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卷第十八

ABC_IT_K0892_T_018
022_0569_b_01L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제18권
022_0569_b_01L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卷第十八


의정 한역
주호찬 번역
022_0569_b_02L三藏法師義淨奉制譯


98) 지니선재백의가후령타거(知尼先在白衣家後令他去)학처
022_0569_b_03L 知尼先在白衣家後令他去學處第九十八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69_b_04L緣處同前
어느 때 많은 필추니들이 세상을 두루 다니다가 한 마을에 이르러 묵을 곳을 찾았는데, 마침내 어느 장자가 필추니들이 머무르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그들보다 뒤에 와서 또한 묵을 곳을 찾았다.
022_0569_b_05L時有衆多苾芻尼遊行人至一聚落爲求宿處遂有長者許尼停止時吐羅尼隨後而來亦爲求宿
마을 사람이 그에게 말했다.
“다른 필추니들은 저 집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성자께서도 그곳에 가셔서 묵을 곳을 찾도록 하십시오.”
필추니는 곧 앞으로 들어가서 필추니들에게 말했다.
“내가 묵을 수 있겠군요.”
필추니들이 말했다.
“이곳은 너무 비좁아서 같이 묵을 수가 없습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서로 붙으면 묵을 수 있습니다.”
필추니들은 이 말을 듣자 무릎을 쪼그리고 앉아서 서로 양보하였다.
022_0569_b_08L村人告曰有餘尼衆於彼家停者亦宜往彼求宿尼卽前入告諸尼可容我宿諸尼報言此處窄狹不吐羅尼曰隨宜卽得諸尼聞已蹲跪相容
그런데 토라난타 필추니는 곧 손과 발로 먼저 와 있던 필추니들을 밀어냈다.
필추니들이 말했다.
“성자여, 어찌하여 이렇게 핍박하는 것입니까?”
“머무를 수 없거든 마음대로 떠나도록 하시오.”
필추니들이 의논했다.
“이 토라난타 필추니는 힘이 세다. 만약 그에게 핍박을 당한다면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필추니들은 곧 한꺼번에 일어나서 밖으로 나갔다.
022_0569_b_12L時吐羅尼卽以手足推排舊諸尼告曰聖者何爲如是相逼不能住者任隨意去諸尼議曰吐羅尼盛壯多力苦見逼迫命難存諸尼卽起一時而出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다른 필추니가 먼저 속인의 집에 와 있는 것을 알면서도 뒤늦게 그 집에 와서 그를 나가게 한다면 바일저가(波逸底迦)이니라.”
022_0569_b_16L尼白苾芻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苾芻尼先在白衣家後令他去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먼저 속인의 집에 와 있다.’는 것은 속인의 집에 앞서 도착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를 나가게 한다.’는 것은 뒤에 와서 나가게 하는 것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69_b_20L尼等如上先在白衣家者謂前到俗令他去者後至令出釋罪相等說如前
022_0569_c_01L
99) 제자유병불첨시(弟子有病不瞻視)학처
022_0569_c_01L弟子有病不瞻視學處第九十九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69_c_02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가 병이 났는데 그가 구족계를 준 제자와 그에게 의지하고 있던 제자들이 모두 함께 시중을 들어 병이 낫게 되었다. 뒤의 다른 때에 제자들이 병이 났는데 간병을 해 주는 사람이 없어 오물이 흩어져 있어도 아무도 치워주지 않았다.
필추니들이 서로에게 물었다.
“병이 난 사람이 누구인가요?”
“토라난타 필추니의 제자입니다.”
022_0569_c_03L時吐羅難陁尼病有親弟子及依止弟子皆爲供侍病得差已於異時弟子等患無看病者不淨狼藉不與除棄諸苾芻尼互相問曰者是誰答言吐羅尼弟子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직접 구족계를 준 제자와 의지하고 있는 제자에게 병이 난 것을 보고도 돌보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69_c_07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如前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於親弟子及依止弟子見有病患不瞻侍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직접 준 제자’란 구족계를 준 제자를 이르는 말이다. ‘의지하고 있는 제자’란 의지하여 머물러 있는 제자를 이르는 말이다. ‘병’이란 4대(大 : 地ㆍ水ㆍ火ㆍ風)가 조화롭지 못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돌보지 않는다.’는 것은 자애로운 마음으로 공급하고 살피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69_c_11L尼等如上親弟子者謂與授近圓止弟子者謂依止而住病者謂四大不調不瞻侍者謂不以慈心供給看養釋罪相等廣說如前

100) 이니동일상와(二尼同一牀臥)학처
022_0569_c_15L二尼同一牀臥學處第一百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69_c_16L緣處同前
어느 때 악애(惡愛)와 상애(上愛)라는 두 필추니가 함께 하나의 평상 위에 있었는데, 마치 남자와 여자처럼 함께 즐겼다. 필추니가 얼마 후 임신을 하여 달이 차자 고깃덩어리를 하나 낳았는데, 여러 근(根)과 손과 발이 모두 있지 않았다. 필추니들이 이 소식을 듣고 그 필추니를 절 밖으로 내쫓았다.
022_0569_c_17L時惡愛上愛二苾芻尼同在一牀如男與女共爲戲樂一尼於後遂卽有娠日月旣滿生一肉團諸根手足竝皆未有諸尼聞已擯令出寺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직은 내쫓지 말고 마땅히 자세히 살피도록 하여라. 그 고깃덩어리를 가져다가 햇볕에 놓아두되 만약 그것이 없어진다면 필추니는 임신을 한 것이 아니고, 만약 없어지지 않는다면 실제로 임신을 한 것이니라.”
필추니들이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곧 그것을 햇볕 가운데에 놓아두니 모두가 없어졌다.
022_0569_c_20L白苾芻苾芻白佛佛言且未須擯審觀察將此肉團置於日中若其消化卽非有娠如不消滅當實有胎尼依佛教卽置日中悉皆消散
022_0570_a_01L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로서 두 필추니가 함께 하나의 침상에 눕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0_a_01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應如是說若復苾芻尼二尼同一牀臥者波逸底迦
이와 같이 세존께서는 모든 필추니들을 위하여 계율을 제정하셨다.
어느 때 필추니들이 길을 가다가 날이 저물자 한 장자에게서 밤에 묵을 곳을 구하였다. 장자가 그들을 재워주기로 하고서 하나의 큰 평상을 주었는데, 한 사람의 필추니가 홀로 머무니, 다른 필추니들이 다시 평상을 찾았다.
장자가 그들에게 말했다.
“집 안에 사람이 많아서 남는 것이 없습니다. 성자께서는 좁은 곳에 있으면서 어찌하여 평상을 함께 하지 않습니까?”
필추니가 말했다.
“세존께서는 필추니가 같이 침상에 눕는 것을 금지하셨습니다.”
022_0570_a_05L如是世尊爲諸苾芻尼制學處已有衆多苾芻尼因行日暮從一長者夜求宿處長者容許與一大牀一尼獨居餘尼更索長者報言家內人多復無餘長聖者處迮何不同牀尼曰世尊不聽尼同牀臥
이 일로 말미암아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큰 평상을 얻어서 마주 들 수 없다면 필추니는 처소를 함께 할 수 있되, 마땅히 옷으로 사이를 두어 생각을 한곳에 매어두고서 잠을 자며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하라. 작은 평상으로 사이를 떨어지게 할 수 있다면 또한 같이 잠을 잘 수 있느니라.”
022_0570_a_11L由此事故尼白苾芻苾芻白佛佛言若得大牀難舁擧者尼得同處當以衣隔繫念而眠不得相觸小牀安隔亦得同眠
열한 번째의 게송을 거두어 말한다.
022_0570_a_14L第十一攝頌曰

여름 안거에 관한 두 가지의 경우와, 두려움에 관한 두 가지와
하늘을 모시는 사당과 나이가 차지 않은 것과
제자를 두는 것과, 이미 시집을 갔던 여인에 관한 두 가지와
승가에서 허락하지 않았는데 많이 두는 것이 있다.
022_0570_a_15L二安居二怖
天祠未滿年
畜衆二嫁人
僧未與無限

