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八

ABC_IT_K0951_T_058
025_0976_c_01L
아비담비바사론 제58권
025_0976_c_01L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八
025_0976_c_02L

가전연자 지음
오백나한 풀이
부타발마ㆍ 도태 등 한역
박진효 번역
025_0976_c_02L迦旃延子造 五百羅漢釋
北涼天竺沙門浮陁跋摩共道泰等譯


4) 상응품 ②
025_0976_c_04L智揵度相應品第四之二
025_0977_a_02L가령 법이 타심지(他心智)와 상응한다면 등지(等智)와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句)를 만든다.
타심지와는 상응하지만 등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등지에 포섭되지 않는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루타심지(無漏他心智)와 상응하는 법이다.
등지와는 상응하지만 타심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는 등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타심지에 포섭되지 않는 염오(染汚)ㆍ불은몰무기(不隱沒無記)의 등지(等智)와 상응하는 법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고 등지와도 상응하는 경우는 타심지에 포섭되는 등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9대지(大地)ㆍ10선대지(善大地)와 심각관수지(心覺觀隨地)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등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이것은 등지와 타심지이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타심지ㆍ등지에 포섭되지 않고 상응하지 않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지(苦智)ㆍ고인(苦忍)과 함께하는 취와 집지(集智)ㆍ집인(集忍)과 함께하는 취와 멸지(滅智)ㆍ멸인(滅忍)과 함께하는 취와 도인(道忍)과 함께하는 취 및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는 도지(道智)와 상응하는 법이다.
이미 설한 일체의 유루심(有漏心)은 남은 것이 없다. 나머지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법은 제4구를 만든다.
앞에서 설명한 타심지와 등지의 경우와 같이 타심지와 도지ㆍ택법각지(擇法覺支)ㆍ정견(正見)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문】가령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 고지ㆍ집지ㆍ멸지와 상응하지 않고 공삼매(空三昧)ㆍ무상삼매(無相三昧)와 상응하지 않는데 무원삼매(無願三昧)와 상응하는 경우가 있는가?
【답】어떤 경우에는 타심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타심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무원삼매는 타심지와 상응하는데, 타심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는 타심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유루타심지(有漏他心智)와 상응하는 법이다.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타심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타심지는 무원삼매와 상응하는데, 무원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 타심지의 체는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타심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으면서 무원삼매와는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무원(苦無願)과 집무원(集無願)은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고, 도무원(道無願)과 상응하는 법은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는 경우, 타심지와 상응하는 무원삼매를 제외하고, 무원삼매와 상응하는 타심지를 제외하고, 타심지ㆍ무원과 함께 하는 취 가운데서 각각의 자체를 제외하고서 나머지 심ㆍ심수법으로서 타심지ㆍ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ㆍ심각관수지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苦忍)ㆍ고지(苦智)ㆍ집인(集忍)ㆍ집지(集智)ㆍ도인(道忍)과 타심지에 포섭되는 도지(道智)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는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무원과 상응하지 않는 타심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유루타심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타심지의 체는 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타심지와도 상응하지 않으니,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공ㆍ무상과 함께하는 취는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머지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타심지와 무원의 경우와 같이 타심지와 6각지(覺支)와 4도지(道支)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지만 지근(知根)과 상응하는 경우도 있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타심지와는 상응하지만 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이근(知已根)과 함께하는 취와 유루타심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지근과는 상응하지만 타심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지근에 포섭되는 타심지와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지ㆍ집지ㆍ멸지와 함께하는 취와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는 도지와 함께하는 취에서 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고 지근과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지근에 포섭되는 타심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근 및 그것과 상응하는 근이 아닌 심ㆍ심수법이다.
