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卷第六

ABC_IT_K0893_T_006
022_0629_a_01L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6권
022_0629_a_01L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卷第六


의정 한역
022_0629_a_02L三藏法師義淨奉 制譯


제1문 자섭송⑨
022_0629_a_03L第一門第九子攝頌曰

발을 씻는 장소를 만들 것과
발을 씻는 대야를 만들 것과
뜨거운 때에 부채를 허락함과
모기 쫓는 다섯 가지 불자를 허용한 것이다.
022_0629_a_04L>應爲洗足處
及以濯足盆
熱時須扇聽
蚊蟲開五拂

먼저와 같은 곳이었다.
그때 모든 비구들이 어디에서나 발을 씻으니 파리들이 요란하였다. 마침 장자와 바라문들이 절에 왔다가 발 씻은 곳을 보고 물었다.
“성자여, 무슨 까닭으로 여기에 파리가 야단입니까?”
“이것은 우리가 발을 씻은 곳이오.”
그들이 듣고 천하게 여기면서 말하였다.
“사문 석가의 제자는 모두 청정하지 않구나. 아무데서나 발을 씻다니…….”
022_0629_a_06L緣處同前諸苾芻隨在何地卽便濯足遂使諸蠅在處撩亂有長者婆羅門等來入寺內見洗足處問言聖者何故此處蟲蠅亂飛答曰此是我等洗足之處彼聞嫌賤沙門釋子皆不淸淨隨在何處而濯其足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아무 데서나 발을 씻지 말지니라. 그리고 발을 씻는 곳은 마땅히 절 동남쪽, 모퉁이에 둘지니라.”
부처님 말씀과 같이 발을 씻는 곳을 설치하여야 할 터인데, 비구가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몰랐다.
부처님께서 거북이 등 모양으로 만들라고 하시니, 비구들이 만든 것이 너무 매끈매끈해서 발을 문지르기에 맞지 않아 부처님께서 깔깔하게 만들라고 하셨다.이 발을 씻는 곳은 또한 목욕을 하는 곳으로 쓰이기도 했다. 서방의 여러 절과 여러 곳에 모두 있었다. 크고 작음에 정해진 것이 없으며 노지(露地)에 지었다. 혹 큰 것은 상(床)과 같았고 작은 것은 반 자리만 하였다. 4반(畔)으로 벽돌을 쌓았으며 높이는 1척(尺)이다. 중간에 벽돌로 계단을 만들었으며 거북 등의 모양이다. 자갈과 재와 진흙으로 되어 있어서 물로 씻어도 없어지지 않았다. 곁에 구멍이 나 있어서 물이 밖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발을 씻거나 몸을 씻는 데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022_0629_a_12L苾芻以緣白佛佛言苾芻不應隨處洗足然洗足處應在寺東南角如佛所言安洗足處者苾芻不知云何應作如龜背形諸苾芻作已太滑不堪揩足佛言應可澀作此洗足處亦堪洗浴西方諸寺及在處皆有大小無定露地而作或大如牀小可半席四畔壘甎高一尺許中閒甎砌作龜背形以礓石灰泥水洗不去傍通一竇令水外流濯足洗身最是要用
022_0629_b_01L어느 늙은 비구가 몸이 쇠약하여서 발을 씻는 곳으로 갈 수 없게 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시중드는 사람을 두어서 그 발을 씻게 하고, 발을 씻는 대야를 만들도록 할지니라.”
이때 여섯 비구가 부처님께서 허락하신 것을 듣고 문득 금ㆍ은ㆍ유리로 발 씻는 그릇을 만드니, 속인이 보고 이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세존께서 우리에게 발을 씻는 그릇을 만들라고 허락하셨는데, 이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가 말하였다.
“성자여, 당신은 비록 머리를 깎았으나 탐욕을 없애지 않았구려.”
“네 정수리를 발로 뭉개리라. 내 것을 내가 가지는데 무엇이 잘못이냐. 네가 우리 스승이 아닌데 어째서 책망이냐.”
이리하여 속인들은 미워하고 천히 여기었다.
022_0629_a_20L有老苾芻身體羸弱不能往彼洗足之處佛言應畜執事人令其洗足作洗足瓫是時六衆聞佛聽許便以瑠璃作洗足器俗人見問此是何物答言世尊許我作洗足器此卽是也彼言聖者仁雖剃髮貪染不除答曰腳踏汝項我畜何過汝非我師何事相責俗生嫌賤
비구가 부처님께 이 일을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발 씻는 그릇에 보배를 쓰지 말고 마땅히 옹기로 할지니라.”
비구가 이것을 낙타모양으로 만드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은 맞지 않다. 마땅히 코끼리가 땅을 밟은 자국과 같이 하되, 그 가운데를 약간 높게 하여 발을 괴게 할 것이며, 혹은 그 가운데를 연꽃바탕[蓮臺]처럼 하되 깔깔하게 하여 문지르도록 할지니라.”
비구들이 발을 씻고 나서 그 그릇을 아무 데나 두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게 하지 말라. 만약 대중의 것이거든 마땅히 으슥한 곳에 엎어서 둘 것이요, 만약 사물(私物)이거든 문 뒤에 둘지니라.”
022_0629_b_06L苾芻白佛佛言洗足之器不合用寶應以瓦作苾芻便作如馲駝形佛言不合應如象足踏地其中稍高令得支足或可於中作蓮臺形當須澀鞕苾芻用洗足已隨處而安佛言不應如是若是衆物應可覆在隱屛之處若是私物安門扇後
같은 곳에서였다.
때는 마침 봄이었는데, 비구가 더위에 시달려서 몸뚱이가 누렇게 마르고 쇠약하여 견딜 수가 없었다.
속인이 보고 물었다.
“성자여, 어째서 몸이 누렇게 마르고 쇠약하여 힘이 없어 보입니까?”
“때가 마침 봄인지라 내가 더위에 괴로워하는 것이오.”
“성자여, 왜 부채를 가지지 않으십니까?”
“현자여, 세존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신 것입니다.”
“당신의 큰 스승님은 성품이 자비하시므로, 만약 더위에 괴로워함을 아시면 부채를 허락하실 것이 틀림없습니다.”
022_0629_b_13L緣處同前時屬春陽苾芻患熱身體黃瘦羸劣無堪俗旅見時問言聖者何故身體黃瘦羸劣無力答言時屬春陽我苦於熱彼言聖者何不持扇答言賢首世尊不許答曰仁之大師性懷慈愍若知苦熱許扇無疑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비구들에게 부채를 가질 것을 허락하노라.”
여섯 비구의 무리가 듣고, 곧 금ㆍ은ㆍ유리와 혹 자광(紫礦)으로 갈고 닦고 하여 갖가지로 장식한 것을 부채 자루로 하니, 속인들이 왔다가 보고 비방하고 흉보았다. 그러나 여섯 비구의 오만함은 먼저 말한 것과 같았다.
022_0629_b_19L苾芻白佛佛言我今聽許苾芻持扇六衆苾芻聞佛聽許便以金琉璃或紫鑛揩拭及種種莊彩而爲扇柄俗旅來見便生譏恥六衆傲慢廣說如前
022_0629_c_01L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에 이르렀다.
“보배 등을 써서 부채 자루를 만들지 말지니라. 마땅히 알아라. 부채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대로써 만든 것이요, 하나는 잎으로써 만든 것이니라. 비구는 이 두 가지만 쓸지니라.”
그때 많은 신심이 깊은 속인들이 갖가지 장식하고 채색한 부채를 가지고 와서 비구에게 보시하니, 비구들이 받지 않으므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승가를 위하는 것이거든 받아도 범계될 것이 없느니라.”
022_0629_b_23L乃至佛言不用寶等而作扇柄應知扇有兩種一以竹作二用葉成衆多敬信俗旅便持種種莊彩之扇來施苾芻苾芻不受佛言若爲僧伽受取無犯
광엄성 미후지(獼猴池)가에서였다.
높은 누각에서 비구들이 모기에게 물려서 몸이 가려워 긁기를 쉬지 않으니, 속인들이 보고 물었다.
“성자여, 어찌하여 이러십니까?”
자세히 대답하니, 그들이 말하였다.
“성자여, 왜 모기를 쫓는 불자(拂子)를 가지지 않습니까?”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신 것입니다.”
자세한 말은 앞과 같았다.
022_0629_c_05L緣在廣嚴城獼猴池側高閣堂中諸苾芻爲蚊蟲所食身體患蛘爬搔不息俗人見時問言聖者何故如是以事具答彼言聖者何故不持拂蚊子物答言世尊不許廣說如前
결국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비구들에게 모기를 쫓는 불자를 가질 것을 허락하노라.”
이때 여섯 비구들이 이것을 듣고는 곧 여러 가지 보배로 자루를 만들고 이우(犛牛)의 꼬리로써 불자를 만드니, 속인이 보고 비방하였다.
결국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에 이르렀다.
“모기를 쫓는 것을 다섯 가지로 할 것이니, 첫째는 양털[羊毛]로 할 것이요, 둘째는 삼[麻]으로 할 것이요, 셋째는 천을 가늘게 찢어서 할 것이요, 넷째는 낡고 해어진 것으로 할 것이요, 다섯째는 나뭇가지 끝으로 할 것이니라. 만약 보물을 쓰면 악작죄(惡作罪)를 얻으리라.”
022_0629_c_10L乃至以緣白佛佛言我今聽諸苾芻畜拂蚊子物是時六衆聞佛許已便以衆寶作柄用犛牛尾而爲其拂俗人旣見廣說如前乃至佛言有其五種袪蚊子物一者撚羊毛作二用麻作用細裂疊布四用故破物五用樹枝若用寶物得惡作罪

