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十四

ABC_IT_K1058_T_014
031_0910_c_01L
대주간정중경목록 제14권
[견정유행입장록(見定流行入藏錄) 하권]


명전 등 지음


9. 대소승 삼장급현성집전 ②

4) 소승 수다라장(修多羅藏) 207부 443권 44질(帙)
(1) 단역경(單譯經)
음지입경(陰持入經) 1부 2권
대안반수의경(大安般守意經) 1부 2권혹은 1권으로 되어 있다.
대안반경(大安般經) 1권
팔대인각경(八大人覺經)
출가연경(出家緣經)일명 『출가인연경(出家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아함정행경(阿含正行經)일명 『불설정의경(佛說正意經)』이라고도 한다.
십팔니리경(十八泥犁經)
법수진경(法受塵經)
선행법상경(禪行法想經)
불설처처경(佛說處處經)
이상 7경(經)은 동권(同卷)이다.
견의경(堅意經)일명 『견심정의경(堅心正意經)』이라고도 하고, 또는 『견심경(堅心經)』이라고도 한다.
장자자오뇌삼처경(長者子懊惱三處經)또한 『장자오뇌경(長者懊惱經)』이라고도 하며, 또는 다만 『삼처뇌경(三處惱經)』이라고도 한다.
건타국왕경(揵陁國王經)
수마제장자경(須摩提長者經)
아난사사경(阿難四事經)
미생원경(未生怨經)
삼품제자경(三品弟子經)일명 『제자학유삼배경(弟子學有三輩經)』이라고도 하고, 혹은 유(有)자가 없기도 하다.
사원경(四願經)
이상 8경은 동권(同卷)이다.
포태경(胞胎經) 1권일명 『포태수신경(胞胎受身經)』이라고도 한다.
오백제자자설본연경(五百弟子自說本緣經) 1권『화도록(化度錄)』에서는 『오백제자자설본기경(五百弟子自說本起經)』이라고 하였다.
이상 『음지입경』 등 20경 9권은 동질(同帙)이다.
사배경(四輩經)
대가섭본경(大迦葉本經)『보창록(寶唱錄)』에는 대(大)자가 없다.
당래변경(當來變經)혹은 『당래변멸경(當來變滅經)』이라고도 한다.
청정법행경(淸淨法行經)
이상 4경은 동권(同卷)이다.
과거불분위경(過去佛分衛經)
시비시경(時非時經)일명 『시경(時經)』이라고도 한다.
나운인욕경(羅云忍辱經)일명 『인욕경(忍辱經)』이라고도 한다.
불위연소비구설정사경(佛爲年少比丘說正事經)
난제석경(難提釋經)
이상 5경은 동권(同卷)이다.
사갈비구공덕경(沙曷比丘功德經)
구호신명제인병고액경(救護身命濟人病苦厄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오고장구경(五苦章句經) 1권또한 『오고경(五苦經)』, 또는 『정제죄개경(淨除罪蓋經)』, 또는 『오락불법경(娛樂佛法經)』, 또는 『오도장구경(五道章句經)』이라고도 한다.
반니원시대가섭부불경(般泥洹時大迦葉赴佛經)혹은 『마하가섭경(摩訶迦葉經)』이라고도 한다.
대어사경(大魚事經)
견정경(見正經)일명 『생사변식경(生死變識經)』이라고도 한다.
아난칠몽경(阿難七夢經)일명 『아난팔몽경(阿難八夢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팔(八)자가 없기도 하다.
가조아나함경(呵鵰阿那含經)일명 『하조아나함경(荷鵰阿那含經)』, 또는 『아조아나함경(阿調阿那含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6경은 동권(同卷)이다.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 1부 2권일명 『부정관경(不淨觀經)』, 또는 『도지경(道地經)』이라고도 한다.
전단수경(栴檀樹經)
등지인연경(燈指因緣經)
불임반열반략설교계경(佛臨般涅槃略說敎誡經)일명 『유교경(遺敎經)』이라고도 한다.
부인우고경(婦人遇辜經)일명 『부우대경(婦遇對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5경은 동권이다.
변의장자자문경(辯意長者子問經)일명 『장자문의경(長者問意經)』이라고도 한다.
정반왕반열반경(淨飯王般涅槃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무구우바이문경(無垢優婆夷問經)
사천왕경(四天王經)
십이두타경(十二頭陁經)일명 『사문두타경(沙門頭陁經)』이라고도 한다.
마하가섭도빈모경(摩訶迦葉度貧母經)
십이품생사경(十二品生死經)
수제가경(樹提伽經)
사품학법경(四品學法經)
이상 7경은 동권(同卷)이다.
이상 『사배경』 등 22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
본사경(本事經) 1부 7권
간왕경(諫王經)또한 『대소간왕경(大小諫王經)』1)이라고도 한다.
고왕관세음경(高王觀世音經)
법상주경(法常住經)
이상 3경은 동권이다.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1부 2권
오무반복경(五無返復經)일명 『오유반복대의경(五有反覆大義經)』이라고도 한다.
