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根本說一切有部目得迦卷第九

ABC_IT_K0894_T_009
022_0959_b_01L근본설일설체유부목득가 제9권
022_0959_b_01L根本說一切有部目得迦卷第九


대당 삼장법사 의정 한역
백명성 번역
022_0959_b_02L大唐三藏法師義淨奉 制譯


4) 네 번째 자섭송(子攝頌)
022_0959_b_03L第四子攝頌曰

필추는 가죽신에 다섯 가지 동물 기름을 바르지 말 것이며
신심이 깊은 왕과 대신들에게는 계율을 설명해 주도록 하라.
설롱나이십억 필추로 인해 필추들에게 죽을 먹는 것이 허용되었으며
왕이 보시한 밭을 받아서 쓰도록 하였다.
022_0959_b_04L不用五種脂 隨應爲說戒 因億耳開粥王田衆應受

그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성에 계셨다.
세존께서는 다섯 종류의 청정치 못한 가죽신은 가지지 말라고 말씀하셨는데, 당시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다섯 종류의 청정치 못한 기름을 가죽신에 발랐었다. 그런데 마침 승광왕의 코끼리가 기름기를 맡고는 놀라 날뛰며 달아나는 일이 있었다.
그때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대들은 어찌하여 그 코끼리를 붙잡지 않았는가?”
이에 대답하기를 “우리들은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필추들이 말하기를 “나는 잡을 수가 있노라” 하였다.
“당신들이 만일 우리를 위해 붙잡아 주신다면, 저희들이 떡과 과일값을 드리겠습니다.”
이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그 코끼리가 있는 곳으로 가서 코끼리를 진정시켰다. 그러자 사람들이 물어 보았다.
“성자여, 당신들께서는 주문을 외울 줄 아시는 것입니까? 코끼리들이 놀라 달아나는 것을 우리들은 막지 못하였는데, 당신들께서는 어떻게 진정시키신 것입니까?”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대답하였다.
“사실 우리들도 주문을 외울 줄은 모릅니다. 우리들은 단지 제일 좋은 코끼리의 기름을 가죽신에 발랐을 뿐입니다.”
이에 사람들이 “성자여, 왕이 코끼리를 불쌍한 사람처럼 좋아하니, 어찌 당신들에게 이익 되는 일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빈정대며 그들을 천하게 여겼다.
그때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 여러 필추들은 제일 좋은 코끼리의 기름을 가죽신에 발라서는 안 될 것이다. 만일 바르는 자가 있다면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제일 좋은 코끼리만 그러한 것이 아니라 제일 좋은 말, 사자, 호랑이, 표범의 기름도 모두 발라서는 안 될 것이다.”
022_0959_b_06L爾時佛在室羅伐城如世尊說有五種不淨皮履不應持者六衆苾芻用五種不淨脂膏以塗皮履勝光王象聞脂氣驚怖逃奔是時六衆作如是語君等何不捉持此象答曰不能持苾芻報曰我能爲持仁等若能爲我持者我今當酬餠果之直六衆遂向下風其象卽住諸人報聖者仁等解明呪耶群象驚走等不禁仁等如何遂令象住六衆報我實不解誦持明呪我等但以上象脂用塗皮履聖者王之好象若傷損者豈非仁等作無利事共生嫌賤諸苾芻以緣白佛佛言汝諸苾芻不應以上象脂膏用塗皮履若有塗得惡作罪上象旣然上馬師子及以虎豹悉皆不合
022_0959_c_01L그때 부처님께서 왕사성(王捨城)에 계셨다.
빈비사라왕(頻毗娑羅王)이 아난타 존자의 처소에 와서 두 발에 머리 숙여 예배하고 말하였다.
“아난타 존자여, 지금이 바로 설법을 듣고 포쇄타할 때가 아닙니까? 저는 그러한 것들을 들을 수가 있겠지요?”
아난타가 대왕에게 대답하였다.
“포쇄타라고 하는 것은 필추들끼리만 함께 하는 것이요, 속인은 들을 수가 없음을 아셔야 할 것입니다.”
이에 왕이 곧 일어나 가버렸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다 아시면서도 일부러 아난타에게 물어 보셨다.
“어찌하여 왕이 왔다가 법을 듣지도 않고 그대로 가버렸는가?”
아난타가 그 일을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큰 실수를 하였구나. 아까 왕이 이 계율[波羅底木叉]을 들었더라면 왕은 반드시 곱으로 깊은 믿음과 공경심을 지니게 되었을 것이요, 청정한 믿음이 생겨났다면 최상의 불법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지금부터 왕과 대신들 가운데 청정한 믿음을 지니고 진심으로 불법 듣기를 원하는 자가 있다면 그들에게 설명해 주라고 허락하겠노라.”
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존귀하기는 하나 공경스러운 믿음이 없을 경우, 그러한 사람에게도 설명해 주도록 하고 가난한 사람이라도 그에게 설명해 주도록 하여라. 그러나 가난하면서도 공경스러운 믿음이 없고 진심으로 계율에 대해 듣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명해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때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존자인 설롱나이십억(說籠拏二十億) 필추는 어려서부터 죽을 먹고 자랐는데, 출가한 후로는 죽을 먹지 못해 몸이 야위고 누렇게 떠 기력이 없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그 일을 아시면서도 일부러 아난타에게 물어 보셨다.
“무슨 이유로 설롱나이십억의 몸이 야위고 누렇게 뜨며 기력이 없는 것이냐?”
아난타 존자가 부처님께 그 이유를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설롱나이십억 필추가 마음대로 죽을 먹도록 허락하노라.”
이에 아난타가 곧 부처님의 말씀을 그 필추에게 다음과 같이 전해 주었다.
“세존께서 그대에게 마음대로 죽을 먹도록 하셨소.”
그가 물어 보았다.
“모든 대중에게 허락하신 것입니까? 저 한 사람에게만 허락하신 것입니까?”
아난타가 대답하였다.
“오직 그대 한 사람에게만 허락하셨소.”
그러자 설롱나이십억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 일로 해서 함께 수행하는 여러 사람들이 저를 비웃어 말하기를 ‘너 설롱나이십억이여, 그대는 출가해서 오늘 매우 커다란 소득을 얻었구려. 과거에는 비할 수 없을 만한 거부이더니, 일곱 마리의 코끼리를 버리고 출가한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저 묽은 죽이나 구하게 되었으니 말이오’라고 할 것입니다. 그러니 세존께서 나로 인해 대중들에게도 죽을 먹을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신다면, 저도 따라 먹도록 하겠습니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지금 설롱나이십억으로 인해서 모든 대중이 다 죽을 먹을 수 있도록 허락하노라.”
그때 청정한 믿음이 있는 바라문과 거사들 대부분이 좋은 죽을 가지고 와서 필추들에게 보시하였다. 그리고 영승왕은 부처님이 필추들에게 마음대로 죽을 먹을 수 있도록 허락하셨다는 소식을 듣고는 좋은 밭 천 이랑을 대중에게 보시하였다.
이에 필추들은 감히 밭을 받지 않고 이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스님 대중을 위해서이니 밭을 받고, 거기서 수확한 과실은 대중들이 먹도록 하여라.”
022_0959_c_01L爾時佛在王舍城頻毘娑羅王詣具壽阿難陁處頂禮雙足白言大德阿難陁今者豈非聽法之日復是襃灑陁時我得聽不答言大王當知襃灑陁者但是苾芻共所作業非俗合聽王卽起去然佛世尊知而故問阿難何故王來而不聽法卽便起去卽具答佛言汝有大失向者令王得聞此波羅底木叉者王必倍生深信恭敬旣生淨信能爲信首是故我今聽諸王等及以大臣有淨信心意樂聞者應可爲說佛言若復有人雖是尊貴而無敬信如此之人亦應爲說若有貧人亦應爲說若是貧窮兼不敬信樂欲聞戒不應爲說爾時佛在王舍城具壽說籠拏二十億苾芻小以粥長養由出家後遂不得粥體羸瘦痿黃無力是時世尊知而故問阿難陁曰何故說籠拏二十億身極痿黃羸瘦無力阿難陁以緣白佛言從今聽許說籠拏二十億苾隨意食粥阿難陁卽傳佛教彼苾芻曰世尊開爾隨意食粥彼便報曰爲是摠開大衆爲我一人答曰唯爾一人說籠拏二十億曰由此因諸同梵行譏誚於我汝說籠拏二十億今者出家大有所獲昔在占波巨富無疋捨七象王而爲出家乃於今時唯求薄粥世尊若許因我開大衆食粥我亦隨食諸苾芻以緣白佛佛言我今因說籠拏二十億爲先首故聽諸大衆咸悉食粥是時信婆羅門居士等多持好粥施苾芻影勝王聞佛聽諸苾芻隨意食王以千畝良田奉施大衆諸苾芻不敢受田以緣白佛佛言爲僧伽故應可受田所收果實衆應受用

