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佛說陁羅尼集經卷第二

ABC_IT_K0308_T_002
011_1078_a_01L
불설다라니집경 제2권


아지구다 한역
김영덕 번역


[불부 하]

모든 불정상을 그리는 법[畫一切佛頂像法]

모든 불정(佛頂)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그려라. 몸은 모두 황색이고 붉은 빛이 있으며, 그 빛 중앙에서 다섯 개의 길고 짧은 불꽃이 흘러나오며, 붉은 색 홑치마가 정강이를 덮어 가리고 황색 가사를 걸쳐 청색 안감을 양 무릎까지 늘어뜨리고 흰색의 보배꽃에 앉아 있다. 그 연꽃 위에는 한 개의 평평하고 네모난 보측(寶側)이 옆에 있고 그 측(側)에는 두 개의 적색 다리를 그리되, 그 모습은 흡사 땅에 무릎 꿇고 예배드리는 모습과 같다. 이러한 보측을 연꽃 위에 두고, 그 위에 청색의 대지가 펼쳐진다. 그 청색의 대지의 양쪽 행랑에 각각 붉은 색 보대(寶臺)를 안치하여 분(紛)으로 장식하고 화만을 두르고 비단과 보배를 틈틈이 섞어 장엄하게 장식한다. 그리고 그 대 위에 각각 사자 한 마리씩을 놓아 두 행랑을 지키게 하니, 보배꽃을 머리에 쓰고 불좌(佛坐)를 받들고 있다.
그 형상의 오른손은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서로 붙여 구멍을 만들고 세 개의 손가락을 펴서 세운 다음, 손바닥을 앞을 향하게 하라. 왼손은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의 구멍 옆에 붙이고 엄지손가락을 가까이 가져가 마치 서로 붙이는 듯한 모습을 하고,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은 구부려 손바닥 가운데에 넣고, 새끼손가락 역시 세워서 오른손바닥에 붙여라. 그 상의 뒤에는 보배로 장식한 수놓은 베개[繡枕]를 놓고 상의 좌우 행랑에는 각각 보살을 한 명씩 그려라. 몸은 황색이며 머리에 청색 광명이 나는 구슬로 된 관(冠)을 쓰고 있다. 그리고 그 상의 양측 행랑에는 시자(侍者)보살이 있는데, 광명의 모습이 금강시자(金剛侍者)와 같이 모두 청색이다. 왼쪽 행랑의 시자보살은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손에 흰 불자(拂子)를 쥐고 있고, 왼손은 밑으로 펴서 약간 구부려 넓적다리에 놓고 손에 연꽃을 잡고 있다. 청색 꽃무늬의 첩(褻)1)을 허리와 두 넓적다리 위에 펼치고 보배끈으로 허리를 묶었으며,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가벼운 깁[紗]을 왼쪽 넓적다리 옆에 휘감고, 다시 한쪽에 적색 국화무늬의 겹옷을 두르고, 허리띠를 오른쪽 넓적다리를 지나 밖을 향하여 아래로 내려뜨리고, 자색(紫色) 연꽃 위에 서 있다. 오른쪽 행랑의 시자 보살은 왼손은 팔을 구부리고 손바닥을 앞으로 드러내 스물한 알로 된 염주를 쥐고 있으며, 오른손은 팔을 펴서 넓적다리 위에 놓고 불자(拂子)를 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청색 꽃무늬의 겹옷을 그 양쪽 넓적다리에 펼치고 보배끈으로 허리를 묶었으며,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가벼운 깁을 치마 위의 왼쪽 넓적다리 밑에 휘감고, 한쪽에 녹색 꽃무늬의 겹옷을 두르고, 허리띠를 오른족 넓적다리를 지나 밖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뜨리고 자백색(紫白色) 연꽃 위에 서 있다.
그 양(兩) 시자 보살의 위에는 각각 수다회천(須陀會天)이 있는데 온몸이 흰색이고, 황색 배자[黃帔]로 어깻죽지를 덮고 진붉은 색 치마를 입었으며, 각각 오색구름 위에서 꽃을 뿌려 공양하고 있다. 또 그 양쪽 행랑의 시자보살 뒤에는 각각 네 명의 보살이 상하로 위엄을 갖추고 몸을 단정히 하여 정좌(正坐)하고 부처님의 신통을 도와 중생을 받아들여 인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왼쪽 행랑 위에는 두 보살이 함께 앉아 있는데, 앞의 한 보살은 온몸이 옅은 황색이고 머리에 화관(花冠)을 쓰고 있으며 영락으로 목을 장엄하고 귀에는 귀고리가 없다. 원광(圓光)은 적색이고 얼굴을 돌려 뒤를 돌아보고 있는 모습이 마치 뒤에 있는 보살과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듯하다. 흰 색 겹옷을 오른쪽 어깻죽지 위로부터 뒤를 향하여 둘러서 왼쪽 팔꿈치 위로 나오게 하여 밑을 향하여 늘어뜨리고 있다. 왼손은 팔을 구부려 왼쪽 무릎 위에 놓고 팔과 손을 아래로 내려뜨리고, 오른손은 위를 향한 채 오른손가락으로 왼쪽 팔뚝을 받들고 있으며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왼쪽 무릎을 엇갈려 세워 흰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뒤에 있는 또 한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있으며, 원광은 녹색이고 붉은 색 겹옷을 어깨에 두르고 공경히 합장하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다리를 꼬고 청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에 밑에 다시 한 보살을 그려라.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귀에 녹색 귀고리를 하고 있으며 원광은 적색이고 어깨에 두른 것이 없다. 그리고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손의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서로 붙이고 그 나머지 세 손가락을 펼쳐 세워 몸 쪽을 향하게 하고 있으며, 왼손은 팔을 구부려 그 팔을 왼쪽 넓적다리와 무릎 위에 가까이 놓고 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데, 그 꽃의 줄기가 팔과 팔꿈치 사이를 지나고 꽃머리는 위로 향하여 목과 어깨까지 오게 하라. 그리고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다리를 꼬며 옅은 자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에 밑에 있는 또 한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젖가슴이 크며 머리에는 화만이 없다. 귀에는 백색 귀고리가 있고 청색의 원광이 있으며 어깨에 두른 것이 없고 몸을 옆으로 돌리고 있다. 그리고 오른손은 팔을 구부리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서로 붙여 가슴 위에 놓고 그 나머지 세 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하여 펴서 세우고 있으며, 왼손은 팔을 아래로 향하게 펴서 손으로 다리와 넓적다리 사이를 누른 채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양 무릎을 굽혀 홍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그 오른쪽 행랑 위에는 두 보살이 함께 나란히 앉아 있는데, 앞의 한 보살은 온몸이 옅은 황색이고 얼굴을 돌려 뒤를 돌아보아 마치 뒤에 있는 보살과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라. 머리에 보관을 쓰고 귀에는 귀고리가 없으며 원광은 적색이고 또한 어깨에 두른 것이 없다. 왼손은 팔을 구부려 그 팔꿈치를 왼쪽 무릎과 넓적다리 위에 가까이 놓고, 손바닥을 밑으로 뒤집어 아래로 향하여 다섯 손가락을 모두 늘어뜨리고 있으며, 오른손은 팔을 왼쪽 팔뚝을 향하게 하여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은 서로 붙이고 가운뎃손가락을 구부린다. 그리고 약손가락은 약간 구부리고 새끼손가락은 위로 향하여 세운 채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다리를 꼬고 홍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에 뒤에 있는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관을 쓰고 귀에는 귀고리가 없으며 원광은 녹색이고 적색의 겹옷을 어깨 위에 두르고 있다. 오른손은 팔을 구부리고 손에 연꽃잎을 쥐고 있는데 잎이 무성한 가운데 낱낱이 따로 오색 연꽃을 놓아라. 왼손은 팔을 구부려 꼬은 정강이 위에 놓고 그 손바닥 가운데에 청색 꽃을 한 송이 쥐고 있는 모습이 마치 형상 앞에 꽃을 하나하나 던져 공양하는 것 같으며,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흰색 연꽃 위에 다리를 꼬고 앉아 있다.
다음에 밑에 있는 한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보관을 쓰고 귀에 금귀고리를 하였으며, 원광은 적색이고 그 왼쪽 어깨 위에 화만을 꿰어 오른팔 사이로 늘어뜨려 허리까지 오게 하라. 왼손은 팔을 구부려 왼쪽 넓적다리 위에 붙이고 손바닥을 몸 쪽을 향하게 하여 흰 색 연꽃을 쥐되 꽃이 이마와 나란하게 하라. 그 보살의 얼굴은 마치 꽃을 올려다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그려라. 오른손을 팔을 구부려 손을 오른쪽 다리 정강이 옆에 펼쳐 놓고 손바닥은 바깥쪽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다리를 교차시켜 옅은 자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다음에 밑에 있는 또 한 보살은 온몸이 황색이고 머리에 화만을 쓰고 있으며 원광은 청색이고 귀에는 금귀고리를 하고 젖가슴이 높고 크다. 왼손은 팔을 구부려 곧바로 위로 향하여 펴고 팔꿈치를 왼쪽 무릎에 붙이고 손에 경갑(經匣)2)을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오른쪽 무릎 위에 붙이고 약손가락은 구부리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높은 산[峻]처럼 펴고 손바닥을 드러낸 채 아침노을빛 치마를 입고 다리를 꼬고 홍색 연꽃 위에 앉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보살들은 팔 위에 모두 보배팔찌를 끼었는데 이들 모두가 바로 모든 부처님의 권속들이다. 그 형상의 배후에는 쌍으로 난 나무형상을 그리고 나무 위에는 노혜타가보사파(嚧醯陀迦布瑟波)의 형상당나라에서는 능소화(陵宵華)라고 한다.을 나뭇잎 사이에 사이사이 섞어 그려라. 그 형상의 광명 위에 다시 한 줄을 보측(寶側)을 중복되게 그리고 그 보측의 위에는 따로 하나의 간격[隔]을 만든 다음, 그 간격 안에는 세 개의 사리탑과 벽돌[砌塼]로 된 백색 보배로 장엄한 오층 부도(浮圖)3)를 그리고, 그 탑과 부도의 문 안에는 모두 화불(化佛)의 형상을 그려라.

1) 살바몯다오슬니사인주(薩婆菩陀烏瑟膩沙印呪)당나라에서는 일체불정(一切佛頂)이라 한다.
먼저 두 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양손의 약손가락을 거꾸로 얽어 손바닥 가운데에 구부려 넣고 각각 양손의 새끼손가락과 양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구부려 넣은 다음, 집게손가락의 끝을 곧바로 펴서 서로 한 치 남짓 떨어지게 하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벌려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 모살바다타아뎨뵤 아라하 바 삼먁삼보디볘 다냐타
上音謨薩婆跢他揭帝摽毘要反一阿囉訶上音毘可反下同二三藐三菩提蔽跢姪他
슈다니슈다니 살바달마비슈사바바바비슈다니 슈디비슈디 살바달마비
輸達泥輸達泥薩婆達摩毘輸薩婆跛波毘輸達儞輸提毘輸提薩婆達摩毘
슈디 사바하
輸提莎 訶4)

백월5) 보름에 향탕에 목욕하고 수단(水壇)을 건립한 다음에 향을 사르고 다소(多少)의 음식을 공양하면 모든 죄가 없어지고 악고(惡蠱)의 독이 사라진다. 또 모든 병을 치료하고자 할 때에는 마땅히 이 진언으로 모든 약에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복용하면 뱃속의 고통이 복용하자마자 곧 그치고 악한 독이 소멸된다.

2) 석가불심인주(釋迦佛心印呪)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여섯 손가락을 각각 끝을 세워 서로 버텨 놓고,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안으로 교차시켜 오른쪽에서 왼쪽을 누르고 약손가락 역시 이와 같이 한 다음에 팔뚝을 네 치만큼 벌려라.이 인은 관세음심인(觀世音心印)과 같고 화두금강륜인(火頭金剛輪印)과도 같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살바시디 계 비슈다라 니 사바하
薩婆悉底二合毘輸陀囉上音莎 訶6)

주사(呪師)가7) 만일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고자 할 때에나, 모든 장애와 어려움을 피하고 모든 귀신병을 없애고 모든 병의 통증을 치료하고자 할 때에는 마땅히 이 법을 행하여야 한다. 만일 어떤 사람에게 귀신병이 들린 줄을 알았을 때에는 4주(肘) 되는 수단(水壇)을 만들어 중심에 화로(火鑪)를 놓고 측백나무[柏樹] 가지를 태우며 빈번히 진언을 송하면 곧 낫는다. 만일 하루에 낫지 않으면 매일 작법하여 7일에 이르면 곧 낫게 된다.

3) 불심인주(佛心印呪)
오른손의 네 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을 감싸 주먹을 쥐면 곧 이 인이 된다. 왼손은 사용하지 않는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다냐타 아미리 뎌 아새바 탕계 마마라마마라 사마바라사마 오바
跢姪他阿彌哩二合阿濕波二合湯計摩末羅摩末羅奢摩波羅奢摩烏波
사마 도노비도노 도례도모례 사바하
奢摩都奴毘都奴都例都謨例莎 訶8)

만일 먼 길을 떠날 때에 이 진언을 송하면 오랫동안 피곤하지 않게 된다. 길을 갈 때 바람이 불어 길을 잃어 동쪽과 서쪽을 분별할 수 없거나, 혹은 어떤 귀신이 와서 길을 잘못 가르쳐 주거나, 혹은 사람과 말이 거의 죽게 되었을 때에는 곧 그곳에 돌기둥을 세우고 그 돌기둥 위에 이 진언을 쓰고 나서 백여덟 번 송하라. 만일 돌기둥이 없을 때에는 곧 깃대[幡竿]를 세우고 그 깃대 위에 이 진언을 쓰고 백여덟 번 송하라. 그러면 모든 악한 귀신들이 이 진언을 듣고 나서 영원히 머물지 못하므로 길 가는 데 장애나 어려움이 없게 된다. 만일 스무 살이 안 된 아이가 병이 들었을 때에는 오색실을 가지고 실에 진언을 송하여 쉰네 번 매듭을 결한다. 그리고 우황을 갈아 먹을 만들어 비단조각에 이 진언을 써서 진언을 실에 묶은 다음에 병든 아이의 정수리 위에 묶으면 곧 낫는다.

4) 불심인주(佛心印呪)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은 새끼손가락의 손톱 위에 붙이고, 나머지 세 손가락은 세워 벌리고, 왼손은 거꾸로 교차시켜 허리 옆에 놓아라. 앉거나 서거나 마음대로 해도 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시나시나 가라가라 마라마라 사라사라 보라보라 진다진다 빈다
時那時那迦羅迦囉摩羅摩羅娑羅娑羅補羅補羅瞋陀瞋陀頻陀
빈다 오훔박 사바하
頻陀嗚𤙖泮莎 訶9)

만일 소나 말 같은 온갖 축생들이 계절병에 걸렸을 때에는 소ㆍ말ㆍ낙타ㆍ노새ㆍ나귀 등의 털을 서로 섞어 우유 속에 넣고 해가 질 무렵의 밤에 수단(水壇)을 만들어라. 그 다음에 단의 중심에 화로를 놓고 주사(呪師)가 북쪽을 향하여 우유 가운데 있는 털을 조금 집어서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고통에서 구제해 주신다’고 하고 이 진언을 한 번 송한 뒤에 곧 불 속에 넣고 태워라. 이렇게 하룻밤 동안 백여덟 번을 하되, 날마다 작법하여 7일을 다 채우고 나면 나라 안에 있는 모든 축생들의 병이 다 낫는다.

5) 불심인(佛心印)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을 향하여 구부리고 나머지 네 손가락을 위로 향하여 세워서 벌려라.진언은 이전의 두 번째 심인주(心印呪)와 같다. 만일 왕이 병이 났을 때에는 7일 동안 재(齋)를 베풀고 4주(肘)가 되는 수단을 만든 다음에 향과 꽃과 음식 등의 백종공양(百種供養)을 단에 놓고 그 단의 중심에 다시 향로를 놓아라. 그리고 주사(呪師)가 날마다 향탕으로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도량에 들어가 부처님과 보살과 사천왕 등을 부른다. 그리고 보리수를 한 단이 한 자 되는 것으로 백여덟 단 취하여 한 단의 양쪽 끝에 우유를 바른다. 만일 이 나무가 없을 때에는 닥나무로 해도 된다. 그 바르는 법은 먼저 그 끝에 바른 후에 그 줄기에 바른다. 주사가 북쪽을 향하여 이 진언을 도모례(都謨例)까지 송한 다음에 곧 왕의 이름을 부르고 병이 낫게 해달라고 말한 뒤에 입 밖에 내어 사바하[莎訶]라고 말하고, 불 속에서 태워라. 그 태우는 법은 나무 끝을 앞으로 향하게 하고 나무줄기를 몸으로 향하게 하여 태워라. 이와 같이 하룻밤 동안 백여덟 단을 태우되, 이와 같이 7일 동안 하면 왕의 병이 낫는다. 만일 주사가 병이 났을 때는 이전의 법에 의거하여 깨를 불에 넣어 백여덟 번 태우면 곧 낫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먼 길을 떠나려 할 때에는 이전의 법에 의거하여 날마다 자강목(紫橿木) 가지 태우기를 일 주일 동안 한다. 이 법을 마치고 나서 먼 길을 가면 모든 장애와 어려움에 대하여 두려움이 없게 되고, 만일 일곱 사람 이상이 함께 길을 갈 때 이 법을 지으면 모든 도적이나 귀신의 난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만일 두통(頭痛)이 있을 때에는 이전의 법에 의거하여 주사가 향과 꽃을 잡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한 뒤에 병자와 함께 냄새를 맡고 나서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스물한 번 하되, 사바하라고 말하기 전에 병자의 이름과 병이 낫게 해달라는 말을 한다. 그래도 그 병이 낫지 않으면 이와 같이 날마다 7일 동안 한다. 그러면 곧 낫는다.

