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阿毘曇毘婆沙論卷第六十

ABC_IT_K0951_T_060
025_0988_b_01L
아비담비바사론 제60권
025_0988_b_01L阿毘曇毘婆沙論卷第六十
025_0988_b_02L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 도태 등 한역
025_0988_b_02L迦旃延子造 五百羅漢釋
北涼天竺沙門浮陁跋摩共道泰等譯


4) 상응품 ④
025_0988_b_04L智揵度相應品第四之四
025_0988_c_02L【문】가령 과거의 타심지(他心智)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과거를 성취하는 경우 반드시 미래를 성취하기 때문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계에 태어나 욕계의 욕을 떠나는 경우와 색계(色界)에 태어나는 경우이다.
또 가령 학인(學人)이 욕계ㆍ색계에서 무루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지 못한 경우이다.
【문】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하는데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리면 성취하지 않는다.
욕계ㆍ색계에 태어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일이 없다.
가령 욕계ㆍ색계에서 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그 곳에서 아라한과를 얻는 경우, 이때에는 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으며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타심지는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다.
가령 성인(聖人)이 욕계ㆍ색계에서 무루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는 경우에는 미래의 타심지만 성취하고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문】가령 과거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가령 그 밖의 다른 지(智)를 일으키지 않고 인(忍)을 일으키지 않고 무심(無心)이 아닌 경우라야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가령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계ㆍ색계에 태어나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라고 하는가?
【답】가령 그 밖의 다른 지와 인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이 아닐 때라야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타심지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계ㆍ색계에 태어나 타심지가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때이다.
【문】가령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기 때문이다.
【문】가령 과거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한다. 현재의 타심지는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계ㆍ색계에 태어나 타심지가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미래의 타심지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욕계ㆍ색계 중에 태어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일이 없다.
가령 학인(學人)이 욕계ㆍ색계 중에서 무루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 경우이다.
가령 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라한과를 얻는 경우, 이때에는 미래의 타심지만 성취한다.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욕계에 태어나 욕애는 떠났는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와 색계에 태어나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학인이 이미 무루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 경우이다.
나아가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것은 욕계ㆍ색계에 태어나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문】가령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문】가령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등지(等智)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일체의 중생들이 모두 다 과거ㆍ미래의 등지를 성취하기 때문이다.
【문】미래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가령 과거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가령 무루지(無漏智)를 일으키지 않고 인(忍)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無心)이 아닌 경우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가령 현재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경본(經本)에서 설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비지(比智)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ㆍ비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4심경(心頃)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가령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에는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수다원과(須陀洹果)ㆍ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었을 때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에는 이런 일이 없다. 왜냐하면 이때에는 먼저 비지가 있기 때문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 2심경과 사다함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비지는 그렇지 않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와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었을 때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문】가령 과거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았다면 곧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見道)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왜냐하면 견도 중에서는 먼저 법지를 얻기 때문이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에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에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면서 미래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가령 미래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비지를 성취하면서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그 밖의 다른 지(智)를 일으키지 않고 인(忍)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無心)이 아닐 때에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면서 현재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멸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현재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한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아직 비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수다원과와 아라한과를 얻고 시해탈의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에는 이런 일이 없다.
정결정을 얻었을 때,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사다함과ㆍ아나함과를 얻고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見到人)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비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과거 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ㆍ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고 비지를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과거 비지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 및 과거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고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는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비지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見道)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고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한 법지는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ㆍ현재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 않으며, 어떤 경우에는 미래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한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아직 비지는 얻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이다.
미래 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지 않았고, 비지를 얻었는데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는데 현재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미래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지 않았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미래ㆍ현재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문】가령 미래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ㆍ현재의 비지도 성취하고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見道)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비지와 미래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데 과거의 비지와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비지와 미래의 비지를 성취한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미래의 비지를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일으켜서 이미 소멸하였지만 잃지 않았고 비지를 아직 얻지 않은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이다.
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지 않았고 비지를 얻어서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와 아라한과를 얻었을 때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에는 이와 같은 일이 없다. 왜냐하면 비지가 눈앞에 드러나 얻기 때문이다.
사다함과와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와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見到)가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비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과거 비지와 미래 비지를 성취하는 것은, 법지와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지 않은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과거ㆍ미래의 비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4심경(心頃)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와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時解脫)이 근을 전환할 때, 법지와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ㆍ미래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말한 때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는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미래의 비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왜냐하면 법지가 눈앞에 드러나 얻기 때문이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여기에는 5구가 있다.
