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威德陁羅尼經卷第十九 靡

ABC_IT_K0389_T_019
012_1057_b_01L
대위덕다라니경 제19권


사나굴다 한역
김영덕 옮김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것은 바른 질문이 아니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아난아, 나는 이제 비유를 들어서 이 이치를 밝히겠으니 네가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봄철의 마지막 달 한창 뜨거울 때에 큰 불구덩이 안에 무쇠 번철[鐵鍱]을 던져 놓고서 하나의 털을 백 개로 나누어 그 중의 한 개로 한 방울의 물을 찍어서 그 번철 위에 놓는다면 아난아, 그 물방울은 다하여 없어지겠느냐?”
아난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햇볕의 뜨거운 열도 다하여 없어지게 할 수 있는데, 하물며 큰 불덩이이겠습니까? 세존이시여, 제 생각으로 관찰하건대 그 물방울은 철판 위에 이르기도 전에 불의 열로 바로 없어질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어찌 차라리 조그마한 물방울이 큰 불더미를 없앨 수 있으리라고 분별할 수는 없겠느냐 ?
아난아, 아직 진실한 이치를 보지 못한 모든 여인들 가운데 약간 명만이 음욕을 받았다 하여 기뻐할 것이라고 분별하지 말라. 아난아, 비유하면 마치 큰 모래 무더기에 바늘구멍과 같은 것이 있을 적에 물 한 방울이 이 모래 무더기에 떨어지는 것과 같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한 방울의 물이 큰 모래 무더기를 적시면서 꿰뚫고 지나갈 수 없겠느냐?”
아난이 아뢰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아난아, 이 물 한 방울이 모래 무더기를 적시고 꿰뚫어 지나갈 수 있으리라고 분별할지라도 아난아, 너는 어느 한 여인이 수천의 장부와 음욕을 나누었다 하여 만족하게 되리라고 분별하지 말라.
아난아, 비유하면 벼의 모를 대지에 두루 차도록 심었는데, 석 달 동안이나 크게 가물었다고 하자.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대지는 바짝 타게 되겠느냐?”
아난이 말하였다.
“탈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탈 것입니다. 수가타(修伽陀)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허공에서 모기가 날아다니다가 흘린 오줌 방울이 대지를 다 적실 수 있겠느냐? 또 벼의 모를 자라게 할 수 있겠느냐? 온갖 약초와 나무들이 있는 대지 안에 물을 가득 차게 하여 이 언덕으로부터 시작하여 저 언덕으로 이르게 하겠느냐?”
아난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차라리 모기의 오줌이 대지를 흡족하게 적셔서 벼의 모와 온갖 약초와 나무들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아울러 동산 숲에 물이 고여서 이 언덕으로부터 저 언덕에까지 이를 것이라고 분별할지라도 아난아, 너는 어느 한 여인이 천의 장부 또는 백천의 장부에게서 음욕의 과보를 받는다 하여 그녀를 기쁘게 할 것이라고 분별하지 말라.
아난아, 여인에게는 두 가지의 법인 두려워함과 부끄러워함이 없으며, 이에 반 유순의 땅에 이르기까지도 눈길이 그 방향과 처소에 미치는 것이니, 장부를 뒤쫓으면서 음욕의 마음이 많기 때문이다.
아난아, 여인에게는 세 가지의 법이 완전히 갖추어져서 만족해할 줄을 모르다가 목숨을 마치게 된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제 몸을 장엄하는 것이며, 장부에게서 음욕의 쾌락을 받는 것이며 눈물과 달콤한 말씨를 쓰는 것이다.
아난아, 비유하면 마치 장부의 몸에 문둥병이 들어 모든 감관이 순숙(純熟)할 적에 그 팔다리와 팔다리가 아닌 곳에는 8만 4천의 부스럼이 있으며 그 낱낱의 부스럼에는 8만 4천 마리의 벌레가 있는데, 모두가 바늘 끝같이 뾰족하고 양쪽의 머리에 입이 있어 뜯어 먹되 만족할 줄을 모르며 잠깐 동안도 멈춤이 없이 언제나 그 사람에게 있는 모든 부스럼을 뚫고 찌르고 쪼아 먹으며 먹은 뒤에는 다시 먹고 쫀다. 그리고 그 장부에게 네 개의 손이 있다 치고 불무더기 앞에 있으면 그 벌레들은 불에 뜨거워져서 괴롭기 때문에 움직이면서 자꾸 달아나니 이를 긁었기 때문에 더 가려운 것과 같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장부는 벌레들에게 뜯어 먹히고 있느냐?”
아난이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 일을 듣는 것으로도 몸의 털이 곤두섭니다. 하물며 벌레가 장부의 팔다리와 팔다리 아닌 곳에 있는 것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그 장부는 벌레들에게 뜯어 먹히면서 네 개의 손으로 제 몸을 긁을 적에 만족함도 없고 즐거움도 없다. 부스럼 사이를 손으로 긁고 비비는지라 벌레는 다시 더 입을 벌리면서 그 맛을 취하게 되며 손톱 끝에 긁힌 상처는 그치지를 않는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장부는 몸이 더럽다고 싫어하지 않겠느냐? 피고름에 악취가 풍기는지라 싫어하고 미워하면서 기뻐하지 않을 것이며, 그를 본 이도 역시 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아난이 아뢰었다.
