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전서

묵암대사시초(黙庵大師詩抄) / 默奄大師詩抄卷初

ABC_BJ_H0214_T_002

010_0001_c_01L
묵암대사시초 권초默奄大師詩抄卷初
최눌㝡吶
하혜정 (역)
총목차總目次
권초卷初
오언절구36편五言絕句三十六篇
우음偶吟
경성 김 사백의 시를 차운하다(次京城金詞伯韵)
완춘玩春
선객에게 주다(贈禪客)
목사께 올리다(上牧使)
독서소에 드리다(呈讀書所)
포혜 사미에게 주다(贈布慧沙彌)
포성 사미에게 주다(贈布性沙彌)
아름다운 경치를 다시 찾다(美景再叅)
춘파의 시에 차운하다2수(次春坡韵二首)
송광사 수각 대가 시에 차운하다(次松廣寺水閣待價韵)
화천 거사의 시에 차운하다(次花川居士韵)
한음2수閑吟二首
정생원의 시에 차운하다(次鄭生員韵)
신초곡의 시에 화운하다(和申草谷韵)
잠소사에게 주다(贈岺小師)
옥류동 수송대에 제하다(題玉流洞愁送䑓)
속리산 법주사에 제하다2수(題俗離山法住寺二首)
부석사에 오르다(登浮石寺)
몽일 사미에게 주다2수(贈夢日沙彌二首)
독좌獨坐
야사野寺
도종에게 경계하다(戒道宗)
여러 석사의 시에 화운하다(和諸碩士韵)
불사암에서 유석이 서로 만나다(不思庵儒釋相會)
여칭汝稱
영부英夫
학인들이 가난을 한탄하는 것을 경계한다(戒學衆怨貧)
송암의 시에 화운하다(和松庵韵)
불사암에 제하다(題不思庵)
석담 스님에게 드린다(呈石潭師)
능 사미가 구하기에 답한다(賽能沙彌求)
미타관 주인에게 감사하다(謝彌陁關主)
이・우 두 공의 시에 화운하다(和李虞兩公韵)
선 생원의 시에 차운하다(次宣生員韵)
녹함 스님에게 주다(贈祿涵師)

칠언절구65편七言絕句六十五篇
명오가 고향에 돌아와 살다(命五還居故山)
동강옹에게 드린다(呈桐江翁)
조 생원의 양관시에 화운하다2수(和趙生員韵陽關二首)
한천옹의 시에 화운하다(和寒泉翁韵)
벽월랑 두월의 아들에게 주다(贈碧月郞斗月之孠)
자조自嘲
창을 열다(開窓)
꿈(夢)
한음2수閑吟二首
묵암默庵
과 허자課虛子
고적헌扣寂軒
최눌2수㝡吶二首
선을 풀어 읊는다8수(解禪吟八首)
오도화悟道話
감회4수感懷四首
유거3수幽居三首
신초곡의 시에 화운하다2수(和申草谷韵二首)
삼로 김참봉의 시에 화운하다(和蔘老金叅奉韵)
잡희雜戱

010_0001_c_01L

010_0001_c_02L默奄大師詩抄卷初

010_0001_c_03L

010_0001_c_04L1)總目次 [2]

010_0001_c_05L
卷初

010_0001_c_06L
五言絕句 三十六篇

010_0001_c_07L
偶吟次京城金詞伯韵玩春贈禪
010_0001_c_08L上牧使呈讀書所贈布慧沙彌
010_0001_c_09L贈布性沙彌美景再叅次春坡韵

010_0001_c_10L次松廣寺水閣待價韵次花川居士韵
010_0001_c_11L閑吟
次鄭生員韵和申草谷韵
010_0001_c_12L岑小師題玉流洞愁送䑓題俗離山
010_0001_c_13L法住寺
登浮石寺贈夢日沙彌

010_0001_c_14L獨坐野寺戒道宗和諸碩士韵
010_0001_c_15L不思庵儒釋相會汝稱英夫戒學
010_0001_c_16L衆怨貧和松庵韵題不思庵呈石
010_0001_c_17L潭師賽能沙彌求謝彌陁關主
010_0001_c_18L李虞兩公韵次宣生員韵贈祿涵師

010_0001_c_19L
七言絕句六十五篇

010_0001_c_20L
命五還居故山呈桐江翁和趙生員
010_0001_c_21L韵陽關
和寒泉翁韵贈碧月郞斗
010_0001_c_22L月之孠自嘲開窓閑吟

010_0001_c_23L默庵課虛子扣寂軒㝡吶

010_0001_c_24L禪吟
悟道話感懷
幽居

010_0001_c_25L申草谷韵
和蔘老金叅奉韵雜戱
010_0001_c_26L目次編者作成補入

010_0002_a_01L괘공루에 오르다(登掛空樓)
목욕(澡浴)
우곡 주인에게 드린다(呈尤谷主人)
해정 대사에게 차운하여 드린다(次贈海淨大師)
삼가 옥천 수령의 시에 차운한다(謹次沃川倅韵)
삼가 선조 자수암의 시에 차운한다(謹次先祖慈壽庵韵)
지인 대사를 송별한다(送智仁大師)
영천 주인에게 주다(贈靈泉主人)
제야4수除夜四首
무자 3월 초닷새날 밤의 꿈(戊子三月初五夜夢)
가야산 홍류동에 제하다(題伽耶山虹流洞)
속리산에 오르다(登俗離山)
신흥 회고(神興懷古)
낙안 수령의 시에 차운하다(次樂安倅韵)
눈(雪)
환선축의 시에 차운하여 서석산으로 보낸다(次喚先軸韵送瑞石山)
이웃 암자로 옮겨 가면서 읊는다(移居隣庵時去吟)
임 진사에게 주다(贈任進士)
주자의 시에 차운한다(謹次朱子韵)
월성의 시에 차운하여 회경 대사를 늦게 방문한 것에 사과한다(次月城韵謝會敬大師晩訪)
몽훈 스님에게 주다(贈夢訓師)
안 선사의 시에 화운하다(和安禪師韵)
관물觀物
소동식의 시에 화운하다(和蘇東軾韵)
환속한 중을 비웃다(譏退俗漢)
학업을 경계한다(戒學業)
송암의 시에 차운한다(次松庵韵)
서불사암에 제한다(題西不思庵)
최 생원의 시에 화운한다(和崔生員韵)
진락대를 노래하다(咏眞樂臺)
은적암에 거하다(居隱寂庵)
욱민이 말씀을 구하기에 답한다(賽旭敏求語)
서울 가는 옥호를 송별한다(送玉瑚之京)
팔마비 시에 차운한다(次八馬碑韵)
승평 수령께 올린다(上昇平倅)
안동 봉정사 월암 지한 방장의 영당 간경 시에 화운한다(和安同鳳亭寺月巖知閑丈影堂刊經韵)
왜승에게 주다(贈倭僧)
최현 동지를 추도하다(悼㝡玄同知)
진산 수령의 시에 차운하다(次珎山倅韵)
삼가 백암 노스님의 송광사 수각 시에 차운한다(謹次栢庵老松廣水閣韵)
수석정에 오르다(登水石亭)
인삼 스님을 애도하다(挽印三師)
무술년 동지에 대성을 송별하다(戊戌冬至送大性)
연시의 운에 차운한다(次蓮詩韵)
두륜산 인정 스님에게 주다(贈頭輪仁定師)

오언사운15편五言四韵十五篇
여시 거사에게 올리다(上如是居士)
이지봉이 송광사 삼청각에 제한 글에 차운하다3수(次李芝峯題松廣寺三淸閣)三首
촉규화를 노래한다(詠蜀葵花)
제야除夜
경성 지족거사의 시에 차운한다(次京城知足居士韵)
징광사 시에 차운한다(次澄光寺韵)
부석사에 제하다(題浮石寺)
취원루 신재 시에 차운한다(次聚遠樓愼齋韵)
도림사 신덕암에 제한다(題道林寺神德庵)
벽곡 시에 차운한다2수(次碧谷韵二首)
삼가 완화옹의 서부도 시에 차운한다2수(謹次玩華翁西浮屠韵二首)
백암 철의 시에 차운한다(次栢巖哲韵)
사산을 구경하러 가는 교평을 송별한다(送敎萍玩四山)
금혜에게 면학을 권한다(勸錦惠學)
목곡 이순상의 시에 차운한다(次牧谷李巡相韵)

칠언사운七言四韵 - 8편

010_0002_a_01L登掛空樓澡浴呈尤谷主人次贈
010_0002_a_02L海淨大師謹次沃川倅韵謹次先祖
010_0002_a_03L慈壽庵韵送智仁大師贈靈泉主人
010_0002_a_04L除夜
戊子三月初五夜夢題伽耶
010_0002_a_05L山虹流洞登俗離山神興懷古
010_0002_a_06L樂安倅韵次喚先軸韵送瑞石山
010_0002_a_07L移居隣庵時去吟贈任進士謹次朱
010_0002_a_08L子韵次月城韵謝會敬大師晩訪
010_0002_a_09L夢訓師和安禪師韵觀物和蘇東
010_0002_a_10L軾韵譏退俗漢戒學業次松庵韵
010_0002_a_11L題西不思庵和崔生員韵咏眞樂臺
010_0002_a_12L居隱寂庵賽旭敏求語送玉瑚之京
010_0002_a_13L次八馬碑韵上昇平倅和安…刊經
010_0002_a_14L贈倭僧悼㝡玄同知次珎山倅
010_0002_a_15L謹次栢庵老松廣水閣韵登水石
010_0002_a_16L挽印三師戊戌冬至送大性
010_0002_a_17L蓮詩韵贈頭輪仁定師

010_0002_a_18L
五言四韵十五篇

010_0002_a_19L
上如是居士次李芝峯題松廣寺三淸
010_0002_a_20L
詠蜀葵花除夜次京城知
010_0002_a_21L足居士韵次澄光寺韵題浮石寺
010_0002_a_22L次聚遠樓愼齋韵題道林寺神德庵
010_0002_a_23L碧谷韵
謹次玩華翁西浮屠韵

010_0002_a_24L栢巖哲韵送敎萍玩四山勸錦惠學
010_0002_a_25L次牧谷李巡相韵

010_0002_a_26L
七言四韵 八篇

010_0002_b_01L처음 연담옹에게 드리다2수(初呈蓮翁二首)
조오자가 연담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和釣鰲子與蓮潭韵)
삼가 병신년의 국휼 시에 차운한다(謹次丙申國恤韵)
조수재에게 화답한다(和趙秀才)
자음自吟
송 삼대현의 시에 화운한다(和宋三大賢詩)
삼가 여섯 대가의 표충시 가운데 후계 조유수의 시에 차운한다(謹次六大家表忠韵中后溪趙裕壽韵)
사천 병연의 시에 차운한다(次槎川秉淵韵)

권중卷中
문(1)17편文(一)十七篇
우곡 주인의 철쭉장에 대한 편지에 답한다2편(答尤谷主人躑躅書二篇)
김 상국께 올리다(上金相國)
김 정랑께 올리다(上金正郞)
동래 수령께 올리다(上東萊倅)
여시 거사에게 답하다(答如是居士)
완부 정 후백께 올리다(上完府鄭侯伯)
영남 성암의 붕운 방장에게 부친다(寄嶺南聖庵鵬運丈)
안 장로에게 드린다(呈眼長老)
영남 서악에 올린다(上嶺南西岳)
연담에게 준다(與蓮潭)
목암에게 답한다(答牧庵)
영남 한암 스님께 올린다(上嶺南閑巖師)
양숙장에게 준다(與良淑丈)
임 진사에게 답한다(答任進士)
별지로 올린다(上別紙)
윤 스님을 조상하다(吊允師)

권후卷後
문(2)17편文(二)十五篇
천사주별薦師晝別
왕축소王祝疏
봉갑사 탱화 권선소(鳳岬寺幀畫勸善疏)
권선소3편(勸善疏三篇)
송광사 영자전 상량문松廣寺影子殿上樑文
살신을 치는 글(歐殺神文)
부처가 영험하지 않다는 말에 반박하여 바로잡는다(駁正佛不靈)
해함조석海醎潮汐
무지당인無知堂引
상은을 송별하는 서(送尙隱序)
법능 사미를 송별하다(送法能沙彌)
원혜에게 답하는 시의 서(賽圓慧詩序)
욱민에게 답하는 시의 서(賽旭敏詩序)
측신제문厠神祭文
폐지상소癈紙上疏

부록附錄
묵암 대화상 행장默庵大和尙行狀
봉암 대사 행장鳳巖大師行狀
오언절구五言絕句
우음偶吟
本來無事地     본래 아무것도 없는 자리
空寂但虛明     고요하게 비어 그저 훤히 밝구나.

010_0002_b_01L
初呈蓮翁
和釣鰲子與蓮潭韵
010_0002_b_02L次丙申國恤韵和趙秀才自吟
010_0002_b_03L宋三大賢詩謹次六大家…趙裕壽韵
010_0002_b_04L次槎川秉淵韵

010_0002_b_05L
卷中

010_0002_b_06L
文(一) 十七篇

010_0002_b_07L
答尤谷主人躑躅書
上金相國
010_0002_b_08L金正郞上東萊倅答如是居士
010_0002_b_09L完府鄭侯伯寄嶺南聖庵鵬運丈
010_0002_b_10L眼長老上嶺南西岳與蓮潭答牧
010_0002_b_11L庵上嶺南閑巖師與良淑丈答任進
010_0002_b_12L士上別紙吊允師

010_0002_b_13L
卷後

010_0002_b_14L
(二)十七篇

010_0002_b_15L
薦師晝別王祝疏鳳▼(山/甲)寺幀畫勸善
010_0002_b_16L勸善疏
松廣寺影子殿上樑文
010_0002_b_17L歐殺神文駁正佛不靈海醎潮汐
010_0002_b_18L無知堂引送尙隱序送法能沙彌
010_0002_b_19L賽圓慧詩序賽旭敏詩序厠神祭文
010_0002_b_20L癈紙上疏

010_0002_b_21L
默庵大和尙行狀

010_0002_b_22L鳳巖大師行狀

010_0002_b_23L

010_0002_b_24L1)五言絕句 [3]

010_0002_b_25L偶吟

010_0002_b_26L
本來無事地空寂但虛明

010_0002_c_01L死叟如相見     죽은 그 늙은이를 만나게 되면
此言亦不停     이 말을 또한 쉬지 않고 하리라.
경성 김 사백의 시를 차운하다(次京城金詞伯韵)
論文未論道     글만 논하고 도는 논하지 않아서
知面不知心     얼굴은 알아도 마음은 알지 못하네.
一朝俱脫殼     하루아침 함께 껍질을 벗고 나면
何處更相尋     어느 곳에서 다시 서로를 찾을까.
완춘玩春
露泣花千朶     송이송이 꽃잎엔 이슬 눈물 맺히고
風鳴竹一叢     한 떨기 대나무가 바람에 우는구나.
綠楊芳草岸     푸른 버들 향기로운 풀 언덕에
終日坐禪翁     종일토록 좌선하는 노승이 있다네.
선객에게 주다(贈禪客)
地鑿皆生水     땅을 파면 어디서나 물이 나오고
雲收盡碧天     구름 걷히면 온통 푸른 하늘이라네.
江山雲水地     강과 산, 구름과 물, 그리고 땅
何物不渠禪     어떤 물건인들 선이 아니겠는가.
목사께 올리다(上牧使)
四海文章伯     사해 문장의 우두머리와
三山病老僧     삼산의 늙고 병든 중이
相逢譚此事     서로 만나서 이 일 이야기로
淸夜月爲燈     맑은 밤, 달을 등불 삼네.
독서소에 드리다(呈讀書所)
斑獜含寶訣     얼룩 기린은 보결을 품었고
白馬駄金經     흰 말은 금경을 실었구나.
無主淸江月     주인 없는 맑은 강의 달처럼
相看兩分明     자세히 바라보면 둘 다 분명하다.
포혜 사미에게 주다(贈布慧沙彌)
有水皆含月     물은 어디서나 다 달을 머금고
無山不帶雲     산은 구름 두르지 않은 것이 없네.
重重山水趣     겹겹이 많고 많은 산과 물의 흥취를
送爾再三云     두 번이고 세 번이고 보내주겠네.
포성 사미에게 주다(贈布性沙彌)
淨意行看月     깨끗한 뜻으로 거닐다 달을 보고
遐情立指雲     먼 마음으로 서서 구름을 가리킨다.
長年生計足     오랜 시간 살림살이가 족하였으니
此外復何云     이 외에 또 무슨 말을 하겠는가.
아름다운 경치를 다시 찾다(美景再叅)
病後存餘命     앓고 난 뒤 남은 목숨 보전하여
朋來講舊文     벗이 오면 옛글을 이야기한다.

