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阿毘達磨品類足論卷第十七

ABC_IT_K0949_T_017
025_0257_b_01L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7권
025_0257_b_01L阿毘達磨品類足論卷第十七


세우 지음
025_0257_b_02L尊者世友造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025_0257_b_03L三藏法師玄奘奉詔譯


7. 변천문품 ⑧
025_0257_b_04L辯千問品第七之八

몇 가지가 유신견(有身見)을 인(因)으로 삼으면서 유신견의 인(因)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은 만일 더러움에 물들면[染汚]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유신견의 인은 아니요 만일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면[不染汚]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며 유신견의 인도 아니다.
025_0257_b_05L幾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等者切應分別謂色薀若染污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若不染污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
수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유신견의 인은 아니니 과거ㆍ현재의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수면과 상응하는 수온을 제외하고, 그리고 과거ㆍ현재의 견집(見集)에서 끊어야 할 변행수면과 상응하는 수온을 제외하고, 아울러 미래의 유신견과 상응하는 수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더러움에 물든 수온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또한 유신견의 인이 되기도 하나니, 앞에서 제외된 수온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요 유신견의 인도 아니니,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수온이다.
상온과 식온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7_b_09L受薀有三句或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謂除過去現在見苦所斷隨眠相應受薀及除過去現在見集所斷遍行隨眠相應受幷除未來有身見相應受薀諸餘染污受蘊或有身見爲因亦有身見謂前所除受蘊或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謂不染污受蘊識蘊亦爾
025_0257_c_01L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았으면서 유신견의 인은 아니기도 하나니, 과거ㆍ현재의 견고에서 끊어야 할 수면과 또는 그것과 상응(相應)ㆍ구유(俱有)하는 등의 행온을 제외하고 또한 과거ㆍ현재의 견집에서 끊어야 할 변행수면과 그것과 상응ㆍ구유하는 등의 행온을 제외하고 또한 미래의 유신견과 상응하는 행온을 제외하고 또한 미래의 유신견과 상응하는 법과 나고[生]ㆍ늙고[老]ㆍ머무르고[住]ㆍ무상[無常]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더러움에 물드는 행온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또한 유신견의 인이 되기도 하나니, 앞에서 제외된 행온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며 유신견의 인도 아니니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행온이다.
025_0257_b_17L行蘊有三句或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謂除過去現在見苦所斷隨眠及彼相應俱有等行蘊亦除過去現在見集所斷遍行隨眠及彼相應俱有行蘊亦除未來有身見相應行蘊亦除未來有身見及彼相應法生老住無常諸餘染污行蘊或有身見爲因亦有身見因謂前所除行蘊或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謂不染污行蘊
몇 가지가 업(業)이면서 업이숙(業異熟)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요 업이숙은 아니니, 신업(身業)가 어업(語業)이다.
혹은 업이숙이며 업은 아니니, 업이숙으로 생긴[業異熟生] 색온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이숙도 아니니, 업과 업이숙의 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온이다.
025_0257_c_04L幾業非業異熟等者一切應分別謂色蘊有三句或業非業異謂身語業或業異熟非業謂業異熟生色蘊或非業非業異熟謂除業及業異熟色蘊諸餘色蘊
수온은 혹은 업이숙이나 업은 아니고 혹은 업도 아니며 업이숙도 아니다.
업이숙이나 업은 아니라 함은, 업이숙으로 생긴 수온이며 나머지 모든 수온은 업도 아니요 업이숙도 아니다.
식온과 상온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7_c_08L受蘊或業異熟非業或非業非業異熟業異熟非業者謂業異熟生受蘊諸餘受蘊非業非業異熟識蘊亦爾
행온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며 업이숙은 아니니, 업이숙에 포섭되지 않은 사(思)이다.
혹은 업이숙이며 업은 아니니 사(思)에 포섭되지 않은 업이숙으로 생긴 행온이다.
혹은 업이면서 또한 업이숙이기도 하니, 업이숙으로 생긴 사(思)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이숙도 아니니, 업과 업이숙의 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행온이다.
025_0257_c_11L行蘊有四句或業非業異熟謂業異熟所不攝思或業異熟非業謂思所不攝業異熟生行蘊或業亦業異熟謂業異熟生思或非業非業異熟謂除業及業異熟行蘊諸餘行蘊
몇 가지가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隨業轉]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세 가지는 업을 따라 옮겨 가면서 업은 아니며 두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며 업을 따라 옮겨 가지 아니하나니,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ㆍ어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신업과 어업이다.
혹은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나니,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과 어업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을 따라 옮겨 가지도 아니하나니, 업과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온이다.
025_0257_c_16L幾業非隨業轉等者三隨業轉非業二應分別色蘊有三句或業非隨業轉謂除隨業轉身語業諸餘身語業或業亦隨業轉謂隨業轉身語業或非業非隨業轉謂除業及隨業轉色蘊諸餘色
025_0258_a_01L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지만 업을 따라 옮겨 가지 아니하기도 하나니, 사(思)이다.
혹은 업을 따라 옮겨 가면서도 업은 아니니, 사(思)에 포섭되지 않은 업을 따라 옮겨 가는 행온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이 아니기도 하니,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심불상응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심불상응행이다.
025_0257_c_22L行蘊有三句或業非隨業轉謂思或隨業轉非業謂思所不攝隨業轉行蘊或非業非隨業轉謂除隨業轉心不相應行諸餘心不相應行
몇 가지가 만들어진 물질[所造色]로서 볼 수 있는 물질[有見色]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네 가지는 만들어진 물질이 아니요 볼 수 있는 물질도 아니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며 볼 수 있는 물질은 아니기도 하니, 8처(處 : 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聲ㆍ香ㆍ味處)와 2처(處 : 觸處ㆍ法處)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며 또한 볼 수 있는 물질이기도 하니, 1처(處 : 色處)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도 아니요 볼 수 있는 물질도 아니니, 1처(處 : 觸處)의 적은 부분이다.
025_0258_a_02L幾所造色非有見色等者四非所造色非有見色一應分別謂色蘊有三句所造色非有見色謂八處及二處少或所造色亦有見色謂一處或非所造色非有見色謂一處少分
이 5온은 몇 가지가 만들어진 물질이며 대할 수 있는 물질[有對色]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네 가지는 만들어진 물질도 아니요 대할 수 있는 물질도 아니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은 마땅히 네 구절을 만들어야 한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며 대할 수 있는 물질은 아니니, 1처(處 : 法處)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대할 수 있는 물질이며 만들어진 물질은 아니기도 하니, 1처(處 : 觸處)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또한 대할 수 있는 물질이기도 하니, 9처(處 : 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色ㆍ觸ㆍ香ㆍ味處)와 1처(處 : 觸處)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도 아니요 대할 수 있는 물질도 아니니, 이러한 물질은 있을 수가 없다.
025_0258_a_07L此五蘊幾所造色非有對色等者非所造色非有對色一應分別謂色蘊應作四句或所造色非有對色一處少分或有對色非所造色謂一處少分或所造色亦有對色謂九處及一處少分或非所造色非有對色如是色不可得
몇 가지가 보기 어렵기[難見] 때문에 매우 깊은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가 곧 보기 어렵기 때문에 매우 깊으며 매우 깊기 때문에 보기가 어렵다.