타심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지근과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타심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이근과 함께하는 취와 유루 중에서 타심지의 체는 지근과 상응하지 않으니,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타심지와 상응하지 않으니,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타심지와 지근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인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으며, 지이근과 함께하는 취인 타심지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타심지와 지근의 경우와 같이 타심지와 지이근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등지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고지ㆍ집지ㆍ멸지ㆍ도지ㆍ3삼매ㆍ각지ㆍ도지와 상응하지 않고, 가령 고지와 상응하고, 집지ㆍ멸지ㆍ도지ㆍ무상과 상응하지 않고, 공삼매와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고지와 상응하지만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공삼매는 고지와 상응하는데 고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의 체는 고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고지와 상응하는 나머지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원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고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고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고지는 공삼매와 상응하는데, 공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고지의 체는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고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고지와 상응하지 않는 공삼매와 상응하는 나머지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인(忍)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고지와도 상응하고 공삼매와도 상응하는 경우, 공삼매와 상응하는 고지와 그리고 함께하는 취 중에서 각각의 자체를 제외한 고지ㆍ공삼매와 상응하는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고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고지와 상응하지 않는 공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苦忍)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의 체는 고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으니,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고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원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고지의 체는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고지와도 상응하지 않으니,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과 함께하는 취와 무상과 함께하는 취인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고지와 공삼매의 경우와 같이 고지와 무원삼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법지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집지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멸지ㆍ도지ㆍ공삼매ㆍ무상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데, 또한 무원삼매와 상응하기도 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집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무원삼매는 집지와 상응하는데, 집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體)는 집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집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집지는 무원삼매와 상응하는데 무원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집지의 체는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집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세 가지 일이 있기 때문이다.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집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ㆍ고지와 함께하는 취와 집인ㆍ도인ㆍ도지(道智)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집지와도 상응하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는 경우, 집지와 상응하는 무원은 제외한다. 많기 때문에 제외하는 것이다. 그리고 집지ㆍ무원과 상응하는 나머지 모든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집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집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ㆍ고지ㆍ집인ㆍ도인ㆍ도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는 집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나머지는 공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일체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법지에서 설한 것과 같다.
가령 멸지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도지ㆍ공삼매ㆍ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데 무상삼매와 상응하기도 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멸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상삼매와는 상응하지 않은 경우, 무상삼매는 멸지와 상응하는데, 멸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상삼매의 체는 멸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상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세 가지 일이 있기 때문이다.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무상삼매와는 상응하지만 멸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멸지는 무상삼매와 상응하는데, 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멸지의 체는 무상삼매와는 상응하지만 멸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멸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상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멸인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상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멸지와도 상응하고 무상삼매와도 상응하는 경우, 멸지와 상응하는 무상삼매는 제외한다. 많기 때문에 제외한다. 그리고 멸지ㆍ무상삼매와 상응하는 나머지 모든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멸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무상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멸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상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멸인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상삼매의 체는 멸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 무상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멸지ㆍ무상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무루법 중에서 공삼매ㆍ무원삼매와 함께하는 취와 나머지 일체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법지에서 설한 것과 같다.
도지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에 공삼매ㆍ무상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데, 무원삼매와 상응하기도 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도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무원삼매는 도지와 상응하는데, 도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는 도지와는 상응하지만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도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도지는 무원삼매와 상응하는데, 무원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도지의 체는 무원삼매와는 상응하지만 도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도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ㆍ고지ㆍ집인ㆍ집지ㆍ도인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도지와도 상응하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는 경우, 도지와 상응하는 무원삼매는 제외한다. 많기 때문에 제외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지ㆍ무원삼매와 상응하는 나머지 모든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도지와도 상응하지 않고 무원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도지와 상응하지 않는 무원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고인ㆍ고지ㆍ집인ㆍ집지ㆍ도인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무원삼매의 체는 도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무원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도지ㆍ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무루법(無漏法) 가운데 공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와 나머지 일체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나머지 자세한 것은 법지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가령 공삼매와 상응하는 경우, 무상삼매ㆍ무원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데 미지욕지근과 상응하기도 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고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 중에서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은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는 공삼매와 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의 체는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나머지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에서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고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면서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근과 근이 아닌 나머지 심수법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고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공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에서 공삼매의 체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ㆍ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으면서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공삼매와 미지욕지근의 경우와 같이 공삼매와 지근ㆍ지이근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염각지(念覺支)와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공삼매와 상응하지만 염각지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염각지는 공삼매와 상응하는데, 공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의 체는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염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염각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공삼매는 염각지와 상응하는데, 염각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 공삼매의 체는 염각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염각지와 상응하는 나머지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고 염각지와도 상응하는 경우, 공삼매와 상응하는 염각지는 제외한다. 