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衆事分阿毘曇論卷第二

ABC_IT_K0950_T_002
025_0277_c_01L중사분아비담론 제2권
025_0277_c_01L衆事分阿毘曇論卷第二


세우 존자 지음
025_0277_c_02L尊者世友造
구나발타라ㆍ보리야사 한역
송성수 번역
025_0277_c_03L宋天竺三藏求那跋陁羅共菩提耶舍譯


3. 분별제입품(分別諸入品)
025_0277_c_04L分別諸入品第三

마치 세존께서 사제수로나(闍諦輸盧那) 바라문을 위하여 말씀하시면서 ‘모든 바라문들아, 모든 것[一切者]이란 곧 12입(入)임을 마땅히 알아라. 무엇을 12입이라 하는가? 이를테면 안입(眼入)ㆍ색입(色入)ㆍ성입(聲入)ㆍ비입(鼻入)ㆍ향입(香入)ㆍ설입(舌入)ㆍ신입(身入)ㆍ촉입(觸入)ㆍ의입(意入)ㆍ법입(法入)이니라’고 하신 것과 같다.
025_0277_c_05L如世尊爲闍諦輸盧那婆羅門說一婆羅門當知一切者謂十二入何十二謂眼入色入耳入聲入鼻入香入舌入味入身入觸入意入法入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형상[色]이 있으며 몇 가지가 형상이 없는가[非色]?
【답】 열 가지는 형상이 있고 한 가지는 형상이 없으며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은 형상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형상이 있는 것인가? 법입에 속한 신업(身業)과 구업(口業)은 곧 형상이 있으며 나머지는 형상이 없다.
025_0277_c_09L此十二入幾色幾非色十是色一非色一分別法入或色或非色何色謂法入所攝身口業是色餘非色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볼 수 있고[可見] 몇 가지가 볼 수 없는가[不可見]?
【답】 한 가지는 볼 수 있고 열 한 가지는 볼 수 없다.
025_0277_c_12L此十二入幾可見幾不可見謂一可十一不可見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대할 수 있고[有對] 몇 가지가 대할 수 없는가[無對]?
【답】열 가지는 대할 수 있고 두 가지는 대할 수 없다.
025_0277_c_14L此十二入幾有對幾無對謂十有對二無對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유루(有漏)이고 몇 가지가 무루(無漏)인가?
【답】 열 가지는 유루이며 두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의입은 유루이기도 하고 무루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루인가? 유루의 의행(意行:作意)과 상응하는 의입을 말한다. 어떤 것이 무루인가? 무루의 의행과 상응하는 의입을 말한다.
025_0277_c_16L此十二入幾有漏幾無漏十有漏二分別意入或有漏或無漏云何有漏謂有漏意行相應意入何無漏謂無漏意行相應意入
법입은 유루이기도 하고 무루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루인가? 법입에 속한 유루의 신업ㆍ구업과 유루의 수음(受陰)ㆍ상음(想陰)ㆍ행음(行陰)이다. 어떤 것이 무루인가? 무루의 신업ㆍ구업과 무루의 수음ㆍ상음ㆍ행음과 무위법(無爲法)이다.
025_0277_c_19L法入或有漏或無漏云何有漏謂法入所攝有漏身口業有漏受陰想陰行陰云何無漏謂無漏身口業無漏受陰想陰行陰及無爲法
025_0278_a_01L【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유위(有爲)이고 몇 가지가 무루(無爲)인가?
【답】 열 한 가지는 유위이고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은 유위이기도 하고 무위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위인가? 법입에 속한 신업ㆍ구업ㆍ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이 무위인가? 허공(虛空)ㆍ수멸(數滅)ㆍ비수멸(非數滅)이다.
025_0278_a_01L此十二入幾有爲幾無爲謂十一有一分別法入或有爲或無爲云何有爲謂法入所攝身口業受陰想陰行陰云何無爲謂虛空數滅非數滅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유쟁(有諍)이고 몇 가지가 무쟁(無諍)인가?
【답】 열 가지는 유쟁이고 두 가지는 분별해야 된다.
두 가지[意處ㆍ法處]가 만일 유루이면 유쟁이고 만일 무루이면 무쟁이다.
마치 유쟁ㆍ무쟁에서처럼 세간(世間)ㆍ출세간(出世間)과 유과(有過)ㆍ무과(無過)와 의가(依家)ㆍ의출요(依出要)와 사(使)ㆍ비사(非使)와 수(受)ㆍ비수(非受)와 전(纏)ㆍ비전(非纏)에 있어서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a_05L此十二入幾有諍幾無諍謂十有諍二分別二若有漏有諍二若無漏無如有諍無諍如是世閒出世閒過無過依家依出要使非使受非受纏非纏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유기(有記)이고 몇 가지가 무기(無記)인가?
【답】여덟 가지는 무기이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된다.
색입은 유기이기도 하고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유기인가? 선(善)과 불선(不善)의 색입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선ㆍ불선의 색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입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ㆍ의입ㆍ법입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a_10L此十二入幾有記幾無記謂八無記四分別色入或有記或無記云何有謂善不善色入云何無記謂除善不善色入諸餘色入如色入聲入法入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은몰(隱沒:有覆)이고 몇 가지가 불은몰(不隱沒:無覆)인가?
【답】 여덟 가지는 불은몰이며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은몰이기도 하고 혹은 불은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은몰인가? 예오(穢汚:染汚)가 그것이다. 어떤 것이 불은몰인가? 불예오(不穢汚:不染汚)가 그것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ㆍ의입ㆍ법입도 역시 그와 같다.
025_0278_a_15L此十二入幾隱沒幾不隱沒謂八不隱沒四分別色入或隱沒或不隱沒云何隱沒謂穢污云何不隱沒謂不穢污如色入聲入意入法入亦如是
025_0278_b_01L【문】 이 12입은 몇 가지를 마땅히 닦아야[應修] 하고 몇 가지를 닦지 않아야[不應修]하는가?
【답】 여덟 가지는 닦지 않아야 하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마땅히 닦아야 하기도 하고 혹은 닦지 않아야 하기도 한다. 어떤 것을 닦아야 하는 것인가? 착한[善] 색입이다. 어떤 것을 닦지 않아야 하는가? 불선(不善)과 무기(無記)의 색입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과 의입도 역시 그러하다.
법입은 마땅히 닦아야 하기도 하고 혹은 닦지 않아야 하기도 한다. 어떤 것이 닦아야 하는 것인가? 착한 것과 유위의 법입이다. 어떤 것이 닦지 않아야 하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것과 무기의 법입과 수멸(數滅)이다.
025_0278_a_19L此十二入幾應修幾不應修謂八不應修四分別色入或應修或不應修云何應修謂善色入云何不應修不善無記色入如色入聲入意入亦如是法入或應修或不應修云何應謂善有爲法入云何不應修謂不無記法入及數滅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예오(穢汚:染汚)이고 몇 가지가 예오가 아닌가[不穢汚:不染汚]?
【답】 여덟 가지는 예오가 아니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예오이기도 하고 예오가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예오인가? 은몰이 그것이다. 어떤 것이 예오가 아닌가? 불은몰이 그것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ㆍ의입ㆍ법입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b_03L此十二入幾穢污幾不穢污謂八不穢污四分別色入或穢污或不穢污云何穢污謂隱沒云何不穢污謂不隱沒如色入聲入意入法入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죄가 있고[有罪] 몇 가지가 죄가 없는가[無罪]?
【답】여덟 가지는 죄가 없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죄가 있기도 하고 혹은 죄가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죄가 있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색입과 은몰무기(隱沒無記)이다. 어떤 것이 죄가 없는 것인가? 착한 색입과 불은몰무기(不隱沒無記)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ㆍ의입ㆍ법입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b_07L此十二入幾有罪幾無罪謂八無罪四分別色入或有罪或無罪云何有謂不善色入及隱沒無記云何無謂善色入及不隱沒無記如色入聲入意入法入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보(報:異熟)가 있고 몇 가지가 보가 없는 것인가?
【답】 여덟 가지는 보가 없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보가 있기도 하고 혹은 보가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보가 있는 것인가? 착하고 착하지 못한 색입이다. 어떤 것이 보가 없는 것인가? 무기의 색입이다.
색입에서처럼 성입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b_12L此十二入幾有報幾無報謂八無報四分別色入或有報或無報云何有謂善不善色入云何無報謂無記色入如色入聲入亦如是
의입은 혹은 보가 있기도 하고 혹은 보가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보가 있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것ㆍ착한 것ㆍ유루의 의입이다. 어떤 것이 보가 없는 것인가? 무기와 무루의 의입이다.
의입에서처럼 법입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b_16L意入或有或無報云何有報謂不善善有漏意入云何無報謂無記無漏意入意入法入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견(見)이고 몇 가지가 견이 아닌가[非見]?
【답】 한 가지는 견이고 열 가지는 견이 아니며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은 견이기도 하고 혹은 견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견인가? 8견(見)을 견이라 하니, 5사견(邪見)ㆍ세속의 바른 견해[正見]ㆍ배울 것이 있는 사람의 견해[學見]ㆍ배울 것이 없는 사람의 견해[無學見]이며 나머지는 견이 아니다.
025_0278_b_19L此十二入幾見幾非見謂一是見非見一分別法入或見或非見云何謂八見名見謂五邪見世俗正見學見無學見餘非見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안[內]이고 몇 가지가 바깥[外]인가?
【답】 여섯 가지[眼入ㆍ耳入ㆍ鼻入ㆍ舌入ㆍ身入ㆍ意入]는 안이고 여섯 가지[色入ㆍ聲入ㆍ香入ㆍ味入ㆍ觸入ㆍ法入]는 바깥이다.
025_0278_b_23L此十二入幾內幾外謂六內六外
025_0278_c_01L【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느낌[受:執受]이고 몇 가지가 느낌이 아닌가[不受:無執受]?
【답】 세 가지는 느낌이 아니고 아홉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안입은 느낌이기도 하고 혹은 느낌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느낌인가? 자성(自性)이 느끼는 것이다. 어떤 것이 느낌이 아닌가? 자성의 느낌[自性受]이 아닌 것이다.