010_0002_c_01L死叟如相見此言亦不停

010_0002_c_02L次京城金詞伯韵

010_0002_c_03L
論文夫論道知面不知心

010_0002_c_04L一朝俱脫殼何處更相尋

010_0002_c_05L玩春

010_0002_c_06L
露泣花千朶風鳴竹一叢

010_0002_c_07L綠楊芳草岸終日坐禪翁

010_0002_c_08L贈禪客

010_0002_c_09L
地鑿皆生水雲收盡碧天

010_0002_c_10L江山雲水地何物不渠禪

010_0002_c_11L上牧使

010_0002_c_12L
四海文章伯三山病老僧

010_0002_c_13L相逢譚此事淸夜月爲燈

010_0002_c_14L呈讀書所

010_0002_c_15L
斑獜含寶訣白馬駄金經

010_0002_c_16L無主淸江月相看兩分明

010_0002_c_17L贈布慧沙彌

010_0002_c_18L
有水皆含月無山不帶雲

010_0002_c_19L重重山水趣送爾再三云

010_0002_c_20L贈布性沙彌

010_0002_c_21L
淨意行看月遐情立指雲

010_0002_c_22L長年生計足此外復何云

010_0002_c_23L美景再叅

010_0002_c_24L
病後存餘命朋來講舊文

010_0002_c_25L「五言絕句」四字編者補入

010_0003_a_01L看經猶反己     경전을 보고 또 자신을 반성하면
可許識玄門     현문을 알았다 인정할 수 있으리.
춘파의 시에 차운하다2수(次春坡韵二首)
君向尋南到     그대 지난번에 남으로 찾아왔으니
我將拱北行     내가 장차 북으로 찾아 떠나리라.
去來何足歎     가고 오는 일 한탄할 것 어디 있나
無住道心生    매이지 않는 곳에 도심이 생긴다네.하나

歲月添頭白     세월은 머리에 흰 터럭을 더하고
光陰奪面紅     시간은 얼굴에 붉은 빛을 빼앗았네.
浮生餘幾日     덧없는 이 생애 몇 날이나 남았을까
回首世三空    고개 돌려보면 삼세가 다 비었구나.
송광사 수각의 대가 시에 차운하다(次松廣寺水閣待價韵)
乾坤心裏影     하늘과 땅은 마음속 그림자며
魚鳥鏡中奇     물고기와 새는 거울 속 기물이라.
齊物非他事     제물이란 별다른 것이 아니거늘
何人不自知     어째서 사람들은 스스로 알지 못하는가.
화천 거사의 시에 차운하다(次花川居士韵)
水月連心月     물속의 달 마음속 달에 잇닿고
曇花映菊花     우담발화 국화를 비추고 있는데
花翁與默老     화천 노인과 묵암 늙은이
浮海渡流沙     바다에 떠서 모래사막을 건너네.
한음2수閑吟二首
明心千嶂月     천 길 산 위의 달이 마음을 밝히고
做業一爐烟     하는 일은 한 줄기의 향로 연기 같다.
垂老多閑趣     늙어 가며 한가로운 흥취가 많아지니
何嫌病未痊     병이 낫지 않는다고 탓할 것 있겠나.
또(又)
對儒譚孝節     유자를 대하면 효절을 이야기하고
逢客勸安居     선객을 만나면 안거를 권한다네.
道義論無倦     도의를 논하면 피곤하지도 않으니
林泉興有餘     임천의 흥취에는 넉넉함이 있다네.
정생원의 시에 차운하다(次鄭生員韵)
獨坐春山裏     홀로 봄 산 안에 앉았다.
迎賓雨歇時     손을 맞으려니 비가 개었구나.
詩詞非我業     시 짓는 일은 나의 업이 아니거늘
何敢好爲師     어찌 남의 스승 되길 좋아하겠나.
신초곡의 시에 화운하다(和申草谷韵)
人間多住相     사람 세상에선 상에 머무는 일이 많지만
物外便忘年     세상을 벗어나면 문득 나이를 잊는다네.
儒釋相逢處     선비와 스님이 서로 만난 자리에서
譚空又覈玄     공을 이야기하고 또 현을 따졌다네.


010_0003_a_01L看經猶反己可許識玄門

010_0003_a_02L次春坡韵二首

010_0003_a_03L
君向尋南到我將拱北行

010_0003_a_04L去來何足歎無住道心生(一)

010_0003_a_05L歲月添頭白光陰奪面紅

010_0003_a_06L浮生餘幾日回首世三空(二)

010_0003_a_07L次松廣寺水閣待價韵

010_0003_a_08L
乾坤心裏影魚鳥鏡中奇

010_0003_a_09L齊物非他事何人不自知

010_0003_a_10L次花川居士韵

010_0003_a_11L
水月連心月曇花映菊花

010_0003_a_12L花翁與默老浮海渡流沙

010_0003_a_13L閑吟

010_0003_a_14L
明心千嶂月做業一爐烟

010_0003_a_15L垂老多閑趣何嫌病未痊

010_0003_a_16L

010_0003_a_17L
對儒譚孝節逢客勸安居

010_0003_a_18L道義論無倦林泉興有餘

010_0003_a_19L次鄭生員韵

010_0003_a_20L
獨坐春山裏迎賓雨歇時

010_0003_a_21L詩詞非我業何敢好爲師

010_0003_a_22L和申草谷韵

010_0003_a_23L
人間多住相物外便忘年

010_0003_a_24L儒釋相逢處譚空又覈玄

010_0003_b_01L
잠소사에게 주다(贈岺小師)
佛法拯人筏     불교의 법은 사람을 건져 올리는 배이고
世塗喪命機     세상의 길은 목숨을 죽이는 형틀이다.
試思虛蒲質     허망한 부들의 성질을 생각해 보라
會見刧霜威     겁 서리의 위엄을 보게 되리라.
옥류동 수송대에 제하다(題玉流洞愁送䑓)
好好玉流洞     좋고도 좋은 옥류동에
奇奇愁送臺     기이하고도 기이한 수성대라.
無言能引客     말도 없이 손님을 이끌어
去去又來來     가도 가고 또 오고 오는구나.
속리산 법주사에 제하다2수(題俗離山法住寺二首)
洞邃巖成壁     골짝 깊어 바위가 벽을 이루고
山高水自深     산이 높으니 물은 절로 깊구나.
俗離無限景     속리산 끝이 없는 이 경치를
看盡卷吾心    보고 나니 내 마음이 걷히는구나.하나

我上福泉庵     내가 복천암에 올라 보니
福泉猶不竭     복의 샘은 아직 마르지 않았네.
掬三聊一甞     세 웅큼을 떠서 겨우 한번 맛을 보니
凡欲換僊骨    범부의 욕심이 신선으로 환골하겠네.
부석사에 오르다(登浮石寺)
一雨連三日     한 번 내린 비 내리 사흘 동안 이어져
三登聚遠樓     세 번이나 취원루에 올랐었네.
仙山緣未了     그러고도 신선산 인연이 아직 남아서
臨別更回頭     떠나는 자리에서 고개 돌려 다시 보네.
몽일 사미에게 주다2수(贈夢日沙彌二首)
曺溪心月白     조계산 마음의 달은 밝고
桐嶽慧風淸     동악산 지혜의 바람은 맑구나.
莫以形骸別     몸뚱이로 헤어진다 말라
唯須會一靈    오직 하나의 영혼으로 만나리라.
하나

倦鳥捿林薄     피곤한 새는 성긴 숲에 깃들고
神龍隱海淸     신령한 용은 맑은 바다에 숨는다.
請君成大道     그대는 부디 큰 도를 이루어서
乘筏濟含靈    보벌을 타고 중생을 구제하시라.
독좌獨坐
寥寥閑獨坐     고요하고 한가하게 홀로 앉아서
觀水復觀山     물을 보다가 또 산을 보네.
一氣能磅礴     한 기운이 가득하고 충만하여
周流萬像間     만물 사이에 두루 흐르네.
야사野寺
蕭寺隣村店     절간8)이 마을 가까이에 있어서
居僧盡俗情     거기 사는 스님들 다 속인의 마음이네.

010_0003_b_01L贈岑小師

010_0003_b_02L
佛法拯人筏世塗喪命機

010_0003_b_03L試思虛蒲質會見刼霜威

010_0003_b_04L題玉流洞愁送臺

010_0003_b_05L
好好玉流洞奇奇愁送臺
010_0003_b_06L無言能引客去去又來來

010_0003_b_07L題俗離山法住寺二首

010_0003_b_08L
洞邃巖成壁山高水自深

010_0003_b_09L俗離無限景看盡卷吾心(一)

010_0003_b_10L我上福泉庵福泉猶不竭

010_0003_b_11L掬三聊一甞凡欲換僊骨(二)

010_0003_b_12L登浮石寺

010_0003_b_13L
一雨連三日三登聚遠樓

010_0003_b_14L仙山緣未了臨別更回頭

010_0003_b_15L贈夢日沙彌二首

010_0003_b_16L
曺溪心月白桐嶽慧風淸

010_0003_b_17L莫以形骸別唯須會一靈(一)

010_0003_b_18L倦鳥捿林薄神龍隱海淸

010_0003_b_19L請君成大道乘筏濟含靈(二)

010_0003_b_20L獨坐

010_0003_b_21L
寥寥閑獨坐觀水復觀山

010_0003_b_22L一氣能磅礴周流萬像間

010_0003_b_23L野寺

010_0003_b_24L
蕭寺隣村店居僧盡俗情

010_0003_c_01L農夫知不遠     농부의 집이 멀지 않음을 알겠거니
隔岸叱牛聲     언덕 너머 소 모는 소리 들리네.
도종에게 경계하다(戒道宗)
一物隨時動     한 물건이 수시로 움직이나니
分明照取看     분명하게 비춰 잘 지켜보아라.
提撕如不倦     마음가짐9)에 게으르지 않으면
折却我人山     아인산을 다 무너뜨릴 수 있으리라.
여러 석사의 시에 화운하다(和諸碩士韵)
論議眞堪聽     논의는 참으로 들을 만하고
形儀可警人     모습은 사람을 깨우칠 수 있으나,
只緣衣冠別     다만 의관이 다르다는 이유로
恨不久相親     오래도록 친하지 못하여 한스럽구나.
불사암에서 유석이 서로 만나다(不思庵儒釋相會)
儒釋終難合     유가와 석가는 끝내 합하기 어려우니
冠童豈易隨     어른과 아이가 어찌 쉽게 부화하겠나.
病床人事絕     인간사를 끊고 병상에 누워 있느라
愧負好相酬     주고받는 좋은 관계 저버려 부끄럽다.
여칭汝稱
飛錫先飛鶴     학보다 먼저 지팡이를 날려서
飄然未易隨     훌쩍 가시니 따르기 쉽지 않네.
病因山水痼     산수에 묻혀 고질병을 얻었으니
瘳後乃相酬     나은 후에나 서로 만나 보세.
영부英夫
遠尋蒼壁上     멀리 푸른 절벽 위로 찾아왔더니
幸得白雲隨     다행히 흰 구름이 나를 따르네.
雨霽羣峯出     비가 개자, 봉우리들 드러나고
聊吟谷鳥酬     애오라지 읊조리자, 골짝 새들이 답을 하네.
학인들이 가난을 한탄하는 것을 경계한다(戒學衆怨貧)
牟尼空鉢歎     석가모니는 빈 발우10)라도 찬탄하였고
夫子厄陳歌     공자는 진에서 만난 재앙11)에도 노래했네.
古聖猶如此     옛 성인들도 오히려 이러했거늘
今人豈足多     지금 사람들은 어찌 많음을 만족하게 여기는가.
송암의 시에 화운하다(和松庵韵)
懸榻知己待     탑을 달고 알아줄 사람 기다렸더니
其人此地逢     그 사람을 이 땅에서 만나게 되었네.
我非蓮社主     나는 연사12)의 주인이 아닌데도
自得大儒從     저절로 큰 선비의 방문을 받았구나.
불사암에 제하다(題不思庵)
峯高連北斗     봉우리 높아서 북두와 이어지고
海濶盡南溟     바다는 넓어서 남명에 다하였네.

010_0003_c_01L農夫知不遠隔岸叱牛聲

010_0003_c_02L戒道宗

010_0003_c_03L
一物隨時動分明照取看

010_0003_c_04L提撕如不倦折却我人山

010_0003_c_05L和諸碩士韵

010_0003_c_06L
論議眞堪聽形儀可警人

010_0003_c_07L只緣衣冠別恨不久相親

010_0003_c_08L不思庵儒釋相會

010_0003_c_09L
儒釋終難合冠童豈易隨

010_0003_c_10L病床人事絕愧負好相酬

010_0003_c_11L汝稱

010_0003_c_12L
飛錫先飛鶴飄然未易隨

010_0003_c_13L病因山水痼瘳後乃相酬

010_0003_c_14L英夫

010_0003_c_15L
遠尋蒼壁上幸得白雲隨

010_0003_c_16L雨霽羣峯出聊吟谷鳥酬

010_0003_c_17L戒學衆怨貧

010_0003_c_18L
牟尼空鉢歎夫子厄陳歌

010_0003_c_19L古聖猶如此今人豈足多

010_0003_c_20L和松庵韵

010_0003_c_21L
懸榻知己待其人此地逢

010_0003_c_22L我非蓮社主自得大儒從

010_0003_c_23L題不思庵

010_0003_c_24L
峯高連北斗海闊盡南溟

010_0004_a_01L無限江山景     끝이 없는 강과 산의 이 경치를
難將一筆明     한 자루 붓으로 설명하긴 어렵구나.
석담 스님에게 드린다(呈石潭師)
法斾還隣嶽     법의 깃발 이웃 산으로 돌아왔다.
孠音漸不踈     소식 전하는 일 점차 많아지겠네.
倘乘風日好     바람 좋고 해 좋은 날을 만나거든
飛錫訪浮屠     지팡이 날리며 저를 찾아 주시오.
능 사미가 구하기에 답한다(賽能沙彌求)
智異山中客     지리산에 살던 나그네가
曺溪半歲同     조계산에서 반년을 함께 했네.
擔簦還向去     대나무 우산 메고 다시 돌아가려니
愁殺暮秋風     저무는 가을바람이 못내 슬프다.
미타관 주인에게 감사하다(謝彌陁關主)
解渴非關水     갈증을 푸는 일은 물 때문이 아니고
乘凉不假風     서늘해진 것은 바람을 빌린 때문이 아니네.
西瓜分我噉     수박을 쪼개어 먹게 해주니
能水亦能風     그것이 물도 되고 또한 바람도 되었네.
이・우 두 공의 시에 화운하다(和李虞兩公韵)
忠良千古伯     충성과 선량으로는 천고의 으뜸이며
詩筆萬人師     시 쓰는 솜씨는 만인의 스승이로다.
未發蔬筍句     나물 죽순 먹는 내 글 나가기도 전에
先題玉律詩     옥 같은 율시를 먼저 써 주었구나.
선 생원의 시에 차운하다(次宣生員韵)
瘦影僧看月     달을 바라보는 스님의 마른 그림자
淸香鳥拂梅     새가 매화를 건드리자 맑은 향기.
雪枝分一氣     눈 쌓인 가지 한 기운을 나눠주고
龜背卞三才     거북 등으로 삼재13)를 점치네.
녹함 스님에게 주다(贈祿涵師)
𣏓木吾鬚白     나의 흰 수염은 썩은 나무 같은데
瑚璉爾眼靑     그대의 푸른 눈은 옥그릇14) 같구나.
相逢譚日𣅳     만나서 해가 기울도록 이야기하며
分付百年情     백 년 정을 나누어 주었구나.
칠언절구七言絕句
명오가 고향에 돌아와 살다(命五還居故山)
鶴返遼陽月五更   학이 요양15)으로 돌아온 오경 달밤에
四方遊子捲歸情   사방 나그네들 돌아갈 생각 솟구치네.
三住金華時縱晚   금화에서 세 철 사느라 때가 늦긴 했지만
故山松竹帶前靑   고향의 소나무 대나무는 옛날처럼 푸르다네.