제1문 자섭송⑩
022_0629_c_17L第一門第十子攝頌曰

아래옷을 높이 동여매지 않을 것과
무거운 짐을 가지지 않을 것과
병자에게 지팡이와 망락(網絡)을 허락함과
마늘을 먹는 것을 형편 따라 허락하신 것이다.
022_0629_c_18L結下裙不高
不持於重擔
若病許杖絡
服蒜等隨聽
022_0630_a_01L
같은 곳이었다.
부처님의 말씀하신 바와 같이 비구는 마땅히 작업을 도와야 한다.
어느 한 비구가 사닥다리 위에서 일을 하는데, 그때 위에 있는 사람을 밑에서 쳐다보다가 그의 형체가 드러난 것을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성자여, 내가 이제야 비로소 성자가 남자인 줄을 알았습니다. 남근(男根)이 갖춰졌으니 말입니다.”
그가 사닥다리 위에서 부끄러워서 아무 말도 못하였다.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비구가 사다리에 오르는데 아래옷을 동이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실수가 있다.’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할 일이 있어서 사닥다리에 오르게 되거든 마땅히 아래옷을 묶고서 올라가야 옳으니라.”
022_0629_c_20L緣處同前如佛所言苾芻應助營作有一苾芻須緣梯上時諸上人從下仰觀見彼形露告言聖者我今始知聖者是男由男根具彼在梯上羞愧默然苾芻白佛佛便思念苾芻昇梯由不結下裙有如是過告諸苾芻若有營作須昇梯者應結下裙方可昇上
또 그 뒤 비구들이 일을 할 때 아래옷을 높이 올려서 묶으니, 믿지 않는 속인들이 보고 비웃으며 말하였다.
“성자여, 씨름이라도 할 참인가.”
“내가 지금 일을 할 것이 있소.”
그들이 아무 말도 안했다.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사다리 위에서 일하게 되면 마땅히 아래옷을 묶을 것이나, 평지에서 작업할 때는 그렇게 할 것이 없느니라.”아래옷을 묶는다는 것은 옷의 뒤의 가장자리를 잡아서 앞의 허리 사이를 향하여 꼭 누르는 것을 말한다.
022_0630_a_05L又諸苾芻於營作時高結下裙不信俗流見而譏笑問言聖者欲相撲耶答曰我有作務彼聞默然苾芻白佛佛言若緣梯上當結下裙平地作時不應如是言結下裙者謂捉裙後邊下緣向前腰閒急擪也
같은 곳이었다.
여섯 비구의 무리가 스스로 무거운 짐을 나르니, 믿지 않는 자가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는 부모와 처자를 살리지 못할까 무서워서 몸으로 무거운 짐을 지지만, 당신은 무엇 때문에 몸소 그렇게 노고를 합니까.”
“현자여, 우리에겐 많은 인연이 있소. 첫째는 세존께 공양해야 하고, 둘째는 승가의 식사를 위함이요, 셋째는 병자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해야 하오. 그래서 이렇게 무거운 짐을 지는 것이오.”
그들이 듣고 아무 대꾸도 안하였다.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무거운 짐을 지지 말지니라. 어기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느니라.”
022_0630_a_10L緣處同前六衆苾芻自擎重擔不信者見作如是語我爲父母妻子恐不能活是以身擎重擔仁何所爲躬自勞苦報言賢首我有多緣一爲供養世尊二爲僧伽食事三爲病者供給所須由是因緣身持重擔彼默無對苾芻白佛佛言苾芻不應身擎重擔作者得越法罪
부처님께서 왕사성 취봉산에 계실 때였다.
어느 늙은 비구가 산에 올라서 오르내리다가 발이 미끄러져 땅에 넘어지니, 부처님께서 지팡이를 가지라고 하셨다.
부처님께서 지팡이를 허락하셨다는 말을 듣고 여섯 무리들이 곧 금ㆍ은 등과 여러 가지 무늬로 이 지팡이를 장식하니, 속인들이 보고 모두 미워하고 천하게 여겼다.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가 두 가지 인연이 있어야 마땅히 지팡이를 가질 수 있나니, 하나는 늙어서 힘이 없는 것이요, 하나는 병으로 몸이 허약할 것이니라.”
022_0630_a_18L佛在王舍城鷲峯山中有老苾芻登山上下腳跌倒地佛言應畜柱杖佛許已六衆卽便以金銀等幷雜彩物雕飾其杖俗旅見已共生嫌賤芻白佛佛言苾芻有二種緣應畜柱一謂老瘦無力二謂病苦嬰身
022_0630_b_01L그때 어느 비구가 거짓으로 늙고 병든 것처럼 하여 지팡이를 짚으니, 비구들이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참으로 늙고 병들었거든 마땅히 승가에게 지팡이 갖는 갈마[畜杖羯磨]를 청하여 만약 승가가 허락하거든 마땅히 가질지니, 이와 같이 청하여라.
즉 좌석을 펴고 건추(楗椎)를 울려서 두루 알려서 대중이 다 모였을 때, 늙고 병든 비구가 상좌 앞에 꿇어앉아서 합장하고 이렇게 아뢰라.
022_0630_b_01L有苾芻佯作老病而柱其杖時諸苾芻以緣白佛佛言若實老病應從僧伽乞畜杖羯磨若僧伽與時應畜是應乞敷座席鳴楗稚言白旣周應盡集老病苾芻於上座前蹲踞合掌作如是白
‘대덕 승가는 들으소서. 나 비구 아무개가 늙고 쇠약하여서, 혹은 몸에 병이 있어서 지팡이가 없으면 능히 몸을 가눌 수 없으므로 이제 승가께 지팡이 갖는 갈마를 청하오니, 원컨대 대덕 승가는 나 비구 아무개에게 지팡이 갖는 갈마를 주옵소서. 이는 불쌍한 자를 자비로 가엾어 하시는 때문입니다.’