안입에서처럼 색입ㆍ이입ㆍ비입ㆍ향입ㆍ설입ㆍ미입ㆍ신입ㆍ촉입에도 역시 이와 같다.
025_0278_c_01L此十二入幾受幾不受謂三不受分別眼入或受或不受云何受謂自性受云何不受謂非自性受如眼入色入耳入鼻入香入舌入味入身入觸入亦如是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마음[心]이고 몇 가지가 마음이 아닌가[非心]?
【답】 한 가지는 마음이고 열 가지는 마음이 아니다.
025_0278_c_06L此十二入幾心幾非心謂一是心一非心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연이 있고[有緣:有所緣] 몇 가지가 연이 없는가[無緣:無所緣]?
【답】 한 가지는 연이 있고 열 가지는 연이 없으며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은 연이 있기도 하고 혹은 연이 없기도 하다. 어떤 것이 연이 있는 것인가? 심법(心法)이다. 어떤 것이 연이 없는 것인가? 심법이 아닌 것[非心法]을 말한다.
025_0278_c_08L此十二入幾有緣幾無緣謂一有緣十無緣一分別法入或有緣或無緣云何有緣謂心法云何無緣謂非心法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심법(心法)이며 몇 가지가 심법이 아닌가?
【답】 열 한 가지는 심법이 아니며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은 혹은 심법이기도 하고 혹은 심법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심법인가? 연이 있는 것[有緣]이다. 어떤 것이 심법이 아닌가? 연이 없는 것[無緣]이다.
025_0278_c_11L此十二入幾心法幾非心法謂十一非心法一分別法入或心法或非心云何心法謂有緣云何非心法無緣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업(業)이고 몇 가지가 업이 아닌가?
【답】 아홉 가지는 업이 아니고 세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혹은 업이기도 하고 혹은 업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업인가? 몸으로 짓는 것[身作]이 곧 업이며 나머지는 업이 아니다.
성입은 업이기도 하고 혹은 업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업인가? 입으로 짓는 것[口作]이 곧 업이며, 나머지는 업이 아니다.
법입이 혹은 업이기도 하고 혹은 업이 아니기도 하다. 어떤 것이 업인가? 법입에 속한 신업(身業)ㆍ구업(口業)과 사(思)가 업이며, 나머지는 업이 아니다.
025_0278_c_15L此十二入幾業幾非業謂九非業分別色入或業或非業云何業謂身作是業餘非業聲入或業或非業何業謂口作是業餘非業法入或業或非業云何業謂法入所攝身口業及思是業餘非業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선(善)이고 불선(不善)이며 무기(無記)인가?
【답】 여덟 가지는 무기이고 네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색입은 착한 것이기도 하고 착하지 못한 것이기도 하며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신작(身作:身表業)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않는 것인가? 착하지 못한 신작이다.
025_0278_c_21L此十二入幾善不善無記謂八無記四分別色入或善不善無記云何善謂善身作云何不善謂不善身作
025_0279_a_01L 어떤 것이 무기인가? 착함과 착하지 못한 것의 신작의 색입을 제외한 나머지 신작의 색입이다. 성입은 혹은 착한 것이기도 하고 착하지 못한 것이기도 하며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구성(口聲:語表業)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못한 것인가? 착하지 못한 구성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선ㆍ불선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이다.
025_0279_a_01L何無記謂除善不善身作色餘身作聲入或善不善無記云何善謂善口聲云何不善謂不善口聲云何無謂除善不善口聲諸餘口聲
의입은 혹은 착하기도 하고 착하지 않기도 하며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착한 의사유(意思唯:作意)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인가? 착하지 못한 뜻의 생각과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무기의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79_a_05L意入或善不善無記云何善謂善意思惟相應意入云何不善謂不善意思惟相應意入
법입은 혹은 착하기도 하고 착하지 않기도 하며 무기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착한 것인가? 법입에 속한 착한 신업ㆍ구업과 착한 수음ㆍ상음ㆍ행음과 수멸(數滅)이다.
025_0279_a_08L云何無記謂無記意思惟相應意入法入或善不善無記云何謂法入所攝善身口業善受陰想陰行陰及數滅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인가? 법입에 속한 착하지 못한 신업ㆍ구업과 착하지 못한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이 무기인가? 법입에 속한 무기의 수음ㆍ상음ㆍ행음과 허공(虛空)과 비수멸(非數滅)이다.
025_0279_a_11L云何不善謂法入所攝不善身口業不善受陰想陰行陰云何無記謂法入所攝無記受陰想陰行陰及虛空非數滅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見斷]이고 몇 가지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修斷]이며 몇 가지가 끊지 않아야 할 것인가[不斷]?
【답】 열 한 가지는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고 두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의입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끊지 않아야 할 것이기도 하다.
025_0279_a_14L此十二入幾見斷幾修斷幾不斷十修斷二分別意入或見斷或修斷或不斷
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수신행(隨信行)ㆍ수법행(隨法行)인 사람이면 무간인(無間忍:現觀邊)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88사(使:隨眠)와 상응하는 의입니다.
025_0279_a_17L云何見斷若意入隨信行法行人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斷八十八使相應意入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배울 것이 있는 사람[學]으로서 자취를 본[見迹] 사람이면 수도에서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10사(使)와 상응하는 의입과 더러워지지 않는[不穢染:不染汚] 유루의 의입이다.
025_0279_a_19L云何修斷意入學見迹修斷彼云何斷謂修斷十使相應意入及不穢污有漏意入
어떤 것이 끊지 않아야 하는 것인가? 무루의 의입이다.
법입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끊어야 할 것이 아니기도 하다.
025_0279_a_21L云何不斷謂無漏意入法入或見斷或修斷或不斷
025_0279_b_01L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무간인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88사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이며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다.
025_0279_a_23L云何見斷若法入隨信行隨法行人無閒忍等斷彼云何謂見斷八十八使彼相應法入所起心不相應行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에서 배울 것이 있는 사람으로서 자취를 본 사람이면 수도에서 끊어야 한다. 거기에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10사(使)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서 일어나는 신업ㆍ구업과 거기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과 더러워지지 않는 유루의 법입니다.
어떤 것이 끊지 않아야 할 것인가? 무루의 법입니다.
025_0279_b_03L云何修斷若法入學見迹修斷彼云何斷謂修斷十使彼相應法入彼所起身口業彼所起心不相應行及不穢污有漏法入何不斷謂無漏法入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학(學)이고 몇 가지가 무학(無學)이며 몇 가지가 학도 무학도 아닌[非學非無學]것인가?
【답】 열 가지는 학도 무학도 아니며 두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의입은 학이기도 하고 혹은 무학이기도 하며 혹은 학도 무학도 아니기도 하다.
025_0279_b_07L此十二入幾學幾無學幾非學非無謂十非學非無學二分別意入或無學或非學非無學
어떤 것이 학인가? 배울 것이 있는 사람[學]의 의사유(意思惟 : 作意)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무학인가? 배울 것이 없는 사람[無學]의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학도 무학도 아닌가? 유루의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법입은 학이기도 하고 혹은 무학이기도 하며 혹은 학도 무학도 아니기도 하다.
025_0279_b_10L云何學學意思惟相應意入云何無學謂無學意思惟相應意入云何非學非無學謂有漏意思惟相應意入法入或學或無學或非學非無學
어떤 것이 학인가? 배울 것이 있는 사람의 신업ㆍ구업과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이 무학인가? 배울 것이 없는 사람의 신업ㆍ구업과 배울 것이 없는 사람의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이 학도 비학도 아닌가? 법입에 속한 유루의 신업ㆍ구업과 수음ㆍ상음ㆍ행음과 무위의 법[無爲法]이다.
025_0279_b_14L云何學謂學身口業學受陰想陰行陰云何無學謂無學身口業無學受陰想陰行陰云何非學非無學謂法入所攝有漏身口業有漏受陰想陰行陰及無爲法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욕계에 매인 것[欲界繫]이고 몇 가지가 색계(色界)와 무색계에 매인 것[無色界繫]이며 몇 가지가 매이지 않은 것[不繫]인가?
【답】 두 가지는 욕계에 매인 것이며 열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안입은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안입은 욕계에 매인 4대(大)로 만들어진 것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안입은 색계에 매인 4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025_0279_b_18L此十二入幾欲界繫幾色無色界繫幾不繫謂二欲界繫十分別眼入欲界繫或色界繫云何欲界繫謂眼入欲界繫四大所造云何色界繫眼入色界繫四大所造
025_0279_c_01L안입에서처럼 색입ㆍ이입ㆍ성입ㆍ비입ㆍ설입ㆍ신입도 역시 그와 같다.
촉입은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다.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촉입은 욕계에 매인 4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촉입은 색계에 매인 4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의입은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매여 있지 않은 것이기도 하다.
025_0279_b_23L如眼入色入耳入聲入鼻入舌入身入亦如是或欲界繫或色界繫云何欲界繫謂觸入欲界繫四大所造云何色界謂觸入色界繫四大所造意入欲界繫或色界繫或無色界繫或不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욕계에 매인 의사유(意思惟)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에 매인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무색계에 매인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어떤 것이 매여 있지 않은 것인가? 무루의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79_c_06L云何欲界繫謂欲界繫意思惟相應意入云何色界繫謂色界繫意思惟相應意入云何無色界繫謂無色界繫意思惟相應意入云何不繫無漏意思惟相應意入
법입은 욕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며 혹은 무색계에 매인 것이기도 하고 혹은 매여 있지 않은 것이기도 하다.
025_0279_c_10L法入或欲界或色界繫或無色界繫或不繫
어떤 것이 욕계에 매인 것인가? 그것에 속한 신업ㆍ구업과 그것에 속한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이 색계에 매인 것인가? 색계에 매인 법입에 속한 신업ㆍ구업과 그것에 속한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025_0279_c_11L何欲界繫謂法入欲界繫彼所攝身口業彼所攝受陰想陰行陰云何色界繫謂法入色界繫彼所攝身口業彼所攝受陰想陰行陰
어떤 것이 무색계에 매인 것인가? 무색계에 매인 법입에 속한 수음ㆍ상음ㆍ행음이다. 어떤 것 매여 있지 않은 것인가? 무루에 속한 신업ㆍ구업과 무루에 속한 수음ㆍ상음ㆍ행음과 무위법이다.
