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佛本行經卷第二

ABC_IT_K0979_T_002
029_0589_a_01L불본행경 제2권
029_0589_a_01L佛本行經卷第二一名佛本行讚傅
송 양주 석보운 한역
홍영의 번역
029_0589_a_02L宋涼州沙門釋寶雲 譯
8. 채녀유거품(婇女遊居品)
029_0589_a_03L與衆婇女遊居品第八
갖가지로 장엄하니 천궁과 같은데
춘하추동 네 때가 각각 다르며
계절에 따라 수리하고 동산에 유관(遊觀)하니
또한 제석천왕의 시안수림(施安樹林) 같네.
029_0589_a_04L種種嚴飾
猶如天宮
春秋冬夏
四時各異
應節修治
遊觀園池
亦如天帝
施安樹林
태자가 동산 못에 유관할 때
채녀들이 에워싸 별 가운데 달 같은데
그 모든 채녀들은 밤낮으로 음악을 연주하며
시시덕거리고 희롱하기 몇 해가 지났네.
029_0589_a_07L太子因遊
至園池觀
婇女圍繞
如月處星
於是衆女
晝夜作樂
嘲調戲笑
過數年已
오락하되 다시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
혹은 자기 몸을 드러내고 때로 글을 외우며
사당의 그림을 그리고 또 조각도 하며
진흙으로 모양을 만들며
029_0589_a_10L或娛樂之
更造新術
或現己身
或時書頌
或圖廟畫
或有刻鏤
或有以泥
爲若干像
꽃을 꿰어 장엄도 하고
얼굴을 단장하여 향도 바르며
거울로 비춰보고 또 머리에 빗질도 하며
눈썹을 그리고, 또 입술을 붉게 하고
029_0589_a_12L或有結花
以爲敷飾
或莊面目
或有塗香
或以鏡照
或櫛梳頭
或黛黑眉
或丹口脣
어떤 채녀는 꽃을 서로 던지며
장난하며 웃기도 하고 슬피 탄식해 울기도 하며
혹은 입으로 노래 불러 듣게 하고 즐겁게 하니
마치 꽃 속에서 벌들이 잉잉거림 같았네.
029_0589_a_15L或復有女
華相打擲
或戲笑者
或悲歎泣
或口詠歌
可聽可樂
猶如華中
衆蜜蜂鳴
모든 채녀들이 목욕하자고 이끌면 태자는 허락하고
무우수(無憂樹) 사이 붉은 꽃 연못은
둥근 빛 문채가 금빛으로 나무를 비추어
금이 불에 있듯 나무숲에 밝게 빛났네.
029_0589_a_18L衆女求浴
太子聽從
無憂樹閒
丹華之池
圓光文飾
照樹金色
猶金在火
耀耀林樹
나무들은 굽어져 갖가지 꽃을 뿌려 공양하고
뭇 새도 서로 어울려 슬픈 듯 노래하니
채녀들 웃음과 새들 노래가 우레처럼 멀리 들렸네.
5음(音)을 다 갖추어 인정을 감동시키고
029_0589_a_20L諸樹傾屈
散供衆花
衆鳥相和
悲哀而鳴
女笑鳥鳴
震聲遠聞
五音俱作
感動人情
029_0589_b_01L태자가 연못에 들자 물이 허리에 차며
채녀들이 에워싸 목욕하는 연못은 밝게 빛나서
밝은 구슬을 보배 산에 두른 듯
묘한 상호 뚜렷이 빛나니 그 훌륭함 높고 높아라.
029_0589_b_01L太子入池
水至其腰
諸女圍繞
明耀浴池
猶如明珠
繞寶山王
妙相顯赫
其好巍巍
채녀들은 물속에서 갖가지 장난하며 웃으니
서로 숨고 서로 물을 뿌리기도 하고
꽃 보고 즐기다 꽃을 서로 던지거나
물속에 들어가 한참 만에 나오기도 하며
029_0589_b_04L衆女水中
種種戲笑
或相湮沒
或水相灑
或有弄華
以華相擲
或入水底
良久乃出
물속에서 꽃들을 내어 보이거나
물속에서 손만 내어 보였네.
연못안의 채녀들 온갖 꽃처럼 빛나자
모든 연꽃은 아름다운 빛을 잃었네.
029_0589_b_06L或於水中
現其衆華
或復於水
但現其手
衆女池中
光耀衆華
令衆藕花
失其精光
어떤 채녀들이 태자의 손과 팔에 매달리니
여러 꽃들이 금 기둥에 붙은 듯하고
채녀들 화장하고 바른 향이 물에 씻겨서
전단향과 침수향이 향 연못을 이루었네.
029_0589_b_09L或有攀緣
太子手臂
猶如雜花
纏著金柱
女粧塗香
水洗皆墮
栴檀木櫁
水成香池
이렇게 장난하고 웃음을 이루다 셀 수 없고
6만의 채녀들이 그 옆에 둘러싸니
태자가 그 가운데 있음은 마치 제석천왕이
천상의 목욕연못에서 옥녀(玉女)들과 함께 있음 같았네.
029_0589_b_12L如是戲笑
難可計數
六萬婇女
圍繞其側
太子於中
如天帝釋
於天浴池
與天女俱
그러고 나서 모두 금ㆍ은ㆍ보배로 장식한 배를 타고
연못에서 유희하니 하늘에서 구름 탄 듯
태자도 또 7보로 장식한 배를 타자
비(妃)도 그 옆에 있다 함께 타고 연못에 드니
029_0589_b_14L於是皆乘
金銀寶舩
遊戲池中
如天乘雲
太子復乘
七寶之舩
妃在其側
俱共入池
몸이 금처럼 빛나서 그 빛이 각각 한 길이라
햇덩이가 배를 탄 듯 놀랍고
마치 해가 솟자 온갖 꽃도 활짝 핀 듯
밝은 빛 거듭 빛남이 일천자(日天子)에 비유하리.
029_0589_b_17L色身金照
光各一丈
如日乘舩
莫不驚愕
謂是日出
衆華開張
明重光照
喩日天子
태자가 연못에서 나오자 채녀들 다시 단장하고
여러 음악 연주하며 사탕수수물 돌려
모든 채녀들 마시고는 뛰놀며 춤추니
날은 벌써 저물고 달을 향해 촛불 밝혀졌네.