101) 안거미수의유행(安居未隨意遊行)학처
022_0570_a_17L安居未隨意遊行學處第一百一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0_a_18L緣處同前
022_0570_b_01L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실라벌성에서 안거를 하고 아직 자자[隨意]를 하지 않았는데 곧 세상에 유행을 하러 나가니, 여러 외도들과 바라문ㆍ장자ㆍ거사들이 모두 비난하고 미워하였다.
“이제 이 필추니를 보아하니 출가한 것을 즐거워하지 않는구나. 지금은 여러 벌레들이 땅 위에 가득하니, 마을을 유행하다가 죽이고 해치는 것이 끝이 없을 것이다. 작은 새의 무리들도 비가 오는 여름철이 되면 둥지나 구멍에 숨어 있거늘 이 여자 사문은 자비로운 마음이 없어 유정들을 다치게 하니, 누가 마음을 일으켜서 공경하고 공양을 하겠는가?”
022_0570_a_19L時吐羅難陁苾芻尼於室羅伐城爲夏安居未作隨意便遊人諸外道等及婆羅門長者居士皆共譏嫌今觀此尼不樂出家此時諸蟲遍地皆有遊行聚落殘害無窮小鳥之類至夏雨時尚潛巢穴此沙門女乃無慈悲損傷含識誰更興心恭敬供養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안거를 하고서 아직 자자를 하지 않았는데 세상에 유행을 하러 나서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0_b_03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夏安居未爲隨意人閒遊行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안거’란 전후 3개월의 안거를 이르는 말이다. ‘아직 자자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자자하는 일을 하지 않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세상에 유행을 한다.’는 것은 마음 내키는 대로 떠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 등을 자세히 풀이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범하는 것이 없는 경우는, 만약 8난(難) 가운데에서 어느 한 가지라도 있어서 유행을 하는 것이라면 범하는 것이 없다.
022_0570_b_06L尼等如上夏安居者謂前後三月安未爲隨意者謂不作隨意事人閒遊行者謂隨心而去釋罪相等廣說如前無犯者若八難中隨有一者行無犯

102) 안거만불유행(安居滿不遊行)학처
022_0570_b_11L安居滿不遊行學處第一百二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0_b_12L緣處同前
어느 때 필추니들이 안거를 마치고서 세상에 유행을 하고자 하여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세상을 두루 다니도록 합시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내가 지금 무엇 때문에 세상을 두루 다니겠습니까?”
필추니들이 말했다.
“부처님께서 떠나도록 명하셨는데 무슨 까닭에 일부러 어기는 것입니까?”
022_0570_b_13L時諸苾芻尼夏安居竟欲遊人閒告吐羅難陁尼曰可遊人閒羅尼曰我今何用遊行人閒諸尼曰佛教令去何因故違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에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안거를 채우고서 머물던 곳을 떠나서 세상을 유행하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0_b_16L尼白苾芻苾芻白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如是說若復苾芻尼夏安居滿不離舊處人閒遊行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안거를 채운다.’는 것은 안거를 마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머물던 곳을 떠나지 않는다.’는 것은 세상에 유행을 하러 가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 등을 자세히 풀이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0_b_20L尼等如上夏安居滿者謂安居竟離舊處者謂不往人閒遊行釋罪相廣說如前

103) 지유포유행(知有怖遊行)학처
022_0570_b_23L知有怖遊行學處第一百三
022_0570_c_01L
인연은 왕사성에서 있었다.
022_0570_c_01L緣在王舍城
어느 때 미생원왕(末生怨王)은 광엄성(廣嚴城)에 큰 원한이 있어서 공격하려고 북을 쳐서 널리 명하여 사람들에게 알렸다.
“우리 국경 안에 있는 사람으로서 광엄성에 가는 자는 곧 그 목을 벨 것이다.”
지름길이 되는 곳에는 모두 방어를 하도록 명령하고 법에 의하여 법을 어기는 자를 붙잡았다. 그때 필추니들이 왕사성에서 광엄성으로 가려고 길에 있다가 도적을 만나 모두가 놀라고 두려워서 큰소리로 부르짖었다. 지키던 사람들이 소리를 듣고 찾아오니 도적들은 왕의 군대를 보는 순간 사방으로 달아났다.
022_0570_c_02L時未生怨王於廣嚴城爲大怨讎欲行討擊鳴鼓宣令告衆人曰在我境內往廣嚴城者卽斬其於要路處皆令防禦捉得依法有衆多苾芻尼從王舍城欲向廣嚴在路遭賊悉皆惶怖大聲叫喚防守人聞尋聲卽至賊見王軍四散奔走
군인들이 필추니들에게 물었다.
“여러 성자들께서는 어찌하여 광엄성으로 가는 자는 그 목을 벤다는 왕의 명령을 듣지 못하였습니까? 또한 저희에게 명령을 하시어 국경 안을 지키게 하셨으니, 만약 우리가 없었다면 성자들께서는 틀림없이 도적들에게 잡히셨을 것입니다.”
022_0570_c_08L問諸尼曰諸聖者等豈不聞王教往廣嚴者當斬首耶又令我等境內守邏我若不在聖者可不爲賊所擒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 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나라 안에 도적들의 두려움이 있는 곳을 알면서 유행을 하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0_c_11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王國中有賊怖處而遊行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나라 안에 도적들의 두려움이 있는 곳을 안다.’는 것은 두 나라 사이에 원한이 있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유행’이란 다른 나라에 가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 등을 자세히 풀이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0_c_15L尼等如上知王國中有賊怖處者兩國有怨遊行者謂往他國釋罪相廣說如前

104) 지유호랑사자유행(知有虎狼師子遊行)학처
022_0570_c_18L知有虎狼師子遊行學處第一百四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0_c_19L緣處同前
여러 필추니 대중들이 외딴 곳에서 유행하다가 호랑이와 이리와 사자의 위험을 많이 만났는데, 속인들이 비난하고 싫어하였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그곳에 호랑이와 이리와 사자가 있는 것을 알고서 두려워하면서 유행한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0_c_20L有諸尼衆於僻路遊行遭虎狼師子之厄俗旅譏嫌廣說乃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彼處有虎狼師子怖而遊行者波逸底迦
022_0571_a_01L‘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그곳에 있는 것을 안다.’는 것은 호랑이와 이리가 있는 것을 아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나머지의 뜻은 가히 알 수 있다.
죄의 모양 등을 자세히 풀이한 것은 또한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022_0571_a_01L尼等如上知彼有者謂知有虎狼義可知釋罪相等亦如上說

105) 왕천사논의(往天祠論議)학처
022_0571_a_03L往天祠論議學處第一百五

인연은 왕사성에서 있었다.
022_0571_a_04L緣在王舍城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곳과 외도들의 처소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함께 논의를 하다가 해가 저물려고 하자 필추니의 절에 와서 여러 제자들에게 말했다.
“내가 지금 피곤하여 마디마디가 전부 아프니 팔다리를 주물러서 피로를 좀 풀어다오.”
제자들이 여쭈었다.
“성자께서는 무엇을 하셨기에 이렇게 피로하십니까?”
“내가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과 외도들이 머물고 있는 곳에 가서 그들과 함께 논의를 하였느니라.”
“성자께서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과 외도들의 처소에 가시는 것이 합당한 일입니까?”
“합당하든 합당하지 않든 나는 이미 그곳에 갔다 왔다.”
022_0571_a_05L時吐羅難陁苾芻尼歷天祠及外道處共爲論議時將欲至尼寺中告諸弟子我今疲困支節皆疼與我解勞捉搦手足門徒問聖者何爲疲困若此報曰我詣天祠及諸外道所住之處與彼論議復問言聖者合往天祠及外道處耶報言合與不合我已去來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하늘에 제사 지내는 곳 가운데에 가서 논의를 한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1_a_12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往天祠中作論議者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 가운데’라는 것은 천신(天神)과 외도들이 머무는 곳을 이르는 말이다. ‘논의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풀이한 것 등은 모두 위에서 설한 것과 같다.
022_0571_a_16L尼等如上天祠中者謂是天神外道住處作論議者謂申難問釋罪相等皆如上說

106) 연미만여타출가수근원(年未滿與他出家授近圓)학처
022_0571_a_19L年未滿與他出家授近圓學處第一百六

인연은 실라벌성에 있었다.
022_0571_a_20L緣在室羅伐城
022_0571_b_01L어느 때 필추들은 법랍이 아직 열 살이 되지도 않았는데 다른 이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니 필추니들도 그렇게 하였다.
그때 열두 필추니들에게는 제자들이 매우 많았는데 6중 필추가 머물고 있는 곳에 가니 6중 필추가 말했다.
“당신들은 제자들이 지극히 많이 에워싸고 있구려.”
필추니가 말했다.
“성자들께서 다른 이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는 것과 같이 저희들도 그렇게 하였습니다.”
“당신들은 우리들과 다른 것이 없습니까?”
“다르지 않습니다.”
022_0571_a_21L時諸苾芻年未滿十與他出家及受近圓諸苾芻尼亦時十二衆尼門徒極衆詣六衆住六衆告曰汝等徒衆極多圍繞如聖者等與他出家及受近圓等亦爾問曰汝與我等無差殊耶不異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아직 법랍이 열두 살이 되지 않았는데 다른 이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1_b_04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未滿十二歲與他出家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다른 이를 출가시킨다.’는 것은 사미가 계율을 받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구족계를 받게 한다.’는 것은 백사갈마를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1_b_07L尼等如上與他出家者謂受求寂學受近圓者謂白四羯磨釋罪相等廣說如前