025_0279_c_15L云何無色界謂法入無色界繫彼所攝受陰想陰行陰云何不繫謂無漏所攝身口無漏所攝受陰想陰行陰及無爲法
【문】이 12입은 몇 가지가 과거(過去)이고 몇 가지가 미래(未來)이며 몇 가지가 현재(現在)인가?
【답】 열 한 가지는 과거이기도 하고 혹은 미래이기도 하고 혹은 현재이기도 하나 한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법입이 만일 유위(有爲)이면 그것은 과거이기도 하고 혹은 미래이기도 하며 혹은 현재이기도 하지만 만일 무위(無爲)이면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니며 현재도 아니다.
025_0279_c_18L此十二入幾過去幾未來幾現在十一或過去或未來或現在一分別法入若有爲或過去或未來或現在若無爲非過去非未來非現在
【문】 이 12입은 몇 가지가 괴로움에 대한 진리[苦諦]에 속한 것[所攝]이고 몇 가지가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진리[集諦]에 속하며, 몇 가지가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搣諦]에 속하고 몇 가지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道諦]에 속하는가?
025_0279_c_22L此十二入幾苦諦攝幾集諦攝幾滅諦攝幾道諦攝幾非諦攝
025_0280_a_01L【답】 열 가지는 괴로움에 대한 진리와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진리에 속하고 두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의입이 만일 유루(有漏)이면 괴로움에 대한 진리와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진리에 속하지만 만일 무루이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에 속한다.
법입이 만일 유루이면 괴로움에 대한 진리와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진리에 속하지만, 만일 무루로서 유위이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에 속하고 만일 수멸(數搣)이면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에 속하며 허공과 비수멸이면 진리에 속하지 아니한다.
025_0280_a_01L謂十苦集諦所攝二分別意入若有漏苦集諦所攝若無漏道諦所攝法入若有漏苦集諦所攝若無漏有爲道諦所攝若數滅滅諦所攝虛空非數滅非諦所攝
【문】이 12입은 몇 가지가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見苦斷]이고 몇 가지가 견집[見集斷]에서 끊어야 할 것이며, 몇 가지가 견멸에서 끊어야 할 것[見搣斷]이고 몇 가지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見道斷]이며, 몇 가지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修斷]이고 몇 가지가 끊지 않아야 할 것인가[不斷]?
025_0280_a_06L此十二入幾見苦斷幾見集斷幾見滅斷幾見道斷幾修斷幾不斷十修斷二分別
【답】 열 가지는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고 두 가지는 분별해야 한다.
025_0280_a_09L意入或見苦斷或見集斷或見滅斷或見道斷或修斷不斷
의입은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견집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견멸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끊지 않아야 할 것이기도 하다.
025_0280_a_11L云何見苦斷若意入隨信行法行人苦無閒忍等斷彼云何斷見苦斷二十八使相應意入
어떤 것이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수신생(隨信行)ㆍ수법행(隨法行)인 사람이면 고무간(苦無間:苦現觀邊)의 인(忍)에서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고에서 끊어야 할 28사(使)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80_a_13L云何見集斷若意入隨信行隨法行人集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集斷十九使相應意入
어떤 것이 견집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집무간(集無間)의 인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집에서 끊어야 할 19사(使)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80_a_16L云何見滅斷若意入隨信行隨法行人滅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滅斷十九使相應意入
어떤 것이 견멸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멸무간(滅無間)의 인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멸에서 끊어야 할 19사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80_a_18L何見道斷若意入隨信行隨法行人道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道斷二十二使相應意入
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도무간(道無間)의 인(忍)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22사(使)와 상응하는 의입이다.
025_0280_a_21L云何修斷若意入學見迹修斷彼云何斷謂修斷十使相應意入及不穢污有漏意入何不斷謂無漏意入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의입이 배울 것이 있는 사람[學]으로서 자취를 본[見迹]사람이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10사(使)와 상응하는 의입과 더러움에 물들지 않은 유루의 의입이다.
어떤 것이 끊어야 할 것이 아닌가? 무루의 의입이다.
025_0280_b_01L法入或見苦斷或見集斷或見滅斷或見道斷或修或不斷
025_0280_b_01L법입은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견집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견멸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며, 혹은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이기도 하고 혹은 끊지 않아야 할 것이기도 하다.
025_0280_b_03L云何見苦斷若法入隨信隨法行人苦無閒忍等斷彼云何謂見苦斷二十八使彼相應法入彼所起心不相應行
어떤 것이 견고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고무간(苦無間)의 인(忍)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는가? 견고에서 끊어야 할 28사(使)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이다.
025_0280_b_06L云何見集斷法入隨信行隨法行人集無閒忍等彼云何斷謂見集斷十九使彼相應法入彼所起心不相應行
어떤 것이 견집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에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집무간(集無間)의 인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집에서 끊어야 할 19사(使)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이다.
025_0280_b_09L云何見滅斷若法入隨信行隨法行人滅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滅斷十九使彼相應法入彼所起心不相應行
어떤 것이 견멸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멸무간(滅無間)의 인(忍)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멸에서 끊어야 할 19사(使)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이다.
025_0280_b_12L何見道斷若法入隨信行隨法行人道無閒忍等斷彼云何斷謂見道斷二十二使彼相應法入彼所起心不相應行
어떤 것이 견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이 수신행ㆍ수법행인 사람이면 도무간(道無間)의 인에서 함께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견도에서 끊어야 할 22사(使)와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이다.
025_0280_b_16L云何修斷若法入學見迹修彼云何斷謂修斷十使彼相應法彼所起身口業彼所起心不相應行及不穢污有漏法入云何不斷無漏法入
어떤 것이 수도에서 끊어야 할 것인가? 만일 법입에서 배울 것이 있는 사람으로서 자취를 본 사람이면 수도에서 끊어야 한다. 거기서 어떤 것을 끊어야 하는가? 수도에서 끊어야 할 10사(使)와 그것과 상응하는 법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신업ㆍ구업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심불상응행과 아울러 더러워지지 않은[不梁扝] 유루의 법입이다.
어떤 것이 끊어야 할 것이 아닌가? 무루의 법입이다.
025_0280_b_20L五陰十二入爲五陰攝十二入十二入
【문】 5음(陰)과 12입(入)에서, 5음에 12입이 소속되는 것인가 12입에 5음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12입에 5음이 소속되고 5음에 12입이 소속되는 것이 아니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무위(無爲)의 법입이다.
025_0280_b_22L攝五陰十二入攝五陰非五陰攝十二入何所不攝謂無爲法入
025_0280_c_01L【문】 5음과 18계(界)에서, 5음에 18계가 소속되는 것인가 18계에 5음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18계에 5음이 소속되고 5음에 18계가 소속되는 것이 아니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무위의 법계이다.
025_0280_c_01L五陰十八界爲五陰攝十八界十八界攝五陰十八界攝五陰五陰攝十八界何所不攝謂無爲法界
【문】 5음과 22근(根)에서, 5음에 22근이 소속되는 것인가 22근에 5음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2음(陰)과 2음의 일부분[少分]에 22근이 소속되고 22근도 역시 2음과 2음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1음과 2음의 일부분이다.
025_0280_c_04L五陰二十二根爲五陰攝二十二爲二十二根攝五陰二陰及二陰少分攝二十二根二十二根亦攝二陰及二陰少分何所不攝謂一陰及二陰少分
【문】 5음과 98사(使)에서, 5음에 98사가 소속되는 것인가 98가 5음에 소속되는 것인가?
【답】 1음의 일부분에 98사가 소속되고 98사에도 1음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4음과 1음의 일부분이다.
025_0280_c_09L五陰九十八使爲五陰攝九十八使爲九十八使攝五陰一陰少分攝九十八使九十八使亦攝一陰少何所不攝謂四陰及一陰少分
【문】 12입과 18계에서, 12입에 18계가 소속되는 것인가 18계에 12입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엎치락뒤치락 피차가 서로 소속되므로 그 응하는 것에 따라야 한다.
025_0280_c_13L十二入十八界爲十二入攝十八爲十八界攝十二入展轉相攝隨其所應
【문】 12입과 22근에서, 12입에 22근이 소속되는 것인가 22근에 12입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안[內]의 6입(入)과 밖(外)의 1입의 일부분에 22근이 소속되고 22근에도 안의 6입과 밖의 1입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밖의 5입과 밖의 1입의 일부분이다.
025_0280_c_16L十二入二十二根爲十二入攝二十二根爲二十二根攝十二入內入及一外入少分攝二十二根十二根亦攝六內入及一外入少分何所不攝謂五外入及一外入少分
025_0281_a_01L【문】12입과 98사(使)에서, 12입에 98사가 소속되는 것인가 98사에 12입이 소속되는 것인가?
【답】 밖[外]의 1입의 일부분에 98사가 소속되고 98사도 밖의 1입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12입과 밖의 1입의 일부분이다.
025_0280_c_21L十二入九十八使爲十二入攝九十八使爲九十八使攝十二入外入少分攝九十八使九十八使亦攝一外入少分何所不攝謂十一入及一外入少分
【문】 18계와 22근에서, 18계에 22근이 소속되는 것인가 22근에 18계가 소속되는 것인가?
【답】 12의 내계(內界)와 1의 외계(外界)의 일부분에 22근이 소속되고 22근에도 12의 내계와 1의 외계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5의 외계와 1의 외계의 일부분이다.
025_0281_a_03L十八界二十二根爲十八界攝二十二根爲二十二根攝十八界十二內界及一外界少分攝二十二二十二根亦攝十二內界及一外界少分何所不攝謂五外界及一外界少分
【문】 18계와 98사에서, 18계에 98사가 소속되는 것인가 98사에 18계가 소속되는 것인가?