025_0258_a_14L幾難見故甚深等者一切難見故甚深甚深故難見
몇 가지가 착한 것[善]이면서도 선을 인(因)으로 삼지 아니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여기에는 각각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한 것으로 인도 삼았으면서도 착하지는 못하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5온이다.
혹은 착한 것이면서 또한 착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한 5온이다.
혹은 착한 것도 아니며 착한 것을 인으로 삼지도 아니 하나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5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하지 못한 5온이다.
025_0258_a_15L幾善非善爲因等者一切應分別謂各有三句或善爲因非善謂善異熟生五或善亦善爲因謂善五蘊或非善非善爲因謂除善異熟生五蘊諸餘無記不善五蘊
025_0258_b_01L몇 가지가 착하지도 못하고[不善] 착하지 못한 것을 인(因)으로 삼는 것도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았으면서도 착하지 않은 것은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색온이다.
혹은 착하지도 않고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착하지 못한 색온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요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의 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한 색온이다.
025_0258_a_20L幾不善非不善爲因等者一切應分別謂色蘊有三句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色或不善亦不善爲因謂不善色蘊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色蘊諸餘無記及善色蘊
수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았으면서도 착하지 못한 것은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수온과 욕계에 매인 유신견(有身見)과 변집견(邊執見)과 상응하는 수온이다.
혹은 착하지도 못하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수온이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도 아니며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수온을 제외하고, 그리고 욕계에 매인 유신견ㆍ변집견과 상응하는 수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한 수온이다.
상온과 식온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8_b_02L受蘊有三句或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受蘊及欲界繫有身見邊執見相應受蘊或不善亦不善爲因謂不善受蘊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生受蘊及除欲界繫有身見邊執見相應受蘊諸餘無記及善受蘊識蘊亦爾
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았으나 착하지 않은 것은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행온과 욕계에 매인 유신견ㆍ변집견, 그리고 그것과 상응하는 것과 함께 일어나는 행온이다.
혹은 착하지 못하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행온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고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의 행온을 제외하고, 그리고 욕계에 매인 유신견ㆍ변집견과 아울러 그것과 상응하는 것과 함께 일어나는 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의 착한 행온이다.
025_0258_b_09L行蘊有三句或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行蘊及欲界繫有身見邊執見及彼相應彼等起行蘊或不善亦不善爲因不善行蘊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行蘊及除欲界繫有身見邊執見幷彼相應彼等起行蘊諸餘無記及善行蘊
몇 가지가 무기(無記)이면서 무기를 인(因)으로 삼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여기에는 각각 세 구절씩 있다.
혹은 무기를 인(因)으로 삼았으되 무기는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5온(蘊)이다.
혹은 무기이면서 또한 무기를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무기의 5온이다.
혹은 무기도 아니요 무기를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다섯 가지 착한 온이다.
025_0258_b_16L幾無記非無記爲因等者一切應分別謂各有三句或無記爲因非無記謂不善五蘊或無記亦無記爲因謂無記五蘊或非無記非無記爲因謂善五蘊
몇 가지가 인연(因緣)이면서 인(因)은 있지 아니한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가 곧 인연이면서 또한 인도 있다.
025_0258_b_20L幾因緣非有因等者一切是因緣亦有因
025_0258_c_01L몇 가지가 등무간(等無間)이면서 등무간연(等無間緣)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한 가지는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며 네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수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등무간이며 등무간연은 아니기도 하니, 미래에 목전에 나타나 일어나는 수온과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수온이다.
혹 등무간이면서 또한 등무간연이기도 하니,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수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과거ㆍ현재의 수온이다.
혹은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니, 미래의 목전에 나타나 일어나는 수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미래의 수온이다.
상온과 식온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8_b_21L幾等無閒非等無閒緣等者一非等無閒非等無閒緣四應分別謂受蘊有三句或是等無閒非等無閒緣謂未來現前正起受蘊及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受蘊或是等無閒亦等無閒緣謂除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受蘊諸餘過去現在受蘊或非等無閒非等無閒緣謂除未來現前正起受蘊諸餘未來受蘊識蘊亦爾
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등무간이며 등무간연은 아니기도 하니, 미래에 목전에서 일어나는 심소(心所)의 행온과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심소의 행온과 아울러 이미 생겼거나 지금 막 생긴 무상정(無想定)과 멸정(滅定)이다.
혹 그것은 등무간이면서 또한 등무간연이기도 하니,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심ㆍ심소의 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과거ㆍ현재의 심소의 행온이다.
혹은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니, 미래의 목전에서 일어나는 심소의 행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미래의 심소의 행온과 또는 등무간의 심불상응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심불상응행이다.
025_0258_c_07L行蘊有三句或是等無閒非等無閒緣謂未來現前正起心所行蘊及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心所行蘊幷已生正起無想滅定或是等無閒亦等無閒緣謂除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心心所行蘊諸餘過去現在心所行蘊非等無閒非等無閒緣謂除未來現前正起心所行蘊諸餘未來心所行及除等無閒心不相應行諸餘心不相應行
몇 가지가 소연연(所緣緣)이면서도 소연(所緣)은 있지 아니한가 등에 대해서는, 한 가지[色蘊]는 곧 소연연이면서도 소연은 있지 아니하고, 세 가지는 곧 소연연이면서 또한 소연도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행온은 만일 모든 심소(心所)이면 그것은 소연연이면서 또한 소연도 있고, 만일 심소가 아니면 그것은 곧 소연연이면서 소연은 있지 않다.
몇 가지가 증상연(增上緣)이면서도 증상(增上)은 있지 아니한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가 곧 증상연이면서도 또한 증상도 있다.
025_0258_c_17L幾所緣緣非有所緣等者一是所緣緣非有所緣三是所緣緣亦有所緣一應分別謂行蘊若諸心所是所緣緣亦有所緣若非心所是所緣緣非有所緣幾增上緣非有增上等者一切是增上緣亦有增上
025_0259_a_01L몇 가지가 폭류(瀑流)이며 순폭류(順瀑流)는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온은 만일 그것이 유루이면 순폭류요 폭류는 아니며, 만일 무루이면 그것은 폭류도 아니요 순폭류도 아니다.
수온ㆍ상온ㆍ식온도 역시 그러하다.
행온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순폭류이며 폭류는 아니니, 폭류에 포섭되지 않은 유루의 행온이다.
혹은 폭류이면서 또한 순폭류이기도 하니, 4폭류(瀑流)이다.
혹은 폭류도 아니요 순폭류도 아니니, 무루의 행온이다.
025_0258_c_22L幾暴流非順暴流等者一切應分別謂色若有漏順暴流非暴流若無漏非暴流非順暴流識蘊亦爾行蘊有三或順暴流非暴流謂暴流所不攝有漏行蘊或暴流亦順暴流謂四暴或非暴流非順暴流謂無漏行蘊
18계(界)라 함은 안계(眼界)ㆍ색계(色界)ㆍ안식계(眼識界)로부터 의계(意界)ㆍ법계(法界)ㆍ의식계(意識界)에 이르기 까지를 말한다.
이 18계는,몇 가지가 형상[色]이 있는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十色界]는 형상이 있고, 일곱 가지[意根과 六識界]는 형상이 없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혹 형상이 있기도 하고 혹은 형상이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형상이 있는 것인가? 법계에 속한 신업(身業)과 어업(語業)이며 나머지 모든 법계는 형상이 없다.