5) 다섯 번째 자섭송
022_0960_a_15L第五子攝頌曰

속인이나 사미 등과는
필추가 합석을 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합석하더라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022_0960_a_16L俗人求寂等 竝不合同坐 兩學有難緣同處非成過
022_0960_b_01L
그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성에 계셨다.
우바리 존자가 세존께 여쭈어 보았다.
“필추들이 속인들과 함께 합석할 수가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할 수 없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합석해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사미와는 함께 합석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할 수 없다. 사미와 반택가(半擇迦)1), 계율을 어긴 필추니, 오역외도(五逆外道), 취외도(趣外道), 적주(賊住)2), 별주(別住)3), 불공주(不共住)인 사람과는 합석할 수 없으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합석해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우바리 존자가 또 여쭈어 보았다.
“수학인(授學人)과 함께 합석해도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안 된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라면 임의로 합석할 수는 있다.”
“속인과 함께 같은 평상에 합석해도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안 된다. 부득이한 경우라면 임의로 합석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말한 여러 불공주(不共住)의 사람들과도 모두 합석할 수는 없으나, 부득이한 경우라면 합석하더라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또 같은 평상에 앉는 경우에 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말한 바와 같다. 그리고 자리가 반듯하지 못해 불편한 경우에는 앉더라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022_0960_a_18L爾時佛在室羅伐城具壽鄔波離請世尊曰凡諸苾芻合與俗人同褥坐佛言不合必有難緣同坐無犯白佛言得與求寂同座坐不佛言若與小者及半擇迦污苾芻尼幷犯五逆外道趣外道者賊住別住共住人等亦不合同座必有難緣座無犯又問得與授學人同褥坐不佛言不應必有難緣隨意同坐得與俗人同枮牀一處坐不佛言不應有難緣隨意同坐如是乃至不共住咸悉不合必有難緣同坐無犯同牀坐廣說如前若屈氈席以爲障者坐亦無犯

6) 여섯 번째 자섭송
022_0960_b_09L第六子攝頌曰

공양 때에는 상좌라도 그를 일어나게 할 수 없으며 나이에 따라 앉고
공동 소유의 염색 그릇은 앞 사람의 일이 끝난 다음 사용한다.
필추들은 함께 정원을 보호하여야 하며
염색약을 삶느라 영작인의 나무를 때서는 안 된다.
022_0960_b_10L正作不令起 隨年坐染盆 應共護僧園勿燒營作木
022_0960_c_01L
그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성에 계셨다.
당시 여러 필추들이 작은 평상 위에 앉아 세탁, 바느질, 발우를 씻는 일들을 하고 있었는데,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그들을 밀쳐 내고 자신이 앉아 그들이 일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세탁 등의 일을 필추들이 하고 있을 때에, 그들을 일어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일을 못하게 한다면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가는 곳마다 자신들이 상좌임을 빙자해 다른 필추들을 일어나게 하였는데, 필추들이 일어나지 않으려 하는 일이 있었다.
이에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이와 지위에 따라 앉아야 할 것이다.”
세존께서 나이 순서로 앉아야 한다는 말씀이 있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은 다른 필추들이 식사할 때 늦게 도착해서도 그들을 일어나게 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필추가 식사하고 있을 때라면, 상좌라도 늦게 와서는 그를 일어나라고 할 수 없다. 일어나게 하는 자는 악작죄를 짓게 되는 것이니, 도착 순서대로 앉아 식사해야 할 것이다.”
우바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어 보았다.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식사하고 있을 때에는 상좌라도 그를 일어나게 할 수 없다고 하셨는데, ‘식사할 때’라는 한계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소금을 받았거나 식권[食葉]을 받았을 때에는, 모두 일어나게 할 수 없다.”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필추가 식권을 받았을 때에는 그를 일어나게 할 수 없다고 하시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고의로 상좌의 자리로 가서 먼저 식권을 받았다. 그러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고의로 상좌의 자리로 가서 먼저 식권을 받아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는 자는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그러니 여러 필추들은 자리의 순서를 잘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스님 공동 소유의 염색약을 담는 항아리와 여러 그릇들을 어떤 스님이 먼저 가져다 옷을 물들이고 있었는데,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존자여 내 나이가 그대보다 많으니 마땅히 먼저 사용하여야 할 것이요”라고 말하며, 염색약을 쏟아 버리고 강제로 항아리를 빼앗아 사용하여, 그 필추가 그 일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스님 공동 소유의 염색약을 삶는 항아리와 그릇을 다른 사람이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강제로 빼앗아서는 안 된다. 그가 일을 마치기를 기다려 가져가야 할 것이다. 일을 마치지도 않았는데 강제로 빼앗아 간다면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염색 그릇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가져가서는 안 된다”고 하시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는 고의로 옷 조각을 물들이며 다른 필추들이 염색 그릇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옷을 염색하는 것을 염오(染汚)라고 하는데, 고의로 작은 조각을 물들이며 염색 그릇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는 자가 있다면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같은 곳에서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
당시 급고독 장자가 나무 울타리를 만들어 서다림을 둘러싸게 하였는데, 여러 속인들이 나무 울타리를 부서뜨리고 나무들을 도둑질해 갔다. 이에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시켜 나무 울타리를 보호하게 하여라.”
사람을 시켜 나무 울타리를 보호하자 속인들이 나무를 버리고 도망갔는데, 그 나무를 아무도 주워 가지 않아 모두 못 쓰게 되어 버렸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부서져 못 쓰게 된 나무는 절의 주방에서 땔나무로 쓰도록 하고, 남은 것은 절일을 맡아 보는 사람[付作人]이 가지도록 하여라.”
그때 여섯 명의 나쁜 필추가 절일을 맡아 보는 사람이 쓰려는 나무를 쪼개어 염색약을 삶는 데 사용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들은 절일을 맡아 보는 사람의 잡목을 염색약을 삶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이니, 그리하는 자가 있다면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022_0960_b_12L爾時佛在室羅伐城諸苾芻坐小牀座作浣染縫衣治鉢等事是時衆苾芻推起自坐令他廢闕諸苾芻以緣白佛佛言浣染等時苾芻正不應令起遣他起者得惡作罪衆苾芻凡所至處自恃上座排他令彼苾芻不肯爲起以緣白佛應隨年次依位而坐如世尊說年坐者六衆苾芻見他食時自在後遂令他起諸苾芻以緣白佛若彼苾芻正食之時上座後來令小起令他起者得惡作罪可隨處坐食具壽鄔波離白佛言如世尊說正食苾芻不應令起不知齊何名食佛言下至受鹽或受食葉皆不合如世尊說苾芻受食不應起者衆苾芻向上座處故先受食諸苾芻以緣白佛佛言不應先往上座頭故爲受食作者得惡作罪凡諸苾芻應善知座次僧伽所有貯染汁瓨及諸盆器有一苾芻先取染衣六衆苾芻作如是言具壽我年長大先合用之瀉卻染汁强奪將用令彼苾芻事便廢闕以緣白佛佛言但是僧伽煮染之器及以染盆他正用時不應强奪事訖方取未了取者咸得惡作如世尊說染器污時不應取者是時六衆纔染片衣故令汁污意留染器妨彼受用佛言若摠以衣內染色中方名染污不應少物故作留㝵如有犯者咸得惡作緣處同前給孤獨長者作其木柵圍逝多林諸俗人毀破木柵盜將草木苾芻以緣白佛佛言令人遮護旣令遮護棄木逃去無人採拾咸悉爛壞諸苾芻以緣白佛佛言壞無用者可入僧廚以充薪用餘堪用者取付作人六衆苾芻隨其營作堪用木竝破燒壞以充煮染諸苾芻以緣白佛佛言苾芻不應燒營作人要須雜木如有犯者得惡作罪