6) 일체불심인주(一切佛心印呪)
아래의 네 손가락을 손바닥 가운데에서 거꾸로 교차시켜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르고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앞에 대고 곧바로 세운 다음에 양 팔뚝을 서로 붙이고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 모살바모디바 사라사라 소라소라 보라보라 살바아바리다바
上音謨薩婆菩提弊毘可反一薩囉薩囉素囉素囉補囉補囉薩婆阿波唎多婆
예 사바하
莎 訶10)

만일 어떤 사람이 열풍병(熱風病)에 걸렸을 때에는 이전의 법에 의거하여 동아줄[索]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매듭을 맺어 스물한 번 맺고 나서 병자의 목에 묶고 흰 겨자로 병자의 머리를 때리면 그 병이 곧 낫는다. 만일 낫지 않을 때에는 3일 동안 진언을 송하고 흰 겨자로 때린다. 그러면 곧 낫는다. 만일 그대로 낫지 않을 때에는 멥쌀밥을 가져다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라.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면서 진언을 송하되 사바하라고 말하기 전에 병자의 이름을 말하면 병자가 곧 낫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눈병이 났을 때에도 역시 이전의 법에 의거하되, 7일 동안 안사나(安闍那)당나라에서는 은광석(銀礦石)이라 한다.를 백여덟 알 취하여 각각 진언을 한 번씩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불 속에 던져 백여덟 번을 다 태우면 그 눈이 곧 낫는다.
또 법이 있으니, 모든 음식과 과일과 약 등에 모두 일곱 번씩 진언을 송한 다음에 복용하면 모든 병이 없게 된다.
또 법이 있으니, 모든 진언을 송하고 이 인을 결하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현성이 모두 다 환희하시고, 몸으로 지은 4중죄와 5역죄와 술ㆍ고기ㆍ오신채를 먹은 죄와 삿된 음행의 죄가 모두 다 소멸된다.
만일 원수가 있을 때에는 진흙으로 그 형상을 만들되 크기는 마음대로 하고, 카다라목(佉陀羅木)11)으로 몽둥이를 만들어당나라에서는 나라에서는 자강목(紫橿木)이라 한다. 그 사람을 때린다. 때리고 나서는 곧 그 몽둥이를 태우고 입으로 항상 진언을 송하고 그 사람의 이름을 염하며 흰 겨자를 불 속에 던져 넣기를 백여덟 번 하면, 악한 사람이 멀리 떠나간다. 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역시 효험이 있다.

7) 일체불심인주(一切佛心印呪)대심인주(大心印呪)라고도 이름한다.
두 손을 엎어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몸을 향하게 해서 끝을 서로 버텨 놓고, 두 손의 약손가락을 앞을 향하게 해서 끝을 서로 버텨 놓은 다음,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펴되 약손가락과 서로 닿지 않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소살바시디 계 아바라디가뎌 디리 성 구 사바하
蘇薩婆悉底二合阿鉢囉底呵羝底唎二合平音莎 訶12)

만일 주사가 왕이나 신하의 몸에 병의 고통이 없기를 바라면, 이전의 법에 의거하여 온갖 향을 백여덟 번 송하고 아울러 진언을 송하면 곧 낫는다.
만일 어떤 사람이 돈이나 재물을 얻기를 바랄 때에도 역시 이전의 법에 의거하되, 동쪽을 향하여 앉아 흰 겨자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하면 구하는 것을 곧 얻는다.
만일 남과 논의(論議)하고자 할 때에는 7일 동안 날마다 푸른 창포(菖蒲)를 태우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하면 곧 그를 이기게 된다.
만일 어떤 사람이 독사에게 물렸을 때에는 석류(石榴) 가지에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고, 그 가지로 몸 아래쪽을 향하여 문지르기를 날마다 하면 뱀독이 곧 풀린다.
만일 사람에게 사랑을 받고자 할 때에는 흰 겨자를 태우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하여 이와 같이 7일 동안 하면 곧 뜻과 같이 된다.
만일 귀신병이 들어 말을 할 수 없을 때에는 흰 겨자에 스물한 번 진언을 송한 다음에 병자를 때리기를 7일 동안 하면 곧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8) 일체불소심인(一切佛小心印)진언은 이전의 두 번째 불심주와 같다.
앞에 준하되 오직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고쳐 양손의 약손가락 위를 누르는데, 서로 버텨 눌러라. 만일 날마다 이 진언을 송하면 앞사람이 환희하고 공경하며 존중한다. 만일 라자(囉闍 : Rāja, 王)나 대지미(大支彌)의 곁에 가고자 할 때에는 먼저 자기 방에서 호신(護身)하고 나서 라자의 문이나 지미(支彌)의 문 앞에서 자기 손바닥에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자신의 얼굴을 스물한 번 문지른 다음에 들어가면 라자와 지미가 보고 곧 환희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매우 고치기 어려운 귀신병에 걸렸을 때에도 역시 이전의 법에 의거하되, 양털로 만든 끈을 묶어 상(牀)의 네 다리에 묶고 나서 흰 겨자를 태워라.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하면 그 병이 곧 낫는다. 3일 동안 하여도 낫지 않을 때에는 7일 동안 하면 반드시 낫는다.
이전에 말한 것과 같은 모든 불심법(佛心法)을 7일 동안 날마다 작법하되, 이 법을 행하는 사람은 마음으로 항상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겨 아래로 개미 새끼까지 죽이지 말고, 도적질하거나 사음하거나 거짓말을 하지 말고 마땅히 10선(善)을 닦고 10악업을 끊어야 한다. 작법할 때에는 7일 가운데 첫째날은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하고, 이후 육 일 동안은 먹어도 된다. 법마다 이전의 법과 같다고 말한 것은 모두 수단(水壇)을 만들고 온갖 공양을 하라는 것이니, 위아래로 모두 이 법에 의거하여야 한다. 작법할 때에는 마음으로 깊이 무상(無上)의 보리심을 내고 평등히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겨야 한다. 이러한 마음을 내면 뜻하는 대로 효험을 얻을 것이고, 만일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효험을 얻지 못할 것이다.

9) 일체불안인주(一切佛眼印呪)불모인(佛母印)이라고도 한다.
양손의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합하고, 양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조금 구부려서 끝을 서로 버텨 놓은 다음,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아울러 세워 구부리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두 손의 엄지손가락 뒤쪽을 비틀어 눌러 끝을 서로 버텨 놓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석계삼마예 소먀 사바하
釋雞三麽曳騷咩莎 訶13)

만일 어떤 사람이 눈병에 걸렸을 때에는 필발(蓽鉢)을 찧어 가루로 만들어 꿀과 같이 섞어 갈아서 끝이 젓가락 끝만한 쇠[鐵頭]를 가지고 약을 눈 속에 찍어 바른다. 그리고 다시 인으로써 눈 속에 있는 약에 인하고 진언을 송하면 닿는 대로 곧 낫는다.
10) 불미간백호상인주(佛眉間白毫相印呪)
아래의 두 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끝을 서로 버텨 놓은 다음 아울러서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세우고 왼쪽 집게손가락의 아랫마디를 구부려 왼쪽 엄지손가락의 끝에 붙여라. 그리고 오른쪽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벌려서 오른쪽 가운뎃손가락의 뒤쪽 위와 1 푼쯤 떨어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오훔 오리니 니리 마 례 아로 계니 오훔 사바하
烏𤙖汚𠷈泥尼唎二合去音阿盧輕音計尼嗚𤙖莎 訶14)

이것이 바로 대심(大心)이며 또한 대주(大呪)라고도 이름한다.
또 다시 진언으로 송하라.

옴 오리니 사바하
汚𠷈泥莎 訶15)

이것은 소주(小呪)이며 또한 심주(心呪)라고도 이름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날마다 공양하고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한다면 목숨을 마치려 할 때에 미간에서 광명이 나는데 마치 아미타불의 백호광명[毫光]과 비슷할 것이다.

11) 불아인주(佛牙印呪)
앞의 불정도인(佛頂刀印)에 준하되, 오직 오른손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손바닥 안에 구부려 넣고 왼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약간 구부려 세워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샤도로바라마다니예 사바하
舍都嚧鉢囉末馱儞曳莎 訶16)

4주(肘) 되는 수단을 만들되, 2주나 3주 되게 만들어도 된다. 흰 겨자와 7보 등의 물건과 모든 물건들을 모두 단 안에 놓아라. 다음에 동아줄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매듭을 맺어 스물한 개의 매듭을 만들고 병자의 목에 묶는다. 팔 위에 묶어도 좋다. 그러면 그 병이 곧 낫는다. 또 이 인으로써 물에 인한 다음에 그 물을 마시면 치통이 없어진다.

12) 일체불안인주(一切佛眼印呪)석가안인(釋迦眼印)과 같다.
아래의 두 손가락을 손바닥 가운데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워서 구부려 끝을 서로 벼텨 놓고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곧바로 세운 다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의 아랫 마디를 평평히 구부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 위를 눌러 끝을 서로 버텨 놓고 양팔을 서로 붙여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석계삼마예 소먀 사바하
釋雞三麽曳騷咩莎 訶17)

만일 이 법을 행하고 날마다 공양하여 부처님과 보살을 뵈면, 목숨이 끊어진 후에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천안(天眼)을 얻을 것이다.

13) 불바저라지일체독충인주(佛跋折囉止一切毒蟲印呪)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손바닥 가운데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약손가락도 서로 교차시킨 다음 손끝을 호구(虎口)로 내놓아라. 그리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끝을 서로 버텨 놓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세워 약간 구부려서 집게손가락의 윗마디의 바깥쪽으로 1푼쯤 떼어 놓아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자바라자바라 부타바저라 아바라디하다 오훔박 사바하
字婆羅字婆羅浮陀跋折囉阿鉢囉底訶哆嗚𤙖㧊莎 訶18)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능히 모든 독충에게 물린 독을 제거하고 또 모든 병을 치료한다. 작법할 때에는 한 개의 소단(小壇)을 만들고 향을 태우고 꽃을 뿌리며 음식으로 공양한 다음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송하고 병자의 몸에 인하면 그 병이 곧 낫는다. 아울러 병자에게 인하여 호신하고 결계하라.
만일 사람 몸 위에 악창(惡瘡)이 났을 때에나 계절병에 걸렸을 때, 이 인으로 인하면 그 종기와 열병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만일 병자에게 인할 때 배꼽 위의 병일 때에는 그 병든 곳에 모두 인을 써도 되나, 배꼽 아래에는 인을 하면 안 된다. 다만 버드나무 몽둥이로 때리는 것은 무방하다.

14) 불바저라인주(佛跋折囉印呪)
앞의 제수라시인(帝殊羅施印)에 준하되, 다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벌린 다음에 끝을 약간 구부려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구로미나 오훔박 사바하
俱嚧弭那嗚𤙖㧊莎 訶19)

작은 수단을 만들고 온갖 향과 꽃과 음식으로 공양하되, 안실향(安悉香)과 훈륙향(薰陸香)만 태우고 다른 향은 사용하지 아니한다. 먼저 마른 재[灰]로 칼을 일곱 번 갈아야 하니, 물을 사용하면 안 된다. 다시 길이와 너비가 4 주 되는 수단을 만들고 여덟 살이나 모두 열두 살이나 열다섯 살 된 아이를 향탕에 목욕시킨 다음 깨끗한 새 옷을 입혀 단의 동반(東畔)에서 서쪽을 향하여 앉힌다. 그리고 주사가 칼을 잡아 미간(眉間) 위에 대고 단의 서반(西畔)에서 동쪽을 향하여 앉아 자주 진언을 송하면 작법하고자 하는 대로 칼 위에 나타나리니, 주사(呪師)는 보지 못하고 오직 어린아이만 볼 수 있다.
15) 일체불바저라인주(一切佛跋折囉印呪)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새끼손가락의 손톱 위에 붙이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그 구멍 안으로 통과시키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잡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손끝을 위로 향하게 하고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벌려라.이것이 명덕불인(明德佛印)이다. 여기에서 오직 오른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세 손가락을 고쳐 벌리고 오른손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의 끝을 등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저라지혜 묘 사바하
跋折囉脂醯莎 訶20)

이 인과 진언은 모든 귀신병을 치료한다. 백월 5일에 진언을 송하면서 세 바퀴 돌면 곧 죄가 없어지고, 한 번 진언을 송하거나 스물한 번이나 백여덟 번이나 천여덟 번을 마음대로 송하면 모든 장애와 고뇌를 능히 물리쳐 없앨 수 있다.

16) 일체불봉인주(一切佛棒印呪)
아래의 세 손가락을 손바닥 가운데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세워 집게손가락과 약간 떨어지게 하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의 끝을 서로 버티어 둥글게 한 다음 엄지손가락의 끝을 누르되 손끝의 약간은 엄지손가락에 붙이지 말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마리마리 마리니 다라다라 오훔박 사바하
摩黎摩黎摩唎尼駄囉駄囉嗚𤙖㧊莎 訶21)

이 인으로 모든 귀신병이 든 사람을 때리면 그 병이 곧 나으며, 행하는 대로 모두 효험이 있다.

17) 일체불도자일체귀인주(一切佛刀刺一切鬼印呪)
아래의 두 손가락을 손바닥 가운데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서로 붙이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구부려라. 다음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누르되 손끝을 감싸고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으로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누르되 손끝을 감싸며, 왼손의 집게손가락으로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누르되 역시 손끝을 감싼 다음에 팔을 합쳐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카가라마나 바라마다나챠 도다 야 사바하
渴伽羅末拏鉢囉摩達那且次也反三擣馱去音莎 訶22)

만일 좌선(坐禪)하고자 할 때에 결계하였다면 세 바퀴 돌아야 하니, 인을 결하고 오른쪽으로 돌면서 진언을 일곱 번 송하면, 역시 모든 귀신병을 치료할 수 있다.

18) 정왕불정인주(淨王佛頂印呪)아촉불정인(阿閦佛頂印)이라고도 한다.
아래의 세 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거꾸로 교차시키고 집게손가락을 쌍(雙)으로 구부려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앞에 놓되, 집게손가락과 서로 붙이지 말고 약간 떨어지게 한 다음,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살바돌가뎨 바리슈다나라아야 다타아다 야 아라하 뎌 삼먁삼
那謨薩婆突揭羝鉢唎輸達那囉闍夜跢他揭跢去音阿囉訶上音三藐三
몯다 야 다나탸 슈다니슈다니 사바바바비슈다니 슈디비슈디 살바
菩陀去音跢姪他輸達泥輸達泥薩婆波跛毘輸達泥輸提毘輸提薩婆
달마비슈디 사바하
達摩毘輸提莎 訶十一23)
이 법의 인과 진언의 용법과 효험은 다음과 같다.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백월 13일에 향탕에 목욕하고 향을 태워 공양하며, 지심으로 진언을 송하면 한량없는 죄가 소멸되고,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날마다 송하면, 모든 악한 귀신이 감히 와서 근접하지 못하며 또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다. 만일 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이 진언으로 흰 겨자에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사방에 흩어야 한다. 그러면 곧 결계가 이루어질 것이니, 결계한 이후에 병을 치료하면 효험이 있다.
만일 부인이 난산(難産)으로 아기를 낳지 못할 때에는, 이 인으로써 기름그릇 위에 인한 다음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고 기름으로 배꼽을 문지르면서 진언을 송하면 곧 출산한다. 그리고 백월 13일에 향탕으로 목욕한 뒤 향을 태워 공양하고 진언을 송하면 죄가 없어질 것이며, 곧 귀신과 악인과 도적을 포박할 수 있게 된다.

19) 발두마바바사불정인주(鉢頭摩婆皤娑佛頂印呪)
이 인은 이전의 금륜인(金輪印)과 같은데 오직 두 손의 엄지손가락만을 고쳐서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두 마바로 기뎨바람 오훔
鉢頭二合摩跋路平輕枳羝苾嚂烏𤙖24)

20) 비마라바바사불인주(毘摩羅婆皤娑佛印呪)당나라에서는 무우덕불(無憂德佛)이라고 한다.
월천인(月天印)에 준하되 다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가운뎃손가락의 중간마디 주름[文]에 놓고 손가락 끝을 안으로 향하여 조금 내민 다음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슈로다라라 가뎨아 바사가라 바라 바 예혜예혜 바가범 사바
輸嚕達囉囉上音迦帝闍婆塞羯羅鉢囉二合目壹醯目壹醯婆伽梵

25)

21) 라달나시긴계불인주(囉上音怛那二合尸緊雞佛印呪)당나라에서는 전단덕불(栴檀德佛)이라고 한다.
마두수인(馬頭手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손바닥에 넣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구부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누른 다음,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비로기니 사라사라 사리사리 소로소로 아로기니 비로기니 아바
毘盧枳尼娑囉娑囉徙離徙囄素嚕素嚕阿盧枳尼毘盧枳尼阿婆
바사야 사바하
婆娑耶莎 訶26)

22) 비바시불인주(毘婆尸佛印呪)
양손의 팔을 합한 다음에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을 약간 구부려 서로 교차시켜 손가락 끝을 대고,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고, 아울러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세워 끝을 서로 버티어 놓아라. 그리고 양손의 가운뎃손가락을 벌려 곧바로 세우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다라다라 사가라다나 구엄 비라 가타가타 마타마타 아비샤아
馱羅馱羅娑伽羅跢那二合三俱嚴二合鼻囉羯吒羯吒末吒末吒阿毘舍阿
비샤 사바하
毘舍莎 訶27)
23) 인다라달바사불인주(因陀囉達婆闍佛印呪)당나라에서는 상덕불(相德佛)이라 한다.
금강왕인(金剛王印)에 준하되, 오직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구부려 각각 엄지손가락의 끝을 누르고 집게손가락으로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신야 야 옴 사바라바보시 샤바라샤바라 마타마타 반아반아
那謨腎若若野反社皤羅婆蒲悉什皤羅什皤羅末吒末吒畔闍畔闍
아비 샤아비 샤 오훔박 사바하
阿毘上音舍阿毘上音嗚𤙖㧊莎 訶28)

24) 북방상덕불정인주(北方相德佛頂印呪)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새끼손가락의 끝에 붙이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구멍 속으로 통과시키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쥔다. 그리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끝을 호구(虎口)로 내밀고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편 다음에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저라 앙 계 사바하
跋折囉去二合莎 訶29)

만일 어떤 사람이 날마다 이 법을 행하면 능히 4중과 5역 등의 죄를 없앨 수 있다.