010_0004_a_01L無限江山景難將一筆明

010_0004_a_02L呈石潭師

010_0004_a_03L
法斾還隣嶽孠音漸不踈

010_0004_a_04L倘乘風日好飛錫訪浮屠

010_0004_a_05L賽能沙彌求

010_0004_a_06L
智異山中客曺溪半歲同

010_0004_a_07L擔簦還向去愁殺暮秋風

010_0004_a_08L謝彌陁關主

010_0004_a_09L
解渴非關水乘凉不假風

010_0004_a_10L西瓜分我噉能水亦能風

010_0004_a_11L和李虞兩公韵

010_0004_a_12L
忠良千古伯詩筆萬人師

010_0004_a_13L未發蔬筍句先題玉律詩

010_0004_a_14L次宣生員韵

010_0004_a_15L
瘦影僧看月淸香鳥拂梅

010_0004_a_16L雪枝分一氣龜背卞三才

010_0004_a_17L贈祿涵師

010_0004_a_18L
𣏓木吾鬚白瑚璉爾眼靑

010_0004_a_19L相逢譚日𣅳分付百年情

010_0004_a_20L

010_0004_a_21L下七言絕句

010_0004_a_22L命五還居故山

010_0004_a_23L
鶴返遼陽月五更四方遊子捲歸情

010_0004_a_24L三住金華時緃晚故山松竹帶前靑

010_0004_b_01L
동강옹에게 드린다(呈桐江翁)
一性元來應萬形   한 성품이 원래 만 가지 형상에 응하거늘
如何拋棄逐虛名   어찌하여 그것을 버리고 헛된 이름을 쫓는가.
讀書之暇時廻照   글 읽는 여가에 때때로 되돌아 비추어 보면
便是歸家脚下程   고향 돌아가는 걸음이 바로 발밑에 있다네.
조 생원의 양관시에 화운하다2수(和趙生員韵陽關二首)
山雲曾不染村煙   산 구름은 마을 연기에 물든 적 없지만
二八年前別恨新   16년 전에 이별한 한탄이 새삼스러워라.
河魚一患愆和極   설사병16) 한 번에 몸이 상할 대로 상하여
怊悵室邇未見人  슬프다, 방이 가까워도 사람을 만날 수 없구나.하나

別來積歲阻音塵   이별한 후 여러 해 동안 소식이 막혀서
思債悠悠去益新   그리운 마음 아득히 갈수록 새롭구나.
如今幸得同床臥   지금 요행히 같은 침대에 눕게 된다.
白衲相看白首人  흰 누더기 백발의 노인으로 마주 하겠네.
한천옹의 시에 화운하다(和寒泉翁韵)
得失由來付塞翁   얻고 잃음의 유래가 새옹17)에 달렸기에
抖陀瓶錫住千峯   두타행의 물병과 지팡이 천 길 산속에 머물렀다.
經綸自有其人在   경륜이야 그 사람 있는 곳에서 저절로 생기거늘
玉殿幾煩夢臥龍   옥전에서 숨은 용의 꿈으로 얼마나 괴로웠던가.
벽월랑 두월의 아들에게 주다(贈碧月郞斗月之孠)
相逢水石亭中坐   수석정에서 서로 만나 정자에 앉아서
話古譚今數日長   옛일 지금 일 얘기하느라 며칠이 걸렸지.
如看斗月眞容在   두월의 진면목이 있음을 본 듯하였고
喜得曺溪一派香   조계의 한 갈래 향기를 기쁘게도 얻었네.
자조自嘲
祖師公案早留心   조사의 공안에 일찍부터 마음을 두었으나
白首無成但陸沈   백발이 되도록 이룬 것 없이 숨어18) 산다네.
可笑默庵一生事   우습구나, 묵암의 한평생 일들이여
殘篇到老病中尋   늙어 병들어서도 남은 글을 찾고 있다네.
창을 열다(開窓)
一室當初鑿兩窓   애초에 방 하나에 두 개의 창을 뚫었지만
掩寒不幸掩天光   추위 막으려다 불행하게도 햇빛을 가렸네.
寒去春來開所掩   추위 가고 봄이 와서 막은 것을 열어보면
從前虛白滿禪房   전처럼 빈방에 흰빛19)이 선방에 가득하리라.
꿈(夢)
夢中說夢喚人夢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하며 꿈이라고 소리치니
夢夢無窮夢不醒   꿈속 꿈이 끝이 없어 꿈에서 깨어나지 못하네.
縱出莊園蝴蝶外   설사 장자 동산의 나비20)가 밖으로 나온다 한들
分明猶是夢人情   오히려 꿈꾸는 사람의 마음이 분명하리라.
한음2수閑吟二首

010_0004_b_01L呈桐江翁

010_0004_b_02L
一性元來應萬形如何拋棄逐虛名

010_0004_b_03L讀書之暇時廻照便是歸家脚下程

010_0004_b_04L和趙生員韵陽關二首

010_0004_b_05L
山雲曾不染村煙二八年前別恨新

010_0004_b_06L河魚一患愆和極怊悵室邇未見人(一)

010_0004_b_07L別來積歲阻音塵思債悠悠去益新

010_0004_b_08L如今幸得同床臥白衲相看白首人(二)

010_0004_b_09L和寒泉翁韵

010_0004_b_10L
得失由來付塞翁抖陀瓶錫住千峯

010_0004_b_11L經綸自有其人在玉殿幾煩夢臥龍

010_0004_b_12L贈碧月郞斗月之孠

010_0004_b_13L
相逢水石亭中坐話古譚今數日長

010_0004_b_14L如看斗月眞容在喜得曺溪一派香

010_0004_b_15L自嘲

010_0004_b_16L
祖師公案早留心白首無成但陸沈

010_0004_b_17L可笑默庵一生事殘篇到老病中尋

010_0004_b_18L開窓

010_0004_b_19L
一室當初鑿兩窓掩寒不幸掩天光

010_0004_b_20L寒去春來開所掩從前虛白滿禪房

010_0004_b_21L

010_0004_b_22L
夢中說夢喚人夢夢夢無窮夢不醒

010_0004_b_23L縱出莊園蝴蝶外分明猶是夢人情

010_0004_b_24L閑吟二首

010_0004_c_01L勤學金文懶學詩   열심히 금문을 배우며 시는 게을리하였는데
每逢騷客勸題詩   시 짓는 사람들은 만나기만 하면 시를 지으라네.
强因酬酢吟懷抱   억지로 마음속 생각을 읊어 주고받지만
元是禪詮不是詩  원래가 선의 이치일 뿐 시는 아니었다네. 하나

心托根門弄萬端   마음이 육근21)에 의지해 온갖 재주를 부릴 때
境風浩浩起波瀾   경계의 바람은 한없이 크게 파도를 일으킨다.
金剛利刄渾無跡   금강의 예리한 칼날은 혼연히 자취도 없고
剩得家鄕物物閑  고향 집의 온갖 한가함을 넉넉하게 얻었다네.
묵암默庵
喃喃終日滯言筌   재잘재잘 종일 떠들다간 말의 그물에 막히리니
爭似光明上界仙   어떻게 광명 상계의 신선과 같아지겠는가.
說默須知俱匪道   말과 침묵이 다 도가 아님을 알아야 하지만
且將黃葉作金錢   단풍잎을 가지고 금전이라고 말해 보겠네.
과 허자課虛子
捕風捉影絕攀躋   바람 그림자를 잡듯 잡을 곳이 없어서
水月空華喩不齊   물속의 달 허공의 꽃도 비유가 맞지 않네.
薦得刧前眞面目   겁 이전의 참된 면목을 깨쳐 얻는 일
生涯課業是吾儕   일생의 과업이요 그것이 내 벗이라네.
고적헌扣寂軒
寂滅光中萬累捐   절멸한 광명 속에서 모든 번뇌를 버리고
扣之之意豈徒然   두드리는 그 뜻이 어찌 부질없겠는가?
不是靑天轟霹靂   마른하늘 천둥 벼락이 치지 않는다.
深潭寧得起龍眠   깊은 못 용의 잠을 어떻게 깨우겠는가?
최눌2수㝡吶二首
誰知解語非干舌   누가 알겠나 말을 이해하는 것이 혀와 무관함을
我道能言不是聲   나는 말하노라 말할 줄 아는 것이 소리는 아니라고.
謇吃憤悱愽謎子   더듬더듬 화도 못 내는 수수께끼(愽謎子)22) 같은 사람
水中鹽味獨含靈  물속의 소금맛(水中鹽味)23)처럼 고독한 중생이로다. 하나

認虛爲實夢中人   허망함을 진실로 아는 꿈속의 사람
顚倒多年駕幻身   전도되어 오래도록 허깨비 몸을 탔구나.
何時脫却布帒去   어느 때에야 가죽 포대를 벗어 버리고
月滿蓮臺國界新  달빛 가득한 연화대에서 국계를 새롭게 할까.
선을 풀어 읊는다5수에 3수를 더하다(解禪吟五首加三)
衝開碧落松千尺   천 길 높은 소나무는 푸른 하늘을 쳐서 열고
截斷紅塵水一區   한 구석 물가는 티끌세상을 끊어 버리도다.
不有斑君能汗馬   말 달리고 땀 흘리는 반군이 없다.
奇功爭得遠封侯  기이한 공으로 멀리 제후가 될 수 있겠나. 하나

此道人人分上事   이 도는 모든 사람의 본분의 일이거늘
如何拋擲不回頭   어찌하여 던져 놓고 돌아보지 않는가.
飢飡困眠非他物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잠자는 것 다른 물건 아니니
可笑騎牛更覔牛  우스워라. 소를 타고서 또 소를 찾는구나.

我已無家尋弟妹   나는 이미 집이 없는데도 형제자매를 찾으니
君今何處訪庭闈   그대 지금 어디에서 부모님 사시는 곳을 찾는가.

010_0004_c_01L
勤學金文懶學詩每逢騷客勸題詩

010_0004_c_02L强因酬酢吟懷抱元是禪詮不是詩(一)

010_0004_c_03L心托根門弄萬端境風浩浩起波瀾

010_0004_c_04L金剛利刄渾無跡剩得家鄕物物閑(二)

010_0004_c_05L默庵

010_0004_c_06L
喃喃終日滯言筌爭似光明上界仙

010_0004_c_07L說默須知俱匪道且將黃葉作金錢

010_0004_c_08L課虛子

010_0004_c_09L
捕風捉影絕攀躋水月空華喩不齊

010_0004_c_10L薦得刧前眞面目生涯課業是吾儕

010_0004_c_11L扣寂軒

010_0004_c_12L
寂滅光中萬累捐扣之之意豈徒然

010_0004_c_13L不是靑天轟霹靂深潭寧得起龍眠

010_0004_c_14L㝡吶

010_0004_c_15L
誰知解語非干舌我道能言不是聲

010_0004_c_16L謇吃憤悱愽謎子水中鹽味獨含靈(一)

010_0004_c_17L認虛爲實夢中人顚倒多年駕幻身

010_0004_c_18L何時脫却布帒去月滿蓮臺國界新(二)

010_0004_c_19L解禪吟五首加三

010_0004_c_20L
衝開碧落松千尺截斷紅塵水一區

010_0004_c_21L不有斑君能汗馬奇功爭得遠封侯(一)

010_0004_c_22L此道人人分上事如何拋擲不回頭

010_0004_c_23L飢飡困眠非他物可笑騎牛更覔牛

010_0004_c_24L我已無家尋弟妹君今何處訪庭闈

010_0005_a_01L貧寒一世難容客   가난한 한 세상에 용납되기 어려운 나그네라
秦地不收漢不歸  진에서도 거두지 않고 한에도 돌아갈 수 없네.

曾經大海休誇水   일찍이 큰 바다를 건넜으니, 물일랑 자랑하지 말게
除却須彌捴是塵   수미산도 쪼개 보면 모두가 먼지라네.
學得聖門眞正法   성인의 문중에서 참된 정법을 배우면
風行草偃自由人  바람에 쓰러지는 풀처럼 자유인이 되리라.

任大也須從地起   크다 하여도 땅에서 일어난 것일 테고
雖高爭奈有天何   높다 하여도 하늘이 있는데 어쩔 건가.
焚天碎地閑無事   하늘을 불사르고 땅을 부수어 한가히 일 없는
到此方稱是作家  이런 지경에 이르러야 내 집을 지었다 하리라.다섯

聲前一句圓音美   소리 이전 한 마디 원음이 아름답고
物外三山片月輝   세상 밖 삼산의 조각달이 빛나네.
莫把已陳當事業   케케묵은 것으로 사업하려 말고
須知三尺劔光飛  세 자 칼의 빛을 날릴 줄 알아야 한다. 여섯

靑山只解磨今古   푸른 산은 예나 지금이나 갈 줄만 안고
流水何曾洗是非   흐르는 물은 어째서 시비를 씻지 않았을까.
誰得仁山智水趣   인산과 지수의 흥취를 누가 얻었나
是非今古任安危  시비는 예나 지금이나 안위에 맡겨 두었네. 일곱

水因有月方知淨   물은 달이 있어야 비로소 깨끗함을 알 수 있고
山爲無雲始見高   산은 구름이 없어야 비로소 높이가 보인다.
捲却緣心專定力   연연하는 마음 걷어 버리고 선정의 힘만 온전히 하면
天眞面目的寥寥  천진한 면목이 또렷하여 고요해지리라.여덟
오도화悟道話
盡道明星夜夜廻   밝은 별이 밤마다 돌아온다고 다들 말하지만
當寒須信雪中梅   추위를 당해 보아야 눈 속의 매화를 보게 된다네.
塵沙久刧云成佛   티끌처럼 모래처럼 오랜 겁 전에 성불하였다는데
何用如今正覺來   지금 깨달음이 온들 무엇에 쓰겠나.
감회4수感懷四首
身爲漁父已衰顏   어부의 몸으로 이미 얼굴은 늙었어도
手把絲綸弄碧湍   손에 낚싯줄 잡고 푸른 물결을 희롱한다.
環顧世間無伯樂   둘러보아도 세간에 백락24)이 없으니
鹽車何日解虞山  언제나 우산에서 소금 수레25)를 벗을까. 하나

吾敎甚深識者稀   우리 교는 매우 깊어 아는 이가 드문데
誰將短手折高枝   어느 누가 짧은 팔로 높은 가지를 꺾을까?
食我園椹音不好   우리 동산의 오디를 먹으면26) 소리가 좋지 않고
平生難得解留衣  평생토록 옷 벗어주고27) 떠날 벗 만나기 어렵네.

三界無根無有骨   삼계는 뿌리도 없고 뼈도 없으니
一身如寄又如浮   한 몸을 맡긴 듯 또 떠도는 듯하네.
見說蓮臺風月好   연화대의 풍월이 좋다는 말은 들었으나
鸞轇何日賦淸遊  언제나 수레 타고 노닐며 시를 지을까?

慷慨自因身病減   강개한 마음은 몸의 병을 따라 절로 줄어들고
聦明偏向晚年昏   총명한 머리는 노년으로 갈수록 혼미해져 간다.
平生唯有觀心志   평생에 오직 마음을 관할 뜻을 두었는데
忽後瞻前捴操存  앞을 보면 홀연 뒤인지라28) 마음 굳게 잡아야 하네.
유거3수幽居三首

010_0005_a_01L貧寒一世難容客秦地不收漢不歸(三)

010_0005_a_02L曾經大海休誇水除却須彌捴是塵

010_0005_a_03L學得聖門眞正法風行草偃自由人(四)

010_0005_a_04L任大也須從地起雖高爭奈有天何

010_0005_a_05L焚天碎地閑無事到此方稱是作家(五)

010_0005_a_06L聲前一句圓音美物外三山片月輝

010_0005_a_07L莫把已陳當事業須知三尺劔光飛(六)

010_0005_a_08L靑山只解磨今古流水何曾洗是非

010_0005_a_09L誰得仁山智水趣是非今古任安危(七)

010_0005_a_10L水因有月方知淨山爲無雲始見高

010_0005_a_11L捲却緣心專定力天眞面目的寥寥(八)

010_0005_a_12L悟道話

010_0005_a_13L
盡道明星夜夜廻當寒須信雪中梅

010_0005_a_14L塵沙久刼云成佛何用如今正覺來

010_0005_a_15L感懷四首

010_0005_a_16L
身爲漁父已衰顏手把絲綸弄碧湍
010_0005_a_17L環顧世間無伯樂鹽車何日解虞山(一)

010_0005_a_18L吾敎甚深識者稀誰將短手折高枝

010_0005_a_19L食我園椹音不好平生難得解留衣(二)

010_0005_a_20L三界無根無有骨一身如寄又如浮

010_0005_a_21L見說蓮臺風月好鸞▼(車+參)何日賦淸遊(三)

010_0005_a_22L慷慨自因身病減聦明偏向晚年昏

010_0005_a_23L平生唯有觀心志忽後瞻前捴操存(四)

010_0005_a_24L幽居三首

010_0005_b_01L題詩不作江山句   시를 써도 강산의 구절은 짓지 않고
論道偏譚性理書   도를 논할 때는 성리의 글만 얘기하지.
幻路公名非所羨   허깨비 길의 공명 따윈 부러워하지 않으며
但將黃卷好幽居  그저 경전 들고 숨어 사는 게 좋다네. 하나

懸鶉掛體衲蒙頭   너덜너덜 누더기 몸에 걸치고 머리는 싸매고
足不塗塵萬事休   발은 티끌을 밟지 않으며 모든 일을 쉬었네.
莫道海濱王化遠   바다 구석이라 왕의 교화가 멀다 말하지 말게
山林長帶太平秋  산속에서도 오래도록 태평세월을 띠고 있다네.