029_0589_b_20L太子出池
諸女更嚴
作衆伎樂
行甘蔗漿
諸女飮已
跳踉儛戲
時日便冥
向月燭明
029_0589_c_01L태자를 유혹하려 해도 뜻 끝내 기울지 않고
그를 탐내게 하려 해도 뜻에 물들지 않으며
지혜의 등불이 매우 밝아 끌 수도 없으니
밝은 구슬을 불나비가 해롭게 못함 같았네.
029_0589_b_22L欲惑太子
意終不傾
欲使其貪
意終不著
慧燈甚明
終無能滅
猶明珠燈
不損飛蛾
이윽고 밤 깊어 모든 채녀들이 잠들고
태자비도 자다가 걱정스러운 꿈을 꾸었는데
태자가 궁과 채녀들을 버리고 출가하여
산 숲으로 도망치니 태자비 홀로 뒤좇아 가네.
029_0589_c_02L斯須至冥
衆女睡眠
太子妃寐
夢睹憂變
太子出家
捨宮婇女
逃入山澤
妃獨逐走
뒤 쫓으며 애걸하길
“버리지 마소서.
손을 씻고 잡으며
이제 저를 버리면 누구를 믿으리오.
029_0589_c_05L從後求哀
莫相捐棄
澡手見授
今棄付誰
다만 자신을 살펴보니 허물이 한량없지만
거듭 영화를 누리며 살아서 저를 버리지 마소서.
029_0589_c_06L唯今自察
無量過失
願微重榮
莫生相捨
홀로 산속에 들어가 많은 덕행을 닦으며
어찌 저를 저버리고 지독한 고생하려 하신지요.
옛 성현은 출가해 도를 배워도 그 비(妃)를 또한 좋아했다오.
불쌍히 여겨 모시도록 허락하소서.”
029_0589_c_07L獨入山澤
勤修衆德
何悋於妾
致大酷惡
古賢出學
亦復好妃
唯垂愍傷
願聽侍從
쫓으며 한없이 불러도 태자는 숲으로 들어가 버렸네.
마음이 미친 듯이 숲속을 찾아 헤매며
나무를 보고 말하되
“너는 근심도 없는데 나만 홀로 괴롭다.
우리 태자를 보여 주렴.”
029_0589_c_10L追呼不息
太子入林
心意發狂
樹樹行求
㘁向樹曰
汝獨無憂
我獨懷惱
示我太子
고개 들어 보니 나무 위에 붉은 입부리의 새가 있어
새를 보고 탄식하며 괴로워하되
“나는 의지할 곳을 잃었구나.
네 소리가 같다면 내 소리를 주마.
원컨대 울음으로 내 마음의 고민 덜어다오.”
029_0589_c_13L仰見樹上
有赤嘴鳥
向鳥歎苦
我失所怙
汝聲似之
留聲與汝
願以鳴聲
除我心惱
또 다른 나무를 보고 이르길
“너는 어찌 자비롭지 않느냐.
내 의지할 곳 잃고 울면서 헤매고 부딪치는데
어진 남편에게 버림을 받았거니 마땅히 어여삐 여길지언정
어찌하여 웃으며 꽃만 피느냐.”
029_0589_c_15L又見樹曰
汝何不慈
吾厄夫怙
迷行犯觸
賢夫所棄
宜見愍傷
如何見笑
華盡開敷
머리 둘 달린 구욕새가 나란히 날아다님을 보니
근심과 괴로움이 더욱 심해져 눈물 흘리며 말하네.
029_0589_c_18L見雙頭鵒
相將俱飛
益增憂苦
流泣且言
“원컨대 나에게 거듭 싫어함을 보여라.
내가 보고 나를 잃고 없어지게 하라.
나무의 꽃들이 내게 흩어지니 더욱 내 마음 아프구나.
너 어진 새야, 미워 말고 나를 유쾌하게 하라.
029_0589_c_19L唯願示我
懷重慊者
令我睹之
失之我亡
樹華散我
更耗我心
唯汝仁鳥
莫嫉快我
029_0590_a_01L내 마음은 산란한데 너는 좋은 음악만 즐기느냐.
일찍이 서로 거슬림 없었거니 어찌하여 그러느냐.
바람이 불어 나뭇가지가 휘는 것은
마치 손바닥으로 나를 치는 것 같아라.
029_0589_c_22L當散我心
好喜伎樂
未曾相犯
何爲必爾
爲風所動
樹枝傾曲
猶如以掌
擊打於我
새와 짐승들도 모나게 보며 너는 남편을 보내지 않았느냐고
물소리도 꾸짖는 듯 난 어쩔 수 없다고
태자도 돌아오지 않으니
문득 슬피 탄식하며 말하네.
029_0590_a_02L鳥獸角視
爾不遣夫
水聲如罵
我不任治
太子不還
便悲歎曰
“푸른 연꽃인 듯 또렷하게 따를 뿐
남은 웃음은 꽃이 피듯 그 얼굴도 금빛 꽃[金華]일레
남은 머리털은 천왕과 같은데
나는 문득 잃어버렸네.”
029_0590_a_04L留目紺蓮
留超與應
留笑華敷
留顏金華
留髮辟兵
我見遺忽
말이 채 끝나지 않았는데 홀연히 태자가
숲 사이에 있음 보고 앞에 나아가 두드리며 말하네.
“어찌하여 저를 버리려 하오.”
놀라 깨어 태자를 껴안은 채 부끄럽고 두려워 떨었네.
029_0590_a_06L口言未止
忽見太子
於林樹閒
便前搏曰
何爲相棄
語頃驚覺
抱持太子
慚懼戰%(病-丙+又)
태자가 묻기를 “왜 그러시오?”
꿈 이야기 하니 태자는 대답하되
029_0590_a_08L太子問曰
何爲如是
便說夢事
太子報曰
“이건 그대도 아니고 나도 간 바가 없으니
누가 가고 누가 왔으리요.
가는 것도 없고 또한 이르는 곳도 없다오.
029_0590_a_10L此非爲汝
吾無所去
誰往誰返
無有往者
亦無所至
그대는 이를 자세히 깨달을지니
색(色)이란 거품의 모임이요 각의(覺意) 또한 거품이오.
029_0590_a_11L汝諦覺是
色如聚沫
覺意如泡
상(相)은 불꽃 같고 행(行)은 파초 같으며
식법(識法)은 허깨비 같고 모든 감관[諸根]은 힘이 없는 것
형체(形體)는 인연으로 모임이니 마치 꽃이 합해서 이룸 같다오.
029_0590_a_12L相如光炎
行如芭蕉
識法如幻
諸根無力
形體相因
猶如華合
세상이 무상하여 마치 아지랑이 같음을 깨달으시오.