【문】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과거ㆍ미래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비지를 성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미래ㆍ현재의 비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비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과거 비지ㆍ미래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법지와 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3세의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과거를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과거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애를 떠난 사람이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아나함과ㆍ아라한과를 얻었을 때와 욕애를 떠난 사람인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었을 때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아직 욕애를 떠나지 못한 사람이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와 사다함과를 얻었을 때와 아직 욕애를 떠나지 못한 사람인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이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는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욕애를 떠난 사람이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아나함과ㆍ아라한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욕애를 떠난 신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었을 때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는 경우와, 가령 욕계ㆍ색계에서 무루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 경우와, 욕계에 태어나 욕애를 떠난 범부와 색계에 태어난 범부의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어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얻어서 잃지 않는다고 하는가?
【답】가령 욕애를 떠나고 그 욕을 떠난 자리에서 퇴전하지 않는 것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문】가령 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때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욕애를 떠난 사람이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아나함과ㆍ아라한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욕애를 떠난 신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었을 때와, 시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인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였더라도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색계ㆍ무색계에 태어났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그곳에서 아라한과를 얻는 경우이다.
또 욕계에 태어나 욕(欲)을 떠난 범부와 색계에 태어난 범부의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가령 그 밖의 다른 지(智)를 일으키지 않고 인(忍)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無心)이 아닐 경우라야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아나함과(阿那含果)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고 명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또한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인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고 명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와 설령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그곳에서 아라한과를 얻어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또 욕계ㆍ색계에 태어나는 범부는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타심지를 성취하지만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한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타심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렸는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욕애를 아직 떠나지 않았을 때이다.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은 것은 곧 법지ㆍ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잃어버리지 않았는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른 것은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것은, 법지와 타심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잃어버리지 않았으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명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하였을 때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타심지와 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으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으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고 명(命)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와 설령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색계에 태어나 아라한과를 얻어서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또 욕계ㆍ색계에 태어나는 범부가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이 가운데에는 3구가 있다.
【문】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잃어버리지 않고 타심지를 얻지만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는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는데 현재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욕애를 떠난 사람이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아나함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는 않는 경우이다.
가령 욕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고 명이 다하여 색계에 태어나 아직 아라한과를 얻지 못하였을 때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가령 무색계에 태어나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 경우이다.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잃지 않고 타심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과거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때를 설한 때와 같다.
【문】가령 미래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여기에는 3구가 있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의 답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미래의 타심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타심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타심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가?
【답】욕계와 색계에 태어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일이 없다.
가령 욕계와 색계에서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고 무루타심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는데 명이 다하여 무색계에 태어나 아라한과를 얻지 않는 경우이다.
【문】과거ㆍ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ㆍ미래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ㆍ현재의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여기에는 4구가 있는데 상(相)에 따라서 설한다.
【문】가령 과거ㆍ미래ㆍ현재의 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이 역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등지(等智)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과거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心頃)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때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등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일체의 범부인과 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미래의 등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미래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이 역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가령 무루지(無漏智)를 일으키지 않고 인(忍)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無心)이 아닌 경우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현재의 등지를 성취하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등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현재의 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때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의 등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등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등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머지는 상(相)에 따라서 자세하게 7구를 만든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ㆍ고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내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집지ㆍ멸지ㆍ도지ㆍ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일으켜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고지ㆍ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고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고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미래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가령 미래의 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는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고지도 성취하고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고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답】가령 그 밖의 다른 지를 일으키지 않고 인을 일으키지 않거나 무심이 아닐 경우라야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고 현재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현재 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으면 곧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 고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현재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여기에는 4구가 있다.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가령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성취하는데, 고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과거의 고지는 성취하지만 현재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ㆍ고지는 성취하는데 현재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는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현재 고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 것은,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고 고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설령 소멸하였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현재 고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고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 중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과거ㆍ현재의 고지를 성취하는 것은,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와 과거ㆍ현재의 고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ㆍ고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고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ㆍ현재의 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다면 곧 성취한다.
앞에서 그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현재의 고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에는 이런 일이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와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고지ㆍ비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고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리고 고지ㆍ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ㆍ현재의 고지를 성취하는가?
