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卷第二

ABC_IT_K1071_T_002
032_0655_a_01L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 제2권
032_0655_a_01L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卷第二


혜립 언종 한역
김영률 번역
032_0655_a_02L沙門慧立本 釋
彦悰 箋


2. 아기니국(阿耆尼國)에서 갈야국사국(羯若鞠闍國)까지
032_0655_a_03L起阿耆尼國終羯若鞠闍國

이로부터 서쪽으로 나아가 아기니국 아부사천(阿父師泉)에 이르렀다. 샘은 길 남쪽 모래 언덕에 있었는데, 언덕 높이가 수 길[丈]이나 되고 물은 그 중간에서 솟아났다.
샘에 대해서는 이런 전설이 전해온다.
032_0655_a_04L從此西行至阿耆尼國阿父師泉在道南沙崖崖高數丈水自半而出相傳云
옛날에 장사꾼 수백 명이 길을 가다가 물이 바닥이 났다. 그리하여 피로에 갈증까지 심했으나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이때 장사꾼 가운데 승려 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노자가 없어서 상인들 틈에 끼어서 얻어먹으며 생활하고 있었다. 상인들이 서로 의논하였다.
“이 스님은 부처님을 섬기기 때문에 우리들이 공양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만 리 길을 오면서도 그에게 한 푼도 내 놓으라고 한 적이 없다. 게다가 지금 우리들은 목이 타들어가고 있는데 저 스님은 근심조차 하지 않고 있으니 우리가 그와 함께 의논해 보도록 하세.”
032_0655_a_07L舊有 商侶數百在塗水盡此困乏不知所爲時衆中有一僧裹行資依衆乞活衆議曰是僧事佛是故我曹供養雖涉萬里無所齎攜今我等熬然竟不憂念宜共白之
그러자 승려가 말했다.
“당신들이 물을 얻고자 한다면 마땅히 부처님께 귀의하여 3귀(歸)1)와 5계(戒)2)를 받으십시오. 그러면 나는 여러분을 위해 언덕에 올라가서 물을 만들겠소.”
사람들은 목이 타서 괴로웠기 때문에 모두 그의 명을 따랐다.
계를 받고 나자 승려가 말했다.
“내가 언덕에 올라간 뒤에 여러분은 ‘아부사(阿父師)여, 나에게 물을 주소서’라고 외치십시오. 모름지기 여러분이 필요한 만큼을 말하도록 하시오.”
032_0655_a_11L汝等欲得水者宜各禮佛受三歸五戒我爲汝等登崖作水衆旣危困咸從其命受戒訖僧教曰吾上崖後汝等當喚阿父師爲我下水任須多少言之
그 승려가 떠나고 조금 있다가 사람들은 가르친 대로 물을 청하니 별안간 물이 흘러나와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고 대중들은 매우 기뻐했다.
그런데 그 승려가 끝내 돌아오지 않자, 사람들이 언덕에 올라가 보니 그는 이미 죽어 있었다. 모두 슬피 울며 서역의 법에 따라 시신을 화장하고 그가 앉아있던 자리에 돌과 기왓장을 쌓아 탑을 만들었다. 그 탑이 지금도 남아 있으며 샘물 역시 끊이지 않고 흘러 왕래하는 여행자들의 숫자에 따라 많이 흐르기도 하고 적게 흐르기도 한다. 만약 사람이 없을 때에는 진액(津液)처럼 흐른다고 한다.
032_0655_a_16L其去少時衆人如教而請臾水下充足大衆無不歡荷師竟不衆人上觀已寂滅矣大小悲號西域法焚之於坐處聚甎石爲塔今猶在水亦不絕行旅往來隨衆多下有細麤若無人時津液而已
법사는 대중과 함께 이 샘 옆에서 하룻밤을 자고 다음 날 출발하여 은산(銀山)을 넘었다. 산은 대단히 높고 웅장하였는데 온통 은광(銀鑛)이었다. 그래서 서역의 은전은 모두 여기에서 나온다고 한다.
032_0655_a_21L師與衆宿於泉側明發又經銀山甚高廣皆是銀鑛西國銀錢所從出
032_0655_b_01L산의 서쪽에서는 또 산적 떼를 만났으나 사람들이 물건을 주었기 때문에 무사했다. 마침내 왕성이 있는 곳에 이르러 냇가에서 하룻밤을 머물렀는데 이때 동행하던 외국 상인[胡商] 수십 명이 먼저 가서 물건을 팔려고 밤중에 몰래 떠나 버렸다. 그런데 그들이 10리도 채 못가서 도적을 만나는 바람에 한 사람도 살아남지 못하였다.
032_0655_b_02L山西又逢群賊衆與物而去遂至王城所處川岸而宿時同侶商胡數貪先貿易夜中私發前去十餘里遇賊劫殺無一脫者
다음날 법사 일행이 그 자리에 도착했을 때는 시체만 보일 뿐 재물은 아무것도 없었다. 일행은 매우 상심하여 개탄의 소리가 절로 나왔다. 얼마를 가니 멀리 왕도(王都)가 보였고, 이윽고 아기니왕이 여러 신하와 함께 나와 왕궁으로 맞이해 들어가 공양을 했다.
그렇지만 이 나라는 일찍이 고창(高昌)의 공격을 받았었기 때문에 원한이 남아 있어 말 [馬]조차 내주려고 하지 않았다. 법사도 이곳에서는 하룻밤만 머물고는 이내 떠났다.
032_0655_b_05L比法師等到其遺骸無復財產深傷嘆焉漸去遙見王都阿耆尼王與諸臣來迎延入供養其國先被高昌寇擾有恨不肯給馬法師停一宿而過
계속해서 큰 강을 두 개나 건너고 서쪽으로 평탄한 길을 수백 리쯤 가자 굴지국(屈支國)옛날에 구자(龜玆)라고 잘못 부르던 곳이다.의 경계에 들어섰다. 거의 왕도에 가까이 왔을 때에 왕이 여러 신하와 대덕승(大德僧) 목차국다(木叉鞠多:Mokṣagupta)와 함께 나와 맞이하였다.
032_0655_b_09L前渡二大河西履平川行數百里入屈支國界 舊云龜茲訛也將近王都王與群臣及大德僧木叉鞠多等來迎
굴지국 부근에서 온 수천 명이나 되는 승려들이 성(城)의 동문 밖에다 장막을 치고 행상(行像)을 안치해 놓고 음악을 연주하며 기다리고 있다가, 법사가 도착하자 모든 승려들이 나와서 위로의 말을 건네고서는 각기 제자리로 돌아가 앉았다.
032_0655_b_12L自外諸僧數千於城東門外張浮幔安行像作樂而法師至諸德起來相慰訖各還就
그러자 한 승려가 아름다운 꽃을 소반에 담아 와서 바쳤다. 법사가 꽃을 받아들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꽃을 뿌려 예배드리고 목차국다 옆자리에 가서 앉았다. 앉고 나서는 또 꽃을 바치고, 꽃을 바치고 나서는 포도즙을 바쳤다. 처음에 다른 절에서도 꽃을 받고 포도즙을 받고 하였는데 그 다음 절들에서도 그렇게 하였다. 해질 무렵이 되어서야 모든 향응이 끝나고 승려들도 흩어졌다.
032_0655_b_15L使一僧擎鮮華一盤來授法師師受已將至佛前散華禮拜訖就木叉鞠多下坐坐已復行花行花已蒲桃漿於初一寺受華受漿已次受餘寺亦爾如是展轉日晏方訖僧徒始散
여기에는 고창 사람 수십 명이 있었는데 이 굴지국으로 출가하여 따로 절 하나를 차지하고 살고 있었다. 그 절은 성(城)의 동남쪽에 있었는데 법사가 한 고향에서 왔다고 하여 먼저 자기 절에서 머물도록 청하였다. 그래서 그들을 따라가기로 하자 왕과 여러 승려들은 각자 돌아갔다.
032_0655_b_20L有高昌人數十於屈支出家居一寺寺在城東南以法師從家鄕先請過宿因就之王共諸德各還
032_0655_c_01L다음날 왕은 법사를 궁궐로 청하여 준비한 공양을 대접하였다. 식사 중에 법사가 3정(淨)3)을 들지 않자 왕은 매우 이상하게 생각했다. 그러자 법사가 말했다.
“3정은 소승교[漸敎]4)에서는 허락되어 있으나 제가 배운 대승교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032_0655_b_22L明日王請過宮備陳供養而食有三法師不受王深怪之法師報此漸教所開而玄奘所學者大乘不爾也
그리고 다른 음식을 들었다. 식사를 마치고 나서 성의 서북쪽에 있는 아사리아사(阿奢理兒寺)5)당나라 말로는 기특(奇特)이라고 한다로 갔다. 이곳은 목차국다가 머물고 있는 절인데, 국다는 사리에 밝고 총명하여 사람들이 숭앙하고 따랐다. 인도에서 20여 년 간 유학하여 모든 경전을 섭렵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성명(聲明)6)에 가장 밝았다. 왕이나 백성들도 모두 존중하여 그를 ‘독보(獨步)’라고 부르고 있었다.
032_0655_c_02L餘別食食訖過城西北阿奢理兒寺唐言奇特也是木叉鞠多所住寺也鞠多理識閑敏彼所宗歸遊學印度二十餘雖涉衆經而『聲明』最善王及國人咸所尊重號稱獨步
그는 법사를 대해서 한갓 스님으로써 예우했을 뿐 얼마만큼 법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그는 법사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나라에는 『잡심(雜心)』7)ㆍ『구사(俱舍)』ㆍ『비바사(毘婆沙)』8) 등의 모든 경전이 구비되어 있소. 그것을 배우면 충분히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텐데 굳이 서방으로 가서 고생할 필요가 있겠소?”
법사가 말했다.
“여기에도 『유가론(瑜伽論)』9)이 있습니까?”
032_0655_c_07L見法師至徒以客禮待之未以知法爲許謂法師曰此土『雜心』『俱舍』『毘婆沙』等一切皆有學之足得不煩西涉受艱辛也法師報此有『瑜伽論』不
국다가 말했다.
“무엇에 쓰려고 그런 삿된 책을 찾습니까? 참된 불자(佛子)는 그런 것을 배우지 않소.”
법사는 처음에 국다를 매우 존경했으나 이 말을 듣고는 마치 흙덩이를 보는 것 같아 이렇게 대답했다.
“『바사』나 『구사』는 중국에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론은 매우 간소하고 생략되어 있으며 뜻이 얕으므로 궁극의 설(說)이 될 수 없는 것이 애석합니다. 그래서 『대승유가(大乘瑜伽)』를 배우려고 찾아온 것입니다. 이 『유가』는 후신(後身) 보살인 미륵(彌勒)10)이 설하신 것입니다. 지금 삿된 글이라 하셨는데 무간지옥[无底枉坑]11)이 두렵지 않습니까?”
032_0655_c_11L鞠多曰何用問是邪見書乎眞佛弟子者不學是也師初深敬之及聞此言視之猶土『婆沙』『俱舍』本國已有恨其理疏言非究竟說所以故來欲學大乘『瑜伽論』耳又『瑜伽』者是後身菩薩彌勒所說今謂邪書豈不懼無底抂坑乎
국다가 말했다.
“『바사』 등의 책은 당신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인데 어째서 뜻이 깊지 않다고 말하시오?”
법사가 말했다.
“국다께서는 이해하십니까?”
국다가 말했다.
“나는 다 이해할 수 있소.”
032_0655_c_17L彼曰『婆沙』等汝所未解何謂非深法師報曰師今解不我盡解
그래서 법사는 즉시 『구사』의 처음 구절을 인용하여 질문했는데, 국다의 대답은 처음부터 틀렸다. 법사가 다시 추궁해 들어가자 국다는 안색이 달라지면서 말했다.
“다른 구절을 물어보시오.”
현장이 또 다른 한 구절을 묻자 역시 말을 못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논(論)에는 그런 말은 없소.”
032_0655_c_19L法師卽引『俱舍』初文問發端卽謬因更窮之色遂變動汝更問餘處又示一文亦不通『論』無此語
032_0656_a_01L왕의 숙부(叔父)인 지월(智月)은 출가한 사람으로서 경론에 밝았는데, 그때 마침 옆에 앉아 있다가 이렇게 증언했다.
“논에 그런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책을 들어 그 구절을 읽어 주었다.
국다는 매우 부끄러워하며 이렇게 말했다.
“늙어서 잊었을 뿐이오.”
032_0655_c_22L時王叔智月出亦解經論時在傍坐卽證言『論』有此語乃取本對讀之鞠多極慚忘耳
그러나 다른 부분을 질문해도 역시 올바른 해석을 하지 못했다.
아직 능산(凌山)12)의 눈길이 트이지 않아 출발하지 못하고 60여 일을 머무는 동안 관광도 하고 때때로 국다를 찾아가서 말을 걸기도 하였다. 그러나 국다는 법사의 얼굴을 보고도 본체만체하고 바쁘다고 피해버리면서도 다른 사람에게는 이렇게 말했다.
“이 중국[支那]13) 승려는 섣불리 상대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아마 인도에 가더라도 저 젊은이 같은 이는 나오지 못할 것이다.”
법사를 두려워하고 경탄함이 이와 같았다. 출발하는 날이 되자 왕은 일꾼과 낙타를 내주었고, 승려와 속인들이 함께 모든 정성을 다해 전송해 주었다.
032_0656_a_02L又問餘部亦無好釋時爲淩山雪路未開不得進發淹停六十餘日觀眺之外時往就言相見不復踞坐或立或避私謂人曰此支那僧非易詶對若往印度彼少年之儔未必出其畏歎如是至發日王給手力與道俗等傾都送出
거기서부터 서쪽으로 이틀 동안 가다가 돌궐(突厥)의 도적 2천여 기(騎)를 만났다. 그 도적들은 행인들에게서 빼앗은 재물을 서로 나누다가 각기 불평하고 다투며 싸우다가 흩어져버렸다.
032_0656_a_08L從此西行二逢突厥寇賊二千餘騎其賊乃預共分張行衆資財懸諍不平自鬪而
또 앞으로 6백 리를 지나 조그마한 사막을 건너서 발록가국(跋祿迦國)옛날에는 고묵(姑墨)이라 하였다.에 이르러 하룻밤을 잤다.
거기서 서북쪽으로 3백 리를 가서 사막 하나를 지나 능산(凌山)에 이르렀다. 이곳은 총령(蔥嶺)14)의 북쪽 기슭으로서 그 산은 험준하고 하늘에 닿을 듯이 높았다. 개벽(開闢) 이래 빙설(氷雪)이 쌓이고 쌓여서 빙산(氷山)이 되었는데, 봄과 여름에도 얼음덩이가 녹지 않고 빙산처럼 얼어붙어서 마치 하늘과 맞닿아 있는 듯하였다. 쳐다보면 흰 빛이 끝없이 뻗어 있는데, 얼음 봉우리가 길옆에 무너져 있는 것이 어떤 것은 높이가 백 척 가량 되고 어떤 것은 넓이가 수백 평이나 되었다.
032_0656_a_11L又前行六百里渡小磧至跋祿迦舊曰姑墨停一宿又西北行三百里渡一至淩山卽蔥嶺北隅也其山險峭極于天自開闢已來冰雪所聚積而爲淩春夏不解凝沍污漫與雲連屬仰之皚然莫睹其際其淩峯摧落撗路側者或高百尺或廣數丈
이처럼 길이 좁고 험해서 이 고개를 넘기가 무척 어려웠다. 거기에다 눈보라가 휘몰아쳐 아무리 털옷을 겹겹이 입어도 추위를 면할 수가 없었으며, 잠을 자거나 식사를 할 때에도 머물 만한 마른자리가 없었다. 그래서 솥을 걸어 밥을 하고 얼음 위에서 잠을 자야만 했다.
이렇게 7일의 여행 끝에 비로소 산을 벗어났는데 일행 중에 열이면 서너 사람은 병들어 죽거나 얼어 죽었고 소나 말은 그보다 더했다.
032_0656_a_17L由是蹊徑崎嶇登陟艱阻加以風雪雜飛複屨重裘不免寒戰將欲眠食復無燥處可停唯知懸釜而炊席冰而寢七日之後方始出山徒侶之中𣨙凍死者十有三四牛馬逾甚
032_0656_b_01L산을 벗어나서 한 청지(淸池)청지는 열해(熱海)라고도 한다. 능산을 마주하고 있으면서도 얼지 않아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고 그 물이 따뜻하다는 뜻은 아니다.에 이르렀다. 둘레가 1,400 내지 1,500리가 되며 동서는 길고 남북으로는 좁다. 바라보니 망망하고 거센 바람이 없어도 여러 길 되는 높은 파도가 넘실거렸다.
032_0656_a_22L出山後至一淸池淸池亦云熱海見其對淩山不凍故得此名其水未必溫周千四五百里東西長南北狹望之淼然待激風而洪波數丈
호수를 따라 서북쪽으로 5백여 리를 가서 소엽성(素葉城)15)에 이르러 돌궐의 섭호가한(葉護可汗)을 만났는데, 마침 사냥을 나가기 위해 말을 많이 준비해 놓고 있었다. 가한은 초록색의 엷은 비단옷을 입었고, 머리카락은 한 길이나 되었으며, 명주로 이마를 감싸서 뒤로 늘어뜨리고 있었다.
달관(達官)16) 2백여 명도 다 비단옷을 입고 머리를 땋아 변발(編髮)17)을 한 채 가한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다. 그 밖의 병사들은 다 가죽옷이나 털옷을 입었으며 창과 활을 가졌는데, 낙타나 말을 탄 사람들로 한눈에 다 파악할 수가 없었다.
032_0656_b_02L循海西北行五百餘里至素葉城逢突厥葉護可汗方事畋遊戎馬甚盛可汗身著綠綾露髮一丈許帛練裹額後垂達官二百餘人皆錦袍編髮圍遶左右餘軍衆皆裘褐毳毛槊纛端弓駝馬之騎極目不知其表
법사를 보자 가한은 기뻐하며 말했다.
“제가 수렵을 나갔다가 2~3일 뒤에 올 테니 법사께서는 제 막사에 계십시오.”
그리고 달관인 답마지(答摩支)로 하여금 인도하여 편히 계시도록 했다. 3일이 되자 가한이 돌아와서 법사를 인도하여 자신이 거처하는 큰 천막으로 모시고 들어갔다. 천막은 눈이 현란할 정도로 화려하게 금화(金花)로 장식되어 있었다. 모든 달관들은 천막 앞에 긴 자리를 깔고 두 줄로 앉아 있는데 모두 붉은 비단옷을 입고 있었으며 나머지 병사들은 천막 뒤에서 호위하며 서 있었다. 이것을 보니 비록 흉노(匈奴)의 군장(君長)이라고는 하나 매우 존엄하였다.
032_0656_b_08L旣與相見可汗歡喜蹔一處行二三日當還師且向衙所令達官答摩支引送安置衙三日可汗方歸引法師入可汗居一大帳帳以金花裝之爛眩人目達官於前列長筵兩行侍坐皆錦服赫然餘仗衛立於後觀之雖穹廬之君亦爲尊美矣
법사가 천막 앞으로 30여 걸음을 다가가자 가한이 천막을 나와 마중하며 절을 하고 위로의 말을 전한 뒤 자리에 앉았다. 돌궐(突厥)은 불을 섬기기 때문에 침상을 쓰질 않는다. 왜냐하면 나무는 불에 타기 때문에 상극이라 하여 쓰지 않고 다만 땅바닥에 겹으로 된 요를 깔 뿐이다. 그래서 법사를 위해 쇠로 된 침상을 만들어 요를 깔고 앉도록 하였다.
032_0656_b_15L法師去帳三十餘可汗出帳迎拜傳語慰問訖入坐突厥事火不施牀以木含火故敬而不居但地敷重茵而已仍爲法師設一鐵交牀敷褥請坐
잠시 후 한나라 사신과 고창에서 온 사신을 인견하였는데, 들어오자 국서(國書)와 신물(信物)을 바쳤다. 가한은 이들을 보자 매우 기뻐하며 사신들을 자리에 앉도록 하고 주연을 베풀며 음악을 연주토록 명하고, 여러 신하와 사자들과 더불어 술을 마시며 즐겼다.
032_0656_b_19L須臾更引漢使及高昌使人入通國書及信物可汗自目之甚悅令使者坐命陳酒設樂汗共諸臣使人飮
032_0656_c_01L그러나 법사에게는 따로 포도즙[蒲桃漿]을 올렸다. 이렇게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며 술잔이 계속 오가는 가운데 금말도리(僸秣兜離)라는 음악이 은은히 울려 퍼지면서 온갖 악기 소리가 울렸다. 이 역시 토번 풍속의 음악이긴 하나 귀와 눈을 즐겁게 하고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032_0656_b_22L別索蒲桃漿奉法於是恣相酬勸窣渾鍾椀之器交錯遞傾僸佅兜離之音鏗鏘互擧蕃俗之曲亦甚娛耳目樂心意也
얼마 후에 다시 음식이 들어왔는데 삶은 양고기와 쇠고기로 만든 음식이 눈앞에 가득 쌓였다.
법사에게는 별도로 정식(淨食)을 바쳤는데 떡과 밥과 우유와 꿀과 자밀(刺蜜)과 포도 등이었다. 식사가 끝나자 다시 포도즙을 돌리고, 그런 후에 법을 설해주기를 청하였다.
032_0656_c_02L更有食至皆烹鮮羔犢之質盈積於前別營淨食進法師具有餠飯石蜜刺蜜蒲桃等食訖更行蒱桃漿仍請說法
법사는 10선(善)18)과 물명(物名)의 애양(愛養) 및 바라밀다(波羅蜜多)19)와 해탈(解脫)의 업에 대해서 가르쳤다. 가한은 손을 들어 이마를 치고 환희하면서 믿음으로 받들었다.
032_0656_c_06L法師因誨以十善愛養物命及波羅蜜多解脫之業乃擧手叩額歡喜信受
여기서 여러 날을 머물렀는데 가한은 더 머물기를 권하며 말했다.
“법사께서는 인특가국(印特伽國)곧 인도이다.에는 가지 마십시오. 그 나라는 대단히 무더워서 10월이 되어도 이곳 5월처럼 덥습니다. 법사의 모습을 보아하니 그 나라에 가시면 병이 나지나 않을까 걱정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검은 피부에다 위의(威儀)도 없이 벌거벗고 다니니 뾰족하게 볼 것이라고는 없습니다.”