이렇게 세 번 말하면 다음에는 한 비구가 아룀과 갈마[白羯磨]를 짓는다.
022_0630_b_07L大德僧伽聽我苾芻某甲老朽瘦弱或復身病若無杖時便不能濟今從僧伽乞畜杖羯磨願大德僧伽與我苾芻某甲畜杖羯磨是能愍者願慈愍故如是三說次一苾芻作白羯磨
‘대덕 승가는 들으소서. 이 비구 아무개가 늙고 파리하여서, 혹은 몸에 병이 있어서 지팡이가 없이는 몸을 가누지 못하여 이제 승가에게 지팡이 갖는 갈마를 청하니, 만약 허락할 때가 되었거든 승가는 마땅히 허락하소서. 승가는 이제 비구 아무개가 늙고 쇠약하오니, 혹은 몸에 병이 있사오니, 지팡이 갖는 갈마를 주실 것을 이렇게 아룁니다.’갈마는 아뢰는 것에 준하여 마땅히 지어야 한다.
만약 승가가 지팡이 갖는 갈마를 주었다면 지팡이를 짚어도 범계됨이 없느니라.”
022_0630_b_12L大德僧伽聽此苾芻某甲老朽瘦弱或復身病若無杖時便不能濟今從僧伽乞畜杖羯磨若僧伽時至聽者僧伽應許僧伽今與苾芻某甲老朽瘦弱或復身病作畜杖羯磨白如是羯磨准白應作
왕사성에서였다.
늙고 파리하여 힘이 없는 비구들이 풍질(風疾)까지 더하여서 취봉산에서 오르내리다가 미끄러져서 땅에 넘어지기 때문에 주전자[澡罐]와 군지(君持)가 모두 깨어지게 되자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망락(網絡)을 가지고 다니라.”
022_0630_b_18L若僧伽與作畜杖羯磨已柱杖者無犯緣在王舍城諸苾芻老瘦無力以風疾於鷲峯山或時上下腳跌倒澡罐君持悉皆破碎苾芻白佛苾芻應持網絡
022_0630_c_01L여섯 비구들이 듣고 오색 끈으로 망락을 만드니, 속인들이 보고 미워하고 비방하여 문답한 것이 지팡이를 가졌을 때와 같았다.
다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지팡이와 망락 이 두 가지가 다 필요하거든 합하여서 갈마를 지어라. 이 또한 허물이 없으리라. 이미 법을 얻고 나면 마음대로 가져도 범계됨이 없느니라.”
022_0630_c_01L六衆聞已以五色線而爲網絡俗旅譏嫌問答因緣廣如畜杖如若杖絡二皆須者合作羯此亦無過旣得法已任持非犯
실라벌성에서였다.
그때 어느 비구가 마늘을 먹고는 부처님께 와서 부처님 발에 절하고 한쪽에 서 있으니,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앉아서 한 마음으로 나의 설법을 들으라.”
그때 그 비구가 부처님의 신칙하심을 듣고는 거듭 세존께 절하고 한쪽에 앉았다.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시는데 그가 법을 들으면서 자주 얼굴을 돌리니, 그것은 나쁜 냄새가 부처님께 갈까 두려워서였다. 이렇게 하기를 두 번 세 번 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야, 너는 마땅히 한 마음으로 나의 설하는 바를 들을지니라.”
비구는 또 다시 두 번 세 번 얼굴을 밖으로 돌렸다.
그가 부처님 발에 절하여 하직하고 갔다.
022_0630_c_04L緣在室羅伐城有苾芻食噉蒜已來詣佛所禮佛雙足在一面立佛言苾芻可坐一心聽我說法彼苾芻聞佛勅已重禮世尊一邊而坐佛爲說法彼聽法時數便迴面恐有惡氣輕觸尊儀如是再三佛言苾芻汝當一心聽我所說苾芻亦復再三向外迴面便禮佛足奉辭而去
부처님께서 아시면서 짐짓 아난타에게 물으셨다.
“왜 저 비구가 나의 법을 들을 때에 자주 얼굴을 돌렸느냐?”
아난타가 아뢰었다.
“그가 마늘을 먹었기 때문에 부처님의 위의에 저촉될까 두려워서 자주 얼굴을 돌렸나이다.”
부처님께서 또 물으셨다.
“아난타야, 모든 비구들이 마늘을 먹는 일이 있느냐?”
“있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늘을 먹으면 성도(聖道)에 들어가는 데 지장이 되니, 아까도 마늘을 먹지 않은 자가 나의 설법을 들었던들 금강지혜의 방망이로 20신견(身見)의 큰 산을 부수고 예류과(預流果)를 얻었으리라.
그러니 아난타야, 이제부터는 모든 비구들에게 마늘과 파 따위를 먹지 않도록 제지하노니, 먹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느니라.”
022_0630_c_12L爾時世尊知而故問阿難陁何故彼苾芻聽我法時數數迴面阿難陁言由彼噉蒜恐觸尊儀故數迴面佛告阿難陁苾芻輩有食蒜耶阿難陁言佛言由彼食蒜障入聖道向不食蒜者我說法以金剛智杵摧壞二十身見大山得預流果是故阿難陁從今以往制諸苾芻不應食蒜及蔥韭類者得越法罪
022_0631_a_01L이때 사리자가 대중 가운데에 앉았다가 곧 이런 생각을 하였다.
‘이제 저 비구가 진리를 보지 못하였으니, 내일은 마땅히 볼 수 있을까.’
곧 관찰하여 보니 내일도 역시 능히 진리를 볼 인연이 없었다. 곧 다시 깊이 제4의 정려(靜慮)에 들어가서 그의 후제(後際)를 관찰하였으나, 역시 그가 성과(聖果)를 얻을 날을 볼 수 없었다. 그래서 곧 정으로부터 일어나 게송을 설하였다.
022_0630_c_21L于時舍利子在衆中坐便作是念今此苾芻不得見諦明當見不卽便觀察明亦無緣能見諦理卽更深入第四靜慮觀其後際亦不見彼證聖之日卽從定起而說頌曰

젊었을 때에 생각이 흩어져서
전일하게 나아가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가 미래의 세상에 있어서도
진리를 보지 못하게 된 것일세.
022_0631_a_02L由於少時閒
散念不專注
令彼未來世
不見眞諦理