25) 약사유리광불인주(藥師琉璃光佛印呪)
왼손과 오른손의 집게손가락 이하의 여덟 개 손가락을 거꾸로 교차시켜 손바닥 가운데에 넣고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른 다음에 양팔을 서로 다섯 치 정도 떨어지게 하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호로호로 젼다 리 마등기 사바하
呼嚧呼嚧戰馱去音摩撜祇莎 訶30)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만일 어떤 사람이 죄의 장애가 많거나, 모든 부녀(婦女)들이 산액(産厄)이 있을 때나, 화(禍)를 돌려 복을 구하고자 할 때나, 또 귀신병이 들어 낫기 어려울 때에는 오색실에 진언을 송하여 병자의 목ㆍ손ㆍ발ㆍ허리ㆍ배 등에 묶는다. 그리고 약사불상(藥師佛像) 한 구를 조성하고, 『약사경(藥師經)』 한 권을 베껴 쓰고 오색으로 마흔아홉 자가 되는 번기 한 개를 만들고, 또 다시 마흔아홉 개의 등을 밝히되 등은 7층의 수레바퀴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 형상 앞에 안치하게 하라. 그리고 또 마흔아홉 마리의 동물을 방생(放生)하게 한 뒤에 함께 오색의 주삭(呪索)을 만든다.
주삭을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자르지 않은 실을 준비한 다음에 곧 이름난 향을 태워 발원하고 나서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하면서 향의 연기를 쏘이고, 실을 잘라 동아줄을 만든다. 이 때에는 진언을 송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게 해야 한다. 잘라서 동아줄을 만든 다음에 인으로써 떠받들고 다시 그 동아줄에 마흔아홉 번 진언을 송하고, 마흔아홉 개의 매듭을 맺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 매듭을 맺어 수를 다 채운 후에 그친다. 그리고 마땅히 이 동아줄을 그 사람의 몸에 묶고 또 『약사경』을 마흔아홉 번 송해야 한다. 그러면 모든 죄의 장애에서 해탈하게 되고 출산할 때에 임해서 어떤 고뇌도 없이 쉽게 출산하게 되며 태어난 아기는 단정한 모습에 지혜롭고 총명할 것이며, 수명이 연장되고 횡사하여 죽는 고난을 만나지 않고 항상 안온함을 얻으며 귀신병이 즉시 없어지게 될 것이다.
약사유리광불대다라니(藥師琉璃光佛大陀羅尼)의 진언으로 송하라.

나모라다나 다라 야야 나모금비라 화기라 미카라 안다라 마니라
那謨囉怛那二合跢囉二合夜耶那謨金毘羅和耆囉彌佉羅安陀羅摩尼羅
소람라 인다라 바야라 마휴라 진다라 조다라 비가라 나모비샤아
素藍羅因達羅婆耶羅摩休羅眞特羅十一照頭羅十二毘伽羅十三那謨毘舍闍
구류 비류리야 바라바라아 야 다냐타 비샤시비샤시 비샤아
瞿留十四毘口留口離耶十五鉢囉頗囉闍去音十六跢姪他十七毘舍是毘舍是十八毘舍闍
사마아뎨 사바하
娑摩揭帝二十莎 訶二十一31)인은 앞의 인을 사용한다.

이 법의 인과 진언은 부처님께서 유야리(維耶離)32)의 음악수(音樂樹)33) 아래에서 3만 6천 명과 12신왕(神王)과 아울러 그 권속들과 천룡팔부(天龍八部)의 대신왕(大神王)과 함께 계실 때에 이와 같은 큰 대중들의 모임 가운데에서 말씀하신 것이며, 이 법을 말씀하시고 나자 대중들이 모두 듣고 환희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이를 이름하여 결원신주(結願神呪)라고 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받아 지니면 능히 몸에 있는 과거에 태어나고 죽으면서 지었던 모든 중죄를 뽑아 내어 다시는 3도(途)를 거치지 않게 될 것이며, 아홉 가지 횡액을 여의며 뭇 고통을 초월하여 시방세계의 가는 곳마다 걸림없이 자재할 것이니, 법이 마땅히 이와 같다.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 등이 이 신주(神呪)를 받아 지니고 독송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밤낮으로 정근(精勤)하고 향탕에 목욕하며 깨끗한 새 옷을 입고 모든 금계(禁戒)를 지키고 법대로 독송하기를 십만 번 채우고 나서 청정한 곳에 나아가 법대로 땅을 고르되 땅을 고르는 법은 나머지 단법(壇法)에서 말한 것과 같다. 단은 둥글게 수 길[丈]의 땅을 파서 다시 깨끗한 흙을 메워 쌓아 평평히 한다. 만일 그 터가 높이 솟으면 제일 좋다. 땅을 평평히 고른 다음에 깨끗한 쇠똥을 단(壇)에서 향탕에 섞어 손바닥으로 해가 도는 방향으로 문지르고, 땅을 다 문지르고 나서는 땅 위에 천 개의 등을 늘어놓되 도량의 윗방향과 사방에 놓고, 모두 온갖 보배로 장엄하며, 비단 번개를 매달아 보배그물34)이 엇갈리게 하라. 그리고 그 땅의 바닥 위에는 오색 분가루35)를 빙 둘러 뿌려 일곱 겹의 원(院)을 만들고 각각 네 개의 문을 연다. 그 일곱 겹 원의 형상은 이 나라의 수애풍륜(水磑36)風輪)과 같게 하라. 그리고 원(院)마다 각각 많은 격자(隔子)를 놓고 낱낱의 격도(隔道)마다 각각 보배계단을 만들어 땅이 겹쳐 쌓인 것과 같은 모습으로 하고, 그 땅의 중앙에는 보련화륜좌(寶蓮華輪座)의 형상을 만든다. 이를 곧 이름하여 하방장엄(下方莊嚴)이라고 한다. 낱낱의 격도(隔道)의 양 끝에 겹겹이 막힌 곳마다 각각 따로 등을 놓되, 천 개의 잔을 채워 놓아라. 이렇게 등을 늘어놓고 나서 온갖 보배병과 보배나무와 향과 꽃 등의 물건을 다 늘어놓고 나서 중앙의 자리 위에 작은 상[床子]을 놓고 금수(錦繡) 등의 청정한 물건을 그 상 위에 펴놓고 약사불의 형상을 안치하여 이전의 인으로써 청해서 좌주(座主)로 삼는다. 결계와 벽제(辟除)와 삼마야법(三摩耶法)은 아래의 금강군다리법(金剛軍茶利法)과 같게 하라. 그런 다음에 마음을 안정시키고 온갖 향을 태우고 온갖 꽃을 뿌리고 온갖 음식과 꽃과 과일을 공양하고 또 소(酥)와 꿀과 호마를 태우고 사람들이 공양하라. 만약 하룻밤이나 3일이나 7일이나 49일 동안 밤낮으로 진언을 백천만 번 송하면 마음에서 구하는 대로 한량없는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지심으로 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한다. 법이 마땅히 이와 같아 모든 이익을 이루 다 말할 수 없으니 그 나머지 공능(功能)은 모두 경에서 말한 것과 같다.

26) 속험관정인주(續驗灌頂印呪)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구부려 두 손의 약손가락의 손톱에 붙이고 약손가락의 가운데 마디를 서로 등대게 한 다음, 두 손의 새끼손가락의 끝을 서로 버티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서로 버티며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가운뎃손가락 뒤의 첫째 마디에 붙여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보삼마라 소마염 사바 하
步三末羅蘇摩鹽上音37)

만일 효험이 계속되게 하고자 할 때에는 매일 아침에 수관(水罐) 위에 인을 결하고 진언은 스물한 번 송한 다음에 스스로 정수리 위에 뿌리면 다시 이전과 같이 된다.

2. 아미타불대사유경설서분(阿彌陀佛大思惟經說序分)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보타락가산(補陀落伽山)38)이는 해도(海島)이다.에서 대아라한 1천5백 명과 관세음보살과 대세지(大勢至)보살 등 5천 명과 함께 계셨다. 그리고 모든 천ㆍ용ㆍ야차ㆍ아수라ㆍ가로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인비인(人非人) 등이 앞뒤로 에워싸고 부처님 계신 곳에 이르러 오체투지(五體投地)하고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고 나서 부처님 주위를 세 바퀴 돌고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이 때에 관세음보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만약 사부대중, 즉 필추(苾芻:비구)와 필추니(苾芻尼:비구니)와 우바새(優婆塞)와 우바이(優婆夷)의 모든 중생들이 선법(善法)을 수행하여 아미타부처님의 국토에 태어나고 아울러 그 부처님을 뵈려면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그러자 부처님께서 관세음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사부대중이 그 국토에 태어나고자 하면, 마땅히 아미타불의 인다라니(印陀羅尼)를 받아 지니고 단법(壇法)을 행하여 공양하고 예배하여야 할지니, 그래야 비로소 그 불국토에 왕생하게 될 것이다. 만일 사부대중이 뭇 꽃을 아미타부처님께 뿌리고 진언을 송하고 발원하면 열 가지 공덕을 얻게 될 것이니라.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스스로 착한 마음을 내는 것이고, 두 번째는 다른 사람에게 착한 마음을 내게 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모든 천(天)이 환희하는 것이고, 네 번째는 자기 몸이 단정하게 되며 6근(根)을 구족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는 것이며, 다섯 번째는 죽어서 태어나는 곳이 보배땅으로 변화하는 것이고, 여섯 번째는 세세생생토록 중앙의 나라[中國]에 태어나고 귀한 가문에 태어나 부처님을 뵙고 법을 듣게 되는 것이니, 변지(邊地)39)나 천한 신분으로 태어나지 않는다. 일곱 번째는 전륜왕(轉輪王)이 되어 사천하의 왕이 되는 것이고, 여덟 번째는 세세생생 언제나 남자의 몸으로 태어나는 것이며, 아홉 번째는 아미타부처님 국토의 7보 연꽃 위에 태어나 결가부좌하고 아비발치(阿毘跋致)40)를 이루는 것이고, 열 번째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어 7보 사자좌 위에 앉아 큰 광명을 내어 아미타부처님과 다름없이 똑같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열 가지 산화공덕(散華功德)이라고 이름한다. 만일 사부대중이 세계에 가득한 7보(寶)로써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보시한다 하더라도 좋은 마음으로 돈 한 닢이나, 꽃 한 송이나 향 한 개를 아미타부처님께 보시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만일 이 공덕을 지으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모든 천(天) 등이 모두 다 환희하실 것이며 죽어서 아미타부처님의 국토에 태어날 것이다. 그리고 만일 어떤 사람이 등을 밝혀 공양하면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태어나 곧 천안(天眼)을 얻어 모든 시방세계의 모든 부처님을 뵐 것이고, 어떤 사람이 향을 보시하여 공양하면 죽어서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태어나 곧 향기로운 몸을 받아 몸 위에서 항상 향기로운 구름이 날 것이며, 어떤 사람이 오체투지하여 아미타부처님께 공경히 예배하면 그 국토에 왕생할 것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향과 꽃과 옷과 음식과 수단(水壇) 등으로 온갖 공양을 하고 저 부처님을 염하면, 그 국토에 왕생하여 곧 향과 꽃과 옷과 음식을 얻을 것이며, 어떤 사람이 향과 꽃과 옷과 음식 등으로 공양하지 않는다면 비록 그 정토에 태어나게 될지라도 향과 꽃과 옷과 음식 등으로 온갖 공양을 한 과보를 얻지 못할 것이니라. 만일 전륜왕이 십만 년 동안 사천하에 가득 찬 7보로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다 할지라도 필추ㆍ필추니ㆍ우바새ㆍ우바이 등이 잠깐이라도 좌선하여 평등한 마음으로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기며 아미타부처님을 염하는 공덕만 같지 못하다.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이 아미타불다라니를 송하여 지니고 아울러 인을 결하는 등 날마다 공양한다면 곧 5역과 4중과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수의 나고 죽으면서 지었던 무거운 죄들을 멸하여 없앨 것이다. 만일 사마타(奢摩他)의 효험을 얻어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남자 몸으로 태어나 단정하고 총명하며 7보에 앉아 천안과 천이(天耳) 등의 신통을 성취하고 천상의 의복을 얻어 부처님과 다름없이 되고자 할 때에는 마땅히 아미타불상을 만들어야 할 것이니, 그 상을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향수와 진흙으로 단을 만들어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의 솜씨 좋은 화사(畵師)를 불러 날마다 목욕하게 하고 그 화사에게 8계재(戒齋)를 수여한다. 그리고 주사의 몸 역시 날마다 목욕하고 인을 결하여 호신한 다음에 화사 역시 인을 결하여 호신하게 하라. 주사나 화사나 둘 다 계를 범하고 재(齋)를 파하면 안 되며 오신채와 술과 고기를 먹어도 안 된다.
단을 만든 다음에는 중앙에 휘장을 치고 사방에 음식과 과자를 놓고 온갖 음식으로 아미타부처님께 공양해야 한다. 그리고 그 화사가 희고 깨끗한 옷을 입고 온갖 채색을 훈륙향과 안실향의 즙(汁)에 섞되 껍질이 붙게 하면 안 된다. 주사가 단 밖에서 서쪽을 향하여 앉고 화사는 동쪽을 향하여 앉는다. 그리고 주사가 앞에 향로 한 개를 놓고 온갖 향을 태우고 모든 꽃을 뿌린다. 그리고 밤에는 등을 밝히고 주사가 아미타불신인(阿彌陀佛身印)을 결하고 다라니를 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모아리야 아미타바야 다타아다야 아라하디 삼먁삼몯디야 다냐타
那謨阿𠼝耶阿彌陀婆耶怛他揭跢夜阿囉訶底三藐三菩提耶跢姪他
옴아마리 뎨 하나하나 살바바바니 타하타하 살바바바니 오훔박
唵阿蜜哩二合訶那訶那薩婆波跛尼陀訶陀訶薩婆波跛尼十一嗚𤙖㧊十二
사바 하
去音十三41)

다음에 화사가 불상을 그리는 법은 다음과 같다.
중앙에 결가부좌하시어 손으로는 아미타불설법인(阿彌陀佛說法印)를 결하고 계시는 아미타부처님을 안치하라. 좌우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은 끝을 서로 붙이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 끝으로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 끝을 누르고, 좌우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벌려 세우고 계신다. 그리고 부처님의 오른쪽 행랑에는 십일면관세음보살상(十一面觀世音菩薩像)을 그리고, 왼쪽 상에는 대세지보살상(大勢至菩薩像)을 그려라. 부처님의 위에는 모두 7보로 된 보배궁전을 그리고, 궁전 밑에는 모두 7보 영락으로 이루어진 7보의 휘장을 그려라. 그 보배궁전 위에는 세 개의 대보주왕(大寶珠王)을 그리고, 낱낱의 보배 위에는 오색광명이 나오는 모습을 그려라. 그 광명 위에는 변화로 나타난 보배 전각과 누각을 그리고, 그 보배궁전 가운데에는 부처님과 보살들을 그려라. 그 아미타부처님께서는 7보로 된 높은 자리에 앉아 계시는데, 그 높은 자리 위에는 7보의 연꽃이 있어 아미타부처님께서 그 꽃 위에 앉아 계신다. 그 내원(內院)의 네 모서리에는 마흔일곱 개의 보배나무를 그리고, 그 부처님의 내원의 네 변에는 마흔일곱 개의 보배궁전을 그려라. 그 보배궁전 위에는 각각 7보를 그리고 낱낱의 보배 위에는 오색광명이 나오는 모습을 그려라. 낱낱의 광명 위에는 7보 궁전을 그리고, 그 보배궁전 안에는 부처님과 보살들을 그려라. 그 부처님의 외원(外院)에는 마흔일곱 개의 보배궁전을 그리고, 그 보배궁전 위에는 각각 7보를 그리며, 낱낱의 보배 위에는 오색광명이 나오는 모습을 그려라. 낱낱의 광명 위에는 7보 궁전을 그리고, 그 궁전 안에는 부처님과 보살들을 그려라. 아미타부처님 앞의 좌우에는 각각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두 명의 보살들을 그리고, 부처님의 아래에는 감로수(甘露水)를 그리되 한량없이 많은 보배꽃이 피어나고 낱낱의 꽃 위에 각각 보살이 있는 모습을 그리며, 좌우에는 각각 5백 개의 꽃나무를 그려라. 부처님의 형상은 금색으로 하고, 가사(袈裟)는 적색으로 하며, 부처님의 원광은 오색으로 그리고, 부처님의 머리 위에서 오색광명이 나오는 모습을 그려라. 그 모든 보살은 황백색으로 그리고 그 보살들 몸 위에 각각 오색의 천의(天衣)를 그려라. 부처님의 왼쪽에는 대세지보살을 그리되, 결가부좌하고 왼손의 손바닥으로 왼쪽 넓적다리 위를 덮고 있으며, 오른손은 팔뚝을 구부려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버티어 놓고 팔을 위로 향하여 세우고 엄지손가락을 약손가락의 손톱 위에 붙이고,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갈라 세우고 손바닥을 옆으로 돌려 앞에 놓고 있다. 부처님의 오른쪽에는 십일면관세음보살을 그리되, 결가부좌하고 왼쪽 팔을 어깨 위로 구부려 손바닥으로 등 쪽을 덮고 손에는 연꽃을 잡고 있으며 오른쪽 팔뚝을 구부려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버티어 놓고 손에 흰 불자를 잡고 있는데 흰 불자의 끝이 오른쪽으로 나와 있다. 그 물[水]의 네 변에는 7보로 이루어진 한량없이 많은 보배나무와 7보로 이루어진 언덕을 그리고, 모든 부처님의 위에는 모든 천이 꽃을 뿌리고 있는 모습을 그려라. 이 형상을 다 만들고 나서는 불전(佛殿) 가운데 안치하고 결계인(結界印)을 결한다. 그리고 카다라목으로 각각 길이가 8지(指) 되는 네 개의 말뚝을 만들어 그 나무에 각각 진언을 백여덟 번씩 송하고 네 모서리에 박는다. 이 말뚝은 끝까지 다시 뽑아 버리지 말아야 하니, 한 개의 말뚝을 이와 같이 하고 나머지 세 개도 이와 같이 한다. 또 사방과 중앙에 각각 깊이가 1걸(▼(扌+桀))쯤 되는 구멍을 뚫어 흰 겨자를 그 구멍 속에 넣는다. 모두 군다리대심주(軍茶利大心呪)를 사용하며, 흰 겨자도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되 앞의 목법(木法)과 같다. 대심주(大心呪)로 송하라.