032_0656_c_08L因留停數日勸住日師不須往印特伽國謂印度也彼地多暑十月當此五月觀師容貌至彼恐銷融也其人類黑露無威儀不足觀也
“지금 그 나라에 가는 것은 성스런 자취를 찾아보고 애타게 법을 구하기 위함입니다.”
가한은 할 수 없이 군대 안에 명령을 내려 중국어와 다른 여러 나라의 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을 찾게 했다.
032_0656_c_11L法師報曰今之彼欲追尋聖迹慕求法耳可汗乃令軍中訪解漢語及諸國音者
마침 한 소년이 있었는데, 일찍이 장안(長安)에 가서 수년 동안 있어서 중국어에 능통했다. 그래서 즉시 통역관인 마돌달관(摩咄達官)20)에 임명하고 여러 나라에 보낼 국서(國書)를 만들게 한 뒤, 마돌로 하여금 법사를 가필시국(迦畢試國)21)에까지 모시고 가도록 했다. 그리고 비단으로 만든 법복 한 벌과 명주 50필을 보시하고는, 여러 신하들과 함께 10여 리 밖까지 전송해 주었다.
032_0656_c_14L遂得年少曾到長安數年通解漢語卽封爲摩咄達官作諸國書令摩咄送法師到迦畢試國又施緋綾法服一襲絹五十疋與群臣送十餘
이로부터 서쪽으로 4백여 리를 가서 병률(屛聿) 땅에 이르렀다. 이곳은 천천(千泉)22)이라고도 하는데, 이 지방은 둘레가 수백 리나 되며 못도 많고 수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시원하므로 가한의 피서지이기도 하였다.
032_0656_c_18L自此西行四百餘里至屛聿此曰千泉地方數百里旣多池沼又豐奇森沈涼潤卽可汗避暑之處也
병률에서 서쪽으로 150리를 가서 달라사성(呾邏斯城)에 도착했고, 다시 서남쪽으로 2백 리를 더 가서 백수성(白水城)에 도착했다. 여기서 다시 서남쪽으로 2백 리를 가서 공어성(恭御城)에 이르렀다.
032_0656_c_20L屛聿西百五十里至呾邏斯城又西南二百里至白水城
032_0657_a_01L다시 남쪽으로 50리를 가서 노적건국(笯赤建國)노고반(奴故反)이다.에 도착했고, 다시 서쪽으로 2백 리를 가서 자시국(赭時國)23)당나라 말로는 석국(石國)이다.에 도착했는데, 이 나라 서쪽에는 섭섭하(葉葉河)24)가 흐르고 있다.
032_0656_c_22L又西南二百里至恭御城又南五十里至笯奴故反建國又西二百里至赭時國唐言石國西臨葉葉河
또 서쪽으로 1천 리를 가서 솔도리슬라국(窣堵利瑟那國)에 이르렀는데, 이 나라는 동쪽으로 섭섭하와 연해 있다. 이 강은 총령(蔥嶺)의 북쪽에서 발원(發源)하여 서북쪽으로 흐르고 있다.
032_0657_a_02L又西千餘里至窣堵利瑟那國國東臨葉葉河河出蔥嶺北西北流
또 서북쪽으로 나아가 큰 사막에 들어섰는데 물도 없고 풀도 없이 오직 나뒹구는 해골들을 보며 전진했다.
5백 리를 가서 삽말건국(颯秣建國)당나라 말로는 강국(康國)이라 한다.에 이르렀다. 이곳은 왕이나 백성들이 불법을 믿지 않고 불[火]을 섬기는 조르아스터교를 믿고 있었다. 절이 두 개 있었으나 승려는 살고 있지 않았고 객승(客僧)들이 찾아들면 사람들은 불을 피워 쫓아내고 머물지 못하게 했다.
032_0657_a_04L又西北入大磧無水草遺骨而進五百餘里至颯祙建國唐言康國王及百姓不信佛法以事火爲道寺兩所迥無僧居客僧投者諸胡以火燒逐不許停住
법사가 처음 왕을 만났을 땐 왕은 매우 거만하게 대했었다. 그러나 며칠 묵으면서 인천(人天)의 인과(因果)와 찬불(讚佛)의 공덕과 공경(恭敬)의 복리(福利)에 대해 설해 주었더니 왕은 기뻐하며 재계(齋戒) 받기를 청하고, 마침내 은근히 따르게 되었다.
032_0657_a_08L法師初至王接猶經宿之後爲說人天因果讚佛功恭敬福利王歡喜請受齋戒遂致慇懃
법사를 따라온 두 소년 승이 절에 가서 예배를 했는데, 여러 사람들이 와서 불을 피우고는 사미를 쫓아내었다. 돌아와서 이 일을 왕에게 아뢰었더니 왕은 불을 피운 자를 잡아다가 백성들이 운집한 자리에서 그의 손을 자르라고 명령했다. 법사가 이에 대해 듣고는 자선을 권고하고 차마 그 사람의 손을 자르지 못하게 하여 그들을 구원해 주었다. 왕은 결국 무거운 태형(笞刑)을 내리고 성 밖으로 추방해 버렸다.
032_0657_a_11L所從二小師往寺禮拜諸胡還以火燒逐沙彌還以告王王聞令捕燒得已集百姓令截其手法師將欲勸善不忍毀其支體救之王乃重笞逐出都外
이로부터 높은 이나 낮은 이나 모두 숙연해져서 법사에게 신앙을 구하게 되었다. 그래서 마침내 큰 법회[大會]를 열고 사람들을 제도하여 절에 거처하도록 하였다. 법사는 그들의 삿된 마음을 고쳐 바로잡고 어리석은 풍속을 계몽하였으며, 가는 곳마다 이와 같이 하였다.
032_0657_a_15L自是上下肅然咸求信遂設大會度人居寺其革變邪心誘開曚俗所到如此
다시 서쪽으로 3백여 리를 가서 굴상이가국(屈霜儞迦國)에 이르렀고 거기서 또 서쪽으로 2백여 리를 가서 갈한국(喝扞國)당나라 말로는 동안국(東安國)이라 한다.에 도착했다.
032_0657_a_17L又西三百餘里至屈霜去聲你迦國又西二百餘里至喝捍國唐言東安國
거기서 다시 서쪽으로 4백 리를 가서 보갈국(捕喝國)25)당나라 말로는 중안국(中安國)이라 한다.에 이르렀고 다시 서쪽으로 1백여 리를 가서 벌지국(伐地國)26)당나라 말로는 서안국(西安國)이라 한다.에 이르렀으며 다시 서쪽으로 5백 리를 가서 화리습미가국(貨利習彌伽國)27)에 이르렀다. 이 나라는 동쪽으로 박추하(縛芻河)28)에 위치해 있다.
032_0657_a_19L又西四百里至捕喝國唐言中安國又西百餘里至伐地國唐言西安國西五百里至貨利習彌伽國國東臨縛芻河
032_0657_b_01L거기서 서남쪽으로 3백여 리를 가서 갈상나국(羯霜那國)29)당나라 말로는 사국(史國)이다.에 이르렀고 다시 서남쪽으로 2백 리를 가니 산으로 접어들었다. 산길은 매우 험악하여 겨우 한 사람이 걸어갈 수 있었으나 물도 없고 풀도 없었다. 산길을 3백여 리 걸어가서 철문(鐵門)30)에 들어섰는데 봉우리는 가파르고 절벽의 돌에는 철광(鐵礦)이 많아 이 때문에 문을 만들고 그 위에 쇠로 방울을 만들어 많이 달아 놓았다. 이래서 철문이라 붙였는데 돌궐의 관문이기도 하다.
철문을 나와 도화라국(睹貨羅國)31)옛날에는 토화라(吐火羅)라고도 하였다.에 이르렀다.
032_0657_a_22L又西南三百餘里至羯霜去聲那國唐言史國又西南二百里入山山路深險纔通人步復無水草山行三百餘里入鐵門峯壁狹峭而崖石多鐵鑛之爲門扉又鑄鐵爲鈴多懸於上以爲名卽突厥之關塞也出鐵門至睹貨羅國舊曰吐火羅訛也
여기서부터 수백 리를 가서 박추하(縛蒭河)32)를 건너 활국(活國)33)에 이르렀는데, 이곳은 섭호가한의 장남 달도설(呾度設)설(設)은 벼슬 이름이다.이 있는 곳이다. 그리고 그는 고창왕(高昌王)의 매제(妹弟)였으므로 고창왕의 편지를 가지고 찾아갔다.
032_0657_b_05L自此數百里渡縛芻河至活國卽葉護可汗長子呾度設設者官名也所居之地又是高昌王妹高昌王有書至其所
그런데 법사가 도착했을 때는 공주(公主) 가하돈(可賀敦)34)은 이미 죽고 없었으며 달도설 역시 병중에 있었다. 달도설은 법사가 고창에서 왔다는 말을 듣고 또 편지까지 받아보자 그곳에 있던 남녀들과 함께 오열을 금치 못했다.
032_0657_b_08L比法師到主可賀敦已死呾度設又病聞法師從高昌來又得書與男女等嗚咽不能
달도설은 법사에게 이렇게 간청했다.
“법사를 뵈오니 눈이 번쩍 뜨이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바라건대 조금 더 머물러 주십시오. 만약 병에 차도가 있으면 제가 직접 법사님을 바라문국에까지 전송해 드리겠습니다.”
032_0657_b_11L因請法師曰弟子見師目明願少停若差自送師到婆羅門國
그때 한 범승(梵僧)이 찾아와서 주문(呪文)을 외우자 병이 점점 회복되었다. 그 뒤 달도설은 나이 어린 왕비를 새로 맞아들였다. 그런데 새 왕비가 전처의 큰 아들과 짜고 왕을 독살했다. 달도설이 죽고 나서는 고창왕의 공주가 낳은 아들은 아직 어렸으므로 마침내 큰 아들 특근(特勤)35)이 설(設)36)의 지위를 찬탈하고 그 새어머니를 아내로 삼았다.
법사는 상(喪)을 만나는 바람에 한 달 가량 이곳에 머물게 되었다.
032_0657_b_12L時更有一梵僧至爲誦呪患得漸除其後娶可賀敦年少受前兒囑因藥以殺其設旣死高昌公主男小遂被前兒特勤篡立爲設仍妻其後母爲逢喪故淹留月餘
활국에는 달마승가(達摩僧伽)라는 사문이 있었는데, 인도에 유학했기 때문에 총령 서쪽 나라에서는 그를 법장(法匠)으로 떠받들고 있었다. 그래서 소륵(疏勒)이나 우전(于闐)37)의 승려들도 감히 대담하려고 나서는 자가 없었다.
032_0657_b_17L彼有沙門名達摩僧遊學印度蔥嶺已西推爲法匠疏勒于闐之僧無敢對談者
그래서 법사는 그의 학문의 깊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람들에게 그가 몇 권의 경론을 알고 있는지 물었다. 여러 제자들은 이런 말을 듣고 화를 냈으나 달마는 웃으며 말했다.
“나는 다 알고 있으니 마음대로 물어보시오.”
032_0657_b_19L法師欲知其學深淺使人問師解幾部經論諸弟子等聞皆怒達摩笑曰我盡解隨意所問
032_0657_c_01L법사는 그가 대승(大乘)은 배우지 않은 것을 알고 소승의 『바사(婆沙)』 등에 대해 몇 가지를 질문했으나 그는 시원스럽게 대답하지 못했다. 그래서 법사에게 승복하였고 그 제자들도 부끄러워하였다.
이로부터는 서로 만나면 기뻐하면서 가는 곳마다 자기들은 법사에게 미치지 못한다며 칭찬하는 말을 늘어놓았다.
032_0657_b_22L法師知不學大乘就小教『婆沙』等問數科不是好通因謝服門人皆從是相見歡喜處處譽讚言己不能及
그 얼마 뒤에 새로운 설(設)이 즉위하였다.
법사가 안내자와 오락마(鄔落馬)38)를 구하여 남쪽 바라문국으로 떠나려고 하자 설이 이렇게 말했다.
“저의 관내에 박갈국(縛喝國)39)이라는 곳이 있는데 그 북쪽에는 박추하(縛芻河)가 흐르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곳을 소왕사성(小王舍城)이라 부르며 성스러운 유적도 매우 많습니다. 바라건대 법사께서는 잠시 가서 둘러보신 뒤에 남쪽으로 내려가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032_0657_c_02L時新設旣立法師從求使人及鄔落欲南進向婆羅門國設云弟子所部有縛喝國北臨縛芻河人謂小王舍城極多聖迹願師蹔往觀禮然後取乘南去
이때 마침 박갈국의 승려 수십 명이 달도설이 죽고 그 아들이 즉위했다는 말을 듣고 조문하러 와 있었다. 법사가 그들을 만나 의사를 타진하니 그들이 말했다.
“마땅히 가셔야지요. 거기를 가시면 좋은 길도 있으니 다시 이곳으로 오실 필요도 없습니다.”
032_0657_c_06L時縛喝僧數十人聞舊設死子又立共來弔慰法師與相言其意彼曰卽當便去彼有好路若更來此徒爲迂會
법사는 그들의 말에 따라 곧 설과 헤어져 탈 것에 타고 그 승려들을 따라갔다. 박갈국에 도착해서 보니 그 성읍(城邑)은 교외가 넓게 트였고 물이 흐르는 기름진 들판이 있는 참으로 좋은 땅이었다. 가람(伽藍)도 백여 개나 있고 승려들도 3천여 명이나 되었는데 모두 소승을 공부하고 있었다.
032_0657_c_09L法師從其言與設辭取乘隨彼僧去旣至觀其城郊郭顯敞川野腴潤實爲勝地藍百所僧徒三千餘人皆小乘學
성 밖의 서남쪽에 납박가람(納縛伽藍)당나라에서는 신(新)이라 한다.이 있는데 장식이 매우 화려하고 장엄하였다. 가람 안의 불당에는 한 말들이의 커다란 부처님 세숫대야가 있고 또 길이가 1촌(寸)에 너비가 8ㆍ9푼이나 되는 불치(佛齒)가 모셔져 있었는데 매일 황백색의 광채를 내고 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쓰시던 빗자루가 있는데, 가사초(迦奢草)40)로 만들어졌으며 길이가 3척 남짓하고 둘레는 7촌 정도였다. 그 빗자루의 손잡이는 여러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032_0657_c_12L外西南有納縛伽藍唐言新裝嚴甚麗藍內佛堂中有佛澡罐量可斗餘有佛齒長一寸廣八九分色黃白有光瑞又有佛掃帚迦奢草作長三尺餘圍可七寸其帚柄飾以雜寶
이 세 가지는 재일(齋日) 때마다 공개하며 승속(僧俗)들이 이것을 보고 예배드린다. 지극한 정성이 있는 사람은 감동하여 신광(神光)을 발한다고 한다.
가람의 북쪽에는 솔도파(窣堵波)41)가 있는데 높이가 2백여 척이나 되었다. 가람 서남쪽엔 정려(精廬)가 한 채 있는데 건립한 지 오래된 것으로 그 안에서 도를 닦아 4과(果)42)를 증득한 사람이 대대로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그들이 열반에 들면 모두 탑을 세우는데 그 탑이 백여 개나 서로 줄지어 서 있다.
032_0657_c_17L三事齋日每出道俗觀禮至誠者感發神光伽藍北有窣堵波高二百餘伽藍西南有一精廬建立多年中行道證四果者世世無絕涅槃後皆有塔記基址接連數百餘矣
032_0658_a_01L박갈국 큰 성에서 서북쪽으로 50리를 가면 제위성(提謂城)에 이른다. 그 성의 북쪽 40리쯤에 바리성(波利城)이 있는데 성 가운데에 높이가 세 길이나 되는 두 개의 탑이 있다. 옛날에 부처님이 처음 성도(成道)하셨을 때 제위와 바리 두 장자(長者)가 보릿가루와 꿀을 바친 곳이라 한다.
032_0657_c_22L大城西北五十里至提謂城城北四十里有波利城城中有二窣堵波高三丈昔佛初成道受此二長者麨蜜
두 장자가 처음 5계(戒)와 10선(善)을 듣고 아울러 여래를 공양하기를 청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머리카락과 손톱을 주시면서 탑을 만들게 하고 조탑(造塔) 의식도 거행했다. 두 장자는 머리카락과 손톱을 가지고 본국으로 돌아와 영찰(靈刹)을 짓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그 절이다.
성(城)의 서쪽 70여 리 되는 곳에 높이가 두 길이 넘는 탑이 있는데 이것은 과거 가섭불(迦葉佛)43)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032_0658_a_02L初聞五戒十善幷請供養如來當授髮爪令造塔及造塔儀式二長者將還本營建靈剎卽此也城西七十餘里有窣堵波高逾二丈過去迦葉佛時作也
납박가람에는 책가국(磔迦國)44)의 소승(小乘) 삼장(三藏)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반야갈라(般若羯羅)당나라에서는 혜성(慧性)이라 음역한다.라고 하였다. 그도 박갈국에 성적(聖跡)이 많다는 소문을 듣고 예경(禮敬)하기 위해 왔다고 했다.
이 사람은 총명하고 학문을 숭상하였다. 젊어서부터 머리가 뛰어나 9부(部)45)를 연구하고 4함(含)46)을 섭렵하여 깊은 뜻을 알았기 때문에 그의 명성은 인도에까지 퍼져 있었다.
032_0658_a_07L納縛伽藍有磔迦國小乘三藏名般若羯羅唐言慧性聞縛喝國多有聖迹故來禮敬其人聰慧尚學而英爽鑽硏九部游泳四含義解之聲周聞印度
그는 소승의 『아비달마(阿毘達磨)』47)ㆍ『가연(迦延)』ㆍ『구사(俱舍)』ㆍ『육족아비담(六足阿毘曇)』 등 통달하지 않은 경전이 없었다. 그는 법사가 멀리서 법을 구하러 왔다는 것을 듣고 찾아왔는데 서로 만나보고는 대단히 기뻐하였다.
032_0658_a_11L其小乘『阿毘達磨』『迦延』『俱舍』『六足』『阿毘曇』等無不曉達旣聞法師遠來求法相見甚歡
법사가 그에게 『구사』ㆍ『바사』 등의 경전에 의심나던 곳을 질문했는데, 그의 대답은 매우 정교하고 원숙하였다. 그래서 법사는 이곳에 한 달 남짓 머물면서 그에게 『비바사론(毘婆沙論)』을 배웠다. 그리고 이 절에는 달마필리(達摩畢利)당나라 말로는 법애(法愛)이다.와 달마갈라(達摩羯羅)당나라 말로는 법성(法性)이다.라고 하는 두 분의 소승의 삼장이 있었는데, 모두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들이 법사의 준수한 용모를 보고는 매우 존경하며 우러렀다.
032_0658_a_13L法師因申疑滯約『俱舍』『婆沙』等問之其酬對甚精熟遂停月餘就讀『毘婆沙論』伽藍又有二小乘三藏達摩畢利唐言法愛摩羯羅唐言法性皆彼所宗重睹法師神彩明秀極加敬仰
당시 박갈국의 서남쪽에는 예말타(銳末陀)48)와 호시건(胡寔健)49)이라는 두 나라가 있었다. 그 왕은 법사가 먼 나라에서 왔다는 소문을 듣고 사신들을 보내서 자기 나라에도 들러 공양을 받도록 간청했다. 법사는 사양하고 가지 않으려 했으나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왔으므로 부득이하게 가게 되었다.
왕은 대단히 기뻐하며 법사에게 금과 보석을 바치고 음식을 베풀었으나 법사는 모두 받지 않고 되돌아갔다.
032_0658_a_18L時縛喝西南有銳末陁胡寔健國其王聞法師從遠國來皆遣貴臣拜請過國受供養辭不使人往來再三不得已而赴王甚乃陳金寶飮食施法師法師皆不受而返
032_0658_b_01L박갈에서부터 혜성 법사(慧性法師)와 함께 남행(南行)하여 게직국(揭職國)에 이르렀고, 다시 동남쪽으로 대설산(大雪山)으로 들어가 6백여 리를 행진하여 도화라(睹貨羅)의 국경으로 나왔다가 범연나국(梵衍那國)50)으로 들어섰다. 이 나라는 동서의 길이가 2천여 리나 되었으며, 설산(雪山) 속에 있다. 도로가 얼마나 험했든지 빙하나 사막길보다 배나 더 힘들었다. 두꺼운 구름은 잠시도 쉬지 않고 눈을 날렸는데, 심한 곳은 평지보다 수 길이나 높게 눈이 쌓여 있었다.
옛날에 송옥(宋玉)51)이 읊은 글도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다.
032_0658_a_23L自縛喝南行與慧性法師相隨入揭職國東南入大雪山行六百餘里出睹貨羅境入梵衍那國國東西二千餘里在雪山中塗路艱危倍於凌磧之地凝雲飛雪曾不蹔霽或逢尤甚之處則平途數丈故宋王稱

서방길의 험난함이여
치솟은 빙산(氷山)에다
눈 날리는 천리길이로다.
032_0658_b_05L西方之難增冰峨峨飛雪千里卽此也

아, 만약에 중생을 위하여 무상(無上)의 정법(正法)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어찌 부모에게 물려받은 몸으로 이런 길에 올랐으랴.
그 옛날 왕준(王遵)52)은 이 아홉 구비의 언덕에 올라 스스로 말하지 않았던가.
“나는 한(漢) 나라의 충신이다.”
그러니, 법사가 지금 눈 봉우리를 넘어 경전을 구하러 가는 것은 바로 여래의 참된 제자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032_0658_b_06L嗟乎若不爲衆生求無上正法者有稟父母遺體而遊此哉昔王遵登九折之坂自云我爲漢室忠臣法師今涉雪嶺求經亦可謂如來眞子矣
이렇게 해서 가까스로 범연나국의 도성에 이르렀다. 이곳에는 10여 개의 절이 있고 승려 수가 1천 명이나 되는데, 소승의 출세설부(出世說部)53)를 배우고 있었다.
범연나국의 왕이 마중 나와 궁궐로 모셔다가 공양을 베풀고, 여러 날을 머물다가 겨우 떠나도록 했다.
032_0658_b_10L如是漸到梵衍都城有伽藍十餘所僧徒數千人學小乘出世說部梵衍王出迎延過宮供養累日方出
범연나에는 마하승기부(摩訶僧祇部:Mahāsaṅghika)54)의 학승 아리야타바(阿梨耶駄婆:Aryadāsā)당나라 말로는 성사(聖使)라 한다.와 아리야사나(阿梨耶斯那)당나라 말로는 성군(聖軍)이라 한다.가 있었다. 모두가 법상(法相)에 대해 깊이 잘 알고 있었는데 법사를 보고는 중국같이 먼 나라에도 이런 승려가 있는 것에 경탄하고 각지를 안내하며 친절을 베풀었다.
