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五

ABC_IT_K0951_T_055
025_0958_a_01L
아비담비바사론 제55권
025_0958_a_01L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五
025_0958_a_02L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 도태 등 한역
박진효 번역
025_0958_a_02L迦旃延子造 五百羅漢釋
北涼天竺沙門浮陁跋摩共道泰等 譯


3) 수지품(修智品) ①
025_0958_a_04L智揵度修智品第三之一
025_0958_b_02L8지(智)가 있다. 법지(法智)와 비지(比智)와 타심지(他心智)와 등지(等智)와 고지(苦智)ㆍ집지(集智)ㆍ멸지(滅智)ㆍ도지(道智)이다.
어떤 것이 법지에서부터 도지까지인가? 이와 같은 장(章)과 장의 의미에 대해서 풀이한 것을 여기에서 자세하게 논의해서 설해야 한다.
【문】저 가전연자(迦旃延子) 존자는 무엇 때문에 8지를 의지해서 논을 지었는가?
【답】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사건도(使揵度)의 큰 장[大章] 가운데서 “법지는 몇 가지 지(智)를 포섭하는가? 나아가 도지는 몇 가지 지를 포섭하는가?”라고 설한 것과 같이 말해야 한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병의자(倂義者)가 주장하는 의미를 중지시키기 위해서이다.
가령 비바사바제의 경우 “타성법(他性法)을 포섭하고 자성법(自性法)을 포섭하지 않는다”고 설하였는데, 이와 같이 설하는 사람의 주장을 중지시키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포섭하는 것[攝]은 사건도 일행품(一行品)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는 법지를 포섭한다. 또한 5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데 타심지와 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를 말한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법지는 법지를 포섭한다.
그런데 법지는 여섯 가지 지위[地]에 속해 있다. 즉 미지선(未至禪)ㆍ중간선(中間禪)과 근본사선(根本四禪)이다. 미지선 가운데 있는 것은 미지선 가운데 있는 것을 포섭하고, 나아가 제4선 가운데 있는 것은 제4선 가운데 있는 것을 포섭한다.
또 법지는 4지인데 고지(苦智)에서부터 도지(道智)까지이다. 고지는 고법지(苦法智)를 포섭하고, 나아가 도지는 도법지(道法智)를 포섭한다.
또 법지는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속해 있는데, 과거에 속해 있는 것은 과거에 속해 있는 것을 포섭하고, 미래ㆍ현재에 속해 있는 것은 미래ㆍ현재에 속해 있는 것을 포섭한다.
또 과거의 법지에 한량없는 찰나가 있는데 그 찰나는 그 찰나를 포섭한다. 미래ㆍ현재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문】어떤 것이 타심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타심지에 유루ㆍ무루가 있는데, 무루의 경우는 포섭하고, 유루의 경우는 포섭하지 않는다.
저 무루에 또 두 가지가 있다. 즉 법지분(法智分)과 비지분(比智分)을 말하는데, 법지분은 포섭하고 비지분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문】어떤 것이 고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고지에 법지분과 비지분이 있는데 법지분은 포섭하고 비지분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나아가 도지(道智)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비지(比智)는 비지를 포섭한다. 또한 5지(智)의 일부분을 포섭하는데 법지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타심지는 타심지를 포섭한다.
또한 4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데, 법지ㆍ비지ㆍ등지ㆍ도지이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타심지는 타심지를 포섭한다.
그런데 타심지는 근본4선 가운데 속해 있다. 초선에 속해 있는 것은 초선에 속해 있는 것을 포섭하고, 나아가 제4선에 속하는 것은 제4선에 속하는 것을 포섭한다.
또 타심지에 유루ㆍ무루가 있는데 유루인 것은 유루를 포섭하고 무루인 것은 무루를 포섭한다.
또 타심지에 법지분ㆍ비지분이 있는데 법지분은 법지분을 포섭하고 비지분은 비지분을 포섭한다.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속해 있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어떤 것이 법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법지에 4지가 있는데, 도지는 포섭하고 나머지 지는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또 도지에 총상(摠相)과 별상(別相)이 있는데, 별상은 포섭하고 총상은 포섭하지 않는다.
도지에 3세(世)를 반연하는 것이 있고, 현재(現在)를 반연하는 것이 있으며, 자신(自身)을 반연하는 것이 있고, 타신(他身)을 반연하는 것이 있으며, 심ㆍ심수법을 반연하는 것이 있고, 5음(陰)을 반연하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 현재ㆍ타신과 심ㆍ심수법을 반연하는 것은 포섭하고, 과거ㆍ미래ㆍ자신과 5음을 반연하는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비지(比智)도 마찬가지로 상(相)에 따라 설명한다.
【문】어떤 것이 등지(等智)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등지는 열한 가지 지위[地]에 속해 있는데, 욕계에서부터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까지이다. 여기에서 근본4선의 지위에 있는 것은 포섭하고 나머지 지위에 있는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또 등지는 총상ㆍ별상을 반연하는데 별상을 반연하는 것은 포섭하고 총상을 반연하는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어떤 것이 도지(道智)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도지는 아홉 가지 지위에 속해 있다. 미지선ㆍ중간선ㆍ근본4선과 3무색정(無色定)을 말한다. 여기에서 근본선의 지에 있는 것은 포섭하고 나머지 지에 있는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또 도지는 총상ㆍ별상을 반연한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등지(等智)는 등지를 포섭하고 또한 1지(智)의 일부분을 포섭한다. 즉 타심지를 말한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등지는 등지를 포섭한다.
그런데 등지는 11지에 속해 있다. 즉 욕계ㆍ미지선ㆍ중간선ㆍ근본4선과 4무색정이다. 욕계에 있는 것은 욕계에 있는 것을 포섭하고, 나아가 비상비비상처에 있는 것은 비상비비상처에 있는 것을 포섭한다.
또 욕계의 경우 선(善)ㆍ예오(穢汚)ㆍ불은몰무기가 있는데, 선은 선을 포섭하고 예오는 예오를 포섭하고 불은몰무기는 불은몰무기를 포섭한다.
이 세 가지는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속해 있는데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있는 것은 과거ㆍ미래ㆍ현재에 있는 것을 포섭한다.
또 과거에 한량없는 찰나가 있는데 그 찰나는 그 찰나를 포섭한다. 미래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욕계 내지 비상비비상(非想非非想)의 지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문】어떤 것이 타심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타심지에 유루ㆍ무루가 있는데 유루인 것은 포섭하고 무루인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고지는 고지를 포섭하고 또한 2지의 일부분을 포섭한다.
즉 법지ㆍ비지를 말한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고지는 고지를 포섭 한다.
그런데 고지는 아홉 가지 지위에 속해 있다. 즉 미지선ㆍ중간선ㆍ근본4선과 3무색정이다. 미지선에 있는 것은 미지선에 있는 것을 포섭하고, 나아가 무소유처(無所有處)에 있는 것은 무소유처에 있는 것을 포섭한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어떤 것이 법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법지는 4지인데 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를 말한다. 여기에서 고지분(苦智分)은 포섭하고 나머지 지분(智分)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법지의 경우와 같이 비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고지의 경우와 같이 집지ㆍ멸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지는 도지를 포섭하고 또한 3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데 법지ㆍ비지ㆍ타심지를 말한다. 총체적으로 말하면 도지는 도지를 포섭하는데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고지가 다른 것은 타심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이다.
