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卷第三 詩

ABC_IT_K0429_T_003
013_0974_c_01L
금강정유가중략출염송경 제3권


금강지 한역
김영덕 번역


다시 다음에 이와 같이 사유한다. 나는 등정각을 이루어 머지 않아 일체여래의 보현심과, 일체여래의 허공에서 생한 바의 마니보(摩尼寶)로써 이를 관정함과, 일체여래관자재법지바라밀(一切如來觀自在法智波羅蜜)과 일체여래비수갈마성(一切如來毘首羯磨性)의 불공무장애교령(不空無障碍敎令)을 소의(所依)로 하여 바라는 바를 모두 다 성취하여 원만하게 한다. 나는 지금 응당 일체법계에 두루 흘러서 허공계와 일체의 세계에 가득하고, 구름 바다 가운데에 변만하며, 일체여래의 평등성지(平等性智)의 모든 신통을 현증한다. 낱낱 세간의 안립하는 곳에서 일체중생을 위하여 마땅히 일체여래의 대보리심을 발하고, 보현의 (행)을 성취하며, 갖가지로 일체여래의 종족(種族)에 봉사하여 대보리도량에 나아간다. 응당 시현해서 일체의 마군을 항복시키고 일체여래의 평등성지의 마하보리를 증득해야 한다. 마땅히 법륜을 굴리고 일체의 외도를 항복시키고 내지 두루 다함없는 일체중생을 구호해야 한다. 마땅히 저들에게 갖가지의 안락과 열의(悅意)를 주어야 한다. 응당 일체여래의 신통종지(神通種智)와 최상의 실지를 성취한다.
다른 예를 들어 비유하면, 일체의 중생에게 동자(童子)를 시현하고, 왕궁에서 노닐고, 성을 넘어 출가하고, 현실로 고행을 닦으며, 외도는 내가 있는 곳에 찾아온다.
다시 마땅히 일체여래의 신변을 사유해야 한다. 다시 응당 나 또한 아직 전혀 희론을 여의지 않았음을 시현해야 한다. 나는 마땅히 일체여래의 삼마지에서 생한 바의 능현일체청정(能現一切淸淨)으로써 일체세간의 희론을 결정(決定)해야 한다. 일체세계의 청정을 위하여 마땅히 이 법으로써 일체여래부(一切如來部)의 만다라와 응당 지어야 할 바의 만다라를 관찰하고, 그 중에서 법식(法式)과 같이 앉아 수습하고 자신을 가지한다. 이로써 마하보리살타의 마하계(摩訶契; 이른바 금강살타계가 바로 이것이다.)를 결하기 위하여 이 계법(契法)의 가지(加持)를 갖추고 나서 일어난다. 지우(止羽)1)로써 금강권을 만들고 관우(觀羽)2)는 바저라를 잡고 위맹한 모습을 보이며 널리 두루 처치(處置)를 관찰한다. 나는 바저라살타(跋折羅薩埵)로서 이를 안행(按行)한다고 칭한다.
그 작단(作壇)의 장소는3) 혹은 따로 정실(淨室)을 만들고, 혹은 오래된 정실을 사용해야 한다. 택지(擇地) 등의 법은 소실지경(蘇悉地經)의 설과 다르지 않다. 내지 치지(治地)에는 구마(瞿摩)4)를 사용하고 도정(塗淨)은 언제나 이에 준(准)한다.
다음에 여러가지를 합하여 비벼서 굵게 얽은 밧줄을 단엄(端嚴)하게 구족함으로써 그 주량(肘量)을 칭한다. 지자(智者)는 그 능력에 따라서 밧줄로써 그 단에 먹줄을 친다. 단형(壇形)의 사방에 사문이 있고, 사길상(四吉祥)으로 장엄하며, 사도(四道)의 밧줄을 갖춘다. 비단번개를 걸고, 이로써 모든 모서리의 사잇문의 틈을 장엄하고, 바라볼 틈새를 낸다. 금강보5)로 사이를 장엄하며 외단장(外壇場)에 먹줄을 친다. 혹은 염부제(閻浮提)의 자재왕(自在王)으로 되고 혹은 전륜왕(轉輪王)으로 된다. 마땅히 단장을 그려야 한다. 주위는 1유순을 넘지 않는다. 대위덕의 아사리는 점점 작게 해서 또한 응당 이에 4주의 크기로 단장을 만들어야 한다.
지자는 응당 교화를 받기에 감당할만한 자를 관찰하여 뜻에 따라서 크기를 재고, 그 단장을 결(結)하여도 역시 과실이 없게 한다. 응당 교화받는 자를 이익되게 하고자 하여 금강살타를 단장에 세운다. 이름하여 금강계(金剛界) 등이라 한다. 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설령 손바닥 안일지라도 뜻에 따라서 저들 일체의 단장을 지어도 능히 이익된다. 하물며 땅 위에서랴.
그 사주(四肘)의 단법(壇法)이란 네 변의 테두리는 각각 넓이가 12지이다. 그 가운데에서 응당 포(布)에 채색하고, 현겁(賢劫) 등의 보살을 그려야 한다. 이른바 자씨6), 아시다(阿時多)7) 등과 수문공양자(守門供養者)라 이름한다. 또한 넓이는 10지(指) 반, 1맥(麥)의 크기에 또 반을 더한다. 그 모든 문의 크기는 4주 가운데 9분의 1을 취한다. 문에 들어가서 점점 넓게 한다. 만약 단을 그리는 승려가 이와 같은 법에 의하여 그린 것이 있다면 모든 마하살타를 전부 환희하게 한다. 그 문 밖은 모름지기 문의 넓고 좁음에 의거해야 한다. 반을 취하고 밖으로 끌어내며 의거하여 1배를 취하며, 각각 횡으로 굽힌다. 위에 준하여 크기를 비슷하게 한다. 각각 수직으로 그린 것은 양 변이 서로 마주보게 하고, 가로로 그린 것은 합하라. 그 바깥 둘레의 1면의 3분의 1을 취하고 중심으로부터 동그랗게 둘러서 윤(輪)으로 한다. 또 그 가운데의 3분의 1을 취하고 중심으로부터 위와 같이 동그라미를 둘러서 윤(輪)으로 한다. 그 단의 중앙의 문자륜(門子輪)은 가로 세로로 8선도(八線道)를 내리고, 바저라(跋折羅)를 전각의 기둥과 같게 한다. 이로써 여덟 기둥이 된다고 관상해야 한다.
그 대원륜(大圓輪)을 장엄하고 또한 바저라의 상을 모두 5색으로 만든다. 혹은 108, 혹은 37의 뾰족한 모양이 버티어 접하고, 들어가는 문으로부터 동북간에 이르러 길상문(吉祥門)을 세우고 버틴다. 이와 같은 외단(外壇)을 지자는 이 법으로써 그리고 나서 사월륜(似月輪)8)에서 그 중궁(中宮)에 들어가 금강선도(金剛線道)를 포치하고, 8주로써 엄식하여 금강주 위에 세우는데 각각 5월륜(五月輪)9)으로써 한다. 내단의 중앙에 각각 불상을 안치하고, 부처의 사면과 모든 단의 중심에 각각 차례대로 네 분의 삼마야존승자(三摩耶尊勝者)를 그린다. 다시 금강세(金剛勢)로써 가르고 나서 사단(四壇)에 들어간다. 금강세란 뜻의 경거(擎擧)로써 그리는 것이다. 내지 금강선(金剛線)에서 또는 들어가고 또는 나올 때, 단을 그리는 사람은 금강선도를 기모(騎慕)하지 못한다. 응당 밀어를 송하며, 이를 들고 아래로부터 지나야 삼마야를 잃지 않는다. 곧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비가 갈라 마 훔
唵 跋折囉 鞞伽此二字本無 羯囉二合摩 吽10)

아축 등의 사불을 모두 응당 포치해야 한다. 처음에 금강방(金剛方)11)으로부터 아축비의 단을 그리고, 집금강 등의 네 삼마야의 존승자를 갖춘다. 사방의 불면(佛面)이 비로자나의 자리로 향한다고 관해야 한다. 우선 집금강을 그려서 아축의 앞에 두고 다음에 오른쪽을 그린다. 다음에 왼쪽, 다음은 뒤이다. 제부(諸部)는 여기에 준한다. 다음에 보방(寶方)12)에 이른다. 보생단(寶生壇)은 금강장(金剛藏) 등을 원만하게 한다. 다음에 화방(花方)13), 아미타단(阿彌陀壇)은 청정금강안(淸淨金剛眼) 등이다. 업방(業方)14)의 불공실지단(不空悉地壇)은 금강비수(金剛毘首) 등이다. 밤부(鍐部)15) 가운데에서 각각 본방에 의지하여 사바라밀을 둔다. 윤(輪) 내의 사우(四隅)에 4내공양16)을 둔다.
처음에 화천(火天)의 방향17)으로부터 순서대로 돌아서 만들고 자재의 방향18)에서 끝난다. 외단의 사각(四角)의 선도(線道) 가운데에 외공양19)을 둔다. 작법은 앞과 같다. 또 사각의 밖에 반바저라를 만들고 사문의 사이에 사섭의 수문자(守門者)를 그린다. 바깥의 단장 가운데에 응당 마하살타를 두어야 한다. 일체상을 구족하고 능히 일체를 이익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법식(法式)을 아는 금강아사리는 미란심(迷亂心)이 없게 해서 응당 모든 존수자(尊首者)를 그려야 한다. 만약 능력이 없어서 그리지 못하면 곧 갖가지 채색으로써 각각 그 부인(部印)20)을 그리고 승구공덕자(勝具功德者)의 존수(尊首)를 모두 다 여기에 둔다.
일체의 보말(寶末)로써 분(粉)을 삼고, 혹은 갖가지의 타도분(馱覩粉)(주사석(朱沙石)은 록(綠),공(空)은 청(靑) 등이 이것이다)으로써, 혹은 다시 뛰어나고 묘한 오색(五色)으로 물들인 쌀가루 등의 것으로써 응당 안으로부터 우선 색을 칠해야 한다. 처음에 백색을 칠하고 다음에 적색, 다음에 황록이다. 모두 내원(內院)에 두어야 한다. 그 외원(外院)은 흑색을 사용해서 칠하고, 오색 중에서 각각 글자를 관상하여 이를 가지하라. 백색 가운데에 밤자(鍐字)21)를 상착(想着)하고, 적색 가운데에는 염(琰)22)자를 상치(想置)하고 황색 중에서 아람자(阿藍字)23)를 관상한다. 녹색 가운데에서는 람자(覽字)24)를 관상하고, 흑색 가운데에서는 함자(頷字)25)를 관상한다. 이와 같은 다섯 글자를 각각의 색 가운데에서 관상하고 나서 거기에서 오종의 여래지(如來智)(첫째를 법계체성지라 한다)를 사유한다. 대비의 마음으로써 일체세간의 번뇌에 침잠하기 위하여 오욕의 즐거움에 빠지고, 그로 하여금 퇴전치 않게 하기 위해서 유가의 사유로써 여래의 오종지에서 나는 마땅히 안립해야 한다. 이 인계를 결하고 나서 오종색 가운데에서 각각의 인계로써 이에 접촉하라. 그 결인하는 법은 두 금강권으로써 진(進)과 역(力)의 이도(二度)를 받들어 곁에 침처럼 서로 버티게 한다. 곧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짇다라 삼마야26)
唵 跋折囉 質多羅二合 三摩耶

이 밀어를 송할 때에 밝은 눈으로써 이를 보고 그 색이 현현하기를 바란다. 염치자(焰熾者)는 응당 성실하게 서언(誓言)으로써 가지해야 한다. 이 모든 중생에게는 애염(愛染)의 색이 많다. 제불은 다시 중생을 이익하게 하기 위해서 저 염애(染愛)에 따라서 성실한 말의 원(願)으로써 한다. 이 색들은 모두 불꽃을 발한다. 이 결단법(結壇法)은 분(粉)을 가지고 만든 것을 최고 제일(第一)로 삼는다. 오래 굳은 것을 취하고자 원하면 그림으로 그린 것도 역시 가능하다.
다음27)에 인(印) 그리는 법을 설한다. 밤윤단(鍐輪壇)28)의 가운데에 연화대를 그리고, 그 자리 위에 솔도파(窣堵波)29)를 둔다. 이것을 금강계자재인(金剛界自在印)이라 이름한다. 제석의 방향30)의 윤단(輪壇)의 연화좌 위에 횡으로 금강저 모양을 그린다. 횡저(橫杵) 위에 수직으로 바저라가 있다. 이것을 금강심인(金剛心印)이라 이름한다. 염라방(琰羅方)31)의 윤단의 화좌(花座) 위에 보주(寶珠)를 둔다. 이것을 기신관정인(己身灌頂印)이라 이름한다. 용방(龍方)32)의 윤단 중에 횡으로 바저라를 그리고, 위에 연화를 그린다. 이것을 화법기장인(花法器仗印)이라 이름한다. 야차방(夜叉方)33)의 윤단의 화좌 위에 갈마바저라(羯磨跋折羅)(형태는 십자(十字)와 같고 모두 봉인(鋒刃)이 있다.)를 그린다. 이것을 일체금강인(一切金剛印)이라 이름한다. 무릇 그리는 바의 인은 원광(圓光)을 갖추고 있다. 연화 위에 둔다. 또34) 금강부의 본위(本位)에 있어서 금강살타인(金剛薩埵印)을 그리고 두 바저라를 그려서, 세로로 나란히 세우고 위 아래의 1고(股)는 서로 교차시킨다.
다음에 또 두개의 바저라를 그린다. 그 형태는 전(箭)과 같게 한다. 다음에 칭선재(稱善哉)를 그린다. 주먹은 탄지상(彈指像)과 같게 한다. 다음에 손바닥 안의 보주(寶珠)를 그리는데 광명의 불꽃을 갖춘다. 다음에 금강일륜(金剛日輪)의 인(印)을 그린다. 위와 같이 광명의 불꽃이 있다. 다음에 보당(寶幢)을 그리고 그 위에 화염광(火焰光)을 그린다. 다음에 가로로 쌍바저라(雙跋折囉)35)를 그리고 중간에 노치(露齒)의 상(像)을 그린다. 다음에 바저라를 그리는데 허리에 연화가 있다. 다음에 금강도검(金剛刀劍)을 그린다. 치염광(熾焰光)을 갖추었다. 다음에 금강륜폭(金剛輪輻)의 금강을 그린다. 다음에 그 혀를 그린다. 혁혁(赫奕)한 광명을 갖추었다. 다음에 갈마금강을 그린다. 두루하여 모두 두면(頭面)이 있다. 횡으로 바저라를 그리는데 그 위에 반바저라(半跋折囉)가 있다. 다음에 갑주(甲冑)의 상을 그린다. 옷깃과 소매에 반저형(半杵形)이 있다. 다음에 횡저(橫杵)를 그린다. 위에 두 아(牙)가 있다. 다음에 횡저를 그리고 위에 두 금강권이 있다. 다음에 살타금강 등의 기험(記驗)의 인(印)을 그린다. 마땅히 금강희희(金剛喜戱) 등을 그려야 한다. 다시 그 밖에 의식에 따라서 각각 자인(自印)의 기(記)를 그려야 한다. 또 그 문 사이에서 모든 수문자(守門者)의 인기(印記)를 그려야 한다. 위와 같이 그리는 바의 인상(印像) 등은 모두 아래에 연화가 있고 위에 빛과 불꽃이 있다. 다음에 미륵 등36)의 자인(自印)의 기(記)를 그린다. 그려야 할 바의 것은 모두 뜻대로 그려야 한다.
또 천(千)의 보살37)을 관상한다. 각각 모든 방향에 계시면서 모두 엄식을 갖추었다. 스스로 어언(語言)의 인(印)으로써 이를 안립한다. 그런 연후에 단문(壇門)의 앞에 주하고 잘 널리 관찰하고 나서, 그 단의 공처계(空處界)의 밖에서 마땅히 수승하고 뛰어난 도향을 사용하여 이를 바른다. 외단의 밖에서 주위는 각각 넓게 1주(肘), 혹은 2주(肘)로 하고 수많은 묘한 도향으로 세밀하게 이를 바른다. 그 다음에 일체견(一切見)을 체험하기 위하여 마땅히 각각 자기의 어언의 인(印)을 두어야 한다. 그 단사(壇師)38)로서 큰 위덕이 있는 자는 스스로 제자로 하여금 궁극적으로는 여래의 위에 안주하도록 한다. 응당 결정해서 금강계마하살타 등의 주(呪)를 초화(抄畵)하여 각각 본위(本位)의 위에 두어야 한다. 이들은 자어언인(自語言印)이다. 모두 금강계의 문39)으로부터 생한다. 그 스스로 갈마에 따라서 상응하고 대위력을 갖춘다. 차제로 이 밀어를 송한다.

