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11_1245_a_01L불설칠구지불모준제대명다라니경
(佛說七俱貾佛母准提大明陁羅尼經)


당(唐) 천축삼장 금강지(金剛智) 한역
김영덕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박가범(薄伽梵)께서 대성(大城)1)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이때 세존께서는 미래의 모든 중생을 관찰하시고 불쌍히 여기사, 과거의 7구지2)준제여래(俱胝准提如來)들의 불모준제다라니(佛母准提陁羅尼)를 말씀하셨는데, 여기에서 지금 내가 똑같이 대명(大明)을 송하는 것이니라.

나마사다남 삼먁삼몯다 구 티 남 다댜 타 옴 자례 주
娜麽䬃哆南去音下同一三藐三勃陁去音去音上音怛姪停也反折隷
례 준뎨 사바 하3)
准提莎嚩二合

만약 필추ㆍ필추니ㆍ오바색가ㆍ오바사가가 있어서 이 다라니를 받아 지니고 독송하여 90만 번을 채우면 한량없는 겁 동안 지은 온갖 죄가 모두 다 사라지고,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여러 부처님과 보살님을 뵈옵고, 생활도구가 뜻대로 충족하게 되고, 한량없는 생애 동안 언제나 출가하게 된다. 만약 재가의 보살이라면 계행을 닦아 지니고 견고하여 물러서지 않고, 빠르게 위없는 보리를 성취하며, 언제나 천상(天上)에 태어나고, 언제나 온갖 천들의 애경(愛敬)을 받으며, 또한 언제나 수호 받느니라. 만약 인간세계에 태어나면 반드시 제왕가의 자식이거나 혹은 귀족 가문에 태어나며, 그 집안은 재난과 병고에 피해를 받지 않을 것이며, 3악도의 세계에도 떨어지지 않느니라. 온갖 행하는 것은 잘 조화되지 않음이 없으며, 가르침을 말하면 사람들이 모두 믿고 받느니라. 이 다라니를 송하여 10만 번을 채우면, 성문ㆍ연각ㆍ보살과 모든 부처님을 뵈옵고, 만약 무거운 죄가 있어 뵈올 수 없는 자가 다시 10만 번을 송하여 채우면 곧 경계 중에서 검은 밥을 토해낸다. 혹은 궁전에 오르거나 혹은 흰 눈 쌓인 산이나 나무에 오르는 것을 보거나 혹은 큰 연못의 소용돌이나 혹은 자재하게 날아오르는 것을 보며, 혹은 천녀가 묘하게 말하는 것을 보거나 혹은 큰 모임에서 묘법을 말씀하심을 듣거나, 혹은 머리카락을 자신이 자르는 것을 보거나, 혹은 낙(酪)을 마시며 흰 감로를 마시거나, 혹은 큰 바다를 건너거나 혹은 큰 강에 둥실둥실 떠 움직이거나, 혹은 사자좌에 오르는 것을 보거나, 혹은 보리수(菩提樹)를 보거나, 혹은 배에 올라타거나, 혹은 사문을 보거나, 혹은 횐 옷이나 누런 옷을 입고 옷으로 머리를 덮어 싸거나, 혹은 해와 달을 보거나, 혹은 동남과 동녀를 보거나, 혹은 자기 몸이 젖빛 나는 나무 위에 있거나, 혹은 꽃과 열매가 있는 나무에 오르거나, 혹은 검은 장부의 입 속에서 불을 내뿜어 무서워 도망치는 것을 보거나, 혹은 거친 말과 물소가 서로 싸우는 것을 보고 물러나 달아나거나, 혹은 스스로 우유죽을 먹는 것을 보거나, 혹은 향기로운 흰 꽃이 있는 것을 볼 것이니라. 만약 위와 같은 모습을 보는 자는 곧 죄가 사라짐을 알 것이니라.
혹은 5역죄(逆罪)가 있어 업이 무거운데도, 만약 위와 같은 모습을 보지 못한 자는 반드시 다시 70만 번을 송하여 채우면 반드시 앞과 같은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니라.
또 나는 지금 이 다라니의 공덕으로 지어지는 일을 말하리라.
만약 부처님상 앞이거나 혹은 탑 앞이거나 혹은 청정한 장소에서 구마이(瞿摩夷)를 땅에 바르고 사방 4주(肘)의 만다라를 만든다. 다시 꽃과 향과 깃발과 일산과 음식과 등불과 촛불로써 힘닿는 대로 장만하여 법에 의거하여 공양을 바친다. 만약 바라고자 할 때에는 먼저 반드시 염송하고 향수를 가지하여 8방과 위아래에 뿌려 결계(結界)한다. 결계하고 나서는 만다라의 네 모퉁이와 그 중앙에 모두 각각 한 개의 향수병을 두고 수행하는 이는 서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호궤(胡跪)4)하고 1,080번을 염송하면, 그 향수병이 문득 저절로 돌아가서 뜻대로 동쪽이나 서쪽이나 높고 낮은 데로 가느니라.
혹은 깨끗한 질그릇 발우로써 향을 태워 이를 쐬며, 안과 밖에 향을 바르고 향수나 좋고 향기나는 꽃을 가득 채우고 앞의 병을 두는 법에 의거하여 만다라 가운데에 두고 염송하면, 그 발우가 곧 돌아가는 것이 병과 다름이 없느니라.
만약 일체의 성취된 일과 성취되지 못한 일을 알고자 하면 곧 향을 사르어 발원하되 성자에게 인도하여 주셔서 의심을 풀어 줄 것을 아뢴다. 만약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곧 성취한 것이며, 왼쪽으로 돌면 바로 성취하지 못한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한 좋은 꽃을 가져다가 108번을 염송하고 한 동자를 보내어 깨끗이 씻기고 청정하게 해서 깨끗한 새 옷을 입히며, 향가루를 손에 바르고 손에 꽃을 받들고 얼굴을 가리게 한다. 다시 스스로 손에 다른 꽃을 가지고서 한 번 염송할 때마다 하나씩 동자의 몸에 던지면 동자는 곧 묻는 대로 좋고 나쁜 것을 모두 말할 것이며, 뜻대로 춤추고 웃으며 일어나고 앉으며 오고 가느니라.
혹은 정결한 거울에서 좋은 꽃을 가지고 108번을 염송하고 거울에 뿌리면 심부름꾼이 곧 거울 속에 나타나느니라.
또 앞의 법으로써 좋은 꽃을 취하여 거울에 뿌리면 곧 좋고 나쁜 모습이 거울 속에 저절로 나타나느니라. 혹은 주사(朱砂)5)나 향기나는 기름그 향기나는 기름은 소마나화(蘇摩那花)6)를 참기름에 섞은 것이다.을 엄지손톱에 바르고 108번을 염송하면 곧 천신과 스님과 보살과 부처님 등의 형상이 나타나느니라. 만약 마음에 두었던 3세의 의심나는 일을 낱낱이 물어 보면 모두 좋고 나쁜 것을 알며, 곧 엄지손가락의 손톱 위에 모두 저절로 나타나느니라.
만약 사람이 갑자기 병을 얻으면 석류(石榴) 가지와 흰 띠풀과 향기나는 풀 등으로써 염송하고 이를 털고 채찍질하면 곧 병이 낫느니라.
혹은 띠풀을 소(穌) 속에 넣고 일곱 번 염송하고 불 속에 던져 이를 태워서 병든 사람으로 하여금 쐬게 하면 곧 병이 낫느니라.
혹은 동녀를 데려다가 나무에 줄로 묶고 한 번 염송할 때마다 한 번 묶고, 이와 같이 스물한 번 묶도록 채우고, 병든 사람과 어린 남녀들의 목 위를 결박하면 몹쓸 마군과 귀신 등의 병이 모두 사라져 낫느니라.
혹은 흰 겨자를 소(穌) 속에 넣고 겨자를 조금만 취하여 한 번 염송하면서 한 번씩 불 속에 던지되 이와 같이 스물한 번 하면 병이 곧 낫느니라.
또한 구마이를 땅에 바르고 만다라를 만들어 재로써 땅에 그려 형상을 만들고, 석류 등의 막대기로 이를 치면, 그 귀신이 울면서 도망갈 것이며 다시는 감히 오지 않느니라. 혹은 구리를 섞은 쇠나 나무 등으로 금강저를 만들어 병든 사람 옆에 두고 염송하며 막대기로 치면 역시 도망가느니라.
또 한 가지 법이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귀신에 씌었으며, 또 몸이 먼 곳에 있어서 스스로 올 수 없으며, 또는 수행자가 스스로 갈 수 없거든, 반드시 버드나무 가지를 가져다가 108번을 염송하고 사람을 보내어 그에게 “너는 머물 것이냐, 갈 것이냐? 아무개에게 이 막대기를 주어 너를 치게 하려하니, 네가 만약 가지 않으면 너를 손해보게 하는 것은 의심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가지 않으면 때리겠다”고 말하게 하면 곧 가느니라.
또 한 가지 법이 있다. 만약 밤에 길을 다닐 때에 염송하는 것을 빠뜨리지 아니하면 도둑이 훔치지 못할 것이며, 호랑이나 나쁜 귀신 등이 두렵게 하거나 곤란하게 하지 않느니라. 마음에 새겨서 염송하고 호신(護身)하면 저들의 온갖 곤란함이 곧 모두 저절로 없어지며, 혹은 보리심을 발하거나, 혹은 두려움이 생기거나, 혹은 마음에 곤란함을 면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하면, 만약 붙잡혀 결박되더라도 곧 저절로 풀어지느니라.