032_0658_b_13L彼有摩訶僧祇部學僧阿梨耶馱婆唐言聖使梨耶斯那唐言聖軍竝深知法相見法師嘆脂那遠國有如是僧相引處處禮慇懃不已
왕성(王城)의 동북에 있는 산에는 높이 150척이 되는 석상(石像)이 세워져 있었다. 석상 동쪽에 절이 있었고 절 동쪽 켠에는 동(銅)으로 주조한 석가모니 입상(立像)이 있었는데 그 높이가 1백 척이나 되었다.
절 안에는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는 모습의 와상(臥像)이 있는데 길이가 1천 척이나 되었고 모두가 장엄하고 절묘했다.
032_0658_b_17L王城東北山阿有立石高百五十尺像東有伽藍伽藍東有鍮石釋迦立像高一百尺伽藍內有佛入涅槃臥像長一千尺竝裝嚴微妙
여기서부터 동남쪽으로 2백여 리를 더 가서 큰 설산을 지나 작은 강에 이르렀다. 여기에도 절이 있었고, 불치(佛齒)와 겁초(劫初) 때의 독각(獨覺)의 치아를 모셨는데, 그 길이는 5촌(寸)이고 너비는 4촌이 조금 안 되었다. 그리고 또 길이 3촌, 너비가 2촌인 금륜왕(金輪王)55)의 치아도 있었다.
032_0658_b_21L此東南行二百餘里度大雪山至小川有伽藍中有佛齒及劫初時獨覺齒長五寸廣減四寸復有金輪王齒長三寸廣二寸
032_0658_c_01L그리고 상낙가박바(商諾迦縛婆)옛날에는 상나화수(商那和修)라 불렀다.가 가지고 던 7~8되 들이 쇠발우와 붉은 색의 승가지의(僧伽胝衣)56)가 있었다. 상낙가박바는 5백 생 동안을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고 한다. 그는 항상 모태(母胎)에서 나올 때부터 이 옷을 입고 나왔고 이것이 뒤에 변해서 가사(袈裟)가 되었다고 한다. 이 인연은 다른 책[西域記]에서 말한 것과 같다.
032_0658_c_02L商諾迦縛娑舊曰商那和修訛也所持鐵鉢量可八九升及僧伽胝衣赤絳色其人五百身中陰恒服此衣從胎俱出後變爲袈裟因緣廣如別傳
이렇게 하여 15일이 지난 뒤에 범연나를 출발했는데 이틀 만에 눈이 내려 길을 잃었다가 한 작은 모래 언덕에 이르러 사냥꾼을 만나 길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흑산(黑山)57)을 건너 가필시(迦畢試)의 국경에 도착했다. 이 나라는 둘레가 4천여 리이며 북쪽으로 설산(雪山)을 등지고 있다.
032_0658_c_05L如是經十五日出梵二日逢雪迷失道路至一小沙嶺遇獵人示道度黑山至迦畢試境國周四千餘里北背雪山
왕은 찰리종(刹利種)58)으로서 병략(兵略)에 밝고 위엄이 있으며 10여 개의 나라를 통솔하고 있었다. 도성 가까이에 이르자 왕은 여러 승려와 함께 성 밖으로 나와 법사를 맞이해 주었다. 절은 백여 개가 있었으며 여러 승려들이 앞 다투어 법사를 자기 절로 모시려 하였다.
032_0658_c_08L王則剎利種明略有威統十餘國將至其都共諸僧竝出城來迎伽藍百餘所僧相諍各欲邀過所住
그때 사락가(沙落迦)라는 소승의 절이 있었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옛날 한(漢) 나라 천자(天子)의 태자가 이 나라에 인질로 잡혀 왔을 때 지었다고 한다. 이 절의 승려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 이 절은 원래 한나라 천자의 아들이 창건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이곳에 오셨으니 마땅히 저희 절에 먼저 머무르셔야 합니다.”
032_0658_c_11L有一小乘寺名沙落迦相傳云是昔漢天子子質於此時作也其寺僧言我寺本漢天子兒作今從彼來先宜過我寺
법사는 그의 간절하고 지성스러움을 보고, 또 동행한 혜성 법사가 같은 소승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대승의 절에 머물기를 꺼리는 것 같아 결국 거기에 가서 머물렀다.
그런데 인질로 온 태자는 이 절을 세울 때, 한량없는 진보(珍寶)를 불당(佛堂)의 동문 남쪽에 있는 대신왕(大神王)의 발밑에 매장했다고 한다. 후에 절을 보수할 때 쓰려고 했던 것 같다. 그래서 모든 승려들은 태자의 은혜를 알고 곳곳의 벽에다 태자의 형상을 그려 놓았다. 그리고 안거(安居)가 끝나는 날에는 태자를 추모하며 강송(講誦)으로 복을 심는 관습이 대대로 전해져 지금까지 끊이지 않고 있다.
032_0658_c_14L法師見其殷至又同侶慧性法師是小乘意復不欲居大乘寺遂卽就停子造寺時又藏無量珍寶於佛院東門南大神王足下擬後修補伽藍僧荷恩處處屋壁圖畫質子之形安居日復爲講誦樹福代代相傳今未息
그런데 이 부근에 악한 왕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탐욕이 많고 포악하여 승보(僧寶)를 빼앗기 위해 사람을 시켜 대신왕의 발밑을 파게 했다. 그러자 땅이 갑자기 크게 흔들리고 대신왕 상(像)의 머리 위에 있는 앵무새의 상이 발굴되는 것을 보고는 날개를 퍼덕이며 놀란 듯이 울어댔다. 그러자 악한 왕과 병사들은 모두 혼비백산해서 도망치고 말았다.
032_0658_c_21L近有惡王貪暴欲奪僧寶使人掘神足下地便大動其神頂上有鸚鵡鳥像見其發掘振羽驚鳴王及軍衆皆悉悶倒懼而還退
032_0659_a_01L그런데 이 절에 있는 탑의 맨 위에 있는 상륜(相輪)이 부서져 승려들이 보물을 꺼내서 수리하려 했으나, 역시 땅이 진동하여 감히 가까이 가지 못했다. 이때 법사가 이 절에 이르자 대중들이 다 운집하여 전에 있었던 일을 말하고 법사에게 협조를 요청했다.
032_0659_a_01L寺有窣堵波相輪摧毀僧欲取寶修營地還振無敢近者法師旣至衆皆聚集請法師陳說先事
법사는 함께 대신왕 앞에 이르러 향을 사르고 고했다.
“인질로 잡혀온 태자가 원래 이곳에 보물을 묻은 뜻은 공덕을 쌓기 위함입니다. 지금 그 보물을 꺼내어 쓰려는 것은 진실로 지금이 바로 그때이기 때문입니다. 바라건대 전혀 사심이 없다는 것을 살피시고 위엄의 덕을 거두어 주소서. 만약 허락해 주신다면 현장은 직접 발굴하는 것을 지켜보고, 그 무게를 파악하여 관리에게 넘기겠습니다. 여법(如法)하게 수리하도록 하여 헛되이 쓰지 않겠나이다. 신(神)의 영(靈)이시여, 바라건대 굽어 살펴 주옵소서.”
032_0659_a_04L法師共到神所香告曰質子原藏此寶擬營功德開施用誠是其時願鑑無妄之心戢威嚴之德如蒙許者奘自觀開知斤數以付所司如法修造不令虛費唯神之靈願垂體察
기도를 마치고 사람들에게 명하여 발굴하게 했는데 아무 우환이 없었다. 발굴을 하여 깊이 7~8척 되는 지점에 이르자 하나의 커다란 동기(銅器)를 얻었는데, 그 안에 황금 수백 근과 밝은 구슬 수십 과(顆)가 나왔다. 대중들은 기뻐하며 법사의 법력에 탄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법사는 그 절에서 하안거(夏安居)를 보내게 되었다.
032_0659_a_09L言訖命人掘之夷然無患深七八尺得一大銅器有黃金數百斤明珠數十顆大衆歡無不嗟伏法師卽於寺夏坐
가필시국왕은 예의 구속[禮羅]을 가벼이 여기고 오직 대승만을 깊이 믿었기 때문에 강송(講誦)하는 것을 즐겁게 여기고 있었다. 그래서 법사와 혜성삼장을 설득시켜 어떤 대승의 절에서 법회를 열었다.
032_0659_a_12L其王輕藝羅信重大乘樂觀講誦乃屈法師及慧性三藏於一大乘寺法集
그 절에는 대승의 삼장인 말로약구사(秣奴若瞿沙)당나라 말로는 여의성(如意聲)이라 한다.와 살바다부(薩婆多部)59)의 승려 아려야벌마(阿黎耶伐摩)당나라 말로는 성조(聖曺)라 한다.와 미사새부(彌沙塞部)60)의 승려 구나발타(求那跋陀)당나라 말로는 덕현(德賢)이라 한다.가 있었는데, 모두 이 나라의 제일인자라고 하였다.
032_0659_a_14L有大乘三藏名祙奴若瞿沙唐言如意聲婆多部僧阿黎耶伐摩唐言聖曹彌沙塞部僧求那跋陁唐言德賢皆是彼之稱首
그러나 학문이 두루 통하지 못하고 대승과 소승으로 각각 나뉘어져서 비록 하나의 이치에 정통했다 하더라도 결국은 한쪽에만 뛰어났을 뿐이다.
그러나 법사는 모든 교리를 두루 알고 있어서 질문하는 내용에 따라서 각각 거기에 맞는 대답을 해주었으므로 모두가 탄복하였다. 이렇게 하여 5일간의 법회는 끝났다.
032_0659_a_17L然學不兼通大小各別雖精一理終偏有所長唯法師備識衆教隨其來問依部答咸皆愜伏如是五日方散
왕은 대단히 기뻐하며 순정한 비단 다섯 필을 특별히 법사에게 보시하고,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각기 차등 있게 주었다.
사락가(沙落迦) 절에서 하안거를 마치고 혜성 법사는 다시 도화라왕(睹貨羅王)의 부름을 받아 돌아가게 되어 법사와 헤어졌다.
032_0659_a_20L甚喜以純錦五疋別施法師以外各各有差於沙落迦安居訖其慧性法師重爲睹貨羅王請卻還法師與別
032_0659_b_01L법사는 동쪽으로 6백여 리를 진행하여 흑령(黑嶺)을 넘어 북인도에 들어가 남파국(濫波國)에 이르렀다. 이 나라의 둘레는 1천여 리이며 절은 열 개나 있고 승려들은 모두 대승을 배우고 있었다.
여기서 3일 동안 머물렀다가 남쪽으로 가서 하나의 작은 산에 이르렀다. 이 산에는 탑이 있었는데 이는 부처님께서 옛날에 남쪽으로부터 걸어오시다가 여기에 이르러 서 계시던 곳이라 한다. 후세 사람들이 그 일을 경모(敬慕)하여 이 탑을 건립했다고 한다.
032_0659_a_23L進行六百餘里越黑嶺入北印度境至濫波國國周千餘里伽藍十所徒皆學大乘停三日南行至一小嶺嶺有窣堵波是佛昔從南步行到此住立後人敬戀故建茲塔
여기서부터 북쪽의 경계 지역은 모두 멸려차(蔑戾車:Mleccha)61)당나라 말로는 변지(邊地)이다.라 한다. 여래께서는 교화하실 때 허공을 타고 왕래하며 땅을 밟지는 않았는데, 왜냐하면 만약 땅 위를 걷게 되면 땅이 기울고 흔들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032_0659_b_05L自斯以北境域皆號篾戾車唐言邊地如來欲有教乘空往來不復履地若步行時便傾動故也從此南二十餘里下嶺濟至那揭羅喝國北印度境
여기에서 남쪽으로 20여 리, 산을 내려가 강을 건너 나게라갈국(那揭羅喝國:Nagarahāra)북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렀다. 큰 성의 동남쪽 2리 되는 곳에는 높이 3배여 척 되는 탑이 있는데, 무우왕(無憂王)62)이 조성한 것이라 한다. 이곳은 석가보살이 제2 승기(僧祇)63) 때 연등불(然燈佛)64)을 만나 사슴가죽으로 만든 옷을 깔고 머리카락으로 진흙을 덮고 수기(受記)를 얻은 곳이라 했다. 비록 겁괴(劫壞)65)를 지났으나 그 유적은 항상 남아 있어서 하늘이 여러 가지 꽃을 뿌려서 공양을 하고 있었다.
032_0659_b_09L大城東南二里有窣堵波高三百餘尺無憂王所造是釋迦菩薩於第二僧祇遇然燈佛敷鹿皮衣及布髮掩泥得受記處經劫壞此迹恒存天散衆華常爲供
법사가 그 탑으로 가서 예배하며 주위를 돌았다. 그러자 옆에 있던 한 노승(老僧)이 탑이 건립 인연을 들려주었다. 그래서 법사가 물었다.
“보살이 머리카락을 땅에 깔았던 그 때는 제2 아승기였습니다. 제2 아승기에서 제3 아승기에 이르기까지는 그 중간에 무량겁(無量劫)을 지났습니다. 그리고 그 한 겁 한 겁마다 세계는 만들어졌다가 괴멸하기를 반복했습니다. 겁괴(劫壞)의 불이 일어났을 때 소미로산(蘇迷盧山)도 재로 변한다고 하는데 어째서 이 유적만 손상이 없습니까?”
032_0659_b_14L法師至彼禮拜旋遶傍有老僧爲法師說建塔因緣法師問曰菩薩布髮之時旣是第二僧祇從第二僧祇至第三僧祇中間經無量劫一一劫中世界有多成壞如火災起時蘇迷盧山尚爲灰燼如何此迹獨得無虧
노승이 대답했다.
“세계가 무너질 때 이 유적도 따라 무너집니다. 그러나 세상이 다시 이루어질 때면 본래대로 이 유적도 다시 나타납니다. 저 소미로산도 무너졌다가 다시 나타났는데 어찌 성적(聖跡)만이 없어지겠습니까? 이로써 생각해보면 굳이 의심할 것도 없습니다.”
이 또한 훌륭한 답변이었다.
여기서 서남쪽 10여 리 되는 곳에도 탑이 있는데, 이곳은 부처님께서 꽃을 산 곳이라 한다.
032_0659_b_19L答曰世界壞時此亦隨壞世界成時當其舊處迹現如本且如蘇迷盧山壞已還有在乎聖迹何得獨無以此挍之不煩疑也亦爲名答次西南十餘里有窣堵波是佛買華處
032_0659_c_01L다시 동남쪽으로 모래 언덕을 넘어 10여 리를 가서 불정골성(佛頂骨城)66)에 이르렀다. 이 성안에는 2층 누각이 있는데, 그 2층에는 7보(寶)로 된 작은 탑이 있어 여래의 정골(頂骨)이 그 안에 모셔져 있다. 정골의 둘레는 1척(尺) 2촌(寸)이고, 털구멍도 분명하며 그 색은 황백(黃白)인데 보함(寶函) 속에 들어 있다.
032_0659_c_01L又東南度沙嶺十餘里到佛頂骨城城有重第二閣中有七寶小塔如來頂骨在中骨周一尺二寸髮孔分明其色黃白盛以寶函
만약 죄복(罪福)을 점치고자 하는 사람은 향 가루를 이겨 반죽하여 명주 헝겊에 싸서 이 정골 위에 덮어 놓고, 나타나는 상으로 길흉을 정한다고 했다. 법사도 그렇게 해봤더니 그 헝겊에 보리수(菩提樹)의 상(像)이 나타났다. 데리고 온 두 사미 가운데 큰 사미한테는 불상(佛像)이 나타났으며 작은 사미한테는 연화상(蓮華像)이 나타났다.
032_0659_c_05L但欲知罪福相者香末爲泥以帛練裹隱於骨上隨其所得以定吉凶法師卽得菩提樹像所將二沙彌大者得佛像小者得蓮華像
그래서 그 정골을 지키고 있던 바라문67)은 기뻐서 법사를 향해 손가락을 퉁겨[彈指]68) 꽃을 뿌리며 말했다.
“법사께서 얻으신 상은 매우 희귀합니다. 이는 보리(菩提)의 분별력이 있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032_0659_c_09L其守骨婆羅門歡喜向法師彈指散華師所得甚爲希有是表有菩提之分
뼈를 모신 촉루골탑(髑髏骨塔)에 있는데 뼈의 모양은 연잎 같으며, 그리고 부처님의 안정(眼睛)이 모셔져 있는데 눈동자 크기가 능금[柰]69)만하고 휘황한 광명이 상자 밖으로 비쳐 나왔다. 또 최상의 고운 모직으로 만든 부처님의 승가지(僧伽胝)70)가 있으며, 그리고 백철(白鐵) 고리가 달리고 전단(栴檀)71)으로 만든 부처님의 석장(錫杖) 등이 있었다.
032_0659_c_11L復有髑髏骨塔骨狀如荷復有佛眼睛睛大如柰光明暉赫徹燭函外復有佛僧伽胝上妙細㲲所作復有佛錫杖白鐵爲環栴檀爲
법사는 각 유품마다 예배를 드리고 간절한 공경의 뜻을 다했다. 그래서 이 절에 금전 50, 은전 1천, 명주로 된 번(幡) 4구, 비단 2단(端)72), 법복 2벌을 시주하고 많은 꽃을 뿌리고 절을 한 뒤 나왔다.
032_0659_c_15L法師皆得禮拜盡其哀敬因施金錢五十銀錢一千綺幡四口錦兩端法服二具散衆雜華辭拜而出
또 법사는 등광성(燈光城)73) 서남쪽 20여 리 되는 곳에 구파라용왕(瞿波羅龍王)이 머물던 암굴74)이 있다는 것을 들었다. 옛날에 여래께서 이 용을 항복시켰는데 지금도 그 안에 부처님의 모습이 남아 있다고 한다. 법사는 그곳으로 가서 예배드리려고 했으나 길이 험악하고 또 도적들이 많아서 2,3년 사이에 왕래하는 사람을 거의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거기에 가는 사람은 매우 드물었다.
032_0659_c_17L又聞燈光城西南二十餘里有瞿波羅龍王所住之窟如來昔日降伏此龍留影在中法師欲往禮拜承其道路荒阻又多盜賊二三年已來人往多不得見以故去者稀疏
032_0660_a_01L그래도 법사는 가서 예배드리려고 했는데, 이때 가필시국(迦畢試國)에서 따라온 사신이 빨리 돌아가고 싶은 생각에 더 머물기를 꺼려하며 가지 말자고 하자 법사가 말했다.
“여래 진신(如來眞身)의 모습은 억겁(億劫)을 지나도 만나기 어렵소. 그런데 여기까지 와서 어떻게 예배를 드리러 가지 않을 수 있겠소. 그대들은 앞서 가고 있으시오. 나는 잠시 들렀다가 가겠소.”
032_0659_c_22L法師欲往禮時迦畢試國所送使人貪其速還不願淹留勸不令去法師報曰如來眞身之影億劫難逢寧有至此不往禮汝等且漸進奘蹔到卽來
그리고는 법사는 혼자서 등광성에 도착하여 한 절에 들어가 그곳까지의 길을 묻고 안내해 줄 사람을 찾았다. 그러나 한 사람도 나서는 자가 없었는데 마침 뒤에 있던 한 소년이 보고 이렇게 말했다.
“이 절의 장원(莊園)이 그 근방에 있는데 지금 법사님을 장원까지는 모셔드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곧 그와 동행하여 장원에 이르러 묵게 되었다. 그때 그 굴의 위치를 알고 있는 한 노인을 만나 안내를 받고 출발했다.
032_0660_a_03L於是獨至燈光城入一伽藍問訪塗路人相引無一肯者後見一小兒云莊近彼今送師到莊卽與同去到莊宿得一老人知其處所相引而發
몇 리를 나아가자 다섯 명의 도적이 칼을 빼들고 다가왔다. 이때 법사는 즉시 모자를 벗고, 법복을 입은 승려임을 나타냈다. 그러자 도적이 물었다.
“법사께서는 어디를 가려고 합니까?”
법사가 대답했다.
“부처님의 진영(眞影)에 예배드리려고 가는 길이오.”
032_0660_a_07L數里有五賊人拔刃而至法師卽去帽現其法服賊云師欲何去欲禮拜佛影
도적이 말했다.
“법사께서는 이곳에 도적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까?”
대답했다.
“도적도 사람이지요. 지금 부처님께 예배드리러 가는 길인데, 비록 맹수들이 길에 득실거린다 해도 나는 두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하물며 단월(檀越)75)들께서는 사람이지 않습니까.”
그러자 도적들도 마침내 발심(發心)하여 법사를 따라가서 예배하게 되었다.
032_0660_a_10L賊云師不聞此有賊耶答云賊者人也今爲禮佛雖猛獸盈衢猶不懼況檀越之輩是人乎賊遂發心隨往禮拜
굴에 이르러보니 굴은 물이 흐르는 동쪽 암벽에 있었고, 입구는 서쪽을 향하고 있었다.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컴컴하여 보이는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었다.
노인이 말했다.
“법사께서 곧장 들어가면 동쪽 암벽에 닿을 것입니다. 거기서 50보 쯤 물러나서 정동(正東)쪽을 바라보면 부처님의 진영(眞影)이 그곳에 있을 것이오.”
032_0660_a_13L旣至窟所窟在石㵎東門向西開窺之窈冥一無所睹人云師直入觸東壁訖卻行五十步正東而觀影在其處
법사는 들어가서 발걸음을 재며 앞으로 50보 쯤 가니 과연 동쪽 암벽에 닿았다. 그래서 뒤로 물러서서 정성을 다하여 백여 번 절을 하였으나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자신의 업장이 두꺼움을 원망하고 비탄에 빠져 고뇌하면서도 다시 지극한 마음으로 『승만경(勝膵經)』76) 등 여러 경전과 찬불게송(讚佛偈頌)을 독송하였다. 찬불하고 예불하고 또 백여 번 절을 하고 나서 동쪽 벽을 보니 발우만한 빛이 나타났다가 곧 사라졌다. 희비(喜悲)가 교차된 가운데 계속 예배를 드리니 다시 쟁반만한 빛이 나타났다가 금방 사라졌다. 법사는 더욱 감동하는 마음이 더해져 스스로 맹세하기를 ‘만약 세존의 진영(眞影)을 뵙지 못한다면 끝내 이곳을 떠나지 않으리라’라고 하였다.
