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九

ABC_IT_K0951_T_059
025_0983_a_01L
아비담비바사론 제59권
025_0983_a_01L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九
025_0983_a_02L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 도태 등 한역
박진효 번역
025_0983_a_02L迦旃延子造 五百羅漢釋
北涼天竺沙門浮陁跋摩共道泰等譯


4) 상응품 ③
025_0983_a_04L智揵度相應品第四之三
025_0983_b_02L44지체(智體)가 있다. 노사(老死)를 아는 지체ㆍ노사(老死)의 집(集)을 아는 지체ㆍ노사의 멸을 아는 지체ㆍ노사의 멸도(滅道)를 아는 지체가 있다. 나아가 행(行)을 아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이것은 불경에서 설한 것이다. 불경에서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지금 44지체를 설하겠으니, 그대들은 모두 일심으로 잘 들으라’고 하셨다.”
부처님께서 이 경(經)을 설하시기는 했지만 자세하게 분별하시지는 않았다. 불경이 이 논의 근본이 된다. 자세하게 분별하기 위해서 이 논을 지은 것이다.
【문】만약 불경이 이 논의 근본이라면, 무엇 때문에 세존께서 이 경을 설하셨는가?
【답】세존께서는 이와 같은 방편도의 문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기 때문에 지금 이 방편도의 문을 제자들에게 제시해 주기 위해서 “그대들이 이 방편도의 문을 버리지 않으면 오래지 않아서 누를 다하게 될 것이니라”고 설하신 것이다.
비유하면 부호의 장자가 이와 같은 방편으로 재물을 모으고 다시 그 방편을 자손들에게 가르치기 위해서 “너희들이 이와 같은 방편을 버리지 않으면 오래지 않아서 한량없는 재보를 얻게 될 것이니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것이 44지체인가? 곧 노사를 아는 것이 제1지체이다. 노사의 집을 아는 것이 제2지체이다. 노사의 멸을 아는 것이 제3지체이다. 노사의 멸도를 아는 것이 제4지체이다.
노사를 의지해서 아는 것에 4지체가 있으며, 나아가 행(行)을 아는 경우에 이르기까지도 4지체가 있다. 곧 열한 가지의 4지체가 있으므로 44지체가 있게 되는 것이다.
【문】무엇 때문에 무명을 아는 지체는 설하지 않았는가?
【답】설해야 하는데 설하지 않은 것은 여기에 나머지 설명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존재의 갈래이고 작인(作因)이 되는 경우에는 지체를 설하는데, 무명은 비록 갈래를 지니지만 작인이 되지는 않는다.
또 네 가지 법이 있는 경우에 지체를 세우는데 무명은 세 가지 법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지체를 세우지 않는다.
노사를 아는 지(智)가 바로 4지이니, 이른바 법지(法智)ㆍ비지(比智)ㆍ등지(等智)ㆍ고지(苦智)이다. 노사의 집을 아는 지가 가 바로 4지이니, 이른바 법지ㆍ비지ㆍ집지ㆍ등지이다. 노사의 멸을 아는 지가 가 바로 4지이니, 이른바 법지ㆍ비지ㆍ멸지ㆍ등지이다. 노사의 멸도를 아는 지가 가 바로 4지이니, 이른바 법지ㆍ비지ㆍ도지ㆍ등지이다.
가령 노사를 아는 경우에 16가지 지(智)가 있는 것처럼, 나아가 행(行)에 이르기까지를 아는 경우에도 16가지 지가 있다.
몸[身]에 있는 것과 찰나(刹那)에 있는 것을 분별하면 한량없고 가이없지만, 여기서는 갈래를 지닌 것[有支]과 제(諦)와 대치(對治)로써 분별했기 때문에 44지체가 있는 것이다.
【문】이 44지체는 몇 가지가 과거에 속해 있고, 몇 가지가 미래에 속해 있고, 몇 가지가 현재에 속해 있는가?
【답】어떤 것은 과거에 속해 있고, 어떤 것은 미래에 속해 있고, 어떤 것은 현재에 속해 있다.
【문】몇 가지가 과거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미래ㆍ현재를 반연하는가?
【답】서른세 가지는 3세를 반연하고, 열한 가지는 세간이 아닌 법(非世法)을 반연한다.
