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大乘廣百論釋論卷第八

ABC_IT_K0583_T_008
016_0639_b_01L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제8권
016_0639_b_01L大乘廣百論釋論卷第八


성천보살 본논 지음
호법보살 주석
현장 한역
016_0639_b_02L聖天菩薩本 護法菩薩釋三藏法師 玄奘奉 詔譯


6. 파변집품(破邊執品)
016_0639_b_04L破邊執品第六
016_0639_c_02L
감관과 경계가 모두 허망하다는 사실을 이미 변론하였으니, 다음에는 참되지 못한 이론인 치우친 집착[邊執]의 때를 씻어주리라.
그러므로 이런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이 진실로 있다면
남을 의지해서 이뤄지지 않을 것이요
반드시 남을 의지해서 이뤄졌다면
실제로 있지 않음을 분명히 안다

논하건대 만일 온갖 법의 형상이 진실로 있다면 의당 남을 의지해서 성립되지 않았을 것이요, 만일 빛 따위 법들이 반드시 남을 의지해서 성립되었다면 이러이러한 저 언덕도 결정코 실제로 있지는 않으리라.
휴류(鵂鶹) 외도들이 주장하는바 구절들은 있음[有] 따위를 원인으로 삼아 훤하게 드러나고, 있음 따위의 구절은 다시 진실[實] 따위를 원인으로 삼아 스스로의 의지할 바를 삼고서야 비로소 환하게 밝아진다. 또 빛 따위 법은 스스로의 인연이나 광명 따위를 기다려서 훤하게 나타날지언정 조그마한 어떤 법도 자체로써 의지할 바를 삼았음을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빛 따위 티끌은 모두가 진실로 있지 않다.
만일 말하기를 “마주 대립해서는 딴 이름을 세울 수 있으나 이 언덕과 저 언덕과 저 언덕 본제는 실제로 있나니 빛 따위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같은 비유[同喩]가 성립되지 않는다 한다면 이 말도 옳지 못하다.
빛 따위가 마주 대하면 본체와 형상이 다름이 없거니와 이 언덕과 저 언덕이 마주 대하면 다름이 있다. 그러므로 이 언덕과 저 언덕은 빛 그대로가 아니니, 그 본체는 진실치 않으므로 같은 비유가 성립된다.
또 그들이 숭상하는 진실 따위 구절이 만일 까닭없이 성립되었다면 마치 허공의 꽃 같을 것이요, 까닭 있어 성립되었다면 의당 허깨비 같으리라. 그러므로 그 본체가 실체로 있다고 집착하지 말라.
수론(數論)의 종파에서는 빛 따위 모든 법이 즐거움 따위를 여의지 않고 즐거움 따위를 의지해서야 이뤄진다 하나니, 즐거움 따위도 역시 남에 의해서 성립된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뒤바뀜이 없어야 하리라.
원인 있음과 원인 없음의 종류도 앞의 말과 같다. 그러므로 빛 따위는 그 본체가 진실치 않다.
또 다시 모든 외도의 종파들이 집착하기를 “병 따위가 있다”고 하나 빛(물질) 그대로이건 빛을 여의었건 모두가 성립되지 못하나니, 반드시 병 따위를 의지해서야 비로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앞의 같은 비유와 같아서 그 본체가 진실치 않다.
병 따위가 곧 빛이라고 말하지 말지니, 병은 빛을 의지해야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남에게 의지하지 않았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를 밝히기 위해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빛 그대로가 병도 아니요

논하건대 빛의 본체 그대로에 병이 있다고 세우지 말라. 소리 따위도 병의 제 성품을 이루기 때문이다. 빛은 소리 따위로써 제 성품을 삼지 않았거늘 어찌 빛이 곧 병이라고 주장하랴.
소리 따위도 그대로가 병의 본체가 아니니, 이치는 빛에서 부정한 것과 같다. 그러므로 따로 이야기하지 않는가.
또 낱낱 병은 여러 법칙으로써 본체를 삼았고, 빛 따위는 그렇지 않거늘 어찌 그대로가 병이랴. 빛 따위가 그대로가 병이라면 의당 병과 동일할 것이요, 병 그대로가 곧 빛이라면 의당 그들과 같이 많으리라. 그러므로 병과 빛 따위의 본체가 모두 실제로 있는 것으로서 서로 의지하여 성립되었다고 말하지 말라.
만일 말하기를 “빛의 본체가 흩어질 때엔 본체가 병이 아니나 모이면 병으로 변한다” 한다면 또한 빛의 본체가 흩어질 때엔 본체가 빛이었으므로 뒤바뀔 때엔 빛 아닌 것이 되기도 할 것이다.
만일 빛이 모일 때에 병이기도 하고, 빛이기도 한다면 한 법에 두 형상이 있는 것이니, 이는 전에 본체가 많을 것이다 한 대문에서 이미 파했다. 그러므로 병 따위는 빛 따위가 아니다.
어떤 이는 말하기를 “빛을 떠나서 병이 있으니, 공덕과 진실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잘못이 없으리라” 하거니와 병은 존재의 형태 따위를 의지해서야 비로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는 거짓이요 참이 아니니, 앞에 이미 말한 바 있다.
또 빛을 떠나서 병이 있다고 집착하지도 몰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를 풀기 위해 다음의 게송이 있다.

빛을 떠나서도 병이 있지 않으며

논하건대 빛 따위를 떠나서 따로 어떤 진실한 구절(진리)이 있어 병이나 옷 따위 물건이 빛의 의지할 바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병이나 옷 따위 물건이 만일 빛 따위가 아니라면 마치 허공 따위와 같아서 빛 따위의 의지할 바가 되지 않으리라. 그렇다면 병이나 옷 따위는 의당 병이나 온 따위 물건은 없으리라. 공통하지 않는 공덕이 없으므로 뜻(意:수론외도에서 진실한 것을 말하는 아홉 가지 중의 하나로서 지극히 미세한 물체)과 같으리니, 뜻은 반드시 없는 것이며, 무상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니, 앞에서 파한 바 ‘나’와 허공 따위와 같다.
그러므로 병 따위는 빛 따위를 여의지 않았다.
만일 그대로거나 여의었거나에 이치는 모두 성립되지 않고, 병 따위가 모두 허망하여야 이치가 성립되리라.
또 다시 병 따위와 빛 따위가 서로 서로 의지하여서 성립된다 하여도 모두 이치에 맞지 않나니, 그러므로 다음 게송에 이렇게 말했다.

병을 의지하여 빛이 있지도 않으며
병이 빛에 의하여 있지도 않다.

논하건대 병 따위와 빛 따위는 본체가 모두 진실치 않거늘 어떻게 의지하는 쪽과 의지할 곳을 설정하겠는가. 여기에서 의지한다는 말은 간혹 원인이란 뜻을 표현하여 진실의 공덕이 인과를 이루지 않는다는 사실을 나타내고자 할 뿐이다.
휴류 외도들이 집착하기를 “병 따위의 원인에 의하여 빛 따위의 결과가 있다”고 하거니와 이는 비량(比量)에 어기는 것이다. 이른바 빛 따위는 병 따위를 원인으로 삼는 것이 아니니, 이 빛 따위는 소리에 의해 표현되는 바이며, 빛 따위를 취하는 마음으로 반연할 바 경계이기 때문이며, 빛의 성품 따위가 항상하기 때문에 원인이 없는 것 같다.
수론사(數論師)들은 집착하기를 “빛 따위 원인에 의하기 때문에 병 따위의 결과가 있다”고 하나니, 이것 또한 비량에 어긴다. 이른바 병 따위는 빛 따위로써 원인을 삼지 않나니, 그를 여의지 않기 때문이며, 즐거움 따위의 성품이기 때문에 그대로가 빛 따위와 같다.
그들은 빛 따위와 있음(유위)의 성품은 그대로도 아니며, 여의지도 않았다고 집착하나니 있음 그대로가 아니기 때문에 토끼의 뿔과 같아서 병 따위의 원인이 아니리라.
만일 말하기를 “빛 따위가 그대로가 있음의 성품이라면 의당 있음의 성품과 같아서 본체에 차별이 없으리라”
만일 말하기를 “빛 따위가 즐거움 따위로써 성품을 삼으니, 이는 이미 본체가 같음을 허락하는 것이라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니, 그대들의 종파에서 감관과 경계가 다르다는 주장과 어기기 때문이다.
또 다시 큰 허물이 있으니, 괴로움ㆍ즐거움ㆍ어리석음 따위 세 가지 성품도 똑같아서 다름이 없었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즐거움 따위가 있음의 성품이 아니라 한다”면 마치 토끼의 뿔과 같아서 그 본체가 도무지 없을 것이며, 빛 따위도 역시 그와 가아서 있지 않으리니, 서로 여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즐거움 따위 세 가지와 같으니, 그렇다면 온갖 것은 모두가 실제로 있지 않다. 그러므로 빛 따위는 병 따위의 원인이 아니다.
또 다시 승론의 무리가 말하기를 “저들(수론)이 주장한바 같음의 성품과 모든 법이 하나라” 하여 그런 허물이 있다면 나는 주장하기를 “같음의 성품과 모든 법이 다르다 하노니, 서로가 다르기 때문에 그런 허물이 없으리라. 모든 법은 서로 견주건대 같음과 다름이 있고, 법의 본체는 국한되고 다르다. 그 까닭에 이름은 다르나 성품은 두루 통한다. 그러므로 같다고 한다. 희통함과 국한됨이 다르기 때문에 형상에 차이가 있고, 형상이 다르므로 다른 이외에 같음이 있다”고 한다.
만일 그렇다면 같다 다르다 하는 말은 다른 이외에 따로 같음이 있다고 주장해야 하리라. 같고 다름이 있기 때문에 같아진 법과 같으리라.
만일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이 같고 다름의 성품은 경계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이외에 같음이 없으리라. 그 같아진 법의 경계가 동일하기 때문에 법 밖에 같음이 있으리라. 만일 그렇다면 모든 법은 다름의 성품이 있으리라. 그 까닭이겠는가. 이를 위해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만일 두 형상이 다름을 보고
병을 떠나서도 같음이 있다 하면
두 형상이 이미 다르기 때문에
병을 떠나서 다름도 있어야 하리

논하건대 만일 모든 법에서 같고 다른 형상이 다름을 보면 이는 곧 법 이외에 따로 같음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미 모든 법 같고 다름이 있다고 여긴다면 의당 법 이외에 따로 다름이 있음을 세워야 한다. 같고 다름의 두 형상은 모두가 모든 법에 두루하였으니, 다름은 같음과 같아서 법을 떠나 따로 있어야 하리라.
설사 법 이외에 다름과 같음이 있다고 허락한다면 이는 다시 이 밖의 다름 같고 다름의 성품이 또 있어야 하리라.
이와같이 같고 다름이 끝이 없으면 두 가지 형상의 차별을 알 수 없나니, 두 가지가 모두 두루했기 때문이며, 모두가 끝이 없기 때문에 다름은 같음과 꼭 같아서 같음이라 할지언정 다름이라 하는지 않았을 것이며, 같음은 다름과 같아서 다름이라 할지언정 같음이라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법 이외에 따로 같고 다름이 있지 않다.
또 만일 진실 따위와 있음의 성품 따위가 다르다면 진실 따위가 있는 것임을 알지 못하리니, 다른 형상을 지닌 지혜는 살피어 알지 모하기 때문이다.
그 다른 형상의법은 앞서 이미 자세히 변론했거늘 어찌하여 세간 사람들은 있음의 성품이 아닌 진실 따위 법위에서 있다는 지혜를 일으키는가.
만일 말하기를 “진실 따위는 비록 있음의 성품은 아니나 있음과 합하기 때문에 있음의 지혜를 일으킨다 한다면 진실 따위 법은 거짓으로 있음이라 하거니와 본체는 진실로 있지 않으므로 없음이라 해야” 한다.
마치 변두리 사람이 서서 먹고, 서서 마시고, 똥오줌을 눈 뒤에 손을 씻지 않고, 양치질도 하지 않으므로 거짓으로 소라 하지만 참으로 소가 아닌 것 같이, 진실 따위도 그러하여서 거짓으로 있을지언정 실제에는 없다.
또 그대는 의당 말하기를 “어떤 것이 참된 있음으로서 나머지 있음과 합하기에 거짓으로 있다”고 하는가 해야 한다.
만일 말하기를 “있음의 성품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 한다”면 그 이치가 옳지 않으니,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있음과 진실 따위는 똑같이 지혜의 반연이 있거늘 어떻게 하나는 참되고 하나는 거짓이라 하겠는가.
또 참으로 있음과 거짓으로 있음은 한 지혜의 반연이 아니니, 참과 거짓이 다르기 때문이다. 마치 왕과 신하와의 관계와 같다.
또 말하기를 “진실 따위는 그 본체가 제각기 다르거니와 있음의 성품은 같다. 그러므로 있음과는 다르다” 하거니와 이것도 옳지 못하다.
진실 따위의 자체도 다름이 없거늘 다만 공능과 형상 따위에 다름이 있을 뿐이며, 있음의 성품도 그러하여서 공능과 작용에 차이가 있을 뿐이거늘 어찌 진실한 다름 따위가 있다고 결정적으로 집착하랴.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모두가 알아야 할 대상이기 때문이며, 아울러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며, 함께 작용이 있기 때문에 서로 서로가 비슷해서 모두가 다르고 모두가 같다. 그러므로 있음의 성품은 진실 따위를 여의지 않았다.
또 다시 그들에게 묻노니, 법 밖에 성품이 있다면 무엇으로써 비유를 삼아야 그가 실제로 있음을 알겠는가. 만일 말하기를 “하나가 의지한 바인 진실 따위는 그 형상이 제각기 다르지만 수효의 지혜를 내지 못하는데 하나인 수효는 같으나 능히 수효의 지혜를 낸다. 법과 수효가 합해서 하나의 병 따위라 하나니, 서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진실 따위는 하나가 아니며, 있음과 법은 다르나니, 이것이 같은 비유[同喩]라” 한다면, 병 따위는 한 지혜로써 알 바가 아니니, 본체가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둘, 셋 따위와 같다.
만일 말하기를 “병 따위의 본체는 비록 하나가 아니지만 하나와 합하기 때문에 하나가 된다”고 한다면 이 하나가 비록 병 따위는 아니나 병 따위와 합하므로 병 따위라 해야 하리라.
이런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에 이 게송(偈頌)을 말했다.