032_0660_a_16L法師入信足而前可五十步果觸東壁訖卻立誠而禮百餘拜一無所見自責障累悲號懊惚更至心禮誦『勝鬘』等諸經讚佛偈頌隨讚隨禮復百餘拜見東壁現如鉢許大光倏而還滅悲喜更復有槃許大光現現已還滅益增感慕自誓若不見世尊影終不移此地
032_0660_b_01L그러면서 또다시 2백여 번 예배를 올리자 드디어 굴 전체가 환해지더니 여래의 모습이 확연히 암벽에 나타났다. 이는 마치 삽시간에 운무(雲霧)가 개여서 황금빛 산을 보는 것과도 같았다. 여래의 모습은 온화하고 거룩했으며 몸에서 환한 빛이 났다. 법사가 우러러보며 기뻐하는 마음이란 어디에 비할 데가 없었다. 불신(佛身)과 가사는 모두 적황색이었고 무릎에서부터 머리까지의 상호(相好)도 매우 분명했으나 연화대좌(蓮華臺座) 아래부터 조금 희미하였다.
무릎 좌우와 뒤쪽에는 보살과 성승(聖僧)들의 모습도 역시 갖추어져 있었다.
032_0660_a_23L如是更二百餘拜遂一窟大明見如來影皎然在壁如開雲霧忽睹金山相熙融神姿晃昱瞻仰慶躍不知所佛身及袈裟竝赤黃色自膝已上相好極明華座已下稍似微昧膝左右及背後菩薩聖僧等影亦皆具有
법사는 친견한 다음 문 밖에 있는 여섯 사람에게 명하여 불을 갖고 들어오도록 하여 향을 사르려고 했다. 그런데 불을 가지고 오자 갑자기 부처의 모습이 다시 사라져버렸다. 그래서 급히 불을 끄게 하고 다시 청하였더니 이윽고 다시 나타나셨다. 그런데 여섯 사람 가운데 다섯 사람만 보았을 뿐 한 사람은 끝내 보지 못했다. 이렇게 하여 반 식경(食頃) 남짓 부처님의 모습을 명확히 볼 수가 있었다. 사람들이 예찬(禮讚)하고 꽃과 향을 공양하고 나자 빛은 완전히 사라졌다. 모두들 밖으로 나왔다. 법사를 모시고 온 바라문은 기뻐하며 일찍이 없었던 일이라고 감탄하며 이렇게 말했다.
“법사의 지극한 정성의 원력(願力)이 깊지 않았다면 이런 일이 일어날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032_0660_b_06L見已遙命門外六人將火入燒香火至欻然佛影還隱急令絕火更請方乃重現六人中五人得見一人竟無所睹如是可半食頃了了明見申禮讚供散花香訖光滅爾乃辭出所送婆羅門歡喜嘆未曾有非師至誠願力之厚無致此也
굴 문 밖에도 수많은 성적(聖跡)이 있었는데 이는 다른 책77)에서 말한 것과 같다. 그런 후에 함께 돌아왔으며 그 다섯 명의 도적들은 칼을 버리고 법사에게 계를 받고는 헤어졌다.
032_0660_b_13L窟門外更有衆多聖迹說如別傳相與歸還五賊皆毀刀杖受戒而別
여기서부터 법사는 다시 일행들과 만나서 함께 동남쪽으로 5백여 리의 산길을 나아가 건다라국(健陀邏國)옛날에 건타위(健陀衛)라 한 것은 잘못 전해진 것이다. 북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이 나라의 동쪽은 신도하(信度河)78)에 임해 있고 도성(都城)은 포로사포라(布路沙布羅)라 불렀다.
032_0660_b_15L從此復與伴合東南山行五百餘里至健陁邏舊云健陁衛訛也北印度境也其國東臨信度河城號布路沙布羅
이 나라에서는 성현(聖賢)이 많이 배출되어 예로부터 논(論)을 지은 여러 법사, 즉 나라연천(那羅延天:Nārāyana)79)ㆍ무착보살(無着菩薩:Asaṅ- gha)80)ㆍ세친보살(世親菩薩:Vasubandhu)81)ㆍ법구(法救:Dharmatrāta)82)ㆍ여의(如意:Manoratha)ㆍ협존자(脇尊者:Pārśva) 등이 모두 이 나라 출신이었다.
왕성(王城)의 동북쪽에 부처님의 발우를 놓아두었던 보대(寶臺)가 있었으나 발우는 그 뒤로 여러 나라에 옮겨졌다. 지금은 바자나사국(波刺拏斯國)에 있다.
032_0660_b_18L國多賢聖古來作論諸師那羅延天無著菩薩世親菩法救如意脅尊者等皆此所出也王城東北有置佛鉢寶臺鉢後流移諸國今現在波剌拏斯國
032_0660_c_01L성 밖의 동남쪽으로 8~9리 되는 곳에 필발라수(畢鉢羅樹)가 있는데 높이가 백여 척이나 된다. 과거의 네 부처님이 모두 이 나무 아래에 앉아 수행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네 여래의 상(像)이 거기에 있다. 앞으로 출현하실 996명의 부처님도 역시 이곳에 앉으시리라.
032_0660_b_22L城外東南八九里有畢鉢羅樹高百餘尺過去四佛竝坐其下現有四如來像當來九百九十六佛亦當坐焉
필발라수 옆에는 또 탑이 있는데 이는 가니색가(迦膩色迦:Kaniṣka) 왕이 만든 것으로 높이 4백 척, 기부(基部)의 둘레가 1.5리(里)이다. 높이 150척의 상단에는 금동상륜(金銅相輪)이 25층이나 되며 그 안에는 여래의 사리가 한 말이나 들어 있다.
이 큰 탑(塔)의 서남쪽으로 1백여 걸음 되는 곳에 흰 석상(石像)이 있는데 크기가 1장(丈) 8척이나 되고 북쪽으로 향하고 있다. 영험과 상서로움이 많아서 이따금 불상이 밤에 큰 탑을 돌고 있는 것을 보았다는 사람들도 있다.
032_0660_c_02L其側又有窣堵波是迦膩色迦王所造高四百基周一里半高一百五十尺其上起金銅相輪二十五層中有如來舍利一斛大窣堵波西南百餘步有白石像高一丈八尺北面立極多靈瑞往往有人見像夜遶大塔經行
가니색가 가람으로부터 동북쪽으로 1백여 리를 가서 큰 강을 건너 포색갈라벌저성(布色羯羅伐底城)83)에 이르렀다. 성 동쪽에는 탑이 있는데 무우왕(無憂王)이 만든 것이라고 한다. 이곳은 과거 네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던 곳이다.
032_0660_c_08L迦膩色迦伽藍東北百餘里渡大河至布色羯羅伐底城城東有窣堵波無憂王所造卽過去四佛說法處也
성 북쪽 4~5리 되는 곳에 있는 가람 안에 2백여 척 되는 탑이 있는데 이것도 무우왕이 건립한 것이라 한다. 이곳은 석가불(釋迦佛)이 옛날에 보살도(菩薩道)를 행하실 때 혜시(惠施)를 즐겨 행하셨던 곳으로, 석가불께서 이 나라에 1천 번이나 환생하여 왕이 되시어 장님을 위해 천 번이나 눈을 뽑아주셨던 곳이라 하였다.
032_0660_c_11L城北四五里伽藍內有窣堵波高二百餘尺無憂王所立卽釋迦佛昔行菩薩道樂行惠施於此國千生爲王卽千生捨眼處
이러한 등등의 성적(聖跡)이 수없이 많은데 법사는 모두 두루 순례하고, 고창왕(高昌王)이 보시한 금과 은과 비단과 의복 등을 큰 탑이나 큰 가람에 다 나누어 공양하고 정성을 다한 뒤에 떠났다.
032_0660_c_15L此等聖迹無量法師皆得觀禮自高昌王所施金衣服所至大塔大伽藍處皆分留供養申誠而去
여기서부터 다시 더 나아가서 오탁가한다성(烏鐸迦漢茶城)84)에 도착했다. 성 북쪽으로 산과 강을 건너 6백여 리를 행진하여 오장나국(烏仗那國)85)당나라에서는 원(苑)이라 한다. 옛날 아수가왕(阿輸迦王)86)의 동산이다. 전에 오장(烏長)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으로 들어갔는데 이곳은 소바살도(蘇婆薩堵) 강을 끼고 있었다.
옛날에는 1천4백여 개의 가람이 있었고 승려는 무려 1만 8천 명이 되었었으나 지금은 다 없어지고 황무지가 되었다고 한다.
032_0660_c_18L從此又到烏鐸迦漢荼城城北陟履山川行六百餘里入烏仗那國唐言苑昔阿輸迦王之苑也舊稱烏長訛也夾蘇婆薩堵河昔有伽藍一千四百所僧徒一萬八今竝荒蕪減少
032_0661_a_01L그곳 승려들의 율의(律儀)와 종파(宗派)는 5부(部)가 있었는데, 첫째는 법밀부(法密部)87), 둘째는 화지부(化地部)88), 셋째는 음광부(飮光部), 넷째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89), 다섯째는 대중부(大衆部)90)였다.
이 나라 왕은 주로 몽게리성(瞢揭椒城:Maṅgalipura)에 살았으며, 인구가 많고 물자가 풍부했다.
032_0660_c_22L其僧律儀傳訓有五部焉法密部化地部飮光說一切有部大衆部其王多居瞢揭釐城人物豐盛
성 동쪽 4~5리 되는 곳에 커다란 탑이 있는데 기이하고 상서로운 일이 많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곳은 옛날에 부처님이 인욕선인(忍辱仙人)이 되시어 갈리왕(羯利王:Kāli)당나라 말로는 투쟁(鬪諍)이다. 옛날의 가리(歌利)91)는 잘못이다.을 위해 몸을 잘랐다는 곳이다.
032_0661_a_02L城東四五里有大窣堵波多有奇瑞是佛昔作忍辱仙人爲羯利王唐言鬪諍舊曰歌利訛也割截身
성의 동북쪽으로 250리를 가서 큰 산으로 들어갔다가 아바라라용천(阿波邏羅龍泉)92)에 이르렀다. 이곳은 소바(蘇婆)강의 상류로서 서남쪽으로 흐르고 있는데 이 지역은 한냉(寒冷)하여 봄과 여름에도 항상 얼어붙어 있다. 해가 지면 다섯 가지 빛깔을 머금은 눈이 날리는데, 내리는 모양이 마치 여러 가지 꽃잎이 난무(亂舞)하는 듯했다.
032_0661_a_05L處城東北二百五十里入大山阿波邏羅龍泉卽蘇婆河之上源也西南流其地寒冷春夏恒凍暮卽雪仍含五色霏霏舞亂如雜華焉
용천에서 서남쪽 30여 리 되는 강의 북쪽 언덕 반석(磐石) 위에는 부처님 발자취의 흔적이 있는데, 사람들의 복덕과 발원[福願]에 따라서 길어지기도 하고 짧아지기도 한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옛날에 아바라라용을 항복받았을 때 이곳에 오시어 족적을 남기고 가신 것이라고 한다.
다시 강을 따라 30여 리를 내려가면 여래께서 의복을 빨 때 사용하였다는 돌이 있는데, 가사 조각의 무늬가 뚜렷이 남아 있다.
032_0661_a_08L泉西南三十餘里水北岸磐石上有佛腳迹隨人福願量有脩短是佛昔伏阿波邏羅龍時至此留迹而去流下三十餘里有如來濯衣石袈裟條葉文相宛然
성 남쪽으로 4백여 리를 가서 혜라산(醯羅山)에 이르렀다. 이곳은 옛날에 여래께서 반게(半偈)93)옛날에 게(偈)라 한 것은 범문(梵文)의 약자(略字)이다. 혹은 게타(偈陀)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범문을 잘못 읽은 것이니 지금은 정음(正音)을 따라 마땅히 가타(伽陀)라 해야 한다. 가타를 당(唐)에서는 송(頌)이라 하는데 송은 32언(言)으로 되어 있다.를 들으시고 약차(藥叉)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몸을 낭떠러지로 던져 투신한 곳이다.
032_0661_a_13L城南四百餘里至醯羅山是如來昔聞半偈舊曰偈梵文略也或曰偈陁文訛也今從正宜云伽陁伽陁唐言頌有三十二言也報藥叉之恩捨身下處
몽게리성에서 서쪽으로 40~50리를 가서 큰 강을 건너 노혜달가(盧醯呾迦:Rohitaka)당나라말로는 적(赤)이다. 탑에 이르렀다. 탑의 높이는 10여 장(丈)이며 무우왕이 조성했다고 한다. 이곳은 여래께서 옛날에 자력왕(慈力王:Maitribara)94)이 되었을 때 칼로 몸을 베어 약차에게 먹였던 곳이다옛날에 야차(夜叉)라고 했던 것은 잘못이다..
032_0661_a_16L瞢揭釐城西五十里渡大河至盧醯呾迦唐言赤窣堵波高十餘丈無憂王所造是如來往昔作慈力王時以刀刺身飤五藥叉處舊云夜叉訛也
성의 동북쪽으로 30여 리 가서 알부다(遏部多)당나라 말로는 기특(奇特)이다.의 석탑(石塔)에 이르렀는데 탑 높이는 30척이나 되었다. 옛날에 부처님께서 이곳에 계시면서 인천(人天)을 위해 설법하시던 곳인데, 부처님께서 가신 뒤에 저절로 이 탑이 솟아났다고 한다.
032_0661_a_19L城東北三十餘里至遏部多唐言奇特窣堵波高三十尺在昔佛於此爲人天說法佛去後自然踊生此塔
032_0661_b_01L탑으로부터 서쪽으로 큰 강을 건너 3~4리를 더 가서 한 정사(精舍)에 이르렀다. 이곳에는 아박로지다이습벌라보살(阿縛盧枳多伊濕伐羅菩薩)당나라에서는 관자재(觀自在)라고 한다. 글자를 이어서 발음하면 범어(梵語)로는 위와 같지만, 그러나 글을 나누어 말하면 아박로지다(阿縛盧枳多)는 관(觀)이라 번역하고, 이습벌라(伊濕伐羅菩薩)는 자재(自在)라 번역한다. 옛날에 광세음(光世音), 또는 관세음(觀世音), 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라 한 것은 모두 잘못 된 것이다.이 있는데 두드러지게 영험하였다고 한다.
032_0661_a_22L塔西渡大河三四里至一精舍有阿縛盧枳多伊濕伐羅菩薩像唐言觀自在合字連聲梵語如上文而言卽阿縛盧枳多譯曰觀伊濕伐羅譯曰自在舊云光世音或觀世音或觀世音自在皆訛也威靈極著
이 성의 동북쪽에도 사람이 산다는 말을 듣고 산곡(山谷)을 타고 넘어서 사다(徙多)95)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길은 매우 험하여 굵은 밧줄을 타고 기어오르기도 하고 구름다리[飛梁]를 건너기도 하여 거의 천여 리쯤 가자 달려라강(達麗羅江)96)에 이르렀다. 이곳은 오장나(烏杖那)의 옛 수도이다.
032_0661_b_03L城東北聞說有人登越山逆上徙多河塗路危險攀緣緪繅踐躡飛梁可行千餘里至達麗羅川卽烏杖那舊都也
그 강의 중간에 있는 큰 가람 옆에 목각(木刻)으로 된 자씨보살상(慈氏菩薩像)이 있었다. 금색으로 장엄되었고 높이는 백여 척이나 되었는데 말전저가(末田底加:Madhyantika)97)옛날에 말전지(末田地)라 한 것은 잘못 된 것이다.라고 하는 아라한(阿羅漢)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신통력으로써 장인(匠人)을 데리고 도사다천(覩史多天)98)옛날에 도솔타(兜率陀)라 한 것은 잘못 된 것이다.에 올라 직접 미묘한 모습[妙相]을 관찰하기를 세 차례나 반복하며 마침내 완성하였다고 한다.
032_0661_b_06L其川中大伽藍側有刻木慈氏菩薩像金色裝嚴高百餘尺末田底加舊曰末田地阿羅漢所造彼以神通力將匠人昇睹史多天舊曰兜率陁訛也親觀妙相往來三返爾乃功畢
오탁가한다성(烏鐸迦漢茶城)에서 남쪽으로 신도하를 건넜다. 이 강의 폭은 3~4리 되고, 매우 맑은 물이 급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가운데 동굴 속에는 독룡(毒龍)과 사나운 짐승들이 많이 살고 있다. 인도의 기이한 보배나 이름난 꽃, 그리고 사리(舍利)를 가지고 이 강을 건너면 그 배는 전복해 버린다고 한다. 신도하를 건너서 달차시라국(呾叉始羅國)99)북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렀다.
032_0661_b_10L自烏鐸迦漢茶城南渡信渡河河廣三四里流極淸急毒龍惡獸多窟其有持印度奇寶名花及舍利渡者舩輒覆沒渡此河至呾叉始羅國北印度境
이 성의 북쪽으로 12~13리 되는 곳에 탑이 있었는데 무우왕이 건립한 것으로 항상 신령스러운 빛을 나타내고 있다. 이곳은 여래께서 옛날에 보살도를 행하실 때 큰 나라의 왕이 되시어 이름을 전달라발자바(戰達羅鉢刺婆)당나라 말로는 월광(月光)이다.라 하여서 항상 보리(菩提)를 구하는데 뜻을 두어 천 번이나 머리를 버린 곳이다.
이 탑 옆에 가람이 있는데 옛날에 경부사(經部師) 구마라다(拘摩邏多)100)당나라 말로는 동수(童壽)이다.가 여기에서 『중론(衆論)』을 지었다고 한다.
032_0661_b_15L其城北十二三里有窣堵波無憂王所建每放神光是如來昔行菩薩道爲大國王號戰達羅鉢剌婆唐言月光志求菩提捨千頭處塔側有伽藍經部師拘摩邏多唐言童壽於此製造衆
032_0661_c_01L여기서부터 동남쪽으로 7백여 리를 가면 승하보라국(僧揀補羅國)101)북인도의 국경이다.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달차시라의 북쪽 경계에서 신도하를 건너 동남쪽으로 2백여 리를 가서 큰 석문(石門)을 지나면, 옛날에 마하살타 왕자(摩訶薩埵王子)가 굶주린 일곱 마리의 굶주린 까마귀[烏擇]들에게 자신의 몸을 뜯어먹게 한 곳이 나온다. 이 땅은 옛날에 왕자의 신혈(身血)로 물들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역시 검붉으며 초목들도 붉은 색이 난다.
032_0661_b_20L從此東南七百餘里聞有僧訶補羅國北印度境又從呾叉始羅北界渡信度河東南行二百餘里經大石門昔摩訶薩埵王子於此捨身飤餓烏音徒七子處其地先爲王子身血所今猶絳赤草木亦然
다시 여기에서 동남쪽으로 산길을 따라 5백여 리를 가서 오랄차국(烏剌叉國)102)에 이르렀다. 또 동남쪽으로 위험한 길에 올라 철교(鐵橋)를 건너 천여 리를 가서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103)구전(舊傳)에 계빈(罽賓)이라 한 것은 잘못 된 것이다.에 이르렀다.
그 도성은 서쪽으로 큰 강에 임해 있으며, 가람은 백여 개나 되고 승려도 5천여 명이나 되었다. 여기에는 4개의 탑이 있는데 모두 높고 장엄하며 무우왕이 세웠다고 한다. 각 탑마다 여래의 사리를 한 말씩 봉안하고 있다.
032_0661_c_02L又從此東南山行五百餘里至烏剌叉國又東南登危險度鐵橋行千餘里至迦濕彌羅國舊曰罽賓訛也其都城西臨大河伽藍百所僧五千餘人有四窣堵波崇高壯麗無憂王所建各有如來舍利斗
법사가 국경에 들어와 제일 먼저 석문(石門)에 이르렀는데 이것은 이 나라의 서문에 해당된다. 왕은 자신의 외숙을 보내 거마(車馬)를 갖추어 맞아들였다. 석문에 들어와서는 여러 가람을 돌아보고 예배한 뒤 어떤 절에서 쉬게 되었다. 절 이름은 호슬가라(護瑟迦羅:Huṣkara)라 했다.
032_0661_c_08L法師初入其境至石門彼國西門王遣母弟將車馬來迎入石門已歷諸伽藍禮拜到一寺宿寺名護瑟迦羅
그날 밤에 모든 승려들의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이 객승(客僧)은 마하지나국(摩訶脂那國)104)에서 왔다. 경전을 배우러 인도로 가 성적(聖跡)을 순례하면서 아직 알지 못하는 것을 배우려 하고 있다. 그 사람은 법을 위해 왔으며, 수많은 선신(善神)이 보호하여 현재 이 절에까지 오게 되었다. 그대들은 과거의 복업(福業)으로 먼 나라 사람의 흠모를 받고 있으니 마땅히 부지런히 경전을 학습하여 남에게 숭앙을 받아야 하는데도 어찌하여 게으르게 잠만 자고 있느냐?”
032_0661_c_11L其夜衆僧皆夢神人告曰此客僧從摩訶脂那國來欲學經印度觀禮聖迹師稟未聞其人旣爲法來有無量善神隨逐現在於此師等宿福爲遠人所慕宜勤誦習令他讚仰如何懈怠沈沒睡眠
모든 승려들은 이 말을 듣고 저마다 깜짝 놀라 깨어나서 경전을 읽기도 하고 명상에 잠기기도 했다. 날이 밝자 모두 법사에게 와서 그 인연을 말하고 더욱 엄숙하게 예경(禮敬)했다. 이렇게 해서 며칠 뒤에 법사는 왕성 가까이로 다가가서 거리가 1유순(由旬)105) 쯤 되는 곳에 있는 달마사라(達摩舍羅:Dharmaśālā)당나라에서는 복사(福舍)라 한다. 왕명으로 세워진 것으로 여행객이나 가난한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에 도착했다.
032_0661_c_16L諸僧聞已各各驚寤經行禪誦至旦竝來說其因緣禮敬逾肅如是數日漸近王城離可一由到達摩舍羅唐言福舍王教所立使招延行旅給贍貧乏也
왕은 여러 신하들과 도성에 있는 승려들을 거느리고 복사(福舍)까지 마중 나왔으며, 왕을 따르는 사람은 천여 명이나 되었다. 깃발과 수레가 길을 가득 메웠으며 향냄새와 꽃이 길에 가득했다.
왕이 먼저 와 있다가 법사를 뵙자 정중히 예찬하고 손수 수없이 많은 꽃을 공양하며 뿌렸다. 그런 다음 큰 코끼리에 타기를 청하고 서로 나란히 도성으로 들어갔다. 도성으로 들어가 사야인다라사(闍耶因陀羅寺:Jayendra)이 절은 왕의 외숙이 세운 것이다.에서 멈추었다.