만약 큰 강이나 큰 바다를 건너고자 하는데 물속에 사는 용과 자라 등이 무섭게 할 때 역시 앞의 법처럼 염송하면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느니라.
만일 뱀에게 물리면 곧 그에게 사람을 보내어 둘러싸게 하고 염송하는 사람이 여러 번 돌면 곧 낫느니라.
만일 부스럼과 뼈마디에 악창이 생기거나 종기를 앓을 때에는, 육향(陸香)을 피우고 깨끗한 흙과 물을 서로 섞어 스물한 번을 염송하고 그 위에 바르면 곧 낫느니라.
혹은 다시 국토에 홍수와 가뭄이 순조롭지 않고, 소나 말과 같은 가축들에게 돌림병과 독이 유행하면 반드시 유마와 대맥(大麥)과 갱미와 조와 콩과 소(穌)와 우유와 낙(酪)과 흰 유목(乳木)과 여러 가지 향들을 모두 한쪽 가에 놓고 향을 사르며, 일체 중생에게 재난이 없기를 발원하되 곧 손으로 인계를 결하여 호신하고 생각하되 앞의 모든 물건들을 가져다가 염송하고 가지하여 불 속에 던져 사르며, 이렇게 7일 동안 매일 세 때마다 법답게 행하고, 때마다 1,080번을 송하면 곧 원이 만족하게 되어 일체가 안락할 것이며, 모든 3보가 모두 다 보호하고 도와주실 것이며, 또한 일체의 큰 원을 성취할 수 있느니라.
만약 모든 큰 귀신을 항복시키고 싶어서 보기만 하면 곧 마음으로 항복하며, 사리(舍利) 7알을 가져다가 흰 유리그릇에 담고, 제호(醍醐)7) 반 되를 가져다가 또한 한 그릇에 담고, 백월 보름날 밤에 향대(香臺) 앞이나 솔도파탑(窣堵波塔) 앞에서 진흙으로써 1~2주(肘) 크기의 만다라를 만들어 그릇을 그 가운데에 두고, 좋은 꽃을 가져다 공양 바친 서쪽에 하나의 향로를 두고 안실향(安悉香)을 사루며, 빠르게 염송한다. 그 그릇 속의 사리는 반드시 빛을 내거나 혹은 사리를 더 생기게 하기도 한다. 이때 행자는 향로를 가지고 발원하고 예배하며 곧 사리를 모두 꺼내고 제호를 마신다. 그 사리를 하나의 유리병 속에 가득 담고 다섯 가지 색의 비단 주머니에 이를 넣고 머리에 이면, 곧 무량한 구지(俱胝)의 부처님들이 언제나 행자를 따라가며, 모든 귀신들이 자연히 항복할 것이다. 작법할 때에는 하루 낮과 하루 밤을 먹지 말아야 하느니라.
만약 부귀를 구하거든 갱미와 기름과 마(麻)를 소(穌)와 낙(酪) 속에 넣고 손으로 조금 쥐면서 발원하고 일곱 번을 염송하면서 불 속에 넣어 사르되 능력껏 7일 내지는 49일 동안 하면 곧 그 원대로 될 것이다.
만약 아들을 구하면 자작나무 껍질과 잎 위에 이 다라니를 쓰고 아울러 남자아이를 그려 자주빛으로 겉을 칠하고 1,080번을 염송하고 상투 속에 넣으면 곧 잉태할 것이다. 만약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받고 싶으면 그 앞 사람의 이름을 부르고 본 부의 진언을 1,080번 염송하면 곧 존경받게 될 것이다.
만약 남편이 부인을 좋아하지 않으면 깨끗한 병에 향수를 가득 채워 깨끗한 곳에 따로 두고 구마이(瞿摩夷)를 발라서 만다라를 만들어 108번을 염송한다. 이와 같이 일곱 개의 병을 모두 이 법대로 만들고 깨끗한 곳에 두고서 향과 꽃으로써 도량을 만들어 병을 가져다가 안에 있는 향수로 목욕하면 남편이 곧 사랑할 것이며, 또한 잉태하게 될 것이다. 부인이 남편을 좋아하지 않아도 역시 앞의 법대로 한다.
만약 사도로(捨覩嚧)8)를 항복시키려거든 하나의 겁파라(劫波羅:kapāla, 鉢)를 가져다가 향을 끓인 물로 깨끗하게 목욕하고 황단(黃丹)을 가져다가 소(穌)와 섞어 겁파라에 발라서 펼쳐지게 하고 하나의 작은 만다라에 발라서 그 가운데에 둔다. 그런 다음에 다섯 잔의 소등(穌燈)을 사각과 중앙에 펼쳐 놓는다. 앞의 나마(那摩)를 칭하면서 한 번 칭할 때마다 한 번 송하여 흰 겨자에 가지(加持)한다. 만다라 위에 한 잔의 우유를 놓고 이 겁파라에 공양하되 한 번 바꿀 적마다 이렇게 말한다.
‘나를 위해 저 질다(質多)를 가져 오라.’
그것이 곧 질다누거(質多耨佉)이다. 어미를 태우고자 하면 저 사도로가 곧 굴복한다. 실제로 완전히 다하게 하지 않으면 곧 여러 겁 동안 도를 장애하게 된다.
만약 총명하기를 바라거든 석창포(石菖浦)9)와 우황(牛黃)을 반 냥 정도 가져다가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소(酥)와 섞어 불상 앞에 만다라를 만들고 5천 번을 염송하고 이를 마시면 곧 총명하게 된다.
만약 일체의 귀신을 보고 싶으면 우황을 가져다 염송하고 연기와 불이 나게 하면서 곧 눈에 바르고 아울러 마시면 곧 보게 된다.
또 하나의 법이 있는데 큰 바닷가나 하천이나 물가 사이의 모래사장에서 탑의 형상으로 인(印)하고 모래사장에 인하며, 탑의 형상에 한 번 염송하며 하나의 탑을 인하여 이룬다. 이와 같이 해서 횟수가 60만 번을 채우면 곧 성자이신 관자재보살의 상을 볼 수 있다. 혹은 다라(多羅)보살10)나 금강장(金剛藏)보살11)을 보며, 그 마음에 원하는 것을 모두 만족하게 된다. 혹은 신선의 묘한 약을 받게 되며, 혹은 보리의 묘한 약을 받게 되며, 혹은 보리의 기별(記莂)을 받으며, 혹은 현전하여 와서 물어 보시는데 원하는 데에 따라서 보살 등의 지위를 모두 얻게 된다.
또 하나의 법이 있다. 보리수의 상(像)을 오른쪽으로 돌아서 길을 가면서 100만 번을 염송하면 곧 부처님과 보살과 아라한이 설법하는 것을 보게 되며, 보살을 따르고자 생각하면 곧 따르게 되고 구하는 것이 원대로 된다. 더 나아가 현재의 몸으로 대주선(大呪仙)이 되어 곧 시방의 정토에 갈 수 있어서 모든 부처님을 두루 섬기고 묘한 법을 듣는다.
또 하나의 법이 있는데, 만약 걸식할 때에 언제나 이 다라니를 지니면 악한 사람이나 사나운 개 등의 종류로부터 침해받지 않고 쉽게 걸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법이 있는데 탑 앞이나 혹은 불상 앞에서나 혹은 사리탑 앞에서 이 다라니를 30만 번 독송하여 지니고, 다시 백월 초하루에서 보름날까지 큰 공양을 베풀며 하루 낮과 하루 밤을 먹지 않고, 바르게 염송할 때에 금강장보살을 볼 수 있으며, 곧 이 사람을 자기의 궁전에 데려가게 된다.
또 하나의 법이 있다. 만약 왕난(王難)이 있어서 묶이고 감금되며 형틀과 자물쇠에 그 몸이 묶였을 때, 이 다라니를 송하면 곧 벗어나게 된다.
또 하나의 법이 있는데, 만약 법륜을 굴리는 탑 앞이나, 혹은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곳의 탑 앞이거나, 혹은 부처님께서 도리천(忉利天)으로부터 내려오신 보배계단의 탑 앞이나, 혹은 사리탑 앞이나, 이와 같은 등의 탑 앞에서 염송하며 오른쪽으로 돌기를 49일 동안 하면 곧 아발라시다(阿金夲羅是多)12)보살과 아리디(呵利底 : Hārītī, 鬼子母)보살을 보게 될 것이며, 그 원하는 바대로 모두 다 만족하게 된다. 만약 신선의 약을 필요로 하면 곧 문득 주실 것이며, 또한 법을 말씀하셔서 보리도를 보일 것이다. 만약 이 다라니를 송하는 자가 아직 도량에 이르지 못하였어도 모든 보살들이 그의 좋은 벗이 되어 줄 것이다. 또한 이 준제대명다라니(准提大明陁羅尼)는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이 말씀하신 것으로 일체 중생들과 끝없는 보리의 도량을 이익되게 하는 것이다. 만약 조금의 선근도 없는 박복한 중생이나, 선근의 그릇도 없는 자나, 보리분이 없는 자나 이와 같은 사람들이라도 만약 이 준제대명다라니를 듣거나, 만약 한 번이라도 독송하면 곧 보리분과 선근의 그릇의 싹이 틀 것이다. 하물며 언제나 게으름 없이 송하고 지니는 자이겠는가. 이 선근을 말미암아 속히 부처가 될 종자를 성취하고 무량한 공덕을 모두 다 성취할 것이다. 무량한 중생이 번뇌의 더러움을 모두 멀리 여의게 되며 반드시 위없는 보리를 성취할 것이다.