나도 없으며 또한 견고함이 없어서
모이면 흩어짐을 그대는 자세히 깨달으시오.”
029_0590_a_14L覺世無常
譬如野馬
吾我無有
亦無堅要
合會有離
汝當諦覺
그러면서 태자는 스스로 생각했네.
“이 일은 나의 출가할 조짐이구나.”
029_0590_a_16L太子自思
是吾出應
9. 현우구품(現憂懼品)
029_0590_a_17L佛本行經現憂懼品第九
왕은 태자의 근심을 걱정하여
밖에 나가 구경하기를 권하였네.
처음 궁성 문에서 나가자
구름에서 눈부시게 해가 솟듯
029_0590_a_18L王愍太子愁
勸令行遊觀
始出宮城門
霍然日出雲
일곱 가지로 꾸민 보배 수레를 탔으되
온갖 덕상(德相)을 스스로 장엄했고
시종하는 이들은 모든 귀중한 분들
뭇 별 가운데 달빛과 같았네.
029_0590_a_20L駕乘七寶車
衆德相自嚴
所將從貴重
如月與衆星
온갖 공덕 원만히 갖추어
몸의 상호도 매우 기묘한데
성읍과 마을 모두에 명령하여
늙고 병들고 죽은 자 보이지 않고
029_0590_a_21L功德充滿備
形容甚殊妙
都勅國邑里
幷除老病死
주리고 떨고 곤궁한 자까지도
길옆에 얼씬거리지 못하게 하였네.
저마다 힘을 다해 장엄하므로
온갖 깃대와 일산이 나부꼈네.
029_0590_a_22L窮凍困厄者
莫令現道側
各各盡力嚴
若干幢幡蓋
029_0590_b_01L누각 위에 모든 부녀자들도
마치 천상의 궁성과 같이
장엄하게 꾸밈이 매우 화려해
기쁜 경사 아님이 없었네.
029_0590_b_01L樓閣諸婦女
猶如天宮城
嚴飾甚靡麗
莫不懷歡慶
모든 백성들이 다 노래하니
그 메아리 온 나라를 진동하고
마치 가을 물이 바다로 들어가듯
서로 앞 다투어 보고자 하였네.
029_0590_b_02L萬民皆歌詠
聲嚮震一國
猶秋水歸海
諍競欲觀見
몸단장하고 옷 바꿔 입기도
다 마치지 못한 채 내달려 오며
혹은 미처 옷치장을 못한 이도
소리 듣고 문득 달려왔다네.
029_0590_b_03L莊嚴易服飾
未竟便起走
或未及莊嚴
聞聲便馳往
모든 누각의 난간까지도
빈틈없이 가득 차서
혹은 몸을 매단 채들 구경하니
마치 온갖 꽃을 드리운 듯하였네.
029_0590_b_05L於衆閣欄楯
側塞不相容
或頭身自懸
猶如衆花垂
어떤 이는 몸 굽혀 절하며
각각 공경스레 찬탄하여 말하길
“세간의 도사(導師)가 되소서” 하고는
온갖 꽃과 향과 영락을 흩었다네.
029_0590_b_06L或有傾屈禮
各懷敬歎曰
當爲世導師
散衆花香瓔
보는 사람마다 다 놀래어
서로 전하고 또 전해 이르되
“이 분은 어떤 신(神)이겠지요.
그렇지 않으면 천상에서 하강하셨나요?”
029_0590_b_07L見以皆愕觀
展轉相謂言
此當爲何神
或云從天降
혹은 이 분은 제석천왕이라 하고
혹은 마왕(魔王)이나 범천왕이라 하며
의혹에 잠겨 크게 뛸 듯이 기뻐하며
여러 노래로 찬탄하였네.
029_0590_b_09L或云是天帝
魔王或梵王
懷疑歡踊躍
歌歎若干種
모든 천상에서 태자를 보고
장엄한 무리들을 이끌고 나오니
마치 천상의 제석천왕이
궁에서 나와 구경할 적 같았네.
029_0590_b_10L諸天見太子
容飾導從出
猶如天帝釋
出遊觀之時
그러자 마침 정거천왕(淨居天王)은
상서로운 조짐을 일으키고자
과거 부처님께서 상서를 나타내
출가할 뜻을 내게 했듯이 하였네.
029_0590_b_11L於是淨居天
欲興降瑞應
如前佛見瑞
勸意出家學
정거천왕은 갑자기 병든 사람으로 변해
쿨룩거리고 길옆에 누웠는데
피부색도 나쁘고 눈동자도 누르며
몸이며 입술도 바싹 타 말랐네.
029_0590_b_13L天卒化病人
喘臥在道側
色惡眼睛黃
體氣口燋乾
배의 종기는 불록하게 부풀어
온갖 더러움을 마구 드러내고
이리저리 뒹굴며 헤어날 수 없었네.
029_0590_b_14L身腫腹胮脹
惡露諸不淨
宛轉而自塗
태자는 눈을 들어 이를 보고 묻기를
“이것은 무슨 물건인가?
추악스러워서 볼 수가 없구나.”
029_0590_b_15L菩薩擧目見
是爲何物
醜惡難可視
어자(御者)는 물음에 대답하기를
“식욕이 때때로 적절하지 못하고
4대(大)가 어긋나 고루지 못하니
이것을 병든 사람이라 합니다.”
029_0590_b_16L御者尋對曰
食飮不時節
四大錯不順
是名爲病人
태자[菩薩]가 대답하기를
“보고서도 어찌 나누어 덜어주지 않는가?”
029_0590_b_17L菩薩報之曰
視何不分減
어자는 다시 대답하기를
“이것은 나누어 대신할 수 없습니다.
질병의 위태로운 우환은
온 세상이 다 면치 못합니다.
029_0590_b_18L御者復對曰
是不可分代
都世無能免
疾病之危厄
404가지 병들이
세간의 큰 우환이 되어
태자님도 또한 면할 수 없고
이 큰 변란의 근심에 처해 있습니다.”
029_0590_b_19L四百四種病
大患如世閒
尊亦未免離
處大變難患
태자는 곧 수레를 멈추고
슬프게 근심스레 탄식하였으니
병이란 말을 듣고 마음이 놀라고 아파
코끼리가 독(毒)의 화살 맞음과 같고
029_0590_b_21L太子卽停駕
慘然懷憂歎
聞病心驚痛
如象被毒箭
병듦을 보자 마음이 상하여서
수레를 돌리라고 명령하였네.