032_0661_c_19L率群臣及都內僧詣福舍相迎羽從千餘人幢蓋盈塗煙華滿路旣至見禮讚殷厚自手以無量華供養散請乘大象相隨而進至都止闍耶因陁羅寺王舅所立也
032_0662_a_01L다음날 왕은 법사를 왕궁으로 초청하여 공양하면서 아울러 대덕(大德) 승칭(僧稱) 등 수십 명도 참석하도록 했다. 식사가 끝나자 왕은 강의를 열도록 청하고 법사로 하여금 강론하게 했다. 왕은 강론하는 것을 보고 대단히 기뻐하였다. 그리고 배우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먼 곳에서 찾아왔으나 읽고자 하는 책이 없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서사(書士) 20명을 뽑아 경론(經論)을 베끼도록 하고, 별도로 심부름하는 사람 다섯 명을 딸려 주었다. 그리고 필요한 경비가 있으면 일일이 다 공급해 주었다.
032_0662_a_01L明日請入宮供養命大德僧稱等數十人食訖王請開令法師論難觀之甚喜又承遠來慕學尋讀無本遂給書手二十人寫經別給五人供承驅使資待所事事公給
이 나라의 승칭(僧稱) 법사라는 사람은 덕행이 높은 사람으로서 계를 지키는 데 순결하고 사려가 깊으며 박학하고 뛰어난 재주와 지혜를 지녔으며 현인(賢人)을 사랑하고 선비들을 중히 여기고 있었다. 법사는 이미 왕실의 귀한 손님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 자리에서 서로 마주하게 되었다.
032_0662_a_06L彼僧稱法師者高行之人戒禁淳潔思理淹深多聞摠持才睿神茂而性愛賢重士旣屬上賓盱衡延納
법사도 역시 마음을 기울여 밤낮으로 질문하여도 피로한 줄 몰랐다. 그래서 법사는 여러 논(論)을 강의해주기를 청하였다. 승칭 법사는 이때 나이 70이 다 되어 기력도 매우 쇠퇴해 있었다.
그러나 그는 법사와 같은 신기(神器)를 만난 것을 기뻐하며 이에 힘을 다하였다. 오전에는 『구사론』을 강의하고 오후부터는 『순정리론(順正理論)』106)을 강의하고, 저녁에는 『인명(因明)』107)과 『성명론(聖明論)』을 강의하였다. 이 강의에는 절 안의 학인(學人)이 다 참석하였다.
법사는 설한 내용에 따라서 모조리 깨쳤으며, 깊고 세밀하게 연구하여 그 신비함을 모두 납득했다.
032_0662_a_09L法師亦傾心諮稟曉夜無疲請講授諸論彼公是時年向七十力已衰慶逢神器乃勵力敷揚自午已前講『俱舍論』自午已後講『順正理論』初夜後講『因明』『聲明論』由是境內學人無不悉集法師隨其所說領悟無硏幽擊節盡其神秘
승칭 법사는 기뻐서 끝없이 칭찬을 하면서 여러 사람들에게 말했다.
“이 중국 승려의 지력(智力)은 넓고 커서 여기 대중들 가운데서는 능히 따를 자가 없다. 그의 총명함은 세친(世親) 형제108)의 풍도를 이었다 하겠다. 단지 애석한 것은 그는 먼 나라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성현(聖賢)이 후세에 남긴 가르침을 접하지 못했다는 것뿐이다.”
032_0662_a_15L彼公歡喜歎賞無極謂衆人曰此脂那僧智力宏贍顧此衆中無能出者以其明懿足繼世親昆季之風所恨生乎遠國不早接聖賢遺芳耳
이때 대중 가운데 대승(大乘)의 학승인 비술타승하(毘戌陀僧揀:Viśu- ddhasimha)당(唐) 나라 말로는 정사자(淨師子)라 한다.와 진나반다(辰那飯茶)당나라 말로는 최승친(最勝親)이라 한다.와 살바다(薩婆多)의 학승 소가밀다라(蘇伽蜜多羅:Sugatamitra)당나라 말로는 여래우(如來友)라 한다.와 바소밀다라(婆蘇蜜多羅:Vasumitra)당나라 말로는 세우(世友)라 한다., 그리고 승기부(僧祇部)109)의 학승 소리야제바(蘇利耶提婆:Sūryadeva)당나라 말로는 일천(日天)이라 한다.와 진나달라다(辰那呾邏多:Jintrata)당나라 말로는 최승구(最勝救)라 한다. 등이 있다.
032_0662_a_19L時衆中有大乘學僧毘戍陁僧訶唐言淨師子辰那飯茶唐言最勝親薩婆多學僧蘇伽蜜多羅唐言如來友婆蘇蜜多羅唐言世友僧祇部學僧蘇利耶提婆唐言日天辰那呾邏多唐言最勝救
032_0662_b_01L이 나라는 예로부터 학문을 숭상하였기에 이 승려들은 모두 도업(道業)이 굳고 재주와 지혜도 뛰어났다. 이들은 비록 승칭에게는 미치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비한다면 아주 뛰어난 이들이었다.
이들은 법사가 자기들의 큰 스승에게 극찬을 받는 것을 보고는 분개하여 법사에게 어려운 질문을 퍼부었다. 그러나 법사는 조목조목 밝혀가며 막힘없이 대답하니 이로부터 그들 또한 자신들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러워하며 승복하게 되었다.
032_0662_a_23L其國先來尚學而此僧等皆道業堅貞才解英富比方僧稱雖不及比諸人足有旣見法師爲大匠襃揚無不發憤難詰法師法師亦明目酬對無所蹇由是諸賢亦率慚服
이 가습미라국은 옛날에 용지(龍池)였다.
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고 50년 뒤에 아난(阿難)의 제자 말전저가(末田底迦) 아라한이 용왕을 교화하여 이 못을 희사하게 하고, 이곳에 5백 개의 가람을 세워서 모든 현성(賢聖)을 불러 여기에 머물게 한 뒤 용의 공양을 받도록 하였다고 한다.
032_0662_b_05L其國先是龍佛涅槃後第五十年阿難弟子末田底迦阿羅漢教化龍王捨池立五百伽藍召諸賢聖於中住止受龍供
그 뒤 건다라국(健陀羅國)의 가니색가왕(迦蘖色迦王)110)은 여래께서 입멸하신 지 4백 년이 되던 해에, 협존자(脇尊者)111)의 요청으로 모든 성중(聖衆) 중에서 안으로 삼장(三藏)을 깊이 연구하고 밖으로 5명(明)112)에 통달한 자를 모았다. 그래서 승려 499명과 존자 세우(世友:Vasumitra)를 얻었다. 이렇게 5백 명의 현성(賢聖)이 모이자 여기에서 삼장을 결집하게 되었다.
032_0662_b_09L其後健陁羅國迦膩色迦王如來滅後第四百年因脅尊者請諸聖衆內窮三藏外達五明者得四百九十九人及尊者世友合五百賢聖於此結集三藏
먼저 『오바제삭론(鄔波第鑠論)』옛날에 우바제사(優波提舍)라 한 것은 잘못이다. 10만 송(頌)을 만들어 『소달람장(素呾纜藏)』옛날에 수다라(修多羅)113)라 한 것은 잘못이다.을 해석하고, 다음으로 『비나야비바사론(毘奈耶毘婆沙論)』 10만 송을 만들어 『비나야장(毘奈耶藏)』옛날에 비야(毘耶)라 한 것은 잘못이다.을 해석하고, 다음에 『아비달마비바사론(阿毘達磨毘婆沙論)』 10만 송을 만들어 『아비달마장(阿毘達磨藏)』혹 『아비담(阿毘曇)』이라 하는 것은 잘못이다.을 해석했는데 무려 30만 송 96만 언(言)이다.
032_0662_b_13L先造十萬頌『鄔波第鑠論』舊曰『優波提舍』訛也釋『素呾纜藏』舊曰『修多羅』訛也次造十萬頌『毘柰耶毘婆沙論』釋『毘柰耶藏』舊曰『毘耶』訛也次造十萬頌『阿毘達磨毘婆沙論』釋『阿毘達磨藏』或曰『阿毘曇』訛也凡三十萬頌九十六萬言
왕은 적동(赤銅)으로 판(版)을 만들어 거기에 논의 문장을 새겨서 석함(石函)에 넣고 봉했다. 그리고 큰 탑을 세워서 그 안에 넣은 다음 약차신(藥叉神)에게 수호하도록 명하였다. 불교의 오묘한 뜻이 거듭 밝아지게 된 것은 이런 힘 때문이었다.
이렇게 법사가 머물기 꼭 2년 만에 모든 경론을 배우고, 성적(聖跡) 순례를 마치고 나서 떠났던 것이다.
032_0662_b_18L王以赤銅爲鍱鏤寫論石函封記建大窣堵波而儲其中命藥叉神守護奧義重明此之力也如是停留首尾二年學諸經禮聖迹已乃辭出
032_0662_c_01L이 가습미라국에서 서남쪽으로 산과 계곡을 넘고 건너 7백 리를 가서 반노차국(半笯嗟國)에 이르렀다. 여기서 동남쪽으로 4백여 리를 가서 알라사보라국(遏邏睹補羅國:Rājapura)북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렀다. 여기서 다시 동남쪽으로 산을 내려가고 물을 건너 7백여 리를 더 가서 책가국(礫迦國:Takka)북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렀다.
032_0662_b_22L西南逾涉山㵎行七百里至半笯奴故嗟國從此東南行四百餘里至遏邏闍補羅國北印度境從此東南下山渡水行七百餘里至礫迦國北印度境
남파국(藍波國)에서 이 영토까지는 인도에서도 변방이기 때문에 풍속이나 행동거지와 의복과 언어들이 모두 인도와 달리 야비하고 경박한 데가 있었다.
알라사보라국을 출발한 지 3일이 지나 전달라바가하(栴達羅婆伽河: Candrab)중국 말로는 월분(月分)이라고 한다.를 건너고 사야보라성(闍耶補羅城:Jayapura)에 이르러 외도(外道)의 절에서 묵었다. 이 절은 성(城) 서문 밖에 있는데 이 당시에는 승려 20여 명이 있었다.
032_0662_c_02L自藍波至於此土其俗旣住邊荒儀服語言稍殊印度有鄙薄之風焉自出曷邏闍補羅國經三日渡栴達羅婆伽河此云月分到闍耶補羅城宿於外道寺寺在城西門外是時徒侶二十餘人
다음 날 계속 전진하여 사갈라성(奢羯羅城)114)에 도착했는데 성안에는 가람이 있었고 승려는 백여 명이나 되었다. 이곳은 옛날 세친보살(世親菩薩)이 『승의제론(勝義諦論)』을 저술한 곳이다. 그 옆에는 높이 2백 척이나 되는 탑이 있었는데, 이곳은 과거의 네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던 곳으로 지금도 경행(經行)하던 유적이 있다.
032_0662_c_07L後日進到奢羯羅城城中有伽藍徒百餘人昔世親菩薩於中製『勝義諦論』其側有窣堵波高二百尺是過去四佛說法之處見有經行遺迹
여기에서 출발하여 나라승하성(那羅僧揀城)의 동쪽 파라사(波羅奢:Palāśā)의 큰 숲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50여 명의 도적떼들과 마주쳤다. 도적들은 법사와 그 일행의 의복과 노자를 모두 강탈하고서 칼을 휘두르며 길 남쪽에 있는 말라붙은 못으로 몰아넣고는 모두 살해하려고 했다.
032_0662_c_11L此出那羅僧訶城東至波羅奢大林逢群賊五十餘人法師及伴所將衣資劫奪都盡仍揮刀驅就道南枯池欲摠屠害
그 못 안에는 가시나무와 덩굴이 우거져 있었는데, 법사를 따라다니는 사미가 우거진 수풀 사이로 못의 남쪽 귀퉁이에 겨우 사람이 통과할 만한 수로(水路)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사미가 법사에게 가만히 아뢰니 법사는 곧 사미와 함께 도망쳐 나갔다. 동남쪽으로 2~3리 쯤 뛰어 가다가 밭갈이하는 한 바라문을 만나 그에게 도적떼를 만났던 이야기를 했다.
032_0662_c_15L其池多有蓬棘蘿蔓法師所將沙彌遂映刺林見池南岸有水穴堪容人過私告法師師卽相與透出東南疾走可二三里遇一婆羅門耕地告之被賊
그 사람은 법사의 말을 듣고는 깜짝 놀라서 즉시 소를 법사에게 맡긴 뒤 마을을 향해 소라를 불고 북을 쳐서 알리니 80여 명 쯤 되는 사람이 모였다. 각자 무기를 들고 급히 도적떼가 있는 곳으로 달려갔는데, 몰려오는 군중을 본 도적들은 흩어져 도망치며 각기 산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032_0662_c_19L彼聞驚愕卽解牛與法師向村吹貝聲鼓相命得八十餘人各將器仗急往賊所賊見衆人逃散各入林閒
법사는 못으로 가서 묶여 있는 사람들의 오랏줄을 풀어주고는 마을 사람들이 보시한 옷을 나누어 입게 하고 그들을 데리고 마을로 가서 투숙했다. 사람들은 다들 분해서 슬피 울었으나 오직 법사만은 오히려 아무 근심이 없다는 듯이 미소 짓고 있었다. 함께 있던 사람이 그것을 보고 물었다.
032_0662_c_22L法師遂到池解衆人縛又從諸人施衣分與相攜投村宿人悲泣獨法師笑無憂慼同侶問曰
032_0663_a_01L“우리는 여행길에 도적들에게 옷가지와 노자를 몽땅 약탈당하고 오직 목숨만 겨우 살아남았을 뿐 곤궁하고 초라하며 괴롭기가 지금 극에 달했습니다. 산중에서 당한 일을 생각하니 자신도 모르게 슬퍼 마음이 아픕니다. 그런데 법사님은 무슨 일로 함께 근심하지 않고 도리어 흔연히 웃고 계십니까?”
032_0663_a_01L行路衣資賊掠俱盡唯餘性命僅而獲存困弊艱危理極於此所以卻思林中之事不覺悲傷法師何因不共憂之倒爲欣笑
법사가 대답했다.
“살아가면서 가장 귀한 것은 생명이오. 생명이 붙어 있으니 무엇을 걱정할 것이 있겠소.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속서(俗書)에 ‘세상에서 가장 큰 보물은 살아 있다는 것이다’라고 하였소. 살아 있기만 하면 큰 보물은 잃지 않은 것이니 사소한 옷가지나 재물 같은 것이야 뭐 그리 아까워할 게 있겠소.”
이 말을 듣고 일행은 느끼고 깨달은 바가 있었다. 법사의 마음은 한없이 크고 맑은 물과 같아 아무리 흐리려 해도 흐려지지 않음이 이와 같았다.
032_0663_a_05L答曰居生之貴唯乎性命性命旣在餘何所憂故我土俗書云天地之大寶曰生生之旣在則大寶不亡小小衣資何足憂悋是徒侶感悟其澄陂之量渾之不濁如此
다음 날 역가국(礫迦國)의 동쪽 경계에 있는 큰 성에 도착했다. 성의 서쪽 길 북쪽에 넓은 암라(菴羅)115) 숲이 있는데, 그 숲 속에 7백 살이나 된 바라문이 살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그곳에 가서 그를 만나보니 한 30세 쯤 된 것 같이 보였다.
신체가 건장하고 얼굴에는 신령스러운 빛이 흐르고 있었고 『중론(中論)』116)ㆍ『백론(百論)』117) 등 여러 논에 밝았으며, 『베다(吠陀)』118) 등의 고전에도 능통했다. 그에게는 시자(侍者)가 둘이 있었는데 두 사람 다 백세가 넘었다고 했다.
032_0663_a_10L明日到礫迦國東境至一大城城西道北有大菴羅林林中有一七百歲婆羅門及至觀之可三十許質狀魁梧神理淹審明『中』『百』諸論『吠陁』等書有二侍者各百餘歲
법사를 맞아들여 이야기하며 대단히 기뻐하였다. 그리고 도적을 만났다는 말을 듣고는 즉시 한 시자에 명하여 성안에 불법을 믿는 사람들로 하여금 법사를 위해 식사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그 성안에는 수천 호(戶)가 있었으나 불교를 신앙하는 사람은 적었고 외도(外道)를 섬기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
032_0663_a_14L法師與相見延納甚歡又承被賊卽遣一侍者命城中信佛法人令爲法師造其城有數千戶信佛者蓋少宗事外道者極多
그러나 법사가 가습미라국에 머물 때에 이미 명성이 멀리 외국까지 알려져서 여러 나라에서 다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 심부름을 간 시자가 성안을 두루 돌면서 큰 소리로 외쳤다.
“중국에서 승려가 왔습니다. 우리 마을 근처에서 도적을 만나 옷가지를 모두 빼앗겼습니다. 여러분, 복을 쌓을 때가 바로 지금임을 알아야 합니다.”
032_0663_a_18L法師在迦濕彌羅時聲譽已遠諸國皆知其使乃遍城中告唱支那國僧來近處被賊衣服摠盡諸人宜共知時
그 복력(福力)이라는 말에 감동되어 마침내 삿된 무리들의 마음도 바뀌게 되었던 것이다. 마을의 호걸 등 3백여 명은 이 말을 듣고 각기 무늬가 있는 모직 1필과 음식을 받들어 공손히 걸어와서 법사 앞에 놓아두고 절을 하며 위로하였다.
032_0663_a_21L福力所感遂使邪黨革心有豪傑等三百餘人聞已各將斑㲲布一端幷奉飮食恭敬而至積於前拜跪問訊
032_0663_b_01L법사는 그들을 위해 축원을 함과 동시에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법을 설하여 그들로 하여금 모두 도심(道心)을 일으켜서 사도(邪道)를 버리고 정도(正道)를 따르게 했다. 설법을 들은 사람들은 좋아서 웃고 이야기 하며 기뻐하면서 돌아갔는데 늙은 바라문은 일찍이 없던 일이라며 감탄해 마지않았다.
이때 받은 면포를 여러 사람들에게 각각 몇 필씩 나누어 주었으나 의복으로 쓰고도 오히려 50필이 남았으므로 늙은 바라문에게 바쳤다.
032_0663_b_01L法師爲呪願幷說報應因果令諸人等皆發道意棄邪歸相對笑語舞躍而還長年嘆未曾有於是以㲲布分給諸人各得數具衣直猶用之不盡以五十端布奉施長年仍
이렇게 한 달을 머물면서 『경(經)』ㆍ『백론(百論)』ㆍ『광백론(廣百論)』119)을 늙은 바라문에게서 배웠다. 늙은 바라문은 용맹(龍猛:Nāgārjuna)의 제자인데 직접 법사를 가르쳐 주었으며 그의 설명은 대단히 명료하였다.
032_0663_b_05L就停一月學『經百論』『廣百論』其人是龍猛弟子親得師承說甚明淨
다시 이곳에서 동쪽으로 5백여 리를 가서 지나복지국(至那僕底國)에 이르러 돌사살나사(突舍薩那寺)에 참배했다. 이 절에는 대덕(大德) 비니다발납바(毘蘖多鉢臘婆)이곳 말로는 조복광(調伏光)이라고 하는데, 즉 북인도의 왕자이다.가 살고 있었다. 그는 예절에 밝고 삼장(三藏)에 능했다. 그는 직접 『오온론석(五蘊論釋)』과 『유식삼십론석(唯識三十論釋)』을 저술한 사람이다. 그곳에서 그렇게 14개월 동안 머물면서 『대법론(對法論)』ㆍ『현종론(顯宗論)』120)ㆍ『이문론(理門論)』 등을 배웠다.
032_0663_b_07L又從此東行五百餘里至那僕底國詣突舍薩那寺有大德毘膩多鉢臘婆此云調伏光卽北印度王子好風儀善三藏自造『五薀論釋』『唯識三十論釋』因住十四月學『對法論』『顯宗論』『理門論』等
큰 성의 동남쪽으로 50여 리를 가면 답말소벌나승가람(答秣蘇伐那僧伽藍:Tamasāvana)당나라 말로는 암림(闇林)이다.에 이르게 된다. 여기에 승려가 3백여 명이 있었는데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배우고 있었다. 현겁(賢劫)121)의 천불(千佛)이 모두 이 땅에서 인천(人天)을 모아놓고 설법했다고 한다.
석가여래께서 열반에 드신 뒤 3백 년 만에 가다연나(迦多衍那:Kātyā- yanīputra)옛날에 가전연(迦旃延)122)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논사가 나타나서 이곳에서 『발지론(發智論)』을 저술하였다.
032_0663_b_12L大城東南行五十餘至答襪蘇伐那僧伽藍唐言闇林僧徒三百餘人學說一切有部賢劫千佛皆當於此地集人天說法釋迦如來涅槃後第三百年中有迦多衍那舊曰迦栴延訛也論師於此制『發智論』
여기에서 동북쪽으로 1백 4~5십 리를 지나서 사란달나국(闍爛達那國)북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그 나라에 들어가 나가라타나사(那伽羅駄那寺)를 방문하였다. 이 절에는 대덕(大德) 전달라벌마(旃達羅伐摩)여기 말로는 월주(月宙)라 한다.가 있었는데 삼장을 깊이 연구한 사람이었다. 이곳에서는 4개월을 머물면서 『중사분비바사(衆事分毘婆沙)』를 배웠다.
032_0663_b_17L從此東北行百四五十里至闍爛達那國北印度境入其國詣那伽羅馱那寺有大德旃達羅伐摩此云月胄善究三藏因就停四學『衆事分毘婆沙』
032_0663_c_01L여기에서 동북쪽으로 험악한 산을 오르고 강을 건너 7백여 리를 더 가서 굴로다국(屈露多國)북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굴로다국에서 7백여 리를 남쪽으로 전진하여 산을 넘고 강을 건너 설다도로국(設多圖盧國)북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여기에서 서남쪽으로 8백여 리를 더 가서 파리야달라구(波理夜呾羅國)중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032_0663_b_21L從此東北行登履危嶮行七百餘里至屈居勿反露多北印度境自屈露多國南行七百餘里山濟河至設多圖盧國北印度境從此西南行八百餘里至波理夜呾羅國中印度境
여기에서 동쪽으로 5백여 리를 가서 말토라국(秣兎羅國)중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이곳에는 석가여래의 여러 성제자(聖弟子)와 사리자(舍利子:Sāriputra) 등의 유신(遺身)을 모신 탑이 있는데, 사리자옛날에 사리자(舍梨子), 또는 사리불(舍利弗)이라 한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와 몰특가라자(沒特伽羅子:Maudgalyāyana)옛날에 목건련(目乾連)123)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등의 탑은 지금도 남아있다.