제1 바저라타도(跋折羅馱都)40)
제2 아촉비(阿閦毘)41)
제3 아라다나삼바바(阿羅二合怛娜二合三婆頗)42)
제4 로계섭벌라아라아(嚧計攝伐囉阿羅二合穰)43)
제5 아모가싣디(阿目伽悉地)44)
제6 바저라살타(跋折囉薩埵)45)
제7 바저라아라양(跋折囉阿囉二合穰)46)
제8 바저라아라가(跋折囉阿囉二合伽)47)
제9 바저라사도(跋折囉娑度)48)
제10 바저라아라다나(跋折囉阿囉二合怛那)49)
제11 바저라데아(跋折囉底穰而佉反)50)
제12 바저라계도(跋折囉計覩)51)
제13 바저라하사(跋折囉賀娑)52)
제14 바저라달마(跋折囉達摩)53)
제15 바저라뎨걸슬타(跋折囉帝乞瑟吒)54)
제16 바저라혜도(跋折囉係覩)55)
제17 바저라바사(跋折囉婆沙)56)
제18 바저라갈마(跋折囉羯磨)57)
제19 바저라아라걸사(跋折囉阿羅乞沙)58)
제20 바저라약사(跋折囉藥叉)59)
제21 바저라산디(跋折囉散地)60)
제22 살타바저례(薩埵跋折㘑)61)
제23 아라다나바저례(阿囉怛那跋折㘑)62)
제24 달마바저례(達摩跋折㘑)63)
제25 갈마바저례(羯磨跋折㘑)64)
제26 바저라라사(跋折囉邏斯)65)
제27 바저라마리(跋折囉摩囇)66)
제28 바저라의뎨(跋折囉擬提)67)
제29 바저라녈리데(跋折囉涅哩底)68)
제30 바저라두비(跋折囉杜鞞)69)
제31 바저라보스비(跋折囉補瑟萞)70)
제32 바저라로계(跋折囉嚧計)71)
제33 바저라건뎨(跋折囉建提)72)
제34 바저라구사아(跋折囉俱舍穰(而佉反))73)
제35 바저라파사 훔(跋折囉跛賖 吽)74)
제36 바저라살보타 밤(跋折囉薩普吒 鍐)75)
제37 바저라 미사 호(跋折囉 尾賖 護)76)

미륵 등의 일체의 보살에게 오직 하나의 아자(阿字)를 오로지 초(抄)한다. 그 색은 눈과 같으며, 혹은 월훈타화(月暈陀花)의 색과 같다. 혹은 그들의 위(位)에서 단지 금강살타의 자(字)를 초(抄)하고 혹은 그들의 명자(名字)를 초해야 한다.
16대보살77)은 제일 먼저 미륵을 그린다. 그 다음에 불공견(不空見), 다음에 능사일체악취(能捨一切惡趣)를 그리고, 다시 낙최일체흑암우뇌(樂摧一切黑闇憂惱)를 그려야 한다. 다음에 향상(香像)을 그린다. 다시 용맹(勇猛)을 그리고 다음에 허공장(虛空藏)을 그린다. 다음에 지당(智幢)을 그리고, 다음에 무량(無量), 다음에 월광(月光), 다음에 현호(賢護), 다음에 광망(光網), 다음에 금강장(金剛藏), 다음에 무진의(無盡意), 다음에 변적(辯積), 다음에 보현(普賢), 다음에 대광명 및 존재하는 불퇴전자(不退轉者), 모든 유정의 취(趣)에 머무는 자, 내지 모든 윤전유로(輪轉有路), 마하살대위덕자(摩訶薩大威德者)를 그려야 한다.
그 금강아사리는 마땅히 이들 및 나머지를 외단의 가운데에 둔다고 관상해야 한다. 비로자나78) 등의 제천(諸天), 욕계에 머무는 자, 마음에서 번뇌를 조복하려고 바라는 자 및 사리불(舍利弗)79) 등의 수없이 많은 모든 비구의 내예자(來詣者)는 모두 이를 사유한다. 또 대자재천(大自在天)80)은 그의 처, 권속, 시종의 무리 등과 함께 있음을 관상하라. 또한 허공천(虛空天), 환희자재천(歡喜自在天) 및 상주천(商主天)에 네 자매(姉妹)가 있고, 마하가라(摩訶迦羅)81), 난제(難提)82), 계섭바라(繫攝嚩羅)83), 도몰로(都沒嚧)84), 나타천(羅陀天)85)을 관상한다. 내지 모든 요(曜) 등의 차별의 명자(名字), 또한 갖가지 밀어의 신왕(神王), 세간의 가루라(迦樓羅)86) 등과 나라타천(那羅陀天), 범천(梵天)을 상수로 하는 천제왕천(天帝王天) 및 일체의 마군과 함께 그 시종을 그 단 밖에서 관상해야 한다. 각각 그 인(印)을 관상하고 혹은 그 모습을 그리고, 혹은 단(壇)의 명칭을 써야 한다.
다음에 의식을 밝힌다. 금강아사리는 위에서 설한 바와 같이 위(位)에 따라서 포치하고 나서 다시 법에 의하여 유가에 주하는 것을 이름하여 바저라훔가라(跋折囉吽迦羅)87)라 한다. 즉 이것을 훔가라삼마지법(吽迦羅三摩地法)이라 설한다. 다시 자신에게 미세한 수직의 아(牙)가 있고, 진노(瞋怒)의 얼굴로써 웃는다고 관상한다. 또 왼쪽 다리로서 대자재천(大自在天)을 누르고, 오른쪽 다리로서 대자재의 처의 유방을 누른다고 관해야 한다.
다음에 마하삼마야계(摩訶三摩耶契)를 결하여 화만(花鬘)을 붙잡고 아사리는 자재자로 된다. 모든 중생을 애민하고 이익하게 하고자 하므로 마땅히 단장에 들어가야 한다. 곧 본밀어를 송하여 여법하게 모든 부처님께 화만을 봉헌하는데, 혹은 몸으로서 또는 마음으로써 한다. 그 단장을 오른쪽으로 한바퀴 돌고 나서 본래의 장소에 이른다. 금강의 의식으로써 다시 그 만을 취하여 자신의 정수리 위에 두고 본밀어를 송하여 이로써 이를 만(鬘)한다. 다시 유가에 주하여 빠르게 오른쪽으로 돌고 야차방88)의 문에 주하고, 삼계세간의 형상을 승복(勝伏)하며, 관상(觀想)으로써 네 금강문을 연다. 곧 개문(開門)의 계(契)를 결하는 것을 설한다. 두 금강권을 결하고 이를 나란히 하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로써 받들어 서로 버티며, 단(壇)과 혜(慧)의 도(度)를 서로 상구(相鉤)한다. 진노의 뜻으로 진(進)과 역(力)을 세워서 튕겨서 연다. 이것은 바로 문을 여는 최상의 인계이다. 다시 모든 중생을 이익하게 하기 위하여 응당 이 밀어를 사용하여 문을 열어야 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저라 나로특가 타야 사마야 발라 볘사야 훔89)
唵 跋折囉 糯嚧特伽二合吒耶 三摩耶 鉢羅二合呔舍耶 吽

다시 유가로써 모든 문에 주하고 야차방(夜叉方)90)의 문부터 열고 나서 다음에 여법하게 염라방(淡羅方)91)의 문을 연다. 그 다음에 전주(轉住)해서 제석방(帝釋方)92)의 문을 열고, 다음에 여법하게 용방(龍方)93)의 문을 연다. 모든 문 여는 것은 여기에 따른다. 마땅히 문을 움직여 열어야 한다. 그 다음에 수승하고 묘한 금병(金甁)을 사용하여, 또는 은병(銀甁)으로써 일체의 보배 및 묘향약(妙香藥)을 채우고, 수(水)에 화(和)해서 이를 채운다. 묘지조(妙枝條)로써 병 가운데를 누르고 그 입구 위를 갖가지 과자 및 모든 이름난 꽃으로서 엄식한다. 다시 도향으로써 이를 바르고 잡색(雜色)의 비단으로써 그 병의 목에 묶고, 갖가지로 장엄하고 나서 응당 마음을 전일하게 하고 밀어로써 이를 호(護)해야 한다. 그 본위(本位)에 각각 하나의 병을 두고, 그와 같이 두루하지 않는다. 그 사각 및 들어가는 문에 각각 한 병을 둔다. 향ㆍ꽃ㆍ여러 과일을 나열하고 갖가지로 공양한다. 이러한 위와 같은 법으로써 교령(敎令)을 청하여 구하며 자기자신 등을 가지한다. 이미 하고 나서는 곧바로 청회계(請會契)를 결하고 스스로의 이름을 칭하며, 일체여래 및 보살의 중회(衆會)를 계청하고 항부(降赴)를 내리시기를 원하며, 이 가타(伽他)를 세번 독송한다.

원컨대 일체 모든 존재 가운데에
유일하고 견실하신 비밀자께서 오셔서
능히 폭악마(暴惡魔)를 절복시키시고,
가이없는 이자성(離自性)을 현증케하시는 것을
저는 지금 구소하고, 가르침에 의하여 청하오니,
원컨대 구름바다처럼 두루 오셔서 집회(集會)하소서.

다음에 운집계(雲集契)를 결하는 법은 살타금강(薩埵金剛)의 견뇌계(堅牢契)94)를 결하고 나서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굽혀 인(忍)과 원(願)의 도(度) 곁에서 점점 굽혀서 서로 멀어지게 해서 구(鉤)의 모습과 같게 한다. 그 금강계를 나누고 나서 곧 팔을 교차하여 손으로써 왼쪽을 안으로 하고 오른쪽을 밖으로 해서 가슴을 안는다. 문득 두손으로써 자주 탄지하여 소리를 내어서 일체여래를 소청하고 운집하시게 하며 곧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삼마자 아95)
唵 跋折囉 三摩闍 穰而佉反上
아(穰)의 글자로부터 대신보살(大身菩薩)을 낸다. 금강운집(金剛雲集)이라 이름한다. 허공 중에서 좌우의 손으로 금강저 및 건추(揵搥)96)를 잡고, 이를 부딪쳐 소리를 내니 허공에 가득하다고 사유한다. 그 때에 이 방편을 내자마자 곧 모든 방향의 일체세계로부터 티끌처럼 수많은 모든 여래 및 모든 보살의 무리가 모여, 금강탄지(金剛彈指)의 방편으로써 일체세계에 구름과 바다처럼 흘러다니면서 발오(發悟)하고, 모두 와서 집회한다. 보살행을 수행하고 지송문(持誦門)에서 스승의 앞에 주하며 금강구(金剛鉤)로써 소집하고, 금강견색(金剛羂索)으로써 인입하고, 금강쇄(金剛鎖)로써 주하고, 금강경(金剛磬)으로써 환희하게 한다.
다음에 위에서 설한 바와 같이 모든 자리 위에 각각 안온하게 앉는다고 사유한다. 다음에 위에서 설한 바와 같이 일백자의 밀어를 송하고 내지 알가수(閼伽水)97)로써 봉헌한다. 다음에 금강살타의 대계(大契)를 수습하고, 빠르게 최상의 일백팔명(一百八名)을 1편 송해야 한다.

