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교장

이량장(二量章) ABC_KJ_C_005_0041_001_0010

ABC_KJ_C_005_0041_001_0010
간략정보
  • 二量章 / 大雲寺沙門 慧沼 撰. -- 筆寫本 -- [不明] : [不明], [20世紀].
  • 卷上中下, , 半郭 20.2~5×13.0~13.8 cm , , 8行20-22字, , ; 20.2~5×13.0~8 cm.
  • 소장자 :

제목정보
책명 이량장(二量章)
권수제 大乘法苑林章補闕
권말제 大乘法苑林章補闕
표제 法苑章補闕
이제
서제
판제
분류정보
자료구분 고서
주제분류
저자정보
저역자 大雲寺沙門 慧沼 撰
판사항
판종 筆寫本
저본
발행정보
발행지 [不明]
발행자 [不明]
발행년 [20世紀]
형태정보
장정 線裝(4針眼)
권사항 卷上中下
장수 173張(卷上: 44張 / 卷中: 64張 / 卷下: 65張)
결락중복
도표
광곽형태
광곽종류 半郭
광곽크기 20.2~5×13.0~13.8
계선
행자수 8行20-22字
주표기
판구
어미
책크기 20.2~5×13.0~8
기록정보
서문
발문
간기
간행질
기타판각인명정보
인출유통묵서기
주기정보
지질 和紙
표지첨기 上, 六二八/共三(表題下) / 中, 六二八/共三(表題下) / 下, 六二八/共三(表題下)
합본사항
현토표점방점
인장 京 / 135851 / 大正3. 2. 5(卷首) / 京都帝國大學圖書之印(卷首, 朱印)
주기상세 1. 筆寫者는 일부 張에 句讀點과 懸吐를 기록함
2. 표제와 上, 中, 下의 사이에 “353”이라는 번호가 찍혀져 있음
3. 후대에 朱書로 약자를 정자로 기록: 余 → 餘, 処 → 處, 弁 → 辯, [?] → 離
4. 후대에 朱書로 오자를 수정하여 기록: 那 → [?], 俱 → 倶, 成 → 或, [?] → 共
5. 후대에 표지 윗면에 朱書로 필사 중에 약자로 쓴 것을 정자로 옮겼다는 것을 적고 있음:
- 卷上 : 本卷中筆者僻及略字ノ大[旣]ハ訂正シ終ル然モ
參考, 1爲=左=
釋, [?], 糸, 卽, 爲, 緣, 餘, 義, ホ卽等, 樂, 与卽等, 辨 或 辯 兩者…, 經, 空
- 卷中: 本券筆者/ 誤及略字
答, [?], ホ, 糸, 旡卽無, 實
- 卷下: 筆者/ 誤りと略字/ 大要
雖, 識, 摩, 無
6. 表紙: 黃紙, 白絲
7. 外包匣: 外題 ‘大乘法苑林章補闕 上中下 三冊’
8. 本文 中 朱書로 誤, 脫子 校正
내용주기
형태주기
소장정보
소재국 일본(日本)
소장자
소재처 교토대(京都大)
소재처관리번호 藏/15/タ-6(청구기호)
연계정보
출처정보
-
특수기록정보
발폭 2.9㎝
촉수 23촉
종이두께 0.03㎜
색차값 L 80.4, a+ 4.7, b+ 18.6
입수처정보
조사일 2019.01
연번 31
참고정보
이력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