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威德陁羅尼經卷第四 短

ABC_IT_K0389_T_004
012_0956_c_01L
대위덕다라니경 제4권


사나굴다 한역
김영덕 옮김


“아난아, 이 가운데서는 반드시 1입(入)을 알아야 하고 반드시 2입(入)을 알아야 하며 반드시 3입(入)을 알아야 하고 반드시 4입(入)을 알아야 하며 반드시 4성제(聖諦)를 알아야 하고 반드시 눈[眼]의 4성제와 나아가 뜻[意]에 이르기까지 4성제를 증득하여 알아야 한다.
아난아, 이런 인연으로써 너는 여여하게 아는 눈을 증득하여 알아야 하고 4성제의 뜻을 증득하여 알아야 한다. 마치 내가 교진여(憍陳如)에게 말하기를 ‘교진여야, 눈은 무상한 것이냐?’ 라고 하면 그때 교진여는 곧 나에게 대답하기를 ‘세존이시여, 이미 알았고 이미 이해하였습니다. 여래께서 눈을 알라고 가르치셨을 적에 곧 널리 말씀하시면서 4성제의 뜻을 알라고 가르치셨습니다’라고 한 것과 같다. 이 한 구절 가운데에는 역시 4념처(念處)ㆍ4정단(正斷)ㆍ4여의족(如意足)ㆍ5근(根)ㆍ5력(力)ㆍ7각분(覺分)ㆍ8성도분(聖道分)인 37품조보리법(品助菩提法)을 설한 것이니, 이러한 온갖 법은 이와 같이 눈의 무상을 설할 때에 벌써 널리 설한 것이며 때문에 다시는 그 밖의 음(陰)ㆍ계(界)ㆍ입(入)의 이름을 설하지 않은 것이다.”
그때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는데 어찌 눈의 입[眼入] 중에서 곧 입을 말씀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래는 눈의 입을 가르치지도 않았고 눈의 무상함을 말하면서도 눈의 입을 말하지 않았다. 눈의 입 가운데서 부처님은 사설(捨說)을 지은 것이니 만일 부처님ㆍ여래가 이 사설을 지었다면 저 무상한 법으로 여래는 알도록 가르친 것이며 만일 이미 눈을 말하였다면 그 입을 반드시 알아야 하고 만일 그 중에서 눈이 소멸하였다면 빛이라는 생각은 바라지 말 것이며 나아가 뜻이 소멸하였다면 법이라는 생각은 바라지 말아야 한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입 가운데에 다시 입이 있어서 소멸할 수 있는 것이냐?”
아난이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입 가운데서 입이 소멸할 수 있다면 반드시 제 성품[自性]은 제 성품을 버리고 떠난 것이며 사물로써 사물을 소멸해야 될 것이다. 그러므로 아난아, 이것은 오직 이름만이 있을 뿐이니 이른바 입이라는 이름이다. 이 때문에 여래는 세간의 언어로 입이라는 이름을 말하게 된다.
또 아난아, 눈의 입이라고 할 때의 눈은 동작하지 않는 것이니 그러므로 눈이 동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면 그것을 인(忍)이라고 한다. 또 인이라고 함은 중간의 허공을 이름하고 또 인이라고 함은 가리지 않은 허공을 이름하며 또 인이라고 함은 위의 허공을 이름하는 것이니, 그 여러 사문의 법은 마치 가리지 않은 허공과 같고 마치 위의 허공과 같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혹시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이 말하기를 ‘가리지 않은 허공에서나 위의 허공에서는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이 있다’라고 하는 것이 있겠느냐?”
아난이 말씀드렸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다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여래는 이 눈을 설하되 이것은 항상 있다는 생각 때문이며 이것은 멀리 여의는 모양 때문이며 이것은 가볍고 빈 모양 때문이며 이것은 텅 비어있는 모양 때문이며 가리지 않은 허공의 모양 때문이며 위의 허공의 모양 때문이며 비어있는 행의 모양 때문이다.
아난아, 이것이 가장 수승한 인연이니 이른바 조작이 없는 것이다. 만일 눈이 조작한다고 말하면 그 눈은 물건이 없어서 곧 열반의 성품인데 어느 것이 눈의 제 성품이겠느냐? 그 눈은 미세한 분량이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없으니 만일 항상 있다고 한다면 잃거나 소멸되지 않는 것이며 또는 파괴되지도 않는 것이니 이 때문에 그 눈의 성품은 얻을 수 없다. 그것은 공(空)하기 때문이며 물건이 없기 때문이며 집착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음(陰)ㆍ계(界)ㆍ입(入)은 유정(有頂)1)에 태어난다면 눈의 성품은 없다.
만일 또 여래가 말씀하신 열반은 어떠한 것이겠느냐? 모든 법이 없는데도 열반이 있을 수 있다면 무엇 때문에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이 여래가 말씀하신 세간의 언어이겠느냐? 그러나 제일의(第一義) 가운데에는 눈을 얻을 수 없고 나아가 뜻도 얻을 수 없다. 왜냐하면 뜻은 공하기 때문이니 그 가운데서 뜻이 공한 것은 마치 허깨비와 같으며 모든 범부를 속이는 것이다. 아난아, 이 때문에 눈은 범부 소인(小人)에 속할 뿐이며 나아가 뜻도 성인(聖人)에 속한 것이 아니다.”
그때 장로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눈은 바로 범부 소인 나아가 뜻은 성인에게 해당되지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ㆍ응공[應]ㆍ정변지(正遍知)는 세 가지의 눈을 말씀하셨으니 육안(肉眼)ㆍ천안(天眼)ㆍ지안(智眼)입니다.
세존이시여, 어느 것을 육안이라 하고 어느 것을 천안이라 하며 어느 것을 지안이라 합니까?”
아난이 이렇게 말씀드리자마자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아난아, 이런 뜻은 그대 스스로 해설하라. 어느 것이 바로 육안이고 어느 것이 천안이며 어느 것이 지안이겠느냐?”
아난이 아뢰었다.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뜻을 받아서 이제 해설하겠으며 이 세 가지의 눈을 분별하겠습니다. 육안이라고 함은 4대(大)에 의지하여 생긴 것입니다. 어느 것이 4대인가? 이른바 지대(地大)ㆍ수대(水大)ㆍ화대(火大)ㆍ풍대(風大)입니다. 이들 4대는 존재[有]와 존재가 아닌[非有] 것을 여의기 때문에 4대라고 합니다.”
“아난아, 이런 이치 때문에 너희들은 존재가 아닌 것과 같은 4대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아라한도 역시 대(大)를 여의지 않으니 지계(地界)도 역시 대이며 수계(水界)도 역시 대이며 화계(火界)도 역시 대이며 풍계(風界)도 역시 대이다.
아난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은 진실을 보느냐?”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진실도 보고 진실이 아닌[非實] 것도 봅니다.”
아난이 다시 물었다.
“세존이시여, 저 아라한은 어떻게 진실을 보고 어떻게 진실이 아닌 것을 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진실이 아닌 것을 본다고 함은 바로 네 가지 뒤바뀜[四顚倒]이요 진실이 아닌 것을 본다고 함은 3계(界)이며 진실이 아닌 것을 본다고 함은 온갖 세간이며 진실이 아닌 것을 본다고 함은 범부들의 고집이니, 아집(我執)과 중생집(衆生執)과 명자집(命者執)과 복가라집(福伽羅執)2)이다.
아난아, 이것들은 바로 범부의 법이니 모든 아라한은 이미 그것들을 안다. 어느 것이 사실대로 보는 것인가 하면 온갖 법의 여읨을 알고 온갖 법의 공함을 알며 온갖 법의 일정하지 않음을 안다.
아난아, 아라한은 이러한 진실을 본다. 그러나 저 범부들은 4대를 취하면서 진실로 삼으며 취한 바가 진실이기 때문에 유전이 있거니와 모든 아라한은 취할 만한 법이 없으니 이런 이치 때문에 존재의 세계에서 유전하지 않는다.
어느 것이 물건인가? 탐욕이 물건이요 진에가 물건이며 우치가 물건이니 물건이 없으면 그는 곧 취하지 않는다. 저 아라한은 갈애에서 벗어나서 화합하지 않으니 이 때문에 아라한은 물건이 없는 이[無物者]라 하고 공을 행한 이[空行者]라 한다.
어느 것이 공의 행인가? 눈을 취하지 않고 내지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을 취하지 않으며 아(我)를 취하지 않고 중생을 취하지 않으며 명자(命者)를 취하지 않고 복가라(福伽羅)를 취하지 않으며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취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 아난아, 그 아라한은 과거를 분별하지 않고 미래를 분별하지 않으며 현재를 분별하지 않는다. 아라한은 3세 가운데서 이미 평등을 깨달아 안 것이니 과거ㆍ미래ㆍ현재의 3세는 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공은 공의 성품을 버리지 않으니, 왜냐하면 과거ㆍ미래ㆍ현재는 버리거나 여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법 가운데서 누가 열반을 얻는 인가? 오직 남은 것은 고멸(苦滅)일 뿐이다. 있는 바의 고라 함은 곧 적정(寂靜)이며 있는 바의 고라 함은 곧 없어짐이다. 어느 것이 고(苦)인가? 이른바 지혜가 없는 것이다. 어느 것을 지혜가 없다고 하는가? 이를테면 바르지 않은 생각[不正念]이다.
어느 것을 바르지 않은 생각이라 하는가? 아난아, 만일 무상한 것 가운데서 항상 있다고 생각하고 청정하지 않은 것 가운데서 청정하다고 생각하며 괴로운 가운데서 즐겁다고 생각하고 무아 가운데서 아라고 생각하는 것은 네 가지의 뒤바뀜(四顚倒)이니 이와 같은 것을 바르지 않은 생각이라 한다. 이런 이치 때문에 네 가지의 뒤바뀜으로써 3계에 나는 것이니 네 가지의 뒤바뀜이라 하면 진실이 없는 것이다. 아난아, 그 진실이 없는 네 가지의 뒤바뀜으로써 4대가 생기는 것이니 이런 이치 때문에 4대는 진실이 없다.