【문】어떤 것이 타심지의 일부분을 포섭하는 것인가?
【답】타심지에 유루ㆍ무루가 있는데, 무루인 것은 포섭하고 유루인 것은 포섭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부분이라고 한다.
가령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이 8지를에서 성취하는 것이 몇 가지이고 성취하지 않는 것이 몇 가지인가?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성취하는 것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의 주장을 중지시키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문】가령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이 8지를에서 성취하는 것은 몇 가지이고 성취하지 않는 것은 몇 가지인가?
【답】혹은 셋ㆍ넷ㆍ다섯ㆍ여섯ㆍ일곱이나 여덟 가지를 성취한다.
고법지(苦法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세 가지를 성취하는데 법지ㆍ고지ㆍ등지를 말한다. 타심지가 있으면 네 가지를 성취한다.
고비인(苦比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세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네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名)도 증가하지 않는다.
고비지(苦比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네 가지를 성취한다. 즉 법지ㆍ비지ㆍ등지ㆍ고지를 말한다. 타심지가 있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고, 지가 증가하고, 명이 증가한다.
집법인(集法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네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집법지(集法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는 경우에는 다섯 가지를 성취한다. 즉 법지ㆍ비지ㆍ등지ㆍ고지ㆍ집지를 말한다.
타심지(他心智)가 있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고 지가 증가하고 명이 증가한다.
집법인(集法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집비지(集比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없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비지일 때에 이미 비지의 이름을 세웠고 집법지일 때에 이미 집지의 이름을 세웠기 때문이다.
멸법인(滅法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다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멸법지(滅法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한다. 즉 법지ㆍ비지ㆍ등지ㆍ고지ㆍ집지ㆍ멸지를 말한다. 타심지가 있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고 지가 증가하며 명이 증가한다.
멸비인(滅比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멸비지(滅比智)일 때 타심지가 없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며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멸법지일 때에 이미 멸지의 이름을 세웠고 고비지일 때에 이미 비지의 이름을 세웠기 때문이다.
도법인(道法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여섯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도법지(道法智)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한다. 즉 법지ㆍ비지ㆍ등지ㆍ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를 말한다. 타심지가 있으면 여덟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고 지가 증가하고 명이 증가한다.
도비인(道比忍)일 때에 타심지가 없으면 일곱 가지를 성취하고 타심지가 있으면 여덟 가지를 성취한다. 여기에서는 견이 증가하고 혜가 증가하고 도가 증가하지만, 지도 증가하지 않고 명도 증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도법지일 때에 이미 도지(道智)의 이름을 세웠고, 고비지일 때에 이미 비지(比智)의 이름을 세웠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지를 성취하는 것도 상(相)에 따라서 설한다.
가령 법지를 닦는 때에는 비지도 닦는가? 수(修)에 네 가지가 있는데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수를 의지해서 이 논을 지었다. 즉 득수와 행수를 말한다.
범부인이 욕계의 욕을 떠날 때 방편도와 9무애도와 8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초선의 욕[初禪欲]을 떠날 때에 가령 초선을 의지해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가령 제2선의 변(邊)을 의지해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ㆍ9무애도ㆍ8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의 경우,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나아가 제3선의 욕을 떠나는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제4선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제4선을 의지해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가령 공처변의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ㆍ9무애도ㆍ9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공처의 욕[空處欲]을 떠날 때에는 방편도ㆍ9무애도ㆍ9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나아가 무소유처의 욕을 떠날 때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욕계의 욕을 떠나지 못한 범부인이 4무량(無量)ㆍ초이해탈(初二解脫)ㆍ초사승처(初四勝處)ㆍ부정(不淨)ㆍ안나반나념(安那般那念)ㆍ염처(念處)ㆍ난(煖)ㆍ정(頂)ㆍ인(忍)ㆍ세제일법(世第一法)을 일으킬 때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욕계의 욕을 떠난 범부인이 4무량ㆍ초3해탈ㆍ8승처ㆍ8일체처ㆍ부정ㆍ안나반나념ㆍ염처를 일으킬 때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욕계의 욕을 떠난 범부인이 달분선근(達分善根)을 일으킬 때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욕계의 욕을 떠난 범부인이 통(通)을 일으킬 때 방편도ㆍ2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1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타심지를 닦고 미래에는 등지ㆍ타심지를 닦는다. 5무애도(無礙道)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저 범부가 무색계의 해탈ㆍ공처(空處)ㆍ일체처(一切處)ㆍ식처일체처(識處一切處)를 일으키고 무색계의 염처를 의지할 때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여기에서는 곧 범부인을 설한 것이다.
성인이 견도 중에서 이와 같은 공덕을 일으켜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 이 공덕을 미래에 닦는다. 가령 인(忍)을 일으켜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인을 닦는다. 지를 일으켜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지를 닦는다.
오직 세 가지 심경(心頃)을 제외한 미래에도 세속도(世俗道)를 닦는다. 즉, 고비지ㆍ집비지ㆍ멸비지일 때에도 견도변(見道邊)의 등지(等智)를 닦는다.
【문】무엇 때문에 견도 중에서는 상사법(相似法)만 닦고 수도 중에서는 상사법ㆍ불상사법을 닦는가?
【답】견도 중에서는 인식대상[所緣]이 일정하고 대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상사법만 닦고 불상사법은 닦지 않는다.
수도 중에서는 인식대상이 일정하지 않고 대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사법ㆍ불상사법을 닦는다.
나머지 대답은 잡건도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타심지가 없는데 견도에 들어가 도비지가 눈앞에 드러날 때에는 현재에는 2지를 닦는데 도지ㆍ비지를 말한다. 미래에는 6지를 닦는다.
등지ㆍ타심지는 제외된다.
가령 타심지가 있는 경우, 현재에도 역시 2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등지는 제외된다.
성인이 세속도로 욕계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무루로 방편을 일으켜서 8지를 중에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ㆍ9무애도ㆍ8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초선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8지 중에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ㆍ9해탈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9무애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나아가 무소유처의 욕을 여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성인이 무루도로 욕계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8지 가운데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에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9무애도ㆍ8해탈도를 4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에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를 4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에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초선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9무애도를 6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에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9해탈도를 6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에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내지 무소유처의 욕을 여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비상비비상처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는 경우에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9무애도를 6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6지를 닦는다.
8해탈도를 6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를 2지 가운데서 가령 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미래 8지와 3계의 선근을 닦는다. 이것은 성인이 욕(欲)을 떠난 경우를 설한 것이다.
아직 욕계의 욕을 떠나지 못한 신해탈인(信解脫人)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見到人)이 된다면,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방편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도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무애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6지를 닦는다.
해탈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어떤 사람은 “미래에 6지를 닦는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7지를 닦는다”고 하였다.
욕계의 욕을 떠난 신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될 때의 경우,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 방편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방편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무애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6지를 닦는다.
해탈도를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어떤 사람은 “미래에 7지를 닦는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8지를 닦는다”고 하였다.
시해탈아라한(時解脫阿羅漢)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아라한(不動阿羅漢)이 될 때에,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방편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켜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9무애도를 6지 가운데서 가령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6지를 닦는다.
8해탈도를 6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제9해탈도를 2지 가운데서 하나하나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8지와 3계의 선근을 닦는다.
