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017_0798_a_01L연생론(緣生論)


울능가(鬱楞迦) 지음
달마급다(達磨笈多) 한역
유옥영 번역


하나[一]에서 셋[三]이 생기고,
셋이 전전(展轉)하여 여섯[六]이 생긴다.
여섯[六]에서 둘[二]이 생기고 둘에서 다시 여섯이 생기며,
여섯에서 또 여섯이 생긴다.

여섯에서 셋이 있고,
이 셋에서 다시 셋이 있다.
셋에서 넷이 생기고,
넷에서 또 셋이 생긴다.

셋에서 하나가 생기고,
저 하나에서 또 일곱이 생기니,
그 가운데 모든 고(苦)가 있다고
석가모니께서 설하여 다 거두셨다.

열두 가지의 차별이
훌륭히 청정해서 공(空)하다고 말씀하신 것은
연생지[緣生分]의 힘 때문이니
열두 가지 법을 알아야 한다.

무지(無智:無明)ㆍ업(業)ㆍ식(識)과
명색(名色)ㆍ근(根:六入)ㆍ세 가지 화합(和合:觸)과
앎[知:受]ㆍ갈[渴:愛]ㆍ취(取)와
모임[集:有]ㆍ나옴[出:生]ㆍ무르익음[熟:老]ㆍ뒤의 끝[後邊:死]이다.

첫 번째와 여덟 번째ㆍ아홉 번째는 번뇌이고,
두 번째와 열 번째는 업(業)이며,
나머지 일곱은 모두 고(苦)이니,
이 세 가지에 열두 가지 법이 포함된다.

처음의 둘은 과거이고,
뒤의 둘은 미래이고,
나머지 여덟은 현재이니,
이것을 삼시법(三時法)이라고 한다.

번뇌가 일어나면 업이 과보를 감응하며,
과보는 다시 번뇌를 생기게 한다.
번뇌는 또 업을 생기게 하고,
업으로 인해 또 과보가 있게 된다.

번뇌를 여의면 어찌 업이 있으리,
업이 무너지면 과보도 또한 없다.
과보가 없으면 곧 번뇌를 여의니,
이 셋이 각기 저절로 소멸된다.

다섯 가지 원인(因)이 결과(果)를 생하게 하니,
이것을 번뇌의 업이라고 부른다.
일곱 가지는 결과이니,
일곱 가지의 괴로움[苦]을 응당 염(念)해야 한다.

원인이 공(空)하므로 결과가 없고,
원인 가운데는 원인 또한 없다.
결과가 공하므로 원인이 없고,
결과 가운데에는 결과 또한 없다.

원인과 결과가 모두 공하니,
지혜 있는 이는 공과 상응한다[범본(梵本)에서는 한 게송으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한 게송 반(半)으로 한다].

세간 속의 네 가지는
원인과 결과의 화합으로 있는 것이고
번뇌와 업과 과보가 화합하면
여섯 부분이 되어야 한다.

유(有)의 마디[節]가 포함되기 때문에
두 개의 마디와 세 가지 요약[略]이 있다.
원인과 결과가 섞여 마디를 이루므로
세 개의 마디와 네 개의 전체적인 요약이 있다.

둘과 둘과 셋과 셋과 둘,
괴로움의 시기에는 다섯 가지 법이 있다.
짓는 자[作者]와 모태[胎歲]와 경계(境界),
전생(轉生)이 시작됨[發轉]과 흘러감(流行)이다.

미혹과(迷惑果)ㆍ발기과(發起果)와
보과(報果)와 진류과(津流果)의 둘은
근(根) 중에서
하나ㆍ하나ㆍ셋ㆍ둘과 상응한다.

열뇌과(熱惱果)ㆍ빈핍과(貧乏果)와
전출과(轉出果)ㆍ진류과(津流果)는
남은 부분의
둘ㆍ하나ㆍ하나ㆍ하나의 법과 상응한다.

이 열두 가지는
똑같은 힘의 반연으로 저절로 생겨나니,
중생도 없고 수명[命]도 없고
움직여 짓는 자[動作者]도 없음을 지혜로 알라.

나[我]도 없고 나의 것[我所]도 없고,
결과로서의 나도 없고 나의 원인[我因]도 없음,
이 네 가지는 지혜 없는 공(空)이고,
나머지 부분도 마찬가지다.

단멸[斷]과 상주[常]의 두 극단[二邊]을 여의면
이것이 바로 중도(中道)이니
만약 이것을 깨달아 성취하면
그 깨달음의 주체[覺體]가 바로 모든 부처이다.

부처님[仙聖]은 다 깨닫고 나서 대중들에게
내가 없음[無我]을 설하셨으니,
일찍이 『성유경(城喩經)』에서
큰 스승[導師]께서 이러한 뜻을 설하셨다.

『가전연경(迦栴延經)』에서는
정견(正見)과 공견(空見)을 설하시고,
『파라구이경(破邏具膩經)』[장수(張宿)의 이름이다]에서도
수승한 공에 대해 설하셨다.

만약 반연하여 생김[緣生]에 대해 바로 알면
이러한 앎이 공(空)과 상응하며,
만약 반연하여 생김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저 공함도 알지 못한다.

만약 공에 대해 아만[慢]을 일으키면
오취온(五取蘊)을 싫어하지 않게 되고
만약 그것에 대해 알지 못하면
이는 곧 연생의 의미를 미혹한 것이다.

연생에 미혹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만을 없애서 저 공함을 알면
또한 오취온을 싫어하는 마음이 생기므로
업과 과보의 화합[業果合]을 미혹하지 않는다.

업이 반연을 지어 계속 생겨나니
또 이것1)에 반연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공을 반연하여 마땅히 이것2)이 있는 것이니
업보의 수용(受用)이 갖추어지게 된다.

열두 가지의 차별을
앞에서 이미 연생(緣生)이라고 했다.
그것은 번뇌와 업(業)과 고(苦), 셋 가운데
법대로 포섭된다.

세 가지에서 둘이 생기고,
둘에서 일곱이 생기며
일곱에서 다시 셋이 생기니
이와 같이 바퀴처럼 돌고 돈다.

인과로 인해 생기는 모든 세간에
중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오직 공한 법에서
다시 공한 법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다.

연(緣)에 의지해 번뇌가 생기고
연에 의지해 또 업도 생기며
연에 의지해 과보 또한 생기니,
어느 것도 연 없이 생긴 것은 없다.

송(誦)ㆍ등불[燈]ㆍ도장[印]ㆍ거울[鏡]ㆍ소리[音]와
햇빛[日光]ㆍ씨앗[種子]ㆍ식초[酢]와
오온은 이어지지 뛰어넘어 이르는 것이 아니니,
지혜로운 자는 이 두 가지3)를 잘 관찰해야 한다.