107) 첩축제자(輒畜弟子)학처
022_0571_b_10L輒畜弟子學處第一百七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1_b_11L緣處同前
어느 때 세존께서는 모든 필추니들에게 법랍이 열두 살이 되어야 다른 이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할 수 있도록 제정하셨다. 만약 필추니가 법랍이 비록 열두 살이 되었으나 어리석어 분명하지 못하고 잘 알지 못하면서 다른 이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는 것과 만약 스스로를 조복하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을 조복하려고 하거나, 스스로는 적정(寂靜)하지 못하면서 남을 적정하게 하려고 하거나, 스스로는 제도하지 못하였으면서도 남을 제도하려고 하거나, 스스로를 구제하지 못하였으면서도 남을 구제하려고 하는 것들은 모두가 옳지 않은 것이었다.
그때 필추니들이 실제로는 덕이 없으면서도 함부로 제자를 두려고 하였다. 필추니들이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022_0571_b_12L爾時世尊制諸苾芻尼滿十二歲得與他出家及受近圓若尼雖滿十二歲愚癡不分明不善解而與他出家幷受近圓若自不調而欲調自不寂靜而欲靜他自未超度而欲度他自不能救而欲救他斯等悉皆無有是處時諸尼實無德能輒度弟子尼白苾芻苾芻白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니로서 제자를 가르칠 만한 힘이 있는 사람이면 승가의 허락을 받아 이와 같이 마땅히 축중(畜衆)갈마를 하도록 하라.
승가가 모두 모여서 법랍이 열두 살이 되었거나 혹은 다시 이보다 넘은 것을 규명하면, 그 필추니는 차례대로 예를 올리고 나서 상좌 앞에서 무릎을 꿇고 이와 같이 말하여라.
022_0571_b_19L佛言尼若有力堪教弟子者從僧伽乞如是應與畜衆羯磨僧伽悉集要滿十二復過此彼尼隨次禮已於上座前合掌蹲踞作如是語
022_0571_c_01L‘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나 아무개 필추니는 열두 번의 안거를 마치고 제자를 가르칠 만하여 이제 필추니 승가에 축중갈마를 하여 주시기를 빌고 있습니다. 필추니 승가는 나 아무개 필추니에게 축중갈마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엾이 여겨 자비를 베푸소서.’
이와 같이 세 번을 말한다.
022_0571_b_23L大德尼僧伽聽我某甲苾芻尼夏滿十二堪教弟子今從尼僧伽乞畜衆羯磨願尼僧伽與我某甲苾芻尼畜衆羯磨哀愍故如是三說
다음으로 한 사람의 필추니가 백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필추니 아무개는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고자 합니다. 이 아무개는 지금 필추니 승가에 제자를 두는 작법을 해 달라고 빌고 있습니다. 만약 필추니 승가가 때에 이르렀음을 승인하시면 필추니 승가는 마땅히 허락하십시오. 필추니 승가시여, 지금 아무개가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는 작법을 해 주려 합니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0571_c_04L次一苾芻尼作白羯磨大德尼僧伽聽此苾芻尼某甲滿十二夏欲畜門徒此某甲今從苾芻尼僧伽乞畜門徒法若苾芻尼僧伽時至聽者苾芻尼僧伽應許苾芻尼僧伽今與某甲滿十二夏畜門徒法如是
다음으로 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필추니 아무개는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고자 합니다. 이 아무개는 지금 필추니 승가에 제자를 두는 작법을 해 달라고 빌었습니다. 필추니 승가시여, 지금 아무개가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는 작법을 해 주고자 합니다. 만약 여러 구수께서 아무개가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는 것을 허락하신다면 잠자코 계시고, 허락하지 않는다면 말씀을 하십시오.
필추니 승가는 이미 아무개가 열두 번의 안거를 마쳤기에 제자를 두는 작법을 마칩니다. 필추니 승가께서 이미 승인하여 허락하셨으니 잠자코 계셨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와 같이 지키겠습니다.’라고 하라.”
022_0571_c_11L次作羯磨大德尼僧伽聽此苾芻尼某甲滿十二夏欲畜門徒此某甲今從苾芻尼僧伽乞畜門徒法苾芻尼僧伽今與某甲滿十二夏畜門徒法若諸具壽聽與某甲滿十二夏畜門徒法者默然若不許者說苾芻尼僧伽已與某甲滿十二夏畜門徒法竟苾芻尼僧伽已聽許由其默然故我今如是持
이와 같이 세존께서는 필추니에게 능력이 있어서 제자를 가르칠 수 있는 자는 승가에 대중을 거두는 작법을 해 달라고 비는 것을 허락하셨다.
그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승가가 대중을 거두는 법을 지어 주는 것을 받지도 않은 채 제멋대로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였다.
022_0571_c_19L如是世尊聽許苾芻尼有力能教弟子者從僧伽乞畜衆法時吐羅難陁未蒙僧伽與畜衆法擅自與他出家及受近圓
022_0572_a_01L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승가에서 아직 대중을 거두는 법을 지어 주지도 않았는데 함부로 제자를 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1_c_23L尼白苾芻苾芻白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僧伽未與畜衆法輒畜弟子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승가에서 아직 대중을 거두는 법을 지어 주지 않았다.’는 것은 대중이 아직 허락하지 않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함부로 제자를 둔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2_a_03L尼等如上僧伽未與畜衆法者謂衆未許輒畜弟子者謂與他出家及受近圓釋罪相等廣說如前

