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卷第四

ABC_IT_K0891_T_004
022_0025_b_01L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제4권
022_0025_b_01L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卷第四


의정 한역
주호찬 외 번역
022_0025_b_02L三藏法師義淨奉 制譯


2) 불여취학처 ③
022_0025_b_03L不與取學處第二之三
022_0025_c_01L이때 박가범(薄伽梵)께서 실라벌성 서다림의 급고독원에 계시었다. 여러 필추들을 위하여 공양법문을 설하시고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사람이 복을 짓지 아니하면
항상 고통의 과보를 받네.
만약 능히 복을 닦는다면
금세와 후세에 다 즐거우리.

그때에 여러 필추들이 이 말씀을 듣고 나서 많이 구걸을 해서 불ㆍ법ㆍ승에게 널리 공양을 일으켰다. 때에 부처님의 교법은 점점 더해가고 넓어졌다. 이 성안의 어떤 한 장자가 아내에게 장가든 지 오래가지 아니해서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점점 장대해지자 드디어 출가를 했다.
때에 여러 필추들은 ‘지금 이 성안에는 필추가 많아서 구걸하기 어려우니 우리가 지금 마땅히 다른 곳으로 가서 불ㆍ법ㆍ승을 위해 공양을 일으키리라’고 생각하고는 곧 다른 곳에 가서 마음대로 구걸하여 갖가지 비단을 많이 얻어서 옷 짐 속에 가득 채우고 실라벌로 돌아오던 길에서 세관에 닿자 세관인이 물었다.
“성자여,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이 있는가?”
대답하였다.
“우리들에게는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이 없습니다.”
다시 말하였다.
“잠깐 멈추시오. 짐을 가지고 오시오. 살펴봐야 하겠소.”
옷 짐을 풀자 잡색의 물품이 짐 속에 가득 채워져 있는 것을 보았다.
세관이 말하였다.
“이 짐 속에 담겨 있는 것이 세금에 합당하지 않다면 어찌 낙타에 싣고 짐꾼에게 지워야만 세금을 내야 한다고 하겠소?”
필추가 말하였다.
“어르신, 이것은 내 물건이 아니오.”
“누구의 물건이오?”
“첫째는 부처님의 것이고, 둘째는 법의 것이고, 셋째는 승가[僧]의 것입니다.”
“내 어찌 불ㆍ법ㆍ승의 일을 알 수 있겠소? 다만 세금을 물어야만 앞으로 갈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잡아 두었다가 그 세금을 받고서 놓아주어 가게 했다. 드디어 실라벌성에 이르니, 마음에 후회가 생겨서 여러 필추들에게 알렸고, 필추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사람은 범한 것이 없다. 다만 ‘이것은 삼보의 것이다’라는 이러한 말은 하지 말았어야 했다. 세관에게 응대할 때 이와 같이 불ㆍ법ㆍ승을 찬양할지니, 무엇이 부처님을 찬양하는 것이냐 하면, 이른바 박가범ㆍ여래ㆍ응공[應]ㆍ정등각(正等覺)ㆍ명행족(明行足)ㆍ선서(善逝)ㆍ세간해(世間解)ㆍ무상사(無上士)ㆍ조어장부(調御丈夫)ㆍ천인사(天人師)ㆍ불세존(佛世尊)이니, 이것이 부처님을 찬양하는 것이니라. 무엇이 법을 찬양하는 것이냐 하면, 이른바 세존께서 선설하신 법요로 현세의 법 중에 번뇌[熱惱]를 없애고, 듣는 이의 근기에 따라 연설하여 열반에 나가게 하며, 안으로 3명(明)을 증득하여 지혜가 원만하게 하는 것이니, 이것을 법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하느니라. 무엇이 승가를 찬양하는 것이냐 하면, 세존께서 데리고 계시는 성문 제자들은 바른 이치에 안주하여 곧은 마음으로 수승한 법을 공경하고 따른다. 승가 중에는 예류향(預流向)ㆍ예류과(豫流果)를 얻은 사람도 있고, 일래향(一來向)ㆍ일래과(一來果)를 얻은 사람도 있으며, 불환향(不還向)ㆍ불환과(不還果)를 얻은 사람도 있고, 아라한향(阿羅漢向)ㆍ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은 사람도 있는데, 이 여덟 대인(大人)은 모두 시라(尸羅)1)가 원만하고, 삼마지(三摩地)가 원만하며, 반야(般若)2)가 원만하며, 해탈이 원만하며, 해탈지견(解脫知見)이 원만하니 귀의하기에 합당하며, 바로 마땅히 공경해야 하므로 이들은 모든 세간의 수승한 복전(福田)이라고 하며, 이것을 승가를 찬양한다고 하느니라. 이와 같이 삼보를 찬탄할 때에 보내 주면 잘된 일이고, 만약 보내 주지 아니하면 마땅히 세금을 물고 가야 한다. 만일 주지 아니하면 솔토라죄가 된다.”
때에 필추가 삼보를 공양하기 위한 여러 잡물을 가지고 세관처를 지나다가 비록 세관인에게 삼보를 찬탄하였지만 이 세관은 기꺼이 보내 주지 아니하고 수색하여 세금을 받았다.
이때 필추가 가지고 있는 일부를 주었는데,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고루 나누어야 하고, 치우치게 주어서는 안 된다.”
필추가 물품을 고루 나누어 주느라고 시간이 걸려서 드디어 상려를 잃고 곧 도둑을 만났으며, 범과 표범 등 짐승에게 상해를 입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길에서 나누는 것[分判]을 해서는 안 된다. 가지고 있는 일부를 저 세관에게 주고 머무르는 곳으로 가서 그 물품을 고루 나누도록 하라. 만약 이와 다르게 하는 자는 월법죄가 된다.”
부처님께서 실라벌성의 급고독원에 계시었다. 이 성안에는 한 필추가 있었는데, 삼장을 밝게 해석하여 대중에게 알려졌고, 설법을 잘하여 변재가 거침이 없었다. 대중 가운데 유행하고 왕사성에 이르러 3개월 안거를 마치고 상인들을 찾아 실라벌성으로 가서 세존의 발에 예배하고자 하였다.
때에 어떤 상주(商主)가 재물과 보화를 가지고 실라벌로 가려고 한다는 것을 필추가 듣고 나서 상주가 있는 곳에 찾아가 그를 위하여 세 가지의 수승한 복을 짓는 일, 이른바 보시와 지계와 수선(修禪)에 대하여 말하였다. 이 법을 설하자 저 상주는 마음에 공경과 믿음이 생겨서 드디어 필추를 청해서 집에서 공양하고 아울러 훌륭한 모직 옷감을 가져다가 받치며, 곧 두 발에 절하고 나서 이와 같은 말을 했다.
“성자시여, 나에게 어떤 일을 시키고자 하십니까?”
필추가 말하였다.
“어진이여, 내가 지금 실라벌성에 가서 세존의 발에 절하고자 하니, 나에게 애처롭게 여기는 마음[悲愍心]을 일으켜 호념해 주시오.”
대답하였다.
“매우 좋습니다.”
곧 상주와 더불어 길을 따라가는데, 상주가 말하였다.
“그대는 걸식하고 나는 복을 닦고 있으니, 왕사성에서 실라벌에 이를 때까지 이 중간에 의복과 음식과 와구와 의약 등 가지고 있는 재물을 걱정하지 않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필추도 허락하였는데, 길이 세관에 이르자 상주가 가지고 있던 재물과 보화와 세금을 내고 나서 곧 이런 생각을 했다.
‘나는 재물과 세금을 냈는데 성자의 흰 모직 옷감은 아직 세금을 내지 아니했으니, 만일 세금을 수색하면 물건이 나로부터 나올 것이니, 마땅히 저 모직 옷감을 가져다가 내 짐 속에 넣어 두어야 한다.’
필추에게 말하였다.
“성자여, 흰 모직 옷감을 나에게 보여 주실 수 있습니까?”
“그대가 보시한 물건인데 마음에 후회가 생깁니까?”
“나에게는 후회하는 마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내 물건은 이미 세금을 냈는데 그대의 모직 옷감은 아직 내지 아니했으니, 만약 세금을 수색하면 물건이 나로부터 나올 것입니다.”
“어진이여, 세존께서 이미 학처를 제정하시었는데, ‘필추가 물건을 가지고 세관을 통과할 때 세금을 내지 아니하면 바로 근본죄를 범한 것이다’고 하셨습니다.”
이때 상주는 곧 생각해 보았다.
‘이렇게 의향을 살폈으나 기꺼이 주지 아니하니 내 스스로 알아서 처리할 것이다.’
“성자여, 나는 오늘 아침에 정신이 어지러워 밥을 할 수가 없으니, 그대는 마을에 들어가서 인연에 따라 찾아보시오.”
필추가 말을 듣고 마을로 가자 상주는 모직 옷감을 가져다가 자기 짐 속에 넣었다. 곧 세관에 이르니, 세관인이 물었다.
“성자여, 그대의 옷짐 가운데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이 있습니까?”
필추가 말하였다.
“나에게는 모직 옷감이 한 벌 있습니다.”
대답하였다.
“짐을 가져다가 살펴보게 해 주십시오.”
필추가 옷짐을 풀어 보았으나 그 모직 옷감이 보이지 않으니 갑자기 얼굴에 근심스러운 빛을 나타내면서 손을 뒤집고 탄식했다. 이때 세관인이 필추에게 물었다.
“무슨 까닭으로 근심스러운 얼굴을 하고 손을 뒤집으며 한탄합니까?”
필추가 말하였다.
“나에게 모직 옷감이 한 벌 있었는데 도둑을 맞았습니다.”
세관이 말하였다.
“어찌 다만 당신만이 도둑을 맞았겠소. 나도 또한 도둑을 맞은 것이오. 이 물건을 잃어버림으로 해서 나도 소득이 없어졌습니다.”
이때 필추가 세관을 통과하자 상주가 말하였다.
“무슨 까닭으로 근심스러우면서 마음이 즐겁지 아니합니까?”