많기 때문에 제외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삼매ㆍ염각지와 상응하는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고 염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염각지와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의 체는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염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여기에 무루심은 남은 것이 없고, 나머지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공삼매와 염각지의 경우와 같이 공삼매와 택법각지(擇法覺支)ㆍ정진각지(精進覺支)ㆍ의각지(猗覺支)ㆍ사각지(捨覺支)ㆍ정견(正見)ㆍ정방편(正方便)ㆍ정념(正念)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의 경우, 희각지(喜覺支)와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희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희각지는 공삼매와 상응하는데, 공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희각지의 체는 공삼매와는 상응하지만 희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희각지와 상응하지 않는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선(未至禪)ㆍ중간선(中間禪)ㆍ제3선ㆍ제4선ㆍ3무색정(無色定) 중에서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은 희각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공삼매는 희각지와 상응하는데, 희각지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의 체는 희각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희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희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고 희각지와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희각지와 상응하는 공삼매를 제외하고 공삼매와 상응하는 희각지를 제외한 나머지 공삼매ㆍ희각지와 상응하는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대지ㆍ10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공삼매와도 상응하지 않고 희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 희각지와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희각지의 체는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희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희각지와 상응하지 않는 공삼매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선ㆍ중간선ㆍ제3선ㆍ제4선ㆍ3무색정과 함께 하는 취 가운데서 공삼매의 체는 공삼매와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희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저 지위 가운데는 기쁨[喜]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머지 모든 심ㆍ심수법이다. 나머지는 미지선ㆍ중간선ㆍ제3선ㆍ제4선ㆍ3무색정 중에서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온갖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공삼매와 희각지의 경우와 같이 공삼매와 정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문】가령 공삼매와 상응하는 법은 정각지(定覺支)와도 상응하는가?
【답】가령 공삼매와 상응하는 경우는 정각지와도 상응한다.
【문】정각지와는 상응하지만 공삼매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가?
【답】있다. 공삼매에 포섭되지 않는 정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함께하는 취 중에서 정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가령 공삼매와 정각지의 경우와 같이 공삼매와 정정(正定)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공삼매와 같이 무원삼매ㆍ무상삼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한다.
다른 것은 무원삼매ㆍ무상삼매와 희각지의 경우이다. 정견(正見)과 정각(正覺)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의 경우, 지근(知根)ㆍ지이근(知已根)과는 상응하지 않는데 염각지와는 상응하기도 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염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염각지와 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의 체는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염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염각지와는 상응하지만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염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와 상응하는 법은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고 염각지와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는 염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근 및 그것과 상응하는 근이 아닌 심수법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지 않고 염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는 염각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염각지의 체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염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여기에 무루심(無漏心)은 없다. 나머지 온갖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염각지의 경우와 같이 미지욕지근과 택법각지ㆍ정진각지ㆍ정각지ㆍ정견ㆍ정방편ㆍ정념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의 경우 희각지와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희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는 희각지와 미지욕지근과 그리고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희각지는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희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희각지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선ㆍ중간선ㆍ제3선ㆍ제4선 중에서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은 희각지와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저 지위에는 기쁨[喜]이 없기 때문이다.
희각지와는 상응하지만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는 희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 가운데서 희각지와 상응하는 법은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고 희각지와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는 희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근 및 그것과 상응하는 근이 아닌 심수법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지 않고 희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에 포섭되지 않고 이와 상응하지 않는 희각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희각지의 체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희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미지욕지근ㆍ희각지에 포섭되지 않고 이에 상응하지 않는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미지선ㆍ중간선ㆍ제3선ㆍ제4선ㆍ3무색정 중에서 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온갖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은 의각지와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의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의각지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데, 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의각지의 체는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의각지와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의각지와는 상응하지만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 의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의각지와 상응하는 법이다. 이것은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고 의각지와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의각지ㆍ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10대지ㆍ9선대지와 심각관수지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지 않고 의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 의각지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의각지의 체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의각지와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여기에 더 이상의 무루심은 없다. 나머지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의각지의 경우와 같이 미지욕지근과 사각지(捨覺支)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령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의 경우 정각(正覺)과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정각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정각은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데 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정각의 체는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만 정각과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정각과 상응하지 않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중간선ㆍ제3선 중에서 미지욕지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정각과는 상응하지만 미지욕지근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 정각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정각과 상응하는 법은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고 정각과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ㆍ정각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10대지ㆍ10선대지 및 심관(心觀)이다.
