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36_1044_c_01L일자정륜왕염송의궤(一字頂輪王念誦儀軌)


불공(不空) 한역
최윤옥 번역
김영덕 개역


나는 지금 도리천궁회(忉利天宮會)에서 석가모니여래께서 말씀하신 바에 의거하여 비할 데 없는 힘으로 세간과 출세간을 뛰어넘는 진언(眞言)과 가장 높은 모든 불정(佛頂)을 주재하시는 일자정륜왕(一字頂輪王)의 염송의칙(念誦儀則)을 설명하겠다.
수행자는 먼저 이 정륜왕대만다라(頂輪王大曼荼羅)에 들어가, 아사리(阿闍梨)의 관정(灌頂)과 인가(印可)를 받아야 하니, 그래야 비로소 이 법을 받아 지닐 수 있다. 반드시 분명히 믿고 이해한 연후에, 청정한 곳에 본존(本尊)의 형상을 안치하고, 서쪽을 향하여 머리 숙여 예를 올리고1), 삼보께 귀의하고[三歸 : 歸依方便], 몸을 바치고[捨身 : 施身方便], 자기의 죄를 고백하고[說罪 : 出罪方便], 계를 받고[受戒], 보리심을 내고[發菩提心 : 發菩提心方便], 수희하고[隨喜 : 隨喜方便], 권청하고[勸請 : 勸請方便], 발원회향 한[發願迴向 : 發願迴向方便] 후에, 불부삼매야인(佛部三昧耶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마주잡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모두 세우면 된다. 이것을 일체여래심인(一切如來心印)이라고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지나지2)
唵邇那邇入聲呼

다음 연화부삼매야인(蓮華部三昧耶印)을 맺는다. 앞의 불부(佛部) 일체여래심인[心印]의 상태에서 왼쪽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속에 넣고,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앞에서처럼 곧바로 세우면 된다. 이것을 연화부심인(蓮華部心印)이라고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로륵3)
唵阿嚧力

다음으로 금강부삼매야인(金剛部三昧耶印)을 맺는다. 앞의 불부 일체여래심인의 상태에서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속에 넣고 왼쪽 엄지손가락을 바로 세우면 된다. 이것을 금강부심인(金剛部心印)이라고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바아바 다륵4)
唵嚩日囉二合地力二合

다음으로 갑주인(甲冑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가운뎃손가락 두 개를 세워 각각 윗마디를 칼 모양으로 구부리고, 집게손가락 두 개로 각각 가운뎃손가락 뒤를 떠받친다. 인(印)으로써 이마와 오른쪽 어깨와 왼쪽 어깨와 가슴과 목의 다섯 곳5)을 한 번씩 가지(加持)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지가라 말리뎨바라 샤미다라나라 라나라 바 사마 거로
唵斫羯囉二合靺㗚底鉢囉二合賖弭多囉捺囉二合引囉捺囉二合引婆去娑摩二合車盧
사니 사로가사로가사 맘홈바타 사바 하6)
瑟尼二合沙𡀔乞灑𡀔乞灑二合𤚥吽發吒半音娑嚩二合引訶引

다음으로 불안인(佛眼印)을 맺는다. 두 손을 합장하고 집게손가락 두 개를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 뒤를 떠받치고, 아울러 엄지손가락 두 개를 구부려 손바닥 속으로 넣는다. 진언(眞言)을 외우며 인(印)으로 다섯 군데에 가지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막삼만다몯다 남 옴로로살보 로자바 라뎨사타 싯다노자녜살
曩莫三滿多沒馱引南引一唵嚕嚕薩普二合嚕入嚩二合羅底瑟咤二合悉馱盧者寧薩
바라타 사 다니사바 하7)
嚩囉他二合娑引達泥娑嚩二合引訶

다음으로 대해인(大海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껴 합장하고, 양손의 엄지손가락 사이를 벌린다. 인을 오른쪽으로 세 번 돌리고 대해수(大海水)가 이루어진 것을 상상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미마로나다사바 하8)
唵微摩嚧娜地娑嚩二合引訶引

다음으로 대해(大海)에 수미로산(須彌盧山)이 네 종류의 보배로 이루어진 것을 상상하라.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재빨리 쥐어서 권(拳)을 만들고, 손목을 합하여 함께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자라홈9)
唵阿者羅吽

