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威力烏樞瑟摩明王經 卷中 磻

ABC_IT_K1266_T_002
036_0598_c_01L
대위력오추슬마명왕경 중권


북천축 삼장 아질달선(阿質達霰) 한역
김영덕 번역


만약 멥쌀과 소[牛]의 소(蘇)를 섞어 불 속에 10만 번 바치면 상호가 좋은 아들이 생긴다.
만약 삼목(杉木)의 기름과 소(酥)를 섞어 불 속에 10만 번 바치면 7보와 재물이 늘어난다.
만약 음식ㆍ향ㆍ꽃을 상(像)에 공양하고 상 앞의 땅 위에 사람이나 혹은 왕을 그리고 수행자가 그 형상의 가슴 위에 앉아 10만 번을 송하면 그 종족이 함께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백개자ㆍ울금꽃을 섞어 가사야(迦赦若) 불 속에 바치기를 하루의 세 때에 때마다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우면 왕족이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마사(麽沙)가루와 개자기름을 섞어 흙으로 라형(囉形:囉惹, 王)을 만들어 초저녁부터 잘라내어 발라사(鉢囉奢)나무 장작불 속에 바쳐 다 없어지면 그가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오유마(烏油麻)와 멥쌀을 섞어 끓이고 또 오마유를 섞어 불 속에 바치기를 하루의 세 때에 때마다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우면 수드라[首陀:천민계급]가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오마사(烏麻柤)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가나(迦那)가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멥쌀가루로 사도로(捨覩嚕)를 만들고 지구타(脂俱咤) 가지로 막대기를 만들어 일천여덟 번 가지(加持)하여 입에 불면[釘] 말을 하지 못한다.
만약 한림의 재[灰]로 범천과 나찰을 그리고1) 1만 번 송하면 사도로를 마라녕(麽羅寧)하도록 명령한다.
만약 그 주법(呪法)을 풀려고 하면 향과 꽃과 음식을 상(像)에 공양하고 상의 얼굴이 북쪽을 향하고 사람과 대면하게 하여 개자(芥子)와 독약 피를 섞어 미달가다(味達迦多)나무의 장작불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그는 마땅히 효험을 잃는다.
다시 다음에 갈마단(羯磨壇)은 먼저 상의 얼굴을 동쪽으로 하고 염송하기를 마치고 큰 강이나 바다 옆이나 혹은 큰 한림(寒林) 가운데나 혹은 높은 산 위에 만들되, 법과 같이 땅을 고르게 하여 마친다. 앞에 준하여 집[院]을 그리고 하나의 문(門)을 가로세로[正方] 8주(肘:16척)가 되게 하고 마땅히 가운데 대위력오추슬마명왕을 그리고 오른쪽에는 야릉다자리녕명왕(若稜多者哩嚀明王)의 성난 얼굴과 눈이 찢어진 모습을 그린다. 또 왼쪽에는 아타타승가명왕(阿吒吒僧伽明王)을 그리고 문에 들어가 문 오른쪽 모서리에 대자재천왕과 비(妃)를 그리며 또 문 왼쪽 모서리 안에는 나라연천왕(那羅延天王)이 네 팔에 모두 병기를 잡고 있는 것을 그린다. 또 북쪽에는 가나(伽那)를 그리되 한 모서리에 금강저를 그리고 서쪽에는 붉은 줄[赤索]을 그리고 한 모서리에는 아바라라용왕인(阿跛邏攞龍王印)[작은 계단을 하나 그리고 계단 위는 한 마리 뱀 머리를 그리되 조금 목이 나오게 한다]을 그린다. 남쪽에는 한 개[一口]의 검은 색 칼이 있고 단 안에 제존(諸尊)이 함께 앉아 있다. 심진언으로 재[灰]에 가지하고 단 밖의 정방향에는 청정한 계도[梵界道]를 만들며 음식ㆍ향ㆍ꽃으로 공양한다. 무릇 단에 놓는 물건은 다 심진언으로 가지하며 웅황을 돌로 가루를 만들어 우유와 섞어 환(丸)을 만들어 다섯 개의 아설타(阿說他) 잎을 단 가운데 펴고 알약[藥丸]을 그 위에 둔다. 수행자가 성내는 얼굴로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면 한 알을 모든 천(天)들에게 주고 한 알을 먼저 지명(持明)2)을 이룬 이에게 주고 한 알은 시자에게 준다. 나머지 알은 갈아서 이마 위나 목ㆍ가슴 등에 바르면 천명선(天明仙)이 되어 몸에서 영락(瓔珞)이 생기고 그 머리털은 감색(紺色)으로 오른쪽으로 천천히 감기며 기이한 모습으로 되어 모든 천과 같아지며 수명은 일천 세가 된다.
만약 연기가 생기면 왕이나 모든 모습을 숨긴 신선이 되고 만약 열이 나면 능히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기쁘게 보고 부드럽게 복종하여 재물과 보배를 공급하게 하며 수명은 일백 세가 된다. 만약 이런 세 가지 모양이 나타나지 않아도 이마에 바르면 온갖 사람들이 귀하게 공경한다.
또한 자황(雌黃)이나 우황으로 웅황을 대신하여도 역시 효험을 얻는다.
만약 황단(黃丹)을 자기 피와 섞어 깨끗한 해골 속에 넣고 앞의 단 위에 안치하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날 때 조금 이마에 바르면 왕이나 일체 천선(天仙)이 되고, 나머지 상(相)은 앞에 준한다.
만약 옷을 씻을 때는[沐浴衣] 라결차라(邏結差囉)를 미세한 주머니에 매어서 향기로 훈기를 쐬어 단 가운데 앉아 진언을 송하면 몸에서 불꽃이 생기거나 혹은 연기가 일어나거나 열이 생기는 등의 공력(功力)은 앞에 준한다.
만약 붉은 연꽃의 수염[紅蓮鬚]이나 용 꽃의 수염[龍花鬚]을 가루로 만들어 소와 꿀로 섞어 금 주발에 넣어 단 가운데 두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면 약이 감로가 되어서 먹으면 자재천(自在天)이 된다. 몸의 수명은 한량없으며[遠劫] 또한 주리거나 목마르지 않다. 연기가 생기면 형상을 숨기고 뜨거우면 총지(摠持)를 잊지 않는다. 수명은 일천 세로 병이 없으며 일체 중생이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월식할 때 단을 건립하려면 붉은 구리사발에 고양(羖羊:검은 암양)의 우유를 넣어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서 먹으면 왕이나 일체 천선(天仙)이 되며 수명은 해와 달과 같고, 불꽃이 일어나지 아니하면 수명이 일백 세가 되고 뛰어난 이익을 얻는다.
만약 보사철(補沙鐵)로 삼고차(三股叉)를 만들며 혹 거다라나무[佉馱囉木]로 길이가 12지(指)가 되게 만들고 수행자가 목욕하고 온몸에 재를 바르고 말을 금한다. 삼고차에 30만 번 가지하고 월식 때 단 가운데 놓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서 삼고차를 가지면 몸이 대자재천왕이 되고 얼굴에 세 개의 눈[三目:三德의 마음]이 있으며 위력도 또한 같다. 연기가 생기면 왕과 모든 형상을 숨기는 신선[仙:明仙]이 되고 뜨거우면 큰 위력이 있다.
만약 보사철로 길이 16지(指)의 저(杵)를 만들고 자단(紫檀)을 두루 발라 흑월 8일이나 혹은 14일에 월식할 때 단 앞에 세우되, 길에서 깨끗한 풀을 조금 가지고 가운데 펴고 저를 풀 위에 놓고 누런 소[牛]의 소(酥)를 가지고 한 번 가지하고 한 번 저 위에 물을 뿌려 일천여덟 번을 채운다. 모든 귀신과 비나야가(毘那夜迦)나 아타타하승(阿吒吒訶僧)을 보아도 두려워하지 말 것이니, 나나인(那拏印)을 결하고 지명(持明)하면 다 물러나 흩어진다. 그러면 잡고 가지하며 불꽃이 일어나 지니면 제석의 자리를 얻으며 천 개의 눈을 가진 삼십삼천과 아수라 무리가 모두 와서 발에 머리 숙여 예배하고 그 여자의 힘을 받아들여 마왕을 항복시킨다. 연기가 생기면 왕과 형상을 숨기는 신선이 되고, 뜨거우면 수명이 일백 년이 되고 천ㆍ용이 순종하여 복종한다.