그때 세존께서 사리자가 마음속에 생각하는 바를 아시고 말씀하셨다.
“사리자야, 너는 이제 마땅히 부처님의 경계를 문득 헤아려 생각하지 말지니라. 이는 일체 성문ㆍ독각의 경계를 초월하였느니라. 그런데 미래에 부처님이 있어 세상에 출현하시리니 이름은 일체존(一切尊)이라 하리라. 아까 그 사람은 저 부처님 법에 출가 수행하여서 모든 번뇌를 끊고 아라한의 과보를 얻으리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저 비구가 마늘을 먹었기 때문에 진리를 못본 것이니, 이러므로 비구는 마땅히 마늘을 먹지 말지니라. 먹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느니라.”
022_0631_a_04L爾時世尊知舍利子心所念已告言舍利子汝今不應於佛境界而輒思此乃超過一切聲聞獨覺境界於未來有佛出世名一切尊此人於彼佛法之中出家修行斷盡諸漏得阿羅漢果佛作是念由彼苾芻食噉蒜故障見眞理是故苾芻不應噉蒜食者得越法罪
그때 어느 비구가 몸에 질병이 있어서 의사에게 가서 말하였다.
“현자여, 내게 이러한 병이 있으니 바라건대 처방을 하여 주오.”
의사가 말하였다.
“성자여, 마땅히 마늘을 복용하시오. 아픈 것이 차츰 제거될 것입니다.”
“현자여, 부처님께서 마늘을 먹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그것이 약입니다. 다른 것으로는 낫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의사가 이 약밖에 다른 것으로 나을 수 없다고 했다면 복용하여도 범계됨이 없느니라.”
022_0631_a_12L有苾芻身嬰疾病詣醫人所告言賢首我有如是病爲處方告言聖者應可服蒜患得銷報言賢首佛不聽食醫曰此是病非餘能差苾芻白佛佛言醫云此藥非餘差者服之無犯
022_0631_b_01L비구가 듣고는 곧 절 안에서 병을 위하여 마늘을 먹으니 수용(受用)하는 방에서, 평상[床榻]에서, 자리에서, 대변이나 소변보는 곳에서, 여러 사람 속에 출입ㆍ왕래하는 데서, 혹은 탑사[制底]를 돌고, 혹은 향대[香臺]에 예배할 제, 속인에게 가서 설법할 제, 혹은 청을 받고 시주의 집에 갔을 제, 혹은 원림(園林)과 천묘(天廟)에 이르러 여러 사람이 모인 가운데에 갔을 제, 이르는 곳마다 모든 사람들이 마늘 냄새를 맡고 모두 싫어하고 천하게 여기면서, 이런 말을 하였다.
“사문 석가의 제자가 비록 출가하였다 하나 마늘냄새를 저렇게 풍기니, 우리와 다른가.”
022_0631_a_17L苾芻聞已便於寺中爲病食蒜受用房舍牀榻大小行處及以衆中出入往來繞制底或禮香臺經過俗人爲其說或時受請詣施主家或至園林廟之處衆人聚集輒往其中所到之處諸人咸聞蒜臭共生嫌賤作如是沙門釋子雖復出家而還噉蒜臭氣相熏與我何別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가 병이 있어서 마늘을 먹을 제 행해야 할 법을 말하리라.
모든 병든 비구들이 만약 마늘을 먹거든 마땅히 절 옆 갓 방에 있으면서 승려의 침구와 및 대소변 보는 곳을 쓰지 말며, 대중 속에 들어가지 말고, 속인을 위하여서 설법하지 말며, 탑사를 돌지 말고, 향대에 절하지 말며, 속가에 가지 말고, 원림이나 천묘 등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에 다 마땅히 가지 말지니라. 그리고 남이 안 보는 곳에서 먹으면 설사 사람이 보더라도 비방하고 흉보지 않으리라.
만약 마늘을 먹었거든 7일 동안 거기에 있을 것이며, 파를 먹었으면 3일 동안 머무를 것이며, 만약 부추를 먹었으면 하루 동안 머문 뒤에 목욕을 하고 옷도 빨며 향도 피워서 냄새를 없이한 후에 절에 들어올지니라.
이상과 같은 법을 지키지 않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느니라.”
022_0631_b_02L苾芻白佛佛言芻有病欲食蒜者所有行法我今當諸病苾芻若食蒜者應住寺側邊不得用僧臥具及大小行室不得入衆亦不爲俗人說法不繞制底禮香臺不往俗家園林天廟衆人聚處皆不應往可於屛處而噉服之人見時不生譏恥若服了時於七日內仍住於此服蔥可停三日若韭一後方洗浴幷可洗衣香熏無氣後方入寺如上所制不依行者得越法第一門了

제2문 총섭송
022_0631_b_13L第二門摠攝頌曰

쇠털[牛毛]처럼 깎음과 우산[傘蓋]과
담(緂)을 입음과 승만(勝鬘)의 인연과
출가와 약탕(藥湯)과 병(甁)과
문짝[文扇]과 망치와 자귀와 솥에 대한 것이다.
022_0631_b_14L牛毛幷傘蓋
披緂勝鬘緣
出家藥湯缾
門扇鎚斤釜