다음에 수미산 위에 칠보 누각이 있는 것을 상상하고, 곧 보배 누각을 가지하는 인을 맺는다. 두 손으로 금강합장을 하면 되니, 왼쪽과 오른쪽 열 손가락의 각각 첫마디를 엇갈리게 하면 곧 이루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 남 옴살바타캄오나살 뎨사바 라사 맘아아나검
曩謨三滿多沒馱引南引唵薩嚩他欠嗢娜蘖二合帝薩頗二合囉呬引𤚥誐誐曩劍平聲呼
사바 하10)
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불정륜왕인(佛頂輪王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껴서 권을 만들고, 가운뎃손가락 두 개를 세워서 윗마디를 칼 모양으로 굽히고, 아울러 엄지손가락 두 개를 세운 상태에서, 집게손가락 두 개를 구부려 두 개의 엄지손가락 끝에 맞대면 된다. 다섯 군데를 인(印)하여 가호(加護)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 남보로옴11)
曩謨三滿多沒馱引南步嚕唵三合
다음에 망궐인(網橛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根本印)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의 윗마디를 구부리되, 뒤가 서로 붙지 않게 한다. 엄지손가락 두 개로 각각 눌러서 위 아래로 돌리면, 곧 결상하계(結上下界)가 이루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 남 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미라라나미다방 사
曩謨三滿多沒馱引南引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微枳囉拏微特防二合娑
니가비라이바리니다라 사야바아라 베샤사뎨노 라다바 능 사다
尼迦比羅貳嚩里尼怛囉二合娑耶嚩日囉二合吠賖薩帝呶引囉特嚩二合能上瑟吒
라 로가사 맘바12)
囉二合𡀔吃沙二合𤚥發

다음으로 장인(墻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의 두 마디를 서로 바싹 대고, 두 엄지손가락을 곧게 세워 두 가운뎃손가락에 붙인다.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리면, 곧 금강장계(金剛墻界)를 이룬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아 마호13)
噁引莫壑[귀명(歸命)은 앞과 같다].

다음 거로인(車輅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손바닥을 위로 향한다. 그리고 두 집게손가락을 펴되 손톱의 옆 부분을 서로 맞대고, 두 엄지손가락을 굽혀 집게손가락 밑 부분에 닿게 한다. 타방세계에 계신 본존을 받들어 영접하는 모습을 상상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도로도로훔14)
唵睹嚕睹嚕吽

다음 영거로인(迎車輅印)을 맺는다. 앞의 거로인에 준해서 두 엄지손가락을 각각 가운뎃손가락 꼭대기로 치켜든다. 몸을 향하여 세 번 불러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싣뎨리야 지디 가나다타살다나옴바아라 이 냐- 갈리사
曩謨悉底哩也四合地尾二合迦南呾他蘖多南唵嚩日𠻴二合儗姸以反儞也二合羯哩沙
야사바 하15)
二合耶娑嚩二合引訶[만약 봉송(奉送)할 경우에는 羯哩沙二合耶迦尾薩若耶는 제한다.]

다음 영청인(迎請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오른쪽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뒤로 구부린다. 몸을 향하도록 하고 세 번 불러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바아바뎨아바라 뎨하도사니 사야이혜이혜바가마다마라자바라
曩謨婆誐嚩帝阿鉢囉二合底賀睹瑟尼二合沙耶翳呬翳呬婆誐吻達麽囉惹鉢囉二
뎨치 남아감안담보사보 도보 마리니반자만자피로가사 아
合底車鴟奚反南遏鉗巘談補澀奔補甘反二合度奔上末鄰儞半者滿遮避路吃沙二合阿
바라 뎨하다마라바라 갈라 마야사바 하16)
鉢囉二合底賀多麽囉鉢囉二合羯囉二合麽耶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온갖 사업을 성취하는 불정인(佛頂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가운뎃손가락 두 개를 세워 윗마디를 칼 모양으로 구부린다. 모든 공양물과 욕수(浴水)와 세정토(洗淨土) 등에는 모두 이 진언으로 가지하고, 벽제(辟除)하거나, 더러운 것을 없애거나, 결계(結界)하는 데에도 모두 이 진언을 사용하라. 왼쪽으로 돌리면 벽제이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결계이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 옴 타로옴 만다사바 하17)
曩謨三滿多沒馱南一唵引二吒嚕嚕二合三滿馱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앞의 망궐인을 다시 맺고, 한 번 사용하여 상방계(上方界)를 결하고, 다음에 아사망예니인(阿娑莽倪倪枳反尼印)을 맺는다. 두 손을 기울여 왼손으로 오른손을 덮고, 엄지손가락 두 개를 세우면 된다.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돌리고 곧 밀봉(密縫)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사망아니훔바18)
唵阿娑莽倪尼吽發

다음에 헌알가인(獻閼伽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에 대고, 두 엄지손가락을 세워 각각 집게손가락 밑 부분 옆에 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옴어가라하어가바라 야바라 뎨계 나마감사바
曩謨三滿多沒馱南唵閼伽囉訶閼伽必哩二合野鉢囉二合底車鴟奚反娜末鉗娑嚩二
19)
合引訶引
다음에 거듭 근본인(根本印)을 맺는다.
다음에 헌사자좌인(獻師子座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두 엄지손가락의 손톱 옆에 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자라미라야사바 하20)
唵阿者囉尾囉耶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도향인(塗香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오른쪽 집게손가락을 왼쪽 가운뎃손가락의 아랫마디에 기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옴다래 로지야 안다아뎨훔훔바바사바 하21)
曩謨三滿多沒馱南唵怛𡀔二合盧枳也二合巘馱蘖帝吽吽發發娑嚩二合引訶