불대승대경(佛大僧大經)
야기경(耶祇經)
말라왕경(末羅王經)
마달국왕경(摩達國王經)
오공포세경(五恐怖世經)
전다월경(旃陁越經)
해태경자경(懈怠耕者經)『구록(舊錄)』에서는 『해태경아경(懈怠耕兒經)』이라고 한다.
이상 8경은 동권이다.
이상 본사경(本事經) 등 13경 11권은 동질이다.

(2) 중역경(重譯經)
정법염처경(正法念處經) 1부 70권
잡보장경(雜寶藏經) 1부 8권혹은 10권, 또는 13권으로 되어 있다.
비야사문경(毗耶娑問經) 1부 2권
이상 2경 10권은 동질이다.
출요경(出曜經) 1부 19권
유중생삼세작악경(有衆生三世作惡經) 1권
이상 2경 20권은 2질이다.
현우경(賢愚經) 1부 12권혹은 16권, 또는 17권, 또는 15권으로 되어 있다.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1부 10권일명 『기세경(起世經)』이라고도 한다.
잡아함경(雜阿含經) 1부 50권
수행도지경(修行道地經) 1부 7권혹은 6권으로 되어 있다.
칠처삼관경(七處三觀經) 1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구횡경(九橫經)
팔정도경(八正道經)
오음비유경(五陰譬喩經)일명 『수말소표경(水沫所漂經)』이라고도 한다.
전법륜경(轉法輪經)
선행삼십칠품경(禪行三十七品經)
독부장자경(獨富長者經)
마유팔태경(馬有八態經)일명 『마유팔폐악태경(馬有八弊惡態經)』, 또는 『마유팔태비인경(馬有八態譬人經)』이라고도 한다.
마유삼상경(馬有三相經)
이상 8경은 동권(同卷)이다.
부자수의경(不自守意經)일명 『자수경(自守經)』, 또는 『자수의경(自守意經)』이라고도 한다.
성법인경(聖法印經)
바사닉왕조모명종경(波斯匿王祖母命終經)
비구피녀악명욕자살경(比丘避女惡名欲自煞經)
계상응법경(戒相應法經)일명 『계상응경(戒相應經)』이라고도 한다.
계덕향경(戒德香經)일명 『계덕경(戒德經)』이라고도 한다.
비구청시경(比丘聽施經)일명 『청시비구경(聽施比丘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7경은 동권(同卷)이다.
잡아함경(雜阿含經) 1권
이상 『수행도지경[修行道地]』 등 18경 11권은 동질(同帙)이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1부 50권『내전록內典』에는 혹은 51권으로 되어 있고, 『장방입장록(長房入藏錄)』에는 42권경이라 하였다.
장아함경(長阿含經) 1부 22권『장방입장록』에는 25권과 18경이 별도라 하였다.
중아함경(中阿含經) 1부 60권혹은 58권으로 되어 있다.
생경(生經) 1부 5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고, 『보창록(寶唱錄)에서는 『논생경(論生經)』이라 하였다.
사제경(四諦經)
시법비법경(是法非法經)
일체유섭수인연경(一切流攝守因緣經)일명 『유섭경(流攝經)』, 또는 『일체유섭수경(一切流攝守經)』이라고도 하며, 『오록(吳錄)』에는 『유섭수인경(流攝守因經)』, 또는 『수인경(受因經)』이라고도 하였다.
이상 3경은 동권이다.
누분포경(漏分布經)
십지거사팔성인경(十支居士八城人經)
본상의치경(本相倚致經)『오록』에서는 『대상의치경(大相倚致經)』이라 하였다.
연본치경(緣本致經)
아나율팔념경(阿那律八念經)일명 『선행염의경(禪行斂意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다만 『팔념경(八念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5경은 동권이다.
뇌타화라경(賴吒和羅經)일명 『나한뢰타화라경(羅漢賴吒和羅經)』이라고도 한다.
범마유경(梵摩喩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재경(齋經)일명 『팔관재경(八關齋經)』, 또는 『우바이타사가경(優婆夷墮舍迦經)』이라고도 한다.
신일경(申日經)
석마남본경(釋摩男本經)일명 『오음인사경(五陰因事經)』이라고도 한다.
제법본경(諸法本經)
손다야치경(孫多耶致經)일명 『범지손다야치경(梵志孫多耶致經)』이라고도 한다.
칠지경(七知經)혹은 『칠지경(七智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6경은 동권(同卷)이다.
항수유경(恒水喩經)일명 『해유팔덕경(海有八德經)』, 또는 『첨파비구경(瞻波比丘經)』, 또는 『법해경(法海經)』이라고도 하며, 『장방록(長房錄)』에서는 『항하유경(恒河喩經)』이라고 하였다.
비구문불다우바새명종경(比丘問佛多優婆塞命終經)
불설구욕경(佛說求欲經)
신세경(新歲經)
이상 4경은 동권이다.
이상 『생경(生經)』 등 21경 10권은 동질이다.
