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乘廣百論釋論卷第十

ABC_IT_K0583_T_010
016_0658_c_01L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제10권
016_0658_c_01L大乘廣百論釋論卷第十


성천보살 본논 지음
호법보살 주석
현장 한역
016_0658_c_02L聖天菩薩本 護法菩薩釋三藏法師 玄奘奉 詔譯


8. 교계제자품(敎誡弟子品)
016_0658_c_04L教誡弟子品第八
016_0659_a_02L
또 다시 정당한 논리가 이미 성립되었고, 삿된 주장이 이미 꺾기었으나 비밀한 진리에는 아직도 미세한 티가 있으므로 다시 청정한 이론과 교법으로 참된 종지(宗旨)를 거듭 드러내서 저러한 의혹들을 물리치리라. 그러므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조그마한 인연 때문에
‘공’과 ‘공’ 아니리 여기니
앞의 여러 품(品)의 교리에 따라
거듭 부정해 무찌르리라

논하건대 비록 법의 본 성품이 모두 공하나 처음 배우는 무리가 바로 보지 못하므로 허망한 존재를 추구하여 깊은 ‘공’ 깨닫기를 겁내거나 혹은 다른 인연 때문에 분명히 결단치 못하나니, 바른 교리를 거듭 드러내어 그들로 하여금 의심을 제하고 뒤바뀐 집착을 버리게 하리라.
이미 온갖 법의 본 성품이 모두 공하거니와 이 ‘공’을 깨닫지 못하였을 때엔 무엇으로써 성품을 삼는가 한다면 모든 법은 ‘내’가 없다 하리라.
그것은 다시 무슨 뜻인가 한다면 이른바 제 성품이 없기 때문이라 하리라. 바르게 보여주기 바란다. 어찌 빗대고 하는 말을 가자하리오 한다면 바로 보일 수가 없나니, 본체가 없기 때문이다. 다암 거짓으로 말했을 뿐이다.
모든 법은 ‘내’가 없으며, 취할 만한 성품이 없기 때문에 ‘공’이라 하나니, 마치 경전에 말씀하시기를 “‘공’이란 모든 법이 ‘나’ 없고, 성품 없고, 잡을 수 없고, 취할 수 없음을 이름함이요, 으뜸가는 진리에는 도무지 조금의 ‘나’라거나 성품이라 할 법도 공하다 할 수 없다” 하신 것 같다.
만일 그렇다면 ‘공’이란 명칭은 말할 수 없으리라 한다면 사실 말할 수 없나니, 다만 거짓으로 세웠을 뿐이다. 마치 허공이라 할 때에 비록 제 성품이 없고, 실제로 말할 수 없으나 거짓으로 이름을 세운 것 같다.
‘공’은 이미 말을 여의었다 하거니와 있음은 의당 말할 수 있으리라 한다면, 역시 말할 수 없나니, 실제로 본체가 없기 때문이다. 모든 법의 진실한 성품은 도무지 없다고 말하는 경우와 같다. 성품 없는 이치 안에는 둘도 없고 말도 없다.
만일 그렇다면 말하는 이와 말한 바가 모두 공하니 이제 아무 말도 없어야 하리라. 그러나 이미 말한 바가 있으니, 모두가 공하지 않으리라 한다면 이런 의심을 나타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말하는 이와 말한 바가 있으면
‘공’의 이치는 없는 것이리니

논하건대 말하는 이라 함은 말하는 사람을 이름이니, 말과 말해진 것이 모두 말한 바이다. 이 세 가지가 유위와 무위를 통틀어 포섭하나니, 이른바 눈 따위 감관과 빛 따위 경계이다. 이들이 만일 실제로 있다면 어느 법이 공하겠는가. 이런 의혹을 없애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이 인연으로 되었기에
세 가지 일은 있지 않다

논하건대 말하는 이와 말과 이치와의 세 가지는 성품이 공하니, 뭇 인연에 의하여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종파에서도 모든 법의 이름과 말은 모두가 스스로의 마음인데 세속을 따라 벌려 세운다고 허락한다. 이와 같이 말하는 이와 말과 말한 바가 모두 으뜸가는 진리에는 없고, 세속에만 있다. 그렇거늘 어찌 이 세 가지를 공하지 않다 하리오.
어찌하여야 이 세 가지가 있지 않는 것임을 분명히 알리오 한다면 이른바 다른 이에 의해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마치 요술 속에서 하는 짓과 같다. 다른 이에 의해서 성립되지 않았다면 모두가 토끼의 뿔과 같으리라. 그러므로 세 가지 일의 제 성품은 모두가 공하거늘 세간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거짓으로 말이 있을 뿐이다.
또 그대는 어찌하여 진공(眞空)을 의심하고 힐난하는가.(이에 대답하기를) 나는 그래도 옛날에 주장하던 있음의 소견을 성취시키고 싶다 한다면 그런 소견을 버려야 한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남의 종파를 파하는 것이 능히 자기의 소견을 성취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다른 이가 주장하기를 “걸림없기 때문에 항상하다” 함을 파하는 것이 스스로의 무상하다는 주장을 능히 성취시키는 것은 아니다.
설사 그러한 이치가 있다 하여도 그대의 주장은 역시 성립되지 못하나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에 대답하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공’의 허물 만을 말하여도
공하지 않음의 이치가 이뤄지면
공하지 않음의 허물을 밝혔으니
‘공’의 이치가 먼저 성립됐으리

논하건대 만일 ‘공’만을 파하였는데 공하지 않음이 성립된다면 공하지 않음이 이미 파해졌기 때문에 ‘공’의 이치가 성립되리라.
앞의 여러 품에서 온갖 공하지 않음의 이치를 세우는 데 따른 허물을 이미 설명했다. 만일 그대가 공하지 않음의 아치를 성립시키고자 한다면 먼저 방편으로서 앞의 허물들을 제거해야 한다. 앞의 허물을 제하지 않고 다만 ‘공’만을 설명한다면 그대의 공하지 않음의 이치는 끝내 성립되지 못한다.
다른 사람의 실수 있고 덕망 없음을 드러내는 것이 자기의 실수 없고 공덕 있음을 성취시키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두 가지 공능을 갖추어야 바야흐로 자기의 소견을 성립하나니, 이른바 세움과 파함이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남의 종지를 부수려는 이는
먼저 자기의 정의를 세우라
어째서 남의 잘못 만을 즐기어 말하면서
자기의 종지는 세우지 않는가

논하건대 반드시 세움과 파함을 갖추어야 스스로의 소견이 바야흐로 성립되나니, 세움과 파함, 두 가지 공능은 소견이 의지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오직 남의 허물만을 드러내면서 자기의 종지를 드러내지 않고서도 자기의 정의가 성립된다면 끝내 그럴 이치가 있을 수 없다.
무슨 까닭에 그대들은 오직 ‘공’을 파하는 일만 좋아하며, 자기의 주장인 있음의 이치를 성취시키려는 생각을 않는가. 그러므로 세움과 파함, 두 가지를 균등히 하여야 바야흐로 자기 종지의 있음의 이치가 성립되리라. 그대가 있음을 세우고자 하나 끝내 가능치 못하나니, 그러므로 모든 법이 공하다는 그 이치는 결정적인 것이다.
공하다는 주장에도 그 허물은 이와 동일하지 않겠는가. 자기의 종지는 드러내지 않고 남의 허물만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한다면 이 질문은 이치에 맞지 않나니, 공하여 ‘나’없음의 주장은 앞의 여러 품에서 이미 널리 밝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하여 ‘나’ 없음의 주장은 ‘나’있음을 물리치고서 성취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대의 종지를 파하는 동시에 우리의 종지는 이미 성립되었다.
만일 그렇다면 공하다는 주장은 다만 빈 말이 있을 뿐이니, 공하여 ‘나’ 없음이란 명칭은 진실한 이치가 없기 때문이다 한다면 사실 그렇다. 공하여 ‘나’ 없다는 명칭은 거짓이요, 진실이 아니다.
다른 이의 집착을 파하기 위하여 임시로 자기의 종지를 세우거니와 다른 이의 집착이 이미 제하여지면 자기의 종지도 따라서 없어진다. 이런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시 게송을 말했다.

하나 따위의 집착을 부수기 위해
거짓으로 무찌름을 세워 종을 삼나니
그리하여 세 집착이 없어진 뒤엔
자기의 종지도 따라서 서지 않네

논하건대 하나다 다르다. 또는 (하나와 다름이) 아니다 함은 세 집착이라 하는데 모두가 하나와 다름과 같기 때문에 따로 말하지 않는다. 하나 따위 세 종지를 바로 관찰하면 모두가 성품 없음으로 돌아가서 조그만큼도 존재할 것이 없다.
그의 성품은 본래부터 공하여서 지금 파하는 것을 말미암지 않나니, 그러므로 경에 말씀하시기를 “가섭이여, 잘 알아라. 보는 바는 본래 공한 것이지 지금에 파하는 것을 말미암지 않는다” 하였다. ‘공’을 닦는 모든 사람은 본 성품의 공함을 증득하나니, 그러므로 온갖 파하는 말은 모두가 거짓으로 세운 것이다. 세움도 역시 그러하여서, 방편으로 시설한 바이요, 진실이 아니다.
모든 법이 공하다는 종지는 무엇에 의하여 성립되었는가 한다면 그대의 집착에 의하기 때문에 내가 종지를 세우거니와 집착하는 바가 이미 없다면 종지도 세워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대는 있음이라 주장하기 때문에 종지는 없음이 되지 못한다.
자기의 종지를 존속시키기 위하여는 의당 상대방의 주장인 있음을 허락해야 되리라 한다면 그대의 집착을 없애기 위하여 나의 종지를 세웠는데 그대의 집착이 없어진다면 나의 종지는 더욱더욱 성립된다.
비록 그렇다 하여도 ‘공’을 세워서 종지를 삼지 못하나니, 현전에 보건대 세간의 병 따위가 있기 때문에 설사 공함ㆍ‘나’없음 따위 비량(比量)이 여러 갈래로 벌어지나 강한 위력이 있는 현량(現量)에게 굴복된다 한다면 그렇지 않나니, 병 따위는 현량으로 알바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 까닭에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병이 눈앞에 보이는 것이라면
‘공’의 원인은 공능이 없나니
다른 종의 눈앞에 보이는 원인을
이 종에서는 허락지 않는 바이다

논하건대 내가 만일 병은 현량(現量)으로 얻는 바라고 허락한다면 ‘공’의 원인인 비량은 공능이 없다 하리라. 그러나 나는 병이 현량으로 얻는 바라 하지 않으니, ‘공’의 원인인 비량이 어찌 공능이 없으랴.
병 따위 모든 티끌은 모두가 눈앞에 보는 것이 아니니, 파근경품(破根境品) 따위 여러 품에서 이미 말했다.
다른 종파에서 병은 눈앞에 본다 하지만 이에 대해 벌려 세워서 원인 있다는 증거를 삼으려 해서는 안 된다. 소견이 만일 같으면 이끌어서 증거를 삼을 수 있거니와 소견이 이미 다르거니 누가 긍정하여 따르랴. 그러므로 ‘공’의 원인은 현량에 어기지 않는다. 그리하여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은 모두가 공하다고 세울 수 있다.
병 따위 모든 티끌을 세간은 눈앞에 보는 바인데 만일 비량으로써 모두가 공하다는 주장을 세운다면 이는 세간에는 공하지 않은 것이 없게 될 것이다. ‘공’은 뒤집어 상대할 것 없기 때문에 아무 것도 성립될 것이 없으리라 한다면, 이런 의심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만일 공하지 않는 이치가 없다면
‘공’의 이치가 어찌 이뤄지랴

논하건대 ‘공’의 이치를 세우는 것은 공하지 않음을 뒤집어 상대하는 것인데 공하지 않음이 없다면 ‘공’도 있지 않다. 그렇거늘 어찌 모든 법이 공하다는 주장을 세우랴 한다면 이런 의심을 풀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그대가 ‘공’을 세우지 않으니
공하지 않음도 세우지 않아야 한다

논하건대 공하지 않음을 세우는 뜻은 ‘공’을 뒤집어 상대함인데 이미 ‘공’을 믿지 않으니, 공하지 않음이 어찌 성립되랴. (그렇거늘) 어찌 모든 법이 공하지 않다고 세우랴. 그대는 ‘공’을 믿지 않으면서 있음을 세우려 하는데 나는 있음에 집착되지 않는데 어찌 ‘공’을 세우기를 폐하랴.
만일 말하기를 “공하지 않음도 역시 상대가 있나니, 이른바 서로서로 없음이 존재하거나 혹은 결정코 없는 것이다” 한다면 나의 ‘공’도 그러하여서 세속의 있음에 상대한다. 그들의 허망한 있음을 없애기 위하여 참공[眞空]을 세운다.
또 세우려는 ‘공’은 오로지 집착을 없애기 위한 것이요, 반드시 있음을 상대하여 ‘공’을 세우는 것은 아니다. 마치 항상함을 없애기 위해 무상의 교법을 말하는데 항상함이 있는 것은 아니니, 무상함을 세우는 예와 가다.
또 이에 대하여 그대들은 의심하거나 힐난하지 말지니 뒤집어서 상대함은 있음에 존재-해당-할지언정 ‘공’에 존재-해당-하지 않는다. 있음의 현실은 없음이 아니어서 뒤집음이 있고 대함이 있거니와 ‘공’의 이치는 있음이 아니거니 무엇을 대하고 무엇을 뒤집으랴.
만일 말하기를 “그렇지 않나니, ‘공’은 종이기 때문이다. 마치 빛 따위의 무상을 세워서 종을 삼는 것 같다. 이 무상의 종이 이미 결정코 있는 것이라면 이 ‘공’의 종도 그러하여서 반드시 없지 않으리라”한다면 그 말은 참되지 못하니 원인이 일정치 않기 때문이다.
세간에서 현재를 보건대 없음도 종이 된다는 말이 이치에 맞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없음의 종이 있다고 한다면
있음의 종도 성립되지만
없음의 종이 있지 않다면
있음의 종도 이뤄지지 않으리

논하건대 없음의 종이 있다면 있음의 종과 상대하여 성립되거니와 없음의 종이 없다면 있음의 종이 무엇을 상대하랴. 만일 말하기를 “상대가 없어도 있음의 종이 성립된다”고 하면 이는 곧 앞에서 ‘공’이 상대가 있으리라고 책망한 것을 스스로 어긴다.
만일 말하기를 “온갖 법이 공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 ‘나’ 없고 참된 ‘공’이어서 모두가 똑같은 한 맛이거늘 어찌하여 현재에 보기에 모든 법이 같지 않는가”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세속으로 있고, 으뜸가는 진리에는 없기 때문에 이치가 어기지 않는다. 이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이 모두가 공하다면
어떻게 불을 뜨거운 것이라 하리
이는 앞에서 이미 부정한 것 같이
불이나 뜨거움은 세속이요 참이 아니다