108) 지증가여인연미만십이여출가(知曾嫁女人年未滿十二與出家)학처
022_0572_a_06L知曾嫁女人年未滿十二與出家學處第一百八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2_a_07L緣處同前
어느 때 어리석은 사람이 석가종족을 죽이니, 많은 석가종족의 여인들이 의지할 곳이 없게 되자 출가를 하였다. 그들은 친척들을 그리워하고 걱정에 잠겨 슬퍼하며 울다가 뒤에 법을 깨닫자 근심하는 마음이 점차 없어지고 구족계를 받을 것을 청하였다.
022_0572_a_08L時愚癡人惡生誅伐釋種多有釋女無所依怙得爲出家憂愁親戚思念悲泣後旣悟法憂念漸除求受近圓
필추니들이 말했다.
“너희들은 기다렸다가 나이가 스무 살이 되어야 비로소 구족계를 받을 수 있다.”
“성자여, 스무 살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너무나 오랜 시간입니다.”
필추니들이 말했다.
“나이가 스무 살이 되면 능히 친교사와 궤범사를 받들어 모실 수 있다.”
필추니가 말했다.
“저희들은 속가에 있으면 능히 남편을 섬기며 가업도 꾸려갈 수 있거늘, 어찌하여 지금 친교사와 궤범사를 능히 모실 수 없겠습니까?”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022_0572_a_11L諸苾芻尼曰汝等待年滿二十方受近圓白言聖者待滿二十時極久長諸尼曰若滿二十卽能奉事鄔波馱耶及阿遮利耶尼曰我等在家事夫營業尚能成辦今豈不能奉親教師及軌範師耶尼白苾芻苾芻白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이 나이가 열두 살이 됐거나 혹은 열여덟 살이라면 마땅히 2년 동안 정학법(正學法)을 주어야만 비로소 구족계를 줄 수 있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주도록 하라.
승가가 모두 모이면 그로 하여금 차례로 예를 올리게 하고 나서 상좌의 앞으로 나아가 이와 같이 말하여라.
022_0572_a_17L佛言若曾嫁女年滿十二或十八歲者應與二年正學法方授近圓應如是與僧伽悉集令彼隨次禮已於上座前作如是語
022_0572_b_01L‘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저[我] 아무개는 지금 일로 인하여 존귀하신 아무개를 친교사로 삼아서 필추니 승가께 6법(法)과 6수법(隨法)을 배우는 정학녀(正學女)가 되고자 하나이다. 필추니 승가께서는 아무개에게 6법과 6수법을 배우는 정학처(正學處)를 주는 것과 아무개를 친교사로 삼는 것을 허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불쌍히 여길 만한 일이니, 가엾이 여겨 자비를 베푸소서.’
이와 같이 세 번을 말한다.
022_0572_a_20L大德尼僧伽聽我某甲今因事故以尊重某甲爲親教師今從尼僧伽乞六法六隨法爲正學女願尼僧伽與某甲六法六隨法正學處某甲爲親教師是能愍者哀愍故如是三說
다음에는 한 필추니가 백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사미니 아무개는 나이가 열여덟 살로서 아무개를 친교사로 삼아서 이제 필추니 승가에 2년 동안 6법과 6수법 배우기를 빌었습니다. 만약 필추니 승가가 때에 이르렀음을 승인하시면 필추니 승가는 마땅히 허락하십시오. 필추니 승가시여, 이제 사미니 아무개는 열여덟 살이 되었기에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게 하려 합니다. 아무개가 친교사입니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0572_b_02L次一苾芻尼作白羯大德尼僧伽聽此求寂女某甲年滿十八某甲爲鄔波馱耶今從苾芻尼僧伽於二年內乞學六法六隨法若苾芻尼僧伽時至聽者苾芻尼僧伽應許苾芻尼僧伽今與求寂女某甲年滿十八於二年內學六法六隨法某甲爲鄔波馱耶白如是
다음에는 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사미니 아무개는 나이가 열여덟 살이 되어 아무개를 친교사로 삼아서 지금 필추니 승가에 2년 동안 6법과 6수법 배울 것을 빌었습니다. 아무개가 친교사입니다.
022_0572_b_09L次作羯磨大德尼僧伽聽此求寂女某甲年滿十八某甲爲鄔波馱耶今從苾芻尼僧伽於二年內乞學六法六隨法甲爲鄔波馱耶
필추니 승가시여, 지금 사미니 아무개에게 열여덟 살이 되어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게 하겠습니다. 아무개가 친교사입니다. 만약 여러 구수께서 사미니 아무개가 나이가 열여덟 살이 되어 아무개를 친교사로 삼아서 2년 동안 6법과 6수법 배우게 하는 것을 인정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만약 허락하지 않으신다면 말씀을 하십시오.
022_0572_b_13L苾芻尼僧伽今與求寂女某甲年滿十八於二年內學六六隨法某甲爲鄔波馱耶若諸具壽聽與求寂女某甲年滿十八於二年內學六法六隨法某甲爲鄔波馱耶者默然若不許者說
필추니 승가시여, 이미 사미니 아무개가 열여덟 살이 되어 아무개를 친교사로 하여 2년 동안 6법과 6수법 배우게 하는 것을 마칩니다. 필추니 승가가 이미 승인하여 허락하셨으니, 잠자코 계셨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제 이와 같이 지키겠습니다.’
022_0572_b_18L苾芻尼僧伽已與求寂女某甲年滿十八於二年內學六法六隨法某甲爲鄔波馱耶苾芻尼僧伽已聽許由其默然故我今如是持
022_0572_c_01L다음으로 마땅히 그에게 말하여라.
‘너 아무개는 들어라. 오늘부터는 마땅히 6법을 배워야 할 것이니, 첫째 혼자서 길을 가서는 안 되고, 둘째 혼자서 강이나 물을 건너서는 안 되며, 셋째 남자의 몸에 접촉해서는 안 되고, 넷째 남자와 함께 잠을 자서는 안 되며, 다섯째 중매를 해서는 안 되고, 여섯째 필추니의 중죄(重罪)를 숨기면 안 되느니라.’
022_0572_b_22L次應告言汝某甲聽始從今日應學六法一者不得獨在道行二者不得獨渡河水三者不得觸丈夫身四者不得與男子同宿五者不得爲媒嫁事六者不得覆尼重罪
게송으로 거두어 말한다.
022_0572_c_04L攝頌曰

혼자서 길을 가서는 안 되고
혼자서 강이나 물을 건너서는 안 되며
일부러 남자의 몸에 접촉해서는 안 되고
남자와 함께 잠을 자서는 안 되며
중매하는 일을 해서는 안 되고
필추니의 중죄를 덮어서 숨겨주어서는 안 되느니라.
022_0572_c_05L不獨在道行
不獨渡河水
不故觸男子
不與男同宿
不爲媒嫁事
不覆尼重罪

다시 말한다.
‘너 아무개는 들어라. 오늘부터는 마땅히 6수법(隨法)을 배워야 할 것이니, 첫째 금ㆍ은 같은 보물을 손에 쥐거나 몸에 지녀서는 안 되고, 둘째 숨겨진 곳에 나 있는 털을 깎아서는 안 되며, 셋째 살아 있는 땅을 파서는 안 되고, 넷째 일부러 살아 있는 풀이나 나무를 잘라서는 안 되며, 다섯째 주지 않은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되고, 여섯째 손을 댄 적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022_0572_c_07L 復言汝某甲聽始從今日應學六隨法一者不得捉屬己金銀二者不得剃隱處毛三者不得墾掘生地四者不得故斷生草木五者不得不受而食六者不得食曾觸食
게송으로 거두어 말한다.
022_0572_c_11L攝頌曰

금 등을 손에 쥐어서는 안 되고
숨겨진 곳에 나 있는 털을 깎아서는 안 되며
살아 있는 땅을 파서는 안 되고
살아 있는 풀이나 나무를 잘라서는 안 되며
주지 않은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되고
손을 댄 적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022_0572_c_12L不捉於金等
不除隱處毛
不掘於生地
不壞生草木
不受食不飡
曾觸不應食

이와 같이 세존께서는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으로 하여금 마땅히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의 정학법(正學法)을 배우게 하고 나서야 비로소 구족계를 받게 하셨다.
그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나이가 열두 살이 채 되지 않은 여자를 출가시키고 아울러 구족계를 주었다.
022_0572_c_14L 如是世尊令曾嫁女應滿二年學六六隨法正學法已方受近圓時吐羅難陁尼未滿十二歲女與出家幷授近圓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의 나이가 열두 살이 되지 않은 것을 알면서 출가시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2_c_18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曾嫁女人年未滿十與出家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이란 일찍 다른 성씨에게 시집간 것을 이르는 말이다.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은 나이가 아직 열두 살이 되지 않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출가시킨다.’는 것의 뜻은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2_c_21L尼等如上曾嫁女者謂曾適他氏滿者謂年未十二與出家者義如上釋罪相等廣說如前
022_0573_a_01L
109) 연만십이불여정학법수근원(年滿十二不與正學法授近圓)학처
022_0573_a_01L年滿十二不與正學法授近圓學處第一百九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3_a_02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의 나이가 열두 살이 된 것을 알고 출가를 시키고는 곧 스스로는 중얼거렸다.
“세존께서 구족계를 받게 하는 것을 허락하셨으니, 정학법을 주지 않고 곧 구족계를 준 것이다.”
022_0573_a_03L時吐羅難陁苾芻尼知曾嫁女人年滿十二得與出家卽自念世尊聽許令受近圓不與正學法便授近圓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일찍 시집을 갔던 여인의 나이가 열두 살이 된 것을 알면서 정학법을 주지 않고서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3_a_06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曾嫁女人年滿十二不與正學法而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3_a_09L尼等如上釋罪相等廣說如前