정생왕고사경(頂生王故事經)일명 『문다갈왕경(文陁竭王經)』, 또는 『정생왕경(頂生王經)』이라고도 한다.
니리경(泥犁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평사왕오원경(蓱沙王五願經)일명 『불가사왕경(弗迦沙王經)』이라고도 한다.
앵무경(鸚鵡經)일명 『도조경(兜調經)』이라고도 한다.
구담미기과경(瞿曇彌記果經)
이상 3경은 동권이다.
함수유경(鹹水喩經)『승우록(僧祐錄)』에서는 안공(安公)이 『중아함경(中阿含經)』에서 나온 것이라 하였다. 『구록(舊錄)』에서는 『함수비경(鹹水譬經)』이라 하였고, 『아함경(阿含經)』에 나온다.
염라왕오천사자경(閻羅王五天使者經)일명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2경은 동권(同卷)이다.
고래세시경(古來世時經)
장수왕경(長壽王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마요란경(魔嬈亂經) 1권일명 『폐마시목련경(弊魔試目連經)』, 또는 『마왕입목건란복경(魔王入目揵蘭腹經)』이라고도 한다.
범지아발경(梵志阿跋經) 1권일명 『아발마납경(阿跋摩納經)』, 또는 『불개해아발범지경(佛開解阿跋梵志經)』이라고도 한다.
보법의경(普法義經) 1권또한 『보의경(普義經)』, 또는 『구법행경(具法行經)』이라고도 한다.
십보법경(十報法經) 1부 2권일명 『다증도장경(多增道章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정생왕고사경』 등 13경 9권은 동질이다.
누탄경(樓炭經) 1부 6권혹은 5권, 또는 8권으로 되어 있다.
가라월육향배경(迦羅越六向拜經) 1권일명 『육향배경(六向拜經)』, 또는 『대육향배경(大六向拜經)』, 또는 『위화장자육향배경(威花長者六向拜經)』이라고도 한다.
칠불부모성자경(七佛父母姓字經)일명 『부인무필청불경(婦人無匹請佛經)』2), 또는 『칠불성자경(七佛姓字經)』이라고도 한다.
아난동학경(阿難同學經)
아나빈저화칠자경(阿那邠坻化七子經)
삼마갈경(三摩竭經)일명 『수마제녀경(須摩提女經)』, 또는 『난국왕경(難國王經)』, 또는 『서화단왕경(恕和檀王經)』이라고도 하며, 『보창록』에서는 『삼마게경(三摩偈經)』이라 하였다.
이상 4경은 동권이다.
역사이산경(力士移山經)일명 『이산경(移山經)』이라고도 한다.
사미증유법경(四未曾有法經)
유리왕경(琉璃王經)
앙굴계경(鴦崛髻經)일명 『지만경(指鬘經)』이라고도 한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이상 5경은 동권(同卷)이다.
군우비경(群牛譬經)
행칠행현보경(行七行現報經)
시식획오복보경(施食獲五福報經)일명 『복덕경(福德經)』, 또는 『시색력경(施色力經)』이라고도 한다.
국왕불리선니십몽경(國王不犁先尼十夢經)일명 『국왕칠몽경(國王七夢經)』이라고도 한다.
방우경(放牛經)
이상 5경은 동권이다.
이상 『누탄경』 등 16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
범망육십이견경(梵網六十二見經) 1권일명 『범망경(梵網經)』이라고도 한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1부 2권
대반니원경(大般泥洹經) 1부 2권
반니원경(般泥洹經) 1권
적지과경(寂志果經) 1권
장자자육과출가경(長者子六過出家經)
대애도반열반경(大愛道般涅槃經)
수달경(須達經)일명 『장자수달경(長者須達經)』, 또는 『삼귀오계자심염득경(三歸五戒慈心厭得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3경은 동권이다.
이상 8경 8권은 동질이다.
별역잡아함경(別譯雜阿含經) 1부 20권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 1부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옥야경(玉耶經)일명 『장자예불설자부무경경(長者詣佛說子婦無敬經)』, 또는 『칠부경(七婦經)』이라고도 한다.
아속달경(阿遬達經)
우란분경(盂蘭盆經)별본(別本)으로서 5지로 되어 있으며, 『정토우란경(淨土盂蘭經)』이라고도 하였으나,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사자침경(四自侵經)
관랍경(灌蠟經)일명 『반니원후사배관랍경(般泥洹後四輩灌蠟經)』이라고도 한다.
보은봉분경(報恩奉盆經)
이상 6경은 동권(同卷)이다.
아란야습선법경(阿蘭若習禪法經) 2권혹은 경(經)자가 없기도 하다.
죄복보응경(罪福報應經) 1권일명 『분별보응경(分別報應經)』이라고도 한다.
업보차별경(業報差別經) 1권
마등녀경(摩登女經)일명 『마등녀경(摩鄧女經)』, 또는 『아난위고도녀혹경(阿難爲蠱道女惑經)』이라고도 한다.
마등녀해형중육사경(摩登女解形中六事經)
아난분별경(阿難分別經)일명 『분별경(分別經)』, 또는 『아난문사불길흉경(阿難問事佛吉凶經)』이라고도 한다.
