七日後解下視之其兒見是砂絕望因此命終方驗生老病死皆是自心地水火風終無別體是以衆生耽著生死二乘厭畏生死皆不了心外無法爲境所留取捨雖殊俱非解脫者衆生爲生死縛二乘被涅槃縛如楞伽經復次大慧諸聲聞衆畏生死妄想苦而求涅槃不知生死涅槃差別之相一切皆是妄別有無所有故妄計未來諸根境滅以爲涅槃不知證自知境界轉所依藏識爲大涅彼愚癡人不知去來現在諸佛所說自心境界取心外境常於生死輪轉不絕死相續由二取有支我執名言二種習氣成異熟果者其生死業先來後去定屬何識唯第八識是諸異熟之根本若無此識生死不成由前七轉識有間斷非主故此識亦名執持識能執持種子根身初一念有執趣結生相續義卽是界趣生義此執趣結生不通果位八地已上不通執趣結生也今但取執持種子根身義故名執持義此通一切位此是生位最初攬胎成體乃至死時前諸識悉皆惛昧遷謝唯異熟識最後執受身分執受處冷觸便生壽煖識三不相離故冷觸起時卽是非情雖變亦緣而不執受故由此爲凡爲聖常作所依捨生趣生恒爲其主生死依處約有幾事生死流轉所依事有三經云有三種流轉一是處流轉於三世處由我分別二是事流轉由外六處由我取執三如是而轉諸業異熟相續流轉由二取習氣成生死者必因現行功能方成習氣且現行何法熏成生死初因無明不了發業次因情愛貪著潤生故云從癡有愛則我病生以癡愛故則念念相續當知念卽生死經云起一念善受人天身起一念惡受三塗身故知日夜念念造未來生死之有何窮盡安般守意經序云彈指之間九百六十轉一日一夕十三億意意有一身心不自知猶彼種夫也菩薩處胎經云一彈指頃有三十二億百千念念念成形形形皆有識佛之威神入彼微識中皆令得度此識教化非無識也生死之法是有是無非有非無何者若言是有一身內外地水火風各各性空未曾聚散所以無生之生可說爲生無滅之滅可說爲滅如菴提遮女師子吼了義經云若能明知地水火風四緣畢竟未曾自得有所和合而能隨其所宜有所說者是爲生義乃至若能明知地水火風畢竟不自得有所散壞而能隨其所宜有所說是爲死義若言是無以染淨眞如不守自不覺隨緣起幻生滅故云法身流轉五道號曰衆生如上所明凡聖二種生死須知生死中道方離斷常是以生之無生眞性湛然無生之生業果宛然眞性湛然不可執常果宛然不可執斷又復諸佛出世尚如空華亂生亂滅況衆生顚倒生死但如妄夢如狂豈是實耶融大師云一切凡聖三塗已上種智已還皆妄想謂有竝是夢中如人夢中見在地獄種種方便求脫浪生辛苦但抖擻令覺卽一切事盡無如今竝是夢中所作還受夢報又如狂醉之人恒隨物轉所以一切衆生飮無明酒臥五住地長劫惛然孰有醒忽得見性之時如同醉醒如經偈云譬如惛醉人酒消然後醒得佛無上體是我眞法又若入宗鏡中頓明實性反觀世間生死名相虛誑猶如兒戲復似技人然雖改換千差一性宛然不動如草堂和尚偈云樂兒本是一形軀乍作官人乍作奴名目服章雖改變始終奴主了無殊宗鏡錄卷第七十三音義在詣反  繢胡對反 珊蘇干反  瑚戶吳反尺遮反 磲强魚反 碼莫下反 碯奴浩反女利反 皴七倫反皮細起也 艾五蓋  耗呼到反於爲反蔫也 歇許竭反氣洩也 痾烏何反 饉渠悋反當口反 擻蘇后反戊申歲分司大藏都監開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