미지욕지근과도 상응하지 않고 정각과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 정각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정각의 체는 미지욕지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각과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나머지는 중간선ㆍ3선ㆍ3무색정 중에서 지근ㆍ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 있는 온갖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가령 미지욕지근의 경우와 같이 지근ㆍ지이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경우를 보자면, 가령 지이근과 상응하는 법은 또한 정견(正見)과도 상응하는가? 나아가 자세하게 4구를 만든다.
지이근과는 상응하지만 정견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지이근에 포섭되는 정견과 지이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 있는 정견의 체는 지이근과는 상응하지만 정견과는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정견과 상응하지 않는 지이근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진지(盡智)ㆍ무생지(無生智)와 함께하는 취 중에서 지이근과 상응하는 것은 정견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정견과는 상응하지만 지이근(知已根)과는 상응하지 않는 경우는 곧 지이근에 포섭되지 않는 정견과 상응하는 법이다. 미지욕지근ㆍ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서 정견과 상응하는 법은 지이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지이근과도 상응하고 정견과도 상응하는 경우는 곧 지이근ㆍ정견과 상응하는 법이다.
【문】그것은 어떤 것인가?
【답】8근 및 그것과 상응하는 근이 아닌 심ㆍ심수법이다.
지이근과도 상응하지 않고 정견과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지이근에 포섭되지 않는 정견과 미지욕지근과 함께하는 취 가운데 있는 정견의 체는 지이근과 상응하지 않는다. 타취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견과도 상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체는 자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나머지 심ㆍ심수법이다. 무루법은 남은 것이 없고, 나머지 유루의 심ㆍ심수법이다.
색ㆍ무위ㆍ심불상응행법 등 이와 같은 법은 제4구를 만든다.
나머지 상응의 경우는 앞의 품(品)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다.
025_0976_c_05L若法與他心智相應亦與等智相應乃至廣作四句與他心智相應與等智相應者等智所不攝他心智相應法彼是何耶答曰無漏他心智相應法與等智相應不與他心智者他心智所不攝等智相應法彼是何答曰他心智所不攝若染污不隱沒無記等智相應法與他心智相應亦與等智者他心智所攝等智相應彼是何耶答曰九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不與他心智相應不與等智者是等智他心智所以者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他心智等智所不攝不相應法彼是何耶苦智苦忍俱聚集智集忍俱聚滅忍俱聚道忍俱聚及他心智所不攝道智相應法已說一切有漏心無餘餘有色無爲心不相應行作第四句如上他心智於等智他心智於道智擇法覺支正見亦如是若法與他心智相應不與苦滅智不與空無相相應與無願相應耶或與他心智相應不與無願相應乃至廣作四句與他心智相應不與無願者無願應於他心智他心智俱聚中無願體與他心智相應不與無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無願不相應他心智相應法彼是何耶答曰有漏他心智相應法與無願相應非他心智者他心智相應於無願無願俱聚中他心智體與無願相應不與他心智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他心智不相應無願相應法彼是何耶答曰集無願不與他心智相應道無願相應法與他心智相應以是他聚故與他心智相應亦與無願者除無願應於他心智除他心智應於無願他心智無願俱聚中各除自體諸餘心心數法與他心智無願相應彼是何耶答曰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玄祚與他心智相應亦不與無願者他心智不相應無願彼是何耶答曰苦忍苦智集忍集智道忍及他心智不攝智俱聚中無願體不與他心智相應以他聚故不與無願相應自體不應自體如先說無願不相應他心智彼是何耶有漏他心智俱聚中他心智體不與無願相應以他聚故不與他心智相應自體不應自體如及餘心心數法彼是何耶答曰空無相俱聚不與他心智相應餘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他心智於無願他心智於六覺支四道支亦如是若