오모자경(五母子經)
사미라경(沙彌羅經)
이상 5경은 동권이다.
죄업보응교화지옥경(罪業報應敎化地獄經) 1권혹은 『지옥보응경(地獄報應經)』이라고도 한다.
아난문사불길흉경(阿難問事佛吉凶經) 1권『승우록』에서는 혹은 『아난문경(阿難問經)』이라고 하였다.
이상 『좌선삼매경[坐禪]』 등 17경 11권은 동질이다.
마등가경(摩登伽經) 1부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사두간경(舍頭諫經) 1권일명 『태자이십팔수경(太子二十八宿經)』, 또는 『호이태자경(虎耳太子經)』이라고도 하며, 『화도록(化度錄)』에서는 『호이의경(虎耳意經)』이라고 하였다. 두 번째로 역출된 것이며, 『마등가경(摩登伽經)』과 원본은 같으나, 다르게 역출된 것이다同本異出. 안세고(安世高) 번역과 조금 다르다.
의족경(義足經) 1부 2권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 1부 2권『보창록』에서는 일명 『숙행본기경(宿行本起經)』이라고 하였다.
태자본기서응경(太子本起瑞應經) 1부 2권제일 먼저 역출된 것이며, 또한 『서응본기경(瑞應本起經)』, 또는 『중본기경(中本起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5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
중본기경(中本起經) 1부 2권혹은 『태자중본기경(太子中本起經)』이라고도 한다.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1부 4권
잡장경(雜藏經)『귀문목련경(鬼問目連經)』, 또는 『아귀보응경(餓鬼報應經)』, 또는 『목련설지옥아귀인연경(目連說地獄餓鬼因緣經)』 등과 이 4본(本)은 범어본은 같으나, 경명이 다르며, 다른 번역본이다. 『보창록』에 보인다.
귀문목련경(鬼問目連經)
아귀보응경(餓鬼報應經)일명 『목련설지옥아귀인연경(目連說地獄餓鬼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3경은 동권(同卷)이다.
흥기행경(興起行經) 1부 2권일명 『십연경(十緣經)』이라고도 한다.
내녀기역경(柰女耆域經) 1권혹은 『내녀경(柰女經)』이라고도 한다.
빈궁로공경(貧窮老公經)일명 『빈로경(貧老經)』이라고도 한다.
월난경(越難經)일명 『난경(難經)』이라고도 하며, 두 번째로 역출된 것이다. 『보창록』에서는 『일난장자경(日難長者經)』이라 하였다.
칠녀경(七女經)일명 『칠녀본경(七女本經)』이라고도 하며, 『장방록』에 는 『아비담(阿毗曇)』에 나온다고 하였다.
용왕형제경(龍王兄弟經)일명 『난타용왕경(難陀龍王經)』이라고도 한다.
팔사경(八師經)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소욕치환경(所欲致患經)
이상 7경은 동권(同卷)이다.
이상 『중본기경』 등 14경 11권은 동질(同帙)이다.
우바이정행경(優婆夷淨行經) 1부 2권
승호인연경(僧護因緣經) 1권혹은 인연(因緣)자가 없기도 하다.
불입열반밀적금강역사애련경(佛入涅槃密迹金剛力士哀戀經) 1권
불멸도후관렴장송경(佛滅度後棺斂葬送經)일명 『비구사경(比丘師經)』, 또는 『사비구경(師比丘經)』이라고도 한다.
알다화다기경(頞多和多耆經)
가전연설법몰진게경(迦旃延說法沒盡偈經)
윤전오도죄복보응경(輪轉五道罪福報應經)
이상 4경은 동권이다.
작불형상경(作佛形像經)일명 『우전왕작불형상경(優塡王作佛形像經)』, 또는 『작상인연경(作像因緣經)』이라고도 한다.
십이인연아함구해경(十二因緣阿含口解經)
이상 2경은 동권이다.
미증유경(未曾有經)
호정경(護淨經)
목환자경(木槵子經)3)
보달왕경(普達王經)
노지장자경(盧志長者經)
이상 5경은 동권이다.
오왕경(五王經)
전단월국왕경(旃檀越國王經)
석장경(錫杖經)
무상처경(無上處經)
이상 4경은 동권(同卷)이다.
이상 『우바이정행경[淨行]』 등 18경 8권은 동질(同帙)이다.

5) 소승 비니장(毗尼藏) 35부 260권 28질
십송률(十誦律) 1부 61권
사분율(四分律) 1부 40권혹은 70권 또는 60권으로 되어 있다.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1부 40권
미사색오분율(彌沙塞五分律) 1부 34권
선견비바사율(善見毗婆沙律) 1부 18권
비내야율(鼻柰耶律) 1부 10권일명 『계인연경(戒因緣經)』이라고도 한다.
대애도비구니경(大愛道比丘尼經) 1부 2권
해탈계본(解脫戒本) 1권『가섭비율(迦葉毗律)』에 나온다.