제2문 자섭송①
022_0631_b_16L第二門第一子攝頌曰

쇠털처럼 깎음[牛毛剪]과 안 보이는 데[隱處]를 깎음
평상을 같이함과 친구를 독차지하지 말 것과
만약 흰빛 옷을 얻으면
물들이거나 덮어서 쓸지니라.
022_0631_b_17L牛毛及隱處
同牀不獨披
若得白色衣
染覆方應用
022_0631_c_01L
같은 곳이었다.
그때 급고독장자가 서다림을 사방의 승려들에게 보시하고는 머리 깎는 자를 절에 보내어서 수염과 머리를 깎게 하였다. 자세한 말은 앞과 같다.
이때 우파난타가 머리 깎는 사람에게 물었다.
“그대는 쇠털처럼 깎을 줄 아는가?”
그가 대답하였다.
“그것이라면 제가 잘하는 일인데, 어찌 모르겠습니까.”
곧 가위와 칼로써 쇠털처럼 깎으니, 머리털을 2푼쯤 남기고 깎는 것을 쇠털처럼 깎음이라고 한다.
022_0631_b_19L緣處同前給孤獨長者以逝多林施四方僧訖令剃髮者往詣寺中剃除鬚髮廣說如前鄔波難陁問剃髮人曰汝頗解作牛毛翦不答言是我巧工寧容不解便以鉸刀作牛毛翦髮可留二分此名牛毛翦
우파난타가 다시 1푼을 더 깎으라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넌 어리석은 사람이라 머리를 깎을 줄 모르는구나. 마땅히 깨끗이 깎아 놓아야 너를 집으로 돌려보내리라.”
자세한 이야기는 먼저와 같았다.
마침내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쇠털처럼 머리를 깎지 말지니라. 어기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느니라.”
부처님의 말씀대로 비구는 쇠털처럼 머리를 깍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어느 비구가 머리에 종기가 나서 칼로 깎을 때 고통을 받자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종기가 난 곳만 가위로 깎고 다른 데는 평상시와 같이 깎을지니라.”
022_0631_c_02L鄔波難陁更翦一分如是乃至末後報言之癡人未解翦髮宜可淨剃放汝歸廣說如前乃至佛言苾芻不應作牛毛翦髮作者得越法罪如世尊說不許苾芻作牛毛翦髮苾芻頭上忽有瘡生以刀剃時便受苦痛苾芻白佛言可於瘡處以鉸刀翦之餘如常剃
같은 곳에서였다.
장자가 사람을 시켜서 대중을 위하여 머리를 깎게 하였다. 자세한 것은 위와 같다. 우파난타가 보고서 물었다.
“내게 안 보이는 데의 털을 제거하여 줄 수 있는가?”
“그것은 내가 하는 일입니다.”
곧 그것을 깎게 하여 전과 같이 시키고는 날이 저물어서야 돌려보내었다.
그때 속인들이 미워하고 천하게 여기었다.
022_0631_c_10L緣處同前長者令人爲衆剃髮廣如上說鄔波難陁見而報曰頗能與我除隱處毛不答言此是我工卽令翦如前驅使至暮放歸時俗嫌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세 군데의 털은 깎지 말지니라. 깎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그때 비구가 안 보이는데 종기가 나기도 하고, 혹은 벌레가 생겨서 가려워 참을 수가 없어서 선한 일을 닦는 것도 폐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병이 있는 자는 마땅히 늙은 비구에게 말하여서 종기 난 곳을 서로 깎도록 하라. 이런 경우는 망설이지 말라.”
022_0631_c_14L苾芻不應剃三處毛剃者得越法有苾芻隱處生瘡或時蟲出痛蛘難忍廢修善事佛言有病緣者應告老宿苾芻然後更互瘡處剃除致疑惑
같은 곳이었다.
여섯 비구 무리들이 같이 한 자리에 누워서 서로 밀고 의지하고 흔들면서 웃어대니, 비구가 이를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함께 한 자리에서 자면 이와 같은 실수가 있나니, 같은 자리에서 눕는 자는 법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022_0631_c_19L緣處同前六衆苾芻同一牀臥共相推倚掉擧呵笑苾芻白佛佛作是念共一牀眠有如是過同牀臥者得越法罪
022_0632_a_01L때에 여러 많은 비구들이 세간에 여행하여 한 촌락에 이르렀는데, 촌락에서 평상을 비니 주인이 하나를 빌려 주었다. 더 필요하다고 말하니 주인이 말하였다.
“우리 집에는 많은 사람이 한 자리에 눕는데 어떻게 비구들은 각기 따로 찾습니까. 여러 사람이 함께 눕기로 안 될 것이 무엇입니까.”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비구들이 부끄러움을 품고 계행을 닦을진대, 자기의 옷을 펴고, 바른 생각을 마음에 두며, 중간에는 옷주머니 혹은 발우 주머니로 막고서 누울지니라. 평상을 이와 같이 할진대, 요나 자리의 경우도 이에 준하여서 마땅히 알아서 할지니라.”
022_0631_c_23L有衆多苾芻人閒遊行至一村落從他借牀主人與一報言更須主人報曰我家多人同一牀臥如何苾芻各別從索多人共臥理復何傷苾芻答曰世尊不許苾芻白佛佛言若諸苾芻性懷慚恥具修戒行敷襯身物正念在心中以衣袋或以鉢袋隔而方臥牀旣如是自餘褥席准此應知
같은 곳이었다.
여러 비구들이 인간에 노닐다가 한 촌락에 이르러서 그곳 장자의 집에서 잠자리를 얻었는데 한냉한 때인지라 다시 덮을 것을 찾으니, 그 집 사람들이 비구들에게 가엾은 생각을 내어 자기의 침구를 빌려 주었다.
그랬더니 먼저 입수한 자가 혼자 덮고 누우며 얻지 못한 자는 떨면서 밤을 새웠다.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먼저 얻었다고 혼자 눕지 말고 함께 쓰되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덮을지니라.”
022_0632_a_08L緣處同前衆多苾芻人閒遊行至一村落從長者家求得臥處時屬寒冷復覓臥物家中人於苾芻處心生哀愍以己臥物借與苾芻先入手者獨披而臥其不得者忍凍終霄以緣白佛佛言不應先得獨臥應可共用隨老者覆
그 뒤 어느 때, 우파난타가 나이가 많음을 따라서 덮을 것을 얻어서 문득 덮을 것을 몸에 두르고 혼자 거니니, 다른 사람들은 추워서 밤에 고생을 하였다.
그때 젊은 사람이 말하였다.
“우리는 추워서 죽겠는데 당신은 거닐고 있군요.”
우파난타가 말하였다.
“너더러 누가 거닐지 못하게 하더냐.”
이리하여 다른 비구들은 추위를 참으면서 밤을 세웠다.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러 사람이 이불을 얻었으면 누울 때 함께 덮어야 할 것이다. 반드시 거닐어야 하겠거든 마땅히 자기의 것을 입고서 거닐어야 하리니, 만약 여럿의 것을 두른다면 악작죄(惡作罪)가 되리라.”
022_0632_a_15L後於一時鄔波難陁隨老得物便披臥被獨起經行餘者受寒夜遭辛苦小者報曰我受寒苦仁乃經行鄔波難陁曰誰遮汝等不起經彼諸苾芻忍寒經夜苾芻白佛衆人得被臥時通覆必欲經行可披私物若披衆物得惡作罪
022_0632_b_01L같은 곳이었다.
때는 마침 겨울철인지라 비구들이 추워서 한쪽 옆으로 누워 있었다.
그때 급고독장자가 절에 들어왔다가 비구들이 한쪽으로 누운 것을 보고는 물었다.
“성자여, 큰 스승님의 가르침은 힘써 부지런히 정진하는 데 있거늘 어찌하여서 당신들은 옆으로 누워서 시간만 허송하고 선품(善品)을 닦지 않습니까?”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마음이 편안해야 선품도 닦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우리는 현재 추워서 능히 정진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이제 이렇게 언 것을 누가 알겠습니까.”
022_0632_a_21L緣處同前時當冬月苾芻苦寒居在一邊側身而臥給孤長者來入寺中見諸苾芻一邊而臥問言聖者大師教法務在精勤何故仁等委脅而臥虛度日時不修善品苾芻答曰心有喜樂善品可修我現受寒何能策勵我今被凍誰復能知
장자가 하직하고는 집으로 돌아가서 5백 장의 두껍고 흰 천 배자1)를 승려들에게 보내 주었다.
비구들이 곧 이것을 입고 절 밖에 나가서 다니니, 믿음 없는 속인들이 보고 미워하고 헐뜯었다.
“성자여, 당신들은 어떻게 모두 환속(還俗)한 것입니까?”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그대들은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우리가 추워서 이 속의(俗衣)를 입은 것이다.”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속인의 옷을 입지 말라. 꼭 그런 일이 있거든 그 옷 위에 물들인 것으로 덮어서 입을지니라. 만약 승기(僧祇)의 옷과 배자로 하겠거든 안을 갈고 겉을 덮은 연후에 입을 것이니, 이렇게 하지 않으면 죄가 되리라.”
022_0632_b_05L長者辭出還至宅中以五百張厚白疊帔與送衆僧諸苾芻卽便披出寺外遊行不信俗流見生嫌恥問言聖者豈可仁等竝還俗耶答曰汝等不應作如是語我爲寒故披此俗衣苾芻白佛佛言不合披俗人衣必有他緣於彼衣上將染色物覆已方披若僧祇衣帔以物替外將物覆然後方披異斯招罪

제2문 자섭송 ②
022_0632_b_14L第二門第二子攝頌曰

우산에 대한 것과 뒷세상이 없다는 것과
노래하고 읊는 소리와 불을 놓지 말 것과
노니는데 의지사를 찾는 것과
털담[毛緂]을 뒤집어서 입지 말라는 것이다.
022_0632_b_15L傘蓋無後世
歌聲不放火
遊行覓依止
毛緂不翻披