만일 하나라면 병이 아닐 것이요
병이라면 하나라 하지 못하리라

논하건대 마치 하나의 수효와 진실 따위가 합쳤을 때에 진실이라 하지 못하는 것 같이 진실 따위가 하나와 합했으나 하나라 하지 못하리니, 서로서로 엇바뀌면서 합하더라도 딴 이치가 없기 때문에 세간 사람들은 하나의 병이라 하지 말아야 되리라.
또는 진실 따위가 하나와 합할 때에 한 형상이 되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만일 한 형상을 이룬다면 의당 진실 따위를 버리리니, 하나라는 수효의 형상은 진실 따위의 본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진실 따위를 버린다면 하나인 수효는 없을 것이니, 수효는 반드시 진실 따위를 위해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만일 진실 따위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한 지혜나 한 말로 알 바가 아니리니, 비록 그와 합할지라도 본체는 그가 아니기 때문에 마치 허공과 합한 사람의 지혜와 말이 각각 다른 것과 같다.
만일 방패와 사람이 다르기 때문에 비록 사람과 합하더라도 여전히 사람이라 불리우는 것 같다 하면 그는 이치에 맞지 않나니, 그것은 거짓으로 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진실 따위를 하나라 하는 것도 역시 거짓으로 하는 망리라” 한다면 또한 이치에 맞지 않나니, 참된 하나가 없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하나인 수효가 참된 하나라” 한다면 역시 이치에 맞지 않으니, 지혜와 말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하나인 수효는 진실 따위에 두루했으나 진실 따위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참된 하나가 아니라” 한다면 또한 이치에 맞지 않나니, 앞서 이미 파했기 때문이다.
한 지혜로 반연하는 바가 아니라 한다면 진실 따위도 그러하여서 참으로 다름이 있지 않으리라.
진실 따위 위에 수효의 지혜로운 말을 일으키는 것을 이미 거짓이라 하였고, 수효 위에다 진실 따위의 지혜로운 말을 일으키는 것도 견주어 보건대 역시 같다.
마주대하는 지혜로운 말은 둘이 모두 차별이 없거늘 어찌 하나는 참이고 하나는 거짓이라 하랴. 그러므로 주장을 세우기를 집착하는바 진실 따위는 참된 진실 따위가 아니라 하노니, 수효의 지혜와 수효의 말로 행할 바 경계이기 때문이다. 마치 하나와 둘과 같다.
집착하는 바 하나 따위는 참된 수효의 본체가 아니니, 진실 따위의 지혜와 말로 행할 경계이기 때문이다. 마치 진실 따위와 같다. 그러므로 온갖 것은 그 본체가 참되지 않다.
또 수효와 진실은 일찍이 합한 적이 없거늘 어찌하여 병과 하나가 합쳤으므로 병을 하나라 말하는가.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병과 하나는 합한 적이 없으니
병에는 하나라는 이름이 없으리라

논하건대 진실은 허공에 존재하고, 하나는 진실에 있으니 존재하는 장소가 이미 같지 않거늘 어찌 합한다 하겠는가. 그렇다면 하나라는 수효는 하나의 병을 표현하지 못하리라. 장소가 같지 않기 때문이니, 마치 둘 따위 수효와 같다.
만일 말하기를 “그렇다면 의지하는 이와 의지할 바의 본체가 서로서로 두루했으므로 합했다 할 수 있으리라”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러기에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빛이 진실에 두루했다면
빛은 원소[四大]라 불리울 것이니
상대의 논리가 틀렸다고 따진다면
그대 스스로 종지를 펴보라

논하건대 만일 빛 따위의 공덕이 의지한바 진실에 두루했다면 의당 진실의 본체와 가아서 역시 원소라는 명칭을 얻으리라. 땅 따위가 넓은 장소에 있으면서 요소라는 명칭을 얻었으니, 빛 따위도 그러하리라. 어찌 요소가 아니겠는가.
또 빛 따위의 공덕은 의당 형상과 장애가 있으리니, 땅 따위에 맞기 때문에 땅 따위와 같으리라. 그렇다면 빛 따위는 남을 의지해서 이뤄지지 않았으리니, 형상과 장애가 있기 때문이다. 마치 의지한바 진실과 같다. 모두가 형상과 장애가 있으면 장소도 같지 않으리니, 진실과 공덕은 인과의 관계가 아니리라. 이런 종류의 허물이 매우 많으니 그대가 세운 바 종지는 당장 무너지리라.
만일 말하기를 “빛 따위는 공덕의 구절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형상과 장애가 없다”고 한다면 이것도 옳지 않으니, 상대하여 따진 것이 딴 것이 아니니, 스스로의 종지를 펴보라. 남을 대하여 따져 토론한다면 스스로의 주장은 헛일이 되리라.
우리 불법 안에서 총명하고 용맹하여 진리를 발견한 이는 그대들의 종파에서 세우는 여섯 구절에 대하여 미친짓이며, 잠꼬대로 여기어 굴복할 생각이 없거늘 공연히 이끌어 소개한들 무슨 이익이 있으랴.
다음은 빛 따위가 땅 따위에 의할 때에 한 부분만이 움직이는가. 아니면 음악 따위와 같이 두루 움직이는가. 만일 한 부분만이 움직인다면 의당 하나의 진실 위에 공덕 있음. 공덕 없음과 푸른빛 있음 푸른빛 없음 따위 허물이 있을 것이요, 만일 두루 움직인다면 빛 따위 모든 공덕도 역시 요소[大]라 불리워야 되리니, 진실과 곳이 같기 때문이다. 마치 땅 따위와 같다. (그러나) 진실은 허공 속에 있고 공덕은 진실 위에 있으니, 의거한 바가 각각 다르거늘 어찌 곳이 같을 수 있으랴.
나의 뜻은 같은 한 곳에 의지했다는 것이 아니요, 다만 공덕과 진실과의 본체가 서로 두루하여 허공과 같기 때문에 곳이 같다고 했을 뿐이라 한다면 공덕을 요소라 불렀기 때문에 따로 공덕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공덕에는 공덕이 없다. 그러므로 요소라 하지 못한다. 마주 상대하여 따진 것이 딴 것이 아니니 의당 스스로의 종지를 펴라. 다른 이와 대항하여 토론할 때에 자기의 종지를 펴면 헛일일 것이다.
혹은 여기에서 말하기를 “공덕은 진실과 같아서 요소라고 이름하나 뜻은 진실이라 할 수 없지 않느냐”고 물으나 같은 공덕은 형상이 없으니, 장소가 같기 때문이다. 마치 빛 따위와 같다 하거니와 우리 종에서의 땅 따위는 모두가 형상과 바탕이 있거늘 어찌 같은 공덕에 형상과 장애가 없으랴. 상대하여 따진 것이 틀렸다 한다면 스스로의 종지를 펴라. 다른 이와 대항하여 토론할 때에 자신의 것을 펴면 헛일일 것이다.
또 다시 빛 따위는 그의 결과의 진실[果實]과 원인의 진실[因實]이 화합해서 생긴다. 모든 원인의 진실에 결과의 본체가 모두 두루했으니, 곳이 따로 없기 때문이라 하나니, 공덕도 진실과 같아서 역시 요소라는 이름을 얻을 것이요, 진실은 공덕과 같아서 요소라는 명칭을 세우지 못하리라.
만일 어떤 이가 말하기를 “우리 종파의 진실과 요소는 공덕이 아니므로 서로 견줄 수 없다”고 한다면 이치에 맞지 않는다. 상대하여 따진 것이 틀렸다한다면 스스로의 종지를 펴라. 다른 이와 상대하여 토론할 때에 자신의 것을 펴면 헛일일 것이다.
또 다시 그 종파(수론)의 극미는 그 부리가 작아서 뭇 극미가 화합하여 거친 결과를 일으킬 때에 거친 결과와 원인은 곳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극미와 빛은 거친 요소를 이룰 것이며, 빛과 거친 결과는 극미를 이루리라 한다.
만일 말하기를 “우리 종지에서의 원인은 적고 결과는 크고 빛은 형상과 부피가 없다”고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않다. 상대하여 따진 것이 틀렸다고 한다면 스스로의 종지를 펴라. 다른 이와 대항하여 토론할 때에 자신의 것을 펴면 헛일일 것이다.
이와 같이 있음ㆍ수효ㆍ빛 따위가 진실을 떠나서 본체가 있다고 하면 많은 허물이 생긴다는 것을 이미 설명했다. 그 밖의 가고 다름의 성품은 있음의 경우와 같이 막아라. 그리고 공통한 공덕은 수효와 같이 파하고 공통하지 않은 공덕과 업의 차별은 빛 따위와 같이 파하라. 모든 진실 속에서 제각기 움직이기 때문이다.
승론(勝論)에서 집착하는 바는 오직 그럴만한 마음 부치로 인하여 모든 법이 있음을 드러내지만 이치로써 추궁하건대 모두가 이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또 다음 게송에 이렇게 말했다.

있음과 수효 따위 능동의 형상으로
피동의 형상을 나타내지 못하고
이를 제하고는 단 원인도 없으니
그러므로 모든 법은 있는 것 아니다

논하건대 있음의 성품과 수효와 빛 따위로는 스스로가 의지한바 법을 나타낼 수 없음을 이미 변론했고, 이를 제하고는 어떤 다른 결정적인 원인도 모든 법이 그 본체가 실제로 있음을 증명하지 못한다. 원인이 없는데 모든 법이 있다고 세우지 못하나니, 세우려는 바는 온갖 것이 모두 성립된다 하지말라.
그러므로 모든 법은 실제로 있다고 할 수 없다. 세속의 거짓말을 따라서 없지 않다고 말한다면 이것만이 허물이 없다. 자세히 추구하건대 이와 다르면 세속이나 자기 종지에 어긴다.
휴류 외도들이 숭상하는바 진실 따위는 있음이 아니니, 있음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허공의 꽃과 같다. 있음의 성품도 없나니, 진실 따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토끼의 뿔과 같다.
그러므로 모두가 허망하다.
또 다시 수론의 학자가 말하기를 “모든 법은 있음의 성품이나 수효 따위를 기다리지 않아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먼저 지적한 모든 실수는 나에게는 허물되지 않는다” 하나니, 그들의 그런 말을 깨뜨리기 위하여 다시 다음과 같은 게송을 말했다.

차별된 형상을 떠나선 병이 없으니
그러므로 병의 본체는 하나가 아니요
하나하나가 병이 아니므로
병의 본체는 많은 것도 아니다.