知命何煩問吉凶   운명을 아는데 어찌 번거롭게 길흉을 묻겠나
盈虛消長理無窮   영허과 소장의 이치는 무궁하다네.
此身獨臥珠簾下   이 몸이 홀로 주렴 아래 누워 있자면
一榻無塵四面風  먼지도 없는 책상 사방에 바람이 인다네.
신초곡의 시에 화운하다2수(和申草谷韵二首)
客倚三淸屬暮春   나그네 삼청에 의지하니 계절은 늦봄인데
靑衫白衲共忘年   푸른 적삼 흰 누더기29) 함께 세월을 잊었네.
虎溪三笑遺風遠   호계삼소30)의 옛 풍류는 멀어졌으니
何處禪房更掃塵  어느 곳 선방에서 다시 먼지나 쓸까? 하나

獜角風流世所欽   인각31)의 풍류를 세상 모두 흠모하여
北來蕭寺遠相尋   북쪽 멀리 쓸쓸한 절에까지 찾아와 주었네.
栴檀片片非凡樹   전단 나무 조각조각 평범한 나무가 아닌데
邂逅逢場慰此心  우연히 만난 자리 이 마음 위로가 되었네.
삼로 김참봉의 시에 화운하다(和蔘老金叅奉韵)
久仰高風始識荆   오랫동안 우러르다 비로소 그대를 알았으니32)
衣冠雖別道同明   의관은 비록 달라도 도는 똑같이 밝았네.
天將好雨留三日   하늘이 좋은 비를 내려 사흘이나 머무르게 하시어
得盡浮生半世情   뜬구름 같은 세상 반평생 정을 모두 얻었네.
잡희雜戱
雜戱場中分貴賤   잡스러운 놀이 자리에서도 귀천이 나뉘어
一呼一應捴由伊   부르고 대답하는 것 모두 그를 따르네.
須臾主靜奴無語   주인이 잠깐 조용한 사이 노비도 말이 없는데
依舊沙彌與比丘   사미와 비구도 여전히 그대로구나.
괘공루에 오르다(登掛空樓)
樓掛瑤岑半太淸   누각이 공중 아름다운 봉우리에 걸렸는데
倚看丹壑對新晴   기대어 비 갠 하늘 단학33)을 바라본다.
唯心萬法人和未   모든 법이 오직 마음인 것을 사람들은 아는지
千里江山一道平   천 리의 강과 산이 한 길로 평평하구나.
목욕(澡浴)
洗沐春山古㵎濱   봄날 푸른 산 옛 시냇가에서 목욕하니
虛明無復可湔塵   텅 비고 밝아서 더 씻을 티끌이라곤 없네.
本來淸淨何須浴   본래가 청정한데 어째서 굳이 목욕할까
但滌多生罪業身   다만 여러 생 죄업의 몸을 씻으려 할 뿐이네.
우곡 주인에게 드린다(呈尤谷主人)

010_0005_b_01L
題詩不作江山句論道偏譚性理書

010_0005_b_02L幻路公名非所羨但將黃卷好幽居(一)

010_0005_b_03L懸鶉掛體衲蒙頭足不塗塵萬事休

010_0005_b_04L莫道海濱王化遠山林長帶太平秋(二)

010_0005_b_05L知命何煩問吉凶盈虛消長理無窮

010_0005_b_06L此身獨臥珠簾下一榻無塵四面風(三)

010_0005_b_07L和申草谷韵

010_0005_b_08L
客倚三淸屬暮春靑衫白衲共忘年

010_0005_b_09L虎溪三笑遺風遠何處禪房更掃塵(一)

010_0005_b_10L獜角風流世所欽北來蕭寺遠相尋

010_0005_b_11L栴檀片片非凡樹邂逅逢場慰此心(二)

010_0005_b_12L和蔘老金叅奉韵

010_0005_b_13L
久仰高風始識荆衣冠雖別道同明

010_0005_b_14L天將好雨留三日得盡浮生半世情

010_0005_b_15L雜戱

010_0005_b_16L
雜戱場中分貴賤一呼一應捴由伊

010_0005_b_17L須臾主靜奴無語依舊沙彌與比丘

010_0005_b_18L登掛空樓

010_0005_b_19L
樓掛瑤岑半太淸倚看丹壑對新晴

010_0005_b_20L唯心萬法人和未千里江山一道平

010_0005_b_21L澡浴

010_0005_b_22L
洗沐春山古澗濱虛明無復可湔塵

010_0005_b_23L本來淸淨何須浴但滌多生罪業身

010_0005_b_24L呈尤谷主人

010_0005_c_01L交修偏愛古韓巓   옛날 한전34)의 사귐을 특히 좋아하니
莫逆何年更討天   막역한 사이에 언제 나이를 따진 적 있던가.
耿耿情懷淸不寐   잊지 못하는 마음 또렷하여 잠이 들지 못하고
梧桐半夜月明前   달 밝은 한밤중 오동나무 앞에 있다네.
해정 대사에게 차운하여 드린다(次贈海淨大師)
頻將衣鉢出山輕   빈번히 의발 들고 가벼이 산문을 나서니
恐起紅塵一念情   한 생각 홍진의 정이 일어날까 걱정이구나.
試與沙鷗同去就   바닷가 갈매기와 함께 오고 가면서
諦觀無色聽無聲   없는 빛깔을 보고 없는 소리를 들어 보게나.
삼가 옥천 수령의 시에 차운한다(謹次沃川倅韵)
我則聞諸古大人   내가 옛 대인들의 말씀에서 듣기로
道同儒釋一般春   유석의 도는 같아서 똑같은 봄이라 하였네.
誇張割貴心無累   부귀를 자랑하여 마음에 쌓지 말고
取次承當刼外眞   차례차례 겁 밖의 진리를 받아 알아라.
삼가 선조 자수암의 시에 차운한다(謹次先祖慈壽庵韵)
坐斷江山眼豁開   앉은 채 강과 산을 없애고 눈이 활짝 열리니
新晴捲箔興難裁   새로 갠 날에 발을 거두고 흥을 누르지 못하네.
更看碧落峨眉月   푸른 하늘 초승달을 다시 보았다.
長對幽人去復廻   갔다가 돌아오는 유인 오래 바라보네.
지인 대사를 송별한다(送智仁大師)
軒然蹤跡遠相訪   고상한 그 발길로 멀리서 찾아오더니
穩討周年道已光   조용히 공부한지 한 해 만에 도가 이미 빛나네.
心絕去來眞住處   오고 감을 끊은 마음 참으로 살만한 곳인데
如何移錫向他方   어찌 지팡이 옮겨 다른 곳으로 가려 하는가.
영천 주인에게 주다(贈靈泉主人)
靑山默默因朝暮   푸른 산은 묵묵하게 아침저녁 그대로인데
流水喧喧變古今   흐르는 물은 졸졸거리며 고금으로 변하였네.
偶入靈泉論討舊   우연히 영천에 들어와 옛이야기를 하노라니
眼前山水感吾心   눈앞의 산과 물이 내 마음을 움직이네.
제야4수除夜四首
柳眉風動心搖樹   버들잎 바람 일자 마음은 나무를 흔들고
谷口雲生性起塵   골짜기 구름 피니 본성에 먼지가 인다.
莫把頭頭看外事   닥치는 모든 일 몸 밖의 일로 보지 마라
須知萬像屬眞人  모든 물상은 참사람에 속함을 알아야지. 하나

歲色云新道不新   해는 새로워진다 해도 도는 새롭지 않아
無功可立百年身   세울 공도 없는 백 년 평생의 이 몸이라네.
呼朋雖有盃中物   벗도 불렀고 술35)도 있긴 하지만
面上春風笑且嚬  얼굴 스치는 봄바람에 웃다가도 다시 찌푸린다네.

歲暮鬚邊白髮新   세모에 입가 수염에 흰 털이 새로 났는데
撫躬何處可安身   스스로 돌이켜 보건대36) 어디 간들 몸이 편할까?
人情泠煖隨時孌   인정의 냉정하고 따뜻함은 때에 따라 변하니
諸子紛紛笑復嚬  여러 사람 어지럽게 웃었다가 또 찌푸리네.


010_0005_c_01L
交修偏愛古韓巓莫逆何年更討天

010_0005_c_02L耿耿情懷淸不寐梧桐半夜月明前

010_0005_c_03L次贈海淨大師

010_0005_c_04L
頻將衣鉢出山輕恐起紅塵一念情

010_0005_c_05L試與沙▼(丘+鳥)同去就諦觀無色聽無聲

010_0005_c_06L謹次沃川倅韵

010_0005_c_07L
我則聞諸古大人道同儒釋一般春

010_0005_c_08L誇張富貴心無累取次承當刼外眞

010_0005_c_09L謹次先祖慈壽庵韵

010_0005_c_10L
坐斷江山眼豁開新晴捲箔興難裁

010_0005_c_11L更看碧落峨眉月長對幽人去復廻

010_0005_c_12L送智仁大師

010_0005_c_13L
軒然蹤跡遠相訪穩討周年道已光

010_0005_c_14L心絕去來眞住處如何移錫向他方

010_0005_c_15L贈靈泉主人

010_0005_c_16L
靑山默默因朝暮流水喧喧變古今

010_0005_c_17L偶入靈泉論討舊眼前山水感吾心

010_0005_c_18L除夜四首

010_0005_c_19L
柳眉風動心搖樹谷口雲生性起塵

010_0005_c_20L莫把頭頭看外事須知萬像屬眞人(一)

010_0005_c_21L歲色云新道不新無功可立百年身

010_0005_c_22L呼朋雖有盃中物面上春風笑且嚬(二)

010_0005_c_23L歲暮鬢邊白髮新撫躬何處可安身

010_0005_c_24L人情冷煖隨時變諸子紛紛笑復嚬(三)

010_0006_a_01L換歲雲林道誼新   해가 바뀐 운림에 도의도 새로워
淸茶共飮養吾身   맑은 차를 함께 마시며 내 몸을 길러보네.
寒貧不改安眞樂   가난을 바꾸려 않고 참된 즐거움에 편안하니
肯向朱門願效嚬  어디 고관대작을 따라 흉내 내겠나.
무자 3월 초닷샛날 밤의 꿈(戊子三月初五夜夢)
夢跨靑騾上天台   꿈결에 푸른 나귀 타고 천태산에 올라
先飮仙茶意豁開   먼저 신선 차를 마시고 마음 활짝 열렸다.
主者厖眉存碩德   주인의 짙은 눈썹에 큰 덕이 서려 있으니
其徒五百捴英材   따르는 제자 오백이 모두 뛰어난 인재로다.
가야산 홍류동에 제하다(題伽耶山虹流洞)
虹流洞內多奇景   홍류동에는 기이한 풍경이 많기도 하여
兩岸磨天一水通   두 언덕 하늘을 만지며 한 물줄기로 통하네.
九曲仙灣看遍盡   아홉 굽이 신선의 물굽이를 모두 보았으니
杖頭如見舊崔翁   지팡이 꼭대기 옛날 그 최옹37)을 보는 듯하네.
속리산에 오르다(登俗離山)
法住寺中遊客到   법주사에 떠도는 나그네 찾아와
少年臺上老人登   소년대 위로 노인이 올라가네.
可惜蒺藜生蒲地   애석해라, 부들 피던 땅에 남가새 피어나고
先師法碣護無僧   선사의 법을 새긴 비석 지킬 중이 없구나.
신흥 회고神興懷古
七佛庵前忘俗慮   칠불암38) 앞에서 속세의 근심 모두 잊고
三神洞裏玩仙蹤   삼신동 안에서 신선의 자취를 구경한다.
山長水濶看無盡   산이 길고 물은 깊어 보아도 끝이 없으니
幾待題名洗耳翁   이름 불리자, 귀 씻던39) 노인 얼마나 기다렸나.
낙안 수령의 시에 차운하다(次樂安倅韵)
新民元在養民深   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 원래 백성을 잘 기름에 있으니
召杜淸光遠照林   소부와 두모40)의 맑은 빛이 멀리 숲에 비친다.
莫訝山人方外跡   이 산인의 세상 벗어난 행적을 의아하게 생각 마시고
須知敬愛一般心   공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은 매한가지임을 알아주시라.
눈(雪)
銀世界中松失色   은빛 세상 안에서 소나무는 빛을 잃고
玉乾坤內竹無靑   옥빛 천지 속에 대나무 푸르지 않네.
誰言此地山川險   이 땅의 산천이 험하다고 누가 말했나
人在琉璃境上行   사람들은 유리의 경계 위를 걸어 다니네.
환선축의 시에 차운하여 서석산으로 보낸다(次喚先軸韵送瑞石山)
別去云由師傅命   떠날 때 스님의 명령이라고 말했지만
留君同住更無緣   그대를 붙잡아 함께 살 인연이 더는 없었다.
想應瑞石千峯月   생각하면 저 서석산 수많은 봉우리 달빛이
共照看經禮聖賢   경 읽고 예불하는 우리를 함께 비춰 주리라.
이웃 암자로 옮겨 가면서 읊는다(移居隣庵時去吟)

010_0006_a_01L換歲雲林道誼新淸茶共飮養吾身

010_0006_a_02L寒貧不改安眞樂肯向朱門願效嚬

010_0006_a_03L戊子三月初五夜夢

010_0006_a_04L
夢跨靑騾上天台先飮仙茶意豁開

010_0006_a_05L主者厖眉存碩德其徒五百捴英材

010_0006_a_06L題伽耶山虹流洞

010_0006_a_07L
虹流洞內多奇景兩岸磨天一水通

010_0006_a_08L九曲仙灣看遍盡杖頭如見舊崔翁

010_0006_a_09L登俗離山

010_0006_a_10L
法住寺中遊客到少年臺上老人登

010_0006_a_11L可惜蒺藜生滿 [1] 先師法碣護無僧

010_0006_a_12L神興懷古

010_0006_a_13L
七佛庵前忘俗慮三神洞裏玩仙蹤

010_0006_a_14L山長水濶看無盡幾待題名洗耳翁

010_0006_a_15L次樂安倅韵

010_0006_a_16L
新民元在養民深召杜淸光遠照林

010_0006_a_17L莫訝山人方外跡須知敬愛一般心

010_0006_a_18L

010_0006_a_19L
銀世界中松失色玉乾坤內竹無靑

010_0006_a_20L誰言此地山川險人在琉璃境上行

010_0006_a_21L次喚先軸韵送瑞石山

010_0006_a_22L
別去云由師傅命留君同住更無緣

010_0006_a_23L想應瑞石千峯月共照看經禮聖賢

010_0006_a_24L移居隣庵時去吟

010_0006_b_01L乘昏扶杖渡溪南   어둠 타고 지팡이 짚고 시내 건너 남으로 가니
綠竹靑松影裡庵   푸른 대나무와 소나무 그림자 속에 암자가 있네.
遯世生涯移處足   세상을 물러난 생애, 옮긴 곳도 만족하니
淸風明月友成三   맑은 바람 밝은 달과 세 벗이 되었네.
임 진사에게 주다(贈任進士)
徃歲伯公先折桂   지난해 맏이가 먼저 과거에 급제하더니41)
今年仲氏上蓮堂   올해는 둘째가 연당42)에 올랐구나.
紅白桂蓮相繼得   붉은 계수 꽃43) 흰 연꽃44)을 잇달아 얻었으니
滿天明月倍增光   하늘 가득한 밝은 달이 배로 빛을 더하네.
주자의 시에 차운한다(謹次朱子韵)
心無有盡物無窮   마음에 끝이 없고 사물에도 또한 다함이 없으니
局處何妨見大通   국한된 곳인들 크게 통달하는 데 무슨 방해 되겠나.
物我雙泯樞始得   사물과 나를 모두 없애야 비로소 본질을 얻으리니
方知論異亦論同   다르다느니 같다느니 논의하였던 일 이제야 알겠구나.
월성의 시에 차운하여 회경 대사를 늦게 방문한 것에 사과한다(次月城韵謝會敬大師晩訪)
手執經卷坐松陰   경책을 손에 들고 소나무 그늘에 앉아
萬法收來會一心   모든 법을 거두어 한 마음에 모은다.
舊秩依前重展讀   옛 책을 여전히 거듭 펼쳐 읽으면서
多君田地轉增深   그대의 경지는 갈수록 깊이를 더하네.
몽훈 스님에게 주다(贈夢訓師)
山名鷄足寺開龍   산 이름은 계족이요 절 이름도 개룡이라
降下沙彌道氣濃   내려온 사미승마저도 도의 기운이 농익었구나.
况復勤工花錦上   게다가 부지런한 공부가 금상첨화가 되리니
應物不妨待扣鐘   만물에 순응하며 종소리를 기다리면 되겠네.
안 선사의 시에 화운하다노촌의 시운이다(和安禪師韵老村韵)
生涯洗鉢與燒香   평생동안 발우 씻고 향불을 사르는
事業分明道不亡   사업이 분명하면 도는 죽지 않으리라.
珎重祖師公案在   진실하고 소중한 조사의 공안이 있다.
誰知儒士亦評量   유가의 선비도 살펴 평정함을 누가 알았으랴.
관물觀物
萬物由來只一幻   만물의 유래가 원래 그저 허깨비라
靜觀無物不歸空   고요히 관찰하면 공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 없네.
雖然失脚蹉毫末   그렇지만 실수하여 터럭만큼이라도 어긋나면
異見紛紜各不同   다른 의견이 어지러워 각기 달라진다네.
소동식의 시에 화운하다(和蘇東軾韵)
相逢相話洞中天   신선 세상45)에서 만나 얘기하며
終日雍容謝俗緣   종일 온화한 얼굴로 세속 인연 사절했다.
儒釋誰云分二致   유가와 석가의 두 이치 누가 다르다고 하나
共忘形跡到郍邊   모습과 자취 모두 잊으면 그곳에 이르리라.
환속한 중을 비웃다(譏退俗漢)