【답】미래의 고지는 성취하고, 현재 고지는 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 성취한다. 나머지는 상(相)에 따라서 설한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미래의 고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고지는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 성취한다. 나머지는 상에 따라서 설한다.
【문】가령 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ㆍ현재의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이 가운데에 4구가 있는데 상에 따라서 설한다.
가령 법지와 고지의 경우 7구를 만드는 것처럼, 법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7구를 만든다.
과거의 법지ㆍ과거 비지ㆍ과거의 타심지의 경우 7구를 만든다. 나아가 도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7구를 만든다.
나머지 자세한 내용은 사건도(使揵度)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일행(一行)과 역륙(歷六)과 소칠(小七)과 대칠(大七)의 차별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답도 사건도에서 설한 것과 같다.
025_0988_b_05L若成就過去他心智亦成就未來耶答曰如是所以者何若成就過去成就未來何等時成就過去未來他心智耶答曰生欲界離欲界欲者生色界者若學人於欲界色界已起滅無漏他心智命終生無色界未得阿羅漢果者設成就未來他心智成就過去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如先說若未滅設滅便失則不成就生欲界色界則無是事若於欲色界已起滅他心智命終生無色於彼得阿羅漢果者是時不起滅他心智先起滅者得果故失若聖人於欲色界不起滅無漏他心智命終生無色界者唯成就未來他心智過去若成就過去他心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若不起餘智不起忍若非無心乃現在前設成就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耶答曰如是何等時成就過去現在他心智耶答曰生欲色界起他心智現在前若成就未來他心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答曰若不起餘智及忍若非無乃現在前何等時成就未來現在他心智耶答曰生欲色界起他心智現在前設成就現在他心智亦成就未來耶答曰如是所以者何若成就現在必成就未來若成就過去他心亦成就未來現在耶答曰未來則成就現在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如先說何等時成就三世他心智耶答曰生欲色界起他心智現在前成就未來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答曰如是何等時成就三世他心智耶答曰如先說若成就未來他心亦成就過去現在耶答曰或成就未來他心智非過去現在及過去非現在及過去現在何等時成就未來他心智非過去現在耶答曰生欲界中無有是事若學人於欲色界中不起滅無漏他心智命終生無色界未得阿羅漢果者若已起滅他心智命終生無色界得阿羅漢果者是時唯成就未來及過去非現在者生欲離欲愛不起他心智現在前生色不起他心智現在前若學人已起滅無漏他心智命終生無色界未得阿羅漢果者及過去現在者生欲色起他心智現在前設成就過去他心智現在他心智亦成就未來耶如是何等時成就三世他心智耶答曰如先說時若成就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未來耶答曰如是何等成就三世他心智耶答曰如先說設成就過去未來他心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答曰如先說若成就過去等智亦成就未來耶如是所以者何一切衆生盡成就過去未來等智故成就未來等智成就過去耶答曰如是若成就過去等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若不起無漏智不起若非無心乃現在前設成就現在等智亦成就過去耶答曰如是餘廣說如經本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比智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過去法智比智耶答曰得正決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起滅法智比智乃至時解脫轉根不動已起滅法智比智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法不成就比智耶答曰得須陁洹果阿羅漢果時解脫轉根作不動時有是事所以者何是時先有比智故何等時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比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得斯陁含果時已起滅法智比智先起滅者得果故失得阿那含信解脫轉根作見到亦如是設成就過去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過去比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所以者何見道中先得法智故得須陁洹果時已起滅比智不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比智不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比智耶答曰若得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比智耶答曰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已起滅法智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設成就未來比智亦成就過去法智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未來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未來比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無有是事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不起滅法智若成就過去法智成就現在比智耶答曰若成就現在云何爲現在前若不起餘智不起若非無心乃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比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已起滅法智起比智現在前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起比智現在前設成就現在比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現在比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得須陁洹果未起滅法智先起滅法智者得果故失起比智現在前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先起滅法智者得果轉根故失起比智現在前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現在比智耶答曰或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現在比智及過去非現在及現在非過去及過去現在成就過去法智非成就過去現在比智者已起滅法智未起滅比智不起比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現在比智耶答曰得須陁洹果阿羅漢果時解脫轉根作不無有是事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斯陁含果阿那含果信解脫轉根作見到時已起滅法智未起滅比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捨不起比智現在前及過去非現在者已起滅法智比智不起比智現在前何等成就過去法智比智不成就現在比智耶答曰如先說及現在非過去已起滅法智起比智現在前若未設滅便失何等時成就過去法智現在比智非過去比智耶答曰如先及過去現在者已起滅法智比智起比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過去現在比智耶答曰得正決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得須陁洹果已起滅法智比智比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已起滅法智比智起比智現在前設成就過去現在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等時成就過去現在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如先說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