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전서

극암집(克庵集) / 克庵集跋

ABC_BJ_H0282_T_008

011_0586_b_23L
극암집 발克庵集跋
문과 시는 도에 대해 말단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가 가운데 쌓여서

011_0586_b_23L克庵集跋

011_0586_b_24L
文若詩之於道也抑末也然道之積於

011_0586_c_01L언어로 발휘되는 것이 문이요, 영화英華(아름다움)에 도달하면 시이다. 나무에 뿌리가 있어서 가지로 뻗어나가고 마침내 꽃과 잎사귀를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극암공께서는 어릴 때 도량이 넓어서 산에 들어가 수도하여 견성見性하셨다. 팔공산은 그분의 도량이다. 성품은 준엄하면서 넓어 영재를 많이 교육하셨다. 또한 선비를 사랑하여 혜원공慧遠公에 대해 도연명陶淵明 같은 이들이 많았다. 공의 성은 서씨徐氏로서 달성에서 명망이 있었다. 나에 대해서는 항렬이 높은데 40여 년 동안 애초에 일면식이 없다가 갑오년(1894) 가을에 성전암聖殿庵156)으로 공을 찾아뵈었다. 선풍도골을 뵈니 과연 세상 밖으로 해탈하는 모습이 있었다. 불경들은 당연히 소유한 바이고 유가 서적에 대해서도 또한 자세하게 통달하셨다. 사람이 궁구하면 기술이 견고해진다고 하더니 그 이치에 귀결됨을 속일 수 없다.
병오년(1906) 가을에 옥산서숙玉山西塾으로 나를 방문하셔서 고향의 친분을 나누셨고, 이야기는 도에 이어져 흥미진진했다. 다만 나의 발이 차지遮地에 이르지 못하여 차지를 말해도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기신 게송 가운데 “겨자씨 같은 인연, 파초잎 소식(芥緣蕉信)” 네 글자에 대해서는 비슷하게 엿볼 수 있었다. 그 후 나는 옥계玉溪로 돌아와 머물고, 공께서는 또 천주사天柱寺157)에 머무셨다.158)
기유년(1909) 봄에 다시 공께서 계신 곳에 찾아가 뵈었다. 나이와 모습이 상하셔서 이전과 달라졌는데 마음만은 굳건해서 젊은이들에게 양보하지 않으셨다. 시문(咳唾)159)을 조금 얻어 보았다. 이것이 손제자 석응石應에게 거듭 전하여 모아졌으니, 문과 시가 함께 있다. 이는 공을 가늠할 수 있는 게 아니지만, 후인에게는 또한 족히 남겨진 눈썹(遺睫)을 보고 돌아가는 학160)을 생각하는 자료가 된다.
아아, 태고太古 대사의 맥이 서산西山 대사로부터 공에게 미쳤다. 적전嫡傳(제자) 혼원混元이 비록 일찍 세상을 여의었으나 이후 더욱 명망이 있으니, 석응石應이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이해(1909) 2월 10일 속세의 족질族侄 한기翰基가 삼가 발문을 쓰다.


011_0586_c_01L而發之言語則文也達之英華
011_0586_c_02L詩也如木之有本而發達於柯條
011_0586_c_03L花葉終可見也克庵公某早年磊落
011_0586_c_04L入山修道因以見性公山蓋其道場也
011_0586_c_05L性峻而弘多育英才且愛士如遠公
011_0586_c_06L之於淵明者多公姓徐望達城於吾
011_0586_c_07L上行而自四十餘年初無一日雅
011_0586_c_08L甲午秋謁公於聖殿庵見仙風道骨
011_0586_c_09L果有解脫塵外之狀貝葉諸經固其所
011_0586_c_10L而至於儒家書殆亦曲暢旁通
011_0586_c_11L窮而工固其理也歸尙不能諼丙午
011_0586_c_12L顧我於玉山西塾叙舊鄕敦誼
011_0586_c_13L談及道娓娓但我脚不到遮地遮地說
011_0586_c_14L不得然就他畱偈中芥緣蕉信四箇字
011_0586_c_15L得以覷得彷彿越後余纔玉溪還棲
011_0586_c_16L而公又駐札天柱矣己酉春再謁於公
011_0586_c_17L在所見年貌俱傷殆非前日而惟心
011_0586_c_18L力堅剛不遜少壯得見咳唾若干
011_0586_c_19L重傳孫石應收集也而文若詩俱在
011_0586_c_20L不足爲公輕重而其在後也亦足爲見
011_0586_c_21L遺睫而想歸鶴之資矣於乎太古師的
011_0586_c_22L自西山師而及於公嫡傳混元
011_0586_c_23L早世然從後優望乃知石應在也
011_0586_c_24L年二月十日俗族侄翰基謹跋

011_0586_c_25L
  1. 156)성전암聖殿庵 : 대구 팔공산 파계사의 암자.
  2. 157)천주사天柱寺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팔공산에 있던 사찰.
  3. 158)머무셨다(駐札) : 주찰駐札은 주차駐劄라고도 하며, 외지에 머물러 일을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4. 159)시문(咳唾) : 해타咳唾는 타인의 아름다운 시문을 가리킨다. 『莊子』 「秋水」.
  5. 160)돌아가는 학(歸鶴) : 고향을 잊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 한漢나라 때 요동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영허산靈虛山에 들어가 선술仙術을 배우고 뒤에 학으로 변화하여 고향에 돌아가서 성문의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는데, 한 소년이 활로 그를 쏘려 하자 그 학이 날아올라 공중을 배회하면서 말하기를, “새여 새여 정영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이제야 돌아왔네. 성곽은 예전 같은데 사람은 그때 사람 아니어라. 어이해 신선 안 배우고 무덤만 즐비한고.(有鳥有鳥丁令威。 去家千年今來歸。 城郭如故人民非。 何不學仙冢纍纍。)”라고 했다는 전설이 있다. 『藝文類聚』 권78, 『搜神後記』 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