마음이 두렵고 또 겁냄이
마치 소가 벼락과 우박을 겁내듯
천둥소리를 듣고 놀라서
몸을 떨고 불안해하듯 하였네.
029_0590_b_22L見病觸其情
尋勅御迴車
心懼懷悚然
如牛畏雷雹
聞雷聲怖愕
驚懅體不安
029_0590_c_01L그 뒤에 또 구경하러 나오자
정거천왕은 다시 늙은이로 변해
머리카락은 흰 눈과 안개인 듯하고
살갗은 늘어나 주름살투성인데
몸을 떨기는 물속의 나뭇가지 같고
몸은 굽어져 당겨진 활 같았네.
029_0590_c_01L後時復更出
天化作老人
頭如絲雪霧
皮緩肌體皺
戰如水中枝
身僂如張弓
태자는 그것을 보고 묻기를
“이것을 어떤 사람이라 하는가?
나면서부터 이러한 것인가,
변해서 이렇게 된 것인가?”
029_0590_c_03L太子見卽問
是名爲何人
生便如是耶
爲有變者乎
어자는 대답하기를
“몸이 태를 받을 때부터
거품같이 적은 것이 일어나
인연으로 5체(體)가 나타나고
029_0590_c_04L御者因對曰
始從身受胎
微起如泡沫
緣起五體見
합하고 나뉘어 6근[六情]을 이루고
그런 뒤에 마침내 출생합니다.
어려서는 어미의 젖을 먹다가
점점 자라면 음식을 먹으며
029_0590_c_06L分合成六情
然後乃出生
小飮母乳活
次長乃食穀
크면서 땅을 의지해 걸으며
처음엔 앵무새처럼 말하다가
이내 곧 서고 걷고 뛰며
몸과 얼굴 모습이 완전히 이뤄져
029_0590_c_07L轉緣地而行
初語如鸚鵡
爾乃立行走
體貌形容成
모든 감관[根]이 점차 성숙하나니
이것을 늙음이라 합니다.
또 이것을 천사(天使)가 부름이라는데
가르침을 드러내 중생을 깨닫게 합니다.
029_0590_c_08L諸根轉成熟
以故名曰老
是名天使召
顯敎悟衆生
형상이 쇠잔하고 기쁨도 잃으니
꽃이 무서리를 만난 것 같고
얼굴은 월식(月蝕)같으며
마음은 구름에 가린 해 같고
029_0590_c_10L形衰失歡慘
如花被毒霜
面如月遭蝕
心猶日雲霧
건장하던 힘도 마르고 다하여
여름 모래에 물을 뿌린 듯합니다.
사람의 뜻과 생각도 재주도 앗아가니
그림자 없이 오는 도적과 같습니다.
029_0590_c_11L壯進力枯竭
如夏沙淋水
竊人志思才
無形如來賊
마음은 고뇌하며 듣고 아는 것도 잃으며
마치 들불이 늪지를 태우듯
점점 다그침이 마치 기름을 짜듯하여
그 몸의 정기(精氣)를 마심으로
몸을 무너뜨리고 다른 모습되게 하니
이것을 늙음이라고 합니다.”
029_0590_c_12L心惱失聽識
猶野火燒澤
迫迮如壓油
飮其體精氣
懷變令形異
是者名爲老
태자는 한동안 이것을 보고
슬프게 길이 탄식하였네.
029_0590_c_14L太子視良久
悵然而長歎
“늙고 병듦의 큰 돌산이
억세게 중생을 갈고 부수어
세상은 모두 괴로움의 근심을 만나거니
어떻게 뜻대로 마음 편히 지낼 수 있을까.
도망갈 방편을 찾되
억센 원수를 피하듯 하리로다.”
029_0590_c_15L老病大石山
强磨碎衆生
世普遭苦患
何可暢意安
當設方便逃
如避强害寇
뒤에 다시 구경하러 나오자
정거천왕은 죽은 사람으로 변해
일가친척이 상여 뒤에 따르며
머리를 풀어 헤치고 통곡을 하네.
029_0590_c_17L後復出遊見
天化命過人
宗親隨喪車
被髮而啼哭
“이것은 또 어떤 것이냐?”고 물으며
“정성스레 나에게 가르치라” 하네.
그러자 모든 어자들은
곧 하나하나 그것을 설명하였네.
029_0590_c_18L問曰是何等
以至誠示吾
爾時諸侍御
便爲具足說
“날로 급박하게 마르고 늙음에 이르자
병으로 정기의 물이 흐르고 말라
여덟 마디 날카로운 톱날로
목숨의 나무를 끊고 자르며
029_0590_c_20L日迫致枯老
病流精汁竭
八節之利鋸
攦刻壽命樹
해ㆍ달의 날카로운 도끼로
낮과 밤으로 항상 베고 끊어
무상(無常)한 바람을 만나서
기울고 무너져 거꾸러집니다.
029_0590_c_21L日月之斧利
晝夜恒斫斷
會遇無常風
隨靡崩顚墮
부모와 이별하고
가면서는 홀로 미하여 달아나니
아내나 자식이나 형이나 동생 등
믿고 의지할 친척도 없고
029_0590_c_22L與父母離別
隨行獨迷走
妻子及兄弟
無親可恃怙
029_0591_a_01L어떻게 할 길이 없는지라
에워싸고 슬프게 통곡하면서
슬피 추모하고 마음 아파하며
그 생시의 덕을 찬탄합니다.”
029_0591_a_01L莫能設方便
圍繞而哭泣
追慕哀摧傷
歎其生時德
“나 또한 그렇게 당하는가?”
“태자님도 모두 의심치 마소서.”
“나 또한 어버이와 이별하느냐?”
029_0591_a_02L吾亦當爾乎
都上尊莫疑
我亦離親耶
“태자님도 반드시 죽어 이별합니다.
온 세상은 죽음에 쌓이었거늘
어떻게 마음껏 웃으며 말하리오.
두려움을 모르는 까닭에
다시 무수하게 죽음만 거칩니다.
029_0591_a_03L爾尊必當別
普世死所執
如何暢笑語
不知慚愧故
更歷無數死
낮과 밤의 기나긴 길에
해와 달은 쉬지 않고 운행하는데
늙고 병들고 죽음의 독에 쏘이면서
근심과 번뇌의 이빨에 물리고
사계절의 혀에 핥아지면서
숙업[宿行]은 빠르고 위험합니다.