연생삼십론(緣生三十論)의 본송(本頌)을 마치고, 이제 연생삼십론에 대해 차례대로 해석하겠다.

하나에서 셋이 생기고,
셋이 전전(展轉)하여 여섯이 생긴다.
여섯에서 둘이 생기고 둘에서 다시 여섯이 생기며,
여섯에서 또 여섯이 생긴다.

‘하나에서 셋이 생긴다’에서 ‘하나’란 지혜가 없는 것[無智]을 말한다. 지혜가 없는 것은 무명(無明)이다. 이는 고제(苦諦)ㆍ집제(集諦)ㆍ멸제(滅諦)ㆍ도제(道諦)에 대해 깨달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혜가 없다고 말한다. 지혜가 없기 때문에 복행(福行), 복이 아닌 행[非福行], 동요하지 않는 행[不動行]의 삼행(三行)이 있게 된다. 또 그것이 전전하여 몸으로 짓는 행[身行], 입으로 짓는 행[口行], 마음으로 짓는 행[心行] 등이 생겨난다.
‘셋이 전전하여 여섯이 생긴다’는 것은 이 삼행(三行)에서 육식신(六識身)이 생긴다는 것으로, 이를테면 안식(眼識)ㆍ이식(耳識)ㆍ비식(鼻識)ㆍ설식(舌識)ㆍ신식(身識)ㆍ의식(意識)이다.
‘여섯에서 둘이 생긴다’는 것은 이 육식신이 전전하여 두 가지를 생기게 한다는 것으로서 이를테면 명(名)과 색(色)이다.
‘둘에서 다시 여섯이 생긴다’는 것은 명과 색 두 가지가 전전하여 육입(六入)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안입(眼入)ㆍ이입(耳入)ㆍ비입(鼻入)ㆍ설입(舌入)ㆍ신입(身入)ㆍ의입(意入)을 말한다.
‘여섯에서 또 여섯이 생긴다’는 것은 이 육입이 전전하여 육촉(六觸)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안촉(眼觸)ㆍ이촉(耳觸)ㆍ비촉(鼻觸)ㆍ설촉(舌觸)ㆍ신촉(身觸)ㆍ의촉(意觸)을 말한다.

여섯에서 셋이 생기고,
이 셋에서 또 셋이 생긴다.
셋에서 또 넷이 생기고,
넷에서 또 셋이 생긴다.

‘여섯에서 셋이 생긴다’는 것은 그 육촉신이 전전하여 삼수(三受)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낙수(樂受)ㆍ고수(苦受)ㆍ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를 말한다. ‘이 셋에서 또 셋이 생긴다’는 것은 다시 이러한 세 가지의 수가 전전하여 세 가지의 갈애[三渴愛]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욕갈애(欲渴愛)ㆍ유갈애(有渴愛)ㆍ무유갈애(無有渴愛)를 말한다. ‘셋에서 또 넷이 생긴다’는 것은 이 세 가지의 갈애가 전전하여 사취(四取)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고행취(戒苦行取)ㆍ아어취(我語取)를 말한다. ‘넷에서 또 셋이 생긴다’는 것은 사취에서 전전하여 세 가지의 유[三有]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욕유(欲有)ㆍ색유(色有)ㆍ무색유(無色有)를 말한다.

셋에서 하나가 생기고,
그 하나에서 또 일곱이 생긴다.
그 가운데에 모든 고(苦)가 있다고
석가모니께서 설하여 다 거두셨다.

‘셋에서 하나가 생긴다’는 것은 이러한 삼유(三有)를 반연을 지어서 앞으로 하나의 태어남[生]이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 하나에서 또 일곱이 생긴다’는 것은 다시 이 한 가지에서 늙음[老]ㆍ죽음[死]ㆍ근심[憂]ㆍ슬픔[悲]ㆍ괴로움[苦]ㆍ고뇌[惱]ㆍ곤궁[困]의 일곱 가지가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 가운데에 모든 괴로움이 있다고 석가모니께서 말씀하셨다’는 것은 이 과정은 무명을 시작으로 하고 고생을 끝으로 한다는 것이다. 세존께서는 셀 수 없는 종류의 괴로움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고 간략하게 말씀하셨다.

열두 가지의 차별은
훌륭한 청정으로 공(空)이라고 말한다.
연생지[緣生分]의 힘에 의지하기 때문에
열두 가지 법을 알아야 한다.

‘열두 가지의 차별은 훌륭한 청정으로 공[空]이라고 말한다’란 이러한 무지(無智) 등은 서로 달라 섞이지 않아서 열두 가지가 있으며, 또 그것들은 모두 자성이 모두 공함을 바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말했듯이 오직 이 공한 법[空法]이 스스로 공한 법을 생기게 한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열두 가지 법을 알아야 한다’란 차례로 연생지의 세력에 의하기 때문이니, 이 열두 가지 법을 이와 같이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 미혹의 모습[迷惑相]은 무명이다. 저 행의 구처[行句處]4)는 쌓여서 존재하는 모습이 행(行)이다. 저 식의 구처[識句處]는 그 다음에 생명을 받아 분리의 전변으로 모습을 출현한 것이 식(識)이다. 명색의 구처[名色句處]에는 명신(名身)과 색신(色身)이 화합하는 것을 명색이라고 한다. 육입의 구처[六入句處]는 모습이 모습을 안치하는 것을 육입이라고 한다. 촉의 구처[觸句處]는 안(眼)ㆍ색(色)ㆍ식(識)이 함께 모이는 모습을 촉이라고 한다. 수의 구처[受句處]는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으면서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수라고 한다. 갈애의 구처[渴愛句處]는 만족할 줄 모르는 모습을 갈애라고 한다. 취의 구처[取句處]는 잡아 지녀서 섭취(攝取)하는 것을 취라고 한다. 유의 구처[有句處]는 명신과 색신의 모습을 유라고 한다. 태어남의 구처[生句處]는 오온이 생겨나는 것을 생이라고 한다. 늙음의 구처[老句處]는 무르익은 것을 늙음이라고 한다. 죽음의 구처[死句處]는 목숨(命根)이 끊어진 것을 죽음이라고 한다. 근심의 구처[憂句處]는 마음이 높게 들뜬 모습을 근심이라고 한다. 슬픔의 구처[悲句處]는 우는 소리[哭聲]를 슬픔이라고 한다. 괴로움의 구처[苦句處]는 몸이 뜨겁게 타는 모습을 괴로움이라고 한다. 고뇌의 구처[惱句處]는 마음을 졸이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고뇌라고 한다. 곤궁의 구처[困句處]는 매우 피로하고 고생하는 모습을 곤궁이라고 한다.