만약 세 개의 금륜(金輪)을 만들어 큰 한림(寒林)에서 단 앞에 세우되 앞의 윤보[輪]를 두는 것에 준하여 소를 일천여덟 번 뿌리고 단 가운데에서 오른손으로 윤보를 잡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면 모든 신선[仙]이나 전륜왕[輪王]이 되어 위력이 수라(首羅)와 제석보다 수승하고 모든 신선이 우러러 귀의하며, 수명을 마치면 아나가바전궁(阿拏迦嚩典宮)에 태어난다. 만약 거다라나무로 칼을 만들어 세 개의 금판으로 세 곳을 싸서 산꼭대기에서 단 앞에 펴고 오른손으로 잡고 가지한다. 가지하여 칼을 청색이 되게 하고 곧 그 땅에 세운다. 먼저 깨끗한 재를 조금 펴고 칼 끝[劍頭]을 재 가운데 꽂으면 일체 몸을 숨긴 모든 신선이 함께 나타나 예를 올리고 돌고 간다. 그 재를 조금씩 쥐고 조금씩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 그 재를 얻은 자는 다 천선(天仙)이 된다.
만약 거다라나무로 가나(伽那)를 만들어 붉은색 꽃다발을 가나 위에 걸고 앞에 잡고 가지하는 것과 같이하여 불꽃이 일어나면 비사문천왕이 통솔하는 큰 힘의 야차의 주인이 되며, 한량없는 귀신을 모시고 모든 것을 공급해 주어, 곧 아나바전궁에 가서 수명이 1대겁(大劫)이 된다.
만약 소로다전나(素嚕二合戰曩)를 가루 내어 마라암명(麽囉二合頷銘二合)[꽃과 잎을 손바닥으로 문질러 가루 내어 말려 진액이나 물로 섞어 찍어 천 번을 채운다.]과 섞어 [또는 찍어 가루로 만든다] 금 주발에 넣고 또 금 주발로 덮으며, 앞과 같이 소를 뿌리기를 천 번이 되어서 사발을 손바닥 가운데 두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 눈 속에 바르면 마음대로 날며 모든 천이 에워싸고 모시며 공급하고 수명은 한량없다.
다시 다음에 아비차로가법(阿毘遮嚕迦法)3)은, 큰 한림 가운데 단을 세우고 심밀언(心密言)을 자기 피에 가지하여 한 번 그 땅을 씻고 햇빛에 말리고 또 맑은 물로 씻고 또 한림의 재를 가지고 바르며 한림의 재로 단[壇院]을 경계[界]로 하고 세 모서리에 3주(肘)씩 북쪽 문을 열고 문 밖에는 나찰을 그리되 머리털이 위로 뻗친 성낸 모양을 하고 사람 뼈로 꾸미며 오른 손바닥에 해골 하나에 피를 채워 넣어 입에 대고 마시는 형상을 하며 단의 중심에는 나나인(娜拏印)을 그린다. 불꽃이 일어나면 세 모서리[三角]에 각각 거타망가(佉吒望伽)와 비사차(毘舍遮) 무리를 그리고 개고기로 나찰ㆍ비사차에 제사를 지내되 앞에는 술을 놓는다. 수행자는 벌거벗고 머리카락을 자르고 집게손가락ㆍ가운뎃손가락ㆍ약손가락의 세 손가락으로 자기 피를 이마와 두 어깨, 가슴ㆍ목에 바르고 크게 성낸 마음으로 단의 왼쪽을 걸어 한 바퀴 돌고 서서 오추슬마(烏芻瑟麽) 이름을 부르고 다시 자기 피로 단을 씻고 꽃다발을 가지고 단을 한 바퀴 돌고 멥쌀밥에 피를 섞어 해골 속에 넣어 단 가운데 두고 사람 뼈와 머리털을 섞어 분향한다. 또 한 개의 해골에는 피를 채워 붉은 꽃다발로 묶으며 또한 세 개의 해골을 가지고 단 앞에서 꽃을 지탱하여 묶은 것을 태운다. 수행자는 쭈그리고 앉아 사람의 종아리뼈를 가지고 피를 흔들고 어금니를 갈며 큰 이빨로 성낸 모양을 하며 진언을 가지하면[持] 피 속에서 연기가 일며 한량없는 소리가 공중을 시끄럽게 하나 반드시 사람을 해치지 않으니 삼가 두려워 말라. 그 아타타하승과 모든 귀신이 몸에 모두 불꽃이 일어나 가지가지 악한 모양으로 와서 나타나 말하되 ‘모름지기 어떤 것을 바라는지 뜻대로 비소서’라고 한다. ‘만약 국가가 큰 전쟁에서 적이나 혹은 악인이 3보(寶)를 헐뜯어 없애려 하면 결박한 것을 명하여 아주 없애 버려야 할 것입니다’라고 한다.
만약 날짜와 시간을 택하지 않고 앞에서와 같이 삼각단(三角壇)4)을 만들려면 오직 꽃다발로 해골을 묶고 아울러 지탱하는 것을 같게 한다. 건타가(建吒迦)[당나라 말로는 가시이다.]나무 장작으로 화단(火壇)을 만들고 해골가루와 독약가루를 피와 섞어 불 가운데 일천여덟 번 바치면 사도로마라녕(捨覩嚕摩囉寧)한다.
다시 다음에 한림에서 옷을 마땅히 주량(肘量)하는 자는 한림 가운데서나 혹은 길 위에 단을 만들고 피로 씻고 단 북쪽에 펴고 자기 피로 그리되, 머리털이 위로 뻗치고 곤두서는 성낸 모양을 하고 팔은 네 개로 첫째 손바닥에는 해골, 둘째 손엔 나나(娜拏), 셋째 손에는 사람의 머리, 넷째 손에는 몽둥이[杵]ㆍ옷ㆍ호랑이 가죽ㆍ잠방이(홑옷) 등을 그린다. 흑월 8일 큰 한림에서 상(像)을 펴고 검은 음식과 붉은 꽃을 공양하고 수행자가 쭈그리고 앉아 재[灰]를 가지고 사도로를 그리고 피와 개자를 해골 속에 같이 넣는다. 수행자는 사도로 위에 쭈그리고 앉아 건타가나무 장작으로 화단을 만들어 피와 개자를 그 가운데에 밤낮으로 바치고 뿔뿔이 흩어지지 않으면 마라녕(摩囉寧)하며 3일 밤이면 하나의 집을 만들고 7일 밤이면 일곱 종족[族]을 이루고 한 달 밤이면 미새(尾曬)이다.
만약 무덤이나 밭 혹은 관을 안치하는 궁전에 펴고 쭈그리고 앉아 소금을 피와 섞어 건타가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마라녕한다.
만약 상을 펴고 형상 앞에 재나 혹은 숯에 혹은 벼의 겨를 태운 재[稻糠灰]로 그 모양을 그리고 가슴 위에 앉아 피와 재를 섞어 한림에 남은 장작불 속에 밤낮으로 바치면 7일 밤 동안 가마라녕(家摩囉寧)한다.
만약 한림 속에서 형상을 펴고 그 탄가루를 물과 섞어 사도로를 만들고 거다라나무 막대기 긴 것 두 개를 잡고 피를 발라 꽃에 꽂고 걸리나(仡哩娜) 즉 그 막대기 위에 앉아 일천여덟 번 다라니를 송하여[持明] 하루 세 때에 3일을 채우면 마라녕한다.
만약 수행자가 옷을 피 속에 넣어 펼치고 물이 배꼽에 이르는 데 서서 다라니를 송하면 피가 마르고 펼친 것도 또한 그러하다.
만약 한림 가운데서 상을 펴고 개고기와 겨자기름을 섞어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고 15일을 지나면 마라녕한다.
다시 다음에 선지가단(扇底迦壇)5)은 깨끗한 집이나 혹은 강가에 4방을 4주(肘)로 만들어 앞의 단 만드는 모양과 같이 그린다. 마땅히 가운데 금강부모(金剛部母)를 그리고 오른쪽에는 금강권명비(金剛拳明妃)를 그리고 왼쪽에 금강쇄명비(金剛鎖明妃)를 그리고 부모(部母) 앞 한 모서리에는 대위력오추슬마명왕을, 한 모서리 안에는 금강수보살을, 네 모서리 안과 단의 중심에는 모두 아추가(阿樞迦) 잎을 펴고 잎 위에는 각각 한 개의 물병을 놓고 향과 꽃과 음식을 공양하고 발라사(鉢羅奢)나무를 사용하여 화단(火壇)을 만들어 소를 바치고 마계명(麽鷄明)을 불러 일천여덟 번을 채우고 또 우유를 바치고 매양 두루 오추슬마사바하(烏芻瑟麽莎嚩訶)를 일천여덟 번을 부르면 관사(官事:공무)가 흩어지고 병이 낫는다.