가령 잡건도(雜揵度)에서 설한 경우와 같다면, 세 가지는 과거를 반연하는데, 행(行)을 아는 지체ㆍ행집(行集)을 아는 지체ㆍ식집(識集)을 아는 지체를 말한다. 세 가지는 미래를 반연하는데, 노사를 아는 지체ㆍ노사집을 아는 지체ㆍ생(生)을 아는 지체를 말한다. 열여섯 가지는 현재를 반연하는데, 생(生)을 아는 지체ㆍ생집(生集)을 아는 지체ㆍ유(有)를 아는 지체ㆍ유집(有集)을 아는 지체ㆍ취(取)를 아는 지체98)ㆍ취집(取集)을 아는 지체ㆍ애착[愛]을 아는 지체ㆍ애집(愛集)을 아는 지체ㆍ수(受)를 아는 지체ㆍ수집(受集)을 아는 지체ㆍ촉을 아는 지체ㆍ촉집(觸集)을 아는 지체ㆍ6입(入)을 아는 지체ㆍ6입집(入集)을 아는 지체ㆍ명색(名色)을 아는 지체ㆍ명색집(名色集)을 아는 지체ㆍ식(識)을 아는 지체를 말한다. 열한 가지는 3세(世)를 반연하고, 열한 가지는 세간이 아닌 법을 반연한다.
【문】몇 가지가 유루(有漏)이고, 몇 가지가 무루(無漏)인가?
【답】어떤 경우에는 전부가 유루이고 어떤 경우에는 전부가 무루이다.
【문】몇 가지가 유루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무루를 반연하는가?
【답】스물두 가지는 유루를 반연하고, 스물두 가지는 무루를 반연한다.
【문】몇 가지가 유위(有爲)이고 몇 가지가 무위(無爲)인가?
【답】모두 다 유위이며, 무위인 지(智)는 없다.
【문】몇 가지가 유위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무위를 반연하는가?
【답】서른세 가지는 유위를 반연하고 열한 가지는 무위를 반연한다.
이 지체는 정결정(正決定)을 얻지 못하고, 과(果)를 얻지 못하고, 욕(欲)을 떠나지 못하고, 누를 다하지 못한다. 이것은 성인이 본래 얻었던 법인데, 유희하기 위하여, 본래 지은 것을 관하기 위하여, 현세의 즐거움을 받기 위하여, 성법(聖法)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 지(智)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것이다.
77지체가 있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논하는가?
【답】이것은 불경에서 설한 것이다.
불경에서 “내가 지금 77지체를 설하겠노라. 즉 생(生)이 노사의 연(緣)이라는 것을 아는 지체,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지 않다는 것을 아는 지체…(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하였다.
부처님께서 무엇 때문에 이 경을 설하셨는가? 곧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어떤 것이 77지체인가?
【답】생이 노사의 연(緣)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제1지체이고,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는 것이 제2지체이고, 과거생은 일찍이 노사의 연이었음을 아는 것이 제3지체이고, 일찍이 과거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는 것이 제4지체이고, 미래생이 장차 노사의 연이 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제5지체이고, 장차 미래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이 아님을 아는 것이 제6지체이다. 나아가 지법주지(智法住智)로서 이 법은 무상(無常)이고 유위(有爲)이며 인연으로부터 생긴 것으로 진법(盡法)이고 멸법(滅法)이고 무욕법(無欲法)임을 아는데, 이와 같은 법을 아는 것이 제7지체이다.
노사를 아는 것에 7지체가 있는 것처럼 나아가 행(行)을 아는 것에 이르기까지도 7지체가 잇다.
열한 가지의 7지체가 되어 곧 77지체가 있는 것이다.
【문】여기에서 무엇 때문에 무명이 연이 되는 것을 아는 지체는 설하지 않았는가?
【답】설해야 하는데 설하지 않은 것은 여기에 나머지 설명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 유의 갈래이고 작인(作因)이 되는 경우에는 지체를 설하는데, 무명은 유의 갈래이기는 하지만 작인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생이 노사의 연(緣)임을 아는 것이 바로 4지인데, 이른바 법지ㆍ비지ㆍ등지ㆍ집지이다.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지 않음을 아는 지체이다.
【문】무엇 때문에 이것을 설하는가?
【답】논(論)에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자신이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것이고, 둘째는 타인이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것이다.
자신이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경우, 가령 불제자가 불법(佛法)의 의미로 자신이 말한 것을 확정하고, 외도의 제자가 외도의 의미로써 자신이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육다바제(育多婆提)의 경우에는 육다바제의 의미로써 자신이 말한 것은 확정하고, 비바사바제(毘婆闍婆提)의 경우에는 비바사바제의 의미로써 자신이 말한 것을 확정한다.
타인이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경우, 가령 불제자는 외도의 제자가 말한 것을 확정하고, 외도의 제자는 불제자가 말한 것을 확정하는 경우가 있고, 육다바제에서 비바사바제가 한 말을 확정하거나 비바사바제에서 육다바제가 한 말을 확정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사람은 “이것은 단지 논의하기 위해서 이와 같이 설한 것이고, 실법(實法)은 아니다. 그 의미를 결정지으려 함이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실제의 일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설한 것이다.
생(生)을 연하지 않는 이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아는 이 지(智)는 4지인데, 즉 법지ㆍ비지ㆍ등지ㆍ집지를 말한다. 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8지가 있다.