025_0259_a_05L十八界者謂眼界色界眼識界乃至意界法界意識界此十八界幾有色等者十有色七無色一應分別謂法或有色或無色云何有色謂法界所攝身語業諸餘法界是無色
몇 가지가 볼[見] 수 있는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한 가지[色界]는 볼 수 있으며 열 일곱 가지는 볼 수가 없다.
몇 가지가 대할[對] 수 있는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는 대할 수 있으며 여덟 가지는 대할 수 없다.
025_0259_a_10L幾有見等者一有見十七無見幾有對等十有對八無對
몇 가지가 유루(有漏)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유루이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혹 유루이기도 하고 혹은 무루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루인가? 유루의 작의(作意)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무루인가? 유루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법계는 혹은 유루이기도 하고 혹은 무루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루인가? 법계에 속한 유류의 신업ㆍ어업과 유루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무루인가? 무루의 신업ㆍ어업과 무루의 수온ㆍ상온ㆍ행온과 아울러 무위의 법[無爲法]이다.
025_0259_a_12L幾有漏等者十五有漏三應分別謂意界或有漏或無云何有漏謂有漏作意相應意界云何無漏謂無漏作意相應意界識界亦爾法界或有漏或無漏云何有漏謂法界所攝有漏身語業及有漏受想行蘊云何無漏謂無漏身語業及無漏受想行蘊幷無爲法
몇 가지가 유위(有爲)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곧 유위이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혹 유위이기도 하고 혹은 무위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위인가? 법계에 속한 신업ㆍ어업과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무위인가? 허공(虛空)과 두 가지 멸[二滅]이다.
025_0259_a_19L幾有爲等者十七是有爲一應分別謂法或有爲或無爲云何有爲謂法界所攝身語業及受想行蘊云何無爲謂虛空二滅
025_0259_b_01L몇 가지가 이숙(異熟)이 있는가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이숙이 없으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혹은 이숙이 있기도 하고 혹은 이숙이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이숙이 있는 것인가? 착한 것[善]과 착하지 못한[不善] 색계이다. 어떤 것이 이숙이 없는 것인가? 무기(無記)의 색계이다.
성계(聲界)와 5식계(識界)도 역시 그러하다.
의계는 혹 이숙이 있기도 하고 혹은 이숙이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이숙이 있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것ㆍ착한 것과 유루의 의계이다. 어떤 것이 이숙이 없는 것인가? 무기와 무루의 의계이다.
법계와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9_a_23L幾有異熟等者八無異十應分別謂色界或有異熟或無異熟云何有異熟謂善不善色界何無異熟謂無記色界聲及五識界亦爾意界或有異熟或無異熟云何有異熟謂不善善有漏意界云何無異熟謂無記無漏意界法界意識界亦爾
몇 가지가 곧 연(緣)으로 생기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곧 연으로 생기고 또 인(因)으로 생기고, 세간에 속하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유위이면 그것은 연으로 생기고 또한 인으로 생기고 세간에 속하며, 만일 무위이면 그것은 연으로 생기는 것도 아니고 인으로 생기는 것도 아니며 세간에 속하는 것도 아니다.
몇 가지가 물질[色]에 속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는 곧 물질에 속하고 일곱 가지는 곧 이름[名]에 속하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에 속한 신업과 어업은 곧 물질에 속하며, 나머지는 모두 이름에 속한다.
몇 가지가 내처(內處)에 속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두 가지는 곧 내처에 속하며 여섯 가지는 곧 외처(外處)에 속한다.
몇 가지가 지변지(智邊知)로 두루 아는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모든 것은 곧 지변지로 두루 아는 것이다.
025_0259_b_07L幾是緣生等者十七是緣生是因生是世攝一應分別謂法界若有爲是緣生是因生是世攝若無爲非緣生非因生非世攝幾色攝等者是色攝七是名攝一應分別謂法界所攝身語業是色攝餘皆是名攝內處攝等者十二是內處攝六是外處攝幾智遍知所遍知等者一切是智遍知所遍知
이 18계는 몇 가지가 단변지(斷邊知)로 두루 아는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곧 단변지로 두루 아는 것이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ㆍ법계ㆍ의식계는 만일 유루이면 그것은 단변지로 두루 아는 것이요, 만일 무루이면 그것은 단변지로 두루 아는 것이 아니다.
몇 가지가 마땅히 끊어야[應斷] 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곧 당연히 끊어야 하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ㆍ법계ㆍ의식계는 만일 그것이 유루이면 당연히 끊어야 하고 무루이면 끊지 않아야 한다.
025_0259_b_15L此十八界幾斷遍知所遍知等者五是斷遍知所遍知三應分別謂意法意識界若有漏是斷遍知所遍知若無漏非斷遍知所遍知幾應斷等十五是應斷三應分別謂意法意識界若有漏是應斷若無漏不應斷
025_0259_c_01L몇 가지가 마땅히 닦아야[應修] 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닦지 않아야 하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혹 당연히 닦아야 하고 혹은 닦지 않아도 된다. 어떤 것이 닦아야 하는 것인가? 착한 색계이다. 어떤 것이 닦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것과 무기의 색계이다.
성계(聲界)와 6식계(識界)와 의계도 역시 그러하다.
법계는 혹 당연히 닦아야 하기도 하고 혹은 닦지 않아도 된다. 어떤 것이 마땅히 닦아야 하는 것인가? 착한 유위의 법계이다. 어떤 것이 닦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것과 무기의 법계, 그리고 택멸(擇滅)이다.
025_0259_b_21L幾應修等者八不應修十應分別色界或應修或不應修云何應修善色界云何不應修謂不善無記色聲界六識界意界亦爾法界應修或不應修云何應修謂善有爲法界云何不應修謂不善無記法界及擇滅
몇 가지가 더러운 데에 물드는가[染汚]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더러운 데에 물들지 않으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혹 더러운 데에 물들기도 하고 혹은 더러운 데에 물들지 않기도 한다. 어떤 것이 더러운 데에 물드는 것인가? 유부(有覆)의 색계이다. 어떤 것이 더러운 데에 물들지 않는 것인가? 무부(無覆)의 색계이다.
성계와 6식계와 의계ㆍ법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9_c_05L幾染污等者八不染污十應分別謂色界或染污或不染污云何染污謂有覆色界云何不染污謂無覆色界聲界六識界意法界亦爾
몇 가지가 결과[果]이면서 결과가 있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곧 결과이면서 또한 결과가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 그것은 결과이면서 결과가 있지 아니하기도 하니, 택멸이다.
혹 그것은 결과이면서 또한 결과도 있나니, 유위의 법계이다.
혹은 결과도 아니요 결과가 있는 것도 아니니, 허공과 비택멸이다.
025_0259_c_08L幾果非有果等者十七是果亦有果一應分別謂法界有三句或是果非有果謂擇滅或是果亦有果謂有爲法界或非果非有果謂虛空非擇滅
몇 가지가 유집수(有執受)인가 등에 대해서는, 아홉 가지는 무집수(無執受)이며 아홉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계는 혹 유집수이기도 하고 혹은 무집수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집수인가? 자체(自體)에 속한 안계이다. 어떤 것이 무집수인가? 자체에 속하지 않은 안계이다.