다음에 헌화인(獻花印)을 맺는다. 앞의 도향인의 상태에서 왼쪽 집게손가락을 고쳐 왼쪽 가운뎃손가락 아랫마디에 기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 옴살바노가보사바 보다야훔훔바바사바 하22)
曩謨三滿多沒馱南引唵薩嚩盧迦補澀波二合步多耶吽吽發發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소향인(燒香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굽혀서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중간 마디에 기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옴미라아다미살다도바야훔훔바바사바 하23)
曩莫三滿多沒馱南唵尾囉蘖跢微蘖多度跛耶吽吽發發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헌식인(獻食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집게손가락 윗마디를 구부려 각각 엄지손가락의 측면에 붙인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옴살바로가마리바리 야 훔훔바바사바 하24)
曩謨三滿多沒馱南唵薩嚩盧迦麽里必哩二合夜引吽吽發發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헌등명인(獻燈明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의 두 마디를 구부려서 서로 붙지 않도록 하고, 두 엄지손가락을 각각 집게손가락 위에 붙인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옴살바노가산나라 사나야훔훔바바사바 하25)
曩謨三滿多沒馱南唵薩嚩盧迦珊捺囉二合捨那耶吽吽發發娑嚩二合訶引

다음에 보공양가지인(普供養加持印)을 맺는다. 두 손을 허심합장(虛心合掌)하고 정수리 위에 올려 각각 두 마디를 교차시킨다.

나모삼만다몯다남모디살다바 나옴살바다라 싱구소미다피기자라시
曩謨三滿多沒馱南冒地薩怛嚩二合南唵薩嚩怛囉二合僧俱蘇弭多避枳惹囉始
녜나모사도 뎨사바 하
寧曩謨薩睹二合諦娑嚩二合訶引26)
다음에 변조불정인(遍照佛頂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껴서 합하여 권을 만들고, 두 가운뎃손가락의 마디를 조금 든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악 마함27)
曩謨三滿多沒馱南噁引莫谽

다음에 백산개불정인(白傘蓋佛頂印)을 맺는다. 엄지손가락 두 개로 각각 두 약손가락의 손톱 위의 옆을 잡아 서로 합하고,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우산 모양으로 한다. 두 가운뎃손가락을 약간 구부려 서로 합하며, 두 새끼손가락을 각각 세워 서로 합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마마마훔익28)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南唵麽麽麽吽匿儞翼反

다음에 광취불정인(光聚佛頂印)을 맺는다. 앞의 백산개불정인의 상태에서 집게손가락 두 개를 벌려 열면 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다타아도사니 사아야바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怛他孽都瑟尼二合娑阿耶嚩
로기다모리다뎨유라시훔자바 라자바 라다가다가나라나라미나라미
盧枳多慕㗚馱帝儒囉始吽入嚩二合攞入嚩二合攞馱迦馱迦娜囉娜囉微娜囉微
나라친나친나빈나빈나훔훔바바사바 하
娜囉嗔那嗔那頻那頻那吽吽發發娑嚩二合引訶引29)
다음에 고불정인(高佛頂印)을 맺는다. 앞의 백산개불정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 가운데 마디의 뒤를 떠받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 니비니비비유 나아도사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引儞▼(卑+也)儞▼(卑+也)卑瑜二合娜誐都瑟
니 사훔훔바바사바 하30)
尼二合沙吽吽發發娑嚩二合訶引

다음에 승불정인(勝佛頂印)을 맺는다. 고불정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위쪽으로 귀리 두 알 정도의 거리만큼 옮긴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자바 라자유사니 사훔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南唵入嚩二合羅惹諭瑟尼二合沙吽
발사바 하31)
發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최훼불정인(催毁佛頂[미지라나(尾枳囉拏)이다.]印)을 맺는다.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껴서 권을 만들고, 가운뎃손가락 두 개를 세워서 마디를 구부린 상태에서 오른쪽 가운뎃손가락으로 왼쪽 가운뎃손가락의 앞쪽을 떠받쳐서 반 마디쯤 올라가게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미기라나도나도나독32)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尾枳囉拏度那度那犢引

다음에 최쇄불정인(摧碎佛頂印)을 맺는다. 앞에 상태에서 왼쪽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오른쪽 가운뎃손가락의 앞쪽을 떠받치되, 역시 반 마디쯤 올라가게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아바라 뎨하도사니 사
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喃唵阿鉢囉二合底賀都瑟尼二合沙
야살바미가나 미다망 사나가라야다로 타야사바 하33)
耶薩嚩尾伽曩二合尾特望二合娑那迦囉耶怛嚧二合吒耶娑嚩二合訶引

다음에 윤왕불정심인(輪王佛頂心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 윗마디를 떠받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다타아도사니 사아나바
曩莫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怛他孽都瑟尼二合沙阿那嚩
노기다몯다니자가라 말리 뎨훔자바 라자바 라다가다가도나미도
盧枳多沒馱尼斫羯羅二合靺㗚二合底吽入嚩二合羅入嚩二合羅馱迦馱迦度那微度
나다라 사야마라투차라야하나하나반자반자암아교바룡 기니군다리
那怛囉二合娑耶麽囉逾瑳囉耶賀那賀那伴惹伴惹暗惡屩鉢龍二合企尼君吒哩
니아바라 니다살다라 다리니훔발사바 하
尼阿鉢囉二合爾多薩怛羅二合馱哩尼吽發娑嚩二合訶34)
다음에 심중심인(心中心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 윗마디 위에 덧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막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남옴아바라 니다틱35)
曩莫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南唵阿鉢囉二合爾多特他翼反