옴 호로호로 디 - 따 디 - 따 반다반다 하나하나 아마리 뎨오훔
口戶盧口戶盧羝瑟吒二合羝瑟吒二合三槃陀槃陀訶那訶那阿蜜哩二合羝嗚𤙖

42)

백여덟 번 진언을 송하고 흰 겨자를 다 묻은 다음에 아미타불상을 안치하라. 그리고 네 명의 스님을 청하여 재(齋)를 베풀되, 그보다 많아도 되니 한정이 없다. 이렇게 날마다 공양하며 대신주(大身呪)를 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나 모하라 다나 다라 야야 나 모아리야 아미다바 야 다타
上音謨喝囉上音怛那二合跢囉二合夜耶上音謨阿𠼝耶阿彌跢婆去音跢他
아다야 아라하 뎨 삼먁삼몯다야 다냐타 아마리 뎨 아마리 다삼
揭跢耶阿囉訶上音三藐三菩馱耶跢姪他阿蜜哩二合阿蜜哩二合跢三
바 비 아마리 도디바 비 아마리 다비가란 다 가미 니가가
去音阿蜜哩二合都知婆二合阿蜜哩二合跢毘迦爛去音十一伽彌去音泥伽伽
나 기리디가리 살바사바가생 가리예 사바 하
十二吉哩底羯嚟十三二合薩婆斯波迦生二合迦𠼝曳十四去音十五43)

1) 아미타불신인(阿彌陀佛身印)
좌우 두 손의 새끼손가락을 각각 약손가락의 뒤쪽 위에 밀쳐 놓고 양손의 약손가락의 끝을 서로 버티어 놓은 다음에 양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한 치쯤 되게 벌리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도 아울러 곧바로 세워라. 그리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 끝을 누르고 끝을 서로 버티어 놓은 다음에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2) 아미타불대심인(阿彌陀佛大心印)
앞의 신인(身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구부려서 손바닥 안에 넣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두 손의 엄지손가락 손톱 위를 눌러라. 진언은 이전의 진언을 같이 사용한다. 4주(肘)되는 수단(水壇)을 만들어 소(酥)와 여덟 잔의 등과 떡과 과일과 다섯 쟁반의 음식으로 공양하고 중심에 화로를 놓아라. 그리고 주사가 동쪽을 향하고서 우유와 꿀을 서로 섞은 다음에 다시 파구라목(頗具羅木)이를 곡수(穀樹)라 한다.을 길이가 한 자 되게 잘라 백여덟 단을 취해서 소(酥)와 꿀을 줄기의 양 끝에 발라 진언을 한 번 송하고 나서 한 개씩 불 속에 던져라. 이렇게 백여덟 번을 던져 태우면서 그 때마다 진언을 송하라.
만일 이 법을 행하면 곧 사마타를 얻고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4중과 5역의 죄를 멸할 것이다. 매월 보름날에 목욕하고 진언을 송하고 이전과 같이 작법하면 뜻하는 대로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왕생할 것이다.

3) 아미타호신결계인(阿彌陀護身結界印)
처음의 신인(身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손바닥에 붙여라. 이로써 호신하고 결계한 다음에 좌선하라.

4) 아미타좌선인(阿彌陀坐禪印)
손목을 합한 다음에 좌우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지문의 선이 서로 붙게 하고, 좌우의 새끼손가락을 각각 양손의 약손가락 뒤쪽 위에서 밀쳐서 끝을 윗마디에 붙여라. 그리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아울러 곧바로 세우고 양손의 집게손가락의 중간마디를 구부려 손가락 끝으로 엄지손가락 끝을 눌러라. 이 인은 병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만일 몸에 병이 있을 때에는 4주(肘) 되는 수단을 만들고 먼저 신인(身印)을 결하여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상을 부른 다음 주사가 앉아 진언을 송하며 우유를 백여덟 번 불 속에 던져 태워라. 이렇게 7일 동안 날마다 이와 같이 하면 그 병이 곧 낫는다. 해가 질 때 이 법을 행하기 시작하여 초저녁이 되면 쉬고 한밤중이 되면 다시 시작하여 날이 밝을 때가 되면 쉬어라. 이와 같이 7일 동안 하라.

5) 아미타불멸죄인(阿彌陀佛滅罪印)
손목을 합친 다음에 좌우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지문의 선을 서로 붙이고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벌려 곧바로 세우고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벌려 가운뎃손가락의 뒤쪽 위에 놓되 붙이지는 않은 채 손가락 끝을 조금 구부려라. 그리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함께 세워서 손가락 끝으로 가운뎃손가락의 두 번째 마디를 눌러라. 수행자가 좌선할 때에는 이 인을 결하고 결계주(結界呪)를 송하며 흰 겨자와 물과 불에 모두 진언을 송하여 방 속에 놓아라.
결계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물에 진언을 송하여 동북 모서리로부터 오른쪽으로 돌면서 뿌리고, 다시 동북 모서리로 돌아와 쉬고, 다음에 흰 겨자도 역시 앞에서와 같이 하고 맨 나중에 손으로 불을 잡아 역시 앞에서처럼 돈다. 이와 같이 결계하기를 세 번 다 마치고 나서 곧 선정법(禪定法)에 준하여 좌선하라. 뭇 죄업의 때를 관찰하고 사유하여 선정하는 가운데 참괴하는 마음을 내고, 인을 결하고 참회하되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금생에 이르기까지 지은 죄과를 참회하라. 그런 다음에 모든 약에 스물한 번 진언을 송하고 복용하면 곧 모든 죄가 없어진다. 그리고 진여위식(眞如爲識)의 무생지혜관(無生智慧觀)을 학습하되 진언을 조도(助道)로 하고 겸하여 닦아 보리의 도에 회향하라.

6) 아미타불심인(阿彌陀佛心印)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세 손가락을 모두 구부려 왼손바닥 안에 넣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잡고 다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의 세 손가락의 손톱 위를 누른 다음에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곧바로 세워 벌려라. 그리고 오색으로 4주(肘) 되는 단을 만들고 그 단의 중앙에 아미타불의 화좌(華座)44)를 안치하고 동쪽에는 문수사리의 화좌를 안치하라. 이는 또한 만수실리(曼殊室唎)라고도 한다.

7) 문수사리인주(文殊師利印呪)
금강왕인(金剛王印)에 준하되 오직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 뒤쪽에 붙이고 집게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계타나마 사바하
婆雞陀那麽莎 訶45)

그리고 북쪽에 십일면관세음(十一面觀世音)의 화좌(華座)를 안치하라.

8) 십일면관세음인주(十一面觀世音印呪)
인은 반야신(般若身)과 같으며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아로력 옴뎨례록가 비아야 살바사도로 바라마 타 나 가라
阿嚧力唵帝▼(口+體)鹿計計阿反三毘闍耶薩婆奢都嚕波囉末平音去音迦囉
야 사바하
去音莎 訶46)

그리고 남쪽에 대세지보살의 화좌를 안치하라.
9) 대세지보살인주(大勢至菩薩印呪)
오른손의 약손가락을 왼손 약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뒤쪽에 밀쳐 놓고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사이에 넣은 다음 왼손의 약손가락을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사이로 내놓아 곧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사이로 넣는다. 그리고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각각 구부려 두 손의 약손가락 끝에 걸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구부려 두 손의 엄지손가락 위를 누르되 손가락 끝을 안쪽으로 향하게 하라. 그리고 먼저 왼손의 새끼손가락을 오른손의 약손가락 뒤에 구부린 다음에 오른손의 새끼손가락으로 왼손의 새끼손가락 뒤쪽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로지라마디 망바 보 아나 진타빈타 오훔박 사바하
嚧池囉末地地阿反二忘婆去音闍那瞋陀頻陀嗚𤙖㧊莎 訶47)

10) 대세지보살인(大勢至菩薩印)
아래의 아미타불정인(阿彌陀佛頂印)에 준하되, 오직 가운데 있는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각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끝에 붙이고 그 집게손가락을 약간 구부려라. 다음에 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 중간 마디 위를 감싸고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11) 일대세지인(一大勢至印)
아미타불신인(阿彌陀佛身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세워 서로 붙인 후에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의 등 뒤로 밀쳐 끝을 서로 버티어 놓아라. 다음에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함께 끝을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아래 마디 옆으로 넣고 엄지손가락을 오고 가게 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저라 바아리 니 구타구티니 반다반다 하나하나 다하다하 바
跋折囉跋折哩二合瞿吒瞿致尼槃陀槃陀訶那訶那馱訶馱訶

자바자 오훔박 사바하
遮鉢遮嗚𤙖㧊莎 訶48)

매월 보름에 목욕하고 이 법을 행하면 곧 아비발치지(阿毘跋致地)를 얻는다. 마땅히 4주(肘) 되는 오색 수단을 만들고, 수관(水罐) 다섯 개를 네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놓고 중앙에 한 개를 놓은 다음에 각각 길이가 열두 자 되는 생견(生絹)으로 그 수관의 목을 묶어라. 그리고 열 쟁반의 음식과 열여섯 잔의 등과 침수향을 사르어 공양하라. 그 단을 만드는 법은 나머지 단법과 같다. 네 명의 스님이 짝이 되어 행도(行道)하여야 하니, 이보다 더 많이 참여하면 안되고, 네 명은 황설가사(黃屑袈裟)를 입어야 한다. 만일 이 현자(賢者)가 백색 옷을 입고 작법에 들어갔을 때에는, 다시 여러 가지 다양한 색의 옷을 입으면 안되고 그 가사를 입을 때 위로 기울게 입어서도 안 된다. 그리고 오직 멥쌀과 우유죽과 과일열매만 먹고, 채소를 먹으면 안 되며, 날마다 세 때[三時]로 작법하고 공양하되, 12월 8일에 시작하여 보름까지 공양하라. 이와 같이 하여 법사(法事)를 끝낸 다음에는 마땅히 중심에 있는 수관을 취하여 수법인(受法人)의 정수리에 부어야 하며 붓기를 마친 후에는 깨끗한 옷을 입혀 도량으로 이끌고 들어가 공양을 하고 공양을 다 마친 다음에는 곧 도량을 떠나야 한다. 만일 이 법을 행한다면 마치 태양빛이 눈을 녹이듯 온갖 죄들이 소멸되고 목숨이 끊어진 뒤에 아미타부처님의 국토에 태어날 것이며, 여인이 이 법을 행한다면 목숨이 끊어진 후에 남자로 변하여 그 국토에 왕생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심인법(心印法)인 우바리다야법(憂婆唎馱夜法)이를 소심법(小心法)이라 한다.이며, 이것이 바로 아미타불의 성도법문(成道法門)이니, 행하면 불퇴지에 증입(證入)하게 된다. 남은 음식은 수법인이 먹지 말고 흩어 베풀어야 한다.

12) 아미타불정인(阿彌陀佛頂印)
불도인(佛刀印)에 준하되 오직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고쳐 서로 교차시켜 중간 마디의 지문에서 곧바로 뻗어라. 이것이 곧 정인(頂印)이니 병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2주 되는 수단을 만들어 아미타불상을 안치하고 화로를 놓아 태우되, 침단향(沈檀香)과 훈륙향(薰陸香)을 서로 섞어 태워라. 그리고 병자가 서쪽을 향하여 합장하고 앉고 주사는 동쪽을 향하여 앉아 향을 병자의 머리 위에서 태우며 진언을 송하고 불 속에 던져라. 이와 같이 백여덟 번을 다하되, 하루에 세 때로 행하며 그 병자가 지심으로 염불(念佛)하면 병이 곧 낫는다. 이것이 바로 아미타불정법(阿彌陀佛頂法)이다.

13) 아미타불륜인(阿彌陀佛輪印)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각각 약손가락 끝에 붙이고 오른손으로 왼손을 누른 다음 가슴에 대어라. 만일 설법하고 논의하고자 할 때에 날마다 이 법을 행하면 모두가 환희할 것이며 죽어서 아미타부처님의 국토에 태어날 것이다. 만일 재화(財貨)나 음식 등의 물건을 구하고자 할 때에는 4주 되는 수단을 만들어 중심에 아미타불상을 안치하고 다섯 쟁반의 음식을 마련하여 단의 중심에 쟁반 하나를 안치하고 사방에 각각 쟁반 하나씩을 안치하라. 그리고 주사(呪師)가 동쪽을 향하여 5일 동안 날마다 세 번씩 이 법을 행하되, 그 주사의 의복은 모두 황색이어야 하니 다른 색을 입으면 안 된다. 그러면 구하는 것을 뜻대로 얻을 것이다.
또 만일 어떤 사람이 열병을 앓을 때에는 오색실에 스물한 번 진언을 송하여 스물한 개의 매듭을 맺고 병자의 목에 묶은 다음에 병자가 아미타불을 염하고 주사는 향로를 잡고 시방의 부처님께 공양하며 찬탄하면 곧 나을 것이다. 만약 8부의 귀신이나 천(天)이나 부처님이나 보살이나 금강으로 하여금 환희하게 하고자 할 때에는, 4주 되는 수단을 만들고 주사가 반드시 청정하게 하여 남자나 여인이나 서로 접촉하지 말고 그 단의 중심에 아미타불상을 안치하되 상의 얼굴을 서쪽으로 향하게 하라. 그리고 여덟 쟁반의 음식과 스물여덟 잔의 등과 수관 한 개를 놓고 부처님 앞의 중심에 화로를 놓아라. 그리고 소만나화(蘇曼那花)에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개씩 불 속에 던지기를 백여덟 번을 채우되, 평등한 자비심으로 모든 중생을 위하여 이 법을 행하면 곧 신통스런 효험을 얻어 모두 환희심을 낼 것이다. 만일 날마다 아미타부처님께 온갖 공양을 하고 진언을 십만 번 채우고 인법(印法)을 결하면, 곧 죄를 멸하게 되고 목숨이 끊어진 후에 그 국토에 태어날 것이다. 또 만일 그 국토에 태어나고자 할 때에는 또다시 진흙으로 아미타불상을 십만 구(軀) 만들어야 하니, 이렇게 하면 죄를 멸하고 죽어서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태어날 것이다. 날마다 공양할 때에는 금으로 염주를 만들어야 하되, 만일 없으면 은을 사용하고 만일 은이 없으면 적동(赤銅)을 사용하며, 적동도 없으면 수정(水精)을 사용한다. 그 수는 백여덟 매(枚)로 하되 없으면 쉰네 매로 하고 다시 없으면 마흔두 매로 하고 다시 없으면 스물한 매로 한다.
이와 같이 염주를 굴리면서 진언을 송할 때에는 염주를 10바라밀다(波羅蜜多)로 삼고 염불하며 진언을 송하는 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로 삼는다. 만일 아미타불께 공양을 할 때에는 마땅히 위에서 말한 것들로 염주를 만들어야 할 것이니, 그 밖의 물건은 쓰면 안 된다. 만일 다른 여러 가지 물건들로 만든다면 모두 효험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은 수정으로 만든 염주이니 이 염주로 진언을 송하면 뭇 죄가 모두 소멸되는 것이 마치 구슬이 투명하게 비치는 것과 같아서 자신도 또한 그러할 것이다. 이 수정염주는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천 등의 법에 두루 사용할 수 있다.

14) 아미타불료병법인(阿彌陀佛療病法印)
먼저 왼손을 위로 향하게 하여 네 손가락을 구부리고 오른손으로 왼손을 덮은 다음에 오른손의 네 손가락 역시 구부려 왼손과 급히 서로 얽어 두 주먹의 마디를 각각 장심(掌心)에 버티어 놓고 그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각각 곧바로 세워라. 이 하나의 법인(法印)은 모든 악한 귀신들을 항복시킨다. 어떤 사람이 병들었을 때에는 마땅히 이 인으로 인(印)해야 할 것이니, 그러면 그 병이 곧 낫는다. 이와 같은 모든 인에는 심주(心呪)를 송하라.”

