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雜阿含經卷第四十九

ABC_IT_K0650_T_049
018_1197_a_01L잡아함경 제49권
018_1197_a_01L雜阿含經卷第四十九

송 천축삼장 구나발타라 한역
018_1197_a_02L宋天竺三藏求那跋陁羅 譯

1294. 무소구경(無所求經)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7_a_03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7_a_04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7_a_05L有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7_a_07L彼天子說偈問佛

큰 힘을 가진 자재(自在)로운 즐거움은
구하는 것 얻지 못함이 없는 데 있다.
무엇이 그것보다 더 훌륭한 게 있으랴.
일체 하고 싶은 것 갖추었기 때문이다.
018_1197_a_08L大力自在樂
所求無不得
何復勝於彼
一切所欲備

그때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7_a_10L爾時世尊說偈答言

큰 힘을 가진 자재로운 즐거움은
그야말로 구하는 게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만일 욕심을 내어 구하는 것 있으면
그것은 괴로움이요 즐거움이 아니다.
구하는 것에서 이미 벗어났다면
이것이 곧 그것보다 즐거운 것이니라.
018_1197_a_11L大力自在樂
彼則無所求
若有求欲者
是苦非爲樂
於求已過去
是則樂於彼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7_a_13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恩愛)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7_a_14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7_a_16L於是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295. 차승경(車乘經)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7_a_18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7_a_19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7_a_20L有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7_a_22L彼天子說偈問佛
018_1197_b_01L
수레는 어느 곳으로부터 생겨났으며
어떤 사람이 수레를 굴릴 수 있습니까?
수레는 굴러서 어디로 가며
무슨 까닭에 닳아 없어집니까?
018_1197_b_01L車從何處起
誰能轉於車
車轉至何所
何故壞磨滅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7_b_03L爾時世尊說偈答言

수레는 온갖 업을 따라 생기고
마음의 의식이 수레를 굴린다.
그 인(因)을 따라 굴러가다가
인이 부서지면 수레도 없어진다.
018_1197_b_04L車從諸業起
心識能於車
隨因而轉至
因壞車則亡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7_b_06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7_b_07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7_b_09L於是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296. 구루타왕녀경(拘屢陀王女經)3)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7_b_11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7_b_12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7_b_13L有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구루타왕(拘屢陀王)의 딸 수바라제사(修波羅提沙)가 오늘 아들을 낳았습니다.”
018_1197_b_15L彼天子白佛言世尊拘屢陁王女修波羅提沙今日生子
부처님께서 천자에게 말씀하셨다.
“그것은 좋지 않은 일이다. 그것은 좋은 일이 아니다.”
018_1197_b_17L佛告天子此則不善非是善
그때 그 천자가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時彼天子卽說偈言

사람은 아들 낳으면 즐거워하고
세상은 아들 낳으면 기뻐합니다.
부모가 나이 많아 늙고 쇠하면
아들이 받들어 보양하는데
구담께서는 무슨 까닭에
아들 낳은 것을 좋지 않다 합니까?
018_1197_b_18L人生子爲樂
世閒有子歡
父母年老衰
子則能奉養
瞿曇何故說
生子爲不善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7_b_20L爾時世尊說偈答言

마땅히 알라. 그것은 늘 항상 됨 없고
순전한 공(空)이 쌓인 것이지 자식이 아니다.
자식 낳을 적에 언제나 고통이 따르건만
어리석은 사람들은 즐겁다 말하네.
그러므로 나는 자식을 낳는 일
좋은 것이 아니라고 말하느니라.
018_1197_b_21L當知恒無常
純空陰非子
生子常得苦
愚者說言樂
是故我說言
生子非爲善
018_1197_c_01L
좋지 않은 것을 좋다고 생각하고
사랑하지 않을 것을 사랑하나니
실로 괴로움의 꼴은 즐거움과 비슷해
언제나 방일에 짓밟히느니라.
018_1197_b_23L非善爲善像
念像不可念
實苦貌似樂
放逸所踐蹈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7_c_02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7_c_03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7_c_05L於是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297. 수경(數經)4)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7_c_07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7_c_08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7_c_09L有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7_c_11L彼天子說偈問佛

어떤 것이 수(數)로 헤아려야할 것이며
어떤 수가 감출 수 없는 것인가?
어떤 것이 수(數) 중의 수이며
어떻게 그 말을 설명할 수 있는가?
018_1197_c_12L云何數所數
云何數不隱
云何數中數
云何說言說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7_c_14L爾時世尊說偈答言

부처님 법은 측량하기 어렵고
두 가지 흐름이 드러나지 않으니
저 명(名)과 색(色)이
모두 남김없이 사라졌다네.
018_1197_c_15L佛法難測量
二流不顯現
若彼名及色
滅盡悉無餘

이것이 수로 헤아려야할 것이고
그런 수는 감출 수 없네
이것이 저 수 중의 수이며
이것을 일러 수(數)라고 하느니라.
018_1197_c_17L是名數所數
彼數不隱藏
是彼數中數
是則說名數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7_c_18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7_c_19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7_c_21L於時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298. 하중경(何重經)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7_c_23L如是我聞
018_1198_a_01L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8_a_01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8_a_02L有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8_a_04L彼天子說偈問佛

어떤 물건이 땅보다 무거우며
어떤 물건이 허공보다 높은가?
어떤 물건이 바람보다 빠르며
어떤 물건이 풀보다 많은가?
018_1198_a_05L何物重於地
何物高於空
何物疾於風
何物多於草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18_1198_a_07L爾時世尊說偈答言

계율 지킨 덕이 땅보다 무겁고
교만하게 구는 것이 허공보다 높다.
억념(憶念)하는 것이 바람보다 빠르고
사상(思想)이 풀보다 많은 것이니라.
018_1198_a_08L戒德重於地
慢高於虛空
憶念疾於風
思想多於草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8_a_10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8_a_11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8_a_13L於是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299. 십선경(十善經)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8_a_15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8_a_16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어떤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온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8_a_17L彼天子容色絕妙於後夜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8_a_19L彼天子說偈問佛

어떻게 계율 지키고 어떻게 위의 가지며
무엇으로 얻고 무엇으로 업을 삼습니까?
지혜로운 사람은 어떻게 머무르며
어떻게 해야 천상에 태어납니까?
018_1198_a_20L何戒何威儀
何得何爲業
慧者云何住
云何往生天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8_a_22L爾時世尊說偈答言
018_1198_b_01L
생물 죽이는 일 멀리 여의고
계율을 지켜 스스로 쾌락을 막으며
해칠 마음으로 중생을 가해하지 않으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a_23L遠離於殺生
持戒自防樂
害心不加生
是則生天路

주지 않는 것 가지는 일 멀리 여의고
주는 것만 가지되 마음으로 즐거워하며
도둑질할 마음을 끊어버리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2L遠離不與取
與取心欣樂
斷除賊盜心
是則生天路

남의 부인과 관계를 맺지 않고7)
삿된 음행을 멀리 여의며
자기 아내에게 만족할 줄 아는 것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3L不行他所受
遠離於邪婬
自受知止足
是則生天路

자기나 또 남을 위하여
재물과 또 오락을 위하여
거짓으로써 말하지 않으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4L自爲己及他
爲財及戲笑
妄語而不爲
是則生天路

이간하는 말을 끊어버려서
남의 친한 벗 떠나게 하지 않고
피차(彼此)간에 늘 화합시킬 것을 생각하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6L斷除於兩舌
不離他親友
常念和彼此
是則生天路

사랑스럽지 않은 말 멀리 여의고
부드러운 말만하여 남을 상하게 안하며
항상 순박하고 아름다운 말만하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7L遠離不愛言
軟語不傷人
常說淳美言
是則生天路

정성스럽지 못한 말을 하지 않고
유익하지 않은 말을 하지 않으며
언제나 법다운 말을 따르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08L不爲不誠說
無義不饒益
常順於法言
是則生天路

촌락이나 혹은 텅 빈곳에서
이익 봐도 내 것이라 말하지 않고
탐하는 그 생각 내지 않으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10L聚落若空地
見利言我有
不行此貪想
是則生天路

사랑하는 마음가져 해칠 생각 없고
그 어떤 중생도 헤치지 않으며
마음에 항상 원한을 맺지 않으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11L慈心無害想
不害於衆生
心常無怨結
是則生天路

괴로운 업과 그 과보(果報)
이 두 가지를 깨끗이 믿고
바른 소견을 받들어 가지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12L苦業及果報
二俱生淨信
受持於正見
是則生天路

이와 같이 온갖 착한 법으로
열 가지 깨끗한 업을 닦고
고루 받아서 견고하게 지키면
그것이 곧 하늘에 태어나는 길이다.
018_1198_b_14L如是諸善法
十種淨業迹
等受堅固持
是則生天路

그때 그 천자는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198_b_15L彼天子復說偈言

오래 전에 바라문을 보았는데
그 바라문은 반열반을 얻어
모든 두려움에서 이미 벗어났고
세상 은애까지 모두 벗어났네.
018_1198_b_16L久見婆羅門
逮得般涅槃
一切怖已過
永超世恩愛

그때 그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곧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8_b_18L於時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0. 석제환인경(釋帝桓因經)8)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8_b_20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8_b_21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석제환인(釋帝桓因)이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8_b_22L爾時釋提桓因於後夜時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其身光遍照祇樹給孤獨園
018_1198_c_01L그때 석제환인이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198_c_01L釋提桓因說偈問佛

어떤 법이 명(命)을 알지고
어떤 법이 명을 깨닫지 못합니까?
어떤 법이 명을 가두고 있고
어떤 법이 명을 결박하고 있습니까?
018_1198_c_02L何法命不知
何法命不覺
何法鎖於命
何法爲命縛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8_c_04L爾時世尊說偈答言