보통제불정인(普通諸佛頂印)은 두 손으로 금강합장을 한 상태에서 가운데를 비워 마치 꽃이 손바닥 속에 있는 것처럼 하는 것이다. 수행자가 만약 매우 급하여 여러 불정인을 다 맺을 수 없을 때에는, 단지 이 인(印)만 맺고 제불정진언(諸佛頂眞言)을 염송하라.
다음에 정인(頂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오른쪽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오른쪽 가운뎃손가락 뒤에 세우되 서로 닿지 않게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삼만다몯다남아바라 뎨하다사사나나옴자가라 말리 뎨옴훔36)
曩莫三滿多沒馱南阿鉢囉三合底賀多舍娑那南唵斫羯羅二合靺㗚二合底唵吽

다음에 두인(頭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두 집게손가락을 벌려서 각각 가운뎃손가락 뒤에 바로 세우고, 서로 닿지 않게 하여 약간 구부린다[귀명(歸命)은 위와 같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자가라 말리 뎨훔바사바 하37)
唵斫羯囉二合靺㗚二合底吽發娑嚩二合引訶引
다음에 또 근본인을 맺는다.
다음에 대삼매야인(大三昧耶印)을 맺어 본존(本尊)을 가호(加護)하라. 두 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가운뎃손가락 두 개를 세워 놓는다. 두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뒤로 구부려 마치 갈고리 모양처럼 하되, 귀리 한 알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지게 하고, 두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 밑 부분 아래에 붙이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리면 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상가리마하삼매야사바 하38)
唵商羯哩摩訶三昧延娑嚩二合訶引

다음에 일백팔명찬(一百八名讚)39)의 찬탄을 염송하라. 염송하고자 하면 먼저 5지(支)40)로 본존을 이루어라. 혹은 5상(相)41)으로 본존과 상응하라. 그리고 세 군데[정수리와 가슴과 혀이다.]에서 일자정륜이 본존이 되어 여덟 잎 연꽃에 앉으신 모습을 상상하라. 낱낱의 연꽃 위에 칠보가 있는 것을 상상하고 오직 바로 앞의 연꽃 위에 불안존(佛眼尊)이 계신 것을 상상하라. 다음으로 마땅히 염주를 지녀라.[이는 『보리도량소설경(菩提道場所說經)』에 의한다].
다음 염주를 쥐고 합장하고 나서, 염주를 두 손으로 받들고 정주진언(淨珠眞言)을 일곱 번 염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아나보 뎨미자예 시디시다라뎨사바 하42)
唵阿娜步二合低尾惹曳而奚反悉地悉馱囉梯娑嚩二合引訶

다음에 지주인(持珠印)을 맺는다.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각각 약손가락의 손톱 위에 대고, 두 가운뎃손가락과 두 새끼손가락을 똑바로 세운다. 두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뒤로 구부리되, 서로 닿지 않게 한다.[『비로자나경(毗盧遮那經)』의 반금강저인(半金剛杵印)과 같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바가바뎨소싣뎨사다야싣다라뎨사바 하43)
曩謨婆誐嚩底蘇悉第娑馱耶悉馱囉梯娑嚩二合引訶引

다음으로 마땅히 그 마음을 깨끗이 하여
법에 맞게 염송해야 한다.
염주를 쥐어 심장에 대고
마음은 코끝에 매어두라.

자구(字句)를 분명히 외우되
느리게도 빠르게도 하지 말고
찡그리지도 웅얼거리지도 딸꾹질하지도 목멘 소리도 내지 말고
기침하지도 침을 뱉지도 눈물을 흘리지도 말라.

염(染) 등의 마음과 상응하거나
마음이 고통을 받는 것에 얽매이는 등
이러한 허물이 있으면
결코 성취할 수 없다.