“그대는 복을 줄 수는 있어도 복을 받을 수는 없는 사람이구려.”
“어떤 뜻으로 이와 같이 말하십니까?”
필추가 말하였다.
“그대가 보시한 모직 옷감을 도둑이 가져갔으니 말입니다.”
“도둑이 가져간 것이 아닙니다. 내가 세금을 물릴까 두려워 세관에서 찾아내서 방편으로 이 물건을 내 짐 속에 두었을 뿐입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내 지금 드리겠습니다.”
“어진이여, 차라리 도둑을 맞았으면 맞았지 이 때문에 나로 하여금 죄를 범하게 하지 마십시오.”
“성자여, 그대는 이 물건으로 3업(業)을 일으키지 아니했는데 어찌 죄가 있다고 합니까?”
필추가 듣고 나서 마음에 회한이 생겼다. 점차 실라벌성에 이르니, 여러 필추들이 말하였다.
“잘 오셨소, 구수여. 행리는 편안하셨습니까?”
필추는 이러한 사연을 모두 여러 필추들에게 알렸고, 여러 필추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저 필추는 범한 것이 없다. 그러나 길을 가는 데는 궤식(軌式)이 있으니, 내 지금 설명하리라. 길가는 필추가 마을에 들어가 걸식할 때 가지고 있는 물품과 옷을 마땅히 검사해 두었다가 돌아올 때 잘 관찰해야 한다. 만약 이대로 하지 아니하면 월법죄가 된다.”
부처님께서 급고독원에 계시었다. 두 필추가 있었는데, 한 사람은 늙고 한 사람은 젊었다. 함께 반려가 되어서 대중 가운데 유행하였는데 늙은 사람은 옷과 물품과 생활에 필요한 기구가 많았지만, 젊은 사람은 필요한 기구가 적었다.
이때 늙은 사람이 세관에 이르고자 하니 물품이 모두 세금에 합당하였으므로 이런 생각을 했다.
‘나에게 세금을 내어야 할 물품이 있으니, 만약 저 세관인이 물을 때 내가 없다고 말한다면 짐짓 망어죄(妄語罪)를 얻게 되고, 만약 내가 있다고 말한다면 반드시 세금을 물어야 한다. 어떠한 방편을 써야만 이 두 가지 일을 면할 수 있을까?’
곧 다시 생각하였다.
‘내가 가진 물건을 저 소년 필추에게 주어서 세관을 통과한 뒤에 내 스스로 가지는 것이 합당하다.’
저 소년 필추에게 말하였다.
“잠깐만 나를 도와서 물건을 들어주오.”
소년 필추가 곧 생각하기를, ‘노인이 몸이 피곤해서 나에게 물건을 가져가게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고, 드디어 받아 가지고 앞서 갔다. 세관인이 물었다.
“성자여, 세금 낼 물건이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나는 세금 낼 물건이 없습니다.”
그리하여 세관인이 통과시켰다. 늙은이가 빈손으로 뒤따라오니 세관인이 묻지 아니했으므로 세관을 통과하고 나서 말하였다.
“구수여, 나의 옷과 발우를 돌려주오.”
소년이 물었다.
“상좌께서는 지금 피로가 이미 풀렸습니까?”
대답하였다.
“나는 피로한 것이 아니었다. 너에게 물건을 지니게 한 것은 다만 나에게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이 있어서 이런 생각을 했던 것이다. 만약 저 세관이 나에게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이 있느냐?’고 묻는데, 내가 만약 ‘없다’고 하면 고의로 망어를 하게 되고, 만약 ‘있다’고 하면 지정된 세금을 내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편을 써서 너로 하여금 물건을 가지고 세관을 통과하게 한 것인데, 이제 이미 통과했으니, 당연히 돌려주어야 하리라.”
“만약 이와 같다면 상좌 자신은 세금을 면했지만 저로 하여금 죄를 짓게 하였습니다.”
대답하였다.
“그대는 알지도 못했는데 어떤 연유로 죄가 된단 말인가?”
때에 어린 필추는 마음에 회한이 생겼다. 실라벌성에 이르러 비하라(毘訶羅:精舍)에 가니, 여러 필추들이 보고 말하였다.
“어서 오시오, 구수여. 행로는 안락했는가?”
대답하였다.
“어찌 안락했겠습니까?”
물었다.
“무슨 뜻인가?”
앞에 있었던 사연을 낱낱이 여러 필추들에게 알리니, 여러 필추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저 필추는 범한 것이 없다. 그러나 필추들이 길 다닐 때 만약 물어서 알지 못하는 것이라면 다른 사람을 위해 물건을 날라서는 안 된다. 만약 다른 사람을 위해서 가져갈 때는 반드시 낱낱이 ‘이 중에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으로 내야 할 것은 없는가?’라고 물어야 한다. 이같이 물으면 잘한 일이고, 만약 묻지 아니하였으면 월법죄를 얻는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을 가지고 세관을 통과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가지고 지나가면 월법죄를 얻는다.”
때에 60명의 필추가 대중 가운데 유행하다가 한 마을에 이르렀다. 그 마을에는 한 장자가 있었는데, 크게 부유하여 재물이 많아서 모든 것을 수용하고 깊은 공경과 신앙을 가지고 있어 여러 필추들을 보면 청해서 집에서 밥을 먹게 했다. 밥을 먹고 나서 사람마다 각각 한 쌍의 흰 모직 옷감을 주었다. 필추가 말하였다.
“장자여, 부처님께서는 저희들에게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을 가지고 세관을 통과하는 것을 막으셨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우리들이 지금 이 물건을 가질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장자는 말이 없더니 다시 주지 아니했다.
그때에 여러 필추들이 주원(呪願)3)을 마치고 나서 길을 따라 가다가 실라벌에 이르니, 여러 필추들이 말하였다.
“잘 오셨소, 구수여. 여행은 즐거웠습니까?”
대답하였다.
“여행은 즐거웠습니다. 더군다나 시주가 있어서 우리들을 청해 집에 가서 밥을 먹게 했습니다. 밥을 먹고 난 뒤에 사람마다 각각 한 쌍의 흰 모직 옷감을 주고자 했으나 우리들은 받지 아니했습니다. 부처님께서 제정하신 계율에 ‘필추들은 세금을 물어야 할 물건을 가지고 세관을 통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 때문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이익을 잃었습니다.”
여러 필추들이 듣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받아야 하고, 받은 뒤에는 물감을 들여야 한다.”
때에 필추가 물건을 얻어서 물감을 들이고자 해서 염즙(染汁)과 나무[柴]와 항아리[盆]와 가마솥을 구하느라고 지연되어서 상인의 무리를 놓치고 호랑이 등의 습격을 받아 상해를 입자, 여러 필추들이 이러한 사연을 가지고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물에 씻고 비틀어 찢어서 마음대로 가지고 가라.”
세관에 이르렀는데 면세가 되지 아니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물로 씻거나 혹은 쇠똥을 발라서 빛깔을 없애라.”
그래도 세금을 면제받지 못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리고 실오리[縷]를 잘라버려라. 만약 어려운 사연이 있으면 내 말대로 하고, 어려움이 없을 때는 곧 응용하지 말아라. 만약 상용하면 월법죄를 얻는다.”
부처님께서 실라벌성의 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어떤 필추가 왕사성에서 여름 석 달의 안거를 마쳤지만 아직 옷을 분배 받지 못했다. 실라벌성에 가서 세존의 발에 예배하고자 하니, 여러 필추들이 말하였다.
“무엇 때문에 황급하게 옷의 분배를 기다리는가. 좋은 곳으로 유행하려 하는가.”
그래도 필추는 마음에 머무르고 싶지 않았다. 한 필추가 곧 한 장의 모직 옷감을 가져다주어서 가게 했다. 저 필추가 모직 옷감을 받고 나서 곧 생각하기를, ‘내가 만일 색깔을 없애려 한다면 같이 범행하던 자와 고별할 여가가 없다. 아는 필추를 시켜서 색을 없애도록 해야겠다’고 하고는, 곧 이 모직 옷감을 가지고 아는 필추에게 주어서 염색하게 하면서 말하였다.
“나를 위해 염색을 해서 내 옷짐 속에 넣어 주시오. 나는 잠시 방을 돌면서 필추들과 작별을 해야겠습니다.”
때에 저 아는 필추는 게으른 생각에 능히 염색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원래 색깔대로 옷짐 속에 넣어 두었다. 때에 저 필추는 옷을 가지고 가다가 세관이 있는 곳에 이르자, 저 세관이 필추에게 물었다.
“성자여, 다소라도 세금 낼 물건이 있습니까?”
필추가 대답하였다.
“어진이여, 나에게는 세금 낼 물건이 없습니다.”
세관이 말하였다.
“다만 가져와 보시오. 살펴보겠습니다.”
저 필추가 곧 옷짐을 풀고 열어 보이니, 하나의 큰 모직 옷감이 나왔다. 물었다.
“성자여, 그대는 법률을 잘 설하는 무리에 믿음을 가지고 출가했는데, 어찌 한 장의 모직 옷감을 용납하고자 일부러 망어를 하십니까?”
대답하였다.
“어진이여, 나는 참으로 몰랐습니다. 이것은 내가 길을 떠나려고 할 때 다른 사람이 나에게 준 모직 옷감으로, 나는 이 모직 옷감을 가지고 아는 사람을 시켜서 내가 다른 사람과 작별하고자 대신에 색을 파괴하고 옷짐 속에 넣어 줄 것을 부탁했는데, 저 사람의 마음이 게을러서 색을 파괴하지 아니하고 짐 속에 넣어둔 것입니다.”
세관인이 말하였다.
“그는 그대가 아는 사람이지 내가 아는 사람이 아닙니다. 이러한 사연 때문에 나는 물품을 얻게 되었으니, 세금만 내고 마음대로 앞으로 가시오.”
때에 저 필추가 세금을 내고 갔으나 마음에 회한을 가지면서 길을 따라갔다. 실라벌성의 필추가 머무르는 곳에 이르자, 여러 필추들이 보고 말하였다.