무지(無智)ㆍ업(業)ㆍ식(識)과
명색(名色)ㆍ근(根)ㆍ세 가지의 화합[三和合],
앎[知]ㆍ갈증[渴]ㆍ취(取)와
모임[集]ㆍ나옴[出]ㆍ무르익음[熟]ㆍ뒤의 끝[後邊]이다.

여기서 무지(無智)란 무명이다. 업이란 행(行)이고, 식은 이해[解]이고, 명색이란 오온이 모두 모이는 것이고, 근이란 육입이고, 세 가지 화합이란 촉(觸)이다. 앎이란 수(受)이고, 갈증이란 갈애(渴愛)이고, 취함이란 잡아 지님이고, 모임[集]이란 유(有)이다. 나옴이란 태어남[生]이고, 무르익음이란 늙음[老]이고, 뒤의 끝이란 죽음이다.
이들 차별은 서로 포섭하므로 그것을 차례대로 설명하겠다. 그 속에 업과 번뇌와 과보의 차별이 있다.

첫 번째와 여덟 번째, 아홉 번째는 번뇌이고
두 번째와 열 번째는 업(業)이며,
나머지 일곱은 모두 고(苦)이니
셋에 열두 가지 법이 포함된다.

세 가지 번뇌란 무명ㆍ갈애ㆍ취이다. 두 가지 업이란 행ㆍ유이다. 일곱 가지 과보란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생ㆍ노사 등이다. 이 열두 가지 법이 세 가지에 포함된다.
또 시간[時]에 의한 차별이 있다.

처음의 둘은 과거이고
뒤의 둘은 미래이고,
나머지 여덟은 현재이니
이것을 삼시법(三時法)이라고 한다.

처음의 두 가지인 무명ㆍ행은 과거이고, 뒤의 두 가지인 생ㆍ노사는 미래이고,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갈애ㆍ취ㆍ유의 여덟 가지는 현재이다.
또한 이것들은 각각 차례대로 생겨난다.

번뇌가 일어나면 업이 과보를 감응하며
과보는 다시 번뇌를 생기게 한다.
번뇌는 또 업을 생기게 하고
업으로 인해 또 과보가 있게 된다.

번뇌ㆍ업ㆍ과보 세 가지는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저 번뇌로 인해 업이 있고, 업 때문에 과보가 있게 된다. 또 과보 때문에 번뇌가 있고, 번뇌 때문에 업이 있으며, 업이 있기 때문에 과보가 있게 된다.
【문】‘번뇌가 다하게 되면 업과 과보가 각각 없어지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은 무슨 뜻인가?
【답】게송으로 말한다.

번뇌를 여의면 업이 어찌 있으리.
업을 없애면 또한 과보도 없다.
과보가 없으면 곧 번뇌를 여의니
이 셋이 각기 저절로 소멸된다.

만약 이 마음이 번뇌에 더럽혀지지 않으면 곧 업이 쌓이지 않게 된다. 업을 짓지 않으면 이는 곧 과보를 받지 않게 된다. 과보가 소멸하면 번뇌도 또한 생겨나지 않게 되니, 이와 같이 세 가지가 각각 저절로 소멸된다.
또 이것에는 원인과 결과의 구별이 있다.

다섯 가지의 원인이 결과를 생기게 하니
이것을 번뇌의 업이라고 부른다.
일곱 가지는 결과이니
일곱 가지 괴로움을 알아야 한다.

‘다섯 가지의 원인을 번뇌와 업이라고 한다’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무명ㆍ행ㆍ갈애ㆍ취함ㆍ유이다. ‘일곱 가지의 결과가 생긴다’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일곱 가지의 괴로움이니, 이를테면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생ㆍ노사이다.
또 이 원인과 결과 두 가지는 공(空)한 것이다.

원인 가운데에는 공하므로 결과가 없고
원인 가운데에는 원인 또한 없다.
결과 가운데에는 공하므로 원인이 없고
결과 가운데에는 결과 또한 없다.
원인과 결과가 모두 공하니,
지혜 있는 이는 공과 상응한다[범본(梵本)에서는 한 게송으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한 게송 반(半)으로 하였다.]

여기서 말한 원인과 결과 두 가지 중에서 만약 그 속에 원인이 결과를 갖지 않는다면 결과도 또한 원인을 가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원인은 또한 원인을 갖지 않고 결과 또한 결과를 갖지 않는다. 이 네 가지 경우와 마땅히 상응해야 한다.

이것에 또 다른 구별이 있다.

세간 속의 네 가지 구별은
원인과 결과가 화합하기 때문에 있다.
번뇌ㆍ업ㆍ과보가 화합하면
여섯 부분이 되어야 한다.

‘세간 속의 네 가지 구별은 원인과 결과가 화합하기 때문에 있다’는 것은 이치상의 다섯 가지 원인과 일곱 가지 결과가 화합하기 때문에 전체를 간략히 하면 네 가지가 된다. 차례로 네 가지 구별이 있다. 그 중에서 무명ㆍ행은 과거의 법으로 두 법이 제1분(第一分)이다.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는 현재법으로 제2분(第二分)이다. 갈애ㆍ취ㆍ유도 역시 현재법으로 제3분(第三分)이다. 생ㆍ노ㆍ사는 미래법으로 두 법이 제4분(第四分)이다. 이것을 네 가지 구별이라고 한다.
‘번뇌ㆍ업ㆍ과보가 화합하면 여섯 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번뇌ㆍ업ㆍ과보의 세 가지가 화합하면 순서 때문에 두 근본에 여섯 가지 부분이 있게 된다. 그 가운데 무명을 포함해 수(受)까지는 무명을 근본으로 하고, 갈애(渴愛)를 포함해 노사(老死)까지는 갈애를 근본으로 한다. 무명근 중에서 무명은 번뇌 부분[煩惱分]이고, 행은 업 부분[業分]이며,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는 과보 부분[報分]이다. 갈애근 중에서 갈애ㆍ취는 번뇌 부분이고, 유는 업 부분이며, 생ㆍ노사는 과보 부분이다.
또 마디의 구분과 전체적인 요약이 있다.

유(有)의 마디가 포함되기 때문에
두 개의 마디와 세 가지 요약이 있다.
원인과 결과가 섞여 마디를 이루므로
세 개의 마디와 네 개의 전체적인 요약이 있다.

