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전서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 月渚集序

ABC_BJ_H0181_T_001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월저 도안月渚道安
김두재 (역)

009_0079_a_02L
월저집月渚集 서문序文
나는 담이옹儋耳翁1)이 시작 없는 과거로부터 시작된 구업口業의 과보가 커서 식자識者의 우환을 겪는 것을 보고 붓을 감춘 지 오래되었다. 그런데 난처하게도 서악西嶽의 승려 승익勝益과 연종蓮宗이 세상을 떠난 스승을 추천하기 위하여 그 행적을 인간세계와 천상계에 전하여 알리고자 서문을 부탁하였다. 저 대사는 곧 나와 공空에 대하여 담론을 했던 분으로서 중국의 미천彌天2)과 법명이 같으며, 석호釋號는 월저月渚인 분이시다.
이윽고 있는 힘을 다하여 경계해 왔던 것을 깨고 문언文言으로써 기록하고자 하나, 이미 감문龕文(비문)에서 구슬처럼 아름다운 칭송은 다 표방하였으니, 그렇다면 이 책에서는 다시 금을 연단하여 완전한 순금으로 만드는 것이 첫째로 할 일이요 둘째로 할 일이로다.
스님은 서산 대사를 보좌한 분이라 할 수 있다. 무릇 서산 대사는 금구金口3) 목설木舌(목탁 : 교화를 펴는 사람의 비유)로 미묘한 법을 설하시어 대지에 은혜를 입혔으니 그 말씀은 활을 말한 것인가, 활시위를 말한 것인가? 최수구最首句4)인가, 말후구末後句5)인가? 그 대강을 말하면 샘물과 돌에 대해서까지 품평하고 구름과 달까지도 평론하였는데 모두 미묘한 도道 아닌 것이 없었다.
도안 스님은 서산 대사의 4대 적통으로 서산 대사의 법을 이어 가르침을 천양闡揚하였으며, 종풍을 왕성하게 일으켰다. 스님이 지으신 진찬眞贊과 교화의 게송을 보건대 모두 가사의 정취(詞理)를 담고 있고, 대체로 문장은 저들 가문(불가)의 『잡화경雜花經』6)을 펼쳐 기본 틀로 삼고 내교內敎(불교)와 외전外典을 두루 섞어 나열하고 있어서 체제를 따지는 일에 구애받지 않았다.
대사의 시는 또 용공用功이 으뜸이라 자못 본색의 언어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빼어난 문장들을 빌려서 채집하여 예전 책들 속에 섞여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주고 있으니, 그렇다면 권문공權文公의 ‘솔바람 층층의 봉우리(風松層峯)’의 비유가 오로지 영철靈澈7)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닐 것이고, 창랑자滄浪子(굴원)도 놀라게 할 정도인 것이다. 스님이 어찌하여 임제종파에 속하지 않았겠는가?
여기에 비하면 나는 한유韓愈8)가 문창文暢 대사9)에게 성인의 도를 말한 것과, 관랑선冠浪仙10)의 전顚과, 한교병적寒郊病籍과 풍아風雅를 함께 울릴 재능도 지니지 못했으니, 지금 마냥 탄식하는 소리만 나올 따름이다.
또다시 생각해 보건대 몇몇 언구들은 법의 티끌에 속하니 경전의 말씀이요,

009_0079_a_01L

009_0079_a_02L1)月渚集 [1]