논하건대 빛ㆍ향ㆍ맛 따위의 본체와 형상이 같지 않고 제각기 다른 감관의 행할 바요, 딴 감관의 경계는 아니다. 그러한 모든 법을 떠나서는 따로 병이 없다. 그러므로 빛 따위와 같아서 병의 본체도 하나가 아니리라.
이미 하나가 아니라 함을 허락했으니, 병의 본체도 많을 것이언만 하나하나가 병이 아니거늘 어찌 여러 본체가 되랴.
빛 따위의 성품과 형상은 이리저리 따져도 같지 않거늘 어찌 제각기가 한 개의 병을 이루랴.
만일 하나하나의 법이 그 본체가 모두 병이라면 함께 화합할 때에 여러 개의 본체라 하리라. 이미 그럴 이치가 없다면 병의 본체는 많지 않을 것이며, 또 병의 본체가 실제로 있다고 말하지 말아야 하리라. 그리하여 하나이다 많다 하지도 말지니, 토끼의 뿔이나 거북의 털과 같이 실제로 있지 않기 때문이다.
빛 따위가 합하여 군사ㆍ숲 따위를 이루는 것은 하나이다. 많다 하는데 병도 그럴 것이다 한다면 이는 오직 세속에서 거짓말로 군사ㆍ숲이라 하거니와 그 속에는 전혀 군사ㆍ숲이라 할 실제가 전혀 없다.
만일 진실로 있다고 집착한다면 의당 병의 경우와 같이 파한다.
그대들도 군사나 숲이 따로 있다고 말하지 말라.
또 빛ㆍ향기 따위는 함께 합하는 이치가 없으니, 그러므로 화합해서 병이 된다고 말하지 말라. 그 까닭이 무엇인가. 그러므로 다음의 이 게송을 말했다.

닿임이 없는 본체는
닿임이 있는 본체와 합하지 않으니
그러므로 빛 따위 모든 법은
합해서 병이 될 수 없다

논하건대 합한다 함은 ㄱ본체가 이리저리 서로 닿는 것을 말한다. 오직 이것만이 닿임이 있으니, 이른바 땅물ㆍ따위이다. 빛 ㆍ소리ㆍ향기ㆍ맛은 닿임에 속하지 않거늘 어찌 마주 닿거나 혹은 닿임에 닿으랴.
이미 닿는 일이 없다면 합한다는 뜻도 성립되지 않는다. 마치 닿임이 없는 생각[思]은 끝내 합한다는 이치가 없는 것 같다.
만일 말하기를 “빛 따위는 서로 닿는 이치가 있다” 하면 의당 닿임에 속해야 하려니, 마치 땅 따위와 같다. 그렇다면 오직 닿임의 본체만이 같은 종류끼리 서로 합할지언정 빛 따위모든 티끌은 결정코 합하는 이치가 없다. 합한다면 문득 빛 따위의 본성을 잃기 때문이다.
설사 빛 따위가 모이는 것을 합한다 하더라도 빛 따위의 성품은 끝내 실제의 병은 아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빛은 병의 한 부분이므로
빛의 본체는 병이 아니다
부분이 있어도 없는 것인데
한 부분을 어찌 있다 하리오

논하건대 빛 따위가 모이는 것을 통틀어 병이라 하는데 빛은 한 부분뿐이므로 의당 병의 본체가 아니다. 병의 한 부분이라 하지는 못하리라.
이와 같이 소리 따위도 견주면 역시 그러하다. 하나하나가 병이 아니니, 모두가 병의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것이 병의 부분이라 하여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 부분이 있어도 이미 없는 것이 되거늘 부분이란 누구의 부분이라 하랴.
빛 따위의 하나하나도 그 본체는 병이 아니니, 이를 제하고는 따로 진실한 병의 본체가 없다. 병의 본체가 없으므로 병의 부분도 없다.
어찌 빛 따위 티끌이 진실로 병의 부분일 수 있으랴. 군사ㆍ숲 따위는 거짓말로 있다고 할뿐이다. 부분과 부분을 소유한 이는 그대로이건 분리시키건 모두가 생각하기 어려우니 의당 세간의 소견을 따라 말할 것이요, 그 참됨을 애써 추궁하지 말라.
또 만일 빛 따위의 본체가 진실로 병이라면 온갖 것이 병이어야 하리라.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온갖 빛 따위의 성품은
빛 따위의 형상과 차이가 없으니
오직 한 종류만 병이요
나머지는 없다 함은 무슨 이친가

논하건대 병ㆍ옷ㆍ수레 따위가 의지한 일 가운데에 빛 따위 의지한 것의 성품과 형상의 차별이 없나니, 만일 빛 따위의 본체가 모두가 진실로 병이라면 옷 따위도 역시 모두가 병의 본체이어야 하리니, 빛 따위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마치 서로가 병임을 인정하는 경우와 같다.
혹은 집착하는바 병은 의당 병의 본체가 아니리니 빛 따위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마치 옷과 수레 따위와 같다. 빛 따위는 같은데 다름이 있어서 그에 의하여 병 따위의 종류가 다르다고 건립하지 말라. 그대의 종지에는 이 밖엔 다시 같고 다름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
미세한 부분이 벌어진 차별에 의하지 않고서 그 병 따위의 형상에 다름이 있게 하는 모두가 빛 따위로 제 성품을 삼기 때문이다.
병 따위는 빛 따위와 다를 수 없다고 한다면, 스스로가 집착하는 바에 어기나니 인과가 하나이기 때문이다. 마치 병과 옷 따위가 다르지 않다고 하는 따위의 실수가 있다. 빛 따위의 경우도 그러하나니, 하나의 병이기 때문이다. 또 말하기를 “빛이 맛 따위와는 다르고 병 따위와는 다르지 않다”고 하지 말라.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만일 빛이 맛 따위와 다르고
병 따위와는 다르지 않다면
병 따위는 그대로가 맛 따위지만
빛이야 어찌 병 따위 그대로이랴

논하건대 병 따위는 맛 따위로서 본체를 삼으니, 의당 맛 따위와 같이 빛과는 차이가 있으리라. 그러므로 빛이 맛 따위와는 다르고 병 따위와는 다르지 않다고 말하지 말라. 이치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또 맛 따위의 하나하나는 빛 따위와 다르고, 병 따위와는 다르지 않다고도 말하지 말라. 병 따위는 그대로가 곧 빛 따위 모든 법으로써 스스로의 본체를 삼았으므로 별다른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빛 따위 모든 법이 병 따위와 하나라면 그 이치가 성립되지 않음을 이미 밝혔으니, 이제부터는 병과 다르다 하여도 이치에 맞지 않음을 나타내리라.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을 말했다.

병 따위가 이미 원인이 없다면
본체는 결과를 이루지 못하리니
그러므로 빛 따위와 다르다고 하면
병 따위는 결정코 없는 것이리

논하건대 땅 따위 요소의 본체는 빛 따위를 섞어서 이뤄진 것이니, 그러므로 다섯 가지 요소의 원인은 곧 다섯 가지 유량(唯量:한량) 뿐이다. 이른바 성량(聲量)을 모아서 허공의 요소를 이루고 다시 촉량(觸量)을 모아서 바람의 요소를 이루고, 다섯 가지를 모두 합쳐서 대의요소를 이룬다.
요소로써 병 따위를 바라보건대 같은 본체가 서로 성립시키나니, 위에서 말한 다섯 가지 유량과 같이 성립하나니, 같은 종류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만일 빛 따위와 다르고 병 따위는 원인이 없다면 본체는 의당 결과가 아니리니, 온갖 결과가 원인을 기다려서야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병 따위가 빛과 다르다면 병 따위는 원인도 결과도 아니리니 빛 따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거북의 털 따위와 같다.
또 감관의 경계가 아니리니, 인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빛의 감관으로 행하는 바는 인과 아님이 없나니, 이들이 인과가 아니기 때문에 감관이 행할 바가 아니다.
혹은 또 병 따위 모든 법이 없으리니, 인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마치 석녀(石女)의 아기와 같다.
제 성품을 원인이라 허락하고, 생각의 ‘나’를 결과라 허락한다면 감관으로 나타내는 바이기 때문에 일정치 않다는 허물이 없다.
이와 같이 수론에서 세우는 병 따위는 하나이건 다르건 모두 성립되지 않는다.
또 다시 승론의 무리가 말하기를 “기와[瓦] 따위의 미세한 부분이 병 따위를 내기 때문에 병 따위는 원인이 있다” 이에 원인이 있다면 본체는 곧 결과이다. 원인이 있고 결과가 있다면 그 본체는 없지 않을 것이라 하나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 게송이 있다.

병 따위의 원인이 있다면
병 따위의 원인이라 하겠지만
병 따위의 원인이 없거늘
어찌 병 따위를 내겠는가

논하건대 기와 따위의 미세한 부분은 다른 법에 의하여 이뤄졌거늘 어찌 나의 원인이 되어서 병 따위를 내랴. 세간에서 남을 의지해 있어서 스스로가 있지 않은 법이 남에게 주는 것을 보지 못했다.
어찌 종자 따위가 비록 남을 의지해서 성립되었으나 능히 원인이 되어서 싹 따위를 내는 것이 아니랴 한다면 이것은 있음이 아니랴 하는 질문과 같을지언정 앞의 허물을 모두 공통하게 용인하는 바이거늘 어찌 쉽사리 질문을 하는가. 그대가 집착하는 바는 세상이 아는 바와 다르다. 그러므로 여기에선 그 있으리라는 질문과 같다.
세상이 아는 법은 남을 의지해서 난 뒤엔 다시는 나지 않는다. 남을 의지해서 서지 않는 것은 스스로에 힘이 있는 까닭에 능히 남에게 원인이 되어 준다. 그러나 그대의 집착은 그렇지 않다. 남을 의지해서 성립된 법이 아직 멸하기 전까지는 항상 남을 의지해서 성립된 법이 아직 멸하기 전까지는 항상 남을 의지해서 머무른다 하고 원인이 멸하면 결과도 따라서 멸한다 하니, 그러므로 그대의 집착은 세상이 아는 바와 다르다. 본체도 능력도 없거늘 어찌 다른 결과를 내랴.
혹 원인있는 법이 본체가 있고 공능이 있으면 능히 다른 원인 있는 법을 낼 수 있으나 그대는 기왓쪽 따위의 극미로서 원인을 삼거나 혹은 그 밖의 것으로 원인을 삼는다고 집착하거니와 이들은 모두가 있지 않나니, 원인이 없기 때문이다.
기왓쪽 따위는 본체가 없으니, 본체 없고 능력 없으면 어찌 결과를 내랴.
그 논종(論宗:승론)에서 주장하기를 “원인에 두 가지가 있어 모두가 결과를 내나니, 이른바 항상함과 무상함이다” 온갖 무상의 원인은 반드시 항상함에 의해서 있나니, 항상함은 있지 않기 때문이며 무상 또한 없는 것이다. 무상의 원인이 없거늘 어찌 결과가 있을 수 있으랴. 그러므로 그들의 인과는 모두 성립되지 않는다.
또 다시 어떤 이가 말하기를 “병이나 기왓쪽 따위 화합된 물건들은 본래부터같은 종류의 인과가 차례차례 상속하면서 종류에 따라 같지 않으나 그 본체는 실제로 있으며, 하나이어서 볼 수 있다” 하거니와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모든 화합된 물건을 차츰 분석하면 빛 따위에도 돌아가니, 빛 따위는 이미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바 있다. 어찌 그에 의해서 화합한 물건이 있을 수 있으랴.
이 화합된 물건이 하나이냐, 볼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모두 이미 과한 것과 같으니 다시 집착하지 말라.
또 빛 따위 법이 공동으로 화합할 때엔 한 본체도 있지 않나니,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빛 따위가 화합할 때에
끝내 향 따위를 이루지 못하니
그러므로 화합된 본체는
병 따위와 같아서 없는 것이리

논하건대 빛 따위가 화합할 때에 끝나 차례차례 변해서 향 따위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록 화합하지만 한 물체를 이루지 못한다. 차별의 형상을 버리고 빛 따위의 이름을 잃지 말아야 한다. 이 까닭에 인연으로 화합한 한 물체는 마치 병 따위와 같아서 그 본체가 실제로 없다. 이른바 병 따위가 빛 따위의 법을 여의고는 별다른 본체가 없기 때문이다. 하나의 본체를 이루지 못하면 화합도 그러하나니 빛 따위를 여의고는 별다른 본체가 없기 때문에 본체는 하나를 이루지 못한다.
또 화합할 때에 낱낱 미세한 부분은 화합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마치 화합하기 전과 같아서 합쳐서 하나의 미세한 부분을 이루지 못하리라. 낱낱을 화합이라 하지 못하리니, 하나의 화합 안에 많은 화합의 본체가 있다고도 말라. 그러므로 화합의 본체는 실제로 있지 않다.
또 화합한 물건은 반드시 빛에 의지하는데 빛은 본체도 없거늘 화합이 어찌 있으랴.
빛의 본체가 없다 함은 다음의 게송과 같다.