7) 일곱 번째 자섭송
022_0961_a_07L第七子攝頌曰

장자가 보시한 물건은
그에게 물어 보고 보관 사용하도록 한다.
선당(禪堂)에서는 다른 필추를 일어나게 하지 말고
절에 들어갈 때에는 먼저 몸을 씻도록 한다.
022_0961_a_08L長者所施物 問已應留擧 隨處莫廢他洗身方入寺
022_0961_b_01L
그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성에 계셨다.
당시 급고독 장자가 세존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허락하신다면 저는 지금 서다림을 꾸미어 다시 스님 대중에게 보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뜻대로 하시오.”
이에 장자는 서다림 안에 있는 나무 가운데 남성수(男聲樹)에는 남자의 의복을 만들어 꾸미고, 여성수(女聲樹)에는 여인의 복장을 만들어 꾸미었으며, 심지어 절 뜰 안의 산보하는 곳과 욕실 안, 중식당(衆食堂), 공병당(供病堂), 상식당(常食堂) 등을 모두 그에 맞게 꾸며 스님 대중에게 보시하였다.
그때 여러 필추들이 이 의복들을 받고 어찌할지 몰라 부처님께 여쭈어 보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장자에게 물어 보도록 하여라.”
필추들이 장자에게 가서 물어 보니, 장자가 대답하였다.
“보시한 장소의 물건들은 그곳에 소속시켜야 할 것입니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남ㆍ여성수로부터 절 안에 두루 퍼져 있는 의복들은 장소에 따라 각각 상자 속에 보관하였다가 사용하도록 하여라. 뒤에 서다림 안의 사람들이 대회를 열면 각각의 장소에 있는 것으로 전처럼 엄숙하게 꾸미어야 할 것이니, 담벽에 있는 것으로는 벽을 꾸미고, 온난당(溫煖堂)에 있는 것으로는 땔나무를 마련해 연료를 충당하여야 할 것이며, 욕실에 있는 것으로는 세욕(洗浴)하는 데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저수당(貯水堂)에 있는 것으로는 대중들이 일정한 때와 수시[時非時]로 먹는 물을 공급하고, 공병당(供病堂)에 있는 것으로는 좋은 음식을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 가까운 사원이나 누각의 처마 앞, 산책하는 곳이나 【문】주변에 있는 것은 그 곳의 스님[現前僧]들이 나누어 갖고 절의 뜰 안에 있는 것은 사방승용(四方僧用)4)으로 삼도록 하여라.”
그때 여러 필추들이 의혹을 끊고 고요히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선당(禪堂)을 만들어 여러 선한 수행을 닦고 있었다. 그런데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그 선당에 와서 ‘우리들은 나이가 많은 필추들이다’라고 하며, 필추들을 일어나게 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당에서 나이가 많다고 하여 다른 필추들을 일으켜 움직이게 하여서는 안 된다. 만일 일어나게 하는 자가 있다면 월법죄를 짓게 되는 것이니라.”
그리고 필추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잠시 산책을 하러 가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그 사이를 틈타 그 자리에 앉아 다른 필추들이 참선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다른 필추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거기에 앉아서는 안 된다. 그리고 필추들은 산책을 하려 하거든 먼저 띠나 옷을 앉았던 자리에 놔두고 떠나도록 하여라.”
어떤 필추가 절의 복도 기둥에 가죽신을 털었다. 여러 필추들이 이를 보고 부끄러운 짓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길을 가며 지켜야 할 법도를 내 지금 정해 주겠노라. 필추들이 길을 가다가 절에 들어가려 할 때에는 먼저 물이 있는 곳에 가서 옷과 발우를 내려놓고 옷을 턴 다음 몸과 손발을 씻어 먼지를 없앤다. 그리고 물병을 깨끗이 씻은 다음 해진 천으로 가죽신을 닦고 옷을 펼쳐 자세히 살펴본 후에 천천히 절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라.”
022_0961_a_10L爾時佛在室羅伐城給孤獨長者請世尊曰佛聽許者我今更欲以逝多林重施僧伽佛告長者隨意應作彼長者於逝多林內所有樹木男聲者則爲男子衣服而嚴飾之聲樹者作女人服而爲嚴飾乃至寺中庭經行處門屋下浴室內衆食堂供病堂常食堂悉皆如是爲嚴飾已捨與僧伽諸苾芻得此衣服不知云何以緣白佛佛言應問長者旣往問已長者答曰隨所施處物應屬彼佛言是男女聲樹乃至遍寺所有衣隨其處所各以箱篋藏擧若於後逝多林內人作大會還隨其處前嚴飾在牆壁者應將畫壁若在溫煖堂應買薪以充然用在浴室者洗浴事在貯水堂者以充大衆時非時漿用若在供病堂應與作美膳供或時近院或復樓閣簷前經行處或近門邊現前僧應分若寺中庭內屬四方僧用諸苾芻作斷惑堂靜慮之處修諸善品是時六衆來至此堂喚他令起云我耆年諸苾芻以緣白佛佛言不應於此而作隨令他苾芻輒爲起動若令起者咸得越法罪諸苾芻從座而起蹔去經行六衆遂來坐其座處令他廢事佛言他先坐處不應輒坐汝等苾芻欲經行時先以綺帶或僧腳欹留安坐處然後經行復有苾芻於廊庭柱打拍皮鞋有餘苾芻見而嫌恥以緣白佛佛言道行軌式我今當制凡諸苾芻道路行時欲須入寺隨有水處安置衣鉢抖擻衣已次浴身體下至手足洗灌塵垢添淨水甁方以破布拂拭皮鞋然後披衣容儀詳審徐行入寺
022_0961_c_01L
8) 여덟 번째 자섭송
022_0961_c_01L第八子攝頌曰