선을 닦아서 훈습할 때 최초의 찰나경에 8지 가운데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7지를 닦는다.
제2찰나경에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제3찰나경에 8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는 미래에 8지를 닦는다.
통(通)을 일으킬 때 5무애도 중에서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7지를 닦는다. 2해탈도 중에서는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타심지해탈을 일으킬 경우, 현재에는 타심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4무량ㆍ초3해탈ㆍ8승처ㆍ8일체처ㆍ부정ㆍ안나반나념과 선 가운데 세속념처(世俗念處)ㆍ세속무애(世俗無礙)ㆍ무쟁원지(無諍願智)ㆍ반다구치가(半多拘置迦)ㆍ공공삼매ㆍ무원무원삼매ㆍ무상무상삼매ㆍ세속무색해탈(世俗無色解脫)ㆍ공처일체처ㆍ식처ㆍ일체처ㆍ무색계ㆍ세속염처를 일으키고, 멸정(滅定)의 미세상(微細相)에 들어갈 때 현재에는 등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무루지를 일으킬 때에는 현재에는 타심지를 닦고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선 가운데 무루념처(無漏念處)ㆍ무루무애(無漏無礙)를 일으켜서 8지 가운데서 현재에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무색계의 무루해탈ㆍ무루무애ㆍ무루념처를 일으켜서 네 자기 지 가운데서 하나하나의 지를 눈앞에 드러나게 하여 닦는 경우, 미래에는 8지를 닦는다.
멸정(滅定)에서 나올 때의 미세심을 일으키는 경우 현재에도 등지를 닦고 미래에도 등지를 닦는다. 이와 같은 등의 설이 약비바사(略毘婆沙)이다.
가령 법지를 닦는 때에는 비지도 닦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들어서 설명한다.
법지를 닦지만 비지를 닦지 않는 경우, 견도 중에서 고법지ㆍ집법지ㆍ멸법지ㆍ도법지일 때 비지를 닦지 않는다. 왜냐하면 견도 중에서 이 공덕을 닦는 경우, 이 공덕을 미래에도 닦는데 법지가 눈앞에 드러나면 곧 법지를 닦고 비지가 눈앞에 드러나면 곧 비지를 닦기 때문이다.
학견적(學見迹)이나 혹은 아라한이 본래 얻었던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에 비지를 닦지 않는다. 여기에서 학은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이고 적은 성제(聖諦)로서, 가령 견이 있는 것을 견적이라고 한다. 아라한이란 혜해탈(慧解脫)이나 구해탈(俱解脫)을 말한다. 곧, 이때에는 비지를 닦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본래 얻었던 공덕을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면 바로 다음의 후찰나의 것도 닦도록 할 수 없는데 하물며 먼 미래의 것을 닦겠는가.
비지를 닦지만 법지를 닦지 않는 경우, 견도 중에서 고비지ㆍ집비지ㆍ멸비지일 때에 법지를 닦지 않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학견적 혹은 아라한이 본래 얻었던 비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도 닦고 비지도 닦는 경우, 견도의 도비지에 들어갈 때는 법지도 닦고 비지도 닦는다. 왜냐하면 이때 일찍이 얻은 도를 버리고 일찍이 얻지 못한 도를 얻어서 번뇌를 끊고 동일한 맛으로 해탈득(解脫得)을 증득하고 8지를 함께 얻고 16행(行)을 닦기 때문이다.
학견적 혹은 아라한이 일찍이 얻지 못했던 무루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학인이 무루도로 욕계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ㆍ9무애도ㆍ9해탈도 내지는 무소유처의 욕을 떠난 경우에 모두 닦을 수 있다.
비상비비상처의 욕을 떠날 때에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ㆍ9무애도ㆍ8해탈도의 경우에 닦는다.
신해탈인(信解脫人)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될 때에는,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ㆍ무애도ㆍ해탈도일 때와 선을 닦아서 훈습할 때의 전심ㆍ후심의 찰나에 학인이 무루타심지를 일으키고 무루념처를 일으키며 무색무루해탈을 일으키는 이와 같은 때에 일찍이 얻지 못했던 무루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켜서 법지ㆍ비지를 닦게 된다.
비상비비상처의 욕을 떠난 아라한은 최후해탈도(最後解脫道)에 머물 때에 닦는다.
시해탈아라한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아라한이 되는 경우, 가령 무루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ㆍ9무애도ㆍ9해탈도와 선을 닦아서 훈습할 때의 전심ㆍ후심의 찰나에 무루타심지를 일으키고 무루념처를 일으키며 무루무애를 일으키고 무루해탈을 일으키는 때 등 이와 같은 때에 일찍이 얻지 못했던 무루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켜서 법지ㆍ비지를 닦게 되며, 일찍이 얻지 못했던 세속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이때에도 법지ㆍ비지를 닦게 된다.
학인이 세속도로 욕계의 욕을 여읜다면,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ㆍ9무애도ㆍ9해탈도, 나아가 무소유처의 욕을 떠날 때에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가령 비상비비상처의 욕을 끊기 위해서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 방편도일 때에 닦는다.
신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이 되는 경우,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켜서 방편도일 때와 선을 닦아서 훈습할 때의 중심찰나와 통(通)을 일으킬 때의 방편도ㆍ5무애도ㆍ3해탈도일 때와 4무량ㆍ세속의 해탈ㆍ승처ㆍ일체처ㆍ부정ㆍ안나반나념ㆍ세속념처와 멸정(滅定)에 들어가는 미세상을 일으킬 때에 닦는다.
시해탈아라한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아라한이 되는 경우, 가령 세속도로 방편을 일으키는 경우의 방편도와 선을 닦아서 훈습할 때의 중심찰나와 통을 일으킬 때의 방편도ㆍ5무애도ㆍ3해탈도일 때와 무량ㆍ세속의 해탈ㆍ승처와 일체처를 일으키고 세속의 염처와 세속의 무애를 일으키고, 무쟁원지(無諍願智)ㆍ반다구치가(半多俱置迦)와 멸정에 들어갈 때의 미세상을 일으키는 때 등 이와 같은 때에 일찍이 얻지 못했던 세속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켜서 미래에 법지ㆍ비지를 닦게 된다.
법지ㆍ비지를 닦지 않는 경우, 학견적 혹은 아라한이 일찍이 얻은 세속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고 일찍이 얻은 공덕을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켜 바로 다음 찰나에도 오히려 닦게 할 수 없거늘 하물며 먼 미래이겠는가.
일찍이 얻지 못했던 세속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 이른바 문혜(聞慧)ㆍ사혜(思慧)와 멸정(滅定)에서 나올 때의 미미심(微微心)일 때에는 법지ㆍ비지를 닦을 수 없다.
일체의 범부인은 이 지(智)를 닦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지는 범부법(凡夫法)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닦지 않는다.
염오심(染汚心)은 퇴분(退分)인데, 그 체성이 침중(沈重)하여 게으름[懈怠]과 상응하고, 승묘(勝妙)는 정진과 상응하여 그 마음으로 닦을 수 있다.
무기심(無記心)은 비천하고 하열하고 나약해서 마치 썩은 씨앗과 같으므로 닦지 못한다. 견고하고 강한 마음은 닦을 수 있다.
무상정(無想定)과 멸정(滅定)에 들어가는 것은 무심법(無心法)이다. 유심법이어야 닦을 바가 있을 수 있다.