같은 곳이었다.
이 성안에 한 거사가 옷과 물건을 사다가 팔아서 스스로 생활을 하는데, 어느 때 많은 이익을 얻고는 문득 생각하였다.
‘어떻게 해야 복업(福業)을 닦아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이 거사가 본디 신심이 있었으므로 이와 같은 생각을 하였다.
‘내가 이제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서 자리에 묘한 옷을 깔고 여러 가지 음식을 대접하리라. 의식(衣食)을 공양하는 것이 큰 복밭이니, 이렇게 보시하면 그 공덕으로 많은 이익을 얻으리라.’
022_0632_b_17L緣處同前於此城中有一居士常收衣物賣以自活後於異時多獲利物便作是念有何方便得修福業復多獲利此之居士素有信心作如是念我今宜可請佛及僧座敷妙衣設諸飮食衣食供養是大福田緣此施因我多獲利
022_0632_c_01L그리고는 부처님의 처소에 나아가서 부처님 두 발에 절하고 한 쪽에 서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원컨대 부처님과 스님들께서 내일 제 집으로 오셔서 저의 작은 공양을 받아 주소서. 원컨대 자비로 저의 이 청을 받아 주소서.”
그때 세존께서 잠잠히 받으시니, 장자가 알고는 부처님께 절하고 집으로 돌아가서 갖가지 훌륭한 음식을 장만하고 묘한 자리를 베풀어서 좋은 옷감을 폈다. 그리고는 곧 사람을 보내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음식 준비가 다 되었나이다. 원컨대 부처님께서는 때가 되었음을 아소서.”
022_0632_c_01L作是念已往詣佛所禮雙足已在一面立白佛言世尊願佛及明當就舍受我微供唯願慈悲無違所請爾時世尊默然而受長者知已禮佛而去還至舍中備辦種種上妙飮食盛設妙座敷以上衣卽令使者馳往白佛飮食已辦願佛知時
이때 대중이 모두 그의 집으로 가고, 오직 부처님 세존과 일보는 사람만 절에 남아 있었다.
모든 부처님 세존께서는 다섯 가지 인연이 있으면 일보는 사람을 두어서 부처님께 식사를 가져다 드리도록 하나니, 첫째는 간소하고 고요히 하여 모든 시끄러움을 여의고자 함이요, 둘째는 모든 하늘을 위하여서 설법을 하고자 함이요, 셋째는 앓는 사람을 보살피고자 함이며, 넷째는 와구(臥具)를 살펴보고자 함이며, 다섯째는 모든 제자를 위하여 계율을 제정하고자 하심인데, 이번에는 세존께서 계율을 제정하시기 위함이었다.
022_0632_c_07L大衆皆赴彼宅唯佛世尊及知事人留在寺內諸佛世尊有五因緣知事人爲佛取食云何爲五一者爲欲簡靜離諸諠鬧二者欲爲諸天宣說法要三者爲欲觀察病人四者爲欲觀察臥具五者爲欲與諸弟子制其學處今者世尊爲制學處
모든 비구들이 저 사람의 청을 받고 갈 때, 드디어 중도에서 큰 비를 만나서 의복이 다 젖었는데, 그의 집에 이르러서 자리에 나아가 앉으니 앉는 데 따라서 깔아 놓은 옷감이 모두 물이 들었다.
거사가 보고는 아주 싫은 생각을 일으켜서 이렇게 생각하였다.
‘이 모든 옷감이 이문[利]을 잃었으니 내가 이제 마땅히 이 물건을 비구들에게 보시하리라.’
그리고는 말하였다.
“성자여, 깔고 앉은 물건을 내가 다 바치겠으니 모두 가지고 가십시오.”
비구가 대답하였다.
“세존께 아뢰리니 기다리시오. 허락하실지 모릅니다.”
022_0632_c_14L諸苾芻衆赴彼請時遂於中途遭天大雨衣服皆濕至彼家中就座而坐隨其坐處衣皆被染居士見已極起嫌心是思惟我諸衣物竝皆失利我今宜可還持此物施與苾芻作是念已告聖者所坐之物我皆奉施咸可持苾芻答曰待白世尊未知許不
022_0633_a_01L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마땅히 알라. 그것은 저 거사가 본심에서 주는 것이 아니라 미워하고 헐뜯는 마음이 있어서 하는 것이니, 받지 않는 것이 마땅하니라.”
그때 비구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고는 사람을 보내어서 거사에게 알렸다.
“거사가 본심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미워하고 헐뜯는 마음이 있어서 하는 것이니, 받지 말라고 하셨소.”
거사가 이 말을 듣고는 깊이 공경하는 마음을 일으켜서 이렇게 생각하였다.
‘내가 이 물건을 팔기로 하면 반값도 못 받지만, 만약 모든 성자들이 물을 들여서 입기에는 아주 마땅한 것이다.’
022_0632_c_21L芻以緣白佛佛言汝等應知非彼居士本心持施爲有譏嫌故不應受諸苾芻奉佛教已令使往報居士知佛作是語非彼居士本心持施有譏嫌故不應受彼居士聞是語深起敬心便作是念我此衣物若欲賣者不得半價若諸聖者染令壞披著受用正是所宜
그리고는 곧 그 옷감을 가지고 절에 가서 성중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본래는 이 물건을 희사할 마음이 없었습니다. 이제는 뜻이 있어서 스님들께 바치는 것이니, 원컨대 나를 위하여 받으셔서 물을 들여 입으시오. 그리고 원컨대 성자들은 우산을 가지셔서 옷을 적시지 않게 하십시오.”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거사여, 우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볼 터이니 기다리시오.”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거사가 먼저는 보시할 마음이 없었으나, 이제 뜻을 정하여 스님들에게 가지고 온 것이니 너희들은 받아서 물을 들여 입어라. 이것은 거사를 위하는 것이니 의심하지 말지니라. 그리고 내가 이제 비구들에게 우산을 가질 것을 허락하노라. 만약 가지지 않으면 법 어기는 죄가 되느니라.”
022_0633_a_06L卽便持衣詣寺告聖衆曰我本無心欲捨此物時有意持以奉僧願爲我受染以披唯願仁等當持傘蓋勿令衣濕居士待我問佛以緣白佛佛言士先時無心欲施今時決意持奉衆汝等可受染已披著爲利前人勿致疑惑是故我今令諸苾芻應持傘若不持者得越法罪
여섯 비구의 무리들이 우산 가지는 것을 허락하셨다는 말씀을 듣고, 곧 금 따위 네 가지 보배로 그 자루를 만들고 또 자광(紫礦)으로 갖가지 그림을 장식하였으며, 그 위에는 공작의 꼬리로 덮었다.
그때 거사들과 바라문들이 보고 미워하고 업신여겼다. 문답은 앞과 같다.
비구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가 그러한 우산을 가져서는 안 된다. 가질 수 있는 것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대[竹]로 한 것이요, 하나는 잎으로 한 것이니라.”
022_0633_a_14L六衆苾芻聞許傘蓋便以金等四寶而爲其柄餘種種紫鑛畫飾以孔雀尾而作上時諸居士婆羅門等見生嫌賤答同前乃至苾芻白佛佛言苾芻不應持如是傘蓋然有二種蓋一竹
022_0633_b_01L여섯 무리의 비구들이 또 듣고 곧 우산자루를 길게 하여 가지고 큰 성 가운데를 펴들고 지나가니, 속인들이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저 일산을 가지고 가는 자가 어떠한 큰 장사꾼이나 외방(外方)에서 온 거부장자인가 보다.”
사람들이 가까이 가서 그에게 물어보았는데, 그가 비구인 것을 보고는 모두 미워하고 욕하였다.