빛 따위를 떠나서는
병의 본체는 진실로 없나니
빛의 본체도 그러하여서
바람 따위를 떠나서는 있지 않다

논하건대 분명히 알라. 여기에서 네 가지 요소로 지어진 것은 모두를 물질이라 하나니, 변하여 무너지는 형상이기 때문이다. 변하여 무너지는 물질의 요소로 합쳐 이뤄진 것이므로 요소를 떠나서는 진실한 성품이 없다. 여기에서 오직 하나만이 물질일 수 없으니, 오직 이것 하나만이 변하여 무너질지언정 다른 것은 아니라 하지 말라.
또 온갖 것이 모두가 빛일 수는 없으리니, 온갖 빛이 모두가 동일한 본체라 하지 말라. 본체에 다름이 있다면 의당 빛의 성품을 잃으리라. 또 한 성품에 여러 본체가 있을 수도 없으리니, 온갖 법이 모두가 동일한 성품이라 하지 말라. 그러므로 빛이라는 명칭은 진실로 본체가 있지 않다. 오직 바람 따위에 의하여 거짓으로 빛이라는 이름을 세우나니 마치 빛의 본체가 허망한 것 같다.
느낌 따위도 그러하여서 받아들임 따위의 현상을 추궁하건대 본체는 실제로 없다. 오직 세간의 거짓된 이름과 형상이 있을 뿐이다.
만일 요소들이 없다면 어찌하여 세간에 불들이 있어 태우거나 끊이는 작용을 하는가. 또 만일 온갖 것이 모두 있지 않다면 벌려져 있는 온갖 것들은 하나도 성립되지 않으리라 한다면 나는 모든 법의 본체와 작용이 없다고 말한 것이 아니라, 다만 그대의 논리에서 세우는 바가 모두 없다고 했을 뿐이다. 이른바 세상이 다 알고 있는 물질ㆍ느낌ㆍ 따위의 본체나 태우고 끊이는 작용은 모두가 없지 않다.
만일 어리석은 범부들의 분별하는 뒤바뀐 소견으로 집착하는 본체와 작용은 나는 없는 것이라 하리라. 성인들은 이것을 보고 있다고 하지는 않나니, 허망한 감정으로 집착하는 바는 도무지 없기 때문이다.
또 다시 승론의 무리가 말하기를 “불은 태우는 쪽이요, 땅은 타는 바이니, 그 본체는 진실하고, 태우거나 끓이는 따위 작용도 진실이 있다. 빛 따위를 익히거나 변화시키는 작용을 눈앞에 뻔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하니 이제 다시 따져묻노니, 불은 무엇을 태우는가. 따사롭게 하는가. 그 밖에 다른 일을 하는가. 대답하라.
그들이 대답하되 “두 가지 모두를 허락한들 무슨 실수가 있으랴” 하거니와 두 가지 모두 옳지 못하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그러기에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더운 것이 불의 성품이니
덥지 않으면 어떻게 태우랴
그러므로 땔감은 본체가 없으니
이 불을 떠나서는 없기 때문이다

논하건대 따사로움은 탈 바가 아니니 그대로가 불의 성품이기 때문에 스스로가 가진 작용과는 동떨어지게 어긴다.
또 그대의 종파에서 주장하기를 “탈 바는 덥지 않다” 하나니, 그러므로 따사로운 것을 타는 것이라 집착하지 말라.
또 타는 바가 땅이라 하지 말라. 따사로움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이니, 마치 물이나 바람과 같다.
땔감은 타는 바이라 하나 타는 바가 없기 때문에 땔감의 본체는 있지 않다. 땔감의 본체가 이미 없다면 불이 어디에 의해서 성립하랴. 불은 반드시 땔감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탈 바인 땔감이 다하면 불도 없어지기 때문에 태우는 이와 타는 바가 모두 있지 않다. 그렇거늘 익히고 변화시키는 작용들이 어찌 있을 수 있으랴.
그러므로 태우는 것과 타는 바와 태우거나 익히는 작용 따위가 실제로 있다고 집착하면 모두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어떤 이가 말하기를 “이 게송은 승론 외도에서 말하는바 땅이 타는 바라는 주장만을 파한 것이 아니라, 그저 범현히 땅 따위 모든 법은 따사로운 성품이 아니므로 더워질 바 본체가 아니라는 것을 말했을 뿐이라” 하거니와 이 말은 옳지 못하니, 따사로운 성품이 아니기 때문이라 함은 이미 같은 비유가 없으므로 원인이 성립되지 않으리라.
타기 이전의 지위와 같아서 땅 따위 물질의 무더기는 타는 바가 아니라 하지 말라. 그들 무더기 속에는 항상 따사로운 성품이 있어 다른 형상이 따르기 때문에 역시 탄다할 것이며, 괴로움이나 즐거움 따위, 모든 것이 의지하고 있는 몸이 불에 의하여 변하므로 역시 탄다할 것이며, 무색계(無色界)의 법은 전생이나 낮은 세계의 업에 끄달리기 때문에 역시 탄다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원인에다 부칠 같은 비유가 아니다.
설사 같은 비유가 된다 하여도 이치에 맞지 않으니, 탄다거나 타지 않는다는 명칭은 오직 닿음이 있는 물건만을 세간이 함께 허락할지언정 나머지 법에는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타지 않는다는 명칭은 비록 다른 법에도, 통하지만 같은 종류에만 국한되는 진실치 않은 말 따위와 같다.
또 소승의 사람들은 태울 법이 실제로 있다고 집착하지 않거늘 무찔러서 무엇하랴. 만일 말하기를 “저 세속의 태울 바를 파한다고 한다면 세간을 어기거늘 어찌 비량이 성립되랴”
또 다시 이계외도(離繫外道)가 말하기를 “땅 요소의 극미와 그 밖의 결과들은 비록 불은 아니나 불과 합한다. 불과 섞이기 때문에 따스한 형상 따위가 나타난다. 그러나 그 땅 따위는 진실로 타지 않나니, 따사로움의 성품과 다르기 때문이다. 또 타지 않는 것도 아니니, 따사로운 형상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비록 함께한다 하여도 진실로 타는 바라고 말할 수 없다” 하나니,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러므로 다음 게송이 이렇게 말했다.

다른 것이 따사로움과 섞이기 때문에 이뤄진다면
어찌 불을 이루지 못하는가
딴 것이 따사로움을 이루지 못하면
불에 의한다는 법칙은 없어야 하리

논하건대 만일 땅의 요소 따위가 불과 섞이기 때문에 참으로 따사로운 성품을 이뤘다면 의당 불을 이뤄야 하리니, 따사로운 촉감에 속하는 까닭에 진실한 불 요소와 같다.
만일 그 불이 섞이어도 따사로운 성품을 이루지 못한다면 불을 원인으로 하여 생겨진 익어지고 변하는 다른 촉감의 모든 법도 역시 없어야 하리니, 마치 불이 다른 따사로운 촉감은 내지 못하는 것 가다.
만일 익어지고 변하는 빛 따위 모든 법이 없다면 누가 능히 태우거나 지질 것이며, 무엇을 태우거나 지지리오, 그러므로 태우거나 지지는 따위 일은 모두가 실제로 있지 않다.
불이 진실로 태우는 이가 아니니, 닿임에 속하기 때문에 마치 땅 요소 따위와 같고, 땅이 진실로 태우는 바가 아니니, 닿임에 속하기 때문에 마치 불의 요소 따위와 같다.
지지는 쪽과 지져지는 쪽을 모두 이 법칙에 따라 모두 피하라. 그러므로 그들이 집착하는 바는 이치에 맞지 않는다.
또 다시 식미제종(食米齊宗:승론)의 무리에게 거듭 자세히 묻노니, 모든 불의 극미는 땔감이 있다고 여기는가. 없다고 하여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만일 불의 극미에 땔감이 없다면
땔감을 떠나서도 불이 있으리

논하건대 만일 불의 극미가 땔감을 떠나서 있다면 거친 불도 그와 같아서 의당 땔감에 의탁하지 않아야 하리라. 만일 땔감에 의탁하지 않는다면 의당 태우거나 지지는 따위 작용이 없으리니, 마치 불의 극미와 같다. 만일 그렇다면 의당 불의 성품을 잃어서 태우거나 지지는 작용이 없으니, 마치 땅과 물과 바람 따위 같으려니와 세간에선 이와 같이 태우거나 지지는 작용이 없고, 또 땔감을 여읜 불이 보지 못했다. 그러므로 불의 극미는 반드시 땔감에 의해서 있음이 마치 현재에 보는 불이 땔감에 의존해 있는 것 같다.
혹은 극미는 불이 나닌 줄 믿어 알아야 하나니, 불의 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마치 거북이의 털과 같다.
있다 하여도 옳지 못하니, 그러기에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불의 극미에 땔감이 있다면
불의 극미는 없어야 하리라

논하건대 만일 불의 극미가 항상 땔감과 합한다면 의당 거친 불이라 하리니, 무엇을 극미라 하겠는가. 언제나 땔감과 합하기 때문에 의당 거친 불이어서 극미의 성품을 잃는다.
땅이 저것과 합하여도 역시 극미를 이루지 못하고, 나머지도 역시 그러하니, 종류가 같기 때문에 결정코 하나의 극미도 없으리라.
물질의 법이 이미 그러할진대 마음의 법도 그러하니 마음과 마음의 법은 함께 나고, 함께 멸하기 때문이다.
또 온갖 법이 한 본체라 함이 성립되지 않나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그러므로 다음 게송에 이렇게 말했다.

모든 법을 자세히 살피건대
하나도 실제로 있는 것 없으니

논하건대 모든 유위의 법은 인연을 기다려서 성립되나니, 싸여서 생기고 싸여서 멸한다. 어떤 한 법도 그 본체가 홀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 하나의 본체 안에서 더욱 자세히 쪼개서 지극히 미세한 부분에 이르르더라도 여전히 여러 부분이 있다.
만일 모든 법의 본체가 하나가 아니라면 의당 많으리라 하거니와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한 본체가 있지 않다면
여러 본체도 그렇게 없으리

논하건대 먼저 하나가 있어야 나중에 쌓이고 모여서 많아지는데 하나의 본체도 오히려 없거늘 여러 본체가 어찌 있으리오.
또 그대가 집착하기를 “하나가 인연에 의하여 많음을 낸다 하거니와 하나의 본체도 오히려 없다”면 여러 본체가 어찌 있으랴. 하나의 본체가 있지 않음은 전에 이미 구족히 말했다.
그러므로 진실한 여러 본체는 결정코 없다.
비록 그들이 집착하는바 하나의 ‘내’가 홀로 존재한다 하더라도 본체는 두루 원만하여 여러 ‘나’와 합한다.
또 여러 법이 합하더라도 하나의 본체가 성립되지 않나니, 하나도 성립되지 ㅇ낳거늘 많음이 어찌 성립되리오.
허공 따위는 홀로 하나이어서 둘이 없는 줄 세상이 다 같이 아는데 그것이 어찌 하나의 본체가 아니랴 한다면 세상이 공통하게 아는 바는 거짓이요, 진실이 아니다. 그대가 집착하는바 진실이란 것을 세상이 다 아는 바가 아니거늘 어찌 허공 따위의 한 본체가 오직 거짓으로만 있음을 알랴.
그러므로 다음에 이런 게송이 있다.