공동 소유의 머리 깎는 칼과 족집게는
사용한 후 제 것처럼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소변이나 대변을 다 본 후에는
화장실에 오래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
022_0961_c_02L剃刀幷鑷子 用竟不應留 便利若了時無宜室中住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머리 깎는 칼과 족집게를 가지고 다닐 수 있다”고 하시자,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스님 공동 소유의 머리 깎는 칼과 족집게를 가져다가 머리를 깎은 다음 그것들을 반환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뒤에 내가 다시 쓰려고 한다” 고 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 필추들이여, 공동의 칼을 사용한 후, 제 것처럼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칼뿐만 아니라 족집게, 손칼, 승족물(承足物)도 역시 그리하여야 할 것이니라.”
여섯 명의 나쁜 필추들이 소변실에 들어가 볼 일을 다 본 다음에도 그대로 거기에 있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들어가려 하면, “들어오지 마라. 내가 조금 있다 다시 소변을 볼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들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그들이 이렇게 다른 사람을 괴롭히자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소변을 다 보았으면 오래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 오래 머물러 있는 자는 악작죄를 짓는 것이다. 대변을 보는 곳에서도 그렇게 다른 사람을 괴롭히면 역시 같은 죄를 짓는 것이니라.”
022_0961_c_04L如世尊說剃刀鑷子應隨畜者六衆苾芻自取僧伽剃刀鑷子剃髮旣竟他取不還報云後時我更須用苾芻以緣白佛佛言汝等苾芻用衆刀不應便留用刀旣然石鑷刀子及承足物應知亦爾六衆苾芻入小便室事旣了已仍住室中餘人欲入而故遮止告言莫入我當在後更擬小便故惱於他令生嫌恥以緣白佛小便若了不應久住更停住者惡作罪於大便處故惱他人得罪亦爾

9) 아홉 번째 자섭송
022_0961_c_15L第九子攝頌曰

여래의 머리털과 손톱을 모신 탑 주변을
성스러운 자취로써 장엄하게 하고
흐린 물은 정도에 맞춰 마시고
짠물은 구별해서 마시도록 할 것이다.
022_0961_c_16L窣睹波圍繞 廣陳諸聖迹 濁水隨應飮若醎分別知
022_0962_a_01L
그때 급고독 장자가 세존께 말씀드렸다.
“저는 여래의 머리털과 손톱을 모시는 탑 주변을 장엄하게 했으면 합니다.”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뜻대로 하도록 하시오.”
장자가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몰라 망설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처음 도사다천(覩史多天)5)에서 내려와 섬부(贍部)에 태어나시어 중생들을 교화하고 열반에 드시기까지 부처님의 전생(前生)과 성스러운 자취를 마음대로 만들어 놓도록 하시오.”
당시 여러 필추들이 길을 따라 가다가 흐린 물을 보고는 의심이 나 먹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에 얼굴이 비쳐질 정도면 먹어도 된다. 다른 사람이 먹으라고 준 물이 매우 탁해서 얼굴이 비쳐지지 않을 정도라면, 갈득가(羯得迦)의 열매나 포도를 넣어 맑게 하거나 보릿가루를 넣어 맑게 하도록 하여라.”
그러자 필추들이 보릿가루를 뿌려 넣었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릿가루를 물과 섞어 둥글게 뭉쳐 넣도록 하여라.”
필추들이 짠물을 의심스러워하며 마시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을 만한 짠맛이면 받아먹도록 하고, 먹지 못할 정도면 걸러 내고 먹으면 될 것이니, 먹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의심하지 말라.”
022_0961_c_18L爾時給孤獨長者請世尊曰我於如來髮爪窣睹波處欲爲莊嚴若佛聽我當營造佛告長者隨意應作者不知云何而作佛言始從睹史多天下生贍部化導有情乃至涅槃本生聖迹隨意應作諸苾芻隨路而去見有水渾生疑不飮佛言水中見面應可飮用若不見面須人授飮如極渾者應取羯得迦果葡萄果投中待或可以麨而內水中諸苾芻便投散麨佛言宜應以水作團投之醎水生疑不飮佛言若堪作鹽用受而方飮若不堪者自取而飮勿致疑惑

10) 열 번째 자섭송
022_0962_a_08L第十子攝頌曰

밥알과 낙(酪) 등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것은 아니니
병을 깨끗이 씻는다면 물을 받아도 된다.
발을 씻고 필추가 알고 있어야 할 다섯 종류의 항아리
그리고 입을 깨끗이 했다는 말뜻을 설명하였네.

물이 부족하면 나뭇잎으로 받아 마시고, 병에 입을 대고 마시지 말 것이며
다의(多疑)라는 존자는 발우에 물을 붓는 것을 의심하였다.
식량을 들고 강물을 건너는 방법을 얘기하고
발우를 겹쳐 놓아도 허물이 되지 않음을 말하였네.