法與他心智相應不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知根相應耶乃至廣作句與他心智相應不與知根相應者知根所不攝他心智相應法彼是何耶答曰知已根俱聚中及有漏他心智俱聚中與他心智相應法與知根相應不與他心智者知根所攝他心智及他心智不攝應知根相應法彼是何耶答曰苦集滅智俱聚及他心智所不攝道智俱聚與知根相應法與他心智相應亦與知根相應者知根所攝他心智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根及彼相應非根心數法不與他心智相應亦不與知根知根所不攝他心智彼是何耶知已根俱聚有漏中他心智體不與知根相應以他聚故不與他心智相應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他心智知根所不攝不相應諸餘心心數彼是何耶答曰未知欲知根俱聚他心智不攝不相應知已根俱聚心智不攝不相應有漏心心數法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如他心智於知根他心智於知已亦如是知若法與等智相應不與道智三三昧覺支道支相應若與苦智相應不與集道智無相相應亦與空三昧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苦智相應不與空三昧者空三昧應於苦智苦智俱聚中空三昧體與苦智相應不與空三昧相應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空三昧不相應苦智相應法彼是何答曰無願俱聚中苦智相應法空三昧相應不與苦智者苦智應於空三昧空三昧俱聚中苦智體與空三昧相應不與苦智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苦智不相應空三昧相應法彼是何耶忍俱聚中與空三昧相應法與苦智相應亦與空三昧者除苦智應於空三昧俱聚中各除自體諸餘苦智空三昧相應心心數法彼是何耶答曰八大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不與苦智相應亦不與空三昧者苦智不相應空三昧彼是何耶苦忍俱聚中三昧體不與苦智相應以他聚故與空三昧相應自體不應自體如先空三昧不相應苦智彼是何耶無願俱聚中苦智體不與空三昧相應是他聚故不與苦智相應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心數法是何耶苦智不相應無願俱聚無相俱聚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苦智於空三昧苦智於無願三昧亦如是廣說如法智若法與集智相應不與滅智道智三昧無相三昧亦與無願相應耶至廣作四句與集智相應不與無願三昧者無願應於集智集智俱聚中無願三昧體與集智相應不與無願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與無願三昧相應不與集智者智應於無願無願俱聚中集智體與無願相應不與集智相應所以者何以三事故自體不應自體如先說集智不相應無願相應法彼是何耶答曰苦忍智俱聚中集忍道忍道智俱聚中無願相應法與集智相應與無願者除集智相應無願以多故除諸餘集智無願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不與集智相應亦不與無願三昧集智不相應無願彼是何耶苦忍苦智集忍道忍道智俱聚中無願體不與集智相應以他聚故不與無願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心數法餘者是空三昧相三昧俱聚一切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餘廣說如法智若法與滅智相應不與道智空三昧願三昧相應亦與無相三昧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滅智相應不與相三昧相應者無相三昧應於滅智滅智俱聚中無相三昧體與滅智相應不與無相三昧相應所以者以三事故自體不應自體如先說與無相三昧相應不與滅智者滅智應於無相三昧無相三昧俱聚中滅智體與無相三昧相應不與滅智相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滅智不相應無相三昧相應法彼是何耶滅忍俱聚中無相三昧相應法與滅智相應亦與無相三昧者除無相三昧應於滅智以多故除諸餘滅智無相三昧相應法彼是何耶答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與滅智相應亦不與無相三昧者滅智不相應無相三昧彼是何耶滅忍俱聚中無相三昧體不與滅智相應以他聚故不與無相三昧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諸餘滅智無相三昧不相應心心數法無漏法中餘有空三昧無願三昧俱聚切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如是等法作第四句餘廣說如法智若法與道智相應不與空三昧無相三昧相應亦與無願三昧相應耶至廣作四句與道智相應不與無願三昧者無願三昧應於道智道智俱聚中無願三昧體與道智相應不與無願三昧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與無願三昧相應不與道智道智應於無願無願俱聚中道智體與無願三昧相應不與道智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道智不相應無願相應法彼是何耶答曰苦忍苦智集忍集智道忍俱聚中無願三昧相應法與道智相應及與無願三昧者除道智相應無願以多除諸餘道智無願三昧相應法是何耶答曰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不與道智相應亦不與願三昧者道智不相應無願三昧何耶答曰苦忍苦智集忍集智道俱聚中無願三昧體不與道智相應以他聚故亦不與無願三昧相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