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1. 개요
이 경은 보살행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산스크리트경명은 Suvikrāntacintādevaputraparipṛcchā이며, 티벳어경명은 Ḥphags pa lhaḥi bu rab rtsal sems kyis shus pa shes bya ba theg pa chen poḥi mdo이다. 별칭으로 『단제법호의법경(斷諸法狐疑法經)』ㆍ『문사사경(問四事經)』ㆍ『문수사리소보법언칭경(文殊師利所報法言稱經)』ㆍ『수진천자소문경(須眞天子所問經)』ㆍ『제불법보입방편혜분별소명지경(諸佛法普入方便慧分別炤明持經)』ㆍ『수진천자소문경(須眞天子所問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266년에서 31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알려진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4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수진(須眞) 천자의 청에 의해 부처님이 보살행에 대하여 설법한 것을 다시 문수사리가 해설한다. 보살은 지혜와 방편으로 불도를 이루는 것이므로 직견(直見)과 사견(邪見)의 구분 없이 평등한 것이 불도를 행하는 것이라고 설한다. 전체 10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에는 제1 문사사품(問四事品), 제2권에는 제2 답법의품(答法義品)ㆍ제3 법순숙품(法純淑品)ㆍ제4 성문품(聲聞品), 제3권에는 제5 무오품(無畏品)ㆍ제6 주도품(住道品)ㆍ제7 보살행품(菩薩行品)ㆍ제8 분별품(分別品), 제4권에는 제9 송게품(頌偈品)ㆍ제10 도류품(道類品)이 있다.
제1 문사사품은 수진 천자가 부처님에게 보살이 어떻게 거짓되게 믿지 않아서 대승의 뜻을 얻는다고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해 총 32가지의 질문에 대해 부처님이 답변한 내용이다.
제2 답법의품에서는 수진 천자가 문수사리에게 부처님이 설한 내용을 다시 자세하게 설해 줄 것을 청하자문수사리가 보살은 자기 마음으로 살펴서 믿고 다른 가르침을 따르지 않으며, 모든 욕망을 조복(調伏)한다고 설한다.
제3 법순숙품에서는 문수사리가 몸[身]ㆍ입[口]ㆍ뜻[意]의 작용이 없는 것이 깨끗하고 순수한 법의 이치임을 알아서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고 설한다.
제4 성문품은 문수사리가 보살이 8유무선(惟務禪)을 행하는 법과 무애혜(無礙慧)를 얻는 법을 설한다.
제5 무외품에서는 문수사리가 수진천자에게 보살은 인연으로 모든 도(道)의 뜻을 세우므로 모든 욕망에 따라 도의 지혜를 세우고, 보살은 유위(有爲)에 있으면서도 항상 훌륭한 방편의 지혜를 행함으로써 무위(無爲)를 떨어뜨리지 않기 때문에 보살은 두려울 것이 없음을 얻는다고 설한다.
제6 주도품에서는 문수사리가 보살은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등을 없애는 법을 설하지만 그 법에서 증과(證果)를 구하지 않고, 6바라밀을 행하지 않고서도 6바라밀을 구족하며, 도에서 도를 구하고 없애지 않으므로 보살은 도에 머무름을 얻는다고 설한다.
제7 보살행품에서는 문수사리가 마음과 뜻이 평등한 것이 보시를 행하는 것이고, 마음과 뜻이 이미 조복된 것이 계(戒)를 행하는 것이며, 마음과 뜻이 이미 적정(寂靜)한 것이 인욕(忍辱)을 행하는 것이고, 뜻이 게으르지 않는 것이 정진(精進)을 행하는 것이며, 몸과 뜻이 안정되어 고요한 것이 선정(禪定)을 행하는 것이고, 법계(法界)에서 소유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지혜를 행하는 것이라고 설한다.
제8 분별품에서는 문수사리가 수진천자에게 보살이 어떻게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성문ㆍ벽지불 등에 들어가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 보살은 모든 법이 본래 공적(空寂)하고 모든 것이 본래 소유가 없음을 깨달아 알며, 모든 행을 깨달아 알기 때문에 부처님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고 설한다.
제9 송게품에서는 문수사리가 게송으로 두 마리 소가 하나의 수레를 끄는 것과 같이 보살은 지혜와 방편을 항상 함께 행함으로써 위없는 법전(法田)을 깨닫는다고 설한다.
제10 도류품에서는 문수사리가 수진천자에게 내가 처한 곳이 도류이며, 도가 처한 곳은 적정(寂靜)이고, 허공이 도의 상(相)이며 허공에 머무는 것이 도라고 하고, 공(空)에는 심(心)ㆍ의(意)ㆍ식(識)이 없고 생각의 작용이 없기 때문에 도를 이루지 못하므로 어리석음이 도와 더불어 평등하고 도가 어리석음과 더불어 평등하게 행해져야만 도라고 할 수 있다고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