“잘 오셨습니다, 구수여. 여행은 즐거웠습니까?”
대답하였다.
“어찌 즐겁겠습니까?”
여러 필추들이 말하였다.
“어찌 즐겁지 아니했습니까?”
앞에 있었던 사연을 모두 여러 필추들에게 알리니, 여러 필추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필추는 범한 것이 없다. 그러나 이 필추도 저 필추에게 마땅히 물어서 확인한 뒤에 가져갔어야 한다. 저 필추에게 ‘내가 준 것을 염색했는가?’라고 물어보아야 했으며, 만약 묻지 아니하고 가져간다면 월법죄가 된다.”
부처님께서 실라벌성의 급고독원에 계실 때에 육중(六衆) 필추인 난타(難陀)가 오바난타(鄔波難陀)에게 가서 이와 같은 말을 했다.
“저 모든 흑색 발우[黑鉢]를 쓰는 무리들은 모두 원숭이 기름을 가지고 그 발에 바르는데, 갈 때는 많은 이양을 얻고, 돌아올 때도 또한 나그네 필추의 이익[客利]을 받아도 많은 사람들은 사랑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모두 다 공경하면서 중하게 여깁니다. 우리들의 일이란 우물 안의 개구리와 같아서 일찍이 출입도 못하니, 무엇으로 능히 이양을 얻을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함께 흠앙(欽仰)함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나는 지금 마땅히 가서 여러 필추와 함께할 것입니다.”
오바난타가 물었다.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
난타가 답하였다.
“나는 지금 우선 가서 상인들을 찾아볼 것입니다.”
그리고는 드디어 북방으로 가려고 하는 상인들을 만나서 물었다.
“그대들은 어느 곳으로 가고자 합니까?”
대답하였다.
“우리들은 북쪽으로 가고자 합니다.”
난타가 말하였다.
“나도 같이 가고자 합니다.”
상인이 말하였다.
“북방의 거처는 그 땅이 울퉁불퉁하고 사나운 개가 많으며 사람들의 성질도 거치니, 그대들은 거기에서 애락하지 못할 것입니다.”
난타가 말하였다.
“토지는 비록 사납다고 하더라도 마음으로 즐거이 그곳을 보겠소.”
그러자 상인이 말하였다.
“만약 즐거이 가겠다면 함께 동행할 수 있습니다.”
난타와 오바난타가 드디어 상인들과 함께 북방에 이르렀다. 처음 이르렀을 때부터 마음이 바로 즐겁지 아니했다. 드디어 맑은 새벽이 되어서 상점에 나가니, 때에 저 상인들이 모두 와서 발에 예배하였다. 그리고 물었다.
“성자여, 북방에는 무엇 때문에 애락이 생기지 아니합니까?”
대답하였다.
“그대들이여, 내가 처음 왔을 때 마음이 즐겁지 아니하였소.”
상인이 말하였다.
“어찌 오기 전에 이러한 일, ‘북방의 거처는 그 땅이 울퉁불퉁하고 사나운 개가 많으며 사람의 성품이 거치니, 그대들은 그곳에서 애락할 수 없을 것입니다’라고 알려드리지 아니했습니까? 성자는 지금 벌써 즐겁지 아니해서 본국으로 돌아가고자 합니까?”
상인에게 대답하였다.
“우리는 지금 돌아가고자 합니다.”
상인이 말하였다.
“우리는 근래에 여기 와서 교역을 하지 못했으니 곧 돌아갈 수가 없습니다. 다른 아는 사람들이 있어 교역을 이미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니, 그대들은 따라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그대들을 데리고 가서 아는 사람들에게 부탁드리리다.”
난타가 말하였다.
“좋습니다.”
곧 상인들에 끼여서 길을 따라갔다. 육중 필추들은 속으로 풍진(風塵)을 두려워하며, 혹 앞서기도 하고 혹 뒤서기도 하였다. 상인들은 앞에서 가다가 따로 본국에서 오는 상인을 만나면 서로 위문하고 물었다.
“그대는 어디서 오는가?”
대답하였다.
“우리는 본국에서 온다.”
또 물었다.
“본국에서 교역해서 이익을 얼마나 남겼는가? 세관에서 시달리지는 않았는가?”
대답하였다.
“본국에서 교역으로 비록 이익은 많이 얻었으나 세관에서 세금 내는 것이 너무 많아서 벌어도 도둑맞은 일과 같다. 실지로 말해 보고해도 끝내 들어주지 아니하여 가지고 있던 재화와 물건을 다 빼앗아 가버렸다네.”
때에 북방 상인이 이 말을 듣고 나서 각각 근심과 번뇌를 품게 되어 손으로 턱을 받치고 길가에서 근심에 잠겨 신음하고 있었다. 이때 육중이 얼마 뒤에 찾아와서 상인들에게 물었다.
“제군들은 무엇 때문에 손으로 턱을 받치고 근심을 하고 있습니까?”
상인들이 말하였다.
“성자여, 저희들은 항상 추위와 더위와 굶주림과 목마름으로 고통을 겪고, 모기와 등에와 바람과 비와 독사에게 해를 입으면서 부지런히 일하고 모질게 고생하여 잠시도 쉴 여가 없이 재물을 구하고 안락을 수용하고자 이로 말미암아 저희들이 멀리 본국까지 가려고 하는데, 지금 상인들이 전하는 소식을 들으니, 본국에서 무역으로 얻은 이익이 비록 많았으나 관세처에서 다 빼앗겨 도둑맞은 일과 같이 가지고 있던 재물을 다 약탈당했다고 합니다. 우리들이 이러한 말을 듣고도 어찌 근심하지 않겠습니까?”
육중이 말하였다.
“그대들은 우리와 잘 알고 지내는 사람들인데 무엇을 근심합니까?”
상인들이 말하였다.
“성자여, 능히 우리를 위해 어찌 왕에게 아뢰어 억울하게 세금을 받는 일을 알리지 않겠습니까?”
육중이 말하였다.
“나 또한 그대들을 위해 왕에게 알릴 수는 없지만, 그러나 실라벌성에는 왕이 제정한 ‘그것을 알지 못하는 자는 그로부터 세금을 수색하지 말라’고 하는 명령이 있습니다. 열여덟 개의 대문과 서른여섯 개의 작은 문이 있는데, 저 작은 문으로 우리들과 함께 들어가면 됩니다.”
상인들이 듣고 나서 기뻐하면서 갔다. 성에서 멀리 떨어지지 아니한 곳에 한 마을이 있었는데, 그들은 그곳에서 머물렀다. 육중이 말하였다.
“사람들은 우선 마땅히 낙타와 말에게 휴식을 취하게 하고, 날이 저물 때를 기다려서 성에 들어갑시다.”
이때에 실라벌에서 세금을 걷는 여러 사람들은 북방의 상민들이 성문이 있는 곳에 이르고자 한다는 말을 듣고 야차[若叉]에 제사하고 문을 지키고 있었다.
육중이 말하였다.
“지금 이미 날이 저물었으니 작은 문에 모여서 함께 성안으로 들어갑시다.”
이때 상인들이 다투어 가면서 짐 실은 말을 몰아 함께 성안으로 들어갔다. 이미 날이 밝자 상점에 북방의 재화와 물건을 벌여 놓았다.
때에 한 사람이 앞의 무리를 따라가지 못하고 뒤에 쳐졌다가 큰 문으로 들어갔다. 세관이 보고 나서 물었다.
“너는 어디서 오는가?”
대답하였다.
“나는 저 마을에서 옵니다.”
물었다.
“내가 들으니 북방의 상인들이 저곳에 머물러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 거짓인가?”
대답하였다.
“저들은 곧 나와 동반한 장사치들입니다. 나 홀로 뒤에 처졌고, 저들은 이미 성으로 들어갔습니다.”
세관이 듣고 나서 마음에 분노가 생겨 이와 같이 말을 하였다.
“내가 성문에 서서 기다리고 있었으나 일찍이 지나가는 것을 보지 못했는데 어디로 들어갔단 말이냐?”
저 사람이 말하였다.
“만일 믿지 못하겠으면 나와 함께 같이 가서 상점[廛肆]에 이르러 눈으로 진실인지 거짓인지 알아봅시다.”
이때 세관인이 곧 그 사람과 함께 상가에 이르러 모든 상인들이 북방의 재화와 물건을 풀어 나열해 놓고 교역하는 것을 보았다.
세관인이 보고 나서 물었다.
“누가 너희들을 데리고 이 성안으로 들어왔느냐?”
“내 발로 왔습니다.”
“나도 그대들이 발로 걸어서 들어온 것을 안다. 내가 지금 묻는 것은 ‘누가 그대들을 거느리고 어떤 문으로 들어왔느냐는 것이다.”
“우리들은 사사로운 문을 따라 들어왔습니다.”
“나는 지금 그대와 더불어 의리가 친구 같으니 진실을 말해야 한다. 누가 인도했는가?”
“성자인 육중입니다.”
세관이 듣고 나서 곧 헐뜯고 싫어함이 생겨 꾸짖었다.
“이 석가의 제자들은 매우 악한 도둑이지 참다운 사문이 아니다. 이것이 남의 재물임을 알고도 방편으로 도둑질을 했구나.”
여러 필추들이 듣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는 다른 사람들에게 사사로운 길을 가르쳐 주어서 세금을 받지 못하게 해서는 안 된다. 만약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면 월법죄가 된다.”
이때 세관인이 곧 이런 생각을 했다.
‘이 육중은 모두 호탕하고 의협심이 있는 사문이니, 함께 친지(親知)를 맺어서 그들의 마음을 기쁘게 해야 한다.’
오바난타는 첫 새벽에 옷과 발우를 가지고 성에 들어가서 걸식하고 있었다. 이때 세관인이 보고 앞에 나가서 이와 같은 말을 했다.
“내 성자께 반제(畔睇)4)합니다.”
오바난타가 대답하였다.
“어진이여, 원하건대 그대는 무병장수하시오.”
세관인이 물었다.
“발우 속에 먹을 것이 있습니까? 내 잠시 보고자 합니다.”