법에 딴 것이 없는 것을
그대가 한 본체라 한다면
모든 법은 모두가 세 성품이리니
그러므로 한 본체는 없는 것이리

논하건대 만일 모든 법에 다른 짝이 없이 오직 홀로 존재하는 것을 하나라 한다면 허공 따위 모든 법의 하나 하나에는 모두 세 가지 성품이 있으리니, 이른바 있음[有]과 하나[一]와 물건[物]이다.
있음이란 즉 요소의 존재요, 하나란 즉 하나의 수효요, 물건이란 즉 물건의 종류이니, 이는 곧 진실[實]ㆍ공덕[德]ㆍ업(業)의 세 가지 중의 어느 하나이다. 그러므로 허공 따위 낱낱 법에는 모두 세 가지 성품이 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허공 따위 위에 있음과 하나 따위의 지혜로운 말이 일어나지 못하리라. 이 까닭이 한 법도 홀로 존재하는 것이 없거늘 어찌 실제로 한 본체가 있다고 말하랴.
만일 말하기를 “있음과 하나가 모두 진실 따위를 표현하기 때문에 오직 진실 따위를 있음과 하나와 물건이라 할 수 있으리라” 한다면 이는 있음의 하나이어서 하나가 있을 수 없으므로 있음과 하나라는 지혜로운 말이 일어날 수 없다.
만일 말하기를 “거짓으로 말한 것이어서 허물이 없다”고 한다면 이것 또한 옳지 않으니, 앞서 이미 파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지혜로운 말이란 어느 것이 거짓이며, 어느 것이 참인가. 모두가 참이든지 혹은 모두가 거짓이리라는 것이다.
또 온갖 법은 그 형상이 비록 다르나 의당 진실이라는 이름이나 혹은 공덕, 혹은 업이라는 이름을 얻으리라. 그러므로 거짓말은 그 허물이 더욱 깊어져서 하나가 셋을 이룬다는 실수를 끝내 제하지 못한다.
하나에 세 성품이 있으면 하나의 본체가 성립되지 않나니, 하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셋도 있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법은 하나도 아니요, 많음도 아니다. 그렇거늘 하나다 많다 하는 것은 거짓이요, 진실이 아니다.
혹은 다른 해석이 있으니, 한 법이 셋을 이룬다는 것이다. 이른바 한 법이라는 말은 하나 아닌 것을 가려내는 말이요, 하나 아니라 함은 지극히 간략한 것으로서 이른바 두 종류이다. 둘과 앞의 것을 가려내면 두 성품을 이루고, 근본 법체로써 셋째를 삼는다. 그러므로 온갖 법은 모두가 세 성품이 있다 한다.
이제 따져 묻노니, 둘은 가려내고 하나를 취하는 것은 스스로의 마음에 분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거늘 어떻게 법으로 하여금 세 성품을 이루랴.
또 앞의 둘을 가려내면 더욱 하나가 되나니, 둘도 아니요, 많음도 아니면 하나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나를 성립시키려는 것이 도리어 셋을 파하는 것이거늘 어찌 셋으로써 하나를 피한다 하랴.
또 다른 해석이 있으니, 한 법이 셋을 성립시키는 것이다. 과거ㆍ미래ㆍ현재를 가려내면 셋은 있지 않기 때문이니, 마치 이름 없다 함은 이름 세우는 것을 가려내는 예와 같다. 이는 셋의 없음을 가려내기 때문에 세 성품을 이룬다 한다.
그러나 이 해석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다른 종류는 끝이 없거늘 어찌 세 가지 뿐이랴. 없음을 가려내고 있음을 세우거니와 없음이란 셋뿐이 아니다. 있음을 가려내고 세워진 이름은 천이 넘거늘 어찌 한법이 셋이 이룬다고만 말하겠는가.
또 서로서로 가려내는 일은 오직 스스로의 마음에 있거나 혹은 이름과 말에 있거늘 어찌 법체에 관계가 되랴. 그러므로 이 해석은 그에 대해 아무런 공능이 없다.
다시 어떤 이는 해석하기를 “항상함은 먼저 이미 파했으니, 이제는 오직 무상함이 있다는 집착을 파하는 것이다. 집착하는바 무상은 모두 세 가지 성품이 있으니, 이른바 남ㆍ머무름ㆍ멸이어서 여러 경전에 분명히 있다” 하거니와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나고 머무르고 멸하는 형상의 시각이 각각 다름이 마치 괴로움ㆍ즐거움ㆍ무감각 따위의 느낌이 반드시 동시가 아닌 것 가다. 시각이 이미 같지 않으면 본체와 형상도 다르거늘 어찌 한 법에 세 성품이 있다 하리오.
또 만일 말하기를 “태어남은 간단 없이 곧 멸한다”면 의당 두 성품이라 해야 되거늘 어찌 셋이라 하리오.
또 생멸할 때가 앞뒤가 각각 다름이 마치 과거와 미래의 세상과 같아서 한 법이라 할 수 없거늘 어찌 한 법이 두 성품이 되리라고 비난하는가. 그러므로 이 해석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
다시 어떤 이는 해석하기를 모든 유우의 법은 한 생각에 지극하다니, 한 생각 동안에 많은 찰나의 시분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라바[四臘縛:찰나의 7천2백배 되는 시간 단위] 따위가 같다. 세 성품이라 한 것은 성품이 하나뿐이 아님을 나타냈을 뿐이다. 이 셋뿐이 아니라 하거니와 이 해석도 옳지 못하니, 시각의 앞뒤가 한 법에 셋이 있다 하리오, 그러므로 앞의 해석이 가장 훌륭하다 하노라.
모든 법의 하나하나는 하나도 아니요, 많음도 아니건만 세속의 말을 따라서 많다, 하나다 하나니, 세속의 모든 법은 세속의 정을 따라서 거짓으로 있다 하는 것이므로 추궁해 따질 필요가 없다.
지혜 있는 사람들은 세속의 법에 대하여 말을 따라 있다고 여길지언정 구지 따지고 생각지 말라. 만일 세속의 법을 따지고 생각하여 그의 성품과 형상을 구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는 마치 어떤 사람이 손에 등불을 들고 어두운 방에 들어가서 어두움의 성품을 구하는 것 같으니,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세속의 모든 법은 마치 꼭두각시나 어두움 같아서 뭇 인연으로 이뤄진 바이니 생각해 구할 필요가 없나니, 구한다면 곧 흩어지고 무너진다.
또 다시 세간에서 집착하는바 모든 법은 모두가 진실이 아님을 드러내고, 또 외도의 집착하는바 모든 법은 모두가 진실이 아님을 드러내고, 또 외도의 집착하는 바와 같지 않음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있음[有]ㆍ없음[無]ㆍ함께함[俱]ㆍ모두 아님[俱非]
하나[一]ㆍ다름[非一]ㆍ함께함[雙]ㆍ모두 없앰[俱泯]
차례차례 맞추어 짝을 지으면
지혜로운 사람은 참이 아님을 곧 알리라

논하건대 온갖 세간의 온갖 빛 따위 구절은 말과 이름으로 표현하는 바이며, 마음과 지혜로 알 바로서 망정(妄情)과 집착이 같지 않으니, 대략 네 가지가 있다. 이른바 있음과 없음과 함께 허락함과 함께 부정함이다. 차례에 따라 네 가지 삿됨에 집착할지니, 이른바 하나와 다름과 쌍으로 허락함과 쌍으로 부정함이다.
수론의 도들은 있음 따위의 성품이 모든 법과 하나-통일-라 하나니, 이는 있음의 구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집착은 옳지 않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만일 푸른빛 따위가 빛의 성품과 하나라 한다면 의당 빛의 성품과 같아서 그 본체가 모두 같을 것이요, 다섯 가지 음악 소리 따위가 소리의 성품과 하나라면 의당 소리의 성품과 같아서 그 본체가 모두 같을 것이요, 냄새ㆍ맛ㆍ닿임 따위도 역시 그러하리라.
눈 따위 여러 감관이 감관의 성품과 하나라면 의당 감관의 성품과 같아서 그 성품이 모두 같을 것이니, 낱낱 감관이 온갖 경계를 취할 것이며, 낱낱 경계가 온갖 감관을 상대할 것이다
또 온갖 법이 있음의 성품과 하나라면 있음의 성품과 같아서 그 본체가 모두 같을 것이다.
또 즐거움ㆍ괴로움ㆍ어리석음과 그리고 생각하는 ‘내’가 있음의 성품과 하나라면 의당 있음의 성품과 같아서 그 본체가 같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대의 종에서 세운바 차별이 모두 성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의 집착은 결정코 참되지 않다.
승론외도들은 말하기를 “있음 따위의 성품은 법과 하나가 아니라” 하나니, 이는 없음[非有]의 구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만일 푸른빛 따위가 빛의 성품과 다르다면 마치 소리 따위와 같아서 눈으로 볼 바가 아니다.
소리 따위도 그러하여서 소리의 성품과 다르다면 의당 빛 따위와 같아서 귀의 경계가 아니리라.
또 온갖 법이 있음의 성품이 아니라면 마치 토끼의 뿔과 같아서 그 본체가 본래 없으리니, 그렇다면 공무아론(空無我論:아무것도 없다는 외도종)과 같거나 혹은 외도나 삿된 종파의 이론과 같으리라.
있음의 성품이 모든 법에 즉(의지)하는 것이 아니어서 법은 비록 있음이 아니라 있음은 여전히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한다면 의지한바 법이 없거늘 의지하는 법이 어찌 있으랴.
또 있음의 성품 위에 따로 있음의 성품이 없다면 있음이라 하지 못하리라. 그 밖의 모든 법도 있음의 성품이 있기는 하나 있음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그 본체는 없으리라. 그렇다면 온갖 세워진바 구절들이 모두 성립되지 못하리니, 이는 곧 아무 것도 없다는 사견외도(삿된 소견을 가진 외도)와 같아지리라. 그러므로 그들의 집착하는 바는 결정코 참되지 않다.
무참외도(無慚外道:離繫外道와 같음)가 집착하기를 “있음 따위의 성품은 저 모든 법과 하나이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 하나니, 이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구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 또한 옳지 못하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만일 있음 따위의 성품이 빛 따위와 하나라면 수론의 허물과 같고, 빛 따위와 다르다면 승론의 실수와 같다. 하나와 다름의 두 가지는 성품과 형상이 서로 어기거늘 본체가 같다고 하니, 이치가 성립되지 않는다.
하나는 하나가 아니리니, 다름 그대로이기 때문에 다름과 같고, 다름은 다름이 아니니, 하나 그대로이기 때문에 하나와 같다. 하나와 다름이 성립되지 않거늘 있음과 없음이 어찌 성립되랴.
하나와 다름이 서로 다르거늘 본체가 같다고 한다면 온갖 법이 모두 다름이 없어야 되리라. 다름의 형상이 없다면 하나인 형상이 어디에 있으랴. 하나와 다름의 두 형상이 마주 대하기 때문이다.
만일 말하기를 “한 법이 상대하여 대함이 같지 않음을 하나와 다름이라 한다”고 하면 하나와 다름, 두 가지는 모두가 거짓일 것이며, 혹은 어느 하나는 거짓이어서 한 법 위에 두 형상이 서로 어길 것이며, 모두가 참이라 하여도 반드시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이 집착하는 바는 결정코 참되지 않다.
사명외도(邪命外道:말가리 구사리자의 계통으로서 수행이 필요치 않다고 주장하는 숙명론자)들이 집착하기를 “있음 따위의 성품은 저 모든 법과 하나도 아니요, 다름도 아니라” 하나니, 이는 있지 않고, 있지 않음도 아니라는 구절에 해당하거니와 이것 또한 참되지 않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만일 있음 따위의 성품이 법과 하나가 아니라면 승론(勝論)의 허물고 같고, 법과 다르지 않다면 수론(數論)의 실수와 같다.
또 하나와 다름의 형상은 세상이 다함께 아는 바인데 그대 홀로 없다고 부정하니, 세간과 어긋나는 실수가 있다.
또 그대가 말한바 하나와 다름이 아니란 말이 다만 막기 만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치우쳐 무엇인가를 표현하기 위한 것인가. 만일 치우쳐 표현하는 것이 있다면 쌍으로 부정하지 못할 것이며, 만일 막기만 한다면 집착할 바가 없어야 하리니, 표현함이 있고 막음이 있다면 이론이 서로 어긋나고, 표현함이 없고 막음도 없다면 장난말이 된다.
그대는 집착하기를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이 공하지 않다”고 하면서도 쌍으로 부정하니, 다만 허물을 피하기 위할 뿐이어서 이 쌍으로 부정한다는 말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대들이 숭상하는바 법의 성품과 형상에 어기기 때문이다.
만일 모든 법의 성품이 낱낱이 모두가 아니라면 이 모두가 아니라는 말도 말하지 말지니, 입을 떼면 반드시 모두 부정하는 성품이 있기 때문이니, 그렇다면 그대들은 항상 혀가 굳어 있어야 되며, 입을 벌리면 스스로의 논리에서 주장하는 바를 어긴다.
잠자코 있어도 이뤄지지 않나니, 모두를 부정하기 때문이다. 말하건 잠자코 있건 모두 실수가 되거늘 무엇하러 그리 애쓰는가.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뉘라서 가엾이 여기지 않으랴. 그러므로 그들이 집착하는 바는 결정코 참되지 않다.
이와 같이 세간의 네 가지 외도의 삿된 논리와 나쁜 소견이 마음을 흔들고 파괴하니, 허망하게도 모든 법의 성품과 형상을 추궁하고 따져도 모두 이치에 맞지 않고, 앞을 다투어 어지러운 집착을 일으킨다. 모든 법에 대하여 네 가지 비방을 일으키니, 이른바 있음ㆍ없음ㆍ쌍으로 허락함ㆍ쌍으로 부정함으로써 늘거나 줄거나 하면서 서로 어긋나게 희론을 벌린다. 그러므로 세간의 집착은 진실치 않다.
또 다시 외도와 딴 종류의 수행자들은 마와 나쁜 벗과 삿된 논리와 나쁜 소견에 걸려 마음은 흔들리고 파괴된 채 세간의 거짓된 모든 법에 대하여 갖가지 생각으로 구상하여 허망하게도 참이라 집착하고, 상속하는 거짓에 대하여 항상하다 집착하고, 쌓이고 모인 거짓에 대하여 실제로 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이치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상속되는 거짓 법에 대하여
나쁜 소견들은 참과 항상함이라 하고
쌓이고 모인 거짓 법에서
삿된 집착으로 실제 있다 하네