논하건대 만일 온갖 법의 본 성품이 모두 공하다면 어찌 세간에는 불 따위의 다름이 있는가 한다면 세속의 일은 있으니 모든 법이 같지 않고, 으뜸가는 진리는 공하니 볼 따위의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그대의 트집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불 따위는 앞에서 감관과 경계 따위를 파할 때에 이미 구족히 관찰하여 세속이요, 참이 아님을 알았거늘 어째서 여기서 다시 트집을 하는가.
만일 법이 있음이 아니라면 이란 무엇을 막을 것인가. ‘공’으로써 막을 바가 있기 때문에 법은 있는 것이라 한다면 네 가지 논리로 서로 막을 때에 모두가 참이어야 하리니, 문득 스스로의 뜻에 어긴다. 이런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법이 진실로 있다고 하여
그들 막기 위해 ‘공’이라 하면
네 가지 논리가 모두 참되리니
어떤 허물을 보고서 버리겠는가

논하건대 막을 바를 막기 때문에 막는 이[能遮]를 세우거니와 막는 바가 없다면 막는 이가 어찌 있으랴. 마치 비철[雨期]이 아니라 함으로써 겨울이라 하고, 겨울일 때에 반드시 비철이 아니라 하는 것 같이 ‘공’은 있음을 막기 때문에 있음은 결정코 없지 않다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않나니, 원인이 결정치 않기 때문이다.
하나 따위 네 가지 논리는 서로서로 막으므로 모두가 참이리니, 막을 바이기 때문이다. 참이라면 허물이 없을 것인데 그대는 어떤 잘못을 보았기에 삿을 버리고 하나를 집착하는가. 그러므로 실제로 막을 바가 있다고 말하지 말라. 만일 온갖 막은 바가 모두 실제로 있다면 스스로의 말에 허물이 없고, 그대의 허물이 참되리라. 그대는 ‘공’을 없다고 무시하는데 이 ‘공’이 진실이랄.
만일 말하기를 “온갖 법의 성품과 형상이 도무지 없다면 세간은 모두 아주 없게 되리라” 한다면 있음도 집착하지 말아야 되거늘 하물며 없음을 집착하랴. 있음을 집착하거나 없음을 집착하거나에 모두 허물을 이루나니, 이런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이 아주 없다면
생사는 있지 않겠지만
부처님들이 언제 어디서
법이 결정코 없다고 집착하라 하셨나

논하건대 만일 모든 법이 전혀 없다면 생사와 인과가 서로서로 상속하고 윤회함이 없으리라. 결정코 없다고 집착할 것이 아니거늘 어찌 힐난을 하는가.
나는 세속의 인과가 없지 않다고 말했거니와 부처님은 지혜와 소견은 걸림이 없으신데 일찍이 결정코 있다거나 결정코 없다 함을 허락지 않으셨다.
마치 경에 말씀하시기를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말씀하시되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은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 있음은 한 쪽으로 치우침이요, 없음은 둘째의 것이다. 이른바 항상함과 아주 없음이다. 이 두 가지의 사이에는 빛도 없고 소견도 없고 머무름도 없고 형상도 없고 표시할 수도 없고, 시설할 수도 없다 하신 것 같으니, 이 뜻은 세속으론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생사의 윤회를 건립하고, 으뜸가는 진리에는 공하기 때문에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은 있음도 아니요, 없음도 아니어서 마음과 말의 길이 끊였다”는 것이다.
만일 온갖 법의 참됨이 있음과 없음을 떠났다면 또 무슨 까닭에 세속으론 있다고 하는가. 참됨은 둘이 없다할지라도 세속으로 있음은 어째서 무너지는가. 의당 참됨을 떠나서 따로 세속이 있어야 하리라 한다면 서로 여의지는 않았지만 이치에 다름이 있나니, 세속은 세속 망정에 순응하고 참됨은 진실한 이치를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참됨은 둘이 없지만 세속은 여러 까닭이 있다.
또 온갖 종파들은 모두가 둘 없음을 허락하나 갖가지 종류의 같지 않음이 있다. 그러므로 선뜻 의심과 질문을 일으키지 말라. 이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만일 참됨이 있음과 없음을 떠났다면
무슨 까닭에 세속으론 있다하랴
그대의 근본 종지도 역시 그렇거늘
질문을 퍼부은들 무엇하리오

논하건대 만일 빛 따위 법의 참됨이 있음과 없음을 떠났다면 다시 무슨 까닭에 세속으론 있다고 하는가. 인과가 끊이지 않기 때문에 생사에 윤회한다.
세속은 세속 망정에 순응하기 때문에 인연이 거짓으로 있거니와 참됨은 진실한 이치를 말하기 때문에 있음이 아니요, 없음도 아니다.
그대들의 근본 종지는 모두가 둘 없음을 허락하지만 법은 있다고 하면서 선뜻 질문을 일으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모든 구절의 이치는 있음을 주장하지 않았으니, 온갖 법은 그 본체가 다 동일할 수 없다. 또 있지 않지도 않나니, 온갖 법의본체가 다 없다 하지도 말라.[亦非非有勿一切法其體皆無] 있음이 아니요, 없음도 아니어서 모든 법에 두루하였지만 갖가지 구절과 이치를 세움이 같지 않다. 나의 법도 그러하거늘 어째서 번거로이 질문을 일으키는가. 이 도리에 의하여 다른 질문도 통한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그러므로 다음 게송에 이렇게 말했다.

모든 법이 모두 없다면
차별은 있지 않을 것이요
모든 법이 모두 있다고 하여도
차별은 역시 없으리라

논하건대 만일 온갖 법으 진실한 성품이 전혀 없다면 온갖 세간의 인과가 차별되어서 눈 따위에서 눈의 의식 따위가 난다는 말은 모두 없어야 하리니, 없음은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위의 해석과 같으니 없음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있음이라고 집착하거나 없음이라고 집착하는 것은 모두가 이치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 만일 있음이라고 집착한다면 그 허물은 역시 같으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만일 온갖 법이 동일하게 성품이 있다면 온갖 세간의 인과가 차별되어서는 눈 따위에서 눈의 의식 따위가 난다고 하는 것도 역시 없으리니, 있음은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결정코 있음 위에서 형상의 같지 않음에 따라 세간의 모든 법의 차별을 건립하나니, 나도 역시 그러하여서 참됨이기 때문에 공하지만 세속으로 있는 가운데서 차별을 건립한다. 그러므로 그대가 질문한 바는 헛일이다.
열등한 지혜를 가진 사람이 다시 의심을 내되 법이 있음이 아니라면 있음을 능히 파하는 원인은 결정코 없으리라 하거니와 이 비난은 이치에 맞지 않나니 세속으론 있기 때문에 그대의 집착은 있음을 능히 세우는 원인이 없지 않다.
무슨 까닭에 있음이 아니겠는가. 이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법이 있음이 아니라 함으로써
있음의 원인을 무찌를 수 없다 하면
있음의 원인을 무찌르는 방법이 이미 밝혀졌거늘
그대의 종지는 왜 성립되지 않는가

논하건대 만일 모든 법의성품과 형상이 모두 없다면 있음을 능히 파하는 원인도 있지 않으리라 한다면 이는 지혜가 극히 열등한 사람이다. 눈앞의 추하고 거친 일에서도 분명히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속에 속하는 것으로서 능히 있음을 파하는 원인은 앞서 이미 널리 밝히었다. 어째서 있음이 아니라 하랴.
그대는 세속의 있음은 원인이 아니라고 말하지 말라. 으뜸가는 진리에는 세움도 파함도 모두 없기 때문이다.
만일 있음을 능히 파하는 원인을 허락지 않는다면 어찌 원인을 세워서 자기 종의 있음을 증명함이 우리 종에서 있음을 능히 파하는 원인을 널리 말한 것 같을 수 있으랴. 그대가 있음의 원인을 세운 것을 일찍이 하나도 보지 못했거늘 어찌하여 모든 법은 ‘공’이 아니라고 집착하겠는가.
‘공’이라는 말은 파하는 것이니, 남을 파함으로써 자기의 주장은 성립되고, 있음이란 말은 세우는 것이니, 스스로가 세워져야 비로소 성립된다. 그러므로 우리의 주장인 ‘공’은 수고로이 따로 세울 필요가 없거니와 그대가 집착하는 있음은 모름지기 따로 원인을 세워야 된다. 따로 원인이 없다면 무엇을 인하여 있음이란 것을 알겠는가.
파하는 원인을 얻기 쉽고 세우는 원인은 이루기 어렵다. 그러므로 있음의 원인을 파하는 것을 그다지 기묘하다 할 수 없다고 한다면 그대의 종은 어째서 ‘공’을 파하지 않는가. 그러한 말을 파하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무찌르는 원인을 얻기 쉽다 한다면
이는 세속의 거짓말이니
그대는 어찌하여
진공의 이치는 무찌르지 못하나

논하건대 파하는 원인은 얻기 쉽다 함은 세속의 허망한 말일뿐이요, 아직도 있음의 원인인 참공을 파하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소승과 외도는 참공을 미워하나 아직도 있음의 원인으론 참공의 이치를 파하지 못하거늘 어찌하여 파하는 원인을 얻기는 쉽다고 하겠는가.
모든 법의 성품의 공함은 세우기는 쉽고 파하기는 어려우며, 모든 법의 성품의 있음은 세우기는 어렵고 무너뜨리기는 쉬우니, 참과 거짓이 분명하거늘 어찌하여 굳게 집착하는가.
어떤 이가 세움과 파함의 원인이란 그물에 걸려서 스스로도 벗어날 능력이 엇으면서도 교묘히 말하기를 “소리를 일정한 겨냥으로 삼아 법의 있고 없음을 표사하나니, 이미 있음의 법이 있다”면 법은 있는 것이리라. 법이 만일 있지 않다면 있음의 소리도 없어야 하리라. 하나니, 이런 말을 파하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있음의 이름이 법의 있음을 나타낸다 하여
법이 실제로 없는 것 아니라면
없음의 이름은 법의 없음을 나타내므로
법은 진실로 있지 않으리

논하건대 저들은 온갖 이름을 세우는데 소리로써 성품을 삼거니와 이 세워진 이름 따위는 소리는 아니다. 그러므로 다만 이름만을 들어서 저들의 집착을 파한다.
있음의 소리가 있음을 나타낸다면 그대가 집착하는바 법은 진실로 없지 않을 것이요, 없음의 소리가 없음을 표한다면 의당 나타내는바 법이 실제로 있지 않음을 나타낸 것임을 믿어라.
없음의 소리는 겨냥이 아니니, 이는 문득 스스로의 종지에 어긴다. 그러므로 그대가 말한바는 있음을 증명함이 되지 못한다.
이렇듯 열등한 지혜를 가진 이가 자기의 허물을 벗고자 헛되이 수고를 베풀었으나 능히 면하지 못하리라.
실제로 있는 법에 의하여 실제로 있음의 이름을 세우고 실제로 있음의 이름을 인하여 실제로 있음의 견해를 내나니, 만일 법이 있지 않다면 있음의 이름도 있지 않을 것이요, 있음의 이름이 없다면 있음의 견해도 없어야 하리라. 이미 있음의 견해가 있기 때문에 법도 없지 않으리라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니, 거짓으로 이름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런 를 드러내기 위해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이름에 따라 법의 있음을 알고는
법은 없지 않은 것이라 하거니와
이름에 따라 법의 없음을 알았으니
법의 있지 않음을 믿어라

논하건대 만일 있음의 이름을 듣고 있음의 견해를 내고서 말하기를 “모든 법은 있는 것이요 없지 않다 하면 이미 없음의 이름을 듣고 없음의 견해를 낸다면 모든 법은 있지 않고, 없는 것임을 믿어라” 한다면 이것이 이미 옳지 않거늘 그들은 어찌 그러하랴.
이름에 의하여 견해를 낸다 하여 그것이 ‘공’을 증명하는 원인이다. 그러나 있음의 원인이라 한다면 반드시 이치에 맞지 않는다.
법의 본체가 만일 있음이라면 어찌 있음의 이름을 기다리랴. 이미 있음의 이름을 기다려서야 바야흐로 있음의 견해를 낸다면 모든 법의 본체가 실제로 없는 것임을 알리라. 다만 거짓을 세워진 이름이 세상에 공통으로 퍼졌을 뿐이니, 있음의 이름은 진실로 나타내는 바가 결정코 없나니, 마치 사람이 소를 부르는 것 같아서 상상에 의해 세워졌기 때문이다.
이름은 있음을 능히 없애는데 그래도 있음의 원인을 세우는 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밝음을 어두움이라 하는 것 같다. 있음이 만일 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는 거짓이요, 참이 아니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세간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모두가 거짓이어서 참이 아니니
세속의 말과 이름을 여의어야
참이어서 거짓 아니리라

논하건대 세간의 이야기는 모두가 스스로의 마음에 따라 공통하게 퍼지는 거짓 생각에 의하여 세워진 것인데 법이 만일 말할 수 있다면 거짓이어서 참이 아니다. 거짓이 아니요, 참이라면 결정코 말할 수 없으리니, 말할 수 있는 온갖 것은 모두가 세속이요, 참이 아님을 앞의 품에서 이미 널리 성립되었다. 그러므로 집착하는 바 있음이란 거짓이요, 참이 아니니, 집과 같고 군사와 같다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 따위의 네 가지 집착은 앞서 이미 구족히 막았는데, 다시 다른 진실로 있는 법을 세우지 않는다면 이 논리는 없음의 쪽으로 기우리라 한다면 이런 의심을 풀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이 엇다고 비방하면
없음의 소견에 빠진다 하겠지만
허망한 집착만을 제거하거늘
어째서 없음에 빠진다 하랴

논하건대 모든 있음의 법을 비방했다면 없음 쪽에 치우친다 하겠지만 오직 허망한 생각만을 버리거니 어찌 없음의 집착에 빠지랴. 있음의 집착을 파하기 위하여 우선 없음을 세웠거니와 있음의 집착이 제해지면 없음도 역시 없어진다.
도 세속의 있음은 전에 이미 자주 논했으니, 이는 없음의 집착에 빠지리라 말하지 말라. 오직 세속으로만 있다고 허락한다면 진리도 없을 것이요, 진리가 없음을 허락지 않는다면 진리의 있음도 허락해야 하리라 한다면 이 말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있음이 참 있음이 아니기에
없음도 참 없음이 아니거니와
참 없음이 이미 없거늘
어찌 참 있음이 있으랴