029_0591_a_05L晝夜之長塗
日月運不停
老枯病所毒
憂惱之牙齒
四時舌所舐
宿行速危嶮
일체를 면할 수 없으니
죽음의 용(龍)에 집어삼켜지듯
모두 들어가 다 상하고 꺾어지고
모두 무너지고 끊어지고 부서지며
029_0591_a_07L一切莫能免
死猶龍所吞
普入盡傷折
都崩盡斷壞
그 원하는 것을 빼앗아
모조리 삼키고 다 태워 버리며
모조리 몰아서 다 꺾어도
그러지 못하게 막을 수 없거니
태자님도 이 죽음에 대해 깨달으소서.”
029_0591_a_08L悉奪其所願
盡吞盡燒沒
盡驅盡挫摧
莫有能禁遮
尊當覺是死
태자는 이 말 듣고 두려워
“세상에 살면서 웃는 자로는
쇠나 돌이나 웃겠구나.”
029_0591_a_10L聞已懷懼曰
處世之笑者
金石爲笑耶
태자는 근심을 품고 가면서
죽음을 생각하니 끓는 탕 같고
마치 사나운 사자가
숲에서 들불을 만난 듯
029_0591_a_11L太子懷憂行
憶死如湯灼
猶如猛師子
處林遭野火
늙음ㆍ병듦ㆍ죽음의 사나운 불꽃을
면하고 벗어나고자 생각하며
길을 가는 동안 내내 잊지 못하고
벗어날 방편을 구하고자 하였네.
029_0591_a_12L思欲得免離
老病死熾炎
順道念不忘
方便欲求出
그때 정거천왕은 바라문으로 변해
초췌한 몸을 드러낸 채
쪽진 머리에 수염과 눈썹이 길며
거친 사슴의 가죽옷을 입었네.
029_0591_a_13L天化作梵志
見形暴露憔
簇髮鬚眉長
被麤鹿皮衣
손에는 물병을 들고
또 삼지(三枝) 지팡이를 쥐었거늘
태자[菩薩]가 그를 보고 물었네.
“그대는 무엇을 원하여 도술을 닦는가?”
029_0591_a_15L手持澡甁水
又執三枝杖
菩薩因問曰
仁修術願何
그는 태자의 말에 대답하되
“예, 제가 원하는 것을 들으소서.
늙고 병들고 죽는 근심이 없는
그곳을 천상세계라 합니다.
029_0591_a_16L尋聲應太子
唯聽我所願
無病老死患
是處名天上
지금 여기에서 씨앗을 심으면
천상세계에 광대한 꽃이 나니
원컨대 큰 안락을 구하여
싹이 천상세계에 태어나기를 바랍니다.”
029_0591_a_17L今於此下種
生天廣大花
願求快安樂
萌芽天上生
태자는 찬탄하여 말하되
“이 수도자[士]는 견해와 계책이 밝구나.
천상은 근심을 떠난다 하니
이는 나도 또 즐길 만하다.
029_0591_a_19L太子歎咤曰
斯士見計明
告御天離患
是亦吾所樂
그러나 한 가지 의심되는 점은
영원히 항상한가, 그렇지 않은가?
만약 반드시 항상 안락하다면
천상세계에 태어나는 것이 소원이로다.”
029_0591_a_20L心惟懷一疑
爲永恒不常
若必常安樂
可願生天耳
정거천왕은 가장 좋다고 일컬으며
태자의 마음이 청정함을 찬탄했네.
“천상세계가 비록 즐겁긴 하지만
마침내 반드시 타락하고 만다오.
복과 온갖 쾌락을 누리지만
029_0591_a_21L天於上稱善
歎太子心淨
天上雖快樂
卒必當墮落
食福衆善快
마침내 영원히 있음은 없다오.
복이 다하면 곧 떨어져
3도(途)의 괴로움을 받게 되오.
해가 천 가지 빛으로 빛나도
029_0591_a_23L終無永長存
福盡卽退墮
三塗受苦分
日有千光炎
029_0591_b_01L복이 다하면 어둠에 떨어지듯
달이 둥글어 두루 빛나지만
달도 떨어지면 밝음을 잃는 법
범천ㆍ제석천 무수한 천상세계도
029_0591_b_01L福盡墮闇冥
月滿盛照耀
月天墮失明
梵釋無數天
비록 천상세계의 영화로운 지위가 참되나
도로 불쌍한 물건이 되어
비럭질하는 아귀의 형상이 되오.
옛날에 보정불(寶頂佛)을 위하여
029_0591_b_03L雖實天榮位
還爲可傷物
乞丐餓鬼形
昔爲寶頂佛
7일 동안 등을 밝히고
발심하여 불도를 구하며
서원이 매우 견고하여
즉시 마군의 마음을 떨게 하였으니
029_0591_b_04L燃燈立七日
始發意求佛
誓願甚堅固
卽時魔心戰
마치 파초 나무와 같았고
또한 마왕의 궁전을
진동시켜 편안치 못하게 하니
삼계가 다 공경하였음을
지금도 잊어서는 안 되오.
029_0591_b_05L猶如芭蕉樹
亦令魔宮殿
震動不得安
爲三界所敬
今者不宜忘
한량없는 모든 부처님 처소에서
얼마만큼 부지런히 수행했으니
옛날 시안불(施安佛)을 위하여
7보의 큰 탑을 일으켜 세우되
029_0591_b_07L於無央數佛
修若干勞勤
昔爲施安佛
起七寶大塔
마치 큰 수미산같이
땅 위에 우뚝 솟아났으며
정광불에게 일곱 가지 꽃을 올리고
미래에 성불하리란 기별(記別)을 받았소.
029_0591_b_08L猶如須彌山
峙立於地上
上錠光七華
受莂當爲佛
보광불(普光佛)에게 금꽃을 뿌리고
해가 기울도록 대승법(大乘法)을 구했고
또 탑과 절을 이룩하였으며
연화상불(蓮花上佛)을 받들어 섬기고
그 밖의 무수한 부처님들에게
온갖 보배ㆍ향과 꽃을 공양했었소.
029_0591_b_10L金華散普佛
終日願大乘
又爲起廟寺
事蓮華上佛
及餘無數佛
衆寶香花施
능인불(能仁佛) 앞에서
하늘꽃을 공양하였으며
또 현의불(現意佛)을 공양하되
꽃과 향으로 목숨이 다하도록 하였고
노래로 방면불(方面佛)을 찬탄하되
7일 동안에 이르렀으며
029_0591_b_12L以天華供養
無數能仁佛
又供現義佛
華香畢已壽
歌歎方面佛
乃至于七日
이렇게 무견불(無見佛)을 공양하여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하였으며
또 정왕불(頂王佛) 앞에서
일곱 가지 보배와 옷을 공양하였소.