그럴 것입니다. 바가바이시여. 그럴 것입니다. 수가타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와 같다. 아난아, 여인에게는 번뇌가 많이 있으므로 싫어할 만하고 미워할 만하니 관찰하기를 기뻐하지도 않고 보기를 좋아하지도 않으며, 음욕이 많아서 언제나 만족해할 줄을 모르고 애욕을 짐짓 얻고는 다시 얻으려 하며 다시 더 얻으려고 하면서 음욕의 욕심은 그치지 않아 언제나 구하고 항시 찾으면서 만족해할 줄을 모른다.
아난아, 여인에게는 다섯의 벌레집이 있으나 장부에게는 이것이 없다. 여인에게 있는 다섯의 벌레집은 성기[陰道] 안에 있고, 그 낱낱의 벌레집에는 80마리의 벌레가 있으며, 양쪽 머리에 입이 있어서 모두 바늘 끝같이 뾰족하고 언제나 여인을 괴롭히면서 뜯어 먹는지라 동작을 하게하며 동작한 뒤에는 다시 다니면서 움직이게 한다. 이 때문에 괴롭힌다고 하며 여인의 이 특수한 법은 업의 과보 때문이니 음욕을 구하는 방편으로 음욕의 행을 일으켜 장부에 탐착하면서 만족해할 줄 모른다.
아난아, 그 흰 욕정의 길[白精道]은 가장 더러운 곳으로 속은 비고 깨끗하지 않으면서 악취가 나며 싫어할 만하다.
아난아, 모름지기 친근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은지라 여인은 역시 받들어 섬기지도 말 것이니 그 까닭은, 아난아, 이와 같이 깨끗하지 못한 구덩이로 여인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지극히 악취가 풍기고 가장 싫어할 만하여서 세간 안에서는 마치 문드러진 개의 시체와 같은 것이다.
아난아, 문드러진 개의 시체는 깨끗하지 못하고 악취가 나며 푸르뎅뎅한 더러운 빛깔이며, 몸의 엷은 가죽에는 온갖 벌레들이 가득 차서 냄새나는 타락 즙[酪漿]과 같으며, 게다가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맞으면 그 개의 시체는 더 축축하여져서 벌레들이 더욱 극성을 떨면서 움직이며 곳곳으로 두루 돌아다니는데, 그 비가 온데다가 다시 비가 오면 그 지방에 머무르는 모든 사람들이 불쾌한 냄새를 다 맡게 된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들 장부는 그 맛을 취하고 그 냄새는 맡지 않겠느냐?”
아난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저는 그것을 듣기만 해도 곧 구토가 나올 지경인데, 하물며 그 지방에 머무르는 이이겠습니까?
세존이시여, 마땅히 덮어 두셔야 합니다. 수가타이시여, 마땅히 덮어 두셔야 합니다. 그 까닭은 세존이시여, 저 문드러진 개의 시체는 가장 악취가 나고 더러운 것이기 때입니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런 따위의 문드러지고 악취 나는 개의 시체가 깨끗하지 못하고 피고름이 나면서 더러우며 푸르뎅뎅한 나쁜 빛깔이며, 몸의 얇은 가죽에는 온갖 벌레가 가득 찼으며 더러운 냄새가 나는 남은 타락 즙과 같은데, 어떤 사람이 취하거나 가지거나 안거나 들게 된다면 그 장부를 다른 사람이 기뻐하고 공양하며 예로써 섬길 수 있겠느냐? 혹은 공경이나 존중을 얻기도 하고 친근을 얻기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칭찬을 얻을 수 있겠느냐?”
아난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바가바시여, 아닙니다. 수가타이시여, 마땅히 멀리 여의어야 하고 기꺼이 보지 않아야 하며 친근하지 않아야 하고 마땅히 찬탄하지 않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은 장부는 모름지기 보지도 말아야 하는데, 하물며 찬탄하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그 까닭은 세존이시여, 마치 문드러진 개의 시체가 깨끗하지 못하고 더러운 냄새가 나며 푸르뎅뎅한 나쁜 색깔이며, 몸의 얇은 가죽에는 온갖 벌레가 가득 찼고 형상은 마치 남은 타락과 같은데, 이것을 얼싸안거나 들어 올리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여래가 그 장부에게, 문드러져 깨끗하지 못하고 피고름이 나며 악취가 나면서 푸르뎅뎅한 나쁜 빛깔이며, 몸의 얇은 가죽에는 온갖 벌레가 가득 찼으며 마치 남은 타락 즙과 같은 개의 시체를 취하거나 지니거나 얼싸안거나 들어 올리는 것을 허락하였겠느냐?
아난아, 여래는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또한 그 장부가 재보와 온갖 영락의 꾸미개로 장엄시키고 전단을 바른 여인이 마치 향 상자와 같으며 매끄럽고 부드럽게 교묘히 장식하고, 나이가 한창이어서 아름다우며 병도 없고 아픈 것도 없으면서 이목구비가 단정한 것을 칭찬하지도 않으며 내지 그 장부가 엄지발가락으로 그 여인을 건드리는 것도 칭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난아, 나는 그러한 것이 매우 밉고 싫어할 만한다고 설하기 때문이다.