발우를 씻을 적에는 온 마음을 쏟아야 하며
타인이 발우를 겹쳐 놓았을 때는 이유를 물어 보아야 할 것이네.
음식을 교환하고 식량을 가지고 다니는 일 등은
모두 어려운 처지가 아니면 해서는 안 될 것이네.
022_0962_a_09L飯酪等非污 亦可內甁中 洗足五種瓨齊何名口淨 葉手承注口 多疑流鉢中擧糧持渡河 縱觸非成過 洗鉢應用心他觸問方受 換食持糧等 無難竝還遮
022_0962_b_01L
그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성에 계셨다.
당시 바라문과 거사들이 서다림에서 멀지 않은 방원(芳園)에서 함께 잔치를 하고 남은 음식을 우물 속에 버렸었다. 여러 필추들이 물을 길어 비단으로 물을 걸러 보니 비단에 밥알들이 있었다. 필추들이 의심스러워 사용하지 못하고 물 항아리에 담아 두려고 하여도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이를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 때문에 깨끗하지 않다고 할 수 없고 걸렀다면 깨끗한 것이니, 물을 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또 여러 필추들이 못에서 물을 긷다 보니 어떤 사람이 소와 유를 담았던 항아리[酥油瓨]와 낙병(酪甁)을 씻고 있었고, 어떤 필추가 기름기 묻은 발우를 손으로 닦아 기름기가 물 위에 둥둥 떠 있었고, 낙병 속의 찌꺼기 조각들이 물속에 가라앉아 있었다.
이에 필추들이 의심스러워 그 물을 쓰지 못하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들이 물을 깨끗하지 못하게 할 수는 없으니, 거른다면 깨끗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하도 죄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여러 필추들이 길을 가다가 물을 얻기가 매우 어려웠는데, 두레박으로 물을 긷는 곳에 이르러 물을 길으려 하다가 깨끗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들어 긷지 않아서 매우 고생을 하였다. 그 후 절에 들어가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 물은 길어도 괜찮았을 것이다. 먼저 잘 살펴보고 입으로 헹군 다음에는 마음대로 마실 수가 있는 것이다.”
혹 정해진 때가 아닌지라 마시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정해진 때가 아니어도 마실 수 있느니라.”
항아리에 저장하지 않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저장해도 되느니라.”
당시 여러 필추들이 길을 가다가 물을 얻을 수가 없었는데, 벼랑 사이의 샘물을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마시지 않았다.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잘 살펴보고 마셔야 할 것이니라.”
혹 정해진 때가 아니라 의심스러워하며 마시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정해진 때가 아니라도 마셔야 할 것이니라.”
물 항아리에 담지 않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담아도 되느니라.”
당시 여러 필추들이 황톳물을 보고서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마시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이 흐리다 하더라도 살펴보고 마음대로 마시도록 하여라.”
혹 정해진 때가 아니라고 마시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정해진 때건 아니건 마시더라도 죄가 되지 않으며, 항아리에 담아 두더라도 죄가 되진 않는다.”
필추들이 길을 가다가 물주머니 속의 물에 낙(酪) 찌꺼기가 있는 것을 보고는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마시지 아니하였다. 그리곤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정해진 때건 아니건 마음대로 마시도록 하여라. 너희 여러 필추들이여, 급하고 어려운 때에 한하여 내가 허락한 것은 어려운 때가 지나면 모두 그만두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당시 많은 필추들이 세상을 두루 돌아다니다 소를 기르는 곳에 이르러 물을 찾아보았으나 얻을 수가 없었다. 이에 낙장(酪漿)으로 발을 씻으려 하다가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그만두었다.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이 없는 곳에서 낙장을 주거든 그것으로 발을 씻어야 할 것이니라.”
그때 필추들이 다시 소를 치는 사람에게 가서 항아리나 물그릇을 빌려 물을 담으려 하였는데, 빌린 병이 소(酥)와 유(油)를 담았던 병이라 의심스러워 그만두었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 필추들은 응당 다섯 종류의 항아리나 그릇을 알고 있어야 하느니라. 첫째는 대변기(大便器)요, 둘째는 소변기요, 셋째는 주기(酒器)요, 넷째는 유강(油瓨)이요, 다섯째는 소강(酥瓨)이다. 앞의 세 그릇에는 물건을 담아 두어서는 안 될 것이니, 설사 오랜만에 담았다 하더라도 버려야 할 것이다. 뒤의 두 항아리는 불에 그슬리거나 소금기 있는 흙이나 소의 똥으로 깨끗이 닦아야 할 것이니, 항아리를 깨끗이 닦은 다음에는 물을 담아 둘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해진 때건 아니건 마음대로 마시도록 하여라.”
그때 어떤 필추가 수시로 마시는 음료수를 마시다가 목구멍 속의 기름기가 섞여 나오자 악작죄를 짓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였다. 이에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손을 깨끗이 씻은 다음 입술과 입 안을 헹구도록 하여라. 입 안을 헹군 다음에는 음료수를 마실 수가 있느니라.”
세존께 입 안을 깨끗이 씻으라고 하신지라, 여러 필추들이 소금기 있는 흙으로 입술을 문지르다가 살갗이 찢어지게 되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소의 똥6)으로 입술과 입을 깨끗이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우바리가 세존께 여쭈어 보았다.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입을 깨끗이 하라고 하셨는데, 어떻게 하여야 깨끗하게 했다 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더러운 입을 어떻게 깨끗이 하는가 하면, 말린 깨끗한 소의 똥을 비벼 으깬 것이나 조두(澡豆)7)에 물을 타서 입술을 닦아 음식의 기름기를 없앤 다음에, 손으로 물을 받아 두세 번 입을 헹구도록 하여라. 그러면 깨끗하다고 할 수 있느니라. 여러 필추들이여, 먹거나 마실 적에는 언제나 이렇게 하도록 하여라. 그렇지 않으면 먹거나 마실 때에 모두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어떤 필추가 수시로 손으로 병을 쥐어 입에 대고 물을 마시다가 병에 들어 있던 개미에게 물리는 일이 있었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병을 입에 대고 물을 마시지 말라. 먼저 손을 깨끗이 씻고 입을 헹군 다음 병의 물을 부어 손으로 받아 마시도록 하여라. 그리고 필추들은 성군지롱(盛君持籠)을 만들도록 하여라.”
그때 필추들이 성군지롱을 어떤 것으로 만들어야 할지 몰랐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무판자나 벽돌로 물병 입구를 막아 벌레를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라.”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손과 입을 씻은 다음 물을 마시라고 하셨는데, 길을 가다보니 물이 부족하였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뭇잎으로 받아 마시도록 하여라.”
그러나 푸른 잎을 보면서도 아무도 따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누렇게 말라 버린 낙엽을 가져다 물을 마시도록 하여라.”
혹 낙엽도 구하지 못하게 되자 가지에 붙은 잎으로 물을 받아먹기도 하였는데, 가지와 잎이 붙어 있어 잎을 구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조용한 곳에 가서 입을 깨끗이 씻은 다음에, 병을 입에 대고 마음껏 마시도록 하여라.”
그리고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사항을 허락해 주었다.
힐리발저(頡離跋底) 존자는 어느 곳에서든지 의심스러워하는 마음을 내었다. 그래서 당시의 사람들이 모두 그를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고 불렀다. 그런 힐리발저가 병의 물을 아래로 붓는 것을 보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였다.
‘다른 사람이 물을 계속 발우 속으로 붓는다면, 어찌 죄에 저촉되지 않으리요?’
이에 물을 받지 않았다. 그러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무릇 흐르는 물건은 모두 아래로 향하게 마련이며 위로 향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니 물을 받아 써야 할 것이니 의심하지 말라. 죄가 되지 않느니라. 우유와 낙(酪) 등도 모두 이에 준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니 의심하지 말라.”
당시 필추들이 여러 상인들과 함께 길을 가고 있었는데 사미들로 하여금 길 양식을 가지고 따라오게 하였다. 잠시 쉬었다가 떠나려 할 때 사미가 필추들에게 말하기를 “우리를 위해 짐을 들어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그러나 필추들이 들어 주지 않았다.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또 사미가 필추들에게 “우리를 위해 짐을 내려 주십시오”라고 하자, 필추들이 의심스러워하며 내려 주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응당 내려 주어야 할 것이다.”
그 뒤 사미가 식량을 갖고 길을 가다가 짐이 무거워 피곤한지라 다시 필추에게 말하기를 “식량을 좀 들고 가시지요, 제가 잠시 쉬어야 하겠습니다”라고 하였으나, 필추들이 그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짐을 끈으로 묶어 사미로 하여금 끈을 잡게 한다면 짐을 지고서도 쉬게 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다가 필추가 마침내 의심하기를 ‘내가 손을 놓는다면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먹더라도 모두 죄가 되지는 않느니라.”