【답】 1의 외계의 일부분에 98사가 소속되고 98사도 1의 외계의 일부분이 소속된다.
어느 것이 소속되지 않는 것인가? 17계와 1의 외계의 일부분이다.
025_0281_a_09L十八界九十八使爲十八界攝九十八使爲九十八使攝十八界外界少分攝九十八使九十八使亦攝一外界少分何所不攝謂十七界及一外界少分
【문】 22근과 98사에서, 22근에 98사가 소속되는 것인가 98사에 22근이 포섭되는 것인가?
【답】 엎치락뒤치락 서로서로 소속되지 않는다.
025_0281_a_14L二十二根九十八使爲二十二根攝九十八使爲九十八使攝二十二展轉不相攝

4. 분별칠사품(分別七事品)
025_0281_a_17L衆事分阿毘曇論分別七事品第四

18계(界)ㆍ12입(入)ㆍ5음(陰)ㆍ5성음(盛陰)ㆍ6계(界)ㆍ10대지법(大地法)ㆍ10번뇌대지법(煩惱大地法)ㆍ10소번뇌대지법(小煩惱大地法)ㆍ5번뇌(煩惱)ㆍ5촉(觸)ㆍ5견(見)ㆍ5근(根)ㆍ5법(法)ㆍ6식신(識身)ㆍ6촉신(觸身)ㆍ6수신(受身)ㆍ6상신(想身)ㆍ6사신(思身)ㆍ6애신(愛身)이 있다.
025_0281_a_18L十八界十二入五陰五盛陰六界大地法十煩惱大地法十小煩惱大地法五煩惱五觸五見五根五法識身六觸身六受身六想身六思身六愛身
025_0281_b_01L어떤 것이 18계(界)인가? 안계(眼界)ㆍ색계(色界)ㆍ안식계(眼識界)ㆍ이계(耳界)ㆍ성계(聲界)ㆍ이식계(耳識界)ㆍ비계(鼻界)ㆍ향계(香界)ㆍ비식계(鼻識界)ㆍ설계(舌界)ㆍ미계(味界)ㆍ설식계(舌識界)ㆍ신계(身界)ㆍ촉계(觸界)ㆍ신식계(身識界)ㆍ의계(意界)ㆍ법계(法界)ㆍ의식계(意識界)이다.
025_0281_a_23L云何十八界謂眼界色界眼識界界聲界耳識界鼻界香界鼻識界界味界舌識界身界觸界身識界界法界意識界
어떤 것이 12입(入)인가? 안입(眼入)ㆍ색입(色入)ㆍ이입(耳入)ㆍ성입(聲入)ㆍ비입(鼻入)ㆍ향입(香入)ㆍ설입(舌入)ㆍ미입(味入)ㆍ신입(身入)ㆍ촉입(觸入)ㆍ의입(意入)ㆍ법입(法入)이다.
025_0281_b_04L云何十二入謂眼入色入耳入聲入鼻入香入舌入味入身入觸入意入法入
어떤 것이 5음(陰)인가? 색음(色陰)ㆍ수음(受陰)ㆍ상음(想陰)ㆍ행음(行陰)ㆍ식음(識陰)이다.
025_0281_b_07L云何五陰謂色陰受陰想陰行陰
어떤 것이 5성음(盛陰)인가? 색성음(色盛陰)ㆍ수성음(受盛陰)ㆍ상성음(想盛陰)ㆍ행성음(行盛陰)ㆍ식성음(識盛陰)이다.
025_0281_b_09L云何五盛陰謂色盛陰受盛陰盛陰行盛陰識盛陰
어떤 것이 6계(界)인가? 지계(地界)ㆍ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ㆍ허공계(虛空界)ㆍ식계(識界)이다.
025_0281_b_10L云何六界謂地界水界火界風界空界識界
어떤 것이 10대지법(大地法)인가? 수(受)ㆍ상(想)ㆍ사(思)ㆍ촉(觸)ㆍ억(憶)ㆍ욕(欲) 해탈(解脫)ㆍ염(念)ㆍ정(定)ㆍ혜(慧)이다.
025_0281_b_12L云何十大地法謂受
어떤 것이 10번뇌지법(煩惱大地法)인가? 불신(不信)ㆍ해태(懈怠)ㆍ망념(妄念)ㆍ난(亂)ㆍ무명(無明)ㆍ사혜(邪慧)ㆍ사억(邪憶)ㆍ사해탈(邪解脫)ㆍ도(悼)ㆍ방일(放逸)이다.
025_0281_b_14L云何十煩惱大地法謂不懈怠忘念無明邪慧邪憶邪解放逸
어떤 것이 10소번뇌대지법(小煩惱大地法)인가? 분(忿)ㆍ한(恨)ㆍ부(覆)ㆍ뇌(惱)ㆍ질(嫉)ㆍ간(慳)ㆍ광(誑)ㆍ첨(諂)ㆍ교(橋)ㆍ해(害)이다.
025_0281_b_16L云何十小煩惱大地法忿
어떤 것이 5번뇌(煩惱)인가? 욕탐(欲貪)ㆍ색탐(色貪)ㆍ무색탐(無色貪)ㆍ진에(瞋恚)ㆍ치(癡)이다.
025_0281_b_17L云何五煩惱謂欲貪色貪無色貪
어떤 것이 5촉(觸)인가? 대촉(對觸)ㆍ증상어촉(增上語觸)ㆍ명촉(明觸)ㆍ무명촉(無明觸)ㆍ비명비무명촉(非明非無明觸)이다.
025_0281_b_19L云何五觸謂對觸增上語觸無明觸非明非無明觸
어떤 것이 5견(見)인가?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취견견(取見見)ㆍ취계견(取戒見)이다.
025_0281_b_20L云何五見謂身見邊見邪見取見見取戒見
어떤 것이 5근(根)인가? 낙근(樂根)ㆍ고근(苦根)ㆍ희근(喜根)ㆍ우근(憂根)ㆍ사근(捨根)이다.
025_0281_b_21L云何五根謂樂根苦根喜根憂根捨根
어떤 것이 5법(法)인가? 각(覺)ㆍ관(觀)ㆍ식(識)ㆍ무참(無慚)ㆍ무괴(無愧)이다.
025_0281_b_22L云何五法謂覺無慚無愧
025_0281_c_01L어떤 것이 6식신(識身)인가? 안식(眼識)ㆍ이식(耳識)ㆍ비식(鼻識)ㆍ설식(舌識)ㆍ신식(身識)ㆍ의식(意識)이다.
025_0281_b_23L云何六識身謂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
어떤 것이 6촉신(觸身)인가? 안촉(眼觸)ㆍ이촉(耳觸)ㆍ비촉(鼻觸)ㆍ설촉(舌觸)ㆍ신촉(身觸)ㆍ의촉(意觸)이다.
025_0281_c_02L云何六觸身謂眼觸耳觸鼻觸舌觸身觸意觸
어떤 것이 6수신(受身)인가? 안촉생수(眼觸生受)ㆍ이촉생수(耳觸生受)ㆍ비촉생수(鼻觸生受)ㆍ설촉생수(舌觸生受)ㆍ신촉생수(身觸生受)ㆍ의촉생수(意觸生受)이다.
025_0281_c_03L云何六受身眼觸生受耳鼻舌身意觸生受
어떤 것이 6상신(想身)인가? 안촉생상(眼觸生想)ㆍ이촉생상(耳觸生想)ㆍ비촉생상(鼻觸生想)ㆍ설촉생상(舌觸生想)ㆍ신촉생상(身觸生想)ㆍ의촉생상(意觸生想)이다.
025_0281_c_04L云何六想身謂眼觸生想耳鼻舌身意觸生想
어떤 것이 6사신(思身)인가? 안촉생사(眼觸生思)ㆍ이촉생사(耳觸生思)ㆍ비촉생사(鼻觸生思)ㆍ설촉생사(舌觸生思)ㆍ신촉생사(身觸生思)ㆍ의촉생사(意觸生思)이다.
025_0281_c_06L云何六思身謂眼觸生思耳鼻舌身意觸生思
어떤 것이 6애신(愛身)인가? 안촉생애(眼觸生愛)ㆍ이촉생애(耳觸生愛)ㆍ비촉생애(鼻觸生愛)ㆍ설촉생애(舌觸生愛)ㆍ신촉생애(身觸生愛)ㆍ의촉생애(意觸生愛)이다.
025_0281_c_07L云何六愛身謂眼觸生愛耳鼻舌身意觸生愛
어떤 것이 안계(眼界)인가? 눈이 빛깔[色]에 대하여 이미 보았고 지금 보고 앞으로 볼 것과 거기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隨彼一一有分:彼同分]것이다.
025_0281_c_08L云何眼界若眼於色已見今見當見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색계(色界)인가? 빛깔이 눈[眼]에 대하여 이미 보였고, 지금 보이고 앞으로 보일 것과 그것에 따라 분한이 있는[隨彼有分]것이다.
025_0281_c_10L云何色界若色於眼已見今見當見隨彼有分
어떤 것이 안식계(眼識界)인가? 눈이 빛깔을 볼 적에 안식이 생기고 눈의 증상(增上)으로 빛깔을 보는데 그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인식하고 분별해서 아는[分別知:了別]것이니, 이것을 안식계라 한다.
025_0281_c_11L云何眼識若眼見色起眼識眼增上見色眼識於色若識分別知色是名眼識界
어떤 것이 이계(耳界)인가? 귀가 소리[聲]에 대하여 이미 들었고 지금 듣고 앞으로 들을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1_c_13L云何耳界若耳於聲已聞今聞當聞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성계(聲界)인가? 소리가 귀[耳]에 대하여 이미 들렸고, 지금 들리고 앞으로 들릴 것과 그것에 따라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1_c_15L云何聲界若聲於耳已聞今聞當聞隨彼有分
어떤 것이 이식계(耳識界)인가? 귀가 소리를 들을 적에 이식이 생기고 귀의 증상으로 소리를 듣는데 이식이 소리에 대하여 인식하고 소리를 분별해서 아는 것이니, 이것을 이식계라 한다.