3. 불설작수주법상품(佛說作數珠法相品)

이 때 부처님께서 필추와 필추니와 우바새가(優婆塞迦)와 우바사가(優婆斯迦)와 모든 선남자와 선여인 등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발심하여 『아미타경』을 독송하고 아미타불을 염하고 나의 삼매다라니비밀법장(三昧陀羅尼秘密法藏)인 신인주(神印呪)를 송하여 지니는 사람이 저 국토에 왕생하는 것을 성취하고자 하고 함께 모든 중생을 호념(護念)하고자 하면 다시 고행하고 지심으로 받아 지녀 날마다 공양하되 일심으로 오로지 하고 그 밖의 경계49)에 연연하지 말라. 만약 경을 독송하고 부처님을 염하며 진언을 지니는 수행자는 낱낱이 모름지기 염주를 잡고 아미타불의 삼매의 가르침에 의지하며 다시 이와 같은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과 천(天) 등의 법에서 나온 모든 다라니에 의지하라.
그 염주는 모름지기 모든 상모(相貌)를 갖추어야 할지니, 그 상모에는 네 종류가 있다. 무엇이 네 종류인가. 첫째는 금이고, 둘째는 은이며, 셋째는 적동(赤銅)이고, 넷째는 수정이다. 염주는 모두 백여덟 개가 되어야 하며, 혹 쉰네 개나 마흔두 개나 스물한 개도 역시 중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배염주를 돌리면서 진언을 송하고 경을 독송하며 부처님을 염하는 모든 수행자는 마땅히 열 가지 바라밀 공덕을 만족하고 현세의 몸으로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다. 그 네 가지 중에서 수정이 제일이니, 그 수정은 광명이 비할 데 없고 깨끗하여 더러운 티가 없어 묘한 색깔이 광대한 것이 마치 불보리원(佛菩提願)을 얻은 것과 같기 때문이다. 또한 저 국토에 통달(洞達)하는 것이 한결같이 구슬의 모습과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치로 그것을 가장 좋다고 말한다. 그 염주를 잡고 돌리면 능히 염송하는 수행자의 4중과 5역과 온갖 죄의 업장과 모든 과보로 받는 장애를 멸하여 없애고, 모든 악업이 능히 물들이지 못한다. 왜냐 하면 염주의 광명이 색상(色相)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항상 염불법을 행하고자 하면 목환자(木患子)50)로 염주를 만들고, 만일 진언을 송하여 받아 지니고자 하는 사람은 앞에서 말한 네 가지 보배로 염주를 만들어야 하며, 보살주법(菩薩呪法)의 업(業)을 행하고자 하면 보리자(菩提子)51)로 염주를 만들어야 한다. 만일 없으면 연화자(蓮華子)로 충당해도 된다. 만일 화두금강업(火頭金剛業)을 행하고자 하면 살색[肉色]52)의 구슬로 염주를 만들어라. 이러한 염주들은 모두 법상(法相)에 맞으므로 내가 이 법으로써 세간의 법을 지닌 수행자[持法行者]를 호념하리라.”
그러자 온갖 모임 가운데에 있던 모든 보살마하살과 금강과 천 등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수주법(數珠法)을 듣고 환희하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동시에 훌륭하다고 찬탄하였다.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사람이 법상(法相)에 맞는 염주를 만들고자 하면, 먼저 구슬 만드는 장인을 불러 그 값을 따지지 말고 아주 좋은 것을 취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니, 그 보물들은 모두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은 것이어야 하고, 하나하나가 모름지기 안팎이 투명하게 비추어야 하며 깨지거나 흠이 없이 아주 깨끗해야 한다. 크기는 마음대로 해도 된다. 그리고 그 구슬 만드는 장인에게 먼저 팔재(八齋)를 베풀고 향탕으로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게 한 다음에 그에게 호신(護身)해 주고 도량을 장엄하게 장식하여 모든 깃발과 꽃을 매달고 향수를 한 개의 작은 단자(壇子)에 바른다. 그리고 날마다 각각 향과 꽃으로 공양하고 또 한두 쟁반의 떡과 과일로 공양하고 또다시 밤에 따로 각각 일곱 개의 등을 밝히고 이 법상에 맞는 백여덟 염주를 만든다. 염주를 조성하고 나면, 다시 하나의 금구슬로 모주(母珠)를 만들고 다시 따로 열 알의 은구슬을 만들어 헤아리는 염주알[記子]에 충당한다. 이를 곧 삼보의 법상(法相)을 모두 원만하게 갖추었다고 이름하니, 능히 수행자가 이 염주를 돌리며 셀 때 항상 삼보의 가피와 호념을 받게 된다. 삼보란 말하자면 불보와 법보와 승보이며, 이로써 증험하는 것이니, 어찌 서방정토에 태어나지 못할까 염려하겠는가? 이 염주를 만들고 나서는 이 단 가운데에서 다시 온갖 향수로 염주를 닦고 또 일곱 쟁반의 음식을 놓고 스물한 개의 등을 밝혀 부처님과 반야보살과 금강과 그리고 모든 천 등을 청하여 공양하겠노라고 우러러 말씀드린다. 그러면 삼보의 위신력을 칭찬한 까닭에 온갖 법사(法事)가 모두 효험을 갖게 되며, 그런 후에 지니고 다니면 몸에 용(用)이 갖추어져 모든 악(惡)이 물들어 달라붙지 못하고 모든 귀신들이 함께 공경하며 두려워하므로 복력(福力)을 구족하고 공덕을 이루며 원(願)을 만족하게 된다. 이를 염주의 비밀스러운 공능이라고 이름한다. 그 아미타불다라니인주(阿彌陀佛陀羅尼印呪)에는 8만 4천 가지 법문이 있으나, 그 가운데에서 이렇게 요점만을 간략히 추린 것이므로 마치 여의보주와 같다. 이상으로 아미타불법을 마친다. 법에 의거하여 행하면 복이 무한할 것이다.

대륜금강다라니(大輪金剛陀羅尼)

나 모시 희리 야대가 남 다타가타 남 옴비라 시비라 시 마하
無悉半音咥哩二合耶隊迦上一跢他伽陀上二唵鞞囉時鞞囉摩訶
자가라 바아리 사다사다 사라 뎨사라 뎨 다라예다라 예 비다마니
斫迦囉二合跋折哩薩多薩多娑囉帝娑囉怛囉曳怛囉毘陀麽儞
삼반서니 다라마디 시다아아리다래염 사바하
三盤誓儞怛囉麽底悉陀阿揭唎怛𡂖焰二合十一莎 訶十二53) 카(佉)라고 주(注)한 곳은 카라고 주한 음법(音法)대로 읽고, 이합(二合)이라고 주 한 곳은, 그 윗글자를 반드시 반음으로 하여 그 아랫자와 합해서 읽는다. 반음(半音)이라고 주 한 곳은 반드시 편음(片音)으로 읽는다.

이 다라니를 스물한 번 송하고 곧 모든 만다라(曼茶羅)이것을 단(壇)이라고도 한다.에 들어가면 행하는 일이 모두 이루어진다. 진언을 송할 때 사용하는 인법에는 신인(身印) 등의 온갖 인법이 있다. 만일 수인(手印)을 결하고 모든 주법을 송하면 쉽게 효험을 이루게 된다. 만일 아직 관정단(灌頂壇)에 들어가지 않았을 때에는 모든 수인을 결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다라니를 송하고 곧 단에 들어가 인을 결하고 행하여 쓰면 법을 도둑맞지 않는다.”

4. 불설바저라공능법상품(佛說跋折囉功能法相品)당나라에서는 금강저(金剛杵)라 한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 기사굴산(耆闍崛山)의 큰 모임에서 모든 다라니의 비밀법장을 말씀하셨다. 그 때에 금강장(金剛藏)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서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지금 이 미묘하고 귀한 법을 말씀하시니 저희들이 일찍이 없었던 것을 얻어 마음속으로 매우 크게 환희하였으며, 모든 욕계(欲界)의 천마(天魔) 파순(波旬)54)과 귀신 등으로 두려워 떨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저희들이 생각건대 모든 악마의 마음을 실로 헤아리기 어려워 혹 속이기도 하고 혹 배반하기도 하니, 만일 미리 방비하지 않는다면 그들이 저희 모든 불법을 업신여기고 가볍게 여길까 염려됩니다. 오직 원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저에게 불가사의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법 하나를 나타내도록 허락하여 주옵소서. 여래의 정법을 호지할 것이며, 모든 악마를 항복시켜 악마들이 모든 세간에서 난폭하게 날뛰지 못하게 하겠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찬탄하시며 말씀하셨다.
“훌륭하구나, 훌륭하구나.”
이 때에 금강장보살이 홀연히 정수리 위에서 금빛나는 색과 같은 삼고바저라(三股跋折囉)의 형상을 용출(湧出)하였고, 용출할 때에 대천세계(大千世界)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으므로 앉아 있던 귀신들이 일시에 무너지듯 넘어졌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귀신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두려워 말라. 우리 금강장보살이 이와 같이 신통자재한 대위력이 있으므로 이와 같이 헤아리기 어려운 모습을 용출하였고, 이로써 마땅히 나의 정법을 도와 보호할 것이기에 내가 지금 인가(印可)하리라. 과거의 진불사리(眞佛舍利) 일곱 알을 보살에게 부촉(付囑)하여 그 사리를 그 안에 넣어 장차 진실한 믿음을 삼게 하고, 식상(識相)을 호지하여 모든 외도와 욕계의 천마가 가벼이 보아 업신여기려는 마음을 내는 것을 방지하게 하리라. 이러한 일로 인하여 마하바저라(摩訶跋折囉)라고 이름하노라. 이러한 까닭에 항상 능히 내 곁에서 호위하며 모든 마군의 일들을 물리친다. 이미 이러한 이익이 있고 난 뒤에 또한 어떤 사람이 나의 법을 지니거나 또는 보살과 금강과 천 등의 다라니법을 지니고 싶어 하면 반드시 여법한 모습을 구족하여 항상 대비하고 있을 것이니라.”
그러자 그곳에 있던 대중들이 모두 훌륭하다고 찬탄하였다.

바저라(跋折囉)를 만드는 법과 그 공덕법

“만일 어떤 사람이 바저라를 만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아직 그릇을 만들어 쓴 적이 없는 금 등의 다섯 가지 색깔의 물건을 취하여야 한다. 무엇을 다섯 가지 색깔이라고 하는가. 첫째는 금이고, 둘째는 은이며, 셋째는 적동이고, 넷째는 강철[鑌鐵]이고 다섯째는 주석[錫]이다. 이것들을 합하여 바저라의 형상을 만들어야 하며, 만일 이 다섯 가지가 없으면 벼락맞은 대추씨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아직 바저라를 만들기 전에 모름지기 먼저 금이나 동 등의 물건에 백여덟 번 미리 진언을 송하여야 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마하가라 나타구바라 사바하
摩訶迦囉那吒俱鉢囉莎 訶55)