만약 앞에 준하여 7일간 하면 나라 안의 전염병이 낫는다. 만약 단 앞에 기름과 마유(麻油)와 낙(酪)ㆍ꿀ㆍ소(酥)를 섞어 앞의 불 가운데 바치고 하루 일천여덟 번씩 7일이 되면 병이 낫고 관사(官事)가 흩어진다.
만약 앞에서 단을 세운 것에 의지하여 상을 펴되 상을 가지고 우유 속에 넣었다 건져내어 또 펴서 소의 연유를 앞의 나무의 불 가운데 일천여덟 번 넣고 병에 향수를 조금 넣어 일곱 번 가지하여 병을 가지고 병든 사람에게 가서 그의 얼굴을 씻어주고 말하되 ‘그대가 원하는 대로 곧 나을 것이오’라고 하고 그 병에 맑은 물을 가득히 넣어 단 가운데 두고 일천여덟 번 다라니를 송하고 씻게 하면 낫는다.
만약 오담바라(烏曇跛羅)나무로 수저를 만들고 먼저 세 번 송하고 세 번 소를 넣어 곧 아설타나무 장작불 속에 바친 다음 한 번 송하고 한 번 바치며 그 병자의 이름을 일천여덟 번 부르면 낫는다.
만약 멥쌀밥에 가지하여 우유와 섞어 먹이고 7일이 지나면 낫는다.
만약 앞의 단에 상을 펴놓고 있는데 오담바라 가지 한 개를 꺾어 우유에 넣고 심명(審銘)나무 장작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고 7일이 지나면 그는 낫는다.
만약 상을 펴고 기름과 마유(麻油)와 소(酥)와 꿀ㆍ낙을 섞어 심명나무 장작불 속에 넣어 하루 일천여덟 번씩 7일이 지나면 마라녕한다.
만약 우유를 심명나무 장작불 속에 바치기를 1만 번을 채우면 마라녕한다.
만약 상을 우유나 혹은 소에 넣었다 펴고 우유를 심명나무 불 속에 바치고 또 향수(香水)에 가지하여 환자의 얼굴을 씻으면 낫는다.
만약 소를 끓여서 맛있는 떡과 낙(酪)과 꿀ㆍ소ㆍ우유 등으로 형상에 공양하고 멥쌀밥을 낙과 섞고 혹은 소ㆍ우유ㆍ꿀과 섞어 아설타나무 불 속에 바치기를 하루 세 때에 때마다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우면 부자가 된다.
만약 불전(佛殿)이나 혹은 신묘(神廟)에서 앞과 같이 상에 공양하고 용뇌향을 곡식과 나무로 때우는 불 속에 바치기를 하루 세 때에 때마다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우면 일곱 가지 보배와 여섯 가지 가축[畜]이 늘어난다.
다시 다음에 백단향나무에 본존(本尊)을 길이 6지(指) 정도 되게 새기고 수행자가 머리에 받들어 이고 물이 목까지 이르는 데 서서 날이 다하도록 진언을 송하면 가내(家內)에 행하던 역귀(疫鬼)가 죽는다. 3일간 하면 성 안의 역병이 낫고 귀신이 도망가고 7일간 하면 경내(境內)의 역병이 낫고 귀신이 도망간다.
만약 아설타나무로 앞의 단의 상과 함께 자리를 만들고 소똥으로 길 위에 단을 만들어 상을 안치하여 공양하며 그리고 소[牛]의 소등(酥燈)을 켜고 상은 서쪽을 향하게 하고 수행자는 동쪽을 향하여 풀 더미 위에 앉아 몽둥이로 백단향수를 받들어 청하며 진언으로 일곱 번 가지하고 본존을 맞이하여 내려 상 가운데 넣고 야저화(惹底花)[소말나(蘇末那)꽃이라고도 한다.] 한 송이를 우유 가운데 넣고 불 속에 바치고 하루가 다하면 마땅히 집 안[莊內]의 역병이 낫고 7일 밤을 하면 나라 안의 역병이 낫는다.
다시 다음에 울금으로 본존을 그리고 수행자가 8계를 받아 지녀 재계[持齋]하고 상을 이마로 받들어 모셔 기[幡]와 꽃과 향을 살라 공양하고 물러나 오른쪽으로 장원[莊]을 한 바퀴 돌면 역병이 낫는다.
다시 안구타(按俱咤)나무와 혹은 아설타나무에 본존을 새겨 네거리에서 향과 꽃과 음식을 공양하고 사람 머리털과 뼈를 갈아 안구타나무 불 속에 바치기를 하루 세 때에 때마다 일백여덟 번씩 넣으면 마땅히 장원의 역병이 낫는다.
다시 다음에 보사숙직일(補沙宿直日)[당나라에서는 귀신이 머무는 날을 말한다.]에 음식ㆍ향ㆍ꽃을 공양하고 아설타나무를 사용하여 그 북쪽으로 뻗은 뿌리를 가지고 소의 5정(淨)6)과 깨끗한 물 조금과 섞어 경초나무[莖草揩]를 가지고 닦고 씻고 혹은 귀신이 숙직하는 날에 자단목(紫檀木)을 구하여 앞과 같이 씻는다. 나날이 처음 한쪽 단을 만지고 나무와 새긴 상과 칼ㆍ도끼 등을 가운데 두고 근본진언[根本密言]을 자단목에 가지하고 향수로 일곱 번 씻는다. 수행자는 8계와 10선(善)을 닦고 단의 서쪽에서 소(酥)를 불 속에 일곱 번 바치고 근본과 나나인(娜拏印)을 결하여 장인(匠人)으로 하여금 단 가운데 속히 본존을 새기게 한다. 왼손에 금강저를 잡고 오른손에 나나를 잡고 성낸 모양으로 오른쪽을 보되 세력 있게 서있는 것 같이 하고 근본인[印]을 세운 것 같이 수행자는 옆에서 다라니를 송하기를 끊이지 않고 백월(白月)이 다하도록 하며 단은 향 물로 씻고 음식ㆍ향ㆍ꽃을 공양하며 채색으로 꾸민다.
상(像)의 이마 사이에 붉거나 혹은 누렇게 점을 찍고 다가오는 달[來月] 1일에 눈을 뜨고[開目] 단을 세워 음식ㆍ안실향ㆍ꽃을 3보에 공양한다. 그 날은 단의 상 앞에서 머리를 들고 10만 번 지명(持明)하고 월식에 단을 세워 상을 안치하고 상은 서쪽으로 향하게 하여 음식ㆍ자단향ㆍ꽃을 공양한다. 안실향을 사르고 나나인을 결하고 인(印)에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며 수행자의 이마에 들어오면 지명왕이 되고 소리가 있으면 작용을 본다.
만약 바다나 혹은 강[河] 옆에서 본상(本像)에 공양한다면 부처님 손 한 뼘 정도[부처님의 손 한 뼘은 지금 사람의 세 뼘으로, 두 자 네 치 정도이다.]로 본상을 만들고 제제(制帝:塔廟)에 10만 번에서 30만 번 진언을 송하고 곧 흑월 8일이나 혹은 14일에 공양하고 가지하여 불꽃이 일어나면 명왕(明王)이 된다.
다시 다음에 흑월 8일 의식에 의하여 공양하되 안구타(按俱咤)나무 뿌리를 가지고 본존의 오른손 다섯 손가락을 펴 손바닥으로 중심을 밀고[拓心] 왼손에 금강저를 가지고 왼발은 비나야가(毘那夜迦)를 밟고 오른발은 나나(娜拏)를 밟아 나나의 한 끝으로 비나야가를 누르고 안구타꽃을 가지고 개자기름과 섞어 안구타 불 속에 바치기를 주야로 1만 번을 채우면 밤중에 큰 소리를 내며 나타난다. 시간이 낮에 이르면 거다라나무를 개자기름 가운데 섞어 안구타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고 7일을 채우면 비나야가가 죽는다. 만약 우유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재앙이 없어진다.
만약 개미 무덤의 흙으로 비나야가 모양을 만들되 마땅히 길이를 두 자로 한다. 큰 한림 가운데서 단을 세우고 가운데 비나야가를 두고 거다라나무를 길이 10지(指) 되는 것으로 독약과 피를 섞어 거다라나무 불 속에 바치기를 1만 번을 채우면 밤중에 큰 소리를 내는 모양을 이루며 뒤에는 비나야가 만드는 법을 다 성취하며 어지럽게 고통당하지 아니한다.