98)는 지금 경례합니다. 일체여래보현(一切如來普賢)ㆍ금강상수(金剛上首)ㆍ금강살타(金剛薩埵)ㆍ집금강(執金剛)ㆍ마하금강살타(金剛薩埵)
99)는 지금 경례합니다. 여래불공왕(如來不空王)ㆍ묘각(妙覺)ㆍ최상금강왕(最上金剛王)ㆍ금강구(金剛鉤)ㆍ금강청인(金剛請引)
100)는 지금 경례합니다. 능조복자(能調伏者)ㆍ마라제욕(魔羅諸欲)ㆍ금강애염(金剛愛染)ㆍ마하안락(摩訶安樂)ㆍ금강궁(金剛弓)ㆍ금강전(金剛箭)ㆍ마하금강(摩訶金剛)
101)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선재(金剛善哉)ㆍ금강환희(金剛歡喜)ㆍ마하열의(摩訶悅意)ㆍ환희왕(歡喜王)ㆍ묘살타상수(妙薩埵上首)ㆍ금강수(金剛首)ㆍ금강희약(金剛喜躍)
102)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보(金剛寶)ㆍ묘금강(妙金剛)ㆍ의금강(義金剛)ㆍ금강허공(金剛虛空)ㆍ마하마니(摩訶摩尼)ㆍ허공장(虛空藏)ㆍ금강부요(金剛富饒)ㆍ금강장(金剛藏).
103)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위덕(金剛威德)ㆍ금강일(金剛日)ㆍ최승광(最勝光)ㆍ마하광염(摩訶光焰)ㆍ금강휘(金剛輝)ㆍ마하위덕(摩訶威德)ㆍ금강광(金剛光)
104)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당(金剛幢)ㆍ선리중생(善利衆生)ㆍ금강광(金剛光)ㆍ선환희(善歡喜)ㆍ보당(寶幢)ㆍ대금강(大金剛)ㆍ금강보장(金剛寶仗)
105)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소(金剛笑)ㆍ금강미소(金剛微笑)ㆍ마하소(摩訶笑)ㆍ마하희유(摩訶希有)ㆍ락생환희(樂生歡喜)ㆍ금강애(金剛愛)ㆍ금강환희(金剛歡喜)
106)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법(金剛法)ㆍ선리살타(善利薩埵)ㆍ금강연화(金剛蓮華)ㆍ선청정(善淸淨)ㆍ관자재(觀自在)ㆍ금강묘안(金剛妙眼)ㆍ금강안(金剛眼)
107)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리(金剛利)ㆍ마하연나(摩訶衍那)ㆍ마하기장(摩訶器仗)ㆍ문수사리(文殊師利)ㆍ금강장(金剛藏)ㆍ금강심심(金剛甚深)ㆍ금강각(金剛覺)
108)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륜(金剛輪)ㆍ마하이취(摩訶理趣)ㆍ금강인(金剛因)ㆍ대견실(大堅實)ㆍ묘전륜(妙轉輪)ㆍ금강기(金剛起)ㆍ금강도량(金剛道場)
109)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어언(金剛語言)ㆍ금강염송(金剛念誦)ㆍ능수실지무언설(能授悉地無言說)ㆍ금강상실지(金剛上悉地)ㆍ금강언설(金剛言說)
110)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비수(金剛毘首)ㆍ금강갈마(金剛羯磨)ㆍ금강묘교(金剛妙敎)ㆍ선변일체처(善遍一切處)ㆍ금강대관광(金剛大寬廣)ㆍ금강불공(金剛不空)
111)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수호(金剛守護)ㆍ마하무외(摩訶無畏)ㆍ금강갑주(金剛甲冑)ㆍ대견고(大堅固)ㆍ난가적대(難可敵對)ㆍ상수정진(上首精進)ㆍ금강정진(金剛精進)
112)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야차(金剛藥叉)ㆍ마하방편(摩訶方便)ㆍ금강아(金剛牙)ㆍ심가포외(甚可怖畏)ㆍ금강상최복마(金剛上摧伏魔)ㆍ금강폭악(金剛暴惡)
113)는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밀합(金剛密合)ㆍ선현험(善現驗)ㆍ금강박(金剛縛)ㆍ선능해방(善能解放)ㆍ금강권(金剛拳)ㆍ상승삼매야(上勝三昧耶)ㆍ금강권(金剛拳)

그때에 운집함으로 말미암아 일체여래는 모두 환희하며 문득 견고함을 얻는다. 또 금강살타는 스스로 친한 벗이 되어서 능히 일체의 사업을 성취한다.
다음에 대갈마승상(大羯磨勝上) 등의 계(契)로써 병 가운데에 연꽃을 출현하고 묘한 색과 향을 갖춘다고 사유한다. 청정위처(淸淨位處)에 따라서 이로써 유가를 수행하고 차제로 앉게 한다. 금강박계(金剛縛契)를 결하고 나서 정심(定心)으로써 분벽(分擘)하고 둘로 한다. 차후에 모든 인계를 결함에는 모두 여기에 준한다. 지우(止羽)의 금강지(金剛指)114)를 관우수(觀羽手)로써 응당 잡아야 한다. 이것을 보리최상계(菩提最上契)115)라 이름한다. 능히 불보리(佛菩提)를 수여한다. 이 대인(大印)을 결하고 나서, 마땅히 비로자나존자를 관해야 한다. 단(壇)의 중앙에 앉고 결가부좌하며 큰 위덕이 있다. 색은 백아(白鵝)와 같고 형태는 맑은 달과 같다. 일체의 상호가 모두 다 원만하다. 머리에 보관을 쓰고 머리털을 늘어뜨리며, 증채경묘(繒綵輕妙)의 천의(天衣)로써 허리에 두르고 소매를 끌어서 웃옷으로 삼으며, 일체명주(一切明呪)116)로써 그 체(體)로 삼는다. 능히 무량의 신변을 행한다. 언제나 삼매의 금강륜으로서 생사계(生死界)에 변만하다. 대륜인(大輪印)을 준비하고 나서 기인(記印)을 안치하여 마치고 이와 같이 사유해야 한다.
‘세존은 곧 능히 일체의 갈마를 성취하신다’라고.
곧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타도 밤117)
唵 跋折囉 馱都 鍐

다음에 다시 모든 선서(善逝)는 백황색(白黃色)의 연화로서 하고 아축비ㆍ보생ㆍ관자재 및 불공대모니(不空大牟尼)는 종종의 뛰어난 불공색(不空色)을 사용한다고 관상한다. 이렇게 관상하면 무량의 과를 획득한다. 마땅히 차제대로 여법하게 본계(本契)를 안립해야 한다. 아축비의 인계를 촉지계(觸地契)라 이름한다. 곧 밀어를 송한다.

옴 아촉비 훔118)
唵 阿閦鞞 吽

보생의 인계는 수소원계(授所願契)라 이름한다. 이 밀어를 설해야 한다.


옴 아라 다나 삼바바 다라119)
唵 阿囉二合怛那二合 三婆嚩 怛囉二合

무량수를 승상삼마지계(勝上三摩地契)라 이름한다.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로계섭바 라 라사 힐리120)
唵 嚧計攝嚩二合囉 囉闍 頡哩重呼

불공을 시무외계(施無畏契)라 이름한다. 밀어는

옴 아모가싣뎨 아121)
唵 阿慕伽悉悌 惡重呼

다시 다음에 금강살타 등의 계(契)를 결한다. 의식을 밝히면 낱낱의 차제대로 관상하고 나서 이를 안립하고, 위덕(威德)의 의기(意氣)로써 두 손의 금강권을 사용하여 흔들고 이를 들어올린다. 이른바 두 금강권을 결하고, 지우(止羽)를 심장에 대고 관우(觀羽)는 바저라를 희롱하는 자세와 같게 한다.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살타 아122)
唵 跋折囉 薩埵 阿

이우(二羽)를 사용하여 견구(堅鉤)를 잡고 팔꿈치를 교차하고 나서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양123)
唵 跋折囉 穰

이우(二羽)를 사용하여 사용하여 화살을 쏘는 것과 같은 상태로 하며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아라가 호124)
唵 跋折囉 阿羅伽 護

또 이우(二羽)를 사용하여 금강권을 심장 위에서 선재(善哉)의 계(契)로 삼고 탄지해서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사도 삭125)
唵 跋折囉 娑度 索

또 이우(二羽)를 사용하여 이마 위에 두고 관정을 하고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아라 다나 옴126)
唵 跋折囉二合 阿羅二合怛那二合

다시 두 금강권을 사용하여 심장 위에 두고 일륜(日輪)의 굴러감과 같게 하고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데아 암127)
唵 跋折囉 底穰 闇
또 이우(二羽)를 사용하여 오른쪽 팔꿈치를 세우고 왼쪽 주먹 위에서 당(幢)으로 삼고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계도 다람128)
唵 跋折囉 計都 多藍

곧 그 이권지계(二拳指契)를 입에 두고 위로 향하여 쌍으로 이를 흩고, 이 밀어를 송해야 한다.

옴 바저라 하사 아129)
唵 跋折囉 何娑 呵

관상하기를, 지우(止羽)는 굽힌 것처럼 끝을 말고, 관우(觀羽)로써 이를 쪼개어 열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달마 힐리130)
唵 跋折囉 達摩 頡唎二合

또 왼손을 심장 위에 두고 번뇌장(煩惱障)과 같다고 하며, 오른손을 검으로 삼아서 이를 없앤다고 관상하며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뎨걸­나 담131)
唵 跋折囉 帝乞瑟那 淡

또 두 금강권을 사용하여 팔을 펴서 앞에 대고, 이를 돌리기를 윤(輪)과 같게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예도마 함132)
唵 跋折囉 曳都麽 含二合

또 두 금강권을 사용하여 입으로부터 세워서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바사아 람133)
唵 跋折囉 婆沙阿 藍

또 금강무(金剛舞)를 사용하여 양손을 서로 두르고, 양 젖과 양 뺨에 닿게 하여 정수리 위에 두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갈마 검134)
唵 跋折囉 羯磨 劍

또 두 금강권을 사용하여 가슴 앞에 두고 허리에 두르며, 피갑(被甲)의 모습과 같게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아락­사 함135)
唵 跋折囉 阿囉乞沙二合

또 두 금강권을 사용하여 단(壇)ㆍ혜(慧)ㆍ진(進)ㆍ력(力) 등의 도(度)를 펼치고 입의 양 옆에 두고 아(牙)와 같이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약­사 훔136)
唵 跋折囉 藥吃沙二合

또 두 손을 사용하여 합하여 서로 누르며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못­티 밤137)
唵 跋折囉 慕瑟置 鍐

또 두 주먹을 사용하여 조금 끝을 낮추고 금강의기(金剛意氣)는 뜻으로써 경(敬)을 펴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라세 호138)
唵 跋折囉 邏細 護

또 두 주먹을 사용하여 계만(繫鬘)의 의식으로써 이를 머리 위에 묶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마예 다라 타139)
唵 跋折囉 麽隸 怛羅二合

또 두 주먹을 사용하여 심장 위에 두고 입으로써 변출(變出)함과 유사하게 하며, 인계를 끌어내려서 팔을 펴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의 뎨 의뎨140)
唵 跋折囉 擬硏以反提 擬提

또 두 주먹을 사용하여 무의(舞儀)를 행하고 나서 정수리 위에 두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녈­뎨예 흘­ 타141)
唵 跋折囉 涅哩帝曳二合 訖哩二合

또 두 주먹을 사용하여 손을 덮은 손바닥을 열고, 아래로 향하여 이를 누르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두비 아142)
唵 跋折囉 杜鞞 婀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손바닥을 열고 받들어 위로 향하여 들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보스비 옴143)
唵 跋折囉 補瑟鞞 唵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서로 향하여 급히 눌러서 이를 지니고 등(燈)으로 삼아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로계 녜144)
唵 跋折囉 嚧計 禰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심장 위에 두고 그 가슴 앞을 비비고, 밖으로 향하여 뽑아서 흩고 도향(塗香)의 인(印)으로 삼으며,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건뎨 아145)
唵 跋折囉 健提 俄

또 두 손의 등(背)을 사용하여 단(壇)과 혜(慧)의 도(度)146)를 상구(相鉤)하고, 진(進)의 도(度)147)를 세워서 침(針)과 같게 하고 역(力)의 도(度)148)를 굽혀서 구(鉤)로 하여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구사 아149)
唵 跋折羅二合俱奢 穰而佉反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위와 같이 상배(相背)하고, 상구(相鉤)해서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교차하여 서로 버티어 견색(羂索)으로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바사 훔 훔150)
唵 跋折囉 皤捨 吽 吽重引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구(鉤)하여 연쇄(連鎖)로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솔보타 밤151)
唵 跋折囉 窣普吒 鍐

또 두 손을 사용하여 상배(相背)하고 단(壇)과 혜(慧)의 도(度)를 상구(相鉤)하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의 첫마디를 서로 교차하여 경(磬)으로 하고 이 밀어를 송한다.

옴 바저라 볘사 호152)
唵 跋折囉 呔舍 護

다음에 아축비의 사부계(四部契)를 만들고, 또 사바라밀 등의 계(契)를 만들며, 차제로 이를 사용한다. 또 단장(壇場) 밖에서 왼손주먹을 받들어 계(契)를 사용하고, 응당 두어야 할 바의 마하살타의 모든 살타 등을 촉지(觸地)하여 관상하며, 이를 안치(安置)해야 한다.
다음에153) 일체를 성취하는 계법을 설한다. 자기 마음 속으로 사면에 금강저가 있다고 관상하고, 그런 연후에 의식에 의하여 모든 갈마계(羯磨契)를 결한다. 다음에 위와 같은 인(印)의 공덕을 찬탄한다.

대지권계(大智拳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서 능히 불지(佛智)에 든다.
아축불의 촉지계(觸地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마음의 부동(不動)을 얻는다.
보생(寶生)의 계(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이익을 섭수한다.
삼마지계(三摩地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부처의 삼마지를 지니게 된다.
이포승상계(離怖勝上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빠르게 중생에게 무외(無畏)를 시여하게 된다.
다시 다음에 금강권계(金剛拳契)의 의기(意氣)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쉽게 금강살타가 된다.
금강구(金剛鉤)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빠르게 일체여래를 구인(鉤引)한다.
금강애욕계(金剛愛慾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이 금강처(金剛妻)를 설(設)하고 자신도 역시 능히 염착(染著)한다.
금강환희계(金剛歡喜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일체의 최승한 것을 모두 선재(善哉)라고 칭탄한다.
대금강보계(大金剛寶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모든 천인사(天人師)로 하여금 그들에게 관정한다.
금강일계(金剛日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금강일(金剛日)과 동등하게 된다.
금강당계(金剛幢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여러가지 보배의 비를 뿌린다.
금강미소계(金剛微笑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속히 제불과 동등하게 웃게 된다.
금강화계(金剛花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금강법을 보게 된다.
금강장검계(金剛藏劍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그는 능히 일체의 고를 끊는다.
금강륜계(金剛輪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일체여래가 설하신 법륜을 굴린다.
금강어언계(金剛語言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염송의 성취를 얻는다.
금강갈마계(金剛羯磨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일체여래는 능히 사업에 수순한다.
금강갑계(金剛甲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금강견고성(金剛堅固性)으로 된다.
금강아계(金剛牙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이 금강은 더 한층 능히 쳐부순다.
금강권계(金剛拳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일체의 모든 계(契)를 얻고 실지(悉地)를 획득한다.
금강희희가희계(金剛喜戱可喜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언제나 모든 환희를 받는다.
금강만계(金剛鬘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미묘한 용색(容色)을 얻는다.
금강가영계(金剛歌詠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청정한 묘음(妙音)을 얻는다.
금강무계공양계(金剛舞契供養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일체를 수복(隨伏)한다.
금강향계(金剛香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열의처(悅意處)를 얻는다.
금강화계(金剛花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모든 장엄을 획득한다.
금강등공양계(金剛燈供養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대위광(大威光)을 얻는다.
금강도향계(金剛塗香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구소(鉤召)로 된다.
금강견색계(金剛羂索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인입(引入)한다.
금강구쇄계(金剛鉤鎖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묶어서 이를 머물게 한다.
금강경계(金剛磬契)를 결함으로 말미암아 능히 환희를 생한다.