당시 여러 필추들이 상인들과 함께 길을 가다가 도적들이 상인을 기습하자 사미는 가지고 있던 식량을 버리고 도망갔고, 필추 역시 식량을 버려두고 달아났다. 뒤에 필추가 시미에게 말하였다.
“너는 지금 가서 그 식량을 갖고 오도록 하여라.”
사미가 대답하였다.
“지금 도적들이 저를 죽이게끔 하시려는 것입니까? 저는 갈 수 없으니 당신 스스로 가져오십시오.”
그러자 필추 역시 가서 가져오지 못하였다.
그때 식량이 부족해 돌아다니기를 그만두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응당 스스로 가져와야 할 것이니라.”
필추가 스스로 가져와서는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먹지 못하였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응당 먹어도 될 것이니, 죄가 되지는 않느니라.”
당시 어떤 필추가 사미에게 식량을 지우고 강물을 건너려고 하는데 어찌해야 할지 몰랐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사미에게 ‘네가 나를 위해 식량을 지고 스스로 건널 수 있겠느냐?’고 물어 보아라. 사미가 대답하기를 ‘저 혼자나 건너지 식량을 가지고 갈 힘은 없습니다’라고 하면, 필추가 드는 것을 도와 강을 건너게 하여라. 그러나 사미가 만일 ‘힘이 없어 저 혼자도 건너지 못할 것 같은데 어떻게 식량을 가지고 갈 수 있겠습니까?’라고 할 경우라면, 필추가 사미와 길 식량을 함께 들고 갈 수 있으면 좋을 것이요, 그렇지 못한다면 먼저 식량을 건네 놓고 사미를 건네주도록 하여라.”
당시 여러 필추들이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먹지 않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먹어야 할 것이니, 죄가 되지는 않느니라.”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필추는 발우로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한 필추가 발우를 닦다가 깨진 곳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죄를 짓지 않았나 두려워하였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정성을 들여 두 번 세 번 깨끗이 닦는다면, 설사 깨진 곳이 있더라도 죄가 되지 않느니라.”
또 어떤 필추가 발우를 닦다가 깨진 틈새에 밥알이 끼어 있는 것을 보고는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먹지 않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풀로 끄집어내어 물로 세 번 헹군 다음에 마음대로 먹도록 하여라.”
또 어떤 필추가 과거에 불에 그슬렸던 발우에 뜨거운 즙을 담자 기름기가 위에 뜬 채 엉켜 있었다. 그는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먹지 않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위의 기름기를 떠내고 먹도록 하여라.”
또 어떤 필추가 닦은 발우를 한 곳에 놓아두었는데, 3일째 되던 날 다시 닦다가 그만 깨뜨리고 말았다. 그는 문득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발우를 태우려다가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닦은 다음에 그것으로 먹도록 하여라.”
또 어떤 필추가 걸식을 하고 돌아와 발우를 두고 나갔는데, 다른 필추가 역시 걸식을 하고 돌아와 자신의 발우를 앞의 필추 발우 위에 두었다. 그러자 앞의 필추가 의심스러워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음식을 나누어 주는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 받아서 먹을 것이요, 아무도 없다면 위의 음식을 들어내고 먹으면 죄가 되지는 않는다.
022_0962_a_13L爾時佛在室羅伐城有婆羅門及諸居士於逝多林相去不遠芳園之共爲宴會有諸殘食棄在井中諸苾芻欲取水用以羅濾漉於水羅見有飯粒苾芻生疑不用幷貯水亦生疑念以緣白佛佛言不由彼便成不淨濾卽成淨不應棄水諸苾芻池中取水遂見有人洗酥油及以酪甁復有苾芻手執膩鉢於此洗膩浮水上漂汎而住酪甁餘片片下沈彼苾芻疑不敢用緣白佛佛言非彼能令水成不淨卽是淨用之無犯諸苾芻隨路行水極難得至汲水輪所欲取其水心疑不淨因此闕事極生疲苦方入寺中諸苾芻以緣白佛佛言可取其水先應觀察澡漱口已隨意而飮或在非時亦不敢飮佛言非時亦飮不貯甁中佛言應貯諸苾芻於道行時無水可得崩崖泉水疑不敢飮以緣白佛佛言應觀而飮或於非時疑不敢飮佛言非時應飮不敢添甁佛言應添諸苾芻見黃潦水疑不敢飮佛言縱令水濁觀之隨飮或在非時亦不敢飮佛言時與非時飮用無犯添貯甁中亦皆無犯於行路時見皮囊貯水有其酪片疑不敢飮諸苾芻以緣白佛佛言時與非時意飮用汝等苾芻於急難時我所開若無難時竝應遮止若更用者得惡作罪有衆多苾芻遊行人閒至牛營處求水不得彼以酪漿用充洗足生疑不用諸苾芻以緣白佛佛言無水之處若與酪漿應持洗足彼復往牧牛人處從借甁器欲將取水苾芻借得酥油之甁疑不敢用事有闕乏佛言汝等苾芻應知有五種瓨器一者大便器二者小便器者酒器四者油瓨五者酥瓨前之三不應貯物設令貯者遠可棄之之二瓨應以火燒或以鹵土或用牛糞淨洗瓨則成淨可用貯水時與非隨意飮用有苾芻飮非時漿中膩氣遂卽變出生惡作心世尊告先淨洗手次漱脣口旣漱口已可飮漿如世尊說淨漱口者諸苾芻便用鹵土以揩脣吻因卽皴裂應用牛糞淨洗脣口鄔波離白佛如世尊說應淨口者齊何名淨有染之口此亦何能令成無染以乾淨牛糞撚之令碎或以澡豆和水揩脣除食膩氣復以兩三掬水再三漱口卽名爲淨凡諸苾芻若飮若噉時與非時竝應如是然後方飮不爾者隨飮隨咽咸惡作罪復有苾於非時中以手捉甁向口注水先入甁出便被螫諸苾芻以緣白佛言不應以甁注口飮水先淨洗及淨漱口方注甁水手承而飮復苾芻應作盛君持籠彼不知以何物作佛言應用版木或以塼石置水甁不令虫入如世尊說先淨漱手方飮水者道路行時有少許水可於葉中飮見是靑葉無人摘授佛言枯黃落葉自取飮水或時落葉求亦不得就枝以葉承水飮用或連條葉轉更難求佛言應就屛處淨漱口已以甁注口隨意而飮其開遮事廣說如前具壽頡離跋底隨在何生疑惑心是故時人遂共號爲多疑頡離跋底見彼甁水流注下時如是念他人瀉水連注鉢中豈非惡遂便不受諸苾芻以緣白佛凡諸流物皆悉向下不能向上應受用勿生疑惑竝皆無犯如是乳漿等准此應知乃至佛言勿生疑有苾芻共諸商旅隨路而行諸求寂持其路糧在後而來蹔停欲告苾芻曰爲我擎擧諸苾芻不敢擎擧以緣白佛佛言應爲擎擧復告言爲我擎下苾芻生疑不與擎佛言應與擎下後時求寂持其道隨路而去負重疲困復白苾芻爲持去我當歇息苾芻不肯佛言以繩繫令求寂執繩可爲擎持令其蹔息後遂生疑我自手解遂不敢食佛言食皆無犯諸苾芻與諸商旅同路而去忽被强賊劫奪商人求寂持糧棄之而走諸苾芻不取路糧亦棄而去彼於後時告求寂曰汝今可去取彼路糧求寂答曰今欲令賊殺我耶我不能仁可自取苾芻生疑亦不往取糧旣乏遂闕行途以緣白佛佛言應自取旣自持來生疑不食諸苾芻以緣白佛佛言應食無犯有苾芻令求寂持路糧欲渡河水不知云何佛言應問求寂汝能爲我持糧幷自渡不答言我但自渡無力持糧苾芻應助擎持渡河求寂若言無力自渡豈暇持糧苾芻若能擎彼求寂幷持路糧者善若不爾者先渡其糧後擎求寂諸苾芻生疑不食以緣白佛佛言應食無犯如世尊言苾芻於鉢中食有一苾芻洗鉢時見有破處有所犯佛言應可用心再三淨洗有破處此亦無犯復有苾芻洗鉢時於彼隙中見有飯粒疑不用食以緣白佛佛言應以草莛摘去將水三灌隨情受用復有苾芻用舊熏鉢盛熱汁時遂便膩出浮上凝住生疑不食以緣白佛佛言應去上膩宜可食之復有苾芻旣洗鉢已置於一處至第三日而更洗用遂卽破壞彼便生疑鉢燒未熟以緣白佛佛言洗而應食復有苾芻乞食歸來置鉢而出更有苾芻亦乞食來卽便以鉢置彼鉢上苾芻見已生疑以緣白佛佛言有授食人受而方食必若無人掠去上食食便非犯
022_0964_a_01L또 어떤 필추가 걸식을 하고 돌아와 발우를 두고 나갔는데 속인이 와서 발우의 음식에 손을 대었을 때는, 그에게 ‘너는 이 음식에 대해 바라는 마음이 있느냐?’라고 물어 보아, 그가 ‘파리나 풀잎을 떼어 내려고 하였다’고 하면 음식을 받아먹을 것이요, ‘바라는 마음이 있어 손을 대었다’고 한다면 그에게 나누어 주고 먹어야 할 것이다.”
당시 어떤 필추가 걸식을 하고 돌아와 발우를 한 곳에 두었는데, 어떤 사미가 걸식을 하고 돌아와 발우의 밥을 덜어 필추의 발우에다 넣어 두었다. 이에 필추가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음식을 먹지 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발우에 넣은 밥은 많으면 덜어내고 마음대로 먹도록 하여라.”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필추들이 길을 갈 적에는 식량을 가지고 가야 한다고 하셨는데, 속인이나 사미가 없을 때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시주에게 가지고 가라고 권해야 할 것이나, 시주도 없을 경우에는 스스로 가지고 갈 것이다.”
그 후 속인을 만나서는 서로 바꾸어 먹었는데, 바꿀 적에는 꼭 양분하지는 않고 속인에게 말하기를 “너는 일부분을 가지라”고 하였다. 그가 받고서는 필추에게 말하기를 “너는 나의 음식을 갖고 나는 너의 부분을 가져 서로 바꾸어 먹으니, 이것은 또한 얻기 어려운 일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첫 번째 날에는 음식을 끊고 다음 날 주는 사람이 있거든 받아먹도록 하고, 주는 자가 없거든 스스로 한 주먹 정도를 먹도록 하며, 셋째 날에도 주는 사람이 없거든 두 주먹 정도를 먹도록 한다. 넷째 날이 되어서도 주는 사람이 없거든 스스로 마음대로 배불리 먹어도 죄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 후 길 양식이 모두 떨어졌는데, 길가에 떨어진 과일을 보게 되었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집어서 깨끗이 씻은 다음 먹어야 할 것이다. 만일 정인(淨人)8)이 없거든, 깨끗하게 하지 못하더라도 받아서 먹어야 할 것이다.”
주는 자도 없을 경우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스스로 집어 먹되 가장 깨끗한 세계를 마음속으로 생각하며 먹어야 할 것이다.”
또 나무의 과일이 익었으나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였을 경우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스스로 나무 위로 올라가 가지를 흔들어 떨어뜨려서 먹어야 할 것이니라. 너희 여러 필추들이여, 위에서 허락한 일들은 모두 어려운 경우에 한해서 허락된 것이니, 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서는 모두 그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를 어기는 자가 있다면 모두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022_0963_c_18L復有苾芻乞食旣還置鉢而出有俗人來遂便觸著應可問言爾於此食有希望耶若言我見有蠅或見草葉拂令去者應受而食若言有希望心爲斯觸者應可分與受而方食苾芻乞食來已安鉢一處復有求寂乞食後至便持鉢飯置苾芻鉢中芻生疑遂便斷食佛言鉢著飯處可多除隨意而食如世尊說凡諸苾芻若道行時應持糧者旣無俗人無求寂佛言應勸施主施主亦無自持去後見俗人共換而食換處亦分爲兩分告俗人曰汝取一分旣入手應告彼曰汝取我食我取汝換易而食此復難求以緣白佛於第一日應須絕食若至明日有授人受取而食若無授者自取一拳許而食至第三日還無授者二彪拳至第四日復無授人隨情自飽食無犯於後路糧罄盡見有熟果墮地佛言應取作淨受已而食若淨人難得者設不作淨受已應食授者亦無佛言應可自取作北洲想持心而食樹上果熟未落地者佛言應自上樹搖振令墮自取而食汝諸苾芻如上開者竝爲難緣若無難時皆悉制斷若有違者咸得惡作罪

