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1. 개요
이 경은 만다라와 소청(召請), 관상법, 호마법 등을 설하는 잡밀(雜密) 계통의 경전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Māyājālamahātantrarāja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Rgyud kyi rgyal po chen po sgyu ḥphrul dra ba shes bya ba이다. 줄여서 『유가경(瑜伽經)』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현(法賢)이 989년에 한역하였으며, 법현이 한역한 것은 모두 989년에서 999년 사이에 기록된다. 한역자 법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지반(志磐)의 『불조통기(佛祖統紀)』는 법천(法天)이 그의 이름을 법현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중상부법실록(大中祥符法實錄)』에 의거한 오노(Ono)는 천식재(天息災)가 이름을 법현으로 바꾸었다고 주장한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5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만다라와 소청(召請), 관상법, 호마법 등을 설하는 잡밀(雜密) 계통의 경전으로 전체 10품으로 나누어 각종 수법을 설명한다. 「서품(序品)」은 대변조(大徧照) 금강 여래가 금강수(金剛手) 보살의 청을 받아 대교왕 삼매 만다라를 비롯한 여러 가지 비법을 설하는 배경을 보여준다. 「만나라품(曼拏羅品)」은 대지광명장(大智光明藏) 금강능성(金剛能成) 만나라(曼拏羅)를 건립하는 방법을 설한다. 만일 이 만다라에서 관정(灌頂)을 받으면, 다른 만다라에서 관정을 받는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먼저 만다라를 건립할 자리에 진언을 외워 시방의 경계를 설정한 다음, 원상(圓相) 만다라를 세운다. 그다음 일체 여래를 단(壇)으로 불러들인 후 공양을 올리고, 제자를 불러들여 관정을 행한다. 불·법·승 3보에 귀의하고 자신의 죄를 참회하며, 불법에 귀의할 것을 맹세한다. 이 외에도 2중 만다라작법을 별도로 언급한다. 「진언품(眞言品)」은 근본 주문을 비롯하여, 여러 불보살과 명왕의 진언을 설한다. 즉 아촉불, 보생불, 무량수불, 불공성취불의 4여래와 30명의 보살, 8명왕의 진언을 열거한다. 이러한 진언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가대교왕경청소의칙(瑜伽大敎王經請召儀則)을 함께 설명한다. 「삼마지품(三摩地品)」은 일체 진언 비밀 삼마지법(三摩地法)이라는 명상법을 설한다. 이 삼마지법으로 수행하면 무상보리를 얻을 수 있는데, 글자를 통해 불보살을 관상하는 30여 가지의 관상법을 설한다. 「진언대지변화품(眞言大智變化品)」에서는 일체여래모불안대보살(一切如來母佛眼大菩薩) 진언을 비롯한 20여 가지 진언과 그 효능을 함께 소개한다. 「인상대공양의품(印相大供養儀品)」에서는 여러 가지 수인과 그 공덕에 관해 설명한다. 「대변조여래안신인(大徧照如來安身印)」을 비롯한 5불(佛)의 인상(印相)에 대해 설명한 후, 금강살타를 비롯한 여러 보살과 명왕, 천신 등의 인상에 관해 설한다. 「관상보리심대지품(觀想菩提心大智品)」에서는 보리심에 대한 설명과 그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에 대해 설한다. 진리를 구하고자 하는 보리심은 곧 신상(身相)이며, 그 자체가 공(空)이며 또한 보리(菩提)라고 설한다. 이어 아촉불과 보생불, 무량수불, 그리고 불공성취불 등이 각각 보리심을 설한다. 대변조 금강 여래는 보리심을 얻기 위한 관상법을 설하는데, 먼저 신·구·의 3밀을 청정히 하는 진언을 외우고 자신의 마음을 ‘훔’자(字)라고 생각하면 이 글자가 점차 커지면서 부처님으로 변한다. 그때 이 부처님의 몸을 자신의 몸이라고 생각한다. 이 과정을 통해 모든 것의 실상은 그 차별성을 뛰어넘은 공성임을 알게 된다. 그것이 바로 보리심이다. 「상응방편성취품(相應方便成就品)」은 식재(息災)와 증익(增益), 경애(敬愛), 항복(降伏), 벽제(辟除), 강우(降雨) 등 여러 가지 작법을 설명한다. 이상의 여러 성취법은 수행자 자신의 몸과 마음, 그리고 말이 부처님과 똑같다는 명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호마법품(護摩法品)」은 호마 성취법과 청소(請召) 진언 등을 설한다. 이 호마법은 주문 등을 외우지 못하거나 의식 절차를 갖추지 못할 때 같은 효험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촉루품(囑累品)」은 위에서 설명한 여러 의식의 규칙은 금강 신(身)·구(口)·의(意) 3밀을 성취할 수 있는 최상의 길이라고 설한다. 또한 신구의의 3밀을 성취하는 것은 금강 아사리(阿闍梨)의 3밀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그를 부처나 부모와 같이 섬겨야 한다고 설한다. 그리고 앞에서 설한 만다라, 삼마지, 인상, 호마 등 열 가지 수법의 의미를 설명한 다음, 이를 신심이 없는 이에게 전수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이상의 각 품은 설주(說主)인 대변조 금강 여래가 특정한 삼매에 들었다가 나와 설법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삼매의 명칭을 고려하면서며 각 품의 내용은 읽는 것이 유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