다시 다음에 일체여래금강삼마야결계(一切如來金剛三摩耶結契)의 지혜를 설해야 한다. 삼먀야 등의 인계를 결하려고 할 때에 우선 반드시 자기의 마음 가운데에서 일체여래삼마지에서 생한 바의 크게 수승한 오고금강저를 곧바로 관해야 한다. 두 손을 합하고, 첫마디는 서로 교차하며, 오른손은 왼손을 누른다. 이것을 금강합장(金剛合掌)이라 이름한다. 모든 도(度)의 밑둥을 한껏 서로 붙잡고 합한다. 이것을 금강박계(金剛縛契)라 이름한다. 무릇 모든 삼마야계는 모두 이 무상금강박(無上金剛縛)으로부터 생한 바이다. 나는 지금 마땅히 차례대로 모든 삼마야의 계법(契法)을 설한다. 금강박계를 만들고 나서 인(忍)과 원(願)의 도(度)를 펴고, 그 초분을 굽히어 서로 버티어 도(刀)로 삼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굽히어 도의 옆에 붙인다. 이것은 바로 비로자나금강계자재(毘盧遮那金剛界自在)의 계(契)이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저라 티미 섭바 힐리발이리이 훔
唵 跋折囉 哆尾亡禮反二合攝嚩二合 頡哩跋爾哩儞二合

다음에 본(本)과 같게 박계(縛契)하고 나서, 인(忍)과 원(願)의 이도(二度)를 합하고 펴서 세로로 줄기처럼 한다. 이것을 아축비불삼마야계(阿閦鞞佛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저라 바저리 녜 훔154)
唵 跋折囉 跋折哩 禰 吽

본과 같게 박계하고 나서 인(忍)과 원(願)의 이도(二度)를 굽히고 첫마디를 서로 버티어 지(智)와 정(定)의 이도(二度)의 면(面)을 서로 버티어서 보(寶)로 삼는다. 이것을 보생불삼매야계(寶生佛三昧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라 다나 바저리 녜 훔155)
唵 阿羅二合怛那二合 跋折哩 禰二合

본과 같게 박계하고 나서 인(忍)과 원(願)의 도(度)를 굽혀 서로 버티고, 화(花)로 삼는다. 이것을 아미타불삼매야계(阿彌陀佛三昧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저라 달미 녜 훔156)
唵 跋折囉 達謎 禰 吽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인(忍)과 원(願)의 도(度)를 굽혀 손바닥에 넣고 단(壇)ㆍ혜(慧)ㆍ지(智)ㆍ정(定)의 도(度)를 펴서 침(針)과 같게 한다. 이것을 이름하여 불공성취불삼매야계(不空成就佛三昧耶契)라 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저라 갈마 바저리녜 훔157)
唵 跋折囉 羯磨 跋折哩禰二合

다음에 금강살타 등의 계(契)를 설한다. 금강박계를 결하고 나서 두 손바닥은 월륜이 된다고 관상한다. 인(忍)과 원(願)의 이도(二度)를 합해 펴고 단(壇)ㆍ혜(慧)ㆍ지(智)ㆍ정(定)의 도(度)를 세우고 합하여 오고금강저의 모습으로 만든다. 이것을 살타금강계(薩埵金剛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삼마야살타158)
唵 三摩耶薩埵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굽혀 구(鉤)로 하고, 검지를 떼는 것은 2∼3분(分) 쯤이다. 이것을 불공왕마하살타삼마야계(不空王摩訶薩埵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나야살타159)
唵 阿那耶薩埵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진(進)과 역(力)의 도(度)의 중간 마디를 굽혀 횡으로 서로 교차한다. 이것을 마라마하보리살타삼마야계(摩羅摩訶菩提薩埵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호소 구160)
唵 阿胡蘇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지(智)와 정(定)의 도(度)로써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붙잡고 각각 탄지해서 선재(善哉)로 삼는다. 이것을 금강용약살타삼마야계(金剛踊躍薩埵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사도 사도161)
唵 娑度 娑度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지(智)와 정(定)의 도(度)를 세우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눕혀서 굽히고 면을 서로 버틴다. 이것을 금강장보살삼매야계(金剛藏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소마하달바162)
唵 蘇摩訶怛嚩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단(壇)ㆍ계(戒)ㆍ인(忍)ㆍ혜(慧)ㆍ방편(方便)ㆍ원(願) 등을 펼치고 손바닥을 연다. 이것을 금강광보살삼마야계(金剛光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노보명 이유다163)
唵 嚧布鳴二合儞瑜多

본과 같이 박계하고 나서 단(壇)ㆍ계(戒)ㆍ혜(慧)ㆍ방편(方便) 등의 도(度)를 세워 합한다. 이것을 금강표찰(또는 금강부(金剛枎)라 이름한다)보살삼마야계(金剛表刹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리다 바라디164)
唵 遏唎他 鉢臘底

곧 이상의 인계를 양협(兩頰)의 소처(笑處)에 두고, 손을 뒤집어 풀고 들어서 이를 흩는다. 이것을 금강가애보살삼마야계(金剛可愛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 아 아 아 훔 아165)
唵 呵 呵 呵 呵 吽 呵

본과 같이 박하고 지(智)ㆍ정(定)의 도(度)를 세우며, 역(力)ㆍ진(進)의 도(度)를 굽히고 끝을 서로 버틴다. 이것을 금강안보살삼마야계(金剛眼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 가 리166)
唵 薩婆 迦

본과 같이 박하고 인(忍)과 원(願)의 도(度)를 펴고 그 첫마디를 굽히어 서로 버티어서 도(刀)의 모습과 같게 한다. 이것을 금강검보살삼마야계(金剛劍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노카 체나167)
唵 努佉 掣娜

본과 같이 박하고 계(戒)와 방편의 도(度)를 합하여 세우고 단(壇)과 혜(慧)의 도(度)를 서로 교차한다. 이것을 금강륜보살삼마야계(金剛輪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몯다 포디168)
唵 勃馱 蒲地

본과 같이 박하고 지(智)와 정(定)의 도(度)를 열어 펼치고 입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펴서 던진다. 이것을 금강어언삼마야계(金剛語言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라 디섭몯다169)
唵 鉢囉上聲底攝勃馱

본과 같이 박하고 지(智)ㆍ정(定)의 도(度)로써 단(壇)ㆍ혜(慧)의 도(度)를 누르고 갈마바저라(羯磨跋折羅)로 한다. 이것을 비수갈마보살삼마야계(毘首羯磨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소 바시 티바170)
唵 蘇婆施 哆嚩

본과 같이 박하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세워 심장 위에 둔다. 이것을 용맹보살삼마야계(勇猛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녜 바야 티바171)
唵 禰寧一反婆耶 哆嚩

본과 같이 박하고 진(進)ㆍ역(力)의 도(度)를 굽히고 단(壇)ㆍ혜(慧)의 도(度)를 열어서 아(牙)로 한다. 이것을 금강야차삼마야계(金剛夜叉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사돌로 박­사172)
唵 捨咄嚕 婆乞沙

본과 같이 박하고 지(智)와 정(定)의 도(度)로써 단(壇)과 혜(慧)의 도(度) 밑둥 사이를 붙잡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지(智)와 정(定)의 도(度) 등 위에 굽힌다. 이것을 금강권보살삼마야계(金剛拳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 싣디173)
唵 薩婆 悉地

본과 같이 박하고 마땅히 심장에 두고 나서 지(智)와 정(定)의 도(度)를 세운다. 이것을 금강애(곧 희희기(嬉戱妓)이다)밀공양천삼마야계(金剛愛密供養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마하라디174)
唵 摩訶囉底丁里反

본과 같이 박하고 두팔을 길게 펴서 만(鬘)으로 한다. 이것을 금강만천삼마야계(金剛鬘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로바 슈비175)
唵 嚕跛 戍鞞
금강합장계(金剛合掌契)를 만들고 입으로부터 끌어 내어 아래로 향하여 팔을 편다. 이것을 금강가영천삼마야계(金剛歌詠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순 로 다라 소계176)
唵 舜二合怛囉二合上 掃溪

곧 앞의 인계를 열고 서로 감싸서 춤추는 자세와 같게 하고 나서 합장하여 정수리 위에 둔다. 이것을 금강무공양천삼마야계(金剛舞供養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보서177)
唵 薩婆布逝

본과 같이 박하고 두 손의 손바닥을 덮어서 아래로 이를 누른다. 이것을 소향공양천삼마야계(燒香供養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바라갈라이녕178)
唵 鉢囉曷邏儞寧

본과 같이 박하고 두 손의 손바닥을 받들어 위로 이것을 든다. 이를 화공양천삼마야계(花供養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발라가 몌179)
唵 發邏伽

본과 같이 인계를 박하고 지(智)와 정(定)의 도(度)를 세운다. 이를 등공양천삼매야계(燈供養天三昧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소뎨아 을 리180)
唵 蘇帝穰而伽反魚乙反

본과 같이 박하고 손바닥을 열고 그 가슴 앞을 마찰하고 나서 각각 나누어 밖으로 향한다. 이를 도향공양천삼마야계(塗香供養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소가타 예181)
唵 蘇伽馱 霓魚夷反

본과 같이 박하고 진(進)과 역(力)의 도(度)를 굽혀서 구(鉤)를 만든다. 이를 금강구보살삼마야계(金剛鉤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야 계 아182)
唵 阿耶形以反而佉反

본과 같이 박하고 정(定)의 도(度)를 옆으로 눕히고 나서 지(智)의 도(度)로써 이를 누르고 끝을 손바닥 안에 넣는다. 이를 금강견색보살삼마야계(金剛羂索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아계 훔183)
唵 阿係形以反 𤙖

본과 같이 박하고 단(壇)과 정(定)184)의 이도(二度) 및 혜(慧)와 지(智)185)의 이도(二度)로써 상구(相鉤)해서 이를 뚫는다. 이를 금강연쇄보살삼마야계(金剛連鎖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계 솔보타 밤186)
唵 係 窣普吒 彭蒲醎反

본과 같이 박하고 지(智)와 정(定)의 이도(二度)를 함께 손바닥 안에 넣는다. 이를 금강소입보살삼마야계(金剛召入菩薩三摩耶契)라 이름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건타 아 아187)
唵 健吒 婀 婀

다음에 위와 같은 모든 삼마야계의 공덕을 설한다.
부처의 수념계(隨念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빠르게 보리를 증득한다.
살타금강계(薩埵金剛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계(一切契)의 존주(尊主)가 된다.
보금강계(寶金剛契)에 말미암아서 일체의 보주(寶主)가 된다.
법금강계(法金剛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법장(法藏)을 얻는다.
갈마금강계(羯磨金剛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의 사업을 행한다.
살타계(薩埵契)에 말미암아서 금강살타신을 이루게 된다.
금강구계(金剛鉤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모든 집금강을 부른다.
금강애염계(金剛愛染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의 불법을 즐긴다.
금강선재계(金剛善哉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모든 부처를 환희하게 한다.
보계(寶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관정위(灌頂位)를 얻는다.
금강위광계(金剛威光契)에 말미암아서 금강위광(金剛威光)을 얻는다.
금강당계(金剛幢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보시하여 일체의 원하는 자를 만족시킨다.
금강소계(金剛笑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의 부처와 함께 웃는다.
금강법계(金剛法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금강법을 지닌다.
금강이검계(金剛利劍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최상의 지혜를 얻는다.
금강륜계(金剛輪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묘법륜을 굴린다.
금강어언계(金剛語言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어언(語言)의 실지를 얻는다.
금강갈마계(金剛羯磨契)에 말미암아서 빠르게 최상의 성취를 얻는다.
금강개계(金剛鎧契)에 말미암아서 금강신(金剛身)이 된다.
금강야차계(金剛夜叉契)에 말미암아서 금강야차와 동등하게 된다.
금강권계(金剛拳契)에 말미암아서 일체계(一切契)를 성취하게 된다.
금강희희기계(金剛嬉戱妓契)에 말미암아서 대희락을 획득한다.
금강만계(金剛鬘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관정을 받게 된다.
금강가영계(金剛歌詠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찬영법(讚詠法)을 얻는다.
금강무계(金剛舞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섭호(攝護)를 얻어 이로써 공양을 받는다.
금강소향계(金剛燒香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의 세계를 영결(榮潔)하게 한다.
금강화계(金剛花契)에 말미암아서 세간을 수순하게 한다.
금강광명계(金剛光明契)에 말미암아서 부처의 오안(五眼)을 얻는다.
금강도향계(金剛塗香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의 고액을 없앤다.
금강도인주계(金剛都印主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를 섭소(攝召)한다.
금강견삭계(金剛羂索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를 인입(引入)한다.
금강쇄계(金剛鎖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를 제박(制縛)한다.
금강소입계(金剛召入契)에 말미암아서 능히 일체를 섭입(攝入)함을 성취한다.