색(色)은 명을 알지 못하고
모든 행(行)은 명을 깨닫지 못하며
몸뚱이[身]가 그 명을 가두고 있고
집착[受]9)이 명을 결박하고 있다.
018_1198_c_05L色者命不知
諸行命不覺
身鎖於其命
受縛於命者

석제환인이 다시 게송으로 여쭈었다.
釋提桓因復說偈言

몸뚱이는 명이 아니라 함은
모든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이네.
그러면 어떻게 익숙해질 수 있어서
몸에 깊이깊이 감추어져 있고
어떻게 한 조각 살덩이에 머물러 있으며
어떻게 목숨인지 몸인지를 압니까?
018_1198_c_07L色者非爲命
諸佛之所說
云何而得熟
於彼甚深藏
云何段肉住
云何知命身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8_c_10L爾時世尊說偈答言

가라라(迦羅邏)가 그 처음이 되어
그 가라라에서 태[胞]가 생기며
그 태는 살 조각이 되고
그 살 조각은 단단하고 두터워지며
그 단단하고 두터운 것이 지절(支節)과
온갖 모발(毛髮) 따위를 만들어낸다.
018_1198_c_11L迦羅邏爲初
迦羅邏生胞
胞生於肉段
肉段生堅厚
堅厚生肢節
及諸毛髮等

여기에서 몸뚱이의 모든 감관은
차츰차츰 그 형체를 갖추게 되고
그 어미가 먹는 음식으로 말미암아
태 안에 있는 몸을 기르느니라.
018_1198_c_13L色等諸情根
漸次成形體
因母飮食等
長養彼胎身

그때 석제환인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8_c_15L爾時釋提桓因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1. 장승천자경(長勝天子經)10)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8_c_17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8_c_18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장승 천자(長勝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8_c_19L有長勝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身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장승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8_c_21L彼長勝天子而說偈言

미묘한 법을 잘 배워 설하려면
여러 사문들과 가까이 친하고
아무도 없이 오직 혼자서
바르게 사유(思惟)하며 고요하게 있어야 한다.
018_1198_c_22L善學微妙說
習近諸沙門
獨一無等侶
正思惟靜默
018_1199_a_01L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9_a_01L爾時世尊說偈答言

미묘한 법을 잘 배워 설하려면
여러 사문들을 가까이 친하고
아무도 없이 오직 혼자서
조용히 모든 감관을 고요하게 하라.
018_1199_a_02L善學微妙說
習近諸沙門
獨一無等侶
寂默靜諸根

그때 장승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9_a_04L長勝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首佛足卽沒不現

1302. 시비경(尸毘經)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9_a_06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9_a_07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시비 천자(尸毘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9_a_08L有尸毘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시비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9_a_10L彼尸毘天子說偈問佛

어떤 사람과 함께 있어야 하고
어떤 사람과 같이 일을 해야 하며
마땅히 어떤 법을 알아야
더욱 훌륭하며 악(惡)이 아니겠습니까?
018_1199_a_11L何人應同止
何等人共事
應知何等法
是轉勝非惡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9_a_13L爾時世尊說偈答言

바른 선비와 함께 머물고
바른 선비와 같이 일을 하며
마땅히 바른 선비의 법을 알면
더욱 훌륭하여 악이 되지 않는다.
018_1199_a_14L與正士同止
正士共其事
應知正士法
是轉勝非惡

그때 저 시비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9_a_16L彼尸毘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3. 월자재경(月自在經)1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9_a_18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9_a_19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월자재 천자(月自在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9_a_20L有月自在天子容色絕妙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월자재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9_a_22L彼月自在天子而說偈言
018_1199_b_01L
그는 장차 구경(究竟)에 이르리라
마치 풀에 의지했던 모기처럼
만일 바르게 생각을 붙들어매면
한결같은 마음으로 잘 선정에 들리.
018_1199_a_23L彼當至究竟
如蚊依從草
若得正繫念
一心善正受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9_b_02L爾時世尊說偈答言

그는 장차 저 언덕에 이르리라
마치 고기가 그물을 찢는 것처럼
선정에 원만하게 갖추어 머물러
마음이 항상 기쁘고 즐거우리.
018_1199_b_03L彼當到彼岸
如魚決其網
禪定具足住
心常致喜樂

그때 저 월자재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9_b_05L彼月自在天子聞佛所說歡喜隨稽首佛足卽沒不現

1304. 비수뉴경(毘瘦紐經)13)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9_b_07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9_b_08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비수뉴 천자(毘瘦紐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9_b_09L有毘瘦紐天子容色絕妙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비수뉴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018_1199_b_11L彼毘瘦紐天子而說偈言

여래(如來)께 항상 공양드리고
항상 늘어나고 자람을 기뻐하네.
바른 법과 율 좋아하고
방일하지 말고 따라 배우라.
018_1199_b_12L供養於如來
歡喜常增長
欣樂正法律
不放逸隨學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9_b_14L爾時世尊說偈答言

만일 그처럼 잘 설법하고
잘 단속해 방일하지 않으면
그는 방일하지 않았으므로
악마가 마음대로 하지 못하리.
018_1199_b_15L若如是說法
防護不放逸
以不放逸故
不隨魔自在

그때 저 비수뉴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9_b_17L於是毘瘦紐天子聞佛所說歡喜隨稽首佛足卽沒不現

1305. 반사라건경(般闍羅健經)14)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9_b_19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9_b_20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반사라건 천자(般闍羅健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9_b_21L有般闍羅健天子容色絕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
그때 그 반사라건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般闍羅揵天子而說偈言
018_1199_c_01L
시끄럽고 어지러운 곳에 있어도
지혜로운 사람은 깨달을 수 있다.
선정에서 깨달은 그 깨달음은
모니(牟尼)께서 사색하신 힘이니라.
018_1199_c_01L憒亂之處所
黠慧者能覺
禪思覺所覺
牟尼思惟力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199_c_03L爾時世尊說偈答言

어지럽고 시끄러운 법 깨달아 알면
바르게 깨달아 열반 얻으리.
만일 바르게 생각을 붙들어매면
한 마음으로 선정에 들 수 있으리.
018_1199_c_04L了知憒亂法
正覺得涅槃
若得正繫念
一心善正受

그때 저 반사라건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199_c_06L般闍羅健天子聞佛所說歡喜隨稽首佛足卽沒不現

1306. 수심경(須深經)1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199_c_08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199_c_09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수심 천자(須深天子)가 그의 권속 5백과 함께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199_c_10L有須深天子與五百眷屬容色絕妙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세존께서 존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아난아, 너는 존자 사리불이 설법을 잘하는 것이 마음에 기쁘고 즐거우냐?”
018_1199_c_13L爾時世尊告尊者阿難何難於尊者舍利弗善說法心喜樂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사람이든지 미련하지 않고 어리석지 않으며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어느 누군들 존자 사리불의 훌륭한 설법을 듣고 마음이 기쁘고 즐겁지 않겠습니까? 왜냐하면, 저 존자 사리불은 계율을 잘 지키고 많이 들었으며, 욕심이 적고 만족할 줄 알며, 열심히 정근하고 멀리 떠나 바른 생각에 굳건히 머무시고 지혜로 선정에 듭니다. 그는 민첩하고 빠른 지혜ㆍ이로운 지혜ㆍ벗어나는 지혜ㆍ결정하는 지혜ㆍ큰 지혜ㆍ넓은 지혜ㆍ깊은 지혜ㆍ견줄 데 없는 지혜 등, 지혜의 보배를 성취하여 잘 교화하는 능력이 있어서 잘 가르쳐 보이고 기쁘게 해주며, 또 가르쳐 보이고 비추어주어 기쁘게 해주는 것을 항상 찬탄하며, 늘 사부대중을 위해 설법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018_1199_c_15L阿難白佛如是世尊何等人不愚不癡有智慧於尊者舍利弗善說法心不欣樂所以者何彼尊者舍利弗持戒多聞少欲知足精勤遠離念堅住智慧正受捷疾智慧利智慧出離智慧決定智慧大智慧廣智慧深智慧無等智慧智寶成就善能教化示教照喜亦常讚歎示教照喜爲四衆說法不惓
018_1200_a_01L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렇고, 그렇다. 네 말과 같다. 어떤 사람이든 간에 우매하지 않고 어리석지 않으며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어느 누군들 존자 사리불의 여러 가지 훌륭한 설법을 듣고 기뻐하지 않겠느냐?
018_1199_c_23L佛告阿難如是如如汝所說阿難爲何等人不愚不有智慧聞尊者舍利弗善說諸法而不歡喜
왜냐하면, 사리불 비구는 계율을 잘 지키고 많이 들었으며, 욕심이 적고 만족할 줄 알며, 열심히 정근하고 멀리 떠나 바른 생각에 굳건히 머무르고 지혜로 선정에 든다.
그는 민첩하고 빠른 지혜ㆍ이로운 지혜ㆍ벗어나는 지혜ㆍ벗어나는 지혜ㆍ결정하는 지혜ㆍ큰 지혜ㆍ넓은 지혜ㆍ깊은 지혜ㆍ견줄 데 없는 지혜 등, 지혜의 보배를 성취하여 잘 교화하는 능력이 있어서 잘 가르쳐 보이고 기쁘게 해주며, 또 가르쳐 보이고 비추어주어 기쁘게 해주는 것을 항상 찬탄하며, 늘 사부대중을 위해 설법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018_1200_a_03L所以者何舍利弗比丘持戒多聞少欲知足精勤正念智慧受超智捷智利智出智決定智大智廣智深智無等智智寶成就善能教化示教照喜亦常讚歎示教照喜爲四衆說法不惓
“세존이시여,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세존께서는 아난을 향해 “그렇다. 그렇다”라고 말씀하시며 사리불의 설법을 칭찬하셨다.
수심 천자와 그 권속들도 “그렇다. 그렇다”고 하면서 마음으로 기뻐하였는데,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명은 더욱 밝고 청정하게 빛났다.
018_1200_a_08L世尊如是如是向尊者阿難如是如是稱嘆舍利弗所如是如是須深天子眷屬內心喜身光增明淸淨照耀
그때 수심 천자는 마음으로 기뻐하면서 몸에서 청정한 광명을 발하여 밝게 비추고는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0_a_11L爾時須深天子內懷歡喜發身淨光照耀已而說偈言

