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1. 개요
이 논은 『능가경』에서 비판하는 외도의 열반론에 대해 해석한다. 줄여서 『능가외도론(楞伽外道論)』, 『석외도소승열반론(釋外道小乘涅槃論)』, 『외도소승열반론(外道小乘涅槃論)』이라고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북위(北魏)시대인 508년에서 동위(東魏)시대인 535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능가경』에서 비판하는 외도의 열반론에 대해 해석한다. 제목에서 저자를 용수의 제자 제바라고 표명하지만, 제바는 『능가경』 성립 이전의 인물이기 때문에, 제바 보살에게 가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역자가 보리류지라는 것에도 이론이 있다. 여기서는『능가경』에 나타난 외도의 열반 개념을 20명의 논사가 설한 것으로 정리하며 그들의 주장을 소개한다. 그들은 소승 외도 논사, 방(方) 논사, 풍선(風仙) 논사, 위다(圍陀) 논사, 이서나(伊賖那) 논사, 나형(裸形) 외도, 비세사(毘世師) 논사, 고행(苦行) 논사, 여인(女人) 권속(眷屬) 논사, 행고행(行苦行) 논사, 정안(淨眼) 논사, 마타라(摩陀羅) 논사, 니건자 논사, 승거(僧佉) 논사, 마혜수라(摩醯首羅) 논사, 무인(無因) 논사, 시(時) 논사, 복수(服水) 논사, 구력(口力) 논사, 본생안차(本生安茶) 논사 등이다. 그중 나형 외도는 자이나교, 비세사 논사는 바이셰쉬카 즉 승론(勝論) 학파, 승거는 상키야 학파를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타의 논사는 실제 어느 종교 철학을 가리키는지 분명하지 않다. 또한 이 논에서 다루는 외도의 견해는 『능가경』에서 언급하는 바와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예컨대 위다 논사는 베다를 가리키지만, 실제 『능가경』에서는 베다의 입장이 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 소개하는 외도의 열반 개념과 실제 그 학파가 주장하는 열반 개념이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능가경』은 외도의 열반 개념을 소개하면서 그 같은 견해가 모두 옳지 않음을 밝힌 뒤 불교의 열반 개념을 제시하지만, 이 논에서는 외도의 열반 개념을 비판하지도 않고 불교의 열반 개념도 제시하지 않으며, 외도의 열반 개념을 단지 해석할 뿐이다. 이처럼 이 논은 명확하지 않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지만, 5세기 무렵 인도의 종교와 철학의 일면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