다음에188) 십육대공양계(十六大供養契)로써 마땅히 일체여래를 공양해야 한다. 금강박을 결하고 나서 차제에 따라서 본처(本處)에 의하여 이를 행한다. 금강박을 돌려 심장으로부터 이를 계(契)하고 다음에 왼쪽 옆구리, 오른쪽 옆구리, 등 뒤를 가지한다. 다음에 이마, 입, 양 귀, 정수리 뒤, 오른쪽 어깨 및 허리를 가지한다. 이미 돌고 나서 돌아와 심장 위에 둔다.
지금 차제로189) 십육대공양계(十六大供養契)의 밀어를 송한다. 그 심(心) 위의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살바답망 녜 나다나 보아 살바
唵 薩婆怛他揭多一切如來 薩婆答莽己身年一反那怛那奉獻也 布穰而佉反供養 薩頗
라라 갈마바아 리 아190)
羅拏普皆 羯磨跋穰而佉反哩 婀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에게 나는 온 몸으로써 봉헌하고 널리 모두 공양하며 모든 사업을 행한다. 왼쪽 옆구리에 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살바답망녜나다나 보아솔바라나 갈마을 리 아191)
唵 薩婆怛他揭多 薩婆答莽 禰那怛那 布穰窣發囉拏 羯磨釳魚乙切哩 穰而迦反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에게 저는 온 몸으로 봉헌하고 널리 모든 뛰어난 갈마를 공양합니다. 오른쪽 옆구리에 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살바답망 녜나다나 아노라가 나 보아 솔바라나
唵 薩婆怛他揭多 薩婆答莽 禰那怛那 阿努羅伽愛業也 布穰 窣發囉拏
갈마바녕 훔 호192)
羯磨婆寧 𤙖 護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에게 몸을 봉헌하고 널리 모두 갈마의 궁전을 공양한다. 허리 뒤에 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살바답망 녜나다나 사도가라 보아솔바라나 갈마
唵 薩婆怛他揭多 薩婆答莽 禰那怛那 娑度迦囉善哉也 布穰窣發囉拏 羯磨
도소티 사
覩所置上歡喜也193)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에게 몸으로써 봉헌하고 선재(善哉)의 성(聲)으로써 널리 모두 환희의 사업을 공양한다. 이마 위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 살바 다타가다 가야비쇄계 갈라달녕표 바저라 말녜옴194)
唵 娜麽與無南同 薩婆 怛他揭多 迦耶毘曬罽 曷羅怛寧瓢 跋折囉 末禰唵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신의 관정하는 바의 모든 보배를 제가 지금 경례합니다. 금강마니를 심장 위에서 선전(旋轉)한다. 일륜상(日輪相)과 같다.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가다 소리예뱌 바저라 뎨이녕 자바라 히195)
唵 娜麽 薩婆怛他揭多 素唎曳瓢毘也反 跋折囉 帝爾寧威光也 入嚩囉熾焰也形伊反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금강일(金剛日) 등을 제가 지금 경례합니다. 치염(熾焰)의 위광을 계(契)의 정상에 두고 길게 두 팔을 편다.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 살바다타가다아 사 바리보라나 진티마니 돌바아 흘리
唵 娜麽 薩婆怛他揭多阿式佉反 播哩布羅拏 震哆莫儞 突嚩穰而佉反 釳哩
표 바저라 돌바아 기리다람196)
瓢 跋折囉 突嚩穰而佉反姞𠼐怛嚂

논하여 설한다. 제가 지금 일체여래의 여의보주(如意寶珠)와 구하는 바를 만족하는 금강최승의 당(幢)에 경례합니다. 입 위의 소처(笑處)197)에서 금강박(金剛縛)을 해산할 때에 밀어로 이른다(인계를 푸는 법과 같다).

옴 나모살바다타가다 마하 망 리 디 발라모댜­ 가리표 바저
唵 納莫 薩婆怛他揭多 摩訶 莽二合丁里反鉢羅慕地夜二合 迦犂瓢 跋折
라 하기 하
囉 荷期 訶198)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를 경례하고 환희를 지음은 금강소(金剛笑)이다. 입 위에 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바저라달마타 삼마디비 살두명 마하달마 혜
唵 薩婆怛他揭多 跋折囉達磨陀金剛法性也 三摩地毘 薩兜茗讚歎 摩訶達磨 係
199)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금강법성삼마지(金剛法性三摩地)로써 마하(摩訶)의 법음(法音)을 찬탄한다. 왼쪽 귀 위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바라아 바라밀다 아비닐 아리솔도노미
唵 薩婆怛他揭多 鉢羅穰而佉反智慧也 波羅蜜多 阿鞞禰泥一反 呵唎窣覩努冥讚歎
마하구사노 이 담200)
摩訶具沙努 倪我伊反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반야바라밀다에서 나온 바의 어언(語言)으로써 대음성(大音聲)에 따라서 찬탄한다. 오른쪽 귀 위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자갈라 차라발리벌다이살바소 다라안 다나예살도
唵 薩婆怛他揭多 者羯羅叉羅鉢𠼐伐多儞薩婆蘇怛囉按左杵多娜曳薩兜
노명 살바만다리 훔201)
努茗 薩婆漫茶唎一切道場 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문자전륜(文字轉輪)을 머리로 삼고, 모든 계경의 이취로써 일체의 도량을 찬탄한다. 정수리 뒤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산타바사 몯타싱기데비 가연솔도노명 바저라
唵 薩婆怛他揭多 散陀婆沙密語 勃陀僧祇底毘歌頌也 伽延窣覩努茗 跋折囉

바리차202)
婆唎遮語言也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밀어로써 나는 지금 가영(歌詠)하여 금강어언(金剛語言)을 찬탄한다. 정수리 위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두바 몌가 삼모다라 솔바라나 보아
唵 薩婆怛他揭多 杜婆香也 暝伽雲也三慕達囉海也窣發囉拏普皆 布穰而佉反供養
갈몌 가라 가라203)
羯冥事業 伽羅 伽羅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향운해(香雲海)로써 널리 모든 사업에 공양한다. 오른쪽 어깨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보삽바 바라바라솔바라나 보아갈몌 기리 기리204)
唵 薩婆怛他揭多 補澁波花也 鉢羅婆羅窣發羅拏 布穰羯冥 枳𠼐 枳𠼐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갖가지의 묘한 꽃의 구름으로써 널리 모든 행하는 사업에 공양하는 까닭에 오른쪽 무릎에 인계를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로가 자바라 솔바라나 보아 갈마 바라 바라205)
唵 薩婆怛他揭多 嚕迦 入嚩攞 窣發囉拏 布穰 羯磨 婆羅 婆羅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광명치염(光明熾焰)으로써 널리 모든 행하는 갈마에 공양하는 까닭에, 위와 같이 행하고 나서 다시 인계를 심장 위에 둔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건타 삼모다라 솔바라라 보아 갈몌 구로 구로206)
唵 薩婆怛他揭多 健馱塗香也 三慕達囉 窣發囉拏 布穰 羯冥 句嚧 句嚧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도향운해(塗香雲海)로써 널리 모든 행하는 사업에 공양하는 까닭이다.
이와 같이 십육대공양(十六大供養)의 계(契)의 응당 행해야 할 바를 하고 나서 곧 위와 같이 화계(花契)의 대인(大印)을 결하고 시방을 관찰하며 이러한 말을 한다.
“저는 지금 일체의 제불께 권청합니다. 아직 법륜을 굴리지 않으셨다면 원컨대 법륜을 굴리시고, 열반에 들고자 원하신다면 원컨대 언제나 세상에 머무시고 반열반하시지 마옵소서.”
다시 이렇게 관상한다.
나는207) 지금 이 염부주(瞻部州)208) 및 시방세계 가운데의 사람과 하늘의 의생(意生)209)과 내지 물과 뭍에 존재하는 모든 꽃을 봉헌한다. 모두 지녀서 시방일체의 마하보리살타와 일체부 가운데에 주하는 권속과 일체의 계명(契明)과 제천(諸天) 등에 봉헌한다. 나는 일체여래께서 행하시는 사업에 공양하기 위하여 밀어를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보스바 보아몌가 삼모다라 솔바라나 삼마예
唵 薩婆怛他揭多 補瑟波 布穰暝伽 三慕達囉 窣發囉拏 三末曳平聲,此號供養
210)
初名 𤙖鼻聲引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화운해(花雲海)의 바다로써 널리 모두 공양한다.
또, 소향의 계를 결하고 이렇게 관상한다. 사람과 하늘에 존재하는 본체향(本體香), 화합향(和合香), 변역향(變易香),211) 이와 같은 등의 차별있는 모든 향을 일체여래의 갈마에 공양하기 위하여 나는 지금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두바 보아몌가 삼모다라솔바라나 삼마예 훔212)
唵 薩婆怛他揭多 杜婆燒香也 布穰暝伽 三慕達囉窣發囉拏 三末曳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소향운해(燒香雲海)로써 널리 모두 공양한다.
또 도향계(塗香契)를 결하고 나서, 응당 이렇게 관상해야 한다. 사람과 하늘에 존재하는 본체향, 화합향, 변역향 등의 차별 있는 모든 향으로써 일체여래의 갈마에 공양하기 위하여 나는 지금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건타보아몌가 삼모다라 솔바라나 삼마예 훔213)
唵 薩婆怛他揭多 健陀布穰暝伽 三慕達囉 窣發囉拏 三末曳 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도향운해(塗香雲海)로써 널리 모두 공양한다.
또 등계(燈契)를 결하고 나서 이렇게 관상하라. 사람과 하늘의 존재하는 본체, 자성차별의 광명214)의 뜻을 기뻐하는 자로써 일체여래의 행하는 사업에 공양하기 위하여 나는 지금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이바 보아몌가 삼모다라 솔바라나 사마예 훔215)
唵 薩婆怛他揭多 儞婆 布穰暝伽 三慕達囉 窣發囉拏 三末曳 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등운해(燈雲海)로써 널리 모두 공양한다.
금강보계(金剛寶契)를 결하고 나서 응당 이렇게 관상해야 한다. 이 세계와 다른 세계 가운데에 존재하는 보배산, 모든 보배의 종류와 땅 속과 바다 속의 그것들을 모두 일체여래의 갈마에 공양하기 위하여 나는 지금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부탕 가아 라티나 릉 가나 보아몌가 삼모다라 솔
唵 薩婆怛他揭多 部蕩庭悉反伽遏 囉哆那 稜伽那 布穰暝伽 三慕達囉 窣
바라나 사마예 훔216)
發囉拏 三末曳 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각분장엄구운해(覺分莊嚴具雲海)로써 널리 모두 공양한다.
희희계(嬉戱契)를 결하고 나서 이렇게 사유한다. 사람과 하늘에 존재하는 갖가지 희롱완소(戱弄玩笑), 기악의 기구로써 모두 일체여래의 사업에 공양하기 위하여 나는 지금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하사 라사 흘리타 갈라데소가 아 노다라
唵 薩婆怛他揭多 訶寫息也反上邏寫同上戱笑訖哩陀 曷囉底掃佉企伽反阿 努怛囉
보아몌가 삼모다라 솔바라나 사마예 훔217)
布穰暝伽 三慕達囉 窣發囉拏 三末曳 𤙖