사리불은 들은 것 많고
밝은 지혜와 평등한 지혜 가졌네.
계율을 지키며 마음 잘 길들이고
나고 멸함이 없는 열반 얻었다.
그는 최후의 몸을 가지고
모든 악마 군사를 항복 받았다.
018_1200_a_13L舍利弗多聞
明智平等慧
持戒善調伏
得不起涅槃
持此後邊身
降伏於魔軍

그때 수심 천자와 그 5백 권속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0_a_15L彼須深天子及五百眷屬聞佛所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7. 적마경(赤馬經)1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0_a_17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0_a_18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적마 천자(赤馬天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0_a_19L有赤馬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그 적마 천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혹 세계의 끝을 지나가면 나지도 않고 늙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그런 곳에 이를 수 있습니까?”
018_1200_a_21L彼赤馬天子白佛言世尊頗有能行過世界邊至不生不老不死處不
018_1200_b_01L부처님께서 적마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계의 끝을 지나간다 해도 나지도 않고 늙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그런 곳은 없느니라.”
018_1200_a_23L告赤馬無有能過世界邊至不生不老不死處者
적마 천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신기합니다. 세존이시여, 그 이치를 잘 말씀해주셨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아서, 이 세계 끝을 지나간다 하더라도 나지도 않고 늙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그런 곳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세존이시여, 저는 전생 일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제 이름은 적마였고, 신통을 얻고 모든 애욕을 다 여읜 외도의 신선이었습니다.
018_1200_b_02L赤馬天子白佛言奇哉世尊善說斯義如世尊說言無過世界邊至不生不老不死處者所以者世尊我自憶宿命名曰赤馬作外道仙人得神通離諸愛欲
저는 그때 이렇게 생각하였습니다.
‘나는 이런 빠른 신족(神足)을 가졌다. 건장한 사내가 날랜 화살을 쏘아 다라(多羅)나무 그림자를 지나가는 것 같은 짧은 시간에 수미산 하나를 오르고, 한 수미산에 이르러서는 발로 동해를 밟고 넘어 서해에 이른다.’
018_1200_b_06L我時作是我有如是捷疾神足如健士夫利箭撗射過多羅樹影之傾能登一須彌至一須彌足躡東海超至西海
저는 그때 또 이렇게 생각하였었습니다.
‘나는 지금 이렇게 빠른 신통력을 성취하였다. 오늘은 세계의 끝을 찾아보리라.’
이렇게 생각하고는 곧 출발하였습니다. 오직 밥 먹고 대소변을 보는 동안만 제외하고는 잠을 자는 것까지도 아껴가면서 끊임없이 걸어 백 년 동안을 갔습니다. 그러다가 거기에서 목숨을 마쳤으나 그때까지도 세계의 끝을 지나, 나지도 않고 늙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그런 곳에는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018_1200_b_09L我時作是念我今成就如是捷疾神今日寧可求世界邊作是念已便發行唯除食息便利減節睡眠行百歲於彼命終竟不能得過世界至不生不老不死之處
부처님께서 적마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지금 한 길[尋] 밖에 안 되는 몸으로, 세계와 세계의 발생과 세계의 소멸과 세계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설명하리라. 적마 천자여, 어떤 것이 세간(世間)인가? 5수음(受陰)을 말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 그 다섯 가지인가? 색수음(色受陰)ㆍ수수음(受受陰)ㆍ상수음(想受陰)ㆍ행수음(行受陰)ㆍ식수음(識受陰)이니, 이것을 세간이라고 말한다. 어떤 것이 색의 발생[色集]17)인가? 이른바 미래의 존재에 대한 애착ㆍ탐욕ㆍ기쁨을 함께 가지고 거기에 집착하는 것이다. 이것을 세간의 발생[世間集]이라고 하느니라.
018_1200_b_14L佛告赤馬我今但以一尋之身說於世界世界世界滅世界滅道迹赤馬天子等爲世閒謂五受陰何等爲五色受受受陰想受陰行受陰識受陰名世閒何等爲色集謂當來有愛貪喜俱彼彼染著是名世閒集
018_1200_c_01L어떤 것이 세간의 소멸[世間滅]인가? 만일 그가 미래의 존재에 대해 애착과 탐욕과 기쁨을 함께 가지고 거기에 집착하는 것을 남김없이 끊어 버리고 모두 여의어서, 욕심이 없어지고 완전히 소멸해버리면, 그것을 세간의 소멸이라고 한다. 어떤 것이 세간의 소멸에 이르는 길[世間滅道跡]인가? 8정도(正道)인 바른 소견[正見]ㆍ바른 뜻[正志]ㆍ바른 말[正語]ㆍ바른 업[正業]ㆍ바른 생활[正命]ㆍ바른 방편[正方便]ㆍ바른 생각[正念]ㆍ바른 선정[正定]을 일컫는 말이다.
018_1200_b_20L云何爲世閒滅若彼當來有愛貪喜俱彼彼染著無餘斷捨離盡無欲滅息沒是名世閒滅何等爲世閒滅道迹謂八聖道正見正志正語正業正命正方便正念正定是名世閒滅道迹
적마여, 세간의 괴로움을 분명하게 알아 세간의 괴로움을 끊고, 세간의 발생을 분명하게 알아 세간의 발생을 끊고, 세간의 소멸을 분명하게 알아 세간의 소멸을 증명하고, 세간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분명하게 알아 세간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아야 한다. 적마여, 만일 비구가 세간의 괴로움을 알아 끊고, 세간의 발생을 알아 끊으며, 세간의 소멸을 알아 증명하고, 세간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알아 닦으면 적마여, 이것을 세계의 끝을 얻는 것이요 세간의 애욕을 벗어나는 것이라 하느니라.
018_1200_c_02L赤馬了知世閒斷世閒了知世閒集斷世閒集了知世閒滅證世閒滅了知世閒滅道迹修彼滅道迹赤馬若比丘於世閒苦若知若斷世閒集若知若斷閒滅若知若證世閒滅道迹若知若赤馬是名得世界邊度世閒愛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거듭 말씀하셨다.
018_1200_c_08L世尊重說偈言

일찍이 멀리 돌아다녀서
이 세계의 끝을 얻은 일 아직은 없다.
세계의 끝을 얻지 못하면
마침내 괴로움을 벗어나지 못한다.
018_1200_c_09L未曾遠遊行
而得世界邊
無得世界邊
終不盡苦邊

이러한 까닭으로 모니(牟尼)는
세계의 끝을 능히 알고
세계의 끝을 잘 이해하여
모든 범행을 이미 성취하였다.
018_1200_c_11L以是故牟尼
能知世界邊
善解世界邊
諸梵行已立

저 세계의 끝에 대하여
그것을 평등하게 깨달아 알면
그것을 성현의 행이라 하나니
세간을 벗어나 저 언덕에 이르리라.
018_1200_c_12L於彼世界邊
平等覺知者
是名賢聖行
度世閒彼岸

그때 적마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0_c_13L是時赤馬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8. 외도제견경(外道諸見經)18)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0_c_15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비부라산(毘富羅山) 옆에 계셨다.
018_1200_c_16L一時佛住王舍城毘富羅山側
그때 본래 외도 출가자였던 여섯 천자가 있었으니, 첫째는 아비부(阿毘浮)이고, 둘째는 증상아비부(增上阿毘浮)이며, 셋째는 능구(能求)이고, 넷째는 비람바(毘藍婆)이며, 다섯째는 아구타(阿俱陀)이고, 여섯째는 가람(伽藍)이었다.
018_1200_c_17L有六天子本爲外道出家一名阿毘浮二名增上阿毘浮三名能求四名毘藍婆五名阿俱咤六名迦藍
그들은 다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갔다.
018_1200_c_19L來詣佛所
아비부 천자가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阿毘浮天子卽說偈言

비구가 전일하고 지극한 마음으로
언제나 싫어하여 여의는 법을 수행하고
초저녁부터 새벽이 될 때까지
사색에 잠겨 자신을 잘 단속하며
부처님의 설법을 보고 들으면
그는 지옥에 떨어지지 않으리라.
018_1200_c_20L比丘專至心
常修行厭離
於初夜後夜
思惟善自攝
見聞其所說
不墮於地獄

증상아비부 천자도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0_c_22L增上阿毘浮天子復說偈言
018_1201_a_01L
검고 어두운 것 싫어해 여의고
마음은 언제나 스스로를 단속하여
이 세상의 온갖 말이나
서로 다투는 법을 멀리 여의어라.
018_1200_c_23L厭離於黑闇
心常自攝護
永離於世閒
言語諍論法

여래(如來) 큰 스승님으로부터
사문의 법을 받아 가지고
세상을 잘 거두어 보호하여
온갖 나쁜 일 행하지 않게 하라.
018_1201_a_02L從如來大師
稟受沙門法
善攝護世閒
不令造衆惡

능구 천자도 또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1_a_03L能求天子復說偈言

베고 끊고 또 때려 죽여서
가섭(迦葉)께 공양하고 보시해도
그것을 악이라고 보지 않고
또한 복이 된다고 보지도 않네.
018_1201_a_04L斷截椎打殺
供養施迦葉
不見其爲惡
亦不見爲福

비람바 천자도 다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1_a_06L毘藍婆天子復說偈言

나는 말하노니 저 니건(尼乾)
외도(外道) 야제자(若提子)19)
출가하여 도를 배우고
오랫동안 어려운 행을 닦네.
018_1201_a_07L我說彼尼乾
外道若提子
出家行學道
長夜修難行