1.칠구지불모준제다라니염송법(七俱胝佛母准提陁羅尼 念誦法)

범본 경전에 의하면 10만의 게송이 있다. 나는 지금 간략하게 염송과 관행과 공양의 차례를 말하겠다. 만약 필추와 필추니와 오바색가와 오바사가가 보리심을 발하고 보살행을 닦으며 속히 생사를 벗어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해야 할 것이다.
삼마야관정도량(三摩耶灌頂道場)에 들어가 금계를 받아 지키며 견고하게 해서 물러서지 않고, 대승보살의 계행을 애락하고, 4위의(威儀)13)에서 4무량(無量)14)을 닦으며, 네 가지 큰 서원[弘願]을 내고 영원히 3도(途)를 여의며, 일체의 사업에서 마음을 산란하게 하지 않아야 반드시 이 비밀의 법문에 들어갈 수 있다. 무릇 염송하고 공양하는 법은 머물러 있는 곳에서 모두 반드시 청정하게 씻고 깨끗한 새 옷을 입으며, 도량을 장엄하고 능력껏 행해야 한다.
그 도량법은 우선 은밀하고 편리하며 뛰어난 장소를 선택한다. 동ㆍ서ㆍ남ㆍ북 각각의 크기는 4주가 되게 하여 4각형의 만다라(曼茶羅)를 만든다. 1주 정도 땅을 파서 뼛조각이나 돌멩이나 기왓장과 좋지 않은 흙과 털이나 재나 쌀겨나 가시나 벌레 등의 종류를 제거하고, 좋고 깨끗한 흙으로 북돋아 평평하게 채우고, 신선한 구마이와 좋은 흙을 가져다가 향탕과 서로 섞어서 땅에 바른다. 만약 누각에 있거나 혹은 배에 머물 때에는 법에 의거하여 진흙을 바른다. 만약 산 속에 있거나 좋고 깨끗한 집에 있으면 땅을 팔 필요는 없으며, 앞에서와 같이 발라서 장식한다. 곧 천개(天蓋)를 펼치고 사방에 깃발을 건다. 만약 본존 칠구지불모의 형상이 있으면 만다라 중앙에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게 안치한다. 만약 본존이 없으면 모든 불상과 사리 및 대승경전에 공양해도 된다. 백단향을 갈아 발라서 8각형의 만다라를 만드는데, 마치 보름달처럼 혹은 여덟 잎의 연꽃과 같게 한다. 곧 깨끗한 새 공양구로서 금이나 은이나 숙동(熟銅)이나 상거패(商佉貝)나 옥석(玉石)이나 자목(紫木) 등의 그릇에 온갖 음식과 좋은 향과 꽃과 등명(燈明)과 알가향수(遏伽香水)15)를 채우고, 능력껏 가지고 있는 것을 펼쳐 놓고 공양한다.
비구와 비구니는 먼저 계행을 지니고 처음으로 도량에 들어가면 다시 반드시 참회하고 또 스스로 다짐하며 발원하고 수계해야 한다. 만약 재가 보살이면 처음으로 들어갈 때에 역시 스스로 다짐하고 능력껏 발원하며 3귀의계와 5계를 받는다. 혹은 언제나 8계(戒)를 지니거나, 만약 언제나 세 때에 염송하면 곧 도량의 서남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지심으로 합장하고 5체투지하여 경건하게 시방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 예경하되, 경건하고 정성스레 운심하여 허공계를 두루 관상한다. 그리고 곧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지심으로 합장하며,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죄를 참회하고, 지금 마주 보는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 앞에서 ‘제자 아무개는 드러내어 참회하오며, 더 나아가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3세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복과 지혜가 원만하시며 갖가지 공덕을 갖추심을 제가 지금 따라 기뻐하나이다’라고 한다.
곧 결가부좌나 반가부좌를 하고 마음을 고요히 하여 바르게 앉아 일체의 망상을 없앤다.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무수하게 삶과 죽음을 반복하면서 6취(趣)에 윤회하는 6도의 중생들을 관하고, 모두 보리심을 발하여 보살행을 행하되 속히 벗어나게 되기를 바라면서 곧 도향을 바른 손으로써 수계(手契)를 결한다. 계를 결할 때에 옷으로 손을 덮어서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게 한다. 먼저 3부삼매야계(部三昧耶契)16)를 결하고 다음에 다른 계를 결한다.

1) 불부삼마야계(佛部三麽耶契)
그 계의 모습은 복(福)ㆍ지(智)17)의 두 손을 우러러 받들고 단(檀)ㆍ계(戒)ㆍ인욕(忍辱)ㆍ반야(般若)ㆍ방편(方便)ㆍ원(願)18) 등을 조금 구부려 서로 맞댄다. 진(進)과 역(力)으로 인(忍)과 원(願)의 윗마디를 누르고 선(禪)과 지(智)를 진(進)과 역(力)19)의 옆에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妙言)을 송한다.

옴다타아도바바 야사바하20)
唵怛他孽覩嚩皤耶莎嚩訶세 번을 송하고 이 계를 정수리 위에서 흩는다. 연화부(蓮花部)와 금강부(金剛部)도 모두 이에 준한다.

2) 연화부삼마야계(蓮華部三麽耶契)
두 복(福)ㆍ지(智)를 서로 합하고 계ㆍ인ㆍ진ㆍ방편ㆍ원ㆍ역을 각각 풀어 열고 조금 구부려서 6바라밀(波羅蜜)21)을 연꽃처럼 연다. 단ㆍ반야ㆍ선ㆍ지는 손가락 끝을 서로 붙이면서 조금 구부리면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 바다모바바 야사바하22)
唵 鉢頭牟嚩皤耶莎嚩訶세 번 송한다.
3) 금강부삼마야계(金剛部三麽耶契)
복(福)으로 지(智)를 덮고 받들며 , 선ㆍ반야ㆍ단ㆍ지 등을 서로 교차하면 곧 이루어진다.
곧 묘언을 송한다.

옴바아로바바 야사바하23)
唵嚩折嚕婆皤耶莎嚩訶세 번 송한다.

4) 준제불모근본신계(准提佛母根本身契)
그 계의 모습은 먼저 두 손의 새끼손가락과 두 약손가락을 서로 교차시켜 손바닥에 넣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수직으로 세워서 손가락 끝을 서로 붙인다. 두 검지손가락의 끝을 두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 옆에 붙이고 두 엄지손가락은 각각 두 검지손가락의 옆에 붙이면 이루어진다.
묘언인 근본다라니를 송한다.일곱 번을 송하고 계를 정수리 위에서 풀며, 이하 모든 계를 결하여 이루고서 휘둘러 인을 닿게 하고 나서 아울러 반드시 정수리 위에서 이를 풀어야 한다.

5) 벽제일체천마악귀신등계(辟除一切天魔廳惡鬼神等契)
그 계는 우선 오른손 가운뎃손가락ㆍ약손가락ㆍ새끼손가락ㆍ엄지손가락으로 왼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쥐고서 다음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왼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 세 손가락의 손톱 위를 눌러서 권을 만들고, 두 검지손가락의 끝을 서로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구 로다나 훔자24)
唵俱嚕憚那𤙖惹한 번을 송한다. 이 계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몸을 한 바퀴 감는다. 이렇게 세 번 하는 것이다.

6) 결지계궐계(結地界橛契)
그 계의 모습은 왼손과 오른손의 두 가운뎃손가락과 두 약손가락을 서로 교차시켜 손바닥 안에 넣고 오른쪽이 왼쪽을 누른다. 왼손의 검지손가락을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하며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은 수직으로 세운다. 두 엄지손가락과 두 새끼손가락을 앞쪽으로 서로 붙게 하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준니니기라야사바하25)
唵准你泥枳邏耶莎嚩訶한 번을 송한다. 이 인계의 엄지손가락을 땅에 대고 한 번 탁자의 기둥처럼 돌리는 모양으로 세 번 한 다음에 곧 쉰다.

7) 결장계계(結牆界契)
그 계는 앞의 궐계(橛契)에 준하되 오른손 검지손가락을 갈고리처럼 구부리고 왼손 검지손가락을 수직으로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준니니바라가라야사바하26)
唵准你泥金夲囉迦邏耶莎嚩訶세 번 송하고 이 계를 오른쪽으로 세 번 돌린다.

8) 결망계(結綱契)
그 계는 장계 (牆契)에 준하되 열어서 받들어 붙인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왼손 검지손가락 끝을 잡고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 검지손가락 끝을 잡으며 새끼손가락을 장계처럼 버티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준니반자라사바하27)
唵准你半惹邏莎嚩訶세 번 송하고 인계로 해를 따라 세 번 휘두르는 것이다.
9) 결외화원대계계(結外火院大界契)
그 계는 왼손으로 비밀하게 오른손 등을 가리고 서로 겹친다. 수직으로 두 엄지손가락을 세우고 서로 2치 정도 띄우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아삼마기니훔사바하28)
唵阿三麽口祗你𤙖莎嚩訶세 번을 송하고 인계로 세 번 돌리는 것이다.

10) 결거로계(結車輅契)
그 계의 모습은 먼저 두 손을 안으로 향해서 서로 교차시키는데 오른쪽이 왼쪽을 누른다. 곧 받들어서 손바닥을 벌리고 두 검지손가락을 수직으로 펴서 손가락 끝을 서로 맞댄다. 두 엄지손가락으로 두 가운뎃손가락의 끝을 튀겨서 오가게 하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도로도로사바하29)
唵覩嚧覩嚧莎嚩訶이 계를 결하였으면 마음속으로 이렇게 관상한다. 아가니스타천궁(阿迦尼瑟吒天宮) 가운데 비로자나여래가 계시고 10지의 보살들이 빙 둘러싸서 모였으며, 그 모임에서 준제불모성자(准提佛母聖者)를 청한다. 그 성자는 7보로 장엄한 수레를 타고 계시는데, 그 수레 위에는 흰색 연화좌가 있으며 그 자리 위에 위와 같이 그려진 형상이 있다. 마음속으로 눈앞에 있는 듯이 관상하고 곧 묘언을 세 번 송한다.

11) 결영청성자계(結迎請聖者契)
앞의 첫 번째 근본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을 오가게 해서 이를 세 번 오라고 손짓하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뎨이혜바가바디사바하30)
唵折隷主隷准提噎醯薄伽嚩底莎嚩訶이 계를 결하고 나면 성자는 보배 수레 위에서 도량의 흰 연화의 자리 위로 내려온다. 곧 묘언을 세 번 송한다.

12) 결연화좌계(結蓮花座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을 몸 쪽으로 향해 벌리고 이를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가마라사바하31)
唵迦麽邏莎嚩訶이 계를 결하고 나서 마음속으로 도량 가운데 갖가지 보배망으로 된 사자좌 위에 흰 연꽃 피어 있는 데에 성자를 안치하였다고 생각하고 곧 묘언을 세 번 송한다.

13) 결알가계(結遏迦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검지손가락의 밑둥 첫째 마디 옆에 대고 내리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제아감바가바뎨바라디차사바하32)
唵折隷主隷准提遏紺薄伽嚩帝金夲囉底搓莎嚩訶

14) 결세욕계(結洗浴契)
앞의 알가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두 가운뎃손가락 중간 마디 옆에 대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사바하33)
唵折莎嚩訶

15) 결도향계(結塗香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쪽 검지손가락 아랫마디에 넓게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례사바하34)
唵隷莎嚩訶

16) 결화만계(結花鬘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두 엄지손가락으로 왼손 검지손가락 아랫마디에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주사바하35)
唵主莎嚩訶

17) 결소향계(結燒香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오른쪽 검지손가락을 구부려서 두 엄지손가락의 끝을 잡으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례사바하36)
唵隷莎嚩訶

18) 결공양음식계(結供養飮食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왼손의 검지손가락으로 두 엄지손가락 끝을 잡으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준사바하37)
唵准莎嚩訶

19) 결등계(結燈契)
앞의 근본계에 준하되 두 검지손가락으로 각기 두 엄지손가락 끝을 잡으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옴뎨사바하38)
唵提莎嚩訶이상 도향계 등은 각각 계로 물건 위에 대고 공양한다.