유(有)가 마디의 기본이 되어 두 개의 마디가 생긴다. 이를테면 유와 생, 두 가지 사이가 첫 번째 마디이다. 행과 식 두 가지 사이가 두 번째 마디이다. 이 두 개의 마디는 모두 업과 과보의 마디이다. 수와 갈애 중에는 원인과 결과가 함께 섞여 있으므로 세 번째 마디이다. 이 세 개의 마디는 또 네 가지 전체적인 요약[總略]이 있다. 무명ㆍ행의 두 가지는 첫 번째 전체적인 요약이고, 식ㆍ명ㆍ색ㆍ육입ㆍ촉ㆍ수, 다섯 가지는 두 번째 전체적인 요약이며, 갈애ㆍ취ㆍ유, 세 가지는 세 번째 전체적인 요약이고, 생ㆍ노사, 두 가지는 네 번째 전체적인 요약이다. 이것을 세 개의 마디와 네 개의 전체적인 요약이라고 말한다.
또 이들 법 가운데에는 머무는 시기[住時]의 차별이 있다.

둘[二]과 둘과 셋[三]과 셋과 둘로
괴로움의 상태에는 다섯 가지 법이 있다.
짓는 자[作者]ㆍ모태[胎歲]ㆍ경계(境界)와
전생(轉生)이 시작됨[發轉]과 흘러감(流行)이다.

‘둘과 둘’이란 무명ㆍ행의 두 가지와 식ㆍ명색의 두 가지를 말한다. ‘셋과 셋’이란 육입ㆍ촉ㆍ수의 세 가지와 갈애ㆍ취ㆍ유의 세 가지를 말한다. 또 ‘둘’이란 생ㆍ노사의 두 가지를 말한다. 이들 다섯 가지의 법은 괴로운 상태의 짓는 자ㆍ모태ㆍ경계ㆍ전생의 시작ㆍ태어남[出生]이고 그 가운데의 흘러감[流行]을 숫자의 순서대로 알아야 한다. 그 가운데 무명ㆍ행의 두 가지는 괴로운 상태의 짓는 자라고 설하니, 응당 이와 같이 보아야 한다.
식ㆍ명색의 두 가지는 괴로운 상태의 모태이니 이와 같이 보아야 한다. 육입ㆍ촉ㆍ수의 세 가지는 괴로운 상태의 전생이 시작됨이며, 생ㆍ노사의 두 가지는 괴로운 상태의 태어남을 말한다.

또 과(果)의 차별이 있다.

미혹과(迷惑果)와 발기과(發起果)와
보과(報果)와 진류과(津流果)의 둘은
상응하는 근(根) 중에서
하나ㆍ하나ㆍ셋ㆍ두 가지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것은 무명근과 갈애근이다. 첫 번째 무명근에는 미혹과ㆍ발기과ㆍ보과ㆍ진류과가 있으니 네 가지의 과라고 말한다. 하나ㆍ하나ㆍ셋ㆍ두 가지로 나뉜 가운데 차례대로 상응해야 한다. 그 가운데 무명은 미혹과(迷惑果)이고, 행은 발기과(發起果)이며, 식ㆍ명색ㆍ육입은 보과(報果)이고, 촉ㆍ수는 진류과(津流果)이다.

또 다른 과(果)가 남아 있다.

열뇌과(熱惱果)ㆍ빈핍과(貧乏果)와
전출과(轉出果)ㆍ진류과(津流果)는
남은 부분의
둘ㆍ하나ㆍ하나ㆍ하나의 법과 상응한다.

앞에서 말한 두 번째 갈애근 중에서 열뇌ㆍ빈핍ㆍ전생ㆍ진류과 등은 숫자의 순서대로 둘ㆍ하나ㆍ하나ㆍ하나의 법에 상응한다. 그 중에서 갈애ㆍ취는 열뇌과이고, 유는 빈핍과이고, 생은 전출과이고, 노사는 진류과이다. 이와 같이 여덟 가지의 과가 있다.

이 열두 가지는
똑같은 힘의 반연으로 저절로 생겨난다.
중생도 없고 수명[命]도 없고
움직여 짓는 자[動作者]도 없음을 지혜로 알라.

이와 같이 무명이 처음이고 노사가 끝인 열두 가지는 똑같이 수승하기 때문에 하나하나가 반연으로 생겨나서 중생도 없고[無衆生], 수명도 없고[無壽命], 움직여 짓는 자도 없음[無動作]을 지혜로써 알아야 한다. 그 중에 ‘중생이 없다’는 것은 고정된 것이 없기 때문이고, ‘수명이 없다’는 것은 나[我]가 없기 때문이고, ‘움직여 짓는 자가 없다’는 것은 짓는 자[作者]가 없기 때문이다.

나[我]도 없고 나의 것[我所]도 없고,
결과로서의 나도 없고 나의 원인[我因]도 없다.
이 네 가지에 대한 무지는 공하고,
나머지 부분도 이와 같다.

내가 없다는 것에 대한 무지, 나의 것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무지, 결과로서의 내가 없다는 것에 대한 무지, 나라는 원인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무지이다. 이 가운데에는 내가 없기 때문에 네 가지의 무지(無智)는 공하다. 이 네 가지가 차례대로 무지가 공하듯이 행(行) 등의 나머지 부분도 모두 공함을 알아야 한다.

단멸[斷]과 상주[常]의 두 극단[二邊]을 여의면
이것이 바로 중도(中道)이니
만약 이것을 깨달아 성취하면
그 깨달음의 주체가 바로 모든 부처이다.

있음은 상주[常]에 포섭되고, 없음은 단멸[斷]에 포섭된다. 이와 같은 두 극단이 다른 것을 반연하게 되면, 그곳에서 모든 존재[有]가 전변하여 생기게 된다. 이 두 극단을 여의면 바로 중도인데, 지혜가 없는 외도들은 극단에 떨어진다. 이미 깨달은 모든 부처님이라면 깨달음의 주체가 되어서 이 세간에서 홀로 성취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모두 이러한 뜻을 알지 못한다.

부처님은 다 깨닫고 나서 대중들에게
내가 없음[無我]을 설하였다.
일찍이 『성유경(城喩經)』에서
부처님께서 이러한 뜻을 설하셨다.

세존께서는 이 중도를 깨닫고 나서 모든 대중들에게 내가 없음을 설하셨다. “비구들이여, 나와 나의 것이 있다고 여기는 어린아이와 같은 범부와 법을 들은 적이 없는 부류는 가명(假名)에 수순해 떨어진다. 그 가운데에는 다시 나도 없고 나의 것도 없다. 비구들이여, 생길 때에는 다만 고통이 생기고 소멸할 때에는 다만 고통이 소멸한다.”
부처님께서 이미 『성유경』에서 이러한 뜻을 말씀하신 것과 같다. 또,

『가전연경(迦栴延經)』에서는
정견(正見)과 공견(空見)을 설하시고,
『파라구이경(破邏具膩經)』[장수(張宿)의 이름이다]에서도
수승한 공(空)에 대해 설하셨다.