그 스승의 제자들은
거짓말을 멀리 여의었으니
나는 말하나니 그런 사람은
머지 않아 아라한이 될 것이다.
018_1201_a_09L於大師徒衆
遠離於妄語
我說如是人
不遠於羅漢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1_a_10L爾時世尊說偈答言

죽을 만치 여윈 저 들 여우는
늘 사자와 함께 어울려 놀아도
끝내 작고 여위고 부족하여
능히 사자가 되지 못하느니라.
018_1201_a_11L死瘦之野狐
常共師子遊
終日小羸劣
不能爲師子

니건(尼乾) 큰 스승의 무리들
부질없이 스스로 칭찬하지만
그것은 나쁜 마음으로 하는 거짓말이니
아라한에서 점점 멀어지기만 하리라.
018_1201_a_13L尼乾大師衆
虛妄自稱嘆
是惡心妄語
去羅漢甚遠

그때 천마(天魔) 파순(波旬)이 아구타(阿俱吒) 천자 곁에 붙어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1_a_14L爾時天魔波旬著阿俱咤天子而說偈言

열심히 정근하여 어두움을 버리고
항상 보호해 지키고 멀리 여의어라.
미묘한 빛깔에 깊이 집착해
범천 세계를 탐하고 즐기나니
마땅히 그들을 잘 교화하여
범천에 태어날 수 있게 하리라.
018_1201_a_16L精勤棄闇冥
常守護遠離
深著微妙色
貪樂於梵世
我教化斯等
令得生梵天

그때 세존께서 이렇게 생각하셨다.
‘이 아구타 천자가 말한 게송은 천마 파순이 그 힘을 더해주었기 때문이지, 이 아구타 천자가 제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한 말은 아닐 것이다.’
018_1201_a_18L爾時世尊作是念若此阿俱咤天子所說偈此是天魔波旬加其力故彼阿俱咤天子自心所說
그렇게 생각하고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作是說言

열심히 정근하여 어두움을 버리고
항상 보호해 지키고 멀리 여의어라.
미묘한 빛깔에 깊이 집착해
범천 세계를 탐하고 즐기나니
마땅히 그들을 잘 교화하여
범천에 태어날 수 있게 하리라.
018_1201_a_21L精勤棄闇冥
守護於遠離
深著微妙色
貪樂於梵世
當教化斯等
令得生梵天

그때 세존께서 다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18_1201_a_23L爾時世尊復說偈言
018_1201_b_01L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빛깔들
여기서나 또 저기에서나
혹은 또 허공 중에서
제각기 따로 빛으로 비추네.
018_1201_b_01L若諸所有色
於此及與彼
或復虛空中
各別光照耀

마땅히 알라 그 일체 것은
악마의 결박을 벗어나지 못했으니
마치 미끼 달린 낚시 드리워
물에 노는 고기를 낚는 것 같네.
018_1201_b_03L當知彼一切
不離魔魔縛
猶如垂鉤餌
鉤釣於遊魚

그때 그 천자들은 모두 생각하였다.
‘지금 아구타 천자가 말한 게송을 사문 구담께서는 악마의 말이라고 하셨다. 무엇 때문에 사문 구담께서는 그것을 악마의 말이라고 말씀하셨을까?’
018_1201_b_04L彼時天子咸各念言今日阿俱咤天子所說偈沙門瞿曇言是魔所說故沙門瞿曇言是魔說
그때 세존께서 여러 천자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아시고 말씀하셨다.
“지금 아구타 천자가 말한 게송은 그 천자가 제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한 말이 아니다. 악마 파순이 그 힘을 보태주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018_1201_b_07L爾時世尊知諸天子心中所念而告之言今阿俱咤天子所說偈非彼天子自心所說魔波旬加其力故作是說言

열심히 정근하여 어두움을 버리고
항상 보호해 지키고 멀리 여의어라.
미묘한 빛깔에 깊이 집착해
범천 세계를 탐하고 즐기나니
마땅히 그들을 잘 교화하여
범천에 태어날 수 있게 하리라.
018_1201_b_10L精勤棄闇冥
守護於遠離
深著微妙色
貪樂於梵天
當教化斯等
令得生梵天

“그래서 나는 게송으로 말한 것이다.”
018_1201_b_12L是故我說偈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빛깔들
여기서나 또 저기에서나
혹은 또 허공 중에서
제각기 따로 빛으로 비추네.
018_1201_b_13L若諸所有色
於此及與彼
或復虛空中
各別光照耀

마땅히 알라 그 일체 것은
악마의 결박을 벗어나지 못했으니
마치 미끼 달린 낚시 드리워
물에 노는 고기를 낚는 것 같네.
018_1201_b_15L當知彼一切
不離魔魔縛
猶如垂鉤餌
鉤釣於遊魚

그때 여러 천자들은 다시 이렇게 생각하였다.
‘놀랍구나! 사문 구담은 신비스런 힘과 큰 덕으로 천마 파순도 보실 수 있구나! 그런데 우리들은 보지 못한다. 우리들은 다시 각각 게송으로 사문 구담을 찬탄하자.’
018_1201_b_16L諸天子復作是念奇哉沙門瞿曇神力大德能見天魔波旬而我等不我等當復各各說偈讚歎沙門瞿
그들은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卽說偈言

모든 존재의 몸에 대하여
사랑하고 탐하는 생각을 끊고
그것을 잘 보호하는 사람은
모든 거짓말을 버렸네.
만일 탐욕과 사랑을 끊으려면
마땅히 큰 스승께 공양하여라.
018_1201_b_20L斷除於一切
有身愛貪想
令此善護者
除一切妄語
若欲斷欲愛
應供養大師

세 가지 존재의 애착을 끊고
거짓말을 모조리 부셔버리고
이미 소견의 탐욕을 끊으셨으니
마땅히 큰 스승께 공양하여라.
018_1201_b_22L斷除三有愛
破壞於妄語
已斷於見貪
應供養大師
018_1201_c_01L
왕사성의 제일가는 것
그 이름은 비부라산이다.
설산(雪山)은 산 중에 제일이며
금시조(金翅鳥)는 새 중에 으뜸이다.
018_1201_c_01L王舍城第一
名毘富羅山
雪山諸山最
金翅鳥中名

여덟 방위와 위ㆍ아래에 있는
일체 중생의 세계에서나
그리고 모든 하늘사람 중에서는
등정각(等正覺)이 최상이시네.
018_1201_c_02L八方及上下
一切衆生界
於諸天人中
等正覺最上

그때 여러 천자들은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한 뒤에,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1_c_03L諸天子說偈讚佛已聞佛所說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09. 마가경(摩伽經)20)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1_c_05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1_c_06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마가(摩伽)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1_c_07L有摩伽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마가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1_c_09L有摩伽天子說偈問佛

무엇을 죽이면 편히 잘 수 있고
무엇을 죽이면 좋은 즐거움 얻으며,
무엇을 죽인 어떤 사람이
구담(瞿曇)의 칭찬을 받습니까?
018_1201_c_10L殺何得安眠
殺何得善樂
爲殺何等人
瞿曇所讚嘆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1_c_12L爾時世尊說偈答言

만일 성내는 마음을 죽이면
편안히 누워 잠잘 수 있고
성내는 마음을 죽인 사람은
남으로 하여금 기쁨을 얻게 한다.
018_1201_c_13L若殺於瞋恚
而得安隱眠
殺於瞋恚者
令人得歡喜

성내는 마음은 독(毒)의 뿌리라
그것을 죽인 이를 나는 칭찬한다.
성내는 마음을 죽이고 나면
오랜 세월 동안 근심이 없으리라.
018_1201_c_15L瞋恚爲毒本
殺者我所歎
殺彼瞋恚已
長夜無憂患

그때 마구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1_c_16L於時摩伽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0. 조명경(照明經)2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1_c_18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1_c_19L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미기가(彌耆迦)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1_c_20L爾時有彌耆迦天子容色絕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
그때 미기가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彌耆迦天子說偈問佛
018_1202_a_01L
밝게 비추는 것 몇 가지가 있어
세상을 밝게 비출 수가 있는지
부디 세존이시여, 말씀해주소서.
어떤 밝음이 제일입니까?
018_1201_c_23L明照有幾種
能照明世閒
唯願世尊說
何等明最上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a_02L爾時世尊說偈答言

여기 세 가지 광명이 있어
세상을 밝게 비출 수 있다.
018_1202_a_03L有三種光明
能照耀世閒

낮에는 태양이 밝게 비추고
밤에는 달이 밝게 비춘다.
동물은 낮이나 밤이나 비추는데
여러 가지 빛깔로 비추느니라.
018_1202_a_04L晝以日爲照
月以照其夜
燈火晝夜照
照彼彼色像

위ㆍ아래 모든 방위에 있는
중생들 모두 빛을 받나니
인간과 천상의 광명 중에서
부처님의 광명이 최상이니라.
018_1202_a_05L上下及諸方
衆生悉蒙照
人天光明中
佛光明爲上

그때 미기가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2_a_07L佛說此經已彌耆迦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1. 다마니경(陀摩尼經)2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2_a_09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2_a_10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다마니(陀摩尼)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2_a_11L有陁摩尼天子容色絕妙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身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다마니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2_a_13L彼陁摩尼天子而說偈言

저 바라문들이 하는 일
끊는 법 배우되 게으르지 않고
모든 애욕(愛欲)을 끊어 버리고
후생의 몸 받기를 구하지 않는다.
018_1202_a_14L爲婆羅門事
學斷莫疲惓
斷除諸愛欲
不求受後身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a_16L爾時世尊說偈答言