032_0663_c_02L從此東行五百餘里至秣兔羅國中印度境釋迦如來諸聖弟子舍利子等遺身窣堵波謂舍利子舊曰舍梨子又曰舍利弗皆訛也沒特伽羅子舊曰目乾連訛也等塔皆現在
그리고 달려연니불달라(呾麗衍尼弗呾羅:Trāyaniputra)당나라 말로는 만자자(滿慈子)이다. 옛 미다라니자(彌多羅尼子)라고 한 것은 잘못 생략된 것이다. 우바리(優婆釐:Upāli)124)ㆍ아난타(阿難陀)125)ㆍ라호라(羅怙羅:Rāhula)옛날에 라후라(羅睺羅)126) 또는 라운(羅雲)이라 한 것은 모두 잘못이다. 만수실리(曼殊室利)127)당나라 말로는 묘길상(妙吉祥)이다. 옛날에 유수(濡首)ㆍ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만수시리(曼殊尸利)라고 하고 묘덕(妙德)이라고 번역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등의 모든 탑은 해마다 복을 닦는 날에 승려들이 소속된 종파를 거느리고 와서 종교 행사에 따라 각기 자기 종파를 공양을 한다고 한다.
032_0663_c_06L麗衍尼弗呾羅唐言滿慈子舊曰彌多羅尼子訛略也優婆阿難陁羅怙羅舊曰羅睺羅又曰羅雲訛也及曼殊室利唐言妙吉祥舊曰濡首又曰文殊師利又言曼殊尸譯曰妙德訛也如是等諸窣堵波每歲修福之日僧徒相率隨所宗事而修供養
아비달마(阿毘達磨)128)를 공부하는 무리는 사리자를 공양하고, 습정(習定:Samādhist)129)을 공부하는 무리는 몰특가라자를 공양한다. 경전을 독송하는 자들은 만자자를 공양하고, 비나야(毘奈耶)130)를 공부하는 자들은 우바리를 공양하며, 모든 비구니들은 아난타를 공양하고, 구족계(具足戒)를 받지 않은 자들은 라후라를 공양하고, 대승(大乘)을 배우는 자는 모든 보살에게 공양한다.
032_0663_c_11L阿毘達磨衆供養舍利子習定之徒供養沒特伽羅子誦持經者供養滿慈學毘柰耶衆供養優波釐諸比丘尼供養阿難未受具戒者供養羅怙羅學大乘者供養諸菩薩
이 성 동쪽으로 5~6리를 가면 하나의 가람에 이른다. 존자 오바국다(烏波鞠多:Upagupta)당나라 말로는 근호(近護)131)이다.가 건립한 것인데 그 안에 부처님의 손톱과 모발과 사리가 모셔져 있다.
가람 북쪽의 암벽에 높이 20여 척, 너비 30여 척의 석실(石室)이 있는데, 그 안에는 4촌(寸) 길이의 가느다란 산가지로 가득 차 있었다. 이것은 존자 근호(近護)가 설법을 하여 부부가 함께 깨달아 아라한과(阿蘿漢果)132)를 증득하게 되었을 때, 그럴 때마다 산가지를 하나씩 던져 넣었던 것이다. 그러나 결혼하지 않은 단신이거나 별족(別族)인 자는 비록 증득했다 해도 기록에 넣지 않았다고 한다.
032_0663_c_16L城東五六里至一山伽藍尊者烏波鞠多唐言近護之所建也其中爪髮舍利伽藍北巖有石室高二十餘尺廣三十餘尺寸細籌塡積其內尊者近護說法悟夫妻俱證阿羅漢果者乃下一籌單己及別族者雖證不記
032_0664_a_01L여기에서 동북쪽으로 5백여 리를 가서 살타니습벌라국(薩他泥濕伐羅國)중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고, 다시 4백여 리를 동쪽으로 전진하여 녹륵나국(祿勒那國)중인도의 국경이다.에 이르렀다. 이 나라는 동쪽으로 긍가하(殑伽河)가 흐르고 북쪽으로는 큰 산을 등지고 있으며 염모나하(閻牟那河:Yamuna)가 중앙에 흐르고 있다.
032_0663_c_22L從此東北行五百餘里至薩他泥濕伐羅國中印度境又東行四百餘里至祿勒那國中印度境東臨殑伽河北背大山閻牟那河中境而流
다시 이 강의 동쪽으로 8백여 리를 가면 긍가하의 발원지에 이르게 된다. 강의 상류의 너비는 3~4리 정도 되지만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바다로 들어가는 지점에서는 너비가 10여 리나 된다. 물맛은 감미롭고 미세한 모래가 물길을 따라 흘러간다. 이 지방의 풍속서(風俗書)에는 복수(福水)라고 기록되어 있다.
032_0664_a_03L又河東行八百餘里至殑伽河源廣三四里東南流入海處廣十餘里其味甘美細沙隨流彼俗書記謂之福水
이 물에 들어가 목욕하면 죄업이 사라지고 이 물을 마시고 양치질을 하면 재앙이 사라지며 이 물에 빠져 죽은 자는 하늘에 태어나는 복을 받는다고 한다. 그래서 어리석은 남녀들이 항상 강가에 모여 있는데, 이는 다 외도(外道)들의 삿된 말로서 진실성이 없다.
후일에 제바보살(提婆菩薩:Aryadeva)133)이 바른 이치를 밝혀 보이자 비로소 이런 풍습이 근절되었다고 한다.
032_0664_a_06L就中沐浴罪舋銷除啜波嗽流則殃災殄滅沒而死者卽生天受福愚夫愚婦常集河濱皆外道邪無其實也後提婆菩薩示其正理方始停絕
이 나라에는 사야국다(闍耶鞠多:Jayagupta)라고 하는 대덕(大德)이 있었는데 삼장에 능통했다. 그래서 법사는 겨울에서부터 초봄까지 이곳에 머물면서 경부(經部)의 『비바사(毘婆沙)』 강의를 받았다.
032_0664_a_10L國有大德名闍耶鞠多閑三藏法師遂住一冬半春就聽經部『毘婆沙』訖
강의가 끝나자 긍가강의 동쪽 언덕을 건너 말저보라국(秣底補羅國)에 이르렀는데 그 나라 왕은 수다라종(戍陀羅種:Sūdra)이었다. 이곳에는 가람이 10여 개가 있고 승려는 8백여 명이 되었는데 모두 소승의 일체유부(一切有部)134)를 배우고 있었다.
032_0664_a_12L渡河東岸至秣底補羅其王戍陁羅種也伽藍十餘所僧徒八百餘人皆學小乘一切有部
큰 성(城)의 남쪽 4~5리 되는 곳엔 작은 가람이 있었고 승려가 50여 명이 살고 있었다. 옛날에 구나발랄바(瞿拏鉢剌婆:Guṅaprabha)당나라 말로는 덕광(德光)이다. 논사가 이곳에서 『변진(辯眞)』 등의 논술을 무려 1백여 부나 지은 곳이다. 논사는 발벌다국(鉢伐多國:Parvata) 사람으로 본래는 대승(大乘)을 익혔으나 뒤에 가서 소승을 배웠다고 한다.
032_0664_a_14L大城南四五里有小伽藍僧徒五十餘人瞿拏鉢剌婆唐言德光論師於此作『辯眞』等論凡百餘部論師是鉢伐多國人本習大乘後退學小
이때에 제바서나(提婆犀那:Devrasena)당나라 말로는 천군(天軍)이다. 아라한은 도사다천(睹史多天)을 왕래했다고 한다.
그래서 덕광(德光) 논사는 자씨보살(慈氏菩薩)을 친견하고 여러 가지 의심되는 점을 풀기 위하여 천군(天軍)에게 신통력으로써 천궁(天宮)에 데려가 달라고 청했다. 그래서 미륵보살을 친견하게 되었으나 손만 올려 합장을 할 뿐 예는 올리지 않고 이렇게 말했다.
“나는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다. 미륵보살은 하늘에 있으나 속인과 같으니 예경(禮敬)하지 않는 것이 옳다.”
그는 이렇게 세 번을 왕래하였으나 예를 올리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아만심(我慢心)이 높았으므로 의문 또한 해결하지 못했다.
032_0664_a_19L時提婆犀那唐言天軍阿羅漢往來睹史多天德光願見慈氏決諸疑滯請天軍以神力接上天宮旣見慈氏揖而不禮我出家具戒慈氏處天同俗禮敬非宜如是往來三返皆不致禮旣我慢自高亦不決
032_0664_b_01L덕광 논사의 가람 남쪽으로 3~4리 되는 곳에 승려 2백여 명이 살고 있는 사찰이 있었는데 모두 소승을 공부하고 있었다. 이곳은 중현(衆賢:Saṁ- ghabhadra) 논사가 목숨을 마친 곳이라고 한다.
032_0664_b_01L德光伽藍南三四里有伽藍僧二百餘人竝小乘學是衆賢論師壽終處
중현 논사는 본래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 사람으로서 박학하고 재주가 뛰어났으며 일체유부(一切有部)의 비바사(毘婆沙)에 밝았다. 그 당시 세친보살 역시 예지(叡智)와 박학으로 이름이 나 있었는데, 먼저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을 지어서 비바사론자들의 소론을 혁파하였다. 이론의 뜻이 깊었을 뿐만 아니라 글도 아름다워서 서역(西域)의 학승치고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그래서 귀신도 역시 이 경을 배울 정도였다고 한다.
032_0664_b_03L論師本迦濕彌羅國人博學高才明一切有部『毘婆沙』時世親菩薩亦以睿智多聞先作『阿毘達磨俱舍論』破毘婆沙師所執理奧文華西域學徒莫不讚仰爰至鬼神亦皆講
중현(衆賢) 논사가 이것을 보고는 분발심을 내어 다시 12년간을 전념하여 『구사박론(俱舍雹論)』135) 2만 5천 송(頌), 모두 80만 언(言)을 만들었다.
중현논사는 이 논을 다 만들고 나서 세친을 만나 시비를 가리려 했으나 뜻을 실현하기 전에 죽고 말았다.
세친이 뒤에 그 논을 보고는 부처님의 말씀을 알고 이해한 데에 대해 탄복하며 말했다.
“그의 사고력은 뭇 비바사론들에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나의 이론을 많이 따르고 있으니 마땅히 『순정리론(順正理論)』이라고 이름 해야 할 것이다.”
그 뒤부터는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032_0664_b_08L衆賢覽而心憤又十二年覃思作『俱舍雹論』二萬五千頌八十萬言欲與世親面定是非未果而終親後見其論嘆有知解言其思力不減『毘婆沙』之衆也雖然甚順我義名『順正理論』遂依行焉
중현이 죽은 뒤에 암몰라(菴沒羅) 숲 속에다 탑을 세웠는데 아직까지도 남아 있다. 그리고 그 숲 옆에 또 하나의 탑이 있는데 이곳은 비말라밀다라(毘末羅蜜多羅:Vimalamitra)당나라 말로는 무구(無垢)라 한다. 논사가 묻힌 곳이다. 비말라밀다라 논사는 가습미라국 사람으로 설일체유부에 의해 출가하여 5인도(印度)136) 전역을 두루 돌아다니며 삼장을 다 배운 인물이다.
032_0664_b_13L衆賢死後菴沒羅林中起窣堵波今猶見在側又有窣堵波是毘末羅蜜多羅唐言無垢稱論師遺身處論師迦濕彌羅國於說一切有部出家遊五印度學窮三藏
그는 본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중현의 탑에 들렀다. 그의 저술이 빛을 보기 전에 갑자기 사망한 것을 슬퍼하며 스스로 이렇게 맹세했다.
“내가 다시 여러 가지 논을 만들어서 대승의 이론을 혁파하고 세친의 이름을 없애버려서 중현 논사의 취지를 영원히 전하리라.”
032_0664_b_18L將歸本國塗次衆賢之塔悲其著述未及顯揚奄便逝沒因自誓更造諸論破大乘義滅世親名使論師之旨永傳遐代
이 말을 마치자마자 정신이상을 일으켜 다섯 개의 혀가 겹쳐 나오고 온몸에 피가 흘렀다. 그는 이러한 고통의 원인이 그 말 때문임을 알고는 참회의 글을 쓴 뒤 여러 동료들에게 권했다.
“대승을 비방해서는 안 된다.”
이 말을 마치자 절명했는데 그가 죽은 곳에 땅이 꺼져서 큰 구멍이 나 있었다고 한다.
032_0664_b_21L說此語已心智狂亂五舌重出遍體血流自知此苦原由惡見裁書懺悔勸諸同侶勿謗大乘言終氣絕當死之處地陷爲坑
032_0664_c_01L이 나라에는 밀다사나(蜜多斯那:Mitrasena)라고 하는 대덕이 있었다. 나이는 90세로 바로 덕광 논사(德光論師)의 제자이며 삼장에 능통했다. 현장 법사는 또 한 해 봄부터 여름에 걸쳐 살바다부(薩婆多部)의 『달타삼제삭론(怛埵三弟鑠論)』당나라 말로는 변진론(辯眞論)이다. 2만 5천 송(頌)으로 되어 있으며 덕광(德光)이 지었다.과 『수발지론(隨發智論)』 등을 배웠다.
032_0664_c_01L其國有大德名蜜多斯那年九十卽德光論師弟子善閑三藏法師又半春一夏就學薩婆多部『怛埵三弟鑠論』唐言『辯眞論』二萬五千頌德光所造也『隨發智論』等
말저보라국으로부터 다시 북쪽으로 3백여 리를 가서 바라흡마보라국(婆羅吸摩補羅國)137)중인도에 있다.에 이르렀다.
다시 여기서부터 남쪽으로 4백여 리를 가서 혜제달라국(醯掣怛羅國)중인도에 이르렀다.
그리고 다시 남쪽으로 2백여 리를 가서 긍가하(殑伽河)를 건너 서남쪽에 있는 비라나라국(毘羅那拏國)중인도의 경계이다.에 이르렀다.
032_0664_c_05L又從此北行三百餘里至婆羅吸摩補羅國中印度又此東南行四百餘里至醯掣怛羅中印度又南行二百餘里渡殑伽河西南至毘羅那拏國中印度境
또 동쪽으로 2백여 리를 가서 겁비타국(劫比他國)중인도에 이르렀다. 이 나라 도성의 동쪽으로 20여 리 되는 곳에 큰 가람이 있었는데, 그 절 안에는 세 개의 보계(寶階)가 남북으로 나란히 서서 동쪽을 향하면서 서쪽으로 내려가게 되어 있었다.
이곳은 옛날에 부처님이 도리천(忉利天)138)에서 마야부인(摩耶夫人)을 위해 설법을 마치고 섬부주(贍部洲)139)로 돌아가 지상으로 내려오신 곳이다. 중앙은 황금으로 만들었고 왼쪽은 수정(水精)이며 오른쪽은 백은(白銀)으로 되어 있다.
032_0664_c_09L又東行二百餘至劫比他國中印度城東二十餘里有大伽藍院內有三寶階南北列面東西是佛昔於忉利天爲摩耶夫人說法訖歸贍部洲下處中是黃金是水精右是白銀
여래께서는 도리천의 선법당(善法堂)140)으로부터 여러 천중(天衆)을 거느리고 중앙 보계를 밟고 내려오셨다고 한다. 대범천왕(大梵天王)141)은 흰 불자(拂子)142)를 들고 은으로 된 보계를 밟고 오른쪽으로 내려왔으며, 천제석(天帝釋)143)은 보개(寶蓋)144)를 가지고 수정으로 된 보계를 밟고 왼편으로 내려왔다. 이때 수많은 하늘 대중과 모든 큰 보살들이 수행하며 내려왔다고 한다.
몇 백 년 전까지만 해도 이 보계에는 계단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모두 낡아 없어졌다. 그래서 후세의 왕들이 옛날을 그리면서 벽돌과 돌을 쌓아서 옛 모습을 살리고 여러 가지 보석으로 장식해 놓았다. 현재의 높이는 70여 척이 된다.
032_0664_c_14L如來起善法堂諸天衆躡中階而下大梵天王執白履銀階處古天帝釋持寶蓋蹈水精階居左是時百千天衆諸大菩薩陪隨而下自數百年前猶有階級竝淪沒後王戀慕壘塼石擬其狀以雜寶見高七十餘尺
그 보계 위에다 정사(精舍)를 짓고 그 안에 석불상(石佛像)을 모셨다. 좌우에는 제석상(帝釋像)과 범천상(梵天像)을 두어 옛날에 부처님께서 강림하실 때의 의식(儀式)을 그대로 본떠서 나타내었다. 그 옆에는 높이 7장(丈)의 돌기둥[石柱]이 있는데 무우왕(無憂王)이 세운 것이라고 한다.
바로 그 옆에는 길이 50여 보(步), 높이 7척(尺)이 되는 돌로 된 기단이 있는데, 이것은 부처님께서 옛날에 경행(經行)하시던 곳이라 한다.
032_0664_c_20L上起精舍有石佛像左右有釋梵之像竝倣先式彰如在傍有石柱高七丈無憂王所立傍有石基長五十餘步高七是佛昔經行處
032_0665_a_01L여기서부터 서북쪽으로 2백여 리를 가서 갈약국사국(羯若鞠闍國)당나라 말로는 곡녀성(曲女城)으로 중인도에 있다.에 이르렀다.
이 나라는 둘레가 4천 리이고, 도성(都城) 서쪽으로 긍가하가 흐르고 있는데 길이는 20여 리, 강폭은 5~6리가 되었다.
성안에는 백여 개의 가람이 있고 승려는 1만여 명이 되는데, 대승과 소승을 모두 배우고 있다.
032_0665_a_01L從此西北行二百至羯若鞠闍國唐言曲女城中印度國周四千都城西臨殑伽河長二十餘里五六里伽藍百餘所僧徒萬餘人大小俱學
이 나라의 왕은 폐사종(吠奢種)이며 자는 갈리사벌탄나(曷利沙伐彈那)145)당나라 말로는 희증(喜增)이다.이라고 했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파라갈라벌탄나(波羅羯邏伐彈那:Prabhākaravardhara)당나라 말로는 작증(作增)이다.이며 형의 이름은 알라사벌탄나(羯羅闍伐彈那:Rājyavard)당나라 말로는 왕증(王增)이다.이다. 희증(喜增)이 왕으로 재위하고 있을 때에는 그가 매우 인자하였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칭송하고 기렸다.
032_0665_a_05L其王吠奢種也字曷利沙伐彈唐言喜增父字波羅羯邏伐彈那唐言作增兄字遏羅闍伐彈那唐言王增喜增在位仁慈國人稱詠
그런데 이 무렵 동인도의 갈라나소벌라나국(羯羅拏蘇伐剌那國)당나라말로는 금이(金耳)이다.의 설상가왕(設賞迦王:Saśāṇka)당나라 말로는 위와 같다.은 왕증 같은 어질고 현명한 왕이 자기 나라 근처에 있으면 화근이 될 것을 우려하여 은밀히 유인하여 살해해 버렸다.
대신 바니(婆尼:Bhandi)당나라 말로는 명료(明了)이다.와 여러 대신들은 백성의 주인이 없음을 슬퍼하여 그의 아우 시라아질다(尸羅阿迭多)146)당나라 말로는 계일(戒日)이다.를 세워 종묘(宗廟)를 계승하도록 했다.
032_0665_a_08L時東印度羯羅拏蘇伐剌那唐言金耳國設賞迦王唐言同上惡其明略而爲鄰患乃誘而害之大臣婆尼唐言明了及群僚等悲蒼生之無主共立其弟尸羅阿迭多唐言戒日統承宗廟
새로 즉위한 왕은 풍채가 늠름한 호걸 기질에다 지략(智略)도 원대하였으며 그의 덕(德)은 천지를 움직였고 의로움에는 인신(人神)이 감복할 정도였다.
그는 마침내 형의 원수를 갚고 인도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의 위풍이 미치는 곳이나 예교(禮敎)로 교화한 곳에서는 왕의 덕에 귀복(歸服)하지 않는 백성이 없었다.
천하를 이미 평정하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한 다음에는 나라 안의 무기를 다 거두어들이어 복업(福業)을 성취하였다.
032_0665_a_12L雄姿秀傑算略宏遠德動天地義感人神遂能雪報兄讎牢籠印度威風所及禮教所霑無不歸德天下旣定黎庶斯安於是戢武韜戈營樹福業
왕은 국내에 칙령을 내려 살생을 금하고, 백성들에게 널리 육식을 금하도록 했으며, 성적(聖跡)이 있는 곳마다 모두 가람을 세우게 했다. 그리고 해마다 21일 동안을 모든 승려들에게 공양하고, 5년마다 한 번씩 무차대회(無遮大會)147)를 열어 국고에 쌓아 놓은 재물을 보시하여 나누어 주었다. 그의 이런 행적을 잘 살펴보면 수달나(須達拏)148)의 업적을 이은 것이다.
032_0665_a_16L勅其境內無得殺生凡厥元元普令斷肉隨有聖迹皆建伽藍歲三七日遍供衆僧五年一陳無遮大會府庫所積竝充檀捨詳其所行須達拏之流矣
032_0665_b_01L성의 서북쪽에는 높이 2백여 척 되는 탑이 서 있고 또 동남쪽 6~7리 되는 긍가강의 남쪽에도 높이 2백여 척이 되는 탑이 있는데, 모두 다 무우왕이 건립한 것이다. 이곳은 모두 부처님께서 옛날에 설법하신 곳이라고 한다.
법사는 그 나라에 들어간 뒤로 발달라비하수사(跋達邏毘訶雖寺:Bhadra- vihāra)에 3개월간 머물면서 비리야서나(毘離耶犀那:Viryasena) 삼장의 지도로 불사(佛使:Buddhadāsa)149)의 『비바사(毘婆沙)』와 일주(日冑:Sūryasena)의 『비바사』를 모두 독파하였다.
032_0665_a_21L城西北有窣堵波高二百餘尺東南六七里殑伽河南有窣堵波二百餘尺竝無憂王所造皆是佛昔說法處也法師入其國到跋達邏毘訶羅寺住三月依毘離耶犀那三藏讀『佛使毘婆沙』『日胄毘婆沙』訖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卷第二
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불(佛)ㆍ법(法)ㆍ승(僧) 3보(寶)에 귀의하는 것으로, 즉 부처에 귀의하고, 불법에 귀의하고, 승려에 귀의하는 것을 말한다.
  2. 2)불교에서 지키는 다섯 가지 계율을 말한다. 곧 살생(殺生)하지 말 것, 훔치지 말 것, 음행 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술 마시지 말 것 등이다.