염송을 할 때에는 몸과 마음에 지쳐하거나 게으름을 피워서는 안 되니, 만약 힘들어 지칠 때에는 곧 5공양인(供養印)을 맺어야 한다. 찬탄을 읊고 나서는 공덕수(功德水)를 봉헌하라. 염송이 끝나면 염주를 머리 위에 얹어라.
다음에 앞의 밀봉인(密縫印)을 결하여 왼쪽으로 한 번 돌리고, 곧 계를 풀어라[解界]44).
다음 봉송인(奉送印)을 맺는다. 앞의 근본인의 상태에서 왼쪽 집게손가락을 밖으로 뻗는다. 영청진언(迎請眞言)에서 이혜이혜(翳呬翳呬)를 빼고, 그 대신 아거아거(孽車孽車)라는 구절을 넣으면, 봉송(奉送)진언이 된다.
다음에는 다시 결장인(結墻印)과 망궐인(網橛印) 등을 맺어서 상하처(上下處)와 성취한 물건들을 가호(加護)해야 한다.
다음에 계리지리인(計里枳里印)을 맺는다. 왼쪽 엄지손가락으로 왼쪽 새끼손가락의 손톱 위를 누르고, 나머지 세 손가락 끝을 벌려 바로 세워서 삼고저(三股杵)의 모양처럼 만든다.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리면, 곧 결계(結界)가 이루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기리기리바아라 훔발45)
唵枳里枳里嚩日囉二合吽發
다음에 군다리인(軍吒利印)을 맺는다. 두 새끼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교차시키고, 두 약손가락을 새끼손가락 위에 놓는다. 엄지손가락으로 약손가락 위를 누르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서로 합한다. 두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뒤로 구부리되, 보리 한 알 만큼 거리를 두어 서로 붙지 않게 한다. 오른쪽으로 세 번 돌리면, 곧 결계(結界)가 이루어진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라다나 다라 야 야나모시젼 나바아라 바나예마하약- 차
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引也曩莫室戰二合拏嚩日囉二合跛拏曳摩訶藥乞叉二合
세나바다예나막시젼 나바아라 구로다야옴호로호로딛- 따 딛- 따
細曩跛多曳曩莫室戰二合拏嚩日囉二合句路馱耶唵虎嚕虎嚕底瑟吒二合底瑟吒
만다만다아나아나아밀리 뎨훔바사바 하46)
二合滿馱滿馱呵那呵那阿蜜哩二合帝吽發娑嚩二合訶