그렇다. 아난아, 여래가 설한 육안은 곧 의(疑)이며 혹(惑)이다.
어느 것을 천안(天眼)이라 하느냐? 눈이 천의 몸에 속해 있고 천이 지닌 눈이며 천이 닦아 염하는 것을 바로 천안이라 한다.
어느 것을 지안(智眼)이라 하느냐? 본 성품을 깨달아 나쁜 길을 없애고 나쁜 곳과 아울러 두 가지의 치우침을 멀리 여의며 바로 열반을 향하면서 모든 소견에 의지하지 않는 것이니 지혜로운 이가 찬탄한 바여서 능히 무외(無畏)와 함께 하고 능히 힘과 함께 하며 변재와 함께 하여 계취(戒聚)가 청정하고 계취가 만족하며 능히 짓되 견고하고 능히 수호하면서 계를 간직하며 가장 수승한 계취로 열반의 도를 일으키고 능히 세간을 굴리면서 욕(欲)ㆍ에(恚)ㆍ치(癡)를 버리며 진실한 관을 지으면서 모든 나는 갈래[生趣]를 없애고 견지(見智)를 짓는다.
바른 도 가운데서 잘 꿰뚫었고 방편지(方便智)ㆍ안지(眼智)ㆍ근지(根智)의 힘으로 모든 법을 선택하며 정각분(正覺分)ㆍ정견(正見)ㆍ정도(正道)ㆍ해탈ㆍ지혜를 염하여 성숙의 과를 깨치고 의심과 생ㆍ노를 능히 끊으며 갈애를 끊어 없애고서 다시는 유전하지 않는다.

비라구 안다승유구디 우파 발뎨니 파라바미모 부다발뎨 아비가타파
毘羅舊 安多僧喩驅致 優波 鉢帝尼 頗羅婆彌暮 浮多鉢帝 阿毘伽他婆
소도아디나바하니 차야디수 파리아모디사 아바차도 오사가마 인타로
蘇都阿地那婆賀尼 叉耶地輸 波利呵牟地舍 阿婆車度 烏奢伽摩 因陀盧
차나마가타타 비피식가
遮那摩伽馱陀수나라 말로는 능히 도(道)와 함께 하고毘彼式迦수나라 말로는 능히 관하
아례수뎨리사나제디가 다마제디가
阿隷數帝利師那制地迦수나라 말로는 갈애를 끊고多摩制地迦능히 어두움을 끊으
아국륙파 발다라 하라가차비뎨 가라도차음
阿鞠六波성내지 않고 跋陀羅어질며賀羅迦叉毘帝수호주(守護主)迦羅度叉音
바시라 비수니뎨니시파라반차
수나라말로는 때에 두려움이 없고婆祁羅 금강(金剛) 毘須尼帝尼尸波羅般遮말로는
뎨리타 하륵차 아마타 아발
설명할 수 없는 帝栗他복된 곳을 何勒叉수호하고 阿摩陀취(醉)하지 않고阿鉢
라마타3)
羅摩陀방일하지 않으며

다른 이로 말미암지 않으면서 능히 관하고 베고 끊으면서 가르쳐 보이며 의심이 없고 분별하지 않는다.

뎨혜 니사발리야발타나진인 하파바다
帝醯 尼師鉢利耶跋陀那盡印 何波婆多

구름 주인은 견고한 행으로 일찍이 번쩍하는 번개에 머무르면서 광명을 짓지만 해의 얼굴이 빼앗아서 벗어나게 하며 예나가리(隷那迦離)방을 지어서힘써 보호하면서 의심이 없고 미치지도 않고[及] 초월하지도 않으면서 생기며, 치우침과 어리석음을 끊고 말로는 설명할 수 없고 반연할 수도 없으며, 어리석음이 없이 부지런히 힘써 관찰하면서 걱정도 없고 말도 없으며, 근심도 없고 힘들임도 없으며 분명히 알지 못하되 어리석음이 없고 떨어지지도 않는다.
상명월삼모차야(常鳴月三牟遮耶) 산란하지도 않고 성내거나 어지럽지 않으며 진사나도사나사제니발타(震娑那途娑那莎帝尼跋陀)위 없는 두려움 없음에 이름으로써 교묘한 지혜가 수승하되 가장 수승하고 행할 수 없고 행할 수도 없는 곳에서 모든 행을 끊으며 머무르는 곳에서 과를 받지 않는다.

피바마뎨 아란야주행무주처 기라피력자
避婆魔帝 阿蘭若住行無住處 祇羅被力者순수하고 곧은 행으로 온갖 처소에서 믿을 뎨뎨차염소도나음 아누사사라바가
만한 자애를 일으키며 帝帝叉炎蘇途那音근심을 제거하고阿㝹舍闍羅婆迦늙음을 없
관시가지 비부다결료인 비구라작변계 사유무상명명섬바라사디 리
애며 觀時可知 毘浮多決了印 毘求羅作邊界 思惟無上明明閃波羅娑地 利
사발뎨 바라위라다바나갈타도라아디사나 살바두다 무상
沙跋帝 婆羅慰羅多婆那頡他兜羅阿地沙那항복시킬 수 없고 薩婆豆多 無相
별상 능단변무물 울가타삼구가타 인파란나발뎨 규무규승박 발단 기장
別相 能斷邊無物 慰伽他三句伽他 因頗蘭那跋帝 叫無叫勝縛 拔斷 器仗
불분별이분별 무분별처 불가득처 불염지족 대승일체처타
不分別離分別 無分別處 不可得處 不染智足 大勝一切處打

아난아, 이와 같은 지혜의 처소는 여래가 널리 펴 연설한 바로 분별하여 나타내 보였다고 할 것이니 삼천대천세계 가운데서 널리 지혜의 이름을 해설하였다.
아난아, 만일 사람이 이 지혜를 알면 이를 지안(智眼)이라 하니 모든 보살에게 있는 지안은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로 인하기 때문에 지금 이곳에서 여래가 이미 해설하였다.
또 아난아. 반야바라밀이라 함은 보살마하살이 배울 것이니 반야바라밀 중에서 나는 널리 그 반야바라밀을 해설하겠다. 보살이 머무를 바를 배우고 나서는 10지(地)에 머물러야 하고 마땅히 수승한 곳에 이르러야 하되 수승한 색처(色處)에 이르고 반야의 수승한 곳에 이르며 지혜의 수승한 곳에 이르고 계율의 수승한 곳에 이르는 것이니, 온갖 법에서 불퇴전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깨쳐서 많은 중생들을 교묘히 잘 해탈시킬 것이다.
아난아, 어느 것이 모든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인가? 하나의 반야바라밀과 둘의 반야바라밀과 셋의 반야바라밀과 내지 한량없는 반야바라밀이니, 이에 모든 중생 각각의 모든 근에 이르기까지 저마다 상속한다.
이와 같이 아난아, 각각의 모든 근의 상속이 있으니 이와 같은 것을 알아야 하고 행하여야 하며 다시 또 알아야 하고 행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가르쳐 보이고 또 가르쳐 보일 것이니 이와 같이 반야는 가장 수승한 것이므로 반드시 증득하고 알아야 한다.
그와 같아서 아난아, 보살의 온갖 반야는 가장 수승하며 구족하게 존재하여야 한다. 또 아난아, 어느 것이 모든 보살의 반야바라밀인가? 보살이 배울 바의 처소이다. 아난아, 그 가운데서 보살은 반드시 의행(意行)을 내어야 한다. 아난아, 어떻게 보살이 의행을 내어야 하는가? 마치 이익보살(利益菩薩)과 같이 내어야 한다.
아난아, 저 이익보살이 어떻게 의행을 내어야 하겠느냐? 아난아, 나는 기억한다. 옛날 과거 세상에 연등여래(然燈如來)께서 세간에 출현하셨는데 그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는 이 중에 이익(利益)이라는 한 동자가 있었다.
그때 그 동자는 이미 보리의 마음을 내었는데, 염오(染汚)라는 대마왕(大魔王)이 있어 이익 동자에게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보리 마음을 내지 마시오.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의 보리는 깨치기가 어렵고 모든 부처님의 보리는 성취하기 어려우며 모든 부처님의 보리는 크게 고뇌를 받게 되고 모든 부처님ㆍ세존께서는 보리를 나타내어 보이지 않기 때문이오.’
염오 악마가 이렇게 말하자마자 이익 동자는 염오 마왕에게 말하였다.
‘어떻게 모든 부처님의 보리는 크게 고뇌를 받는 것입니까?’
이익 동자가 이같이 말하자 염오 마왕은 곧 이익 동자에게 대답하였다.
‘모든 부처님의 보리는 크게 고뇌를 받는 것이니 비유조차 할 수가 없소. 비록 그렇기는 하나 나는 조그만 비유로 나타내어 보이겠소. 마치 내가 옛날에 보리 때문에 고뇌를 받은 것과 같소. 나는 본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였으나 그때 이러한 일을 이룰 수 없었기 때문에 곧 물러나 버렸으며 큰 고뇌를 받으면서 자기 이익을 이루지 못했으므로 곧 물러난 것이오.’
아난아, 그때 염오 마왕은 이익 마나바(利益摩那婆:이익 동자)를 향하여 이러한 것들을 말하면서 갖가지로 파괴한 뒤 버리고 여의게 하고 받지 않게 하며 미혹되게 하기 위하여 곧 양 손으로 그의 팔을 단단히 붙잡고는 큰 바다를 나타내 보이면서 큰 신통을 부렸으니, 큰 바다의 물을 피로 보이게 하였다.
염오 마왕은 곧 동자에게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큰 바다에 가득 찬 피가 보이는가?’
마나바가 말하였다.
‘나는 지금 모두 보고 있습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그대는 지금 이 가득 찬 피가 보이는가?’
마나바가 말하였다.