논하건대 만일 참 있음이 있다면 참 없음도 있을 수 있거니와 참 있음이 이미 없거니 참 없음이 어찌 있으랴. 참 없음이 없기 때문에 참 있음도 없으리라. 진리는 있고 없음이 아님을 전에 이미 누누이 설명했거늘 어찌 다시 진리가 있고 없음이라고 집착하는가.
만일 참됨이 없음이 아니라면 어찌하여 자주 말하기를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이요, 세속으론 있으나 진리에는 없다”고 하였는가 한다면 이 말의 뜻은 오직 세속으로 있으나 진리에는 이 있음이 없기 때문에 진리에는 없다고 한다. 만일 그렇다면 진리는 세속에 없는 것으로써 본체를 한삼을 것이요, 만일 그렇지 않다면 따로 진리가 있어야 하리라. 만일 따로 진리가 있다면 있음은 세속뿐이 아니리라. 있음이 이미 세속뿐이라면 진리의 본체는 없어야 하리라. 진리의 본체가 만일 없다면 닦고 증득하기를 어찌 좋아하랴 한다.
이에 대하여 어떤 한 무리는 이 힐난을 해석하기를 내가 진리에 없다고 말한 것은 막는 말이요, 표현함은 아니니, 세간의 허망한 소견을 가진 무리는 있음을 진리라 집착하기 때문에 이 있음이 참되다는 주장을 막을지언정 없음의 본체를 표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진리의 본체는 곧 세속에는 없다. 세속의 없음을 떠나서 따로 진리의 본체가 있는 것 아니다. 진리에 없다함은 이른바 세속에는 참됨이 없다는 말이니, 이는 이 진리에 없다 함이 따로 표현하는 바가 없다는 주장을 막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이는 말의 참 뜻을 끝까지 구명하지 못한 것이다. 뉘라서 진리에 없다는 말이 따로 표현하는 바가 있다고 했는가. 만일 다른 법을 막으나 따로 표현하는 바가 있다면 이는 막고 표현하는 말이니, 다른 법을 막은 뒤에 다른 형상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마치 중생이 아니라거나 고녀[黃門]가 아니라하는 경우와 같다.
만일 다른 법을 막고 따로 표현하는 바가 없다면 이는 오직 막는 말이 뿐이니, 막을 바를 막고는 그 힘이 다하나니, 마치 고기를 먹지 말라거나 술을 마시지 말라는 예와 같다.
이 진리에 없다는 말은 오직 그 진리에는 따로 표현할 바가 없다고 막는 것이니, 말하지 않아도 가히 알 것이다. 마치 있음이 아니라는 말은 오직 있음을 막았을 뿐이요, 있지 않음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다른 것을 표현하지도 않는 것 같다.
만일 없음을 표현하거나 혹은 다른 법을 표현한다면 이 있지 않다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있지 않다는 말이 있음을 표현한다면 없지 않다는 말은 없음을 표현하여야 하리라.
이와 같이 막는 말은 어리석은이나 지혜로운 사람이 모두 같이 인식하여 그들은 아무런 의심도 질문도 없거늘 거듭 이야기해서 무엇하랴. 그들이 질문하는 뜻은 있음이 만일 세속뿐이라면 참됨은 있지 않을 것이니, 무엇을 닦아 증득하랴. 다만 진리에 없다고 한다면 이는 막는 말이요, 표현함이 아니니, 내지 널리 말할지라도 어찌 질문을 해석함이 되겠는가.
다시 어떤 이가 해석하기를 ‘나’ 업음의 관법을 닦아 방편이 끝까지 이르러 진리를 볼 때에 온갖 세속의 있음은 모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진리에 없다고 한 것이다 한다면 이것도 옳지 못하니, 뜻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만일 세속의 있지 않음을 참이라 한다면 증득할 바가 없을 것이요, 만일 따로 참이 있어서 증득할 바라 한다면 있음이 오직 세속뿐이라 하지 못하리라.
또 경에서 말씀하신 바 도무지 보는 바가 없어야 비로소 참이라 할지언정 조그만큼이라도 보는 바가 있으면 참을 보는 것 아니라 한 것에 어긋난다. 그러므로 이 말도 바른 해석이 못된다. 바르게 해석하는 이는 의당 말하기를 참음 있음도 없음도 아니니 마음과 말이 끊이었기 때문이다. 있음의 집착을 파하기 위하여 거짓으로 있음이라 하거니와 있다거나 없다 하는 두 가지는 모두가 세속의 말이요, 으뜸가는 진리에는 있음도 없음도 모두 없다. 거룩한 지혜로 증득할 바는 있음도 없음도 아니나 있음도 없음도 되는 것은 나중에 널리 말하리라.
어떤 이가 질문하기를 “법의 공함을 증득하는 원인은 있음인가 없음인가. 있다면 다른 법도 역시 있을 것이요, 없다면 모든 법의 공함을 증득하지도 못하리라” 하나니, 이런 질문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원인이 있어 법의 공함을 증득한다면
법의 공함은 성립되지 않으리니

논하건대 ‘공’은 반드시 원인에 의해서야 바야흐로 성립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온갖 것이 성립되리라. 원인이 이미 공하지 않으면 다른 것도 역시 그러하리라. 오직 아지랑이 따위와 물 따위의 성품만이 공하다면 세운 바 종지가 모두 성취되지 못하리라 한다면 이런 질문을 풀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종지[宗]와 원인[因]이 다르지 않으므로
원인의 본체는 진실로 없는 것이다

논하건대 수론(數論)의 종사들은 총(總)과 별(別)이 차이가 없다 한다. 애써 용맹하고 끊임없이 일으키는 따위 원인이 모두 소리이기데 의당 소리의 본체와 같으리니, 다른 것에 통하지 않기 때문에 원인의 본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승론(勝論)의 종사들은 총과 별이 다르기도 하고 다르지 않기도 하다고 하나니 다르지 않다는 것은 허물이 앞의 것과 같고, 다르다면 앞의 여러 품에서 이미 파한 것 같다. 그러므로 다르거나 다르지 않거나에 모두 원인이 성립되지 않는다. 이 까닭에 주장[宗]과 이유[因]는 다르지 않고, 원인의 본체는 진실로 없다 하노라.
또 세운 바 원인의 본체가 만일 실제로 있다면 의당 종지의 본체와 하나이거나 혹은 다르리라. 그러나 원인과 종지의 본체가 하나이거나 다르다 하지 말지니, 하나도 다름도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군사와 숲이 거짓이요, 참이 아니니, 세속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간의 허망한 분별을 따라 갖가지 주장과 이유를 같지 않게 세워서 모든 삿된 집착을 없앴거니와 삿된 집착이 없어진 뒤엔 주장도 이유도 없어진다. 그러므로 법은 동일하고 원인은 있다고 말하지 말라. 주장과 원인은 거짓으로 세워진 것이어서 모두가 세속의 법이요, 진리가 아니다.
다시 어떤 이가 따지기를 법의 공함을 증득하는 비유는 없음인가 있음인가. 없다면 모든 법의 공함을 증득하지 못할 것이요. 있다면 모든 법은 비유와 같아서 있어야 하리라 하거니와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공’의 비유가 따로 있으므로
모든 법이 공하지 않음에 견준다면
오직 속의 나[內我]가 까마귀 같이
검으리라는 비유만이 성립되리라

논하건대 비유한 원인의 한 부분에 속하는 바인데 원인이 이미 세속으로 있었기에 비유도 역시 그러하리라. 만일 원인을 떠나서 따로 비유의 본체가 있다고 하여 모든 법은 있는 것이어서 공하지 않다는데 견준다면 이것은 결정코 옳지 못하니, 원인을 떠난 비유는 반드시 세우려는 종지의 이치를 성립시키지 못한다. 마치 세운바 종지가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 같다.
만일 원인의 비유가 아니면서도 능히 종지의 이치를 세운다면 속의 나는 까마귀 같이 검은 성품이 성립되리라.
또 온갖 세운 바가 모두 성립되리니, 원인의 일이 없는 동일한 것은 얻기 쉽기 때문이다. 이 까닭에 비유의 본체는 반드시 원인을 여의지 않았으니, 그 까닭에 원인이 같다는 것으로써 힐난하지 말라.
만일 온갖 법의 본 성품이 공하다 하고, 이 ‘공’을 증득해 본다 하여도 무슨 훌륭한 공덕이 있으랴 한다면 이런 질문을 풀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법의 본 성품이 공하다면
‘공’에 어떤 공덕이 있다고 보랴

논하건대 ‘나’를 여읜 모든 변천하는 법 안에서 ‘나’의 공함을 증득해 본다 하여도 조그만큼의 공덕도 있지 않나니, 모든 법도 그러하다. 만일 본 성품이 공하다면 이 ‘공’을 증득해본들 무슨 이익이 있으랴. 만일 이익이 없다면 무엇 때문에 ‘공’을 증득하는 무량한 수행을 애써서 닦는가. 이런 질문을 풀기 위하여 다시 게송을 말했다.