한 글자의 진언에서
열다섯 글자의 진언까지는
매번 글자 수를 헤아려
열 글자마다 10만 번 염송하고

세 글자는 30만 번 염송하되
응당 먼저 사법(事法)을 지어라.
서른 글자 이상은
만 번 염송하라.
036_1044_c_01L一字頂輪王念誦儀軌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 詔譯我今依忉利天宮會釋迦牟尼如來所說無比力超勝世閒出世閒眞言上上一切佛頂主宰一字頂輪王念誦儀則修行者先當入此頂輪王大曼荼羅得阿闍梨灌頂印可方受此須善明解然後於淸淨處安本尊面西稽首禮受三歸捨身說罪受發菩提心隨喜勸請發願迴向已應結佛部三昧耶印以二手內相叉雙竝豎二大拇指卽成是名一切如來心印眞言曰唵邇那邇入聲 呼次結蓮花部三昧耶印准前佛部心屈左大拇指入掌右大指准前直豎卽成是名蓮花部心印眞言曰唵阿嚧力次結金剛部三昧耶印准前佛部心屈右大指入掌直豎左大拇指卽是名金剛部心印眞言曰唵嚩日囉二 合地力二 合次結甲冑印以二手內相叉豎二中各屈上節如劍形以二頭指各拄中指背以印加持額右肩左肩心喉五處一遍眞言曰唵斫羯囉二 合靺㗚底鉢囉二 合弭多囉捺囉二 合引囉捺囉二 合引娑摩二 合車盧瑟尼二 合沙乞灑二 合乞灑二 合𤚥吽癹咤半 音二 合 引次結佛眼印以二手合掌屈二頭指各拄中指背竝屈二大拇指入掌印眞言加持五處眞言曰曩莫三滿多沒馱引一唵嚕嚕薩二 合嚕入嚩二 合羅底瑟咤二合馱盧者寧薩嚩囉他二 合達泥娑嚩二 合引次結大海印以二手內相叉合掌擘開二大指以印右旋三帀想成大海眞言曰唵微摩嚧娜地娑嚩二 合引次於大海中想須彌盧山四寶所成以二手內相叉急握作拳合腕竝豎卽成眞言曰唵阿者羅吽次於須彌盧山上想七寶樓閣卽結加持寶樓閣印以二手金剛合掌右十指各交初分卽成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唵薩嚩他欠嗢娜蘖二 合帝薩頗二 合囉呬𤚥誐誐曩釰平聲呼娑嚩二 合引次結佛頂輪王印二手內相叉作拳豎二中指屈上節如劍形竝豎二大屈二頭指捻二大指頭上卽成五處加護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步嚕唵三 合次結網撅印准前根本印屈二頭指上節背不相著以二大拇指各壓上下揮轉卽成結上下界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微枳囉拏微特防二 合娑尼迦比羅貳嚩里尼怛囉二合娑耶嚩日囉二合吠賖薩帝呶囉特二合瑟咤囉二合吃沙二合𤚥癹次結牆印准前根本印屈二頭指節相逼平豎二大拇指附二頭指旋三帀卽成金剛牆界眞言曰莫壑 歸命同前次結車輅印二手內相叉仰掌申二頭指令甲側相拄屈二大指各柱頭指根下想於他方世界奉迎本尊言曰唵睹嚕睹嚕吽次結迎車輅印准前車輅印以二大指各撥中指頭向身三招眞言曰曩謨悉底哩也四合地尾二合迦南怚他蘖多南唵嚩日啷二合姸以反你也二 合羯哩沙二 合耶娑嚩二 合引若 奉 送除 羯 哩沙二合耶迦尾薩若耶次結迎請印准前根本印屈右頭指於中指後向前三招眞言曰曩謨婆誐嚩帝阿鉢囉二 合底賀睹瑟尼二 合沙耶翳呬翳呬婆誐吻達麽囉惹鉢囉二 合底掣鴟奚反南遏鉗巘談補澀奔補甘反二合度奔末鄰你半者滿遮避路吃沙二 合阿鉢囉二合底賀多麽囉鉢囉二 合羯囉二 合耶娑嚩二 合引次結一切辦事佛頂印以二手內相豎二中指屈上節如劍形諸供養物及浴水洗淨土等竝用此眞言持辟除去垢結界皆用此眞言左旋辟除右旋結界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唵咤嚕唵三合滿馱娑嚩二 合引次重結前網橛印一用結上方界次結阿娑莽倪倪 枳反尼印側二手左掩右豎二大指卽成右轉一帀卽成密縫眞言曰唵阿娑莽倪尼吽癹次結獻閼伽印准前根本印屈二頭各附中指豎二大指各附頭指根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唵閼伽囉訶閼伽必哩二合野鉢囉二合底掣鴟奚反娜末鉗娑嚩二 合引次重結根本印次結獻師子座印准前根本印屈二頭指於二大指甲側眞言曰唵阿者囉尾囉耶娑嚩二 合引次結塗香印准前根本印屈右頭指倚於左中指下節眞言曰曩謨三滿多 沒馱南唵 怛𡃤二合盧抧也二合巘馱蘖帝吽吽癹癹娑嚩二 合引次結獻花印准前塗香印改左頭指倚左中指下節眞言曰曩謨三滿多 沒馱南唵薩嚩盧迦補澀波二合步多耶吽吽癹癹娑嚩二 合引次結燒香印准前根本印屈二頭指各倚於中指中節眞言曰曩莫三滿多 沒馱南 唵尾囉蘖哆微蘖多度跛耶吽吽癹癹娑嚩二合次結獻食印准前根本印屈二頭指上節各附於大指側眞言曰曩謨三滿多 沒馱南 唵薩 嚩盧迦麽里必哩二合吽吽癹癹娑嚩二合引次結獻燈明印准前根本印屈二頭兩節令不相著二大指各附於頭指上眞言曰曩謨三滿多 沒馱南唵薩嚩盧迦珊捺囉二合捨那耶吽吽癹癹娑嚩二 合次結普供養加持印二手虛心合掌上頂各兩節相交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 冒地薩怛嚩二合南唵薩嚩怛囉二合僧俱蘇弭多避枳惹囉始寧曩謨薩睹二合諦娑嚩二 合次結遍照佛頂印二手內相叉合爲令二中指節微起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噁莫㟏次結白傘蓋佛頂印以二大指各捻二無名指甲上側相合二頭指屈如蓋二中指微屈相合二小指各豎相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 合賀多舍娑那南唵麽麽麽吽匿你翼反次結光聚佛頂印准前白傘蓋印開二頭指卽成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 合賀多舍娑娜南 唵怛他蘖都瑟尼二合娑阿那嚩盧枳多慕㗚馱帝儒囉始吽入嚩二 合攞入嚩二 合攞馱迦馱迦娜囉娜囉微娜囉微娜囉嗔那嗔那頻那頻那吽吽癹癹娑嚩二 合引次結高佛頂印准前白傘蓋印屈二頭指各拄中指中節背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 合賀多舍娑娜南唵你你卑瑜二 合娜誐都瑟尼二 合沙吽吽癹癹娑嚩二 合次結勝佛頂印准高佛頂印移二頭向上兩𪍿麥許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南唵入嚩二合羅惹諭瑟尼二合沙吽癹娑嚩二 合引次結摧毀佛頂尾枳囉拏二手內相叉作拳豎二中指屈節以右中指左中指面令出半節許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娜南唵尾枳囉拏度那度那次結摧碎佛頂印准前改左中指拄右中指面亦出半節許眞言曰曩謨三滿多沒馱南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喃唵阿鉢囉二合底賀都瑟二 合沙耶薩嚩尾伽曩二合尾特望二合娑那迦囉耶怛嚧二合咤耶娑嚩二合次結輪王佛頂心印准前根本印二頭指各拄中指上節眞言曰曩莫三滿多沒馱南 