다시 다음에 마땅히 두 자[肘] 정도의 모직 위에 대위력명왕을 그리고 왼쪽 위의 손바닥에는 해골을, 아래 손은 집게손가락을 세워 기세 좋게 하며 오른쪽 위의 손은 나나를 가지고 아래 손에는 금강저를 잡고 상 앞에는 하나의 비나야가가 호궤(胡跪)하고 합장한 모습을 그리고 왼발 아래는 하나의 비나야가를 밟는다.
단을 세우고 상을 안치하여 붉은 꽃과 음식과 자단향을 공양하며 하나를 가지고 고련(苦練)불에 넣으면 마땅히 모든 귀신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타하타하(吒訶吒訶) 소리를 낼 것이니, 삼가 두려워 말라. 비나야가는 ‘어떤 일이 있어서 나를 부르느냐?’고 물을 것이니 같이 말하지 말라. 그러면 비나야가를 성취하여 후에 두려워할 재난이 없을 것이다.
만약 비나야가가 장애하여 재난을 일으킬 때 상 앞에서 일천여덟 번 송하면 재난이 멈출 것이다. 만약 물이 목까지 이르는 데 서서 나나인(娜拏印)을 결하고 일천여덟 번 송하면 그 무리가 물러나 흩어질 것이다.
만약 5곡과 새 과일과 이름 있는 향을 한 개의 병 속에 넣고 맑은 물을 채워 암라(菴羅) 잎으로 입구를 막고 소똥으로 단(壇)을 문지르며 병을 가운데 두고 일백여덟 번 가지하면 만약 비나야가가 병들게 하였거나 혹은 귀신ㆍ도깨비를 만났거나 혹은 나이 16세 이하의 사람이나 모든 귀신이 들린 자가 씻으면 낫는다. 부인이 달[月]이 지나도 출산하지 못하면 씻으면 나오게 된다. 박복한 사람이 씻으면 죄가 없어져 부자가 된다.
만약 창포(菖蒲) 뿌리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입에 머금으면 소송에서 이긴다.
만약 아발라지다(阿鉢羅指多)꽃을 불 속에 바치고 1만 번을 채우면 병사의 난을 피한다.
만약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정수리 위의 머리털을 한 묶음을 묶으면 병사의 난을 피한다.
만약 여자아이가 모직물과 꽃을 합하여 일곱 묶음을 만들어 팔에 매면 모든 독에 맞지 않는다.
만약 누구든지 귀신과 도깨비가 들렸으면 물을 가지하며 그 얼굴을 씻고 나나인[印]을 결하고 지명하면 낫는다.
만약 독을 다스리려면 맑은 물을 가지하여 그 얼굴을 씻으면 낫는다. 혹은 고련 잎을 일곱 번 가지하여 그것으로 몸을 쓸어주면 낫는다.
만약 모든 용에 상처 입었으면 맑은 물을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먹게 하면 낫는다.
만약 악창(惡瘡)ㆍ정창(丁瘡)이 있으면 흙에 일곱 번 가지하여 물에 섞어 바르면 낫는다.
만약 원수를 만나면 나나인을 맺어 일백여덟 번 다라니를 송하면 그가 선한 마음을 내게 한다. 만약 악을 멈추게 하거나 관청의 일에도 또한 그러하다.
만약 사람이 침범을 당하여 나나인을 결하면 침범한 자가 능히 말을 못할 것이다.
만약 항상 이 진언을 생각하고 기억하는 자는 본존이 따라 쫓으므로 온갖 마가 가까이 못하며 도적과 물과 불이 그치고 가까이 못하여 5병(兵:병기)을 해[年]를 이어가며 물리칠 것이다.
만약 음식을 먹으려면 먼저 일곱 번 가지하고 먹으면 모든 독을 물리친다.
만약 사람이 마음이 아파 미쳤거나 혹은 사람을 싫어하여 그렇게 된 자도 나나인을 결하고 그의 귓가에서 일곱 번 송하면 곧 낫는다.
만약 앞의 미친병을 치료하려면 두 개의 질그릇 사발을 서로 합하고 나나인을 결하고 그 귓가에 일곱 번 송하고 그 사발을 쳐 깨뜨리면 낫는다.
만약 현벽(痃癖:근육이 땅기는 병)을 치료하려면 오마유(烏麻油:검은 참깨)에 일곱 번 가지하여 배에 바르면 낫는다.
만약 깨끗한 물에 가지하여 시방에 흩뿌리고 한 번 송하고 한 번 비단실[練線]로 묶어 일곱 번 채우고 팔에 묶으면 스스로를 보호하고 남도 보호한다.
만약 스스로 더러움에 매였다면[經穢] 다만 송하면 풀어진다.
만약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일곱 번 가지하여 이마에 인(印)하고 한 번 송하고 다음에 오른쪽 어깨, 다음에 왼쪽 어깨, 다음에 가슴, 다음에 목 등에 인(印)하면 몸을 보호하고 사자ㆍ호랑이ㆍ이리와 모든 두려움을 물리친다.
만약 새벽 아침에 목욕하고 꽃으로 본존에 공양하고 일백여덟 번 송하면 전쟁의 재앙과 횡액이 물러가고 환희를 볼 것이다.
만약 관청에 일이 있거나 혹은 두려움이 있으면 앞과 같이 공양하고 지명하면 멈춘다.
만약 국가에 큰 병사의 적이 있으면 상을 안치하고 아바말리가(阿波末哩迦)[牛膝] 섶을 소(酥)ㆍ꿀ㆍ낙(酪)에 넣어 아바말리가나무의 불 속에 바치고 1만 번을 채우면 적이 물러간다.
만약 약에 의한 독을 치료하려면 소똥으로 단을 만들고 상을 안치하고 거다라나무 스물한 개의 줄기[枝]를 꺾어 일곱 번 가지하여 개자기름을 찍어 불 속에 넣는다.
만약 귀신과 도깨비가 들렸으면 한 병의 맑은 물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목욕시키면 낫는다.
만약 묶여서 옥에 갇혔을 때 진언을 가지하면 목의 칼과 발의 쇠사슬이 풀어진다.
만약 나병[癩]을 치료하려면 자단향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바르면 낫는다.
만약 창포 뿌리를 가루로 만들어 꿀과 섞어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먹으면 냉(冷)과 적취[癥:덩어리]가 치료된다.
만약 학질병이라면 항산화(恒山花)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이마에 이면[戴] 낫는다.
만약 나병ㆍ간질[癎]이나 혹은 또 모진 풍병[惡風]은 시든 꽃을 거다라나무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넣으면 낫는다.
만약 사내아이를 목욕시켜 자단향을 바르고 영락의 새 옷을 입히고 소똥을 단(壇)에 바르고 두루 붉은 꽃을 흩뿌리고 머리에 붉은 꽃꾸미개[花鬘]를 이고 붉은 꽃에 일곱 번 가지하여 받들어 눈을 가리고 안실향을 사르며 나나인을 맺어 가지하면 본존이 내려와 일을 묻는다.
만약 보다귀신[步多鬼]이 들린 자는 소라사(素囉娑)약으로 향과 섞어 태우고 나나인을 결하고 그에게 가호하여 묶었다 풀어주면 낫는다.
만약 개자가루로 그 모양을 만들어 잘라서 불 속에 바치고 모양이 7일에까지 이르면 마라녕(摩囉寧)한다.
만약 한림의 재로 해골에 그 사람을 그리고 한림의 나무에 구워 다라니를 송하여 불에 굽고 지명한 불을 붙이면 7일 내에 마라녕하며 모든 술법(術法)이 풀리지 않는다.
만약 한림의 숯을 물과 섞어 그 모양을 토우(土偶:塑)로 만들거나 혹은 그 숯으로 그려 못[釘]으로 입에 박고 스물한 번이나 혹은 일백여덟 번 가지하면 능히 말하지 못한다. 또한 앞의 토우 그림의 입 위에 고련의 불을 태우고 가슴 위에 앉아 독약ㆍ피ㆍ소금ㆍ개자 등을 섞어 불 속에 넣고 일백여덟 번 앞과 같이 한다.
만약 앞에서와 같이 토우 그림의 머리 위에 앉아 가슴 위에 불을 태우면 마라녕한다.
만약 앞에서와 같이 토우 그림의 가슴에 못을 박고 다리 위에 앉아 못 위에 물을 뿌리고 일백여덟 번 채우면 물의 병[水病]은 마라녕한다.
만약 못을 빼고 우유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며 함께 씻으면 회복한다.
만약 소미란전(素尾爛戰)[이 약은 청색으로 철(鐵:녹)이 생기는 것과 유사하다.]을 가루로 만들어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눈에 발라서 보이면 귀하게 공경한다.
만약 맑은 물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얼굴을 씻으면 왕을 뵙고 귀하게 공경 받는다.