029_0591_b_14L供養無見佛
盡己之形壽
復施頂王佛
七寶名衣服
무루불(無漏佛)에게 보시하고
사문(沙門)이 되기를 원했으며
또 이광불(理光佛) 처소에서
불도에 들어 청정한 법을 가졌으며
029_0591_b_15L布施無漏佛
求欲作沙門
又於理光佛
入道持淨法
또 한량없는 부처님 처소에서
머리를 깎고 사문이 되었으며
이렇게 수천의 모든 부처님 처소에서
부지런히 힘써 공경해 받들었소.
029_0591_b_16L復於無限佛
剃頭作沙門
於數千諸佛
執勤勞謙敬
몸을 주린 범에게 보시하고
또 아내와 자식을 내주었으며
눈과 몸 살갗이며 손발까지
희사하더라도 마음이 어지럽지 않고
029_0591_b_18L有身餧餓虎
以妻息施與
捨眼身肌肉
手足心不亂
이렇게 헤아릴 수조차 없이
머리만 베푼 것도 몇 천 개라
이와 같이 보시해 줄 때에는
삼천세계가 진동하였소.”
029_0591_b_19L如是不可計
頭施有千數
當施與之時
震動三千界
이렇게 말하는 사이에도
천상세계에서 수명 다하면 타락함을 나타내니
뒤의 사람이 슬피 탄식하고 사모하고
서로 서로가 가련히 여기고 슬퍼하네.
029_0591_b_20L如是言說頃
現天壽終墮
後者悲嘆慕
展轉相憐傷
아래로 8지옥이 나타나니
각각 16관속(官屬)들이
문득 큰 소리를 내면서
“온 세상은 다 죽고 만다.”고 하네.
029_0591_b_22L下現八地獄
各十六官屬
忽有大聲出
普世皆當死
여기서 점점 나아가니
사슴이란 석가족의 처녀가
태자가 천왕 같음을 보고
큰 소리를 내어 말하였네.
029_0591_b_23L從此轉進行
釋種女名鹿
見太子如天
發大聲言曰
029_0591_c_01L“그 아버지는 근심함이 없고
어머니는 매우 안락하리라.
그 남편이 이러하거늘
아내도 무위(無爲)를 얻으리.”
029_0591_c_01L是父不懷憂
爲母大安樂
其夫如此者
婦如逮無爲
하늘의 우레 소리와 같이
그 소리는 태자의 귀를 울려
비로소 무위라는 말을 듣자
피곤할 때 휴식을 얻은 듯했네.
029_0591_c_03L如從天雲雷
聲入太子耳
始聞無爲音
猶疲勞得息
모든 생각이 이미 충족하므로
마음 가운데 안정함을 이룬지라
자기의 많은 보배 영락을
멀리 던져 처녀의 목에 걸어주었네.
029_0591_c_04L諸情已充足
意中如逮得
以己盛寶瓔
遙擲挂女頸
무위법을 듣고 즐거워
삿된 생각을 내지 않고서
기쁜 마음으로 무위를 향하자
문득 사문으로 변한 정거천왕을 보았네.
029_0591_c_05L以聞無爲喜
不以邪欲與
勸心向無爲
忽見化沙門
위의와 계행이 차분하고 조용해
법복을 입고 손에 발우를 들었네.
태자는 어자에게 일러
수레를 돌려 따라가게 하였네.
029_0591_c_07L威儀戒寂靜
法服手持鉢
太子告御者
迴車往行就
태자가 그 사문에게 묻자
그는 소리를 따라 대답하였네.
029_0591_c_08L太子問沙門
尋聲而應之
“6근에 모든 번뇌가 없으며
집을 버리고 근심을 여의었네.
산 바위 한가한 나무 그늘에
홀로 머무는 고요한 곳이요
밥은 빌어 스스로 살거니
태자님도 이것을 배우시라.
029_0591_c_09L六情無諸漏
捨家轉離患
山巖空閑樹
止宿獨靜處
乞丐自存活
太子願學此
내 이름을 사문이라 부르나니
해탈을 구하기 때문이네.
사랑과 미움을 함께 버리고
모든 뜻이 고르고 마음이 편안하오.
029_0591_c_11L我名曰沙門
欲求解脫故
愛憎意俱除
諸情調心定
집착함 없이 나를 버리고
온갖 일을 모두 다 버리므로
스스로를 지키는 수레를 타고
손에 지혜의 활을 잡았소.
029_0591_c_12L無著捨吾我
衆事一切棄
乘自守車輿
手執智慧弓
널리 모든 방편을 베풀어
마군의 군사를 쳐부수어
불도 없고 땅도 없고
물도 없고 바람도 없기를 바라오.
029_0591_c_13L廣設諸方便
欲壞滅魔兵
願無火無地
無水無風雲
해와 달이며 별도 없고
구름이며 허공도 없이 근심도 끊어져
늙고 죽음의 근심과 괴로움도 없고
또한 이별하는 번뇌도 없다오.
감로를 길이 드리워 괴로움을 멸하니
이런 곳을 찾음이 나의 소원이오.”
029_0591_c_15L無日月星辰
無雲空息患
無老死憂苦
亦無別離惱
甘露永乖滅
吾願求是處
이런 말을 다 마치자마자
문득 태자 앞에서 자취를 감추었네.
說是言適竟
忽滅太子前
태자가 조용히 걸어가자
빛의 그림자는 땅을 비추며
다시 동산에 가서 구경하자
마음이 고요하고 편안하였네.
몇몇 가지를 생각하고 생각함이
오직 모든 착함의 방편뿐이어라.
029_0591_c_17L太子安庠行
光影照耀地
還至遊觀園
心寂滅定安
意思若干種
衆善之方便
10. 염부제수음품(閻浮提樹蔭品)
029_0591_c_19L佛本行經閻浮提樹蔭品第十
태자[菩薩]는 바로 이때에
울적한 마음으로 돌아왔네.
동산에 이르러 구경하자
덕의 빛남이 제석천왕 같았네.
029_0591_c_20L菩薩於是時
心懷慘然還
過到遊觀園
德曜猶天帝
모든 선성(仙聖)의 왕들이
여색과 미혹하지 않듯 하였네.