과거생이 일찍이 노사의 연이라는 것을 아는 지체는 4지인데, 법지ㆍ비지ㆍ등지ㆍ지집지(知集智)이다. 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12지체(智體)가 있다. 일찍이 과거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는 지체는 4지인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16지체가 있다.
미래생이 장차 노사의 연이 된다는 것을 아는 지체는 4지인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20지체가 있다.
미래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는 지체는 4지인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24지체가 있다.
법주지(法住智)를 알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앞에서 말한 것과 통틀어 25지체가 있다.
가령 노사에 연이 되는 것을 아는 것에 25지체가 있는 것처럼 나아가 행에 연이 되는 것을 아는 것에도 25지체가 있다.
가령 몸[身]과 찰나에 있는 것으로 말하면 한량없고 가없는 지체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유의 갈래ㆍ세(世)ㆍ진리[諦]ㆍ대치로써 분별했기 때문에 77지체를 세운 것이다.
【문】무엇 때문에 현재를 아는 지체는 설하지 않았는가?
【답】어떤 사람은 “생은 노사의 연으로,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한 것은 바로 현재를 아는 지체를 설한 것이다. 과거는 과거를 알고 미래는 미래를 안다”고 말하였다.
어떤 사람은 “생이 노사의 연으로,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안다”고 함은 3세를 아는 것을 설한 것이다. 과거는 곧 과거를 알고, 미래는 곧 미래를 안다”고 말하였다.
【문】이 지(智)는 몇 가지가 과거에 속해 있고, 몇 가지가 미래와 현재에 속해 있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모두 과거에 속해 있고, 어떤 경우에는 모두 미래에 속해 있고, 어떤 경우에는 모두 현재에 속해 있다.
【문】몇 가지가 과거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미래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현재를 반연하는가?
【답】가령 “생이 노사의 연이다.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하는 것은 현재를 아는 지체를 설한 것이다”고 설한 경우, 스물두 가지가 과거를 반연하고 스물두 가지가 미래를 반연하고 스물두 가지가 현재를 반연하고 열한 가지는 3세를 반연한다.
가령 “‘생이 노사의 연이다. 생을 연하지 않는 노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함은 3세를 아는 지체를 설한 것이다”라고 한 경우, 스물두 가지가 과거를 반연하고, 스물두 가지가 미래를 반연하고, 서른세 가지가 3세를 반연한다.
【문】몇 가지가 유루(有漏)이고 몇 가지가 무루(無漏)인가?
【답】어떤 경우에는 모두 유루이고 어떤 경우에는 모두 무루이다.
【문】몇 가지가 유루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무루를 반연하는가?
【답】모두 유루를 반연한다.
【문】몇 가지가 유위(有爲)이고, 몇 가지가 무위(無爲)인가?
【답】모두 유위이다. 무위인 지체는 없다.
【문】몇 가지가 유위를 반연하고, 몇 가지가 무위를 반연하는가?
【답】모두 유위를 반연한다.
이 지체는 정결정을 얻지 못하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그리고 법주지(法住智)…(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법주지(法住智)99)는 인(因)을 아는 지(智)이다. 왜냐하면 주(住)를 인(因)이라 부르며, 3계의 상ㆍ중ㆍ하의 과(果)가 그 가운데 머물기 때문이다. 가령 이 지를 아는 것을 일컬어 법주지를 안다고 한다. 이 지는 4지인데 법지ㆍ비지ㆍ등지ㆍ집지를 말한다.
어떤 사람은 “법주지를 알고자 하는 것을 일컬어 법주지를 안다고 하는데, 저 지가 바로 도지(道智)임을 아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문】만약 그렇다면 “이것은 진법ㆍ멸법ㆍ무욕법(無欲法)이다”라고 설한 것과 어떻게 의미가 통하는가?
【답】무루법(無漏法)은 무욕법이 아니다.
【문】이 문장은 “진법ㆍ멸법이다”라고 해야지 “무욕법이다”라고 설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그와 같이 설하지 않은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답】무루법이라 한 것을 가책하기 위해서이다.
경에서 “소시마(蘇尸摩)여, 먼저 법주지(法住智)가 있고 그 뒤에 열반지(涅槃智)가 있다고 알아야 한다”라고 설하였다.
【문】이 가운데서 어떤 것이 법주지이고 어떤 것이 열반지인가?
【답】생사가 증장하는 것을 아는 지가 법주지이고, 생사의 증장이 멸하는 것을 아는 지가 열반지이다.
또 12연기를 아는 것은 법주지이고 12연기의 멸을 아는 것은 열반지이며, 고(苦)ㆍ집(集)을 아는 지가 법주지이고, 멸(滅)ㆍ도(道)를 아는 지는 열반지이다. 이와 같이 말하면 “먼저 법주지가 있고 그 뒤에 열반지가 있다”라고 한 것과 의미가 잘 통한다.
어떤 사람은 “고지ㆍ집지ㆍ도지는 법주지이고, 멸지는 열반지이다”라고 하였다.