‘나는 이제 이미 보았습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그대는 이 가득 찬 피가 큰 바다의 동쪽 언덕인 것을 보았는가? 아니면 남쪽의 언덕ㆍ서쪽의 언덕ㆍ북쪽의 언덕인 것을 보았는가?’
동자는 말하였다.
‘나는 실로 보지 못하였습니다. 나는 지금 머무르고 있는 땅의 것만을 보았을 뿐입니다.’
마왕은 다시 동자에게 말하였다.
‘이것이 바로 내가 보살행을 행할 적에 1겁 동안 머리와 눈을 베고 버리면서 흘러 나왔던 피인데, 이 큰 바다에 가득 찬 것이오.’
아난아, 염오 마왕은 다시 신통 변화를 부려 큰 머리 무더기를 보였는데 마치 수미산만큼 하였다.
다시 동자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이 머리의 무더기가 보이는가? 이 머리는 모두가 날카로운 칼로 쪼개었던 갖가지의 형상인데 머리칼이 있는 것도 있고 머리칼이 없는 것도 있으며 혹은 가죽을 벗겨서 오직 붉은 빛깔만이 보이기도 하고 혹은 해골뿐이어서 마치 하얀 눈과 같기도 하며 혹은 이가 빠져 있기도 하고 빠져 있지 않기도 한 것이오.’
동자가 대답하였다.
‘나는 지금 모두 보고 있습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동자여, 이것들은 모두가 나의 옛날 과거 세상 동안 보살행을 행할 적에 날카로운 칼로 쪼갰던 것이며, 쪼갬을 당할 때에 나왔던 피가 흘러서 이 큰 바다를 채운 것이오.
동자여, 그대는 여기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삼십백천(三十百千)의 중생이 손에 날카로운 칼을 잡고 서 있는 것이 보이는가? 동쪽ㆍ남쪽ㆍ서쪽ㆍ북쪽에서도 그와 같은 것이 모두 다 보이는가?’
동자가 말하였다.
‘나는 지금 모두 보고 있습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그대는 이 사방으로 32천(天)의 모든 큰 야차가 허공에 있는 것과 다시 수천의 온갖 나쁜 나찰이 두려운 형색으로 다른 이의 위엄을 능히 빼앗는 것을 모두 보는가?’
동자가 말하였다.
‘나는 이제 모두 봅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이제 다시 온갖 나쁜 사람들이 손에 병장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시오. 모두 보이는가?’
동자가 말하였다.
‘나는 이제 모두가 보입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큰 야차와 나쁜 나찰들이 허공에 있는 것을 보시오. 모두가 보이는가?’
동자가 대답하였다.
‘나는 이제 모두가 보입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이들 칼을 가지고 온갖 곳에 머무르고 있는 사람들은〈만일 어떤 사람이라도 보리 마음을 내기만 하면 우리들은 이제 이 날카로운 칼로써 당장에 그의 목숨을 해치리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오.
동자여, 이들 모든 큰 야차와 나쁜 나찰들은 남의 위력을 빼앗는데다 형색이 두려워할 만한데 그들은〈만일 어떤 이라도 저 보살도에 머무른 이가 있으면 우리들이 이제 그의 위세를 빼앗으면서 가는 곳마다 따라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소.
왜냐하면 동자여, 그 나쁜 사람들은〈모든 보살의 무리는 보시를 하는 이며 보시하는 시주이다. 그리고 우리들은 지금 몹시 배고파서 고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이제 보살의 머리를 쪼개서 곧 가지고 가겠다. 보살은 우리를 위하여 반드시 보시할 것이므로 우리의 몸은 목숨을 잇게 되고 우리는 풍족하게 될 것이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오.
야차들은〈우리들은 이제 다른 이의 위세를 모두 빼앗아서 중생을 파리하게 하겠으며 그 위력을 빼앗아 가버리겠다. 만일 어떤 보살이라도 보리 마음을 내면 많은 중생으로 하여금 백법(白法)에 머무르게 할 것이니 이런 인연 때문에 그의 위력을 빼앗아야겠다〉고 하고 모든 야차들은 보살의 위력을 마음대로 빼앗아 떠나가는 것이오.
동자여, 그대는 사방에 있는 3만 2천의 온갖 나찰녀들을 보시오. 몹시 두려워할 만한데, 사람의 시체를 붙잡고 사람의 살을 뜯어먹고 있으면서 그들은 동자를 자세히 보고 있소. 그대는 모두가 보이는가?’
동자는 대답하였다.
‘나는 이제 모두가 보입니다.’
마왕이 동자에게 말하였다.
‘이들 3만 2천의 온갖 나찰녀들은〈보살이 이곳에서 몸을 버리면 장차 어디에 가서 태어날까? 그가 태어나는 곳으로 따라가서 어머니의 태 안에 있다가 반드시 그의 목숨을 살해하고, 또는 어머니의 태 안에 있으면서 칼로써 뼈마디를 베어 산문(産門)으로부터 나오게 하겠으며, 또는 그가 있는 곳마다 그의 뱃속에 있으면서 이와 같은 고통을 받게 하겠고 그가 만일 산문으로부터 나오면 반드시 그의 목숨을 해치겠다〉라고 관하고 있는 것이오.
동자여, 너는 허공 가운데에 네 개의 불무더기가 활활 타고 있는 것이 보이는가?’
동자가 대답하였다.
‘나는 보입니다.’
마왕이 다시 말하였다.
‘동자여, 이것들은 보살행을 행한 모든 중생들인데 고통을 주는 온갖 기구를 그의 몸 위에다 떨어뜨려서 그의 목숨을 손상하고 파괴하는 것이오.
동자여, 그대는 사방에서 단단한 활을 붙잡고 있고 그 화살이 강하고 예리하여 마치 면도칼을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을 보시오. 지금 보이는가?’
동자가 대답하였다.
‘나는 보입니다.’
염오 마왕이 말하였다.
‘동자여, 이러한 것이 있는 것은 만일 어떤 보살이 보리 마음을 내면 그가 가는 곳을 따라가면서 이러한 면도칼 같은 화살로 그를 쏘는 것이오.’
마왕은 다시 말하였다.
‘그대는 여기서 사방으로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32유순이나 33유순의 크고 이글거리는 쇠 가마솥이 있고 그 밑에는 사나운 불이 활활 타고 있으며 가마솥 곁에는 저마다 3만 2천의 나찰녀들이 있으면서 물을 뿌리는 것이 보이는가?’
‘나는 보입니다.’
‘동자여, 이들 큰 가마솥은 마치 불이 훨훨 타는 것과 같은데, 이것들에 물을 뿌리고 있는 것이오.
동자여, 내가 그대에게 말하고 그대를 가르치고 있으니 너는 이제 나 선지식의 가르침을 취하시오. 우리들은 지금 그대에게 이익을 주고 잘 가르쳐 주려고 하며 즐거움을 주려고 하고 고통을 구제해 주려고 하는 것이니, 만일 보리 마음을 내고 난 뒤에 거듭하여 낸 이가 있으면 그는 반드시 이 훨훨 타는 가마솥 속으로 떨어질 것이오.
동자여, 보살승에 머무른 모든 중생들이 이 가마솔 안에 떨어져 타고 삶아지고 하며 끓는 불 속에 빠져서 손을 들어 울부짖고 소리를 지르는 것이 그대는 보이는가?’
‘나는 보입니다.’
‘동자여, 그대는 지금 보리 마음을 내고 있는데 그대가 만일 마음을 돌리면 이런 고통이 그대의 몸에 닿지 않을 것이오.’
아난아, 그때 염오 악마는 다시 큰 신통의 힘을 지었으니 위의 허공에 8만 4천의 큰 야차들이 출현하여 손으로 펄펄 끊는 잿물이 가득히 담긴 가마솥을 들고 일러주기를 ‘그대는 피하라. 이익되게 하는 이인데도 그대가 말을 취하지 않는데 이러한 선지식의 말을 취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펄펄 끊는 가마솥의 잿물을 그대의 머리 위에 쏟아 부으리라’ 하였다.
아난아, 그때 염오 마왕은 그 야차들에게 말하였다.
‘그대들은 갑자기 이런 나쁜 일을 저지르지 말라, 나는 다시 저 동자에게 권하여 교화하고 겸하여 다시 위로하고 달래서 거듭 말해 주어 기억하고 사유하게 하겠으며 다시 가르쳐 보여 마음에 청정함을 얻게 하겠다.’
그리고 다시 이런 말을 하였으나 [동자가 굳건하게] ‘나는 지금 보리 마음을 내겠소’라고 하였으므로 그 악마는 거듭하여 다시 그 동자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전에 일찍이 보리 마음을 낸 적이 있었는가?’
동자가 대답하였다.
‘나는 이미 보리 마음을 내었으며 마음에서 낸 그대로 하는 일도 같아져야합니다.’
아난아, 그때 염오 악마는 다시 이익보살에게 말하였다.
‘어진이여, 그대는 내가 나타내 보인 모든 고통을 받아낼 수 있겠소?’
아난아, 그때 이익 동자는 염오 악마에게 말하였다.
‘만일 그렇다면 함께 연등부처님께로 나아갑시다. 그 부처님ㆍ세존께서 나에게 가르쳐 보일 것이니 나는 그 가르침을 따라야겠으며 그와 같이 믿어야 하겠습니다.’
이익 동자가 이런 말을 하자마자 염오 악마는 다시 동자에게 말하였다.
‘나는 그대가 그 부처님 처소로 가서 묻는 것이 마음에 기쁘지 않소.’
아난아, 그때 이익 동자는 염오 악마에게 말하였다.
‘염오 마왕이여, 가령 이 삼천대천세계가 그와 같이 두려워할 만하고 몹시 치성하여 모든 고뇌를 받게 되고 다시 당신과 같이 이익을 짓는 이가 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찼다 하여도 나는 그런 곳에서는 가르침을 취하지 않겠고 또한 그와 같은 두려움을 겁내지도 않겠으며 또한 놀라지도 않습니다. 나는 이제 오직 연등 여래ㆍ아라하ㆍ삼먁삼불타의 교시만을 따르겠습니다.’