만약 맑은 물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얼굴을 씻으면 소송에서 이긴다.
만약 뱀 껍질을 고련나무뿌리 불 속에 넣거나 혹은 거다라나무 불 속에 바치고 하루 세 때에 또한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우면 마라녕한다.
만약 깨끗한 집이나 혹은 네거리 가운데나 혹은 한림 속에서 정오에 까치 날개를 꺾어 마하가라(摩訶迦羅)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면 까치같이 난다.
만약 우유를 불 속에 바치기를 일천여덟 번 하면 회복한다.
만약 떠난 사람을 오게 하려면 3일간 단식하고 정오에 뱀의 갈비뼈를 가사야(迦赦惹) 불 속에 바치기를 일천여덟 번씩 7일을 채운다.
만약 피와 독약을 밤중에 한림의 장작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기를 7일 밤을 지나면 마라녕한다.
만약 부모(部母)의 진언을 송하며 소(酥)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고 또 근본진언을 송하고, 우유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회복한다.
만약 먼저 3일을 먹지 않고 대자재천왕묘 가운데[이름난 상(相)이 있는 곳]에서 상(像)을 안치하고 먼저 널리 공양을 베풀면 곧 꿈에서 본존이 말하기를 ‘아무 곳에 숨겨진 보배가 있으니 그것을 가져라’라고 한다.
만약 흑월 8일 밤중에 깨끗한 집이나 혹은 한림 속에서 피와 독약을 섞어 같이 마돌라씨[摩咄囉子]를 넣어 마돌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고 7일 밤을 채우면 오차나낭(烏嗟娜曩)하고 만약 소(酥)를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바치면 회복[復]한다.
다시 다음에 상 앞에서 먼저 10만 번 송하며 3일을 먹지 말라. 나흘째에는 하루에 두 번 목까지 이르는 물 속에 들어가 나나인(娜拏印)을 결하고 혹은 타거봉인(打車棒印)이나 혹은 저인(杵印) 혹은 견삭인(罥索印) 혹은 검인(劍印)을 결하고 지명왕이 밤중에 언덕 가에 나가 망도가(莽度迦)[당나라에서는 감초(甘草)라 한다.]나무 장작으로 화단(火壇)에 채우고 먼저 망도가나무로 그 인(印)을 새겨 목인(木印)을 소(酥)와 꿀 속에 넣어 태워 그친 뒤에 이를 가지고 산에 인(印)하면 산이 무너지고 바다에 인하면 바다가 마른다.
만약 뱀에 물렸으면 그것에 인(印)하여 불쌍히 여겨[求哀] 놓아두면 낫는다.
만약 사람이 인하면 그가 결박당한다.
만약 목의 칼[枷]과 발의 차꼬[鎖]에 결인하면 곧 풀어진다.
만약 독약에 결인하여 먹으면 고통이 없어진다.
만약 일체 법을 이루고자 하여 인으로 도우면 속히 효험을 본다.
만약 악한 사람이 서로 보고 성낼 때 결인하면 그가 피를 토하거나 혹은 성난 마음을 잃는다.
만약 귀신・도깨비・바람・간질병에 누런 개자에 일곱 번 가지하여 얼굴을 두드리면 낫는다.
만약 범 발톱 불[虎瓜火]에 일곱 번 넣으면 범에게 상처를 입지 않는다.
만약 고련나무뿌리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팔에 매면 일체 두려움이 없어진다.
만약 마하가라(摩訶迦羅) 뿌리에 가지하여 문의 양옆 위[門頰上]에 두면 일체 귀신이 들어오지 않는다.
만약 정수리의 머리카락을 조금 한 묶음으로 묶어 가지하면 모든 곳에 두려움이 없어진다.
만약 하루 단식하고 흑월 8일이나 혹은 14일에 제저(制底)에 단을 세우고 상을 안치하여 공양하고 금강부모(金剛部母) 앞에서 안실향을 사르고 일천여덟 번 송하고 풀을 깔고 누우면 꿈에 길흉을 함께 알린다.
다시 다음에 비를 멈추려면 자단으로 단을 만들고 상을 안치하여 향ㆍ꽃ㆍ음식을 공양하고 지명하면 멈춘다.
만약 모진 비ㆍ눈ㆍ우레ㆍ우박에는 저인[杵]이나 혹은 나나인을 결하고 지명하면 멈춘다.
만약 비를 빌면 흑월 14일 큰 강 옆에서 개미 무덤의 흙을 가지고 용을 만들어 개여뀌[籠]잎과 개자기름을 섞어 붙이고 발로 용의 머리를 차서 나나인을 결하여 가지하였을 때 날이 다하면 비가 완전히 멈춘다.
만약 소의 가죽을 가지고 백월(白月) 5일 한림의 숯가루를 물에 섞어 피부에 붙이고 흰 흙으로 용을 만들고 개여뀌[籠] 앞에서 하루 세 때에 때마다 일천여덟 번씩 고련 잎을 불 속에 바쳐서 7일이 지나면 비가 만족히 내린다.
만약 앞의 방법으로 효험이 없으면 한림 속에서 그 숯으로 4주(肘) 크기의 4각 단[方壇]을 만들고 남쪽 문을 열고 가운데 대위력명왕(大威力明王)을 그리고 앞에는 셋이나 다섯 마리 용을 그리되 용은 다 북쪽으로 머리를 향하게 한다. 다음에 남쪽에는 한 개의 연못을 파고 연못 가운데 푸른 연꽃을 그린다. 다음으로 연못 남쪽에 또 셋이나 다섯 마리의 용을 그리고 용머리를 또한 북쪽으로 향하게 한다. 네 모서리 안에는 각각 한 개의 연못을 그리고 연못 안에는 푸른 연꽃과 셋 또는 두 마리의 용이 있고 문 안에는 한 마리 용을 그리되 머리는 일곱 개요, 머리가 북쪽을 향하게 한다. 독약과 피를 섞어 안에 꽃씨를 가운데 묶어[內紲花子]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을 채우면 모든 용이 뱀 모양으로 나타나 땅에 긴다. 이 때 말하기를 ‘비를 빨리 내려라’고 하고 물에 일곱 번 가지하여 용을 씻어 가도록 놓아주면 비가 만족히 내린다.
만약 금강부모밀언(金剛父母密言)을 일천여덟 번 송하고 백월(白月) 7일 제제(制帝)에서 근본상(根本像)을 펴고 음식ㆍ향ㆍ꽃을 공양하고 개자와 연유를 섞어 불 속에 일천여덟 번 넣으면 죄장(罪障)이 청정해진다.
만약 더러운 곳의 흙을 물에 섞어 그의 형상을 만들어 수행자가 매양 조금씩 버리되[遺] 그 위에 한 번 버리고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7일이 차면 그가 가난하고 하천해진다.
만약 발리잉가(勃哩孕迦)꽃과 마륵가(摩勒迦)가루와 또 맑은 물을 병 속에 넣고 발리잉가 잎으로 입을 막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며 씻게 하면 회복한다.
만약 꽃에 혹은 열매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사람에게 주면 귀하게 공경한다.
다시 다음에 마땅히 모직을 두 자로 재어서[肘量] 야차녀(夜叉女)를 그리되 아교나 아름답고 깨끗한 색의 영락ㆍ귀고리[鐺]ㆍ팔찌[釧]ㆍ하늘 옷[天衣]을 꾸미는 것을 쓰지 말며, 오른손에는 시원인[施願]을 하고 왼손에는 아추가(阿樞迦)잎을 잡고 있다. 이 상(像)을 아추가나무 아래 안치하고 북쪽을 향하여 단을 세운다. 아저(惹底)꽃이나 혹은 발리잉가 꽃을 음식과 함께 공양하고 심밀언(心密言)으로 향에 가지하여 사른다. 수행자는 남쪽으로 향하고 풀 더미나 혹은 꽃잎 위에 앉아 아추가꽃을 한 번 가지하며 상 위로 던진다. 7일을 채우되 제7일 밤중에 상 앞에 하나의 아추가꽃을 소ㆍ꿀ㆍ낙 가운데 넣어 아추가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나타나 자단 물병[閼伽]를 올리며 소원과 같이 한다.[어머니는 이마를 때리고 자매는 목을 때리고 아내는 심장을 때린다.]
만약 하루를 먹지 않고 흑월(黑月) 8일 혹은 14일 정오에 한림 속에서 개자가루로 그 주술사[呪術]가 받드는 형상을 만들어 두루 독약을 칼날에 바르고 일천여덟 번 가지한다. 그 받드는 존상의 이름을 불러서 형상이 두 끝으로 잘라지면 그것은 효험을 잃는다.