4. 별문(別門) 네 번째 총섭송
022_0964_a_22L目得迦別門第四摠攝頌曰
022_0964_b_01L
왕이 보시한 밭은 소작을 주어 돌보게 하고
결격 사유가 있는 사람은 모임에서 대중의 화합을 깨뜨리지 못한다.
스님 공동의 침구에서 알몸으로 자서는 안 되며
한 곳에 보시한 물건을 다른 곳의 필추가 거저먹어서는 안 된다.
스님 공동 소유의 옷에는 시주의 이름을 적어 두고
죽은 사람의 옷을 보시하면 받아야 할 것이며
사탕수수는 필추니ㆍ사미의 몫을 똑같이 할 것이며
약차(藥叉)가 바친 과일은 불로 청정케 해서 먹고
내의[裙]가 더럽혀졌을 경우를 대비해 보조 내의를 가지고 다니도록 할 것이다.
022_0964_a_23L與田分不應 赤體定物施 僧衣字還往甘蔗果容裙
1) 첫 번째 자섭송①
022_0964_b_02L第一子攝頌曰

왕이 보시한 밭은 속인에게 경작시켜 돌보게 하고
수레나 배로 소출을 운반할 때는 서로 도와야 할 것이다.
소락이나 약을 달일 때 정인이 없으면 필추가 살펴야 할 것이며
까마귀나 파리가 더럽힌 음식은 먹어도 될 것이다.
네 곳의 큰 탑에 바치라고 한 것은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하며
두 필추 사이에 다툼이 있으면 욕심이 적은 쪽을 믿어야 한다.
022_0964_b_03L與田分相助 車船沸自取 烏嘴蠅無慚制底信少欲