【문】만약 그렇다면, “먼저 법주지가 있고 그 뒤에 열반지가 있다”라고 한 것과 여기에서 설한 것은 어떻게 의미가 통하는가?
【답】열반지도 역시 후에 있는 것이다.
또 모든 변에 있는 지는 법주지이고 근본(根本)에 있는 지는 열반지이다.
어떻게 그것을 아는가?
경에서 다음과 같이 설하였다.
“많은 이학(異學)의 범지들이 한 곳에 함께 모여서 다음과 같이 담론하였으니, 이런 말을 들었다.
‘사문 구담(瞿曇)이 아직 출세하지 않았을 때는 우리가 국왕ㆍ대신ㆍ바라문ㆍ거사에게 존중받고 공양을 받았는데 이제 사문 구담이 출세하여 우리의 명예와 이득을 빼앗으니, 비유하면 마치 해가 뜨니 불의 빛이 없어지는 것과 같구나.
우리는 이제 어떤 방편으로 다시 명예와 이득을 얻을 수 있겠는가?…(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그리고 다시 다음과 같이 생각하였다.
‘사문 구담은 별다른 덕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경론을 잘 알고 얼굴의 모습이 단정할 뿐이다. 우리가 얼굴의 모습은 빌릴 수 없지만 다만 경론을 안다면 곧바로 명예와 이양을 다시 얻을 수 있을 것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그리고 다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지금 우리 가운데서 누가 사문 구담의 법 가운데 출가하여 그 법을 훔쳐서 우리로 하여금 수지독송하게 하는 일을 감당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다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지금 소시마 범지가 뜻과 생각이 견고하여 사문 구담의 법 가운데 출가하여 법을 훔쳐서 우리가 수지독송하게 하는 일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즉시 소시마를 찾아가서 앞에 있었던 일을 모두 말하였다.
이때 소시마는 두 가지 일 때문에 곧바로 허락하였는데, 첫째는 권속을 친애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선근의 인연 때문이었다.
이때 소시마가 왕사성(王舍城)을 나와서 죽림(竹林)을 찾아가니 그때에 많은 비구들이 정사(精舍)의 문가에서 오가며 경행하고 있었다. 소시마가 비구들을 멀리서 보고 즉시 그곳으로 가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비구들이여, 제가 사문 구담의 법 가운데 출가하여 범행을 맑히고자 하는 것을 알아주십시오.’
그때 비구들이 소시마를 데리고 세존을 찾아갔다. 그들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지금 이 소시마 범지가 세존의 법 가운데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비구의 법을 행하고자 합니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들은 소시마를 출가시켜 구족계를 주도록 하라.’
그때 비구들이 즉시 그를 출가시켜 구족계를 주었다. 소시마는 지혜가 총명하고 기억력이 견고하여 오래지 않아서 삼장을 독송하고 그 의미를 조금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자 곧바로 생각하기를, ‘만약 우리의 친척과 권속을 이롭게 하고자 한다면 지금이 바로 그때이다’라고 하고는 죽림정사를 나와서 왕사성으로 가려고 하였다.
하지만 세존께서는 두루 비추어 보는 눈을 갖추시어 법을 수호하신다. 그러니 어느 누구라도 그 법을 훔칠 수 없는 것이다.
이때 오백 비구가 소시마를 찾아 갔다. 어떤 사람은 ‘이 비구들은 부처님께서 화작(化作)하신 것이다’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실제의 비구이다’고 하였다.
이때 비구들이 소시마의 처소에 이르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소시마여, 마땅히 알아야 하니, 우리는 생분(生分)은 이미 다하였고 할 일을 마쳤으며, 청정한 행을 이미 세워서 후유(後有)를 받지 않는다.’
그때 소시마가 곧바로 비구들에게 물었다.
‘당신들은 초선에 의지에서 누를 다했습니까?’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다.’
소시마가 물었다.
‘제2선ㆍ제3선ㆍ제4선을 의지하고 아울러 색계ㆍ무색계를 지나서 적정해탈(寂靜解脫)을 얻어서 누를 다하였습니까?’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다.’
그때 소시마가 다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당신들이 선정을 의지하지 않고 누를 다하였다고 하는데 누가 이를 믿겠습니까?’
그때 비구들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우리는 혜해탈(慧解脫)이다.’
그때 소시마는 혜해탈을 이해하지 못한 채 ‘친속들이 이 의미를 물으면, 나는 알지 못하니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생각하였다.
이런 일 때문에 다시 부처님이 계신 곳으로 돌아가서 앞에 있었던 일을 모두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대답하셨다.
‘소시마야, 먼저 법주지가 있고 그 뒤에 열반지가 있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소시마가 다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지금 저는 어떤 것이 법주지이고, 어떤 것이 열반지인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소시마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알든 알지 못하든 다만 법이 그와 같아서 먼저 법주지가 있고 그 뒤에 열반지가 있는 것이니라. 저 비구들은 먼저 미지선(未至禪)100)을 의지해서 누를 다하고 그 뒤에 근본선(根本禪)101)을 일으키느니라.’