십송비구계본(十誦比丘戒本) 1권
십송비구니계본(十誦比丘尼戒本) 1권
승기계본(僧祇戒本) 1권
승기대비구계본(僧祇大比丘戒本) 1권
승기비구니계본(僧祇比丘尼戒本) 1권
사분비구승계본(四分比丘僧戒本) 1권
사분비구니계본(四分比丘尼戒本) 1권
이상 9경 10권은 동질이다.
대비구삼천위의경(大比丘三千威儀經) 1부 3권
계소재경(戒消災經) 1권혹은 『계복소재경戒伏消災』이라고도 한다.
미사색비구계본(彌沙塞比丘戒本) 1권혹은 『오분계본(五分戒本)』이라고도 한다.
대사문백일갈마(大沙門百一羯磨) 1권
십송승니요사갈마(十誦僧尼要事羯磨) 1부 2권
담무덕갈마(曇無德羯磨) 1권
사분갈마(四分羯磨) 1권
이상 7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
우바리문불경(優婆離問佛經) 1권혹은 『우바리율(優波離律)』이라고도 한다.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이라고도 한다.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 또는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이라고도 한다.
사미십계병위의(沙彌十戒幷威儀) 1권
사미리계경(沙彌離戒經) 1권
사리불문경(舍利弗問經) 1권
율이십이명료론(律二十二明了論) 1권또한 다만 『명료론(明了論)』이라고도 한다.
사미위의경(沙彌威儀經) 1권
우바새오계상(優婆塞五戒相) 1권
우바새오계위의경(優婆塞五戒威儀經) 1권
이상 열 가지 경ㆍ론 등 10권은 동질이다.
비니모론(毗尼母論) 1부 8권
살바다마득륵가(薩婆多摩得勒伽) 1부 10권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毗尼毗婆沙) 1부 9권

6) 소승 아비달마장(阿毗達磨藏) 36부 744권 73질
대비바사론(大毗婆沙論) 1부 200권
순정리론(順正理論) 1부 80권
아비담팔건도비바사(阿毗曇八揵度毗婆沙) 1부 84권혹은 109권, 또는 60권으로 되어 있다.
현종론(顯宗論) 1부 40권
발지론(發智論) 1부 20권
아비달마구사론(阿毗達磨俱舍論) 1부 30권
구사론송(俱舍論頌) 1권
존바수밀소집론(尊婆須蜜所集論) 1부 12권혹은 10권으로 되어 있다.
비바사아비담론(鞞婆沙阿毗曇論) 1부 19권혹은 15권, 또는 14권으로 되어 있으며, 또는 『비바사(毗婆沙)』, 또는 『광설(廣說)』이라고도 한다.
아비담팔건도(阿毗曇八揵度) 1부 30권혹은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일명 『가전연아비담팔건도(迦旃延阿毗曇八揵度)라고도 한다.
사리불아비담(舍利弗阿毗曇) 1부 30권혹은 20권, 또는 22권으로 되어 있다.
성실론(成實論) 1부 24권혹은 20권, 또는 16권, 또는 14권으로 되어 있다.
법승아비담론(法勝阿毗曇論) 1부 6권
이상 3론 41권은 4질이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부 11권
분별공덕론(分別功德論) 1부 5권혹은 4권, 또는 3권으로 되어 있다.
삼법도론(三法度論) 1부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아비담감로미(阿毗曇甘露味) 1부 2권혹은 『감로미아비담(甘露味阿毗曇)』이라고도 한다.
이상 3론 10권은 동질(同帙)이다.
중사분아비담론(衆事分阿毗曇論) 1부 12권
해탈도론(解脫道論) 1부 13권혹은 12권으로 되어 있다.
사제론(四諦論) 1부 4권
수상론(隨相論) 1부 2권혹은 『구나마제수상론(求那摩諦隨相論)』이라고도 한다.
입아비달마론(入阿毗達磨論) 1부 2권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1권
십팔부론(十八部論)
부이집론(部異執論)일명 『집부이론(執部異論)』이라고도 한다.
이상 2론은 동권(同卷)이다.
이상 6론 10권은 동질(同帙)이다.
입세아비담론(立世阿毗曇論) 1부 10권
구사석론(俱舍釋論) 1부 22권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 1부 20권
법온족론(法蘊足論) 1부 12권
식신족론(識身足論) 1부 16권
아비담심(阿毗曇心) 1부 4권
이상 2론 20권은 2질이다.
품류족론(品類足論) 1부 18권
아비달마오사론(阿毗達磨五事論) 1부 2권
이상 2론 20권은 2질이다.
계신족론(界身足論) 1부 3권
삼미저론(三彌底論) 1부 3권
벽지불인연론(僻支佛因緣論) 1부 2권
이상 3론 8권은 동질이다.

7) 현성집전(賢聖集傳) 21부 41권 4질
불소행찬전(佛所行讚傳) 1부 5권마명(馬鳴)보살이 지었다.
아육왕전(阿育王傳) 1부 5권혹은 7권으로 되어 있다.
이상 2전(傳) 10권은 동질이다.