허망하게 분별하는 속박은
‘공’의 소견을 증득해야 제거하리

논하건대 모든 법과 모든 법칙이 비록 공하여 ‘내’가 없으나 어리석은 법부들은 허망하게 분별하여 하나이다. 다르다 집착하나니, 이 허망하게 분별하는 세력에 의하여 탐욕 따위 번뇌와 조으름을 내고, 다시 인연 따라 온갖 착하거나 악한 업을 일으키어 3계의 바다에 빠져서 계속 해매이기에 세 가지 고통(苦痛(에 시달려 벗어나지 못한다.
부지런히 더하는 수행을 닦아 ‘나’ 없음의 ‘고’을 증득하여 차츰차츰 허망한 분별을 끊어 제하고, 그의 알맞은 바에 따라 보리를 증득하여 나와 남을 이롭게 하는 공덕이 한량이 없다.
허망한 분별이란 그 본체가 무엇인가 한다면 삼계의 마음과 마음의 법이다. 이 법들도 역시 본 성품의 ‘공’이 아니겠는가. 모든 어리석은 범부들이 집착하는바 빛 따위가 어찌 괴로움을 이끌어서 중생들을 억압하는가. 만일 이것이 공하지만 괴로움을 이끌어들인다면 빛 따위에도 역시 그런 능력이 있을 것인데 어찌 허망한 분별이라 하는가 한다면, 빛과 마음 따위가 모두 본 성품이 공하지만 반드시 허망한 분별에 의하여 모든 법이 있다거나 없다고 계교한다. 이 까닭에 더러움과 청정함이 생기고, 다시 이를 말미암아 유정들의 더럽고 깨끗함이 같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다만 허망한 분별이라는 말만 한다.
법이 진실로 있다면 그럴 수 있겠지만 법이 이미 없거늘 어찌 있다거나 없다고 계교하여 더럽고 깨끗함이 같지 않게 하랴 한다면, 마치 꿈속에서 빛 따위가 없지만 갖가지 형상이 있어 분명한 것 같다.
이 비유는 옳지 않으니, 꿈 따위의 지위에는 분별이 있기 때문에 작용이 업지 않다 한다면 분별의 의지로 삼아서 모든 경계의 형상을 나타내고 온갖 더럽고, 깨끗함을 일으킨다면 이 일이 옳겠거니와 이제 모두가 공하므로 실제의 분별이 없다. 그렇거늘 뉘라서 능히 이런 작용의 같지 않음을 일으키랴. 본체가 없는게 공능만이 있다는 사실은 일찍이 보지 못했다.
만일 본체가 없는데 공능이 있다면 거북의 털과 토끼의 뿔이 모두 작용이 있어야 하리라.
또 번뇌가 없거나 착한 공덕도 없는데 유정들에게 더럽고 깨끗함이 있다면 이미 번뇌를 끊은 이도 다시 헤매는 윤회에 빠지거나 착한 뿌리를 심지 않고도 항상함과 즐거움을 얻어야 하리라. 이에 대해 또 어떤 무리는 질문을 해석하기를 세속이 없지 않기 때문에 그런 허물이 없다 하거니와 그들에게 묻노니, 세속이 참되고 진실하지 않느냐.
그들이 대답하기를 “그렇지 않다. 세속의 생각에 따르건대 실제로 있기 때문에 역시 참되고 진실하다 하거늘 어찌 한 법이 일시에 있고 없음이 서로 어기는 것을 모두 참되고 진실하다” 하는가. 남[生] 따위도 역시 그러하여 한 법이 일시에 남이 있기도 없기도 하고, 멸함이 있기도 없기도 하고, 없어짐이 있기도 없기도 하고, 항상함이 있기도 없기도 하고, 옴[來]이 있기도 없기도 하고, 감[去]이 있기도 없기도 하며, 그리하여 널리 말하건대 서로서로 어기거늘 어찌 모두가 참되고 진실하다 하랴.
그는 다시 말하기를 “한 법이 일시에 이치가 없으면 참이라” 하고, 이치가 있으면 세속이라 하여 이치가 차별되기 때문에 서로 어김이 없다. 마치 세간의 보시 따위의 착한 법은 성품이 유루이기 때문에 착하지 모함이라고도 하고 착한 뿌리에 부합되기 때문에 착하다고도 하는 것 같으니, 모두가 진실하여서 서로 어기지 않는다 하거니와 이것 또한 이칙에 맞는다.
보시 따위의 착한 법은 관찰하여 상대함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어기지 않는다 할 수 있거니와 한 법이 동시에 있음과 없음, 두 진리는 따로 관찰하여 상대할 것이 없거늘 어찌 어김이 없을 수 있으랴.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안락과 화평을 착한 것이라 하는데 착함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이른바 세간과 세간 밖의 것이다.
세간 밖의 착한 법에는 끝끝내 번뇌의 온갖 얽매임을 물리치고 끝까지 안락하고 화평하므로 으뜸가는 착함이라 하거니와 세간의 착한 법은 잠시는 공능이 있으나 끝끝내는 공능이 없다. 잠시는 번뇌의 얽매임을 굴복시키기 때문에 세속의 착함이라 하고, 번뇌의 얽매임을 영원히 끊지 못하기 때문에 으뜸가는 진리에서는 착하지 못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착함과 착하지 못함은 서로 어기지 않나니, 공능 있음과 공능 잆음의 시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마치 보시 따위의 착함이 한 찰나에 머무르면 공능이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지나면 다시는 머무르지 못하므로 공능이 없다 하나니, 공능 있음과 공능 없음이 비록 한 법 위에 있으나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어기지 않는다.
다음 찰나에 보시 따위가 머무르지 않으면 이미 본체가 없거늘 무엇이 공능이 없다고 하랴. 그 본체가 없기 때문에 공능도 결정코 있지 않으며, 공능이 있지 않기 때문에 곧 공능이 없다고 부른다.
혹은 공능과 공능 없음과 시각은 다름이 없으나 바라보는바 경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어기지 않는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잠시 동안 탐욕 따위 얽매임을 능히 굴복시키기 때문에 공능이 있다 하고, 탐욕 따위의 종자를 끊어 없애지 못하기 때문에 공능이 없다 하기 때문이다. 마치 소락을 마시면 풍병(風病)은 제하지만 담(痰)과 심병[症]은 없애지 못하는 것 같다.
공능 있음과 공능 없음은 시각이 비록 같으나 바라보는 경계에 차별이 있기 때문에 서로 서로 어기지 않는다. 한 법이 한 시각에 있고 없는 두 진리의 경계는 차별이 없거늘 어찌 어김이 없으랴.
그들이 다시 구제하기를 마치 한 생각의 의식이 아집(我執)의 의지할 바이기 때문에 세속에서는 ‘나’라 하거니와 으뜸가는 진리에 의하기 때문에 ‘나’ 없음이라고도 하는데 ‘나’와 ‘나’ 없음과는 다르지만 서로 어기지 않는 것 같이 한 법이 한 시각에 있고 없는 것도 그러하여서 비록 경계의차별은 없으나 서로 어김이 없다 하거니와 이것 또한 옳지 않나니, ‘나’와 ‘나’ 없음은 이치가 서로 어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한 찰나의 마음이 자재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 없음이라 하지만 ‘나’라는 집착이 의지하는 바이라면 역시 ‘나’라고 부른다. 마치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만일 의식이 ‘나’라면 의당 자유로움을 얻고 굴러 변하지 않으려니와 어리석은 범부들은 그에 의하여 ‘나’라는 집착을 일으키므로 ‘나’라”고 부른다.
자유롭지 못하다는 뜻과 ‘나’라는 집착이 의지하는 뜻은 비록 한 의식이지만 서로 어기지 않고, 한 법이 한시각에 있고 없음이 서로 반대되는 것 모두를 진실이라 하는 일이 어찌 어김이 있을 수 있으랴.
그대가 지금 있고 없음의 두 진리가 한 곳에 함께 있어도 서로 어기지 않는다는 뜻을 성립시키기 위해 세간의 비유와 갖가지 방편을 인용하나 끝내 성립하지 못하리라.
그들은 거듭 변명하기를 “마치 하나의 푸른빛이 자기에 의하기 때문에 있고, 남에 의지하기 때문에 없는 것 같이, 모든 법도 낱낱 법성(法性)이 세속에 의하기 때문에 있고 진리에 의하기 때문에 없다” 하나니, 이것도 옳지 못하다. 푸르고 누름 따위는 본체가 다르기 때문에 자기에 의하면 있고, 남에 의하면 없다 할 수 있거니와 세속과 진리는 본체가 다르지 않나니, 스스로에 의거하면 있을 수 있거니와 누구를 상대하여 없음이 되랴.
세속을 곰곰히 추궁하건대 진실로 참이 되거니와 저 푸른빛을 연구하여 누른빛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대가 세운 바 법과 비유는 통일치 못하다.
또 세속과 진리는 본체가 서로 여의지 않았거늘 어찌하여 세속의 본체를 진리에 상대시키건대 없음이 되겠는가. 경전에서 부처님이 선현(善現)에게 말씀하시기를 “세속과 으뜸가는 진리는 제각기 다른 본체가 있지 않나니, 세속의 진여가 곧 으뜸가는 진리이다. 물질을 떠나서 따로 ‘공’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내지 의식과 ‘공’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렇다” 하셨거늘 어찌하여 한없이 한 경계 위에 놓였을 때에 두 이치가 서로 어기는 것을 모두 진실이라 하겠는가.
이 까닭에 옛적의 궤범사(軌範師:스승)들은 망정과 사리가 같지 않은 곳에 두 진리를 세웠나니, 세속의 진리라는 말은 세속의 망정을 가깝게 나타냈고, 으뜸가는 진리라는 말은 진실의 일을 멀리 표현했다. 세속의 모든 법은 세속 망정에 맞기는 하나 그 일이 허망하기 때문에 진실이 아니다.
또 눈앞에 보이는 현량(現量)으로 증득하는 연기(緣起)의 빛과 마음은 말로써 표현하지 못하나니, 세속의 진리가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경전에 다시 말씀하시기를 “세간의 온갖 명칭과 말씨들을 모두 세속의 진리라 한다” 하시니, 이 경의 뜻은 세상이 다 같이 아는 바인 능전(能詮:설명하는 측)과 소전(所詮:표현되는 측)에 상응하는 법과 이치와 그리고 다 같이 아는 바가 아닌 법과 이치를 설명한 경전은 세속의 진리라 하리라 하거니와 눈앞의 현량으로 증득하는 바인 연기(緣起)의 빛과 마음은 말로써 설명할 바가 아니며, 세속의 진리도 아니라는 것이다.
만일 말하기를 “거짓으로 세운 이름과 말로써설명하는 바이기 때문에 이 빛과 마음도 역시 세속의 진리에 속하는 것이다” 한다면 끝끝내 으뜸가는 진리도 역시 참이 아니리니, 거짓으로 세운 이름과 말도 설명되는 바이기 때문이다.
끝끝내 으뜸가는 진리에는 이런 빛과 마음이 없나니, 진리에는 도무지 없지만 현실[事]에는 법이 있기 때문에 두 진리에 속하지 않는다 하면 이 법은 없는 것 틀린 것이리니, 세간(世間)에서 눈앞에 증득하는 바에 어기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이는 있음[有]이어서 두 진리에 속하지 않는다” 하면 의당 셋째의 진리도 세속도 아닌 진리를 세워야 하리라.
만일 말하기를 “비록 인연으로 생긴 빛과 마음이 있으나 이는 세간의 현량(現量)으로 얻는 바이요, 끝내 으뜸가는 진리에 속하는 것이 아니니, 이를 거짓으로 말하여 세속의 진리에 속한다 한다면 이는 생각에 따라 거짓으로 세속의 이름과 말을 세운 것이다. 진실한 빛과 마음이 있다면 다툼은 없으리라. 이것을 의지로 삼기 때문에 더럽고 깨끗한 이치가 성립된다.
만일 말하기를 “빙과 마음은 세속이기에 있고, 으뜸가는 진리에 의하기 때문에 있지 않고 나지 않는다” 한다면 이런 말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만일 말하기를 “저 분별없는 지혜(無分別智)가 운행되는 경지가 끝내 공하여 없는 것 같나니, 그렇게 있지 않기 때문에 있지 않다고 말한다” 하거니와,
만일 그렇다면 운행되는 바가 끝내 없기 때문에 분별없는 지혜도 나지 못하리라. 설사 난다고 허락할지라도 참 지혜라 하지 못하리니, 없음[無]의 경계를 반연하기 때문이다. 마치 다른 없음을 인식하는 것 같다. 지혜가 이미 없는 것이며 경계도 역시 세속의 것이리라.
비록 빛과 마음이 이렇게 있지 않다고는 하나 빛과 마음이 실제로 있음을 더욱 드러내는 것이니, 있지 않음[非有]이라고 말한 것이 끝내 없는 것이기 때문이며, 다른 형상이 없기 때문에 결정코 있으리라. 이미 결정코 있는 것이라 한다면 이 까닭에 이 빛과 마음도 실제로 남이 있다고 허락해야 하리라.
만일 그대가 생각하기를 “빛과 마음은 있기도 하고 나기도 하지만 으뜸가는 진리가 아니라” 한다면 먼저 으뜸가는 진리란 어떤 것인가를 살피어 결정지어라. 그런 뒤에 이는 으뜸가는 진리가 아니라고 말하라.
만일 말하기를 “으뜸가는 진리를 분별없는 지혜의 행할 바여서 끝내 공하여 없음이라” 한다면 이는 이미 앞에서 다 했나니, 이른바 그가 행할 바는 끝내 없음이기 때문에 분별없는 지혜가 나지 못해야 하리라 했고, 그리하여 널리 말한 것이다.
또 이가 행할 바는 참으로 으뜸가는 진리가 아니니, 없음이기 때문이다. 마치 토끼의 뿔과 같다. 혹은 있지 않기 때문이니, 마치 허공의 꽃과 같다.
만일 말하기를 “으뜸가는 진리는 연구할 수 있는 것이라”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니 경계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연구하는 이는 세속을 버리지 않는다.
또 세속의 법은 연구할 수 없나니, 이 연구할 수 있는 것은 세속을 여의였어야 하는데 세속을 떠나서 따로 으뜸가는 진리가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를 연구할 수 있다고 말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그대의 말은 으뜸가는 진리의형상이 아니다.
만일 말하기를 “다른 종파에서 주장하는 으뜸가는 진리가 도무지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이 으뜸가는 진리의 형상이라”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니, 그들은 인연으로 생김ㆍ잠시 머무름 따위의 성품을 일러서 으뜸가는 진리라 하는데 이제는 있지 않다고 무시하니 문득 자기의 종지와 현량 따위에 어긴다.
만일 말하기를 “진실함이 으뜸가는 진리의 형상이라 한다”면 이는 세속의 법이요, 진실은 아니거늘 무슨 까닭에 앞에서 말하기를 “세속이 진실이라” 했는가.
설사 있지 않고 나지 않음 만을 말하는 것이 진실이라고 허락한다면 있다거나 난다는 말은 오직 거짓인 말로써 허망한 분별로 세워진 것일 뿐이다. 이미 진실이 아니며, 거짓인 말로 허망하게 분별하여 세운 것이라면 어찌 능히 더럽고 깨끗한 작용을 일으키겠는가. 그러므로 그들이 질문에 응답하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거북의 털이 본체가 있다고는 하나 세간을 속박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다시 어떤 스승은 이 질문을 해석하되 분별에 집착되는 법체는 없는 것이요, 인연으로 생긴 법체는 있는 것인데 이에 의하여 번뇌와 졸음을 일으키어 세간에 얽매여 3계에 헤맨다. 이에 어떤 이가 더하는 가행(加行)을 닦아서 ‘나’ 없음의 ‘공’을 증득하여 보리를 얻으면 생사의 고통을 면한다.
인연으로 생긴 법은 비록 빛과 마음에 공통하나 마음이 근원이므로 허망한 분별이 능히 세간을 속박하는 것을 치우쳐 말하나니, 이를 싫어하여 ‘공’을 증득하는 가행을 닦되 경계가 있더라도 무심한 듯이 하면 허망한 분별이 속박치 못하고, 또한 싫어하여 ‘나’ 없음의 ‘공’을 닦거나 보리를 증득하거나 생사를 여의지 못하리라 한다.
이런 이치를 증명하기 위하여 경전에 있는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변계(遍計:두루 계교함)로 집착한 것은 없고
의타(依他:딴 것에 의해 성립되는 것)로 일어난 성품은 있나니
허망하게 분별하면 잃고 파괴되고 잃어서
증감(增減:더한다거나 줄었다고 여기는 고집)의 어느 한 쪽에 빠진다

여기에서 어떤 무리는 이 이치를 해석하되 이름은 변계로 집착하는 바요, 이치는 의타로 일어난 성품이니, 이름이 이치에 대하여는 있지 않기 때문에 없음이요, 이치가 세간을 따를 때엔 없지 않기 때문에 있음이니, 이것을 인용해서 의타가 있음을 증명하지 못하리라 하거니와 이 해석은 옳지 못하니, 이치가 서로 어기기 때문이다. 만일 이름이 이치에 대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면 이치도 이름에 대하여 없거늘 어찌 있을 수 있으랴.
이름은 세속을 따라 표현하는 공능이 있는데 그대가 남에 의해 일어나는 성품을 허락지 않는다면 이치도 세속을 따라 공능이 있다고 거짓으로 말해야 할 것인데 어찌하여 변계로 집착하는 바임을 허락지 않는가.
세속에서 거짓으로 세운 표현하는 이와 표현된 바가 없다면 모두 없을 것이요, 있다면 똑같이 있을 것인데 어찌하여 경에서 말하기를 “하나는 있고 하는 없다” 하는가. 그러므로 그대의 말한 바는 경의 이치에 부합되지 않는다.
그대들은 변계로 집착하는바 성품이 없는 것임을 믿을지니, 세간의 망정에 의해 세워진 것이기 때문이요, 남에 의해 일어난 성품은 인연에서 생긴 것이요, 망정에서 생긴 것이 아니니, 있는 것임을 믿어라.
그는 자기의 주장을 입증하고는 다시 경을 인용하여 말했다.

이러이러한 이름을 세움으로써
저러저러한 법을 표현한다면
저것들은 모두가 성품이 있지 않니
법의 성품이 모두 그렇기 때문이다

이 게송은 저의 이치를 입증하지 못하나니, 경의 뜻은 이름이 이치에 대하여 없는 것이라 한 것이 아니요, 표현될 법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을 뿐이다. 모든 법의 성품을 분별해보건대 모두가 표현할 수 없나니, 이름과 말로 표현하는 바는 모두가 공통한 형상이다. 모든 법의 제 모습은 모두가 이름과 말이 끊겠나니, 제 모습은 없는 것 아니고, 공통한 형상은 있지 않다.
여기에서는 표현할 성품이 없다는 것을 간단히 말했을 뿐이요,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것의 성품이 실제로 있다고 말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게송에서 다만 저가 있지 않다는 말만 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 성품이 있지 않다고 말했어야 한다.
그는 이 남에게 의함의 성품[依他性]이 없음을 입증하기 위하여 다시 경에서 간략히 말한 게송을 인용했다.