025_0281_c_16L云何耳識若耳聞聲起耳識耳增上聞聲耳識於聲若識分別知聲是名耳識界
어떤 것이 비계(鼻界)인가? 코가 냄새[香]에 대하여 이미 맡아 깨달았고 지금 맡아 깨닫고, 앞으로 맡아 깨달을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1_c_18L云何鼻界若鼻於香已覺今覺當覺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향계(香界)인가? 냄새가 냄새[鼻]에 대하여 이미 맡아 깨달았고 지금 맡아 깨닫고, 앞으로 맡아 깨달을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1_c_20L云何香界若香於鼻已覺今覺當覺隨彼有分
어떤 것이 비식계(鼻識界)인가? 코가 냄새를 맡아 깨달을 적에 비식이 생기고 코의 증상으로 냄새를 맡아 알게 되는데, 비식이 냄새에 대하여 인식하고 냄새를 분별해서 아는 것이니, 이것을 비식계라 한다.
025_0281_c_21L云何鼻識若鼻覺香起鼻識鼻增上覺香鼻識於香若識分別知香是名鼻識界
025_0282_a_01L어떤 것이 설계(舌界)인가? 혀가 맛[味]에 대하여 이미 맛보았고 지금 맛보고 앞으로 맛볼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1_c_23L云何舌界若舌於味已嘗今嘗當嘗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미계(味界)인가? 맛이 혀[舌]에 대하여 이미 맛보여졌고 지금 맛보여지고 앞으로 맛보여질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2_a_02L云何味界若味於舌已嘗今嘗當嘗隨彼有分
어떤 것이 설식계(舌識界)인가? 혀가 맛을 볼 적에 설식이 생기고 혀의 증상으로 맛을 보는데, 설식이 맛에 대하여 인식하여 맛을 분별해서 아는 것이니, 이것을 설식계라 한다.
025_0282_a_03L云何舌識若舌嘗味起舌識舌增上嘗味舌識於味若識分別知味是名舌識界
어떤 것이 신계(身界)인가? 몸이 접촉[觸]에 대하여 이미 닿아 깨달았고 지금 닿아 깨닫고 앞으로 닿아 깨달을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2_a_05L云何身界若身於觸已覺今覺當覺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촉계(觸界)인가? 접촉이 몸[身]에 대하여 이미 닿아 깨닫게 하였고 지금 닿아 깨닫게 하고 앞으로 닿아 깨닫게 할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2_a_07L云何觸界若觸於身已覺今覺當覺隨彼有分
어떤 것이 신식계(身識界)인가? 몸이 접촉되어 깨달을 적에 신식이 생기고 몸의 증상으로 접촉을 깨닫는데, 신식이 접촉에 대하여 인식하고 접촉을 분별해서 아는 것이니, 이것을 신식계라 한다.
025_0282_a_08L云何身識若身覺觸起身識身增上覺觸身識於觸若識分別知觸是名身識界
어떤 것이 의계(意界)인가? 뜻이 법(法)에 대하여 이미 알았고 지금 알고 앞으로 알 것과 그에 따라 하나하나마다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2_a_10L云何意界若意於法已識今識當識隨彼一一有分
어떤 것이 법계(法界)인가? 법이 뜻[意]에 대하여 이미 알게 하였고 지금 알게 하고 앞으로 알게 할 것과 그에 따라 분한이 있는 것이다.
025_0282_a_12L云何法界若法於意已識今識當識隨彼有分
어떤 것이 의식계(意識界)인가? 뜻이 법을 반연할 적에 의식이 생기고 뜻의 증상으로 법을 반연하는데, 의식으로 이 법에 대하여 인식하고 법을 분별해서 아는 것이니, 이것을 의식계라 한다.
025_0282_a_13L云何意識若意緣法起意識意增上緣法意識於法若識分別知法是名意識
안입(眼入)으로부터 법입(法入)에 이르기까지의 자세한 설명도 이와 같다.
眼入乃至法入廣說亦如是
어떤 것이 색음(色陰)인가? 10색입(色入)과 법입에 소속된 물질[法入所攝色]이다.
025_0282_a_16L云何色陰謂十種色入及法入所攝
어떤 것이 수음(受陰)인가? 6수신(受身)이다.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느낌[眼觸生受]에서부터 뜻의 접촉으로 생기는 느낌[意觸生受]까지이다.
025_0282_a_18L云何受陰謂六受身云何六謂眼觸生受乃至意觸生受
어떤 것이 상음(想陰)인가? 6상신(想身)이다.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眼觸生想]에서부터 뜻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意觸生想]까지이다.
025_0282_a_19L云何想陰六想身云何六謂眼觸生想乃至意觸生想
어떤 것이 행음(行陰)인가? 행음에는 마음과 상응하는 것[心相應]과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것[心不相應]의 두 가지가 있다.
025_0282_a_21L云何行陰行陰有二種謂心相應心不相應
025_0282_b_01L어떤 것이 마음과 상응하는 행음인가? 사(思)ㆍ촉(觸)ㆍ억(憶)ㆍ욕(欲)ㆍ해탈(解脫)ㆍ염(念)ㆍ정(定)ㆍ혜(慧)ㆍ신(信)ㆍ정진(精進)ㆍ각(覺)ㆍ관(觀)ㆍ방일(放逸)ㆍ불방일(不放逸)ㆍ선근(善根)ㆍ불선근(不善根)ㆍ무기근(無記根)과 온갖 결(結)ㆍ박(縛)ㆍ사번뇌(使煩惱)ㆍ상번뇌(上煩惱)ㆍ전(纏)과 온갖 지(智)ㆍ온갖 견(見)ㆍ온갖 무간등(無間等)이니, 이와 같은 종류로서 마음과 상응하는 법을 마음과 상응하는 행음이라 한다.
025_0282_a_22L云何心相應行陰解脫精進放逸不放逸善根不善根無記根切結縛使煩惱上煩惱一切智切見一切無閒等如是比心相應法是名心相應行陰
어떤 것이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음인가? 모든 득(得)ㆍ무상정수(無想正受)ㆍ멸진정수(滅盡正受)ㆍ무상천(無想天)ㆍ명근(命根)ㆍ신종류(身種類)ㆍ처득(處得)ㆍ사득(事得)ㆍ입득(入得)과 생(生)ㆍ주(住)ㆍ이(異)ㆍ멸(滅)ㆍ명신(名身)ㆍ구신(句身)ㆍ미신(味身)이니, 이와 같은 종류로서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법을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행음이라 한다.
025_0282_b_04L云何心不相應行謂諸得無想正受滅盡正受無想命根身種類處得事得入得名身句身味身如是比心不相應法是名心不相應行陰
저 두 가지 법은 통틀어 행음의 수(數)가 된다.
025_0282_b_08L彼二法爲行陰數
어떤 것이 식음(識陰)인가? 6식신(識身)이다.
어떤 것이 여섯 가지인가? 안식신(眼識身)으로부터 의식신(意識身)까지이다.
025_0282_b_09L云何識陰謂六識身云何謂眼識身乃至意識身
어떤 것이 색성음(色盛陰:色取蘊)인가? 저 물질(色)은 유루(有漏)요 성수(盛受:有取)여서 그것은 과거나 미래나 현재에 욕심을 일으키되, 이미 일으켰고 앞으로 일으킬 것이며 혹은 탐내기도 하고 혹은 성내기도 하고 혹은 어리석기도 하며, 저 낱낱의 심수(心數:心所)마다 번뇌를 이미 일으켰고 앞으로 일으킬 것이니, 이것을 색성음이라 한다.
025_0282_b_10L云何色盛若色有漏盛受謂此色若於過去未來現在起欲已起當起或貪或恚或癡彼一一心數煩惱已起當起名色盛陰
수성음(受盛陰)ㆍ상성음(想盛陰)ㆍ행성음(行盛陰)도 이와 같다.
行盛陰亦如是
어떤 것이 식성음(識盛陰)인가? 의식[識]은 유루요 성수여서 이 의식은 과거나 미래나 또는 현재에 욕심을 일으키되, 이미 일으켰고 앞으로 일으킬 것이며 혹은 탐내기도 하고 혹은 성내기도 하고 혹은 어리석기도 하며, 저 낱낱의 심수마다 번뇌를 이미 일으켰고 앞으로 일으킬 것이니, 이것을 식성음이라 한다.
025_0282_b_14L云何識盛陰若識有漏盛受謂此識若於過去未來現在起欲已起當起或貪或恚或癡彼一一心數煩惱已起當是名識盛陰
어떤 것이 지계(地界)인가? 굳고 단단한 모양(堅相)이니, 여기서부터 풍계(風界)에 이르기까지는 5법품(法品)의 설명과 같다.
025_0282_b_18L云何地界謂堅相乃至風界如五法品說
어떤 것이 허공계(虛空界)인가? 공변색(空邊色:隣阿伽色)이다.
어떤 것이 식계(識界)인가? 5식신(識身)과 유루(有漏)의 의식신(意識身)이다.
025_0282_b_20L云何虛空界謂空邊色云何識謂五識身及有漏意識身
어떤 것이 수(受)인가? 느끼고ㆍ깨닫고ㆍ알고ㆍ아파하는 등의 괴로움[苦]과 즐거움[樂]과 괴로움도 즐거움도 아닌[俱非] 세 가지 경계로 옮겨 다니는 것이다.
025_0282_b_21L云何受謂受痛等苦俱非三境界轉
어떤 것이 상(想)인가? 생각[想]ㆍ평등한 생각[等想]ㆍ보다 더한 생각[增上想]이 모양[像貌]을 대하면서 옮겨 다니는 것이다.
025_0282_b_23L云何想謂想等想增上想於像貌轉
025_0282_c_01L어떤 것이 사(思)인가? 마음의 조작[思]ㆍ평등한 마음의 조작[等思]ㆍ보다 더한 마음의 조작[增上思]이니 마음의 조작이 일어나면서 마음이 업(業)을 행동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025_0282_c_01L云何思謂思等思增上思起心行於業
어떤 것이 촉(觸)인가? 접촉[觸]ㆍ평등한 접촉[等觸]ㆍ보다 더한 접촉[增上觸]이니 반연의 대상[所綠]에 의지하여 마음이 화합하며 옮겨 다니는 것이다.