재보와 온갖 영락의 꾸미개로써 장엄하고 전단을 몸에 바른 여인이 마치 향 상자와 같으며 매끄럽고 부드럽게 교묘히 잘 장식하고 나이가 한창이어서 아름다우며 병도 없고 아픈 것도 없으면서 이목이 단정 엄숙한 것과 내지 그 장부가 엄지발가락으로 그 부인을 건드리는 것조차 칭찬하지 않으면서도, 저 장부가 문드러져 깨끗하지 못하고 피고름이 나며 푸르뎅뎅하고 악취가 나는 나쁜 빛깔이며, 몸의 얇은 가죽에는 온갖 벌레가 두루 찼으며 남은 타락 즙과 같은 개의 시체를 취하거나 지니거나 안거나 품에 싸 놓거나 손으로 드는 것은 나쁘다고 하지 않는다.
그 까닭은 아난아, 그 여인은 지극히 더럽고 악취가 나므로 가장 버릴 만한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아난아, 문드러진 개의 시체를 안았다 하여 지옥이나 축생이나 염마라의 세간에 나게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아난아, 중생들이 그 세간에 가서 나게 되면, 목에 칼을 쓰고 발목에 쇠사슬을 차며 산 채로 몸을 꿰뚫리거나 혹은 저울에 목이 매달리기도 하고 나무처럼 톱에 썰리기도 하며 또는 대패로 깎이기도 하고 침으로써 뚫리기도 하며 서로 다투고 싸우면서 발을 자르거나 캄캄한 우물에다 밀어 넣기도 하고 구덩이에다 던져버리기도 하는데, 그러나 악취가 나고 문드러진 개의 시체를 안아 가졌다 하여 그런 데에 나게 되지는 않는다.
아난아, 세간 가운데에서 중생들이 겪는 손해는 고통이나 갖가지의 재괴(災怪)에 시달리는 것이니, 이른바 손을 베이고 다리가 잘리며 귀를 베이고 머리가 잘리는 것인데, 이 온갖 모두는 음욕에서 생기게 되며 음욕으로 인하고 음욕을 지니는 데서 나오게 된다.
아난아, 여래는 이런 인연 때문에 ‘차라리 악취가 나고 문드러져 깨끗하지 못하고 피고름이 나며 푸르뎅뎅한 나쁜 빛깔이고 몸의 많은 가죽에 뭇 벌레들이 온통 득실거리는 개의 시체를 취해서 지니거나 안거나 품에 싸서 두거나 손으로 들어 올리는 편이 낫다’고 할지언정 음욕 때문에 장부가 엄지발가락으로 여인을 건드리는 짓은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아난아, 비유하면 마치 독나무는 뿌리에 독이 있으므로 뿌리로도 죽일 수 있고 줄기에 독이 있으므로 줄기로도 죽일 수 있으며 갈래[岐]에 독이 있으므로 갈래로도 죽일 수 있고 가지에 독이 있으므로 가지로도 죽일 수 있으며 잎사귀에 독이 있으므로 잎사귀로도 죽일 수 있고 꽃에 독이 있으므로 꽃으로도 죽일 수 있으며 열매에 독이 있으므로 열매로도 죽일 수 있고 그림자에 독이 있으므로 그림자로도 죽일 수 있는 것과 같다.
아난아, 그와 같아서 여인들이 음욕을 제거하지 않게 되면 모든 장부들이 오거나 가거나 서거나 앉거나 간에 음욕을 제거하지 않으므로, 장부들 모두가 마음을 능히 취하고 또는 잠자거나 깨거나 기쁘거나 웃거나 노래하거나 춤을 추거나 또는 음악을 하거나 다니거나 걷거나 간에 음욕을 제거하지 않게 된다. 장부들 모두는 마음을 능히 취하며 또는 장엄하거나 장엄하지 않거나 좋은 옷을 입거나 좋은 옷을 입지 않거나 벌거숭이거나 벌거숭이가 아니거나 간에 음욕을 제거하지 않았으므로 장부들 모두가 마음을 능히 취하고 또는 목숨을 마치거나 때맞추어 지나가거나 열어 보이거나 태우거나 간에 음욕을 제거하지 않으며 모든 장부들은 마음을 능히 취한다.
그 까닭은 아난아, 나는 기억한다. 옛날 어느 때에 두 사람이 함께 길을 가고 있었는데, 그 중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장부여, 이 지방에 어떤 여인이 단정하게 생겨서 기뻐할 만하고 보는 이들이 싫증냄이 없었는데 수명이 다하여 목숨이 끊어졌다’라는 말을 하자, 이 말을 들은 뒤에 다른 생각을 내었다.
그러므로 아난아, 진실한 말을 할 때에나 바른 말을 할 때에 독나무라는 말을 여인에게 비유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른 언설이며, 이것이 참된 언설이다.
그 까닭은 아난아, 악취가 풍기고 문드러진 개의 시체를 어떤 중생이 안는다 해도 장차 지옥을 향하거나 축생이나 염마라 세간에는 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난아, 어떤 중생이 저 여인을 안으면 장차 지옥이나 축생 가운데나 혹은 염마라 세간을 향하게 된다.
아난아, 여래는 이런 허물을 보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설하는 것이니, 차라리 악취가 풍기고 문드러져 깨끗하지 못하고 피고름이 나며 푸르뎅뎅한 나쁜 빛깔이며 형체의 얇은 가죽에는 많은 벌레가 온통 득실거리며, 남은 타락의 즙과 같은 개의 시체를 취하여 지니거나 안거나 품속에다 둘지언정, 재보로써 장식하고 뭇 영락의 꾸미개로 장엄하여 전단을 몸에 바른 것이 마치 향 상자와 같고 매끄러우면서 부드러우며 나이가 한창이어서 모습이 아름답고 병고가 없으며 이목구비가 단정한 여인을 취하지 말 것이며, 내지 음욕 때문에 엄지발가락으로 여인을 건드리지도 말아야 한다.