이런 일이 있기 때문에 모든 변에 있는 지(智)는 법주지이고 근본선에 있는 지는 열반지임을 아는 것이다.
【문】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비지(比智)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이 얻는 것인가? 고비지(苦比智)가 눈앞에 드러나는 것이다.
【문】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법지가 눈앞에 드러나 얻기 때문이다.
【문】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이 얻고 나서 잃지 않는 것인가? 이미 욕애(欲愛)를 떠나고 저 욕을 떠난 데서 퇴전하지 않는 것이다.
【문】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을 얻는다고 하는가? 가령 고법지(苦法智)가 눈앞에 드러나는 것이다.
【문】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등지(等智)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을 얻는다고 하는가? 곧 고법지가 눈앞에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문】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이 두 가지 지는 일시에 얻기 때문이다.
【문】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집지ㆍ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집지ㆍ멸지ㆍ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법지가 눈앞에 드러나 얻기 때문이다.
【문】비지(比智)를 성취하는 경우,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을 얻고 나서 잃지 않는다고 하는가? 곧 이미 욕애를 떠나고 저 욕애를 떠난 자리에서 퇴전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문】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어떤 것을 얻는다고 하는가? 고비지(苦比智)가 눈앞에 드러나는 것이다.
【문】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설명한 것과 같다.
【문】비지를 성취하는 경우, 집지ㆍ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문】집지ㆍ멸지ㆍ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비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타심지를 성취하는 경우, 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타심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문】등지를 성취하는 경우, 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등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고지를 성취하는 경우, 집지ㆍ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집지ㆍ멸지ㆍ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고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고지가 눈앞에 드러나 얻기 때문이다.
【문】집지를 성취하는 경우, 멸지ㆍ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집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멸지를 성취하는 경우, 도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얻는 경우에 그러하다.
【문】도지를 성취하는 경우, 멸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正決定)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2심경(心頃)과 견집제일 때의 4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4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3심경과 수다원과(須陀洹果)ㆍ사다함과(斯多含果)ㆍ아나함과(阿那含果)ㆍ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었을 때와 신해탈인이 근을 전환하여 견도인(見到人)이 되었을 때와 시해탈인(時解脫人)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不動)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한 경우이다.
【문】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은 경우에 성취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고 나서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에는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이 경우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果)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根)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린 경우이다.
【문】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어떤 것을 눈앞에 드러난다고 하는가? 가령 비지ㆍ등지ㆍ인(忍)을 일으키지 않았을 때와 무심(無心)이 아닐 때에 비로소 눈앞에 드러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의 법지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에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다가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에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다가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았다면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의 법지도 성취하고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말한 때와 같다.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고 나서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에는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왜냐하면 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미래의 법지를 성취하기 때문이다.
【문】과거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ㆍ현재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미래의 법지는 곧 성취하고, 현재의 법지는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집제일 때의 1심경과 견멸제일 때의 1심경과 견도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다가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다가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이다.
【문】미래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소멸하고 나서 잃지 않는 경우이다. 앞에서 말한 때와 같다.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 경우에는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ㆍ현재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정결정을 얻고 견고제일 때의 1심경과 수다원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되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문】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현재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미래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과거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한다.
미래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ㆍ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얻은 법지가 아직 소멸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 잃어버렸는데 눈앞에 드러나지 않는 경우이다.
만약 법지를 얻는다면 미래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가령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과거가 없다는 것이 분명하고, 눈앞에 드러나지 않는다면 현재가 없다는 것이 분명하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ㆍ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견도(見道) 중에는 없다. 수다원과를 얻었을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나아가 시해탈이 근을 전환하여 부동이 될 때, 법지를 일으켜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먼저 일으켜 소멸하였더라도 과를 얻어서 근을 전환하기 때문에 잃어버렸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가령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는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 경우이다.
만약 법지를 이미 일으켜 소멸하였다면 과거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지 않는다면 현재가 없다는 것이 분명하다.
가령 과거를 성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미래를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과거ㆍ미래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설한 과거ㆍ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그리고 현재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 경우,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고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리는 경우이다.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킨다면 현재의 법지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소멸하지 않거나 소멸해도 곧바로 잃어버린다면 과거의 법지가 없다는 것이 분명하다. 가령 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법지는 반드시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미래ㆍ현재의 법지는 성취하는데 과거의 법지는 성취하지 않는가?
【답】앞에서 미래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그리고 과거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것은, 가령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어버리지 않고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키는 경우이다.
가령 법지를 일으켜 소멸하였지만 잃어버리지 않았다면 과거의 법지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법지를 눈앞에 드러나도록 일으킨다면 현재의 법지가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가령 과거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반드시 미래의 법지를 성취한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3세의 법지를 성취하는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문】가령 과거ㆍ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미래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그렇다.