그 이익 동자가 이런 말을 하여 마치자 허공 가운데서 백천 구지의 대야차들이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지금 뒤바뀌고 미혹되어 있소. 동자여, 우리들의 말과 선지식의 가르침을 따르도록 하시오. 그대는 반드시 이러한 큰 안락을 얻어야 합니다.’
그때 그곳에는 단악자(斷惡者)라는 악마의 아들이 있었는데 3만의 천녀들을 거느리고 앞뒤로 둘러싸여 이익보살에게로 나아가서 그 동자에게 말하였다.
‘동자여, 나는 그대에게 이 천녀들을 주어서 시봉을 삼겠으니 그대는 이들과 함께 모든 욕락을 받으면서 자유로이 놀러 다니시오. 만일 이 천녀들과 함께 쾌락을 누리면서 서로 따라다닌 이라면 그는 늙지도 않고 죽지도 않으며 떨어지지도 않고 또한 목숨을 마치지도 않을 것입니다.
이제 그대 동자는 이들 천녀들과 함께하면서 즐겁게 놀고 쾌락을 누려야 하며 서로 따라다녀야 합니다. 그대는 또 보살승에 머무른 이의 해골 무더기가 지금 그대 앞에 있는 것을 보아야 합니다.
동자여, 그러므로 그대는 그러한 나쁜 소견을 버리고 그와 같이 행할 마음을 버리면서 다시는 마음을 내어 보리를 향해 나아가지 마시오.’
아난아, 그때 이익 동자는 그 염오 악마와 악마의 아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일찍이 여래ㆍ응공[應]ㆍ정변지[遍知]께 들은 바로 이 삼천대천세계는 넓디넓고 한량없다 합니다. 가령 그만큼의 극히 큰 지옥이 있고 그와 같은 것이 두루 차 있으면서 큰 불이 훨훨 타며 똑같이 하나의 불길을 이루되 불길이 일어나는 것이 마치 수미산만하며 이와 같은 불길 무더기가 그 세계에 가득히 차고 이 큰 지옥은 마치 겁소(劫燒) 때와 같아 이 삼천대천세계가 불길로 다 함께 훨훨 타면서 그 불길이 위로 올라가 범세(梵世)에까지 이른다 하여도 나는 능히 이와 같이 두려워할 만한 불길 무더기에 한 번 떨어지고 나서 갠지스 강의 모래만큼의 대겁(大劫)을 지나면서도 온갖 중생을 위해서는 크게 불에 타고 삶아지는 일을 받아 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차례로 온갖 중생 세계에 이르기까지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대로 설명하면서 그들 온갖 중생들을 위하여 이러한 고통은 모두 다 받을 수 있고 그 지옥이 다하도록 한번도 뉘우침이나 한탄하는 마음이 없을 뿐더러 또한 보리 마음도 버릴 수 없으며 또한 능히 여의지도 않고 또한 능히 회피하지도 않으며 또한 게으른 마음을 내지도 않고 또한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지 않겠다고 말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당신들은 이제 그만 그치시오. 나는 결단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것입니다. 당신들이 이제 나에게 온갖 장애를 부린다 한들 마침내 무슨 이익이 있겠습니까?’
아난아, 그때 염오 악마는 다시 이익보살에게 말하였다.
‘동자여, 그대는 지금 이 피로 된 머리 더미가 마치 수미산왕과 같은 것을 보지 못하는가?’
동자는 대답하였다.
‘나는 지금 모두 다 봅니다.’
악마가 말하였다.
‘내가 본 바로는 모든 보살들이 보리의 행을 행함으로써 있게 된 머리의 수효이다. 이들 보살은 지금 이와 같이 지극히 큰 머리의 더미로 있거니와 나는 이들 큰 보살들이 보살행을 행하다가 모두가 물러나게 된 것을 보았소.
동자여, 그대는 이러한 가르침[乘]에 오르지 마시오.’
아난아, 그때 이익 동자는 다시 염오 마왕에게 말하였다.
‘희유합니다. 당신은 지금 나에게 이와 같이 큰 이익된 일을 지었고 나아가 나에게 더하게 하였으며 마침내는 나로 하여금 도리어 가장 수승한 것을 얻도록 말하여 주었으니 부지런히 정진을 하여야겠습니다. 나는 이와 같은 정진을 성취한 뒤에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려고 하는 보살이 있으면 내가 그들을 위하여 불퇴전에 머물도록 크게 권하고 도와주어 그 온갖 중생들이 불퇴전의 자리에 편히 머무를 수 있게 하겠으며 그들 모두에게 안락을 얻게 하겠습니다. 그리고 어떤 보살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키면 나는 그들을 위하여 반드시 이 행을 가르치겠으며 편안히 머무르면서 불퇴전을 얻게 하겠습니다.
나는 이제 당신을 위하여 다시 비유를 들겠습니다. 가령 여래께서 내 앞에 나타나 ‘이제 너는 장차 20겁 동안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어 안락한 도에 머무르게 될 터인데, 그 먼 도를 닦는 동안에 반드시 위의 모든 천(天)의 몸도 얻을 것이며, 다시 인간 안에서 전륜왕이 되어서 바른 법으로 다스리고 교화할 것이되 그것은 다만 게으른 데에 머무르는 것일 뿐이므로 마땅히 큰 정진을 일으켜 열 겁 동안 큰 지옥을 거쳐 나온 뒤라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것이다’라고 하시면 나는 열 겁 동안 큰 지옥의 갖가지 모진 고통이라도 받겠습니다. 나는 전륜왕도 소용없고 천의 몸이나 천왕의 몸으로 나는 것도 필요 없으며 오직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고자 하는 것일 뿐이니 이처럼 나에게는 천상의 쾌락이 소용없습니다.
만일 여래께서 내 앞에 나타나셔서 ‘어떤 중생이 지옥에 떨어져서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머무르고 도리천(忉利天) 안에서 천의 보좌를 펴고 앉아 있다 하자. 네가 거기에 앉게 되면 엿새 밤을 지나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게 되거니와 만일 그 지옥 중생의 큰 이익을 위하여 큰 지옥에서 하루 낮 하루 밤을 머무르다가 나온 뒤면 바로 다음 날에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리라’고 하시는데, 만일 그 자리에 앉아 있으면 천상의 쾌락을 누리겠지만 나는 그 천상의 수승한 쾌락이 소용없으며 차라리 그 큰 지옥 안에 있으면서 한 중생을 위하여 온갖 이익을 짓겠습니다.
나는 이와 같이 큰 서원과 정진을 일으켜서 부지런히 닦고 간절히 우러르며 지옥에 머무를지언정 앉아 있기를 좋아하지 않겠습니다. 장차 부처님 법을 얻기 위하여, 속히 큰 신통을 성취하기 위하여 4무외(無畏)를 성취하기 위하여, 10력(力)을 성취하기 위하여 차라리 그 큰 지옥 안에 머무르면서 하루 낮 하루 밤을 다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저 부처님ㆍ세존께서는 욕심이 적고 만족할 줄 아는 것을 길이 찬탄하셨고 쉬이 만족하게 여기면서 재물과 이익을 덜어 줄이는 것을 찬탄하셨으며 비방을 받지 않고 유위를 짓지 않으며 항상 두타(頭陀)의 공덕을 닦아 익히고 위의가 의젓하면서 금계(禁戒)를 두루 갖추며 온밤 내내 정진하는 것을 찬탄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이제 여래께서 찬탄하신 것을 성취하여 부처님을 믿으면서 그 행에 들어가고 부처님께서 밟으신 자취에 들어가며 견고한 마음을 성취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할 것입니다. 가령 어떤 사람이 나에게로 와서 날카로운 칼로 나의 몸뚱이를 찢거나 혹은 백 개의 송곳으로 나의 몸에 구멍을 만들면서 ‘너는 백 년 동안 이러한 고통을 받을 것이며, 그러한 뒤에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를 것이다’라고 하면, 나는 차라리 이 고통을 달게 받을지언정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회피하지 않겠습니다. 다시 또 어떤 사람이 와서 나에게 말하기를 ‘어서 오시오. 어진이여, 5욕의 공덕으로 재미있게 놀고 유쾌히 즐기면서 저 궁전에다 무늬가 섞인 비단을 달고 보배 자리를 깔며 온갖 것을 장엄하여 과보가 구족한 쾌락을 누리다가 백 년이 지난 뒤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여 모든 불법 가운데서 도피안(到彼岸)을 얻을 것이오’라고 하여도 나는 이제 이런 쾌락이 소용없습니다.
온갖 고초를 겪으며 칼과 몽둥이와 회초리로 맞고 그 밖의 여러 가지 극히 큰 고뇌를 받을 지라도 큰 이익을 위하여 나는 능히 참고 받겠으며 끝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버리지 않고 빨리 정각을 이루겠습니다.
염오 마왕이여, 당신이 나에게 아주 이글거리는 쇠 가마를 보이면서 두렵게 하고 위협하지마는 가령 어느 한 가지 일의 인연으로 이 삼천대천세계가 하나의 쇠 가마솥이 되면서 그 불길이 합쳐서 하나의 불이 된다 하여도 나는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쇠 가마 속에 있으면서 그 타고 삶아지는 고통을 받고 짊어지면서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버리지 않겠습니다.’
아난아, 그때 이익 동자는 염오 마왕에게 말하였다.
‘가십시다. 염오 마왕이여, 함께 부처님께로 나아가 여래께서 우리들에게 교시하시면 그와 같이 머물러야 합니다.’
아난아, 그때 염오 악마는 이익보살을 따라 연등 여래ㆍ응공ㆍ정변지께로 나아갔다.
아난아, 그때 이익보살은 부처님 발에 머리 조아리고 물러나 한쪽에 선 뒤에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합니다. 이 인연으로써 원하건대, 여래께서는 저희들에게 교시하셔서 저로 하여금 속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게 해주십시오.’