색계(色界)ㆍ이계(耳界)ㆍ비계(鼻界)ㆍ설계(舌界)ㆍ미계(味界)ㆍ신계(身界)ㆍ촉계(觸界)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59_c_12L幾有執受等者九無執受九應分別謂眼界或有執受或無執受云何有執受謂自體所攝眼界云何無執受謂非自體所攝眼界觸界亦爾
몇 가지가 대종(大種)으로 만들어진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아홉 가지[觸界를 제외한 十色界]와 두 가지[觸界ㆍ法界]의 적은 부분은 대종으로 만들어지며 일곱 가지[七心界]와 두 가지[觸界ㆍ法界]의 적은 부분은 대종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몇 가지가 위[上]가 있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위가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혹은 위가 있기도 하고 혹은 이가 없기도[無上] 하다. 어떤 것이 위가 있는 것인가? 유위의 법계와 허공과 비택멸이다. 어떤 것이 위가 없는 것인가? 택멸이다.
025_0259_c_17L幾大種所造等者九及二少分是大種所造七及二少分非大種所造幾有上等者十七有上應分別謂法界或有上或無上云何有上謂有爲法界及虛空非擇滅何無上謂擇滅
025_0260_a_01L몇 가지가 곧 유(有)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유이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ㆍ법계ㆍ의식계는 만일 유루이면 유이거니와 만일 무루이면 유가 아니다.
몇 가지가 인(因)과 상응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일곱 가지[七心界]는 인과 상응하고 열 가지[十色界]는 인과 상응하지 않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그것이 모든 심소(心所)이면 인과 상응하고 만일 그것이 심소가 아니면 인과 상응하지 않는다.
025_0259_c_22L幾是有等者十五是三應分別謂意法意識界若有漏是有若無漏非有幾因相應等者因相應十因不相應一應分別謂法若諸心所因相應若非心所因不相應
이 18계가 6선처(善處)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6선처가 10계(界 : 七心界ㆍ法界ㆍ色界ㆍ聲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10계의 적은 부분도 6선처를 포섭한다.
5불선처(不善處)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5불선처가 10계(界 : 七心界ㆍ法界ㆍ色界ㆍ聲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10계의 적은 부분도 5불선처를 포섭한다.
7무기처(無記處)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8계(界 : 十色界 중 色界ㆍ聲界는 제외)와 10계(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8계와 10계의 적은 부분도 7무기처를 포섭한다.
025_0260_a_04L此十八界與六善處相攝者善處攝十界少分十界少分亦攝六善處與五不善處相攝者五不善處攝十界少分十界少分亦攝五不善與七無記處相攝者七無記處攝八界十界少分八界十界少分亦攝七無記處
3누처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3누처가 1계(界 : 法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1계의 적은 부분도 3누처를 포섭한다.
5유루처(五有漏處)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5유루처가 15계(界 : 十八 중 前十五界)와 3계(界 : 意界ㆍ法界ㆍ意識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열 다섯 가지 계와 3계의 적은 부분도 5유루처를 포섭한다.
8무루처(無漏處)와 서로 포섭함에 있어서는 8무루처가 3계(界)의 적은 부분을 포섭하며, 3계의 적은 부분도 8무루처를 포섭한다.
025_0260_a_10L與三漏處相攝者三漏處攝一界少分一界少分亦攝三漏處與五有漏處相攝者五有漏處攝十五界三界少分十五界三界少分亦攝五有漏處與八無漏處相攝者無漏處攝三界少分三界少分亦攝八無漏處
몇 가지가 과거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혹 과거이기도 하고 혹은 미래이기도 하고 혹은 현재이기도 하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처는 만일 유위이면 혹은 과거이기도 하고 혹은 미래이기도 하고 혹은 현재이기도 하며, 만일 무위이면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니며 현재도 아니다.
025_0260_a_16L幾過去等者十七或過去或未來或現在一應分別謂法界有爲或過去或未來或現在若無爲非過去非未來非現在
몇 가지가 착한 것[善]인가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무기이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혹 착하기도 하고 혹은 착하지 않기도[不善] 하며 혹은 무기(無記)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신표(身表)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아니한 것인가? 착하지 못한 신표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착한 것과 착하지 못한 것의 신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계이다.
025_0260_a_19L幾善等者無記十應分別謂色界或善或不善或無記云何善謂善身表云何不善謂不善身表云何無記謂除善不善身表諸餘色界
025_0260_b_01L성계는 혹 착한 것이기도 하고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어표(語表)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인가? 착하지 못한 어표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착한 것과 착하지 못한 것의 어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성계이다.
안식계는 혹 착한 것이기도 하고 혹은 착하지 않은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작의(作意)와 상응하는 안식(眼識)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인가? 착하지 못한 작의와 상응하는 안식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무기의 작의와 상응하는 안식이다.
나머지 5식계(識界)와 의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0_a_23L聲界或善或不善無記云何善謂善語表云何不善不善語表云何無記謂除善不善語表諸餘聲界眼識界或善或不善無記云何善謂善作意相應眼識何不善謂不善作意相應眼識云何無記謂無記作意相應眼識餘五識意界亦爾
법계는 혹 착한 것이기도 하고 혹은 착하지 않은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법계에 속한 착한 신업ㆍ어업과 수온(受蘊)ㆍ상온(想蘊)ㆍ행온(行蘊)과 아울러 택멸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인가? 법계에 속한 착하지 못한 신업ㆍ어업과 착하지 못한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무기의 수온ㆍ상온ㆍ행온과 허공과 비택멸이다.
025_0260_b_07L法界或善或不善或無云何善謂法界所攝善身語業及善受想行蘊幷擇滅云何不善謂法界所攝不善身語業及不善受想行云何無記謂無記受想行蘊及虛非擇滅
몇 가지가 욕계에 매인 것[欲界繫]인가 등에 대해서는, 네 가지[香ㆍ味界와 鼻識ㆍ舌識界]는 욕계에 매인 것이며 열 네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계는 혹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色界繫]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욕계의 대종(大種)으로 만들어진 안계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의 대종으로 만들어진 안계이다.
색계ㆍ이계ㆍ성계ㆍ비계ㆍ설계ㆍ신계도 그러하다.
025_0260_b_12L幾欲界繫等者四欲界繫十四應分別謂眼界或欲界繫或色界繫云何欲界繫謂欲界大種所造眼界云何色界繫謂色界大種所造眼界身界亦爾
촉계는 혹은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욕계의 4대종(大種)과 그것으로 만들어진[所造] 촉계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의 4대종과 그것으로 만들어진 촉계이다.
안식계는 혹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욕계의 작의와 상응하는 안식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의 작의와 상응하는 안식이다.
이식계(耳識界)와 신식계(身識界)도 그러하다.