“어진이여, 그대는 내 발우 속에서도 세금을 내야 할 물건을 찾고자 하십니까?”
“성자여, 저는 맹세코 그러한 마음이 없습니다. 만약 맛 좋은 음식이 있으면 조금만 은혜를 베풀어 주십시오. 제가 먹고자 합니다.”
“어찌 개울물을 보고 거슬러 흘러가게 하겠습니까? 그대가 마땅히 나에게 주어야지 내가 그대에게 주는 것이 아닙니다.”
“성자여, 저는 우스개를 했을 뿐입니다. 바라건대 저의 집에 들려주십시오.”
그리하여 오바난타는 곧 그 집에 갔다. 그는 훌륭하고 귀한 음식을 발우에 가득 담아 주면서 이마를 조아려 두 발에 절하고 이와 같이 말하였다.
“성자여, 나는 대덕을 급시(級侍)하는 사람이니, 일이 있거든 알려 주십시오. 제가 모두 봉행하겠습니다.”
“어진이여, 바라건대 무병장수하시오.”
그리고는 가버렸다.
이때 육중 필추는 주처에 있으면서 평상시에는 문 앞에 많이 있었다. 의도는 오고 가는 사문과 바라문을 위해서 법요를 잘 설하고 논의하려는 사람이 있으면 그 뜻을 꺾고 항복시켜서 우리들 육중의 이름이 널리 드날려 이양도 크고 넓어지길 원했기 때문이다.
때에 오바난타가 거처하는 방은 길에서 가까웠다. 높은 누각 위에서 초저녁에서 새벽녘까지 항상 깨어 있었다.
때에 세금을 도둑질하는 사람들이 절에서 멀지 않는 곳에서 밤을 보냈다. 때에 오바난타는 소리와 모양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는데, 전에 듣던 상려들의 지나는 소리와는 전혀 같지 아니했다. 그래서 멀리서 물었다.
“지나가는 사람은 누구냐?”
그 사람들은 묵묵히 대답이 없었다. 드디어 재빨리 높은 누각에서 내려와 행인이 있는 곳에 가서 물었다.
“그대들은 누구길래 밤에 이곳을 지나가는가?”
대답하였다.
“성자여, 우리들은 세금을 안 내려는 상인들입니다.”
오바난타가 말하였다.
“어리석은 이들이여, 승광대왕께서는 항상 이 절에서 승가를 공양하여 항상 충족하게 한다. 상좌이신 교진여(憍陳如)는 친히 스스로 왕을 위하여 기원하기를, ‘원하옵건대 대왕께서 가지고 계신 생활에 필요한 용품과 진기한 보물을 없는 자에게는 있게 하시고, 이미 가진 자에게는 항상 증광시켜 주소서’라고 하신다. 너희들에게 재화와 물건이 있으면 큰길로 성에 들어가는 것이 합당한데, 지금 밤길을 걸어서 세금을 내지 아니하려고 하니, 내 지금 어찌 버려두고 말하지 아니하겠느냐. 내 마땅히 너희들에게 이익이 없도록 하겠다.”
때에 저 상인들이 두려워하면서 말하였다.
“성자여, 그대는 큰 자비를 가지셨으니, 바라건대 용서해 주십시오. 저희들은 감히 성자의 은혜를 잊지 아니하겠습니다.”
말하였다.
“너희들은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냐?”
대답하였다.
“조금씩 먹을 것을 가져다가 바치겠습니다.”
말하였다.
“너희들이 만약 주려 한다면 너희들 마음대로 가거라.”
저들의 행렬이 점차 멀어지자 서로 상의하였다.
“승관대왕이 가져야 할 세금도 우리들은 아직 주지 아니했는데 하물며 이 머리털 없는 대머리에게 우리들이 음식 값을 줄 수 있겠는가?”
그리고는 곧 밤에 실라벌성으로 들어가서 아침에 장터로 나가서 재화를 교역해서 가 버렸다.
때에 오바난타는 재빠르게 밥을 먹고 나서 문 앞에서 발우를 씻고서 사방을 두리번거리며 바라보았다. 때에 소년 필추가 오바난타가 사방을 돌아보고 있는 것을 보고 물었다.
“상좌시여, 무엇 때문에 사방을 두리번거리며 찾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구수여, 내가 잘 아는 상인이 여러 가지 재화와 물건을 가지고 실라벌성에 들어갔기 때문에 내가 지금 그곳을 바라보고 있소.”
소년 필추가 대답하였다.
“상좌께서 식사하실 때 저들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때에 오바난타는 마음에 분노가 생겨 이와 같은 생각을 했다.
‘내가 또한 저 무지한 사람들에게 속았구나. 주먹으로 칼을 막고 바늘로 돌을 찌르는 격이다. 내가 저들에게 해야 할 바를 마땅히 스스로 안다.”
때에 저 상인들은 오래지 않아 돌아왔다. 그러므로 전과 같이 잡아놓고 말하였다.
“나 또한 너희들에게 속임을 당했다.”
아뢰었다.
“성자여, 우리는 일전에 조금 급한 일이 있어서 예절을 차릴 겨를이 없어서 그랬으니, 바라건대 거듭 용서해 주십시오. 앞서와 뒤의 은혜를 모두 다 사례하겠습니다.”
말하였다.
“어진이여, 만약 진실로 주겠다면 그대들 뜻대로 가거라.”
출발해서 점차 멀어지자 앞서와 같이 상의하였다.
“승광대왕에게도 우리가 세금을 주지 아니했는데, 어찌 머리 벗겨진 사문에게 줄 수 있겠는가?”
오바난타도 이와 같은 생각을 했다.
‘먼저 이미 나에게 허락은 하고서도 은혜를 갚지 아니했으니, 다시 이제 또 속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하고 나서 일찍 일어나 발우를 가지고 시전(市廛)에 나갔다. 그 상인들이 재화를 교역하는 것을 보고 그가 얼굴을 보이자 상인이 말하였다.
“성자여, 물건이 아직 손에서 나가지 아니해서 그러하니, 교역을 마칠 때까지 기다려 주십시오. 감히 명령을 어기지 아니할 것이니, 원컨대 용납하여 주십시오.”
상인들이 교역을 마치고 재화를 가지고 갈 때 절문 앞을 지나가지 아니했다.
오바난타는 빨리 머물던 곳으로 돌아와서 밥을 먹고 발우를 씻었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와 같으므로 생략함)……상인은 이미 가 버렸다. 오바난타가 이 말을 듣고 나서 분함과 한(恨)이 점차 증가되어 팔을 걷어붙이고 성내어 말하였다.
“무식한 소인 놈들이 또 나를 조롱하였구나. 만약 다시 보게 되면 내가 잡아서 묶을 것이다. 그래서 그가 죽을 때까지 장사꾼이 되지 못하게 할 것이다.”
때가 지난 지 오래되지 아니해서 다시 상인들이 왔다. 오바난타가 전과 같이 잡아놓고 말하였다.
“너희들은 여러 번 나를 속였구나. 지금 내가 하려는 것을 너희들에게 알리겠다.”
그러자 그들이 아뢰었다.
“대덕이시여, 바라건대 용서하십시오. 우리들 상인들이 일이 너무 요란해서 또 기회를 잃었습니다만 다시 감히 그렇게 하지 않겠습니다. 앞에 입은 두 번의 은혜를 아울러서 이번에 갚아드리겠습니다. 재화를 교역해서 마칠 때까지 기다려 주시면 한꺼번에 모두 보내드리겠습니다.”
오바난타가 드디어, ‘내가 만일 심한 말을 하면 저들도 곧 알아차리리라’는 생각을 하고 나서 말하였다.
“어진이들이여, 참말로 주겠는가?”
대답하였다.
“틀림없이 드리겠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너희들은 잠시 기다려라. 내가 먼저 너희들을 위해 길을 살펴보아서 너희들은 죄책을 초래하지 아니하고 나는 악명을 얻지 않게 할 것이다. 절에서 멀지 아니한 곳에서 상인들이 도둑을 만났느니라.”
여러 상인들은 그 말에 따라 머물렀다. 오바난타는 빨리 달려서 그 세관이 있는 곳으로 가서 몰래 그들이 하는 말을 엿들었다. 그때 세관인은 정신을 바짝 차리고 앉아서 서로 상의하였다.
“우리들이 어찌 근심이 없겠는가. 많은 장사꾼들이 자주 탈세를 하고 작은 문으로 들어가서 그 이익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아니하니, 회계할 때가 되면 왕의 성질이 폭렬(暴烈)해서 반드시 용서하지 아니할 것이다. 우리들의 처자와 다른 친속들까지 옥사(獄死)하게 될 것이다.”
때에 오바난타가 그들이 있는 곳에 가서 말하였다.
“그대들은 무엇을 근심하는가?”
대답하였다.
“성자여, 저희들이 어찌 근심이 없겠습니까? 많은 상인들이 자주 탈세를 하고 작은 문으로 들어가서 이익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아니하니, 회계할 때가 되면 時왕의 성질이 폭렬해서 변명을 해도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는 앞에서와 같이 자세히 진술하였다.
오바난타가 말하였다.
“어리석은 사람들아, 누가 너희에게 세금을 걷는 관리가 되라고 시켰느냐. 다만 많은 나무 지팡이를 주어 항상 흙짐이나 지게 하고 혹은 땔나무나 지고 다니게 하는 것이 합당한데, 어찌 세금을 내지 않는 자들에게서 능히 재물을 빼앗는 일을 할 수 있겠느냐 말이다.”
그들이 곧 아뢰었다.
“성자여, 실라벌성에는 왕이 예부터 명령하여 ‘아는 것은 세금을 받고 모르는 것은 세금을 받지 않는다’고 하여 매우 무거운 세금이 없으니, 어찌 다 뺏겠습니까?”
오바난타가 말하였다.
“그대 무지한 사람들아, 실라벌성에는 매우 무거운 세금이 있다. 방법을 알려줄 테니 세금을 받아라.”
그들이 곧 말하였다.