어느 때 농부들이 밭에서
밭갈이 하는 것을 보았네.
029_0591_c_22L諸仙聖之王
不以女色惑
時見農田夫
興功耕犂作
꿈틀거린 벌레를 밟아 터지자
곧 비통한 마음을 일으키어
어버이가 어린 자식을 불쌍히 여기듯
슬퍼하고 길게 탄식하였네.
029_0591_c_23L踐截蠕動虫
卽起悲痛心
如親傷赤子
愷然而長歎
029_0592_a_01L그 나무에서 멀지 않은 곳에
감추어진 창고가 문득 나타나
사방 1유순이 환하도록
7보(寶)가 가득하였네.
029_0592_a_01L去其樹不遠
伏藏忽出現
辟方一由旬
七寶光盈滿
이내 뛸 듯이 기뻐하며
금을 가져다 보배그릇에 쓰되
옛날 왕들은 이름을 새겨
어느 그릇은 어느 왕이 만들었다 하고
029_0592_a_03L將從喜踊躍
取金畫寶器
銘題古王號
某器某王造
과거 전륜성왕들을 이렇게
8만 4천 대(代) 동안이나
펴고 전하여 서로 이어왔지만
태자는 이름을 새기지 않았네.
029_0592_a_04L太子省銘題
過去轉輪王
八萬四千代
展轉相承習
그 7보가 쌓임을 보고
독사와 살무사같이 여기며
꽃같이 빛나는 얼굴을 돌려
몸을 굽혀 선대(先代)를 공경할 뿐
029_0592_a_05L視其七寶積
如見毒蛇虺
四顧花光顏
傾屈敬先代
검푸른 빛의 눈에 눈물을 흘려
꽃 같은 얼굴에 비 오듯 하며
곧 자비로운 눈을 들어서
널리 허공을 우러러보았네.
029_0592_a_07L泣出紺色睫
雨於花容顏
卽擧普慈目
仰廣視空中
슬픈 마음에 범천 같은 소리를 내어
그 좌우의 시종들에게 이르는 말이
“지난 옛적 모든 석가족 어른들은
세상에 용맹하고 교만했지만
나라며 왕위를 버리고 난 뒤엔
홀로 쓸쓸하게 어느 곳에 갔는가.
029_0592_a_08L發情哀梵音
勅其左右曰
往古諸釋尊
雄猛世憍慢
捨國名天位
空獨至何方
부역(賦役)으로 천하를 괴롭히고
한량없는 토지며 나라의 보배
창고에 쌓아 모았건만
그 주인은 죽고 없도다.”
029_0592_a_10L賦役勞四域
積聚無央數
土地國寶藏
故字其主無
마음으로 무상함을 생각하고
염부제나무 아래 나아가
금빛의 팔을 들어
금빛 허벅다리 위에 놓고
029_0592_a_11L心思計無常
趣閻浮樹下
卽擧金剛膊
置金色䏶上
앉아 생각하며 굳게 움직이지 않으며
뜻을 모아 오로지 하나로 정하되
생기고, 없어지고, 합치고, 흩어짐을 보며
일정(一定)에 들었었네.
029_0592_a_13L坐思堅不動
聚意專一定
觀起滅合散
逮得一定住
저 강가의 모래 수와 같이
모든 부처님의 뜻은 다름이 없어
아홉 가지 번뇌로 흐린 강물을
지혜의 구슬로 맑히듯
029_0592_a_14L如江河沙數
諸佛不共意
九惱江流濁
以珠能使淸
일체 세간 중생들에게
자비로운 마음으로 찰나 사이에
끝없이 한량없는 복락을
중생들에게 더하기 때문이라네.
029_0592_a_15L於一切衆生
慈心彈指頃
福無限無量
慈加衆生故
또 자비로운 마음을 일으켜
온갖 괴로움과 근심을 편히 하려고
자세히 일체를 두루 살피자
평등하게 제1선(禪)을 이루어
029_0592_a_17L復起慈愍心
欲安衆苦患
諦察見一切
平等逮一禪
모든 욕의 악법을 버리고
크게 기쁜 해탈을 얻고
내지 제4선에 이르러
한량없이 청정함을 얻었네.
029_0592_a_18L棄諸欲惡法
尋得歡喜解
乃至第四禪
及無量淸淨
해가 기울어 점점 석양이 되자
모든 나무 그림자는 옮아갔으나
오직 염부제나무의 그늘은
일산처럼 태자를 덮어서
029_0592_a_19L日時轉向夕
諸樹蔭移徙
唯閻浮樹影
如蓋覆太子
마치 사람이 길러준 은혜를 알고
숙업보[宿行報]를 버리지 못하듯이
그늘이 태자를 떠나지 않고
보답을 위해 버리지 못하듯 했네.
029_0592_a_21L猶人識恩養
宿行報不捨
蔭不離太子
如報不捨對
석가족 정반왕은 이 말을 듣고
사자가 달리듯 빨리 이르러
태자가 나무 아래 있음을 보자
마치 구름 속의 해와 같았다네.
029_0592_a_22L釋種王聞之
騰至如師子
見子處樹下
猶如雲中日
029_0592_b_01L뛸 듯이 기뻐하면서
놀라움을 스스로 참지 못하여
자애로운 눈에 눈물을 흘리며
태자의 발에 절하고 슬피 탄식했네.
029_0592_a_23L情喜懷踊躍
愕然不自勝
慈目垂泣視
禮足悲聲歎
“한량없이 공경하는 마음으로써
이렇게 지금 두 번 절하노라.
원컨대 나라에 복덕이 있도록
버리고 떠나지 말라.
029_0592_b_02L以無量敬意
如是今再禮
願國土有德
莫生捨棄去
모두 다 뛸 듯이 기뻐하면서
마치 천상의 복록을 누림 같노라.
바라노니 어리석고 미한 것들을 버려
어두운 죄 구렁에 빠지게 말라.
029_0592_b_03L普懷喜踊躍
猶如僥天福
幸莫棄愚迷
失僥墜罪冥
태자는 이 세간의 덕망이 높으니
옛 선인(先人)의 이름을 나투어라.
일체가 믿고 의지하는 바이니
모든 석가족 가운데 영웅이로다.
029_0592_b_04L子是世閒德
顯古先人號
一切所恃賴
諸釋中之雄
이는 내 몸과 목숨이요
모든 채녀들의 제석천이며
중생들의 범천왕이니
널리 이들을 자재롭게 하라.