阿鉢囉二合賀多舍娑娜南唵怛他孽都瑟尼二合沙阿那嚩盧枳多沒馱尼斫羯羅二合靺㗚二合底吽入嚩二合羅入嚩二合羅馱迦馱迦度那微度那怛囉二合娑耶麽囉逾瑳囉耶賀那賀那伴惹伴惹暗惡屩鉢龍二合企尼君咤哩尼阿鉢囉二 合爾多薩怛羅二合馱哩尼吽癹娑嚩二合次結心中心印准前根本印屈二頭各加於二中指上節上眞言曰曩莫三滿多 沒馱南 阿鉢囉二合底賀多舍娑那南唵阿鉢囉二合爾多他翼反普通諸佛頂印二手虛心金剛合掌如花在掌中修行者若急遽不能遍結諸佛頂印但結此印誦諸佛頂眞次結頂印准前根本印屈右頭指於右中指後令不相著眞言曰曩莫三滿多 沒馱南 阿鉢囉三合底賀多舍娑那南唵斫羯羅二合靺㗚二 合底唵吽次結頭印准前根本印開二頭指直豎於中指後令不相著微屈眞言歸命同上唵斫羯囉二合靺㗚二 合底吽癹娑嚩二 合引次又結根本印次結大三昧耶印加護本尊二手內相叉豎二中指屈二頭指中指後鉤相去一𪍿麥許二大指各附頭指根下右旋三帀眞言曰唵商羯哩摩訶三昧延娑嚩二合次誦一百八名讚讚歎欲念誦先以五支成本尊或五相成本尊瑜伽或於三處頂 舌心 也想一字頂成本尊坐八葉蓮花於一一葉上想七寶唯當前蓮花葉上想佛眼尊次應持珠此依菩提道場所說經次持珠合掌捧珠誦淨珠眞言七遍眞言曰唵阿娜步二 合低尾惹曳而奚反悉地悉馱囉挮娑嚩二 合引次結持珠印二手各以大指捻旡名指甲上直豎二中指二小指屈二頭指於中指後令不相著如毘盧遮那經半金剛杵印眞言曰曩謨婆誐 嚩底蘇悉第 娑馱耶悉馱囉梯 娑嚩二 合引次應淨其心 如法而念誦 持珠令當心繫心於鼻端 字句分明呼 不緩亦不急不頻伸噦嗌 咳嗽與唾涕 染等心相應及心緣苦受 如是等過患 皆不得成就當念誦時身心不得疲怠若勞倦應結五供養印誦讚歎獻閼伽念畢持珠頂上次結前密縫印左轉一帀卽成解界次結奉送印准前根本印左頭指外誦迎請眞言除翳呬翳呬加蘖車蘖車句卽成奉送次應復結牆及網橛等印加護處上下及所成就物次結計里枳里印以左大指壓左小指甲上餘三指頭坼開直豎如三股杵形右旋轉三帀成結界眞言曰唵枳里枳里 嚩日囉二合吽癹次結軍咤利印二小指於掌中交二無名指小指上以二大指壓二無名指上豎二中指相合屈二頭指中指後令一麥許不相著右旋三帀卽成結界眞言曰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莫室戰二 合拏嚩日囉二 合跛拏曳摩訶藥乞叉二 合細曩跛多曳曩莫室戰二合拏嚩日囉二合句路馱耶唵虎嚕虎嚕底瑟咤二合底瑟咤二 合滿馱滿馱呵那呵那阿蜜哩二 合帝吽癹娑二 合從一字眞言 至於十五字 每計於字數十字一洛叉 乃至於三字 應誦三洛叉應作先事法 三十字已上 應誦一萬遍一字頂輪王念誦儀軌一卷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이하에서 여러 가지 방편을 말한 것 가운데 처음의 작례방편(作禮方便)에 해당한다.
  2. 2)oṃ jinajik.
  3. 3)oṃ arolik.
  4. 4)oṃ prajñādhrik.
  5. 5)가지하는 데에는 인계나 금강저를 사용하는데, 각각의 신체 부위는 상징하는 바가 다르다. 이마는 대일여래, 오른쪽 어깨는 보생여래, 왼쪽 어깨는 불공성취여래, 심장은 아촉여래, 목은 아미타여래이다. 이것에 의하여 자신에게서 5불(佛)⋅5지(智)를 현현한다는 의미가 있다.
  6. 6)oṃ cakravarti praśamita ratra ratra pasamakṣa lośaṇiśa rakṣa rak- ṣamaṃ hūṃ phaṭ svāhā.
  7. 7)nama samantabuddhanāṃ oṃ ruru sphuru jvala tiṣṭha sidhalocani sarva arthasadani svāhā.
  8. 8)oṃ bimalinadhi svāhā.
  9. 9)oṃ acala hūṃ.
  10. 10)nama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thakhaṃ udgati spharanahemaṃ gagana khaṃ svāhā.
  11. 11)nama samantabuddhanāṃ bhrūṃ.
  12. 12)nama samantabuddhanāṃ apratihadaśasananāṃ oṃ bigarani bidhvansaya kapiraṇi varini trasaya vajra biśa sadinorakṣeba duṣṭa rakṣamaṃ phaṭ.
  13. 13)ama hoḥ.
  14. 14)oṃ dhuru dhuru hūṃ.
  15. 15)karṣaya kapisarijaya namas triyadipikanāṃ tathābuddhanāṃ oṃ vajraṃ kaṇiyakarśaya svāhā.
  16. 16)namo bhagavate apratihatuśeniśaya ehy ehi bhagavan dharma ca pratiṣthanāṃ argaṃ gandhaṃ puṣpi dhupaṃ praticcha mañcabirokṣa apratihada mraprakaramaya svāhā.
  17. 17)namas samantabuddhānāṃ oṃ caruru bandha svāhā.
  18. 18)oṃ āsvamaṃ nini hūṃ phaṭ.
  19. 19)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akraha akabriya pratiṣṭhanamakaṃ svāhā.
  20. 20)oṃ acalabilaya svāhā.
  21. 21)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trailokyagandhabodhi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22. 22)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lokapuṣpe buddhay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23. 23)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biraputa bikatadumay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24. 24)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lokamaribriyay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25. 25)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lokaśantra śanay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26. 26)namaḥ sarvabuddhabodhisatvanāṃ oṃ sarvadrasaṃkusvamita bikejaraśi namastuti svāhā.