진언을 다 송하고 나면, 마땅히 월식(月蝕)이 일어나는 14일을 취하는데 만일 이와 같은 좋은 날이 마땅치 않으면 8월 13일 역시 좋은 날이다. 그 날 아침에 미리 장인을 보내어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재계(齋戒)를 받아 지니게 하라. 만일 바저라주(跋折囉主)를 만들기를 청하려 할 때에도 또한 다시 이와 같이 모두 청결하게 한 다음에 미리 깨끗한 하나의 장소를 깨끗이 수리하고 편안하게 서서 호신과 결계법을 행하라. 보름날 아침이 되면 다시 그 장인을 보내어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게 한 다음 그에게 호신하여 주고 자기도 호신하고 결계법을 행하라. 그리고 도량 안에 수단 하나를 만들어 부처님과 반야의 모든 대보살들과 금강과 천 등을 청하라. 또 사리(舍利)를 한 과나 두 과나 일곱 과를 청하여 그 단 안에 넣어라. 그리고 그 단의 동쪽에 쇠똥과 진흙으로 야로(冶鑪)를 만든 다음에 화천(火天)을 불러 야로를 수호하게 하고 나서 장인이 서쪽을 향하고 주사 자신은 단의 서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풀을 깔아 자리를 만들어 무릎 꿇고 앉아라. 그 단 안에는 일곱 쟁반의 음식을 놓고 야로의 주변에 다시 한 쟁반의 음식을 놓고 결계와 호신을 상례(常例)대로 한 다음 부처님과 반야의 모든 대보살들과 금강과 천 등을 청하고 또 온갖 향과 꽃과 인법(印法)으로 삼보께 세 번이나 일곱 번 공양한 후에 만들기 시작하라. 한 번 부어 이루되 티가 없고 위아래가 패인 곳이 없이 곧고 평평하고 바르게 하여 모자라는 곳이 없게 하여야 한다. 이를 일보(一寶)라고 이름하니 가장 상수(上首)가 된다. 만일 한 번 부어 이루지 못하면 비록 뒤에 다시 만들더라도 끝내 소용이 없고 그 사람 역시 나의 비밀삼장법문(秘密三藏法門)을 행하지 못한 것이 된다. 설령 억지로 사용하더라도 항상 마사(魔事)가 있어서 이루어지는 일이 없고 도리어 앙화가 몸에 미친다. 그 바저라는 무게가 8냥 정도 되고 길이는 12지(指)가 되어야 하니, 손가락을 옆으로 눕혀 잰다. 양두삼고(兩頭三股)나 또한 5고(股)도 있으니, 그 5고를 이름하여 대바저라(大跋折囉)라 한다. 반드시 종신(終身)토록 범행(梵行)을 지니는 사람만이 받아 지녀 사용하여야 한다. 만일 계행이 없는 사람이 5고를 지녀 사용하면 안 될 것이니, 몸을 해치게 된다. 그 바저라는 모두 반드시 허리 사이를 둥글게 하여 빈랑(檳榔)의 형상과 같이 만들되, 중간의 길이를 1파(把) 정도 되게 하고, 온 힘을 다하여 새겨 꾸며야 하며 오직 단정한 것만을 취하고 추악한 것은 취하지 말아야 한다. 갈고 닦기를 마친 다음에는 진금(眞金)을 칠하여 치장하고, 바로 허리 사이에 사리(舍利)를 넣을 네모난 구멍을 하나 뚫어라. 법용과 형세(形勢)와 인연은 지금의 나무 모양과 한가지이다. 수행자가 말을 해서 잘 마음을 써서 만들게 하고 경솔하지 않게 하도록 대비해야 한다. 저(杵)를 만들 때에는 진언 송하는 소리가 끊어지지 않게 하고 향의 연기도 끊이지 않게 해야 한다. 그 장인의 보수는 액수를 마음대로 정하게 하여 값을 깎지 말아야 하며 모름지기 당일(當日)에 다 끝내도록 하여야 한다. 바저라를 다 만들었으면 그 장인이 주사에게 보고하여 말하라.
‘저(杵)를 다 만들었습니다.’
그러면 그 주사가 손으로 향로와 칠보함(七寶函)을 잡고 도량의 오른쪽으로 돌며 찬탄하여 말하라.
‘시방의 모든 불법보(佛法寶)를 성취하였도다.’
그리고 범음(梵音)으로 법사(法事)를 행하며 저(杵)를 맞이하여 살펴본 다음에 노(鑪)의 곁에 이르러 모든 향과 꽃을 뿌리고 법사를 찬탄하며, 은근히 예를 갖추어 청하라. 그러면 그 장인이 무릎 꿇고 두 손으로 받들어 수행자의 손 안에 있는 칠보함 속에 놓고 나서 그 장인이 사례(謝禮)하며 소리내어 말한다.
‘가지가지로 여법하지 못한 것이 많고 밝게 갈아 엄식한 것이 모두 뜻에 맞지 않으시더라도 환희를 베푸시어 모든 죄 멸하게 하여 주소서.’
그러면 주사가 대답한다.
‘보통과 달리 기이하며 수묘(殊妙)하고 단엄(端嚴)하기는 법과 같고 나눈 모습 구족하여 최상이니 비할 데 없도다. 진실로 참괴하였으니 장자(匠者)의 3업으로 지은 숙세의 업장을 없애기 원하며 세세생생 부처님과 인연 맺고 법회에서 서로 만나기 원하노라.’
이와 같이 말한 다음 장인이 다시 예배하고 발원하며 ……(이하 생략)…… 향을 태우고 합장하여 사리를 취하기를 청한다. 그러면 주사가 곧 일어나 단을 세 바퀴 돌고 본래 자리로 돌아가 한쪽에 물러나 앉아 시방의 모든 부처님과 반야보살과 금강과 천 등에게 아뢰어라. ……(이하 생략)…… 그리고 다시 향과 꽃을 공양하여 법사를 행하고 슬피 눈문을 흘리며 1념(捻)쯤 되는 용뇌향을 취하여 바저라의 허리 사이에 있는 구멍 속에 넣어라. 그런 후에 사리를 취하여 바저라의 허리 사이에 있는 구멍 속에 넣고 나서 다시 향과 꽃으로 공양하여 법사를 행하라. 이렇게 공양을 다 마친 다음에 다시 저(杵)를 들고 일어나 도량의 오른쪽으로 돌아 장인이 있는 곳에 이르러 땅에 무릎 꿇고 장인에게 준다. 그러면 장인이 지심으로 진중하게 향을 태워 공양하고 예배한 후에 곧 두 손으로 바저라를 받들어 그 구멍을 막되, 단단하게 두드려 밀봉하여 막고 난 다음 다시 두 손으로 받들어 주사에게 준다. 주사가 예배하여 받고 나서 일어나면 장인이 다시 세 번 절하고 사리함(舍利函)을 받들어 마음과 입으로 발원하라. ……(이하 생략)…… 수행자가 손으로 사리보함(舍利寶函)을 받들고 도량의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고 다시 본 자리로 돌아와 모든 향과 꽃과 인법을 행하여 다시 공양하고 난 후에 장인을 내보낸다. 그런 다음에 다시 사리보함을 가지고 도량에 이르러 스스로 모양을 살펴본다. 밤이 되면 단 안에 스물한 개의 등을 마음대로 안치하여 밝히고 떡과 과일과 온갖 향과 꽃으로 공양하고 일을 마치면 단의 서쪽에 결가부좌하라. 주사가 오른손에 바저라를 잡고 왼손에는 염주를 세며 모름지기 온 힘을 다하여 지심으로 진언을 송하되, 세 가지 광명의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한다.
무엇이 세 가지 모습인가. 첫째는 그 바저라가 자연히 따뜻해지는 것이고, 둘째는 연기가 나는 것이며, 셋째는 큰 광명을 내는 것이다. 만일 따뜻해지는 모습이 나타나면 저를 지닌 수행자가 자연히 감득하여 모든 야차와 나찰과 사람들이 모두 한마음으로 부처님과 같이 공경한다. 만일 연기가 나는 모습이 나타나면 저를 지닌 수행자가 자연히 감득하여 가는 곳마다 단 한 가지 장애도 없고 또 병고가 없게 된다. 만일 광명을 내는 모습이 나타나면, 감득하여 모든 주신(呪神)이 자재하게 수행자를 옹호하므로 항상 모든 천룡팔부(天龍八部)와 귀신과 인비인 등이 모두 수행자를 공경하며 모든 6도 중생 가운데 비할 것이 없게 된다. 부처님 밑으로는 단지 이 모든 진언이 있을 뿐이니, 능히 지송하면 모두 가장 뛰어난 영험을 성취한다. 이는 금강바저라저(金剛跋折囉杵)의 위신력 때문이다. 후에 만일 바저라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여법하게 저를 받들어 사용하기 전에 군다리대심주(軍茶利大心呪)를 일곱 번 송한 다음에 곧 이 저를 가지고 호신법과 같이 행한 뒤에 곧 대결계법을 하라. 어느 때나 뜻을 더하여 보호하고 청정하게 하는 것을 으뜸으로 삼고 바야흐로 법사(法事)를 행하면 하는 일마다 모두 효험이 있다. 만일 병을 치료하려 바저라를 사용할 때에는 분(分)을 넘으면 안되고 아울러 보호하고 청정하게 하여 여법하게 사용하면 주사의 몸이 항상 안온할 것이다. 바저라법의 공능을 설하여 마친다.”
011_1078_a_01L佛說陁羅尼集經卷第二 佛部卷下 大唐天竺三藏阿地瞿多譯畫一切佛頂像法一切佛頂像通身黃色而有赤光光中央長短演出五靑焰子著赤單籠映腳脛披黃袈裟而作靑裏兩膝坐百寶華其蓮華上著單平方寶側其側有二赤腳狀似此地禮罇腳形而在蓮華上其上敷靑地其靑地兩廂各安赤寶臺莊以紛帶華鬘寶錦嚴飾閒錯其臺子上各著一師委挾兩廂頂戴寶華而承佛坐像右手頭指大指相捻作孔散豎三手掌向前左手頭指附在右手大指孔邊大指如近狀似相捻中指名指屈在掌中小指亦豎著右手掌其像背倚寶莊繡枕像左右廂各有一菩薩通身黃色頭冠瓔珞而有靑其像兩廂侍者菩薩及其金剛侍光相皆同靑色左廂侍菩薩右手屈臂手執白拂左手申下少曲在䏶上手執蓮華以靑色華褺縵腰跨上以寶縚繫腰著朝霞裙以輕紗籠絡在左跨邊復著一道赤色菊華莊褺襪過右跨垂下向外而立紫蓮華上廂侍菩薩左手屈臂手掌顯前而把數珠珠二十一右手申臂當在䏶上衒拂以靑色華褺縵其兩跨寶縚繫著朝霞裙以輕紗籠絡裙上左跨下有一道綠華褺橫襪過右跨下垂向外而立紫白色蓮華上於其兩侍菩薩以上各有須陁會天通身白色黃帔絡髆著眞緋裙而各在於五色雲上各散雜華而爲供養又其兩廂侍菩薩後各有四菩薩威嚴上下端身正坐助佛神通接引衆生其左廂上有二菩薩共竝而坐前一菩薩身淺黃色頭有花冠瓔珞莊嚴項無環璫赤色圓光廻面向後狀如與後菩薩共語以素白褺從右膊上後絞出於左肘上向下而垂左手屈臂在左膝上臂手垂下右手向上右手指承左臂腕著朝霞裙交豎左坐白蓮華上後一菩薩通身黃色頭戴華鬘圓光綠色緋褺絡膊合掌恭敬著朝霞裙而交腳坐靑蓮華上次下更畫作一菩薩通身黃色頭有華鬘耳有綠環圓光赤色而無絡髆右手屈臂向右䏶上以手頭指大指相捻其餘三指散豎向身左手屈臂其臂臨在左䏶膝上手執蓮華而其華莖膞臂肘閒華頭向上與項肩相著朝霞裙交腳而坐淺紫蓮華上次下一菩薩通身黃色乳房大作無華鬘耳有白環圓光靑色而無絡仍作側身右手屈臂右手大指指相捻拄著胸上其餘三指散豎向左手申臂向下手拓腳髀之閒朝霞裙兩膝跪坐紅蓮華上其右廂上有二菩薩雙竝而坐前一菩薩通身以淺黃色作其面廻顧狀如與後菩薩共語頭有寶冠耳無璫環光赤色亦無絡髆左手屈臂其肘臨在左膝髀上覆掌向下五指皆垂右手臂向左腕上頭指大指狀如相而屈中指其無名指少屈豎小指向上著朝霞裙交腳而坐紅蓮華上次後菩薩通身黃色頭有華冠耳無璫環圓光綠色以赤色褺用絡髆上右手屈臂手執荷葉葉中盛著一一別安五色蓮花左手屈臂在交脛上其手掌中作一靑華狀如一一擲華像前供養之形著朝霞裙交腳而坐白蓮華上次下一菩薩通身黃色有寶冠耳有金環圓光赤色其左髆貫著華鬘垂右臂閒下至腰左手屈臂拄左髀上手掌向身執白蓮華花與額齊其菩薩面如仰看華形手屈臂以手博著右腳脛邊掌向外著朝霞裙交腳而坐淺紫蓮華上次下菩薩通身黃色頭有華鬘圓光靑色耳有金環乳房高大左手屈臂直豎向上肘著左膝手擎經匣右手屈臂著右膝上屈無名指餘四指散如峻顯掌著朝霞裙交腳而坐紅蓮華上上來所說諸菩薩等臂腕之上皆著寶釧是等悉是諸佛眷屬其像背後畫雙樹形樹上畫作嚧醯陁迦布瑟波形唐云陵霄花也閒錯樹葉其像光上更作一行寶側複重成其寶側上別作一隔隔內畫出三舍利塔以砌塼白色寶莊五層浮圖其塔及浮圖門中皆作化佛之形薩婆菩陁烏瑟膩沙印呪第一唐云一切佛頂先仰二手反鉤二無名指屈於掌中各屈二小指二中指於掌中直舒頭指頭相去一寸餘開二大指大指來呪曰上音謨薩婆跢他揭帝摽毘要反一阿囉訶上音毘可反下同二三藐三菩提蔽跢姪他達泥輸達泥薩婆達摩毘輸薩婆跛波毘輸達你輸提毘輸提婆達摩毘輸提莎訶白月十五日香湯洒浴而作水壇香供養多少飮食滅一切罪消惡蠱又治諸病當以此呪呪一切藥七遍服腹內苦痛隨服卽止惡毒消滅釋迦佛心印呪第二二大中小六指各豎頭相拄以二食向內相叉右壓左無名亦爾開腕四寸此印與觀世音心印同亦與火頭金剛輪印同呪曰薩婆悉底二合毘輸陁囉上音莎訶呪師若欲得供養十方諸佛欲避一切障難除一切鬼病治一切病痛者應作此法若知有鬼病者作四刖水中心著火鑪燒柏樹枝數數誦呪卽差若一日不差日日作到七日卽差又佛心印呪第三以右手後四指握大指成拳卽是其左手無用呪曰跢姪他阿彌哩二合阿濕波二合摩末羅摩末羅奢摩波羅奢摩烏波奢摩都奴毘都奴都例都謨例莎訶若行遠道誦此呪者永不疲倦若行道時風吹失道不知東西或有鬼來錯教行處或有人馬致死之時卽於彼處豎於石柱其石柱上抄此呪已誦一百八遍若無石柱卽豎幡竿幡竿上還抄此呪誦一百八遍者惡鬼神聞是呪已永不得住行無障若二十年以還小兒病者以五色作呪索五十四結以牛黃硏之爲於絹片中抄此呪已繫呪索中繫病兒項上卽差又佛心印呪第四右手大指捻小指甲上餘三指摘豎開之左手反叉腰側上立坐任意得呪曰時那時那迦羅迦囉摩羅摩羅娑羅娑羅補羅補羅陁瞋陁頻陁頻陁嗚𤙖泮莎訶若牛馬等諸畜生輩有時氣病者等毛相和著牛乳中從日入時夜夜作水壇壇中心著火呪師面向北取乳中毛少分取已心念十方諸佛爲一切衆生救苦誦此呪一遍竟卽燒火中如是一夜一百八遍日日作法滿七日已國中所有一切畜生病者皆差又佛心印第五右手大指屈向掌餘四指散向上豎呪同前第二心印呪若王病時於七日中設齋作四肘水壇香華飮食百種供養於壇中其壇中心復安火鑪呪師日日香湯洒浴著新淨衣入於道場佛菩薩四天王等取菩提樹若無此樹穀樹亦得一百八段一段一尺一段兩頭塗牛乳其塗法者先塗其末後塗其本呪師面向北誦此呪至都謨例竟卽道王名病差然後口道莎訶竟燒於火中其燒法者木末向前木本向身如是一夜盡一百八段乃至七日王病卽差若呪師病依前法火燒胡麻一百八遍卽差若人臨欲遠行依前法日日燒紫橿木末如是七日作此法竟行者一切障難卽無所畏若行道時七人以來共行作此法者一切盜賊鬼難不畏若人頭痛依前法呪師把香花誦呪七遍然後與病者嗅竟一呪一燒二十一遍莎訶前道病者名字病差病不差如是日日到七日卽差一切佛心印呪第六反叉後四指於掌中右壓左竝二大指當前直豎兩腕相著以大指來去呪曰上音謨薩婆菩提弊毘可反一薩囉薩囉素囉素囉補囉補囉薩婆阿波唎多婆上曳莎訶若人熱風病依前法作呪索一呪一二十一結繫病人項以白芥子打病人頭其病卽差若其不差三日誦呪以白芥子打之卽差若其不差秔米飯呪二十一遍一遍一燒誦呪莎訶前道病者名病者卽差若人患眼亦依前法七日之中以安闍那唐云銀鑛石也一百八顆各呪一遍投火中燒滿百八遍其眼卽差又法呪一切食及果藥等皆呪七遍然後服之一切無病又法誦一切諸呪作此印者一切諸佛菩薩賢聖竝皆歡喜身中所犯四五逆酒肉五辛邪婬之罪竝皆消若有怨家泥作其形大小任意佉陁羅木爲杖唐云紫橿木也用打此人打已卽燒此杖口恒誦呪念其人名白芥子擲置火中一百八遍惡人遠治病亦驗又一切佛心印呪第七亦名大心印呪覆兩手反叉食指中指於掌中二大指直申向身頭相拄二無名指向前頭相拄二小指舒之勿與無名指相呪曰蘇薩婆悉底二合阿鉢囉底呵羝底唎二合平音莎訶若呪師若王若臣欲得身無病痛者依前法用燒一切香一百八遍幷誦呪卽差若人欲得錢財者亦依前法面向東呪白芥子一呪一燒一百八遍求卽得若欲共他論議七日之中日日燒靑菖蒲一呪一燒一百八遍卽得勝彼若人被毒蛇所螫者呪石榴枝一百八遍以枝摩向身下日日作者蛇毒卽差若欲得人相愛念者燒白芥子一呪一燒一百八遍如是七日卽得如意若鬼病不得語者取白芥子呪二十一遍以打病人如是七日卽能得語一切佛小心印第八呪同前第二佛心呪准前惟改二小指壓二無名指上拄壓之若日日誦此呪者前人歡喜恭敬尊重若欲向囉闍大支彌邊者先於私房作護身竟向囉闍門及支彌門首呪自手掌七遍以摩自面二十一遍入者囉闍支彌見卽歡喜若人鬼病大難治者亦依前法取羊毛繩摠以繫牀四腳燒白芥子一呪一燒一百八遍其病卽差三日不差七日定差如前所說諸佛心法七日之中日日作法作此法人心常憐愍一切衆生下至蟻子不得殺生偸盜邪婬妄語應修十善斷十惡業若作法時七日之中初日不得喫食以後六日得喫法法皆言如前法者皆作水壇種種供養上下皆通依此法也若作法時深心發於無上菩提心平等憐愍一切衆生發是心者隨意得驗若不爾不得驗也一切佛眼印呪第九亦名佛母印二無名二小指直豎合頭二中指豎小曲頭相拄二大指竝豎曲二頭指以側壓二大指背頭相拄呪曰釋雞三麽曳騷咩莎訶若人患眼取蓽茇擣硏爲末以蜜和以用鐵頭大如箸頭沾藥塗眼中復以印印呪眼中藥當中卽差佛眉閒白毫相印呪第十反叉後二指於掌中豎二中指頭相竝豎二大指以左食指平屈下節捻左大指頭右食指曲開之於右中指背上離一分許呪曰烏𤙖污泥尼唎二合去音阿盧輕音計尼嗚𤙖莎訶此是大心亦名大呪又復呪曰污泥莎訶此是小呪亦名心呪若有人能日日供養作印誦呪臨命終時眉閒光明如阿彌陁佛毫光相似佛牙印呪第十一准前佛頂刀印惟改以右中指屈入掌內左中指小曲豎呪曰舍都嚧鉢囉末馱你曳莎訶作四肘水壇二三肘作亦得中用白芥子七寶等物及一切物皆置壇次作呪索一呪一結成三七結病人項臂上亦得其病卽差又以此印印水飮之除牙齒痛又一切佛眼印呪第十二釋迦眼印同反叉後二指於掌中曲豎二中指頭相拄竝直豎二大指平屈二頭指下壓二大指上令頭相拄兩腕相著呪曰釋雞三麽曳騷咩莎訶若作此法日日供養見佛菩薩命終之後生生之處常得天眼佛跋折囉止一切毒蟲印呪第十三反叉二小指於掌中二無名亦相叉指頭於虎口出二中指豎頭相拄二大指小屈頭指於中外上節相當去一分許呪曰字婆羅字婆羅浮陁跋折囉阿鉢囉底訶哆嗚𤙖㧊莎訶是法印呪能止一切毒蟲所嚙又療諸病若作法時作一小壇燒香散華飮食供養作此印呪印病人身其病卽差幷印病人護身結界若人身上有諸惡瘡時氣病者以印印之其瘡熱病無不除差若印病者臍已上病隨其病處皆合用印若臍以下不得用印但以柳杖打之無妨又佛跋折囉印呪第十四准前帝殊羅施印惟改開二頭指小曲頭呪曰俱嚧弭那嗚𤙖㧊莎訶作小水壇種種香華飮食供養燒安悉香及薰陸香不用餘香先以乾灰磨刀七遍不用水磨復作水壇縱廣四肘八歲十二十五歲兒香湯洒浴著新淨衣在壇東畔面向西坐呪師把刀當眉閒上在壇西畔面向東坐數數誦呪隨欲作法於刀上現呪師不見惟小兒見又一切佛跋折囉印呪第十五以左大指捻小指甲上以右大指內孔中過以餘四指握左大小指其右大指頭頭向上左食指中指無名指直豎散舒是明德佛印也惟改以右食中無名三指散握右掌背幷大指頭呪曰跋折囉脂醯莎訶治一切鬼病白月五日三迴誦呪得滅罪一迴誦呪二十一遍一百八一千八遍任意得誦悉能除卻一切障惱一切佛棒印呪第十六反叉後三指於掌中竝豎二大指頭指少許二食指頭相拄曲壓大指頭小許勿著大指呪曰摩黎摩黎摩唎尼馱囉馱嗚𤙖㧊莎訶以此印打一切鬼病其病卽差作者皆驗一切佛刀刺一切鬼印呪第十七反叉後二指於掌中直豎二中指相著屈右大指於掌中次以左大指壓右大指藏頭次以右食指壓左大指自藏頭次以左食指壓右食指亦藏頭合腕呪曰渴伽羅末拏鉢囉摩達那且次也反三擣馱去音莎訶若欲坐禪結界三迴以印右轉誦呪七遍亦治一切鬼神之病淨王佛頂印呪第十八亦名阿閦佛頂印反叉後三指於掌中曲雙頭指頭相竝二大指當前去頭指少許勿令相著大指來去呪曰那謨薩婆突羯羝鉢唎輸達那囉闍夜跢他揭跢去音阿囉訶上音三藐三菩陁去音跢姪他輸達泥輸達泥薩婆波跛毘輸達泥輸提毘輸提薩婆達摩毘輸提莎訶十一 