025_0260_b_16L觸界欲界繫或色界繫云何欲界繫謂欲界四大種及所造觸界云何色界繫謂色界四大種及所造觸界眼識界或欲界繫或色界繫云何欲界繫欲界作意相應眼識云何色界繫色界作意相應眼識識界亦爾
025_0260_c_01L의계는 혹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無色界繫]이기도 하고 혹은 매이지 않은 것[不繫]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욕계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무색계에 매인 것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매이지 않은 것인가? 무루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의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0_b_22L意界或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或不繫云何欲界繫謂欲界作意相應意界云何色界繫謂色界作意相應意界云何無色界繫謂無色界作意相應意界云何不繫謂無漏作意相應意界意識界亦爾
법계는 혹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매이지 않은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법계에 속한 욕계의 신업ㆍ어업과 욕계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법계에 속한 색계의 신업ㆍ어업과 색계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무색계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매이지 않은 것인가? 무루의 신업ㆍ어업과 무루의 수온ㆍ상온ㆍ행온과 아울러 무위의 법[無爲法]이다.
025_0260_c_05L法界或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繫或不繫云何欲界繫謂法界所攝欲界身語業及欲界受想行蘊云何色界繫法界所攝色界身語業及色界受想行蘊云何無色界繫謂無色界受想行蘊云何不繫謂無漏身語業及無漏受想行蘊幷無爲法
몇 가지가 학(學)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학도 무학도 아니며[非學非無學]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혹은 학이요 혹은 무학(無學)이며 혹은 학도 무학도 아니다. 어떤 것이 학인가? 배울 것이 있는 이[學]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무학인가? 배울 것이 없는 이[無學]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학도 무학도 아닌가? 유루(有漏)의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0_c_12L幾學等者五非學非無學三應分別謂意界或無學或非學非無學云何學學作意相應意界云何無學謂無學作意相應意界云何非學非無學有漏作意相應意界意識界亦爾
법계는 혹은 학이기도 하고 혹은 무학이기도 하며 혹은 학도 무학도 아니다. 어떤 것이 학인가? 배울 것이 있는 이의 신업ㆍ어업과 배울 것이 있는 이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무학인가? 배울 것이 없는 이의 신업ㆍ어업과 배울 것이 없는 이의 수온ㆍ상온ㆍ행온이다. 어떤 것이 학도 무학도 아닌가? 법계에 속한 유루의 신업ㆍ어업과 유루의 수온ㆍ상온ㆍ행온과 무위의 법이다.
025_0260_c_17L法界或學或無學或非學非無學云何學謂學身語業及學受想行蘊云何無謂無學身語業及無學受想行蘊云何非學非無學謂法界所攝有漏身語業及有漏受想行蘊幷無爲法
025_0261_a_01L이 18계는 몇 가지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見所斷]인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修所斷]이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혹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끊어야 할 것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의계가 수신행(隨信行)ㆍ수법행(隨法行)이면 현관변(現觀邊)의 인(忍)으로 끊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여든 여덟 가지 수면과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의계가 배울 것이 있는 이[學]로서 자취를 본[見迹] 이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열 가지 수면과 상응하는 의계와 더러움에 물들지 않은[不染汚] 유루의 의계이다.
어떤 것이 끊어야 할 것이 아닌가? 무루의 의계이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0_c_22L此十八界幾見所斷等者十五修所三應分別謂意界或見所斷或修所斷或非所斷云何見所斷謂意界隨信隨法行現觀邊忍所斷此復云謂見所斷八十八隨眠相應意界云何修所斷謂意界學見迹修所斷此復云何謂修所斷十隨眠相應意界及不染污有漏意界云何非所斷謂無漏意界意識界亦爾
법계는 혹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끊어야 할 것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법계의 수신행ㆍ수법행이 현관변의 인(忍)으로 끊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여든 여덟 가지 수면과 그것과 상응하는 법계와 아울러 그것과 함께 일어나는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다.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법계에서 배울 것이 있는 이로서 자취를 본 이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열 가지 수면과 그것과 상응하는 법계와 아울러 그것과 함께 일어나는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 또는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유루의 법계이다.
어떤 것이 끊어야 할 것이 아닌가? 무루의 법계이다.
025_0261_a_08L法界或見所斷或修所斷或非所斷云何見所謂法界隨信隨法行現觀邊忍所此復云何謂見所斷八十八隨眠及彼相應法界幷彼等起心不相應云何修所斷謂法界學見迹修所此復云何謂修所斷十隨眠及彼相應法界幷彼等起身語業心不相應行若不染污有漏法界云何非所謂無漏法界
몇 가지가 마음[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十色界]는 마음이 아니고 심소(心所)도 아니고 마음과 상응하는 것[心相應]도 아니며, 일곱 가지[七心界]는 오직 마음일 뿐이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소연(所緣)이 있으면 곧 심소이며 마음과도 상응하고 만일 소연이 없으면 그것은 마음도 아니요 심소도 아니며 마음과 상응하는 것도 아니다.
025_0261_a_17L幾非心等者十非心非心所非心相應七唯是心一應分謂法界若有所緣是心所與心相若無所緣非心非心所非心相應
몇 가지가 마음을 따라 옮겨 가면서[隨心轉] 느낌[受]과 상응하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十色界]는 마음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요 느낌과 상응한 것도 아니며, 일곱 가지[七心界]는 느낌과 상응하며 마음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025_0261_a_20L幾隨心轉非受相應等者十非隨心轉非受相應七受相應非隨心轉應分別謂法界有三句
025_0261_b_01L혹은 마음을 따라 옮겨 가면서 느낌과 상응하는 것은 아니니, 마음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身業)ㆍ어업(語業)과 심불상응행 그리고 느낌이다.
혹은 마음을 따라 옮겨 가면서 느낌과 상응하기도 하니, 상온과 상응하는 행온이다.
혹은 마음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며 느낌과 상응하는 것도 아니니, 마음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 그리고 무위의 법이다.
몇 가지가 마음을 따라 옮겨 가면서 상(想)ㆍ행(行)과 상응하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자성(自性)을 제외하고는 마치 느낌[受]에서와 같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025_0261_a_23L或隨心轉非受相應謂隨心轉身語業心不相應行及受或隨心轉亦受相應謂想蘊及相應行蘊或非隨心轉非受相應謂除隨心轉身語業心不相應行餘身語業心不相應行及無爲法隨心轉非想行相應等者除其自性如受應知
몇 가지가 거친 생각[尋]을 따라 옮겨 가면서 세밀한 생각[伺]과 상응하지 아니하는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十色界]는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이 아니요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는 것도 아니며, 다섯 가지[前五識界]는 거친 생각도 있고 세밀한 생각도 있으며[有尋有伺]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혹 거친 생각도 있고 세밀한 생각도 있으며, 혹은 거친 생각은 없고 오직 세밀한 생각만[無尋無伺] 있으며, 혹은 거친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다[無尋無伺].
어떤 것이 거친 생각도 있고 세밀한 생각도 있는 것인가? 거친 생각도 있고 세밀한 생각도 있는 작의(作意)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거친 생각은 없고 세밀한 생각만 있다 하는가? 거친 생각은 없고 세밀한 생각도 있는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어떤 것이 거친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는 것인가? 거친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는 작의와 상응하는 의계이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1_b_07L幾隨尋轉非伺相應等者十非隨尋轉非伺相應五有尋有伺三應分別謂意界或有尋有伺或無尋唯伺或無尋無伺云何有尋有伺謂有尋有伺作意相應意界云何無尋唯伺謂無尋唯伺作意相應意界云何無尋無伺謂無尋無伺作意相應意界意識界亦爾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서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지 아니 하나니,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과 또한 거친 생각과 상응하는 세밀한 생각이다.