그 까닭은 비유하면 마치 장인이 반드시 풀무에 바람을 가득 채워야 바람 기운이 뿜어 나오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아난아, 그와 같아서 여인들은 다른 이가 요동시키지도 않고 아직 말을 꺼내지도 않았는데, 스스로 앓는 소리를 내면서 기를 움직여 바람을 뿜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난아, 지혜 있는 이라면 여인은 마치 장인의 풀무와 같은 줄 알아야 하며 마땅히 이와 같이 지녀야 한다.
아난아, 여인이 장부를 보게 되면 곧 달콤한 말을 하고 뚫어지게 쳐다보며 본 뒤에는 다시 우러러보며 자세히 관찰하면서 음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니, 마주 보면서도 간사하게 보고 다른 이의 얼굴을 취하고 싶어 하며, 이로 아랫입술을 꼭 물고 얼굴빛은 청자색이 되어 음욕의 마음 때문에 이마 위에서는 땀이 흐르고 만일 앉아 있을 때면 곧 일어나려 하지 않고 서 있을 때면 또 앉으려고 하지 않으며, 나뭇가지로 땅을 긋고 두 손을 흔들어 대며 세 걸음을 가려다가 네 걸음을 걷고 이리저리 두리번거리며 혹은 문지방에 있으면서 얼굴을 찡그리고 숨을 내쉬기도 하며 구불구불 걸어가고 왼손으로 옷을 들어 올리면서 오른손으로는 넓적다리를 두드리며, 또 손톱으로 치아를 비비 고 풀잎으로 이빨을 후비적대며 손으로 뒤통수를 긁적거리고 정강이를 드러내며 다른 아이를 울리고 편편한 데를 가면서도 넘어지며 급히 여러 방향을 휘둘러본다.
아난아, 이러한 모양을 지혜 있는 이는 알아야 한다. 여인의 음욕이 발동해서이니 싫어하여 여의고 버려야 한다. 그 까닭은, 나를 생사에 유전시키면서 아주 어두움 속에 머무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아난아, 반드시 저 부지런한 관행 가운데에 머물러야 한다.
아난아, 이와 같이 배워야 한다.
아난아, 여인은 다섯 가지의 모양 때문에 사문 석종의 제자에 대하여 염착을 짓는 것이니, 그에게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장 크게 내고 그 밖의 다른 장부에게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사문 석종의 제자가 항상 범행을 닦고 일찍이 여인과는 함께 음행한 일이 없으며, 이와 같은 장부는 심히 만나기가 어렵고 손발이 부드러우며 하는 일이 적은 것이다.
아난아, 이 다섯 가지 모양은 여인이 사문 석종의 제자에게 가장 염착하는 이유로서 지극히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내니, 그 밖의 장부와 비교할 바가 아니다.
또 아난아, 다시 다섯 가지의 모양이 있어서 성취하고 두루 갖추면 여인들이 사문 석종의 제자에게 지극하게 염착하면서 가장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내니, 그 밖의 다른 장부와는 비교할 바가 아니다.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이 사문 석종의 제자들에게는 선근이 많아 복된 일이 갖추어 있고 많은 기운과 힘이 있으며 세력과 명망이 많고 정진함이 많이 있으며 견문이 많아 모든 이론을 교묘히 아는 것이다.
아난아, 이것들이 다섯 가지의 모양이어서 여인들이 사문 석종의 제자들에게 가장 염착하면서 극히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내니, 그 밖의 다른 장부와는 비교할 바가 아니다.
아난아, 다시 다섯 가지의 모양이 있어 두루 갖추면 여인들이 사문 석종의 제자들에게 극도의 염착을 내고 몹시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내며 가장 욕심을 내는 것이니, 그 밖의 다른 장부와는 견줄 바가 못 된다.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이들 사문 석종의 제자들은 두루 단정하고 엄숙하여 위의를 완전히 갖추고 모든 감관을 덮고 감추면서 모든 일을 은밀히 하며 다른 사람이 의심하지 않게 하고 자주자주 와서 응하며 아들과 재물을 얻겠다고 하는 것이다.
아난아, 다섯 가지 모양 때문에 여인들이 가장 염착하면서 으뜸가게 음욕하고 싶다는 마음을 내니, 그 밖의 다른 장부와는 견줄 바가 아니다.”
이와 같이 말씀하여 마치시자 장로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그리도 더러운 여인에게 있는 음욕의 행을 여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그때 아난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그 가운데 있는 희유한 일에 대하여 저의 마음에는 의심이 있습니다. 어떻게 온갖 세간에서 가장 으뜸이신 세존께서는 아직 성취하지 않아 보리를 행하시기 전의 보살의 몸으로 도솔천으로부터 어머니의 태에 강신하셔서 그 오른쪽 겨드랑에 머무르셨습니까?
세존이시여, 저는 그 보살이 도솔천으로부터 강신하고 하생하여 어머니의 오른쪽 겨드랑이로 들어가 태에 계셨다는 사실을 펴서 연설하지 못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제 보살이 수태한 곳을 보고 싶으냐? 마치 보살이 오른쪽 겨드랑에 있으면서 받은 태장(胎藏)과 같은 것 말이다.”