025_0282_c_02L云何觸謂觸等觸增上依緣心和合轉
어떤 것이 억(憶:作意)인가? 마음에 깨달음을 일으키고[發悟] 기억하고[憶念] 사유(思惟)하며 마음이 실행하는[心行] 경계이다.
025_0282_c_03L云何憶謂心發悟憶念思惟心行境界
어떤 것이 욕(欲)인가? 욕은 연[緣]에 대하여 굳게 지니고 깊이 집착하여 그것을 하기 위하여 원하고 구하는 것이다.
025_0282_c_04L云何欲謂欲於緣堅持深著爲作欲樂
어떤 것이 해탈(解脫:勝解)인가? 마음의 해탈이니 뜻[意]이 연(緣)에 대하여 아는 것이다.
025_0282_c_05L云何解脫心解脫意於緣解
어떤 것이 염(念)인가? 염(念)하고 따라 염[隨念]하여 버리지 않으며, 연(緣)에 대하여 없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025_0282_c_06L云何念謂念隨念不捨於緣不廢亂忘
어떤 것이 정(定)인가? 마음이 평등하게 머무르며 경계에 옮아가지 않으며, 흩어지지도 않고 어지럽지도 않으며 마음을 가다듬어 한군데에 멈추게 하는 것이다.
025_0282_c_07L云何定謂心等住不動移境不散不亂攝受止一
어떤 것이 혜(慧)인가? 마음이 법에 대하여 선택하는 모양을 일으켜 결단하여 깨달아 알며, 환히 비추어 자세히 살펴 아는 것이다.
025_0282_c_08L何慧謂心於法起選擇相決斷覺知照了觀察
어떤 것이 불신(不信)인가? 마음으로 믿어 받아들이지[信受] 않고 바르게 생각하지 않으며, 덕의 근본[德本]을 닦지 않고 착한 행을 심지 않고 수승한 업을 짓지 않으며 뜻이 청정하지 않은 것이다.
025_0282_c_10L云何不信謂心不信受正思惟不修德本不種善行不造勝意不淸淨
어떤 것이 망념(妄念)인가? 염(念)이 허망하여 부지런하고 용맹하지 못하며, 뜻이 민첩하지 못한 것이다.
025_0282_c_12L云何懈怠謂心下劣懃勇猛意不捷疾云何忘念謂念虛外向邪記
어떤 것이 난(亂)인가? 마음이 산란하고 흩어져서 흔들리고 내달으며 동요하여 반연이 한 곳에 멈추지 않는 것이다.
어떤 것이 무명(無明)인가? 삼계(三界)에서 어리석고 어두워 앎이 없는 것이다.
025_0282_c_14L云何亂謂心亂散飄馳轉動緣不止一云何無明謂愚三界闇無知
어떤 것이 삿된 지혜[邪慧:不正知]인가? 바른 기억[正念]을 따르지 않고 삿되게 이해하면서 결단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삿된 기억[邪憶:非理作意]인가? 더러운[染汚] 뜻으로 행동하고 경계를 왜곡되게 받아들이며 바르게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025_0282_c_16L云何邪慧謂不順正念邪解決斷云何邪憶謂穢污意行曲受境不正思惟
어떤 것이 사해탈[邪解脫:邪勝解]인가? 더러운 뜻으로 행동하고 반연[緣]에서 해탈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도(悼)인가? 마음이 시끄럽고 동요하여 고요한 데에[寂靜] 의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025_0282_c_18L云何邪解脫謂穢污意行解脫於緣云何掉謂心躁動不依寂靜
어떤 것이 방일(放逸)인가? 바른 방편을 버리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며, 모든 착한 법에 대하여 은근히 닦아 익히지 않는 것이다.
025_0282_c_20L云何放逸謂捨正方便作不應於諸善法不懃修習
어떤 것이 분(忿)인가? 이익이 안 되는 일에 대하여 성을 계속 내면서 마음에 분노를 일으키는 것이다.
어떤 것이 한(恨)인가? 어떤 일이 바라는 대로 순조롭게 되지 않으므로 원망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025_0282_c_21L云何忿謂於不饒益事於瞋相續起心忿云何恨謂若事不順所欲起心恨
어떤 것이 부(覆)인가? 자기의 죄를 덮어 감추는 것이다.
어떤 것이 뇌(惱)인가? 마음이 뜨겁게 타오르는 것이다.
025_0282_c_23L云何覆覆藏自罪云何惱謂若心熱燒
025_0283_a_01L어떤 것이 질(嫉)인가? 혐오하는 것에 대하여 상대방이 이롭게 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시샘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어떤 것이 간(慳)인가? 마음에서 받아들인 것을 굳게 집착하며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025_0283_a_01L云何謂於所嫌不欲彼利起心妒忌何慳謂心所受堅著不捨
어떤 것이 광(誑)인가? 다른 이를 속이는 것이다.
어떤 것이 첨(諂)인가? 바르지 못한 굽은 행을 내는 마음이다.
어떤 것이 교(憍)인가? 마음이 도취되어 뽐내는 것이다.
어떤 것이 해(害)인가? 중생을 괴롭히고 핍박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025_0283_a_03L云何誑欺僞他云何諂謂起心曲行云何憍謂心醉擧迷云何害謂惱切衆生心逼迫
어떤 것이 욕탐(欲貪)인가? 모든 욕(欲)에 대하여 탐(貪)하고 함께 탐[等貪]하고, 한데 모으고[結聚] 탐하여 저장하고[貪室], 굳게 집착하고[堅着] 아끼며 좋아하는 것[愛樂]이다.
025_0283_a_06L云何欲貪若欲貪等貪結聚貪室著愛樂
어떤 것이 색담(色貪)인가? 모든 색(色)에 대하여 탐하고 함께 탐하고 한데 모으며, 탐하여 저장하고 굳게 집착하고 아끼며 좋아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무색탐(無色貪)인가? 모든 무색(無色)에 대하여 탐하고 함께 탐하며, 한데 모으고 탐하여 저장하며, 굳게 집착하고 아끼며 좋아하는 것이다.
025_0283_a_08L云何色貪若色貪等貪結聚貪室堅著愛樂云何無色貪若無色貪等貪結聚貪室堅著愛樂
어떤 것이 진에(瞋恚)인가? 저 중생들에 대하여 손해를 끼치려는 마음을 일으키고 비방이 매우 심한 것이다.
어떤 것이 의(疑)인가? 진리에 미혹하여 분명하게 모르는 것이다.
025_0283_a_10L云何瞋謂於彼衆生起損害心誹謗苦切云何疑謂惑諦不了
어떤 것이 대촉(對觸)인가? 5식신(識身)과 상응하는 접촉[觸]이다.
어떤 것이 증상어촉(增上語觸)인가? 의식신(意識身)과 상응하는 접촉[觸]이다.
025_0283_a_12L云何對觸謂五識身相應觸云何增上語觸謂意識身相應觸
어떤 것이 명촉(明觸)인가? 무루(無漏)의 접촉이다.
어떤 것이 무명촉(無明觸)인가? 염오(穢汚)와의 접촉이다.
어떤 것이 비명비무명촉(非明非無明觸)인가? 더러워지지 않은[不穢汚] 유루(有漏)의 접촉이다.
025_0283_a_14L云何明觸謂無漏觸云何無明觸謂穢污觸云何非明非無明謂不穢污有漏觸
어떤 것이 신견(身見)인가? 5성음(盛陰)에 대하여 나[我]요 내 것[我所有]이라는 견해를 일으켜서, 그것에 대하여 견뎌 참고[堪忍], 좋아하고[樂], 집착하는 것[著]이다.
025_0283_a_16L云何身見謂於五盛陰起我我所有見於彼堪忍樂
어떤 것이 변견(邊見)인가? 5성음에 대하여 혹은 아주 없다[斷]거나 항상 있다[常]거나 하는 견해를 일으켜서, 그것에 대하여 견뎌 참고 좋아하고 집착하는 것이다.
025_0283_a_18L云何邊見謂於五盛陰或斷常見於彼堪忍樂著
어떤 것이 사견(邪見)인가? 인과(因果)를 비방하고 해야 할 일을 헐뜯으면서 그것에 대하여 견뎌 참고 좋아하고 집착하는 것이다.
025_0283_a_19L云何邪見謂誹謗因毀所應作於彼堪忍樂著
어떤 것이 취견견(取見見:見取)인가? 5성음에 대하여 제일이라는 견해를 일으켜서 최상이요 가장 수승하다고 여겨서, 그것에 대하여 견뎌 참고 좋아하고 집착하는 것이다.
025_0283_a_20L云何取見見謂於五盛陰起第一見最上最於彼堪忍樂著
어떤 것이 취계견(取戒見:戒禁取)인가? 이른바 5성음에 대하여 청정한 것이요 해탈하는 것이며, 벗어나게 한다는 견해를 일으켜서 그것에 대하여 견뎌 참고 좋아하고 집착하는 것이다.
025_0283_a_22L云何取戒見謂於五盛陰起見淸淨解脫出要於彼堪忍樂著
025_0283_b_01L어떤 것이 낙근(落根)인가? 즐거운 물질에 접촉되면 즐겁게 느끼고 몸과 뜻의 즐거움을 일으키고 깨달아 아는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025_0283_b_01L云何樂根若樂受觸所觸起身意樂起覺知想
어떤 것이 고근(苦根)인가? 괴로운 물질에 접촉되면 괴로움을 느끼고 몸 등의 괴로움을 일으키며 깨달아 아는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어떤 것이 희근(喜根)인가? 기쁜 물질에 접촉되면 기쁨을 느끼고 마음에 기쁜 생각을 일으키며 깨달아 느낌이 생겨나는 것이다.
025_0283_b_02L云何苦根若苦受觸所觸若起身等苦起覺知想何喜根若喜受觸所觸若起心喜想覺受生
어떤 것이 우근(憂根)인가? 근심이 되는 물질에 접촉되면 근심을 느끼고 마음에 괴로운 생각을 일으켜 깨달아 느낌이 생겨나는 것이다.