“우리들이 오랫동안 세관이 되어 항상 세금을 받았지만 다만 들어서 알고 세금을 받을 뿐 매우 무거운 세금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다. 우리들이 지금 어떻게 해야 매우 무거운 세금을 만듭니까?”
오바난타가 말하였다.
“너희들은 잠시 여기 있거라. 내가 또한 돌아가서 세금 도둑을 놓아줄 것이니, 너희들은 잡아서 모든 재물을 빼앗아라. 상인들이 만약 ‘실라벌성에는 아는 것만 세금을 내기 때문에 매우 무거운 세금은 없다’고 하거든, 너희들은 말하기를 ‘매우 무거운 세금이 있다. 알게 되면 바로 받는다’고 하여라. 만약 ‘오랫동안 상객(商客)이 되었지만 일찍이 매우 무거운 세금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지금 매우 무거운 세금이 생겼다면 그대들과 함께 시장에 가서 평단처(平斷處)5)에 가 보자고 할 것이다. 만약 이와 같은 말을 하거든 반드시 그들의 말에 따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왕궁으로 가자’고 하라. 만약 왕이 ‘내가 오랫동안 왕이 되었으나 실라벌성에 매우 무거운 세금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무엇 때문에 지금 매우 무거운 세금이 생겼다고 하는가?’라고 이와 같이 말하거든, 왕에게 아뢰기를 ‘옛 대왕 범마달다(梵摩達多)께서 모두 상인과 취락인을 위하여 함께 지켜야 하는 명령을 만들었는데, 만약 아무개 동산이나 아무개 하늘에 제사하는 곳[某天祠處]이나 혹은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 성으로 들어오는 사람에게는 아는 것은 세금을 받고 모르는 것은 세금을 받지 말라. 만약 이 동산이나 하늘에 제사하는 곳이나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따르지 않고 성에 들어오는 사람은 매우 무거운 세금으로 그 재물과 보화를 모두 몰수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하라. 만약 ‘이렇게 제정한 명령이 지금 어디에 있느냐?’고 말하거든, 왕에게 대답하기를 ‘아무개 창고 안에 있는 아무개 상자 속의 붉은 동섭(銅鍱) 위에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으니, 왕께서는 마땅히 사람을 보내서 가져다가 친히 점검해 보십시오’라고 하라.”
이때 세관은 오바난타의 말에 의거해서 곧 저 상인들이 가지고 있는 재화를 다 빼앗아 버렸다. 상인들이 말하였다.
“그대들은 무엇 때문에 우리 재물을 강탈하는가. 실라벌성에는 아는 것만 세금을 받고 매우 무거운 세금은 없다. 분수에 의거해서 받고 난 뒤 우리에게 돌려주는 것이 마땅하다.”
세관이 말하였다.
“실라벌성에 길을 피해 다니는 상인에게는 매우 무거운 세금이 해당된다. 우리는 너희들을 놓아줄 수가 없다.”
상인들이 말하였다.
“우리들이 오랫동안 장사를 해 왔지만 다만 이 성에는 아는 것은 세금을 받고 매우 무거운 세금은 없다고 들었다. 어찌해서 오늘에 매우 무거운 세금이 생겼는가. 지금 같이 평단처(平斷處)에 가 보자.”
세관인이 말하였다.
“우리들이 항상 평단처에는 갈 수가 없다. 너희들을 데리고 왕이 계신 곳으로 바로 갈 것이다.”
때에 모든 상인들이 큰 소리로 크게 외치면서 평단처로 가서 여러 사람들에게 알렸다.
“제군들은 아는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재물과 보화를 모두 빼앗아 갔으니, 원하건대 구제함을 보여 달라.”
때에 평단하는 사람들이 함께 왕이 있는 곳으로 가서 왕에게 아뢰었다.
“지금 객상들이 성안에 와 있는데 가지고 있던 재물을 모두 세관에게 수탈(收奪) 당했다고 합니다. 바라옵건대 왕께서는 법에 따라 구제해 주십시오.”
이때 대왕이 가까운 신하에게 명하여 세관을 불러오라고 하였다.
세관들이 명령을 받고 도착하니, 왕이 말하였다.
“너희들은 무슨 뜻으로 저 상인들에게서 재물을 다 빼앗았느냐?”
모두 왕에게 아뢰었다.
“이들 모든 사람들은 세금을 도둑질한 자들입니다. 실라벌성에는 매우 무거운 벌이 있습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저희들 세관인들은 그들의 재물을 다 빼앗았습니다.”
왕이 말하였다.
“내 오랫동안 왕이 되었으나 이 성에 매우 무거운 벌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무슨 뜻으로 지금 와서 매우 무거운 벌이 있다고 하느냐? 마땅히 실상에 의해서 세금을 받고 상인들을 놓아주어라.”
세관인이 아뢰었다.
“옛 대왕이신 범마달다께서 상인과 취락인과 함께 여러 법령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갖추어서 말하였다. 왕이 세관인에게 말하였다.
“만일 이것이 내 아버지가 만드신 교령이라면 이것은 제석(帝釋)의 교령이요, 이것은 범왕(梵王)의 교령이요, 정량(定量)이 된다.”
그리고는 곧 창고를 맡은 사람에게 말하였다.
“동섭(銅鍱)을 가져오너라.”
교령을 받들고 가져와서 왕에게 읽어 주니, 왕이 아버지의 교령을 듣고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울면서 말하였다.
“만일 내 선왕께서 만드신 교령이라면 이것은 제석의 교령이고, 이것은 범왕의 교령이다. 재물과 보화를 다 뺏은 것은 잘한 일이다.”
때에 모든 상인들이 곧 절망하여 울면서 곧 세관인에게 물었다.
“누가 그대들을 인도하여 우리에게 왔는가?”
세관인이 일러 주었다.
“사람이 보고 말해 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듣고 알고 있었다. 나는 예부터 그 법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 것이 아니라 불쌍히 여기는 마음 때문에 다 빼앗지 아니했는데 너희가 지금 분수에 지나쳤기 때문에 우리들이 능히 참을 수가 없었다.”
상인이 물었다.
“그대들은 어디서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생기는가. 지금 우리는 그대들과 더불어 잘 아는 벗과 같은데 누가 보고 그대들에게 먼저 알려 주었는가.”
그들이 괴로워하는 말을 듣고 곧 알려 주었다.
“성자 육중이 일러 준 것이다.”
때에 상인들이 다 함께 모든 악언을 다해서 꾸짖었다.
“이 석가의 제자는 매우 악한 도둑이지 참 사문은 아니다. 이와 같이 다른 사람을 시켜서 우리 재물을 빼앗게 했구나.”
여러 필추들이 듣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는 다른 사람을 시켜서 상인의 재물을 빼앗게 해서는 안 된다. 만약 뺏도록 시키는 자는 월법죄가 된다.”
게송으로 거두어 말하였다.

발이 없는 것과 두 발인 것과
네 발인 것과 아울러 발이 많은 것이 있는데
만일 이와 같은 종류를 도둑질한다면
무겁고 가벼움에 준함을 알아야 한다.

‘발이 없는 것이’라는 것은 뱀과 거머리와 드렁허리[鱓:민물고기 이름]를 말한다. 이 세 종류는 바로 뱀을 희롱하는 사람[弄蛇人]이나 왕가의 의원이나 산과 들의 사람들이 모으는 것이다. 무엇을 뱀을 희롱하는 사람이라 하는가 하면, 그 뱀을 가지고 희롱하는 것으로써 생활하는 사람을 말한다. 무엇을 왕가의 의원이라 하는가 하면, 여러 의원으로서 거머리를 가지고 병을 치료하면서 생활하는 사람을 말한다. 무엇을 산과 들의 사람이라 하는가 하면, 산 중에서 사는 사람으로 발 없는 벌레를 잡아서 약을 먹여 토하게 하여 항아리 속에서 찌거나 태운 뒤에 술과 함께 마시게 하는 사람을 말한다.
만약 필추가 이러한 벌레를 도둑질한다면 그 값에 준하여 5마쇄가 되면 근본죄가 되고, 되지 아니하면 방편죄가 된다.
‘두 발인 것’이라는 것은 사람과 새를 말한다. 만약 사람을 도둑질했을 때에는 세 가지 방편이 있다. 기약한 곳[期處]과 정시(定時)와 현상(現相)이다. 무엇을 기약한 곳이라 하는가 하면, 저 사람에게 이르기를 “네가 만약 나를 보려거든 나는 아무개 동산에 있든지, 혹은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곳, 혹은 천사(天祠)에 있을 것이다”고 해서 그때에 일이 성취됨을 알게 하는 이것을 기약한 곳이라 한다.
무엇을 정시(定時)라 하는가 하면, “네가 만약 새벽이나 혹은 오시(午時), 혹은 저무는 시간에 멀리서 나를 보면 일의 성취를 알 수 있다” 하는 이것을 정시라고 한다.
무엇을 현상(現相)이라고 하는가 하면, “네가, 만일 내가 새로 수염과 머리를 깎고 붉은 옷을 입으며 발우를 가지고 석장을 짚었으며, 소유(蘇油)와 사탕[沙糖]과 석밀(石蜜)을 가득 담고 있는 이 모양을 보면 때에 일의 성취되었음을 알 것이다” 하는 이것을 현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도둑질했을 때는 마땅히 그 값에 준하여 죄를 얻는 것은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또한 새를 도둑질하는 때에도 두 가지 방편이 있다. 땅에서 잡아 올리는 것과 공중에서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무엇을 잡아 올린다[擎擧]고 하는가 하면, 새가 땅 위에 있을 때 잡아서 도둑질해 가는 것을 말하는데, 5마쇄가 되고 안 되는 것에 관한 것은 위에서 설한 것과 같다.
무엇을 공중에서 떨어뜨린다[空墮]고 하는가 하면, 새를 잡는 사람이 불을 질러 못을 태워서 새를 잡고자 하면 새가 연기와 불에 핍박을 받아 때로 필추가 경행하는 곳이나 혹은 문이나 혹은 집 앞에 떨어졌을 때 필추가 도둑질할 마음으로 가지는 것을 말하는데, 때에 5마쇄가 되고 안 되는 것에 관한 것은 앞에서 설한 것과 같다.