무상중생(無想衆生)의 경우 혹 어떤 사람은 “일체시(一切時)에 유익한 마음이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킬 수 없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비록 유익한 마음을 일으킬 수는 있어도 닦아서 의지처[所依]가 되게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일체의 인(忍)이 눈앞에 드러날 때 인은 닦을 수 있지만 지(智)는 닦지 못한다.
【문】일찍이 얻은 법을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데 무엇 때문에 미래에 닦지 못하는가?
【답】이 법은 이미 사용하였고, 이미 짓는 것이 있으며, 이미 과(果)를 부여하였기 때문이다.
또 이 법은 이미 닦고 이미 의지한 것이므로 세력과 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또 일찍이 얻은 법이 눈앞에 드러날 때 이 행수(行修)는 미래세일 때에 속해 있는데 이 득수(得修)는 세(世)를 경유해서 지나갔기 때문에 단지 손감(損減)만 있을 뿐이다. 어떻게 더 증익케 할 수 있겠는가? 마치 사람들이 먼저 모은 재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단지 줄어들기만 할뿐 늘어남이 없듯이,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또 공력을 많이 사용하고 짓는 것이 많은 것은 미래세에 일찍이 얻은 법을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킬 수 있는데, 공력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짓는 것이 많지 않기 때문에 미래세에 닦도록 할 수 없다.
또 만약 일찍이 얻은 법을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켜서 미래에 닦을 수 있다면, 세존께서 반열반에 들 때 들어간 모든 삼매도 미래세에 닦을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닦을 수 있다면, 세존이 진지(盡智)를 얻을 때 일체 모든 선공덕(善功德)을 갖추지 못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허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일찍이 얻은 공덕을 일으켜서 미래세에 닦는 것은 없다고 하는 것이다.
나머지 지(智)를 닦는 것은 경본(經本)에서 상(相)에 따라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견도변(見道邊)의 등지(等智)와 진지(盡智)를 얻을 때의 선근은 여기에서 자세하게 설해야 하는데, 잡건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法智)는 법지를 반연한다고 말해야 하는가?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경계연(境界緣)은 체성이 없다”고 설하는 사람의 주장을 중지시키고, 또한 경계연은 실제로 체성이 있음을 밝히기 위해서 이 논을 지었다.
어떤 사람은 “‘여기에서는 몇 가지 지를 반연하는가?’고 물어야 한다”고 하였다.
만약 그의 말과 같다면, 법지의 경우 비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를 모두 반연한다. 비지는 법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를 모두 반연한다.
타심지와 등지는 모든 지를 모두 반연한다. 고지와 집지는 등지와 타심지를 반연하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하지 않는다. 멸지는 모든 지를 반연하지 않고, 도지는 등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를 모두 반연한다.
어떤 사람은 “여기에서는 ‘법지는 몇 가지 지의 인식대상[所緣]이 되는가?’고 물어야 한다”고 하였다.
가령 “법지는 몇 가지 지의 인식대상이 되는가?”라고 말한다고 하자. 가령 그가 말한 것과 같다고 하면, 고지ㆍ집지ㆍ비지ㆍ멸지는 법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를 반연한다. 고지ㆍ집지ㆍ법지ㆍ멸지는 비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한다. 멸지는 타심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한다. 멸지ㆍ도지는 등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한다.
고지ㆍ집지ㆍ멸지는 각각 고지ㆍ집지ㆍ멸지의 인식대상이 되지 않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한다. 고지ㆍ집지ㆍ멸지는 도지를 반연하지 않지만 나머지 지는 반연한다.
【문】무엇 때문에 법지ㆍ비지는 각각 서로를 반연하지 않는가?
【답】법지의 경계는 하(下)이고 비지의 경계는 상(上)이기 때문이다.
비유하면 마치 두 사람이 함께 한 곳에 있으면서 한 사람은 땅을 보고 한 사람은 하늘을 보는 경우, 그 두 사람은 만나고 있으면서도 서로 얼굴을 쳐다보지 않듯이, 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몇 가지 연이 되는가? 나아가 도지에 대해서 몇 가지 연이 되는가?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4연(緣)은 체성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의 주장을 중지시키고 또 4연은 실제로 체성이 있음을 밝히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문】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몇 가지 연이 되는가?
【답】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인연(因緣)ㆍ차제연(次第緣)ㆍ경계연(境界緣)ㆍ위세연(威勢緣)이 된다.
【문】무엇 때문에 여기에서 연을 설명하는 것이 다르고, 사건도(使揵度) 불선품(不善品) 가운데서 연을 설명하는 것이 다른가?
가령 여기에서는 “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고 설하였는데, 무엇 때문에 불선품 중에서는 “신견(身見)은 신견에 대해서 혹은 네 가지ㆍ세 가지ㆍ두 가지ㆍ한 가지 연이 된다”고 하였는가?
【답】가령 여기에서 “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고 설하면, 저 불선품 중에서도 마찬가지로 설해야 한다.
또 저 불선품 가운데서 “신견은 신견에 대해서 혹은 네 가지ㆍ세 가지ㆍ두 가지ㆍ한 가지 연이 된다”고 설하면,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설해야 한다.
또 두 가지 문(門)과 두 가지 약(略)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자세한 것은 사건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이 된다.
인(因)은 종자(種子)와 같기 때문이고, 차제(次第)는 앞에서 열어 이끌기 때문이며, 경계연은 막대기를 잡는 것과 같기 때문이고, 위세연은 서로 장애하지 않기 때문이다.
법지는 법지에 대해서 한 가지 인(因)이 되는데 즉, 상사인(相似因)이다. 차제연이란, 법지가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차례로 일으키는 것이다. 경계연이란, 법지가 법지를 반연하는 것이다. 위세연이란, 서로 장애하지 않는 것이다.
법지는 비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인(因)은 상사인을 말한다. 차제연이란, 법지가 비지를 차례로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것이다. 위세연이란, 서로 장애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계연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법지와 비지가 각각 서로를 반연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법지는 타심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는 등지에 대해서 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인은 종자와 같은 것인데 무루법은 유루법의 종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법지는 고지ㆍ집지ㆍ멸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이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지ㆍ집지는 유루법을 반연하는데 이 지(智)는 무루법을 반연하고, 멸지는 무위(無爲)를 반연하는데 이 지는 유위(有爲)를 반연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는 도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비지는 법지와 같아서 상(相)에 따라서 설명한다.
타심지는 타심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서 다른 것은, 가령 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경계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自身)과 자신의 관계를 말한 것이고, 경계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는 것은 타신(他身)과 자신의 관계를 말한 것이다.
타심지는 등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인(因)은 두 가지 인인데 상사인(相似因)과 보인(報因)을 말한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타심지는 고지ㆍ집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인은 상사인을 말한다.
가령 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경계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 것은 인은 무루인데 고지ㆍ집지는 유루를 반연하기 때문이다. 경계연은 되는데 인연이 되지 않는 것은 고지ㆍ집지는 유루를 반연하는데 인은 무루이기 때문이다.