在比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已起滅比智起比智現在前未起滅法智起滅者得果故失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說亦如是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現在比智耶答曰或成就過去法智不成就未來現在比智及未來非現在及未來現在成就去法智非未來現在比智者已起滅法智不失未得比智何等時成就過去法智非未來現在比智耶答曰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及未來非現在者已起滅法智不失得比智不起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未來比智非現在耶答曰如先說未來現在者已起滅法智不失起比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成就未來現在比智耶答曰得正決見苦諦時一心頃見集諦時一心見滅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起滅法智起比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亦如是設成就未來現在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未忠士現在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如先說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未來現在比智不成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事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時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比智現在前若成就法智亦成就過去未來比智耶答或成就過去法智非過去未來比智及未來非過去及過去未來成就過去法智非過去未來比智者已起滅法智不失未得比智何等時成就過去法智非過去未來比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及未來非過去者已起滅法智不失得比智滅設滅便失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未來比智非過去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阿羅漢果時解脫轉根作不動時有是事所以者何比智在前得故得斯陁含阿那含果信解脫轉根作見到時已起滅法智未起滅比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及過去未來比智者已起滅法智比智不失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過去未來比智耶答曰得正決定見集諦時四心頃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須陁洹果已起滅法智比智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比智設成就過去未來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未來比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所以者何法智在前得故得須陁洹已起滅比智未起滅法智先起滅已得果故失乃至時解脫轉根不動亦如是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未來現在比智耶答曰是中有五句成就過去法智非過去未來現在比智者答曰如先說及未來過去現在者答曰如先說及過去非現在者答曰如先說及未來在非過去者答曰如先說及過去現在者已起滅法智比智起比智現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三世比智耶答曰得正決定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比智起比智現在前設成就過去未來現在比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如先說若成就過去法智成就過去他心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過去何等時成就過去法他心智耶答曰離欲愛人得正決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得阿那含果阿羅漢果離欲愛人信解脫轉根作見到時解脫轉根不動已起滅法智他心智若不滅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法智非他心智耶答曰未離欲愛人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斯陁含果離欲愛人信解脫轉根作見到時起滅法智設成就過去他心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他心智法智耶答曰離欲愛人得正決定苦諦時二心頃得阿那含果阿羅漢未起滅法智設起滅者得果故失離欲愛信解脫轉根作見到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設起滅者轉根故失若於欲界不起滅法智終生色界者若於欲界色界已起滅無漏他心智不起滅法智命終生無色界未得阿羅漢果者生欲界離欲愛凡夫生色界凡夫若成就過去法亦成就未來他心智耶答曰若得不失則成就云何得不失若離欲愛於彼離欲不退何等時成就過去法亦成就未來他心智耶答曰如先說時設成就未來他心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已滅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何等時成就未來他心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離欲愛人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得阿那含果阿羅漢果未起滅法智設起滅者果故失離欲愛信解脫轉根作見到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起滅者轉根故失若於欲界未起滅法智命終生色無色界設起滅者於彼得阿羅漢果生欲界離欲凡夫生色界凡夫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他心智耶答曰若現在前何爲現在前若不起餘智不起忍非無心乃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成就現在他心智耶答曰得阿那含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起滅法智起他心智現在前若於欲起滅法智命終生色界起他心智現在前設成就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現在他心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得阿那含果乃至時解脫轉根不動未起滅法智設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他心智現在前若於欲界不起滅法智命終生色界起他心智現在前設起滅者卽於彼得阿羅漢起他心智現在前生欲色界凡夫起他心智現在前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現在他心智耶答曰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現在他心智及過去非現在及過去現在就過去法智非過去現在他心智者若已起滅法智不起滅他心智設起滅者便失不起他心智現在前何等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現在他心智耶答曰如先說未離欲愛時及過去非現在前者已起滅法智心智不失不起他心智現在前如先異者言不起他心智現在前及過去現在者已起滅法智他心智不失起他心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現在他心智耶見道中無有是事得阿那含果起滅法智起他心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起他心智現在前若於欲界已起滅法智命終生色界未得阿羅漢果起他心智現在前設成就過去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現在他心智非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阿那含果未起滅法智他心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不動未起滅法智起他心智現在前若於欲界不起滅法智命終生色界起他心智現在前設起滅者生色界得阿羅漢果起他心智現在前生欲色界凡夫起他心智現在前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現在他心智答曰此中有三句成就過去法智不成就未來現在他心智者答如先及未來非現在者已起滅法智不得他心智不起現在前何等時就過去法智及未來他心智非現在答曰離欲愛人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阿那含