20) 결포자계(結布字契)
이 계의 모습은 두 가운뎃손가락과 두 약손가락을 안으로 향하게 서로 깍지 끼고, 두 엄지손가락과 두 검지손가락과 두 새끼손가락을 모두 수직으로 세우고 끝을 서로 붙이면 곧 이루어진다.
이 수계(手契)를 결하여 이루었으면 곧 자신이 마치 석가여래와 같이 서른두 가지 상호와 여든 가지 종호를 갖추었으며, 몸에서 좋은 자마금색(紫麽金色)의 빛이 원만하다고 관상한다. 관상하고 나서 수계를 머리 위에 대고 옴(唵:oṃ)자를 포자하며, 눈에는 자(折:jaḥ)자를 포자한다. 낱낱이 글자의 차례에 따라서 양 발에 이르기까지 계를 대고 이를 포자한다.

2. 다라니자상포어신법(陁羅尼字想布於身法)
옴(唵)자를 머리 위에 둔다고 관상한다.
그 색은 달처럼 희어서
무량한 빛을 뿜어내며
일체의 장애를 없애니
곧 불보살께서 이 사람의 정수리 위를
쓰다듬는 것과 같다.

자(折)자를 양 눈에 두니
그 색은 해와 달과 같아서
모든 어리석음을 비추어
아주 밝은 지혜를 드러내네.

례(隸)자를 목 위에 두니
그 색은 감유리(紺琉璃)와 같아
능히 모든 색상을 드러내고
점차로 여래의 지혜를 갖춘다네.

주(主)자를 심장에 둔다고 관상하는데
그 색은 달빛처럼 흰 것이
마치 마음이 청정함과 같아서
속히 보리의 길에 이른다네.

례(隸)자를 양 어깨에 두는데
그 색은 금색처럼 노랗다네.
이 색상을 관함으로 말미암아
정진의 갑옷을 입을 수 있다네.

준(准)자를 배꼽에 둔다고 관상하는데
그 색은 묘한 황백색으로
속히 도량에 오르게 하며
보리에서 물러서지 않게 하네.

뎨(提)자를 양 넓적다리에 두는데
그 색은 엷은 황색과 같으며
속히 보리도에 올라
금강좌(金剛座)에 앉게 되네.

사바(娑嚩)자를 양 정강이에 두는데
그 색은 적황색이며
언제나 이 글자를 관상할 수 있다면
속히 법륜을 굴리게 된다네.

하(訶)자를 양 발에 두는데
그 색은 마치 보름달과 같아
행자가 이렇게 관상하면
속히 원적(圓寂)에 이를 수 있네.

이와 같이 포자하여 색을 관상하면
문득 준제(准提)의 뛰어난 법문을 성취하느니라.
또한 본존의 진실한 모습이라 이름하나니
모든 죄를 멸하고 길상을 얻으리라.

마치 금강의 견고한 덩어리와 같으니
이것을 준제의 매우 뛰어난 법이라 하네.
만약 언제나 이와 같이 수행하는 이라면
속히 실지(悉地)를 얻는다는 것을 알아야 하리라.

21) 제2근본계(第二根本契)
이 계의 모습은 두 손을 안으로 향해서 서로 깍지 끼고 두 검지손가락과 두 엄지손가락을 수직으로 세우면 곧 이루어진다.
묘언을 송한다.

나모사다남 삼먁삼몯다 구치남 다댜 타 옴 자례 주례 준
南慕䬃哆南去一三藐三勃陁俱胝南怛姪停也反折隷去音下同五主隷
제 사바 하39)
莎嚩二合일곱 번 송하고 이 계를 정수리 위에서 푼다.

22) 결봉수주계(結捧數珠契)
이 계의 모습은 먼저 수주(數珠)를 가져다가 두 손바닥 안에 두고 곧 심장에 대고 합장하며 앞의 근본다라니를 세 번 송한다. 염주를 정수리에 이고 다시 청정한 염주를 쥐고 수주계(數珠契)를 결한다.

23) 파수주계(把數珠契)
이 계의 모습은 두 손의 두 약손가락과 두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염주를 붙잡고 두 손을 서로 한 마디 정도 띄우고 나머지 손가락을 풀어서 조금 구부리면 곧 이루어진다.
청정한 수주(數珠)의 묘언을 송한다.

옴미로자나아마라사바 하40)
唵微嚧遮那阿麽羅莎嚩二合세 번 송한다.

정수주(淨數珠)를 마치고 자심으로 칠구지불모의 입 속에서 7구지의 다라니문자가 나오는데 낱날 글자마다 5색의 빛을 내며 행자의 입 안으로 들어간다고 관상한다. 자심의 달 중앙에 두고 오른쪽으로 돌려서 포자하고 곧 본존다라니를 한 번 송한다. 오른손 약손가락으로 염주알 하나를 쥐고서 굴리는데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게 시작하라. 큰 소리를 지르지는 않더라도 반드시 분명하게 글자를 불러서 스스로 들리게 하라. 관하는 본존과 몸에 포자하고, 염송의 횟수를 기억하며, 한 생각 가운데 일시에 관상하되, 빠뜨리거나 마음이 산란하게 해서는 안 된다. 관상하는 것이 피로해지거든 능력껏 염송하되 혹은 1천이나 2천 내지 3천이나 4천이나 5천 번을 하며, 언제나 하나의 숫자를 정하여 인연이 있는 일처럼 하라. 또한 횟수를 줄여서 108번 이하가 되게 하지 말라. 이것을 성염송(聲念誦)41)이라고 이름한다. 만약 해탈을 구하면 빨리 생사를 벗어날 것이다. 이 삼마지의 유가관행을 횟수로 기록함이 없이 행하려면 염송하는 자는 곧 자심에 하나의 만월을 관상한다. 담연하여 청정하며 안팎으로 분명하게 하고, 옴(唵)자를 만월의 중심에 두고 자례주례준뎨사바하(折隷主隷准提莎嚩訶)의 글자를 앞에서 오른쪽으로 돌아서 차례대로 빙 두르게 하고 낱낱의 글자마다 뜻을 자세히 관한다. 더불어 마음이 상응하여 차별이 없게 한다.
삼마지에서 관념하는 펼쳐진 글자의 뜻을 설명하겠다.
옴자문(唵字門)이란 생멸법[流注]이 일어나지도 멸하지도 않는다는 뜻이요, 또 일체법에서 최고 수승하다는 뜻이다.
자(折)자문이란 일체법에서 행함이 없다는 뜻이요, 례(隸)자문이란 일체법에서 모습이 없다는 뜻이며, 주(主)자문이란 일체법에서 일어나 머무는 것이 없다는 뜻이요, 례(隸)자문이란 일체법에서 좋아할 것이 없다는 뜻이며, 준(准)자문이란 일체법에서 평등하여 깨달을 것이 없다는 것이요, 뎨(提)자문이란 일체법에서 취하고 버릴 것이 없다는 뜻이며, 사바(娑嚩)자문이란 일체법이 평등하다고 말할 것도 없다는 뜻이요, 하(訶)자문이란 일체법이 무인(無因)으로 적정하여 열반에 머물 것도 없다는 뜻이다.
이렇게 글자의 뜻을 말하고 문자를 세웠지만 이 모든 문자에는 뜻이 없으며, 이미 문자조차도 없느니라. 반드시 낱낱의 뜻을 자세히 관하여 두루하게 하고 다시 횟수를 기록함이 없이 시작해서 끊어지지 않게 하라. 끊어지지 않음이란 흘러가는 것으로 생함이 없고 사라짐도 없으며 가장 뛰어난 뜻이니라. 생함이 없고 사라짐도 없으며 가장 뛰어난 뜻에 말미암아 행함이 없느니라. 행함이 없기에 모습이 없느니라. 모습이 없기에 일어나 머묾이 없느니라. 일어나 머묾이 없기에 평등하게 깨달을 것이 없으며, 평등하게 깨달을 것이 없기에 취하고 버릴 것이 없으며, 취하고 버릴 것이 없기에 평등하다고 말할 것도 없으며, 평등하다고 말할 것도 없기에 무인(無因)으로 적정하여 열반에 머물 것도 없으며, 무인으로 적정하여 열반에 머물 것도 없기에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어서 가장 뛰어나며 끊어짐이 없다. 이와 같이 두루하게 하고서 다시 시작한다. 이것을 삼마지염송(三摩地念誦)이라고 한다.

3. 준제구원관상법(准提求願觀想法)

만약 무분별을 구하고자 하면 반드시 무분별을 무기념(無記念)으로 관하여야 한다. 만약 무상(無相)과 무색(無色)을 구하려면 문자에 대해서 문자가 없다는 생각으로 관하여야 하고, 불이법문(不二法門)을 구하려면 반드시 양 팔을 관하여야 하며, 4무량(無量)을 구하거든 네 팔을 관하여야 한다. 만약 여섯 가지 신통을 구하면 반드시 여섯 개의 활을 관하여야 하고, 8성도(聖道)를 구하려면 반드시 여덟 개의 팔을 관하여야 한다. 만약 10바라밀(波羅蜜)과 원만한 10지(地)를 구하려면 반드시 열 개의 팔을 관하여야 하고, 여래의 보변광지(普遍廣地)를 구하려면 열두 개의 팔을 관하여야 한다. 만약 18불공법(不共法)을 구하려면 열여덟 개의 팔을 관하는데 곧 화상법(晝像法)을 관하는 것과 같아야 하고, 만약 32상(相)을 구하려면 서른두 개의 팔을 관해야 하며, 8만4천 법문을 구하거든 여든네 개의 팔을 관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관념함으로 해서 일체 여래의 삼마지문과 아주 깊고 넓어 생각하기 어려운 경지에 들어가게 된다. 이것이 정념처(正念處)이고 바른 진여이며 바른 해탈이다.
염송하는 것과 관행을 마치고 도량을 나오려면 다시 꼭 앞의 차례에 의거해서 다시 소향(燒香)과 등명(燈明)과 음식 등의 수계를 결하고, 공양하며 참회하고 수희하며 발원해야 한다. 곧 앞의 첫 번째 근본계를 결하고 근본다라니를 일곱 번 송하며 정수리 위에서 이를 뿌린다. 다시 앞의 거로계(車輅契)를 결하고 두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향하게 하며 세 번 가운뎃손가락의 끝을 튀기며, 묘연을 송한다.