그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죽림원에 계셨다.
당시 영승대왕이 천 이랑의 밭을 스님 대중에게 보시하였는데, 필추들이 곡식을 거둬 먹기만 하고 밭을 돌보지 않아 좋은 밭에 온통 잡초만 무성하였다. 영승대왕이 성을 나와 돌아다니다가 그 곳을 둘러보고 물어 보았다.
“이곳은 누구의 밭인데 잡초만 무성한가?”
대신들이 대답하였다.
“이곳은 대왕께서 스님들에게 보시한 천 이랑의 밭입니다. 그런데 저들이 밭의 곡식만 거두어 먹고 돌보지 않아 이렇게 황폐해졌습니다.”
왕이 물었다.
“스님 대중들은 속인들에게 나누어 주어 돌보게 하지 않았단 말인가?”
신하들이 대답하였다.
“나누어 주어 돌보게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여러 필추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속인에게 나눠 주어 소출이 있게 하여라.”
그러자 필추들이 밭에서 나오는 곡식을 모두 경작하는 사람들에게 주고 자신은 조금도 갖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왕법(王法)에 따라 소작료를 받도록 하여라.”
이에 필추들이 소작료를 받게 되었는데, 소작인들이 자신의 몫만 챙기고 나머지 곡식은 그대로 버려두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절의 몫을 가져다주고 자신들의 몫을 갖도록 하여라.”
그 뒤 곡식을 운반하다가 도적들에게 빼앗기는 일이 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잘 호위하여 도적들에게 빼앗기지 않도록 하여라.”
스님들의 몫을 실은 수레가 절에 들어서려다 그만 기우뚱거리며 넘어지게 되어 스님들을 불러 도와 달라고 하였다. 그때 필추들이 그것이 승거(僧車)임을 알고는 손을 대려고 하지 않았다.
022_0964_b_05L爾時佛在王舍城竹林園中影勝大王以千畝田施與僧伽諸苾芻雖常食噉捨而不問遂使良田竝生茅荻影勝王因自出遊見而問曰此是誰田竝生茅荻大臣答曰此是大王以千畝田奉施聖衆彼收田實不爲修理由此荒廢王曰豈可僧伽不與他分答曰不與諸苾芻聞以緣白佛佛言應與俗人作其分數苾芻所有田穀竝與耕人不自取分佛言應准王法取分卽便取分然諸作人旣得己分棄穀而去佛言應運稻穀令入寺中諸作人先持自分後持寺分佛言先持寺分己分方持雖後運來賊還偸竊佛言應須掌護勿令賊盜般運入時唯載僧分車欲傾覆喚諸苾芻願見相助諸苾芻見是僧車便不敢觸
022_0964_c_01L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런 경우에는 당연히 도와주어야 한다.”
병든 필추가 길을 따라 가고 있었는데, 수레를 몰던 사람이 그 필추에게 말하였다.
“스님, 이 수레를 타고 가시지요.”
그러나 그 필추는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레의 앞턱 가로나무[軾] 자리만 피한다면 수레를 타고 가더라도 죄가 되지는 않는다.”
또 배에 물건을 싣고 운반하다가 배가 낮은 곳에 부딪히게 되자 선장이 말하였다.
“스님들, 우리를 도와 배를 밀어 주십시오.”
그때 여러 필추들은 그것이 승선(僧船)인지라 서로 도우려고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당연히 도와서 밀어 주어야 할 것이다.”
당시 필추들은 육로로 가고 있었는데 매우 피곤하였다. 이에 선주가 필추들에게 말하였다.
“함께 배를 타고 가시지요.”
그러나 필추들은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배의 키가 있는 곳에만 제외하곤 마음대로 배를 탈 수가 있느니라.”
언젠가 짐꾼이 짐을 지고 가다가 잠깐 멈춰 쉬고자 하여 필추들에게 말하였다.
“제가 잠시 쉬고자 하니 잠시 짐을 내려 주십시오.”
그러나 필추들이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내려주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내려 주어야 할 것이다.”
또 어떤 짐꾼이 도중에 피곤하여 잠시 멈춰 쉬고자 하여 필추들에게 말하였다.
“저를 위해 짐을 들어 주시어 잠시 피로를 풀게 해 주십시오.”
그러나 필추들이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그 말을 들어 주지 않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끈으로 짐을 묶고 그 끈을 잡는 방법으로 짐을 들고 있도록 하여라.”
당시 도적이 습격하자 필추와 짐꾼들이 짐을 버리고 달아났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가서 짐을 가지고 와야 할 것이다.”
필추들이 누가 가서 가져와야 좋을지 모르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속인을 보내야 할 것이나, 속인이 없으면 사미를 보내도록 하여라. 사미도 없으면 필추가 가서 가져오도록 하여라.”
필추들이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어 먹지 못하고, 이 일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먹어도 죄가 되지 않느니라.”9)
스님 공동 소유의 솥에 불을 때다가 그 속에 있는 소(酥)ㆍ낙(酪)이 부글부글 끊어 흘러넘치는데 정인(淨人)이 없어 다 쏟아지게 되었다.
이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럴 때에는 정인을 떠나지 못하게 해야 하는데 부득이한 일이 있어 나갔다면, 필추가 곧 땔나무를 아궁이에서 빼내야 할 것이다. 그래도 계속 끊으면 국자로 저어 가라앉혀야 할 것이다. 약을 달일 때 약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면 그것 역시 이와 같이 해야 할 것이다. 너희 여러 필추들이여, 내가 어려운 일을 당해 부득이해서 허락한 것들은 어려운 일이 없을 때에는 그만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는 자가 있다면 모두 악작죄를 짓는 것이니라.”
022_0964_b_23L佛言此應相助有病苾芻隨路而去御車之人告苾芻曰聖者可乘此車苾芻生疑而不敢乘佛言但避車軾乘去無犯又復以船運載其物船旣突淺船師告曰聖者願見相助共我推船諸苾芻以是僧船不敢相助佛言應可助推諸苾芻陸路而去極生疲困是時船主告苾芻言可共乘船諸苾芻疑不敢上佛言除其拖處隨意乘船或時以擔而摙其分欲蹔停息告苾芻曰我欲歇息蹔來下擔苾芻生疑不敢爲下佛言應可爲下復有擔人中途疲困欲求止息告苾芻曰爲我擎擔蹔解疲勞彼諸苾芻疑不爲擧以緣白佛佛言以繩繫擔令持繩已方爲擧擔或時半路棄擔而逃有賊來收擔將去佛言應可持行苾芻不知遣誰將去佛言應遣俗人此若無者可令求寂此亦無者苾芻收取諸苾芻等疑不敢食由自手觸以緣白佛佛言應食無犯僧祇釜鑊然火旣多於中酥酪沸騰出外淨人若無恐虛損棄佛言此時淨人不應令去必有要緣須出外者苾芻卽應抽卻薪火沸仍不止應以杓攪若煮藥時藥沸騰上類此應知汝諸苾芻我爲難緣所開許者於無難時竝應制斷若有行者咸得惡作根本說一切有部目得迦卷第九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㓮造
  1. 1)남근(男根)이 온전하지 않은 자를 말한다.
  2. 2)불법을 훼손할 마음으로 출가한 자를 말한다.
  3. 3)죄를 지어 따로 거처하며 근신하고 있는 필추를 말한다.
  4. 4)승가 전체 소유의 물건으로 이것은 다른 데서 오는 필추에게 공양하기 위해 쓰인다.
  5. 5)수미산 꼭대기에서 12만 유순 되는 곳에 있다는 천계(天界)로서 7보로 된 궁전이 있고 한량없는 하늘 사람이 살고 있다. 도솔천이라고도 한다.
  6. 6)인도의 풍속에서는 소의 똥[牛糞]을 가장 청정한 것이라 하여 정물(淨物)로 사용한다.
  7. 7)필추의 18물 중 하나. 녹두, 팥 따위를 갈아서 만든 가루비누이다.
  8. 8)절에 있으면서 스님들을 받들어 섬기는 속인을 말한다.
  9. 9)이 문단에는 탈오(脫誤)나 착간(錯簡)이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