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不起他心智現在前若於欲界起滅法智命終生色界未得阿羅漢果不起他心智現在前若生無色未得阿羅漢果及未來現在者起滅法智不失起他心智現在前等時成就過去法智及未來現在他心智耶答曰如先說成就過去現在他心智時設成就未來現在他心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如先說若成就過去法亦成就過去未來他心智耶答曰此中有三句成就過去法智非過去未來他心智者答如先說及未來過去者已起滅法智他心智未起滅設滅便失何等時成就過去法智未來他心智耶答曰生欲色界無有是事若於欲色界起滅法智不起滅無漏他心智命終生無色界未得阿羅漢果及過去未來他心智者答曰如先說設成就過去未來他心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如先說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未來現在他心智耶答曰此中有四句隨相而設成就過去未來現在他心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亦如先說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等智答曰如是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等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起滅法智設成就過去等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等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一切凡夫人及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得須陁洹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設起滅者得果轉根故失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等智耶如是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未來等智答曰如先說設成就未來等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已滅不失則成就如先說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亦如先說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等智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若不起無漏智不起忍若非無心乃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現在等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時已起滅法智起等智現在前設成就現在等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現在等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起等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等智現在餘隨相廣說作七句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苦智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過去法智苦智耶答曰得正決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不動已起滅法智苦智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法不成就過去苦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集道法智起滅苦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設成就過去苦智亦成就過去法智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過去苦智法智耶如先說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就過去苦智不成就過去法智耶見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苦比未起滅法智設起滅者得果轉根故失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苦智耶答曰如是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苦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設成就未來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未來苦智成就過去法智耶答曰如先說時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就未來苦智不成就過去法智耶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成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苦智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若不起餘智不起忍若非無心乃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苦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起苦智現在前設成就現在苦智亦成就過去法智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成就現在苦智不成就過去法智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苦智現在前若成就過去法亦成就過去現在苦智耶答曰中有四句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現在苦智者若已起滅法智不失則成就未起滅苦智設起滅者便失不起苦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不成就過去現在苦智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已起滅法智未起滅苦智設起滅者得果故失不起苦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未起滅苦設起滅者得果轉根故失不起苦智現在前及過去非現在者已起滅法智苦智不起苦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苦智不成就現在苦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起滅法智苦智不起苦智現在前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苦智不起苦智現在前及現在前非過去者若已起滅法智不失未起滅苦智設起滅者便失起苦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現在苦智非過去耶答曰見道中無有是事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未起滅苦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苦智現在前及過去現在者已起滅法智苦智起苦智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法智及過去現在苦智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苦智苦智現在前設成就過去現在苦智亦成就過去法智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過去在苦智不成就過去法智耶答曰道中無有是事得須陁洹果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苦比智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苦比智現在前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現在苦智耶答曰未來則成就現在若現在前餘隨相而說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未來苦智耶答曰未來則成就過去若滅不失則成就餘隨相而說若成就過去法智亦成就過去未來現在苦智答曰此中有四句隨相而說如法智於苦智作七句法智於集道智作七句亦如是過去法智過去比智過去他心智作七句乃至道智作七亦如是餘廣說如使犍度一行歷六七大七有以差別答亦如使犍度
阿毘曇毘婆沙論卷第六十
비바사서(毘婆沙序)
025_0995_c_06L毘婆沙序
석도연(釋道挻) 지음
025_0995_c_07L釋道挻作
025_0996_a_02L비바사는 3장(藏)의 지귀(指歸)이고, 9부(部)의 사남(司南)이니, 사남으로 기준을 잡으면 온갖 미혹이 혁파되어 바로잡히고 지귀를 선양하면 사륜(邪輪)이 수레를 멈추게 된다.