是法印呪若有人能於白月十三日香湯洒浴燒香供養至心誦呪滅無量罪若有人能日日誦者一切惡神不敢來近又治一切病若治病時先以此呪呪白芥子呪七遍已散於四方卽成結界結界以後治病有驗若婦人產難產不出者以此印印麻油器上呪三七遍將油摩臍誦呪卽白月十三日香湯洒浴燒香供養誦呪滅罪卽能縛鬼惡人及賊鉢頭摩婆皤娑佛頂印呪第十九其印與前金輪印同惟改以二大指來去呪曰鉢頭二合摩跋路平輕抧羝苾嚂馬𤙖毘摩羅婆皤娑佛印呪第二十唐云無憂德佛准月天印惟改二食指在中指中節指頭向內出少許大指來去呪曰輸嚕達囉囉上音迦帝闍婆塞羯羅鉢囉二合曀醯曀醯伽梵莎訶上音怛那二合尸緊雞佛印呪第二十一唐云栴檀德佛准馬頭手印惟改屈二大指入掌二中指屈壓二大指頭指來去呪曰毘盧抧尼娑囉娑囉徙離徙囄素嚕素嚕阿盧枳尼盧抧尼阿婆婆娑耶莎訶毘婆尸佛印呪第二十二兩手合腕兩手頭指及無名指小曲相叉至甲際兩小指直豎頭相拄大指竝豎頭相拄開二中指直豎大指來去呪曰馱羅馱羅娑伽羅跢那二合三二合鼻囉羯咤羯咤末咤末咤阿毘舍阿毘舍莎訶因陁囉達婆闍佛印呪第二十三唐云相德佛也准金剛王印惟改屈二食指各壓大指頭食指來去呪曰那謨腎若若野反社皤羅婆蒲什皤羅什皤羅末咤末咤闍畔闍阿毘上音舍阿毘上音舍𤙖㧊莎訶北方相德佛頂印呪第二十四以左大指捻小指頭以右大指從下向上內孔中過餘四指握左大小指其右大指頭出虎口左食指中指名指直豎散舒左頭指來去呪曰跋折囉去二合莎訶若人日日作此法者能滅四重五逆等罪藥師琉璃光佛印呪第二十五以左右手頭指以下八指反叉入於掌中右壓左兩腕相去五寸許以二大指來去呪曰呼嚧呼嚧戰馱去音摩撜莎訶是法印呪若有人等多諸罪障及諸婦女難月產厄願欲轉禍求福幷患鬼神病難差者以五色線而作呪索用繫病人項及手足腰腹等處仍教令作藥師佛像一軀寫藥師經一卷造幡一口以五色成四十九尺又復教然四十九燈燈作七層形如車輪安置像前又教放生四十九頭然後與作五色呪索作呪索法得線未搓卽燒名香發願已呪四十九遍香煙熏竟搓線作索呪聲莫絕搓作索已以印拄之更呪其索四十九遍然後結作四十九結一呪一結數足卽止應將此索繫彼人身又轉藥師經四十九遍所有罪障皆得解脫臨產之一無苦惱卽得易生所生孩子形貌端正聰明智慧壽命延長不遭橫苦常得安隱鬼神之病立卽除斷藥師琉璃光佛大陁羅尼呪曰那謨囉怛那二合跢囉二合夜耶那謨金毘羅和耆囉彌佉羅安陁摩尼羅素藍羅因達羅婆耶羅摩休羅眞特羅十一頭羅十二毘伽羅十三那謨毘舍闍瞿留十四毘囄耶十五鉢囉頗囉闍去音十六姪他十七毘舍是毘舍是十八毘舍闍十九摩揭帝二十莎訶二十一印用前印是法印呪佛在維耶離音樂樹下三萬六千人俱及十二神王幷諸眷八部大神王在如是等大衆會中說是法已大衆皆聞無不歡喜是卽名爲結願神呪若有受持能拔身中過去生死一切重罪不復經歷三途免離九橫超越衆苦十方世界隨處安樂自在無礙法應如是若善男子善女人等受持讀誦是神呪者日夜精勤香湯洒浴著新淨衣持諸禁戒如法誦滿十萬遍已就淸淨處如法治地治地之法如餘壇說團圓掘去數丈之地更以淨土塡築令平若高出基最爲第一平治地竟以淨牛糞和檀香湯以手掌摩隨日而轉摩地已竟地上布置千燈道場上方四方皆以種種雜寶莊嚴懸繒幡蓋交絡其地面上以五色粉周帀閒作七重院各開四門其七重院狀如此地水磑風輪院院各有衆多隔一一隔道各作寶階砌地之相地中央作寶蓮華輪座之相是卽名下方莊嚴一一隔道兩頭著燈重隔隔各別著燈數滿千盞布置燈竟安置種種寶甁寶樹香華等物置畢已中央座上著小牀子以錦繡等淨物敷之牀上安置藥師佛像用前印請爲座主結界辟除三摩耶法如下金剛軍茶利法然後安心燒種種香散種種華供養種種飮食華果又燒酥蜜胡麻人等而爲供養若一日夜三日七日若七七日以晝兼夜誦呪數滿百千萬遍所求從心無量獲果除不至心法應如是所有利益說不可盡其餘功能具如經說續驗灌頂印呪第二十六二大指屈於掌中捻二無名指甲名指中節相背二小指頭相拄二中指直豎頭相拄二頭指屈各捻中指背上節呪曰步三末羅蘇摩鹽上音若欲續驗每日平旦於水罐上結印誦呪二十一遍自灌其頂還復如舊阿彌陁佛大思惟經說序分第一如是我聞一時佛在補陁落伽山中此云海島也與大阿羅漢衆一千五百人俱觀世音菩薩大勢至菩薩摩訶薩等五千人俱及諸天夜叉阿素羅魯羅緊那羅摩睺羅伽非人等後圍繞來詣佛所到佛所已五體投頂禮佛足禮佛足已繞佛三帀坐一面爾時觀世音菩薩白佛言世尊若四部衆及苾芻苾芻尼優婆塞優婆夷一切衆生修行善法得生阿彌陁佛幷見彼佛云何而得佛告觀世音菩薩言若四部衆欲生彼國者應當受持阿彌陁佛印幷陁羅尼及作壇供養禮拜方得往生彼佛國土四部衆以衆華散阿彌陁佛發願誦呪者得十種功德何者爲十一者自發善心二者令他發善心三者諸天歡喜四者自身端正六根具足無有損壞五者死生變成寶地六者生生世世生於中國及貴姓中生値佛聞不生邊地及下姓中七者成轉輪王四天下八者生生世世常得男九者得生彌陁佛國七寶華上加趺坐成阿毘跋致十者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坐於七寶師子座上放大光明與阿彌陁佛等無有異也是名十種散華功德若四部衆將持七寶滿世界中布施十方一切諸佛不如一錢一花一香好心布施阿彌陁佛者若作此功德一切諸佛菩薩金剛諸天等皆悉歡喜死生阿彌陁佛國若人然燈供養生阿彌陁佛國卽得天眼見於一切十方世界諸佛若人以香布施供養死生阿彌陁佛卽得香身身上香雲常出若人五體投地恭敬禮拜阿彌陁佛者往生彼國若人將以香華衣食水壇等種種供養念彼佛者往生彼國卽得香衣食若人不以香花衣食等供養雖得生彼淨土而不得香華衣食等種種供養之報若轉輪王十萬歲滿四天下七寶布施十方諸佛如苾芻苾芻尼優婆塞優婆夷等彈指頃坐禪以平等心憐愍一切衆念阿彌陁佛功德若善男子善女誦持阿彌陁佛陁羅尼幷作印等日日供養者卽得滅除五逆四重河沙數生死重罪若欲得奢摩他驗得生阿彌陁佛國成男子身端正聰坐於七寶成就天眼天耳等通得天衣服與佛無異者當作阿彌陁佛像其作像法先以香水泥地作壇喚一三好巧畫師日日洒浴與其畫師受八戒齋呪師身亦日日洒浴印護身亦與畫師作印護身呪師畫師兩俱不得犯戒破齋不喫五辛肉之物作壇中央著帳四方著飮食果子種種音樂供養阿彌陁佛其畫師著白淨衣服用種種彩色以熏陸安悉等香汁和之不得用皮膠呪師坐於壇外面向西畫師面向東呪師前著一香鑪燒種種香及散諸華卽然燈呪師作阿彌陁佛身印誦陁羅尼呪曰那謨阿耶阿彌陁婆耶怛他揭跢夜阿囉訶底三藐三菩提耶跢姪他唵阿蜜哩二合訶那訶那薩婆波跛尼陁訶陁訶薩婆波跛尼十一嗚𤙖㧊十二去音十三次畫師畫佛像法用中央著阿彌陁結加趺坐手作阿彌陁佛說法印左右大指無名指頭各相捻以右大無名指頭壓左大指無名指頭右頭指中指小指開豎佛之右廂十一面觀世音菩薩像左廂作大勢至菩薩像佛上作寶殿皆以七寶所殿下作七寶帳悉以七寶瓔珞所其寶殿上畫作三箇大寶珠王一寶上出五色光於其光上化爲寶殿樓閣其寶殿中作佛菩薩其阿彌陁佛坐七寶高座其高座上作七寶蓮華阿彌陁佛坐其花上其內院四作四七寶樹其佛內院四邊作四七寶殿其寶殿上各有七寶一一寶出五色光一一光上有七寶殿寶殿中有佛菩薩其佛外院有四七寶殿其寶殿上各有七寶一一寶上出五色光一一光上有七寶殿其寶殿中有佛菩薩阿彌陁佛前左右二菩薩各作音樂其佛底下有甘露中生無量寶花一一華上各有菩左右各作五百花樹其佛形作金其袈裟作赤色其佛圓光以五色其佛頭上放五色光其諸菩薩黃白色其菩薩身上作五色天衣佛左邊大勢至菩薩結加趺坐左手覆掌於左髀上右手屈臂節拄右髀豎臂向上以大指捻無名指甲上頭中指小指搩豎掌側當前其佛右畫十一面觀世音菩薩結加趺坐屈左臂向肩上掌覆向背手把蓮花右臂節拄右髀上手把白拂拂尾向右出其水四邊有無量寶樹七寶所其水之岸以七寶成其諸佛上諸天散花作此像已安佛殿中作結界印以佉陁羅木作橛四枚各長八指木各呪一百八遍釘於四角此橛畢竟更莫拔卻一橛如是餘三亦然以白芥子四方及中各穿作孔深一搩許埋著孔中皆用軍茶利大心呪呪白芥子一百八遍如前木法大心呪曰盧盧羝瑟咤二合羝瑟咤二合三槃陁槃陁訶那訶那阿蜜哩二合嗚𤙖㧊呪一百八遍埋芥子竟然後安置阿彌陁佛像已請四人僧設齋多亦無日日供養誦大身呪呪曰上音謨喝囉上音怛那二合跢囉二合夜耶上音謨阿耶阿彌跢婆去音跢他揭跢耶阿囉訶上音三藐三菩馱耶跢姪他阿蜜哩二合阿蜜哩二合跢三婆去音阿蜜哩二合知婆二合阿蜜哩二合跢毘迦爛去音十一伽彌去音泥伽伽那十二吉哩底羯十三二合薩婆斯波迦生二合迦曳十四去音十五阿彌陁佛身印第一左右二小指各㧙在無名指背上無名指頭相拄著二中指直豎開一寸許二大指竝直豎屈二頭指壓二大指頭頭相拄頭指來去阿彌陁佛大心印第二准前身印惟改屈二大指入掌以二頭指壓二大指甲上呪同前呪用四肘水壇以酥燈八盞餠果食五槃中心著火鑪呪師面向東取牛乳相和更取頗具羅木此云穀樹長一尺截一百八段以酥蜜柱塗兩頭呪一遍已一擲火中如是滿足一百八遍燒之數數誦呪若作此法卽得奢摩他恒沙四重五逆之罪每月十五日洒浴誦呪作如前法隨意往生阿彌陁佛國阿彌陁護身結界印第三准初身印惟改二中指及掌相著護身結界訖然後坐禪阿彌陁坐禪印第四合腕左右中指無名指直豎令節文相當著左右小指各㧙在二無名指背上頭當上節二大指竝直豎屈二頭指中節頭壓大指頭用治病若身有病作四肘水壇先作身印請喚阿彌陁佛及觀世音大勢至像師坐呪牛乳一百八遍火燒七日爲之日如是其病卽差從日入時卽作此到初夜卽休至後夜更作至天明卽休如是七日爲之阿彌陁佛滅罪印第五合腕左右中指無名指直豎令節文相當著開二小指直豎開二頭指中指背上勿著頭少曲二大指竝豎頭壓中指第二節行者坐禪時作此印誦結界呪摠呪白芥子水火於房裏著欲結界時先以呪水從東北角右繞散之還到東北角休其次以白芥子亦同前後以手把火繞之亦同如是結界三遍竟次卽坐禪准禪定法觀察思惟衆罪業垢於禪定中心生慚愧作印懺悔悔其無始乃至今生所造之過然後呪一切藥二十一服之卽差一切罪滅學眞如爲識無生智慧觀助呪兼修迴向菩提之道阿彌陁佛心印第六右手中指已下三指摠屈入左手掌把左手大指還以右大指壓右三指甲上二頭指直豎搩開之作四肘壇以五色作其壇中央安阿彌陁佛華座東方安文殊師利華座亦名曼殊室唎文殊師利印呪第七准金剛王印惟改二頭指各捻中指上節背頭指來去呪曰婆雞陁那麽莎訶北方安十一面觀世音華座十一面觀世音印呪第八印同般若身大指來去呪曰阿嚧力唵帝𡅏鹿計計阿反三毘闍薩婆奢都嚕波囉末平音去音迦囉去音莎訶南方安大勢至菩薩華座大勢至菩薩印呪第九右無名指㧙左無名指中指背向頭中指歧閒入左無名指從右中指無名指歧閒出之卽入食指中指歧二頭指各屈鉤二無名指頭屈二中指壓二大指上頭向內先以左小屈右無名指背以右小指握左小指背大指來去呪曰嚧池囉末地地阿反二忘婆去音瞋陁頻陁嗚𤙖㧊莎訶又大勢至菩薩印第十准下阿彌陁佛頂印惟改二食指捻二中指頭其食指少許屈次以二大指竝掩右中指中節上大指來去又一大勢至印第十一准阿彌陁佛身印中惟改二中指豎指著次以二食指㧙在中指背後相拄次以二大指竝頭屈入中指下節邊大指來去呪曰跋折囉跋折哩二合瞿咤瞿致尼槃陁槃陁訶那訶那馱訶馱訶鉢遮鉢遮嗚𤙖㧊莎訶每月十五日洒浴作此法者卽得阿毘跋致地當作四肘五色水壇水罐五枚四角各一中央一枚各以生絹長一二尺繫其罐項飮食十盤燈十六盞燒沈水香供養其作壇法同餘壇法共四人僧結伴行道更不得多四人竝著黃屑袈裟若是賢者卽著白衣方入作法更不得著多雜色衣袈裟竝不得上廁惟食秔米乳糜果子不得喫菜日日三時作法供養從十二月八日起首至十五日供養法事竟當取中心水罐灌受法人頂著淨衣引入道場作供養事畢卽休散去道場若作此法如日光照雪衆罪消滅命終之後生阿彌陁佛國若是女人作此法者命終之後化成男子往生彼國此是心印法憂婆唎馱夜法此云小心法此是阿彌陁佛成道法作者證入不退之位殘食散施法人勿食之阿彌陁佛頂印第十二准佛刀印惟改以二中指相叉於中節文直申卽是頂印用治病時作二肘水壇置阿彌陁佛像安火鑪燒沈檀熏陸相和燒病人面向西坐合掌師面向東坐以香繞病人頭上呪擲火中如是滿足一百八遍日三時作其病人至心念佛病卽除差此是阿彌陁佛頂法阿彌陁佛輪印第十三左右手以二大指各捻無名指頭壓左當心若欲說法論義之時日日作此法一切歡喜死生阿彌陁佛國若欲求財貨飮食等物者作四肘水中心安置阿彌陁佛像設五盤食壇中心一盤四方各一盤呪師面向五日一日三迴作此法其呪師衣服竝皆黃色不得餘色所求如意若人熱病呪五色線二十一遍作二十一結繫病者頸病人念阿彌陁佛呪師手把香鑪供養讚歎十方佛卽若欲令八部鬼神天及佛菩薩剛歡喜者作四肘水壇呪師必須潔男子女人不得相觸其壇中心安阿彌陁佛像像面向西飮食八盤二十八盞水罐一枚中心於佛前火鑪呪蘇曼那花一遍一擲火中是滿一百八遍以平等慈悲心爲一切衆生作此法者卽得神驗皆生歡若日日作種種供養阿彌陁佛呪滿十萬遍作印法者卽得滅罪終生彼國又若欲得生彼國者亦更以泥作阿彌陁佛像十萬軀滅罪死生阿彌陁佛國日日供養時以金作數珠若無用銀若無銀者用赤銅赤銅者用水精數一百八枚無者五十四枚更無者四十二枚更無者二十一枚如此等珠掐之誦呪時以珠爲十波羅蜜多以念佛誦呪爲阿耨多羅三藐三菩提若作阿彌陁佛供養時應用上件物等作珠餘物不得若作餘雜物者一切不得驗其中最好者以水精作數珠誦呪者衆罪皆滅如珠映徹自身亦然此水精珠者通用一切佛菩薩金剛天等法阿彌陁佛療病法印第十四先仰左手四指仍屈卽以右手覆於左手右手四指亦屈與左手急相鉤令二拳節各拄掌心其二大指各直豎之是一法印降伏一切諸惡鬼神有人病者當用印之其病卽愈此等諸印皆誦心呪佛說作數珠法相品爾時佛告苾芻苾芻尼優婆塞迦波斯迦諸善男子善女人等當發心誦阿彌陁經念阿彌陁佛及誦持我三昧陁羅尼秘密法藏神印呪者得成就往生彼國及共護念一切衆復能苦行至心受持日日供養心專在莫緣餘境若誦經念佛持呪行者一一各須手執數珠依阿彌陁佛三昧教說復依如此一切陁羅尼諸佛菩薩金剛天等法中所出其數皆須具諸相貌其相貌者有其四種何者爲四一者金二者銀三者赤銅四者水精其數皆滿一百八珠或五十四或四十二或二十一亦得中用若以此等寶物數珠掐之誦呪誦經念佛諸行者等當得十種波羅蜜功德滿足現身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果其四種中水精第一其水精光明無比淨無瑕穢妙色廣大若得佛菩提願故洞達彼國一如珠以是義故稱之爲上把其珠掐能除滅念誦行者四重五逆衆罪所有報障一切惡業不能染著珠光明不受色相若人常行念佛法用木槵子以爲數珠若欲誦呪受持人者用前四色寶爲數珠若作菩薩呪法業者用菩提子以爲數珠無可用蓮華子充若作火頭金剛業用肉色珠以爲數珠此等數珠皆合法相是故我以此法護念世閒持法行者是衆會中一切菩薩摩訶薩金剛天等聞佛所說數珠法已莫不歡喜同時稱善佛言若人欲作法相數珠先喚珠匠莫論價直務取精好其寶物等皆須未曾經餘用者一一皆須內外明徹無有破缺圓淨皎潔大小任意與其珠匠先受八齋香湯洒浴著新淨衣與作護身嚴一道場懸諸幡花以香水埿一小壇子日日各以香華供養又著一兩盤餠果供養又復夜別然七燈作是相珠一百八顆造成珠又作一金珠以爲母珠又更別作十顆銀珠以充記子此卽名爲三寶法相悉充圓備能令行者掐是珠時常得三寶加被護念言三寶者所謂佛寶法寶僧寶以此證驗何慮不生西方淨土作是珠已於此壇中更以種種香水洒珠又著七盤食然三七燈請佛般若菩薩金剛及諸天等啓供養稱讚三寶威神力故種種法事皆有效驗然後持行隨身備用切諸惡不相染著一切鬼神共相敬是故福力具足成辦功德滿願名數珠秘密功能其阿彌陁佛陁羅尼印呪有八萬四千法門於中略出此要如如意寶以上阿彌陁佛法竟依法行之福無限也大輪金剛陁羅尼無悉半音咥哩二合耶隊迦上一他伽陁上二唵鞞囉時鞞囉摩訶斫迦囉二合跋折哩薩多薩娑囉帝娑囉怛囉曳怛囉毘陁麽你三盤誓你囉麽底悉陁阿揭唎怛𡃤焰二合十一十二注去上處依注去上音法讀之注二合處其上一字必須半音與其下字合音讀之注半音處必須片音誦此陁羅尼三七遍卽當入一切曼茶羅此云壇也所作皆成誦呪有身印等種種印法若作手印誦諸呪法易得成驗若未曾入灌頂壇者不得輒作一切手印若人誦此陁羅尼者卽同入壇作印行用不成盜法也佛說跋折囉功能法相品唐云金剛杵爾時佛在耆闍崛山大會演說諸陁羅尼秘密法藏金剛藏菩薩從座而起前白佛言世尊如來今會說此微妙可貴之法我等心中甚大歡喜得未曾有是諸欲界天魔波旬及鬼神等莫不戰悚我等思惟諸魔心意實難測量或欺或叛若不豫防恐彼輕慢我諸佛法惟願世尊聽我出一不可思議難測之法當得護持如來正法降伏諸魔不令魔等於諸世閒爲之暴亂佛歎言善哉善哉爾時金剛藏菩薩忽從頂上涌出三股跋折囉形如金光色當出之時大千世界六種震動現坐鬼神一時崩倒鬼神汝等莫怕我金剛藏有如是等神通自在大威力故涌出如此難測之相以此當助護我正法我今印仍以過去眞佛舍利七粒付囑菩令其舍利隱在其中將爲實信相護持防諸外道欲界天魔心生輕因卽稱名摩訶跋折囉是故常能威侍我側拒諸魔事旣有利益亦願有人持我法者及持菩薩金剛天等陁囉尼法皆須具足如法之相而常擬備現座大衆皆言稱善作跋折囉幷功德法若人欲作跋