아난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 수가타이시여, 이것이 바로 삼마야(三摩耶)입니다. 여래께서는 먼저 보살의 몸일 적에 어머니의 오른쪽 겨드랑에 계셨으니 보살로서 받으셨던 어머니의 태 안의 일을 나타내 보이셔서 보게 하십시오. 보고 나서 저희들은 큰 기쁨을 가지겠습니다.”
그때 세존은 신통을 지으셨으며 신통을 짓고 나시자 범천왕(梵天王)인 사바세계의 주인이 6만 80백천 등(等) 수의 범천들과 함께 부처님께로 향해 나아갔으며, 도착한 뒤에는 머리 조아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세 바퀴를 돌고는 물러나 한쪽에 서서 열 손가락을 붙여 합장하고 부처님께 공경을 드렸다.
부처님께서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너 범천왕은 내가 옛날 보살의 몸일 적에 수용했던 누각의 보대(寶臺)를 받았었느냐?”
범천이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바가바시여,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수가타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그렇다면, 너 범천아, 이제 누각의 보대를 나타나게 할 수 있겠느냐? 우리들은 어떻게 장엄되어서 머무르게 되었는가를 알아야겠구나.”
그때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천왕은 모든 범천들에게 말하였다.
“너희들은 우선 머물러 있으라. 우리들은 저 보살께서 먼저 수용하셨던 보배꾸미개로 된 누각을 가져와야겠다.”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왕은 머리 조아려 부처님께 예배한 뒤에 범궁전(梵宮殿)으로 가서 선범천자(善梵天子)에게 말하였다.
“너 범천아, 이리 오너라. 이곳부터 삼십삼천에 이르기까지 알리되 ‘이제 보살께서 먼저 수용하셨던 누각인 보대 등을 가지고 가서 여래께 보이려고 하는데, 만일 보고 싶은 이가 있으면 부지런한 방편으로 행을 지어서 그곳으로 향하도록 하시오’라고 하여라.”
선범천자는 범천궁으로부터 이하의 삼십삼천에 이르기까지 소리를 내어 말하였다.
“먼저 수용하셨던 보살의 누각을 가지고 여래께 가서 보이려고 하는데, 만일 보고 싶은 이가 있으면 마땅히 부지런한 방편으로 정진의 행을 지어야 합니다.”
그때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왕은 8만 4천 백천 구지의 하늘과 함께, 보살이 먼저 수용했던 보대인 누각을 가져다 대범궁에다 놓았다. 이 범궁전은 3천 유순인데 그 중앙에다 안전하게 잘 두었으며, 그런 다음 한량없는 천과 백천 구지의 모든 천들에게 둘러싸여 염부제 안으로 내려왔다.
또 욕계ㆍ색계의 천들이 모두 다 모여서, 보살이 먼저 수용하였던 누각의 보대 등을 위하여 천(天)의 음악을 울리고 천의 만(鬘)과 천의 향과 천의 가루 향과 천의 미묘한 꽃 등 하늘들이 수용한 것을 뿌리면서 에워쌌다. 제석천왕은 대해(大海) 가운데에 있다가 먼 곳에서 쳐다보고는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눈을 떴다 감았다 하면서 보았지만 볼 수가 없었다. 그 까닭은, 모든 범천들은 큰 위덕이 있지만 삼십삼천은 그 천보다 심히 낮고 아래이기 때문이니 야마천(夜摩天)의 모든 천과 도솔천의 모든 천조차도 볼 수 없는데, 하물며 제석천왕이겠는가?
그때 세존께서 신통을 지으셔서 음악을 가려 나타나지 않게 하여 염부제의 사람들이 들을 수 없게 하셨다. 그 까닭은 염부제 사람들이 하늘 음악을 들은 뒤에 모두가 답답해하면서 마음이 어지러워질까 염려해서였다.
사대천왕이 제석천왕에게 물었다.
“제석천왕이여, 우리들은 이제 무엇을 해야 합니까? 저희들은 보살께서 먼저 수용하셨던 보대와 누각 등을 볼 수가 없습니다.”
제석은 그들에게 대답하였다.
“나 역시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 나도 지금 볼 수가 없다. 비록 그렇기는 하지만 우선 여래를 뵙기로 하자.”
사천왕은 말하였다.
“빨리 가서 뵈어야 합니다.”
제석천왕이 대답하였다.
“빨리 뵈올 수 있으면 곧 뵈어야겠지만 우선 잠시만 기다리기로 하자. 수승한 위력을 가진 천(天)들이 여래를 위유(慰喩)하면서 먼저 담론하기를 기다리자.”
그리고는 물러나 한쪽에 서서 손으로 얼굴을 감추며 여래를 우러러보았다. 그때 사바세계의 주인인 범천왕은 보배로 장엄되었으며 보살이 옛날에 수용했던 것을 가지고 부처님께로 나아갔다. 그 보배 장엄구로 된 보살이 먼저 수용했던 것은 사랑할 만하고 단정하였으며 매우 볼만하였는데, 네 개의 보배기둥이 있고 그 위에는 누각이 있으며, 크기가 마치 난 지 여섯 달이 된 사내아이만큼 높고 컸으며, 그 대각(臺閣) 가운데에 하나의 상탑(床榻)이 있는데, 난 지 여섯 달이 된 사내아이가 누울 수 있는 판자만 하였다.