타심지는 멸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타심지는 도지ㆍ법지ㆍ비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등지는 등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인은 세 가지 인이 있는데, 상사인ㆍ일체변인(一切遍因)ㆍ보인을 말한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등지는 고지ㆍ집지에 대해서 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인은 종자와 같은 것인데 유루법은 무루법에 대해서 종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등지는 멸지ㆍ도지에 대해서 차제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ㆍ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차제연이란 등지가 멸지ㆍ도지를 차례로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것이고, 위세연이란 서로 장애하지 않는 것이다. 인연이 되지 않는 것은 유루법이 무루법에 대해서 인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경계연이 되지 않는 것은 멸지ㆍ도지가 무루를 반연하는데 등지는 유루이기 때문이다.
등지는 법지ㆍ비지에 대해서 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등지는 타심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인은 상사인을 말한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고지ㆍ집지ㆍ멸지는 고지ㆍ집지ㆍ멸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인이란 상사인을 말한다. 차제연은 고지ㆍ집지ㆍ멸지가 차례로 고지ㆍ집지ㆍ멸지를 일으키는 것이다. 위세연은 서로 장애하지 않는 것이다. 경계연이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고지ㆍ집지는 유루를 반연하는데 이 모든 지(智)는 무루이고, 멸지는 무위(無爲)를 반연하는데 이 모든 지는 유위이기 때문이다.
고지ㆍ집지ㆍ멸지는 도지ㆍ법지ㆍ비지ㆍ타심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고지ㆍ집지ㆍ멸지는 등지에 대해서 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지는 도지ㆍ법지ㆍ비지ㆍ타심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이 된다. 앞에서 자세히 설명한 것과 같다.
도지는 등지에 대해서 차제연ㆍ경계연ㆍ위세연은 되는데 인연은 되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지는 고지ㆍ집지ㆍ멸지에 대해서 인연ㆍ차제연ㆍ위세연은 되는데 경계연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도지는 학(學)과 무학(無學)인데 이 모든 지(智)는 비학비무학(非學非無學)을 반연하기 때문이다.
모든 결(結)로서 욕계에 매이는 것[欲界繫]인 경우, 그 결은 법지단(法智斷)인가?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의심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결정(決定)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법지는 색계결(色界結)과 무색계결(無色界結)을 끊을 수 있는데 비지는 욕계결(欲界結)을 끊지 못한다.
어떤 사람은 “가령 법지가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는 것처럼 비지도 욕계결을 끊을 수 있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은 “가령 비지가 욕계결을 끊을 수 없는 것처럼 법지도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와 같은 의미, 곧 “법지는 색계결과 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고, 비지는 욕계결을 끊을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문】무엇 때문에 법지는 색계결과 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는데 비지는 욕계결을 끊을 수 없는가?
【답】법지는 먼저 욕계결을 끊었기 때문에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고, 비지는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먼저 끊지 않았기 때문에 욕계결을 끊을 수 없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비지로 아직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지 않았기 때문에 법지로 끊을 수 있고, 법지로 욕계결을 이미 끊었기 때문에 비지로는 끊지 못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또 만약 비지가 욕계결을 끊을 수 있다면, 색계결ㆍ무색계결을 이미 끊은 것인가, 아직 끊지 않은 것인가?
만약 이미 끊었다면, 먼저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고 그 뒤에 욕계결을 끊는 경우는 없다.
만약 끊지 않았다면 비지는 다음과 같은 책망을 받아야 한다. “자계(自界)의 결(結)ㆍ욕(欲)도 아직 끊지 못했는데, 더구나 타계(他界)의 결을 끊겠는가?”
비유하면 마치 국왕이 자기 나라도 항복시키지 못했는데 다른 나라의 국왕을 항복시키려 하는 경우에 “자기 나라도 항복시키지 못했는데 어떻게 다른 나라를 항복시킬 수 있겠는가?”라고 책망받는 것과 같다. 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또 도비지(道比智)일 때에 비지가 설령 욕계의 욕을 떠난다 해도 최후해탈도(最後解脫道)에서 비지가 비로소 나오는데, 빠져서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욕계결을 끊지 못하는 것이다.
또 법지는 욕계결을 끊고 나서 최후해탈도에서도 그 체성이 맹렬하고 날카롭다. 맹렬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윗 지위의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다.
비지의 경우 비상비비상처결을 끊으며, 최후해탈도에서 그 체성이 맹렬하고 날카롭다. 맹렬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욕계결을 끊으려 하는데 욕계결은 이미 끊어져 있다.
또 3계(界)의 고ㆍ집을 반연할 수 있는 사견(邪見)은 먼저 결을 끊고 나서, 그 다음에 대치와 멸(滅)을 구한다. 그래서 색계결ㆍ무색계결을 곧바로 끊게 할 수 있다.
색계ㆍ무색계의 사견은 욕계를 반연할 수도 없고 대치와 결을 구하지 않기 때문에 욕계결을 끊지 못한다.
또 가령 3계의 고ㆍ집을 반연할 수 있는 타계 일체변(一切遍)의 경우, 먼저 끊은 후에 대치와 멸을 구하여 색계결ㆍ무색계결이 곧바로 끊어지게 할 수 있다.
비유하면 마치 부채(負債)를 진 사람이 먼저 원적(怨賊)을 살해하고 그 뒤에 그가 유희하고 즐기던 곳도 파괴하는 것과 같다.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또 법지는 맹렬하고 날카로워서 많은 공(功)을 사용하지 않고도 불선번뇌(不善煩惱)와 무기번뇌(無記煩惱)를 끊을 수 있다. 하물며 무기번뇌의 경우이겠는가? 가령 날카로운 칼은 쇠도 끊을 수 있는데 하물며 초목이랴.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비지는 맹렬하거나 날카롭지 않은 지(智)이므로 많은 공력을 사용해야만 무기번뇌를 끊을 수 있는데 어떻게 불선번뇌를 끊을 수 있겠는가?
가령 무딘 칼은 많은 공력을 사용해야 풀이나 나무를 끊을 수 있는데 어떻게 쇠를 끊을 수 있겠는가?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또 법지는 천 명의 적과 같다. 무엇 때문에 천 명의 적과 같다고 하는가? 왜냐하면 18계(界)ㆍ12입(入)ㆍ5음(陰)을 대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지는 천 명의 적과 같지 않다. 무엇 때문에 천 명의 적과 같지 않다고 하는가? 14계ㆍ10입ㆍ5음ㆍ4음을 대치하기 때문이다.
또 수행자가 욕계의 5음에 핍박을 당하는 것이 마치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것과 같은데, 그 대치와 멸을 구할 때 색계결ㆍ무색계결은 끊을 수 있다.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는 법지는 멸법지ㆍ도법지이고, 고법지ㆍ집법지는 아니다.
【문】무엇 때문에 고법지ㆍ집법지로는 끊지 못하는가?
【답】수행자가 욕계 5음에 핍박을 당하는 것이 마치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것과 같은데, 그 대치와 멸을 구할 때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욕계는 부정계(不定界)이고 수지(修地)가 아니고 이욕지(離欲地)가 아니다. 색계ㆍ무색계는 정지(定地)이고 수지이고 이욕지이다. 부정계를 반연하는 지(智)로는 정계(定界)의 결을 끊지 못한다.
또 욕계는 거친 계이고 색계는 세밀한 계인데 거친 계를 반연하는 지로는 세밀한 계의 결을 끊을 수 없다.
또 욕계는 하계(下界)이고 색계는 중계(中界)이며 무색계는 상계(上界)이다. 하계를 반연하는 지로는 중계와 상계의 결을 끊을 수 없다.