  3. 3)세 가지 정육(淨肉), 즉 부처님이 병든 비구에게만 먹도록 허락한 세 가지의 고기를 말한다. ①자기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지 않은 것, ②자기를 위하여 죽인 것이란 말을 듣지 않은 것, ③자기를 위하여 죽인 것이 아닌가 의심되지 않는 것이 그것이다. 곧 고기 집에서 파는 것이나 저절로 죽은 것 따위의 고기를 말한다.
  4. 4)여기서는 소승불교를 가리키는 말이다.
  5. 5)『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는 아사리이사(阿奢理貳寺)라고 나와 있다.
  6. 6)고대 인도의 학자들이 연구하던 5종 학문인 5명(明) 가운데 하나로, 지금의 언어학에 해당하는 것이다.
  7. 7)『잡아비담심론 (雜阿毘曇心論)』을 말한다. 법구(法救)의 저술이며 승가발마(僧伽跋摩) 등이 번역하였다. 흔히 비담종(毘曇宗)이라 불리는 설일체유부의 대표적인 논서이다. 아비달마 불교 시대를 제1 근본 교의(敎義) 집성기, 제2 교의 광설기(廣說期), 제3 교의 조직기 등으로 크게 셋으로 나눌 때 본 논서는 제3기에 해당한다. 제1기에는 발지론(發智論)과 6족론 등이, 제2기에는 대비바사론이 해당한다. 『잡아비담경(雜阿毘曇經)』, 『잡아비담바사(雜阿毘曇婆沙)』, 『잡아비담비바사(雜阿毘曇毘婆沙)』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8. 8)『아비담비바사론(阿毘曇毘婆沙論)』의 약칭이다. 가전연자(迦旃延子)의 저술, 부다발마(浮陀跋摩)와 도태(道泰)의 번역으로 알려져 있다. 『비바사론(毘婆沙論)』, 『아비담비바사(阿毘曇毘婆沙)』로 줄여서 부르기도 하며, 『비바사론(鞞婆沙論)』,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 『아비담비바사론(阿毘曇毘婆沙論)』, 『아비담팔건도론(阿毘曇八犍度論)』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처음에는 전체 100권으로 완비되었던 것이나 병란으로 산실되고 현재 60권만 전한다. 흔히 본 논서를 가리켜 구바사(舊婆沙)라고 부르며, 이에 대해서 현장(玄奘)이 번역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은 신역(新譯) 바사(婆沙)라고 한다.
  9. 9)『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을 말하며, 미륵(彌勒)의 저술로 후에 현장(玄奘)이 번역하였다. 유가행자(瑜伽行者)의 경(境)ㆍ행(行)ㆍ과(果) 및 아뢰야식설, 삼성설(三性說), 삼무성설(三無性說), 유식설 등을 자세히 논한다. 이 불전은 미륵보살이 무착(無着)을 위해 중천축(中天竺)의 아유사(阿踰闍) 대강당에서 4개월에 걸쳐 매일 밤 강설한 것이라고 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師論)』이 소승 불교의 사상을 대표하고, 『대지도론(大智度論)』이 대승 불교가 발흥하던 시대의 사상을 대표함에 대해서, 대승 불교가 완성되고 있던 시대의 사상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유식 학파의 중도설과 연기론 및 3승교(乘敎)의 근거가 되는 불전이다.
  10. 10)미륵보살은 불교에서는 미래불에 해당하므로 후신보살이라고 하였다.
  11. 11)무간지옥(無間地獄)을 말한다. 일명 아비(阿鼻)라고도 한다. 8대지옥의 여덟 번 째, 최하층의 지옥으로, 한번 들어간 사람은 무한 고통을 받는다고 한다. 첫째 등활(等活), 둘째 흑승(黑繩), 셋째 중합(衆合), 넷째 호환(嘷喚), 다섯째 대호환(大嘷喚), 여섯째 초열(焦熱), 일곱째 대초열(大焦熱), 여덟째 무간(無間)이다. 이상의 지옥들은 매서운 더위가 엄습하는 곳이기 때문에 팔열지옥(八熱地獄)이라 한다. 혹은 첫째는 알부타(頞部陀), 둘째는 니랄부타(尼剌部陀), 셋째는 알찰타(頞哳吒), 넷째는 확확파(臛臛婆), 다섯째는 호호파(虎虎婆), 여섯째는 온발라(嗢鉢羅)인데 일명(一名)은 청련화(靑蓮華)이고, 일곱째는 발특마(鉢特摩)인데 일명은 홍련화(紅蓮華)이고, 여덟째는 마하발특마(摩訶鉢特摩)인데 일명은 대홍련화(大紅蓮華)이다. 이상의 지옥은 매서운 추위가 엄습하는 곳이기 때문에 8한지옥(寒地獄)이라 한다는 설도 있다.
  12. 12)지금의 신강성(新疆省) 오집(烏什) 서북쪽 패달 고개, 아다스 지방의 천산(天山) 산맥의 주봉(主峰)을 말하며 빙산(氷山)이라는 뜻이다. 당시에 서역을 통행하는 중요한 길이었다.
  13. 13)고대 인도, 희랍, 로마 등지에서 중국을 음역하여 부르던 호칭이다.
  14. 14)파미르 지역을 말한다.
  15. 15)『서역기』에는 소엽수성(素葉水城)이라고 기술하고 있고는데, 지금의 Frunze의 동쪽 약 40km인 Tokmak 지방을 말한다. 쇄엽성(碎葉城)이라고도 하며, 지금의 소련 키르기즈스탄 북부에 있다.
  16. 16)돌권(突厥)의 관명이다. 고대 돌궐어로 가한(可汗)의 시종을 달관이라고 하였다. 중앙아시아 각국도 돌궐과 같이 사용하였다. 갈간(達干)도 같은 뜻이다.
  17. 17)변발(辮髮)을 말한다. 중국 북방 민족의 남자들이 머리 앞부분만 깎고 뒷부분은 땋아 늘인 머리 모양이다.
  18. 18)10선업(善業)이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열 가지 기본적 도덕의 신조(信條)이다. 10악(惡)에 반대되는 것으로, 불살생(不殺生)ㆍ불투도(不偸盜)ㆍ불사음(不邪淫)ㆍ불망어(不妄語)ㆍ불양설(不兩舌)ㆍ불악구(不惡口)ㆍ불기어(不綺語)ㆍ불탐욕(不貪欲)ㆍ부진에(不瞋恚)ㆍ불사견(不邪見)을 말한다.
  19. 19)도피안(到彼岸)이라는 뜻이다. 생사 미혹의 세계에서 저쪽 언덕, 즉 열반 해탈의 피안에 이르는 것을 뜻한다.
  20. 20)고대 돌궐에서 통역관을 부르는 이름이다.
  21. 21)범어 Kāpiśi의 음역이다. 고대 북인도, 건타라국(健駄羅國)의 서쪽에 자리했던 나라이며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카불(kabul) 지방에 해당한다.
  22. 22)『서역기』에 “소엽수성(素葉水城)의 서쪽 4백여 리에 천천(千泉)이 있다. 천천은 지방 2백여 리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금의 Frunze 서쪽 약 120km인 Merke 부근이다.
  23. 23)지금의 타슈켄트이다.
  24. 24)지금의 시루강이다.
  25. 25)지금의 부하라(Bukhara) 지방으로, 옛 이름은 뉴밀(忸密:Nūmijkath)ㆍ부화(副貨)ㆍ보할(布豁) 등으로 불렸다. 서방 사료에는 옛부터 Būmickath, Nōkmethan로 나오고 7세기부터 Būchārā라는 이름이 나타난다. 그 옛터는 지금의 도성 서북쪽 약 10km인 강 언덕에 있으며 Rīyāmīthan이라 불린다.
  26. 26)『당서서역전(唐書西域傳)』에 술지(戍地) 또는 무지(戊地)라 기록되어 있고, 사라프샨강과 암강의 교류점에 있는 베틱(Bētik)으로 추정되나 분명하지 않다.
  27. 27)서방 문헌에 보이는 Chōrasmia, khwārizm의 음역으로, 지금의 암강 하류의 히와(호라즘) 지방이다. 『서역기』에는 “화리습미가국(貨利習彌伽國)은 박추하(縛蒭河)의 양 언덕을 따라 동서 20-30리, 남북 5백여 리에 위치한다. 산물과 풍속은 벌지국(伐地國)과 같으나 언어는 약간 다르다. 삽말건국(颯建秣國)으로부터 서남으로 3백여 리에 갈상나국(羯霜那國)에 이르른다”라고 하였고, 쿠샤니카ㆍ카칸ㆍ부하라베티ㆍ호리스미카의 여러 나라에 대한 것은 전해들은 것을 쓴 것 같다. 실제로 현장은 사마르칸드에서 곧바로 남쪽으로 내려간 것 같다.
  28. 28)지금의 암강이다.
  29. 29)범어 Kasanna의 음사이며, Kesh 또는 Kish라고도 한다. 지금의 Shahrisabz(綠芳의 도시)이다. 사마르칸드의 남남서 약 65km에 있고, Kashka darya에 연안에 있는 도시이다.
  30. 30)발트리드와 아랍 사료에는 “Kesh로부터 3일이면 Kandak에 이르며 여기부터 하루만이면 유명한 철문(鐵門)에 이르고, 다시 3일이면 Trmidh에 이른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철문은 사마르칸트 지방과 토하리스탄(Tocharistān)지방 사이에 있는 좁은 산길로서, 길이는 약 3km정도이다. 길 양쪽으로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이루고 있는데, 좁은 곳은 길 폭이 약 4~5m정도이다. Shahrisabz의 남동쪽 약 90km, Derbent 서쪽 10km정도에 있다.
  31. 31)토하리스탄의 속칭이다. 옛 이름은 도거륵(兜佉勒)ㆍ도사라(兜沙羅)ㆍ토호라(吐呼羅)ㆍ토화라(吐火羅) 등으로 불렸다. 동쪽으로는 파미르, 서쪽으로는 페르시아, 북으로는 철문, 남으로는 힌독슈에 걸친 지역을 가리킨다.
  32. 32)오호수(烏湖水)라고도 한다. 지금의 아무하(阿姆河)의 상류이다.
  33. 33)『구당서(舊唐書)』에서는 갈환성(遏換城)이라 하였다.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북부 쿤두스(Kunduz:Kuhandiz) 부근의 요새를 말한다.
  34. 34)가돈(可敦)이라고도 하며, 고대 돌권 등의 민족이 왕비를 부르던 존칭이다.
  35. 35)왕자나 왕제(王弟)의 존칭이다.
  36. 36)돌궐의 군대를 통솔하는 관직이다. 여기서는 활국(活國)의 군주를 말한다.
  37. 37)고대 서역(西域)에 자리했던 왕국으로, 구살단나국(瞿薩旦那國), 우둔국(于遁國), 우치국(于眞國), 지유국(地乳國), 굴단국(屈丹國), 우전국(于塡國)이라고도 한다. 우전국의 임금이 석존을 무척 사모하였는데 석존이 삼십삼천(三十三天) 도리천(忉利天)에 올라가 오랫동안 내려오지 않았으므로 우두전단(牛頭旃檀) 나무에 석존의 상(像)을 조각하여 모셨다. 이것이 불상의 시초가 되었다. 지금의 신강성(新疆省) 화전(和田)이다.
  38. 38)오락마(鄔落馬)를 말하는 것으로, 역전마(驛傳馬)의 별칭이다. 원음은 밝혀지지 않았다.
  39. 39)지금의 아프카니스탄 북부의 발흐(Balkh)를 가리킨다.
  40. 40)가시(加尸)로도 번역하며, 세추(細秋)라고도 한다. 수수 종류로서 좌구(坐具)를 만드는 데 쓴다.
  41. 41)범어로 불탑을 음역한 것이다. 탑파(塔婆), 영묘(靈廟)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유골이나 경전을 넣는 탑을 말한다.
  42. 42)과(果)는 무루지(無漏智)가 생기는 지위를 말하며, 4과는 수다원과(須陀洹果)ㆍ 사다함과(斯陀含果)ㆍ아나함과(阿那含果)ㆍ아라한과(阿羅漢果)이다.
  43. 43)과거칠불의 여섯째 부처님이다.
  44. 44)지금의 파키스탄 펀잡에 있었던 나라이다.
  45. 45)9부경(部經)의 약칭이다. 12부경 가운데에서 방광(方廣)ㆍ수기(授記)ㆍ무문자설(無問自說)의 3부를 제한 소승교의 9부를 말한다. 또 대승교의 12부 가운데에서 인연(因緣)ㆍ비유(譬喩)ㆍ논의(論義)의 3부를 제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보통 9부라고 하면 소승교를 가리킨다.
  46. 46)또는 4함(鋡)이라 한다. 『사아함경(四阿含經)』을 말하는 것이다.
  47. 47)삼장 가운데 논장(論藏)을 가리킨다.
  48. 48)원음은 확실하지 않다. Beal, Watters는 Yumadha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Balkh의 서남쪽 100km, Abisafid 강 언덕의 Saripul로 추정된다.
  49. 49)Minorsky에 의하면 Gūzgan은 지역명이고 Balkh로부터 Merv에 걸친 지방을 가리킨다고 한다.
  50. 50)지금의 아프가니스탄 서쪽 바미안을 가리킨다. 대설산과 코히 바바(Kŏhi bābā) 산맥 사이에 있는 계곡이다.
  51. 51)전국시대 초나라(BC. 290?-BC. 222)의 시인이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 초나라의 궁정시인으로 문학사상 중요한 『초사』, 『문선』에 기재된 「구변(九辨)」, 「초혼(招魂)」 등 많은 작품이 있다. 특히 『문선』에 실린 작품들은 미사여구를 구사해 청각문학(聽覺文學)의 수작(秀作)이라 할 수 있다.
  52. 52)한나라 명제(明帝)가 대월지국(大月氏國)에서 보낸 사자(使者)였다.
  53. 53)소승 20부의 하나인 근본대중부(根本大衆部)로부터 분파된 것이다.
  54. 54)대중부(大衆部)의 범어 음역이다.
  55. 55)뛰어난 무력(武力)을 지니고 동서남북 사대주(四大洲)를 통치한다는 왕이다.
  56. 56)밑에 입는 승의(僧衣)를 말한다.
  57. 57)흑령(黑岭)이라고도 한다. 아프가니스탄 중부의 동서로 가로지른 산맥이다.
  58. 58)찰제리(刹帝利)를 말한다. 고대 인도의 사회 제도에서는 출신과 사회 직업에 따라 4종성을 나누었는데, 찰제리는 그 가운데 제2등급에 해당한다. 세속의 통치자 계급이다.
  59. 59)불교의 부파 가운데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을 말한다.
  60. 60)소승 20부의 타화부(化地部)를 말한다.
  61. 61)범음 Mleccha의 음역으로 변방(邊方)이라는 뜻이다.
  62. 62)아쇼카왕 또는 아육왕(阿育王)이라고 한다. 아육은 아쇼카의 음역이다. 중인도 마가다국의 왕 이름이다. 공작(孔雀) 왕조의 제3세 왕이며 재위 연도는 대략 기원전 269-232년경으로 추정한다. 전다라급다왕(旃陀羅笈多王)의 손자이며, 빈두사라왕(賓頭沙羅王)의 아들이다. 불법에 귀의하여 8만 4천 기의 불탑을 세운 것으로 유명하다. 무우왕(無憂王), 아수가왕(阿輸柯王), 아서가왕(阿恕伽王)이라고도 한다.
  63. 63)범어 아상키야의 음역으로, 번역하여 무수(無數), 혹은 무앙수(無央數)라고 한다. 인도의 숫자이다. ①수량의 단위로 10의 59승을 뜻한다. ②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고 많은 것, 무량(無量) 무한(無限)하여 끝이 없는 것, 매우 크고 거대한 것을 가리킨다. ③무한한 시간을 가리키는 아승기겁(阿僧祇劫)의 줄임말이다.
  64. 64)과거세의 부처님으로 세존 이전에 나타났다고 전설적으로 전하는 24명의 부처님 가운데 한 분으로 정광불(淨光佛), 혹은 정광불(定光佛)이라고도 한다.
  65. 65)괴겁(壞劫)을 말한다. 불교의 우주관을 토대로 한 4겁(劫) 중 하나이다. 우주는 일정한 네 가지 주기를 반복하며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셋째 단계인 파괴기를 말한다.
  66. 66)『서역기』의 혜라성(醯羅城)을 말하는 것으로, 뼈라는 뜻의 범어 haḍḍa가 전와(轉訛)된 hidda or heḍḍa의 음역이다.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Jelālābād 남쪽 약 8km에 있는 Haḍḍa 마을의 유적이며, 거대한 사원지와 수많은 소상(塑像)이 출토되었다.
  67. 67)인도에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4성(姓)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한다. 4성은 승려로서의 바라문(婆羅門)과 왕족이나 무인으로서의 찰제리(紮帝利), 평민으로서의 비사, 노예로서의 수다라(首多羅)를 말한다.
  68. 68)불교의 예절로, 손가락을 퉁겨서 기쁨, 축하, 허락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69. 69)과실 이름으로, 중국에서는 화홍(花紅), 혹은 사과(沙果)라고도 한다.
  70. 70)비구 3의(衣)의 하나로, 승가치(僧伽致)ㆍ승가지(僧伽知)로도 쓴다. 가사를 말한다.
  71. 71)인도에서 나는 전단나무는 향기가 많이 나는 나무로, 불상(佛像)을 새기거나 불단(佛壇)을 만드는 데 쓰인다.
  72. 72)고대에 베나 비단의 길이를 재는 단위로, 당대(唐代)에는 6장(丈)을 1단으로 하였다.
  73. 73)고대 불교 성지인 나가라하라성을 말하며,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Jelālābād 서남쪽에 있다.
  74. 74)『서역기』에서는 불영굴(佛影窟)이라 했다. 구파라는 범어 Gopāla의 음역으로 소치기라는 뜻이다. 이 신비로운 석굴은 Jelālābād 남쪽 단애(斷崖)와 연접해 있는 Chahārbāgh 마을의 남쪽인 Syāh-sang(검은 돌)의 바위 사이에 있었을 것이라 한다.
  75. 75)보시를 행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76. 76)구나발다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한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勝鬘師子吼一乘大方便方廣經)』을 말한다. 줄여서 『사자후경(師子吼經)』, 『사자후방편경(師子吼方便經)』, 『승만대방편방광경(勝鬘大方便方廣經)』, 『승만사자후경(勝鬘師子吼經)』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혹은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경(勝鬘師子吼一乘大方便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의 제목은 승만(勝鬘) 부인이 일승을 설한 대승 경전이라는 의미이다. 전체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77. 77)『서역기(西域記)』를 가리킨다.
  78. 78)지금의 인더스강을 말한다.
  79. 79)또는 나라연나(那羅延那), 나라야나(那羅野拏)라고도 하며, 견고(堅固), 구쇄역사(鉤鎖力士), 인생본(人生本)으로 번역한다. 매우 강한 힘을 지닌 천상의 역사(力士)의 이름이다. 밀교에서는 태장계 만다라의 외금강부(外金剛部)에 자리하며, 가루라조(迦樓羅鳥)를 타고 있다. 불보살의 매우 견고하며 강한 힘을 형상화시킨 것으로, 범왕(梵王), 또는 비뉴천(毘紐天)의 별명이기도 하다.
  80. 80)부처님 열반 후 1000년 경의 사람으로 세친(世親)의 형이다. 무착은 북인도(北印度) 건다라국 부루사부라성(犍陀羅國富樓沙富羅城)의 바라문 출신으로 처음에는 소승화지부(小乘化地部)에 들어가 출가하여 빈두라(賓頭羅)를 따라 소승의 공관(空觀)을 닦았는데, 뒤에는 법상 대승(法相大乘)의 교화를 선양하고 또 여러 가지 많은 논소(論疏)를 지어 대승경(大乘經)을 해석하였다. 저서로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20권, 『섭대승론(攝大乘論)』 3권,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100권 등이 있다.
  81. 81)북인도 건다라국(犍陀羅國) 부루사부라성(富樓沙富羅城) 사람으로 4-5세기경의 학승이다. 바라문족 출신으로, 그는 소승에서 5백 부, 대승에서 5백 부의 논(論)을 지어 천부논사(千部論師)라고 불린다. 천친(天親)이라고도 하는데, 형 무착의 권유로 대승에 귀의하여 크게 이름을 드날렸다. 세친과 무착(無着)은 처음에는 소승화지부(小乘化地部)에 들어가 출가하여 빈두라(賓頭羅)를 따라 소승의 공관(空觀)을 닦았는데, 뒤에는 법상 대승(法相大乘)의 교화를 선양하고 또 여러 가지 많은 논소(論疏)를 지어 대승경(大乘經)을 해석하였다. 무착의 저서로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20권, 『섭대승론(攝大乘論)』 3권,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100권 등이 있다.
  82. 82)인도 사람으로 본명은 달마다라이다. 1세기 경의 논사(論師)이다. 『법구경』 1권을 편찬하였다.
  83. 83)범어 puṣkālarāti의 음역으로 청련(靑蓮)이라는 뜻이다. 지금의 파키스탄 서북 변경 지역에 있는 스와르강 왼쪽 기슭의 Chārsadda로 추정된다.
  84. 84)인더스강과 가불강의 합류점 동북쪽에 있는 지금의 파키스탄 Attock로부터 약 26km 상류인 Ohind, Hund로 추정된다.
  85. 85)지금의 파키스탄 서북 변경 주의 스와토강 지역이다.
  86. 86)아쇼카의 음역이다.
  87. 87)법장부(法藏部)라고도 하며 소의(所依) 율전(律典)은 『사분율』이다.
  88. 88)소의 율전은 『오분율』이다.
  89. 89)소승 부파의 이름으로 줄여서 일체유부(一切有部)라고도 한다. 불멸 후 300년경에 근본상좌부(根本上座部)에서 분파된 학파이다. 개조는 가다연니자(迦多衍尼子)인데, 모든 법을 5위(位) 75법(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아공법유(我空法有), 삼세실유(三世實有) 법체항유(法體恒有) 등을 주장했다. 소의 율전은 『십송률』이다.
  90. 90)최초의 결집(結集) 당시 칠엽굴 안에 있었던 상좌(上座)들에 대해서, 굴 밖에 있었던 대중들을 2부로 나눈 것이, 근본 2부 즉 상좌부와 대중부이다. 소의 율전은 『마하승기율』이다.