折囉者先取金等五色之物皆未曾經作器用者何名五色一金二銀三赤銅四鑌鐵五錫合和爲作跋折囉形若無此五種可用霹靂棗心亦得且未作其跋折囉前須豫呪金銅等物一百八遍呪曰摩訶迦囉那咤俱鉢囉莎訶呪訖當取月欲蝕時先於十四日候如此上日不著宜取八月十三日亦是上日斯日晨朝豫遣其匠受持齋戒香湯洒浴著新淨衣其欲請作跋折囉主亦復如是俱潔淨訖豫淨修理於一淨所安立而作護身結界法至十五日朝更遣其匠香湯洒浴著新淨衣與作護身及自護身結界法事當道場中作一水壇請佛般若諸大菩薩金剛天等又請舍利一二七粒置其壇中其壇東邊以牛糞泥作一冶鑪次喚火天令其守鑪匠面向西呪師自身在壇西邊正面向東敷草爲席胡跪而坐其壇中著七盤飮食於其鑪邊更一盤食結護如常請佛般若諸大菩薩金剛天等又以種種香花印法供養三寶三遍七遍然後動作一鑄使成莫令瑕缺上下無欠端直平正無有缺減是名一寶最爲上首若一鑄不成後雖覆作是無用其人亦不合行我之秘密三藏法門設强行用常有魔事無所成卻被殃身其跋折羅可重八兩十二指橫指爲量兩頭三股亦有五其五股者名爲大跋折囉必須終持梵行者合用受持若無戒行不得持用五股損身其跋折囉皆須腰閒圓作似檳榔形中閒可容一把許盡力雕鏤惟取端正不得麤惡治了已眞金塗飾正當腰閒開一方擬下舍利法用形勢因緣與今本樣一種行者示語令好用心作之備不輕當作杵時呪聲莫絕香煙不其匠功價任索多少不得酬還須當日使作摠了跋折囉竟其匠報呪師言作杵已了其呪師手把香鑪及七寶函右繞道場作讚歎云十方諸佛法寶成就梵音法事往迎看杵至於鑪邊散諸香華作讚歎法事慇懃禮請其匠長跪兩手捧著行者手中七寶函內訖其匠乃禮謝口云種多不如法瑩磨嚴飾皆不稱意施歡喜願滅諸罪呪師答云異常殊妙端嚴如法分相具足最上無比生慚愧願除匠者三業宿障生生世世與佛因緣法會相値語已匠更禮拜發願云云燒香合掌請取舍利呪師卽起繞壇三帀至本坐處卻住一面啓告十方一切諸佛般若菩薩金剛天等云云還作香花供養法事悲泣雨取龍腦香可一捻許內跋折囉腰閒孔中後取舍利內跋折囉腰孔中更作香花法事供養供養畢已將杵起右繞道場至其匠所跪地受與匠者匠者至心珍重燒香供養禮拜已卽以兩手捧跋折囉閉其孔到牢密釘閉事訖還以兩手捧授呪呪師禮拜受取而起匠者更禮三拜捧舍利函心口發願云云行者手捧舍利寶函右繞道場行道還至本處以諸香華及作印法更供養訖遣匠出去於後復將舍利寶函還至道場自候相貌至夜壇中然三七燈任意安置及著餠種種香花供養事竟於壇西面結加趺坐呪師右手把跋折囉左手掐珠惟須盡力至心誦呪限至現於三種光相何爲三相一者其跋折囉自然而暖二者煙出三者放大光明若煖相現持杵行者自然感得一切藥叉羅剎及諸人等皆悉同心恭敬如佛若煙相現持杵行者自然感得所去之處一無障㝵又無病苦若放光相現感得一切呪神自在擁護行者行者常爲一切天八部鬼神非人等皆悉恭敬仍於一切諸衆生類六分之中稱於無比自佛已下但是諸呪能誦得者皆悉成就最勝靈驗由是金剛跋折囉杵威神力故於後若欲用跋折囉如法捧杵未用以前誦軍茶利大心呪滿一七遍已卽以此杵如護身法然後便作大結界法一切時中加意護淨以爲常則方行法事所作皆驗若療病用跋折囉時不得越分竝須護淨如法用者於呪師身常好安隱已說跋折囉法功能竟佛說陁羅尼集經卷第二佛部卷下庚子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겹옷을 말한다.
  2. 2)산스크리트원전인 범본을 가리키는 말. 범갑(梵匣)⋅범협(梵篋) 또는 범협(梵夾)과 같다. 범협(梵篋)은 패엽(貝葉)을 중첩하여 판목을 두 끝에 끼어서 노끈으로 맺은 모양이 마치 상자에 넣은 것과 흡사하므로 범협이라 한다.
  3. 3)묘탑(墓塔)ㆍ부도(浮圖)ㆍ부두(浮頭)ㆍ포도(蒲圖)ㆍ불도(佛圖)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되는데, 원래는 불타와 같이 붓다를 번역한 것, 또는 탑파가 조금 변한 소리라고 하며, 더 나아가 승려들까지 부도라 부르기도 한다. 사리가 없는 탑을 부도라 한다.
  4. 4)산스크리트로 namaḥ sarvatathāgatabhyo arhatebhyaḥ samyaksaṃbuddhabhyaḥ tad yathā śoddhaniśoddhani sarvadharma biśosarvapapaṃ biśoddhani śuddhe biśuddhe sarvadharma viśuddhe svāhā이다.
  5. 5)죄를 멸하고 독충을 제거하는 법.
  6. 6)산스크리트로 oṃ sarvacitika viśuddharani svāhā이다.
  7. 7)장애를 피하고 온갖 병을 낫게 하는 법.
  8. 8)산스크리트로 tad yathā āmṛte aśapātaṃki mamara mamara śama praśama upaśama dhuna bidhuna dhuri dhumari svāhā이다.
  9. 9)산스크리트로 oṃ śina śina kara kara mara mara sara sara bhura bhura cchindha cchindha bhindha bhindh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10. 10)산스크리트로 namaḥ sarvabuddhabhyaḥ sara sara sura sura bhura bhura sarva avartaya svāhā이다.
  11. 11)산스크리트로 khadira. 또는 카타라(佉陀囉)ㆍ카달라(佉達羅)ㆍ겁타라(劫陀羅)ㆍ겁지라(劫地羅)ㆍ카달라(佉達羅)ㆍ가지라(珂地羅)ㆍ카지락가(佉地洛迦)ㆍ카제라가(佉提羅迦)ㆍ가려라(呵黎羅)ㆍ가려라(軻黎羅)ㆍ가려라(可黎羅) 등으로 쓴다. 간략히 칭하여 구타(佉陀)라 하며 나무의 명칭이다. 밀교의 수법 가운데 호마목(護摩木)이나 금강궐(金剛橛)의 용도로 쓰는 재질이 견고한 나무이다. 의역하여 자강(紫橿) 또는 자강(紫畺)ㆍ담목(檐木)ㆍ담목(擔木)ㆍ견경목(堅硬木)ㆍ왕용수(王冗樹)ㆍ공파목(空破木)이라 한다. 혜원(慧苑)의 『음의(音義)』 권하에서는 고련목(苦楝木)이라 칭하였는데 와전이다. 또는 세간에서 전하는 구다라산(佉陀羅山)에 있는 지장보살의 화상(畫像)이다. 『장아함경』 18권ㆍ『구사론광기(俱舍論光記)』 11권 등 모든 경론에도 역시 카다라산이라 기재되어 있다. 곧 그 산에 카다라나무가 많은 데에서 그러한 이름이 있게 되었다. 혹은 그 산에 보배나무의 형상이 흡사 이 나무와 같으므로 이 나무의 이름으로 그 산의 명칭을 삼게 된 것이다.
  12. 12)산스크리트로 oṃ svasarvacitika āpratihati triśaṃku svāhā이다.
  13. 13)산스크리트로 oṃ śikisamaya sāme svāhā이다.
  14. 14)산스크리트로 oṃ hūṃ uruni niri mari arukini hūṃ svāhā이다.
  15. 15)산스크리트로 oṃ uruni svāhā이다.
  16. 16)산스크리트로 oṃ śatru pramataniya svāhā이다.
  17. 17)산스크리트로 oṃ śikisamaya sāme svāhā이다.
  18. 18)산스크리트로 oṃ cibara cibara buddha vajra apratihat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19. 19)산스크리트로 oṃ krodhan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20. 20)산스크리트로 oṃ vajracihemaṃ svāhā이다.
  21. 21)산스크리트로 oṃ mari mari marini dhara dhar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22. 22)산스크리트로 oṃ khāgaramana pradamagu śuddhaya svāhā이다.
  23. 23)산스크리트로 nama sarvaturgate pariśuddhanerājāya tathāgataya arhate samyaksaṃbuddhaya tad yathā śoddhani śoddhani sarvapabaṃbiśoddhani śuddhi śuddhi viśuddhi sarvadharmaviśuddhi svāhā이다.
  24. 24)산스크리트로 oṃ padma prakṛtipiran hūṃ이다.
  25. 25)산스크리트로 oṃ śurudharalaktija pasakara prabha ehe ehe bhagavan svāhā이다.
  26. 26)산스크리트로 oṃ bilukini sara sara siri siri suru suru arukini arukini apapa paya svāhā이다.
  27. 27)산스크리트로 oṃ dhara dhara sakaradhana kuyaṃbhira gaṭa gaṭa maṭa maṭa abhiśa abhiśa svāhā이다.
  28. 28)산스크리트로 namo sañcaya oṃ sphoṭa sphoṭi jvala jvala maṭa maṭa bhañca bhañca abhiśa abhiś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29. 29)산스크리트로 oṃ vajra yaṅke svāhā이다.
  30. 30)산스크리트로 oṃ hulu hulu cantali mataṅga svāhā이다.
  31. 31)산스크리트로 namo ratnatrayāya nama kinbhira hakṣera mikhala antra manira sulara intra bhyara maśura kankṣira jodura bhiṣara nama bhiṣajaguru baidhuryāprabharājaya tad yathā bhaiṣaje bhaiṣaje bhaiṣaje samudgate svāhā이다.
  32. 32)비사리국(毘舍離國, Vaiśāli)을 말한다. 중인도에 있던 나라로 석가모니불께서 교화하시던 곳이다. 유마거사가 있던 나라이다.
  33. 33)가벼운 바람결에도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나무.
  34. 34)온갖 보배구슬을 엮어서 만든 그물. 불국토와 천계(天界) 등에 모두 온갖 보배로 장엄한 그물이 있다. 그러므로 불전(佛殿)을 장엄하거나 불상 위에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한다.
  35. 35)진언수행자가 단을 건립할 때에 단을 바르는데 사용하는 다섯 가지의 염료(染料). 즉 백ㆍ황ㆍ적ㆍ청ㆍ흑색의 다섯 가지 염분(染粉)이다. 백색은 갱미분(秔米粉), 황색은 울금가루, 혹은 황토가루, 적색은 주사(朱沙)가루ㆍ적토(赤土)가루 등, 청색은 청대(靑黛)가루ㆍ건람전(乾藍靛) 등, 흑색은 먹가루 또는 재가루 등을 쓴다. 그 분가루는 모두 침향가루를 섞어서 사용한다.
  36. 36)수애(水磑)는 수차(水車)를 말한다.
  37. 37)산스크리트로 oṃ purmra sumayaṃ svāhā이다.
  38. 38)산스크리트로 Potalaka, Potala. 전설적으로 남인도의 해안에 있다고 신앙되는 관음의 영장(靈場). 백화(白華)ㆍ광명산(光明産)ㆍ해도(海島)라고 번역한다. 신역 『화엄경』이 그 출전(出典)이다. 밀교에서는 『불공견삭신변진언경』 15권 등에 관음궁전 가운데에서 부처님의 설법을 상정(想定)하는 것도 있다. 관음의 영장이라는 개념은 인도에서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는데, 중국에서는 절강성(浙江省)의 여러 섬 가운데 보타산(補陀山)이 있고, 티베트에서는 달라이라마가 관음의 화신으로써 라싸의 궁전을 보타락이라 칭한다. 한국에는 강원도의 오대산의 바닷동굴을 낙산(洛山)이라 한다. 일본에서도 기주(紀州)의 나지산(那智山)을 보타락산의 동쪽이라 하는 등 관음의 영장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39. 39)8난처(難處)의 하나. 즐거움이 지나쳐서 법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 곳.
  40. 40)보살의 물러나지 않는 경지. 악취, 성문, 벽지불에 떨어진다거나 혹은 깨달은 보살의 지위나 깨달은 법을 퇴실하지 않게 되는 경지.
  41. 41)산스크리트로 namo aryāamitabhya tathāgataya arhate samyaksaṃbuddhaya tad yathā oṃ amṛti hana hana sarvapabāni daha daha sarvapābani hūṃ phaṭ phaṭ svāhā이다.
  42. 42)산스크리트로 oṃ hulu hulu tiṣṭha tiṣṭha bandha bandha hana hana amṛti hūṃ phaṭ이다.
  43. 43)산스크리트로 namo ratnatrayāya namo aryāamitabhaya tathāgataya arhate samyaksaṃbuddhaya tad yathā amṛte amṛtisambhabe amṛtucipabe amṛtabegaranta gamini gagana girtikari sarvapāpakaśaṅkaraya svāhā이다.
  44. 44)팔엽연화로써 아미타불의 자리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45. 45)산스크리트로 oṃ vakyetaṃnama svāhā이다.
  46. 46)산스크리트로 oṃ aroli oṃ treloka bijaya sarvaśadruṃ pramathana karaya svāhā이다.
  47. 47)산스크리트로 oṃ ruciramatimaṃsa pūjana chindha bindh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48. 48)산스크리트로 oṃ vajra vajrini kuṭa kuṭini bandha bandha hana hana daha daha paca paca hūṃ phaṭ svāhā이다.
  49. 49)아미타불주 이외의 경계를 말한다.
  50. 50)또는 환자(槵子)ㆍ목환자(木槵子)ㆍ무환자(無患子)라고 한다. 학명 Koelreuteria paniculata에 속하는 낙엽아교목(落葉亞喬木)으로 높이가 1장 이상이고 초여름에 황색의 작은 꽃이 핀다. 구슬모양의 씨앗은 견고하고 단단하여 염주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51. 51)보리수는 인도 전역 어디서나 무성하게 자라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활엽교목이다. 본래 이름은 핍팔라 혹은 아슈바타인데 부처가 이 나무 그늘에서 자리를 잡고, 정각을 이루지 못하면 이 자리를 일어나지 않으리라고 결심하여, 해탈을 이루었다고 하여 깨달음의 나무[菩提樹]가 된 것이다. 이 나무의 열매로 만든 염주를 보리자(菩提子)염주라 한다.
  52. 52)마노(瑪瑙)의 종류이다.
  53. 53)산스크리트로 namo straiyadukanaṃ tathāgatanaṃ oṃ biraśibiraśi mahācakravajri sata sata sarati sarati dharaya dharaya bidha maṇi saṃbhañjani dharmati cita akaritarayaṃ svāhā이다.
  54. 54)욕계의 꼭대기에 있는 제6천의 주인. 이름을 파순(波旬)이라 한다. 수행하는 사람을 보면 자기네 권속들을 없애고 궁전을 파괴할 것이라 생각하고 마군을 이끌어 수행하는 이를 시끄럽게 하며 정도를 방해하므로 천마라 한다.
  55. 55)산스크리트로 oṃ mahākālā naṭakubara svāh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