석가께서 천휘(遷暉)하신 지 6백여 년이 지난 때에 북천축(北天竺)에 5백 아라한[應眞]이 오랫동안 꺼지고 신령스러운 횃불이 빛을 잃어 중생[含生]이 무명에 가리워져 진성(眞性)을 상실하였으므로 다시 은혜를 입혀야 할 때가 되었다고 여겼다. 비록 전대에 뛰어난 가전연자(迦旃延子)가 『아비담팔건도론(阿毘曇八健度論)』을 지어 퇴락하는 시운을 일으켜 세웠지만, 후진(後進)인 현인들이 그 종지의 극치[宗極]를 추구함에 이르러서는 유묵(儒墨)의 시비(是非)가 분연하게 다투어 일어났다. 이러한 연유로 심신을 명징하게 하고 현묘하게 관(觀)함을 통해 법상(法相)을 조사하고 간별(簡別)하여 『아비담비바사론(阿毘曇毘婆沙論)』을 지어 구구한 학설을 억지시켰다. 어떤 경우에는 학설의 상이점을 논별하고, 혹은 여러 가지 학설을 저울질하고 평하여 나타내니, 이치(理致)가 깊고 넓으며 문제(文蹄)가 아름답고 광박(廣博)하여 서역(西域)의 승달지사(勝達之士)가 이를 토대로 삼아 마음을 거울로 비추어 보지 않음이 없고, 이것으로써 조잡하여 식(識)을 밝히지 않음이 없었으며, 유유한 물결이 잠쇄(潛灑)하여 멀리 이국(異國)에까지 두루 미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치는 공허하게 운행되는 것이 아니고 사람으로 인하여 홍포되는 것이다. 대저거하서왕(大沮渠河西王)은 타고난 심성이 요원광대하고 정성을 표출함에 온화함이담겨 있고, 형적(形跡)은 분주한 왕무(王務)에 얽매였으나 정신은 현묘한 경지에 노닐며 구학(丘壑)과 임야(林野)에 낭관(廊館)을 지었다. 이로써 연수(淵叟)로 하여금 낚싯대를 버리게 하고 암일(巖逸)이 조정으로 찾아오게 하여 식심(息心)과 현객(玄客)이 승당입식(升堂入室)케 하였으니, 이는 성예(誠詣)가 발현하자 이치가 감응한 것이고 의도적으로 기약한 바는 아니었다. 그 중 도태(道泰)스님은 타고난 재주가 영민하고 온화한 기운이 맑고 시원스러워 많은 분야에 관심을 갖고 진기한 풍취(風趣)가있어서 멀리 이언(異言)까지 참구하였다. 그는 한(漢)나라에 이미 방등(方等)을 구비하고 있어서 불교의 유현한 종지(宗旨)가 대략은 천양되었고, 아직 연마하지 못한 것은 3장(藏) 9부(部)뿐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런 연유로 석장을 짚고 험난함을 무릅쓰면서 총서(葱西)에 이르러서 범문(梵文)을 종합적으로 열람하여 고원한 의미와 종지를 계승하고 아울러 호본(胡本) 10만여 게송을 가지고 양경(涼境)에 도착하였다. 왕이 즉시 이를 번역하여 선양하도록 하였지만, 그는 환중(環中)에 갇혀서 혹 미진한 바가 있을까 염려되어 역장(譯長)의 자리를 양보하고 마음을 비워서 밝고 뛰어난 사람에게 부촉하기를 바랐다. 때마침 천축 사문인 부타발마(浮陀跋摩)가 두루 유행하면서 교화를 펴다가 양경(涼境)에 이르렀는데, 그는 불교의 근본 종지를 깨닫고 보다 깊고 넓게 연구하여 신회(神懷)가 심오하고 그윽하였으며, 그 의미를 연구하여 찬앙(鑽仰)하는 것은 더더욱 가늠하기 어려웠다. 마침내 을축세(乙丑歲, 425년) 4월 중순에 왕이 양성(涼城)의 내원(內苑)에 있는 궁사(宮寺)에 청하여 한가로이 머물면서 의미를 논구하고 전역(傳譯)하게 하였다. 사문 지숭(智崇)과 도랑(道朗) 등 3백여 명이 문장을 상고하고 의미를 평하였는데, 근본 종지에 역점을 두는 데 힘썼고 번거로운 것을 삭제하여 실제의 의미와 상즉하게 하니, 번역된 문장이 질박하면서도 비속하지는 않았다. 또 왕이 수레를 되돌려 이곳에 자주 왕림하여 유취(幽趣)를 도야하고 번역된 문장이 근본 이치에 걸맞게 하니, 한마디 한마디의 말에 그 이치가 빠짐없이 담기게 되었다. 정묘(丁卯, 427)년 7월에 도합 1백 권으로 끝마쳤는데, 양성(涼城)이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먼 지역까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역출했던 경본(經本)이 거의 모두 보잘것없이 되어 버렸다. 지금 양왕(涼王)이 중도(中道)의 가르침에 믿음을 일으켜 그윽한 종취를 탐구하고 연마하여 항상 신이(神異)한 전적이 이르러오면 그 가르침을 듣고자 간절히 바라면서 숭앙하였고, 그 해(427년) 초에 이미 역출된 경본 60권을 서사(書寫)하여 송대(宋臺)에 보내어 아직 이것을 듣지 못한 사람들에게 선포하였다. 바라건대 일신(日新)하는 아름다움이 지금 당대에도 창연하게 피어나고 후세에 이르기까지 복과 경사가 일어나 길이 전해졌으면 한다.