또 만약 고법지ㆍ집법지로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을 수 있다면, 곧 다른 곳에서 염(厭)을 닦아서 다른 곳에서 해탈을 얻는 것이 된다.
비유하면 마치 손을 묶은 것을 끊으면 손이 자유스럽게 되고 발을 묶은 것을 끊으면 발이 자유스럽게 되는 것이지, 손을 묶은 것을 끊으면 발이 자유스럽게 되거나 발을 묶은 것을 끊으면 손이 자유스럽게 되는 것은 아닌 것과 같이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멸법지ㆍ도법지로 색계결ㆍ무색계결을 끊는 경우 반드시 욕계에 태어나고 색계ㆍ무색계에 태어나지는 않는다.
【문】무엇 때문에 욕계에만 태어나고 색계ㆍ무색계에는 태어나지 않는가?
【답】법지에 들어가 비지의 방편심(方便心)을 나오게 하는 것은 욕계에 매이는 법[欲界繫法]인데, 저 법을 버리고 색계ㆍ무색계에 태어나기 때문이다.
또 법지와 함께 전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로 욕계의 4대로 만들어진 것인데, 저 4대를 버려야 색계ㆍ무색계에 태어나기 때문이다.
또 법지는 욕계에 대해서 할 일을 이미 마쳤기에 다시 방편을 짓지는 않으며, 색계ㆍ무색계를 다시는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다.
비유하면 마치 아라한이 다시는 3계(界)의 단대치(斷對治)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것과 같이 그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교정서(校正序)
송본(宋本)의 권 머리에서 “지건도(智揵度) 제2의 타심지품(他心智品) ⑥에서 체를 이미 설하였다. 따라서 이제 여기에서 염전세지라고 하는 까닭을 설하겠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한 것과 나아가 이 권의 끝에서 “이것을 원지방편(願智方便)이라고 한다. 자신(自身)을 반연하는 것은”이라고 한 것 등 모두 15페이지[紙]의 문장에서, 국본(國本)과 송본(宋本)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지금 검토해 보니 송본이 착란을 일으켰다. 이 문장은 이 논의 전문(前文)인데, 송본과 거란본[丹本]에서는 제 50권이고, 국본에서는 51권이 전부일 뿐이다. 그런데 중복해서 서사(書寫)하고 이것을 55권으로 삼은 것은 착오이다. 지금은 거란본에 의거해서 바로잡는다.
국본은 비록 두 가지 본과 같지는 않지만 단지 권(卷)을 나누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니, 차례대로 질서 있게 바로잡으면 혼란스럽지 않을 것이다.
025_0958_a_05L八智法智比智他心智等智苦智滅智道智云何法智乃至道智此章及解章義此中應廣說優波提問曰彼尊者迦旃延子何故依八智而作論荅曰此中應廣如使揵度大章中說法智攝幾智乃至道智攝幾智問曰何故作此論荅曰爲止倂義者意故如毘婆闍婆提說攝他性不攝自性法爲止如是說者意作此論攝如使揵度一行品中廣說法智攝法智亦攝五智少分謂他心道智摠而言之法智攝法然法智在六地謂未至中閒根本四禪未至禪中者攝未至禪中者第四禪中者攝第四禪中者又法智是四智謂是苦智乃至道智苦智攝苦法智乃至道智攝道法智又法智在過去未來現在過去者攝過去未來現在者攝未來現在者又過去法智有無量剎那彼剎那卽攝彼剎那未來現在說亦如是云何攝他心智少分邪荅曰他心智是有漏攝無漏者不攝有漏者彼無漏有二種謂法智分比智分攝法智分不攝比智分是名少分云何攝苦智少分邪荅曰苦智是法智分比智分攝法智分不攝比智分是名少分至道智說亦如是比智攝比智亦攝五智少分廣說如法智他心智攝他心智亦攝四智少分謂法智比智道智摠而言之他心智攝他心智然他心智在根本四禪中初禪者攝初禪者乃至第四禪者攝第四禪者又他心智是有漏無漏有漏者攝有漏者無漏者攝無漏者又他心智是法智分比智分法智分攝法智分者比智分攝比智分者在過去未來現如先所說云何攝法智少分邪智是四智攝道智不攝餘智是名少又道智是摠相別相攝別相者攝摠相者道智有緣三世者有緣現在者有緣自身有緣他身者有緣心心數法者有緣五陰者攝緣現在他身心心數法者不攝緣過去未來身及五陰者是名少分比智亦如是隨相而說云何攝等智少分邪荅曰等智在十一地從欲界乃至非想非非想處攝在根本四禪地者不攝餘地者又等智緣摠相別相攝別相者不攝摠相餘廣說如上云何攝道智少分荅曰道智在九地謂未至中閒根本四禪三無色定攝根本禪地攝餘地者是名少分又道智緣摠相別相乃至廣說是名少分等智攝等亦攝一智少分謂他心智摠而言等智攝等智然等智在十一地欲界未至中閒根本四禪四無色定欲界攝欲界者乃至非想非非想處攝非想非非想處者又欲界者有善穢污不隱沒無記善攝善者穢污攝穢污者不隱沒無記攝不隱沒無記此三在過去未來現在過去未來現在卽攝過去未來現在者又過去有無量剎那彼剎那卽攝彼剎那者未來亦如是如是欲界乃至非想非非想地說亦如是云何攝他心智少荅曰他心智是有漏無漏攝有漏不攝無漏者是名少分苦智攝苦亦攝二智少分謂法智比智摠而言之苦智攝苦智然苦智在九地未至中閒根本四禪三無色定未至禪攝未至禪者乃至無所有處攝無所有處者餘廣說如上云何攝法智少分荅曰法智是四智謂苦攝苦智分不攝餘智分是名少分如法智比智亦如是如苦智滅智亦如是道智攝道智亦攝三智少分謂法智比智他心智摠而言之道智攝道智廣說如上苦智異者攝他心智少分云何攝他心智少分荅曰心智是有漏無漏攝無漏者不攝有漏者是名少分若成就法智於此八爲成就幾不成就幾問曰何故作此論荅曰爲止說無成就者意故作此論若成就法智於此八智爲成就幾成就幾答曰或成就三四五六七八苦法智時無他心智三謂法智苦智等智有他心智四苦比忍時無他心智三有他心智四此中增見增慧不增智不增名苦比智時無他心智四謂法智比智等智苦智有他心智五此中增見增慧增道增智增名集法忍時無他心智四有他心智五此中增見增慧增道不增智不增名集法智時無他心智五謂法智比智等智苦智集智有他心智六此中增增慧增道增智增名集法忍時無他心智五有他心智六此中增見增慧增道不增智不增名集比智時無他心智五有他心智六此中增見增慧增道不增智不增名所以者何苦比智時已立比智名集法智時已立集智名滅法忍時無他心智五有他心智六此中增見增慧增道不增智增名滅法智時無他心智六謂法智比智等智集智滅智有他心智七中增見增慧增道增智增名滅比忍無他心智六有他心智七此中增增慧增道不增智不增名滅比智無他心智六有他心智七此中增增慧增道不增智不增名所以者滅法智時已立滅智名苦比智時已立比智名道法忍時無他心智六有他心智七此中增見增慧增道增智不增名道法智時無他心智七謂法智比智等智苦智集智滅智智有他心智八此中增見增慧增道增智增名道比忍時無他心智七他心智八此中增見增慧增道不增不增名所以者何道法智時已立道智名苦比智時已立比智名乃至成就道智隨相而說若修法智時亦修比智邪修有四種廣說如上此中因二修而作論謂得行修凡夫人離欲界欲時方便道九無㝵道八解脫道中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第九解脫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智離初禪欲時若卽依初禪作方便者方便道現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智若依第二禪邊作方便者方便道無礙道八解脫道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第