010_0006_b_01L
乘昏扶杖渡溪南綠竹靑松影裡庵

010_0006_b_02L遯世生涯移處足淸風明月友成三

010_0006_b_03L贈任進士

010_0006_b_04L
徃歲伯公先折桂今年仲氏上蓮堂

010_0006_b_05L紅白桂蓮相繼得滿天明月倍增光

010_0006_b_06L謹次朱子韵

010_0006_b_07L
心無有盡物無窮局處何妨見大通

010_0006_b_08L物我雙泯樞始得方知論異亦論同

010_0006_b_09L次月城韵謝會敬大師晚訪

010_0006_b_10L
手執經卷坐松陰萬法收來會一心

010_0006_b_11L舊秩依前重展讀多君田地轉增深

010_0006_b_12L贈夢訓師

010_0006_b_13L
山名鷄足寺開龍降下沙彌道氣濃

010_0006_b_14L况復勤工花錦上應物不妨待扣鐘

010_0006_b_15L和安禪師韵老村

010_0006_b_16L
生涯洗鉢與燒香事業分明道不亡

010_0006_b_17L珎重祖師公案在誰知儒士亦評量

010_0006_b_18L觀物

010_0006_b_19L
萬物由來只一幻靜觀無物不歸空

010_0006_b_20L雖然失脚蹉毫末異見紛紜各不同

010_0006_b_21L和蘇東軾韵

010_0006_b_22L
相逢相話洞中天終日雍容謝俗緣

010_0006_b_23L儒釋誰云分二致共忘形跡到郍邊

010_0006_b_24L譏退俗漢

010_0006_c_01L至貧無賴繩樞子   가난하고 의지할 데 없는 가난뱅이46)
空手來爲富閏翁   빈손으로 와서 부유하고 윤택한 노인이 되었었지.
一夕下山還長髮   하룻저녁에 산을 내려가 다시 머리를 기르니
踈簷破壁舊家風   성긴 처마 헤진 벽의 예전 가풍이 여전하구나.
학업을 경계한다(戒學業)
汝曺勤業莫耽閑   너희는 학업에 부지런하고 한가함을 좋아하지 말라
恐喪桃花挾竹顏   복숭아꽃47)과 협죽의 얼굴을 잃을까 두렵구나.
悠悠百世鬢邊事   시름 많은 백 년 세월 귀밑머리 희어지는 일도
只在黃粱未熟間   단지 메조48)도 익기 전에 일어난 일이라네.
송암의 시에 차운한다(次松庵韵)
此道從來貫萬事   이 도는 예로부터 모든 일을 꿰뚫어서
等閑拈起與人看   아무렇지 않게 사람들에게 짚어 보이네.
別後欲知眞消息   헤어진 후로 참된 소식을 알고 싶으나
只有天邊月一團   다만 하늘 끝에 둥근 달 하나만 있구나.
서불사암에 제한다(題西不思庵)
勝境無言絆我留   수승한 경치가 말도 없이 나를 얽어 잡으니
幾人於此作仙遊   몇 사람이나 이곳에서 신선놀음했을까?
尋眞好趣知何處   진리를 찾는 좋은 흥취 어디 있는지 알겠으니
臥看滄溟萬里舟   누워서 푸른 바다 멀리 떠 있는 배를 본다네.
최 생원의 시에 화운한다(和崔生員韵)
水雲盡處是靑山   물과 구름 끝나는 자리 이 푸르른 산에
儒釋相從萬樹間   빽빽한 나무 사이 선비와 승려가 만났구나.
嘉會人生難再得   인생에 두 번 얻기 어려운 아름다운 모임에
不妨終日道談閑   종일토록 한가히 도를 이야기한들 어떠하랴.
진락대를 노래하다(咏眞樂臺)
眞如門外尋眞客   진여문 밖에서 진여를 찾는 나그네요
水石亭前洗衲僧   수석정 앞에서 누더기 빠는 중이로다.
濃陰滿地風生榻   천지간 녹음 짙고 책상에는 바람 이는데
身在瑤臺第幾層   이 몸은 요대49)의 몇 번째 층에 있는가.
은적암에 거하다(居隱寂庵)
境寂人閒晝掩扉   적막한 경계에서 사람은 한가하게 대낮에 사립을 닫고
不因送客出門稀   나그네 배웅할 때 아니면 문밖에 나가는 일 드물다.
南柯世事何煩問   남가의 꿈 같은50) 세상사를 어찌 귀찮게 묻는가
坐對春山歲月遲   앉아서 춘산 마주하면 세월이 더디기만 하네.
욱민이 말을 구하기에 답한다(賽旭敏求語)
懈怠於君大誤身   게으름은 그대의 몸을 크게 그르치리니
不妨蘊故更知新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아는 것이 좋지 않겠나.
學門爾立千尋壁   그대가 천심의 학문의 벽을 세울 수 있다면
可作吾家第一人   우리 문중에서 으뜸가는 사람이 될 수 있으리라.

010_0006_c_01L
至貧無賴繩樞子空手來爲富閏翁

010_0006_c_02L一夕下山還長髮踈簷破壁舊家風

010_0006_c_03L戒學業

010_0006_c_04L
汝曺勤業莫耽閑恐喪桃花挾竹顏

010_0006_c_05L悠悠百世鬢邊事只在黃粱未熟間

010_0006_c_06L次松庵韵

010_0006_c_07L
此道從來貫萬事等閑拈起與人看

010_0006_c_08L別後欲知眞消息只有天邊月一團

010_0006_c_09L題西不思庵

010_0006_c_10L
勝境無言絆我留幾人於此作1)仙遊

010_0006_c_11L尋眞好趣知何處臥看滄溟萬里舟

010_0006_c_12L和崔生員韵

010_0006_c_13L
水雲盡處是靑山儒釋相從萬樹間

010_0006_c_14L嘉會人生難再得不妨終日道談閑

010_0006_c_15L咏眞樂臺

010_0006_c_16L
眞如門外尋眞客水石亭前洗衲僧

010_0006_c_17L濃陰滿地風生榻身在瑤臺第幾層

010_0006_c_18L居隱寂庵

010_0006_c_19L
境寂人間 [2] 晝掩扉不因送客出門稀

010_0006_c_20L南柯世事何煩問坐對春山歲月遲

010_0006_c_21L賽旭敏求語

010_0006_c_22L
懈怠於君大誤身不妨蘊故更知新

010_0006_c_23L學門爾立千尋壁可作吾家第一人

010_0006_c_24L「仙遊‥里舟」十六字底本作小文字二行編

010_0006_c_25L者作本文活字

010_0007_a_01L
서울 가는 옥호를 송별한다(送玉瑚之京)
解虎杖頭黃夸熟   범 말리던 지팡이51) 끝에 누른 박이 익어가고
懸鶉衲上曉星殘   너덜너덜 누더기에 샛별이 스러진다.
天花落地多風雨   하늘 꽃 떨어진 자리 비바람이 많아서
可惜人生做別言   아쉬워라, 인생에 이별의 말을 해야겠네.
팔마비 시에 차운한다고려 때 순천부의 최석만이 비서에 올랐는데, 고을 사람들이 예에 따라 말 여덟 필을 바치자 새로 낳은 망아지까지 아울러 돌려보냈다고 한다. 그래서 그 공덕 기리는 비문이다(次八馬碑韵麗朝順天府崔碩滿 秩入秘書 即却邑人例 獻馬八匹并還生駒 故頌德)
百里臨民宿弊移   백 리 길 부임하여 폐이에 묵었으니
崔君淸德冠當時   최군의 청렴한 공덕은 당시에 으뜸이었다네.
捐官雖去棠陰在   벼슬을 버리고 떠나도 감당의 음덕52)은 남았으니
八馬何殊墮淚碑   팔마비와 타루비53)와 다를 것이 어디 있는가?
승평 수령께 올린다(上昇平倅)
誰知雲衲被公命   운납이 공의 명령을 받게 될 줄 누가 알았으랴
拂錫下山山欲嚬   지팡이 떨치며 산을 내려가니 산이 눈살을 찌푸리네.
儒釋相扶前代美   유가와 석가가 서로 돕는 일 예로부터 아름다운 풍속이니
願霑仁化免顚身   어진 교화에 젖어 전신을 면했으면 한다오.
안동 봉정사 월암 지한 방장의 영당 간경시에 화운한다(和安同鳳亭寺月巖知閑丈影堂刊經韵)
地靈也合隱高僧   땅의 신령함도 고승이 숨어 살기 알맞은데
運値流通爇萬燈   유통될 운세를 만나 일 만의 등불을 켰구나.
塵刼明明傳不盡   무량겁 지나도록 밝고 밝게 끝없이 전하여
十方三世徧揚騰   시방 삼세에 두루두루 드날리리라.
왜승에게 주다(贈倭僧)
論心莫以形㒵別   마음을 논할 때는 겉모습으로 분별하지 말고
接語須尋針芥緣   말을 들을 땐 바늘과 겨자씨처럼 작은 인연을 찾아라.
麗澤功夫情話足   여택54)의 공부에 정겨운 이야기 많으니
扶槡消息正無邊   부상55)의 소식은 정말 끝이 없구나.
최현 동지를 추도하다(悼㝡玄同知)
百年長計一朝塵   백 년 장구한 계획 하루아침에 티끌로 날아가고
轉𥉊便成異世人   눈 깜짝할 사이에 다른 세상 사람이 되었구나.
鶴髮堂親今尙在   백발의 부모님 지금 아직 살아 계시는데
問君何事忽亡身   무슨 일로 그대는 홀연히 몸을 버리셨는가?
진산 수령의 시에 차운하다(次珎山倅韵)
夢中人世夢中遊   꿈같은 인간 세상 꿈속처럼 노닐면서
白衲靑衫共上樓   승려와 선비가 함께 누각에 올랐네.
眞境須將心眼見   참된 경계는 모름지기 마음의 눈으로 보아야 하니
吾無隱矣露頭頭   나는 숨김이 없어서 낱낱이 다 드러내었다네.
삼가 백암56) 노스님의 송광사 수각 시에 차운한다(謹次栢庵老松廣水閣韵)

010_0007_a_01L送玉瑚之京

010_0007_a_02L
解虎杖頭黃夸熟懸鶉衲上曉星殘

010_0007_a_03L天花落地多風雨可惜人生做別言

010_0007_a_04L次八馬碑韵麗朝順天府崔碩滿秩入秘
即却邑人例獻馬八匹并
010_0007_a_05L還生駒
故頌德

010_0007_a_06L
百里臨民宿弊移崔君淸德冠當時

010_0007_a_07L捐官雖去棠陰在八馬何殊墮淚碑

010_0007_a_08L上昇平倅

010_0007_a_09L
誰知雲衲被公命拂錫下山山欲嚬

010_0007_a_10L儒釋相扶前代美願霑仁化免顚身

010_0007_a_11L和安同 [3] 鳳亭寺月巖知閑丈影堂刊
010_0007_a_12L經韵

010_0007_a_13L
地靈也合隱高僧運値流通爇萬燈

010_0007_a_14L塵刼明明傳不盡十方三世徧揚騰

010_0007_a_15L贈倭僧

010_0007_a_16L
論心莫以形㒵別接語須尋針芥緣

010_0007_a_17L麗澤功夫情話足扶槡消息正無邊

010_0007_a_18L悼㝡玄同知

010_0007_a_19L
百年長計一朝塵轉𥉊便成異世人

010_0007_a_20L鶴髮堂親今尙在問君何事忽亡身

010_0007_a_21L次珎山倅韵

010_0007_a_22L
夢中人世夢中遊白衲靑衫共上樓

010_0007_a_23L眞境須將心眼見吾無隱矣露頭頭

010_0007_a_24L謹次栢庵老松廣水閣韵

010_0007_b_01L到此悠悠世外情   이곳에 이르니 아득한 세상 밖의 정이라
松風水月帶三淸   소나무 바람 물에 비친 달이 삼청57)을 띠었네.
觀魚終日馮欄坐   종일 고기를 바라보며 난간에 기대어 앉았으니
一壑乾坤萬籟聲   한 골짜기 천지의 온갖 소리가 있구나.
수석정에 오르다(登水石亭)
兀然終日坐觀心   종일 우두커니 앉아 마음을 관찰하니
一味冲虗萬相沈   한 맛으로 텅 비어 모든 상이 잠기네.
回首日斜賓又去   고개 돌리면 해는 기울고 손도 또 가고
不妨閑聽晚蟬吟   저녁 매미 우는 소리 한가히 들어도 좋겠네.
인삼 스님을 애도하다(挽印三師)
悲風吼谷動寒林   골짝에 우는 슬픈 바람 차가운 숲을 흔드니
一曲薤歌孝子心   한 곡조 해로가58) 효자의 마음이구나.
主去未幾兄且去   주인이 가고 얼마 안 되어 형마저 떠나니
君臣何處更相尋   인군과 신하가 어디에서 다시 서로 찾을까?
무술년 동지에 대성을 송별하다(戊戌冬至送大性)
心事數莖新白髮   심사는 두어 가닥 흰 털을 새로 만들고
生涯一片舊靑山   생애는 한 조각 옛날 푸른 산이로구나.
出門相送多情緖   문을 나가 서로 배웅하자니 정회가 많은데
月在西峯歲又寒   달은 서쪽 봉우리에 있고 해는 또 차갑네.
연시의 운에 차운한다(次蓮詩韵)
抱病殘生到老年   병을 안은 쇠잔한 목숨 노년에 이르렀지만
於禪於敎兩無緣   선에도 교에도 양쪽에 다 인연은 없었네.
虗生浪死無餘日   헛되이 살다 값없이 죽을 날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誰把我名後世傳   그 누가 내 이름을 가져다 후세에 전하겠는가.
두륜산 인정 스님에게 주다(贈頭輪仁定師)
長春洞裡舊緇郞   장춘동 안에 살던 친한 스님들이
來入曺溪兩道場   조계산 두 도량으로 들어왔구나.
楊柳梧桐籠塔地   버드나무 오동나무 탑 자리를 가리고
淸風明月好昇堂   맑은 바람 밝은 달은 당에 오르기 좋겠네.
오언사운五言四韵
여시 거사에게 올리다목천 수령 김광수59)이다.(上如是居士木川宰金光秀)
貝葉繹多憾     패엽경을 뒤적이면 감회가 많은데
韋編讀幾窮     위편60)은 읽다가 몇 번이나 끊겼던가.
無言天寂寂     말이 없는 하늘은 적적하고
現相佛空空     상으로 드러난 부처는 공공하구나.
道契形骸外     도는 형체의 밖에서 계합하고
神融法界中     정신은 법계 안에서 화합한다.
試看天月在     하늘에 있는 달을 한번 보아라
何處不相同     어느 곳에 선들 같지 않던가?
이지봉이 송광사 삼청각에 제한 글에 차운하다3수(次李芝峯題松廣寺三淸閣)三首

010_0007_b_01L
到此悠悠世外情松風水月帶三淸

010_0007_b_02L觀魚終日憑欄坐一壑乾坤萬籟聲

010_0007_b_03L登水石亭

010_0007_b_04L
兀然終日坐觀心一味冲虗萬相沈

010_0007_b_05L回首日斜賓又去不妨閑聽晚蟬吟

010_0007_b_06L挽印三師

010_0007_b_07L
悲風吼谷動寒林一曲薤歌孝子心

010_0007_b_08L主去未幾兄且去君臣何處更相尋

010_0007_b_09L戊戌冬至送大性

010_0007_b_10L
心事數莖新白髮生涯一片舊靑山

010_0007_b_11L出門相送多情緖月在西峯歲又寒

010_0007_b_12L次蓮詩韵

010_0007_b_13L
抱病殘生到老年於禪於敎兩無緣

010_0007_b_14L虗生浪死無餘日誰把我名後世傳

010_0007_b_15L贈頭輪仁定師

010_0007_b_16L
長春洞裡舊緇郞來入曺溪兩道場

010_0007_b_17L楊柳梧桐籠塔地淸風明月好昇堂

010_0007_b_18L

010_0007_b_19L下五言四韵

010_0007_b_20L上如是居士木川宰金光秀

010_0007_b_21L
貝葉繹多憾韋編讀幾窮

010_0007_b_22L無言天寂寂現相佛空空

010_0007_b_23L道契形骸外神融法界中

010_0007_b_24L試看天月在何處不相同

010_0007_b_25L次李芝峯題松廣寺三淸閣三韵

010_0007_c_01L揮錫雲林撥     지팡이 날려 구름 숲을 헤치고
鳴跫石逕行     발자국 울리며 돌길을 가네.
境勝從天作     수승한 경계는 하늘의 작품을 따르고
僧眞得氣淸     진실한 승려는 맑은 기운을 얻었구나.
月籠沙岸白     달은 모래 언덕을 하얗게 감싸고
風激㵎松聲     바람은 물가 소나무를 소리 나게 치네.
畫閣虹橋在     그림 누각과 무지개다리가 있으니
何人不繫情    누구인들 마음을 매지 않겠는가? 하나

物外心塵淨     세상 밖에서는 마음의 티끌 깨끗해져도
人間事數重     인간 세상의 일들은 여러 겹이라네.
樓臺留漢日     누대에는 한나라의 해가 머물러 있으니
松石避秦封     소나무며 돌멩이, 진나라 벼슬61)을 피했구나.
門掩先生柳     문은 오류선생의 버드나무62)로 가렸고
山多處士松     산에는 처사의 소나무가 많구나.63)
蜂房僧拜佛     승방의 승려가 부처님께 예배하니
半夜月邊鐘    한밤중 달 언저리로 종소리가 울리네.

千年松廣寺     천 년 송광사에
萬古枕溪樓     만고 침계루로다.
靑嶂磨天立     푸른 산은 하늘을 만질 듯 서 있고
寒川打石流     차가운 시내는 돌부리를 치며 흐르네.
鏡堂長影水     경당64) 그림자 물에 길게 비치는데
香樹幾經秋     향나무65)는 몇 해를 지나왔는가.
勝賞知難得     이렇게 좋은 구경 다시 얻기 어려우니
何妨秉燭遊    촛불을 잡고서 놀아본들 어떠하리.
촉규화를 노래한다(詠蜀葵花)
對人如見笑     사람을 대할 때에는 웃는 듯하다.
驚客渾無聲     나그네를 놀랠 때는 전혀 소리가 없네.
爛熳天眞色     천진난만한 빛깔은
參差地氣精     들쑥날쑥한 땅 기운의 정수로다.
四花疑是一     네 가지 꽃 중 하나가 아닐까
七寶恨無名     일곱 보석에 이름이 빠진 것이 아쉽구나.
節序休催徃     절기의 차례를 재촉해 가지 말아라
落來恐損英     떨어지면 그 꽃봉오리 다칠까 두렵다.
제야除夜
扶槡陽出晏     부상에는 해가 늦게 뜨지만
晚浦鴈歸先     늦은 포구 기러기는 먼저 돌아가네.
歲盡梅腮月     한 해가 다하니 매화 뺨에 달이 어리고
風和柳眼煙     바람이 부드러워 버들눈에 연기가 일렁인다.
曺溪寒樹外     조계산 차가운 수풀 밖
樂邑暮鐘前     낙안읍 저녁 종소리 앞이라네.
添得鬂邊雪     귀밑머리에 흰 눈발 더할 터이니
悽然不就眠     처량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겠다.
경성 지족거사의 시에 차운한다(次京城知足居士韵)
寧務身前善     살아서는 몸 앞의 선업에 힘쓸지언정
何須死後名     죽은 다음의 이름이야 어찌 구하겠는가.