혹은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면서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이 아니니, 거친 생각과 또 거친 생각과 상응하지 않으며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는 심소의 법[心所法]이다.
혹은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면서 또한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기도 하니, 거친 생각ㆍ세밀한 생각과 상응하는 심소의 법이다.
혹은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며 세밀한 생각과 상응하는 것도 아니니, 거친 생각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신업ㆍ어업과 심불상응행, 그리고 거친 생각과 상응하지 않는 세밀한 생각과 아울러 거친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는 심소의 법과 또는 무위의 법이다.
025_0261_b_14L法界有四句隨尋轉非伺相應謂隨尋轉身語業心不相應行及尋相應伺或伺相應非隨尋轉謂尋及尋不相應伺相應心所法或隨尋轉亦伺相應謂尋伺相應心所法或非隨尋轉非伺相應謂除隨伺轉身語業心不相應行餘身語業心不相應行及尋不相應幷無尋無伺心所法若無爲法
025_0261_c_01L몇 가지가 견(見)이면서 견처(見處)는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한 가지[眼界]는 견이면서 또한 견처이고 열 네 가지는 견처이면서 견처는 아니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만일 유루이면 견처이며 견은 아니요 만일 무루이면 견도 아니요 견처도 아니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1_b_22L見非見處等者一見亦見處十四見處非見三應分別謂意界若有漏見處非見若無漏非見非見處意識界亦爾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견이면서 견처는 아니기도 하니,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에 포섭되지 않은 무루의 지혜[慧]이다.
혹은 견처이면서 견은 아니기도 하니, 견에 포섭되지 않은 유루의 법계이다.
혹은 견이면서 또한 견처이기도 하니, 5염오견(染汚見)과 세간의 바른 견해이다.
혹은 견도 아니면서 견처도 아니니, 견에 포섭되지 않은 무루의 법계이다.
025_0261_c_03L法界有四句或見非見處謂盡無生智所不攝無漏慧或見處非見謂見所不攝有漏法界或見亦見處謂五染污見及世閒正見或非見非見處謂見所不攝無漏法界
몇 가지가 유신견(有身見)을 인(因)으로 삼았으면서도 유신견의 인(因)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유신견을 인으로 삼지도 아니하고 유신견의 인도 아니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만일 더러움에 물들면[染汚]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유신견의 인은 아니요, 만일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면[不染汚]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요 유신견의 인도 아니다.
성계와 5식계(五識界)도 그러하다.
의식계는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유신견의 인도 아니고,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또한 유신견의 인이기도 하며,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요 유신견의 인도 아니다.
025_0261_c_07L幾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等者八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十應分別謂色若染污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若不染污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聲界五識界亦爾意識界或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或有身見爲因亦有身見因或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유신견의 인은 아니라 함은, 과거ㆍ현재의 견고(見苦)에서 끊어야 할 수면과 상응하는 의계를 제외하고 또한 과거ㆍ현재의 견집(見集)에서 끊어야 할 변행수면과 상응하는 의계를 제외하고 또한 미래의 유신견과 상응하는 의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더러움에 물든 의계이다.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또한 유신견의 인이라 함은, 앞에서 제외된 의계이다.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며 유신견의 인도 아니라 함은,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의계이다.
의식계도 역시 그러하다.
025_0261_c_15L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者謂除過去現在見苦所斷隨眠相應意界亦除過去現在見集所斷遍行隨眠相應意界亦除未來有身見相應意界諸餘染污意界有身見爲因亦有身見因者謂前所除意界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者謂不染污意界意識界亦爾
025_0262_a_01L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유신견의 인은 아니기도 하니, 과거ㆍ현재의 견고에서 끊어야 할 수면과 그것과 상응(相應)ㆍ구유(俱有)하는 등의 법계를 제외하고 또한 과거ㆍ현재의 견집에서 끊어야 할 변행수면과 그것과 상응ㆍ구유하는 등의 법계를 제외하며 또한 미래의 유신견과 상응하는 법계를 제외하고 또한 미래의 유신견과 그것과 상응하는 법과 나고[生]ㆍ늙고[老]ㆍ머무르고[住]ㆍ무상[無常]함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더러움에 물든 법계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으면서 또한 유신견의 인이기도 하니, 앞에서 제외된 법계이다.
혹은 유신견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며 유신견의 인도 아니라 함은, 더러움에 물들지 않은 법계이다.
025_0261_c_22L法界有三句或有身見爲因非有身見因謂除過去現在見苦所斷隨眠及彼相應俱有等法界亦除過去現在見集所斷遍行隨眠及彼相應俱有法界亦除未來有身見相應法界亦除未來有身見及彼相應法生老住無常諸餘染污法界或有身見爲因亦有身見因謂前所除法界或非有身見爲因非有身見謂不染污法界
몇 가지가 업(業)이면서 업이숙(業異熟)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계는 혹은 업이숙이면서 업은 아니기도 하며 혹은 업도 아니며 업이숙도 아니다.
업이숙이면서 업은 아니라 함은, 이숙으로 생긴[異熟生] 안계이다. 업도 아니며 업이숙도 아니라 함은, 나머지 안계이다.
이계ㆍ비계ㆍ설계ㆍ신계ㆍ향계ㆍ미계ㆍ촉계, 그리고 7심계(心界)도 그러하다.
025_0262_a_08L幾業非業異熟等一切應分別謂眼界或業異熟非或非業非業異熟業異熟非業者謂異熟生眼界非業非業異熟者餘眼界觸界及七心界亦爾
색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면서 업이숙은 아니기도 하니, 신표(身表)이다.
혹은 업이숙이면서 또한 업이 아니기도 하니, 업이숙으로 생긴 색계이다.
혹은 업도 아니며 업이숙도 아니니, 이른바 업과 업이숙의 색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계이다.
025_0262_a_13L色界有三句或業非業異熟謂身表或業異熟非業謂業異熟生色界或非業非業異熟謂除業及業異熟色界諸餘色界
성계에는 두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면서 업이숙은 아니기도 하니, 어표(語表)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이숙도 아니니, 나머지 성계이다.
025_0262_a_16L聲界有二句業非業異熟謂語表或非業非業異謂餘聲界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면서 업이숙은 아니기도 하니, 법계에 속한 신업ㆍ어업과 업이숙에 포섭되지 않은 사(思)이다.
혹은 업이숙이면서 업은 아니기도 하니, 사(思)에 포섭되지 않은 업이숙의 법계이다.
혹은 업이면서 또한 업이숙이기도 하니, 업이숙으로 생긴 사(思)이다.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이숙도 아니니, 업과 업이숙의 법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법계이다.
025_0262_a_18L法界有四句或業非業異熟謂法界所攝身語業及業異熟所不攝思或業異熟非業謂思所不攝業異熟法界或業亦業異熟謂業異熟生思或非業非業異熟謂除業及業異熟法界諸餘法界
025_0262_b_01L몇 가지가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隨業轉]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일곱 가지[七心界]는 업을 따라 옮겨 가면서 업은 아니고 여덟 가지는 업도 아니며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는 혹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며,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다.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라 함은, 신표(身表)이다. 업도 아니요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라 함은, 나머지 색계이다.