비구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우산자루를 길게 하지 말라. 길어도 팔뚝 길이의 두 배 정도로 하거나 혹은 우산과 같이 할 것이며, 또 취락(聚落)에 들어갈 때는 마땅히 우산을 들지 말지니라.”
022_0633_a_20L六衆苾芻聞佛許蓋遂便長作傘在大城中擎之而過俗旅見時作如是語彼持蓋者是何商主大富長者從外方來諸人卽便就彼看問見苾芻共生嫌恥乃至苾芻白佛不應長作傘柄長齊二肘或與蓋又入聚落時不應持蓋
그때 어느 비구가 장사꾼을 따라서 세간에 여행하다가 한 취락에 이르렀는데, 길이 마을 속으로 있으니 비구가 우산을 가지고 감히 마을로 들어가지 못하고 동네 밖으로 가다가 드디어 장사꾼을 잃고 혼자서 뒤에 떨어졌으며 가다가는 도적의 겁탈을 입었다.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길이 마을 가운데 있거든 바로 들지 말고 옆으로 가지고 가면 범계됨이 없느니라.”
022_0633_b_03L有苾芻隨逐商旅人閒遊行至一聚落道在村內苾芻持蓋不敢入村於村外行遂失商旅獨行在後便被賊劫苾芻白佛佛言若道在村中不得正擎偏持去者無犯
그때 어느 비구들이 마을에 들어가서 걸식을 하는데, 우산자루에 일찍이 저촉되었으므로 감히 가지고 가지 않았다가 비를 만나서 옷을 적셨다.
이 일을 비구들이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걸식하는 사람은 깨끗하게 우산자루를 씻어서 가지고 갈지니라. 그리고 비가 그쳤으면 적당한 곳에 맡겨두었다가 마을에서 나올 때에 가지고 갈지니라.”
022_0633_b_08L有苾芻入村乞食以傘柄曾觸不敢持行被雨霑衣芻白佛佛言乞食之人淨洗傘柄應可持去必其雨定隨處寄擧欲出村時方可持去
같은 곳이었다.
그때 남방에 노니는 외도가 있었으니, 이것은 노가야당(盧迦耶黨)2)이라는 것으로서 훗세상이 없다고 하는 것이었다. 그 외도의 이름은 우타리(鄥陀夷)였는데 점차로 돌아서 실라벌성에 이르러서는 피로를 풀고자 서다림에 들어왔다가, 먼저 존자 교진여(憍陳如)에게 가서 말하였다.
“비구여, 내가 스승에게서 글자를 조금 배웠는데 그대와 더불어 이야기를 좀 하고자 하노라.”
존자가 대답하였다.
“바라문이여, 격론을 하는 것은 나의 할 바가 아니니, 그대는 여기 머물지 말고 다른 데 가서 구하라.”
022_0633_b_12L緣處同前有南方遊行外道是盧迦耶黨撥無後世名鄔陁夷漸次周旋至室羅伐欲解勞乏入逝多林往尊者憍陳如處告言苾芻我就師門少學文字欲與仁者略爲談說者答曰婆羅門激論之事非我所爲隨汝別求無宜住此
022_0633_c_01L그가 곧 마승(馬勝)ㆍ발타라(跋陀羅)ㆍ대명(大名)ㆍ바섭파(婆澁波)ㆍ명칭(名稱)ㆍ포률나(晡律拏)ㆍ우주(牛主)ㆍ비마라(毘摩羅)ㆍ선비(善臂)ㆍ나호라(羅怙羅)들을 찾아가서 일일이 말하였다.
“비구여, 내가 스승에게서 글자는 조금 배웠는데 그대와 더불어 이야기를 좀 하고자 하노라.”
그러나 그때마다 모든 존자들이 대답하였다.
“바라문이여, 격한 논쟁을 하는 일은 나의 할 바가 아니니, 그대는 여기에 머물지 말고 다른 데 가서 구하라.”
022_0633_b_19L彼卽往詣馬勝跋陁羅大名婆澀波名稱晡律拏毘摩羅善臂羅怙羅旣至彼已一一告言苾芻我就師門少學文字與仁者略爲談說諸尊者答曰羅門激論之事非我所爲隨汝別求無宜住此
다음은 또 존자 사리자의 처소에 가서 위에서와 같이 물었다.
그때 사리자가 곧 정(定)에 들어서 그 외도에게 선근(善根)이 있나 없나를 관찰하여 선근이 있음을 알았다. 또 누구에게 매었나를 관찰하니 자기에게 매었음을 알았고, 또 다른 사람들도 논의(論議)를 듣고 조복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어느 때에 마땅히 모이게 될 것인가를 관찰하니 7일 안이었다.
이렇게 관찰하여 알고는 그에게 말하였다.
“그대가 토론할 대상자를 구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모처에 논의할 장소를 마련하라.”
022_0633_c_02L次復往至尊者舍利子所還如上問舍利子卽便入定觀察外道有善根不觀見知有繫屬于誰見屬於我更有餘人由聞論議受調伏不觀知更有何時當集於七日內如是知已報言汝求論敵斯爲善事可於某處作論議埸
이리하여 첫날부터 존자 사리자가 스스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서 종문(宗門)을 세우고 저 바라문과 함께 논의하였다. 그러다가 매양 내려올 때는 항상 문제를 남겨 두었다. 이렇게 하기를 이틀, 사흘하는 동안에 7일이 되었다. 이 소문은 여러 나라에 널리 알려졌다.
‘남방에 있는 한 외도로서, 이것은 노가야당인데 훗세상이 없다고 하며, 이름은 우타이로서 대단히 총명하고 지혜가 있는데 점차로 노닐다가 실라벌성에 이르러서는, 사리자와 논쟁을 하여 이제 7일째인데도 아직 승부가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한량없는 백천의 인연 있는 중생[有緣衆生]들이 구름 모이듯 하여 혹 환희심을 발하고, 혹 먼저의 선근이 익어졌다.
022_0633_c_08L卽於初日尊者舍利子自昇高座建立宗門共彼談每至下時常留餘義如是二三乃至七日於諸方國名稱普聞共知南方有一外道是盧伽耶黨撥無後世名鄔陁夷聰明大智漸次遊行至室羅伐與舍利子共立論端經今七日未有勝負無量百千有緣衆生悉皆雲集或發歡喜心或先善根熟
022_0634_a_01L존자 사리자가 곧 이렇게 생각하였다.
‘내게 인연이 있어 논의를 듣고 교화를 받을 자가 지금 다 모였구나.’
이때 존자가 그 언변과 뜻을 다하여서 무리들을 위하여 설명하니, 저 외도가 믿음과 이해심이 열려서 합장하고 일어나 이렇게 말하였다.
“대덕이시여, 내가 잘 말씀하신 법에 출가하고자 하오니, 원컨대 자비를 내리시어 나를 구제하소서. 세존의 처소에서 부지런히 범행을 닦겠나이다.”
이때 사리자가 그의 마음이 진실됨을 알고 곧 출가를 시키고 아울러서 구족계를 주고 여법(如法)히 가르쳐 주었다.
그가 곧 책려하여 용맹심을 발하여서 모든 번뇌를 끊고 아라한과를 얻었다.
022_0633_c_16L尊者舍利子便作是念於我有緣因聽論議而受化者此時皆集是時尊者盡其言義摠爲衆說彼外道信解心合掌起立作如是語大德我於善說法律求欲出家願降慈悲拔濟於在世尊所勤修梵行舍利子知其心至卽與出家幷受近圓如法教彼便策勵發勇猛心斷盡諸漏得阿羅漢果
이때 그 모임 중에 모든 대중들이 이것을 보고는 모두 희유한 생각이 나서 말하였다.
“존자 사리자가 이렇게 총명하고 마음이 높은 외도를 법으로써 항복받고 출가를 시켰도다.”
이때 존자가 저 대중들이 근기에 차이가 있어 좋아함이 같지 않음을 보고, 그들의 숙세인연을 따라서 법을 설하여 그들 듣는 자로 하여금 억만 중생이 각기 깨달음을 얻게 하였다. 혹은 예류과(預流果)와 일래(一來)ㆍ불환(不還)의 과를 얻고, 혹은 또 출가하여 아라한과를 얻고, 혹은 3귀계와 아울러 5계[五學處]를 받았으며, 나머지 대중들도 모두 삼보께 깊이 공경심을 일으켜서 합장하고 은근히 하직한 후 흩어졌다.
022_0634_a_02L彼會中一切大衆見是事已皆生希有咸言尊者舍利子如是聰明高心外道以法摧伏令使出是時尊者觀彼大衆根機差別樂欲不同順彼宿緣爲說法要令其聽者億萬衆生得別證悟或得預流果一來不還或復出家得阿羅漢果受三歸幷五學處所餘大衆皆於三寶深起敬心合掌慇懃奉辭而散