  91. 91)범어 Kalī의 음력으로 악생무도왕(惡生無道王)이라 번역한다. 석가세존께서 과거세에 인욕선인(忍辱仙人)으로 수도할 때 그 팔과 다리를 끊었다고 하는 본생담에서 나온 인물 이름이다.
  92. 92)본서와 『서역기』에서는 이곳을 스와트강의 상원지(上源地)라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훨씬 상류의 Kalam 지방이다.
  93. 93)“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 생멸멸기(生滅滅己) 적멸위락(寂滅爲樂)”의 뒷부분의 반게를 말한다. 『열반경』 제14권에 “석가여래가 전생에 설산에서 수행할 때, 나찰(羅刹)에게서 전반게(前半偈)를 듣고 기뻐하여 다시 후반게(後半偈)를 구하니 나찰이 듣지 않아 몸을 버려서 그에게 줄 것을 약속하고 듣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설산(雪山) 8자(字)’라고도 한다.
  94. 94)과거세에 열 가지 선을 행하여 모든 사람이 계율을 지니게 하고 귀신의 음식을 없앴던 왕이다. 그는 자신을 찾아온 다섯 야차에게 자신의 몸과 피를 보시하여 배불리 먹게 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석가모니불이다.
  95. 95)『서역기』에는 신도하(信度河)로 되어 있다.
  96. 96)달려라(達麗羅)라는 이름은 『법현전(法顯傳)』의 타력(陀歷)과 같고, 범어로 산이라는 뜻인 daradaㆍdaraḍa에서 유래된 이 지방의 옛 이름 Darel의 음역이다. 불전에 보이는 타라타(陀羅陀)ㆍ달리타(達利陀)ㆍ달라타(達羅陀) 등은 darada의 음사이다. 인도하 서안의 골짜기이다.
  97. 97)말전지(末田地) 또는 말전지나(末田地那)라고도 한다. 3세기 무렵 인도의 비구 이름이다. 중(中), 일중(日中), 수중(水中), 금지(金地), 하중(河中)이라고 번역한다.
  98. 98)도사다(覩斯多) 또는 도사다(都史多), 도사다(兜駛多)라고도 한다. 하늘 이름으로 옛 번역에는 도솔(兜率)이라 하였다. 도사다천의 내원(內院)에 미륵보살이 사는 정토가 있다고 한다.
  99. 99)옛날에는 인도와 서아시아와 중아시아를 연결하는 요지로서 번성하였다.
  100. 100)선종에서 전하는 28조사(祖師) 가운데 한 분인 구마라다(鳩摩羅多)를 가리킨다. 서천28조(西天二十八祖)라고도 한다. 28조사는 마하가섭(摩訶迦葉)ㆍ아난존자(阿難尊者)ㆍ상나화수(商那和修)ㆍ우바국다(優婆麴多)ㆍ제다가(提多迦)ㆍ미차가(彌遮迦)ㆍ바수밀(婆須蜜)ㆍ불타난제(佛陀難提)ㆍ복태밀다(伏駄蜜多)ㆍ협존자(脇尊者)ㆍ부나야사(富那耶舍)ㆍ마명대사(馬鳴大師)ㆍ가비마나(迦毘摩羅)ㆍ용수대사(龍樹大師)ㆍ가나제바(迦那提婆)ㆍ라후라다(羅睺羅多)ㆍ승가난제(僧伽難提)ㆍ가야사다(伽耶舍多)ㆍ구마라다(鳩摩羅多)ㆍ야다(夜多)ㆍ마나라(摩拏羅)ㆍ학륵나(鶴勒那)ㆍ사자존자(師子尊者)ㆍ바사사다(婆舍斯多)ㆍ불여밀다(不如蜜多)ㆍ반야다라(般若多羅)ㆍ보리달마(菩提達摩)을 말한다. 이 가운데 보리달마는 중국의 초조(初祖)를 겸하고 있다. 『송대계숭지전법종정기(宋代契嵩之傳法正宗記)』에 나온다.
  101. 101)범어 siṃhapura의 음사이다. 펀잡지방의 Jhelam강 북쪽 기슭에 있는 Pind Dādan khan에서 약 25km, Chakowâl의 남쪽 약 29km인 Ketāksh (khetās)라고 한다.
  102. 102)범어 Uraśā의 음사이다. 『서역기』에서는 오랄시(烏剌尸)가 지금의 Indus강과 Jhelum강 상류에 끼어 있는 Hazara지방이라고 되어 있다.
  103. 103)범어 kaśmiraㆍkāśmīraㆍkāśmīra의 음사이다. 한나라 서적에는 계빈(罽賓)ㆍ가섭미라(伽葉彌羅)ㆍ개실밀(箇失蜜)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 지금의 Kashmir 지방이다.
  104. 104)대중국(大中國)이라는 뜻이다. 마하(摩訶)는 범어 대(大)의 음역이므로, 마하지나는 대지나(大支那)가 된다.
  105. 105)거리의 단위이다. 제왕이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로, 40리, 30리, 16리 등의 여러 설이 있다. 일반적으로 1유순은 약 7마일이라고 한다.
  106. 106)중현(衆賢)의 저작으로,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을 줄여 부르는 말이다. 『정리론(正理論)』이라고도 한다. 중현(衆賢)이 세친(世親)의 『아비달마구사론』을 보고 나서 경량부에 기울어져 있는 세친의 논지를 반박하고 유부(有部)의 교설을 현양(顯揚)하고자 본 논서를 지었다고 전한다. 이에 구사론을 논박하고 있다고 하여 『구사박론(俱舍雹論)』이라 부르기도 한다. 아비달마 논장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두 논서가 바로 세친의 구사론과 본 논서이다.
  107. 107)고대 인도에서 학문의 총칭인 5명(明)의 하나로, 인도의 논리학이다. 스스로 깨닫기 위한 진리 탐구의 방법과 자기의 논지를 다른 사람이 납득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후자를 위주로 한다. 논리를 세우는 형식상의 중심 요소는 종(宗)ㆍ인(因)ㆍ유(喩)이다. 논증하고자 하는 명제가 종, 이것을 성립시키는 이유가 인, 실례(實例)를 제시하여 종과 인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유이다. 이 중 인이 가장 중요하므로 인명이라고 한다. 원래 족목(akṣapāda)이 창설했다고 하며, 불교의 논사인 진나(陳那)에 이르러 체계적으로 완성되었다.
  108. 108)대승 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창립자이자 이론가인 무착(無着)과 세친(世親) 형제를 말한다. 이들은 4-5세기경 북인도 건다라국(犍陀羅國) 부루사부라성(富樓沙富羅城) 사람이며 바라문족 출신이다. 세친은 소승에서 5백 부, 대승에서 5백 부의 논(論)을 지어 천부논사(千部論師)라고 불린다. 천친(天親)이라고도 하는데, 형 무착의 권유로 대승에 귀의하여 크게 이름을 드날렸다. 무착(無着)은 처음에는 소승화지부(小乘化地部)에 들어가 출가하여 빈두라(賓頭羅)를 따라 소승의 공관(空觀)을 닦았는데, 뒤에는 법상 대승(法相大乘)의 교화를 선양하고 또 여러 가지 많은 논소(論疏)를 지어 대승경(大乘經)을 해석하였다. 무착의 저서로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20권, 『섭대승론(攝大乘論)』 3권,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100권 등이 있다.
  109. 109)마하승기부(摩訶僧祇部)의 약칭이다.
  110. 110)가니색가(迦膩色迦)의 범명은 Kaniṣka이다. 계니가왕(罽膩迦王)ㆍ계니가왕(罽膩伽王)ㆍ단계니타왕(壇罽膩咤王)ㆍ할니시할왕(割尼尸割王)ㆍ기니슬타왕(迦膩瑟咤王) 등으로도 쓴다. 고대 인도 건타라국(犍陀羅國), 즉 월씨국(月氏國)의 국왕이다. 귀상왕조(貴霜王朝, 범어 Kuṣāna)의 제3세왕이다.
  111. 111)선종에서 전하는 28조사(祖師)조사 가운데 한 분이다. 서천28조(西天二十八祖)라고 하는 28조사는 마하가섭(摩訶迦葉)ㆍ아난존자(阿難尊者)ㆍ상나화수(商那和修)ㆍ우바국다(優婆麴多)ㆍ제다가(提多迦)ㆍ미차가(彌遮迦)ㆍ바수밀(婆須蜜)ㆍ불타난제(佛陀難提)ㆍ복태밀다(伏駄蜜多)ㆍ협존자(脇尊者)ㆍ부나야사(富那耶舍)ㆍ마명대사(馬鳴大師)ㆍ가비마나(迦毘摩羅)ㆍ용수대사(龍樹大師)ㆍ가나제바(迦那提婆)ㆍ라후라다(羅睺羅多)ㆍ승가난제(僧伽難提)ㆍ가야사다(伽耶舍多)ㆍ구마라다(鳩摩羅多)ㆍ야다(夜多)ㆍ마나라(摩拏羅)ㆍ학륵나(鶴勒那)ㆍ사자존자(師子尊者)ㆍ바사사다(婆舍斯多)ㆍ불여밀다(不如蜜多)ㆍ반야다라(般若多羅)ㆍ보리달마(菩提達摩) 등이다. 이 가운데 보리달마는 중국의 초조(初祖)를 겸하고 있다. 『송대계숭지전법종정기(宋代契嵩之傳法正宗記)』에 나온다.
  112. 112)인도(印度) 바라문 종족(種族)이 연구(硏究)한 것을 불교(佛敎)에서 본받은 다섯 가지 학술(學術). 곧 성명(聲明)ㆍ공교명(工巧明)ㆍ의방명(醫方明)ㆍ인명(因明)ㆍ내명(內明)을 말한다.
  113. 113)범명 sūtra, 파리명 Sutta이다. 일체 불법의 총칭이다. 의역하여 경장(經藏)ㆍ계경장(契經藏)이라고 한다. 삼장(三藏) 가운데 하나이다.
  114. 114)범명 Śākala, 혹은 śāgala이며, 파리명은 Sākala이다. 지금의 Sialkot로 추정된다. 기원전 2세기에 미린다왕(Menandros)이 인도승 용군(龍軍:나가세나)과 교리문답을 한 곳이라 하며, 백흉노왕(白匈奴王) 미히라쿠라(Mihirakula, 515-550년 재위)의 수도였다.
  115. 115)인도에서 나는 과일 이름으로 암마라(菴摩羅) 또는 무구청정(無垢淸淨)이라 번역하기도 한다고 한다.
  116. 116)용수(龍樹)의 저작으로 후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하였다. 『정관론(正觀論)』, 또는 『중관론(中觀論)』으로도 불린다. 부처의 근본 교설인 연기설을 반야경의 사상에 입각해서 무자성ㆍ공 등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귀류법(歸謬法) 등의 논법을 예리하게 구사하여 외도와 소승의 사견과 편견을 논파한 용수(龍樹)의 중송(中頌)에 대한 주석서이다.
  117. 117)제바(提婆)의 저작으로 후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하였다. 『중론』에 표현된 용수의 학설을 받아들여, 다른 학파의 견해를 논파함으로써 대승 불교의 공(空)과 무아설(無我說)을 명확히 한 불전이다.
  118. 118)베타(吠陀)라고 하며, 고대 인도의 바라문교의 근본성전의 총칭이다. 원래 지식을 가리키며, 신성한 지식의 보고로서 바라문교의 기본문헌의 총칭이 되었다. 리그 베다ㆍ사마 베다ㆍ야지르 베다ㆍ아타르바 베다의 4베다로 이루어지며, 제사에 있어서 각각 그 직장(職掌)을 달리하는 4종류의 제관(祭官)에 각각 소속하여 이 구별이 생기며, 제사와 밀접하게 관련하여 발달한 종교문헌이다.
  119. 119)성천(聖天)보살이 저술하고, 후에 현장(玄奘)이 번역한 『광백론본(廣百論本)』의 약칭이다. 『사백론송(四百論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도와 소승의 제법(諸法) 실유설(實有說)을 논파하고 진공(眞空)과 무아의 이치를 천명한다. 모두 8품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품은 모두 5자 4구의 25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불전에는 모두 2백 개의 게송이 있다.
  120. 120)『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의 약칭이다. 중현(衆賢)이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의 자매편이라고 할 수 있는 본 논서는 흔히 『약론(略論)』이라 부르며, 『아비달마순정리론』은 『광론(廣論)』이라 부른다. 『아비달마순정리론』이 『아비달마구사론』을 논박하기 위해서 저술되었다면 본 논서는 단지 유부(有部)의 교설을 전개하는 데 그 뜻이 있었다는 것이 두 논서의 차이점이다. 또한 『아비달마순정리론』의 방대한 분량과 난해함을 덜고자 본 논서를 저술하였다고 한다.
  121. 121)불경에 “과거의 주겁(住劫)은 장엄겁(莊嚴劫)이라 하고, 미래의 주겁(住劫)은 성숙겁(星宿劫)이라 하고, 현재의 주겁은 현겁(賢劫)이라 하는데, 현재의 주겁으로 20이 가감(加減)하는 가운데 천불(千佛)이 출세하였다. 그러므로 찬미(讚美)하며 현겁이라 한다”고 하였다.
  122. 122)석가모니의 10대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가다연나(大迦多衍那)ㆍ가저야야나(迦底耶夜那)ㆍ대가다연나ㆍ대가전연ㆍ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ㆍ호미(好眉)ㆍ문식(文飾)ㆍ선승(扇繩). 가전(迦旃)이라고도 한다. 남인도의 바라문 출신이며, 갓 태어난 석가모니의 미래를 예언했던 아사타(阿私陀) 선인의 제자로 스승의 유언에 따라 부처님께 귀의했다. 부처님의 교화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아반티 국의 수도 웃자이니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서쪽 지방에서도 전도 활동을 했다. 부처님과 사리불과 목건련이 입멸한 후에는 교단의 지도자가 되어 교화에 활약했다. 부처님의 설법을 잘 이해하도록 설명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교의를 이해하고 논하는 데 가장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 하여 논의제일(論議第一)이라고 불렸다.
  123. 123)마하목건련(摩訶目犍連)의 약칭이다. 부처님의 10대제자 중에서 신통제일(神通第一)로 알려졌다.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하여 시아귀회(施餓鬼會)를 베풀었는데, 이것이 지금의 우란분(盂蘭盆)의 유래가 되었다. 목련존자(木蓮尊者)라고도 부른다.
  124. 124)우파리(優婆離) 또는 우파리(優波離)의 속음이다. 석가모니의 10대제자 중의 한 사람이다. 하층 계급인 슈드라 출신으로서 석가족(釋迦族)의 이발사였으나, 부처님이 성도한 후 고국에 갔을 때 출가하였다. 출가한 후로는 계율을 매우 엄중히 지켰으므로 ‘지계(持戒) 제일’ 또는 ‘지율(持律) 제일’이라고 불린다. 제1차 결집 당시에 율장 부분을 암송하였으며, 마하가섭, 아난타와 함께 ‘결집의 3인’으로 꼽힌다. 우파리(優婆利), 우파리(優波利) 등으로도 적는다.
  125. 125)난타(難陀)라고도 하는데, 여래(如來)의 사촌 동생으로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하나이다. 25세에 출가하여 25년 동안이나 여래를 모셨는데, 용모가 뛰어난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지만 지조가 견고하여 불법을 잘 수행했다고 한다. 특히 설법(說法)을 많이 전파하여 다문(多聞)으로 유명하였다.
  126. 126)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이며, 출가하기 이전의 석가모니의 아들이다. 이 아들이 출가의 장애가 되었다 하여 붙인 이름이 라후라이다. 라후라(羅吼羅)로도 적는다. 혹은 나운(羅云), 나운(羅雲), 복장(覆障), 장월(障月), 집일(執日). 나후(羅羅)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성도 후 고국 가비라성으로 돌아왔을 때에 부처님께 출가하여 20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교단 최초의 사미였다고 한다. 출가 후에는 사리불의 지도를 받아 수행했다. 침묵을 원칙으로 삼아 수행에 전념하여, 많은 비구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배워 익히기를 좋아하고 자기가 지켜야 할 것을 은밀히 잘 실행한다 하여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른 제자들을 멸시하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하여, 부처님으로부터 훈계를 받기도 했다. 세상에 머물며 법을 수호하는 16나한 가운데 하나이다.
  127. 127)문수사리(文殊師利)ㆍ문수보살이라고 한다.
  128. 128)아비달마(阿鼻達磨)라고도 표기한다. 법(法)에 대한 연구라는 뜻에서는 대법(對法)으로, 뛰어난 법이라는 뜻에서는 무비법(無比法), 승법(勝法) 등으로 번역한다. 논(論)이라는 뜻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정리, 주석, 연구, 요약한 불전으로서의 논서를 가리킨다. 원어의 의미는 ‘법에 대하여’이므로 이로부터 ‘법에 대한 연구’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원어의 ‘아비’에는 ‘뛰어난’이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법을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로 해석하고 이 진리를 이해한 제자들의 지혜를 아비달마라고 한다. 한편 제자들의 아비달마를 이해하여 정리한 논서도 아비달마로 불렸다. 이런 논서들은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작성되었으며, 이것들을 모은 논장(論藏)이 성립되었다. 아비달마는 석가모니가 설한 교법을 연구하고 그 의미를 해명하여 그것을 다방면에서 설명함과 동시에 새로운 교리도 발전시켰다. 아비달마는 불교 일반에서 통용되는 주요 교리들을 체계화한 데 공헌했지만, 그 분석적 태도가 과도하여 번쇄한 학문주의에 치우친 경향도 있다.
  129. 129)정(定)은 선정이란 뜻이므로, 좌선을 뜻하는 말이다.
  130. 130)『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의 약칭이다. 703년에 당나라 의정(義淨)이 번역하였다. 총 50권의 내용에 설일체유부의 비구계(比丘戒) 249조를 비롯하여 계율 제정의 인연 등이 상세하게 집대성되어 있는 율부(律部) 문헌이다.
  131. 131)사람 이름으로 우파급다의 번역 이름이다.
  132. 132)아라한에 도달한 경지, 삼계(三界)의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은 성자의 과보를 말한다. 소승불교에서 불제자들이 도달하는 최고의 단계이다. 이것을 향해 수행하고 있는 과정을 아라한향이라고 한다.
  133. 133)서기 170년에서 270년 경에 생존한 인도의 논사로, 용수의 제자이며 『광백론본(廣百論本)』, 『백론(百論)』, 『백자론(百字論)』의 저자이다. ‘애꾸눈 제바’라는 뜻으로 가나제바라고도 불린다. 오로지 공의 법문만을 창도하는 저술을 남겨, 후세에는 용수에 버금하는 중관파의 조사로 받들어졌다. 외도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
  134. 134)소승 부파의 이름인 설일체유부의 줄임말이다. 불멸 후 3백 년경에 근본상좌부(根本上座部)에서 분파된 학파이다. 개조는 가다연니자(迦多衍尼子)인데, 모든 법을 5위(位) 75법(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아공법유(我空法有), 삼세실유(三世實有) 법체항유(法體恒有) 등을 주장했다.
  135. 135)『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의 별칭이다.
  136. 136)중고시기에 인도는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中)의 다섯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기에 5인도, 또는 5천축(天竺)이라고 한다. 줄여서 5천(天)ㆍ5축(竺)ㆍ5인(印)이라고도 한다.
  137. 137)『서역기』와 『자은전』에서는 “마티푸라국으로부터 북쪽으로 3백여 리……”라 하였으나 모두 ‘동북쪽’으로 개정(改正)하고, Alakananda강 유역의 Gaṛwāl로 추정하고 있다.
  138. 138)도리천은 번역하면 삼십삼천(三十三天)인데 욕계(欲界) 육천(六天) 중의 두 번째에 해당한다. 수미산의 마루턱 염부제(閻浮提)의 위 팔만유순(八萬由旬)의 곳에 있다고 한다. 이 천(天)의 유정신장(有情身長)은 1유순이고, 옷의 무게는 6수(銖)이며, 수(壽)는 1천 세라고 한다.
  139. 139)수미산의 남방에 있는 큰 섬인 남섬부주(南贍部洲)를 말한다. 염부제(閻浮提)와 같은 뜻으로, 옛날에는 염부주(琰浮洲), 염부제비파(閻浮提鞞波)라고 하였다. 곧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곳을 이른다. 수미산(須彌山) 사방에는 4개의 큰 섬, 즉 4주(洲)가 있다고 하는데, 남섬부주(南贍部洲)ㆍ동승신주(東勝身洲)ㆍ서우화주(西牛貨洲)ㆍ북구로주(北瞿盧洲)가 그것이다.
  140. 140)제석천의 강당을 말한다. 수미산 꼭대기 희견성(喜見城) 밖 서남쪽에 있다. 이곳에서 사람의 선악을 논한다고 한다.
  141. 141)사바세계를 지키는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왕이다.
  142. 142)짐승의 털로 만들어 먼지를 터는 기구로, 승려들이 담론(談論)할 때에 이것을 손에 들고 휘두르면서 말하였다.
  143. 143)불교 설화에 나오는 도리천(忉利天)의 주재자로, 수미산(須彌山) 정상의 선견성(善見城)에 살면서 불법을 옹호하고 아수라(阿修羅)를 몰아낸다고 한다. 그 범명(梵名)은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인데 범어로는 Śakra devãnām Indrah이다. 샤크라라고도 한다.
  144. 144)보석이나 구슬 같은 것으로 장식된 천개(天蓋)이다. 천개는 불상을 덮는 일산을 말한다.
  145. 145)7세기 전반 현장이 인도에 머무를 무렵, 곡녀성(曲女城)을 본거지로 하여 5인도를 정복하여 굽타왕조 후의 분열을 통일한 왕이다. 계일왕(戒日王) 또는 희증(喜增)이라고도 한다.
  146. 146)의역하면 계일(戒日)이 된다. 위에서 말한 갈리사벌탄나(曷利沙伐彈那)의 즉위 후의 칭호이다. 계일왕은 인도 역사상 가장 유명한 국왕이다.
  147. 147)현성(賢聖)과 도속(道俗), 귀천(貴賤), 상하(上下)를 불문하고 평등하게 법재(法財)의 2시(施)를 행하는 법회를 말한다.
  148. 148)시비국(尸毘國)의 왕자이다.
  149. 149)『불사비구가전연설법몰진게백이십장(佛使比丘迦旃延說法沒盡偈百二十章)』을 말하는 것으로, 『가전연설법몰진게(迦旃延說法沒盡偈)』, 『불사가전연설게(佛使迦旃延說偈)』, 『불사가전연설법몰진게(佛使迦旃延說法沒盡偈)』 등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