옴도로도로사바하42)
唵覩嚧覩嚧莎嚩訶세 번 송한다.

다시 앞의 영청계(迎請契)를 결하고 두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향하게 해서 세 번 벌리면 곧 성자를 본궁으로 환송하게 할 수 있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제아차아차바가바디사바바남보나라아마나야사바하43)
唵折隷主隷准提孽車孽車婆迦嚩底莎嚩皤喃布娜囉哦麽那耶莎嚩訶
세 번 송한다.

또 앞의 외화원대계계(外火院大界契)를 결하고 아삼마야아니(阿三麽耶入你)의 묘언을 송하고 왼쪽으로 세 번 돌리면 곧 이루어진다.
또 3부삼마야계(部三麽耶契)를 결하고 각각 묘언을 한 번씩 송하고 나서 도량을 나와 뜻대로 경행(經行)하며 『대반야경』이나 혹은 『화엄경』, 혹은 『무변문다라니경』, 혹은 『법화경』ㆍ『능가경』ㆍ『열반경』 등 대승경전과 논서 등을 독송하고, 사유하며 강설한다. 혹은 7구지불상탑인(俱胝佛像塔印)으로 향기로운 진흙에 인하고 모래나 종이에 마음대로 이를 인하면 많거나 적거나 간에 염송함에 따라 공덕이 있을 것이며, 경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경계를 낱낱이 분명하게 차례대로 알게 될 것이다. 선저가(扇底迦) 등의 갖가지 방법을 행하는데 혹은 자신을 위해서거나 혹은 다른 사람을 위해서거나 곧 법에 의거하여 염송하라.

4. 선저가법(扇底迦法)44)

만약 재앙 없애기를 구하여 일체의 귀신을 없애고, 총명하며 장수하기를 바라며, 해탈을 구하려고 하면, 곧 도량 가운데에서 얼굴을 북쪽으로 향하여 무릎만 꿇고 정강이를 교차시켜 앉는다. 의복ㆍ음식ㆍ향ㆍ꽃ㆍ등불 등은 흰 색을 사용하며, 달의 초하루에서부터 8일까지 날마다 세 때에 염송하고 호마(護摩)45) 등의 법을 행한다. 만약 염송할 때에는 먼저 근본다라니를 스물한 번 송하고 난 다음에 다만 옴(唵)자를 송하라.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제여피모갑제재난사바하46)
唵折隷主隷准提與彼厶甲除灾難莎嚩訶

5. 포슬치가법(布瑟置迦法)47)

만약 증장(增長)을 구하여 다섯 가지 신통을 굴리거나 갖가지 보배창고나, 포사륜(布奢輪)ㆍ검(劍)ㆍ현병(賢甁)ㆍ여의보(如意寶)ㆍ안선나(安善那)ㆍ우리가(虞里迦) 거울ㆍ도끼ㆍ밧줄ㆍ삼차(三叉) 등 일체의 재보와 약초 등을 구하는 법을 성취하려면, 몸에 누런 옷을 입고 얼굴을 동쪽으로 향해서 결가부좌한다. 공양하는 향ㆍ꽃ㆍ음식ㆍ과자ㆍ등촉 등도 황색을 사용하며 달의 여드레부터 보름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세 때에 염송하고 호마 등의 법을 행한다. 염송하는 것은 앞에서와 같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제여피모갑소구여의사바하48)
唵折隷主隷准提與彼厶甲所求如意莎嚩訶

6. 벌시가라나법(伐施迦囉拏法)49)

만약 일체의 천과 용과 귀신과 인비인 등을 불러들이려고 이 법을 행하는 자는, 몸에 붉은 옷을 입고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며 현좌(賢坐)한다. 향ㆍ꽃ㆍ음식ㆍ과자ㆍ등불 등도 모두 붉은 색을 사용하며, 16일부터 23일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세 때에 염송하고 호마 등의 법을 행한다.
묘언을 송한다.

옴자례주례준제위피섭소모신성성아원사바하50)
唵折隷主隷准提爲彼攝召某神成就我願莎嚩訶

7. 아비차로가법(阿毗遮嚕迦法)51)

만약 악한 귀신이나, 3보와 사람과 천에 손해를 주는 모든 자와 죄업의 장애가 무거운 중생으로 조복하기 어려운 자를 항복시키고 보리심을 내어 온갖 선업을 닦게 하려거든 자비심을 일으키고 이 법을 행하여야 한다. 몸에 푸른 옷을 입고 얼굴을 남쪽으로 향하여 준거좌(蹲踞坐)하되 왼쪽 다리가 오른쪽 다리 위로 올라가게 한다. 향과 꽃을 사용하지 말며 음식과 과일과 땅 등은 모두 청흑색을 사용하고 23일부터 그믐까지 매일 세 때에 염송하며 호마 등의 법을 행하면서 묘언으로 송한다.

훔자례주례준제훔바닥52)
吽折隷主隷准提吽發吒

작법을 마치고는 바로 항상 하는 것처럼 염송하여라.

8. 칠구지불모준제화상법(俱胝佛母准提晝像法)