어떤 것이 사근(捨根)인가?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물질에 접촉되면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느끼고 몸과 마음으로 깨달아 느끼는[覺受]것도 아니요 깨달아 느끼지 않는 것도 아닌 것이 생겨나는 것이다.
025_0283_b_05L云何憂根若憂受觸所觸起心苦想覺受生云何捨根若不苦不樂受觸所觸若起身心非覺受非不覺受生
어떤 것이 각(覺)인가? 마음으로 살펴 알려는 것[心覺]과 두루 살펴 알려는 생각[遍覺]과 물질을 살펴 알려는 생각[色覺]과 보다 더한 물질을 살펴 알려는 생각[增上色覺]이며, 살펴 헤아리고 살피고 생각하는 등 사유(思惟)로 거친 마음을 옮겨 가는 것이다.
어떤 것이 관(觀)인가? 마음의 작용[心行]이 적게 작용하고 미세한 작용을 따라서 마음이 세밀하게 옮겨 다니는 것이다.
025_0283_b_08L云何覺若心覺遍覺色覺增上色覺覺數覺覺等思惟麤心轉云何觀若心行少行隨微行隨順細心
어떤 것이 식(識)인가? 식신(識身)이니 안식에서부터 의식에 이르기까지이다.
어떤 것이 무참(無慚)인가? 스스로 부끄러워하는[慚] 마음이 없는 것이니, 허물을 싫어하거나 근심하지 않고 극히 싫어하거나 여의려 하지도 않으며, 공경하지도 않고 부드럽지도 않으며 스스로 두려워하지도 않고 스스로 수치스러워하지도 않으며 마음대로 방자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025_0283_b_11L云何識謂六識身眼識乃至意識云何無慚若心無慚不厭患過不極厭離不恭敬不柔軟不自畏不自羞恣心自在
어떤 것이 무괴[無愧]인가? 다른 이에 대하여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는 것이니, 죄에 대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죄에 대하여 무서워하지 않으며, 죄에 대하여 반성하지도 않고 모든 허물에 대하여 남에게 수치심을 느끼지 않는 것이다.
025_0283_b_14L云何無愧若無愧於他罪無畏於罪無怖於罪不見於諸過惡不羞恥他
어떤 것이 안식(眼識)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는데 눈의 증상(增上)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인식해서 빛깔을 분별하는 것이니, 이것을 안식이라 한다.
의식(意識)에 이르기까지도 그와 같다.
025_0283_b_16L云何眼識謂眼緣色起眼識眼增上緣色眼識於色若識若分別色是名眼識乃至意識亦如是
어떤 것이 안촉(眼觸)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觸]이 생기는데, 눈의 증상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접촉하고 함께 접촉[等觸]하는 것이니, 이것을 안촉이라 한다.
이촉(耳觸)ㆍ비촉(鼻觸)ㆍ설촉(舌觸)ㆍ신촉(身觸)도 그와 같다.
025_0283_b_19L云何眼觸謂眼緣色起眼識三和合生觸眼增上緣色眼識於色若觸等是名眼觸耳鼻舌身亦如是
025_0283_c_01L어떤 것이 의촉(意觸)인가? 뜻[意]이 법(法)을 반연하여 의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는데, 뜻이 증상으로 법을 반연할 적에 의식이 법에 대하여 접촉하고 함께 접촉하는 것이니, 이것을 의촉이라 한다.
025_0283_b_22L云何意觸謂意緣法起意識三和合生觸意增上緣法意識於法若觸等觸名意觸
어떤 것이 안촉생수(眼觸生受)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緣)으로 느낌[受]이 있게 되는데, 눈의 증상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눈의 접촉[眼觸]은 느낌을 내는 인(因)이며 눈의 접촉은 느낌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눈의 접촉은 느낌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눈의 접촉은 느낌을 이루어 있게[有] 하는 것이니, 이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의사유(意思惟:作意)와 상응하는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깨달아 느끼고[覺受] 함께 느끼는 것[等受]이니, 이것을 안촉생수라 한다.
이촉생수(耳觸生受)ㆍ비촉생수(鼻觸生受)ㆍ설촉생수(舌觸生受)ㆍ신촉생수(身觸生受)도 이와 같다.
025_0283_c_02L云何眼觸生受謂眼緣色起眼識和合生觸觸緣受眼增上緣色眼觸眼觸集眼觸生眼觸有眼觸意思惟相應眼識於色若覺受等受是名眼觸生受耳鼻舌身亦如是
어떤 것이 의촉생수(意觸生受)인가? 뜻이 법(法)을 반연하여 의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느낌[受]이 있게 되는데, 뜻의 중상으로 법을 반연할 적에 뜻의 접촉[意觸]은 느낌을 내는 인(因)이며 뜻의 접촉은 느낌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뜻의 접촉은 느낌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고 뜻의 접촉으로 생긴 사유와 상응하는 의식이 법에 대하여 깨달아 느끼고 함께 느끼나니, 이것을 의촉생수라 한다.
025_0283_c_07L云何意觸生受謂意緣法起意識和合生觸觸緣受意增上緣法意觸意觸集意觸生意觸有意觸思惟相應意識於法若覺受等受是名意觸生受
어떤 것이 안촉생상(眼觸生想)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생각[想]이 있게 되는데, 눈의 증상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눈의 접촉은 생각을 내는 인(因)이며 눈의 접촉은 생각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눈의 접촉은 생각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고 눈의 접촉은 생각을 이루어 있게[有] 하는 것이니, 이 눈의 접촉으로 생긴 의사유와 상응하는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생각하고[想] 함께 생각하고[等想] 뛰어나게 생각하고[增上想] 분별하며 생각하니[分別想], 이것을 안촉생상이라 한다.
이촉생상(耳觸生想)ㆍ비촉생상(鼻觸生想)ㆍ설촉생상(舌觸生想)ㆍ신촉생상(身觸生想)도 이와 같다.
025_0283_c_12L云何眼觸生想謂眼緣色起眼識和合生觸觸緣想眼增上緣色眼觸眼觸集眼觸生眼觸有眼觸意思惟相應眼識於色若想等想增上想分別想是名眼觸生想耳鼻舌身亦如是
어떤 것이 의촉생상(意觸生想)인가? 뜻이 법을 반연하여 의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생각[想]이 있게 되는데, 뜻의 증상으로 법을 반연할 적에, 뜻의 접촉은 생각을 내는 인(因)이며 뜻의 접촉은 생각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뜻의 접촉은 생각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고 뜻의 접촉은 생각을 이루어 있게 하는 것이니, 이 뜻의 접촉으로 생긴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식이 법에 대하여 생각하고 함께 생각하고 뛰어나게 생각하고 분별하며 생각하니, 이것을 의촉생상이라 한다.
025_0283_c_18L云何意觸生想謂意緣法起意識和合生觸觸緣想意增上緣法意觸意觸集意觸生意觸有意觸思惟相應意識於法若想等想增上想別想是名意觸生想
025_0284_a_01L어떤 것이 안촉생사(眼觸生思)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마음의 조작[思]이 있게 되는데, 눈의 증상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눈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내는 인(因)이며 눈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눈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고 눈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이루어 있게[有] 하는 것이니, 이 눈의 접촉으로 생긴 의사유와 상응하는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마음에서 조작하게[思] 하고 함께 마음에서 조작하게[等思] 하며, 뛰어나게 마음에서 조작하게[增上思] 하고, 마음의 조작이 옮겨 가서 마음에서 업(業)을 짓게 하니, 이것을 안촉생사라 한다.
이촉생사(耳觸生思)ㆍ비촉생사(鼻觸生思)ㆍ설촉생사(舌觸生思)ㆍ신촉생사(身觸生思)도 이와 같다.
025_0283_c_23L云何眼觸生思謂眼緣色起眼識和合生觸觸緣思眼增上緣色眼觸眼觸集眼觸生眼觸有眼觸意思惟相應眼識於色若思等思增上思思轉心行於業是名眼觸生思耳鼻舌身亦如是
어떤 것이 의촉생사(意觸生思)인가? 뜻이 법을 반연하여 의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마음의 조작이 있게 되는데, 뜻의 증상으로 법을 반연할 적에 뜻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내는 인(因)이며 뜻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뜻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이 상속하여 나게[生] 하고 뜻의 접촉은 마음의 조작을 이루어 있게 하는 것이니, 이 뜻의 접촉으로 생긴 의사유와 상응하는 의식이 법에 대하여 마음에서 조작하게 하고 함께 마음에서 조작하게 하며, 뛰어나게 마음에서 조작하게 하고, 마음의 조작이 옮겨 가서 마음으로 업을 짓게 하니, 이것을 의촉생사라 한다.
025_0284_a_06L云何意觸生思謂意緣法起意識和合生觸觸緣思意增上緣法意觸意觸集意觸生意觸有意觸思惟相應意識於法若思等思增上思轉心行於業是名意觸生思
어떤 것이 안촉생애(眼觸生愛)인가? 눈의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하는 연으로 느낌이 있고 느낌의 연으로 탐애[愛]가 있게 되는데, 눈의 증상으로 빛깔을 반연할 적에 눈의 안식이 빛깔에 대하여 탐하고[貧] 탐하여 모으고[貧聚] 탐하여 저장하고[貧室], 굳게 집착하고[堅著], 아끼고 좋아하는 것[愛樂]을 안촉생애라 한다.
이촉생애(耳觸生愛)ㆍ비촉생애(鼻觸生愛)ㆍ설촉생애(舌觸生愛)ㆍ신촉생애(身觸生愛)도 이와 같다.