道智無願三昧不相應心心數法無漏法中餘有空無相俱聚一切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餘廣說如法智若法與空三昧相應不與無相無願三昧相應亦與未知欲知根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空三昧相應不與未知欲知根相應者未知欲知根攝與空三昧相應法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中與空三昧相應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未知欲知根相應不與空三昧者未知欲知根所攝空三昧未知欲知根聚中空三昧體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空三昧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空三昧所不攝不相應未知欲知根相應法彼是何耶答曰無願無相三昧俱聚中未知欲知根相應法與空三昧相應亦與未知欲知根者未知欲知根所攝與空三昧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根及餘非根心數法不與空三昧相應亦不與未知欲知根相應者知欲知根所不攝空三昧彼是何耶知根知已根俱聚中空三昧體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不與空三昧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空三昧未知欲知根所不攝不相應諸餘心心數法彼是何耶答曰未知欲知根不攝不相應與無願無相三昧相應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空三昧於未知欲知根空三昧於知根知已亦如是若法與空三昧相應亦與念覺支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空三昧相應不與念覺支者念覺支應於空三昧空三昧俱聚中念覺支體與空三昧相應不與念覺支相應所以者何體不應自體如先說與念覺支相應不與空三昧者空三昧應於念覺支念覺支俱聚中空三昧體與念覺支相應不與空三昧相應所以者何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空三昧不相應念覺支相應法彼是何耶無願無相三昧俱聚中念覺支相應法空三昧相應亦與念覺支者除空三昧相應念覺支以多故除諸餘空三昧念覺支相應心心數法彼是何耶答曰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不與空三昧相應亦不與念覺支空三昧不相應念覺支無願無相三昧俱聚中念覺支體不與空三昧相應以他聚故不與念覺支相應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諸餘心數法無漏心無餘餘有漏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空三昧於念覺支空三昧於擇法覺支精進覺支猗覺支覺支正見正方便正念亦如是若法與空三昧相應亦與喜覺支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空三昧不與喜覺支者喜覺支應於空三昧空三昧俱聚中喜覺支體與空三昧相應不與喜覺支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喜覺支不相應三昧相應法彼是何耶未至禪中閒第三第四禪三無色定中空三昧相應法與喜覺支相應非空三昧者空三昧應於喜覺支喜覺支俱聚中空三昧體與喜覺支相應不與空三昧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先說及空三昧不相應喜覺支相應彼是何耶無願無相三昧俱聚中喜覺支相應法與空三昧相應亦與喜覺支者除喜覺支相應空三昧空三昧相應喜覺支餘與空三昧喜覺支相應心心數法彼是何耶答曰八大地十善大地及心覺觀隨地與空三昧相應亦不與喜覺支者三昧不相應喜覺支無願無相三昧俱聚中喜覺支體不與空三昧相應以他聚故不與喜覺支相應所以者自體不應自體如先說喜覺支不相應空三昧彼是何耶未至中閒禪第三第四禪三無色定俱聚中空三久仁昧體不與空三昧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亦不與喜覺支應所以者何彼地中無喜故諸餘心數法餘者未至中閒第三第四三無色定中無願無相三昧俱聚中一切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空三昧於喜覺支空三昧於正覺亦如是若法與空三昧相應亦與定覺支相應耶答曰若與空三昧相應亦與定覺支相應頗與定支相應不與空三昧相應耶答曰有空三昧所不攝定覺支相應法彼是何耶無願無相俱聚中定覺支相應法如空三昧於定覺支空三昧於正定亦如是如空三昧無願無相三昧說亦如是異者無願無相三昧於喜覺支於正見正覺亦如是若法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知知已根相應亦與念覺支相應耶至廣作四句與未知欲知根相應不念覺支者未知欲知根所攝念覺支未知欲知根聚中念覺支體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念覺支相應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與念覺支相應不與未知欲知根者未知欲知根所不攝念覺支相應法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俱聚中念覺支相應法不與未知欲知根相應他聚故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念覺支者未知欲知根所攝念覺支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