저 바라문들은 일이 없나니
해야 할 일을 이미 마쳤다.
처음에 저 언덕을 얻지 못하여
밤낮으로 항상 부지런히 끊더니
이미 저 언덕에 이르러 머물게 되니
그 언덕엔 이제 아무것도 끊을 것 없어라.
018_1202_a_17L婆羅門無事
所作事已作
乃至不得岸
晝夜常勤跪
已到彼岸住
於岸復何跪

그런 자야말로 바라문이니
꾸준히 정진해 번뇌 다한 선정으로
모든 근심과 괴로움의 치열한 불길
이미 영원히 다 끊었으니
그는 곧 저 언덕에 이르러
열반에 들어 구하는 것 없다.
018_1202_a_19L此是婆羅門
專精漏盡禪
一切諸憂惱
熾然永已斷
是則到彼岸
涅槃無所求

그때 다마니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2_a_21L陁摩尼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2. 다라건타경(多羅健陀經)23)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2_a_23L如是我聞
018_1202_b_01L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2_b_01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다라건타(多羅健陀)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2_b_02L有多羅揵陁天子容色絕於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諸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다라건타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2_b_04L彼天子說偈問佛

몇 가지를 끊고 몇 가지를 버려야 하며
몇 가지 법을 더욱 힘써 닦아야 하고
몇 가지 무더기를 뛰어 넘어야
흐름을 건넌 비구라고 합니까?
018_1202_b_05L斷幾捨幾法
幾法上增修
超越幾積聚
名比丘度流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b_07L爾時世尊說偈答言

다섯 가지를 끊고 다섯 가지를 버리며
다섯 가지 법은 더욱 힘써 닦아야 하며
다섯 가지 무더기를 뛰어 넘어야
흐름을 건넌 비구라고 하느니라.
018_1202_b_08L斷五捨於五
五法上增修
超五種積聚
名比丘度流

그때 저 다라건타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2_b_10L彼陁摩尼天子聞佛所說歡喜隨稽首佛足卽沒不現

1313. 가마경(迦摩經)24)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2_b_12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2_b_13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가마(迦摩)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2_b_14L有迦摩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身諸光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가마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매우 어렵습니다. 세존이시여, 매우 어렵습니다. 선서(善逝)시여.”
018_1202_b_16L迦摩天子白佛言甚難世尊甚難善逝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b_17L爾時尊說偈答言

배우기가 비록 어렵다고 하지만
계율과 삼매를 두루 갖추고
멀리 떠나 집 없는 데에서
한가히 지내며 고요함을 즐겨야 한다.
018_1202_b_18L所學爲甚難
具足戒三昧
遠離於非家
閑居寂靜樂

가마 천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세존이시여, 고요하고 잠잠해지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018_1202_b_20L迦摩天子白佛言世尊靜默甚難得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b_21L爾時世尊說偈答言

얻기 어려운 것 얻는 법을 배우려면
계율과 삼매를 원만하게 갖추고
밤이나 낮이나 항상 전일(專一)하게 정근하면서
마음이 즐거워지는 법을 익혀라.
018_1202_b_22L得所難得學
具足戒三昧
晝夜常專精
修習意所樂
018_1202_c_01L
가마 천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세존이시여, 선정의 마음은 얻기 어렵습니다.”
018_1202_c_01L迦摩天子白佛言世尊正受心難得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c_02L爾時世尊說偈答言

머물기 어려운 선정에 머물며
모든 감관과 마음을 확고히 하여
죽음의 악마, 그 고삐를 끊고
성자는 의욕 따라 정진하느니라.
018_1202_c_03L難住正受住
諸根心決定
能斷死魔縻
聖者隨欲進

가마 천자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세존이시여, 험한 길을 가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018_1202_c_05L迦摩天子復白佛言世尊嶮道甚難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爾時世尊說偈答言

가기 어려운 그 험한 길도
갈 때는 편안히 나아가야 하나니
성인이 아니면 거기에 떨어져
발은 위로 머리는 밑으로 향한다.
성현은 정직하게 가기 때문에
험한 길도 저절로 평탄해진다.
018_1202_c_07L難涉之嶮道
當行安樂進
非聖墮於彼
足上頭向下
賢聖乘正直
嶮路自然平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가마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2_c_09L佛說此經已迦摩天子聞佛所說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4. 가마경2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2_c_11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2_c_12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가마(迦摩)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2_c_13L有迦摩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가마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2_c_15L彼迦摩天子說偈問佛

탐욕과 성냄은 무엇이 원인이 되고
즐겁지 않아 온 몸의 털이 곤두서는
그 두려움은 무엇에서 생겨나며
그리고 각상(覺想)은 어디서 생깁니까?
마치 저 구마라(鳩摩羅 : 童子)가
저 유모(乳母)를 의지하는 것 같네.
018_1202_c_16L貪恚何所因
不樂身毛豎
恐怖從何起
覺想由何生
猶如鳩摩羅
依倚於乳母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2_c_18L爾時世尊說偈答言

애욕에서 자신이 생겨 자라남이
마치 저 니구율(尼拘律)나무와 같고
그 어디서나 집착을 따르는 것
마치 저 진면(榛綿)의 숲과 같다.
018_1202_c_19L愛生自身長
如尼拘律樹
處處隨所著
如榛緜叢林

만일 그 원인을 아는 이라면
그것을 깨달아 알고 난 다음
나고 죽음의 바다를 건너
다시는 후생의 몸 받지 않으리.
018_1202_c_21L若知彼因者
發悟令開覺
度生死海流
不復更受有

그때 가마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2_c_22L迦摩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首佛足卽沒不現
018_1203_a_01L
1315. 전단경(旃檀經)2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3_a_01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3_a_02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전단(旃檀)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3_a_03L有栴檀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전단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3_a_05L彼栴檀天子說偈問佛

구담(瞿曇)의 큰 지혜는
걸림이 없는 지견이라고 들었네.
어디서 머무시고 무엇을 배워야
다른 세상에서 악을 만나지 않습니까?
018_1203_a_06L聞瞿曇大智
無障㝵知見
何所住何學
不遭他世惡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3_a_08L爾時世尊說偈答曰

몸과 입과 뜻을 잘 단속하고
세 가지 나쁜 법을 행하지 않으며
가정을 가지고 속가에 살면서
많은 손님을 널리 모아들여
018_1203_a_09L攝持身口意
不造三惡法
處在於居家
廣集於群賓

믿음으로 재물과 법 보시를 행하고
법으로써 모든 것을 세워야 한다.
거기에 머물면서 이 법을 배우면
다른 세상에서 두려움이 없으리라.
018_1203_a_11L信惠財法施
以法立一切
住彼學彼法
則無他世畏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전단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3_a_12L佛說是經已栴檀天子聞佛所說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6. 전단경27)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3_a_14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3_a_15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전단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3_a_16L有栴檀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전단 천자가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018_1203_a_18L彼天子說偈問佛

누가 모든 흐름을 건너서
밤낮으로 부지런하고 게으르지 않습니까?
반연하지 않고 머무는 곳 없으며
어떻게 해야 빠져들지 않습니까?
018_1203_a_19L誰度於諸流
晝夜勤不懈
不攀無住處
云何不沒溺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3_a_21L爾時世尊說偈答言

모든 계율을 완전하게 갖추고
지혜로 선정에 잘 들어가
안으로 바른 생각을 사유하면
건너기 어려운 모든 흐름을 건너리라.
018_1203_a_22L一切戒具足
智慧善正受
內思惟正念
能度難度流
018_1203_b_01L
욕심스런 생각에도 물들지 않고
저 색(色)의 애욕을 뛰어 넘어서
탐욕과 기쁨이 모두 없어지면
헤아리기 어려운 데에 들어가지 않는다.
018_1203_b_01L不染此欲想
超度彼色愛
貪喜悉已盡
不入於難測

그때 전단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고는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3_b_02L彼栴檀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7. 가섭경(迦葉經)28)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3_b_04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3_b_05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가섭(迦葉)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3_b_06L有迦葉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가섭 천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비구와 비구의 공덕에 대하여 말하겠습니다.”
018_1203_b_08L彼迦葉天子白佛言世尊我今當說比丘及比丘功德
부처님께서 천자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하는 말을 따르리라.”
018_1203_b_10L佛告天子隨汝所
그때 가섭 천자는 게송으로 말하였다.
迦葉天子而說偈言

비구는 바른 생각을 닦아
그 마음이 잘 해탈하고
밤낮으로 항상 부지런히 구해
모든 공덕 짓기를 생각하네.
018_1203_b_11L比丘修正念
其身善解脫
晝夜常勤求
壞有諸功德

이 세간에 대해 깨달아 알고
일체 존재를 없애 버렸으며
비구는 아무 근심도 없이 되어
마음이 물들거나 집착하지 않네.
018_1203_b_13L了知於世閒
滅除一切有
比丘得無憂
心無所染著

“세존이시여, 이것을 비구라고 하고, 이것을 비구의 공덕이라고 합니다.”
018_1203_b_14L世尊是名比丘是名比丘功德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네 말과 같다.”
018_1203_b_15L佛告迦葉善哉善哉如汝所說
가섭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고는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3_b_16L迦葉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8. 가섭경29)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3_b_18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018_1203_b_19L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그때 얼굴이 아주 잘생긴 가섭 천자가 새벽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 있었는데, 그의 몸에서 나오는 광명은 기수급고독원을 두루 비추었다.
018_1203_b_20L有迦葉天子容色絕妙後夜時來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其身光明遍照祇樹給孤獨園
그때 가섭 천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비구와 비구가 하는 말에 대하여 설명해 보겠습니다.”
018_1203_b_22L彼迦葉天子白佛言世尊我今當說比丘及比丘所說
018_1203_c_01L부처님께서 가섭 천자에게 말씀하셨다.
“네 뜻대로 하라.”
018_1203_c_01L佛告迦葉天子所樂說
그때 가섭 천자가 게송으로 말하였다.
彼迦葉天子而說偈言