110) 첩다축중(輒多畜衆)학처
022_0573_a_10L輒多畜衆學處第一百一十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3_a_11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제한 없이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고는 이름을 지어주지 않아 이른바 불호(佛護)ㆍ법호(法護)ㆍ승호(僧護) 등으로 부르는 이름만 있을 뿐이었다. 작업을 할 때 부르기를, “얘야”라고 하면 제자들이 듣고 나서도 누구를 부르는지 알지 못하였다. 혹은 다시, “얘야, 사미니야”라고 부르거나, “얘야, 정학녀야”라고 부르거나, “얘야, 나이 어린 것아”라고 부르거나 혹은 1년이 된 사람이라고 부르거나 내지 10년이 된 사람이라고 불렀는데, 모두들 스승이 누구를 부르는지 알지 못하였다.
022_0573_a_12L時吐羅難陁尼無限與他出家及受近圓不爲作名所謂佛護法護僧護等字但有作業喚言弟子聞不知喚誰或復喚言求寂正學女少年或喚言一年乃至十歲如是喚時皆悉不知師喚是誰
어느 필추니가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여, 이미 구족계를 받게 하고는 어찌하여 이름을 지어주지 않으십니까? 무슨 까닭으로 이렇게 혼란스럽게 만드십니까?”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나에게 사람이 많은데 어떻게 이름을 지어주겠는가?”
“성자여, 무한히 많은 제자들을 두는 것이 청정한 법에 합당한 것입니까?”
“청정하든 청정하지 않든 나는 이미 그렇게 하였다.”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022_0573_a_18L有尼語彼聖者旣能與受近可不立名何因作此鬧亂吐羅尼我有多人云何作字尼言聖者合無限畜衆應淨法耶報曰淨與不淨我已作竟尼白苾芻苾芻白佛
022_0573_b_01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필추니는 무한히 많은 제자들을 두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필추니가 무한히 많은 제자들을 두고자 한다면 그 필추니는 마땅히 승가에 무한히 제자를 두는 법을 빌고, 승가에게서 허락을 얻은 후에야 비로소 많은 제자를 둘 수 있느니라.
022_0573_a_22L苾芻尼不應無限畜衆然苾芻尼欲求無限畜衆者彼尼應從僧伽乞無限畜衆法從僧伽得後方得畜衆
만약 감당할 힘이 있는 사람이면 승가가 마땅히 모여서 나이가 열두 살이 되었는지, 혹은 그보다 더 먹었는지를 보고 그 필추니는 차례대로 예를 드리고 상좌 앞에서 합장을 하고 무릎을 꿇고서 이와 같이 말하여라.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나 아무개는 나이가 열두 살이 된 제자를 둘 만합니다. 필추니 승가에서는 나 아무개에게 무한축중법(無限畜衆法)을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불쌍히 여겨 자비를 베푸소서.’
이와 같이 세 번을 말한다.
022_0573_b_02L力堪者僧伽應集要滿十二或復過彼尼隨次禮已上座前合掌蹲踞作如是語大德尼僧伽聽我某甲年滿十二能畜衆願尼僧伽與我某甲無限畜衆法願哀愍故如是三說
다음에는 한 필추니가 백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필추니 아무개는 무한히 제자들을 두고자 합니다. 이 아무개는 지금 필추니 승가께 무한히 제자들을 두는 법을 빌었습니다. 만약 필추니 승가가 때에 이르렀음을 승인하시면 필추니 승가는 마땅히 허락하십시오. 필추니 승가시여, 지금 아무개에게 무한히 제자를 두는 법을 주려 합니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0573_b_08L次一苾芻尼作白羯磨大德尼僧伽聽此苾芻尼某甲欲畜無限門徒此某甲今從苾芻尼僧伽乞畜無限門徒法若苾芻尼僧伽時至聽者苾芻尼僧伽應許苾芻尼僧伽今與某甲畜無限門徒法白如是
다음에는 갈마를 한다.
‘대덕 필추니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필추니 아무개는 무한히 제자들을 두고자 합니다. 이 아무개는 지금 필추니 승가에 무한히 많은 제자를 두는 법을 빌었습니다. 필추니 승가시여, 지금 아무개에게 무한히 많은 제자를 두는 법을 주려 합니다.
만약 여러 구수께서 아무개에게 무한히 많은 제자들을 두는 법을 주는 것을 승인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허락하지 않으시면 말씀을 하십시오.
필추니 승가가 이미 아무개에게 무한히 많은 제자를 두는 법을 주는 것을 마칩니다. 필추니 승가가 이미 승인하여 허락하셨으니 잠자코 계신 까닭입니다.
나는 이제 이와 같이 지키겠습니다.’라고 하라.”
022_0573_b_14L作羯磨大德尼僧伽聽此苾芻尼某甲欲畜無限門徒此某甲今從苾芻尼僧伽乞畜無限門徒法苾芻尼僧伽今與某甲畜無限門徒法若諸具壽聽與某甲畜無限門徒法者默然若不許者說苾芻尼僧伽已與某甲畜無限門徒法竟苾芻尼僧伽已聽許由其默然故我今如是持
022_0573_c_01L이와 같이 세존께서는 필추니가 승가에 무한히 많은 제자 두기를 구하는 것을 허락하셨으니 승가에서 허락을 하지 않으면 무한히 많은 제자들을 둘 수가 없었다.
그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승가에서 무한히 제자 두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제멋대로 제자들을 두었다.
022_0573_b_23L如是世尊聽苾芻尼從僧伽乞無限畜衆法僧伽未許不得無限畜衆時吐羅難陁尼僧伽未與無限畜衆擅自養畜
필추니들이 필추들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승가에서 무한히 많은 제자를 두는 법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함부로 많은 제자들을 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3_c_04L諸苾芻尼白諸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僧伽未與無限畜衆法輒多畜者波逸底迦
‘필추니’ 등은 위에서와 같다. ‘승가’란 여래의 성문 제자를 이르는 말이다. ‘아직 허락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직 대중의 허락을 받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이다. ‘무한히’라는 것은 많고 적음을 임의로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함부로 많은 제자들을 둔다.’는 것은 한계를 넘어서 제자들을 두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법’이란 백이(白二)갈마를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3_c_08L尼等如上僧伽者謂如來聲聞弟子未與者謂未蒙衆許無限者謂隨意多少畜衆輒多者謂過限畜衆法者謂白二羯磨釋罪相等廣說如前
열두 번째의 게송으로 거두어 말한다.
022_0573_c_12L第十二攝頌曰

임신한 여인을 제도하는 것과 가르치지 않는 것과
보호하지 않는 것과 데려가지 않는 것과
동녀(童女)에 관한 두 가지와 성품이 사나운 여인과
근심이 많은 것과 2년 동안의 육법(六法)이 있다.
022_0573_c_13L度娠不教誡
不護不隨身
二童女惡人
多憂二六法

111) 여유신녀(與有娠女)학처
022_0573_c_15L與有娠女學處第一百一十一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3_c_16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임신한 여인을 출가시켰다. 때가 되어 딸을 낳으니, 바라문과 장자가 이것을 보고 나무라고 싫어하였다.
“사문인 석녀(釋女)들은 참으로 청정하지가 않다. 하나의 절에 두 가지 법이 있으니, 속가의 법과 정행법(淨行法)이다.”
022_0573_c_17L時吐羅難陁尼與有娠婦女出家時至生女時婆羅門長者見已譏嫌沙門釋女實非淸淨於一寺中有二種法謂是俗法及淨行法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임신한 여인을 출가시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3_c_20L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與有娠女人出家者逸底迦
022_0574_a_01L‘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임신을 하였다.’는 것은 아이를 배었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여인’이란 부인을 이르는 말이다. ‘출가’란 사미에게 계율을 주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a_01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有娠者謂是有胎女人者謂是婦人出家者謂授與求寂學處釋罪相等廣說如前

112) 불교계(不敎誡)학처
022_0574_a_04L不教誡學處第一百一十二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a_05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찾아온 사람 모두를 가리지 않고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고는 가르쳐서 훈계하지도 않고 지도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가사를 입는 것이 법에 맞지 않아 위아래가 가지런하지 못하고 바르지 못하였으며, 법도를 알지 못하여 아무데나 머무르고 떠나갔다.
필추니들이 그것을 보고 함께 나무라며 싫어하여 물었다.
“누구의 제자인가?”
“토라난타 필추니의 제자입니다.”
필추니들이 곧 말했다.
“성자께서는 어찌하여 가르치고 훈계하여 그들로 하여금 법을 알게 하지 않습니까?”
“나는 지금 제자가 매우 많은데 어떻게 다 가르칠 수 있겠습니까?”
022_0574_a_06L時吐羅難陁諸有來者不擇家族便與出家幷受近圓不教誡不指授著衣不如法上下不齊正知軌則隨處卽去諸苾芻尼見共譏問言是誰弟子答言是吐羅尼尼卽語聖者何不教誡令其知法我今弟子衆多何能遍教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다른 사람을 출가시켜 구족계를 받게 하고서 가르치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4_a_12L尼白苾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與他出家幷受近圓教授戒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또는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다른 사람을 출가시킨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사미니의 계(戒)를 받는 것을 허락한다는 말이다. ‘구족계를 받게 한다.’는 것은 백사갈마를 이르는 말이다. ‘가르치지 않는다.’는 것은 가르쳐서 훈계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a_16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與他出家謂與他受求寂女學處受近圓者謂白四羯磨不教授者謂不教誡罪相等廣說如前

113) 불섭호(不攝護)학처
022_0574_a_20L不攝護學處第一百一十三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a_21L緣處同前
022_0574_b_01L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여인들이 찾아오면 모두를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고서 그들을 받아들여[攝受] 보호하지 않았다. 그들은 마음대로 떠나가거나, 혹은 문 밖으로 나가 바라보거나 복도 아래에 머물거나 혹은 누각 위에 있거나 혹은 창으로 엿보는 등 밤낮으로 이와 같이 하였다.
022_0574_a_22L時吐羅難陁苾芻尼諸有女人來者皆與出家幷受近圓而不攝受衛護隨情任去或有出門望者有在廊下住者或有上閣者或有窺窗者晝夜如是
필추니들이 보고 나무라며 물었다.
“당신은 누구의 제자인가요?”
“토라난타 필추니의 제자입니다.”
필추니들이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어찌하여 성자께서는 여러 제자들을 받아들여 보호하지 않습니까?”
“제자들이 많은데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022_0574_b_03L諸尼見譏問言汝誰弟子答言是吐羅尼諸尼告曰何不聖者攝受衛護諸弟子耶答言弟子衆多何能攝受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고서 그를 받아들여 보호하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4_b_06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與他出家幷受近圓攝受衛護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출가’ 등의 뜻은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b_10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出家等者義如上說釋罪相等廣亦同前