【문】가령 현재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과거ㆍ미래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미래의 법지는 성취하지만 과거의 법지는 소멸하고 나서 잃어버리거나 아직 소멸하지 않았거나 소멸하더라도 곧바로 잃어버리면 성취하지 않는다.
【문】어떠한 때에 3세의 법지를 성취하는가?
【답】앞에서 3세의 법지를 성취하는 때를 설한 경우와 같다.
【문】가령 과거ㆍ미래의 법지를 성취하는 경우, 현재의 법지도 성취하는가?
【답】가령 눈앞에 드러나는 경우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법지(法智)의 경우 6구를 만드는 것처럼, 비지ㆍ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의 경우에 6구를 만드는 것도 이와 같다.
025_0983_a_05L有四十四智體知老死智體知老死集智體知老死滅智體知老死滅道智體乃至知行亦如是問曰何故作此論答曰此是佛經佛經說佛告比我今當說四十四智體汝等皆應一心善聽佛說是經而不廣分別經是此論所爲根本欲廣分別故作此論問曰若佛經是此論根本者何故世尊說此經耶答曰世尊以如是方便道門得阿耨多羅三藐三菩今欲以是方便道門示諸弟子等不捨是方便道門者不久當得盡譬豪富長者以如是方便積聚財復欲以是方便教諸子孫汝等不應捨離如是方便不久當得無量財彼亦如是云何四十四智體知老死是一智體知老死集是二智體知老死滅是三甫令智體知老死滅道是四智體知因老死有四智體乃至知行亦有四智體十一四則有四十四智體問曰何故不說知無明智體耶答曰應說而不說者當知此說有餘復次若是有支有爲作因者說智體無明雖是有支有不爲作因復次有四法者立智體無明有三法義故不立知老死智是四智謂法智比智苦智等智知老死集智是四智謂法智比智集智等老死滅智是四智謂法智比智滅等智知老死滅道智是四智謂法比智道智等智如知老死有十六乃至知行亦有十六智若分別在身及以剎那則有無量無邊此中以有支以諦以對治故有四十四智體問曰此四十四智體幾在過去幾在未來幾在現在答曰或在過去或在未來或在現在幾緣過去幾緣未來現在答曰三十三緣三世十一緣非世法若如雜揵度所說者三緣過謂知行知行集知識集三緣未來謂知老死知老死集知生十六緣現在謂知生知生集知有知有集知取知取集愛知愛集知受知受集知觸知觸集知六入知六入集知名色知名集知識十一緣三世十一緣非世幾是有漏幾是無漏答曰或盡是有盡是無漏幾緣有漏幾緣無漏曰二十二緣有漏二十二緣無漏是有爲幾是無爲答曰盡是有爲無有智是無爲者幾緣有爲幾緣無答曰三十三緣有爲十一緣無爲此智體不能得正決定不得果不離欲不盡漏是聖人本所得法爲遊戲故爲觀本所作故爲受現法樂故爲受用聖法故起此智現在前七十七智體問曰何故作此論答曰此是佛經佛經說我今當說七十七智體謂知生是老死緣智體非不緣生有老死智體乃至廣說佛何故說此經者如先說何七十七智體答曰知生是老死緣是一智體非不緣生有老死是二智體過去生曾爲老死緣是三智體非不曾緣過去生有老死是四智體戒已未來生當爲老死緣是五智體非不當緣未來生有老死是六智體及知住智此法是無常是有爲從因緣生是盡法是滅法是無欲法知如是者是第七智體如知老死有七智乃至知行亦有七智體十一七智體則有七十七智體問曰此中何故不說知無明緣智體耶答曰應說而說者當知此說有餘復次若是有有爲作因者說智體無明雖是有支有不爲作因知生是老死緣是四智體謂法智比智等智集智非不緣生有老死智體何故復作此說耶答曰論有二種一定自言二定他言定自言者如佛弟子以佛法義定於自如外道弟子以外道義亦定自言如育多婆提以育多婆提義定於自如毘婆闍婆提以毘婆闍婆提義定於自言定他言者如佛弟子定外道弟子言外道弟子定佛弟子言如育多婆提定毘婆闍婆提言如毘婆闍婆提定育多婆提言或謂此但爲論議故作如是說非是實法欲令此義決定有如是實事故作是說非不緣生有此老死此智是四智謂法智等智集智通前有八智知過去生曾爲老死緣智體是四智謂法智等智知集智通前有十二智體非不曾緣過去生有老死智體是四如先說通前有十六智體知未來生當爲老死緣智體是四智如先說通前有二十智體知非不當緣未來生有老死智體是四智如先說通前有二十四智體知法住智乃至廣說通前有二十五智體如知老死緣有二十五智體乃至知行緣有二十五智體若分別在身及剎那者則有無量無邊智體此中以有支以世以諦以對治故立七十七智體問曰何故不說知現在智體耶答曰或有說者生是老死緣非不緣生有老死是說知現在智體過去者知過去未來者知未來復有說者知生是老死緣非不緣生有老死是說知三世過去卽知過去未來卽知未來問曰此智幾在過去幾在未來現在答曰或盡在過去或盡在未來或盡在現在幾緣過去幾緣未來幾緣現答曰若如所說生是老死緣非不緣生有老死是說知現在智體者十二緣過去二十二緣未來二十二緣現在十一緣三世若作是說生是老死緣非不緣生有老死是說知三世智體者二十二緣過去二十二緣未來三十三緣三世幾是有漏幾是無漏答曰或盡是有漏或盡是無漏幾緣有漏幾緣無漏答曰盡緣有漏幾是有爲幾是無爲答曰盡是有爲無有智體是無爲者幾緣有爲幾