비구는 바른 생각 지켜
그 마음이 잘 해탈하고
밤낮으로 항상 부지런히 구해
티끌과 때를 완전히 여의네.
018_1203_c_02L比丘守正念
其心善解脫
晝夜常勤求
逮得離塵垢

이 세상을 환히 밝게 알아
티끌에서 티끌과 때를 여의네.
비구는 아무 근심 걱정이 없으며
마음에 물들거나 집착함이 없다네.
018_1203_c_04L曉了知世閒
於塵離塵垢
比丘無憂患心無所染著

“세존이시여, 이런 이를 비구라고 하며, 이것을 비구가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018_1203_c_05L世尊是名比丘是名比丘所說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네 말과 같다.”
018_1203_c_06L佛告迦葉如是如是如汝所說
가섭 천자는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지고는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3_c_07L迦葉天子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19. 굴마경(屈摩經)30)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3_c_09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마갈제국(摩竭提國) 인간 세계를 유행하시다가 날이 저물어 5백 비구와 함께 굴마(屈摩)라고 하는 야차 귀신이 사는 곳에서 주무시게 되었다.
018_1203_c_10L一時佛在摩竭提國人閒遊行日暮與五百比丘於屈摩夜叉鬼住處宿
그때 굴마 야차 귀신이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한쪽에 물러나 있었다. 그때 굴마 야차 귀신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지금 세존께 청하옵니다. 여러 대중들과 함께 오늘 밤 여기서 주무시옵소서.”
018_1203_c_12L屈摩夜叉鬼來詣佛所稽首佛足退住一面屈摩夜叉鬼白佛言世尊今請世尊與諸大衆於此夜宿
그때 세존께서 잠자코 그 청을 받아들이셨다. 이때 굴마 야차 귀신은 세존께서 잠자코 청을 받아주신 것을 알고는, 5백 개나 되는 2층으로 된 방을 조화로 만들고, 또 침구ㆍ앉을 평상ㆍ걸상ㆍ요ㆍ베개를 각각 5백 개씩 모두 조화로 만들었다. 그리고 조화로 만든 5백 개의 등불은 전혀 연기가 나지 않고 불꽃도 없었으니, 이 모두는 조화로 만든 것이었다. 그는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나아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부처님을 청해 그 방으로 드시게 하였다. 여러 비구들에게도 차례로 방과 침구를 받게 하고, 모두가 받은 뒤에 다시 부처님께 나아가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는 한 쪽에 물러나 앉아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3_c_15L爾時世尊默然受請是時摩夜叉鬼知世尊默然受請已化作五百重閣房舍臥牀坐牀踞牀俱攝褥枕各五百具悉皆化成化作五百燈明無諸煙炎悉化現已往詣佛所稽首佛足勸請世尊令入其舍令諸比丘次受房舍及諸臥具周遍受已還至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而說偈言

어질고 덕 있는 이는 바른 생각이 있고
어질고 덕 있는 이는 항상 바르게 생각한다.
이 세상이나 저 세상에서
바른 생각 있기 때문에 편히 잠드네.
018_1203_c_23L賢德有正念
賢德常正念
正念安隱眠
此世及他世
018_1204_a_01L
어질고 덕 있는 이는 바른 생각이 있고
어질고 덕 있는 이는 항상 바르게 생각한다.
바른 생각 있기 때문에 편히 잠들고
그 마음 또한 언제나 고요히 멈춘다.
018_1204_a_02L賢德有正念
賢德常正念
正念安隱眠
其心常寂止

어질고 덕 있는 이는 바른 생각이 있고
어질고 덕 있는 이는 항상 바르게 생각한다.
바른 생각 있기 때문에 편히 잠들고
평등하게 다른 군사를 항복 받는다.
018_1204_a_03L賢德有正念
賢德常正念
正念安隱眠
捨降伏他軍

어질고 덕 있는 이는 바른 생각이 있고
어질고 덕 있는 이는 항상 바르게 생각한다.
죽이지 않고 죽이라고 시키지도 않고
항복하지 않고 항복하라고 시키지도 않으며
일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대하고
마음에 원한 맺는 일 품지 않는다.
018_1204_a_04L賢德有正念
賢德常正念
不殺不教殺
不伏不教伏
慈心於一切
心不懷怨結

그때 세존께서 굴마 야차 귀신에게 말씀하셨다.“그렇다. 그렇다. 네 말과 같다.”
018_1204_a_06L爾時世尊告屈摩夜叉鬼如是如是如汝所說
그때 굴마 야차 귀신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제 처소로 돌아갔다.
018_1204_a_08L屈摩夜叉鬼聞佛所說歡喜隨喜稽首佛足還自所住處

1320. 마구라산경(摩鳩羅山經)3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4_a_09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마구라산(摩鳩羅山)에 머물러 계셨는데, 존자 나가파라(那伽波羅)가 친히 모시고 있었다.
018_1204_a_10L一時佛住摩鳩羅山尊者那伽波羅爲親侍者
그때 세존께서는 깜깜한 밤에 보슬비는 내리고 번갯불이 번쩍이는데 방에서 나와 한데서 거닐고 계셨다. 그때 천제석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오늘 세존께서 마구라산에 머물고 계시는데 존자 나가파라가 친히 모시고 공양하고 있다. 그런데 깜깜하고 보슬비가 내리며 번갯불이 번쩍이는 밤에 세존께서는 방에서 나오셔 한데를 거닐고 계신다. 나는 지금 비유리(毘琉璃)로 된 2층집을 변화로 만들어 그것을 가지고 부처님을 따라 경행(經行)하리라.’
018_1204_a_11L爾時世尊於夜闇時天小微雨電光睒現出於房外露地經行是時天帝釋作是念今日世尊住摩鳩羅山尊者那伽波羅親供養其夜闇冥天微雨電光睒世尊出房露地經行我當化作毘琉璃重閣執持重閣隨佛經行
이렇게 생각하고는 곧 비유리 2층집을 변화로 만들어, 그것을 가지고 부처님께 나아가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는 부처님을 따라 거닐었다.
018_1204_a_17L作是念已卽便化作鞞琉璃重閣持詣佛稽首佛足隨佛經行
그때 마갈제국 사람들은 남자나 여자나 할 것 없이 밤에 우는 아이가 있으면 마구라 귀신이 온다고 위협하여 곧 그치게 하였다고 한다. 친히 모시고 공양하는 제자의 법으로는 스승이 선정에서 깨기를 기다렸다가 스승이 깨어나면 잠을 자게 되어있었다.
018_1204_a_19L爾時摩竭提國人若男若女夜啼之時以摩鳩羅鬼恐之卽止親侍供養弟子之法師禪覺然後乃眠
018_1204_b_01L그때 세존께서는 천제석(天帝釋)을 위해 오랫동안 밤에 거니셨다. 그때 존자 나가파라는 이렇게 생각하였다.
‘나는 지금 마구라 귀신의 형상을 만들어 위협하리라.’
018_1204_a_22L爾時世尊爲天帝釋夜經行久爾時尊者那伽波羅作是念世尊今夜經行至久我今當作摩鳩羅鬼形而恐怖之
그리고는 나가파라 비구는 곧 구집(俱執)이라는 옷을 뒤집어쓰고 긴 털을 밖으로 드러내고는 세존께서 거니시는 길목에 서서 부처님께 아뢰었다.“마구라 귀신이 왔다. 마구라 귀신이 왔다.”
018_1204_b_02L那伽波羅比丘卽反被俱執長毛在外往在世尊經行道頭白佛言摩鳩羅鬼來鳩羅鬼來
그때 세존께서 나가파라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 나가파라야, 너는 참으로 어리석구나. 마구라 귀신의 형상을 하고서 부처를 위협하는 것이냐? 여래ㆍ응공ㆍ등정각의 털 하나도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여래ㆍ응공ㆍ등정각은 두려움을 여읜 지 오래되었느니라.”
018_1204_b_05L爾時世尊告那伽波羅比汝那伽波羅愚癡人以摩鳩羅鬼神像恐怖佛耶不能動如來應等正覺一毛髮也如來應等正覺久離恐
그때 천제석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세존의 바른 법과 율 안에도 이런 사람이 있습니까?.”
018_1204_b_09L爾時天帝釋白佛言世尊世尊正法律中亦復有此人耶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교시가(憍尸迦)여, 구담의 집은 매우 넓고 넓다. 이런 무리도 미래 세상에서는 마땅히 청정한 법을 얻게 해야 하느니라.”
018_1204_b_10L佛言憍尸迦瞿曇家中極大廣闊斯等於未來世亦當使得淸淨之法
그때 세존께는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018_1204_b_12L爾時世尊卽說偈言

혹 어떤 바라문들은
스스로 얻은 그 법으로써
저쪽 언덕으로 갈 수 있다.
혹은 한 비사차(毘舍遮)나
또는 저 마구라까지도
모두 다 뛰어넘어 갈 수 있느니라.
018_1204_b_13L若復婆羅門
於自所得法
得到於彼岸
若一毘舍遮
及與摩鳩羅
皆悉超過去

또 혹은 어떤 바라문들은
스스로 행하는 그 법으로써
받아들이는 일체의 감각을
관찰해 모두 없앴느니라.
018_1204_b_15L若復婆羅門
於自所行法
一切諸受覺
觀察皆已滅

또 혹은 어떤 바라문들은
자기 법으로 저 언덕에 건너가고
그 일체의 모든 인연을
모두 다 멸해 없앴느니라.
018_1204_b_17L若復婆羅門
自法度彼岸
一切諸因緣
皆悉已滅盡

또 혹은 어떤 바라문들은
자기 법으로 저 언덕에 건너가고
일체의 모든 남이니 나니 하는 것을
모두 다 멸하여 없앴느니라.
018_1204_b_18L若復婆羅門
自法度彼岸
一切諸人我
皆悉已滅盡