이익 동자가 이렇게 말씀드리자 연등여래께서는 이익 동자에게 말씀하셨다.
‘동자야, 너는 이 법을 어떠한 법으로 관하였기에 네가 물으면서 ‘제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겠습니다’라고 하느냐? 그 법은 얻을 수 없다.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룬다면 이 가운데 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룬다는 것이냐?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나는 이제 허공 중에 있으면서 코끼리의 발자국과 말의 발자국과 낙타의 발자국과 소의 발자국 또는 새들의 발자국을 허공에 가득 차게 하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
동자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위의 허공을 코끼리의 발자국이나 내지 모든 새들의 발자국으로 가득 채울 수 있느냐?’
이익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동자야, 만일 네가 ‘제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겠습니다’라고 말한다면 그 법은 볼 수가 없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는 이들은 모든 법에 각관(覺觀)의 모양을 여의었고 이들의 모든 법은 제 성품을 멀리 여의는 것이 마치 허공과 같다.’
아난아, 부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시자마자 이익 동자는 다시 연등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혹시 그 법은 서로 비슷한 것이 있기도 합니까?’
그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셨다.
‘그렇다. 그 법은 허공과 비슷하다.’
부처님께서는 다시 말씀하셨다.
‘동자야, 허공과 비슷하다고 하면 그것과는 비슷한 것이 없다. 동자야, 부처님의 보리에는 비슷한 것이 없으니 이런 이치 때문에 부처님의 보리는 허공과 비슷하다고 한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나는 허공 가운데에 올라가 머무를 곳이 없는데도 도장을 찍어 놓았다’고 하는 것과 같다. 동자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사람이 허공 가운데에 올라가서 머무를 데가 없는데도 도장을 찍어 놓을 수가 있겠느냐?’
동자가 말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그와 같다. 그와 같다. 동자야, 그 가운데에는 어떠한 법으로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 없다. 동자야, 여기에는 오직 ‘제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겠습니다’라고 하는 소리만이 있을 뿐이며 오직 그 메아리만이 있을 뿐이다. 동자야, 아(我)가 있는 이에게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없다.’
아난아, 그때 그 부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시자마자 이익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혹시 아소(我所)가 있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있습니까?’
그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셨다.
‘아소를 버려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있다.’
동자가 대답하였다.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아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는 번뇌가 있고 아소를 버리는 이는 번뇌가 없으니 말입니다.’
아난아, 동자가 이런 말을 하여 마치자 연등부처님은 다시 이익 동자에게 말씀하셨다.
‘동자야, 아소라고 생각한 이라면 번뇌가 없다. 왜냐하면 만일 진실이 있다면 이것은 아소가 아니며 하나의 사물도 없기 때문이다. 하나의 사물도 없다면 이것이 바로 아소라고 짓는 것이다. 이런 이치 때문에 아소라고 짓는다고 한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떠한 사람이 ‘나에게는 소리가 있다. 코끼리의 소리나 말의 소리나 낙타의 소리나 소의 소리나 당나귀의 소리나 노새의 소리나 또는 기악의 소리나 부녀의 소리나 장부의 소리나 또는 갖가지 새의 소리나 북과 큰 북, 조개나 피리 등 갖가지 음악의 소리나 담화하는 소리 등 세간의 모든 소리들을 모두 상자 속에다 안전하게 놓아두었다가 내가 필요할 때 저마다 상자 속에서 그 소리를 취하여 쓰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
동자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사람이 한 말은 바른 말이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소리는 취할 수 없기 때문이며 볼 수도 없기 때입니다.
세존이시여, 그 소리는 동방으로부터 나지도 않고 남방으로부터도 나지 않으며 서방으로부터도 나지 않고 북방으로부터도 나지 않으며 상방으로부터도 나지 않고 하방으로부터도 나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소리를 볼 수 있으려면 반드시 쌓고 모인 것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동자야, 이 음성은 비록 볼 수 없다 하더라도 이식(耳識)으로 깨달아 알아내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일으키며 볼 수는 없지만 들었을 때만은 괴로움과 즐거움을 낸다.
동자야, 그와 같고 그와 같아서 지혜가 없기 때문에 괴로움과 즐거움을 내되 그것은 볼 수 없으니 만일 볼 수 없다면 곧 색(色)이 없는 것이며 만일 색이 없다면 그것은 반드시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동자야, 너는 이와 같이 그 소리에 염착을 내면서 ‘제가 아뇩다라삼막보리를 이루겠습니다’라고 말하지 말아야 한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나는 숨을 불어 넣어 고기의 그물에 가득 차게 하리라’고 한다면, 동자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사람의 이런 말은 바른 말이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동자야, 여태까지의 비유는 보리를 바라는 이가 ‘아와 아소를 분별하면서 보리를 이룰 수 있다’고 하는 것과 같다.
동자야, 나는 기억한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먼 길을 걷고 있었는데 그때 갑자기 큰 구름이 일면서 비가 왔으므로 그 사람은 몹시 곤란을 겪고 지쳤으며 아주 크게 쇠약해졌다.
그 뒤 자기 집으로 돌아와서는 나무와 마른 쓰레기와 독약이 든 숯불을 모아 낭떠러지 위에다 쌓아 놓고서 연기와 불길을 크게 피우고 다시 쓰레기와 온갖 독약과 나무와 땔나무 등을 가져다 불 속에다 던져 넣으면서 ‘허공이 나를 괴롭혔다. 허공이 나를 괴롭혔으니 나는 지금 여기에서 허공을 해치고 연기로 쏘이면서 죽여버리겠다’고 하였다 동자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위의 허공을 불에 쪼여서 죽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와 같고 그와 같다. 너 동자야, 아에 집착한 까닭에 보리를 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업은 허망한데도 아에 집착하여 짐짓 보리를 구하고 찾기 때문이다.
동자야, 너는 반야바라밀에 대하여 부지런히 정진하여야 한다. 어느 것이 반야바라밀이냐? 모든 법은 한량없고 모든 법은 그지없으며 모든 법은 장애가 없는 것이니 이것을 바로 반야바라밀이라고 한다.
무엇 때문에 반야바라밀이라고 하느냐? 욕(欲)도 없고 낙(樂)도 없는 두 가지의 업을 버리면서 두 가지의 모양을 짓지 않는 것이니 만일 아와 보리에 물드는 바가 없고 물듦을 멀리 여의면 이것을 바로 반야바라밀이라 한다.
또 무엇 때문에 반야바라밀이라 하는가? 착함이 없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이라 한다. 왜냐하면 성인의 지혜 뿌리와 같이 서로 화합하면서 반야바라밀은 성인의 지혜 뿌리를 여의지 않기 때문에 성인의 지혜 뿌리로 헤아리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것을 헤아림이라고 하는가? 만일 심소(心所)의 헤아림으로 출생하는 법이 모두 합쳐 모이고 뭇 연[衆緣]이 합하면 그 모두에는 진실[實]이 없다.
심소로 생긴 법조차도 진실이 없는데 하물며 심법이 화합하여 온갖 법을 굴려내는데 진실이 있겠느냐? 어찌 마음으로 헤아려서 모든 법을 낸다고 하겠느냐? 연(緣)과 경계와 생각으로 더욱 자라게 하는 것이니 이런 이치 때문에 심사(心思)로 법을 낸다고 한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꿀 병이다, 소병(酥甁)이라 하는 것과 같으니 이 가운데에는 꿀 병도 없고 또한 소병도 없는데도 응하는 대로 소리하고 응하는 대로 꿀이라 하면서 그것을 곧 소병이라 하고 꿀 병이라 말하는 것이다.
동자야, 이 뜻으로는 하나의 사물이면서 두 개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니 만일 두 개의 이름을 붙인다면 이는 곧 지혜가 없는 것이며, 만일 지혜가 없다면 지혜가 없는 것으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는 없다.’
동자는 다시 물었다.
‘무엇 때문에 지혜가 없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동자야, 심사(心思)를 따르면서 선이 아닌 법을 내고 지혜가 없어서 이끌리고 섭수되어 사물이 아닌 것을 취하기 때문에 지혜가 없다고 한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봄철 뒤의 더운 때에는 타듯이 더운지라 시원하고 찬 물을 생각하게 되고 추운 겨울에는 다시 뜨거운 물을 생각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그 사람의 봄과 겨울의 시원하고 추운 것에는 다시 다른 경계는 없는 것이며 오직 행동이 바뀌었을 뿐이니 선하지 않은 법이기 때문에 갖가지로 애착하는 생각을 내고, 애착하는 생각 때문에 분별이 생기며, 만일 분별이 생기면 그것은 곧 선이 아니다. 마나바(摩那婆)야, 너는 보리의 인연을 위하여 분별을 짓지 말아야 한다.
동자야, 모든 분별은 보리가 아니다.
동자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큰 못가 언덕에서 그 못을 자세히 살피다가 자기 몸의 그림자가 못에 거꾸로 달려 있는 것을 보고 두려워하면서 양 팔을 펴 들고 큰소리로 부르짖는 것과 같다.
사람들이 그가 부르짖는 소리를 듣고 저마다 빨리 달려와 그 못 언덕에 이르러서 그 사람에게 말하였다.
‘에끼, 어리석은 사람아, 그대는 지금 무엇 때문에 그렇게 소리를 지르는가?’
그 사람은 대중들에게 말하기를 ‘여러분, 나는 지금 못 안에 거꾸로 달려서 죽으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그때 대중들은 그 사람에게 말하였다.
‘우리들은 그대가 못 안에서 죽는 것은 보이지 않고 오직 그대가 땅 위에 있는 것만이 보일 뿐이오.’
그 사람은 다시 대중에게 말하였다.
‘희유하게도 그대들도 모두 다 미혹되어 있소. 에끼, 이 사람들아, 이리 오시오. 나는 그대들에게 내가 본 것처럼 못 안에서 죽게 되는 것을 보여드리겠소.’
그들 대중은 말하였다.
‘에끼, 이 사람아, 이제 우리에게 보여 주시오.’