논하여 설한다. 일체여래의 희소유완(戱笑遊翫)하는 바의 최상의 희락운해(喜樂雲海)로써 두루 공양한다.
013_0974_c_01L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卷第三 詩大唐南印度三藏金剛智 譯復次如是思惟我成等正覺未久一切如來普賢心一切如來虛空所生大摩尼寶而灌頂之得一切如來觀自在法智波羅密一切如來毘首羯磨性不空無障㝵教令所依希求悉成就圓滿我今應當於一切法界周流盡虛空界一切世界遍雲海中一切如來平等性智諸神通爲現證於一一世閒安立之處爲一切衆生故應發一切如來大菩提心成就普賢種種奉事一切如來種族詣大菩提道場應當示現降伏一切魔軍證一切如來平等性智摩訶菩提轉法輪降伏一切外道乃至盡遍救護一切衆生應授彼等種種安樂悅應當成就一切如來神通種智上悉地及餘引喩一切衆生示現童子戲住王宮踰城出家現修苦行道來詣我所復應思惟一切如來神復當示現我亦未得一向離於戲我當決定以一切如來三摩地所能現一切淸淨一切世閒戲論一切世界淸淨故應以此法觀察一切如來部漫茶羅所應作漫茶羅中如法式坐修習加持自身以爲結摩訶菩提薩埵摩訶契謂金剛薩埵契是也具此契法加持已而起以止羽爲金剛拳觀羽執跋折羅示威猛相普遍觀察處置稱我跋折羅薩埵而按行之其作壇處或別作淨室或舊淨室地等法不異蘇悉地說及治地用瞿摩塗淨准常次以搓緊合雜繩具足端嚴稱其肘量智者隨其力能以繩絣其壇壇形四方四門以四吉祥莊具以四道繩繒綵幡蓋懸以莊嚴於諸角分門闕出眺閒以金剛寶閒錯而絣外壇場若爲閻浮提自在王或爲轉輪王應畫壇場周圍過一由大威德阿闍梨漸小亦應作乃至四肘量智者觀察應堪孚化者隨意度量結其壇場亦無過失爲欲利益應所化者金剛薩埵置立壇場號爲金剛界等如經所說設於掌中隨意作彼等一切壇場能作利益何況地其爲四肘壇法四邊椽各闊十二於其中應布綵色畫賢劫等菩薩謂名慈氏阿時多等及守門供養者或闊十指半一麥又加半其諸門量取四肘中九分之一入門稍闊若畫壇師依如此法畫者令諸摩訶薩埵皆爲歡喜其門外須據門闊狹取半引外據取一倍各各撗屈准上齊量各各豎畫兩邊相望撗畫爲合取其外圍一面三分之一從心環遶爲輪又取其中三分之一從心如上環遶爲輪其壇中央門子輪縱撗下八線跋折羅如殿柱想以成八柱莊嚴其大圓輪亦跋折羅像皆五色作一百八或三十七鋒相拄接從入門至東北角豎吉祥門柱如是外壇智者以此法畫已於彼似月輪入其中布置金剛線道以八柱而爲嚴飾豎於金剛柱上各以五月輪於內壇中央各置佛像於佛四面及諸壇中各次第畫於四三摩耶尊勝者以金剛勢擘過入於四壇金剛勢者以意擎擧所畫及於金剛線若入若出畫壇人不得騎驀金剛線道應誦密語擧之從下過不失於三摩耶卽說此密語唵跋折囉鞞伽此二字本無羯囉二合摩吽阿閦等四佛皆應布置初從金剛方畫阿閦鞞壇具以執金剛等四三摩耶尊勝者想四方佛面向毘盧遮那先畫執金剛在阿閦前次畫右次後諸部准此次至寶方寶生壇圓滿金剛藏等次花方阿彌陁壇淨金剛眼等業方不空悉地壇金剛毘首等於鍐部中各依本方置四波羅蜜輪內四隅置四內供養初從火天方順旋而作終風天方外壇四角線道之中置外供養作法同前又四角外作半跋折囉於四門閒畫四攝守門者於外壇場中應置摩訶薩埵具足一切相能爲一切利益具知法金剛阿闍梨以無迷亂心應畫諸尊首者若無力能可畫者卽以種種綵色各各畫其部印勝具功德者尊首皆悉置之以一切寶末爲粉或以種種馱睹粉朱砂石綠空靑等是也或復以殊妙五色染米粉等者應從內先下色下白色次赤色次黃綠皆在內院外院以黑爲之於五色中各想字加白色中想著鍐字赤色中想置琰於黃色中想阿藍字於綠色中想覽字於黑色中想頷字如是五字各置於色中已於彼思惟五種如來智一謂法界性智也以大悲意爲一切世閒煩惱泥沈溺五欲樂令彼退轉故以瑜伽思惟於如來五種智我當令安立此印已於五種色中各各以印觸之其結法以二金剛拳進力二度仰側如鍼相拄是也卽說密語唵 跋折囉 質多羅二合三摩耶誦此密語時以明目視之欲令其色顯現焰熾者應誠實誓言加持是諸衆生多愛染色諸佛復爲利益衆生隨彼染愛以誠言願此色等皆發焰熾此結壇法以粉作之最爲第一欲取久固畫作亦得次說畫印法鍐輪壇中畫蓮花臺座上置窣堵波此名金剛界自在印帝釋方輪壇蓮花座上畫撗金剛杵形於撗杵上豎跋折囉此名金剛心印琰羅方輪壇花座上置寶珠此名己身灌頂印龍方輪壇中畫撗跋折囉上畫蓮花名花法器仗印夜叉方輪壇花座羯磨跋折囉形如十字皆有鋒刃此名一切金剛凡所畫印具有圓光置於蓮花上又於金剛部本位畫金剛薩埵印二跋折囉豎而相竝上下一股互相鉤交次又畫二跋折囉其形如箭畫稱善哉作拳如彈指像次畫掌中寶珠而具光明焰次畫金剛日輪印如上光明焰次畫寶幢其上畫火焰次撗畫雙跋折囉中閒畫露齒像次畫跋折囉腰有蓮花及畫金剛刀劍具熾焰光次畫金剛輪輻金剛畫其舌具赫弈光明次畫羯磨金剛周遍皆有頭面撗畫跋折囉其上有半跋折囉次甲冑像領䄂有半杵形次畫撗杵上有二牙次畫撗杵上有二金剛拳次畫薩埵金剛等記驗印畫金剛喜戲等復於其外隨依儀式畫各自印記又於其門閒畫諸守門者印記如上所畫印像等皆下有蓮上有光焰次畫彌勒等自印記應畫者皆隨意畫又想千菩薩各在諸方悉具嚴飾以自語言印而安立之然後住於壇門前善遍觀察已其壇空處界外應用殊妙塗香塗之於外壇之外周圍各闊一肘或以二以衆妙塗香細密塗之其次爲一切見驗故應各置自語言印其壇師有大威德者欲令自弟子究竟安住於如來位者應當決定抄畫金剛界摩訶薩埵等呪各置本位上此等是自語言印皆從金剛界門生隨其自羯磨相應具有大威力次第而說此密語曰第一跋折羅馱都 第二阿閦鞞第三阿囉二合怛娜二合三婆頗 四嚧計攝伐囉阿羅二合穰 五阿目伽悉地 六跋折囉薩埵 七跋折囉阿囉二合穰 八跋折囉阿囉二合伽 九跋折囉娑度十跋折囉阿羅二合怛那二合十一跋折囉底而佉反十二跋折囉計睹 十三跋折囉賀娑 十四跋折囉達摩 十五跋折囉帝乞瑟耶 十六跋折囉係睹 十七跋折囉婆沙 十八跋折囉羯磨 十九跋折囉阿羅乞沙 二十跋折囉藥叉二十一跋折囉散地 二十二薩埵跋折㘑 二十三阿囉怛那跋折㘑 二十四達磨跋折㘑 二十五羯磨跋折㘑 二十六跋折囉邏斯 二十七跋折囉摩囇二十八跋折囉擬提 二十九跋折囉涅哩底 三十跋折囉杜鞞三十一跋折羅補瑟篦 三十二跋折囉 嚧計三十三跋折羅建提 三十四跋折羅俱舍穰而佉反三十五跋折囉跛賖吽 三十六跋折囉薩普咤鍐三十七跋折囉尾賖護於彌勒等一切菩薩唯純抄一阿字其色如雪或如月暈陁花色或於彼等位但抄金剛薩埵字或抄彼等名十六大菩薩第一畫彌勒其次不空見次畫能捨一切惡趣復畫樂摧一切黑闇憂惱次畫香象復畫勇猛次畫虛空藏次畫智幢次無量光次月光次賢護次光網次金剛藏次無盡意次辯積次普賢次大光明及畫所有不退轉者諸有趣有者乃至諸輪轉有路摩訶薩大威德者其金剛阿闍梨應思惟是等及餘置外壇中盧遮那等諸天止住欲界者意樂調伏煩惱者及舍利弗等無量諸比丘來詣者皆思惟之又想大自在天共其妻眷屬侍從衆等又想虛空天喜自在天及商主天有四妹者摩訶迦羅難提繫攝嚩羅都沒嚧羅陁天及想諸曜等差別名字又種種密語神王世閒迦樓羅等那羅陁天天爲首天帝王天及一切魔軍幷其侍從於其壇外各想其印或畫其形但書名次明儀式金剛阿闍梨如上所說隨位布置已復依法住瑜伽號爲跋折囉吽迦羅卽說此吽三摩地復想自身微有豎牙以嗔怒面而又想以左腳押大自在天以右腳押大自在妻乳房次結摩訶三摩耶而執花鬘爲阿闍梨自在者哀愍利益諸衆生故應入壇場卽誦本密如法奉獻諸佛花鬘或以身或以一迴右旋其壇卻至本處以金剛儀式復取其鬘置自身頂上誦本密語而髻之復以住瑜伽速疾而右旋住夜叉方門勝伏三界世閒形相意而開四金剛門卽說結開門契結二金剛拳竝之以進力度仰相拄檀慧度互相鉤以嗔怒意豎進力度撥此是最上開門契復爲利益諸衆生故應用此密語開門密語曰唵跋折囉 糯嚧特伽二合 咤耶 三摩耶鉢羅二合 吠舍耶吽復以瑜伽住於諸門從於夜叉方門開已次如法開琰羅方門其次轉住開於帝釋方門次如法開龍方門諸開門倣此當衝門而開其次用殊妙金甁或以銀甁盛一切寶及妙香和水盛之以妙枝條插於甁中其口上以種種果子及諸名花以爲嚴飾復以塗香而塗之以雜色繒綵繫其甁項作種種莊嚴已應專一心以密語護之於其本位各置一甁其不辦遍於其四角及於入門各置一甁布列香花雜果種種供養以次如上法求請教令加持自己等旣作卽結請會契而稱自名啓請一切如來及菩薩衆會願垂降赴三唱此伽他曰願來一切諸有中 唯一堅實秘密者用能折伏暴惡魔 現證無邊離自性我今鉤召依教請 願周雲海來集會次結雲集契法結薩埵金剛堅牢契屈進力度於忍願度傍稍屈相離如鉤形彼金剛契分已卽交臂以手左內右外抱胸便以兩手數彈指聲召請一切如來令使雲集卽誦此密語唵 跋折囉三摩闍 穰 而佉反上從穰字生大身菩薩名金剛雲集虛空中思惟以左右手執金剛杵及揵搥擊之出聲遍滿虛空爾時纔出此方便卽從諸方一切世界微塵數諸如來及與諸菩薩衆會以金剛彈指方便發悟一切世界周流雲海來集會於修行菩薩行持誦門師前而住以金剛鉤#鉤招集以金剛羂索引入以金剛鎖鎖住以金剛磬令生歡喜次如上所說諸座上各思惟安隱而坐次誦如上所說一百字密語及以遏伽水而奉獻之次修習金剛薩埵大契速疾誦最上一百八名一遍我今敬禮一切如來普賢 金剛上首金剛薩埵 執金剛 摩訶金剛薩埵我今敬禮如來不空王 妙覺最上金剛王金剛鉤 金剛請引我今敬禮調伏者 魔羅諸欲 金剛愛染摩安樂 金剛弓 金剛箭 摩訶金剛今敬禮 金剛善哉 金剛歡喜 摩訶悅意歡喜王 妙薩埵上首 金剛首 金剛喜躍 我今敬禮金剛寶 妙金剛 義金剛 金剛虛空 摩訶摩尼虛空藏 金剛富饒金剛藏 我今敬禮金剛威德 金剛日最勝光摩訶光金剛輝 摩訶威德 金剛光 我今敬禮金剛幢 善利衆生金剛光善歡喜寶幢大金剛金剛寶仗我今敬禮金剛笑 金剛微笑摩訶笑摩訶希有樂生歡喜金剛愛金剛歡喜 我今敬禮金剛法 善利薩埵金剛蓮花善淸淨觀世自在金剛妙眼金剛眼 我今敬禮金剛利摩訶衍那摩訶器仗文殊師利金剛藏金剛甚深金剛覺我今敬禮金剛輪摩訶理趣金剛因大堅實妙轉輪金剛起金剛道場我今敬禮金剛語言金剛念誦能授悉地無言說金剛上悉地金剛言說 我今敬禮金剛毘首金剛羯磨金剛妙教善遍一切處金剛大寬廣金剛不空 我今敬禮金剛守護 摩訶無畏金剛甲冑大堅固難可敵對上首精進金剛精進我今敬禮今剛藥叉摩訶方便金剛牙甚可怖畏金剛上摧伏魔金剛暴惡我今敬禮金剛密令 善現驗金剛嚩善能解放金剛拳上勝三摩耶金剛拳爾時以雲集故一切如來皆歡喜便得堅固又金剛薩埵自爲親友能成一切事次以大羯磨勝上等契思惟於甁中出現蓮花具妙色香隨淸淨位處以修瑜伽次第而令坐之結金剛縛契已以定心分擘爲二次後結諸印竝准此以止羽金剛指以觀羽手應執之此名菩提最上契能授與佛菩提結此大印已應當想毘盧遮那尊首坐於壇中央結加趺坐有大威德色如白鵝形如淨月一切相好皆悉圓滿頭具寶冠垂髮以繒綵輕妙天衣繞腰披曳而爲上服一切明呪以爲其體能作無量神變常以三昧金剛輪遍滿生死界備大輪印已而安置訖印記如是思惟世尊卽能成就一切羯磨卽說密語唵 跋折囉 馱都鍐次復想諸善逝以白黃色蓮花阿閦寶生觀自在及不空大牟尼種種殊妙不空色作是思惟獲無量果次第如法安立本契阿閦鞞名觸地卽說密語唵阿閦鞞吽 寶生名授所願契密語唵阿囉二合怛那二合三婆嚩 怛囉二合無量壽名勝上三摩地契誦此密語唵 嚧計 攝嚩二合囉囉闍頡哩重呼不空名施無畏契密語唵阿慕伽悉悌惡重呼復次結金剛薩埵等契明儀式者一次第想已而安立之以威德意氣用二搖擧之謂結二金剛拳止羽當觀羽如弄跋折羅勢誦此密語唵 跋折羅 薩埵阿用二執豎鉤交肘已誦此密語唵跋折羅 穰 用二狀如放箭誦此密語 唵 跋折羅 阿羅伽護又用二金剛於心上爲善哉契彈指誦此密語 唵 跋折羅 娑度索又用二置額上爲灌頂誦此密語唵 跋折羅二合阿羅二合怛娜二合復用二金剛置於心上如轉日輪誦此密語 唵 跋折羅 底穰闇又用二豎右肘於左拳上爲幢誦此密語唵 跋折羅 計都 多藍二合卽彼二拳指契置於口向上雙散之誦此密語 唵折羅 何娑呵止羽如拘勿頭以觀羽擘開之此密語唵 跋折羅 達摩頡唎二合又用左置於心上如煩惱障以右爲劍想以殺之誦此密語唵 跋折羅帝乞瑟那淡又用二申臂當前轉之如輪誦此密語唵 跋折羅 曳都摩含二合又用二從口而起誦此密語唵 跋折羅 婆沙 阿藍又用金剛儛兩手相繞觸兩乳兩頰於頂上誦此密語唵 跋折羅 羯磨劍又用以胸前繞腰如披甲像誦此密語唵 跋折羅 阿囉乞沙二合又用二展檀慧進力等度置口兩傍如牙誦此密語唵 跋折羅 藥吃沙二合又用二拳合相捺誦此密語唵 跋折羅 慕瑟置二合又用二小低頭金剛意氣以意申敬誦此密語唵 跋折羅 邏細護 又用二以繫鬘儀式而繫之頭上此密語唵 跋折羅 麽隸 怛羅二合又用二置於心上以口似變出誦引下申臂誦此密語唵跋折羅擬硏以反提擬提又用二以作儛儀已置於頂上誦此密語唵 跋折羅 涅哩帝曳二合 訖哩二合咤輕又用二覆手開掌向下按之誦此密語唵 跋折羅 杜鞞娿 又用二開掌仰而向上擧之誦此密語唵 跋折羅 補瑟鞞 唵 又用二相向急捺持之爲燈誦此密語唵 跋折羅 嚧計禰又用二置於心上摩其胸前向外抽散爲塗香印誦此密語唵 跋折羅 健提俄又用二相背檀慧度相鉤豎進度如曲力度爲鉤誦此密語唵 跋折羅 二合 俱奢穰 而佉反又用二如上相背相鉤交進力度拄爲羂索誦此密語唵跋折羅皤捨吽吽重引又用二進力度相鉤爲連鎖誦此密語唵 跋折羅 窣普咤 鍐又用二相背檀慧度相鉤進力度初相交爲磬誦此密語唵 跋折羅 吠舍護次作阿閦鞞四部契又作四波羅蜜等契次第用之又於壇外用仰止羽拳契#應所置摩訶薩埵諸薩埵等地運想而安置之次說成就一切契於自心中想四面有金剛杵然後依儀式結諸羯磨契次稱讚如上契之功德由結大智拳契故能入佛智由結阿閦佛觸地契故得心不動由結寶生契故能攝受利益由結三摩地契能持佛三摩地由結離怖勝上契能速施衆生無畏復次由結金剛拳契意氣故易得爲金剛薩埵由結金剛鉤故能速鉤引一切如來由結金剛愛欲契故設是金剛妻自身亦能染著由結金剛歡喜契故一切最勝皆稱歎善哉由結大金剛寶契故諸天人師爲其灌頂由結金剛日契故得同金剛日由結金剛幢契故能注雜寶雨由結金剛微笑契故速得與諸佛同笑由結金剛花契故能見金剛法由結金剛藏劍契故彼能斷一切苦由結金剛輪契故能轉一切如來所說法輪由結金剛語言契故能得念誦成就由結金剛羯磨契故一切如來能隨順事業由結金剛甲契故得爲金剛堅固性由結金剛牙契故設是金剛尚能摧碎由結金剛拳契故能得一切諸契獲得悉地由結金剛喜戲可喜契故常受諸歡喜由結金剛鬘契故得美妙容色由結金剛歌詠契故得淸淨妙音由結金剛儛契供養契故得一切隨伏由結金剛香契故得悅意處由結金剛花契故得諸莊嚴由結金剛燈供養契故獲大威光由結金剛塗香契故獲得妙香由結金剛鉤契故能爲鉤召由結金剛羂索契故而能引入由結金剛鉤鎖契故能繫留止之由結金剛磬契故能生歡喜復次說一切如來金剛三摩耶結契欲結三摩耶等契時先須想於己心中一切如來三摩地所生大殊勝五股金剛杵己身合二羽初分相交觀羽押止羽此名金剛合掌極諸度互相握合此名金剛縛契凡諸三摩耶契皆從此無上金剛縛所生今當次第說諸三摩耶契法作金剛縛契已申忍願度屈其初分相拄爲曲進力度於刀傍此是毘盧遮那金剛界自在契密語曰唵跋折羅哆尾亡禮反二合攝嚩二合哩跋示哩二合你吽如本縛契已合申忍願二度豎爲此名阿閦鞞佛三摩耶契密語曰唵 跋折羅 跋折哩禰吽 如本願縛契已屈忍願度初分相拄智定度面相拄爲寶此名寶生佛三摩耶契密語曰唵 阿羅二合怛那二合跋折哩禰二合如本縛契已曲忍願度相拄爲花名阿彌陁佛三摩耶契密語曰唵 跋折羅 達謎禰吽如本縛契已屈忍願度入掌申檀慧智定度如鍼此名不空成就佛三摩耶契密語曰唵 跋折羅 羯磨 跋折哩禰二合次說金剛薩埵等契結金剛縛契已想二掌爲月輪合申忍願二度豎檀慧智定度而不合爲五股金剛形名薩埵金剛契密語曰唵 三摩耶薩埵如本縛契已曲進力度爲鉤頭指去二三分許此名不空王摩訶薩埵三摩耶契密語曰唵 阿娜耶 薩埵如本縛契已曲進力度中分撗相交名摩羅摩訶菩提薩埵三摩耶契密語曰唵 阿胡蘇如本縛契已以智定度捻進力度彈指爲善哉是名金剛踊躍薩埵三摩耶契密語曰唵 娑度 娑度如本縛豎智定度偃屈進力度面相柱此名金剛藏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蘇摩 訶怛嚩如本縛展檀戒忍慧方便願等開掌此名金剛光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嚧布嗚二合 