그 보배 장엄구를 보살이 옛날에 수용하였는데, 온갖 천에서도 이와 비슷한 종류의 빛깔은 없었다. 그 모든 천들은 보살이 수용했던 것을 보고 희유하다는 마음을 내었으며 눈이 빙빙 돌아서 제대로 보지도 못하였다.
그때 그 누각은 세존의 앞에 있었는데, 비유하면 마치 염부단금(閻浮檀金)을 새로 녹여서 교묘한 금세공사가 갈고 빛나게 하여 때나 찌꺼기가 전혀 없는 것과 같았다. 그와 같아서 그 삼마야(三摩耶)에 든 보살의 수레[輦輿]도 광명이 번쩍거렸고 그 보살이 수용했던 상탑은 천 등의 세간에서는 이것과 비슷한 종류의 빛깔이 없었다.
또 금이나 보배는 보살의 정수리(菩薩頂)정본(正本)은 겸포기리바(鉗蒱其梨婆)라고 했다만이 제외되었으며 범천들이 입은 의복이 그 상탑 앞에서는 빛[光色]을 잃은 것이 마치 비바람으로 오래 적셔진 검은 암양[羖羊]의 털로 짠 베와 같았으며, 그 수레는 우두전단(牛頭栴檀)으로 이루어져서 그 가루를 손으로 한 번 찍어 바를 정도의 것도 값어치는 천(千)의 세계와 맞먹었다.
이와 같은 우두전단으로 대각(臺閣)이 에워싸였고 두루 사이사이 섞였으며, 그 안에는 다시 제2의 중각(重閣)이 있는데 그것은 제1의 누각의 보대 가운데 있고 붙지도 않고 매이지도 않은 채 저절로 머물러 있으며, 다시 상탑(牀榻)이 있는데 그것은 제2의 누관(樓觀)의 보대 가운데에 있고 뭇 향에 덮여 있는데 다시 거듭 그 우두전단에 덮여 있으며, 그 우두전단은 이와 같은 색으로 되어 있었다.
012_1057_b_01L大威德陁羅尼經卷第十九 靡隋天竺三藏闍那崛多譯佛告阿難此非正問雖然阿難我今爲汝而作譬喩爲明此義令汝知故阿難於汝意云何若於春末月中正熱惱時大火坑內鐵鍱擲中析一毛以爲百分取一渧水置彼鍱上彼之水渧當盡已不阿難報言世尊日之熱惱猶能盡滅況大火聚世尊我意觀察彼之水渧未至鐵上渧在虛空如是火熱尋時卽盡佛告言汝意分別寧以少水渧此大火聚當可應滅阿難莫復分別未見實諦諸婦人等若干數人以受欲故令歡喜者阿難譬如有大沙聚鍼孔之中有一水渧墮此沙聚阿難於汝意云彼一渧水能潤彼沙大聚已不可徹過不阿難白言不也世尊佛復告阿難汝意分別此一渧水潤此沙聚可令徹過阿難汝莫分別若一婦人以千數丈夫受欲果報令知足者阿難譬如苗稼遍滿大地下諸種子於三月中極大旱熱阿難於汝意云此之大地爲渴以不阿難言渴也世尊渴也修伽陁佛告言阿難若上虛空蚊子飛行所放尿渧能令大地得潤澤不又令生長大苗稼不一切藥草諸樹木等若大地中一切水滿始從此岸至彼岸不阿難言不也佛告言阿難汝意分別寧以蚊尿潤洽大地增長苗稼及諸藥草諸樹木等幷諸園林置一切水始從此岸復至彼岸阿難汝莫分別若一婦人以千丈夫若百千丈夫受欲果報歡喜者阿難婦人無有二法怖及慚乃至半由旬地眼道之所及方追逐丈夫爲多欲故阿難其婦女人三法具足不知厭足而命終也者爲三自身莊嚴於丈夫邊所受欲哀美言辭此爲三種阿難譬如丈夫身有癩病諸根純熟而彼支節及非節處有八萬四千瘡一一瘡門有八萬四千蛆虫悉如鍼鋒兩頭有口彼等蛆虫食不知足無須臾時而得停住常於彼人所有瘡處鑽刺唼食食已復食唼已復唼而彼丈夫設有四手在火聚前爾時諸虫更得火熱以熱惱故復動馳走走已復走搔故復搔阿難於汝意云何彼之丈夫爲諸虫所食噉不阿難白言世尊我聞是已身毛皆豎況彼丈夫虫在其支節及非節處耶佛言阿難彼丈夫爲彼諸虫之所食噉以四手搔自身體無有厭足然無有樂爾時瘡閒手搔刮如是如是虫更開張以虫取指甲頭搔瘡痒不止阿難於汝意云何彼之丈夫厭污身不以膿血臭穢厭惡不喜觀察之者亦不喜見難白言如是婆伽婆如是修伽陁告言如是如是阿難然其婦人多有煩惱可厭可惡不憙觀察不憙睹見婦人多欲常不知足以愛欲故得復欲得更復欲得欲欲不止常求常覓無知厭足阿難其婦