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교장

석마하연론통현초(釋摩訶衍論通玄鈔) ABC_KJ_C_002_0011_003_0010

ABC_KJ_C_002_0011_003_0010
간략정보
  • 釋摩訶衍論通玄鈔 / 大遼醫巫閭山崇祿大夫守司徒通圓慈行大師賜紫沙門志福撰. -- 木版本 -- 高野山金剛三昧院 : 金剛三昧院老比丘良俊, 1282年(弘安 5).
  • 卷第1, , 無 21.1×12.3 cm , 無界, 7行19字, 無, 無 ; 24.7×15.0 cm.
  • 소장자 :

제목정보
책명 석마하연론통현초(釋摩訶衍論通玄鈔)
권수제 釋摩訶衍論通玄鈔 卷第一
권말제 釋摩訶衍論通玄鈔 卷第一
표제 尺广訶衍論通玄鈔 卷第一
이제
서제 釋摩訶衍論通玄鈔引文
판제 釋鈔(판심제)
분류정보
자료구분 고서
주제분류
저자정보
저역자 大遼醫巫閭山崇祿大夫守司徒通圓慈行大師賜紫沙門志福撰
판사항
판종 木版本
저본
발행정보
발행지 高野山金剛三昧院
발행자 금강삼매원노비구양준(金剛三昧院老比丘良俊)
발행년 1282年(弘安 5)
형태정보
장정 粘葉裝
권사항 卷第1
장수 38張
결락중복
도표
광곽형태
광곽종류
광곽크기 21.1×12.3
계선 無界
행자수 7行19字
주표기 註雙行
판구
어미
책크기 24.7×15.0
기록정보
서문 引文(卷1第1張): 釋摩訶衍論通玄鈔引文 / 天佑皇帝御製 / 朕聞如來啓運貝四知 ...... 通 玄二字爲題云爾 라는 기록이 있음
발문
간기 1. 底本刊記: 壽昌五年(1099)己卯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 / 正二位行權中納言 兼太宰師藤原朝月季仲依 / 仁和寺禪定二品親王仰遣使高麗國請來卽 / 長治二年(1105년)乙酉五月中旬從太宰差專使奉請之 2.刊記(底本刊記 다음): 弘安五年(1282)壬午九月六日 於高野山金剛三昧院 / 金剛佛子 性海書 / 弘安五年(1282)壬午十月卄一日 於高野山金剛三 / 昧院淨塲通玄鈔四卷 爲備規模謹開印板畢 / 捧此弘願之功德奉資三所之聖靈所謂武 / 門御恩所東閞右將府幷二品禪定比丘尼兼 / 當院家本願聖靈也 至佛子者縱留連三 / 界之幻城必値遇佛法僧興三宝之妙道縱 / 跉蛢十方之穢國不退轉菩提心救無餘之 / 含識今不耐先彼後我之思 聊以記誓心短 / 廬之旨而已 / 金剛三昧院老比丘良俊記之
간행질
기타판각인명정보
인출유통묵서기
주기정보
지질 和紙
표지첨기 朱書: 第拾五合(表題右下)
합본사항
현토표점방점 墨書句讀點, カナ요미구다시(ヨミクタシ)懸吐
인장 尾張國大須(卷首 1개, 卷末 1개) / 寶生院經藏(卷首 1개, 卷末 1개) / 圖書寺社官(卷首 1개, 卷末 1개) / 府點檢之印
주기상세 1. 字高: 21.2×12.2㎝
2. 墨書(卷末): '實渏' 라고 소장자가 기록되어 있음 / '本國書云 / ...... 弟子■心'
3. 墨書(句讀點): 가다가나로 된 ヨミクタシ(句讀點)가 기록되어 있음
4. 朱書(句讀點): 빨간색으로 단락시작, ヨミクタシ, 漢字의 두 글자 사이에 세로줄을 표기하여 한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등의 기록이 있음
5. 裁冊이 오래되어서 표지들이 분리되어 있다.
6. 書背에 靑色帛이 남아 있음, 원래 표지는 서배에 싸였을 것으로 추정.
7. 재책이안에서는호접張형태로되어있다. 이에4쪽이1쪽으로표기되어있다. 양면인쇄
내용주기
형태주기
소장정보
소재국 일본(日本)
소장자
소재처 오스문고(大須文庫)
소재처관리번호
연계정보
출처정보
-
특수기록정보
발폭 2.8㎝
촉수 13촉
종이두께 0.06㎜
색차값 L77.4, a+1.5, b+16.5
입수처정보
조사일 2016.012
연번 2
참고정보
이력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