선비요경(禪秘要經) 1부 4권또한 『선비요(禪秘要)라고도 하며, 경(經)자가 없다.
선비요경 1부 5권일명 『선법요(禪法要)』라고도 하며, 혹은 2권으로 되어 있다.
선법요해(禪法要解) 1부 2권
치선병비요(治禪病秘要) 1권
이상 4경 12권은 동질(同帙)이다.
백유집(百喩集) 1부 2권
보살본연집(菩薩本緣集) 1부 3권승가사나(僧伽斯那)가 지었으며, 혹은 4권으로 되어 있다.
용수보살위선타가왕설요게(龍樹菩薩爲禪陁迦王說要偈)권발제왕요게(勸發諸王要偈)
청빈두로법(請賓頭盧法)
빈두로위왕설법(賓頭盧爲王說法)서역에서 베끼고 모은 것이다.
빈두로돌라사위우다연왕설법(賓頭盧突羅闍爲優陁延王說法)
이상 4경은 동권(同卷)이다.
마명보살전(馬鳴菩薩傳)
용수보살전(龍樹菩薩傳)
제바보살전(提婆菩薩傳)
바수반두전(婆藪盤豆傳)
이상 4전은 동권이다.
사아함모초(四阿含暮抄) 1부 2권
이상 『백유집』 등 11경 9권은 동질이다.
대아라한난타밀다법주기(大阿羅漢難陁蜜多法住記) 1권
법구집(法句集) 1부 2권
승가라찰집경(僧伽羅刹集經) 1부 3권
부법장경전(付法藏經傳) 1부 4권
이상 4전 10권은 동질이다.
031_0910_c_01L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十四 見定流行入藏錄卷下 吹 大唐天后 勅佛授記寺沙門明佺等撰小乘修多羅藏二百七部 四百四十三卷四十四帙單譯經陰持入經一部二卷大安般守意經一部二卷 或一卷大安般經一卷八大人覺經出家緣經 一云出家因緣經阿含正行經 一名佛說正意經十八泥犂經法受塵經禪行法想經佛說處處經右七經同卷堅意經 一名堅心正意經一名堅心經長者子懊惱三處經 亦云長者懊惱經亦直云三處惱經揵陁國王經須摩提長者經阿難四事經未生怨經三品弟子經 一名弟子學有三輩經或無有字四願經右八經同卷胞胎經一卷 一名胞胎受身經五百弟子自說本緣經一卷 化度錄云五百弟子自說本起經右陰持入等二十經九卷同帙四輩經大迦葉本經 寶唱錄無大字當來變經 或云當來變滅經淸淨法行經右四經同卷過去佛分衛經時非時經 一名時經羅云忍辱經 一名忍辱經佛爲年少比丘說正事經難提釋經右五經同卷沙曷比丘功德經救護身命濟人病苦厄經右二經同卷五苦章句經一卷 又名五苦經 一云淨除罪蓋經娛樂佛法經 一名五道章句經般泥洹時大迦葉赴佛經 或云摩訶迦葉經大魚事經見正經 一名生死變識經阿難七夢經 一名阿難八夢經或無八字呵雕阿那含經 一名荷雕阿那含經一名阿調阿那含經右六經同卷達摩多羅禪經一部二卷 一名不淨觀經一名道地經栴檀樹經燈指因緣經佛臨般涅槃略說教誡經 一名遺教經婦人遇辜經 一名婦遇對經右五經同卷辯意長者子問經 一名長者問意經淨飯王般涅槃經右二經同卷無垢優婆夷問經四天王經十二頭陁經 一名沙門頭陀經摩訶迦葉度貧母經十二品生死經樹提伽經四品學法經右七經同卷右四輩等三十二經十卷同帙本事經一部七卷諫王經 亦名大小諫王經高王觀世音經法常住經右三經同卷那先比丘經一部二卷五無返復經 一名五有反覆大義經佛大僧大經耶祇經末羅王經摩達國王經五恐怖世經旃陁越經懈怠耕者經 舊錄云懈怠耕兒經右八經同卷右本事等一十三經十一卷同帙重譯經正法念處經一部七十卷雜寶藏經一部八卷 或十卷或十三卷毘耶娑問經一部二卷右二經十卷同帙出曜經一部十九卷有衆生三世作惡經一卷右二經二十卷二帙賢愚經一部十二卷 或十六卷 或十七卷或十五卷起世因本經一部十卷 一云起世經雜阿含經一部五十卷修行道地經一部七卷 或六卷七處三觀經一卷 或二卷九撗經八正道經五陰譬喩經 一名水沫所漂經轉法輪經禪行三十七品經獨富長者經馬有八態經 一名馬有八弊惡態經或云馬有八態譬人經馬有三相經右八經同卷不自守意經 一名自守經一名自守意經聖法印經波斯匿王祖母命終經比丘避女惡名欲自殺經戒相應法經 