또 혹은 어떤 바라문들은
자기 법으로 저 언덕에 건너가고
태어남과 늙음과 병듦과 죽음을
모두 다 이미 벗어났느니라.
018_1204_b_19L若復婆羅門
自法度彼岸
於生老病死
皆悉已超過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석제환인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이내 사라져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018_1204_b_21L佛說此經已釋提桓因聞佛所說喜隨喜稽首佛足卽沒不現

1321. 비릉가경(毘陵伽經)3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4_b_23L如是我聞
018_1204_c_01L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가란다죽원(迦蘭陀竹園)에 계셨다.
018_1204_c_01L一時佛住王舍城迦蘭陁竹園
그때 존자 아나율타(阿那律陀)는 마갈제국 인간 세상을 유행(遊行)하다가 필릉가(畢陵伽) 귀신 어미가 사는 곳에서 자게 되었다.
018_1204_c_02L尊者阿那律陁於摩竭提國人閒遊行到畢陵伽鬼子母住處宿
그때 존자 아나율타는 새벽에 단정한 몸으로 바르게 앉아, 우다나(憂陀那 : 南傳小部自說經)ㆍ파라연나(波羅延那 : 南傳小部經集의 第5品)ㆍ견진제(見眞諦 : 法句偈)ㆍ여러 상좌들이 설한 게송ㆍ비구니가 설한 게송ㆍ시로게(尸路偈 : 頌)ㆍ의품(義品)ㆍ모니게(牟尼偈)ㆍ수다라(修多羅)를 모두 두루 외웠다. 그때 필릉가 귀신의 아들이 밤에 울었다. 필릉가 귀신의 어미는 그 아들에게 게송을 읊어 꾸짖고 그치게 하였다.
018_1204_c_03L尊者阿那律陁夜後分時端身正誦憂陁那波羅延那見眞諦諸上座所說偈比丘尼所說偈尸路偈牟尼偈修多羅悉皆廣誦爾時陵伽鬼子夜啼畢陵伽鬼子母爲其子說偈呵止言

필릉가 귀신 아들아
너는 지금 울지 말고
저 비구가 외우는
법구게(法句偈)를 들어라.
018_1204_c_09L畢陵伽鬼子
汝今莫得啼
當聽彼比丘
誦習法句偈

만일 저 법구를 알면
스스로 계율 보호하여
살생을 멀리 여의고
진실만 말하고 거짓말하지 않으며
이치 아니면 스스로 버려
귀신의 길에서 해탈하리라.
018_1204_c_11L若知法句者
能自護持戒
遠離於殺生
實言不妄語
能自捨非義
解脫鬼神道

필릉가 귀신의 어미가 이 게송을 읊자, 필릉가 귀신의 아들은 곧 울음을 그쳤다.
018_1204_c_13L畢陵伽鬼子母說是偈時畢陵伽鬼子啼聲卽止

1322. 부나바수경(富那婆藪經)33)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4_c_15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마갈제국 인간 세상을 노니시다가 대중들과 함께 부나바수(富那婆藪)라는 귀신의 어미가 살고 있는 곳에서 묵으시게 되었다.
018_1204_c_16L一時佛在摩竭提國人閒遊行與大衆俱到富那婆藪鬼子母住處宿
그때 세존께서 여러 비구들을 위해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상응(相應)하는 법, 즉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를 연설하셨다.
018_1204_c_18L爾時世尊爲諸比丘說四聖諦相應法所謂苦聖諦苦集聖諦滅聖諦苦滅道迹聖諦
그때 부나바수 귀신의 어미가 낳은 아이 부나바수와 그 귀신의 딸 울다라(鬱多羅) 두 어린 귀신이 밤에 울었다.
018_1204_c_20L爾時富那婆藪鬼母兒富那婆藪及鬼女鬱多羅二鬼小兒夜啼
그때 부나바수 귀신의 어미는 그 아들과 딸을 가르치기 위해 게송을 읊었다.
018_1204_c_22L富那婆藪鬼母教其男女故而說偈言

너 부나바수와 울다라야,
제발 울지 말아라.
저 여래가 설하시는 법을
나로 하여금 들을 수 있게 하여라.
018_1204_c_23L汝富那婆藪
鬱多羅莫啼
令我得聽聞
如來所說法
018_1205_a_01L
부모는 제 아이들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할 능력이 없단다.
여래께서 설하시는 법을 들으면
그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018_1205_a_02L非父母能令
其子解脫苦
聞如來說法
其苦得解脫

세상 사람들은 애욕만을 따르므로
온갖 괴로움의 핍박을 받는다.
여래께선 그들을 위해 법을 설하여
나고 죽음을 부수게 하느니라.
내 이제 그 법을 들으려고 하니
너희들은 잠자코 있어야 한다.
018_1205_a_03L世人隨愛欲
爲衆苦所迫
如來爲說法
令破壞生死
我今欲聞法
汝等當默然

그때 그 부나바수와
그의 딸 울다라는
모두 그 어미의 타이름을 받고
잠자코 고요히 듣고 있었다.
018_1205_a_05L時富那婆藪
鬼女鬱多羅
悉受其母語
默然而靜聽

그들은 어미에게 말하였다.“좋습니다. 저희들 또한 법 듣기를 좋아합니다.”
018_1205_a_06L語母言善哉 我亦樂聞法

바르게 깨달으신 세존께서는
이 마갈제국의 경치 좋은 산에서
모든 중생들을 위해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을 연설하시네.
018_1205_a_07L此正覺世尊
於摩竭勝山
爲諸衆生類
演說脫苦法

그것은 괴로움과 괴로움의 발생과
괴로움의 소멸과 소멸에 이르는 길이니
이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따르면
안온히 열반으로 나아가나니
지금 세존께서 말씀하시는 법을
어머님이시여, 잘 들으소서.
018_1205_a_08L說苦及苦因
苦滅滅苦道
從此四聖諦
安隱趣涅槃
母今但善聽
世尊所說法

그때 부나바수 귀신의 어미가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5_a_10L富那婆藪鬼母卽說偈言

기특하구나, 지혜로운 아이들아
내 마음을 잘 따라주는구나.
부나바수야, 너는 오늘
길잡이이신 부처님을 잘 찬탄하였다.
018_1205_a_11L奇哉智慧子
善能隨我心
汝富那婆藪
善歎佛導師

부나바수야
그리고 울다라야
마땅히 따라 기뻐하는 마음을 내어라.
나는 이제 이미 성스러운 진리를 보았노라.
018_1205_a_13L汝富那婆藪
及女鬱多羅
當生隨喜心
我已見聖諦

그때 부나바수 귀신의 어미가 이 게송을 말하자, 그 아들과 딸은 따라 기뻐하면서 잠자코 있었다.
018_1205_a_14L富那婆藪鬼母說是偈時鬼子男女隨喜默然

1323. 마니차라경(摩尼遮羅經)34)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5_a_16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마갈제국 인간 세상을 유행하시다가 대중들과 함께 마니차라(摩尼遮羅) 귀신이 사는 곳에 이르러 밤에 묵으시게 되었다.
018_1205_a_17L一時佛在摩竭提國人閒遊行與諸大衆至摩尼遮羅鬼住處夜宿
그때 마니차라 귀신은 여러 귀신들과 한곳에 모여 있었다.
018_1205_a_19L爾時摩尼遮羅鬼會諸鬼神集在一處
그때 어떤 여인이 향과 화만으로 장식하고서 음식을 가지고 마니차라 귀신이 사는 곳에 갔다. 그 여인은 멀리서 세존께서 마니차라 귀신이 사는 곳에 앉아 계시는 것을 보고 이렇게 생각하였다.
‘내 오늘에야 마니차라 귀신을 직접 보는구나.’
018_1205_a_20L有一女人持香花鬘飾飮至彼摩尼遮羅鬼神住處彼女人遙見世尊在摩尼遮羅鬼神住處坐見已作是念我今現見摩尼遮羅鬼
그리고는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卽說偈言
018_1205_b_01L
훌륭하십니다! 마니차라여
이 마가다국(摩伽陀國)에 머무소서.
이 마가다국에 사는 사람들은
구하는 것 모두 원대로 되리.
018_1205_b_01L善哉摩尼遮 住摩伽陁國 摩伽陁國人所求悉如願

어떻게 하면 이 세상에서
언제나 안락하게 머물 수 있고
어떻게 하면 다음 세상에
하늘에 태어나는 즐거움을 얻습니까?
018_1205_b_03L云何於此世 常得安樂住後世復云何 而得生天樂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5_b_04L爾時世尊說偈答言

방일하거나 교만하지 말고
마니 귀신에게 청탁하지 말라.
만일 스스로 제 할 일만 닦으면
하늘에 태어나는 즐거움을 얻으리라.
018_1205_b_05L莫放逸慢恣 用摩尼鬼爲 若自修所作能得生天樂

그때 그 여인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이 분은 마니차라 귀신이 아니다. 이 분은 사문 구담(瞿曇)이시다.”
018_1205_b_07L彼女人作是念此非摩尼遮羅鬼是沙門瞿曇
이렇게 짐작하고는 곧 향과 화만(華鬘)과 장식품을 세존께 공양한 뒤에,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 쪽에 물러앉아 게송으로 말하였다.
018_1205_b_09L如是知已卽以香花鬘供養世尊稽首禮足退坐一面說偈言

어떤 길이 안락(安樂)으로 나아가는 길이고
장차 어떠한 행을 닦아야
이 세상에서 언제나 편안하고
후생에는 천상의 즐거움을 얻습니까?
018_1205_b_11L何道趣安樂 當修何等行 此世常安隱後世生天樂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5_b_13L爾時世尊說偈答言