九解脫道現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智乃至離第三禪亦如是離第四禪欲時若卽依第四禪作方便者方便道現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智若依空處邊方便者方便道九無㝵道九解脫道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離空處欲時方便道九無㝵道九解脫道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乃至離無所有處欲說亦如是未離欲界欲凡夫起四無量初二解脫初四勝處淨安那般那念念處煖頂忍世第一法時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欲界欲凡夫起四無量初三解脫勝處八一切處不淨安那般那念處時現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離欲界欲凡夫起達分善根時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離欲界欲凡夫起通時方便道二解脫道中在修等智未來修等智他心智一解脫道中現在修他心智未來修等智他心智五無㝵道中現在修等智來亦修等智卽彼凡夫起無色界解空處一切處識處一切處依無色界念處時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此則說凡夫人聖人見道中起如是功德現在前卽是功德未來修起忍現在前卽未來修忍起智現在卽未來修智唯除三心頃未來修世俗道謂苦比智集比智滅比智見道邊等智問曰何故見道中唯修相似法修道中修相似不相似法邪荅曰見道中所緣定對治定故唯修相似法不修不相似者修道中所緣不定對治亦不定故修相似不相似法餘荅廣說如雜揵度若無他心智入見道道比智現在前時現在修二謂道智比智未來修六智除等智他心智若有他心智現在亦修二智未來修七智除等智聖人以世俗道離欲界欲時若以無漏作方便方便道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未來修七智若以世俗道作方便方便道九無㝵道八解脫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七智第九解脫道現在修等未來修八智離初禪欲時若以無作方便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修未來修八智若以世俗道作方便方便道九解脫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八智九無㝵道中現在修等未來修七智乃至離無所有處欲說亦如是聖人以無漏道離欲界欲若以世俗作方便現在修等智未來修七智若以無漏作方便於八智中若起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九無㝵道八解脫道於四智中若起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第九解脫道於四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離初禪欲時以世俗道作方便現在修等智未來修八智若以無漏作方便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無㝵道於六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九解脫道於六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至離無所有處欲說亦如是離非想非非想處欲時若以世俗作方便在修等智未來修八智若以無漏方便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未來修八智九無㝵道於六智中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六智八解脫道於六智中若一一智現在前未來修七智第九解脫道於二智中若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及三界善根是則說聖人離欲未離欲界信解脫轉根作見到若以世俗方便道方便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七智若以無漏作方便方便道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無㝵道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六智解脫道於八智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或有說修六智或有說者修七智離欲界信解脫轉根作見到時若以世俗作方便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八若以無漏作方便方便道於八智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無㝵道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六智解脫道於八智中一一智現在前修未來或有說修七或有說修八智時解脫阿羅漢轉作不動時若以世俗作方便方便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八智若以無漏作方便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九無㝵道於六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六八解脫道於六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第九解脫道二智中若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及三界善根修勳禪時初剎那頃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七智第二剎那頃現在前修等智未來修七智第三剎那頃於八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通時五無㝵道中現在修等智未來修七智二解脫道中現在修等智來修八智起他心智解脫時現在修他心智未來修八智起四無量初三解脫八勝處八一切處不淨安那般那念禪中世俗念處世俗無㝵無諍願智半多俱置迦空空三昧無願無願三昧無相無相三昧世俗無色解空處識處一切處無色界世俗念入滅定微細想時現在修等智來修八智起無漏智時現在修他心未來修八智起禪中無漏念處漏無㝵於八智中現在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起無色界無漏解脫無漏無㝵無漏念處於四智中若一一智現在前修未來修八智出滅定微微心現在修等智未來亦修等智如是等說是略毘婆沙若修法智時亦修比智邪乃至廣說作四修法智不修比智者見道中苦法集法智滅法智道法智時不修比所以者何見道中若修此功德此功德未來修法智現在前卽修法智比智現在前卽修比智學見迹阿羅漢起本得法智現在前學者是須陀洹斯陀含阿那含迹是聖諦有見者名爲見迹阿羅漢者若慧解若俱解脫是時不修比智所以者起本得功德現在前尚不能令次後剎那修何況未來遠者修比智修法智者見道中苦比智集比智比智時不修法智如先所說學見迹若阿羅漢起本得比智現在前如上所說修法智亦修比智者入見道比智時修法智亦修比智所以者何是時捨曾得道得未曾得道斷煩惱同一味證解脫得具得八智修十六行學見迹若阿羅