114) 부장수신(不將隨身)학처
022_0574_b_12L不將隨身學處第一百一十四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b_13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남편이 있는 어떤 부인을 출가시켰다.
그이는 출가한 뒤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여, 만약 남편이 제가 출가하여 이곳에 온 것을 알게 되면 저는 이곳에 머물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성자께서는 저를 다른 곳으로 데려가 주시기 바랍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너는 어찌하여 굳이 다른 곳으로 가려고 하는가? 집을 버리고 세속을 떠났으면 그것이 바로 다른 곳인 것이다.”
뒤의 다른 때에 남편이 와서 보고는 법복을 벗기고 속가의 옷을 입힌 뒤에 곧 집으로 데리고 갔다.
022_0574_b_14L時吐羅難陁尼與有夫主婦人出家彼出家後白吐羅尼言若夫主知我出家來此必爲留難願聖者將我餘方吐羅尼曰汝今何須更向餘處捨家離俗卽是餘方於異時夫主來見令脫法衣與著俗便將歸舍
022_0574_c_01L필추니들이 걸식을 하러 그의 집에 들어가니, 그 여인이 보고 예를 올렸다.
필추니가 곧 물었다.
“당신은 무슨 까닭에 스스로 환속을 하였습니까? 부처님의 법 가운데에 있으면 생각마다 모두 선품(善品)을 증장시킬 것인데, 이제 속가에 매여 있으니 다시 얽매이게 되었군요.”
부인이 대답했다.
“저는 자유롭지 못하여 몸이 다른 사람에 속해 있습니다. 당시 저는 자주 성자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장차 다른 방법으로 어려움이 없게끔 해 주십시오’라고 청하였습니다. 하지만 호념(護今)하는 바를 입지 못하여 지금 이렇게 되었습니다.”
022_0574_b_20L諸苾芻尼因乞食入其彼見致禮尼便問曰汝今何故自還俗耶若在佛法念念之中增長善今居俗累更受嬰纏婦人答言不自由身屬於他當時我頻諮請聖者吐羅尼請將餘方勿遭留難不蒙存護今至於此
필추니들이 절에 이르러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께서는 무슨 까닭으로 그 여인을 데리고 다른 곳으로 가지 않아 환속을 하게 하여 출가자로서 머무르기 어렵게 하였습니까?”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내가 할 일이 없어서 일일이 출가한 사람을 데리고 다른 지방으로 갑니까?”
022_0574_c_03L諸尼至寺告吐羅尼聖者何故不將彼女往詣餘方使還俗爲出家留難吐羅尼曰我無餘業一一出家將餘方耶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서 그를 데리고 다른 곳으로 떠나가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4_c_06L尼白苾芻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應如是說若復苾芻尼與他出家不將隨身去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다른 사람을 출가시킨다.’는 것의 뜻은 위에서 설한 것과 같다. ‘데리고 떠나가지 않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있는데 다른 곳으로 데려가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c_10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與他出家義同上說不將隨身去者謂有難事不將餘方釋罪相等廣說如前

115) 동녀연미만이십수근원(童女年未滿二十受近圓)학처
022_0574_c_13L童女年未滿二十受近圓學處第一百一十五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4_c_14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나이가 열여덟 살인 동녀(童女)를 출가시키고 2년 동안 배우는 6법과 6수법을 주고는 나이가 아직 스무 살이 되지 않았는데, 곧 구족계를 주었다.
필추니들이 말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대로, 열여덟 살인 동녀는 마땅히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고 나이가 스무 살이 되어서야 비로소 구족계를 받아야 할 것인데, 성자에서는 어떻게 나이가 아직 차지 않은 줄 알면서도 곧 구족계를 주었습니까? 그러니 어찌 청정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청정하든 청정하지 않든 나는 이미 구족계를 주었습니다.”
022_0574_c_15L時吐羅難陁苾芻尼與年十八童女出家與二歲學六法六隨年未滿二十便受近圓諸苾芻尼如世尊說十八歲童女應與二歲學六法六隨法年滿二十方受近圓聖者云何知年未滿便授近圓可爲淨耶答言淨與不淨我已授近圓竟
022_0575_a_01L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동녀의 나이가 스무 살이 되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그 에게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4_c_21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童女年未滿二十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동녀’란 남자에게 시집가지 않은 여인을 이르는 말이다. ‘스무 살이 되지 않았다.’는 것은 나이가 열아홉 살인데 구족계를 주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나머지의 뜻은 위에서와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a_02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童女者未𡣪男家未滿二十歲者謂年十九而受近圓餘義如上釋罪相等廣亦同前

116) 불수육학법수근원(不授六學法授近圓)학처
022_0575_a_06L不授六學法授近圓學處第一百一十六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a_07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나이가 스무 살이 된 동녀를 출가시키고는 혼자 생각하였다.
‘만약 나이가 열여덟이라면 6법과 6수법을 받아야 할 것이지만, 저 사람은 지금 나이가 스무 살이 되었으니 무엇 하러 굳이 2년간의 정학법(正學法)을 주어야 하는가?’
그리고는 곧 구족계를 주었다.
022_0575_a_08L時吐羅難陁苾芻尼與他年滿二十童女出家而自念曰若年十八可受六法六隨法彼今年滿二何須更與二年正學法便受近圓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동녀의 나이가 스무 살이 된 것을 알고서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게 하지 않고서 그대로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5_a_11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童女年滿二十不與二歲學六法六隨法卽受近圓者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나머지의 뜻은 위에서와 같다.
죄의 모양을 풀이한 것 등은 모두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a_16L尼謂吐羅尼或復餘尼餘義如上罪相等事竝同前

117) 도악성여인(度惡性女人)학처
022_0575_a_18L度惡性女人學處第一百一十七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a_19L緣處同前
022_0575_b_01L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실라벌성에 들어가 걸식을 하다가 한 여인을 보았다. 그이는 걸핏하면 성을 내고 흉악하고 거칠며 싸우기를 좋아하는 성품인지라 다른 여인과 싸움할 때는 머리털이 모두 곤두서며 야간(野干)이 우는 소리를 냈는데, 다른 사람들이 그 소리를 들으면 곧 그 자리에서 쓰러질 정도였다. 토라난타 필추니는 그이를 보고 이렇게 생각했다.
‘내가 저 여인을 데려다가 출가시킨다면 반드시 내가 싸울 때 나를 도와서 힘이 되어 줄 것이다.’
그리고는 곧 방편을 써서 그 여인을 출가시켰다.
022_0575_a_20L時吐羅難陁苾芻尼入室羅伐城乞食見一女人立性多瞋兇麤樂鬪與餘女人共爲諍競頭髮皆豎作野干鳴餘人聞聲卽便倒地羅尼見作如是念我能引彼爲出家必能與力助我相鬪卽以方便度彼出家
뒤의 다른 때에 토라난타 필추니는 다른 필추니와 함께 사소한 다툼을 벌였는데, 새로 출가한 그 필추니는 잠자코 보기만 하고 있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그이에게 말했다.
“너를 활용할 수가 없겠구나. 내가 너를 출가시켰는데 무슨 까닭에 지금 잠자코 있기만 하고 도와주지 않는 것이냐?”
필추니가 말했다.
“성자여, 저는 지금 사태의 본질을 모르는데 어떻게 도와드리겠습니까?”
022_0575_b_03L後於異時吐羅尼共餘一尼有少諍競新出家尼默然看住吐羅尼告曰汝不能活我與出家何故今時默然而住不見相助尼言聖者今不知本事云何相助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내가 만약 대세주(大世主) 필추니와 싸우거든 너는 그에게 ‘제멋대로 삭발을 하였다.’고 욕을 하고, 만약 연화색(蓮花色) 필추니와 싸우거든 그에게 ‘여섯 개의 큰 성(城)에서 몸을 팔며 살았다.’고 욕을 하며, 만약 법여(法與) 필추니와 싸우거든 ‘사람을 시켜서 구족계를 받았다.’고 욕을 하며, 수교답미(瘦喬答彌) 필추니와 싸우거든 ‘남에게 아들의 살을 먹게 하였다.’고 욕을 해야 하니, 마땅히 이런 말로 욕을 하고 비난하여 도와야 한다.”
022_0575_b_07L吐羅尼曰若與大世主尼相競汝可罵言私剃頭者蓮花色尼於六大城衒色自活法與尼因使得受近圓瘦喬答彌他抑令食其子肉者當以此詞相助訶
성질이 사나운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가 남과 싸우는 소리를 듣게 되면, 필추니들을 조롱하며 같이 싸우고 다투었다.
필추니들이 말했다.
“누가 이와 같이 성품이 사납고 싸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출가하게 하였는가?”
필추니 중에서 누군가가 말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아니면 누가 이런 사람을 출가시켰겠는가?”
022_0575_b_12L惡性尼聞吐羅尼共他鬪時調弄諸尼共相鬪諍衆多尼曰誰度如是惡性樂鬪令其出家於中答言除吐羅尼誰當度此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성품이 사나운 여인으로 싸우기를 좋아하는 줄을 알면서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고 아울러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5_b_15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惡性女人好爲鬪諍與出家幷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성품이 사나운 여인’이란 싸우기를 좋아한다는 말이다. ‘출가’란 사미계(沙彌戒)와 다른 계율을 받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구족계를 준다.’는 것의 뜻은 위에서 설한 것과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b_19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惡性女人謂好鬪諍出家者謂受求寂幷餘學處受近圓者義如上說釋罪相等廣亦同前