025_0284_a_11L云何眼觸生愛謂眼緣色起眼識和合生觸觸緣受受緣愛眼增上緣眼識於色若貪貪聚貪室堅著愛是名眼觸生愛耳鼻舌身亦如是
어떤 것이 의촉생애(意觸生愛)인가? 뜻이 법을 반연하여 의식이 생기고 이 세 가지가 화합하여 접촉이 생기며 접촉의 연으로 느낌이 있고 느낌의 연으로 탐애[愛]가 있게 되는데, 뜻의 증상으로 법을 반연할 적에 의식이 법에 대하여 탐하고, 탐하여 모으고 탐하여 저장하며, 굳게 집착하고 아끼고 좋아하는 것을 의촉생애라 한다.
025_0284_a_15L云何意觸生愛謂意緣法起意識和合生觸觸緣受受緣愛意增上緣意識於法若貪貪聚貪室堅著愛是名意觸生愛
【문】 안계(眼界)에는 몇 가지 계(界)와 몇 가지 입(入)과 몇 가지 음(陰)이 속하는가?
안계에 속한 법[眼界攝法]에는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안계에 속하지 않은 법[眼界不攝法]에는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025_0284_a_19L眼界幾界幾入幾陰攝眼界攝法幾界幾入幾陰攝眼界不攝法幾界幾入幾陰攝
안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법[眼界攝不攝法]에는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025_0284_a_22L眼界攝不攝法幾界幾陰攝
025_0284_b_01L안계에 속한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에는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안계에 속하지 않은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025_0284_a_23L除眼界攝法餘法幾界幾陰攝除眼界不攝法餘法幾界幾入幾陰攝
안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몇 가지 계와 몇 가지 입과 몇 가지 음이 속하는가?
안계에서와 같이 의촉생애(意觸生愛)까지도 이와 같다.
025_0284_b_02L除眼界攝不攝法餘法幾界幾入幾陰攝如眼界乃至意觸生愛亦如是
【답】 안계에는 1계(界)와 1입(入)과 1음(陰)이 속하고 17계와 12입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안계에서처럼 안계에 속하는 법에 있어서도 이와 같다.
025_0284_b_04L眼界一界一入一陰攝不攝十七十一入五陰如眼界眼界攝法亦如是
안계에 속하지 않은 법은 17계와 11입과 5음이 속하고 1계와 2입과 1음은 속하지 않는다.
안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법은 18계와 12입과 5음이 속한다.
025_0284_b_07L眼界不攝法十七界十一入五陰攝不攝一界一入一陰眼界攝不攝法十八界十二入五陰攝
안계에 속한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17계와 11입과 5음이 속하고 1계와 1입과 1음은 속하지 않는다.
안계에 속하지 않은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1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7계와 11입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025_0284_b_10L除眼界攝法餘法十七界十一入五陰攝不攝一一入一陰除眼界不攝法餘法一入一陰攝不攝十七界十一入五陰
안계에 속한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마치 안계에 속하지 않은 것과 같으며, 안계에 속하지 않은 법을 제외한 나머지 법은 마치 안계에서와 같다.
안계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은 법을 제외하고 묻게 되는 나머지 법은 허공(虛空)이어서 그런 일도 없고[無事] 논할 것도 없다[無論].
025_0284_b_14L除眼界攝法餘法如眼界不攝除眼界不攝法餘法如眼界除眼界攝不攝法若問餘法虛空無事無論
안계(眼界)와 같이 9색계(色界)와 10색입(色入)도 이와 같다.
025_0284_b_16L如眼界九色界十色入亦如是
안식계(眼識界)는 1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7계와 11입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안식계처럼 이식계ㆍ비식계ㆍ설식계ㆍ신식계ㆍ의식계의 6식신(識身)도 이와 같다.
025_0284_b_17L眼識界一界一入一陰攝不攝十七界十二入五陰如眼識界耳鼻舌身意識界六識身亦如是
의계(意界)는 7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1계와 11입과 4음은 속하지 않는다.
의계처럼 의입(意入)ㆍ식음(識陰)의 식법(識法)도 이와 같다.
025_0284_b_20L意界七界一入一陰攝不攝十一界十一入四陰如意界意入識陰識法亦如是
025_0284_c_01L법계(法界)는 1계와 1입과 4음이 속하고, 17계와 11입과 2음은 속하지 않는다.
법계처럼 법입(法入)도 이와 같다.
025_0284_b_23L法界一界一入四陰攝不攝十七界十一入二陰如法界法入亦如是
색음(色陰)은 11계와 11입과 1음이 속하고, 8계와 2입과 4음은 속하지 않는다.
025_0284_c_02L色陰十一界十一入一陰攝不攝八界二入四陰
수음(受陰)은 1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8계와 12입과 4음은 속하지 않는다.
수음처럼 상음(想陰)ㆍ행음(行陰)과 대지법(大地法) 중의 수음ㆍ상음도 이와 같다.
025_0284_c_04L受陰一界一入一陰攝不攝十八界十二入四陰如受陰想陰行陰受大想大地亦如是
색성음(色盛陰)은 11계와 11입과 1음이 속하고, 8계와 2입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025_0284_c_07L色盛陰十一界十一入一陰攝不攝八界二入五陰
수성음(受盛陰)은 1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8계와 12음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수성음에서처럼 상성음(想盛陰)ㆍ행성음(行盛陰)ㆍ5색계(色界)ㆍ8대지법(大地法)ㆍ10번뇌대지법(煩惱大地法)ㆍ10소번뇌대지법(小煩惱大地法)ㆍ5번뇌(煩惱)ㆍ5촉(觸)ㆍ5견(見)ㆍ5근(根)ㆍ4법(法)과 5신(身)도 이와 같다.
025_0284_c_09L受盛陰一界一入一陰攝不攝十八界十二入五陰如受盛陰想盛陰行盛陰五色界八大地法十煩惱大地十小煩惱大地法五煩惱五觸五根四法五六亦如是
식성음(識盛陰)은 7계와 1입과 1음이 속하고 13계와 12입과 5음은 속하지 않는다.
식성음에서처럼 식계(識界)도 이와 같다.
025_0284_c_14L識盛陰七界一入一陰攝不攝十三界十二入五陰如識盛陰識界亦如是
안식계(眼識界)는 1계(界)와 1입(入)과 3음(陰)이 상응(相應)하고 상응하지 않는(不相應)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안식계에서처럼 이식계ㆍ비식계ㆍ설식계ㆍ신식계ㆍ의식계 및 식성음의 식계(識界)와 6식신(識身)도 이와 같다.
025_0284_c_16L眼識界一界一入三陰相應不相應十八界十二入五陰如眼識界鼻舌身意識界識盛陰識界六識身亦如是
의계(意界)는 1계와 1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1입과 3음이다.
의계에서처럼 의입(意入)ㆍ식음(識陰)의 식법(識法)도 이와 같다.
025_0284_c_20L意界一界一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三陰如意界意入識陰識法亦如是
025_0285_a_01L법계(法界)는 8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1계와 11입과 2음이다.
법계에서처럼 법입(法人)ㆍ행음(行陰)ㆍ8대지법(大地法)도 이와 같다.
025_0284_c_23L法界八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十一界十一入二陰如法界法入行陰八大地法亦如是
수음(受陰)은 8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1계와 11입과 3음이다.
수음에서처럼 상음과 대지법(大地法) 중의 수음ㆍ상음도 이와 같다.
025_0285_a_02L受陰八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一界十一入三陰如受陰想陰大地想大地亦如是
수성음(受盛陰)은 8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3계와 12입과 5음이다.
수성음에서처럼 상성음에 있어서도 이와 같다.
025_0285_a_05L受盛陰八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十三界十二入五陰如受盛陰盛陰亦如是
행성음(行盛陰)은 8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3계와 12입과 5음이다.
행성음에서처럼 각(覺)도 이와 같다.
025_0285_a_08L行盛陰八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十三界十二入五陰如行盛陰觀法亦如是
불신(不信)은 8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불신에서처럼 나머지 번뇌대지법(煩惱大地法)도 그와 같으며, 욕탐(欲貪)ㆍ진에(瞋恚)ㆍ무명촉(無明觸)ㆍ비명비무명촉(非明非無明觸)ㆍ무참(無慚)ㆍ무괴(無愧)도 이와 같다.
025_0285_a_11L不信八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五陰如不信餘煩惱大地法亦如是欲貪無明觸明非無明觸無慚無愧亦如是
분(忿)은 3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분에서처럼 나머지 소번뇌대지법(小煩惱大地法)과 무색계탐(無色界貪)ㆍ의(疑)ㆍ명촉(明觸)ㆍ5견(見)ㆍ6애신(愛身)도 이와 같다.
025_0285_a_15L忿三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八界十二入五陰如忿餘小煩惱大地法無色界貪明觸五見六受身亦如是
색탐(色貪)은 6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025_0285_a_19L色貪六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五陰
대촉(對觸)은 7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3계와 12입과 5음이다.
025_0285_a_21L對觸七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十三界十二入五陰
025_0285_b_01L증상어촉(增上語觸)은 3계와 2입과 4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7계와 12입과 5음이다.
증상어촉에서처럼 6촉신(觸身)과 6사신(思身)도 이와 같다.
025_0285_a_23L增上語觸三界二入四陰相應不相應者十七界十二入五陰如增上語六觸身六思身亦如是
낙근(樂根)은 8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낙근에서처럼 사근(捨根)도 이와 같다.
025_0285_b_03L樂根八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五陰如樂根捨根亦如是
고근(苦根)은 7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025_0285_b_06L苦根七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五陰
희근(喜根)은 3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8계와 12입과 5음이다.
희근에서처럼 우근(憂根)도 이와 같다.
025_0285_b_08L喜根三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八界十二入五陰如喜根憂根亦如是
안촉생수(眼觸生受)는 3계와 2입과 3음이 상응하고, 상응하지 않는 것은 17계와 12입과 5음이다.
안촉생수처럼 이촉생수(耳觸生受)ㆍ비촉생수(鼻觸生受)ㆍ설촉생수(舌觸生受)ㆍ신촉생수(身觸生受)ㆍ의촉생수(意觸生受)와 6상신(想身)도 이와 같다.
025_0285_b_11L眼觸生受三界二入三陰相應不相應者十七界十二入五陰如眼觸生耳鼻舌身意觸生受六想身亦如是
衆事分阿毘曇論卷第二
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