자르지 않은 깨끗하고 횐 무명을 가져다가 사람의 털을 제거하고 그림 그리는 사람은 8계재를 받은 뒤에, 색에 아교를 섞어 사용하지 말고 새 그릇에 채색을 담아서 이를 그려야 한다. 그 상은 황백색으로 그리는데 갖가지로 그 몸을 장엄한다. 허리 아래에는 흰 옷을 두르는데 옷에는 꽃무늬가 있다. 몸에는 가볍고 넓은 소매를 가진 천상의 옷을 입으며, 실로 땋은 띠로 허리를 묶는데 처음 뽑은 명주로 몸을 덮는다. 그 손목에는 흰 소라로 팔찌를 하고 그 팔 위의 팔찌는 7보로 장엄한다. 낱낱의 손에 반지를 끼는데, 모두 열여덟 개의 팔이 있으며, 얼굴에는 세 개의 눈이 있다. 위의 두 손으로는 설법상(說法相:인계)53)을 보이며, 오른쪽의 두 번째 손으로는 시무외인을 한다. 세 번째 손에는 검을 들고, 네 번째 손에는 수주(數珠)를 쥔다. 다섯 번째 손에는 미야포라가(微若布羅迦)의 열매를 쥐고, 여섯 번째 손으로는 도끼를 잡는다. 일곱 번째 손에는 갈고리를 들며, 여덟 번째 손으로는 금강저(金剛杵:跋折羅)를 잡고, 아홉 번째 손에는 보만(寶鬘)을 쥐게 한다.
왼쪽의 두 번째 손에는 여의보당(如意寶幢)을 잡고, 세 번째 손에는 연화를 쥐며, 네 번째 손으로 조관(操灌)을 들고, 다섯 번째 손으로 밧줄을 잡는다. 여섯 번째 손에 윤(輪)을 들고, 일곱 번째 손에는 소라 나팔을 잡으며, 여덟 번째 손에는 현병(賢甁)을 쥐며, 아홉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경』을 넣은 상자를 든다.
보살의 아래에는 연못을 그리고, 연못 가운데에 연화를 그리되 난타(難陁)와 발난타(拔難陁)54) 두 용왕이 함께 연화의 줄기를 떠받치게 한다. 연화 위에는 준제보살을 안치하고, 그 상을 둥글게 둘러서 밝게 빛나는 불꽃을 그린다. 그 상은 연민하는 눈으로 행자가 있는 아랫자리를 내려다보게 하며, 행자의 손에는 향로를 잡게 한다. 얼굴은 보살을 향해 위로 올려다보고 있으며, 보살의 위로는 두 정거천(淨居天)을 그린다.
상을 그리는 법은 이상과 같다.
011_1245_a_01L佛說七俱胝佛母准提大明陁羅尼經唐天竺三藏金剛智譯如是我聞一時薄伽梵在名稱大城祇樹給孤獨園爾時世尊思惟觀察愍念未來諸衆生故說過去七俱胝准提如來等佛母准提陁羅尼乃至我今同說卽說大明曰娜麽颯哆南去音下同一三藐三勃陁去音去音上音怛姪停也反折隸主隸准提莎嚩二合若有苾芻苾芻尼鄔波索迦鄔波斯受持讀誦此陁羅尼滿九十萬遍無量劫來五無閒等一切諸罪悉滅無餘所在生處皆得値遇諸佛菩薩所有資具隨意充足無量百生常得出家若是在家菩薩修持戒行堅固不退速得成就無上菩提恒生天上常爲諸天人所愛敬亦常守護若下生人閒當爲帝王家子或貴族家生其家無有災撗病苦之所惱害不墮三惡道趣諸有所作無不諧偶所出言教人皆信受誦此陁羅尼滿十萬遍者得見聲聞緣覺菩薩若有重不得見者更誦滿十萬遍卽境界中吐出黑飯或見昇宮殿或登白山及上樹或見大池旋水或騰空自在見天女與妙言辭或見大集會中說妙法或見拔髮自身剃頭或喫酪飮白甘露或渡大海或浮大河昇師子座或見菩提樹或上舩或見沙門或著白衣黃衣以衣籠覆頭見日月或見童男女或見自身上有乳樹或昇花果樹或見黑丈夫口中吐出火焰怖走而去或見惡馬水牛狀似相鬪退失而走或見自食乳粥或見有香氣白花若見如上相者卽知罪若有五逆罪業重不得見如上相應當更誦滿七十萬遍決定得見如前相貌復次我今說此陁羅尼功能所作之事若於佛像前或於塔前若淸淨處以瞿摩夷塗地而作四肘方曼茶羅復以花香幡蓋飮食燈明燭火隨力所辦依法供養若欲求願先須念誦加持香水散於八方上下結界旣結界已於曼茶羅四角及其中央皆各置一香水之甁行者於西向東方胡跪念誦一千八十遍其香水甁卽便自轉隨意東西任以高下或以淨瓦鉢燒香熏之內外塗香滿香水幷好香花置曼茶羅中依前甁法而作念誦其鉢則轉與甁無異若欲得知一切成就不成就事卽燒香發願啓白聖者願決疑心若右轉知成就左卽不成就又取好花念誦一百八遍遣一童子浴淸淨著新淨衣以香末塗手捧花掩面復以自手更取別花念誦一遍一擲童子身上童子卽悶善惡皆說隨意舞笑起坐來去或於淨潔鏡面以好花念誦一百八散置鏡上使者卽現鏡中復如前法更取好花散鏡面上卽有善惡相自現鏡中或以朱砂或以香油塗大母指甲其香油以蘇摩那花浸胡麻油中是念誦一八遍卽現天神及僧菩薩佛等形像若心有所疑三世中事一一請問皆知善不善卽大母指上皆自現若人卒得惡病以石榴枝白茅香草念誦鞭拂之卽愈或以茅草置酥中念誦七遍擲著火中燒之令煙熏病人卽除愈或取童女所搓之線念誦一遍作一結如是滿二十一結與病人小男女等項上繫著惡魔鬼魅等病皆得除差或以白芥子置酥中取芥子少許誦一遍一擲火中如是二十一度病卽除愈又以瞿摩夷塗地作曼茶羅以炭畫地作彼形石榴等杖鞭之彼鬼啼泣求自走去不敢更來或以銅賓鐵木作金剛杵置病人邊念誦以杖打亦卽奔走復有一法若有人被鬼所著復身在遠處不能自來或行者不能自去應取楊枝念誦一百八遍遣人將去云汝住汝去某乙遣將此杖鞭汝汝若不去損汝無疑若不去鞭之卽去復有一法若在路夜行念誦不闕無有賊盜及虎狼惡魅鬼等怖畏難持心念誦幷護身彼等諸難卽皆自滅或發菩提心或生怖畏或有言心求免離若被執縛卽自解脫若欲渡江大海水中所有龍黿等念誦亦如前法卽得不怖或被蛇咬卽遣彼人圍繞念誦人數帀卽愈或患丁瘡癰節癬漏取熏陸香淨土水相和念誦二十一遍塗上卽愈或復國土水旱不調畜等疫毒流行應以油麻大麥粳米酥蜜乳酪白乳木諸雜香等皆置一邊香發願爲一切衆生除去災難卽作手契護身想念取前諸物念誦加持擲著火中燒之如是七日日別三時作法時別一千八十遍卽得滿願切安樂一切三寶悉皆護助亦能成就一切大願若欲降伏諸大鬼神卽心伏取舍利骨七粒於白琉璃椀中盛著取醍醐半升亦盛著椀中白月十五日夜香臺前及窣堵波塔泥一二肘方曼茶羅置椀於中好花供養西面著一香鑪燒安悉香馺馺念誦其椀中舍利當放光或生出舍利行者持香鑪發願禮拜出取舍利盡飮取醍醐其舍利盛一琉璃甁中以五色綵囊盛之頭戴無量俱胝佛常逐行者諸鬼神等然降伏作法時一日一夜不食若求富饒以粳米油麻置酥酪中把少許發願念誦七遍擲著火中燒隨力七日乃至七七日卽如其願若求子於樺皮葉上書此陁羅尼幷畫童子以紫綵裹之念誦一千八十遍安著髻中卽孕若欲他敬念者稱彼前人名字念誦本部一千八十遍卽得敬念若夫不樂婦取淨甁盛滿香水別置淨處以瞿摩夷塗作曼茶羅念誦一百八遍如是七甁皆作此法於淨處以香花爲道場取甁內香水洗浴卽愛樂亦得有孕婦不樂夫亦如前法若欲降伏捨睹嚧取一劫波羅香湯淨洗浴取黃丹和酥塗著劫波羅上使遍塗一小曼茶羅置中然五盞酥布於四角幷中心稱前那摩念誦一稱一誦加持白芥子曼茶羅上著一盞乳供養此劫波羅一易云爲我取彼質多來彼卽質多耨佉欲母馱彼捨睹嚧卽伏實莫令盡盡卽累劫障道若欲求聰明取石菖蒲牛黃各半兩擣作末以酥和於佛前作曼茶羅誦五千遍服之卽得聰明若欲得見一切鬼神取牛黃念誦令煙火出卽塗目幷服之卽見復有一法於大海邊或河渚閒砂潬之上以塔形像印印砂潬上爲塔形念誦一遍印成一塔如是數滿六十萬遍卽得睹見聖者觀自在菩薩之像或見多羅菩薩金剛藏菩薩其心願皆得滿足或見授與仙神妙或見授與菩提之記或現前問來隨乞願皆得菩薩等位復有一法右繞菩提樹像行道念誦滿一百萬遍卽見佛菩薩羅漢爲其說法意欲隨菩薩卽得隨從所求如願乃至現身成大呪仙卽得往詣十方淨土歷事諸佛得聞妙法復有一若乞食時常持此陁羅尼不爲惡惡狗等類之所侵害乞食易得復有一法若在塔前或佛像前或舍利塔前誦持此陁羅尼三十萬遍於白月一日至十五日設大供養一日一夜不食正念誦時得見金剛藏菩卽將是人往自宮中復有一法若有王難被繫閉枷鎖禁其身者誦此陁羅尼卽得解脫復有一法若於轉法輪塔前或佛生處塔前或佛從忉利天下寶階塔前或舍利塔前於如是等諸塔之前誦右繞滿七七日卽見阿鉢羅是多菩薩及呵利底菩薩隨其所願皆悉滿足若須仙藥卽便授與復爲說法示菩提道若有誦此陁羅尼者乃至未坐道場一切菩薩爲其勝友又此准提大明陁羅尼諸佛菩薩所說利益一切衆生無邊菩提道場故有薄福衆生無有少善根者無有根器之者無有菩提分者是人若得聞此准提大明陁羅尼若讀一遍卽得菩提分根器牙生何況誦持常不懈由此善根速成佛種無量功德悉成就無量衆生遠離塵垢決定成就阿耨菩提說七俱胝佛母准提陁羅尼念誦法依梵經本有十萬偈頌我今略說誦觀行供養次第若有苾芻苾芻尼鄔波索迦鄔波斯迦發菩提心行菩薩行求速出離生死者先須入三摩耶灌頂道場受持禁戒堅固不退愛樂大乘菩薩戒行於四威儀修四無量發四弘願永離三途於一切事業心不散亂方可入此秘密法門凡念誦供養法於所在處皆須淸淨澡浴著新淨衣嚴飾道場隨力所其道場法先須選隱便勝地西南北各量取四肘作方曼茶羅掘深一肘除去骨石塼瓦惡土髮毛灰炭糠棘虫蟻之類以好淨土塡滿築平取新瞿摩夷幷好土以香湯和塗地若在樓閣或居舩上依法泥若在山中及好淨屋不須㭾地前塗飾卽張天蓋四面懸幡若有本尊七俱胝佛母形像安置曼茶羅中面向西若無本尊有諸佛像舍利及大乘經典供養亦得磨白檀香塗八角曼茶羅猶如滿月或似八葉蓮華卽以新淨供具熟銅商佉貝木等器盛諸飮食及好香花遏伽香水隨力所有布置供養苾芻苾芻尼先持戒行初入道場須懺悔更自誓發願受戒若在家菩初入亦須自誓隨力發願受三歸五戒或常持八戒若常三時念誦於道場西面向東至心合掌五體著敬禮十方諸佛菩薩虔誠運想虛空界便右膝著地合掌至心懺悔自無始已來身口意罪今對諸佛菩薩前弟子某甲發露懺悔乃至過去現在未來三世諸佛菩薩福智圓滿種種功德我今隨喜卽結跏或半跏安心定坐除一切妄想觀六道衆生無始以來生死海中輪迴六趣願皆發菩提心行菩薩行速得出離卽以塗香摩手而結手契結契以衣覆勿令人見先結三部三麽耶契結諸契佛部三麽耶契第一其契相福智手竝仰檀戒忍辱般若方便願微屈相拄進力押忍願上節禪智附進力側卽成誦妙言曰 唵怛他孽睹嚩皤耶莎嚩訶誦三遍以契頂上散之蓮花部金剛部竝准此蓮花部三麽耶契第二二福智相合戒忍進方便願力各各散開微屈六波羅蜜開如蓮花檀般禪智頭相著亦微屈卽成誦妙言曰唵鉢頭牟嚩皤耶莎嚩訶誦三遍金剛部三麽耶契第三福覆智仰禪般若檀智相交卽成卽誦妙言曰唵嚩折嚕婆皤耶莎嚩訶誦三遍准提佛母根本身契第四其契相先以二手小指二無名指相叉入掌二中指直豎頭相著二頭指頭附二中指上節側二大指各附二頭指側卽成妙言誦根本陁羅尼誦七遍以契頂上解敬以下諸契結成揮觸印了亦竝須頂上散之辟除一切天魔惡鬼神等契第五其契先以右手中指無名指小指及大指握左手中指以下三指次以左大指握左中指以下三指甲上爲合以二頭指頭相著卽成妙言曰 