025_0262_a_23L幾業非隨業轉等者七隨業轉非業八非業非隨業轉三應分別謂色界或業非隨業轉或非業非隨業轉業非隨業轉謂身表非業非隨業轉者謂餘色
성계는 혹은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은 아니기도 하며, 혹은 업도 아니요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다.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라 함은, 어표(語表)이다. 업도 아니며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도 아니라 함은, 나머지 성계이다.
025_0262_b_05L聲界或業非隨業轉或非業非隨業轉業非隨業轉者謂語表非業非隨業轉者謂餘聲界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업이면서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은 아니기도 하니,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ㆍ어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법계에 속한 신업ㆍ어업과 사(思)이다.
혹은 업을 따라 옮겨 가면서 업은 아니기도 하니, 수온(受蘊)ㆍ상온(想蘊)과 사(思)에 포섭되지 않은 업을 따라 옮겨 가는 행온(行蘊)이다.
혹은 업이면서 또한 업을 따라 옮겨 가기도 하니, 업을 따라 옮겨 가는 신업과 어업이다.
혹은 업도 아니며 업을 따라 옮겨 가는 것이 아니기도 하니, 업과 업을 따라 옮겨 가는 법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법계이다.
025_0262_b_07L法界有四句業非隨業轉謂除隨業轉身語業餘法界所攝身語業及思或隨業轉非業謂受蘊想蘊及思所不攝隨業轉行蘊或業亦隨業轉謂隨業轉身語業或非業非隨業轉謂除業及隨業轉法界諸餘法界
몇 가지가 만들어진 물질[所造色]이면서 볼 수 있는 물질[有見色]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마땅히 세 구절[三句]을 만들어야 한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볼 수 있는 물질은 아니기도 하니, 8계(界 : 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聲ㆍ香ㆍ味界)와 2계(界 : 觸界ㆍ法界)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또한 볼 수 있는 물질이기도 하니, 1계(界 : 色界)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도 아니며 볼 수 있는 물질도 아니니, 7심계(心界)와 2계(界 : 觸界ㆍ法界)의 적은 부분이다.
025_0262_b_13L幾所造色非有見色等者應作三句或所造色非有見色謂八界及二界少分或所造色亦有見色謂一界或非所造色非有見色謂七界及二界少分
이 8계는 몇 가지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대할 수 있는 물질[有對色]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마땅히 네 구절을 만들어야 한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대할 수 있는 물질은 아니기도 하니, 1계(界 : 法界)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대할 수 있는 물질이면서 만들어진 물질은 아니기도 하니, 1계(界 : 觸界)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이면서 또한 대할 수 있는 물질이기도 하니, 9계(界 : 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色ㆍ觸ㆍ香ㆍ味界)와 1계(界 : 觸界)의 적은 부분이다.
혹은 만들어진 물질도 아니요 대할 수 있는 물질도 아니니, 7계(界 : 七心界)와 1계(界 : 法界)의 적은 부분이다.
025_0262_b_17L此十八界幾所造色非有對色等者應作四句或所造色非有對色謂一界少分有對色非所造色謂一界少分或所造色亦有對色謂九界及一界少分或非所造色非有對色謂七界及一界少分
몇 가지가 보기 어렵기[難見] 때문에 매우 깊은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가 보기 어렵기 때문에 매우 깊으며 매우 깊기 때문에 보기가 어렵다.
025_0262_b_23L幾難見故甚深等者一切難見故甚深甚深故難見
025_0262_c_01L몇 가지가 착한 것[善]이면서 착한 것을 인(因)으로 삼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모두를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계는 혹 착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한 것은 아니기도 하며 혹은 착한 것도 아니면서 착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다.
착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한 것은 아니라 함은, 착한 이숙으로 생긴[異熟生] 안계이다. 착한 것도 아니며 착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라 함은, 나머지 안계이다.
이계ㆍ비계ㆍ향계ㆍ설계ㆍ미계ㆍ신계ㆍ촉계도 그러하다.
025_0262_c_01L幾善非善爲因等者一切應分別謂眼界或善爲因非善或非善非善爲因善爲因非善者謂善異熟生眼界非善非善爲因者謂餘眼界身觸界亦爾
색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한 것은 아니기도 하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색계이다.
혹은 착한 것이면서 또한 착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착한 색계이다.
혹은 착한 것도 아니요 착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색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하지 못한 색계이다.
6식계(識界)와 의계도 그러하다.
025_0262_c_06L色界有三句或善爲因非善善異熟生色界或善亦善爲因謂善色界或非善非善爲因謂除善異熟生色界諸餘無記及不善色界六識意界亦爾
성계에는 두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한 것이면서 또한 착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한 성계이다.
혹은 착한 것도 아니요 착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것과 무기의 성계이다.
025_0262_c_10L聲界有二句或善亦善爲謂善聲界或非善非善爲因謂不善無記聲界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한 것이면서 착한 것을 인으로 삼지 아니하기도 하니, 택멸(擇滅)이다.
혹은 착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선은 아니기도 하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법계이다.
혹은 착한 것이면서 착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착한 유위(有爲)의 법계이다.
혹은 착한 것도 아니요 착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한 이숙으로 생긴 법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하지 못한 법계이다.
025_0262_c_12L法界有四句或善非善爲因謂擇滅或善爲因非善謂善異熟生法界或善亦善爲因謂善有爲法界或非善非善爲因謂除善異熟生法界諸餘無記及不善法界
몇 가지가 착하지 못한 것[不善]이면서 착하지 못한 것을 인(因)으로 삼는 것이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계는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하지 않기도 하며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요,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다.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함은,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안계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며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라 함은, 나머지 안계이다.
이계ㆍ비계ㆍ향계ㆍ설계ㆍ미계ㆍ신계ㆍ촉계도 그러하다.
025_0262_c_16L幾不善非不善爲因等者一切應分別謂眼或不善爲因非不善或非不善非不善爲因不善爲因非不善者謂不善異熟生眼界非不善非不善爲因謂餘眼界觸界亦
025_0263_a_01L색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하지 않은 것이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색계이다.
혹은 착하지 못하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색계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며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색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한 색계이다.
안식계ㆍ이식계ㆍ비식계ㆍ설식계ㆍ신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2_c_22L色界有三句或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色界或不善亦不善爲因謂不善色界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生色界諸餘無記及善色界識界亦爾
성계에는 두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도 않으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성계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도 아니며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한 것과 무기의 성계이다.
025_0263_a_03L聲界有二句或不善亦不善爲因不善聲界或非不善非不善爲因善無記聲界
의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하지 않은 것은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의계와 욕계에 매인 유신견(有身見)ㆍ변집견(邊執見)과 상응하는 의계이다.
혹은 착하지 못하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착하지 못한 의계이다.
혹은 착하지 않은 것이 아니면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의계를 제외하고, 또 욕계에 매인 유신견ㆍ변집견과 상응하는 의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한 의계이다.
의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3_a_06L意界有三句或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意界及欲界繫有身見邊執見相應意界或不善亦不善爲因謂不善意界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生意及除欲界繫有身見邊執見相應意界諸餘無記及善意界意識界亦
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으면서 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법계와 욕계에 매인 유신견ㆍ변집견과 그리고 그것과 상응하고 함께 일어나는 법계이다.
혹은 착하지 못하면서 또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착하지 못한 법계이다.