이들 세 가지 경(經)과 다른 곳에서 이와 같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으니, 그것 또한 이와 같다.

만약 반연하여 생김[緣生]을 바로 알면
그러한 앎은 공과 상응한다.
만약 연생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그것의 공함도 알지 못한다.

앞에서 연생을 말한 것처럼 만약 바른 앎이 있으면 차별 없음을 아는 것인데, 또 무엇을 알 수 있는가? 공에 대해 알게 된다. ‘만약 연생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그것의 공함도 알지 못한다’는 것은 만약 연생에 대해 알지 못하면 그것이 공한 것에 대해서도 깨달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만약 공(空)에 대해 자만[慢]을 일으키면
오취온(五取蘊)을 싫어하지 않게 되니,
만약 그것에 대해 알지 못하면
이는 곧 연생의 의미를 미혹하는 것이다.

‘만약 공에 대해 자만을 일으키면 오취온을 싫어하지 않게 된다’는 것은 만약 공에 대해 자만심을 일으키면 오취온[五受衆]에 대해 싫어해 여의려는 마음이 생기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만약 그것에 대해 알지 못하면 이는 곧 연생의 의미에 대해 미혹하게 된다’란, 만약 제대로 알지 못하면 이러한 연생의 의미를 미혹하기 때문이다. 네 가지의 견해 중에서 어떤 견해를 따라 취하게 되는가? 첫째는 소멸하여 없어져 버린다는 견해[斷見], 두 번째는 항상한다는 견해[常見], 세 번째는 자유자재로 말하는 대로 변한다는 견해[自在化語], 네 번째는 오직 숙세에 지은 업에 따른다는 견해이다.

연생을 미혹하지 않기 때문에
자만을 여의고 그것이 공함을 안다.
또한 오취온을 싫어하기 때문에
업과 과보의 화합[業果合]을 미혹하지 않게 된다.

‘연생을 미혹하지 않기 때문에 자만을 여의고 그것이 공함을 안다’는 것은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각각의 연생을 미혹하는 마음이 없고 아울러 나와 나의 것을 취하는 것에서 자만을 여읜다면, 그러면 능히 법대로[如法] 공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오취온을 싫어하기 때문에 업과 과보의 화합에 대해 미혹되지 않게 된다’는 것은 오취온[五受衆]에 대해 나와 나의 것을 취하기 때문에 모든 세간에서의 ‘윤회’가 멈추지 않게 되고, 그 오취온을 싫어하여 여의려는 마음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업과의 상속에 대해 전도되지 않고 미혹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또 묻는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업이 반연을 지어 계속 생기니,
이것을 반연하지 않음이 없다.
연이 공하므로 반드시 이러한
업보의 수용(受用)이 있게 된다.

‘업이 반연을 지어 계속 생기니, 이것을 반연하지 않음이 없다’란 번뇌와 업의 염오[染]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러한 청정하거나 청정하지 않은 업으로써 중생을 밀어내 버려 옆ㆍ위ㆍ아래에서 상속(相續)하여 생겨난다. 만약 이러한 업(業)이 없다면 연을 짓지 않는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업을 짓지 않았는데도 오게 되고, 또 이미 지었는데도 잃게 된다. ‘온다[來]’는 것은 업을 짓지 않았는데도 그 과보가 곧 오는 것을 말하고, ‘잃는다[失]’는 것은 업을 이미 지었는데도 그 과보를 문득 잃는 것을 말한다. ‘연이 공하므로 반드시 이러한 업과 과보의 수용이 있게 된다’란 이러한 청정하거나 청정하지 않은 업으로 인해 과보의 수용이 있다면, 곧 자성(自性)이 공한 것이다. 본래 내가 있어 연을 짓고 과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니, 저 자성이 공함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지금 그 뜻을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열두 가지의 차별이
연으로 생김은 이미 앞에서 설하였다.
저 번뇌와 업과 괴로움의
셋 가운데 법대로[如法] 포섭된다.

무명을 처음으로 하고 노사를 끝으로 하는 이 열두 가지 연생의 차별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그 가운데 세 가지는 번뇌에, 두 가지는 업에, 일곱 가지는 고(苦)에 모두 포함된다.

세 가지에서 둘이 생기고,
둘에서 일곱이 생기며
일곱에서 다시 셋이 생기니
이와 같이 바퀴처럼 돌고 돈다.

무명ㆍ갈애ㆍ취의 세 가지에서 행ㆍ유의 두 가지가 생긴다. 이 두 가지에서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생ㆍ노사의 일곱 가지가 생긴다. 이 일곱 가지에서 앞에서 말한 세 가지가 다시 생긴다. 이 세 가지에 또 두 가지가 생기고, 이 두 가지에서 또 다시 일곱 가지가 생긴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는 차례로 끊임없이 바퀴와 같이 돌고 돈다.

원인과 결과로 존재하는 모든 세간에
중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오직 공한 법(空法)에서
다시 공한 법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다.

‘원인과 결과로 존재하는 모든 세간에 중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란 무명ㆍ행ㆍ갈애ㆍ취ㆍ유의 다섯 가지를 원인이라 하고,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생ㆍ노사의 일곱 가지를 결과라고 한다. 이들이 존재하는 모든 세간, 즉 나[我]거나, 혹은 중생이나, 혹은 목숨[壽]이나, 혹은 태어나는 자[生者]거나, 혹은 장부(丈夫)나, 혹은 사람이나, 혹은 행위를 짓는 주체[作者]와 같은 이런 것들을 첫머리로 삼아서 차례로 분별하면 모두 공허할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것은 어떻게 생기는 것인가? ‘이는 오직 공한 법에서 다시 공한 법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다’란 말하자면 자성의 공함[自性空] 가운데 오직 거짓 이름[假名]뿐인 번뇌ㆍ업ㆍ과이니, 단지 따로 공한 거짓 이름이 있어 번뇌ㆍ업ㆍ과의 법이 생김을 말한다. 이것이 그 뜻이다.

연(緣)에 의지해 번뇌가 생기고
연에 의지해 또 업도 생기며
연에 의지해 과보가 또한 생기니,
어느 것도 연 없이 생기는 것은 없다.

만약 번뇌가 있으면 곧 수없이 많은 종류의 업이 있게 되고, 그 갖가지의 업에서 과보가 생기게 된다. 그들은 모두 인(因)을 공유하고 연(緣)을 공유하고 있으니, 어디에도 인연 없이 생기는 것은 없음을 알아야 한다.
또 이러한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이제 다시 비유를 말한다.