女五蛆虫戶丈夫無此復次婦人五蛆虫戶在陰道中其一一虫戶有八十虫兩頭口悉如鍼鋒彼之蛆虫常惱彼女食噉之令其動作動已復行以彼令是故名惱其婦女人此不共法業果報求欲方便發起欲行貪著丈不知厭足阿難其白精道最爲穢內空不淨臭穢可惡阿難勿須親如是女人亦莫承事所以者何無有如是不淨之坈如女人者大臭穢最爲可惡於世閒中如爛狗阿難如爛狗屍不淨爛臭其靑惡身體薄皮諸虫所滿如臭酪漿狗屍上復天注雨然彼狗屍更復濕時彼諸虫被雨漬已轉更增動已遍動處處普行行已復行其雨復於彼方處有諸住人聞彼臭氣於汝意云何彼等丈夫取彼味不聞彼氣不阿難言世尊我已聞彼卽欲嘔吐況復在彼地方住者世尊當覆也修伽陁應當覆也所以者何世尊如是彼爛狗屍最爲臭穢阿難於汝意云何若復有人於如是等爛狗屍不淨膿血臭穢靑惡之色體薄皮諸虫所滿殘臭酪漿若取若若抱若擎持已豈彼丈夫應得他人歡喜供養禮事以不或得恭敬得尊重或得親近爲得多人所讚歎阿難言不也婆伽婆不也修伽陁應當遠離應不憙見應不親近應不讚歎世尊如是丈夫應不須見何況有人而讚歎者所以者何世尊如爛狗屍不淨臭穢靑惡之色身體薄皮諸虫遍滿狀如殘酪懷裏擎擧佛告阿難如來如是許彼丈夫若爛狗不淨膿血臭靑惡色身體薄皮虫遍滿如殘酪漿若取若持若抱擎阿難如來亦不許彼亦不讚歎之丈夫或以財寶諸瓔珞具莊嚴婦栴檀塗體猶如香篋細滑柔軟巧裝嚴年盛色美無病無痛耳目端乃至不讚彼之丈夫以腳拇指彼婦人何以故阿難我說彼之丈夫甚可惡厭或以財寶諸瓔珞具莊嚴婦人栴檀塗體猶如香篋細滑柔軟善巧裝飾年盛色美無病無痛耳目端嚴乃至不讚彼之丈夫以腳拇指觸彼婦人而不毀彼丈夫抱爛狗屍不淨膿血靑臭惡色身體薄皮諸虫遍滿似殘酪漿若取若持若抱乃至置於懷裏以手擎擧所以者何阿難其婦女人最劇臭穢最可棄捨何以阿難不爲抱爛狗屍地獄畜生及閻魔羅世之所出生阿難諸衆生輩於世閒中所出生者所謂杻械枷鎖若生貫穿或秤上秤開絞以木用鋸支解若以釿斲或以鍼穿爭鬪相競截其腳足推黑闇井或推擲坈埳此等所作不爲抱持臭爛狗屍之所出生阿難爲衆生輩於世閒中所有損害或苦或惱種種災怪所謂割手截腳刖耳斷頭一切皆爲諸欲所生因欲持欲之所出生阿難如來爲此因緣作如是說寧使丈夫臭爛狗屍不淨膿血靑臭惡色身體薄皮衆虫遍滿如是之體應取應持若抱若置懷裏擎擧勿欲丈夫乃至以腳大拇指觸彼婦人阿難譬如毒樹若根有根亦能殺若莖有毒莖亦能殺岐有毒岐亦能殺若枝有毒枝亦能若葉有毒葉亦能殺若花有毒亦能殺若果有毒果亦能殺若影有影亦能殺阿難如是如是一切婦人爲不除欲諸丈夫輩若來若去住若坐爲不除欲諸丈夫輩皆能取若睡若覺若欣若笑若歌若儛復音樂若行若步爲不除欲一切丈夫皆能取心若莊嚴若不莊嚴若著好衣若不著好衣若裸形不裸形不除欲一切丈夫皆能取心若命終若依時過若開示若燒爲不除欲丈夫等皆能取心所以者何阿難念往昔時有二人共行在路於中一人告第二人謂言丈夫此地方處有婦女人端正可憙觀者無厭壽盡命終彼如是說旣聞是已心生別異是故阿難若實言時若正言時言毒樹者喩彼婦人是正言說是眞言說所以者何阿難不以臭爛狗屍有衆生抱當向地獄若向畜生及閻魔羅阿難以有衆生抱彼婦人當向地獄及畜生中或閻魔羅世阿難如來見此過故作如是說寧以臭爛狗屍不淨膿血靑臭惡色形體薄皮諸虫遍滿似殘酪漿若取若持若抱若置懷中不得以諸財寶莊飾婦人衆瓔珞具之所莊嚴栴檀塗體猶如香篋細滑柔軟盛年色美除諸病苦眼目端正乃至不欲令彼以腳大拇指婦女人所以者何阿難譬如工匠要以韝囊以風滿故吹出風氣阿難是如是諸婦女人他不搖動未發言而自呻吟動氣出風是故阿難有智者當知婦人如匠韝囊應如是阿難其婦女人若見丈夫卽作美瞻視熟視視已復視瞻仰觀察念欲事面看邪視欲取他面齒銜下面色靑紫以欲心故額上汗流安坐時卽不欲起若復立時復不欲木枝晝地搖弄兩手或行三步第四步左右瞻看或在門頰嚬呻出逶迤屈曲左手擧衣右手拍䏶以指爪而刮齒牙草枝剔齒手搔腦宣露腳脛嗚他兒口平行而蹶視諸方阿難如是等相智者當知婦女之人欲事以發厭離棄捨所以者勿令於我流轉生死大暗中住故阿難應當住彼勤觀行中阿難如是學阿難婦女之人具五種