보시하고 마음을 잘 길들이고
즐거이 모든 감관 단속해 보호하며
바른 소견으로 어진 행을 닦고
저 사문들을 가까이 친하라.
018_1205_b_14L布施善調心 樂執護諸根 正見修賢行親近於沙門

바른 생활로 스스로 살아가면
후세에는 천상의 즐거움 누리리라
그러나 저 삼십삼천의
괴로움의 그물을 무엇에 쓰리.
018_1205_b_16L以正命自活 他世生天樂何用三十三 諸天之苦網

다만 마땅히 한결같은 마음을 가져
온갖 애욕을 끊어버려라.
내 이제 때 여의는 법 말하리니
이 감로법(甘露法)을 잘 들어라.
018_1205_b_17L但當一其心斷除於愛欲 我當說離垢 甘露法善聽

그때 그 여인은 세존께서 설법해 주시는 것을 들었다. 세존께서는 그 여인에게 가르쳐 보이시고 비추어 기쁘게 해 주시고, 부처님의 변함 없는 법대로, 보시(布施)를 하고 계율을 잘 지키면 그것이 하늘에 태어나는 법이라는 말과 맛을 탐하는 것과 탐욕의 근심과 번뇌를 깨끗이 하는 법과 벗어나고 멀리 여의면 공덕이 되고 복과 이익이 된다는 것 등 청정한 부처님의 법을 차례차례 연설해 주셨다. 비유하면 마치 선명하고 깨끗한 흰 천이 물들기 쉬운 것처럼,
018_1205_b_18L彼女人聞世尊說法示教照喜如佛常法謂布施持戒生天之福欲味欲患煩惱淸淨出要遠離功德福利次第演說淸淨佛法譬如鮮淨白㲲易染其色
그 여인도 그와 같아서 곧 그 자리에서 괴로움ㆍ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이 네 가지 진리를 평등하게 관찰하였다.
018_1205_b_23L彼女人亦復如是卽於坐上於四聖諦得平等觀苦
018_1205_c_01L그때 그 여인은 법을 보고 법을 얻었으며, 법을 알아 법에 들어갔다. 모든 의혹을 벗어났으되 남의 힘을 빌리지 않았고 바른 법과 율에서 두려움이 없게 되었다. 그녀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바르게 여미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미 건넜습니다. 세존이시여, 이미 건넜습니다. 선서시여, 저는 오늘부터 목숨이 다하는 날까지 부처님과 법과 승가에 귀의하겠습니다.”
018_1205_c_01L彼女人見法得法知法入法度諸疑惑不由於他於正法律得無所畏卽從座起整衣服合掌白佛已度已度善逝我從今日盡壽命歸佛歸法歸比丘僧
그때 그 여인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고 따라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예배하고 떠났다.
018_1205_c_06L彼女人聞佛所說歡喜隨喜禮佛而去

1324. 침모경(針毛經)3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8_1205_c_07L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 마갈제국 인간 세상을 노니시다가 침모(針毛) 귀신이 사는 곳에 이르러 밤을 지내게 되었다.
018_1205_c_08L一時佛在摩竭提國人閒遊行到鍼毛鬼住處夜宿
그때 침모 귀신은 여러 귀신들과 한곳에 모여 있었다.
018_1205_c_09L爾時鍼毛鬼會諸鬼神集在一處
그때 염(炎)이라는 귀신이 있었는데, 그 귀신은 세존께서 침모 귀신이 사는 곳에서 밤을 묵게 되신 것을 보고 침모 귀신에게 찾아가 말하였다.
“마을 주인이여, 너는 지금 매우 훌륭한 이익을 얻었다. 지금 여래ㆍ응공ㆍ등정각께서 네 방에서 주무시고 계신다.”
018_1205_c_10L有炎鬼見世尊在鍼毛鬼住處夜宿見已往詣鍼毛鬼所語鍼毛鬼言聚落主汝今大得善利今如來應等正覺於汝室宿
침모 귀신이 말하였다.
“지금 가서 시험해 보리라. 그가 여래인지, 혹은 아닌지를.”
018_1205_c_14L鍼毛鬼言今當試看爲是如來爲
그때 침모 귀신은 모든 귀신들과의 모임이 끝난 뒤에 자기 집으로 돌아와서는 몸을 날려 부처님께 부딪쳤다.
018_1205_c_15L鍼毛鬼與諸鬼神集會已還歸自舍束身衝佛
그러자 세존께서는 몸을 돌려 그 귀신을 피하셨다. 이렇게 두 번 세 번 몸을 날려 부처님께 부딪치려고 하였으나 그 때마다 부처님께서도 두 번 세 번 몸을 돌려 그 귀신을 피하셨다.
018_1205_c_16L爾時世尊卻身避之如是再三束身衝佛佛亦再三卻身避之
그때 침모 귀신이 말하였다.
“사문이여, 두려운가?”
爾時鍼毛鬼言沙門怖耶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을 주인이여, 나는 두려하지 않는다. 다만 네가 부딪치는 것이 싫다.”
018_1205_c_18L佛言聚落主我不怖也但汝觸惡
침모 귀신이 말하였다.
“이제 물을 일이 있으니 나를 위해 말하라. 나를 기쁘게 할 수 있다면 좋지만 나를 기쁘게 하지 못한다면 네 가슴을 찢고 네 심장을 부수어 버릴 것이다. 그래서 네 얼굴에서 뜨거운 피가 흐르게 하고 네 두 손을 묶어 항하 저쪽 언덕으로 던져 버릴 것이다.”
018_1205_c_19L鍼毛鬼今有所問當爲我說能令我喜者不能令我喜者當壞汝心裂汝胸令汝熱血從其面出捉汝兩手擲恒水彼岸
018_1206_a_01L부처님께서 침모 귀신에게 말씀하셨다.
“마을 주인이여, 나는 아직 어떤 하늘이나 악마ㆍ범ㆍ사문ㆍ바라문 등 하늘의 신이나 세상 사람들 중에 여래ㆍ응공ㆍ등정각의 심장을 부수거나 가슴을 찢고, 또 얼굴에서 뜨거운 피를 흘리게 하거나 두 손을 묶어 강가 저쪽 언덕으로 던질 수 있는 이를 보지 못했다. 너는 뭐든지 물어 보라. 너를 위해 설명하여 너를 기쁘게 해주리라.”
018_1205_c_23L佛告鍼毛鬼聚落主我不見諸天沙門婆羅門天神世人壞如來應等正覺心者能裂其胸者能令熱血從面出者執其兩臂擲著恒水彼岸者汝今但問當爲汝說汝歡喜
그때 침모 귀신이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鍼毛鬼說偈問佛

모든 탐욕과 성내는 마음
그것은 무엇을 원인으로 하는가?
즐겁지 않고 몸의 털이 일어서는
그 두려움은 어디서 생기는가?
018_1206_a_05L一切貪恚心
以何爲其因
不樂身毛豎
恐怖從何起

마치 저 갓난아이가
유모를 의지하는 것 같은
뜻과 생각과 모든 감각은
무엇으로부터 일어나는가?
018_1206_a_07L意念諸覺想
爲從何所起
猶如新生兒
依倚於乳母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대답하셨다.
018_1206_a_08L爾時世尊說偈答言

애욕이 생겨 제 몸에서 자라는 것
마치 저 니구율(尼拘律)나무와 같네.
자꾸 바뀌어가며 서로 끌어당기는 것
마치 저 등면(籐綿) 덤불숲 같다.
018_1206_a_09L愛生自身長
如尼拘律樹
展轉相拘引
如籐緜叢林

만일 그 원인을 환히 알면
마땅히 저 귀신을 깨닫게 하여
나고 죽는 바다의 흐름을 건너
다시는 그 존재를 늘어나게 하지 않으리.
018_1206_a_11L若知彼所因
當令鬼覺悟
度生死海流
不復重增有

그때 침모 귀신은 세존의 게송을 듣고 마음에 기쁨을 얻어, 부처님께 허물을 뉘우치고 삼귀의를 받들어 가졌다.
018_1206_a_12L爾時鍼毛鬼聞世尊說偈心得歡喜向佛悔過受持三歸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침모 귀신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018_1206_a_14L佛說此經已毛鬼聞佛所說歡喜奉行
雜阿含經卷第四十九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3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 2)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5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 3)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6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4. 4)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7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5. 5)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8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6. 6)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4권 29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7. 7)이 부분이 고려대장경 원문에는 ‘불행타소수(不行他所受)’로 되어 있는데, 『별역잡아함경』 제14권 제29번째 소경에는 ‘불간타부녀(不奸他婦女)’로 되어 있어 그 뜻이 명확하므로 역자도 이에 의거하여 번역하였다.
  8. 8)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9. 9)신수대장경 각주에 의하면 “송ㆍ원ㆍ명 세 본에는 ‘수(受)자가 애(愛)자로 되어있다’고 하였다.
  10. 10)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3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1. 11)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4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2. 12)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5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3. 13)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6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4. 14)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7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5. 15)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8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6. 16)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9번째 소경과 『증일아함경』 제38권 제43 「마혈천자문팔정품(馬血天子問八政品)」의 1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7. 17)앞뒤의 문맥으로 보아 원문의 ‘색집(色集)’은 ‘세간집(世間集)’이라야 적당하다.
  18. 18)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0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19. 19)2행으로 나눠져 두 사람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은 자이나교의 중흥조이고 6사외도중 한 사람인 니간타나따뿌따를 지칭한다. 이는 야제족(若提族) 출신의 니건타(尼乾陀) 외도(外道)라는 뜻이다.
  20. 20)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1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1. 21)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2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2. 22)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3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3. 23)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4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4. 24)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5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5. 25)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6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6. 26)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7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7. 27)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8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같은 것이다.
  28. 28)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19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29. 29)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0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0. 30)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1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1. 31)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2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2. 32)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3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3. 33)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4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4. 34)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5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
  35. 35)이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15권 26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