그때 그 사람은 그 못 속을 자세히 살펴보고 나서 양 팔을 펴 들고 그 대중들에게 다시 말하였다.
‘사람들아, 그대들은 내가 못 속에 있으면서 죽는 것을 보시오.’
대중들은 그 사람에게 말하였다.
‘애달프다. 장부여, 그대는 지금 뒤바뀌고 헷갈려서 그러는구려. 그대는 지금 땅 위에 있으며, 이것은 바로 그대의 그림자가 못에 나타나 있는 것이오. 우리들의 그림자도 역시 못 속에 나타난 것을 보시오.’
그때 장부는 대중에게 말하였다.
‘애달프다. 여러분, 나는 이제 나 혼자만을 근심하지 못하게 되었구려. 당신들도 이제 모두가 못에서 죽게 되었습니다.’
그 장부는 가슴을 치고 울부짖으면서 마을로 빠르게 달려가 마을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여러분, 지금 나의 이 몸과 여러 사람들은 못 속에 거꾸로 매달려서 죽게 되어 있습니다. 애달픕니다. 여러분, 당신들은 어서 그 못으로 가서 나의 몸과 여러 대중을 구출해 주셔야겠습니다. 우리들은 당신들의 은덕을 기억할 것입니다.’
그 마을 사람들은 말하였다.
‘장부여, 우리들은 오직 당신이 땅 위에 있는 것이 보일 뿐이며 물속에서 목숨을 마치게 된다는 것은 보지 못하겠구려.’
장부는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에끼, 이 사람들아, 당신들이 와서 자세히 보면 곧 사실임을 증험하여 알 것입니다
동자야, 그 사람들은 ‘이 사람이 미쳤구나. 우리들이 그 못으로 가서 직접 관찰해야겠다. 그가 어떻게 우리에게 사실임을 증험하게 되는가를 말이다’라고 하고, 사람들은 그 못으로 갔으며 거기에 이른 뒤에 그 사람에게 말하였다.
‘이 어리석은 사람아, 어느 대중이 이 못에서 죽게 되어 있단 말인가?’
그때 그 사람은 그 대중들이 못 언덕에 있는 것을 보고 나서 자기 자신은 아래를 내려다보면서 자세히 살피다가 그 사람들에게 다시 말하였다.
‘애달프다. 이 사람들아, 그대들도 모두 다 이 못 속에 거꾸로 매달려 죽게 되었구려.’
마을 사람들은 그 장부에게 말하였다.
‘이 어리석은 사람아, 이것은 바로 형상의 그림자이며 진실한 몸이 아니오. 무엇 때문에 이렇게 헷갈려 있소?’
그때 그 사람은 미쳤고 그로 인하여 목숨을 마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동자야, 그와 같고 그와 같다. 저 법에는 두 가지의 모양이 없으므로 둘을 짓지 말아야 한다.
동자야, 둘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의심과 뉘우침이 있고 이미 의심과 뉘우침이 있는지라 곧 두 가지의 생각을 낸다.
동자야, 모든 법을 취하되 마치 형상의 그림자와 같다고 사실대로 알면 그들은 아의 분별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니, 위의 허공에 대하여는 연기로써 죽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음성을 상자 속에 안전하게 놓아 둘 수도 없으며 또한 그림자가 못 속에 나타난다 하여 나는 죽는다고 말할 수도 없고 또 이와 같은 분별을 지으면서 보리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니 아를 마땅히 깨달아야 한다.
동자야, 만일 어떤 보살이 이런 일을 알 수 있다면 삼천대천세계에다 온갖 보배를 가득히 채운 뒤에 이를 보시하여 얻는 복업보다 갑절이 되어 그것에는 미치지 못한다.
마나바야, 반드시 이와 같이 알아야 하는데 어찌 지계(地界)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겠으며, 어찌 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겠느냐?
만일 지계ㆍ수계ㆍ화계ㆍ풍계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다 한다면 반드시 부처님ㆍ세존이 온전히 가득 차서 비지 않은 데에 의지해야 된다.
왜냐하면 이 몸이 실은 4대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니, 이런 이치 때문에 온갖 중생들은 바로 부처 아님이 없다. 마나바야, 이 지계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는 없으며 또한 수계ㆍ화계ㆍ풍계로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게 되는 것이 아니다.
마나바야, 이 때문에 그 법은 얻을 수도 없으며 이름을 지을 수도 없고 이름도 없으며 또한 얻을 수 없는데도 이름을 붙인 것이다. 모든 부처님의 보리도 역시 얻을 수는 없는데도 이름을 붙인 것이며 모든 부처님ㆍ여래도 말로 할 수 없고 또한 분별할 수도 없다.
마나바야, 말로 할 수 없는 가운데서 너는 이제 이와 같이 분별하면서‘제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겠습니다’라고 하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012_0956_c_01L大威德陁羅尼經卷第四 短隋北印度三藏闍那崛多譯阿難於中應知一入應知二入應知三入應知四入應知四聖諦應知眼四聖諦乃至意證知四聖諦阿難此因緣汝應證知如知眼故應當證知四聖諦義如我告憍陳如言憍陳眼是無常耶憍陳如卽荅我言世尊已知已解如來教知眼時卽已廣說教知四聖諦義是一句中亦說四念處四正斷四如意足五根五力七覺分八聖道分三十七品助菩提如是等一切諸法如是說眼無常卽已廣說一切諸法故不更說餘陰界入名爾時阿難白佛言世尊來作如是說豈可不眼入中卽說入佛言如來不教眼入說眼無常不說眼入於眼入中佛作捨說若佛如來作此捨說彼無常法如來教知已說眼彼入應知若於中眼滅色想不欲乃至意滅法想不欲阿難於汝意云何於彼入中豈復有入可得滅阿難荅言不也世尊若於入中可滅者應當自性捨離自性以物滅是故阿難此惟有名所謂入名故如來爲世言語說入名字復次所名眼入者眼不動作是故言眼不動作者名之爲忍又言忍者名中虛空又言忍者名不覆虛空又言忍名上虛空彼彼沙門法如不覆虛如上虛空阿難於汝意云何頗有沙門婆羅門作如是言於不覆空中於上空中有眼意者不難言不也世尊佛復告阿難言如來說此眼是常想故是遠離相故輕虛相故是空相故不覆虛空相故上虛空相故空行相故阿難此最勝因緣所謂無作若言眼作其眼無物卽涅槃性何者眼之自性其眼無有微細等量而可得者若有常者不失滅者若不破壞者是故其眼性不可以彼空故無有物故不可著故陰界入有頂生者無有眼性若復如來所說涅槃何者涅槃無有諸法可涅槃者何故眼如來所說是世閒語言然第一義中眼不可得乃至意不可得何以故以意空於中意空猶如幻化誑諸凡夫是故眼是凡夫小人乃至意非聖人耶爾時長老阿難白佛言世尊云何眼是凡夫輩乃至意非聖人耶唯然如來應正遍知說三種眼肉眼智眼世尊何者名爲肉眼何者名爲天眼何者名爲智眼爾時阿難作是語已佛告阿難言阿難如此等義汝自解說何者是肉眼何者天眼者智眼阿難言唯然世尊我承聖旨今當解說然此三眼我當分別言肉眼者依四大生何者四大所謂地大水大火大風大此是四大此等四大離有非有故言四大阿難以是義故汝等應知如非有四大而阿羅漢不離大地界亦大水界亦大火界亦風界亦大阿難於汝意云何阿羅漢見實以不阿難白佛言世尊見實見非實阿難復問言世尊彼阿羅漢云何見實云何見非實佛言阿難非實者是四顚倒見非實者是三界見非實者一切世閒見非實者諸凡夫輩執我執衆生執命者執福伽羅執阿難此等是凡夫法諸阿羅漢已知彼等何者是阿羅漢如實見耶知一切法離知一切法空知一切法不定阿難阿羅漢見是等實然於是中所有四大彼凡夫輩取爲眞實所取實彼等有轉諸阿羅漢無法可取是義故彼阿羅漢於有不轉何者是貪欲是物瞋恚是物愚癡是物有物者彼則不取其阿羅漢於渴愛而不和合是故阿羅漢名無物者名空行者何者空行不取眼故乃至不取耳不取我不取衆生不取命者不取福伽羅不取過去未來如是阿難其阿羅漢不分別過去不分別未來不分別現在其阿羅漢於三世中已覺知平等現在三世空故如是等空空性不捨何以現在不捨離故於是法中得涅槃者唯餘苦滅所有苦者彼卽寂靜所有苦者彼卽爲沒何者爲苦所謂無智何者無智謂不正念何者不正念阿難若無常中常想不淨中淨想苦中樂想無我中我想四種顚如是名爲不正念耶以是義故四顚倒而生三界言四倒者彼等無阿難以彼無實四顚倒而生四大以是義故四大無實如是阿難如來所說肉眼是卽爲疑卽是爲惑於中何者天眼所有眼者天身所攝天所有眼天修念者是名天眼於中何者是智眼能覺本性除滅惡道遠離惡處幷及二邊正向涅槃不依諸見者所歎能與無畏善能與力及與辯淸淨戒聚滿足戒聚能作堅牢護藏戒最勝戒聚起涅槃道能轉世捨欲恚癡能作實觀滅諸生趣作見智於正道中善能穿達方便智眼智根智力選擇諸法念正覺分正見正道解脫智慧覺成熟果能斷疑心及與生老除斷渴愛不復流轉毘羅舊安多僧喩驅致 優波鉢帝尼頗羅婆彌暮 