唵俱嚕憚那𤙖惹誦一遍以契右旋繞身一帀如此三度作卽是結地界橛契第六其契相以左右二中指二無名指相叉入掌右押左左頭指屈如鉤右頭指直豎二大指二小指令面相著卽成妙言曰 唵准你泥枳邏耶莎嚩訶誦一遍以契大母指觸地一迴如卓橛勢三度作卽休結牆界契第七其契准前橛契以右手頭指屈如鉤左頭指直豎卽成妙言曰 唵准你泥鉢囉迦邏耶莎嚩誦三遍以契右揮三帀卽是結網契第八其契准牆契開仰著右大指捻左頭指頭左大指捻右頭指頭小指依舊相拄卽成妙言曰唵准你半惹邏莎嚩訶誦三遍以契隨日揮三度卽是結外火院大界契第九其契以左手密掩右手背相重直豎二大指相去二寸許卽成妙言曰 唵阿三麽你𤙖莎嚩訶誦三遍以契右旋三度卽是結車輅契第十其契相先以二手向內相叉右押左卽仰開掌二頭指直申頭相拄以二大指撥二中指頭來去卽成妙言曰 唵睹嚧睹嚧莎嚩訶結此契心想阿迦尼瑟咤天宮中毘盧遮那如來十地菩薩圍繞集會中請准提佛母聖者乘七寶裝嚴車輅車輅上有白蓮 花座座上有如所畫像形心中想念如在目前卽誦妙言三遍結迎請聖者契第十一准前第一根本契以二大指來去之三度卽成妙言曰唵折隸主隸准提噎醯薄伽嚩底莎嚩訶結此契想聖者從寶車上下來道場中白蓮花座上卽誦妙言三遍結蓮花座契第十二准前根本契竝二大指向身開豎之卽成妙言曰 唵迦麽邏莎嚩訶結此契心想道場中種種寶鈿師子座上開白蓮花安置聖者卽誦妙言三遍結遏迦契第十三准前根本契以二大指各捻頭指根第一節側下卽成妙言曰 唵折隸主隸准提遏紺薄伽嚩帝鉢囉底搓莎嚩訶結洗浴契第十四准前遏迦契以二大指各竝捻二中指中節側卽成妙言曰 唵折莎嚩訶結塗香契第十五准前根本契以二大指博著右頭指下節卽成妙言曰 唵隸莎嚩訶結花鬘契第十六准前根本契以二大指安著左頭指下節側卽成妙言曰 唵主莎嚩訶結燒香契第十七准前根本契屈右頭指捻二大指頭卽成妙言曰 唵隸莎嚩訶結供養飮食契第十八准前根本契以左頭指捻二大指頭卽成妙言曰 唵准莎嚩訶結燈契第十九准前根本契以二頭指各捻二大指頭卽成妙言曰唵提莎嚩訶已上塗香契等各各以契觸當色物上供養結布字契第二十其契相以二中指二無名指向內相二大指二頭指二小指竝直豎相著卽成結此手契成卽想自身猶若釋迦如來三十二相八十種好紫磨金色圓滿身光想已以手契觸頭上布唵字觸眼中布折字一一依字次第乃至兩足皆以契觸布之說陁羅尼字想布於身法唵想安頭上 其色白如月 放於無量光除滅一切障 卽同佛菩薩 摩是人頂上折字安兩目 其色如日月 爲照諸愚暗能發深慧明隸字安頸上 色如紺琉璃 能顯諸色相漸具如來智主字想安心 其色如皎素 猶心淸淨故速達菩提路隸字安兩肩 色黃如金色 猶觀是色相能被精進甲准字想齊中 其色妙黃白 速令登道場不退菩提故提字安兩䏶 其色如淺黃 速證菩提道得坐金剛座莎嚩字兩脛 其狀作赤黃 常能想是字速得轉法輪訶字置兩足 其色猶滿月 行者作是想速得達圓寂如是布字想念色 便成准提勝法門亦名本尊眞實相 能滅諸罪得吉祥猶如金剛堅固聚 是名准提勝上法若常如是修行者 當知是人速悉地第二根本契第二十一其契相以二手向內相叉二頭指二大母指竝直豎卽成妙言曰 南慕颯哆南去一三藐三勃陁俱胝南怛姪亭也反折隸去音下同五主隸准提莎嚩二合誦七遍以契於頂上解散結捧數珠契第二十二其契相先取數珠安二手掌中卽當心合掌誦前根本陁羅尼三遍以珠頂戴便作把數珠契淨珠把數珠契第二十三其契相以二手二無名指二大指各捻珠上二手相去一寸許餘指散開微屈卽成誦淨數珠妙言曰唵微嚧遮那阿麽羅莎嚩二合誦三遍淨數珠已以自心想七俱胝佛母口中七俱胝陁羅尼文字一一字放五色光入行者口裏安自心月中右旋布置卽誦本尊陁羅尼一遍以右手無名指捻一顆珠過周而復始不急不緩不得高聲須分明稱字而令自所觀本尊及身上布字念誦記數於一念中竝須一時觀見不得有闕使心散亂如觀念疲勞隨力念誦一千二千乃至三千四千五千遍取一數爲定如有忙事亦不得減數至一百八已下此名聲念誦若求解速出離生死作此三麽地瑜伽行無記無數念者卽想自心如一滿湛然淸淨內外分明以唵字安月心中以折隸主隸准提莎嚩訶字前右旋次第周布輪緣去音諦觀一一字義與心相應不得差互說三麽地觀念布字義唵字門者是流注不生不滅義復於一切法爲最勝義折字門者於一切法是無行義隸字門者於一切法是無相義主字門者於一切法是無起住義隸字門者於一切法是無好義准字門者於一切法是無等覺義提字門者於一切法是無取捨義莎嚩字門者於一切法是平等無言說義訶字門者於一切法是無因寂無住涅槃義所說字義雖立文字皆是無文字義旣無文字須諦觀一一義相周而復始無記無數不得斷不斷絕者爲流注不生不滅最勝由不生不滅最勝義是故無行爲無行義是故無相爲無相義是故無起住爲無起住義是故無等覺爲無等覺義是故無取捨爲無取捨義故平等無言說爲平等無言說義故無因寂靜無住涅槃爲寂靜無住涅槃義是故不生不滅最勝無斷而復始此名三麽地念誦說准提求願觀想法若求無分別者當觀無分別無記念若求無相無色當觀文字無文字念若求不二法門者應觀兩臂 若求四無量當觀四臂 若求六通當觀六 若求八聖道當觀八臂 若求十波羅蜜圓滿十地者應觀十臂若求如來普遍廣地者應觀十二臂若求十八不共法者應觀十八臂卽如畫像法觀也 若求三十二相當觀三十二臂 若求八萬四千法門者應觀八十四臂 如上觀念當入一切如來三麽地門甚深方廣不思議地是正念處是正眞如是正解脫念誦觀行了欲出道場復須依前次更結燒香燈明飮食等手契供養懺悔隨意發願卽結前第一根本契誦根本陁羅尼七遍頂上散之復結前車輅契以二大母指向外三度撥中指頭誦妙言曰唵睹嚧睹嚧莎嚩訶誦三遍復結前迎請契以二大母指向外度開卽成送聖者還本宮 妙言曰唵折隸主隸准提孽車孽車婆迦嚩底莎嚩皤喃布娜囉哦麽那耶莎嚩訶誦三遍復結前外火院大界契誦阿三麽祁入你妙言左轉三遍卽成復更結三部三麽耶契各誦妙言一遍卽了任出道場隨意經行讀誦大般若或華嚴或無邊門或法華楞伽涅槃大乘經論等思惟誦說或以七俱胝佛像塔印用印香泥砂上紙上隨意印之多少如念誦有功德如經所說境界一一分明了知次第欲得作扇底迦等種種方法或爲自身或爲他人卽任依法而作念誦說扇底迦法若欲求息災除一切鬼神及聰明長求解脫者卽於道場中面向北豎膝而坐衣服飮食香花燈燭地竝用白色從月一日至八日日三時念誦及護摩等法若念誦時先誦根本陁羅尼三七遍已然後但從唵字誦之 妙言曰 唵折隸主隸准提與彼厶甲除災難莎嚩訶說布瑟置迦法若欲求增長五通轉輪種種寶藏輪劍賢甁如意寶安善那虞里迦鏡及越斧羂索三叉等一切財寶草等求成就法者身著黃衣面向東加趺坐所供養香花飮食果子燈燭地等竝用黃色從月八日至十五日日三時念誦護摩等事念誦如前妙言曰 唵折隸主隸准提與彼厶甲所求如意莎嚩訶說伐施迦囉拏法若欲呼召一切天鬼神非人等應作此法者身著赤衣面向西結賢香花飮食果子燈燭地等竝用赤從十六日至二十三日日三時誦護摩等法妙言曰 唵折隸主隸准提爲彼攝召某神成就我願莎嚩訶說阿毘遮嚕迦法若欲降伏一切惡神鬼及損三寶人天者有多罪業障重衆生調伏難者能令發菩提心修諸善業者應起慈悲心而作此法身著靑衣面向南作蹲踞坐左腳押右腳用不香花皆用靑黑色從二十三日至月盡日三時念誦護摩等法妙言曰吽折隸主隸准提吽癹咤作法已卽如常念誦說七俱胝佛母准提畫像法取不截白㲲淸淨者擇去人髮畫師受八戒齋不用膠和色用新椀成綵而用畫之其像作黃白色種種莊嚴其身腰下著白衣衣上有花身著輕羅綽䄂天衣以綬帶繫腰霞絡身其手腕以白螺爲釧其臂上釧七寶莊嚴一一手上著指環都十八臂面有三目上二手作說法相第二手施無畏第三手把劍第四手把數珠第五手把微若布邏迦果漢言子滿果此閒無西國有第六手把越斧第七手把鉤第八手把跋折羅第九手把寶鬘第二手把如意寶幢第三手把蓮花第四手把澡灌第五手把索第六手把輪第七手把螺第八手把賢甁九手把般若波羅蜜經夾菩薩下作水池池中安蓮花難陁拔難陁二龍王共扶蓮花莖於蓮花上安准提菩其像周圓安明光焰其像作怜愍眼看行者在下坐手執香鑪面向上看菩薩於菩薩上畫二淨居天像法如是佛說七俱胝佛母准提陁羅尼經幷念誦觀行法己亥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사위성(舍衛城)을 가리킨다.
  2. 2)범어로 saptakoṭi. 구지(俱胝)는 무수(無數)하게 많은 수를 의미하므로 7구지는 더욱 무수하다는 의미이다.
  3. 3)namaḥ saptānāṃ samyaksaṃbuddha koṭīnāṃ tad yathā oṃ cale cule cunde svāhā.
  4. 4)호인(胡人)이 예경하기 위해 두 무릎을 꿇어 땅에 대고 두 다리를 세우고 몸을 버티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 호궤(胡跪)ㆍ좌궤(左跪)ㆍ장궤(長跪)의 3가지가 있다. 한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한쪽 발을 세우는 호궤는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는 것으로 불자(佛子)들의 습관이 되어 있다. 우슬착지(右膝着地)는 바로 이것이다.
  5. 5)붉은색이 나는 모래이다. 천연적으로 나는 유화수은을 가리킨다. 짙붉은 색의 광택이 나는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덩어리로 이루어진 광물이다.
  6. 6)범어로 sumanas. 관목(灌木)으로 황백색의 꽃이 피는 향기가 아주 좋은 꽃이다. 호희(好喜)ㆍ호의(好意)ㆍ선섭의(善攝意)라 번역한다. 소마나화(蘇擧那華)에서 짠 향기로운 기름을 소유(蘇油)라 한다.
  7. 7)우유를 정제하여 만든 음식으로, 불성을 제호에 비유한다.
  8. 8)범어 śatru. 의역하여 원가(怨家)이다. 곧 나와 원한을 맺어서 온갖 원한과 해를 끼치는 자이다. 또는 설도로(設睹嚧)⋅설돌로(設咄嚧)⋅사도로(捨睹嚧)⋅삭도로(爍睹嚧)⋅사눌로(娑訥嚕)⋅솔도환(窣睹喚)이라고도 한다.