相彼沙門釋種弟子而作染著於彼之欲心最生非餘丈夫何等爲五沙門釋種弟子恒常梵行未曾經共婦人爲其欲事如是丈夫甚難可得手腳柔軟少作事業阿難此等五相婦女之人最爲染著沙門釋種弟子生極欲心非餘丈夫之所比類復次阿難復有五相成就具足婦人最極染著沙門釋種弟子生最欲心非餘諸丈夫之所比類何等爲五此沙門釋種弟子輩多有善根具有福業多氣力多有勢望多有精進多聞巧知諸論阿難此等爲五相婦女之人最爲染著沙門釋種諸弟子極生欲非餘丈夫之所比類阿難復有五種相具足婦女之人向沙門釋種諸弟子極生染著生極欲心最生欲心非餘丈夫之所等比何等爲五此等沙門釋種諸弟子等普遍端嚴具足威儀覆藏諸根隱密諸事不令他人有所疑念應數數來我當得子及與財物阿難此等五相婦女之人最爲染著最生欲心非餘丈夫之所等比作是語已長老阿難白佛言希有乃至穢污婦人所有欲行如來所說爾時阿難白佛言世尊於中所有希有之事我心有疑云何一切世閒最上世尊未得成就行菩提前菩薩之從兜率天降神母胎住其右脅我不能作如是宣說如其菩薩兜率天降神下生入母右脅在胎而佛告言阿難汝今欲見菩薩所受胎處已不如其菩薩在右脅中所受胎藏阿難言世尊今正是時修伽陁此是三摩耶如來於先菩薩之身在母右脅菩薩所受處母胎中示現令見已我等將大歡喜爾時世尊作是神通作神通已于時梵天王娑婆世界主與六萬八千百千等數諸梵天輩詣向佛所到已頂禮佛足圍遶三帀卻住一面合十指向佛恭敬爾時佛告梵天大王娑婆世界主言汝梵天王受我往昔菩薩身時所用樓閣寶臺已不梵天白如是如是婆伽婆如是如是修伽佛言汝梵天王今在何處梵王言世尊在梵世閒佛言若爾汝梵今者可以顯現樓閣寶臺我等當知云何莊嚴之所住也梵天王娑婆世界主告於彼等諸梵衆言汝等且住至我等將彼菩薩先所受用寶莊嚴具樓閣來也爾時梵王娑婆世界主頂禮佛足已乃至住梵宮殿爾時王娑婆世界主告善梵天子言汝梵者來從此已下乃至三十三天告語令知今者欲將菩薩先所受用樓閣臺等示現如來若欲見者應勤方便作行向彼爾時善梵天子從梵天宮以下乃至三十三天卽發聲言菩薩樓閣先所受用今將詣向如來之所欲有示現若欲見者應勤方便作精進行爾時梵王娑婆世界主與八萬四千百千俱致等數將彼菩薩先所受用寶臺樓閣置大梵宮是梵宮殿三千由旬中央安置中央安置已無量諸天百千俱致諸天圍遶將來詣下閻浮提中又於彼時欲界色界一切諸天皆悉聚會爲彼菩薩先所受用樓閣臺等作天音樂散諸天鬘及諸天香諸天末香諸天妙花諸天受用諸天圍遶而帝釋天王在大海遠處觀瞻以手遮面眼或開合不能睹所以者何諸梵天等有大威三十三天於彼天處甚極卑下摩諸天兜率諸天彼等諸天尚不能況釋王也爾時世尊作是神通已而彼音樂翳滅不現不令閻浮提人所得聞也所以者何恐閻浮提人聞天樂已悉迷悶心亂爾時四大天王白帝釋王言帝釋天王我等今者作何也我等不能得見菩薩先所受用寶臺閣等釋報彼言我等今者何所作我於今者亦不能見雖然我等今者且觀如來四王報言應速往釋王報言若可速見卽應得見今我等且待須臾乃至令彼勝威力慰喩如來先共語論彼時帝釋王等卻住一方以手映面瞻仰如來梵天王娑婆世界主將彼寶莊嚴具菩薩昔所受用詣向佛所彼寶莊嚴具菩薩先受用者可愛端正甚可瞻睹有四寶柱上有樓閣如是大小譬如六月所生童子如是高大彼臺閣中有一牀榻譬如六月所生童子所臥之板彼寶莊嚴具菩薩往昔受用者有如是色有如是形而天等世無有如此比類色者然諸天輩彼菩薩所用受已生希有心彼等眼轉不能正觀彼時樓閣在世尊前如新融閻浮檀金巧師磨瑩無諸垢如是如是彼於三摩耶菩薩輦輿明曜顯赫於彼菩薩所受用榻而天等世中無有如是比類色者若金若寶除菩薩頂正本云鉗蒱其梨婆彼梵身等所著衣服在彼榻前無有光色譬如風雨夂漬羖羊毛𣯊然彼輦輿牛頭栴檀之所成就以末一捻價直千世界以彼如是牛頭栴檀圍遶臺閣彼普遍閒錯其內更有第二重閣在彼第一樓閣臺中不著不縛自然而住更有榻在彼第二樓觀臺中衆香所覆重更覆彼牛頭栴檀然彼牛頭栴有如是色大威德陁羅尼經卷第十九辛丑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