010_0007_c_01L
揮錫雲林撥鳴跫石逕行

010_0007_c_02L境勝從天作僧眞得氣淸

010_0007_c_03L月籠沙岸白風激澗松聲

010_0007_c_04L畫閣虹橋在何人不繫情(一)

010_0007_c_05L物外心塵淨人間事數重
010_0007_c_06L樓臺留漢日松石澼秦封

010_0007_c_07L門掩先生柳山多處士松

010_0007_c_08L蜂房僧拜佛半夜月邊鐘(二)

010_0007_c_09L千年松廣寺萬古枕溪樓

010_0007_c_10L靑嶂磨天立寒川打石流

010_0007_c_11L鏡堂長影水香樹幾經秋
010_0007_c_12L勝賞知難得何妨秉燭遊(三)

010_0007_c_13L詠蜀葵花

010_0007_c_14L
對人如見笑驚客渾無聲

010_0007_c_15L爛熳天眞色參差地氣精

010_0007_c_16L四花疑是一七寶恨無名

010_0007_c_17L節序休催徃落來恐損英

010_0007_c_18L除夜

010_0007_c_19L
扶槡陽出晏晚浦鴈歸先

010_0007_c_20L歲盡梅腮月風和柳眼煙

010_0007_c_21L曺溪寒樹外樂邑暮鐘前

010_0007_c_22L添得鬂邊雪悽然不就眠

010_0007_c_23L次京城知足居士韵

010_0007_c_24L
寧務身前善何須死後名

010_0008_a_01L藥因療病出     약은 병을 치료하느라 생겼고
鐘待動搥鳴     종은 망치로 때려야 울리느니라.
藏陸修持少     장육은 닦아 지니는 것이 적어서
朝三喜怒生     조삼66)에 기쁨과 분노가 생겨나네.
莫拘衣帶別     의대가 다른 것에 얽매이지 말고
一法共留情     하나의 법에 다 함께 마음을 두자.
징광사 시에 차운한다(次澄光寺韵)
奈苑幽閑靜     내원67)은 그윽하고 고요한데
岡巒體勢開     산봉우리의 형세는 트여 있구나.
潭澄涵皎月     못이 맑아서 밝은 달을 담았고
山淨洗浮埃     산은 깨끗하여 뜬 먼지를 씻겠네.
咏菊香生頰     국화를 읊으면 뺨에서 향기가 나고
傾茶雪滿盃     찻잔을 기울이면 눈이 잔에 가득하네.
法門何處至     법문이 어디에서 이르렀는가
白馬駄經來     백마에 경전을 싣고 왔다네.
부석사에 제하다(題浮石寺)
三日留浮石     사흘 동안 부석사에 머무르면서
十年破遠情     십 년 동안의 먼 정회를 다하였다.
無爲山漸屹     무위의 산이 차츰 높아가고
不鑿水流平     파지 않은 물이 평평하게 흐른다.
千郡雲生峀     고을마다 구름은 산굴에서 생겨나고
萬家月滿庭     집집마다 달은 뜰 안에 가득하다.
乾坤收一望     천지를 한눈에 거두어 놓고
閑坐讀禪經     한가히 앉아서 선경을 읽는다.
취원루 신재 시에 차운한다(次聚遠樓愼齋韵)
蕭寺隣星漢     고요한 절은 은하수와 이웃하였고
高樓壓遠山     높은 누각은 깊은 산을 누르고 있네.
金沙珍寶界     금빛 모래는 진보의 경계이며
玉砌甲人間     옥빛 섬돌은 세상에서 으뜸이네.
列嶽千秋立     늘어선 산은 천추 세월을 서 있고
孤笻半日閑     외로운 지팡이 반나절 한가하네.
吟罷重回首     시 읊기를 마치고 거듭 머리를 돌리니
林端倦鳥還     숲 끝으로 고단한 새가 돌아온다.
도림사 신덕암에 제한다(題道林寺神德庵)
道林眞勝寺     도림사, 참으로 훌륭한 절에
神德是名蘭     신덕암, 이 유명한 암자로다.
日月峯相近     해와 달이 봉우리와 가깝고
江山境更寛     강과 산의 경계는 더욱 너르네.
臨軒開眼界     난간에 자리하면 안계가 열리고
看竹養心丹     대나무 보면서 심단을 기른다.
盤石尤稱好     반석은 더구나 좋다고 일컬어지니
詩仙幾駐鞍     시 짓는 신선들 몇이나 찾아왔던가.
벽곡 시에 차운한다2수(次碧谷韵二首)

010_0008_a_01L藥因療病出鐘待動搥鳴

010_0008_a_02L藏陸修持少朝三喜怒生

010_0008_a_03L莫拘衣帶別一法共留情

010_0008_a_04L次澄光寺韵

010_0008_a_05L
奈苑幽閑靜岡巒體勢開

010_0008_a_06L潭澄涵皎月山淨洗浮埃

010_0008_a_07L咏菊香生頰傾茶雪滿盃

010_0008_a_08L法門何處至白馬駄經來

010_0008_a_09L題浮石寺

010_0008_a_10L
三日留浮石十年破遠情

010_0008_a_11L無爲山漸屹不鑿水流平

010_0008_a_12L千郡雲生峀萬家月滿庭

010_0008_a_13L乾坤收一望閑坐讀禪經

010_0008_a_14L次聚遠樓愼齋韵

010_0008_a_15L
蕭寺隣星漢高樓壓遠山

010_0008_a_16L金沙珍寶界玉砌甲人間

010_0008_a_17L列嶽千秋立孤笻半日閑

010_0008_a_18L吟罷重回首林端倦鳥還

010_0008_a_19L題道林寺神德庵

010_0008_a_20L
道林眞勝寺神德是名蘭

010_0008_a_21L日月峯相近江山境更寛

010_0008_a_22L臨軒開眼界看竹養心丹

010_0008_a_23L盤石尤稱好詩仙幾駐鞍

010_0008_a_24L次碧谷韵二首

010_0008_b_01L光輝無表裏     광휘는 속과 겉이 없으며
風月滿全身     풍월은 온몸에 가득 찬다.
應物分長短     사물에 응하여 길고 짧음을 나누고
隨時任屈伸     때에 따라 굽히고 펴기를 내맡긴다.
放行彌六合     놓아 펼치면 온 세상을 채우고
歛跡納纎塵     자취를 거두면 티끌 안에 들어간다.
道本無彼此     도는 본래 이것저것이 없으니
何容面目親    어찌 면목의 친소가 용납되겠나. 하나

生涯無長物     생애에 넉넉히 남는 물건은 없으니68)
瓶錫但隨身     물병과 지팡이만이 몸을 따른다.
道統兼衣鉢     도의 전통으로 의발을 겸해야 하지만
行裝或屈伸     행장을 꾸릴 때는 혹 굽히기도 펴기도 한다.
口說千般法     입으로는 천 가지 법을 말하지만
情存萬斛塵     정에는 만 섬의 티끌이 있다네.
世緣長不祛     세상 인연을 오래도록 버리지 못하니
難與法王親    법왕과 가깝기는 진정 어렵구나.
삼가 완화옹의 서부도 시에 차운한다2수(謹次玩華翁西浮屠韵二首)
千年名勝地     천 년의 명승지에
卓錫好懷開     지팡이 세우니 좋은 회포를 풀었네.
聳嶂磨天立     우뚝한 산은 하늘에 닿을 듯 섰고
行雲載月來     지나는 구름은 달을 싣고 오는구나.
鳥吟山色去     새는 산빛을 읊조리며 떠나고
僧帶水聲廻     중은 물소리를 띠고 돌아온다.
國老遺眞在     국로가 참을 남겨 주셨으니
焚香起欽哉    향을 사르고 일어나 흠향하여라.하나

水勢雙龍合     물은 두 마리 용이 모이는 형세이고
山形去復還     산은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모양이라.
境隨人共靜     경계는 사람 따라 함께 고요하며
松與石俱盤     소나무와 돌이 다 받침이 되어 주네.
宿雲封古塔     잔 구름 옛 탑을 감싸고
征鴈報天寒     떠나는 기러기는 찬 계절을 알리네.
物物含眞態     물건마다 참된 모양을 품어
看來一味閑    바라보면 하나같이 한가롭구나.
백암 철의 시에 차운한다(次栢巖哲韵)
洗盂兼洗衲     발우를 씻고 누더기도 씻으며
閑坐又閑行     한가히 앉았다가 또 한가히 거닌다.月向懷中照     달은 가슴 속으로 비쳐 들고
風從脚下生     바람은 다리 밑에서 생겨난다.
擲笻調二虎     지팡이 던져 두 호랑이69)를 길들이고
放箭憶三平     화살을 놓으며 삼평70)을 생각한다.
誰識幽居樂     숨어 사는 즐거움을 누가 알겠나
藏蹤不露名     자취를 감추고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리라.
사방의 산을 구경하러 가는 교평을 송별한다(送敎萍玩四山)
困脚春泥濕     봄날 진흙 길 질척하여 다리도 아플 텐데
侵笻曉月朧     어스름 새벽달에 지팡이를 꽂는구나.

010_0008_b_01L
光輝無表裏風月滿全身

010_0008_b_02L應物分長短隨時任屈伸

010_0008_b_03L放行彌六合歛跡納纎塵

010_0008_b_04L道本無彼此何容面目親(一)

010_0008_b_05L生涯無長物瓶錫但隨身

010_0008_b_06L道統兼衣鉢行裝或屈伸

010_0008_b_07L口說千般法情存萬斛塵

010_0008_b_08L世緣長不袪 [4] 難與法王親(二)

010_0008_b_09L謹次玩華翁西浮屠韵二首

010_0008_b_10L
千年名勝地卓錫好懷開

010_0008_b_11L聳嶂磨天立行雲載月來

010_0008_b_12L鳥吟山色去僧帶水聲廻

010_0008_b_13L國老遺眞在焚香起欽哉(一)

010_0008_b_14L水勢雙龍合山形去復還

010_0008_b_15L境隨人共靜松與石俱盤

010_0008_b_16L宿雲封古塔征鴈報天寒

010_0008_b_17L物物含眞態看來一味閑(二)

010_0008_b_18L次栢巖哲韵

010_0008_b_19L
洗盂兼洗衲閑坐又閑行

010_0008_b_20L月向懷中照風從脚下生

010_0008_b_21L擲笻調二虎放箭憶三平

010_0008_b_22L誰識幽居樂藏蹤不露名

010_0008_b_23L送敎萍玩四山

010_0008_b_24L
困脚春泥濕侵笻曉月朧

010_0008_c_01L一葉靑丘域     한 조각 이 나라 국토에
三韓舊界封     삼한의 옛 경계를 봉하였네.
王城看日下     왕성에서 도성을 보고
佛國問關東     불국에서 관동을 물으리.
遊方無已事     지방마다 떠돌며 그치지 않을 일
遊畢返爾翁     유람을 마치거든 그대 돌아오시라.
금혜에게 면학을 권한다(勸錦惠學)
淸寒從我學     나를 따르며 청한을 배웠는데
講習豈他家     강습은 어찌하여 다른 곳에서 하는가.
月夕同床臥     달 뜨는 저녁이면 함께 평상에 누웠고
風朝共啜茶     바람 부는 아침에는 같이 차를 마셨지.
手將馴虎錫     손에는 범을 길들일 석장을 들고
眉濕宿簷霞     잠자던 처마 노을에 눈썹을 적시리.
莫取三常足     삼상71)을 풍족하게 취하지 말라
恐君一念差     그대 한 생각에 어긋날까 두렵구나.
목곡 이순상의 시에 차운한다밀양 표충사 육대가 가운데 한 분이다(次牧谷李巡相韵密陽表忠六大家一)
倭冦陸梁日     왜구가 어지럽게 날뛰던 때에
奮忠奏出師     충성을 떨쳐 군사를 일으켰네.
故山猿鶴怨     고향 산 원숭이와 학은 원망해도
別國姓名知     다른 나라에서는 그 이름을 다 안다네.
䟽獻三朝策     삼조의 계책을 상소로 올리고
功勝六計奇     육계의 기이한 공이 훌륭했네.
旣分蚌鷸勢     방휼72)의 전세를 분변하고서
栢樹靜看枝     조용히 잣나무 가지를 바라보았네.
칠언사운七言四韵
처음 연담73)옹에게 드리다2수(初呈蓮翁二首)
洗衲淸溪雨後尋   비 온 후 납의 씻으러 맑은 시내 찾아가
坐來終日對蒼林   온종일 앉아서 푸른 숲을 마주하였네.
攻文豈合滛詩律   글을 잘 짓자고 어찌 음란한 시율에 맞출까
硏法端宜做定心   법을 연마하려면 정심을 잡아야 하네.
出世道芽因病減   세상을 벗어날 도의 싹은 병 때문에 줄어드는데
隨塵情海逐年深   티끌을 따르는 정의 바다는 나이 따라 깊어 간다.
問君何術山無逼   그대는 무슨 술법으로 산속에서도 아무 위협 없이
免却枯藤二鼠侵  마른 등나무를 갉아오는 두 마리 쥐의 습격74)을 면하는가. 하나

衰暮䫋齡耳又鳴   나이 들어 몸은 쇠약하고 귀까지 또 울리니
流光六十減神淸   흐르는 세월 예순 해에 맑은 정신 상하였네.
律儀因病成疎逸   율의는 병 때문에 자꾸 소홀하게 되고
禪學多思未發明   선학도 생각만 많지 분명 해진 것은 없다네.
虗說脫空消百歲   부질없이 해탈과 공을 얘기하며 백 년을 버리고
貪眠昏黑過三更   잠자는 걸 좋아하여 어둠 속에 삼경을 다 보냈네.
願將出得瓶鵝藥   병 속에 든 거위75)를 꺼낼 수 있는 약이 나와서
分施刀圭起死生   의술76)을 베풀어 죽을 사람을 살려내길 바라네.

010_0008_c_01L一葉靑丘域三韓舊界封

010_0008_c_02L王城看日下佛國問關東

010_0008_c_03L遊方無己事遊畢返爾翁

010_0008_c_04L勸錦惠學

010_0008_c_05L
淸寒從我學講習豈他家

010_0008_c_06L月夕同床臥風朝共啜茶

010_0008_c_07L手將馴虎錫眉濕宿簷霞

010_0008_c_08L莫取三常足恐君一念差

010_0008_c_09L次牧谷李巡相韵密陽表忠
六大家一

010_0008_c_10L
倭冦陸梁日奮忠奏出師

010_0008_c_11L故山猿鶴怨別國姓名知

010_0008_c_12L䟽獻三朝策功勝六計奇

010_0008_c_13L旣分蚌鷸勢栢樹靜看枝

010_0008_c_14L

010_0008_c_15L下七言四韵

010_0008_c_16L初呈蓮翁二首

010_0008_c_17L
洗衲淸溪雨後尋坐來終日對蒼林

010_0008_c_18L攻文豈合滛詩律硏法端宜做定心

010_0008_c_19L出世道芽因病減隨塵情海逐年深

010_0008_c_20L問君何術山無逼免却枯藤二鼠侵(一)

010_0008_c_21L衰暮䫋齡耳又鳴流光六十減神淸

010_0008_c_22L律儀因病成疎逸禪學多思未發明

010_0008_c_23L虗說脫空消百歲 [5] 眠昏黑過三更

010_0008_c_24L願將出得瓶鵝藥分施刁 [6] 圭起死生(二)

010_0009_a_01L
조오자가 연담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和釣鰲子與蓮潭韵)
莫道人無百世師   백세의 스승 될 사람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茅荊從昔隱英奇   예로부터 띠풀로 얽은 집에 뛰어난 사람이 숨어 살았네.
軒冕未必窮心法   높은 벼슬을 한다고 마음의 법을 다 알지는 못하듯
陋巷何妨翫古詩   누추한 거리에 살아도 옛 시를 완상함에 거리낄 것 없네.
利窟投身休促促   이익의 굴에 몸을 던질 때 급급하지 말고
仁鄕訪友莫遲遲   어진 고을 벗을 찾을 때 게으르지 말라.
相求千里形骸外   천리 몸 밖에서 서로 구하여
道術相忘更有誰   도와 술을 잊는 이가 또 누구이겠는가.
삼가 병신년의 국휼77) 시에 차운한다(謹次丙申國恤韵)
萬機輕重主吾心   모든 기밀 가볍고 무거움이 마음에 달렸다지만
九十春光歲月深   구십 년 봄 경치에 세월이 깊었구나.
荊峀龍飛塵土遠   형수의 용이 날아오르니78) 진토가 멀어졌고
蒼梧日暮樂音沈   창오79)에 해가 저물자 음악 소리 잠겼다.
繼體付人兼付法   뒤를 이어 사람을 붙이고 또 법을 붙이니
神威如去又如臨   신위는 가시는 듯 또 임하는 듯하여라.
窮山草野同奔哭   궁산 초야에 모두 달려가 곡을 하니
若喪考妣失厚陰   아버지 어머니 두터운 그늘을 잃은 것 같구나.
조수재에게 화답한다(和趙秀才)
病禽迎鶴好懷開   병든 새가 학을 만나 좋은 회포를 풀듯이
興味無端世外嵬   그 흥취 까닭 없이 세상 밖에 우뚝하였다.
相知貴得忘形器   서로 알 때 형기를 잊음을 귀히 여기니
行樂何須勸酒盃   즐겨 놀 때 어찌 꼭 술잔을 권해야 하겠는가.
萬木春風吹古洞   모든 나무의 봄바람이 옛 골짜기에 불고
一輪明月照靈臺   둥글고 밝은 달 신령한 누대를 비추네.
花雨諸天多勝景   꽃비 내리는 여러 하늘에 좋은 경치가 많아
江山佳句共吟廻   강산의 아름다운 글귀를 함께 읊으며 돌아오네.
자음自吟
由來否泰命攸鍾   원래 길함과 흉함은 운명이 모인 것이니
靉靆前因孰告蹤   뭉게뭉게 전생의 인연은 누가 자취를 알릴까.
六尺炎凉風雨際   육 척 작은 몸은 더위와 추위 비바람 끝에 있는데
百年指馬是非中   백 년 평생 손가락과 말80)의 시비 가운데로구나.
貧將困共愁難制   가난이 고달픔을 가져오니 시름을 누르기 어렵고
病與齒深道轉窮   병이 나이와 더불어 깊어지니 도가 더욱 막히네.
賴有庭前雙栢樹   뜰 앞의 두 그루 잣나무에 의지하되
任他霜雪伴寒松   서리와 눈에 맡겨 두고 찬 소나무를 짝하네.
송 삼대현의 시에 화운한다육자수81)ㆍ육자정82)ㆍ주회암83)을 말한다(和宋三大賢詩陸子壽 陸子精 朱晦庵)
英邁高風幾徃欽   출중하고 높은 풍도 얼마나 흠모하였던지
分明詩句玩吾心   분명한 시 구절 내 마음에 익숙하구나.
須知佛學連儒旨   불가의 학문이 유가의 뜻과 이어짐을 알아야 하니
更信南山接北岑   남쪽 산이 북쪽 봉우리와 닿은 걸 새삼 믿게 되었네.
七點星辰頻徃復   일곱 점 북두성은 빈번하게 갔다가 돌아오고
雙輪日月互昇沈   두 바퀴 해와 달은 번갈아 솟았다가 잠긴다.