논하건대 유위의 모든 변천은 앞의 것이 멸하고 뒤의 것이 나는데 끝없는 예부터 끊임없이 상속하였으니, 생멸의 변화는 미세하여 알기 어렵다.
인과가 잇달아 연속함이 마치 하나인 듯 하거늘 어리석은 범부들과 나쁜 소견은 이를 항상함이라 하고, 삿된 집착들은 어지러이 서로 배척한다. 빛 따위 모든 법이 인연에 의해서 이뤄진나니, 허망하고 거짓으로 쌓이고 모여서 이뤄진 바이어서 모두지 진실한 실체가 없다.
미세하게 쌓이고, 긴밀하게 합하여 나누기 어려우니, 뭇 부분이 화합해서 아련히 하나인 듯 하거늘 어리석은 범부는 치우쳐 말하기를 “실제로 본체가 있다 하면서 제각기 한 길 모퉁이에 의거해서 서로가 비방을 일삼는다.
또 상속하고 싸인 거짓 가운데서 모든 부문이 거짓으로 존재하는 줄 통달치 못하고 갖가지로 이치와 종류의 같지 않음을 계교하고는 한 법 안에 여러 진실의 성품이 있다”고 집착한다.
이와 같이 미혹한 제 성품과 차별은 모두가 나쁜 소견과 삿된 집착에 의해서 생기고, 이 까닭에 여러 세계의 여러 가지 중생의 몸을 받아 갖가지 고통을 받기에 벗어날 시기가 없다.
그러므로 반드시 나쁜 소견과 삿된 집착을 버리고 모든 법이 인연으로 쌓이고 이뤄진 것이어서 거짓이요, 참이 아니라는 뒤바뀜 없는 진리를 믿어라.
또 다시 모든 법이 뭇 인연으로 이뤄져서 하나도 아니요, 항상함도 아니요, ‘나’도 없고, 법도 없음이 마치 허깨비 같아서 망정으로는 있으나 진리에는 없고, 세속의 법이요, 진리는 아니라 함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시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모든 법은 뭇 인연으로 이뤄져서
성품이 약하여 자유로움 없으며
거짓되어 남에 의해 성립되었으며
‘나’와 법은 모두가 없는 것이다

논하건대 모든 법은 허망하고 거짓되어 뭇 인연으로 이뤄졌으며, 일어나고 머무는데, 남을 의지해 있으므로 본체가 자유로움이 없으며, 생각생각에 생멸하여 여러 부분으로 쌓여 이뤄졌으며, 하나도 항상함도 아니어서 마치 허깨비 같거늘 어리석은 범부들은 있다고 집착하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없는 것을 통달한다.
그러므로 거기에는 ‘나’도 법도 없거늘 온갖 외도와 그 밖의 무리들은 하나라 항상함이라 계교하거나 법이라 ‘나’라 하거니와 하나와 항상함은 있지 않고 ‘나’와 법도 결정코 없다. 그러므로 인연으로 이뤄졌음을 변론하여 두 가지의 ‘나’였음을 드러낸다.
또 다시 어떤 이가 말하기를 “글자와 이름과 구절이 합하여 자기 마음에서 말하려는 이치를 표현하나니, 따로 따로는 표현할 수 없거니와 화합할 때엔 능히 표현함이 있다”
만일 이치가 없으면 표현하는 일도 없을 것이나 표현함이 있으므로 결정코 이치가 있다 하나니, 이런 집착을 파하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결과는 뭇 인연이 합해서 되었으니
인연을 떠나서는 딴 결과가 없다
이러한 합함과 그리고 결과는
여러 성인들 모두가 없는 줄 안다

논하건대 이 게송의 뜻은 모든 무위의 법은 인연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므로 마치 허공의 꽃과 같아서 본체와 작용이 도무지 없나니, 마치 전에 널리 말한바 같고, 모든 유위의 법은 뭇 인연으로 이뤄진 바이어서 마치 요술 속에서 하는 짓 같아서 진실한 본체와 작용이 없나니, 인연이 합하면 결과를 이루므로 결과는 인연을 여의지 않는다. 마치 나무가 숲은 이루나 숲이 나무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인연을 모아서 결과를 이룬다 함은 세속을 쫓아서 하는 말이거니와 으뜸가는 진리에는 그럴 수가 없다. 그러므로 여러 성인들은 모두 없는 것임을 통달한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이름이나 구절은 모두가 글자로서 이뤄진 바요, 글자는 다시 여러 부분을 모아서 본체를 삼고, 글자의 낱낱 부분은 많은 찰나로써 이뤄졌으니, 앞뒤의 찰나는 화합하는 이치가 없다.
반드시 앞생각이 멸해야 뒷생각이 비로소 생기나니 나면 있고, 멸하면 없는 것은 결정적인 이치인데 없음과 있음이 합한다는 이치는 성립되지 못한다.
앞뒤의 두 시간이 있다. 하여도 역시 합하지 못하나니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마치 과거와 미래의 경우와 같다. 합하는 이치가 없거늘 글자의 부분이 어찌 있을 것이며, 글자의 부분도 없거늘 글자의 본체가 어찌 이뤄지랴. 글자의 본체가 없다면 이름과 구절도 없을 것이요, 글자와 이름이 없다면 합하는 이치가 성립치 않거늘 어찌 글자와 이름과 구절이 합해 능히 이치를 표현한다 하랴.
그러나 세간 사람들은 자기 마음의 변화에 따라 여러 글자가 화합해서 이름을 이룬다 하고, 또 뭇 이름이 합해서 구절을 이루고, 이 구절이 능히 표현하는 바가 있다고 하거니와 표현하는 이와 표현하는 바가 모두 자기 마음의 변화일 뿐이다.
온갖 마음의 변화는 망정으론 있으나 이치로는 없나니, 성인들은 그것을 여실히 보고 안다. 어떻게 알고 보는가. 이른바 저 법은 모두가 어리석은 범부들의 허망한 마음씨의 분별로 지어진 바이어서 거짓이어서 참이 아니며, 세속의법으로는 있으나 진리에는 없거늘 세간을 수순하여 방편으로 있다고 말할 뿐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온갖 표현하는 이와 표현하는 바가 세속으로는 있으나 진리에는 없으니 구지 집착하지 말라.
또 다시 모든 반연할 바에서 공함 ‘나’없음의 소견은 능히 ‘나’와 남을 이롭게 하는 일을 속히 끝낸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어리석은 범부는 경계에서 ‘나’와 ‘내 것[我所]’을 집착하여 생사에 헤매이거니와 성인은 거기에서 공함과 ‘나’ 없음의 진리를 통달하여 항상함과 즐거움을 속히 증득하고, 교묘하게 남을 이롭게 한다. 그러므로 공합 ‘나’없음의 소견을 닦아서 스스로를 이롭게 하는 공부가 속히 원만해지고, 묘한 작용이 끝없이 되리라. 이런 소견이 나와 남을 이롭게 하는 진정한 도임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음의 게송을 말했다.