你瑜多如本縛以檀戒慧方便等度豎合此名金剛表剎亦名金剛扶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遏唎他 鉢臘底卽以上契置兩頰笑處翻手解擧散此名金剛可愛菩薩三摩耶契語曰唵呵呵呵呵 吽呵如本縛豎智定度屈力進度頭相拄此名金剛眼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薩婆迦如本縛申忍願度屈其初分相拄如刀相此名金剛劍菩薩三摩耶契語曰唵 努佉掣娜如本縛戒方便度合豎檀慧度相交此名金剛輪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馱蒲地如本縛開展智定度從口向外申拓此名金剛語言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鉢囉底攝勃馱如本縛以智定度押檀慧度爲羯磨跋折羅此名毘首羯磨菩薩三摩耶密語曰唵 蘇婆施哆嚩如本縛豎進力度置於心上此名勇猛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禰寧一反婆耶 哆縛如本縛曲進力度開檀慧度爲牙名金剛夜叉三摩耶契密語曰唵 捨咄嚕婆乞沙如本縛以智定捻檀慧度本閒屈進力度於智定度背上此名金剛拳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薩婆悉地如本縛置當心已豎智定度此名金剛愛卽嬉戲妓也密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摩訶囉底 丁里反如本縛長申二臂爲鬘此名金剛鬘天三摩耶契密語曰唵 嚕 跛 戍 鞞作金剛合掌契從口引出向下申臂此名金剛歌詠天三摩耶契密語曰唵舜二合怛囉二合掃溪卽開前契相繞如儛勢已合掌置於頂上此名金剛儛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薩婆布逝如本縛覆二羽掌下按之此名燒香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鉢囉曷邏你寧如本縛仰二羽掌上擧之此名花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 癹邏伽如本縛契豎智定度此名燈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 蘇帝穰而伽反魚乙反如本縛開掌摩其胸前已各分向外此名塗香供養天三摩耶契密語曰唵 蘇伽馱霓魚夷反如本縛曲進力度作鉤此名金剛鉤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阿耶形以反而佉反如本縛撗定度已以智度押之頭入掌內此名金剛羂索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阿係形以反𤙖如本縛以檀定度及慧智度相鉤穿之此名金剛連鎖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係窣普咤彭 蒲鹹反如本縛以智定度竝入掌內此名金剛召入菩薩三摩耶契密語曰唵 健咤娿娿次說如上諸三摩耶契功德由佛隨念契故能速證菩提由薩埵金剛契故能爲一切契尊主由寶金剛契故得一切寶主由法金剛契故得佛法藏由羯磨金剛契故能作一切事業由薩埵契故得成金剛薩埵身由金剛鉤契故能召諸執金剛由金剛愛染契故能樂一切佛法由金剛善哉契故能令諸佛歡喜由寶契故得佛灌頂位由金剛威光契故得金剛威光由金剛幢契故能施滿一切願者由金剛笑契故能共一切佛笑由金剛法契故能持金剛法由金剛利劍契故得佛最上慧由金剛輪契故能轉妙法輪由金剛語言契故得佛語言悉地由金剛羯磨契故速得最上成就由金剛鎧契故得爲金剛身由金剛夜叉契故得同金剛夜叉由金剛拳契故得成就一切契由金剛嬉戲妓契故獲得大喜樂由金剛鬘契故得受佛灌頂由金剛歌詠契故得佛讚詠法由金剛舞契故得佛攝護賜以供養由金剛燒香契故能榮潔一切界也由金剛花契故得令世閒隨順由金剛光明契故得佛五眼由金剛塗香契故能除一切苦厄由金剛都印主契故能攝召一切由金剛羂索契故能引入一切由金剛鎖契故能制縛一切由金剛召入契故能成就攝入一切次以十六大供養契應供養一切如結金剛縛已隨次第依本處作之以金剛縛從心契之次左脅右脅背次額口兩耳頂後右肩及腰旣周帀已還置心上今次第說十六大供養契密語其心上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一切如來薩婆答莽己身年一反耶怛那奉獻也布穰而佉反供養薩頗羅拏普皆羯磨 跋穰而佉反哩娿論曰於一切如來我盡以身奉獻皆供養作諸事業置左脅契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 薩婆荅莽 禰耶怛那布穰窣癹羅拏 羯磨釳魚乙反哩穰而迦反上論曰於一切如來我盡以身奉獻皆供養勝上羯磨右脅契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薩婆荅莽 禰耶怛那 阿努羅伽愛業也布穰窣癹囉拏羯磨婆寧𤙖護論曰於一切如來盡以身奉獻普皆供養羯磨弓箭腰後契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薩婆荅莽 禰耶怛那 娑度迦囉善哉也布穰窣癹羅拏羯磨睹所置上歡喜也論曰於一切如來盡以身奉獻以善哉聲普皆供養歡喜事業 額上契密語曰唵娜麽與南無同薩婆怛他揭多迦耶毘曬罽曷羅怛寧 瓢 跋折囉末禰唵論曰一切如來身所灌頂諸寶我今敬禮金剛摩尼於心上旋轉如日輪密語曰唵娜麽薩婆怛他揭多素唎曳瓢毘也反跋折囉帝爾寧威光也入嚩囉熾焰也形伊反論曰一切如來金剛日等我今敬禮熾焰威光置契頂上長舒二臂密語曰唵 娜麽薩婆怛他揭多阿式佉反播哩布羅拏震哆莫你突嚩穰而佉反釳哩瓢跋折羅突嚩穰而佉反姞怛嚂論曰我今敬禮一切如來如意寶珠所求滿足金剛勝上幢於口上笑處解散金剛縛時密語曰如解契法唵納莫薩婆怛他揭多摩訶奔入二合丁里反鉢羅慕地夜二合迦瓢跋折羅荷斯訶論曰敬禮一切如來作歡喜者金剛口上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跋折羅達磨陁金剛法性三摩地毘薩兜茗讚歎摩訶達磨係唎論曰以一切如來金剛法性三摩地讚歎摩訶法音左耳上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鉢羅穰而佉反智慧也波羅蜜多阿鞞禰泥一反呵窣睹努冥讚歎摩訶具沙努倪我伊反論曰以一切如來般若波羅蜜多所出語言隨大音聲讚歎右耳上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者羯羅叉羅鉢伐多你薩婆蘇怛囉按左杵娜曳薩兜努茗薩婆漫茶唎一切道場𤙖論曰以一切如來文字轉輪爲首諸契經理趣讚歎一切道場頂後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散陁婆沙密語陁僧 祇底毘歌頌也伽延窣睹努茗跋折囉 婆唎遮 語言也論曰以一切如來密語我今歌詠歎金剛語言頂上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杜婆香也暝伽雲也三慕達羅海也窣癹羅拏普皆布穰而佉反供養羯冥事業迦羅迦羅論曰以一切如來香雲海普皆供養事業右肩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 補澀波花也鉢羅婆羅窣癹羅拏布穰羯冥抧抧論曰以一切如來種種妙花雲普皆供養作事業故右膝密語曰唵薩婆怛他揭多嚕迦入嚩攞 窣癹囉挐布穰羯磨婆羅婆羅論曰以一切如來光明熾焰普皆供養作羯磨故如上作已復置心上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健馱塗香也三慕達羅窣癹囉拏 布穰羯冥句嚧句嚧論曰以一切如來塗香雲海普皆供養作事業故如是十六大供養契所應作已卽結如上花契大印觀察十方而作是言我今勸請一切諸佛未轉法輪者轉法輪欲入涅槃者願常住在世般涅槃復作是念我今奉獻此贍部洲及十方世界中人生乃至水陸所有諸花皆持奉獻十方一切摩訶菩提薩埵及一切部中所住眷屬一切契明諸天等我爲供養一切如來作事業故誦密語曰唵 薩婆怛 他揭多 補瑟波布穰暝伽三慕達羅 窣癹羅拏三末曳平聲此呼供養初名𤙖鼻引聲論曰以一切如來花雲海普皆供養又結燒香契作是思惟以人天所有本體香和合香變易香所謂以瞻蔔等諸花或薰或浸變成此香如是等差別諸香爲供養一切如來羯磨故我今奉獻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杜婆燒香也布穰暝伽三慕達羅窣癹囉拏三末曳𤙖論曰以一切如來燒香雲海普皆供養又結塗香契已應作是念以人天所有本體香和合香變易等差別諸香爲供養一切如來羯磨故我今奉獻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健陁布穰暝伽三慕達囉窣癹囉拏三末曳𤙖論曰以一切如來塗香雲海普皆供養又結燈契已作是思惟以人天所有本體自生差別光明謂寶珠等悅樂意爲供養一切如來作事業故我今奉獻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你婆布穰暝伽三慕達羅 窣癹羅拏 三末曳𤙖論曰以一切如來燈雲海普皆供養結金剛寶契已應作是念於此世界及餘世界中所有寶山諸寶種類地中海中者彼皆爲供養一切如來羯磨故我今奉獻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部蕩庭悉反伽遏囉哆那稜伽那 布穰暝伽 三慕達囉窣 癹囉拏三末曳𤙖論曰以一切如來覺分寶莊嚴具雲普皆供養結嬉戲契已作是思惟以人天所有種種戲弄玩笑妓樂之具皆爲供養一切如來事業故我今奉獻密語曰唵 薩婆怛他揭多 訶寫息也反上邏寫同上戲笑訖哩陁曷囉底掃佉企伽反阿努怛羅布穰暝伽三慕達囉 窣癹囉拏三末曳𤙖論曰以一切如來所戲笑遊翫最上喜樂雲海周遍供養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卷第三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왼손.
  2. 2)오른손.
  3. 3)이하에서 작만다라법(作曼多羅法)을 설한다.
  4. 4)구마(瞿摩)-gomatī  쇠똥으로 도량을 조성할 때 이것을 발라 청정하게 한다.
  5. 5)금강보로 장식한다는 것은 문마다 보배구슬 혹은 삼고저 등을 걸어놓는 것을 말한다.
  6. 6)미륵.
  7. 7)범어로 Ajita. 무능승(無能勝)이라 번역한다.
  8. 8)그림으로 그린 월륜.
  9. 9)오월륜(五月輪)이란 오해탈륜(五解脫輪)의 만다라이다.
  10. 10)범어로 oṃ vajra karma hūṃ.
  11. 11)동방.
  12. 12)남방.
  13. 13)서방.
  14. 14)북방.
  15. 15)범어로 vaṃ. 중앙의 월륜만다라이다.
  16. 16)4의 내공양이란 금강희ㆍ금강만ㆍ금강가ㆍ금강무이다.
  17. 17)동남간.
  18. 18)북방.
  19. 19)금강향ㆍ금강화ㆍ금강등ㆍ금강도향을 말한다.
  20. 20)그 부의 삼매야형을 뜻한다.
  21. 21)범어로 vaṃ.
  22. 22)범어로 yaṃ.
  23. 23)범어로 raṃ.
  24. 24)범어로 laṃ.
  25. 25)범어로 haṃ.
  26. 26)범어로 oṃ vajra citra samaya.
  27. 27)이하에서 사방의 삼매야형을 보인다. 우선 오불의 삼매야형이다.
  28. 28)수단(水壇)이라는 뜻이다.
  29. 29)범어로 stūpa. 탑파.
  30. 30)동방.
  31. 31)남방. 염라(琰羅)는 야마라자(夜摩羅闍)(yama-rāja)의 줄인 말로 명부(冥府)의 왕.이다.
  32. 32)서방.
  33. 33)북방.
  34. 34)이하 16대보살의 삼매야형을 보인다.
  35. 35)이고금강저(二股金剛杵)이다.
  36. 36)이하에서 현겁(賢劫)의 16존을 밝힌다.
  37. 37)천의 보살이란, 현겁천불(賢劫千佛)이다.
  38. 38)아사리를 말한다.
  39. 39)금강계의 문이란 밤자문(밤字門)이다.
  40. 40)범어로 vajra-dhātu.
  41. 41)범어로 akṣobhya.
  42. 42)범어로 ratna-sambhava.
  43. 43)범어로 lokesva-rarāja.
  44. 44)범어로 amogha-siddhi.
  45. 45)범어로 vajra-sattva.
  46. 46)범어로 vajra-rāja.
  47. 47)범어로 vajra-rāga.
  48. 48)범어로 vajra-sādhu.
  49. 49)범어로 vajra-ratna.
  50. 50)범어로 vajra-teja.
  51. 51)범어로 vajra-ketu.
  52. 52)범어로 vajra-hāsa.
  53. 53)범어로 vajra-dharma.
  54. 54)범어로 vajra-tīkṣna.
  55. 55)범어로 vajra-hetu.
  56. 56)범어로 vajra-bhāṣa.
  57. 57)범어로 vajra-karma.
  58. 58)범어로 vajra-rākṣas.
  59. 59)범어로 vajra-yakṣa.
  60. 60)범어로 vajra-danṣtā.
  61. 61)범어로 sattva-vajrī.
  62. 62)범어로 satna-vajrī.
  63. 63)범어로 dharma-vajrī.
  64. 64)범어로 karma-vajrī.
  65. 65)범어로 vajra-lāsye.
  66. 66)범어로 vajra-mālī.
  67. 67)범어로 vajra-gītī.
  68. 68)범어로 vajra-nrtye.
  69. 69)범어로 vajra-dhūpe.
  70. 70)범어로 vajra-puṣpī.
  71. 71)범어로 vajra-ālokī.
  72. 72)범어로 vajragandhī.
  73. 73)범어로 vajra-kuṣaja.
  74. 74)범어로 vajra-paās hūṃ.
  75. 75)범어로 vajra-sphota vaṃ.
  76. 76)범어로 vajrā'vesa hoḥ.
  77. 77)현겁(賢劫) 16존이다.
  78. 78)여기에서 비로자나란 일천(日天)을 말한다.
  79. 79)여기에서 사리불이란 성문(聲聞)의 한 사람으로서 이들은 외원(外院)에 배치된다.
  80. 80)대자재천 이하는 외금강부(外金剛部)의 제천(諸天)을 밝힌다.
  81. 81)범어로 mahākāra, 대흑(大黑)을 말한다.
  82. 82)범어로 nandi.희(喜)라 번역하는 비구의 이름.
  83. 83)범어로 mahesvara, 대자재천이다.