根及彼相應非根心數法不與未知欲知根相應亦不與念覺支者未知欲知根所不攝念覺支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俱聚中念覺支體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不與念覺支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心數法更無無漏心餘一切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未知欲知根於念覺支未知欲知根於擇法覺支精進覺支定覺支正見正方便正念正定亦如是若法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喜覺支耶乃至廣作四句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喜覺支者未知欲知根所攝喜覺支未知欲知根俱聚中喜覺支體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喜覺支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先說及喜覺支不攝不相應未知欲知根相應法彼是何耶答曰未至第三第四禪中未知欲知根相應不與喜覺支相應所以者何彼地無喜故與喜覺支相應不與未知欲知根者未知欲知根不攝喜覺支相應法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中喜覺支相應法不與未知欲知根相以他聚故與未知欲知根相應與喜覺支者未知欲知根所攝喜覺支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根及彼相應非根心數法不與未知欲知根相應亦不與喜覺支者未知欲知根不攝不相應喜覺支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俱聚中喜覺支體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亦不與喜覺支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如先說及餘未知欲知根喜覺支不攝不相應心心數法彼是何耶未至中閒第三第四禪三無色中知根知已根俱聚中一切有漏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若法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猗覺支相應耶乃至廣作四句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猗覺支者猗覺支應於未知欲知根未知欲知根俱聚中猗覺支體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猗覺支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如先說與猗覺支相應不與未知欲知根者未知欲知根不相應猗覺支相應法彼是何耶答曰知根知已根俱聚中猗覺支相應法不與未知欲知根相應是他聚故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猗覺支者猗覺支未知欲知根相應法彼是何耶答曰十大九善大地及心覺觀隨地不與未知欲知根相應亦不與猗覺支者未知欲知根不相應猗覺支彼是何耶知根知已根俱聚中猗覺支體不與未知欲知根相應他聚故亦不與猗覺支相應所以者昌老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心數法更無無漏心餘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如未知欲知根於猗覺支未知欲知根於捨覺支亦如是若法與知欲知根相應亦與正覺相應耶至廣作四句與未知欲知根相應不與正覺者正覺應於未知欲知根聚中正覺體與未知欲知根相應不正覺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正覺不相應未知欲知根相應法彼是何耶中閒禪三禪未知欲知根相應法與正覺相應不未知欲知根者未知欲知根不相應正覺相應法彼是何耶知根知已根俱聚中正覺相應法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與未知欲知根相應亦與正覺者未知欲知根正覺相應法彼是何耶答曰十大地十善大地及心觀不與未知欲知根相應亦不與正覺者未知欲知根不相應正覺彼是何耶知根知已根俱聚中正覺體不與未知欲知根相應以他聚故亦不與正覺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心數法餘者中閒禪三禪三無色定中知根知已根俱聚中一切有漏心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四句如未知欲知根知根知已根說亦如是異者法與知已根相應亦與正見相耶乃至廣作四句與知已根相應不與正見者知已根所攝正見知已根俱聚中正見體與知已根相應不與正見相應所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正見不相應知已根相應法彼是何耶答曰盡智無生智俱聚中與已知根相應不與正見相應他聚故與正見相應不與已知根者知已根所不攝正見相應法未欲知根知根俱聚中正見相應法不與已知根相應以他聚故與知已根相應亦不與正見者知已根正見相應法彼是何耶答曰八根及彼相非根心心數法不與已知根相應亦不與正見者知已根所不攝正見未知欲知根俱聚中正見體不與知已根相應以他聚故不與正見相應以者何自體不應自體如先說及餘心數法無漏法無餘餘有漏心數法色無爲心不相應行如是等法作第四句餘相應如先品說
阿毘曇毘婆沙論卷第五十八
甲辰歲高麗國分司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