一名戒相應經戒德香經 一名戒德經比丘聽施經 一名聽施比丘經右七經同卷雜阿含經一卷右修行道地等一十八經十一卷同帙增一阿含經一部五十卷 內典或五十一卷長房入藏錄四十二卷經長阿含經一部二十二卷 長房入藏錄云二十五卷一十八經別中阿含經一部六十卷 或五十八卷生經一部五卷 或四卷 寶唱云論生經四諦經是法非法經一切流攝守因緣經 一名流攝經一名一切流攝守經吳錄云流攝守因經一名受因經右三經同卷漏分布經十支居士八城人經本相倚致經 吳錄云大相倚致經緣本致經阿那律八念經 一名禪行斂意經或云直八念經右五經同卷賴咤和羅經 一云羅漢賴咤和羅經梵摩喩經右二經同卷齋經 一名八關齋經一名優婆夷墮舍迦經申日經釋摩男本經 一名五陰因事經諸法本經孫多耶致經 一名梵志孫多耶致經七知經 或云七智經右六經同卷恒水喩經 一名海有八德經一名瞻波比丘經一名法海經長房錄云恒河喩經比丘問佛多優婆塞命終經佛說求欲經新歲經右四經同卷右生經等二十一經十卷同帙頂生王故事經 一名文陁竭王經一名頂生王經泥犂經右二經同卷蓱沙王五願經 一名弗迦沙王經鸚鵡經 一名兜調經瞿曇彌記果經右三經同卷鹹水喩經 僧祐錄安公出中阿含舊錄云鹹水譬經出阿含經閻羅王五天使者經 一名鐵城泥犂經右二經同卷古來世時經長壽王經右二經同卷魔嬈亂經一卷 一名弊魔試目連經一名魔王入目揵蘭腹經梵志阿跋經一卷 一名阿跋摩納經一名佛開解阿跋梵志經普法義經一卷 亦云普義經亦云具法行經十報法經一部二卷 一名多增道章經右頂生王等十三經九卷同帙樓炭經一部六卷 或五卷 或八卷迦羅越六向拜經一卷 一名六向拜 一名大六向拜經一名威花長者六向拜七佛父母姓字經 一名婦人無疋請佛經一名七佛姓字經阿難同學經阿那邠坻化七子經三摩竭經 一名須摩提女經 一名難國王經 一名恕和檀王經 寶唱錄云三摩竭經右四經同卷力士移山經 一名移山經四未曾有法經琉璃王經鴦崛髻經 一名指鬘經增一阿含經右五經同卷群牛譬經行七行現報經施食獲五福報經 一名福德經一名施色力經國王不犂先尼十夢經 一名國王七夢經放牛經右五經同卷右樓炭等十六經十卷同帙梵網六十二見經一卷 一名梵網經大般涅槃經一部二卷大般泥洹經一部二卷般泥洹經一卷寂志果經一卷長者子六過出家經大愛道般涅槃經須達經 一名長者須達經一名三歸五戒慈心厭得經右三經同卷右八經八卷同帙別譯雜阿含經一部二十卷坐禪三昧經一部三卷 或二卷玉耶經 一名長者詣佛說子婦無敬一名七婦經阿遬達經盂蘭盆經 右別本五紙 云淨土盂蘭經未知所出四自侵經灌蠟經 一名般泥洹後四輩灌蠟經報恩奉盆經右六經同卷阿蘭若習禪法經二卷或無經字罪福報應經一卷 一名分別報應經業報差別經一卷摩登女經 一名摩鄧女經一名阿難爲蠱道女惑經摩登女解形中六事經阿難分別經 一名分別經一名阿難問事佛吉凶經五母子經沙彌羅經右五經同卷罪業報應教化地獄經一卷 或云地獄報應經阿難問事佛吉凶經一卷 僧祐錄云或名阿難問經右坐禪等十七經十一卷同帙摩登伽經一部三卷 或二卷舍頭諫經一卷 一名太子二十八宿經 一名虎耳太子化度錄云虎耳意經 第二出與摩登伽經同本異出與漢世高出者少異義足經一部二卷修行本起經一部二卷 寶唱錄云一名宿行本起經太子本起瑞應經一部二卷 初出亦云瑞應本起經 亦云中本起經右五經十卷同帙中本起經一部二卷 或云太子中本起經過去現在因果經一部四卷雜藏經 與鬼問目連餓鬼報應目連說地獄餓鬼因緣等四本同體異名別譯見寶唱錄鬼問目連經餓鬼報應經 一名目連說地獄餓鬼因緣經右三經同卷興起行經一部二卷 一名十緣經柰女耆域經一卷 或云柰女經貧窮老公經 一名貧老經越難經 一名難經第二出寶唱錄云日難長者經七女經 一名七女本經長房錄云出阿毘曇龍王兄弟經 一名難陁龍王經八師經四十二章經所欲致患經右七經同卷右中本起等十四經十一卷同帙優婆夷淨行經一部二卷僧護因緣經一卷 或無因緣佛入涅槃密迹金剛力士哀戀經一卷佛滅度後棺斂葬送經 一名比丘師經一名師比丘經頞多和多耆經迦旃延說法沒盡偈經輪轉五道罪福報應經右四經同卷作佛形像經 