만약 앞과 같이 모양을 만들어 우유에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씻으면 본래같이 된다.
만약 한림 속에서 생소(生酥)로 그 존형(尊形)을 만들어 못 다섯 개에 각각 일천여덟 번씩 가지하고 그 존상의 이름을 부르면서 이마와 양 어깨ㆍ목ㆍ가슴에 각각 한 개의 못을 꽂으면 그는 효험을 잃고 못을 뽑으면 본래대로 된다.
만약 질그릇 사발 속에 한림의 숯으로 그의 모양과 존형(尊形)을 그리고 또 한 개의 질그릇 사발로 덮는다. 검은 양털 실로 사발을 감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여 그 주술사의 몸이 묶인 것 같이 되면 효험을 잃는다.
만약 모든 주술사 중에서 큰 신통이 있는 자가 있으면 한림 속에서 한림의 숯과 독약가루를 섞어 그 나무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고, 그의 이름을 부르면 효험을 잃는다.
만약 금강부모밀언을 송하고 소(酥)를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고 그 이름을 부르면 본래같이 된다.
만약 먼저 3일 동안 먹지 않고 한림 속에서나 혹은 깨끗한 집에서나 네거리에서 자단향과 청목(靑木)향 가루를 물과 섞어 가나(迦那)의 상을 만들어 한림의 숯과 독약을 섞어 불에 넣어 그 형상을 구우며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그와 서로 친하면 장애를 입은 나병[患癩]에 앞의 가호한 물병으로 씻게 하면 낫는다.
만약 기(旗)와 번(幡)에 밀언(密言)을 써서 가지고 진중에 들어가면 병사를 물리친다.
만약 자작나무 껍질[樺皮]에 밀언을 써서 상투 안에 넣고 진중(陳中)에 들어가면 칼과 화살이 몸에 닿아도 마치 꽃잎과 같으니 무엇을 근심하리오.
만약 자광(紫礦) 가루를 물과 섞어 같이 발라득가자(勃羅得迦子) 속에 넣어 대나무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면 모든 주술사가 공경하여 복종한다.
만약 사람의 뼈로 발라득가를 대신하여 잡아매고 앞과 같이 하면 수행자의 몸이 안녕하다.
만약 종이나 혹은 나무껍질에 밀언을 써서 머리에 이면 병사[兵]를 피할 수 있다.
만약 흙덩이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여 물 속에 바치고 건너면 수성(水性)에 속한 것들이 사람을 상하지 못한다.
만약 설화(紲花:솜)실에 일백여덟 번 가지하고 한 번은 송하고 한 번 결인하여 일곱 번 채워 팔에 매면 길에 다님에 겁탈이나 도적을 물리친다.
만약 나무에 금강저를 새겨 일천여덟 번 가지하고 먼저 하루를 먹지 않고 불 속에 바쳐서 없어지게 하면 일체 금강부법이 효험을 이룬다.
만약 벼락 맞은 나무[霹靂木]에 삼고저를 새겨 만들어 큰 눈이나 우레ㆍ우박이 내리고 오른손에 그 저(杵)를 가지면 산이나 다른 경계에 내리던 눈이 그곳으로 옮겨간다.
만약 마돌라(摩咄羅) 줄기에 저(杵)를 새겨 단을 세워 가운데 두고 사람의 머리털을 공양하고 한 나무의 열매 일천여덟 개를 가지고 그 나무를 땔나무에 채워 넣고 열매를 다 불에 바치면 거슬타(炬瑟吒)한다.
만약 고양이 똥을 마돌라꽃을 대신하여 초마(草麻)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면 흰색이 없어지고 바람을 일군다[去白佃風].
만약 소금밭의 흙[鹵土]과 낙(酪)을 가마솥[鎗]에 넣고 마나나(摩娜那)나무 불에 끓여[煮] 솥을 버리고 죽을 솥[鎗] 아래 불 속에 바치고 일천여덟 번 가지하고 죽을 남긴 뒤에 조금 거두어 밥과 섞어 앞에서와 같이 준다.
036_0598_c_01L大威力烏樞瑟摩明王經 卷中 磻北天竺三藏阿質達霰譯若粳米和牛酥進火中十萬遍生有相之子若杉木脂和酥進火中十萬遍增七寶財若以飮食香花供養像像前地上畫人或王行者形心上坐誦十萬遍彼幷族貴敬若白芥子鬱金花和進迦赦若火中日三時時一千八滿七日王族貴敬若麽沙末芥子油和塑爲囉形從初夜割進鉢囉奢薪火中令盡彼貴敬若烏油麻粳米和煮又以烏麻油和進火中日三時時一千八滿七日首陁貴敬若烏麻柤進火中一千八迦那貴敬若粳米粉成捨睹嚕取脂俱咤枝爲加持一千八遍釘口不能語若寒林炭盡梵羅剎誦一萬令捨睹嚕麽羅寧若解彼呪法者以香花飮食供養像像面向北人對之芥子毒藥血和進味達迦多薪火中一千八彼當失驗復次羯磨壇先對像面東念誦畢便作此壇於大河海側或大寒林中高山上如法摩地訖准前畫院開一門正方八肘當中畫大威力烏芻瑟麽明王於右畫若稜多者哩嚀明王怒形斜目右於左畫阿咤咤僧伽明入門門右角內畫大自在天王幷妃又於門左角內畫那羅延天四臂皆執器仗又於北方畫伽一角內金剛杵西方赤索一角阿跛邏攞龍王印畫一小階階上畫一蛇頭蒙出項以來南方一口黑色劍壇內諸尊竝坐以心密言加持灰於壇外正方作梵界道以飮食香花供養凡入壇物皆以心密言加持之取雄黃以石硏成粉牛乳和爲丸五布阿說他葉於壇中以藥丸置上行者以忿怒形加持之焰起取一丸施與諸天以一丸施與先成持明者以一丸施給侍餘丸硏塗額上喉及心成天明仙身生瓔珞其髮右旋婉轉紺色異常貌同諸天壽一千歲若煙生王諸隱形仙若熱能令一切衆生喜見柔伏供給財寶壽年百歲若三相不現塗額衆人貴敬若以雌黃或牛黃代雄黃亦得驗若黃丹和己身血置淨髑髏中安前壇上加持焰起取少塗額王一切天仙餘相准前若沐浴衣邏結差囉細曩緤熏香中坐持明身上焰或起煙生熱等功力准前若取紅蓮鬚龍花鬚末之酥蜜和之金椀盛置壇中加持焰起藥成甘露服之成自在天身壽遠劫不復飢渴煙生藏形熱摠持不忘壽千歲無病一切衆生貴敬若月蝕時立壇赤銅椀盛羖羊乳加持之焰起服之王一切天仙壽如日焰不起壽一百歲得大勝若補沙鐵作三股叉或佉馱囉木長十二指作行者澡浴遍體塗灰禁語加持叉三十萬候月蝕以置壇中加焰起持叉身成大自在天王面有三目威力亦等煙生之王諸隱形仙熱有大威力若補沙鐵作杵長十六指以紫檀遍塗之黑月八日或十四日月蝕時前壇於道路取少淨草布中置杵於草上取黃牛酥一加持一澆杵上滿一千八諸鬼神及毘那夜迦幷阿咤咤呵僧見勿畏結那拏印持明彼皆退散然執之加持焰起持之得帝釋具足千目王三十三天阿脩羅衆皆來頂禮納其女子力伏魔王煙生