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소개

한국불교의 발자취와 얼이 담긴 다양한 기록물을 집성하고 역주하여
그 성과를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였다.
불교기록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학술적 연구 및 문화적 활용을 위한 토대를 확립하여
우리 전통문화를 현대화하고 한국학 진흥의 중심 거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은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의 주관 하에 한국불교의 전통문화유산 중 다양한 기록물을 대상으로 그것을 집성하고 역주하여 그 성과를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공개하는 것이다.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통합대장경, 한국불교전서, 신집성문헌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불교기록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통합대장경이다. 이는 대장경의 이미지와 원문 텍스트, 그리고 한글번역을 동시에 열람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된 디지털 대장경이다. 한국불교전서는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인에 의해서 편찬된 불교관련 저술을 집대성한 문헌이다. 이는 한국불교 뿐만 아니라 한국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원전 자료가 된다. 신집성문헌은 국내외의 사찰, 기관,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불교기록문화유산을 본 사업단의 집성작업을 통해 조사, 연구, 촬영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통합대장경 서비스 시스템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세계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의 인경본 이미지, 텍스트, 그리고 부가정보를 담아 디지털 대장경으로 구축한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와 우리시대의 말과 글로 번역한 한글대장경을 한 화면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고려대장경연구소와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이 협력하여 공동의 연구성과를 담아서 서비스하는 것이다.
한국불교전서 서비스 시스템은 1단계로 한국불교전서의 원문 텍스트를 편리하게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그것의 저본이 되는 원전 이미지와 번역문을 순차적으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신집성문헌 서비스 시스템은 집성작업을 통해 조사한 목록과 메타데이터, 그리고 획득한 원전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텍스트와 번역문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앞으로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적절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손쉽게 우리나라의 불교기록문화유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당 시기의 불교 지식과 문화를 느끼고 향유할 수 있도록 자료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