009_0079_a_03L
009_0079_a_04L
余以儋耳翁無始以來口業報大有識
009_0079_a_05L字憂韜笔之久迺苦被西嶽僧勝益蓮
009_0079_a_06L爲其師迫欲昭播人天其師即余談
009_0079_a_07L伴彌天釋號月渚者也遂勉焉破
009_0079_a_08L文言以紀之旣標珠於龕則卷而
009_0079_a_09L又揀金存十之一二也曰是可以羽翼
009_0079_a_10L西山矣夫西山以金口木舌有微言
009_0079_a_11L之大地說弓耶說弦耶最首句耶
009_0079_a_12L後句耶其粗而至於品泉石而評雲月
009_0079_a_13L匪靡道妙逮師爲四世嫡統紹法
009_0079_a_14L闡言蔚有宗風觀其所著眞賛化偈
009_0079_a_15L理俱到大較文以渠家雜花布爲機
009_0079_a_16L內敎外典羅列錯綜不拘拘於體
009_0079_a_17L裁爲事詩又用功㝡頗有本色語
009_0079_a_18L採其翹秀混之古卷中則權文公風松
009_0079_a_19L層峯之諭不專在於靈澈且使滄浪子
009_0079_a_20L而置訝也豈不屬之於臨濟宗派也哉
009_0079_a_21L迺余則以不能爲 [1] 韓愈氏告文暢以聖
009_0079_a_22L人之道與夫冠浪仙之顚與寒郊病籍
009_0079_a_23L [2] 鳴風雅之盛至今有餘嘅焉抑又思
009_0079_a_24L有言句盡屬法之塵經語也蠲除

009_0079_b_01L희론의 찌꺼기를 다 털어 버렸으니 이 또한 경전의 말씀이다. 그런 까닭에 계를 행하는 사람들은 매우 엄격하게 견제하였으나, 설령 아니라 하더라도 굽혀서 천양할 만한 것이다.
지난날 내가 스님의 비문에 기록한 말을 보니, “문자와 더불어 선禪 중에 달을 쓰다듬고 파도를 떨쳐 버리며, 삼매에 들어 탈태하신 분이로다. 설암 추붕雪巖秋鵬11)이 일찍이 한 글자를 퇴고하면서 대사를 질정해 말하기를 ‘다른 날 동국의 시문을 가려 뽑는 사람이라면 우리 스님을 제1편의 구절로 취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그러고는 여기에서 문득 책을 덮고 붓을 던지며 또 더 이상 글을 쓸 수 없음을 한탄하였다. 대사의 사제인 중여重與가 기어綺語12)의 업장을 교감하여 없앴으니, 이는 가섭이 선정에 들어 있을 때 춤을 춘 것과 같은 맥락일 것이다. 유마거사의 의롭고 강개한 마음을 들어 근진根塵만 혼란스럽게 만들었으니, 이것이 곧 천학淺學이 스님을 아는 것이다. 더구나 대사는 대사의 법을 쓰시고 남화자南華子(장자)의 법을 쓰지 않은 것은 저 남화자도 오히려 명성은 높지만 법은 부족하다고 하였기 때문이리라.
태세太歲 병신년(1716) 겨울 섣달에 찬국옹餐菊翁13)이 서문을 쓰다.

009_0079_b_01L戱論之糞亦經語也所以爲戒者
009_0079_b_02L甚蠲除之縱未也其可掘而揚之向余
009_0079_b_03L龕文所云倂與文字禪中月抹波拂三
009_0079_b_04L昧而奪胎者雪巖秋鵬 [3] 得一推敲字
009_0079_b_05L輒質之師曰異日選東詩者倘取吾師
009_0079_b_06L第一篇句也無於是焉掩卷擲笔又恨
009_0079_b_07L不能起師之弟重與勘破綺語障然是
009_0079_b_08L迦葉㝎中舞也擧維摩居士義槪之心
009_0079_b_09L惉懘根塵即淺之爲知師矧師用師法
009_0079_b_10L不爲南華子也者彼南華子尙曰之 [4]
009_0079_b_11L嬴法