王隱形仙熱壽百年天龍順伏若作三金輪大寒林中立前壇准前置輪澆酥一千八壇中右手執輪加持起成諸仙輪王威力倍勝首羅及帝神仙歸仰命終生阿拏迦嚩典宮若佉馱囉木作劍以三金鍱裹三處山頂布前壇以右手持之加持之持令劍作靑色便住立其地先布少淨灰以劍頭當灰中拄之一切隱身諸仙竝現作禮旋遶而去取其灰少少分布與人彼得灰者皆成天仙若佉馱羅木作伽那以赤色花鬘挂於伽那上准前置執加持焰起成毘沙門天王大力夜叉之主無量鬼神而爲給侍便往阿拏嚩典宮壽一大劫若素嚕二合戰曩末以麽囉二合二合花及葉掌中和末候乾和擣津又泮滿一千遍和之又擣爲末以金椀盛之又以金椀蓋之准前澆酥滿千乃置椀於掌中加持焰起末塗目中飛騰自在諸天圍遶給侍壽遠劫復次阿毘遮嚕迦法大寒林中立壇以心密言加持己血一遍灑其地乾又灑淸水又以寒林灰塗之寒林灰界壇院三角三肘開北門門外畫羅剎髮上豎怒形以人骨莊嚴之手掌一髑髏盛血作向口飮勢壇心晝娜拏印焰起三角各畫佉咤望伽及毘舍遮衆以犬肉祀羅剎毘舍遮前置酒行者裸形被髮以頭中無名三指塗己血於額兩肩心喉大怒心左遶壇行一帀立稱烏芻瑟麽名灑己血於壇以花鬘遶壇院一帀米飯和血置髑髏中安壇中人骨和髮爲焚香又一髑髏滿盛血赤花鬘纏之又以三髑髏壇前支纏花者煎行者蹲踞坐持人脛骨攪血仍咬牙嚙齒大怒形持密言血中焰起有無量聲喧空必不損人愼勿怖其阿咤咤訶僧及諸鬼神身皆焰起以種種惡形來現云須何願隨意乞之國家有大陣敵或惡人毀除三寶令繫之皆大喪敗若不擇時日依前作三角壇唯除花鬘纏髑髏幷支者以建咤迦唐言棘也作火壇髑髏末毒藥末和血進火中一千八捨睹嚕摩囉寧復次寒林衣應肘量者寒林中或路上作壇以血灑之壇北布之以己血畫之髮上豎怒形四臂一手掌髑髏第二手娜拏第三手人頭第四手杵衣虎皮褌黑月八日大寒林中布像以黑飮食赤花供養行者蹲踞坐灰畫捨睹嚕血和芥子置一髑髏中行者於捨睹嚕上蹲踞坐以建咤迦棘也作火壇進血芥子於中晝夜非支麽囉寧三夜作一家七夜作七族一月夜尾曬也若墓田或殯宮布之蹲踞坐進鹽和血於建咤迦火中一千八摩囉寧若布像像前以灰或炭或稻糠灰彼形心上坐進血和灰於寒林殘薪火中晝夜家摩囉寧惹七夜若寒林中布像取其炭末和水作捨睹佉馱羅木橛長兩握塗血於釘花仡哩娜乃坐橛上持明一千八日三時滿三日摩羅寧若行者內衣於血中披之水立至臍持明血乾披亦然若寒林中布像犬肉芥子油和進火中一千八經十五日摩囉寧復次扇底迦壇於淨室或河岸作方四准前壇樣圖之當中畫金剛部母右畫金剛拳明妃左畫金剛鎖明妃部母前一角內大威力烏芻瑟麽明一角內金剛手菩薩四角內及壇心皆布阿樞迦葉葉上各安一水甁香花飮食供養用鉢羅奢薪作火壇進酥稱麽鷄明滿一千八又進牛乳每遍稱烏芻瑟麽莎嚩訶一千八事散病愈矣若准前七日作國內疫差若壇前油麻油酪蜜酥和進前火中日一千八七日病差事散若依前立壇布像取像內牛乳中之又布進牛酥於前薪火中一千八甁盛少香水加持七遍將甁就彼病人處以灑彼面云願汝卽差其甁滿盛淸水置壇中持一千八令浴之差若烏曇跛羅木作匙先三誦三策乃進阿說他薪火中次一誦一進稱彼病者名一千八差矣若加持粳米飯和乳與食經七日差若依前布檀像截烏曇跛羅枝一內進審銘薪火中一千八經七日彼差若布像取油麻油酥蜜酪和進審銘薪火中一日一千八經七日摩囉寧若進乳於審銘薪火中滿萬摩囉寧若內像於乳或酥布之進乳審銘火又加持香水灑彼面差若酥煎美餠及酪蜜酥乳等供養像以粳米飯和酪或酥乳蜜和進阿說他火中日三時時一千八滿七日致若佛殿或神廟中依前供養像進龍腦香於穀木火中日三時時一百八滿七日七寶六畜增長復次以白檀香木刻本尊長六指者頂戴水中立至項盡日持密言內行疫鬼死三日作城內疫差鬼去七日作境內差鬼去若以阿說他木與前壇像作座以牛糞於路上作壇安像供養然牛酥燈像面向西行者面東坐草團上捧白檀香水以奉請言加持七遍迎本尊降入像中惹底一名蘇末那 一內乳中進火中晝夜當莊內疫差七夜作國內差復次以鬱金畫本尊行者受八戒持頂戴像設幡花燒香供養引之右遶莊一帀疫差復次按俱咤木或阿說他木刻本尊於四衢路以香花飮食供養人髮幷骨末之進按俱咤火中日三時時一百八遍當莊疫差復次補沙宿直日唐云鬼宿飮食香花供阿說他樹用取其北引根牛五淨和少淸水持莖草揩洗之或鬼宿直日市紫檀木依前洗之日日初摩一方壇置木及所刻像刀斧等於中以根本密言加持紫壇木香水七遍洗行者八戒十善壇西進酥於火中七遍結根本及娜拏印令匠於壇中速刻本尊左手持杵右執娜拏怒形右視如立勢如立根本印行者在側持明勿絕令白月畢以檀香水浴之以飮食香花供養以彩色嚴之像額閒點赤或黃至來月一日開目立壇以飮食安悉香花供養三寶其日於壇像前起首持明十萬乃候月蝕立壇布像像面西飮食紫檀香花供養燒安悉香結娜拏印加持之印焰起入行者頂持明王有聲見用若或河側供養本像作佛手一磔量佛手一磔今人之三磔以二尺四寸准也制帝十萬誦密言三十萬遍乃以黑月八日或十四日供養加持焰起爲明王復次黑月八日依儀供養按俱咤樹取其根本尊右手舒五指以掌拓心左手持杵左足踏毘那夜迦右足踏娜拏令娜拏一頭押毘那夜迦取按俱咤花和芥子油進按俱咤火中夜令滿一萬遍夜半作大聲現候至佉馱羅木和芥子油中進按俱咤火中一千八滿七日毘那夜迦死進乳於火中一千八寂災若以蟻墳土作毘那夜迦形應肘量大寒林中立壇置形於佉馱羅木長十指和毒藥及血進佉馱羅木火中滿萬遍夜半形作大聲得其悉地作毘那夜迦法皆成就不被惱亂復次於應肘量緤上畫大威力明王左上手掌髑髏下手豎頭指擬勢上手持那拏下手執杵像前畫一毘那夜迦䠒跪合掌左足下踏一毘那夜迦立壇布像以赤花飮食紫檀香供養取一內進苦練火當乃諸惡鬼神以種種形見作咤訶咤訶聲愼勿毘那夜迦啓言有何事喚我勿與得毘那夜迦悉地後無畏難若被毘那夜迦作障難者像前誦一千八難止若水立至項結娜拏印誦一千八彼衆退散若取五穀及新菓幷名香置一甁中滿盛淸水以菴羅葉塞口牛糞摩壇置甁於中加持一百八遍若毘那夜迦爲病或遭鬼魅或年十六已下人諸鬼神所中者浴差婦人過月不生浴之卽產薄福之人浴之罪滅致富若加持菖蒲根一千八口含訴訟得若進阿鉢羅指多花火中滿一萬辟若誦密言七遍以頂上少髮作一結辟兵若童女合緤花作七結繫臂不爲諸毒所中若鬼魅所中加持水灑其面結娜拏印持明差矣若治毒加持淸水灑彼面差或加持苦練葉七遍掃彼身差若爲諸龍所傷者加持淸水一百八令服之差若惡瘡丁瘡加持土七遍和水塗之若遇怨敵結娜拏印明一百八彼發善心相向若止惡官亦爾若爲人抵犯者結娜拏印彼不能語若恒憶念此密言者本尊隨逐衆魔不近止盜賊水火辟五兵延年若欲食先加持之七遍服之辟衆毒若人患心狂或爲人厭令爾者結娜拏印彼耳邊誦七遍若療前狂病以二瓦椀相合結娜拏彼耳邊誦七遍撲破其椀差若療痃癖加持烏麻油七遍塗腹差若加持淨水散於十方一誦一結練線滿七繫臂自護護他若自經穢但誦之解矣若加持右大母指七遍以其印額誦一遍次右肩次左肩次心次喉成護辟師子虎狼及諸怖畏若晨朝沐浴以花供養本尊誦一百八辟兵災撗見歡喜若有官事或怖畏依前供養持明止若國家大兵敵者布像內阿波末哩牛膝子酥蜜酪中進阿波末哩迦薪火中滿萬敵退若療藥毒牛糞作壇布像截佉馱羅木二十一枚加持七遍點芥子油進火中若中鬼魅加持一甁淸水一百八浴差若被禁繫持密言枷鎖解脫若療癩加持紫檀香一千八塗之差若菖蒲根末和蜜加持一千八服之療冷癥若患瘧加持恒山花一千八令頂戴若患癲癇或及惡風者進萎花於佉馱羅木火中一千八差若令童子沐浴塗紫檀香衣以新衣瓔珞牛糞塗壇遍散赤花令頭戴赤花鬘加持赤花七遍令捧而掩目安悉香結娜拏印加持本尊降問事若步多鬼中者素囉娑藥和香燒娜拏印加持彼被縛赦之差若芥子末塑彼形割進火中令形支七日摩囉寧若寒林灰於髑髏上畫彼人寒林柴火炙之持明如火七日內摩羅寧諸術不解若寒林炭和水塑彼形或以其炭畫以釘釘口加持二十一遍或一百八不能語若依前塑畫口上燒苦練火心上坐毒藥血鹽芥子和進火中一百八同若准前塑畫頭上坐心上燒火摩羅若依前塑畫釘心腳上坐澆水於釘上滿一百八水病摩羅寧若去釘加持乳一百八與之浴復若加持素尾爛戰此藥靑色似鐵生 