사문 도연(道挻)은 소소한 인연으로 말석에 참예하여 가르침을 들었는데, 이 가르침을 만난 기쁨을 저으기 홀로 침묵하고 있을 수만은 없어서 이때의 불사(佛事)의 인연을 대략 예시하여 후대의 현철(賢哲)에게 남긴다.
여래 멸도 후에, 법승(法勝) 비구가 『아비담심(阿毘曇心)』 4권을 만들고, 가전연자(迦旃延子) 『아미담(阿毘曇)』을 지어서, 모두 8편 44품을 갖추게 되었다. 그 후 500응진(應眞)이 『비바사(毘婆沙)』를 짓고, 거듭 8편을 해석하고, 또한 번역하여 100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그런데 후위의 태무(太武, 408~452)가 북량의 저거(沮渠, 397~439)를 격파한 이후에 쇠락하였다가 다시 수습하여 60권을 얻었다. 후대의 사람들이 그것을 분류하여 110권으로 만들었으니, 오직 번역본 3편만이 존재하고 5편은 유실되었다.
025_0995_c_08L毘婆沙者蓋是三藏之指歸九部之司南司南旣住則群迷革正指歸旣則邪輪輟駕
自釋迦遷暉六百餘時北天竺有五百應眞以爲靈燭久潛神炬落耀含生昏喪重夢方始雖前勝迦旃延撰阿毘曇以拯頹運而後進之賢尋其宗致儒墨競搆非紛如故乃澄神畜觀搜簡法相毘婆沙抑正衆說或卽其殊辯或搮之銓評理致淵曠文蹄艶博西域勝達之士莫不資之以鏡心監之以朗而冥瀾潛灑將洽殊方然理不虛運弘之由人大沮渠河西王天懷遐搮誠沖奇雖迹纏紛務而神棲玄用能丘壑廊廟館第林野是使淵叟投策巖逸來庭息心昇堂玄客入誠詣旣著理感不期有沙門道泰才敏自天沖氣疏朗關博奇趣遠參異言往以漢土方等旣備幽宗粗暢其所未練唯三藏九部故杖策冒嶮爰至蔥西綜攬梵文義承高旨幷獲梵本十萬餘偈旣達涼境王卽欲令宣譯然懼環中之固將或未盡所以側席虛衿企屬明勝天竺沙門浮陁摩周流敷化會至涼境其人開悟淵神懷淵邃硏味鑽仰兪不可測乙丑歲四月中旬於涼城內菀閑豫官寺請令傳譯理味沙門智嵩道朗等三百餘人考文評義務在本旨煩卽實質而不野王屢迴駕陶其幽使文當理詣斥言有寄至丁夘歲七月都訖合一百卷會涼域覆沒湮遐境所出經本零落殆盡今涼王信尚發中探練幽趣故每至新異希奇聞更寫已出本六十卷送至宋宣布未聞庶令日新之美敞於當福祚之興垂於來葉挻以微緣豫聽末欣遇之誠竊不自默粗例時以貽來哲如來滅後法勝比丘造阿毘曇心四又迦旃延子造阿毘曇有八揵度凡四十四品後五百應眞造毘婆沙重釋八揵度當沮渠翻時大卷一百大武破沮渠已後零落收拾得六十後人分之作一百一十卷唯釋三揵度五揵度失盡
毘婆沙序
甲辰歲高麗國分司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