  27. 27)namaḥ samantabuddhanāṃ ama hūṃ.
  28. 28)namaḥ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mamama hūṃ ṇi.
  29. 29)namaḥ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tathāgatoṣṇīṣa anala avalokite murtatejorasi hūṃ jvala jvala daka daka dara bidara cchindha bhindh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30. 30)namaḥ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jñāna bidyutaka uṣṇīṣ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
  31. 31)namaḥ samantabuddhanāṃ apratihataśasvanānāṃ oṃ joracayuśeniśa hūṃ phaṭ svāhā.
  32. 32)namas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bikir ṇatu natu natu.
  33. 33)namas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apratihata uṣṇīya sarvābhiṣaṇa bhiṣimaṃ sanakaraya daruṭāya svāhā.
  34. 34)namaḥ samantabuddhānāṃ apratihataśāsanānāṃ oṃ tathasana śinisana valokite buddha nicakra varti hūṃ jvala jvala daka daka tuna bituna trasāya mārayosaraya hana hana bhañja bhañja oṃ bhyo bhrūṃ kaṇi kuṇṭi lini apārajita sadhara dhariṇi hūṃ phaṭ svāhā.
  35. 35)nama samantabudhanāṃ apratihadaśasanānāṃ oṃ abaracitade.
  36. 36)nama samantabudhanāṃ apratihadaśasananāṃ oṃ cakravarti oṃ hūṃ.
  37. 37)oṃ cakravarti hūṃ phaṭ svāhā.
  38. 38)oṃ śaṅkari mahāsamaye svāhā.
  39. 39)금강계대일여래의 덕을 펼치면 16대보살이 되고, 이 16대보살 각각에게 많은 덕이 있는데 이 덕에 따라 갖가지 명칭을 세워서 108명으로 하는 것이다. 일백팔명찬(一百八名讚)⋅일백팔찬(一百八讚)이라고도 한다. 백팔명찬이란 대일여래의 전체의 덕이 되는 것이고, 따로따로 찬탄할 경우에는 4불(佛)⋅16대보살의 덕이 된다.
  40. 40)『대일경략염송법(大日經略念誦法)』, 또는 『오지염송요행법(五支念誦要行法)』, 『오지염송법(五支念誦法)』에서 말하는 삼매야(三昧耶)⋅부동존(不動尊)⋅여래구(如來鉤)⋅보통진언(普通眞言)⋅금강갑주(金剛甲冑) 등의 다섯 가지 인계와 진언을 말한다.
  41. 41)오상성신관(五相成身觀)을 가리킨다. 금강계법의 골격을 이루는 오상성신관은 다섯 가지 상을 구비해서 본존신을 성취하는 관법의 뜻으로 오전성신(五轉成身), 또는 오법성신(五法成身)이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초회금강정경』이라 일컬어지는 『진실섭경(眞實攝經)』의 첫머리에 나온다. 일체의성취보살(一切義成就菩薩), 즉 석가모니가 보리도량에 앉아 현실세계가 모두 본질적으로 공이요, 실체가 없다는 명상에 머물러 만족하고 있을 때 일체여래들이 일체의성취보살이 보리좌(菩提座)에 앉아 있는 곳에 와 자신들의 수용신을 보살 앞에 나타내 보이면서 위없는 완전한 깨달음을 현실로 깨닫는 방법에 관하여 일체의성취보살을 경각시켰다. 그것이 ① 통달보리심관(通達菩提心觀), ② 수보리심관(修菩提心觀), ③ 수금강심관(修金剛心觀), ④ 증금강신관(證金剛身觀), ⑤ 불신원만관(佛身圓滿觀)이라는 다섯 가지의 관법으로 전개된다. 이 관법을 통하여 수행자는 법계체성지(法界體性智)의 형상화인 대일여래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42. 42)oṃ anabudhi bijaya siddhi siddharthe svāhā.
  43. 43)namo bhagavati susiddhi sadaya siddharthe svāhā.
  44. 44)율(律)이나 진언(眞言)으로 결계(結界)하였던 일을 푸는 일이다.
  45. 45)oṃ kili kili vajra hūṃ phaṭ.
  46. 46)namo ratnatrayāya namaṣ caṇṭavajrapaṇaye mahāyakṣasena pataye namaṣ caṇṭavajrakrodhaya oṃ hulu hulu tiṣṭha tiṣṭha bandha bandha hana hana amriti hūṃ phaṭ svāh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