010_0009_a_01L和釣鰲子與蓮潭韵

010_0009_a_02L
莫道人無百世師茅荊從昔隱英奇

010_0009_a_03L軒冕未必窮心法陋巷何妨翫古詩

010_0009_a_04L利窟投身休促促仁鄕訪友莫遲遲

010_0009_a_05L相求千里形骸外道術相忘更有誰

010_0009_a_06L謹次丙申國恤韵

010_0009_a_07L
萬機輕重主吾心九十春光歲月深

010_0009_a_08L荊峀龍飛塵土遠蒼梧日暮樂音沈

010_0009_a_09L繼體付人兼付法神威如去又如臨

010_0009_a_10L窮山草野同奔哭若喪考妣失厚陰

010_0009_a_11L和趙秀才

010_0009_a_12L
病禽迎鶴好懷開興味無端世外嵬

010_0009_a_13L相知貴得忘形器行樂何須勸酒盃

010_0009_a_14L萬木春風吹古洞一輪明月照靈臺

010_0009_a_15L花雨諸天多勝景江山佳句共吟廻

010_0009_a_16L自吟

010_0009_a_17L
由來否泰命攸鍾靉靆前因孰告蹤

010_0009_a_18L六尺炎凉風雨際百年指馬是非中

010_0009_a_19L貧將困共愁難制病與齒深道轉窮

010_0009_a_20L賴有庭前雙栢樹任他霜雪伴寒松

010_0009_a_21L和宋三大賢詩陸子秀 [7] 陸子
精朱晦庵

010_0009_a_22L
英邁高風幾徃欽分明詩句玩吾心

010_0009_a_23L須知佛學連儒旨更信南山接北岑

010_0009_a_24L七點星辰頻徃復雙輪日月互昇沈

010_0009_b_01L試觀體用俱全地   체용이 모두 완전한 자리를 한 번 보시라
無古今時有古今   고금이 없어진 때에 고금이 있는 것이라네.
삼가 여섯 대가의 표충시 가운데 후계 조유수84)의 시에 차운한다(謹次六大家表忠韵中后溪趙裕壽韵)
盡忠奮義泛東溟   충성을 다하고 의기를 떨치려 동해를 건너가
仗節只要息戰鯨   부절을 잡고 그저 싸우는 고래를 쉬게 하려 하였네.
食肉謾陳多士策   고기 먹는 많은 병사들 실없는 계책을 늘어놓았으나
持珠方許一僧靈   염주를 잡은 한 중에게 비로소 영험함을 허여하였네.
蠻坑滅熖松雲冷   오랑캐 구덩이에서 소나무 구름85) 냉기로 불을 끄고
獜閣啚形杖鉢并   기린각86) 형상에서 주장자와 바리를 아우르네.
安得衲將重出世   어떻게 해야 승병 장군께서 다시 세상에 나오시어
滌除大鼠劔餘腥   큰 쥐를 없애고 그 칼에 남은 비린내를 씻을까.
사천87) 병연의 시에 차운한다(次槎川秉淵韵)
佛力神功豈杳茫   부처님 신령한 공력 어찌 아득히 멀기만 하랴
徃來全杖濟慈航   오나가나 언제나 부처님 자비의 배를 잡았네.
仁風䬃䬃隨笻拂   어진 바람 지팡이 따라 떨쳐 일어났다.
蠻浪遲遲擧步長   오랑캐 물결 지지해지자 긴 걸음을 내딛는다.
赤子登舟歸故國   백성들은 배에 올라 고국으로 돌아가고
蒼髯設像掛高堂   푸른 수염 상을 만들어 높은 당에 걸었네.
可憐虗老重光業   가련해라 중광의 업으로 헛되이 늙었구나
開卷瞭然衆手章   책을 펼치자 아득한 중수장이로다.