조그마한 법도 나지도 않고
조그마한 법도 멸하지도 않나니
조촐한 견해로써 모든 법을 관하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

이것 또한 남을 의지해서 일어나는 성품이 있음을 입증하지 못하나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 게송의 뜻은 변계로 집착하는 제 성품과 차별과 표현하는 것과 표현된 것들의 본체가 모두 공한 것이어서 생과 멸이 없나니, 집착을 여읜 조촐한 견해가 있는 이라야 세간의모든 것이 인연으로 생긴 것이어서 있지도 없지도 않다고 관찰한다는 내용은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게송은 남을 의지해서 일어나는 성품이 없음을 증명하지 못한다.
그가 말하길 “만일 남을 의지해 일어난 성품이 있다”면 어찌하여 경에 말씀하시기를 “온갖 법의 성품은 모두가 공하다” 하였으며, 또 경에 말씀하시기를 “부처님께서 선현(善現)에게 고하시되 빛 따위 모든 법은 제 성품이 모두 없다”고 하셨고, 또 어떤 경에 말씀하시기를 “부처님께서 대혜(大慧)에게 고하시되 온갖 법성은 모두 나지 않나니 먼저부터 있었거나 없었거나 모두 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였으리오” 한다.
이에 대해 대답하기를 “거기에는 비밀한 뜻이 있으니, 비밀한 뜻이란 무엇인가” 하면 이 여러 경에서는 오직 변계로 집착하는 제 성품만을 파했을 뿐이요, 온갖 것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만일 일체 것이 없다면 문득 사견(邪見)을 이루게 되리라 하노라.
그가 말하기를 “어떻게 그런 비밀한 뜻이 있음을 알겠는가” 한다면 다른 경에서 분명히 말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부처님[薄伽梵]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오직 상응(相應)하는 제 성품에만 의해서 일체 법의 성품이 모두 없다”고 하노라고 만일 말에 따라 집착을 내어 말하기를 “더러운 법과 조촐한 법의 제 성품이 모두 없다 하면 그는 나쁘게 ‘공’을 취하는 것이니, 그를 사견(私見)이라고 한다.
상응하는 제 성품이란 곧 세간의 변계로 집착하는 것인데 마음이 뒤바뀌었기 때문에 밖에 있는 경계같이 보이고, 이 밖의 경계에 의하여 온갖 뒤바뀐 집착을 일으키고, 이 뒤바뀐 계교에 의하여 나와 남이 있다고 계교하거니와 표현하는 것과 표현한 바의 제 성품에 상응하는 좋고 나쁜 모든 법은 곧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성품이니 그러기에 모든 경전에 그런 비밀한 뜻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도피안반야경(到彼岸般若經)에서도 부처님께서 직접 있음과 없음의 이치를 밝히셨는데 변계에 의해 집착하는 바와 모으는 바와 늘리는 바와 취하는 바는 언제나 변하는 법이 없나니, 이런 온갖 것은 모두 없음이라 하고 인연으로 생긴 것은 모두 있음이라 하셨다.
또 다른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변계로 집착하는 바의 제 성품은 남이 없고, 남에 의해서 일어나는 성품에 포섭되는 모든 법은 인연에 의해 생긴다” 하였고, 또 혜도경(慧度經)에 말씀하시기를 “혜도(慧度:혜지)를 행하는 이는 빛의 성품을 잘 알고 빛의 남과 빛의 여실함도 잘 안다” 하여, 널리 말씀하셨다. 또 여러 경전에서 말씀하시기를 “모든 법은 성품이 없고 생멸 따위도 없다”고 하셨으니, 모두 분별하여 말에 따라 집착해서 요의(了義:진리)라 여기지 말라. 또 세속의 모든 법도 없다고 여기지 말지니 문득 악취공(惡取空)에 빠져 큰 사견을 이루리라.
그가 말하기를 “이 말은 옳지 못하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요의경에서 다르게 분별했기 때문이다. 만일 세존께서 모든 경전에서 ‘공’ 형상없음ㆍ원없음ㆍ행(行)없음ㆍ생멸없음을 말했거나 제 성품ㆍ유정ㆍ목숨ㆍ주장ㆍ푸르갈라ㆍ해탈【문】따위가 없음을 설명한 것은 여의경이라 밝히신 것이 사실이라면 나의 말이 이치에 맞나니, 다른 경에서 부처님이 직접 판결의 시기를 나는 변계로 집착하는 제 성품에 의하여 여러 경을 말할 때에 온갖 법은 모두가 제 성품이 없고, 생멸도 없어서 본래 고요한 자성의 열반이라 하였고,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제 성품에 의해서는 모든 유정은 마음이 생멸하여 헤매인다 하였고, 내지 널리 말했다” 하셨기 때문이다. 또 다른 경에서 부처님이 구수(具壽) 사리자에게 말씀하시기를 “빛의 제 성품이 공하고 제 성품이 공하므로 생멸이 없고, 생멸이 없으므로 변역이 없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도 그와 가다” 하셨으니, 이는 변계로 집착하는 제 성품에 의하여 제 성품의 ‘공’ 생멸없음 따위를 말한 것인데 범부들이 자기 마음의 변화인 빛 따위 모든 법에 대하여 두루두루 계교하여 진실한 제 성품과 차별이 있다고 여기므로 세존께서 그에 의하여 빛 따위 법의 제 성품이 모두 공하여 생멸 따위가 없다 하셨고,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성품인 의타(依他)는 변계로 집착하는 성품이 없기 때문에 역시 ‘공’이라 말하거니와 제 성품이 공하여 생멸 따위가 없다고 하는 것은 아니라 하거니와, 여래께서 곳곳에서 세 가지 제 성품을 말씀하시어, 언제나 말씀하시기를 “변계로 집착하는 성품은 공하고, 남을 의지함과 원성(圓成)의 두 성품은 있다” 하시니, 이 까닭에 공교(空敎)에는 별다른 취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말에 따라 모든 법이 없다고 무시하지 말라. 말에 따라 이치를 취하는 것은 대승을 비방한다.
그러므로 경에 말씀하시기를 “만일 어떤 보살이 말에 따라 이치를 취하면서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구하지 않으면 그는 법에 대하여 진리에 맞지 않게 생각한다 하며, 또 틀린 곳에서 대승을 이해하는 사람이라 한다. 만일 어떤 보살이 말에 따라 이치를 취하지 않고서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구하면 그는 법에 대하여 이치에 맞게 생각한다” 하며, 또는 옳은 곳에서 대승을 이해하는 사람이라 한다 하셨느니라.
만일 그렇다면 이 경의 구절을 어떻게 풀이하는가 하거니와 부처님께서 천자(天子:하늘 태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그대들, 잘 알아라. 부처님은 법에 대하여 도무지 얻은 바가 없으며, 조그마한 법도 나거나 멸할 것이 없다고 여기나니,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일체 법은 생과 멸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래께서 세간에 나타나셨다” 하셨느니라.
이에 대해 어떤 이는 해석하기를 “부처님들이 큰 보리를 증득할 때에 온갖 분별과 희론(戱論:장난말)을 멀리 여의었으나, 비록 세간에 나타나시나 증득함 따위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고, 또 어떤 이는 해석하기를 부처님은 보리로써 성품을 삼기 때문에 얻은 바가 없나니 마치 경에 말씀하시기를 “보리가 곧 부처요, 부처가 곧 보리이니, 그러기에 얻은 바가 없다” 법성 그대로를 깨달아 알기 때문에 나더라도 먼저 없었던 것 아니요, 멸하더라도 먼저 있었던 것 아니다. 모든 법성이 희론을 여의었기 때문에 남도 없고 멸함도 없나니, 위없는 보리가 눈앞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여래께서 세간에 나타나신다 하면 또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선현(善現)아, 잘 알아라. 빛은 모든 빛의 성품없는 성품을 이름한 것이요, 느낌ㆍ생각ㆍ지어감 따위도 널리 말하건대 역시 그렇다 하시니, 이 경의 뜻은 남을 의해 일어난 성품이 변계로 집착한 바 빛 따위의 성품없음으로 나타난 말을 여읜 법성으로써 제 성품을 삼기 때문이다. 만일 온갖 법이 도무지 없다면 어떻게 성품없음에서 다시 성품을 말하리오.
만일 말하기를 “빛 따위가 세속의 없는 성품이라” 한다면 빛 따위의 으뜸가는 성품과 진리와는 서로 어기나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으뜸가는 진리란 분별하는 희론으로 미칠 수 없기 때문이니, 어찌 없음으로써 그의 제 성품을 삼겠는가. 만일 성품없음으로써 제 성품을 삼는다면 의당 다른 종류와 같아서 으뜸가는 진리라 부르지 못할 것이며, 위 없는 보리를 증득하지도 못하리니, 스스로의 종지에 어기어 큰 허물을 범하는 것이다.
남을 의해 일어나는 의타의 성품이 진실로 있다면 문득 경전의 말씀에 어기나니, 그러므로 경에 말씀하시기를 “모든 법은 인연에서 일어나는데 인연과 법, 두 가지는 모두 없다. 능히 이와 같이 바르게 알면 연기(緣起)의 법칙을 통달했다” 하리라. 법이 인연에서 났다면 이 법은 도무지 성품이 없고, 법이 도무지 성품이 없다면 이 법은 인연에서 나지 않는다 하였다 하거니와, 이 두 경에서 말하는 인연으로 생긴 법이 비록 제 성품은 없으나 서로 어기지 않나니, 인연에서 생기는 것이 두 종류가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두루 계교하는 변계로 집착하는 바요, 둘째는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의타기성이니, 여기에서는 변계로 집착하는 바의 제 성품이 있지 않다고 밝힌 것이요, 의타를 말한 것이 아니다. 만일 의타가 도무지 제 성품이 없다고 한다면 이는 염과 정의 두 법이 모두 없다고 부정하는 것이니, 나쁘게 ‘공’을 취한다 하는 것으로서 나와 남을 모두 손상하는 것이다. 이런 허망한 분별을 뉘라서 능히 막으랴. 바른 소견을 얻을 때라야 버리게 되리라.
(그가 말하기를) 이제 다시 묻노니,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성품은 어떤 지혜로 알 바인가 한다며 분별없는 지혜로 일으켜지는 세간의 맑은 지혜에 의한다 하노라.
분별이 없다면 어찌 세간의 지혜라 하겠는가 한다면, 이 지혜가 분별이 없다고 하노니, 만일 분별이 있다면 모든 법의 실상에서 행하지 못하고, 다만 저 변계로 집착하는 바를 반연할 뿐이리라. 비록 분별이 있더라도 모든  실상에 행할 수 있으리라 한다면 허망한 분별도 모든 법의 실상에 행할 수 있어야 하리라.
또 아직껏 분별이 없어진 뒤의 법의 진실한 모습을 아는 지혜를 얻지 못했는데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성품이 있음을 어떻게 알겠는가. 이 남을 의지해 일어난 성품은 현전에 보는 뱀이란 집착이 의지하는 바와 같지만 않거늘 이 성품이 진실로 있다고 어떻게 결정적으로 말하랴.
오직 분별없는 지혜로 이끌어 내는 세간의 맑은 지혜라야 남에 의지해 일어나는 것을 안다고 하면 논(論)과 어기나니 저 논에 말하기를 “변재로 집착하는 성품은 어느 지혜의 행할 바인가. 범부의 지혜인가. 성인의 지혜인가. 모두의 행할 바가 아니니, 형상이 없기 때문이다. 남을 의지해 일어나는 성품은 어느 지혜로 행할 바인가. 모두의 행할 바라고는 하나 그러나 세상을 뛰어난 성인의 지혜로 행할 바는 아니라 하였다.
또 말하기를 “다섯 가지 일[五事]은 몇이 취할 바이며, 몇이 취하는 쪽이겠는가. 셋(이름ㆍ형상ㆍ진리)은 취할 바요, 분별(망상)과 바른 지혜는 취하는 쪽과 취할 바에 공통하고, 이름ㆍ형상ㆍ분별은 분별로 취할 바이다.
바른 지혜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진여를 반연하고, 둘째의 것은 그에게서 난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껏 여전히 얻지 못한다.
형상 따위는 역시 남을 의지해 일어난 성품이니, 그러므로 그 논에 말하기를 “변계로 집착하는 바는 다섯 가지 일을 포섭하지 못하고, 남을 의지해 일어난 성품은 네 가지 일(형상ㆍ이름ㆍ분별ㆍ바른 지혜)을 포섭한다 하셨다 하거니와 만일 의타기성이 세속 지혜로 반연할 바여서 공하지 않다고 한다면 심히 우스운 일이니, 모든 법의 실상은 세간의 마음이나 지혜로 미치지 못할 바임은 전에 누누이 말한 바와 같다. 그러므로 실제로 의타가 있다고 말하지 말라. 논에는 의타도 범부의 지혜의 경계라 한 것은 스스로가 증득해서 수용하는 바에 의하는 것이므로 어기지 않는다.
의타기성은 마음과 마음의 법이 인연에 따라 일어날 때에 변화하여 갖가지 형상ㆍ이름 따위 티끌 같이 보이는 것을 실제로 스스로가 증득하여 수용하거늘 잘난체하는 무리는 밖의 티끌을 취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모든 밖의 티끌은 변계로 집착하는 바이니, 본체도 형상도 없으므로 소연연(所緣緣)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인이나 범부의 지혜로 행할 경계가 아니다.
온갖 유루의 마음과 마음의 법은 오직 스스로가 나타낸 티끌을 증득하여 받아들일 뿐이요, 다른 마음의 경계를 여실하게 못하거니와 무루의 세속 지혜에 상응하는 마음들은 본 성품이 물들음을 여의었으므로 나와 남을 모두 증득한다. 그러므로 의타는 맑은 지혜로 알 바라 하여도 논에서 말한 이치에 어기지 않는다.
그가 말하기를 “그대가 웃음거리라 한 말은 스스로가 어리석음을 나타냈을 뿐이요, 나의 말이 진리에 어긴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못했다. 만일 인연에서 생긴 마음과 마음의 법이 모두가 변계로 집착한 바라면 모두 제 성품이 공하여서 문득 허공의 꽃과 같을 것인데 어떻게 3계의 유정들을 속박하여 생사에 윤회하게 하리오. 그러므로 의타는 본체가 없다함이 진실치 않다 하거니와, 논자(論者:논을 쓴 사람)의 본뜻도 의당 그러했으리라” 만일 그렇지 않다면 무엇을 인하여 말하기를 “허망한 분별의 속박은 ‘공’을 증득하여야 계해진다고 했겠는가. 뉘라서 거북의 털이 계교하거나 속박하는 것을 보았으며 뉘라서 토끼의 뿔이 증득하거나 계하는 것을 보았으랴. 이 까닭에 오직 마음과 마음의 법이 있을 뿐이요, 마음밖에 집착될 티끌들은 없음을 알 수 있다.
어찌하여 모든 법이 오직 마음뿐임을 아는가 하면, 그가 대답하기를 “곳곳의 여러 경에서 누누이 말했기 때문이니, 여기서 왜 다시 의심을 내는가” 그러므로 경에 말씀하시기를 “부처님께서 선현에게 고하시되 털끝만한 진실한 물건이 의지할 곳이 없거늘 어리석은 범부들은 온갖 언행을 짓나니, 오직 뒤바뀜만이 그들에게 의지할 곳이 되어 준다” 하시니, 뒤바뀜이 곧 허망한 분별이요, 허망한 분별이 곧 마음과 마음의 법이리라.
또 경에 말씀하시기를 “조그만큼의 법도 제 성품을 얻을 수 없고, 오직 짓는 이[能造]가 있다” 하시니, 젓는 이가 곧 마음과 마음의 법이리라.
또 경에 말씀하시기를 “3계가 오직 마음이라 하시니, 이런 종류의 경전이 한량이 없으니, 그러므로 모든 법이 오직 마음이라는 이치가 성립된다”하거니와, 온갖 법이 진실로 마음뿐이라고 결정적으로 집착하는 것도 역시 뒤바뀜이 되지 않겠는가. 이는 마치 빛 따위 모든 법이 뒤바뀐 경계이기 때문에 그 본체가 실제로 없는 것 같으리라. 또 경계가 없거늘 의식이 어찌 있을 수 있으랴. 한 의식이 두 부분이 합해서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니, 마음의 한 모습(자체)을 잃지 않게 하라.
(그가 말하기를) 만일 의식의 본체는 진실로 두 부분이 없다면 반연하는 이와 반연할 바의 행상이 공하기 때문에 다만 세속이 함께 인식하는 바에 따라 반연하는 마음이 있으므로 마음뿐이라 한다면 경계도 없지 않다고 말해야 되리니, 마음과 경계가 있음은 세속이 함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거니와,
만일 조그마한 의식의 실체가 있다고 허락한다면 이의 본체를 말하라. 그 형상이 어떠한가. 이미 아는 이와 알바를 말하지 못하거늘 어찌 오직 마음만이 있다고 결정적으로 말하랴.
여러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오직 마음뿐이라 함은 중생들로 하여금 마음을 관찰하여 밖의 티끌을 버리게 하기 위한 것인데 이미 밖의 티끌을 버리었으니, 허망한 마음이 저절로 쉬고, 허망한 마음이 쉬면 중도(中途)의 진리를 증득한다.
그러므로 경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경계가 마음뿐임을 알기 전엔
두 가지 분별을 일으키거니와
경계가 마음뿐임을 통달한 뒤엔
분별도 나지 않는다
모든 법이 마음뿐임을 알면
바깥 티끌의 형상을 여의나니
이 까닭에 분별을 쉬고
평등한 진공(眞空)을 깨닫는다

