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전서

설담집(雪潭集) / 雪潭集序

ABC_BJ_H0209_T_002

009_0729_a_02L
2. 설담집 서
옛사람들은 낮과 밤이 바뀌는 것과 같은 현상계에 대해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말을 만들어(立言) 없어지지 않을 수단으로 삼았다. 무릇 몸은 나이고, 말은 나의 바깥이다. 나는 썩는데, 나의 바깥은 썩지 않는다면 나에게 무슨 관계가 있을까. 이는 달관達觀한 자의 비웃음을 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불가(浮圖氏)에서는 육체를 벗어나 삶과 죽음을 같게 여긴다. 비록 사대四大가 나를 이루는 요소이기는 하나, 태어나 생겨나되 이를 담담하게 여기고, 죽어 없어지되 이를 해탈이라고 여겨서 한결같이 무소유에 부칠 따름이니, 말이 썩어 없어진다거나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오히려 부질없는 분별일 뿐이다.
설담雪潭 대사는 소요逍遙 대사의 정통을 이어서 전해 받은 5대 제자이다. 대사께서 열반에 드시자, 그 문도인 찰인察忍이 대사의 시문 몇 편을 모아 간행하여서 장차 후세에 알리고자 하였다. 이에 나의 글을 얻어 서문으로 삼고자 했다. 내가 응하여 말했다.
“대사께서는 역내域內의 명산을 다니며 그 행적을 글로 기록하였는데, 그 기행문의 제목을 ‘몽행夢行’이라고 하였다. 대사께서 꿈이 아닌 현실을 가지고 꿈에 비유하셨으니, 어찌 사람의 삶을 단지 꿈결이나 허깨비의 경계로 여기신 것이 아니겠으며, 그 말한 내용이 다만 꿈을 꾸며 잠꼬대를 해 댄 것이라 여기신 것이 아니겠는가. 삶은 꿈결 속이요, 죽음은 꿈에서 깨어남이니, 대사께서 깨어나 열반에 든 것이 이미 몇 해가 지났다. 이제 그 문도들이 자질구레하게 그 옛적의 잠꼬대를 모아서 우르르 달려와 나에게 서문을 부탁하니, 이는 꿈속을 헤매어 꿈인 줄을 깨달을 길이 없어서 꿈을 꾸고 있음을 모르는 것이로다. 나도 또한 꿈속에 깊이 빠져 있는 사람이니, 돌아가 먼저 꿈에서 깨어난 사람에게 구하면 반드시 대사를 더욱더 중히 여길 바가 있으리라.”
성상聖上(正祖) 8년(1784) 갑진년 맹하孟夏(음력 4월) 번암樊巖 거사 채제공蔡濟恭4)이 적취헌積翠軒에서 쓰다.

009_0729_a_02L雪潭集序

009_0729_a_03L
009_0729_a_04L
古之人不能無意於晝夜代謝之際
009_0729_a_05L以立言爲不朽資夫身我也言我之
009_0729_a_06L外也我朽矣使我之外誠不朽
009_0729_a_07L我何與焉其不爲達觀之笑幾希
009_0729_a_08L圖氏外形骸等死生雖四大之所以爲
009_0729_a_09L我者生而枯木焉死而湼槃焉
009_0729_a_10L付之無所有而已言之朽不朽尙何
009_0729_a_11L足較也雪潭師逍遙之五世嫡傳也
009_0729_a_12L其亡也其徒察忍榟詩文若干篇
009_0729_a_13L以示後謁余文爲弁余應曰師甞
009_0729_a_14L遊域內名山文以記之名其錄曰夢
009_0729_a_15L師之以非夢喩夢豈不以人之生
009_0729_a_16L特夢幻之境而其爲言也不過爲夢
009_0729_a_17L中之囈耶生夢也死夢覺也師之
009_0729_a_18L覺已幾歲月也今其徒䂓䂓然
009_0729_a_19L宿昔之囈奔走干余無或由於方其
009_0729_a_20L夢也而不知夢也歟余亦大夢人也
009_0729_a_21L歸而求之先覺之人必有以增重師

009_0729_a_22L
聖上八年甲辰孟夏樊巖居士
009_0729_a_23L于積翠軒中蔡濟恭

009_0729_b_01L
  1. 4)채제공蔡濟恭 : 조선 후기의 문신(1720~1799)으로,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 사도세자의 신원 등 본 정파의 주장을 충실히 지키면서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인 인물이다. 1788년 정조의 특명에 의해 우의정이 되었으며, 2년 후 좌의정으로 승진하면서 3년간 혼자 정승을 맡아 국정을 운영하였다. 1793년에 영의정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