浮多鉢帝 阿毘伽他婆蘇都 阿地那婆賀尼 叉耶地輸 波利呵牟地舍阿婆車度 烏奢伽摩 因陁盧遮那摩伽馱陁隋言能與道毘彼式迦隋言能觀阿隸數帝利師那制地迦隋言能斷渴愛多摩制地迦能斷暗阿鞠六不瞋跋陁羅賀羅迦叉毘帝守護主迦羅度叉音語諳反隋言時無畏婆祁羅金剛須尼帝尼尸波羅般遮不可說帝栗他福處何勒叉守護阿摩陁不醉阿鉢羅摩陁不放逸不由他能觀割斷教示無疑不分別帝醯尼師鉢利耶跋陁那盡印何波婆多雲主堅行曾住閃電作明日面奪解脫隸那迦離作室力護無有疑不及不超越生斷邊愚癡不可說不可攀無癡勤劬觀察無憂無言無愁無劬不了無癡不墮常鳴月三牟遮耶不亂不嗔亂及震娑那途娑那莎帝尼跋陁無上以至無畏巧智勝最勝不可行不可行處斷諸行住處不受果避婆魔帝阿蘭若住行無住處祇羅被力者純直行發一切處可信彼慈帝帝叉炎蘇途那音力暗反除憂阿㝹舍闍羅婆迦除老觀時可知毘浮多決了印毘求羅作邊界思惟無上明明閃波羅娑地利沙跋帝婆羅慰羅多婆那頡他兜羅阿地沙那不可降婆豆多無相別相能斷邊無物慰伽他三句伽他因頗蘭那跋帝叫無叫勝縛拔斷器仗不分別離分別無分別處不可得處不染智足大勝一切處打阿難如是智處名爲如來之所宣說分別顯示於三千大千世界中廣說智名阿難若人能知此智是名智眼諸菩薩所有智眼皆因般若波羅蜜故今於此處如來已說復次般若波羅蜜者菩薩摩訶薩之所學處般若波羅蜜中我當廣說彼般若波羅蜜菩薩所住學已當住十地至勝處至勝色處至般若勝處至智勝處至戒勝處於一切法得不退轉阿耨多羅三藐三菩提當速覺悟阿耨多羅三藐三菩提於多衆生善巧解脫阿難何者是諸菩薩摩訶般若波羅蜜一般若波羅蜜二般若波羅三般若波羅蜜乃至無量般若波羅蜜乃至有諸衆生各各諸根各各相續如是阿難乃至有各各諸根相如是如是應知應行復次乃至應知應行如是如是教示乃至教示是如是般若最勝應當證知如是阿難菩薩一切般若最勝當具足有復次阿難何者是諸菩薩般若波羅蜜薩所學處阿難於中菩薩應生意行阿難云何菩薩當生意行譬如利益菩薩阿難云何彼利益菩薩當生意阿難我念往昔過去世時然燈如來出現於世彼佛教中有一童子曰利益彼童子已發菩提心爾時有大魔王名曰染污爾時染污魔王詣利益童子所到已告彼童子作如是言童子汝莫發菩提心何以故佛菩提難可覺悟諸佛菩提難可成諸佛菩提大受苦惱諸佛世尊不示現菩提染污魔作如是說已利益童子告染污魔言云何諸佛菩提大受苦惱爾時利益童子作是語已染污魔王卽答利益童子言佛菩提大受苦惱我乃至譬喩而不能作雖然童子我當示現少分譬喩如我往昔爲菩提故曾受苦惱我本欲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我於彼旣不能成如此事故尋卽退還大苦惱不成己利是故卽退阿難染污魔王向利益摩那婆作如是等種種破壞已令捨離故不令受故欲迷惑故卽以兩手牢捉彼臂示現大海作大神通如此大海諸所有水令彼見血染污魔王卽告童子言童子汝見大海滿血已不摩那婆言我今悉見魔王復言汝今見此滿血已不摩那婆言我今已見魔王復言汝見此滿血大海東岸已不如是乃至南岸西岸北岸已不童子言我實不見我今惟見所住地處魔王復言童子此是我行菩薩行時於一劫中割捨頭目所出流血滿此大海阿難染污魔王復作神變示大頭聚如須彌山復告童子言汝見此大頭聚已不此頭悉是利刀所斫種種形或有髮者或無髮者或剝皮者見赤色或惟髑髏猶如珂雪或齒墮或不墮落童子荅言我今悉見王復言童子此等悉是我於往昔過去世中行菩薩行時彼利刀所斫斫之時所有出血流滿此大海童子汝見去此不遠有三十百千衆生手執利劍住彼已不如是東方南西北皆悉見不童子言我今悉見王復言童子汝復見此四方有三十二千諸大夜叉住在虛空復有數千諸惡羅剎形色可畏能奪他威汝悉見不童子言我今悉見魔王復言汝今復見有如是等諸惡人輩手執戎仗汝悉見不童子言我今悉見魔王復言童子汝見此等諸大夜叉及惡羅剎在於虛空汝悉見不童子報言我今悉見魔王復言此等諸人住諸方者作如是念若當有人發菩提心我等今者以此利劍當害其命童子此等諸大夜叉及惡羅剎所奪他威力者形色可畏者作如是念有住彼菩薩道者我等今者奪彼威當隨所去何以故童子彼諸人等作如是念諸菩薩輩是布施者是布施主然我等今極飢困以是故我等今者斫菩薩頭便以將去菩薩爲我必施我身得續命根令我富足其夜叉等作如是念我等今者是奪他威所有羸瘦衆生我等奪彼威力而若有菩薩發菩提心令多衆生住於白法以是因緣其奪威力諸夜叉等奪菩薩威隨心而去童子汝見四方有三萬二千諸羅剎女甚大可執人死屍食噉人肉彼等觀看於汝悉見不童子報言我今悉見童子此等三萬二千諸羅剎女觀菩薩此處捨身當趣何生隨其生或在母胎我等必當殺害彼命復如是在母胎中以刀割節從產門或作如是在在處處在彼腹中如是苦彼等若從產門出當害彼命童子汝見在於虛空中有四火聚熾盛以不報言我見魔王復言童子等行菩薩行諸衆生等以諸苦具墮身上損壞彼命童子汝見四方有執䩕弓其箭勁利猶如剃刀手執擎汝今見不報言我見污魔王言有如是等若有菩薩發菩提心如是等用剃刀箭隨其行處以箭射魔王復言汝見去此四方不遠或有三十二由旬或三十三由旬大熱鐵鑊其下猛火悉皆熾盛一一鑊各有三萬二千諸羅剎女潑水以報言我見污魔王言童子此等大猶如火熾此等潑水童子我今語我今教汝汝今取我善知識教等今欲與汝利益與汝善教欲與汝欲拔汝苦若有發菩提心發已重彼當墮此大熾鑊中童子此等住菩薩乘諸衆生輩墮此鑊中燒煮沒於湯火擧手叫喚揚聲汝見以不言我見污魔王言童子汝於今者菩提心汝若迴心則無是苦而觸汝身阿難爾時污魔復作如是等大神通於上虛空出現八萬四千諸大夜手擎滿鑊沸熱灰汁在虛空中汝避作利益者不取汝語不取如是善知識教我以如是沸鑊灰汁注頭上阿難爾時污魔告彼夜叉等汝等莫卒作是惡事我更勸化彼童子兼復慰喩當復重語令其憶念思惟我復教示令彼心得淸淨復作如是言我於今者發菩提心時惡魔重復語彼童子言汝於先曾發菩提心已不童子荅言我先已發菩提之心如心所發當如所作阿難污魔復語利益菩薩作如是言汝能當受如是我所示現諸苦以阿難爾時利益童子告污魔言如此者我等應當共詣然燈佛所佛世尊當教示我我當隨教應如是爾時利益童子作是語已污魔復告童子言我心不喜至彼佛所如汝諮問阿難爾時利益童子告污魔言污魔假令滿此三千大千世界一切如是可畏恐怖極大熾盛受諸苦惱復有如汝作利益者滿此三千大千世界我於彼處不取教示我亦不畏如是恐怖我亦不驚如我今者唯當隨順然燈如來阿羅呵三藐三佛陁之所教示其利益童子作是語已於虛空中百千俱致大夜叉衆如是言童子汝今顚倒迷惑童子我等語及善知識教汝今應當如是如是得大安樂爾時彼處有惡魔子名斷惡者將三萬天女前後圍繞利益菩薩所告彼童子言童子我當與汝此等天女以爲侍奉汝共此等受諸欲樂自在遊行若共此等天女受樂相隨行者彼等當不老不死墮亦不命終今汝童子應共此等天女衆嬉戲受樂當相隨行汝復當任菩薩乘者諸髑髏聚今在汝前童子是故汝捨如是惡見是故汝捨如是行心莫復發心趣向菩提阿難利益童子告彼污魔及魔子言曾如來應遍知所聞此三千大千世界寬廣無量假使有許極大地獄是遍滿熾然大火同爲一焰而彼焰如須彌山如是焰聚滿彼世界大地獄如劫燒時然此三千大千世彼時火炎俱成熾然彼焰上起乃至梵世我能如是可畏焰聚一墮已任逕恒河沙等大劫爲一切衆生大燒煮如是次第乃至所有衆生界可說中說我爲彼等一一衆生如是等苦皆悉能受盡彼大地獄我無一悔恨之心亦復不能捨菩提心亦不能離亦不能迴亦不生懈怠之心亦不言我不證阿耨多羅三藐三菩汝今且止我決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汝今爲我作諸障㝵竟有何益阿難爾時污魔復語利益菩薩童子汝今見此大血頭聚如須彌山王已不童子報言我今悉見魔言我今所見諸菩薩等行菩提行所有頭數此等菩薩今有如是極大頭聚我見是等諸大菩薩行菩薩行彼皆退還童子汝莫如是乘於此乘阿難爾時利益童子復告污魔言希有至汝今作我如是大利益事乃至增乃至汝說令我反得最勝當勤精以我成就如是精進已有諸菩薩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欲退還者我爲彼等作大勸助不退轉中我當爲彼一切衆生令得安住不退轉地彼等一切皆令得樂有諸菩薩發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我爲彼等教此行當令安住得不退轉我今爲更作譬喩假使如來在我現前如是言今汝童子當二十劫中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住安樂道於遠道中汝必當上得諸天身復作人中轉輪王正法治化但住懈怠汝今當發大精進於十劫中大地獄出已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我能十劫受大地獄種種極苦我不用作轉輪聖王亦不用生天之身及與天王唯欲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如是我今不用天樂若如來在我現前如是語若有衆生墮大地獄彼住地獄一日一夜復有忉利天中鋪天寶汝坐彼已於六夜中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汝若爲彼地獄衆生大利益故住大地獄乃至一日一夜於彼出已後日卽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若坐彼座當受天樂而我不用彼天勝樂我寧在彼大地獄中一衆生作諸利益我發如是弘誓精我於此處如是勤修我於是處如是渴仰我於是處能住地獄意不樂乃至當爲得佛法故速欲成就大神通故成就四無畏故成就十力故寧住於彼大地獄中盡一日一夜以故彼佛世尊長讚歎少欲知足歎易滿減省財利不被譏訶不作有恒常修習頭陁功德威儀庠序具足禁戒彼世尊長夜讚歎發精進故我今成就如來讚歎之處信佛入入履佛迹如是成就堅固之心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假使有人來在我前卽以利刀破我身分或以百鑹穿穴我身復爲我作如是等語汝受百年如是等苦過百年已然後