의식은 모든 유위의 종자요
경계는 의식이 행할 바이니
경계에 ‘나’ 없음을 볼 때에
모든 유위의 종자는 사라진다
논하건대 의식은 능히 모든 번뇌의 업을 내고 이에 의하여 삼계의 생사에서 헤맨다. 그러므로 의식과 마음이 모든 유위의 종자라 하고, 능히 뒷세상의 몸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의식밥[識食:의식 그대로가 몸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란 뜻]이라 하나니, 이와 같이 의식과 마음은 빛 따위를 반연하여 일어나거니와 반연할 경계가 없으면 의식은 반드시 생기지 않는다.
만일 능히 경계를 바르게 관찰하여 ‘나’ 없음으로 알면 반연할 바가 없기 때문에 반연하는 이도 없다. 능동과 수동이 없으면 뭇 고통이 따라서 멸하고, 고요하여 그림자 없는 서늘한 열반을 증득한다. 이 지위에 이르르면 스스로를 이롭게 함이 만족했다 한다.
온갖 근본 서원은 남을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이니, 이 지위에 머무러서는 변화의 작용이 다함이 없고, 또한 유정들로 하여금 이런 열반을 증득하게 한다. 그러므로 나와 남에게 훌륭한 이익을 주는 참 방편을 구하고자 하면 반드시 공함, ‘나’ 없음의 지견을 바르게 부지런히 닦으라.
또 다시 다른 해석이 있으니, 의식이 모든 유위의 종자가 된다 함은 이른바 택식(宅識:아뢰야식의 별명) 속에 갖가지로 훈습하여 이뤄진 모든 업의 습기로서 무명과 존재[有]와 애욕에 의해 더해지기 때문에 능히 3계의 생사하는 윤회를 받는데 의식이 의지할 바로 삼기 때문에 의식이라 한다고 한다.
경계가 의식의 행할 바라 함은 의식 속에 있는 습기는 빛 따위 경계를 집착하기 때문에 훈습함에 따라 경계를 속박한다. 그 전에 그것이 의지할 바이기 때문에 행할 바라 한다.
경계에 ‘나’ 없음을 볼 때라 함은 이른바 ‘나’ 없음의 지견으로 온갖 경계의성품과 형상이 공함을 관찰할 때 모든 유위의 종자가 모두 사라진다 함은 ‘나’ 없음의 지견으로 온갖 무명ㆍ존재ㆍ애욕의 두 가지 번뇌를 영원히 끊는 것이니, 이 두 가지가 업을 일으키는 원인이며, 또는 업을 자라게 하여 결과를 내게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끊으면 업과(業果)가 나지 않는다. 그럴 때에 온갖 희론과 번뇌의 종자가 모두 끊어지기 때문에 모두 사라진다 했을지언정 온갖 종류의 의식이 모두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거룩한 도가 일어나면 오직 허망한 분별과 희론과 습기를 멸하고, 유루의 법을 끝내 나지 않거니와 한 부류의 유정들은 모든 무루의 법에 의지할 바가 없기 때문에 역시 모두 사라진다 한다. -그러나-한 부류의 유정은 본래의 서원에 의해 지탱되므로 무루의모든 의식이 상속하여 끊이지 않고, 능히 수승하고 광대하고 심히 깊은 무애변(無碍辯:재변) 따위와 끝없는 공덕의 의지할 바가 된다.
또 의식 따위의 가장 높은 힘에 의하기 때문에 신통작용을 끝내 원만케 하여 오는 세상이 다하도록 걸림없이 상속하나니, 이런 것들은 모두가 근본 서원과 수행의 힘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나와 남을 이롭게 하는 공덕이 다함이 없으며, 유정들로 하여금 해탈을 성취하여 익게 하고, 오는 세상이 다하도록 묘한 작용이 다함이 없으리라. 그러므로 공함ㆍ‘나’없음의 관법을 닦아서 온갖 치우친 집착을 버려라.
016_0639_b_05L如是已辨根境皆虛復爲滌除非眞句義邊執垢穢故說頌曰諸法若實有 應不依他成 旣必依他成定知非實有論曰若一切法性相實有應不依他而得成立旣色等法必依他成如此彼岸定非實有鵂鶹所執實等句義有等爲因而得顯了有等句義復因實等爲自所依方可了別又色等法待自因緣及光明等而得顯現不見少法自體爲依故色等塵皆非實有若言相待雖立別名而此彼岸其體實有卽色等故同喩不成此說不然色等相待體相無異此彼兩岸相待有殊故此彼岸非卽色等其體非實同喩得成又彼所宗實等句義若無因立應似空花若有因成應同幻事故不可執其體實有數論宗中色等諸法不離樂等依樂等成樂等亦應依他而立若不爾者轉變應無有因無因類同前說是故色等其體非眞復次諸外道宗執有甁等卽色離色皆不得成以必依他甁等可了如前同喩其體非眞不可說言甁等卽色甁依色了故不依他所以者何故次頌曰非卽色有甁論曰非卽色體可立有甁聲等亦成甁自性故色非聲等爲其自性如何可立色卽是甁聲等亦應非卽甁體義同色破故不別論又一一甁多法爲色等不爾如何卽甁色等卽甁如甁一甁卽色等應如彼多故不可言甁與色等體俱實有相卽而成色體散時體非甁聚卽轉爲甁應色體散時體是色聚轉成非色色聚時亦甁亦色是則一法應有二相此前已破體應成多是故甁等非卽色等有作是離色有甁德實異故應無此失甁依有等方可了知是假非眞已如前說又不可執離色有甁所以者何故次頌曰非離色有甁論曰非離色等別有實句衣等物爲色等依所以者何衣等物若非色等應如空等非色等依是則應無甁衣等物以不共德無故如意意必是無非無常故如先所破我虛空等是故甁等非離色等若卽若離義旣不成甁等皆虛理應成立復次甁等色等互相依成理俱不然故次頌曰非依甁有色 非有甁依色論曰甁等色等體皆非實如何定立能依所依此中依言或表因義欲顯實德因果不成鵂鶹子執依甁等因有色等果此違比量謂非色等甁等爲因是色等聲所詮表#故#取色等所緣境故如色性等常故無因數論師執依色等因有甁等果亦違比量謂非甁等色等爲因不離彼故樂等性故卽如色等彼執色等與其有性非卽非離非卽有故應如兔角非甁等因若言色等卽是有性應同有性體無差別若言色等樂等爲性旣許體同無斯過者此亦不然違汝自宗根境別故復大過失癡三有性亦同應無異故若言樂等非是有性應如兔角其體都無色等亦應同彼非有不相離故如樂等三是卽一切皆非實有故非色等爲甁等因復次勝論者言彼立同性與諸法一有斯過者我立同性與諸法異由相異故應無此失諸法相望有同有異法體局別所以名異有性該通所以名同通局旣殊故相有異由相異故異外有同若如是者同異句義應異性外別立有同有同異故如所同法若言不爾此同異性境界異故異外無同其所同法境界一故法外有同若爾諸法應有異性所以者何故次頌曰若見二相異 謂離甁有同 二相旣有殊應離甁有異論曰若見諸法同異相異卽於法外別立有同旣見諸法同異相殊應於法外別立有異同異二相俱遍諸法異應如同離法別有設許法外有異有同此復應有餘同異性如是展轉同異無窮則不可知二相差別二皆遍故俱無窮故異應如同名同非異同應如異名異非同是故法外無別同異又若實等與有性別應不能知實等是有帶別相智不能審知餘別相法前已具辨如何世閒於非有性實等法上起有智耶若言實等雖非有性與有合故起有智者則實等法假名爲有體非眞有應說爲無如邊鄙人立飡立溺便痢不洗不嚼楊枝假號爲牛非眞牛犢實等亦爾假有眞無又汝應言何者眞有餘與有合假說有耶若言有性是眞有者其理不然無差別故有與實等齊有智緣如何可言一眞一假又眞有假有非一智緣眞假相別故如王與王使又言實等其體各異有性是同故與有別此亦不然實等眞體亦無有異但可功能相等有別有性亦爾功用有殊云何定執有異實等所以者何俱所知故竝非無故同有用故應互相似皆異皆同是故有性非離實等復次今應問彼法外有性以何爲喩知實有耶若言如一所依實等其相各別不生數智一數是同能生數智法與數合名一甁等由相異故實等非一有與法殊此爲同喩若爾甁等非一智知體非一故如二三等若言甁等體雖非一而一合故名爲一者是則此一雖非甁等與甁等合應名甁等爲顯此義故次頌曰若一不名甁 甁應不名一論曰譬如一數與實等合不名實等如是實等雖與一合應不名一更互相合義無別故世閒不應名一甁等或復實等與一合時爲成一相爲當不爾若成一相應捐實等一數相非實等體故若捐實等一數應無以數必依實等成故若言實等不成一相應非一智一言所了雖與彼合體非彼故如空合人#智言各別若如槊等與人合故雖與人異而得人名其理不然彼假說故若言實等名爲一者亦是假說理又不然無眞一故若言一數是眞一者理亦不然言同故若言一數遍該實等實等不爾非眞一理亦不然前已破故謂不應爲一智所緣實等亦應非眞有異於實等上起數智言旣說爲假於其數實等智言例亦應爾相待智言無別故如何可說一假一眞故立量言所執實等非眞實等數智數言所行境故如一二等所執一等非眞數體實等智言所行境故猶如實等是故一切其體非眞又數與實曾無合時云何乃言甁與一合說甁爲一所以者何故次頌曰甁一曾無合 甁應無一名論曰實居空處一在實中處旣不同豈得名合則應一數不表一甁由處不同如二等數若作是說能依所依體互相遍故名爲合此亦不然故次頌曰若色遍於實 色應得大名 歒論若非他應申自宗義論曰若色等德遍所依實應如實體亦得大名地等處廣旣得大名色等亦然如何非大又色等德應有形㝵稱地等故猶如地等是則色等不依他成有形㝵故如所依實俱有形㝵處應不同實之與德應非因果如是等類過失衆多汝所立宗便爲散壞若言色等德句所攝故無形㝵此亦不然歒論非他應申宗義對他歒論自敍唐捐我佛法中聰睿勇猛見眞理者於汝所宗六種句義如狂寱語無承敬心徒引何益或復色等依地等時爲一分轉猶如樂等爲遍轉耶若一分轉應一實上有德無德有靑無靑如是等過若言遍轉色等諸德應亦名大與實處同猶如地等實在空中德居實上所據各別如何處同我意不言同依一處但言德實其體相遍據空量等故說處同德若名大應更有德然德無德故不名大歒論非他應申宗義對他歒論自敍唐捐或復此中言雖難德同實名大而意難實同德無形以其處同猶如色等我宗地等皆有形質如何同德無形㝵耶歒論非他應申宗義對他歒論自敍唐捐或復色等與其果實同依因實和合而生諸因實中果體皆遍處無別故德應如實亦立大名實應如德不立大稱若言我宗實大非德不可相類其理不然歒論非他應申宗義對他歒論自敍唐捐或復彼宗極微量小衆微和合起麤果時麤果與因處無別故極微與色應成麤大色與麤果應成極微若言我宗因小果大色無形量理亦不然歒論非他應申宗義對他敵論自敍唐捐如是已說有色等離實有體多諸過難其同異性如有應遮共德如數餘不共德及業差別如色等破於諸實中各別轉故勝論所執唯有爾所爲心言因顯諸法有以理推究#皆不得成故不應執又說頌曰有數等能相 顯所相不成 除此更無因故諸法非有論曰已辨有性數及色等不能顯有自所依法除此無有餘決定因可證諸法其體實有不可無因立有諸法勿有所立一切皆成故不可言諸法實有應隨世俗假說非無唯此無愆堪任推究異此違越世俗己宗鵂鶹所宗實等非有非有性故猶若空花有性亦無非實等故猶如兔角是故皆虛復次數論者言諸法不待有性數等而可了知故先諸失於我無過爲破彼言復說頌曰離別相無甁 故甁體非一 一一非甁故甁體亦非多論曰味等體相不同別根所行非餘根境離彼諸法無別有甁故如色等甁體非一旣不許一甁體應多一一非甁如何多體色等性相展轉不同豈得各成一類甁體若一一法其體皆甁共和合時可名多體旣無此義甁體非多亦不應言甁體實有而不可說爲一爲多兔角龜毛非實有故豈不色等合成軍說名一多甁亦應爾此唯世俗假說其中都無軍林實體若執實有應如甁破汝亦不說別有軍又色香等無共合義故不可說和合爲甁所以者何故次頌曰非無有觸體 與有觸體合 故色等諸法不可合爲甁論曰合謂其體展轉相觸此唯有觸謂地水等味非觸所攝如何相觸或觸觸耶旣無有觸合義不成如無觸思終無合義若言色等有相觸義應觸所攝猶如地等則唯觸體同類相合色等諸塵定無合理合則便失色等性故設許色等聚集名合而色等性終非實甁所以者何故次頌曰色是甁一分 故色體非甁 有分旣爲無一分如何有論曰色等聚集摠說爲甁色唯一分理非甁體不可以甁爲甁一分如是聲等例亦應然一一非甁皆甁分故#如是甁分理亦不成有分旣無分爲誰分色等一一其體非甁除此更無眞實甁體甁體無故甁分亦無豈色等塵實爲甁分等物假說爲有分與有分卽離難思應隨世閒所見而說不可委細推究其眞又若色等體實是甁一切應甁故次頌曰一切色等性 色等相無差 唯一類是甁餘非有何理論曰車等所依事中色等能依性相無別若色等體皆實是甁衣等亦應皆是甁體卽色等故如共許甁或所執甁應非甁體卽色等故如衣車等色等不應同而有異依之建立甁等類殊汝宗更無同異性故不由細分安布差別令其甁等其相有異同以色等爲自性故甁等不應異於色等違自所執因果一故如甁衣等有不異失色等亦然卽一甁故又不應說色異味等不異甁等故次頌曰若色異味等 