송(誦)ㆍ등불[燈]ㆍ도장[印]ㆍ거울[鏡]ㆍ소리[音],
햇빛[日光]ㆍ씨앗[種子]ㆍ식초[酢]와 같이,
오온은 이어지지 뛰어넘어 이르는 것이 아니니,
지혜로운 자는 이 두 가지를 잘 관찰해야 한다.
가령 송(誦)에는 송을 가르치는 자와 송을 배우는 자가 있는데, 가르치는 송이 배우는 사람에게 이르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가르친 송은 여전히 가르치는 사람에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르친 송이 상속하는 것도 아니니, 그 이유는 스스로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등불이 차례로 생겨날 때 처음의 등불이 뛰어넘어 이르는 것도 아니고 두 번째 등불이 원인 없이 생기는 것도 아님과 같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장[印]과 찍힌 형상[像]의 두 가지, 얼굴[面]과 거울[鏡]의 두 가지, 소리[聲]와 메아리[響]의 두 가지, 햇빛[日]과 불[火]의 두 가지, 씨앗[種子]과 싹[芽]의 두 가지, 식초[酢]와 입 속의 침[舌涎]의 두 가지, 이러한 것들은 모두 뛰어넘어 이르는 것도 아니고 생기지 않는 것도 아니며, 인(因) 없이 그 두 가지가 생기는 것도 아니다. 오취온이 상속하여 이를 때에 첫 번째의 취온이 뛰어넘어 이르는 것도 아니고 두 번째의 취온이 생기지 않는 것도 아니며, 인(因) 없이 생기는 것도 아니다. 지혜 있는 사람은 이 오취온의 상속이 뛰어넘지 않고 차례로 도달함을 응당 바르게 관찰해야 한다.
또 외수용(外受用)과 내수용(內受用)에 각각 열 가지가 있다는 것을 올바로 관찰하여야 한다. 그 중에 외수용의 열 가지란, 첫째는 항상하지 않음[非常], 두 번째는 완전히 끊어짐이 아님[非斷], 세 번째는 뛰어넘어 이르는 것이 아님[不超到], 네 번째는 중간이 없음[無中間], 다섯 번째는 앞의 몸이 아님[非彼體], 여섯 번째는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님[非別異], 일곱 번째는 짓는 자가 없음[無作者], 여덟 번째는 원인이 없지 않음[非無因], 아홉 번째는 생각 생각이 공함[念念空], 열 번째는 같은 종류의 결과가 함께 묶임[同類果相繫]이다.
저 외부의 모든 종자[外種]는 남김없이 없어지기 때문에 항상하는 것이 아니고, 싹이 생겨 나오기 때문에 완전히 끊어짐이 아니다. 종자가 소멸하여 다 없어졌을 때 그 싹은 본래 없었으나 지금 생기기 때문에 뛰어넘어 이르는 것이 아니다. 저 상속하는 바가 단절됨이 없이 원인과 결과가 서로 묶여 있기 때문에 중간(中間)이 없는 것이다. 종자와 싹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앞의 몸이 체(體)는 아니고, 그것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것도 아니다. 인연이 화합한 것이기 때문에 짓는 자가 없으며, 종자가 원인이기 때문에 원인이 없지도 않다. 종자ㆍ싹ㆍ줄기ㆍ가지ㆍ잎ㆍ꽃ㆍ열매 등이 서로 연결되어 서로 생겨나기 때문에 생각 생각이 공하다. 달고 시고 짜고 쓰고 맵고 떫은 것은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겨나기 때문에 같은 종류의 결과가 함께 묶이는 것이다.
그 중 내수용의 열 가지란, 첫째는 죽은 오취온은 남김없이 멸하기 때문에 항상하지 않는다. 두 번째, 다음 생의 오취온을 얻기 때문에 끊어지지 않는다. 세 번째, 죽은 오취온이 남김없이 없어졌을 때 다음 생의 오취온이 본래는 없다가 이제 생기기 때문에 뛰어넘어 이르는 것이 아니다. 네 번째, 오취온이 상속하며 끊어짐이 없고 원인과 결과로 서로 묶여 있기 때문에 중간이 없다. 다섯 번째, 죽은 오취온과 다음 생의 오취온이 다르기 때문에 앞의 몸[彼體]이 아니다. 여섯 번째, 앞의 것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르지 않다. 일곱 번째, 인연의 화합으로 생겼기 때문에 짓는 자가 없다. 여덟 번째, 번뇌와 업이 원인이기 때문에 원인이 없지는 않다. 아홉 번째, 가라라(迦羅邏, kalala)ㆍ알부타(頞浮陀, arbuda)ㆍ폐시(箄尸, peśi)ㆍ가나(伽那, ghana)ㆍ발라사거(鉢羅奢佉, praśakhā)ㆍ출태(出胎)ㆍ갓난아기ㆍ어린아이ㆍ청소년ㆍ어른 등으로 연결되어 상속하여 생기므로 생각 생각이 공하다. 열 번째, 선(善)과 불선(不善)의 훈습은 원인의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져 나오므로 같은 종류의 결과[同類果]가 함께 묶인다.
또 세 개의 게송이 있다.

마치 등불이 불꽃이 끊임없이 타오르듯이
식신(識身) 또한 마찬가지라서
앞 찰나[先際]와 뒤 찰나[後際]가
모여 쌓임이 없다.

생기지 않는 것[不生]과 생기는 것[生]에 대해
파괴해서 상에 집착하지 않으며,
생겨났어도(生已) 머무르지 않으니,
이것이 업의 굴림[業轉]을 짓는다.

만약 저 연생(緣生)에 대해
능히 잘 관찰하여 공함을 알게 되면
그것이 시설한 가르침이고
그것이 또한 중도(中道)라네.