118) 도다우여인(度多憂女人)학처
022_0575_b_23L度多憂女人學處第一百一十八
022_0575_c_01L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c_01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친족이 없는 것을 근심하는 여인을 출가시켰다.
그는 항상 골똘히 친족들을 생각하며 초저녁에서 늦은 밤에 이르기까지 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었다. 필추니들은 자주 놀라서 잠에서 깨어 그 울음소리를 듣고는 모두가 마음이 산란해져서 생각을 보존할 수 없었으며 정(定)에 들었던 사람도 깨어나게 되었다.
022_0575_c_02L時吐羅難陁尼與無親族懷憂女人出家彼常繫念思想親族泣流淚初夜後夜諸苾芻尼多爲驚聞彼哭聲心皆散亂不得存念定者爲刺
필추니들이 충고하였다.
“슬피 울지 마십시오. 그것은 출가자의 법이 아닙니다.”
그 필추니는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대답했다.
“당신들은 남의 고통을 알지 못하는군요. 부모님은 돌아가시고 형제자매와 남편과 자식이 모두 나를 버리고 떠나가서 나의 마음이 아프기 그지없는데, 어떻게 근심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필추니들은 서로에게 물었다.
“이와 같이 근심이 많은 여인을 누가 출가시켰는가?”
필추니가 말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출가시켰습니다.”
022_0575_c_06L衆多尼諫勿作悲涕非出家法彼尼不受答言汝等不知他苦父亡母死兄弟姊妹夫主及子悉皆棄背我情痛切寧得不憂諸苾芻尼互相問曰誰度如是憂惱女人而爲出家尼言是吐羅尼度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근심 걱정이 많은 여인인 줄 알면서 출가를 시킨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5_c_11L尼白苾芻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多憂惱女人度出家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와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근심걱정이 많다.’는 것을 항상 근심한다는 말이다. ‘출가를 시킨다.’는 것의 뜻은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c_15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多憂惱者謂常懷愁度出家者義同上說釋罪相等廣亦如前

119) 학법미만여수근원(學法未滿與受近圓)학처
022_0575_c_18L學法未滿與受近圓學處第一百一十九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5_c_19L緣處同前
토라난타 필추니는 여인을 출가시키고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게 하였는데 기간이 채 차지도 않아서 구족계를 주었다.
그이가 곧 아뢰었다.
“성자여, 저는 정학녀가 수행해야 할 법을 아직 마치지 않았습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구족계를 받기만 하면 정학녀가 닦아야 할 법은 저절로 원만해지는 것이다.”
022_0575_c_20L吐羅難陁尼度他女人出與二歲學六法六隨法未滿與受近圓彼便白言聖者我正學法猶未得了吐羅尼曰但受近圓正學自滿便卽與受近圓
022_0576_a_01L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여인이 2년 동안 6법과 6수법 배우기를 아직 다 마치지 않은 줄 알면서도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6_a_01L尼白苾芻苾芻白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女人未滿二歲學六法及六隨法與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아직 2년이 되지 않았다.’는 것은 6법과 6수법을 배우는 것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말이다. ‘구족계를 준다.’는 것은 백사갈마의 작법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a_04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未滿二歲謂學六法六隨#法未了與受近圓謂白四羯磨作法釋罪相等廣說如前

120) 지학법료불여수근원(知學法了不與受近圓)학처
022_0576_a_08L知學法了不與受近圓學處第一百二十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a_09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다른 여인을 출가시키고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배우게 하였다. 그이는 2년이 다 되자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여, 저에게 구족계를 주십시오.”
“네가 다시 그것을 배워서 다 통달하게 되면 마땅히 구족계를 주겠다.”
그러자 그 필추니는 묵묵히 머물러 있었다.
022_0576_a_10L時吐羅難陁尼度他女人出與二歲學六法六隨法滿已白言聖者可與我受近圓便報彼尼汝可更學極令通利當受近圓彼尼默住
뒤의 다른 때에 많은 필추니들이 그이에게 말했다.
“당신은 이미 학법(學法)을 다 배웠는데 어찌하여 구족계를 받지 않습니까?”
“제가 이전에 성자 토라난타께 여쭈어 청하였더니 ‘다시 그것을 배워서 통달하게 되면 마땅히 구족계를 주겠다.’고 하셨습니다.”
022_0576_a_13L後於異時衆多苾芻尼告曰汝旣學法已滿何不受近圓耶答言我已諮請聖者吐羅難陁報曰可更學令通當受近圓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여인이 2년 동안 6법과 6수법을 다 배워 마친 것을 알면서도 구족계를 주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6_a_17L尼白苾芻苾芻白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女人二歲學六法及六隨法了不與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여인이 2년 동안 배웠음을 안다.’는 것은 배우기를 마치고 기간이 다 되었는데, 구족계를 주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자세히 풀이한 것 등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a_20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知女人二歲學者謂學法已滿不與受近圓罪相等廣說如前
열세 번째의 게송으로 거두어 말한다.
022_0576_a_23L第十三攝頌曰
022_0576_b_01L
놓아주지 않는 것과 나에게 옷을 주라고 하는 것과
가업(家業)을 정리하게 하는 것과 해마다 받는 것과
여욕(與欲)을 하는 것과 반달마다 하는 것과 스님이 없는 것과
안거를 하는 것과 자자(自恣)와 꾸짖는 것이 있다.
022_0576_b_01L未放與我衣
收斂年年受
欲半月無僧
安居隨意責

121) 부미방도출가(夫未放度出家)학처
022_0576_b_03L夫未放度出家學處第一百二十一

인연은 실라벌성에 있었다.
022_0576_b_04L緣在室羅伐城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성(城)에서 걸식을 하다가 한 집에 들어갔는데, 부인이 남편에게 매를 맞고 방에 있는 것을 보았다. 그의 남편은 밖에 나가고 없었다.
022_0576_b_05L時吐羅難陁尼於其城中因乞食入他家見有婦人爲夫所打置在室中夫行出外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현수여, 당신께서 병이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나에게 먹을 것을 베풀어 주십시오.”
부인이 말했다.
“제가 지금 괴로워서 음식을 드릴 수 없습니다.”
“무엇을 근심하는가요?”
그가 곧 갖추어 말해 주니 필추니가 말했다.
“만약 그러하다면 어째서 출가를 하지 않습니까?”
“그것이 제가 바라던 바입니다.”
토라난타 필추니는 곧 그이를 데리고 가서 마침내 출가를 시켰다.
022_0576_b_07L吐羅難陁告言賢首願爾無病可施我食婦人報曰聖者我今憂惱無容與食問曰何憂彼便具告尼曰若爾何不出家是我所樂吐羅難陁卽便將去與出家
남편은 뒤에 집에 와서 아내를 찾았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하인이 말해 주었다.
“출가를 하러 떠났습니다.”
“누가 출가를 시켜주었느냐?”
“토라난타 필추니입니다.”
“그이가 떠났다면 누가 집안일을 맡아서 하겠느냐?”
022_0576_b_12L夫主後來覓妻不得家人報彼去出家又問曰誰與出家答言吐羅難陁尼彼若去者誰知家務
뒤의 다른 때에 토라난타 필추니가 걸식을 하는데 그가 보고는 물었다.
“성자가 내 아내를 출가시켰으니 누가 집안일을 맡아서 하겠소?”
분한 마음이 일어나 옷으로 필추니의 목을 묶어서 끌고 가며 말했다.
“당신이 내 아내를 출가시켰으니 집에 와서 나를 위하여 집안일을 하도록 하시오.”
022_0576_b_14L後於異時其尼因行乞食彼見問言聖者旣與我妻爲出家者誰知家業情懷忿恚衣絞尼項共相牽曳告言汝與我妻爲出家者可來爲我而作家業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남편이 아직 놓아주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다른 이의 아내를 출가시킨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6_b_19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他婦人夫主未放出家者波逸底迦
022_0576_c_01L‘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다른 이의 아내인 줄을 안다.’는 것은 다른 이의 아내나 첩을 이르는 말이다. ‘남편이 아직 놓아주지 않았다.’는 것은 남편이 아직 허락하지 않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출가’란 삭발 등을 해 주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나머지의 말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b_22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知他婦人謂他妻妾夫主未放者謂夫未聽出家者謂與剃髮等餘說如前