무엇을 ‘네 발인 것’이라고 하는가 하면, 코끼리와 말과 낙타와 나귀와 소와 양과 사슴과 노루와 멧돼지와 토끼 같은 것을 말한다. 만일 도둑질하고자 한다면 이때 두 가지의 방편이 있다. 무리를 따라 사는 곳[徒群處]과 혹은 매어 둔 곳[繫處]을 말한다. 필추가 코끼리 떼 속에 들어가서 코끼리를 도둑질해 갈 때 눈으로 볼 수 있는 곳까지 가게 되면 솔토라저야가 되고, 보지 못하는 곳으로 가게 되면 근본죄가 된다.
무엇을 매어 둔 곳이라 하는가 하면, 만약 코끼리를 기둥이나 나무나 장책(牆柵) 안에 매어 두었는데, 필추가 풀어 놓으면 죄를 얻는 것은 앞에서 설한 코끼리를 도둑질한 것과 이미 그러하다. 그 밖에 말 같은 것을 필추가 도둑질했을 때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한다.
무엇을 ‘발이 많은 것’이라고 하는가 하면, 이른바 굼벵이[蠐螬蝗蛾]ㆍ누리[蝗]ㆍ누에나방이[蛾]와 벌ㆍ개미ㆍ전갈 등이다. 이 가운데 필요한 것이 세 가지가 있다. 단사관(斷事官)과 성을 지키는 사람[守城者]과 바다의 장사꾼이다.
무엇을 단사관이라 하는가 하면, 단사인(斷事人)이 발이 많은 것들을 기르는데 벌과 전갈 같은 것을 말하며, 항아리 속에 넣어 두고 벌을 받은 사람이 신하로서 복종하지 아니함을 볼 때 손과 발을 그 항아리 속에 집어넣게 해서 그것이 쏘아서 아플 때 빨리 그 일을 실토시키거나 혹은 돈이나 재물을 많이 내 놓게 하는 것이다.
무엇을 성을 지키는 사람이라고 하는가 하면, 성을 맡은 사람으로 항아리 속에 벌을 많이 숨겨 놓고, 만약 원적이 와서 함께 싸우다가 물러가지 아니하면 성의 꼭대기에서 그 벌을 풀어 놓아서 적이 벌에 쏘여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나게 하는 사람이다.
무엇을 바다의 장사꾼이라고 하는가 하면, 사람이 바다에 들어가서 진귀한 보물을 구하기 위하여 항아리[坯瓦]에다 모든 벌을 많이 길러서 급난을 방비하는 사람을 말한다. 적이 와서 같이 싸워서 만약 이기면 잘된 일이지만, 만약 그렇지 못하게 되면 곧 벌 항아리를 가지고 멀리 적의 배에 던져서 다시 싸우지 못하고 사방으로 흩어져 가게 한다.
게송으로 거두어 말하였다.

전다라(旃荼羅)와 소다이(蘇陀夷),
옷을 가져다 몸에 대보았지만 도둑질할 생각이 없었네.
사모(師牟)는 바소다(婆蘇多)에게 말하지 아니하고
자기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작은 발우[小鉢]를 가졌네.

월호(月護)는 남이 옷을 뺏고자 함을 알았고
난승(難勝)은 가져서 추죄(麤罪)를 얻었네.
남국의 사투리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남의 물건 주우면 마땅히 빨리 돌려주어야 하리.

부처님께서 실라벌성의 서다림 급고독원에 계셨다. 어떤 두 필추가 친구가 되었는데, 뜻이 맞아 서로 친해져서 한 곳에 머무르니, 한 사람의 이름은 전다라(旃荼羅)요, 또 한 사람의 이름은 소다이(蘇陀夷)였다. 그 전다라는 여러 사람들에게 알려진 사람으로 큰 복덕이 있어서 몸이 비록 작았지만 옷과 발우와 망락(網絡:발우 등을 담는 그물로 된 것)과 요조(腰條:허리를 두르는 대) 등이 많았고, 그 소다이는 아는 사람이 적었으며, 그 몸이 장대했는데도 다만 삼의만 있을 뿐이요, 또한 낡고 떨어져서 몸이 드러날 때가 많았다.
여러 필추들이 말하였다.
“구수여, 너는 지금 욕심이 적어 옷은 찢어지고 몸이 드러나니, 이양이 있는가, 이양이 없는가?”
대답하였다.
“이양이 없습니다.”
그가 곧 말하였다.
“왜 구걸하지 않는가?”
대답하였다.
“누가 저 불ㆍ법ㆍ승의 복전(福田)을 버리고 나에게 보시하겠습니까?”
그가 곧 말하였다.
“그 전다라 필추는 바로 그대의 친구이다. 아는 사람도 많고 긴 옷과 발우와 망락과 요조도 많은데, 무엇 때문에 구하지 아니하는가?”
대답하였다.
“그가 기꺼이 주려 하지 않습니다.”
다시 물었다.
“너는 그에게 가서 구걸했는가?”
“구걸하지 아니했습니다.”
“어찌 물소리만 듣고 곧 신을 벗으려고 하는가. 네가 구걸하면 그는 은혜를 베풀 것이다.”
소다이는 권유를 받고 나서 곧 전다라가 있는 곳으로 갔다. 그는 어디 가고 없었다. 소다이는 곧 이런 생각을 했다.
‘저 전다라는 그 몸이 작으니, 그의 승가지(僧伽胝)를 가져다가 내가 헤아려 보아야겠다. 만약 나의 몸 크기와 비슷하면 내 마땅히 구걸할 것이지만 만약 적당하지 아니하면 무엇 때문에 거슬리는 일을 하겠는가?’
그리고는 곧 그의 방에 들어가서 그의 옷을 살펴보았다. 횃대 위에는 승가지가 걸려 있었으므로 곧 가져다가 입고 길고 짧은 것을 보았다.
때에 전다라가 밖에서부터 갑자기 와서 보고 말하였다.
“너는 도둑질할 마음을 가지고 내 옷을 취하여 입었으니 바라시가를 얻는다.”
대답하였다.
“구수여, 나는 도둑질할 생각으로 이 옷을 가진 것이 아니고 다만 생각하기를 ‘전다라는 그 몸이 작으니, 저 승가지를 가지고 헤아려 보겠다. 만약 나와 몸 크기가 비슷하면 내가 구걸할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아니하면 어찌 이러한 번뇌스런 방편을 쓰겠느냐?’라고 했을 뿐이다.”
그가 곧 말하였다.
“구수여, 억지로 숨기고 거짓 변명을 하지 마라. 네가 훔칠 마음을 가지고 내 옷을 취하여 입었으니 바라시가를 얻을 것이다.”
이 말을 듣고 나자 곧 후회하는 마음이 생겼다.
‘어찌 내가 중죄를 범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여러 필추들에게 알리니, 여러 필추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야, 너는 어떤 마음으로 그랬느냐?”
그가 곧 사실대로 세존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필추가 만약 헤아려 보려는 마음으로 했다면 범한 것이 없다. 그러나 모든 필추들은 벗이 아닌 사람에 대해서 함부로 벗이라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세 종류의 벗이 있는데 하와 중과 상을 말한다. 하의 벗에게는 하심(下心)의 위탁을 짓고, 만약 중의 벗이라면 중하의 마음의 위탁을 지으며, 만약 상의 친한 벗이라면 상ㆍ중ㆍ하의 마음의 위탁을 지어라. 만약 필추가 벗이 아닌데 벗이라는 마음을 지어서 서로 위탁하면 월법죄가 된다.”