이 가운데 무명ㆍ행ㆍ갈애ㆍ취ㆍ유는 집제(集諦)이고, 식ㆍ명색ㆍ육입ㆍ촉ㆍ수ㆍ생ㆍ노사는 고제(苦諦)이다. 이들 열두 가지가 소멸하는 것이 멸제(滅諦)이다. 만약 연생(緣生)에 대해 진실하게 알게 되면 이것이 도제(道諦)이다.
017_0798_a_01L緣生論聖者鬱楞迦造大隋南印度三藏達磨笈多譯從一生於三 從三轉生六 六二二更六從六亦生六 從六有於三 此三復有三三復生於四 四復生於三 從三生於一彼一復生七 於中所有苦 牟尼說皆攝十二種差別 善淨說爲空 緣生分力故應知十二法 無智與業識 名色根三和知渴及以取 集出熟後邊 初八九煩惱第二第十業 餘七皆是苦 三攝十二法初二是過去 後二未來時 餘八是現在此謂三時法 惱起業感報 報還生煩惱煩惱復生業 亦由業有報 離惱何有業業壞亦無報 無報則離惱 此三各自滅五分因生果 名爲煩惱業 七分以爲果七種苦應念 因中空無果 因中亦無因果中空無因 果中亦無果 因果二俱空智者與相應 梵本一偈今爲一偈半世中四種分 因果合故有 煩惱業果合念欲爲六分 有節所攝故 二節及三略因果雜爲節 三四節摠略 二二三三二苦時有五法 作者胎境界 發轉生流行迷惑發起果 報流果爲二 相應根分中一一三二分 熱惱貧乏果 轉出津流果相應他分中 二一一一法 此有十二種等力緣自生 無衆生無命 無動以慧知無我無我所 無我無我因 四種無智空餘分亦如是 斷常二邊離 此卽是中道若覺已成就 覺體是諸佛 覺已於衆中仙聖說無我 曾於城喩經 導師說此義迦栴延經說 正見及空見 破邏具膩經張宿名也亦說殊勝空 緣生若正知 彼知空相應緣生若不知 亦不知彼空 於空若起慢則不厭受衆 若有彼無見 則迷緣生義緣生不迷故 離慢彼知空 及厭受衆故不迷業果合 業作緣續生 亦非不緣此空緣當有此 業報受用具 十二分差別前已說緣生 彼煩惱業苦 三中如法攝三中生於二 二中生於七 七中復生三有輪如是轉 因果諸生世 無別有衆生唯是於空法 還自生空法 藉緣生煩惱藉緣亦生業 藉緣亦生報 無一不有緣誦燈印鏡音 日光種子酢 衆續不超到智應觀彼二緣生三十論本竟緣生三十論我當隨順次第解釋從一生於三 從三轉生六 六二二更六從六亦生六從一生於三者一謂無智此無智者名無明於苦集滅道中不覺知故爲無智由無智故則有福非福不動說名三行及身行口行心行等從其轉生從三轉生六者從彼三行生六識身所謂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六二者彼六識身轉生二種謂名色二更六者名色二種轉生六所謂眼入耳入鼻入舌入身入從六亦生六者從彼六入轉生六所謂眼觸耳觸鼻觸舌觸身觸意觸從六有於三 此三復有三 三復生於四四復生於三從六有於三者從彼六觸轉生三受所謂樂受苦受不苦不樂受此三復有三者還從彼等三受轉生三種渴所謂欲渴愛有渴愛無有渴愛復生於四者從彼三種渴愛轉生四所謂欲取見取戒苦行取我語取四復生於三者從彼四取轉生三有所謂欲有色有無色有從三生於一 彼一復生七 於中所有苦牟尼說皆攝從三生於一者還以彼等三有作緣生當來一種生彼一復生七者還從彼一當有老死憂悲苦惱困等七種於中所有苦牟尼說皆攝者於中無明爲始困爲終無量種苦世尊略說皆此所攝十二種差別 善淨說爲空 緣生分力故應知十二法十二種差別善淨說爲空者此無智各別不雜有十二分又彼皆自性應當正見如此所說唯是空法生空法緣生分力故應知十二法者若以次第生分力故彼十二法如是應知彼中迷惑相者是無明彼行句處積集當有相者是行彼識句處受生分轉出相者是識彼名色句處名身色身和合相者是名色彼六入句處相安置相者是六入彼觸句處眼色識共聚相者是觸彼受句處不愛受用相者是受彼渴愛句處無厭足相者是渴愛彼取句處執持攝取相者是取彼有句處名身色身相者是有彼生句處五衆出生相者是生彼老句處成熟相者是老彼死句處命根斷者是死彼憂句處高擧相者是憂彼悲句處哭聲者是悲彼苦句身燒熱相者是苦彼惱句處心逼惱相者是惱彼困句處極疲乏相者是困無智與業識 名色根三和 知渴及以取集出熟後邊於中無智者是無明業者是行識者是名色者是五衆摠聚根者是入和者是觸知者是受渴者是渴愛者是執持集者是有出者是生熟者是老後邊者是死又此等差別相攝我當次第說之於中業煩惱報差別初八九煩惱 第二第十業 餘七皆是苦三攝十二法三煩惱者無明渴愛取二業者行有七報者識名色六入觸受生老死等此十二法三種所攝又時差別初二是過去 後二未來時 餘八是現在此謂三時法無明行初二種過去時中生老死後二種未來時中識名色六入觸受有八種現在時中又此等各各次第相生惱起業感報 報還生煩惱 煩惱復生業亦由業有報煩惱業報三種如前所說由彼煩惱故有業由業故有報還由報故有煩由煩惱故有業由業故有報問曰由煩惱盡各各寂滅其義云何答曰離惱何有業 業壞亦無報 無報則離惱此三各自滅若其此心無煩惱染則不集業若不作業則不受報若滅報者亦不生煩如是此三各各自滅又此等有因果分五分因生果 名爲煩惱業 七分以爲果七種苦應念五種因名爲煩惱業者如前所說無明行渴愛取有是也七種果轉生者前所七種苦所謂識名色六入觸受生老死是也又此因果二種空果 因中亦無因 果中空無因果中亦無果 因果二俱空 智者與相應梵本本一偈今爲一偈半若此所說因果二種於中若因空果果亦空因如是因亦空因果亦空果於此四際當與相應又此更有別分世中四種分 因果合故有 煩惱業果合念欲爲六分世中四種分因果合故有者道中五種因及七種果和合故摠略爲四種次第有四種分於中無明過去時中二法爲第一分名色觸受現在時中爲第二分渴愛亦是現在時中爲第三分老死未來時中二法爲第四分此謂四種分也煩惱業果合念欲爲六分者惱業報三種和合以次第故於二根有六種分於中無明所攝乃至受以無明爲根渴愛所攝乃至老死渴愛爲根無明根中無明是煩惱分行是業分名色六入觸受是報分渴愛根中渴愛取是煩惱分有是業生老死是報分又節分摠略有節所攝故 二節及三略 