010_0009_b_01L試觀體用俱全地無古今時有古今

010_0009_b_02L謹次六大家表忠韵中后溪趙裕壽
010_0009_b_03L

010_0009_b_04L
盡忠奮義泛東溟仗節只要息戰鯨

010_0009_b_05L食肉謾陳多士策持珠方許一僧靈

010_0009_b_06L蠻坑滅熖松雲冷獜閣啚形杖鉢并

010_0009_b_07L安得衲將重出世滌除大鼠劔餘腥

010_0009_b_08L次槎川秉淵韵

010_0009_b_09L
佛力神功豈杳茫徃來全杖濟慈航

010_0009_b_10L仁風䬃䬃隨笻拂蠻浪遲遲擧步長

010_0009_b_11L赤子登舟歸故國蒼髯設像掛高堂

010_0009_b_12L可憐虗老重光業開卷瞭然衆手章

010_0009_b_13L
  1. 8)소사蕭寺 : 사찰을 가리킨다. 남조南朝 양 무제梁武帝가 사찰을 지은 다음, 자신의 성姓인 ‘소蕭’ 자를 쓰게 한 일에서 유래하였다.
  2. 9)제시提撕 : 각성한다는 뜻이다. 주희가 방빈왕方賓王에게 답한 편지에 “항상 스스로 각성해서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그 공을 쌓아 가야 할 것이니, 이렇게 지속하다 보면 자연히 공이 이어져서 타성일편의 경지를 이루게 될 것이다.(只要常自提撕 分寸積累將去 久之自然接續 打成一片耳)”라는 말이 있다. 『晦菴集 卷56 答方賓王』
  3. 10)공발空鉢 : 어느 날 부처님이 마을에 들어가 음식을 빌었으나 얻지 못하고 빈 발우로 돌아왔다. 악마가 그것을 보고 말하기를, “다시 한번 걸식을 하러 간다면 반드시 음식을 얻게 될 것이요.” 부처님은 시를 읊어 답하였다. “비록 음식을 얻지 못해도 나는 또한 즐겁다. 마치 광음천이 환희를 음식과 주거로 삼는 것과 같이.” 『상응부경전』4 「악마상응惡魔相應」에 나온다.
  4. 11)액진厄陳 : 공자가 진陳에서 액을 당하여 끼니를 굶은 일을 말한다. 『사기史記』「공자세가孔子世家」에 “공자가 진陳ㆍ채蔡의 사이에 있을 적에 초楚 나라에서 사람을 시켜 공자를 초빙하자, 진ㆍ채의 대부들이 말하기를 ‘공자는 현자이므로 만약 초나라에 그가 쓰이게 된다면 진ㆍ채의 대부들이 위태롭게 될 것이다.’ 하고 서로 역도役徒를 시켜 공자를 포위하므로 공자가 가지 못하고 양식이 떨어져서 제자들이 주린 기색이 있었다.” 하였다.
  5. 12)연사蓮社 : 동진東晉의 명승 혜원慧遠이 384년 여산에 동림사를 세우고 402년에 만든 서방 왕생의 정토 신앙을 내용으로 하는 염불 수행 결사인 백련사白蓮社을 말한다. 동림사를 세울 때 백련을 많이 심은 데서 이 이름이 나왔다고 한다. 도사인 육수정陸修靜, 시인인 도연명陶淵明 등이 이곳을 찾았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6. 13)삼재三才 : 음양설陰陽說에서 만물을 제재制裁한다는 뜻으로, 천天ㆍ지地ㆍ인人을 가리킨다.
  7. 14)호련瑚璉 : 호瑚과 련璉은 모두 종묘에서 서직黍稷을 담는 그릇으로, 옥으로 장식한 귀중하고 화려한 제기이다. 『논어』「공야장公冶長」에서, 공자가 자공子貢의 사람 됨을 호련에 비유하였기에, 고귀한 인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8. 15)요양遼陽 : 한대漢代의 요동遼東 사람인 정령위丁令威이 영허산靈虛山에서 신선술을 배워 신선이 되었다. 후에 학이 되어 요양성遼陽城 성문의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는데, 한 소년이 활로 쏘려 하자 날아올라 공중을 배회하며 이런 노래를 하고 높이 하늘로 치솟아 올라가 버렸다 한다. “새가 날아왔으니 이는 정령위라, 집을 떠난 지 천년 만에 지금에야 돌아왔다. 성곽은 전과 같으나 사람들은 예전 사람이 아니구나. 왜 신선을 배우지 않고서 무덤만 총총한가?(有鳥有鳥丁令威, 去家千年今始歸. 城郭如故人民非, 何不學仙櫐櫐?)” 『수신후기搜神後記』에 나온다.
  9. 16)하어河魚 : 복통과 설사를 말한다. 물고기가 썩을 때 뱃속부터 썩으므로 속병이 있는 자를 물고기에 비유한 것이다.
  10. 17)새옹塞翁 :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변방 근처에 사는 노인의 말이 도망쳐서 오랑캐 땅으로 들어가 사람들이 모두 위로하니, 그 노인이 ‘이것이 도리어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는가.’ 하였다. 몇 달 뒤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여러 마리를 데리고 돌아와 사람들이 모두 축하하자, 노인은 ‘이것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집에 좋은 말이 많아졌는데, 그의 아들이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1년 뒤에 오랑캐들이 대거 침입하자 장정들이 모두 나가 싸워 변방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죽었다. 그런데 그의 아들만은 다리가 부러진 관계로 부자가 모두 온전하게 살 수 있었다.”라고 하였다.
  11. 18)육침陸沈 : 원래 숨어 사는 은자를 뜻하는 말인데 뒤에 매몰되어 불우한 처지에 떨어진 인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12. 19)허백虛白 : 『장자』「인간세人間世」에 “저 뚫린 벽을 보면 빈방 안에 흰빛이 있고, 거기에는 길한 징조가 깃들어 있다.(瞻彼闋者, 虛室生白, 吉祥止止.)” 한 데서 인용한 것이다.
  13. 20)장원호접莊園蝴蝶 : 『장자』「제물론齊物論」에 “언젠가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나풀나풀 잘 날아다니는 나비의 입장에서 스스로 유쾌하고 만족스럽기만 하였을 뿐 자기가 장주인 것은 알지도 못하였다. 그런데 조금 뒤에 잠을 깨고 보니 몸이 뻣뻣한 장주라는 인간이었다.(昔者莊周夢爲胡蝶, 栩栩然胡蝶也 自喩適志與, 不知周也, 俄然覺則蘧蘧然周也.)”라고 하였다.
  14. 21)근문根門 : 안眼ㆍ이耳ㆍ비鼻ㆍ설舌ㆍ신身ㆍ의意 등의 육근六根은 갖가지 번뇌를 누출하는 문이 된다는 말이다.
  15. 22)박미자愽謎子 : 은어隱語을 말하는데, 각자 자신의 학學과 도道을 붙잡고 있지만 남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마치 은어를 쓰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이해를 얻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서장』에 나온다.
  16. 23)수중염미水中鹽味 : 물속의 소금맛처럼 분명히 있으나 보아도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17. 24)백락伯樂 : 춘추春秋 진秦 목공穆公 때 사람으로, 성은 손孫이고 이름은 양陽이다. 말의 상을 잘 보는 것으로 유명하였다. 일찍이 우산虞山을 지나는데, 기기騏驥이 소금수레 아래 엎드렸다가 백락을 보고 길게 울어대니, 백락은 수레에서 내려 어루만지며 눈물을 흘렸다는 고사가 있다.
  18. 25)염거鹽車 : 소금을 실어 나르는 수레이다. 『전국책戰國策』「초책楚策」4에 “늙은 기驥가 소금수레를 끌고 태항산太行山을 오를 적엔 녹즙漉汁을 땅에 뿌리고 흰 땀이 흘러 중판中坂에서 머뭇거리며 올라가지를 못한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뛰어난 인재가 천역을 맡아 곤한 경우를 비유한 것이다.
  19. 26)원元 야율초재耶律楚材(1190-1244)의 「병산거사서屏山居士序」에, “내 동산의 오디를 먹으면 좋은 소리를 보지 못할 것이니, 성인을 헐뜯고 비방하면 귀 멀고 눈먼 사람이 배우는 것이다.(食我園椹, 不見好音, 誣謗聖人, 聾瞽學者.)”라고 하였다.
  20. 27)유의留衣 : 당나라 한퇴지韓退之이 조주 자사潮州刺史로 있을 적에 친하게 지냈던 고승 태전太顚과 작별하면서 자기 의복을 남겨 주었다(留衣服爲別)는 이야기가 그의 「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에 실려 있다.
  21. 28)홀후첨전忽後瞻前 : 『논어論語』「자한편子罕篇」에, “안연顔淵이 위연喟然히 탄식하기를 ‘우러러볼수록 높고 파고들어 갈수록 견고하도다. 바라볼 때는 앞에 있더니 문득 다시 뒤에 섰구나.’라고 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상대방의 경지가 너무 높아서 자신의 얕은 경지에서는 촌탁하기가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이다. 여기서는 뜻을 둔 관심의 경지가 높으므로 정신을 바짝 차리고 수행해야 한다는 뜻으로 보인다.
  22. 29)청삼백납靑衫白衲 : 청삼靑衫은 조복朝服을 말하고 백납白衲은 승려의 가사를 말하므로, 여기에서는 유가의 선비와 불가의 승려가 만난 것을 비유한 말이다.
  23. 30)호계삼소虎溪三笑 : 진晋 나라 혜원慧遠 법사는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 살면서 호계虎溪을 건너 밖으로 나간 일이 없었다. 어느 날 도연명陶淵明과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세 사람이 이야기를 하는 사이에 호계虎溪을 건너고 말았다. 범이 우는 소리를 듣고서야 혜원법사는 호계를 건너 세상에 나가지 않겠다고 한 다짐을 깨뜨린 것을 알았고, 세 사람이 함께 웃었다고 한다.
  24. 31)인각獜角 : 진기하고 희한한 인재나 사물을 가리킨다.
  25. 32)식형識荊 : 면식面識을 갖게 된 것이 영광스럽다는 뜻으로, 상대방에 대한 경사敬辭이다. 형주荊州은 당唐 나라 때 형주의 자사刺史이었 한조종韓朝宗을 가리키는데, 이백李白의 『여한형주서與韓荊州書』에 “이 세상에 태어나 만호후에 봉해지기보다 그저 한형주를 한번 알기를 바란다.(生不用封萬戶侯, 但願一識韓荊州.)”라는 말이 나온다.
  26. 33)단학丹壑 : 붉은빛이 어린 산골짜기로, 전하여 선경仙境을 뜻한다.
  27. 34)한전韓巓 : 한퇴지韓退之(768-824)와 태전太顫의 교류를 말한다. 한퇴지가 조주潮州 자사刺史가 되어 가서, 태전 선사의 도덕에 감복하여 자주 왕래하고 편지도 부치고 의복도 머물러 두며 다시 만나기를 기약한 일이 있었다.
  28. 35)배중물盃中物 : 잔 속에 담긴 물건, 즉 술을 말한다.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하지장賀知章을 두고 이백李白이 읊은 「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에 “옛날 술을 그리도 좋아하더니, 어느새 소나무 밑 티끌이 되었구나.(昔好杯中物 翻爲松下塵)”라는 구절이 있다.
  29. 36)무궁撫躬 : 무궁자문撫躬自問, 혹은 반궁자문反躬自問이라고도 한다. 스스로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30. 37)최옹崔翁 : 신라 말기의 학자 최치원崔致遠(857-?)을 말한다. 최치원이 만년에 가야산에서 은거하였다고 하며, 가야산 해인사 학사대에는 최치원이 꽂은 지팡이가 자라났다는 전나무가 전한다.
  31. 38)칠불암七佛庵 : 경상북도 하동군 범왕리 지리산 반야봉에 있는 절로, 칠불선원 또는 칠불사라고 한다.
  32. 39)세이洗耳 : 요堯 임금 때 은사인 허유許由가, 천하를 물려받아 다스려 달라는 요임금의 요구를 거절하고 영수潁水 남쪽에 은거하던 중에 요임금이 또 불러 구주장九州長을 맡기자, 더러운 소리를 들었다면서 영수 물에 귀를 씻었다고 한다.
  33. 40)소두召杜 : 서한西漢의 소신신召信臣과 동한東漢의 두시杜詩을 가리킨다. 두 사람은 일찍이 남양南陽 태수太守을 지냈고, 또 다 선정을 베풀었기에 남양 사람들은 “앞에는 소부가 있었고 뒤에는 두모가 있었네.(前有召父, 後有杜母.)”라고 말하였다. 『한서漢書』「순리전循吏傳」 소신신召信臣과 『후한서後漢書』「두시전杜詩傳」에 보인다. 후에 ‘소부두모召父杜母’라는 말로 지방관의 정치 공적을 칭송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34. 41)절계折桂 : 대과大科에 급제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진서晉書』「극선전郤詵傳」에서 극선郤詵이 자신의 과거 급제를 겸허하게 계수나무숲의 한 가지를 꺾은 것에 비유한 데서 유래하였다.
  35. 42)연당蓮堂 : 생원시나 진사시 등 향시鄕試에 급제한 것을 말한다. 향시를 연방蓮榜이라고 한다.
  36. 43)계桂 : 대과를 계방桂榜이라 한다.
  37. 44)연蓮 : 향시를 연방蓮榜이라고 한다.
  38. 45)동중천洞中天 : 신선이 산다고 하는 명산의 빼어난 경계를 말한다.
  39. 46)승추가繩樞子 : 깨진 옹기로 창문을 만들고(甕牖) 새끼줄로 문고리를 묶어 고정시킨다(繩樞)는 말로, 가난한 사람을 가리킨다.
  40. 47)도화안桃花顔 : 남북조의 학자 유신庾信의 「연가행燕歌行」에, “도화의 안색은 예쁘기가 말 같고, 느릅의 새 잎은 정교함이 돈 같네.(桃花顔色好如馬, 楡葉新開巧似錢)”라고 하였다.
  41. 48)황량黃粱 : 당唐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 나오는 고사로, 노생盧生이 한단邯鄲의 여관에서 도사 여옹呂翁을 만나 자신의 곤궁함을 탄식하였는데, 옹翁이 주머니에서 베개를 찾아 주면서, “이것을 베면 그대의 뜻대로 영화를 누리고 편안해지리라.”라고 말하였다. 그때 주인이 황량을 찌고 있었는데, 생生이 꿈속에서 부귀영화를 실컷 누리고 깨어나 보니 아직 황량이 다 익지도 않았다. 후에 황량몽黃粱夢은 헛된 일이나 실현될 수 없는 욕망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42. 49)요대瑤臺 : 옥으로 만든 화려한 누대로 신선이 사는 곳을 가리킨다.
  43. 50)남가南柯 : 남가일몽南柯一夢, 일장춘몽一場春夢과 함께 부질없고 덧없는 꿈이나 부귀영화를 의미하는 말이다. 남가몽南柯夢, 혹은 괴안몽槐安夢으로도 불린다. 본래는 당나라의 이공좌李公佐이 지은 『이문집異聞集』에 실렸던 것인데 후에 『태평광기太平廣記』에 다시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중국 당나라 덕종德宗 때, 강남 양주陽州 땅에 순우분淳于棼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 집 남쪽에는 커다란 괴화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어느 날 순우분이 친구들과 괴화나무 아래에서 술을 마시다 잠이 들었다. 잠시 후 괴안국槐安國에서 온 사신을 따라 괴화나무 아래의 동굴로 들어가 화려한 도성에 당도했는데, 성문에는 ‘대괴안국大槐安國'이라는 현판이 금으로 새겨져 있었다. 순우분은 괴안국 국왕의 환대를 받으며 부마 자리에 오르고, 남가군南柯郡의 태수에 임명되었다. 그 후 다섯 아들과 두 딸을 두고 20여 년간 남가군의 정치를 맡았는데, 남가군은 태평성대를 구가하고 순우분은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국왕이 순우분을 시기하는 자들의 말을 듣고는, 3년 후에 다시 부르겠다면서 순우분을 고향으로 돌려보낸다. 순우분이 눈을 뜨자 자신은 처음부터 처마 밑에서 잠을 자고 있었고, 이제까지의 일은 모두 꿈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너무나 생생한 기억에 괴화나무 아래를 보니 개미집 구멍이 있었고, 또 나무를 더듬어 남쪽으로 난 가지를 보니 네모난 모양의 개미집이 남가군의 형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44. 51)해호석解虎錫 : 제齊 나라 승려 혜조慧稠가 회주懷州 왕옥산王屋山에 있을 때 호랑이가 싸우는 소리를 듣고 석장으로 말렸다는 고사가 있어, 석장해호錫杖解虎라고 한다. 『치문경훈緇門警訓』에 나온다.
  45. 52)당음棠陰 : 주周 나라 소공召公이 지방을 순행하면서 선정을 하자 그에 감격한 백성들이 그가 쉬어갔던 감당나무를 소중히 여겼다는 데서 온 말이다. 『시경詩經』「소남召南」 감당甘棠 편에 “무성한 감당나무 치지도 말고 베지도 말아라. 소백召伯께서 쉬시던 곳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46. 53)타루비墮淚碑 : 진晉 양호羊祜가 형주荊州의 군사軍事을 총솔하기 위해 양양襄陽에 주둔하였다가 죽은 후에 그 부속들이 호가 생전에 다니던 땅에 비를 세우고 묘를 건립하여 매년 제사를 지냈는데, 비석을 보면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47. 54)여택麗澤 : 두 개의 못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역易』「태兌」에 “두 개의 연못이 나란히 있는 것이 태괘이니, 군자가 이 괘를 본받아 벗이 모여 학문을 강습한다.(麗澤兌, 君子以朋友講習.)”고 하였다. 벗이 서로 절차탁마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여기서는 이웃 나라 일본 승려가 찾아온 것을 가리킨다.
  48. 55)부상扶槡 : 부상은 본래 동해에서 나는 신목神木으로, 그 나무가 많이 난다는 동쪽 바다 해 뜨는 전설의 나라를 부상국扶桑國이라고 한다. 『산해경山海經』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동쪽에 있는 일본을 부상국이라고 부른다.
  49. 56)백암栢庵 : 조선 중엽 1631년-1700년까지 살았던 승려 성총性聰의 호가 백암이다. 성은 이李, 남원南原 사람이며, 취미翠微 수초守初의 법사法嗣이다. 13세에 순창淳昌 취암鷲岩에게 나아가 18세에 취미에게 법을 받았다. 30세 때부터 송광사, 하동 쌍계사에 주석하였고, 시를 잘하였다 한다.
  50. 57)삼청三淸 : 도교에서 말하는 옥청玉淸ㆍ상청上淸ㆍ태청太淸의 삼청三淸을 말한다. 삼청은 도교의 최고신인 원시천존元始天尊이 있는 대라천大羅天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는데, 그곳에는 각각 중앙과 좌우의 세 궁전이 있고, 각 궁전에는 현세의 궁정 조직같이 선왕仙王ㆍ선공仙公ㆍ선경仙卿ㆍ선백仙伯ㆍ선대부仙大夫가 있으며, 또 이러한 선관仙官들과 별도로 독립해서 태상노군천사太上老君天師이 있다고 한다. 태상노군은 도교에서 노자老子을 교조敎祖로 받들어서 존칭한 것으로, 그의 존호尊號은 현현황제玄玄皇帝, 혼원황제混元皇帝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51. 58)해가薤歌 : 해로薤露은 만시挽詩을 말한다. 한漢 나라 전횡田橫의 문인이 지은 만가에 「해로薤露」와 「호리蒿里」 2장章이 있었는데, 「해로가」는 왕공王公ㆍ귀인貴人에 대한 것인데 반해 「호리」는 사대부와 서인에 대한 것이다. 사람의 생명은 염교잎 끝에 맺혀 있는 이슬처럼 마르기 쉽다는 뜻으로, 『수신기搜神記』 16에 나온다.
  52. 59)김광수金光秀 : 권중卷中의 「여시 거사에게 답하다(答如是居士)」에는 김광수金光遂라고 되어 있다.
  53. 60)위편韋編: 공자가 『주역』을 많이 읽어서, 가죽으로 죽간을 엮었던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진 것을 위편삼절韋編三絶이라고 한다.
  54. 61)진봉秦封 : 진시황秦始皇이 각지를 순행할 때 산천과 물류에 봉호를 주었다.
  55. 62)선생류先生柳 : 진(晋) 나라 도연명(陶淵明)이 벼슬을 버리고 시골에 숨어 살 때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고 호를 불렀으며, 또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쓰기도 하였다.
  56. 63)선생류先生柳 : 청대淸代 당중면唐仲冕(1753-1827)이 구강九江 도연명사陶淵明祠에 당시唐詩의 구절을 모아서 “문 앞에는 오류선생의 버드나무를 따라 심었고, 산봉우리에는 처사의 무덤이 오래 남아 있다네.(門前學種先生柳,嶺上長留處士墳)”라고 제題하였다.
  57. 64)경당鏡堂 : 송광사 임경당臨鏡堂을 말한다.
  58. 65)향수香樹 : 송광사 천자암의 쌍향수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천연기념물이다.
  59. 66)조삼朝三 : 조삼모사朝三暮四를 말한다.
  60. 67)내원柰苑 : 내원柰園이라고도 한다. 『유마힐경維摩詰經』「불국품佛國品」에, “이와 같이 들었다. 일시에 부처님께서 유야리나씨維耶離奈氏 동산에 가셨을 때 대비구 무리와 함께 하셨다.”라고 하였다. 후에 내원은 불사佛寺을 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61. 68)신무장물身無長物 : 장물長物이란 좋은 물건, 또는 남는 물건을 뜻하는 말이다. 신무장물은 장물이 없어 극히 빈궁한 것을 뜻한다. 남조南朝 송宋 유의경劉義慶의 『세설신어世說新語』「덕행德行」에 나온다.
  62. 69)이호二虎 : 마조馬祖 도일道一의 법사法嗣인 화림華林 선각善覺 스님에게는 대공大空과 소공小空이라는 두 마리 호랑이 시자가 있었는데, 스님은 밤에 길을 갈 때 항상 일곱 걸음마다 한 번씩 지팡이를 내리치고 관음觀音의 명호를 한 번 불렀다. 재상 배휴裴休가 스님의 호랑이 길들이는 비술에 감동하여 스님에게 그 까닭을 묻자, 스님은 “산승은 항상 관음을 생각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선원몽구禪苑蒙求』 권상에 나온다.
  63. 70)삼평三平 : 석공石鞏 혜장慧藏 선사가 30년 동안 설법을 할 때마다 활시위를 당기며 “대중들은 이 화살을 보라.”라고 법문하였다. 하루는 삼평三平 스님이 법상 앞에 나서며 가슴을 활짝 열어젖히자, 선사가 이내 활을 내려놓았다. 이에 삼평스님이, “이것은 오히려 사람을 죽이는 화살입니다. 어떤 것이 사람을 살리는 화살입니까?”라고 물었다. 선사가 화살 시위를 세 번 당기는 시늉을 하자, 삼평스님이 곧바로 절을 하였다. 그러자 선사가 “30년 동안 활 하나에 두 개의 화살을 쏘았는데, 오늘에야 겨우 반 개의 성인을 쏘아 얻었구나.”라고 하였다.
  64. 71)삼상三常 : 의복과 음식과 수면을 말한다.
  65. 72)방휼蚌鷸 : 방휼상쟁蚌鷸相爭의 준말이다. 『전국책戰國策』「연책燕策」에 다음의 말이 있다. “조趙가 연燕을 치려 하자 소대蘇代는 연을 위하여 조 혜왕趙惠王에게 말하길 ‘지금 신臣이 역수易水을 지나오자니 조개(蚌)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는데, 황새가 그 살을 쪼자 조개는 입을 꼭 다물어 황새의 부리가 걸리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황새가 말하기를 「오늘도 비가 오지 않고 내일도 비가 오지 않으면 조개 너는 죽고 말 것이다.」 하자 소라는 「오늘도 못 나가고 내일도 못 나가면 황새 너는 죽고 말 것이다.」 하더군요. 이렇게 두 놈이 서로 버티고만 있더니 마침내 어부漁父의 손에 다 사로잡히고 말았습니다. 지금 연과 조가 서로 버티다가 강한 진秦이 어부가 될까 두렵습니다.’라고 하였다.” 서로 버티고 다투다가 제3자에게 이익을 빼앗김을 말한다.
  66. 73)연담蓮潭(1720~1799) : 조선 후기 승려로 법명은 유일有一, 자는 무이無二, 법호는 연담蓮潭이다. 전라남도 화순 출신으로, 『서장사기書狀私記』 1권, 『도서사기都序私記』 1권, 『선요사기禪要私記』 1권, 『절요사기節要私記』 1권, 『기신사족起信蛇足』 1권, 『금강하목金剛蝦目』 1권, 『원각경사기圓覺經私記』 2권, 『현담사기玄談私記』 2권, 『대교유망기大敎遺忘記』 5권, 『제경회요諸經會要』 1권, 『염송착병拈頌着柄』 2권, 그리고 문집으로 『임하록林下錄』이 있다.
  67. 74)이서二鼠 : 인간이 오욕五欲에 집착하여 생사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마치 주야晝夜가 흘러 등藤 즉, 명근命根을 갉아먹는 것에 비유한 말이다. 낮은 흰 쥐이고 밤은 검은 쥐이다. 혹은 일월日月에 비유하기도 한다.
  68. 75)병아瓶鵝 : 육긍 대부陸亘大夫가 남전 선사南泉禪師에게 “옛사람이 병 속에 거위 한 마리를 길렀는데, 거위가 점점 자라서 나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병을 깨뜨릴 수도 없고 거위를 죽일 수도 없으니 어찌하여야 거위를 꺼낼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었다. 남전이 “대부!”하고 부르자 육긍이 “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남전은 “나왔다.”라고 하였다. 『선문염송禪門拈頌』에 나온다.
  69. 76)도규刀圭 : 약을 뜨는 숟가락으로, 전하여 약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70. 77)병신 국휼은 영조 52년(1766) 3월 5일에 영조가 승하한 것을 가리킨다.
  71. 78)형수荊峀 : 황제가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한 애도를 나타내는 말로, 황제黃帝가 형산荊山 아래에서 솥을 주조하였는데, 그 솥이 완성되자 하늘에서 용이 내려와 황제를 태우고 올라갔다고 한다. 이때 신하들과 궁인들 중 따라 올라간 자가 70여 명이었고, 그 나머지 용의 몸을 직접 잡지 못한 신하들이 용의 수염을 잡았더니, 용의 수염이 뽑혀 떨어지면서 황제의 활도 함께 떨어져서 백성들은 그 활과 용의 수염을 끌어안고 울부짖었다고 한다. 『사기史記』 권28 「봉선서封禪書」에 나온다. 과룡형수跨龍荊岫라고 한다.
  72. 79)창오蒼梧 :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懸 경계에 있는 창오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 산기슭에 순舜 임금을 장사지냈다 한다.
  73. 80)지마指馬 : 『장자』「내편」「제물론」에 “손가락으로써 손가락이 손가락 아님을 가리키는 것은, 손가락 아닌 것으로써 손가락의 손가락 아님을 가리킴만 같지 못하다. 말(馬)로써 말의 말 아님을 가리키는 것은, 말 아닌 것으로써 말의 말 아님을 가리킴만 같지 못하다. 천지는 하나의 손가락이요 만물은 하나의 말이다.(以指喩指之非指, 不若以非指喩指之非指也. 以馬喩馬之非馬, 不若以非馬喩馬之非馬也. 天地一指也, 萬物一馬也.)”라고 하였다.
  74. 81)육자수陸子壽 : 남송南宋의 학자 육구령陸九齡(1132-1180)으로 호는 복제復齋, 자는 자수子壽이다. 육구연陸九淵의 형이다.
  75. 82)육자정陸子精 :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에서 광종光宗 연간의 문신이며 학자인 육구연陸九淵(1139-1193)의 자가 자정子精이다. 호는 상산象山이다.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냈으며,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겼다. 형인 육구소陸九韶・육구령陸九齡과 함께 삼육자三陸子라고 불리기고 하며, 육구령과 함께 이육二陸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76. 83)주회암朱晦庵 : 중국 남송의 학자 주희朱熹(1130-1200)의 호가 회암晦庵이다. 자는 원회元晦이며 주자朱子는 존칭이다.
  77. 84)조유수趙裕壽 : 조선 후기 1663년(현종 4)-1741년(영조 17)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양, 자는 의중毅仲, 호는 후계後溪이다.
  78. 85)송운松雲 : 밀양 표충사에 제향 된 유정惟政(1544-1610) 대사의 호가 송운이다. 혹은 사명당四溟堂, 종봉鍾峯 등의 호도 함께 쓴다. 여기서는 송운대사를 가리키는 비유이다.
  79. 86)인각獜閣 : 기린각麒麟閣을 말한다. 기린각은 한나라 때의 전각의 이름인데, 선제宣帝 때에 곽광霍光 등 공신 11명의 화상을 그곳에 그려 놓았다고 한다. 후세에서는 공신이 되었다는 뜻으로 많이 쓰였다.
  80. 87)사천槎川 : 조선 후기의 문인 이병연李秉淵(1671-1751)의 호가 사천이다. 이병연의 본관은 한산, 자는 일원一源이며,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다. 영조 시대 제일의 시인으로 불렸다. 저서로 『사천시초槎川詩鈔』가 있다.
  1. 1)目次。編者作成補入。
  2. 1)「五言絕句」四字。編者補入。
  3. 1)「仙遊‥里舟」十六字。底本作小文字二行編
    者作本文活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