緣無爲答曰盡緣有爲此智體不能得正決定乃至廣說及法住智乃至廣說法住智者是知因智所以者何住名爲因三界上中下果在彼中住故若知此智名知法住智此智是四智謂法智比智等智集智復有說者若欲知法住智是名知法住智知彼智是道智問曰若然此說云何通如說此是盡法滅法無欲法無漏法非是無欲法答曰利扌文應如是說此是盡法滅法不應無欲法而不說者有何意耶答曰欲呵責無漏法故經說蘇尸摩當知先有法住智後有涅槃智問曰此中何者是法住智何者是涅槃智耶答曰知生死增長智是法住智知生死增長滅智是涅槃智復次知十二緣起是法住智知十二緣起滅是涅槃智知苦集智是法住智知滅道智是涅智若作是說則爲善通法住智後有涅槃智復有說者苦集道智法住智滅智是涅槃智問曰若然者先有法住智後有涅槃智此說云何通答曰涅槃智亦有在後者復次諸邊中智是法住智根本中智是槃智何以知之經說有衆多異學梵志共集一處作如是談論聞有此門瞿曇未出世時我等爲國王大臣婆羅門居士而見尊重供養今沙瞿曇出世奪我名稱利養猶如出令火無光我等今當作何方便得名譽利養乃至廣說復作是念沙門瞿曇更無異德但善知經論顏貌利扌端正我等不假顏貌但知經論者便還得名譽利養乃至廣說復作是言今此衆中誰能堪任於沙門瞿曇中出家而竊於法令我等受持讀復作是言今蘇尸摩梵志志念堅固堪任於沙門瞿曇法中出家竊法我等受持讀誦卽皆往詣蘇尸摩所具陳上事而以告之爾時蘇尸摩二事故而便可之一以親愛眷屬故二以善根因緣爾時蘇尸摩出王舍城詣於竹林時有衆多比丘在精舍門邊往反經行爾時蘇尸摩遙諸比丘卽往其所而作是言諸比丘當我欲於沙門瞿曇法中淨修行時諸比丘卽將蘇尸摩詣世所而白佛言今此蘇尸摩梵志者欲世尊法中出家受具足戒行比丘法佛告諸比丘汝等可爲蘇尸摩出家授具足時諸比丘卽爲出家授具足時蘇尸摩聰明智慧念力堅固未久之閒讀誦三藏少解其義便是念若欲利我親屬者今正是時從竹林出欲詣王舍城世尊有遍照眼守護於法誰能竊者爾時有五百比丘詣蘇尸摩所或有說者是諸佛所化作或有說者是實比丘時諸比丘到蘇尸摩所皆作是言蘇尸摩當知我等生分盡所作已辦梵行已立不受後有時蘇尸摩便問諸比丘言汝等依於初禪得盡漏耶答不也依第二第三第四禪及過色色寂靜解脫得盡漏耶答言不也時蘇尸摩復作是言汝旣不依禪定而得盡漏誰當信耶諸比丘皆作是言我等是慧解脫時蘇尸摩不識解脫若我親屬問是義者我則知以是事故還詣佛所具以上事向佛說之佛作是答蘇尸摩當知先有住智後有涅槃智蘇尸摩復白佛言世尊我今不知何者法住智何者是涅槃智佛告蘇尸摩汝知與不知法應如是先有法住智後有涅智彼諸比丘先依未至禪盡漏後起根本禪以是事故知諸邊中智是法住智根本中智是涅槃智若成就法智亦成就比智耶答曰若得云何爲得若苦比智現在前設就比智亦成就法智耶答曰如是所者何以法智在前得故若成就法智亦成就他心智耶答曰若得不失云何若得不失已離欲愛於彼離欲不退設成就他心智亦成就法智耶曰若得云何爲得若苦法智現在前若成就法智亦成就等智耶答是設成就等智亦成就法智耶答曰若得云何爲得若苦法智現在成就法智亦成就苦智耶答曰如是設成就苦智亦成就法智耶答如是所以者何此二一時得故若成就法智亦成集滅道智耶答曰得設成就集滅道智亦成就法智答曰如是所以者何法智在前若成就比智亦成就他心智耶答若得不失云何若得不失已離愛於彼離欲不退設成就他心智成就比智耶答曰若得云何爲得若苦比智現在前若成就比智亦成就等智耶答曰如是設成就等智亦成就比智耶答曰若得如先說若成就志淵比智亦成就苦智耶答曰如是設就苦智亦成就比智耶答曰得如說若成就比智亦成就集滅答曰若得如先說設成就集滅道智亦成就比智耶答曰如是若成他心智亦成就等智耶答曰如是成就等智亦成就他心智耶答曰若得不先說若成就他心智亦成滅道智耶答曰若得設成就苦集滅道智亦成就他心智耶答曰若得如先說若成就等智亦成滅道智耶答曰若得設成集滅道智亦成就等智答曰如是若成就苦智亦成集滅道智耶答曰若得設成就集滅道智亦成就苦智耶答曰如是所以者何苦智在得故若成就集智亦成就滅道智耶答曰若得設成就滅道智亦成就集智耶答曰如是若成就滅智亦就道智耶答曰若得設成就道智亦成就滅智耶答曰如是成就過去法智亦成就未來耶答曰如是何等時成就過去未來法智志淵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二心頃見集諦時四心頃見滅諦時四心頃見道諦時三心頃得須陁洹果斯陁果阿那含果阿羅漢果信解脫根作見到時解脫轉根作不動時已起滅法智設成就未來法智亦成過去耶答曰若滅已不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未來法智不成就過去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果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若就過去法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云何爲現在前若不起比智智忍若非無心時乃現在前何等時成就過去現在法智耶答曰得正決定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頃見道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