因果雜爲節三四節摠略有節爲本發起二節所謂有生兩閒爲第一節行識兩閒是第二節此二竝爲業果節受渴愛中因果共雜第三節此之三節復爲四種摠略無行二種是第一摠略名色六入觸受五種是第二摠略渴愛取有三是第三摠略生老死二種是第四摠略此謂三節及四摠略又此等法中住時差別二二三三二 苦時有五法 作者胎境界發轉生流行二二法者無明行說爲二種識名色說爲二種三三者六入觸受說爲三渴愛取有說爲三種又二者生老死說爲二種此等五法是苦時中作者胎藏境界發轉出生於中流行數當知於中無明行二種說爲苦時中作者應如是見名色二種說爲苦時中胎藏應如是見六入受三說爲苦時中境界渴愛有三種說爲苦時中發轉老死二種說爲苦時中出生又果差別迷惑發起果 報流果爲二 相應根分中一一三二分如前所說此無明根及渴愛根於無明根第一分中迷惑發起名四種果一三二數分之中隨其次第當與相應於中無明是迷惑果行是發起果名色六入是報果受是津流果復有餘殘果熱惱貧乏果 轉出津流果 相應他分中二一一一法如前所說第二渴愛根分中熱惱貧乏轉生津流果等隨其數分二於此法中當與相應於中渴愛是熱惱果有是貧乏果生是轉出果老死是津流果如是此等則有八果此有十二種 等力緣自生 無衆生無命無動以慧知如是無明爲初老死爲邊有十二分平等勝故各各緣生而無衆生無壽無動作以慧應知於中無衆生者以不牢固故無壽命者以無我故動作者以無作者故無我無我所 無我無我因 四種無智空餘分亦如是於無我中無智無我所中無智無我中無智無我因中無智此中以無我四種無智空如四種次第無智空如是行等餘分亦皆是空應當知之斷常二邊離 此卽是中道 若覺已成就覺體是諸佛有是常攝無是斷攝如此二邊彼作緣彼處彼處諸有轉生離此二邊是中道若無智諸外道則墮於邊已覺悟諸佛世尊則爲覺體於此世獨能成就餘人悉無此義覺已於衆中 仙聖說無我 曾於城喩經導師說此義彼亦是此中道覺已於諸衆中佛說無我所謂比丘有我我所小兒凡夫無聞之類順墮假名於中無復我及我所比丘生時但苦生滅時但苦滅如城喩經中導師已說此義迦栴延經說 正見及空見 破邏具膩經張宿名也亦說殊勝空此等三經及以餘處如是之相世尊已說彼亦是此緣生若正知 彼知空相應 緣生若不知亦不知彼空於前所說緣生若有正知彼知無異彼復何知謂知於空緣生若不知不知彼空者於此緣生若其不知於彼空不能解入應當知之於空若起慢 則不厭受衆 若有彼無見則迷緣生義於空若起慢則不厭受衆者若起空則於五受衆中不生厭離若有彼無見則迷緣生義者若復由於無見迷此緣生義故則於四種見中隨取何見一者斷見二者常見三者自在化語四者唯依宿世所作緣生不迷故 離慢彼知空 及厭受衆故不迷業果合緣生不迷故離慢彼知空者於前所各各緣生中若無迷心及於攝取我我所中若得離慢彼則如法能入於空及厭受衆故不迷業果合者受衆中攝取我我所故則遍世閒轉不息於彼受衆起厭離故於此業果相續則無顚倒亦不迷惑又問此義云何業作緣續生 亦非不緣此 空緣當有此業報受用具業作緣續生亦非不緣此者煩惱業如前所說彼以如是淨不淨業遣衆生傍及上下相續而生若非此則不作緣若不然者則未作竟而及已作竟而失來謂業未作竟其果卽來失謂業已作竟其果便失空緣當有此業報受用具者若由此等淨不淨業有報受用則自性是空本無有我作緣發生彼自性空亦應當彼義今更略說十二分差別 前已說緣生 彼煩惱業苦三中如法攝無明爲初老死爲邊是十二分緣生差別如前所說彼中三是煩惱二是七是苦皆已攝入三中生於二 二中生於七 七中復生三有輪如是轉無明渴愛取三種所生行有二種二所生名色六入老死七彼七分中如前所說還生三種三復二其二更七是故二種次第不此之有輪如是普轉因果諸生世 無別有衆生 唯是於空法還自生空法因果諸生世無別有衆生者無明渴愛取有五種名因名色六入老死七種名果此等所有普遍世閒若我若衆生若壽若生者若丈夫若人若作者是等爲首次第分別其唯虛誑應當知之彼云何生唯是於空法還自生空法謂自性空中名煩惱業果唯有別空假名煩惱業果法生此是其義藉緣生煩惱 藉緣亦生業 藉緣亦生報無一不有緣若有煩惱則有種種無量種業及種種業所生果報彼皆共因共緣應當知之無有一處無因緣者又爲明彼義今更說譬喩誦燈印鏡音 日光種子酢 衆續不超到智應觀彼二如誦有教誦者受誦者所有教誦到受誦何以故教誦者仍安住故教誦者亦不相續何以故自不生故如燈次第生非是初燈超到亦非第無因而生如是印與像二種面與鏡二種音與響二種日與火二種子與芽二種酢與舌涎二種此等所皆不超到亦非不生亦非無因生彼二種五受衆相續到時非是初受衆超到而第二受衆亦非不生非無因而生智者於此受衆相續不而次第到應當正觀又外內受用俱有十種皆應當見中外十種者一者非常故二者非斷三者不超到故四者無中閒故者非彼體故六者非別異故七者無作者故八者非無因故九者念念空十者同類果相繫故彼外所有種子滅無餘故非常芽出生故非斷種子滅無餘已其芽本無今有生故超到彼所相續無有斷絕因果相繫無中閒種子芽差別故非彼體彼出生故非別異因緣和合故無作者種子爲因故非無因種子芽莖枝果等傳傳相生故念念空鹹苦辛澀隨因差別果轉出故同類果相繫於中內十種者一者死邊受滅無餘故非常二者得次生分受衆故非斷三者死邊受衆滅無餘已次生分受衆本無今有生故不超到四者受衆相續無有斷絕因果相繫無中閒五者死邊次生分受衆差別故非彼體六者從彼出生故非別七者因緣和合故無作者八者煩惱業爲因故非無因九者迦羅邏浮陁箄尸伽那奢佉出胎嬰孩童子少年長宿等傳傳相生故念念空者善不善熏隨因差別果轉出故類果相繫又有三偈如燈炎轉生 識身亦如是 先際與後際亦無有聚集 無生亦有生 破壞無相著生已亦無住 而此作業轉 若於彼緣生而能觀知空 爲其施設教 彼亦是中道於中無明渴愛是爲集諦名色六入生老死是爲苦諦等十二分滅是爲滅諦若於緣生實能知是爲道諦緣生論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공(空)을 말한다.
  2. 2)업보의 수용(受用)을 말한다.
  3. 3)원인(因)과 결과(果)라는 조건(緣)을 말한다.
  4. 4)구처(句處)란 이치(理致)`의미(意味) 등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