어리석은 범부와 중생들은 경계의 맛에 탐하여 온갖 쾌락을 받으면서 버리는 마음이 없으므로 생사에 헤매면서 3계의 바다에 빠져 온갖 고통을 받아 벗어날 도리가 없다. 이에 여래께서 자비를 베푸시어 방편으로써 모든 법이 마음뿐임을 말씀하셔서 밖의 티끌을 버리게 하시니, 밖의 티끌을 버린 뒤엔 허망한 생각이 저절로 멸하고 허망한 생각이 멸하면 열반을 증득한다. 그러므로 경애 다음과 같은 게송이 있다.

세상의 용한 의원이
묘한 약을 뭇 병에 쓰듯이
부처님도 중생들을 위하여
마음뿐인 진리를 말한다

극미(極微)라 하여도 쪼갤 수가 있나니, 방위와 장소에 의거하기 때문이다. 마치 집이나 병과 같다 한다면, 이는 극미가 가히 많은 조각으로 나눌 수 있나니, 거짓이어서 진실이 아니므로 전혀 없을 수는 없으리라. 만일 그렇지 않다며 마음과 마음의 법칙이 한 찰나 안에 포섭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치 세월 따위가 여러 부분이 합해서 이루어졌으므로 전혀 없게 될 수 있다고 하여 큰 허물을 범하는 것과 같다고 비난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종류로 견해가 같지 않으므로 성인의 말씀을 나누어 집착해서 서로서로 시비를 일으켜 제각기 한 쪽에 치우친다. 이렇듯이 나쁜 소견의 티를 제하지 못했으니, 어찌 부처님들께서 말씀하신 대승의 깊고 묘한 진리에 계합하리오. 진리를 알지 못하고 제각기 자기의소견대로 집착하여 자기만 옳고 남이 그르다 하니, 매우 두려운 일이다. 마땅히 ‘공’과 ‘유’의 두 집착을 버리고 대승의 둘 아닌 중도(中道)의 진리를 깨달을지어다.
경에 말씀하시기를 “보살이여, 잘 알라. 신견(身見:내 몸이라는 집착)이 뿌리가 되어 생기는 모든 소견은 법을 끊는 업을 일으키어 세간을 결박하나니, 그들을 업신여기고 모든 법이 없다고 무시하는 모든 소견과 또 그런 소견을 찬탄하고 퍼뜨린다. 이렇게 생긴 법을 끊는 업으로 인하여 한량없는 겁을 지내도록 지옥에 떨어져서 나쁜 길을 헤매면서 큰 고통을 받는다.
옛날의 조그마한 선근 때문에 인간에 태어나더라도 어리석고 둔하고 눈멀고 귀먹어 온갖 괴로움을 받고, 생김새가 미워서 사람들이 보기 싫어하고, 말씨가 더듬거려 모두가 듣기 싫어한다. 혹은 전생에 훌륭한 선근을 심었으므로 인간에 태어나서 훌륭한 과보를 받으나 옛날에 법을 비방하는 업을 받아들인 까닭에 여래의 파상공교(破相空敎)를 치우쳐 집착하여 세간 사람들로 하여금 그는 법을 옳은 법이라 하고, 옳은 법을 그른 법이라 하며, 그른 이치를 옳은 이친가 하고, 옳은 이치를 그른 이치라 하여, 자기를 해치고 남도 해치니, 참으로 불쌍한 일이다 하셨다.
그러나 부처님의 말씀이 모두 심히 깊은데 2제(諦)의 법문이 가장 헤아리기 어렵다. 이제 요의경(了義經)에 이하기를 권하기 위하여 돌아갈 곳을 간략히 설명하여 모든 시비를 쉬게 하리라.
세속의 진리[世俗諦]란 인연 따라 생긴 세간과 세간 밖의 물질과 마음 따위의 법이니, 친히 증득하면 말을 여의거니와 다음다음 말할 수 있다. 친히 증득하는 것이 먼저이니, 그런 뒤에야 바야흐로 설명을 일으켜라. 이 세속의 진리는 남도 있고 멸함도 있어 거짓으로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마치 요술이 분별로 이루어진 것 가다. 꿈속에서 본 일이 형상이 있어 설명할 수 있는 것 같음이 세속의 진리이다.
으뜸가는 진리[勝義諦]란 성현이 알 바이니, 분별의 이름이나 말로는 모두 미치지 못한다. 스스로가 앞으로 증득한 바는 다른 인연에 의하지 않나니, 형상 없고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으뜸가는 진리라 한다.
이와 같이 2제의 법문을 대략 설명했으니, 바른 법을 배우는 무리는 모두 다투지 말라. 앞의 세속의 진리에 의하므로 염법과 정법이 나고 나중의 으뜸가는 진리에 의하면 적멸을 증득한다.
그러므로 성인께서 마음과 경계에 세 가지가 있다고 하셨으니, 첫째는 말이 있고 형상이 있는 마음과 경계요, 둘째는 말이 없고 형상이 있는 마음과 경계요, 셋째는 말이 없고 형상이 없는 마음과 경계라 하셨다.
처음의 것은 이름과 말에 대해 깨달음도 있고 번뇌[睡眠]도 있음이요, 다음의 것은 이름과 말에 대해 번뇌는 있으나 깨달음이 없고, 나중의 것은 이름과 말에 대해 번뇌와 깨달음이 영원히 없어진다. 처음의 둘은 세속의 진리를 반연하고 나중의 하나는 으뜸가는 진리를 반연한다. 또 온갖 이른바 번뇌를 영원히 여읜 뒤에 얻어지는 마음은 두 진리를 두루 반연한다.
만일 세속의 진리에 대해 굳게 집착하는 소견을 일으키거나 세속을 순응하지 않으려는 소견을 일으키면 이 두 가지는 모두 허망한 분별이라 하나니, 이는 온갖 이익없는 법을 내어 유정들을 속박하여 해탈치 못하게 하고, ‘공’의 소견 ‘나’없음의 소견은 모두 끊어버리어 유정들로 하여금 삼계의 결박을 여의고 끝가는 열반을 증하며, 도한 남들도 교화하여 해탈케 하나니, 습기의 장애의 근본을 뽑아 없애기 때문이다.
만일 세속의 진리에 대해 순응치 않으려는 소견을 일으키면 이는 으뜸가는 진리에 대해 결정코 어긋남이 있나니, 이런 이치를 밝히기 위해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법은 하나도 되고 없음도 되며
참도 어기고 세속도 어기니
그러므로 있음과 같은가 다른가의
두 가지 모두를 말할 수 없다

논하건대 만일 모든 법이 있음의 성품과 결정코 동일하다면 법은 하나가 될 것이요, 결정코 다르다면 법은 없는 것이리니, 그렇다면 진리에도 어기고 세속에도 어긴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만일 온갖 법이 있음의 성품과 하나라면 빛이 소리와 같아서 소리오 빛이 아닐 것이며, 소리가 빛과 같아서 빛이요, 소리가 아니리니, 있음의 성품에 즉응했기 때문에 법은 하나가 될 것이다.
만일 온갖 법이 있음의 성품과 다르다면 빛 소리 따위의 본체는 없음이 되리니 있지 않는 성품이기 때문에 허공의 꽃과 같다.
만일 모든 법이 하나의 성품 따위와 결정코 하나라거나 다르다고 집착한다면 그 허물은 자연히 알 수 있으리라. 그러므로 있음 따위가 법과 하나라거나 다르다 한다면 이 두 가지 망견은 세속과 진리를 모두 어기나니, 모두 옳고 모두 글러서 서로 어기는 장난말이니, 허물은 하나와 다름의 경우와 같다. 그러므로 따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으뜸가는 진리에는 있음과 없음이 모두 고요해져서 온갖 질문이 모두 성립되지 않나니, 이런 이치를 나타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게송을 말했다.

있음과 없음이 모두 아니어서
갖가지 주장이 모두 적멸하니
거기서 힐난을 일으키려 하여도
끝끝내 입을 열지 못하게 되리라

논하건대 으뜸가는 진리에는 조그마한 법도 없나니, 온갖 법의 본 성품은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있음을 주장하는 종파는 여기에서 적멸해진다.
있음의 소견에 의지한 까닭에 없음의 소견이 생기는데 이 소견이 이미 멸했으므로 저 소견들을 따라서 멸한다. 진리가 없다면 성인의 지혜는 행하지 못할 것이며, 성인의 지혜가 행하는 바는 반드시 없음의 경지는 아니리니, 그러므로 없음의 소견으론 진리를 증득하지 못한다.
성스런 지혜로는 진리를 관찰할지언정 없음을 관찰하지 않나니, 세속의 있음을 가리기 위해 진리의 없음을 말하거니와 진리의 없다는 말은 도리어 세속에 의해서 말한다.
진리가 있지 않다는 교리는 능히 참된 경지에 나아가게 한다. 그러므로 모든 경에서 흔히 있지 않음을 말하니, 있다거나 없다는 소견이 여기에 와서 모두 쉰다. 모두 옳다거나 모두 그르다는 소견도 모두 위의 것을 미루어 없앨지니, 있음 따위는 모두 표현할 수 있거니와 진리는 표현할 길이 끊였기 때문에 있음 따위가 아니다.
온갖 나쁜 소견은 마음을 흔들리게 하여 바른 진리 안에서 삿된 시비를 널리 일으키는 것은 모두가 이런 있음의 소견에 의해 생기는 것인데 이런 소견이 이미 제해지면 저것도 따라서 멸한다. 아무리 애써서 진공(眞空)을 부인하려 해도 의지한 바가 없기 때문에 말을 부치지 못함이 마치 허공이 밑이 없으므로 발붙일 수 없는 것 같다.
마음이 크고 큰 서원을 낸 이가 오는 세상이 다하도록 유정들을 이롭게 하고자 하거든 의당 망견의 티끌을 끊어 버리고 부처님[善逝]의 진공에 묘하게 깨달아 들어가라. 구하는 바를 만족하고자 하거든 부지런히 닦아 배우라.

번뇌 있다는 소견을 이미 제했고
티끌 없다는 소견도 다시 버리어
묘한 중도의 진리를 열어 놨으니
세상 사람들 모두가 적멸에 들라

성천(聖天)보살이 논을 다 짓고 다시 삿됨을 무찌르는 뜻의 게송을 읊었다.

나는 삿된 무리를 태우는 불길에 서서
여래의 바른 교법의 소(蘇)를 부어 주고
겸하여 인명(因明)의 광대한 바람을 부치노니
뉘라서 불나방처럼 불길에 들으리

삼장법사(三藏法師:현장)가 이 논을 축령(鷲嶺) 북쪽에서 처음 들은 뒤에 듣는 대로 번역하여 그 일이 끝나매 스스로 기뻐하면서 다음의 게송을 말한다.

성천과 호법이 자비와 지혜로써
삿된 무리 꺾으려고 지으신 논이
네 구절과 백 가지 허물 모두 없어져
겁화(劫火)가 실 끝을 태우는 듯하네.