122) 종색의(從索衣)학처
022_0576_c_02L從索衣學處第一百二十二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c_03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정학녀(正學女)가 있었는데 2년 동안 배워야 할 법을 다 마치고 토라난타 필추니의 처소에 가서 아뢰었다.
“성자여, 저는 이미 법을 다 배웠습니다. 저에게 구족계를 주시기 바랍니다.”
토라난타 필추니가 말했다.
“나에게 옷을 준다면 너에게 구족계를 주도록 하겠다.”
“저는 복력(福力)이 없어서 가진 것이 얼마 되지 않으니 어디에서 옷을 얻겠습니까?”
필추니들이 그이에게 물었다.
“무슨 까닭에 구족계를 받지 않습니까?”
“제가 이미 성자 토라난타에게 말해 구족계를 주기를 청하였는데 그분은 말씀하기를, ‘나에게 옷을 준다면 구족계를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022_0576_c_04L時吐羅難陁尼有正學女二歲法已詣吐羅尼所白言聖者我已學法願授近圓吐羅尼曰若與我衣方可授汝答言我無福力所獲寡少何處得衣諸尼問彼何故不受近圓答言我已諮請聖者吐羅難陁爲受近圓彼云若與我衣方授近圓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다른 여인이 구족계를 받고자 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이에게 ‘당신이 나에게 옷을 주면 마땅히 당신에게 구족계를 주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말한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6_c_10L尼白苾苾芻白佛佛問訶責廣說乃至: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知彼女人希受近圓汝與我衣當授汝近圓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구족계를 받고자 한다.’는 것은 계율에 나아가기를 구하는 것을 말한다. ‘나에게 옷을 달라’는 것은 7의(衣) 가운데서 아무 것이나 하나를 요구하는 것이다. ‘마땅히 구족계를 주겠다.’는 것은 옷을 얻은 뒤에 백사갈마를 하겠다는 말이다.
나머지 말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c_14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希受近圓求進學處與我衣者謂七衣中隨求於一當授近圓者謂得衣後作白四羯磨餘說如前

123) 영타여인수렴가업(令他女人收斂家業)학처
022_0576_c_18L令他女人收斂家業學處第一百二十三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6_c_19L緣處同前
어느 때 수교답미(瘦喬答彌) 필추니는 이 성안에서 차례로 다니며 걸식을 하다가 차례에 따라 어느 대장자(大長者)의 집에 이르렀다. 장자는 죽고 그의 아내가 집안의 주인이었는데 큰 부자로 재산이 많았으며 거느리는 하인의 수도 매우 많았다. 그러나 근심에 빠져 수교답미를 보고도 공경히 모시지도 않았으며 먹을 것을 보시하지도 않았다.
022_0576_c_20L時瘦喬答彌於此城中巡行乞食次第至一大長者家長者身妻爲家主大富饒財多諸僕從奴婢給使懷憂而住見瘦喬答彌不申恭敬亦不施食
022_0577_a_01L필추니가 말했다.
“자매여, 무슨 까닭으로 이렇듯 고뇌하고 있습니까?”
부인이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여, 남편은 죽었고 친족들도 모두 없는데 저는 지금 무슨 일을 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습니다. 번뇌의 화살이 내 가슴에 박혀서 항상 근심하고 고민하고 있으니, 비록 많은 재산과 노비와 가업이 있다 한들 남편과 친족들이 죽고 없으니, 이것이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022_0577_a_01L尼曰姊妹因何事故憂惱若斯婦人報言聖者夫主身死親族皆亡我今不知欲何所作煩惱毒箭中我內心常懷憂惱雖有貲財奴婢產業夫背親離斯爲何用
필추니가 말했다.
“만약 그러하다면 어찌하여 출가를 하지 않습니까?”
부인이 말했다.
“성자여, 저를 출가시켜 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필추니가 말했다.
“만약 능히 집안일을 거두어 정리하고 세속의 여러 얽힌 것을 버린다면 출가를 하는 일 또한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그이는 곧 가지고 있는 재산을 받들어 사문과 바라문과 빈궁한 이와 고아와 과부에게 베풀어서 모든 것을 버렸다. 그리고서 필추니의 절로 가서 수교답미의 처소에 이르러 출가하기를 구하였다.
022_0577_a_05L尼曰何不出家婦人白言聖者幸見與我出家尼曰若能收斂家務棄衆俗於出家路事亦非難彼卽所有庫藏貲產卽持奉施沙門婆羅門貧窮孤寡悉皆捨已詣尼住處至瘦喬答彌求請出家
필추니가 말했다.
“나는 지금 당신에게 출가하는 것을 허락할 수 없습니다. 다른 필추니의 처소로 가도록 하십시오.”
그러자 부인은 생각하였다.
‘가산(家産)을 모두 버리고 와서 출가하기를 구하였는데 허락을 받지 못하는구나.’
근심을 하며 머물러 있으니 많은 필추니들이 보고 물었다.
“현수여, 무슨 일을 걱정하고 있습니까?”
그이가 곧 갖추어 대답했다.
022_0577_a_11L尼曰我今不能與汝出可往餘尼處婦人念曰家產罄盡來求出家旣不蒙許憂惱而住時衆多尼見問言賢首情憂何事彼卽具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제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속인인 여인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마땅히 가업을 거두어 정리하십시오. 내가 당신을 출가시켜 주겠습니다.’라고 하여 가르쳐 준 대로 하였는데 출가시켜 주지 않는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7_a_15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報俗女云汝應收斂家我當與汝出家如教作訖不度出家者波逸底迦
‘필추니’는 수교답미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속인인 여인에게 말한다.’는 것은 속가에 있는 부인으로 하여금 가업을 거두어 정리하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내가 당신을 출가시켜 주겠다.’는 것은 출가하는 것을 허락한다는 말이다. ‘가르쳐 준 대로 하였다.’는 것은 그 여인이 필추니의 말에 따랐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은 뒤에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풀이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7_a_19L尼謂瘦喬答彌或復餘尼報俗女云謂令他在家婦人收斂家業我當與汝出家者謂許度出家如教作訖謂彼女人依尼言說不度者謂後不與出家釋相如前
022_0577_b_01L
124) 매년여출가수근원(每年與出家受近圓)학처
022_0577_b_01L每年與出家受近圓學處第一百二十四

인연이 된 처소는 앞에서와 같다.
022_0577_b_02L緣處同前
어느 때 토라난타 필추니는 해마다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아울러 구족계를 받게 하였다. 그런데 이름을 지어주지 않아서 만약 일이 있게 되면 부르기를, “얘야, 사미니야”라고 하거나, “얘야, 정학녀야”라고 하거나, “얘야, 어린 것아”라고 말하였다.
022_0577_b_03L時吐羅難陁尼於每年中與他出家幷受近圓不施名字若有事至但喚言求寂女正學女少年
필추니들이 그것을 듣고 토라난타 필추니에게 말했다.
“성자께서는 무슨 까닭에 해마다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는 것입니까?”
필추니들에게 말했다.
“나와 원수 맺은 사람의 목을 얽매려고 출가시키는 것이오.”
어느 필추니가 물었다.
“누가 원수입니까?”
“당신이 바로 큰 원수요. 나를 참을 수 없게 하고 있소.”
022_0577_b_06L諸苾芻尼聞告吐羅尼曰何故每年與他出家報諸尼曰與繫怨家項與彼出家有尼問曰是怨家報曰汝卽大怨家於我生不
필추니가 필추에게 알리니 필추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물어보시고 꾸짖으시며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 말씀하셨다.
“그 마땅한 계율을 정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설하노라.
만약 다시 필추니가 해마다 다른 사람에게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고 구족계를 준다면 바일저가이니라.”
022_0577_b_10L尼白苾芻苾芻白佛佛問訶責說乃至:制其學處應如是說若復苾芻尼於每年中與他出家及受近圓者波逸底迦
‘필추니’는 토라난타 필추니나 혹은 다른 필추니들을 이르는 말이다. ‘해마다.’라는 것은 매년중(每年中)에 다른 사람을 출가시키고 구족계를 받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죄의 모양을 풀이한 것 등과 나머지 말한 것은 앞에서와 같다.
022_0577_b_13L尼謂吐羅難陁或復餘尼於每年中謂年年中與他出家及受近圓罪相等餘說如前
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卷第十八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