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我寧甘受此苦不迴於阿耨多羅三藐三菩更復有人來作如是語謂我言來仁者五欲功德遊戲快樂而彼宮殿懸繒雜綵及敷寶座莊嚴一切果報具足快樂汝過百年後當得證阿耨多羅三藐三菩提於諸佛法中到彼岸我今不用受是快樂我今寧爲大利益故受諸苦楚刀杖打捶餘多種極大苦惱我能忍受我終不捨阿耨多羅三藐三菩提速成正覺污魔若汝示我大熱鐵鑊如是恐怖以恐嚇我假使隨爲一事因緣此三千大千世界爲一鐵鑊而彼炎合成一火我能爲諸衆生等在鐵鑊中其燒煮等苦而能荷擔不捨阿耨多羅三藐三菩提阿難爾時利益童子語污魔言行矣污魔共詣佛所而彼如來教示我等當如是住阿難爾時污魔隨利益菩薩往詣然燈如來應正遍知所阿難爾時利益菩薩頂禮佛足卻住一面住一面已白佛言我欲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是因緣唯願如來教示我等令我速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爾時利益童子作是語已然燈如來告利益童子言童子汝觀此法何者法是汝所問而言我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彼法不可得若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於中誰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譬如有人作如是言我今在虛空之中當令滿迹若象足迹馬足迹若駱駝足迹若牛足迹若諸鳥足迹童子於汝意云何此人能得上虛空中或象足迹乃至諸鳥足迹得滿已不利益言不也世尊佛告言如是如是童子若汝言我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彼法不可見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此等諸法離覺觀相此等諸法自性遠離猶如虛空阿難佛作是語已其利益童子復白然燈佛言世尊彼法頗有相似以不彼佛報言如是彼法似虛空復告言童子似虛空者彼無有似彼佛菩提無有似者以是義故佛菩提似虛空童子譬如有人作如是說我於上虛空中無有住處而作畫印童子於汝意云何彼人能得上虛空中無有住處作畫印不童子言不也世尊佛言如是如是童子於中無有法可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童子此惟有聲惟有響我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童子有我者無有阿耨多羅三藐三菩提阿難彼佛作是語已利益菩薩復白佛世尊頗有我所有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彼佛答言有去我所有阿耨多羅三藐三菩提童子報言希有世尊有我念者當有煩惱去我所者而無煩惱阿難爾時童子作是語已然燈佛復告利益童子言童子我所念者無有煩惱何以故若有實此非我所無一物者無有一物是我所作以是義故言我所作童子譬如有人作如是言我有諸聲若象聲若馬聲若駱駝聲若牛聲若驢聲若騾聲伎樂聲若婦女聲若丈夫聲若種種鳥聲拍鼓大鼓及貝角等種種音樂之聲及以談話之聲世閒所有音聲皆安置篋中我若須時各於篋中取聲而作童子於汝意云何彼人是正語不荅言不也世尊何以故世尊聲不可取故聲不可見故世尊彼聲不從東方不從南方不從西方不從北方不從上方不從下方世尊聲若可見者應有聚積佛言童子是音聲雖不可見而生耳識覺知之相亦起愛憎聲不可見但以聞時而生苦樂童子如是如是以無智故當生苦樂彼不可見若不可見彼卽無色若無色者彼應不著童子汝莫如是於彼聲中而生染著謂我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童子譬如有人作如是我以氣吹令滿魚網童子於汝意云何彼人此言是正語不荅言不也世尊佛言童子我如是辯若欲菩提作如是說分別我我所當得成菩童子我念往昔過去有人行涉遠爾時非時起大雲雨是時彼人困苦疲乏極大衰損於後時閒還己家聚集柴木及乾糞穢毒藥炭火著崖上作大煙焰更取糞穢及諸毒藥柴木薪等擲著火中作如是說空苦我虛空苦我我今在此欲害虛以煙薰殺童子於汝意云何此上虛空可薰殺不荅言不也世尊佛言如是如是汝童子以著我故欲求菩何以故童子此業虛妄若以著我求索菩提童子汝於般若波羅蜜當作勤進何者是般若波羅蜜一切諸法無量一切諸法無邊一切諸法無㝵是名般若波羅蜜何故名般若波羅蜜無欲無樂捨二業不作二相若我若菩提無所塵染遠離塵染名般若波羅蜜復次何故名般若波羅蜜無善故名般若波羅蜜何以故與聖智根同相和合而般若波羅蜜不離聖智根故有聖智根之所度量何者思量若心所思出生等法一切合集衆緣合者彼皆無實若心所生尚無有實何況心法和合轉生諸而當有實何以故名心思量生諸法耶緣境思念能生增長以是義故名心思生法童子譬如有人名蜜甁酥甁然於是中無有蜜甁亦無酥甁如應名酥如應名蜜彼卽言酥甁也言蜜甁也童子此義一物而得二名若作二名卽是無智若無有智不可以無智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童子復問言何故名無智佛荅言言無智者隨心思生非善等法智牽攝取非事物故言無智童子如有人於春後熱時被燒思涼冷水若冬冷時還思熱水然彼人春冬寒更無別界唯諸行轉變以不善法種種愛念以愛念故而生分別生分別彼卽非善摩那婆汝莫爲菩提因緣而作分別童子所有分別是非菩提童子譬如有人在大池岸諦觀彼池見自身影在池倒懸見已恐申擧兩臂而大叫喚其大喚時諸人衆聞彼叫聲各疾走赴至彼池彼大衆告彼人言咄哉癡人今何故作是叫聲爾時彼人告彼大衆作如是言謂諸人輩我今在池懸欲死爾時大衆告彼人言我等不見汝在池死唯見汝在陸地爾時彼人復告大衆作如是言希有汝等悉皆迷惑咄哉人輩汝等可來我示汝等如我所見在大池死彼等衆言咄哉人者今可示我爾時彼人於彼池中諦觀察已舒擧兩臂告彼大衆復作是言咄哉人輩汝等看我在池中死彼大衆告彼人言咄哉丈夫汝今顚倒迷惑所致汝今在陸此是汝影顯現在池汝觀我輩所有形影亦現池中爾時丈夫告大衆言咄哉人輩我今不獨憂自己身汝等今者皆在池死彼丈夫搥胸唱叫速疾走至見多人衆卽復告言彼村人衆等人輩今我自身及諸人衆皆在池倒懸將死咄哉人輩汝等可來詣彼池中拔出我身及諸大衆我等當知汝等恩德彼村人言丈夫我等唯見汝在陸地不見在水而取命終丈夫告彼大衆咄哉人輩汝來觀卽知驗實童子彼人衆作是思此人成狂我等可詣彼池所躬自觀察彼當云何教我驗實爾時人衆詣向彼池到已告彼人言咄哉癡人何者大衆死於此池而取命終爾時彼人見彼大衆在池岸已自身諦下審悉觀察告彼人衆復作是言咄哉人輩汝等皆悉在此池中而倒懸死爾時村人告丈夫言咄哉癡人此是形影非眞實身何故如是迷惑爾時彼人不思成狂因遂命終童子如是如是彼法無有二相不得作二童子以有二故當有疑悔旣有疑悔卽生二想童子若取諸法猶如形影如實知者彼等不作起我分別於上虛空非煙可死不可以聲安置篋中亦不可以影現池中而言我死亦復不可作如是分別名菩提也若我當覺也童子若有菩薩能知是事者若有菩以三千大千世界所有衆寶滿已布施而此福業倍不及彼摩那婆如是學豈可地界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乎豈可水界火界風界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乎若地界火界風界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應依佛世尊具滿不空何以此身體實四大成故以是義故切衆生無非是佛摩那婆旣是地界不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亦非水界及火風界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摩那婆是故彼法不可得故可作名字無有名字亦不可得而作名字諸佛菩提亦不可得而作名字諸佛如來亦不可言亦不可分別那婆不可言中汝今莫作如是分別言我當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也大威德陁羅尼經卷第四庚子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정신만의 세계인 무색계의 네 번째 천이며 3계의 가장 높은 곳에 있어 유정천(有頂天)이라고 한다. 이 천에 사는 이는 하지(下地)와 같은 거친 생각이 없으므로 비상(非常), 비유상(非有想)이다. 그러나 자세한 생각이 없지 않으므로 비비상(非非想), 비무상(非無想)이라 한다.
  2. 2)아상(我相)ㆍ인상(人相)ㆍ중생상(衆生相)ㆍ수자상(壽者相)의 넷에 대한 집착을 말한다. 복가라는 Pudgala로서 인상(人相)에 대한 집착이다.
  3. 3)bilagu andasiṃyuguṭi yupa pratini prapamimu butapati abik- hatapa sudu adhinapahani kṣayatisu parihamatiśa apakṣadu uśaṣama bindharuc- anam- aghadhada bibuśika ariśudhili śinacitika dharma citika agulupa padara har- akakṣabiti kaladukṣiyaṃ paśilabiśunitiniśiprapaca trida alakṣa amada apram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