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전서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 志磬三晝夜十七壇排設之圖

ABC_BJ_H0277_T_003

011_0459_b_01L
지반 3주야 17단 배설도志磬三晝夜十七壇排設圖
동쪽 가 5단壇에 거불擧佛을 할 때에는 불타야佛陀耶·달마야達摩耶·승가야僧伽耶로 한다.

서쪽 가 5단에 거불을 할 때에는 시방불十方佛·시방법十方法·시방승十方僧으로 한다.

상단 제산구참선달지식등중 제산단 화신불 법신불 보신불 중위단 판관귀왕장군동자명부시왕등중종관위고사위 풍백우사주뢰주전주가주묘등중 풍백단 정문 당산단 옹호불법당산국사주사등중 예적단 가람토지호법제선신등중 가람단 사왕단 하단 명왕단 성황단 본주성황주사등중 사직사자등중 사자단 팔부단 악사무주고혼 시방법계비명 제석단 오로단 오방오위오로오제신기등중 각각선망부모열명영가 가친단 종실단 선왕선후열위선가


011_0459_b_01L志磬三晝夜十七壇排設之圖

011_0459_b_02L東邊五壇擧佛則佛陀耶達麽耶僧伽耶
011_0459_b_03L西邊五壇擧佛則十方佛十方法十方僧
011_0459_b_04L上壇 諸山久叅先達知識等衆 諸山壇 化身佛 法身佛 報身佛 中位壇 判官鬼王將軍童子冥府十王等衆從官位庫司位 風伯雨師主雷主電主稼主苗等衆 風伯壇 正門 當山壇 擁護佛法當山國師主司等衆 穢迹壇 伽藍土地護法諸善神等衆 伽藍壇 四王壇 下壇 明王壇 城隍壇 本州城隍主司等衆 四直使者等衆 使者壇 八部壇 惡死無主孤魂 十方法界非命 帝釋壇 五路壇 五方五位五路五帝神祗等衆 各各先亡父母列名靈駕 家親壇 宗室壇 先王先后列位仙駕

011_0459_c_01L
대중들이 모이는 날 모든 신장단神將壇에 신장들을 청하여 앉게 하고 공양 권하는 의식을 한 뒤에 위목位目은 벽에 붙였다가 모두 산회散會하는 날 태워 전송한다. 다음에 사자단使者壇, 다음에는 오로단五路壇, 다음은 상단上壇, 다음에 중단中壇, 다음에 제산단諸山壇의 순서로 한다.

『지반집志磐集』 같은 데에서는 중단을 먼저 청하고 제산단은 나중에 청하며, 『중례문中禮文』에서는 제산단을 먼저 청하고 중단을 나중에 청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하단下壇 의식을 할 때에는 종실위宗室位를 먼저 청한 뒤에 위판位版을 시식단施食壇에 안치한다. 왼쪽 가에 가친단家親壇을 높이 앉히고 맞아들여 청할 때에 이 단에서는 화의편化衣篇과 수의편授衣篇, 그리고 모든 진언眞言은 전혀 없으며, 다 함께 하단下壇의 목욕할 곳으로 들어가 목욕을 마치고 그곳에서 나온 뒤에 함께 하단에 앉히고 시식施食을 할 때에는 똑같이 법공양法供養을 받게 하는 것이 옳다.


011_0459_c_01L衆會日諸神將壇請坐勸供後位目則付壁
011_0459_c_02L都散日燒送次使者次五路次上壇次中壇
011_0459_c_03L次諸山而若志磐則中壇先請諸山後請中禮
011_0459_c_04L則諸山先請中壇後請可也下壇時宗室位迎
011_0459_c_05L請後位版安於施食壇左邊高坐家親迎請時
011_0459_c_06L此壇化衣授衣篇及諸眞言全無故同入下壇浴
011_0459_c_07L而出浴後同坐下壇施食時同受法供可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