末一百八塗目見者貴敬若加持淸水一百八洗面謁王貴敬若加持淸水一百八洗面訴訟得理若蛇皮進苦練根火中或佉馱囉木火中日三時亦一千八滿七日摩囉若於淨室或四衢路中或寒林中午截鴉翅進摩訶迦羅火中一千八如鴉飛若進乳於火中一千八復若離合三日絕食午時進蛇肋骨於迦赦惹火中一千八滿七日若已血毒藥夜半進寒林薪火中一千八經七夜摩囉寧若誦部母密言進酥火中一千八誦根本密言進牛乳於火中一千八若先三日不食大自在天王廟中有名相處布像先廣設供養便眠夢本尊告某處有伏藏可取之若黑月八日夜半淨室或寒林中和毒藥一內摩咄囉子進摩咄囉火中一千八滿七夜烏嗟娜曩若進酥於火中一千八復復次像前先誦十萬遍三日勿食四日二時入水中立至喉結娜拏印或打車棒印或杵印或羂索印或劍持明王至夜半出於岸側以莽度迦薪唐云甘草充火壇先以莽度迦木刻其印一內木印於酥蜜中燒之至止後以印印山山碎印海海竭若蛇咬印之彼求哀赦之瘥若印人彼被縛若印枷鎖卽得解脫若印毒藥服之無苦若欲作一切法以印助之速驗若惡人相向作瞋心印之彼吐血或失心若患鬼魅及風癇加持黃芥子七遍打面差若進虎爪火中七遍不被虎傷若加持苦練根一千八繫臂無一切若加持摩訶迦羅根一千八置門頰上一切鬼病不入若加持頂上少髮作一結一切處無怖畏若絕食一日黑月八日或十四日制底立壇安像供養於金剛部母前燒安悉香誦一千八便敷草根吉凶具告復次止雨以紫檀作壇布像香花飮食供養持明止矣若惡雨雪雷雹結杵或娜拏印持明止矣若祈雨黑月十四日大河側以蟻墳土塑龍籠葉芥子油和遍傅之以足加龍首結娜拏印加持之盡日止雨若以牛皮白月五日寒林炭末和水傅皮白土作龍籠前一日三時時一千八進苦練葉於火中經七日雨足若前法不驗者寒林中以其炭畫作四肘方壇開南門於中畫大威力明前畫三五頭龍龍皆首北次南畫一池池中靑蓮花次池南又三五箇龍龍亦首北四角內各畫一池池內靑蓮花幷三兩箇龍門內畫一龍首首北以毒藥末和血內緤花子於進火中滿一千八諸龍以蛇形而現宛轉于地語令急下雨加持水七遍灑龍赦去雨足若誦金剛部母密言一千八白月七日於制帝布根本像以飮食香花供芥子和酥進火中一千八罪障淸若以穢處土和水成彼形行者每小其上一遺加持一百八滿七日貧賤若勃哩孕迦花摩勒迦末及淸水置甁中勃哩孕迦葉塞口加持一千八今浴復若加持花或菓一千八贈人貴敬復次應肘量緤畫夜叉女勿用膠美白淨色瓔珞鐺釧天衣嚴飾右手施願左手執阿樞迦葉布此像於阿樞迦樹下面北立壇以惹底花或勃哩孕迦花幷飮食供養心密言加持香燒之行者面南草團或花葉上坐加持阿樞迦花一遍擲像上滿七日以第七日夜半於像前一內阿樞迦花酥蜜酪中進阿樞火中一千八現獻紫檀閼伽如願 母打額姊妹打喉妻打心若一日不黑月八日或十四日午時寒林中芥子末成彼呪師所尊形遍塗毒藥於刀子刃加持一千八遍稱彼尊名因截形爲兩段彼失驗若准前成形加持乳一千八俗之如若寒林中以生酥成彼尊形加持五釘各一百八稱彼尊名於額及兩肩喉心各釘一釘彼失驗去釘如故若瓦椀中以寒林炭畫彼形尊形以一瓦椀蓋之取黑羊毛線纏椀持一千八遍彼呪師身如被縛失驗若有諸呪師能爲大神通者寒林中寒林炭和毒藥末之進其薪火中一千八遍稱彼名失驗若誦金剛部母密言進酥於火中一百八稱彼名如故若先三日不食寒林中或淨室或四衢中紫檀香靑木香末和水塑迦那以寒林炭和毒藥充火炙形加持一百八相親彼障患癩依前加持水甁令浴差若旗旛上寫密言持之入陣辟兵若以樺皮寫密言置髻中入陣刀箭及身猶如散花有何患也若紫鑛末和水一內勃羅得迦子於進竹火中一千八諸呪師欽伏若以人骨代勃羅得迦緤准前行者身安寧若紙或樹皮寫密言頭戴辟兵若加持土塊一百八擲於水中然涉水性之屬不能傷人若加持緤花線一百八次誦一結滿七繫臂路行辟劫盜若以木刻金剛杵一千八先一日不食進火中令盡一切金剛部法成驗若霹靂木刻作三股杵有大雪雷雹右手持杵降山或他境雪等移往其處若以摩咄羅莖刻杵立壇置中人髮供養之取一樹菓一千八顆以其樹充薪進菓令盡炬瑟咤若以猫糞代進摩咄羅花於草麻火一千八去白佃風若鹵土酪和置鎗用摩娜那薪火煮去鎗進粥於鎗下火中一千八殘粥後取少分和食與之同前大威力烏樞瑟摩明王經卷中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고려대장경 원문에는 ‘다한다[盡]’는 뜻으로 나와 있으나 송(宋)ㆍ원(元)ㆍ명(明) 3본과 궁본[宮]에 따라 그린다[畵]의 의미로 하였다.
  2. 2)지명(持明)은 산스크리트로 dhāraṇī, 음역하여 다라니(陀羅尼)라 한다. 진언(眞言)의 다른 명칭이다. 『대일경소』 9권에 지명(持明)이란 범음으로 다라니이니 즉 모든 명문(明門)과 명행(明行)을 총지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진언다라니를 수지(受持)하고 전지(傳持)하는 것을 가리킨다. 지(持)는 바로 수지(受持)ㆍ전지(傳持)의 뜻이고 명(明)은 진언의 뜻이다. 진언이 본존의 광명륜(光明輪) 가운데 나타나므로 명(明)이라 하고, 진언의 공력은 대혜광명(大慧光明)을 비추어 무명을 부수고 실다운 지(智)를 드러나게 하므로 명(明)이라 한다.
  3. 3)산스크리트로 abhicāruka. 조복(調伏)ㆍ항복(降伏)이라 한다.
  4. 4)단(壇)의 모양은 4종법(種法)에 따라 다르다. 식재법(息災法)은 원단(圓壇)이고, 증익법(增益法)은 방단(方壇)이며, 조복법(調伏法)은 삼각단(三角壇)이고, 구소(鉤召)ㆍ경애법(敬愛法)은 연화단(蓮華壇)이다.
  5. 5)산스크리트로 śāntika. 식재(息災)의 법을 행하는 단을 말한다.
  6. 6)유(乳)ㆍ낙(酪)ㆍ소(酥)와 땅에 떨어지지 않은 황소의 오줌과 똥을 말한다. 인도의 습속(習俗)으로는 소를 범천(梵天)의 사자(使者)라 인정하기에 성스러운 소[聖牛]라 하여 존중한다. 따라서 그 소의 오줌과 똥을 정물(淨物)로 삼는다. 밀교에서 이 풍습을 따라서 단을 건립할 때의 재료나 법구(法具)와 단지(壇地)를 청정하게 하는 용품으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