  84. 84)범어로 tumbura, 욕계 제천(諸天)의 권속.
  85. 85)범어로 rudra. 천(天)의 명칭. 가외(可畏)라 번역함.
  86. 86)범어로 garuda, 금시조(金翅鳥).
  87. 87)범어로 vajra-hūṃ kāra.
  88. 88)북방이다.
  89. 89)범어로 oṃ vajra-dvārodghātaya samaya pravesaya hūṃ.
  90. 90)북방이다.
  91. 91)남방이다.
  92. 92)동방이다.
  93. 93)서방이다.
  94. 94)금강견뇌계는 외박인(外縛印)이다.
  95. 95)범어로 oṃ vajra samaya jaḥ.
  96. 96)범어로 ghantā. 경(磬)의 종류이다.
  97. 97)알가(遏伽,argha) ; 정성스럽게 접대한다는 뜻. 인도에서는 물을 가지고 손님을 정.성스레 접대하는 까닭에, 이 물을 알가수(遏伽水)라 칭한다.
  98. 98)금강살타(金剛薩埵).
  99. 99)금강왕보살(金剛王菩薩).
  100. 100)금강애보살(金剛愛菩薩).
  101. 101)금강희보살(金剛喜菩薩).
  102. 102)금강보보살(金剛寶菩薩).
  103. 103)금강광보살(金剛光菩薩).
  104. 104)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
  105. 105)금강소보살(金剛笑菩薩).
  106. 106)금강법보살(金剛法菩薩).
  107. 107)금강리보살(金剛利菩薩).
  108. 108)금강인보살(金剛因菩薩).
  109. 109)금강어보살(金剛語菩薩).
  110. 110)금강업보살(金剛業菩薩).
  111. 111)금강호보살(金剛護菩薩).
  112. 112)금강아보살(金剛牙菩薩).
  113. 113)금강권보살(金剛拳菩薩).
  114. 114)검지를 말한다.
  115. 115)지권인(智拳印)의 다른 이름이다.
  116. 116)진언으로써 몸의 웃옷으로 삼는다. 이른바 다라니형(陀羅尼形)이다. 이것은 무진.장엄장(無盡莊嚴藏)이다.
  117. 117)범어로 oṃ vajra dhātu vaṃ 금강계여래(金剛界如來). 이하 5여래를 설한다.
  118. 118)범어로 oṃ akṣobhya hūṃ. 아촉여래(阿閦如來) .
  119. 119)범어로 oṃ ratna sambhava traḥ 보생여래(寶生如來).
  120. 120)범어로 oṃ lokesvara rāja hrīḥ 세자재왕여래(世自在王如來).
  121. 121)범어로 oṃ amogha-siddhi aḥ. 불공성취여래(不空成就如來).
  122. 122)이하 십육보살을 밝힌다. oṃ vajra sattva ā. 금강살타(金剛薩埵).
  123. 123)범어로 oṃ vajra rāja 금강왕(金剛王).
  124. 124)범어로 oṃ vajra rāga hoḥ 금강애(金剛愛).
  125. 125)범어로 oṃ vajra sādhu saḥ 금강희(金剛喜).
  126. 126)범어로 oṃ vajra ratna oṃ 금강보(金剛寶).
  127. 127)범어로 oṃ vajra teja jā 금강광(金剛光).
  128. 128)범어로 oṃ vajra ketu traṃ 금강당(金剛幢).
  129. 129)범어로 oṃ vajra hāsa hā 금강소(金剛笑).
  130. 130)범어로 oṃ vajra dharma hiīḥ 금강법(金剛法).
  131. 131)범어로 oṃ vajra tīkṣna dhī 금강리(金剛利).
  132. 132)범어로 oṃ vajra hetu mam 금강인(金剛因).
  133. 133)범어로 oṃ vajra bhāṣa raṃ 금강어(金剛語).
  134. 134)범어로 oṃ vajra karma khaṃ 금강업(金剛業).
  135. 135)범어로 oṃ vajra rakṣa māṃ 금강호(金剛護).
  136. 136)범어로 oṃ vajra yakṣa hūṃ 금강아(金剛牙).
  137. 137)범어로 oṃ vajra muṣti vam 금강권(金剛拳).
  138. 138)이하 내의 사공양이다. oṃ vajra lāsya hoḥ 금강희(金剛嬉).
  139. 139)범어로 oṃ vajra māle trata 금강만(金剛鬘).
  140. 140)범어로 oṃ vajra gīte gīte 금강가(金剛歌).
  141. 141)범어로 oṃ vajra nrtye hrīḥ ta 금강무(金剛舞).
  142. 142)이하는 외의 사공양이다. oṃ vajra dhūpe āḥ 금강향(金剛香).
  143. 143)범어로 oṃ vajra puṣpe oṃ 금강화(金剛華).
  144. 144)범어로 oṃ vajra loke dhiḥ 금강등(金剛燈).
  145. 145)범어로 oṃ vajra gandhe gaḥ 금강도향(金剛塗香).
  146. 146)좌우의 소지.
  147. 147)왼손 검지.
  148. 148)오른손 검지.
  149. 149)이하 사섭보살이다. oṃ vajāṅrkṣa jaḥ 금강구(金剛鉤).
  150. 150)범어로 oṃ vajra pāsa hūṃ hūṃ 금강색(金剛索).
  151. 151)범어로 oṃ vajra shpota vaṃ 금강쇄(金剛鎖).
  152. 152)범어로 oṃ vajra vesa hoḥ 금강편입(金剛編入).
  153. 153)이하에서 일체성취삼마야계(一切成就三摩耶契)를 설한다.
  154. 154)범어로 oṃ vajra vajri dhi hūṃ. 금강녀(金剛女).
  155. 155)범어로 oṃ ratna vajri dhi hūṃ. 보금강녀(寶金剛女).
  156. 156)범어로 oṃ vajra dharma dhi hūṃ. 법금강녀(法金剛女).
  157. 157)범어로 oṃ vajra karma vajri-dhi hūṃ. 업금강녀(業金剛女).
  158. 158)범어로 oṃ samayastvaṃ. 等持.
  159. 159)범어로 oṃ ānaya sattva.
  160. 160)범어로 oṃ aho sukha.
  161. 161)범어로 oṃ sādhu sādhu.
  162. 162)범어로 oṃ sumahātvaṃ.
  163. 163)범어로 oṃ sūpodyota.
  164. 164)범어로 oṃ ardha prāpti.
  165. 165)범어로 0ṃ ha ha ha ha hūṃ haḥ.
  166. 166)범어로 oṃ sarva kāri.
  167. 167)범어로 oṃ duḥkhac cheda.
  168. 168)범어로 oṃ buddha badhi.
  169. 169)범어로 oṃ pratisabda.
  170. 170)범어로 oṃ suvasi tvam.
  171. 171)범어로 oṃ nirbhaya tvaṃ.
  172. 172)범어로 oṃ satru bhakṣa.
  173. 173)범어로 oṃ sarva siddhi.
  174. 174)범어로 oṃ maharati.
  175. 175)범어로 oṃ rūpa sebhe.
  176. 176)범어로 oṃ srotra-saukhye.
  177. 177)범어로 oṃ sarva pūja.
  178. 178)범어로 oṃ prahrdini.
  179. 179)범어로 oṃ phalagame.
  180. 180)범어로 oṃ sutejāgri.
  181. 181)범어로 oṃ sugandhāṅgi.
  182. 182)범어로 oṃ āyahi jaḥ.
  183. 183)범어로 oṃ ahi hūṃ.
  184. 184)왼쪽 소지과 엄지.
  185. 185)오른쪽 소지 및 엄지.
  186. 186)범어로 oṃ he sphota vaṃ.
  187. 187)범어로 oṃ ghānta aḥ aḥ.
  188. 188)이하에서 총공양(總供養)을 설한다. 먼저 제불에 공양한다.
  189. 189)이하에서 십육대공양(十六大供養)을 설한다.
  190. 190)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a niryatana-pūja spharana karmā-vajri aḥ.
  191. 191)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ā svātma niyātana-pūja spharana karmāgri jaḥ.
  192. 192)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ā sakutmani niryātanā-nurāgana pūja-spharana. karmāvāna hūṃ ho
  193. 193)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ani-ryātana-sādhukāra-pūja spharana. karma tuṣti taḥ
  194. 194)범어로 oṃ namaḥ sarva tathāgatābhiṣeka ratnabhyo vajra mani oṃ.
  195. 195)범어로 oṃ namaḥ sarva tathāgata sūryebhyo vajra tejinijvala hrī.
  196. 196)범어로 oṃ namaḥ sarva tathāgatasa paripūrana cintāmani dhvaja grebhyo vajra. dhvajagritaṃ
  197. 197)범어로 hāsa-sthāna. 입(口)을 가리킨다. 정확하게는 웃을 때 코 양 옆의 움푹 파.이는 곳, 또는 입술 위의 인중을 가리킨다.
  198. 198)범어로 oṃ namaḥ sarva tathāgata mahā prīti pramadya karebhyo karebhyo. vajra hase haḥ
  199. 199)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vajra-dharmatā samādhibhiḥ stomi mahā-dharma. hrīḥ
  200. 200)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prajñapāra-mitābhih tirho sutomi mahā-ghaṣatu ge. dhaṃ
  201. 201)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cakrākṣara parivartana sarva-sūtra atanayayaiḥ. sutomi savar-mandala hūṃ
  202. 202)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saṃdhābhāṣa buddha-saṃgītibhiḥ gadaṃ sutomi. vajravācecaḥ
  203. 203)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dhūpa-megha samu spharana pūja karmme kara. karaḥ
  204. 204)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puṣpa prasara spharana pūja karme kiri kiriḥ.
  205. 205)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loka jvāra spharana pūja karme bhara bharaḥ .
  206. 206)oṃ sarva tathāgata gandha megha samudra spharana pūja karme kuru kuraḥ.
  207. 207)이하에서는 모든 보살과 제천(諸天)에 공양함을 설한다.
  208. 208)범어로 jambu-dvīpa.
  209. 209)자심으로부터 생하는 것.
  210. 210)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puṣpa samudra spharaṃa samaye hūṃ.
  211. 211)소위 첨부 등의 온갖 꽃들이 혹은 향기나고 혹은 스며들고 변하여 이 향을 이룬다.
  212. 212)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dhūpa-pūja-megha samudra spharana samaye hūṃ.
  213. 213)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gandha-pūja-megha samudra spharana samaye. hūṃ
  214. 214)이른바 보주(寶珠) 등이다.
  215. 215)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dīpa-pūja samudra spharana samaye hūṃ.
  216. 216)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bodhyāṅga ratna alaṅkāra pūja-megha samudra. spharana samaye hūṃ
  217. 217)범어로 oṃ sarva tathāgata hāsya-lāsya-krīda ratisaikhya uttra pūja-megha. samudra spharana samaye hū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