022_0025_b_04L爾時薄伽梵在室羅伐城逝多林給孤獨園爲諸苾芻說供養法門而說頌曰若人不作福 常受於苦報 若能修福者今世後世樂時諸苾芻旣聞斯說多行乞丐於佛廣興供養佛教法漸更增廣於此城中有一長者娶妻未久誕生一子旣漸長大遂便出家諸苾芻作如是念今此城中多有苾芻乞求難得我今宜可行詣餘方爲佛法僧而興供養便於他處隨意乞求多獲種種繒綵之物盛滿衣袋還室羅伐路次稅關稅人問曰聖者頗有稅物不答言賢首我無稅物告言且住可將物來試爲觀察纔披衣袋見雜色塡滿袋中稅官告曰若此袋盛不合稅者豈待駝負方輸稅耶苾芻告賢首此非我物問言誰物答言是佛物二是法物三是僧物報言復寧知佛法僧事但須與稅方任前久住稽留取其稅直放之而去至室羅伐城心生追悔白諸苾芻芻白佛佛言此人無犯不應但作此云是三寶物應對稅官作如是說讚佛法僧云何讚佛所謂薄伽梵正等覺明行足善逝世閒解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是名讚佛云何讚法所謂世尊善說法要於現法中得無熱惱機演說令趣涅槃內證三明智慧圓滿是謂讚法云何讚僧世尊所有聲聞弟子安住正理直心恭敬隨順勝法於衆僧中有得預流向預流果者有得一來向一來果者有得不還向不還果者得阿羅漢向阿羅漢果者此八大人皆尸羅圓滿三摩地圓滿般若圓滿解脫圓滿解脫知見圓滿是合歸依是應恭敬是諸世閒勝上福田是謂讚僧如是讚歎三寶之時放去者善若不放者應與稅直而去若不與者得窣吐羅罪有苾芻供養三寶故持諸雜物過稅關處雖對稅者讚歎三寶然此稅官不肯虛放從索稅直是時苾芻隨持一分而授與之佛言應可均分不應偏與苾芻均物時節延遲遂失商旅便被盜賊虎豹所傷佛言不應在路而作分判隨持一分與彼稅官至住處已均分其物若異此者得越法罪佛在室羅伐城給孤獨園於此城中有一苾芻明解三藏衆所識知善能說法辯才無滯遊行人閒至王舍城三月安居竟欲求商旅往室羅伐城禮世尊足時有商主欲持財貨往室羅伐苾芻聞已詣商主處爲說三種勝福業事謂施說此法時令彼商主心生敬信遂請苾芻家中供養幷持妙疊而奉上之便禮雙足作如是語聖者令我欲作何事苾芻曰我今欲往室羅伐城禮世尊足於我所起悲愍心而爲護念答言便與商主隨路而行商主告曰爲乞食我爲修福從王舍城乃至室羅伐於此中閒衣服飮食臥具醫藥所有資緣幸不須慮苾芻許之路次稅關商主所有財貨竝輸稅訖便作是念我物輸訖聖者白疊猶未輸稅若索稅者物從我出應取彼疊安我物中告苾芻曰聖者白疊可見與我答曰仁所施物情生悔耶答曰我無悔心然我之物已輸稅訖仁疊未輸若索稅者物從我出答曰賢首世尊已制學處苾芻有物持過稅關不輸直者犯根本罪是時商主便念察斯意趣不肯與疊我自知時告言聖者我於今朝情有擾亂不及營食仁可入村隨緣求覓苾芻聞語行詣村中商主取疊安己物中旣至稅所稅人問曰聖者仁衣袋中有稅物不苾芻我有一疊答曰將來試爲觀察芻開袋不見其疊便現愁容反手而是時稅者告苾芻曰何故愁顏手長歎苾芻曰我有一疊被賊偸去稅者曰何但仁被賊偸我亦被偸失此物我無所得是時苾芻過稅處商主告曰何故憂愁情有不樂仁有施福無受用福答曰何意如苾芻曰仁所施疊被賊將去答曰非賊將去我恐稅處從索稅直權將此物安我貨中必若須者我今見授答曰賢首寧被賊偸不由此故令我犯罪答曰聖者仁於此物不起三業豈有罪耶苾芻聞已心生悔恨次至室羅伐城諸苾芻曰善來具壽行李安不苾芻具以事告諸苾芻諸苾芻白佛佛言彼苾芻無犯然於行路有軌式我今說之行路苾芻入村乞所有衣物應作記驗迴還之時好觀察若不依者得越法罪佛在給孤獨園有二苾芻一老一少共爲伴人閒遊行老者多有衣物資生之少者資具寡少于時老者欲至稅物合輸稅作是念我有可稅之物若彼問時我若言無得故妄語若我道有必索稅直作何方便免斯二事卽作是念可持我物與彼少年待過稅關我當自取語彼少年曰可蹔借我擎物少年便念豈非老人身生疲令我持物遂便受取在前而去者問聖者有可稅物不答言我無稅物稅官放過老者空手隨後而至稅官不問過稅所已語言具壽還我衣鉢少年問曰上座今者勞已歇耶答曰我不爲勞令汝持物但爲我有稅物作如是念若彼稅官問我有稅物不我若言無得故妄語若言有者定輸稅直爲此方便令汝持物行過稅所今旣過已當可相還若如是者上座自身得免稅直令我得罪答曰汝不相知何因得罪少苾芻心生悔恨至室羅伐城到毘訶羅諸苾芻見告言善來具壽行路安樂不答曰何有安樂問言何意具以上緣告諸苾芻諸苾芻白佛佛言彼苾芻無犯然諸苾芻行路之時若不問知不應爲他持物若爲持時應須具問此中無有可稅物不如是問者善若不問者得越法罪佛言不應持可稅物而過稅關若持過者得越法罪有六十苾芻人閒遊行至一聚落有一長者大富饒財多諸受用深懷敬信見諸苾芻請就家食食已人各施一雙白疊苾芻告長者佛遮我等持稅物過關云何我今得取此物長者默然不復施與諸苾芻爲呪願已隨路而去至室羅伐已諸苾芻告言善來具壽行路安樂不答曰行路安樂然有施主請我等就宅而食食竟人各欲施一雙白疊我等不受由佛制戒不聽苾芻持稅物過關因失斯利諸苾芻聞已白佛佛言應受受已應染有苾芻得物欲染爲求染汁釜器因此延遲遂失商旅被虎狼等之所傷害諸苾芻以緣白佛佛言應以水灑令破裂隨意持去旣至稅所仍不免稅佛言應用水洗或以牛糞汁爲壞色仍不免稅佛言乃至應截縷若有難緣我所開者於無難時不應用若常用者得越法罪佛在室羅伐城給孤獨園有苾芻在王舍夏三月安居竟未及分衣欲向室羅伐城禮世尊足諸苾芻告曰事悤遽待分衣利方可遊行彼苾芻情不樂住有一苾芻便將一疊之而去彼受疊已便作是念我若壞無暇得與同梵行者而爲告別與知識苾芻令其壞色便持此疊彼令染報云爲我染訖安衣袋中蹔巡房與苾芻別彼知識情懷懶不能爲染還依本色安著袋中彼苾芻持衣而去行至稅處彼稅問苾芻曰聖者頗有多少可稅物苾芻報曰賢首我無稅物稅官曰但且將來試爲觀察彼便將示纔開衣袋見一大疊報言聖者仁於善說法律之中以信出家寧容爲一張疊作妄語報言賢首我實不知然我臨途他與我疊我持此疊令知識者爲我壞色安衣袋中我與諸人共爲告別彼懷懶惰不作壞色而安袋中稅人答曰彼非仁知識是我知識此緣故令我得物可還稅直隨意前彼苾芻與直而去心懷悔恨路而行至室羅伐城苾芻住處諸苾芻見而告曰善來具壽行路安樂不答曰何有安樂諸苾芻曰如何不樂具以上事告諸苾芻諸苾芻白佛此苾芻無犯然此苾芻應問彼苾芻然後取物應問彼言與我染未不問而取者得越法罪佛在室羅伐城給孤獨園六衆苾芻難陁向鄔波難陁作如是語彼諸黑鉢者皆以獼猴脂用塗其足若欲行時多獲利養迴還之時復受客利衆人愛念悉皆敬重我等事同井蛙不曾出入我等如何能獲利養得使衆人皆共欽仰我今宜去同諸苾芻鄔波難陁問曰欲何處去難陁答曰我今且去求覓商旅遂遇商旅欲詣北方告曰仁等欲何所詣答曰我等欲向北方難陁報曰我願同行商人北方居處其地磽确多有惡犬性麤疏仁等於彼未能愛樂難陁曰土地雖惡情樂觀方商人曰若樂去可共同行難陁鄔波難陁遂與商同至北方初到之時心便不樂於淸旦行詣廛中彼商人俱來足問言聖者北方何似生愛樂不賢首我初到時情生不樂商人曰豈不先時以事相報北方居處其地磽确多有惡犬人性麤疏仁等於彼未能愛樂聖者今旣不樂欲還中國報商人曰我今欲還商人曰我近至此未有交易不及卽還有餘知識交易已了欲歸中國仁可隨去我今將仁投寄知識難陁曰卽入商營隨路而去六衆性畏風塵或前或後商旅前去別遇賈客從中國來共相慰問仁自何方答云我從中國又問中國交易得利多少於諸關稅無疲勞耶答言中國交易雖多獲利然於關戍索稅極多事同劫賊實言相告終不見容所有貨物盡奪將去方商人聞此語已各懷憂惱以手柱沈吟路傍是時六衆尋後來至商人曰諸君何爲以手拄頤懷愁而商人曰聖者我等常爲寒熱飢渴所逼蚊蝱風雨蛇虺所害勤勞辛苦無暫休息欲求財物安樂受用由是我等遠詣中國今聞商旅傳彼消息中國興易獲利雖多然關稅處皆被欺奪事同劫賊所有貲貨侵掠皆盡我等聞此寧得不憂六衆報曰仁等是我知識何事須憂商人曰聖者豈能爲我啓白王知不枉輸稅六衆曰我亦不能爲君啓王然室羅伐城王有制令其不知者不從索稅有十八大門三十六小門於彼小門我當共商人聞已歡喜而去去城不遠一聚落於彼停住六衆報曰人等且應歇息駝馬待至日暮方可入城室羅伐掌稅諸人聞有北方商旅至於城門處祭祀藥叉守門而住衆告曰今旣日暮可趣小門共入城是時商旅爭驅鞍馱俱入城中至天明於市店上張設北方貨物有一人不及前徒從大門入稅官見問曰爾從何來答曰我從某聚落問曰我聞北方有大商旅在彼居其事虛實報云彼卽是我同伴商旅我獨在後彼已入城稅官聞已生忿惱作如是言我在城門佇立而曾不見過何處入耶彼人報曰不信者與我同行至廛肆中目驗虛是時稅官卽共彼人行至店中諸商客出北方貨羅列交易稅人見已問曰誰將汝等入此城耶答言足報云我亦知君足行而入我今欲誰將君入入在何門答言我從私問曰我今與仁義同親友幸可實誰相引導答云聖者六衆稅官聞便起譏嫌罵云此釋迦子是大惡非眞沙門知是他財方便偸盜苾芻聞已白佛佛言苾芻不應教他私路不輸稅直若教他者得越法罪是時稅官便作斯念此之六衆皆是豪俠沙門應共結親知令其心喜波難陁日初分時執持衣鉢入城乞是時稅