그러기에 내가 목숨 바쳐 참 진리 찾아
만난대로 듣는 대로 번역해 마쳤으니
바라건대 이 공덕 유정들과 함께
모두가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소서
016_0658_c_05L復次正論已立邪道伏膺於密義中#尚餘微滯以淨理教重顯眞宗遣彼餘疑故說頌曰由少因緣故 疑空謂不空 依前諸品中理教應重遣論曰雖一切法本性皆空而初學徒未能見故追愛妄有怖達深空或爲餘緣未能決了以正理教重顯前宗令彼除疑捨諸倒執旣一切法本性皆空未達此空以何爲性諸法無我此復云何謂無自性應正曉示何假轉音正示無由以無體故但可假說諸法無我無性可取故名爲空#如契經言空名諸法無我無性無執無取勝義理中都無少法有我有性可說名空若爾空名應不可說實不可說但假立名如說太虛雖無自性實不可說而假立名空旣離言有應可說亦不可說實無體故如說諸法實性都無無性理中無二無說若爾說者言及所言一切皆空今應無說旣有所說應不皆空爲顯此疑故次頌曰能所說若有 空理則爲無論曰言能說者謂能說人言及所言俱名所說此三摠攝有爲無爲謂眼等根及色等境此若實有何法爲空遣此疑故復頌曰諸法假緣成故三事非有論曰能說義三事#性空假託衆緣而成立故餘宗亦許諸法名言皆是自心隨俗安立如是說者言及所言皆勝義無唯世俗有如何謂此三事不空云何定知三事非有謂依他立如幻所爲不依他成皆如兔角是故三事自性皆空爲益世閒假有言說又汝何爲#疑難眞空我意猶望成昔有見應捨此意所以者何非破他宗能成己見如破他說無㝵故常非卽能成自無常性設有此理汝亦不成所以者何故次頌曰若唯說空過 不空義卽成 不空過已明空義應先立論曰若唯破空不空成者不空已破空義應成前諸品中已說一切立不空義所有過失若汝欲成不空義者先當方便除前過失不除前失但說空過汝不空義終不得成非顯他人有失無德卽能成己有德無愆要具二能方成己見謂立與破故次頌曰諸欲壞他宗 必應成己義 何樂談他失而無立己宗論曰要具立破自見方成立破二能見所依故唯彰他失不顯己宗自義得成終無是理何緣汝輩唯樂破空不念欲成己之有義故於立破二事應均方可得成自宗有義汝欲立有畢竟無能故諸法空其理決定豈不空論此過亦齊不顯己宗唯彰他失此質非理無我宗前諸品中已廣顯故然空無我遣有我成故破汝宗我宗已立若爾空論但有虛言我名無實義故如是如是誠如所言無我名是假非實爲破他執假立自宗他執旣除自宗隨遣爲顯此義復說頌曰爲破一等執 假立遣爲宗 他三執卽除自宗隨不立論曰異及非名爲三執俱同一不別論一等三宗若正觀察皆歸無無少可存彼性本空非由今破契經說迦葉當知所見本空非由今諸修空者證本性空故諸破言皆是假說立亦應爾權設非眞諸法皆宗依何立依汝所執故我立宗執旣無宗應不立汝謂爲有故宗非爲存自宗應許他有爲遣汝執立我宗汝所執無我宗彌立雖爾可立空爲宗現見世閒甁等有故無我比量多端而被强威現量所不爾甁等非現量知所以者何次頌曰許甁爲現見 空因非有能 餘宗現見因此宗非所許論曰我若許甁現量所得空因比量可說無能然我說甁非現量得空因比量何爲無能甁等諸塵皆非現見破根境等諸品已論不可餘宗謂甁現見對此安立爲證有因所見若同可引爲證所見旣異誰肯順從是故空因不違現量能立諸法性相皆空甁等諸塵世閒現見若以比量皆立爲空是則世閒無不空法空無翻對應不得成爲擧此疑故說頌曰若無不空理 空理如何成論曰夫立空理翻對不空不空若無空亦非有如何可立諸法皆空爲決此疑故復頌曰汝旣不立空 不空應不立論曰立不空者翻對於空旣不信空空焉立如何可立諸法不空汝不信空而得立有我不執有何廢立空若言空亦有所對謂互有無及定無空空亦然對世俗有遣彼妄有故立眞又所立空專爲遣執不必對有立於空如爲遣常說無常教雖常非而立無常又汝此中不應疑難對在有不在於空有事非無有翻有空理非有何對何翻若謂不然是宗故如立色等無常爲宗此無常宗旣定是有空宗亦爾應必非無說非眞因不定故世閒現見無亦是理亦應然故次頌曰若許有無宗 有宗方可立 無宗若非有有宗應不成論曰無宗若有對立有宗無宗若無有宗何對若言無對而立有宗卽自違前責空有對若一切法無不皆空無我眞空咸同一味如何現見諸法不同此亦不然世俗有故勝義無故理不相違爲顯此義故說頌曰若諸法皆空 如何火名煖 此如前具遣火煖俗非眞論曰若一切法本性皆空如何世閒有火等異世俗事有諸法不同勝義理空無火等異故汝疑難於理不然火等如前破根境等已具觀察是俗非眞如何此中復爲疑難若法非有空何所遮空有所遮故法應有若爾四論展轉相遮皆應是眞便違自意爲顯此義故說頌曰若謂法實有 遮彼說爲空 應四論皆眞見何過而捨論曰遮所遮故建立能遮所遮若無能遮豈有如言非雨故說名冬冬時所遮雨時必有空遮有故有定非無此亦不然因不定故一等四論展轉相遮皆應是眞是所遮故眞卽無過皆應可宗汝見何愆#捨三執一故不可說實有所遮若諸所遮皆實有者自言無過汝過應眞汝撥無空此空應實若一切法性相都無是則世閒皆應斷滅尚不執有況復執無執有執無皆成過故爲顯此義故說頌曰若諸法都無 生死應非有 諸佛何曾許執法定爲無論曰若法全無應無生死因果展轉相續輪迴非定執無何得爲難我說世俗因果非無諸佛世尊智見無㝵亦未曾許定有定無如契經中佛告迦葉諸法性相非有非無有是一邊無是第二謂常與斷此二中閒無色無見無住無像不可表示不可施設此意說言世俗有故依之建立生死迴勝義空故諸法性相非有非無心言路絕若一切法眞離有無復以何緣而言俗有眞雖無二俗有何乖離於眞別有其俗雖不相離而義有俗順世情眞談實理故眞無二有多途又一切宗皆許無二而有種種體類不同是故不應輒生疑難顯此義故說頌曰若眞離有無 何緣言俗有 汝本宗亦爾致難復何爲論曰若色等法眞離有無復有何緣而言俗有因果不斷生死輪迴俗順世情因緣假有眞談實理非有非無汝等本宗皆許無二而言法有輒難何爲所以者何如諸句義非卽是有勿一切法其體皆同亦非非有勿一切法其體皆無非有非無雖遍諸法而立種種句義不同我法亦然何煩致難由此道理餘難亦通所以者何故次頌曰諸法若都無 差別應非有 執諸法皆有差別亦應無論曰若一切法實性都無所有世閒因果差別謂從眼等眼識等生此皆應無無無別故此同上釋謂不執無執有執無皆非理故又若執有其過亦同所以者何若一切法皆同有性所有世閒因果差別謂從眼等眼識等此皆應無有無別故定於有上相不同建立世閒諸法差別我亦如眞故雖空於俗有中建立差別汝所難卽爲唐捐有劣慧人復生疑若法非有則定應無能破有因難非理世俗有故汝執非無能立有何故非有爲顯此義復說頌曰若謂法非有 無能破有因 破有因已明汝宗何不立論曰若謂諸法性相皆無能破有因亦非有者此慧極劣以於現前麤顯事中不能了故世俗所攝能破有因前已廣明何謂非有汝不可說俗有非因勝義理中無立破故若不忍許能破有因何不立因證自宗有如我廣說能破有因汝立有因一未曾見如何可執諸法非空空言是破破他便立有言是立自立方成是故我空無勞別立汝所執有須別立因別因旣無何緣知有破因易得立因難成故破有因未爲奇妙若爾汝宗何不破空爲破彼言故說頌曰說破因易得 是世俗虛言 汝何緣不能遮破眞空義論曰破因易得是俗虛言未見有因破眞空故小乘外道雖惡眞空而未有因破眞空義如何可說易得破因諸法性空易立難破諸法性有難立易傾眞僞皎然如何固執有被立破固網所籠自出無能矯作是說聲爲定量表法有無旣有有聲法應定有法若非有有聲應無爲破此言故說頌曰有名詮法有 謂法實非無 無名表法無法實應非有論曰彼立諸名以聲爲性此立名等非卽是聲故但擧名以破彼執有聲詮汝執所詮法實非無無聲表無應信所詮法實非有無聲非量便自違故汝所言非爲證有此劣慧者脫己愆徒設功勞終不能免依實有立實有名因實有名生實有解若非有應無有名有名若無應無有旣有有解故法非無此亦不然立名故爲顯此義故說頌曰由名解法有 遂謂法非無 因名知法無應信法非有論曰若聞有名生於有解遂謂諸法是有非無旣聞無名生於無解應信諸法非有是無此旣不然彼云何爾依名生解#是證空因謂爲有因必不應理法體若有何待有名旣待有名方生有解故知諸法體實爲無但假立名世共流布有名決定無實所詮如人號牛依想立故名能遣有而立有因不異有人以明爲闇有若可說是假非眞所以者何故次頌曰諸世閒可說 皆是假非眞 離世俗名言乃是眞非假論曰世閒言說皆隨自心爲共流傳假想安立法若可說是假非眞非假是眞定不可說諸可說者皆俗非眞前諸品中已廣成立故所執有是假非眞如舍如軍可言說故一等四執前已具遮更不立餘眞實有法是則此論應墮無邊爲釋此疑故說頌曰謗諸法爲無 可墮於無見 唯蠲諸妄執如何說墮無論曰謗諸有法可墮無邊唯遣妄情豈墮無執爲破有執且立爲無有執若除無亦隨遣又世俗有前已數論故不應言此墮無執唯許俗有眞應是無不許眞無應許眞有此言非理故次頌曰有非眞有故 無亦非眞無 旣無有眞無何有於眞有論曰若有眞有可有眞無眞有旣無眞無豈有無眞無故眞有亦無眞非有無如前屢辯如何復執眞是有無若眞非無何意頻說諸法性相俗有眞無此說意言唯俗是有眞無此有故說眞無若爾此眞俗無爲體若不爾者應別有眞若別有眞有非唯俗有旣唯俗眞體應無眞體若無何欣修證此中一類釋此難言#我說眞無是遮非表世閒妄見執有爲眞遮此有眞不表無體然其眞體卽是俗無非離俗無別有眞體言眞無者謂俗無眞此遮其眞無別所表此於言義未究其源誰謂眞無別有所表若遮餘法別有所詮是遮表言遮餘法已表餘共相如非衆生非黃門等若遮餘法無別所詮是唯遮言遮所遮已其力斯竭如勿食肉勿飮酒等此眞無言唯遮其眞無別所表不言可悉如非有言唯遮其有不詮非有亦不表餘若詮其無或表餘法則不應說此非有言若非有言詮於有者非無之說應表其無如是遮言愚智同了彼無疑難重說何爲彼難意言有若唯俗眞卽非有何所修證但說眞無是遮非表乃至廣說豈釋難耶復有釋言修無我觀方便究竟見眞理時一切俗有皆不顯現故說眞無此亦不然意難了故若俗非有說名爲眞應無所證若別有眞是所證者則不應言有唯是俗又違經說都無所見乃名見眞少有所見卽非見眞是故此言亦非正釋如是釋者應作是言眞非有無心言絕故爲破有執假說爲無爲破無執假說爲有有無二說皆世俗言勝義理中有無俱遣聖智所證非有非無而有而無後當廣說有作是難證法空因爲有爲無有則餘法亦應是有無則不能證諸法空爲擧此難故說頌曰有因證法空 法空應不立論曰空必依因方可得立若不爾者一切應成因旣不空餘亦應爾唯陽焰等水等性空則所立宗#皆不成就爲釋此難復說頌曰宗因無異故 因體實爲無論曰數論師等摠別無異勤勇無閒所發等因皆卽是聲應如聲體不通餘故因體不成勝論師等計摠與別或異不異其不異者#過同前師異卽如前諸品已破故異不異皆不成因由此故說宗因無異因體實無又所立因體若實有應與宗體或一或異然不可說因與宗體或一或異非一異故猶若軍林是假非眞世俗所攝隨順世閒#虛妄分別建立種種宗因不同遣諸邪執邪執旣遣宗因亦亡故不可言法同因有宗因假立皆俗非眞復有難言證法空喩爲無爲有無則不能證諸法空有則諸法如喩應有此亦不 然故次頌曰謂空喩別有 例諸法非空 唯有喩應成內我同烏黑論曰喩則是因一分所攝因旣俗有喩亦應然若謂離因別有喩體以例諸法是有非空此定不然離因之喩必不能證所立義宗如所立宗非因攝若非因喩能立義宗內我如烏性應立又應一切所立皆成無因事易可得故由是喩體必不離因應同因不可爲難若一切法本性皆證見此空有何勝德爲敍此難說頌曰若法本性空 見空有何德論曰非於離我諸行法中證見我空少有勝德諸法亦爾若本性空證見此空何所饒益若無所益何用劬勞修能證空無量加行爲釋此難復說頌曰虛妄分別縛 