  9. 9)나무의 이름, 또는 겁파라나무의 줄기로 만든 방석의 이름이다.
  10. 10)창포과의 상록 다년초로서 물가에 난다. 뿌리와 줄기는 비후하고 잎은 선형으로, 봄에 황록색 꽃이 핀다. 뿌리와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11. 11)범어로 vajra-garbha. 금강태(金剛胎)라고도 한다. 현겁 16존의 1보살이며 금강계만다라 미세회ㆍ공양회 등 외원방단(外院方壇) 북방 4존 중에서 제3위에 위치하는 보살이다. 밀호는 지교금강(持敎金剛)ㆍ입험금강(入驗金剛)이며, 종자는 Va, 삼매야형은 네 개의 독고저(獨鈷杵)에 의한 우물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4지에 만지(萬智)를 포섭하고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12. 12)범어 Aparājitā. 의역하여 무능승(無能勝)이며, 아바라이다(阿波羅爾多)라고도 의역한다. 4자매녀천(姉妹女天)의 하나로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의 권속이다. 태장만다라 문수원(文殊院) 동모로(童母盧)의 왼쪽이며, 아이다(阿爾多)의 아래쪽에 있다. 그 형상은 육색(肉色)으로 동자의 모습이다. 좌권(左拳)은 허리에 대고, 오른손으로 독고봉(獨股棒)을 잡았으며 얼굴은 왼쪽을 향하고 다리를 교차하여 앉아있다.
  13. 13)행주좌와(行住坐臥)의 네 가지 행동을 바르고 훌륭하게 하는 것이다.
  14. 14)자비희사(慈悲喜捨)의 네 가지 무량한 마음이다.
  15. 15)범어로 argha. 가치 있는 것으로 수(水), 또는 공덕수(功德水)ㆍ알가향수(遏伽香水)ㆍ무탁(無濁)ㆍ기(器)라 번역하는 것이다. 알가정(閼伽井)으로부터 떠온 물에 밀(樒)이나 향가루를 넣은 물을 알가수(閼伽水)라고 부르며, 관정용(灌頂用)ㆍ수법용(修法用)의 알가수를 알가정으로부터 퍼 올리는 것이 알가작법(閼伽作法)이다. 밀교수법에 있어서 6종 공양의 하나로서 물을 본존에 바치는데 손님을 영접할 때 발 씻을 물을 내드리는 인도의 풍습으로부터 온 것이다.
  16. 16)불부삼매야(佛部三昧耶)ㆍ연화부삼매야(蓮華部三昧耶)ㆍ금강부삼매야(金剛部三昧耶) 등을 3부삼매야(三部三昧耶)라고 한다.
  17. 17)왼손과 오른손을 가리킨다. 왼손은 복(福), 오른손은 지(智)이다.
  18. 18)단(檀) 이하 원(願)까지는 각각 손가락을 가리킨다. 단(檀)은 왼손 엄지손가락, 계(戒)는 왼손 검지손가락, 인욕(忍辱)은 왼손 가운뎃손가락, 반야(般若)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방편(方便)은 오른손 검지손가락, 원(願)은 오른손 가운뎃손가락을 말한다.
  19. 19)선(禪)은 왼손 새끼손가락, 지(智)는 오른손 새끼손가락, 진(進)은 왼손 약손가락, 역(力)은 오른손 약손가락을 말한다.
  20. 20)oṃ tathāgatodbhavaye svāhā.
  21. 21)계ㆍ인ㆍ진ㆍ방편ㆍ원ㆍ역의 여섯 손가락을 말한다.
  22. 22)oṃ padmodbhavabaye svāhā.
  23. 23)oṃ vajrodbhavaye svāhā.
  24. 24)oṃ krodhana hūṃ jaḥ.
  25. 25)oṃ cunnini cilaye svāhā.
  26. 26)oṃ cuntiniprakaraya svāhā.
  27. 27)oṃ cundinivajra svāhā.
  28. 28)oṃ asamaini hūṃ phaṭ.
  29. 29)oṃ dhuru dhuru hūṃ.
  30. 30)oṃ cali culi cunti ehy ahe bhagavati svāhā.
  31. 31)oṃ kamala svāhā.
  32. 32)oṃ cali culi cundi agaṃ pratīccha bhagavati svāhā.
  33. 33)oṃ jaḥ svāhā.
  34. 34)oṃ li svāhā.
  35. 35)oṃ ṭu svāhā.
  36. 36)oṃ li svāhā.
  37. 37)oṃ cun svāhā.
  38. 38)oṃ ṇi svāhā.
  39. 39)namaḥ saptānāṃ samyaksaṃbuddha koṭīnāṃ tad yathā oṃ cale cule cunde svāhā.
  40. 40)oṃ bairocanamala svāhā.
  41. 41)염송이란 본존(夲尊)의 진언을 관하면서 부르고, 본존과 자기가 신ㆍ구ㆍ의 세 작용에서 일체가 되어 성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불송경(念佛誦經)을 말하며 부처를 염하고 경을 읽는 것이다. 밀교에서는 마음으로 생각하고 입으로 다라니(陁羅尼) 등을 소리 내어 송하는 일로서 넓은 뜻에서는 삼밀을 가리키며 수법의 중심이 된다. 이것에 4염송이 있다. 『금강정유가중략출염송경』에서는 음성염송(音聲念誦)ㆍ금강염송(金剛念誦:黙誦)ㆍ삼마지염송(三摩地念誦:정에 머물러 진언의 문자를 관함)ㆍ항마염송(降魔念誦:悲心에 머물러 밖으로 분노의 상을 나타냄]의 네 종류를 들고 있다.
  42. 42)oṃ dhuru dhuru hūṃ.
  43. 43)oṃ cali culi cunti biṣṭa biṣṭa bhagavati bhava bhavanāṃ punarakamanaye svāhā.
  44. 44)범어로 śāntika. 식재(息災)의 법을 말한다.
  45. 45)범어로 homa. 화로(火爐) 가운데에 불을 피우고 공물(供物)을 태워 본존에게 공양 올리는 밀교의 수행법(修行法). 호마(護摩)는 호마(護魔)ㆍ호마(呼麽)라고도 하며, 분소(焚燒)ㆍ화제사법(火祭祀法)이라 번역한다. 원래 인도의 바라문교의 화신(火神) Agni에게 공양하여 악마를 제거하고, 복을 구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화제(火祭)를 불교에 도입한 것이라고 하며 특히 밀교에서 성행하였다. 밀교에 와서는 지혜의 불로 미혹의 번뇌를 태운다는 의미를 가지며, 나무 등을 태우고 그 불로 일체의 악업을 태워 없앤다고 한다. 부동명왕이나 애염명왕(愛染明王) 등을 본존으로 하고 그 앞에 의칙(儀則)에 기초한 화로의 호마단을 설치하고 규정된 호마목(護摩木)을 태우며, 가운데에 곡물 등의 공물을 던져서 본존을 공양하고, 재난을 없애며[息災], 이익을 늘리고[增益] 악을 굴복시키는[降伏]기를 기원한다. 또한 입단(入壇) 수법(受法)의 관정 때에도 수행한다. 호마작법에는 실제로 호마단으로 행해지는 외(外)호마, 또는 사(事)호마가 있고, 화단(火壇)을 향하지 않고, 자신을 단(壇)으로 삼아 부처님 지혜의 불로써 내심(內心)의 번뇌나 업을 태우는 것을 상징하는 내(內)호마, 또는 이(理)호마가 있다. 이 수법의 기원의 취지를 나무판이나 종이에 쓴 것을 호마찰(護摩札)이라 칭하고, 호부(護符)로 쓰이고 있다. 외호마의 작법은 5종호마법(種護摩法)이라 하는데 식재(息災)ㆍ증익(增益)ㆍ항복(降供)ㆍ경애(敬愛)ㆍ구소(鉤召)를 말한다.
  46. 46)oṃ cali culi cunti śantiṃ kuru svāhā.
  47. 47)범어로 Pauṣṭika. 증익(增益)의 법을 말한다.
  48. 48)oṃ cali culi cunti puṣṭiṃ kuru svāhā.
  49. 49)범어로 Vaśīkaraṇa. 4종수법(種修法)의 하나이다. 화합이나 친목을 기원하는 법으로, 환애(歡愛)ㆍ애경(愛敬)ㆍ구애(求愛)ㆍ경애(慶愛)라고도 번역한다. 금강계의 중익법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3부ㆍ5부에서는 연화부에 속한다. 항복법과는 반대로 남으로부터 존경을 받고 사랑을 받는 법이니 소섭(召攝)이라고도 한다.
  50. 50)oṃ cali culi cunti vaśaṃ kuru svāhā.
  51. 51)범어로 abhicāraka. 조복 또는 항복을 뜻하는 범어의 음사로서, 아비자로가(阿毗柘嚕迦)라고도 하며 항복(降伏)의 법을 말한다.
  52. 52)hūṃ cali culi cunti pranankataye hūṃ phaṭ.
  53. 53)전법륜인(轉法輪印)을 가리킨다.
  54. 54)8대용왕(大龍王) 중에서 두 용왕이다. 난타(難陁)와 발난타(跋難陁)는 형제로서, 머리에 일곱 용두(龍頭)가 있는 호법(護法)의 용신(龍神)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