起滅法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現在前設就現在法智亦成就過去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何等時成就現在法智亦成就過去耶答曰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現在法智非過去耶答曰得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時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法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起法智現在前若成就未來法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等時成就未來現在法智耶答曰正決定見苦諦時一心頃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頃見道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時起法智現在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起法智現在前設成就現在法智亦成就未來耶答曰如是所以者何若成就現在法智必成就未來若成就過去法亦成就未來現在耶答曰未來則成就現在若現在前何等時成就三世法智耶答曰得正決定見集諦時一心頃見滅諦時一心頃見道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已起滅法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已起滅法智現在前設成就未來現在法亦成就過去耶答曰若滅已不失則成就如先說時若不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未來現在法不成就過去耶答曰得正決定苦諦時一心頃得須陁洹果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起法智現在前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法智現在前若成就未來法智亦成就過去現在耶答曰或成就未來法非過去現在及過去非現在及現在非過去及過去現在成就未來法非過去現在者若得法智未滅滅便失則不現在前若得法智是則明有未來若未滅設滅便失則明無過去不現在前則明無現在何等時成就未來法智不成就過去現在耶見道中無得須陁洹果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故失不起法智現在乃至時解脫轉根作不動未起滅法智先起滅者得果轉根故失不起法智現在前及過去非現在者若已起滅法智不起法智現在前若已起滅法智則明有過去不起法智現在前則明無現在若成就過去必成就未來何等時成就過去未來法智不成就現在耶答曰如先說成就過去未來法智時及現在非過去者起法智現在前若未滅設滅便失起法智現在前則明有現在若未滅設滅便則明無過去若成就現在必成就未來何等時成就未來現在法智過去耶答曰如先說成就未來現在法智時及過去現在者若以起滅法智不失起法智現在前若以起滅法智不失則明有過去起法智現在前則明有現在若成就過去現在必成就未來何等時成就三世法智耶如先說成就三世法智時設成就過去現在法智亦成就未來耶答曰如是若成就現在法智亦成就過去未來耶答曰未來則成就過去若滅已不失若未滅設滅便失則不成就何等時成就三世法智耶答曰如先成就三世法智時設成就過去未法智亦成就現在耶答曰若現在前如先說如法智作六句比智苦智集智滅智道智作六句亦如是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九
甲辰歲高麗國分司大藏都監奉勅彫造
  1. 98)다른 판본이나 『대비바사론』 제10권에 의하면 ‘지생(知生)’은 포함되지 않는다.
  2. 99) 범어로는 dharma-sthiti-jñāna.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해 일으키는 범부의 지혜를 말한다.
  3. 100)범어로는 anāgamya-samādhi. ‘불완전하게 얻은 삼매’라는 뜻으로, 특히 초선을 얻기 위한 준비정을 가리킨다. 다른 선정의 준비정인 경우는 근분정(近分定)이라고 한다.
  4. 101)범어로는 muula-dhyaana. 하지의 수혹(修惑)을 끊어서 얻게 된 상지의 선정을 말한다. 근본정(根本定)ㆍ근본정려(根本精慮)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