證空見能除論曰諸法諸行雖空無我而諸愚夫虛妄分別執一異等由此虛妄分別勢力生長貪等煩惱隨眠隨緣發生諸善惡業沒#三有海相續輪迴三苦所煎不能自出勤修加行證無我漸次斷除虛妄分別隨其所應證三菩提自利利他功德無盡虛妄分別其體是何謂三界心心所有法豈不此法亦本性空如諸愚夫所執色等何能引苦煎迫有情若此雖空而能引苦是則#色等亦有此能何故但言虛妄分別雖色心等皆本性空而要依於虛妄分別計度諸法爲有爲無因是發生雜染淸淨#由斯含識染淨不同是故但言虛妄分別法若實有是事可然法旣實無如何計度爲有無等染淨不同如夢等中雖無色等而有種種相現分明此喩不然於夢等位有分別故作用非無#分別爲依現諸境像起諸染淨是事可然今旣皆空無實分別誰能起此作用不同無體有能曾所未見若無有體而有功能兔角龜毛應皆有用又無煩惱或無善根而諸有情有染淨者已斷煩惱應更輪迴未種善根應獲常樂此中一類釋此難言世俗非無故無此失應問世俗非諦實耶彼答不然隨世俗量是實有故亦名諦實如何可說一法一時有無相違俱名諦實生等亦爾一法一時有生無生有滅無滅有斷無斷有常無常有來無來有去無去乃至廣說更互相違如何可言俱是諦實彼作是說一法一時無義爲眞有義爲俗義差別故互不相違猶如世閒施等善法性有漏故得不善名善根相應故亦名善俱名諦實而不相違此理不然施等善法觀待異故可不相違一法一時有無二諦無別觀待何得無違所以者何安和名善善有二種所謂世閒及出世閒出世善法畢竟能害煩惱諸纏究竟安和名勝義善世閒善法暫時有能畢竟無能暫時能伏煩惱纏故名世俗善非永能斷煩惱纏故亦得名爲勝義不善此善不善互不相違有能無能時分異故如施等善住一剎那說名有能過此已後必不能住說名無能有能無能雖在一法時分異故而不相違第二剎那施等不住旣無有體誰名無能由彼體無能定非有能非有故卽名無能或能無能時分無異所望境別故不相違所以者何暫時能伏貪等纏故名爲有能不能斷滅貪等種故名曰無能如服酥膏能除風疾不遣痰癊有能無能時分雖同而所望境有差別故互不相違一法一時有無二諦境無差別何得無違彼復救言如一念識我執依故世俗名我由勝義故亦名無我無我別而不相違一法一時有無亦爾雖無境別而不相違此亦不然無我義不相違故所以者何一剎那心不自在故名爲無我我執所依亦名爲我如契經言若識是我應得自在不應轉變而諸愚夫依發我執故說名我不自在義我執依義雖同一識而不相違一法一時有無相及名諦實豈得無違汝今爲成有無二同在一法互不相違雖引衆多世閒譬喩種種方便終不能成彼重救如一靑色據自故有望他故無諸亦然一一法性據俗#故有望眞故此亦不然黃體異可據自有他爲無俗之與眞其體不別據自可望誰爲無尋究其俗實卽是眞考彼靑實成黃色故汝所立法喩不又俗與眞體不相離如何俗體望眞爲無如契經中佛告善現世俗義無各別體世俗眞如卽是勝義離其色別有於空乃至識空亦復如如何一法無別境時二義相違名諦實由是古昔軌範諸師情事不安立二諦世俗諦語近顯俗情義諦言遠表實事世俗諸法雖稱俗而事是虛故非諦實又現量證緣起色心言不能詮應非俗諦故契經說#所有世閒名句所詮名爲俗諦經意說世共所知能詮所詮相應法及爲詮表#非共所知法義經書名爲俗諦現量所證緣起色心非言所亦非俗諦若言假立名言所詮故此色心亦俗諦攝究竟勝義應亦非假立名言所詮表故究竟勝義無此色心眞理都無事有法故非二諦此法應無則違世閒現量所證言是有非二諦收應立第三非眞俗若言雖有緣起色心是諸世閒現量所得而非究竟勝義諦收假說名爲世俗諦攝隨意假立世俗名言實色心則無諍論此爲依故染淨義若謂色心世俗故有由勝義故有非生如是所言爲有何義若言彼無分別智所行境界究竟空無如是有故說非有若爾所行究竟無無分別智應不得生設許得生非眞智緣無境故如了餘無智旣非境應是俗雖言色心不如是有復彌顯色心實有由說非有究竟無無異相故定應是有旣定是有是亦應許此色心實有生等若汝意謂雖復色心亦有亦生而非勝義先審定勝義是何然後可言此非勝若言勝義是無分別智慧所行竟空無此先已破謂彼所行究竟無無分別智應不得生乃至廣說此所行非眞勝義以是無故猶如兔或非有故如彼空花若言勝義是可硏窮此亦不然境無異故夫硏窮不捨世俗又世俗法不可硏窮可硏窮應離世俗然非離俗別有勝故不可說此可硏窮是故汝言非勝義相若謂餘宗所執勝義都非有是勝義相此亦不然彼謂緣生暫住等性名爲勝義今撥非有便違自宗及現量等若言諦實是勝義相則世俗應非諦實何故前言俗爲諦設許唯說#非有非生名爲諦實有是生唯假言說妄分別立旣非諦唯假言說妄分別立如何能起染淨作用故彼釋難其理不成非說龜毛名爲有體卽有作用能縛世閒有餘師釋此難曰分別所執法體是因緣所生法體是有由斯發起煩隨眠繫縛世閒輪迴三有或修加證無我得三菩提脫生死苦緣生法雖通色心而心是源所以偏說虛妄分別能縛世閒厭此能修證空加行雖有境界若無有心虛妄尋思終不繫縛亦不能厭修無我空三菩提出離生死爲證此義引契經言遍計所執無 依他起性有 妄分別失壞墮增減二邊此中一類釋此義言名是遍計所執是依他起性名於其義非有故無義隨世閒非無故有不可引此證有依他此釋不然義相違故若名於義非有故無義亦於名是無何有又於其義所立名言旣因緣生如義應有若妄所執能詮性無妄執所詮其性豈有名隨世俗有詮表能汝不許爲依他起性義亦隨俗假說有能何不許爲遍計所執世俗假立能詮所詮應竝無有應齊有如何經說一有一無故汝所言不符經義應信遍計所執性無是諸世閒妄情立故依他起性從因緣生非妄情爲應信是有彼證己義復引經言由立此此名 詮於彼彼法 彼皆性非有由法性皆然此頌不能證成彼義經意不說名於義無但說所詮法性非有辨諸法性皆不可詮名言所詮皆是共相諸法自相皆絕名言自相非無共相非有此中略說所詮性無非謂能詮其性實有故頌但說彼非有言不爾應言此性非有彼爲證此依他性無#復引經中所說略頌無有少法生 亦無少法滅 淨見觀諸法非有亦非無此亦不能證依他起其性非有所以者何此頌意明遍計所執自性差別能詮所詮其體皆空無生無滅離執淨見觀諸世閒因緣所生非無非有故此非證依他起無若有依他何緣經說一切法性無不皆空又契經言佛告善現色等諸法自性皆無復有經言佛告大慧一切法性皆無有生先有先無不可生故此有密意密意如何謂此諸經唯破遍計所執自性非一切無若一切無便成邪見云何知有此密意耶餘契經中顯了說故謂薄伽梵說如是言我唯依於相應自說一切法自性皆無若有如言而生執著謂染淨法自性皆無彼惡取空名爲邪見相應自性卽是世閒遍計所執由心轉變似外諸塵依此諸起諸倒執因此倒執計有自他所詮相應自性染淨諸法卽是依故知諸經有此密意又到彼岸般若經中佛自分明判有無義遍計所所集所增所取常恒無變易法如是一切皆名爲無因緣所生皆說爲有又餘經說遍計所執自性無生依他起性所攝#諸法從因緣生又慧度經作如是說行慧度者善知色性善知色生善知色如乃至廣說又諸經說諸法無性無生滅等皆應分別不可如言執爲了義勿世俗諦諸法亦無便惡取空成大邪見此言非理#所以者何於了義經異分別故世尊自說若諸經中說空無相無願無行無生無滅無有自性無有有情命者主宰補特伽羅解脫門等名了義經我言合理以於餘經佛自決判我依遍計所執自性於餘經中說一切法皆無自性無生無滅本來寂靜自性涅槃依依他起自性說言諸有情心生滅流轉乃至廣說又餘經中佛告具壽舍利子言色自性空自性空故無生無滅無生滅故無有變易亦復如是此依遍計所執自性說自性空無生滅等以諸愚夫隨自心變色等諸法周遍計度執有眞實自性差別世尊依彼說色等法自性皆空無生滅等依他起性由無遍計所執性故亦說爲空非自性空無生滅等如來處處說三自性皆言遍計所執#性空依他圓成二性是有故知空教別有意趣不可如言撥無諸法如言取義名謗大乘故契經言若有菩薩如言取義不求如來所說意趣是名於法非理作意亦名非處信解大乘若有菩薩不如其言而取於義思求如來所說意趣是名於法如理作意亦名是處信解大乘若爾云何釋此經句佛告天子汝等當知佛於菩提都無所得亦無少法可生可滅所以者何以一切法無生無滅是故如來出現世閒有作是釋諸佛證得大菩提時遠離一切分別戲論#雖出世閒而不可說有證得等復有釋言佛以菩提爲其自性故無所得如契經言菩提卽佛佛卽菩提故無所得如其法性而覺知故不生先無不滅先有以諸法性離戲論故無生無滅無上菩提現在前故說名如來出現世閒又契經說善現當知色名諸色無性之性行等廣說亦爾此經意明依他起性以其遍計所執色等無性所顯離言法性爲其自性若一切法都無所有如何無性而復言性若言色等世俗無性卽是色等勝義之性與理相違所以者何夫勝義者分別戲論所不能及豈得以無爲其#自性若以無性爲自性者應類餘無不名勝義應不能證無上菩提則違自宗成大過失依#他起性若實有者便違經說故契經言諸法從緣起 緣法兩皆無 能如是正知名通達緣起 若法從緣生 此法都無性若法都無性 此法非緣生如是二經說緣生法雖無自性而不相違以從緣生法有二種一者遍計所執二者依他起性此中意明遍計所執自性非有不說依他若說依他都無自性便撥染淨二法皆無名惡取空自他俱損此妄分別誰復能遮得正見時自當能遣今且應問依他起性何智所知謂無分別智所引生世閒淨智旣無分別何名世閒謂言此智是無分別若有分別應不能行諸法實相但應緣彼遍計所執雖有分別而說能行法實相者虛妄分別應亦能行諸法實相又今未得無分別後法實相智如何定知有依他起依他起非如現見蛇執所依如何定言實有此性唯無分別智所引生世閒淨知依他起與論相違如彼論言遍計執性何智所行爲凡智耶爲聖智耶俱非所行以無相故依他起性何智所行俱是所行然非出世聖智所行又言五事幾是所取幾是能取三是所取分別正智通能所取分別分別所取正智有二一緣眞如第二是彼所引生故今猶未得相等又是依他起性故彼論言遍計所執五事不攝依他起性四事所攝若依他起世智所緣而說非空甚可嗤笑諸法實相非是世閒心智所行如前屢辨故不應說實有依他論說依他亦凡智境據自證受故不相違依他起性卽心心法從緣起時變似種種相等塵實自證受而增上慢謂取外塵然諸外遮遍計所執無體相故非所緣緣非聖凡智所行境一切有漏心及心法唯能證受自所現塵未能如實證餘心境無漏世智相應心品由性離染自他俱證故說依他淨智所了與論所說理不相乖汝嗤笑言自呈愚昧非顯我說與理相違若從緣生心及心法同遍計執皆自性空便似空花何能繫縛三有含識生死輪迴是故依他非無體實論者本意決定應然若不爾者何緣故說妄分別縛證空能除誰睹龜毛能計能縛誰見兔角能證能除由是應知有心但無心外所執諸塵云何定知諸法唯識處處經說於此何疑故契經佛告善現無毛端量實物可依夫異生造諸業行唯有顚倒與彼爲顚倒卽是虛妄分別虛妄分別卽心法又契經言無有少法自性可唯有能造能造卽是心及心法契經說三界唯心如是等經其數無是故諸法唯識理成豈不決定執一切法實唯有識亦成顚倒是則應如色等諸法顚倒境故其體實無境旣無識云何有不應一識二分合勿當失於心自一相若言識體實無二分能緣所緣行相空故但隨世同所了知有能緣心故說唯識應亦說境界非無世俗同知有心境若許實有少分識體應說此體相如何旣不可言能識所識如何說唯有識耶諸契經言唯有識者令觀識捨彼外塵旣捨外塵妄心隨妄心息故證會中道故契經言未達境唯心 起二種分別 達境唯心已分別亦不生 知諸法唯心 便捨外塵相由此息分別 悟平等眞空愚夫異生貪著境味受諸欲樂無捨離心生死輪迴沒三有海受諸劇苦解脫無因如來慈悲方便爲說諸法唯識令捨外塵捨外塵已妄識隨滅妄識滅故便證涅槃故契經言如世有良醫 妙藥投衆病 諸佛亦如是爲物說唯心雖說極微亦可分析據方所故如舍如甁此難極微可成多分是假非實不可全無若不爾者心及心法一剎那中時分攝故如歲月等衆分合成亦可全無成大過失如是等類隨見不同分隔聖言令成多分互興諍論各執一邊旣不能除惡見塵垢誰能契當諸佛世尊所說大乘淸深妙旨未會眞理隨己執情自是非他深可怖畏應捨執著空有兩邊領悟大乘不二中道如契經說菩薩當知身見爲根所生諸見感匱法業繫縛世閒輕彼撥無諸法邪見及於此見稱讚流通因是所生感匱法業經無量劫墜那落迦惡趣輪迴受大憂苦昔微善力來至人中愚鈍盲聾多諸憂苦身形卑陋人不憙觀鄙拙言辭聞皆不悅或宿曾種增上善根來生人閒殊勝報由昔攝受謗法業因偏執如來破相空教非毀所說顯實法門諸世閒非法謂法法謂非法非義謂義謂非義自損損他深可悲愍佛所說無不甚深二諦法門最爲難今且自勵依了義經略辨指歸諸諍論世俗諦者謂從緣生世出世閒色心等法#親證離說展轉可言證爲先後方起說此世俗諦亦有亦假令所成猶諸幻事從分別起夢所爲有相可言名世俗諦勝義諦謂聖所知分別名言皆所不及內所證不由他緣無相絕言名勝義如是略說二諦法門正法學徒同無所諍依前世俗染淨法生依後勝證於寂滅是故聖說心境有三者有言有相心境二者無言有相心三者無言無相心境初於名言有覺悟亦有隨眠次於名言雖有隨而無覺悟後於名言隨眠覺悟一向永無初二緣世俗後一緣勝義有永離言說隨眠後所得心通緣二若於世俗起堅執見及於世俗不順見此二俱名虛妄分別是生一切無義利門繫縛有情令不解脫無我見能悉斷除令諸有情離三有自證究竟寂滅涅槃亦轉化他得解脫拔除正習障根本故若於世起不順見此於勝義定有乖違明此見故說頌曰法成一成無 違眞亦違俗 故與有一異二俱不可言論曰若執諸法與其有性定爲一者法則成一定爲異者法則成無是卽違眞亦復違俗所以者何若一切法與有性一色應如聲是聲非色聲應如色是色非聲卽有性故法應成一若一切法與有性異卽色聲等體悉成無非有性故如空花等若執諸法與一性等定一異過#如應當知是故有等與法#一異二種妄見違俗及眞俱是俱非相違戲論過同一異故不別論於勝義中有無等寂一切問難皆不得成爲顯此義故說頌曰有非有俱非 諸宗皆寂滅 於中欲興難畢竟不能申論曰勝義理中無少有法以一切法本性無生故有見宗於斯寂滅依有見故非有見生此見旣亡彼見隨滅眞若非有聖智不行聖智所行必非非有故非有見不證其眞聖智觀眞不觀非有簡俗有故說眞非有眞非有言還依俗說眞非有教能順趣眞是故諸經多說非有有非有見於此旣除俱是俱非皆應類遣以其有等皆可表詮眞絕表詮故非有等一切惡見擾動其心於正理中廣興邪難#皆依如是有等見生此見旣除彼亦隨滅雖欲猛勵抗論眞空由無所依措言何寄如空無底足不可依諸有大心發弘誓者欲窮來際利樂有情應正斷除妄見塵垢應妙悟入善逝眞空爲滿所求當勤修學已除見有累 復遣執無塵 善開妙中道願世咸歸寂聖天菩薩造論旣周重敍摧邪復說頌曰我在爲燎邪宗火 沃以如來正教酥又扇因明廣大風 誰敢如蛾投猛焰三藏法師於鷲嶺北得聞此論隨聽隨翻自慶成功而說頌曰聖天護法依智悲 爲挫群邪制斯論四句百非皆殄滅 其猶劫火燎纖毫故我殉命訪眞宗 欣遇隨聞隨譯訖願此速與諸舍識 俱昇無上佛菩提大乘廣百論釋論卷第十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