그때 이 일을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느 곳에나 사리자가 있는 것이 아니며 그와 비슷한 자도 또한 구할 수 없느니라. 이러므로 내가 이제 모든 비구들에게 노가야 등 모든 외서(外書)와 속론(俗論)도 배울 것을 허락하노라.”
그때 비구들이 부처님의 허락을 듣고 외서와 속론을 배우되 가림이 없이하여 우매한 무리도 역시 외서를 배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우치하여 지혜가 없고 분명치 않은 자는 외서를 배우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 스스로 밝고 슬기로우며 많이 듣고 많이 알아서 능히 외도를 꺾을 자신이 있는 자만 배우고 익힐지니라.”
022_0634_a_10L此苾芻以緣白佛佛告諸苾芻非一切處有舍利子其相似者亦不可求是故我今聽諸苾芻學盧迦耶等諸外俗論諸苾芻聞佛世尊許學書遂無簡別愚昧之類亦學外書不應愚癡少慧不分明者令學外自知明慧多聞强識能摧外道者方可學習
모든 지혜있는 자들이 외전(外典)을 배우기에 힘쓰고 선품(善品)을 닦지 않으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게 항상 외전만 익히지 말지니라. 마땅히 세 때로 나누어서 매양 두 때는 불경을 읽고, 한 때는 외서를 익힐지니라.”
비구가 드디어 해와 달을 세 때로 나누고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인명(人命)이 신속하여서 찰나에도 정함이 없으니, 마땅히 해와 달을 세 때로 나눌 것이 아니라 하루를 셋으로 나누어서 할지니라.”
022_0634_a_18L諸明慧者鎭學外典善品不修佛言不應如是常習外典佛言當作三時每於兩時讀佛經一時習外典苾芻遂於年月分作三時以緣白佛佛言人命迅速剎那無定不應年月分作三時可於一日分爲三分
022_0634_b_01L비구가 아침에 외전을 익히고 저녁에 불경을 읽으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침나절과 낮에 불경을 읽고, 저녁에 외전을 펴는 것이 옳으니라.”
비구가 잠시 그것을 읽고 나서 그 글을 외우지 못하고 도로 잊어버리니, 부처님께서 “외우라”고 하셨다.
그들이 언제 외울지 알지 못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낮을 셋으로 나눈 것처럼 밤에도 세 때로 나눠서 할지니라.”
022_0634_a_23L苾芻朝習外典暮讀佛經佛言於日初分及以中後可讀佛經待至晚時應披外典苾芻卽便暫時尋讀不誦其文尋還廢忘佛言應誦彼皆不知何時應誦佛言如晝三節夜亦三時
같은 곳이었다.
그때 존자 사리자가 두 바라문의 아들을 출가시키니 하나는 이름이 우수(牛授)요, 하나는 이름이 우주(牛主)였다. 이 두 사람을 모두 가르쳐서 경교(經敎)를 독송하게 하였다.
그 뒤에 이 두 사람이 함께 세간에 노닐다가 한 마을에 이르러서 이끗[利養]을 많이 얻으니, 곧 이 마을에 머물렀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이 먼저 바라문의 노래하고 읊는 법을 배운 일이 있어서 그 습관으로 이제 경을 독송하는 데도 그런 소리로 하였다.
022_0634_b_05L緣處同前尊者舍利子與二婆羅門子而爲出家一名牛授二號牛主二人悉教讀誦經教後時此二共遊人閒至一聚落多獲利養便住此村彼二人先學婆羅門歌詠聲法串習故今時讀誦作本音詞
그때 저 한 사람이 병으로 갑자기 죽으니, 현존하는 자가 근심에 빠져 경 외우는 것을 많이 폐하고 잊어버렸다. 곧 실라벌성으로 돌아가서 서다림에서 머물러 쉬고는, 존자 교진여에게 가서 예경을 마치고 아뢰었다.
“존자여, 함께 경을 익힐 수 있나이까?”
존자가 대답하였다.
“좋다. 내가 그대를 위하여 외우리라.”
그리고는 이미 얼마쯤 외우니, 그가 말하였다.
“존자여, 외우는 바 경전에 글이 모두 틀리고 소리도 길지 않으며 빠진 데가 있습니다.”
“그대여, 나는 먼저부터 이렇게 익히고 외웠노라.”
022_0634_b_11L彼一人遇病忽然身死其現存者旣溺憂經多廢忘卽便還詣室羅伐城逝多林旣停息已便詣尊者憍陳如禮敬事畢白言尊者可共溫經善哉我爲汝誦旣誦少多報言者所誦經典文皆謬誤聲韻不長有所闕答言我從先來如是習誦
그러자 그가 곧 하직하고는 다시 마승ㆍ발타라ㆍ대명ㆍ바섭파ㆍ명칭ㆍ포율라ㆍ우주ㆍ비마라ㆍ선비ㆍ라호라에게로 갔다. 그리하여 말하였다.
“존자여, 나와 함께 경을 익힐 수 있습니까?”
“좋다. 내가 그대를 위하여서 외우리라.”
그리고는 얼마쯤 외우니 앞에서와 같이 말하고 하직하였다.
022_0634_b_18L卽便辭禮更別往詣馬勝跋陁羅婆澀波名稱晡律拏牛主毘摩羅善臂羅怙羅旣至彼已白言尊者我溫經答曰善哉我爲汝誦旣誦少廣如前說乃至辭禮
022_0634_c_01L 드디어 존자 사리자에게 가서 예경을 마치고는 아뢰었다.
“오파타야여, 함께 경을 익혀 주시겠습니까?”
“좋다. 내가 그대를 위하여서 외우리라.”
그리고는 함께 외울 때 소리를 길게 끄니, 사리자의 소리가 배나 더 길었다. 그가 아뢰었다.
“대사여, 다른 존자들은 외우는 것이 모두 틀렸는데, 오직 존자의 가르치심에만 음귀(音句)에 틀림이 없습니다.”
“너 이 어리석은 사람아, 제가 틀렸으면서 다른 지혜로운 이들이 송경(誦經)을 잘못한다고 비방하느냐. 저 모든 대덕들은 모두 틀린 것이 아니다.”
이렇게 하여 그가 꺾이자 묵묵히 말이 없었다.
022_0634_b_23L遂詣尊者舍利子所旣禮敬已白言鄔波馱耶共溫經答曰善哉我爲汝誦同誦之時長引聲韻其舍利子聲更倍長大師自餘尊者誦習皆謬唯獨親教音句無差報言汝愚癡人自爲謬謗餘智者不善誦經彼諸大德咸非謬誤旣被挫折默爾無言
그때 비구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가 경을 독송할 제, 길게 소리를 끌어서 노래와 읊는 소리를 지으면 이와 같은 잘못이 있다. 이러므로 비구는 마땅히 노래와 읊는 소리를 끌어서 경을 독송하지 말지니라. 만약 비구가 천타성(闡陀聲)을 지어서 경전을 독송하면 법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만약 변방 나라의 언음(言音)으로 소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서 할 때는 계를 범함이 없느니라.”천타(闡陀)란 바라문의 독송법을 말한다. 그 소리를 길게 끌며, 손가락으로 허공에 점을 찍으며 곡조의 마디로 삼는다. 박사가 먼저 부르면 모든 사람이 뒤따른다.
022_0634_c_07L諸苾芻以緣白佛佛作是念苾芻誦經長牽音韻作歌詠聲有如是過由是苾芻不應歌詠引聲而誦經法若苾芻作闡陁聲誦經典者得越法罪若方國言音須引聲者作時無犯言闡陁者謂是婆羅門讀誦之法長引其聲以手指點空而爲節段博士先唱諸人隨後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卷第六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소매없는 웃옷을 말한다.
  2. 2)범어 Lokāyata의 음역으로 순세외도(順世外道)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