혹은 착하지 못한 것도 아니면서 착하지 못한 것을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하지 못한 이숙으로 생긴 법계를 제외하고 또한 욕계의 유신견ㆍ변집견과 아울러 그것과 상응하고 함께 일어나는 법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기와 착한 법계이다.
025_0263_a_13L法界有三句或不善爲因非不善謂不善異熟生法界及欲界繫有身見邊執見及彼相應等起法界或不善亦不善爲因謂不善法界或非不善非不善爲因謂除不善異熟生法及除欲界有身見邊執見幷彼相應等起法界諸餘無記及善法界
025_0263_b_01L몇 가지가 무기(無記)이면서 무기를 인(因)으로 삼는 것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는 무기이면서 또한 무기를 인으로 삼으며 열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색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무기를 인으로 삼으면서도 무기는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색계이다.
혹은 무기이면서 또한 무기를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무기의 색계이다.
혹은 무기도 아니요 무기를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한 색계이다.
성계와 여섯 가지 색계[六識界]와 의계도 그러하다.
025_0263_a_19L無記非無記爲因等者八無記亦無記爲因十應分別謂色界有三句無記爲因非無記謂不善色界或無記亦無記爲因謂無記色界或非無記非無記爲因謂善色界聲界六識意界亦爾
법계에는 네 구절이 있다.
혹은 무기이면서 무기를 인으로 삼는 것은 아니기도 하니, 허공과 비택멸이다.
혹은 무기를 인으로 삼으면서 무기가 아니기도 하니, 착하지 못한 법계이다.
혹은 무기이면서 또한 무기를 인으로 삼기도 하나니, 이른바 무기의 유위(有爲)의 법계이다.
혹은 무기도 아니요 무기를 인으로 삼는 것도 아니니, 착한 법계이다.
025_0263_b_02L法界有四句或無記非無記爲因謂虛空非擇滅或無記爲因非無記謂不善法界或無記亦無記爲因謂無記有爲法界或非無記非無記爲因謂善法界
몇 가지가 인연(因緣)이면서 인(因)이 있는 것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곧 인연이면서 또한 인도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유위이면 그것은 곧 인연이면서 또한 인도 있고, 만일 무위이면 그것은 인연도 아니요 인이 있는 것도 아니다.
025_0263_b_06L幾因緣非有因等者十七是因緣亦有因一應分謂法界若有爲是因緣亦有因無爲非因緣非有因
몇 가지가 등무간(等無間)이면서 등무간연(等無間緣)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는 등무간도 아니면서 등무간연도 아니며, 여덟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안식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그것이 등무간이면서 등무간연은 아니기도 하니, 미래에 목전에서 일어나는 안식이다.
혹은 그것이 등무간이면서 또한 등무간연이기도 하니, 과거와 현재의 안식이다.
혹은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니, 미래에 목전에서 일어나 안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미래의 안식이다.
이식계ㆍ비식계ㆍ설식계ㆍ신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3_b_09L幾等無閒非等無閒緣等者十非等無閒非等無閒八應分別謂眼識界有三句或是等無閒非等無閒緣謂未來現前正起眼識或是等無閒亦等無閒緣過去現在眼識或非等無閒非等無閒緣謂除未來現前正起眼識諸餘未來眼識識界亦爾
의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그것이 등무간이면서도 등무간연은 아니기도 하니, 미래에 목전에 일어나는 의계와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의계이다.
혹 그것은 등무간이면서 또한 등무간연이기도 하니,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의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과거ㆍ현재의 의계이다.
혹은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니, 미래의 목전에서 일어나는 의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미래의 의계이다.
의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3_b_16L意界有三句或是等無閒非等無閒緣未來現前正起意界及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意界或是等無閒亦等無閒緣謂除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意界諸餘過去現在意界或非等無閒非等無閒緣謂除未來現前正起意界諸餘未來意界意識界亦爾
025_0263_c_01L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 그것은 등무간이면서도 등무간연은 아니기도 하니, 미래에 목전에서 일어나는 모든 심소의 법[心所法]과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모든 심소의 법과 아울러 이미 생겼거나 지금 막 생긴 무상정(無想定)과 멸정(滅定)이다.
혹 그것은 등무간이면서 또한 등무간연이기도 하니, 과거ㆍ현재의 아라한이 목숨을 마칠 때의 모든 심소의 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과거ㆍ현재의 심소의 법이다.
혹은 등무간도 아니요 등무간연도 아니니, 미래의 목전에서 일어나는 모든 심소의 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미래의 심소의 법과 등무간의 심불상응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심불상응행과 신업ㆍ어업과 아울러 무위의 법[無爲法]이다.
025_0263_b_23L法界有三句或是等無閒非等無閒謂未來現前正起諸心所法及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諸心所法已生正起無想滅定或是等無閒亦等無閒緣謂除過去現在阿羅漢命終時諸心所法諸餘過去現在心所或非等無閒非等無閒緣謂除未來現前正起諸心所法諸餘未來心所法及除等無閒心不相應行諸餘心不相應行及身語業幷無爲法
몇 가지가 소연연(所緣緣)이면서도 소연(所緣)은 있지 아니한가 등에 대해서는, 열 가지[十色界]는 곧 소연연이면서도 소연은 있지 아니하고 일곱 가지[七心界]는 곧 소연연이면서 또한 소연도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모두가 심소(心所)이면 그것은 소연연이면서 또한 소연도 있고, 만일 심소가 아니면 그것은 곧 소연연이면서 소연도 있지 아니한다.
025_0263_c_10L所緣緣非有所緣等者十是所緣緣非有所緣七是所緣緣亦有所緣應分別謂法界若諸心所是所緣緣亦有所緣若非心所是所緣緣非有所緣
몇 가지가 증상연(增上緣)이면서도 증상(增上)은 있지 아니한가 등에 대해서는, 열 일곱 가지는 곧 증상연이면서 또한 증상도 있으며 한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법계는 만일 유위이면 그것은 증상연이면서 또한 증상도 있고, 만일 무위이면 그것은 증상연이되 증상은 있지 아니하다.
025_0263_c_15L幾增上緣非有增上等者十七是增上緣亦有增上一應分別謂法若有爲是增上緣亦有增上若無爲是增上緣非有增上
몇 가지가 폭류(瀑流)이면서 순폭류(順瀑流)가 아닌가 등에 대해서는, 열 다섯 가지는 순폭류이면서 폭류는 아니며 세 가지는 마땅히 분별해야 한다.
이를테면 의계는 만일 유루이면 그것은 순폭류이면서 폭류가 아니며, 만일 무루이면 그것은 폭류도 아니요 순폭류도 아니다.
의식계도 그러하다.
025_0263_c_18L幾暴流非順暴流等者十五順暴流非暴流三應分別謂意界若有漏順暴流非暴流若無漏非暴流非順暴流意識界亦
025_0264_a_01L법계에는 세 구절이 있다.
혹은 순폭류이면서 폭류는 아니기도 하니, 폭류에 포섭되지 않은 유루의 법계이다.
혹은 폭류이면서 또한 순폭류이기도 하니, 4폭류(瀑流)이다.
혹은 폭류도 아니요 순폭류도 아니니, 무루의 법계이다.
025_0263_c_22L法界有三句或順暴流非暴流暴流所不攝有漏法界或暴流亦順暴流謂四暴流或非暴流非順暴流謂無漏法界
說一切有部品類足論卷第十七
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㓮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