漢起未曾得無漏智現在前學人以無漏道離欲界欲若以無漏作方便方便道九無㝵九解脫道乃至離無所有處欲俱修離非想非非想處欲時若以無作方便方便道九無㝵道八解脫信解脫轉根作見到時若以無漏作方便方便道無㝵道解脫道修勳禪時前後心剎那學人起無漏他心起無漏念處起無色無漏解脫是等時起未曾得無漏智現在前修法智比智離非想非非想處欲羅漢住最後解脫道時解脫阿羅漢轉根作不動若以無漏作方便方便九無㝵道九解脫道修勳禪時後心剎那起無漏他心智起無漏念起無漏無㝵起無漏解脫如是等起未曾得無漏智現在前得修法比智起未曾得世俗智現在前得修法智比智學人以世俗道欲界欲若以世俗作方便方便道無㝵道九解脫道乃至離無所有處說亦如是若爲斷非想非非想處以世俗作方便方便道信解脫轉作見到時若以世俗作方便方便修勳禪時中心剎那起通時方便方便道五無㝵道三解脫道起四無世俗解脫勝處一切處不淨安那般那念世俗念處入滅定微細想時解脫阿羅漢轉根作不動若以世俗作方便方便道修勳禪時中心剎那起通時方便道五無㝵道三解脫道起無量世俗解脫勝處一切處起世俗念處世俗無礙起無諍願智半多俱置迦入滅定時微細想如是等時起未曾得世俗智現在前未來得修法智比智不修法智比智者學見迹若阿羅漢起已曾得世俗智現在前已曾得功德現在前尚不能令次後剎那修何況未來遠者起未曾得世俗智現在前謂聞思慧及出滅定微微心是時不得修法智比智一切凡夫人不修此智所以者何此智非凡夫法故是以不修染污心者是退分大能其性沈重與懈怠相應勝妙與精進相應心能有所修無記心者是卑下劣弱如腐種子不能有所修堅牢强心能有所修入無想定 滅定是無心法有心法能有所修無想衆生有說者一切時不能起善心現在前或有說者雖起善心不能爲修作依一切忍現在前時唯修忍不修智問曰起已曾得法現在前何故無未來修邪答曰此法已用已有所作已與果故復次此法已修已猗更勢用復次起已曾得法現在前時是修在未來世時是得修以經歷世故但有損減何得更增益邪如人食用先所聚財物但有損減更無增益彼亦如是次多用功多有所作者欲令未來世能起已曾得法現在前不多用功不多有所作故不能令未來世者修次若起已曾得法現在前未來修者世尊般涅槃時入一切諸禪三昧亦應未來世修若修者則世尊得盡智時則不具得一切諸善功德欲令無如是過故起已曾得功德無未來世修餘智修隨相廣說如經本有見道邊等智有得盡智時善根此中應廣說如雜揵度法智當言緣法智邪問曰何故作此答曰欲止說境界緣無有體性者亦明境界緣實有體性故而作此或有說者此中作如是問法智緣幾智邪若如其所說法智不緣比智盡緣餘智比智不緣法智盡緣餘智他心智等智盡緣諸智苦智集智等智他心智不緣餘智滅智不緣諸道智不緣等智盡緣餘智復有說此中作如是問法智爲幾智所緣若作是說法智爲幾智所緣者若如其所說苦智集智比智滅智不緣法餘智則緣苦智集智法智滅智緣比智餘智則緣滅智不緣他心智餘智則緣滅智道智不緣等智餘智則緣苦集滅智各不爲苦滅智所餘智則緣滅智不緣道智智則緣問曰何故法智比智各不相緣邪荅曰法智境界於下比智境界於上譬如二人同住一處一人視地一人視空其二人面各不相視彼亦如是法智於法智有幾緣乃至於道智有幾緣邪問曰何故作此論荅曰欲止說四緣無體性者意亦欲明四緣實有體性故而作此論法智於法智有幾緣邪荅曰法智於法智威勢問曰何故此中說緣異使揵度不善品中說緣異如此中說智於法智次第威勢如不善品中說身見於身見或四三二一邪如此中所說法智於法智次第威勢彼中亦應如是說如彼所說身見於身見或四三二一此中亦應如是說復次欲現二門二略廣說如使揵度法智於法智次第威勢因者如種子故次第者前開導故界緣者如執杖故威勢緣者不相障礙故法智於法智有一因謂相似因次第緣者法智次第起法智現在前境界緣者法智緣法智威勢緣者相障礙法智於比智次第威勢因者謂相似因次第緣者法智次孝林第起比智現在前威勢緣者不相㝵故無緣者智比各不相緣法於他心智因次第威勢如先說法智於等智次第緣威勢無因所以者何因者如種子無法不法作種子法智於苦滅智因次第威勢無緣所以者何苦集智緣有漏法此智是無漏滅智緣無爲此是有餘廣說如上法智於道智因次第緣威勢廣說如上比智法智相而說他心智於他心智因次第緣威勢如上所說此中異者若有因無緣若有緣無因有因無緣者自於自身有緣因者身於自身他智於等智因次第緣威勢因者二因謂相似因因餘說如上他心智於苦集智因次第緣威勢因者相似因若有因無緣有緣無因有因無緣者因無漏苦集智緣有漏有緣無因者苦集智有漏因是故他心智於滅智因次第威勢說如他心智於道智法智比智因次第緣威勢廣說如上等智於孝林等智因次第緣威勢因者有三因謂相似因一切遍因報餘廣說如等智於苦集智次第緣威勢無因所以者何因如種子有漏法不爲無作種子等智於滅智道智次第威無因無緣次第者次第智次第滅道智現在前威勢者不相障㝵無有漏法不爲無漏法作因無緣者滅道智緣無漏智是有漏等智於法智比智次第緣勢無廣說如上等智於他心智因次第因者謂似因廣說如上苦集智於苦集滅智因次勢無緣因者相因次第緣者苦集滅智次苦集滅智勢緣者不相障㝵無緣所以者何苦集智緣有漏此諸智漏滅智緣無爲此諸智是有爲集滅於道智法智比心智因次第緣威廣說如上苦集滅智於等智次第緣威勢無因廣說於道智法智比智他心智因威勢廣說如上道智於等智次第緣威勢無因廣說如上道智於苦滅智次第威勢無緣所以者何道智是學無學此諸智緣非學非無諸結欲界繫彼結法智斷邪問曰何故作此論荅曰欲令疑者得決定法智能斷色無色界結比智不能斷欲界結或謂如法智能斷色無色界結比智亦能斷欲界結或謂如智不能斷欲界結法智亦不能斷色無色界結欲令此義決定法智能斷無色界結比智不能斷欲界結故而作此論問曰何故法智能斷色無色界結智不能斷欲界結邪荅曰法智先斷欲界結故能斷色無色界結比智先不斷色無色界結故不能斷欲界復有說者以比智未斷色無色界結故法智能斷以法智已斷欲界結比智不斷復次若比智能斷欲界結者爲已斷色無色界結邪爲未斷若已斷者無有先斷色無色界結後斷欲界結者若未斷者比智則應有如是責自界結欲未斷乃斷他界譬如國王不能降伏自國乃欲降伏他國王則有如是責云何不能降伏自國乃欲降伏他國彼亦如是道比智時比智設離欲界欲最後解脫道比智乃出以沒不出故不能斷欲界結復次法智斷欲界結已後解脫道其性猛利以猛利故能上斷色無色界結比智斷非想非非想處結最後解脫道其性猛利以猛利欲斷欲界結而欲界結已斷復次邪見能緣三界苦集者先已斷結求其對治及滅而能使色無色界結便斷無色界邪見不能緣欲界求對治及滅故不能斷欲界結復次若是他界一切遍能緣三界苦集者先已斷後求其對治及滅而能使色無色界結便斷猶如負責之人先殺怨賊後亦壞其遊戲歡娛之處彼亦如是復次法智猛利不多用功能斷不善無記煩惱何況無記煩惱邪如利刀能斷於鐵何況草木彼亦如比智非猛利智多用功力乃能斷無記煩惱何能斷不善煩惱譬如鈍刀多用功力能斷草木何能斷鐵邪彼亦如是復次法智如千人敵云何如千人敵以能對治十八界十二入五陰故比智非如千人敵云何非如千人敵以對治十四界十 入五陰四陰故復次行者爲欲界五陰之所逼切如負重擔求其對治及滅時斷色無色界結法智能斷色無色界結者是滅道法智非苦集法智問曰何故非苦集法智荅曰行者爲欲界五陰之所逼切欲負重擔求其對治及滅時能斷色無色界結復次欲界是不定界非修地非離欲地無色界是定地修地離欲地不可以緣不定界智斷定界結復次欲界是麤界色界是細界不可以緣麤界智斷細界結復次欲界是下界色界是中界無色界是上界不可以緣下界智中上界結復次若苦集法智能斷色色界結者便爲於異處修厭異處得解脫譬如斷手繫手得解脫斷腳繫腳得解脫不可斷手繫腳得解脫斷腳繫手得解脫彼亦如是若以滅道法智斷色無色界結必是生欲界非生色無色界者問曰何故但是生欲界者非是生色無色界者荅曰入法智出比智方便心是欲界繫法以棄彼法生色無色界故復次與法智迴轉成是欲界四大造棄彼四大生色無色界故復次法智於欲界作已竟更不作方便於色無色界不起現在前猶如阿羅漢更不起三界斷對治現在前彼亦如是挍正序宋本此卷首云智揵度他心智品第二之六已說體性所以今當說何故 名念前世智云云乃至卷末云是說願智方便緣自身者等凡十五紙文其與國宋本迥異者何耶今撿宋本錯亂此文卽是此論前文宋丹則第五十國本則五十一卷之全耳而重書爲此五十五卷者錯也今依丹本國本雖與二本不同但分卷有異序則不亂焉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五
甲辰歲高麗國分司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