官見而往就作如是語畔睇聖者鄔波難陁答曰賢首願爾無病長壽稅官問曰鉢中有食不欲蹔看報曰賢首汝欲於我鉢中覓稅物耶聖者我自盟誓實無此心有美味當惠少許我欲食之報曰見河水而倒流乎仁應與我非我與仁聖者我戲言耳願過我舍鄔波難卽至其家彼以上妙食滿鉢授與頂禮雙足作如是白聖者我是大德給侍之人有事當告我悉奉行報曰賢首願無病長壽捨之而去爾時六衆苾芻凡在住處多遊門首欲爲諸來往沙門婆羅門宣說法有論議者當折伏之我等六衆稱遠聞利養增廣鄔波難陁所居之房與路相近於高閣上初夜後夜警覺思惟有偸稅人去寺不遠行而過鄔波難陁明解聲相旣聞商旅行過之聲與常不同而遙問曰行者是誰彼便默爾遂疾下重閣行人處而問之曰君等何人夜行而報言聖者我是偸稅商人鄔波難陁報言癡人勝光大王恒於此寺養衆僧常令充足上座憍陳如親自爲王而作呪願願大王所有資生受用珍玩未有者令有已有者常令增汝有貨物合大路入城今旣夜行欲偸稅直我今豈得捨而不言我當與汝作無利事彼商人懼而告曰聖者仁懷大慈願見容恕我於聖者不敢忘恩報曰汝等欲何所作答曰有少食直我當持奉報曰汝若能與隨汝意去彼行稍遠自相議曰勝光大王所有稅直我尚不與況此鄔波難陁無髮禿人我能還彼飮食直耶卽便夜入室羅伐城旦詣廛中貨易而去時鄔波難陁疾疾食竟門前洗顧望四方有少年苾芻見彼四問曰上座何故瞻視四方報言我有知識商人持諸貨物入室羅伐城我今望彼少年報曰上座食時彼人已去鄔波難陁心生忿怒如是念我亦被欺彼無知人以拳投以鍼刺石我於彼輩所應作者自知之彼賈人不久還來同前捉得告言我亦被汝之所調誑白言我於前時有少急事不遑就禮重相容前後之恩悉皆報謝報言若實與者隨汝意去旣去稍遠前議曰勝光大王我不與稅豈禿沙我能相與鄔波難陁作如是念已許我不來報恩無更於今還復相作是念已早起持鉢詣市廛內彼商人交易財賄現彼相貌商人報聖者物未出手待交易訖不敢違願且相容賈人交易持貨而去過寺門鄔波難陁疾歸住處食訖洗廣說如前乃至商人已去鄔波難聞是語已轉增忿恨攘臂怒曰識小人更復調我若更見者我當執令彼終身不爲賈客時經未久復重來鄔波難陁同前捉得告曰等數數詭誑於我今我所作令汝知白言大德願見容恕我等賈人多鬧亂雖復失期更不敢爾前二恩幷及此廻待貨易訖一時俱送波難陁遂生念曰我若苦言彼便知作是念已告曰賢首能實與不定與若如是者汝等且住我先爲觀其道路勿令汝等致招罪責得惡名去寺不遠商人被賊彼諸商隨語而住鄔波難陁疾往詣彼稅官之處竊聽其言是時稅人警覺而共相議曰我等如何得不愁惱有賈人數數偸稅從小門入不輸其計會時至王性暴烈必不容許之妻子及餘親屬定當獄死鄔波難陁至衆人所告曰仁等何故懷憂報言聖者我等寧得不憂多有賈人數數偸稅從小門入不輸利直計會時至王性暴烈不許分疏具述如上鄔波難陁告曰癡人誰令汝作掌稅官人唯合多與杖木常令負土或復擔樵如何於偸稅人不能奪取財物彼便白言聖者室羅伐城王舊有令知者稅不知者不稅無極重稅云何摠奪鄔波難陁曰無智人室羅伐有極重稅知而方稅彼便白言等久作稅官常索稅直唯聞知而取不聞有極重稅我今如何作極重鄔波難陁曰汝等宜住我旦迴還放偸稅賊汝當捉取摠奪其財賈人若云室羅伐城知而方稅無極重稅汝等當告有極重稅知而方稅我等久爲商客不曾聞有極重稅今有極重稅生君等可來共往廛中詣平斷處若作是語者必莫隨言可將向王處若王作如是語我久爲不聞室羅伐城有極重稅何故今時有極重稅生應白王曰古昔大王梵摩達多與諸商賈及聚落人共爲制令若從某園某天祠處或衆人集而入城者知而方稅不知無稅不從此園及天祠處衆人集處而入城者合極重稅摠沒其物若言此制今何所在者當報王曰在某庫內某箱中於赤銅鍱上分明書記王當遣取親自撿之是時稅官依鄔波難陁語卽便奪彼賈人所有財貨賈人君等何故强奪我財室羅伐城而方稅無極重稅宜依分數取已稅官告曰室羅伐城偸路賈人極重稅我不放汝賈人報曰我等久爲商客唯聞此城知而取稅無極重如何今日有極重稅生今可相隨詣平斷處稅官告曰我不能向尋常斷處可將汝等直向王所諸賈人高聲大喚詣平斷處告諸人曰諸君知不我有財貨竝被奪去願見救濟平斷人共詣王所而白王曰今有賈客來至城中所有財貨竝被稅官收奪將去願王准法而見救濟是時大王命近臣曰喚稅官來奉命追至王曰汝等何意於彼賈人盡奪財貨皆白王曰此等諸人是偸稅者室羅伐城有極重罰由此緣故我等稅人盡取其物王曰我久爲王不知此城有極重罰何意今時有極重罰宜可依實而取稅直放賈人去稅官白言古昔大王梵摩達多與諸商賈及聚落人共爲制令具說如前王告稅官曰若是我父所作教令是帝釋令是梵王令斯爲定量便告掌庫人曰銅鍱勅來奉教取來對王讀訖王聞父令悲不自勝泣而言曰若我先王所作教令是帝釋令是梵王令摠奪財貨斯爲善取諸賈人遂便絕望啼泣而出便問稅官曰誰報仁等道我來耶彼便報曰無人見語我自聞知然我昔來非不知有爲懷悲愍能盡奪汝今過分我不能忍賈人報仁等何處得有悲心今我與君同知友幸當見報誰先語君彼見苦便告之曰聖者六衆相告彼賈咸共譏罵出諸惡言此釋迦子大惡賊非眞沙門如是教他奪我財諸苾芻聞已白佛佛言苾芻不應教他奪賈人物若教奪者得越法罪攝頌曰無足及二足 四足幷多足 若盜如是類輕重准應知言無足者謂蛇此之三種是弄蛇人王家醫人及山野人之所貯畜何謂弄蛇人謂取其蛇弄以活命謂王家醫人謂諸醫人以蛭療病爲活命何謂山野人如山中人取無足虫與藥令吐瓦中熟爆以供飮酒若苾芻盜此等虫時應准其價滿五得根本罪不滿得方便罪言二足者謂人及鳥若盜人時有三方便期處定時現相云何期處報彼人云汝若見我在某園中或衆人集或在天祠當爾之時知事成就謂期處云何定時汝若晨朝或午時或晡時遙見我者知事成就是謂定時云何現相汝若見我新剃鬚髮著赤色衣持鉢執錫盛滿蘇油沙糖石見此相時知事成就是謂現相如是盜時應准其價得罪同前若盜鳥有二方便謂從地擎擧若空中墮云何擎擧鳥在地上擎擧偸去滿不滿如上說云何空墮如捕鳥人燎原澤爲欲取鳥被煙火逼時墮在苾芻經行之處或門屋前若苾芻盜心取時滿不滿如上說云何四足謂象鹿兔等若欲盜時有二方便謂從群處或於繫處苾芻於象群中盜象去時齊眼見處來得窣吐羅底也至不見得根本罪云何繫處若象繫柱若牆柵內苾芻解放得罪如上象旣爾自餘馬等苾芻盜時如前應知云何多足所謂蠐蝗蛾諸蜂此中所須者謂於三處謂斷事官守城者海商客何謂斷事官謂斷事畜養多足謂蜂蝎等貯在瓮內被罰人不臣伏時令以手足內彼瓮被蜇痛時疾臣其事或多出錢物何謂守城者謂掌城者於坏瓮內貯諸蜂若怨敵來與之共戰若不退可於城頭放其蜂瓮賊被蜂蜇散逃走何謂海商客謂人入海爲求珍貨坏瓦器中多養諸蜂以防急難賊來共戰若勝者善若不如者便持蜂瓮遙擲賊船不能復戰四散而去攝頌曰旃荼羅及蘇陁夷 取衣比身無盜想師牟不語婆蘇多 作自己分持小鉢月護知他欲取衣難勝持將得麤罪南國中方不相領拾得他物速應還佛在室羅伐城逝多林給孤獨園二苾芻共爲知友得意相親同住一處一名旃荼羅二名蘇陁夷其栴荼衆所識知有大福德而形矬小有衣鉢網絡腰絛等其蘇陁夷少有知識其形長大但有三衣而復故弊形體多露諸苾芻告曰具壽汝今少欲衣破露形爲有利養爲無利養無利彼便報曰何不乞求答言當捨彼佛法僧田而施於我彼便報其栴荼羅苾芻是汝親友多諸知有長衣鉢網絡腰絛何不從覓彼不肯與復問汝已從彼而乞求答言未乞報曰豈聞水聲而便脫鞋耶汝宜乞求彼應見惠旣被勸喩便詣栴荼羅處彼行不在便作是念此栴荼羅其形短小取彼僧伽胝試量度若與我身量得相似者我當從覓若不相當何事忓忤便入彼房觀其衣物於衣笐上見僧伽胝卽便取彼便看長短時栴荼羅從外忽至見而報曰汝以賊心取我衣著得波羅市迦答言具壽我無盜心取此衣但作是念栴荼羅其形卑小取彼僧伽胝試復量度若與我身量得相稱者我當從覓若不應量者何用如是煩惱資具耶彼便報曰具壽不須强諱謾作分疏汝以賊心取我衣著得波羅市迦聞此語已便生追悔非我犯重罪耶告諸苾芻諸苾芻白佛言苾芻汝以何心彼便以實具白世尊佛言此苾芻若作量度心者無犯然諸苾芻不應非親友處爲親友想有三種親友謂下於下親作下心委寄若中親友作中下心委寄若上親友作上中下心委寄苾芻於非親友作親友心相委寄者得越法罪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卷第四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계의 음사어로 시라가 원만함은 계구족(戒具足)을 의미한다.
  2. 2)혜(慧)를 말하며, 반야가 원만하다는 것은 혜구족(慧具足)을 의미한다.
  3. 3)간단한 어구에 발원의 뜻을 담아 기원하는 것이다.
  4. 4)범어 vandana의 음사. 반담(伴談)ㆍ반탄남(畔彈南)으로도 음사하며, 경례(敬禮)ㆍ계수[稽]라는 뜻이다. namas(歸命)에 상응하는 의미도 된다.
  5. 5)상인의 집회소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