一名優塡王作佛形像經一名作像因緣經十二因緣阿含口解經右二經同卷未曾有經護淨經木梙子經普達王經盧志長者經右五經同卷五王經旃檀越國王經錫杖經無上處經右四經同卷右淨行等十八經八卷同帙小乘毘尼藏 三十五部二百六十卷  二十八帙十誦律一部六十一卷四分律一部四十卷 或七十卷 或六十卷摩訶僧祇律 一部四十卷彌沙塞五分律 一部三十四卷善見毘婆沙律 一部十八卷鼻柰耶律一部十卷 一名戒因緣經大愛道比丘尼經 一部二卷解脫戒本一卷 出迦葉毘律十誦比丘戒本 一卷十誦比丘尼戒本 一卷僧祇戒本 一卷僧祇大比丘戒本 一卷僧祇比丘尼戒本 一卷四分比丘僧戒本 一卷四分比丘尼戒本一卷右九經十卷同帙大比丘三千威儀經一部三卷戒消災經一卷 或云戒伏消災彌沙塞比丘戒本一卷 或云五分戒本大沙門百一羯磨一卷十誦僧尼要事羯 磨一部二卷曇無德羯磨一卷四分羯磨一卷右七經十卷同帙優波離問佛經一卷 或云優波離律眞僞沙門經一卷 一名摩訶比丘經迦葉禁戒經一卷 一名摩訶比丘經 一名眞僞沙門經沙彌十戒幷威儀一卷沙彌離戒經一卷舍利弗問經一卷律二十二明了論一卷 亦直云明了論沙彌威儀經一卷優婆塞五戒相一卷優婆塞五戒威儀經一卷右十經論等十卷同帙毘尼母論一部八卷薩婆多摩得勒伽一部十卷薩婆多毘尼毘婆沙 一部九卷小乘阿毘達摩藏 三十六部 七百四十四卷七十三帙大毘婆沙論 一部二百卷順正理論 一部八十卷阿毘曇八揵度毘婆沙 一部八十四卷或一百九卷或六十卷顯宗論 一部四十卷發智論 一部二十卷阿毘達磨俱舍論 一部三十卷俱舍論頌 一卷尊婆須蜜所集論 一部十二卷 或十卷鞞婆沙阿毘曇論 一部十九卷 或十五卷或十四卷或云毘婆沙亦云廣說阿毘曇八揵度 一部三十卷 或二十卷 一名迦旃延阿毘曇八揵度舍利弗阿毘曇 一部三十卷 或二十卷或二十二卷成實論 一部二十四卷或二十卷 或十六卷或十四卷法勝阿毘曇論 一部六卷右三論四十 一卷四帙雜阿毘曇心 一部十一卷分別功德論 一部五卷 或四卷 或三卷三法度論 一部三卷 或二卷阿毘曇甘露味 一部二卷 或云甘露味阿毘曇右三論 十卷同帙衆事分阿毘曇論 一部十二卷解脫道論 一部十三卷 或十二卷四諦論 一部四卷隨相論 一部二卷 或云求那摩諦隨相論入阿毘達磨論 一部二卷異部宗輪論 一卷十八部論部異執論 一名執部異論右二論 同卷右六論 十卷同帙立世阿毘曇論 一部十卷俱舍釋論 一部二十二卷集異門足論 一部二十卷法蘊足論 一部十二卷識身足論 一部十六卷阿毘曇心 一部四卷右二論 二十卷二帙品類足論 一部十八卷阿毘達磨五事論 一部二卷右二論 二十卷二帙界身足論 一部三卷三彌底論 一部三卷辟支佛因緣論 一部二卷右三論 八卷同帙賢聖集傳 二十一部 四十一卷 四帙佛所行讚傳 一部五卷 馬鳴菩薩造阿育王傳 一部五卷 或七卷右二傳 十卷同帙禪秘要經 一部四卷 亦名禪秘要無經字禪秘要經 一部五卷 一名禪法要 或爲二卷禪法要解 一部二卷治禪病秘要 一卷右四經 十二卷同帙百喩集 一部二卷菩薩本緣集 一部三卷 僧伽斯那撰或四卷龍樹菩薩爲禪陁迦王說要偈  勸發諸王要偈請賓頭盧法賓頭盧爲王說法  西域抄集賓頭盧突羅闍爲優陁延王說法右四經同卷馬鳴菩薩傳龍樹菩薩傳提婆菩薩傳婆藪盤豆傳右四傳同卷四阿含暮抄 一部二卷右百喩等十一經九卷同帙大阿羅漢難陁蜜多法住記 一卷法句集 一部二卷僧伽羅剎集經 一部三卷付法藏經傳 一部四卷右四傳十卷同帙大周刊定衆經目錄卷第十四 見定流行入藏目卷下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고려대장경에는 『대소간삼경(大小諫三經)』으로 표기되어 있다.
  2. 2)고려대장경에는 『부인무필청불경(婦人無疋請佛經)』으로 표기되어 있다.
  3. 3)고려대장경에는 목환자경(木梙子經)으로 표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