009_0079_b_12L
歲丙申冬臈餐菊翁序

009_0079_b_13L{底}康熙五十六年內院刊本(澗松美術館所藏)
  1. 1)담이옹儋耳翁 : 북송 때 문장가인 소동파蘇東坡로 추정된다. 본명은 소식蘇軾, 자字는 자첨子瞻.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東坡居士에서 따온 별칭이다. 아버지 소순蘇洵, 동생 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라고 일컬어지며 이들은 모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한다. 1097년에 담이국儋耳國으로 귀양을 간 일이 있다.
  2. 2)미천彌天 : 동진 때 승려의 이름. 상산常山 부류扶柳 출신으로 12세에 출가하여 불도징佛圖澄을 사사하였고, 385년 2월 72세로 입적하였다. 세간에서는 미천 도안彌天道安이라 불렀다. 수많은 경전 번역과 저술을 남겼다. 월저 대사의 이름도 중국의 도안과 같으므로 짝이라고 말한 듯하다.
  3. 3)금구金口 : 부처님의 입을 금구라 하고, 그 입으로 말한 교설을 금구설이라 하는데 여기에서는 서산 대사가 중생들을 위해 설법한 것을 말한다.
  4. 4)최수구最首句 : 최초구最初句와 같은 말로서 선禪의 첫 관문을 뚫는 글귀.
  5. 5)말후구末後句 : 말후末後는 구경究竟ㆍ필경畢竟ㆍ구극究極ㆍ지극至極의 뜻. 구句는 언구言句ㆍ어구語句ㆍ문구文句라는 뜻으로 깨달음의 경계에 대하여 기술한 언구를 말한다.
  6. 6)『잡화경雜花經』 : 『華嚴經』의 다른 이름. 아름다운 꽃으로 훌륭한 집을 장엄한 것에 비유하여 꽃과 같은 만행萬行이 불과佛果를 장엄한 것을 화엄이라 하며, 이 만행이 서로 섞인 것을 잡화라 한다.
  7. 7)영철靈澈 : 당나라 때의 유명한 시승詩僧. 같은 시기에 문장을 잘했던 승려 교연皎然과 교유하며 우애가 깊었다고 한다.
  8. 8)한유韓愈 : 당나라 때의 문인이자 정치가. 자는 퇴지退之, 시호는 문공文公. 회주懷州 수무현修武縣 출생이다. 792년 진사가 된 후 지방 절도사의 속관을 거쳐 803년 감찰어사監察御使가 되었는데 이때 수도의 장관을 탄핵하여 양산현陽山縣 현령으로 좌천되었다. 이듬해 소환된 뒤로는 주로 국자감國子監에서 근무하였으며, 817년 오원제吳元濟의 반란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형부시랑刑部侍郞이 되었으나, 819년 헌종이 불골佛骨을 모신 것을 간하다가 조주潮州 자사로 좌천되었다.
  9. 9)문창文暢 대사 : 한유와 같은 시대의 승려. 한유의 「送浮屠文暢師序」라는 글에 “문창은 문장을 좋아하여 천하를 주유周遊할 적에 어디를 가나 반드시 유학자에게 시를 지어 주기를 청하였는데, 시가 수백 편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古文眞寶 後集』.
  10. 10)관랑선冠浪仙 : 당나라 때 시인인 가도賈島의 자이다. 가도는 원래 승려였는데, 시를 좋아하여 깊은 사색에 잠기곤 하다가 뒤에 한유를 만나 그와 포의교布衣交가 된 후로는 부도浮屠를 버리고 환속하였다. 고고孤高한 시풍으로 이름을 떨쳤다. 『唐書』 권176.
  11. 11)설암 추붕雪巖秋鵬(1651~1706) : 묘향산 보현사 월저 도안의 문하에서 10여 년 공부하여 그 법을 이어받았다. 선과 교 양종에 통달하고 시문을 잘했으며, 한때 총림에서 종사로 추앙받았다. 대둔사 13대 강사 중 5대 강사를 지냈다. 숙종 32년(1706) 묘향산에서 나이 56세, 법랍 46년으로 입적하였다. 대둔사에서 법회를 열던 때의 『華嚴講會錄』이 대흥사에 전한다. 저술로는 『雪巖雜著』ㆍ『雪巖亂藁』ㆍ『禪源諸詮集都序科評』ㆍ『法集別行錄節要私記』ㆍ『妙香山誌』 등이 있다.
  12. 12)기어綺語 : 십악十惡의 하나로, 도리에 어긋나며 겉과 속이 다르게 아름답게 꾸민 말을 일컫는다.
  13. 13)찬국옹餐菊翁 : 미상.
  1. 1){底}康熙五十六年內院刊本(澗松美術館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