不異於甁等 甁等卽味等色何卽甁等論曰甁等卽用味等爲體應如味等與色有異故不可言色異味等不異甁等理相違故亦不應言味等一一與色等異不異甁等甁等卽用色等諸法以爲自體無別性故如是已辨色等諸法與甁等一其義不成今當顯說與甁等異理亦不成故次頌曰甁等旣無因 體應不成果 故若異色等甁等定爲無論曰地等大體攬色等成故五大因卽五唯量謂攬聲量成於空大更加觸量成於風大復加色量成於火大又加味量成於水大摠攬五量成於地大大望甁等同體相成如量能成同類果故若異色等甁等無因旣無有因體應非果以一切果待因成故是故若言甁等異色卽應甁等非果非因非色等故如龜毛等又非根非因果故色根所行無非因果此非因果根所不行或復應無甁等諸法非因果故如石女兒自性許因思我許果根所顯故無不定失如是數論所立甁等若一若異皆不得成復次勝論者言瓦等細分生甁等故甁等有因旣有其因體卽是果有因是果其體非無此亦不然故次頌曰甁等因若有 可爲甁等因 甁等因旣無如何生甁等論曰瓦等細分依餘法成何能爲因生於甁等不見世閒依他而立非自有法能作他因豈不種等雖依他立而能爲因生於芽等此同有難非救前失世所共知何容致難汝之所執異世所知故於此中同彼有難世所知法依他生已不復重生不依他立由自有力能作他因汝執不然依他成法乃至未滅恒依他住因若滅無果卽隨滅故汝所執異世所知無體無能豈生他果或有因法有體有能可能生他餘有因法汝執瓦等極微爲因或餘爲因此竝非有以無因故瓦等體無無體無力何能生果彼論宗中因有二種俱能生果謂常無常諸無常因必依常立常非有故無常亦無無常因果由何有故彼因果皆不得成復次有作是言甁等瓦等諸和合物從本以來同類因果展轉相續隨類不同其體實有一而可見此亦不然諸和合物漸次分析歸於色等色等如前已辨#非有云何依彼有和合物此和合物一及可見皆如前破不應重執又色等法共和合時無有一體故次頌曰色等和合時 終不成香等 故和合一體應如甁等無論曰色等合時終不展轉變成香等故雖和合不成一體勿捨別相失色等名由是因緣和合一體應如甁等其體實無謂如甁等離色等法無別體故一體不成和合亦然非離色等有別體故體不成一又和合時一一細分非和合故應如未合不合成一細分不應各名和合勿一合內有多合體是故和合體非實有又和合物必依色成色體尚無和合焉有色體無者如次頌曰如離於色等 甁體實爲無 色體亦應然離風等非有論曰應知此中四大造色俱名爲色變壞相故變壞色相大造合成故離大造無實有性不可此中唯一是色勿唯此一變壞非餘又亦不應一切是色勿一切色皆同一體體若有殊應失色性不可一性有衆多體勿一切法皆同一性是故色名無實有體#唯依風等假立色名如色體虛受等亦爾領納等相推體實無唯有世閒虛假名相若無大造如何世閒有火等物燒煮等用又若一切皆無所有諸所安立應不得成我不言無諸法體用但說汝論所立皆無謂世所知色受等體燒煮等用一切非無若諸愚夫分別倒見所執體用我說爲無非諸聖人見此爲有妄情所執都無有故復次勝論者說火是能燒地是所燒其體眞實燒煮等用亦眞實有熟變色等現可知故今應詰問火何所燒爲煖爲餘汝應審答竝許何失二俱不然所以者何故次頌曰煖卽是火性 非煖如何燒 故薪體爲無離此火非有論曰煖非所燒卽火性故於自有用現事相違又汝宗中所燒非煖故應執煖爲所燒亦不應言所燒是地非煖性故猶如水風薪是所燒所燒無故薪體非有薪體旣無火依何立火必依薪#而得生起所燒薪盡火便無故能燒所燒旣竝非有熟變色等豈實有耶故執實有能燒所燒燒煮等用皆不應理有說此頌不唯破彼勝論外道地是所燒但摠破言地等諸法非煖性故非所煖體此說不然非煖性故旣無同喩應不成因不可說言如未燒位地等色聚非是所燒於彼聚中常有煖性異相隨故亦名所燒苦樂等法隨所依身由火變異亦名所燒無色界法前世下地所牽引故亦名所燒故非此因所引同喩設爲同喩理亦不然燒非燒名唯有觸物世閒共許非餘法故此非燒名雖通餘法而局同類如非實言又小乘人不執實有所燒等法#何用破爲若言破彼世俗所燒便違世閒何成比量復次離繫外道作如是言地大極微及餘果物雖非是火而與火合由雜火故似煖相現然彼地等眞實非燒異煖性故亦非非燒似煖相故雖俱不可說而實是所燒此亦不然故次頌曰餘煖雜故成 如何不成火 若餘不成煖由火法應無論曰若地大等由火雜故眞成煖性應令成火煖觸攝故如實火大若彼火雜不成煖性由火爲因所生熟變異觸諸法亦應無有如火不能生餘煖觸若無熟變色等諸法誰能燒煮燒煮於誰故燒煮等皆非實有火非實能燒觸所攝故如地大等地非實所燒觸所攝故如火大等能煮所煮准此應破故彼所執其理不成復次應重審問食米齊宗諸火極微爲有薪不無且非理故次頌曰若火微無薪應離薪有火論曰若火極微離薪而有麤火同彼應不託薪若不託薪卽應無有燒煮等用如火極微若爾卽應失於火性無燒煮用如地不見世閒有如是火無燒煮用及離於薪故火極微必依薪有如現見火依附於薪或應信知極微非火無火用故猶若龜毛有亦不然故次頌曰惠一火微有薪者 應無火極微論曰若火極微恒與薪合應名麤火何謂極微於一切時與薪合故應如麤火失極微性地與彼合亦不成微餘亦應然種類同故則應決定無一極微色法旣然心法亦爾心與心法俱生滅故又一切法一體不成所以者何故次頌曰審觀諸法時 無一體實有論曰諸有爲法待因緣成積集而生積集而滅無有一法其體獨存於一體中復漸分析乃至極細猶有衆分若諸法體非一應多此亦不然故次頌曰一體旣非有 多體亦應無論曰要先有一後積成多一體尚無多體焉有又汝執一藉緣生多一體旣無多體豈有一體非有前已具論是故定無眞實多體雖彼所執一我獨存而體周圓與多我合又多法合一體不成一旣不成多由何立豈不空等獨一無二世咸共了是一體耶世共所知是假非實汝所執實非世所知如何得知空等一體唯是假有故次頌曰若法更無餘 汝謂爲一體 諸法皆三性故一體爲無論曰若謂諸法更無餘伴唯一獨存說名爲一空等諸法一一體上皆有三性謂有有謂大有一謂一數物謂物類卽實德業三中隨一故虛空等一一法上皆有三性若不爾者虛空等上一智言應不得起由是無有一法獨存如何可言實有一體若言有一皆表實等故唯實等名有一物是則有一無有一故應不能起有一智言若言假說無斯過者此亦不然前已破故謂智言等誰假誰眞應竝爲眞或俱是假又一切法其相雖殊應得實名或德或業是故假說其過彌深終不能除一成三失一有三性一體不成一旣不成三亦非有是故諸法非一非多而言一多假非實或有異釋一法成三謂一法簡異非一非一極略所謂二種簡二及前卽成二性根本法體以爲第三故一切法皆有三性今應徵問簡二取一乃是自心分別有異如何令法成三性耶又簡前二彌成其一非二非多名爲一故是則立一反破其三何名以三而破其一復有異釋一法成三簡去來今三非有故如無君等簡異立名此簡三無故成三性此釋非理所以者何異類無邊豈唯三種簡無立有無不唯三簡有立名有過千數如何但說一法成三又相簡別唯在自心或在名言何關法體是故此釋於破無能復有釋言先已破今此唯破執有無常所執無皆有三性謂生顯在諸經亦不然滅相時分各異如苦必不同時時旣不同體相亦別名一法其性有三又若說生無閒卽應言二性何得論三又生滅時後各異如去來世不名一法如何難言一法二性是故此釋理亦不成復有釋言諸有爲法極於一念於一念中有多剎那時分性故如臘縛等言三性者顯性非一不唯有三此亦不然時分前後非一法故如何可說一法有三是故如前釋爲最勝諸法一一非一非多隨世俗言有多有一世俗諸法隨世俗情假立爲有不任推究諸有智人於世俗法應隨說有勿固尋思若有尋思世俗諸法求其性相不異有人手執燈炬入於闇室求闇性相所以者何世俗諸法猶如幻闇衆緣所成不任思求求卽散壞復次爲顯世閒所執諸法皆非眞實及顯外道所執不同故#次頌曰有非有俱非 一非一雙泯 隨次應配屬智者達非眞論曰一切世閒色等句義名言所表心慧所知情執不同略有四種謂有非有俱許俱非隨次應知配四邪執謂一非一雙許雙非數論外道執有等性與諸法一卽當有句此執非眞所以者何若靑等色與色性一應如色性其體皆同五樂等聲與聲性一應如聲性其體皆同觸等類#亦應爾眼等諸根與根性一應如根性其體皆同應一一根取一切境應一一境對一切根又一切法與有性一應如有性其體皆同又樂癡及與思我與有性一應如有性其體皆同是則汝宗所立差別皆不成就#故彼所執決定非眞勝論外道說有等性與法非一當非有句此亦非眞所以者何若靑等色與色性異應如聲等非眼所行聲等亦然異聲等性#應如色等非耳等境又一切法非有性者應如兔角其體本無是則應同空無我論或同餘道邪見師宗豈不有性非卽諸法法雖非有而有有耶所依法無能依豈有又有性上無別有性應不名有所餘諸法雖有有性非有性故其體應無是則一切所立句義皆不得成便同撥無邪見外道故彼所執決定非眞無慚外道執有等性與彼諸法亦一亦異當於亦有亦非有句此亦非眞所以者何若有等性與色等一同數論過與色等異同勝論失一異二種性相相違而言體同理不成立一應非一卽異故如異應非異卽一故如一一異旣不成非有焉立一異相異而言體同則一切法皆應無異異相旣無一相何有一異二相相待立故若謂一法待對不同名一異者卽應一異二竝非眞或隨一假一法二相互相乖違俱言是眞必不應理故彼所執決定非眞邪命外道執有等性與彼諸法非一非異當於非有非非有句此亦非眞所以者何若有等性與法非一同勝論過與法非異同數論失又一異相世共知有汝獨撥無違世閒失又汝所說非一異言爲但是遮爲偏有表若偏有表應不雙非若但是遮應無所執有遮有表理互相違無表無遮言成戲論汝執諸法性相非空而說雙非但爲避過此雙非語亦不應論違汝所宗法性相故若諸法性一一俱非此俱非言亦不應說擧言必有俱非性故是則汝曹應常結舌發言便壞自論所宗默亦不成以俱非故語默俱失一何苦哉誰有智人而不悲愍故彼所執決定非眞如是世閒四種外道邪論惡見擾壞其心虛妄推尋諸法性相皆不中理競執紛紜於諸法中起四種謗謂有非有雙許雙非增益損減相違戲論是故世閒所執非實復次外道餘乘弊魔惡友邪論惡見擾壞其心於其世閒虛僞諸法種種思搆妄執爲眞於相續假謂是眞常積集假中執爲實有爲顯此義復說頌曰於相續假法 惡見謂眞常 積集假法中邪執言實有論曰有爲諸行前滅後生無始時來展轉相續生滅變異微細難知因果連緜其狀如一愚夫惡見謂是眞常#邪執糾紛遞相誹斥色等諸法恃託因緣虛假集成都無實體微細積聚密合難分衆分和同冥然似一愚夫僻執言有實體各據一途互興諍論又於相續積集假中不達諸門分位假有橫計種種義類不同執一法中有多實性如是所迷自性差別皆由惡見邪執而生緣此輪迴諸趣#諸有備受衆苦未有出期是故應除惡見邪執信解諸法#因緣集成是假非眞無顚倒理復次爲顯諸法衆緣所成非一非常無我無法猶如幻化情有理無是俗非眞復說頌曰諸法衆緣成 性羸無自在 虛假依他立故我法皆無論曰諸法虛假衆緣所成起住依他體無自在念念生滅衆分集成非一非常猶如幻化愚夫執有智者達無故於其中無我無法一切外道及所餘乘計一計常爲我爲法一常非有我法定無故辨緣成顯二無我復次有作是言句合詮表自心所欲說義一一各別雖不能詮而和合時能有所表若義非有詮亦應無旣有能詮定應有義爲破彼執故次頌曰果衆緣合成 離緣無別果 如是合與果諸聖達皆無論曰此頌意言諸無爲法非緣成故猶若空花體用都無如前廣說諸有爲法衆緣所成如幻所爲無實體用緣合成果果不離緣如樹成林林非異樹攬緣成果順世俗言勝義理中無如是事故諸聖者了達皆無所以者何名之與句竝字所成字復攬於衆分爲體字一一分多剎那成前後剎那無和合義要前念滅後念方生生有滅無其理決定無之與有合義不成前後二時有亦不合時分異故猶如去來合義旣無字分焉有尚無字分字體豈成字體旣無名句非有無字名句合義不成如何可言字名句合能詮表義然諸世閒隨自心變謂有衆字和合爲名復謂衆名和合爲句謂此名句能有所詮能詮所詮皆自心變諸心所變情有理無聖者於中如實知見云何知見謂見彼法皆是愚夫虛妄識心分別所作假而非實俗有眞無隨順世閒權說爲有是故一切能詮所詮俗有眞無不應固執復次於諸所緣無我見能速成辦自利利他所以者何愚夫於境執我我所生死輪迴聖者於中達空無我速證常樂能巧利他是故應修空我見令自利滿妙用無窮爲顯此見是利自他正眞要道故說頌曰識爲諸有種 境是識所行 見境無我時諸有種皆滅論曰識能發生諸煩惱業由此三有生死輪迴故說識心爲諸有種能牽後有得識食名如是識心緣色等起無所緣境識必不生若能正觀境爲無我所緣無故能緣亦無能所旣亡衆苦隨滅證寂無影淸涼涅槃至此位時名自利滿諸有本願爲利益他住此位中化用無盡亦令有識證此涅槃是故欲求自他勝利眞方便者應正勤修空無我見復有別釋識爲諸有種者謂宅識中種種熏成諸業習氣無明愛所隨增故能感三有生死輪迴識爲所依故說爲識境是識所行者識中習氣由執色等境界熏成隨縛境界是所依故名曰所行見境無我時者謂無我見觀一切境性相空時諸有種皆滅者由無我見永斷一切無明有愛二種隨眠由此二種是發業因及能潤業令生果故斷此二種業果不生爾時所有諸戲論事及煩惱事種子俱斷故名皆滅非一切種識等皆無所以者何由聖道起但滅一切虛妄分別戲論習氣令有漏法畢竟不生一類有情諸無漏法無所依故亦皆斷滅一類有情由本願力所任持故無漏諸識相續不斷能爲殊勝廣大甚深無㝵辯等無邊功德所依止處又由識等增上力故圓滿究竟神通作用窮未來際任運相續如是皆由本願行力所發故自利利他功德無盡令諸有情成熟解脫盡未來際妙用無窮是故應修空無我觀捨諸邊執大乘廣百論釋論卷第八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