우리들의 목숨을 빼앗아
마치 강한 원수와 같이 말라.”
029_0592_b_06L是吾之身命
諸女之欲天
衆生之梵天
普命之自在
莫奪吾等命
猶如强歒王
왕은 태자를 사랑하므로 허둥지둥
비참하게 다시 궁으로 돌아갔네.
왕이 떠난 뒤 오래지 않아서
태자는 선정(禪定)에서 깨어났네.
029_0592_b_08L王愛子不覺
悲慘且還宮
王去後不久
太子從禪覺
허공에서 무슨 소리가 들리니
세 천왕이 태자에게 한 물음이었네.
“천상과 인간의 대도사(大導師)시여,
바라건대 저희들의 말을 들으소서.
029_0592_b_09L聞空中有聲
三天於上問
天人之導師
願聽我等言
원컨대 존자는 꼭 출가할 때요
과거 한량없는 겁수(劫數)로부터
명(名)과 색(色) 두 가지 인연으로
두루 5도(道)에 노닐었다오.
029_0592_b_10L願尊可時出
從無央數劫
名色二支分
周遍於五道
뿌리에서 싹이 나서 유(有)에 이름
매우 크고 견고하거니
이제 지혜의 보습으로써
생(生)ㆍ사(死) 나무의 근원을 돌이키소서.
029_0592_b_12L根萌至於有
甚大而堅固
今以智慧犂
反生死樹原
애착의 깊고 넓은 연못에는
어지러운 생각이 물고기들 놀 듯하오.
미혹의 우리에 덮이고 얽히어
질투와 진에의 빠르게 흐르는 물결 같다오.”
029_0592_b_13L愛深廣淵池
亂想如魚遊
迴覆迷牢著
嫉恚駃流波
둘째 천왕도 청정하고 공경하는
뜻으로 아뢰기를
“지혜의 배를 타시고
번뇌 바다 저 언덕에 건너소서.”
029_0592_b_14L第二天所啓
以淸淨敬意
可乘進浮舟
度塵勞海岸
셋째 천왕도 아뢰었네.
“교만의 바위 험한 산과
삿된 견해의 깊은 함정과
질투와 성냄의 낭떠러지며
029_0592_b_16L第三天啓言
種山憍慢巖
邪見之深坑
嫉恚之絕崖
병과 죽음의 골짜기들은
비탈지고 구불구불하니
지혜의 금강저(金剛杵)로써
모든 괴로운 산을 쳐부수소서.”
029_0592_b_17L病死之川谷
傾邪而屈曲
以慧金剛杵
壞破衆苦山
태자는 이 말을 듣고 일어나자
광명이 빛나 금산과 같고
웅장한 걸음걸이 팔다리도 가뿐하고
목소리는 마치 우레와 같으며
029_0592_b_18L聞已從坐起
晃耀如金山
雄步臂傭平
聲如雲雷音
눈은 검푸른 연잎과 같고
얼굴은 둥근 달과 같은데
집을 싫어하고 무위를 즐겨
마음은 출가할 생각뿐이네.
029_0592_b_20L目如紺蓮葉
面容如月盛
厭家樂無爲
意但思欲出
마치 화살 맞은 사자와 같이
아픈 마음으로 다시 궁에 돌아가
부왕의 궁전에 나아가서
정반왕에게 아뢰되
029_0592_b_21L如師子被箭
傷心還入宮
行詣父王宮
白淨之殿前
무릎을 꿇고 합장한 뒤 하는 말
“원하옵건대 저의 청을 들으소서.
집을 버리고 떠나가서
옛 성인의 업을 닦고자 하나이다.
만나고 모임은 반드시 이별이 있으니
뉘라서 능히 오래 보전하리까.”
029_0592_b_22L跪叉手自啓
唯願聽所陳
欲得捨家出
述修古聖業
合會必有離
誰能依久存
029_0592_c_01L왕은 그렇게 하는 말을 듣고
마음이 흔들리는 물속의 달처럼
목이 메어 말을 하지 못하다가
한참 만에 겨우 소리를 내었네.
029_0592_c_01L王聞其所啓
心如動水月
感噎不能言
良久乃發聲
“그런 생각만은 내지 말라.
지금은 그대가 출가할 때가 아니로다.
나이도 젊고 한참 아름다운데
산 숲에 살기엔 합당치 않도다.
029_0592_c_03L唯莫懷此意
非是卿出時
年始初美盛
不宜居山澤
지금은 바로 내가 그때로서
왕위를 버리고 법 가운데 들 것이거늘
그대는 덕망이 있는 태자이니
왕위를 잇기 바라노라.
029_0592_c_04L今正是吾時
捨位入法律
以卿有德子
幸應踐榮位
땅의 귀신들도 가슴으로 바라고
전륜성왕을 찾고 있거늘
석가족은 그대로 인해 드러나리니
그대는 마땅히 왕위를 물려받으라.”
029_0592_c_05L地祇懷悕望
求轉輪聖王
釋種因卿顯
汝不宜禪位
태자는 다시 깊고 무거운 소리로
부왕에게 아뢰어 말하였네.
“원컨대 부왕께선 네 가지 일로써
자신을 잘 보호하소서.
029_0592_c_07L因以深重聲
而報父王曰
願尊以四事
爲己之保任
모든 병이 침노치 못하게 강하게 하고
늙음이 젊음을 빼앗지 못하게 하며
죽음이란 온 세상의 우환이니
목숨을 빼앗지 못하게 하며
029_0592_c_08L使病不侵强
老不奪盛壯
死是普世患
令莫竊壽命
이룬 일은 무너지지 않게 하소서.
이와 같음이 네 가지 일이오니
만약 반드시 잘 보호할 수 있다면
근심이 없이 살 수 있어서
여러 산과 늪에 가려 하지 마시고
태연히 백성들을 다스리소서.”
029_0592_c_09L盛事不壞敗
如是爲四事
若必能保任
便可無憂住
不行諸山澤
泰然治國民
왕은 말하되 “이 네 가지 일은
능히 잘 보호할 수 없노라.
그대가 응당 왕위에 오르면
도리에 맞지 아니함이 없으리라.
029_0592_c_11L王曰此四事
無能保任者
卿應食國位
無有不順理
왕위에 있으면서 법을 닦아
무위의 도에 이르라.
7보의 왕관을 머리에 쓰고
보배 옷으로 몸도 빛나리니
온갖 영화를 마음대로 누려
욕계(欲界)의 천자같이 하라.
029_0592_c_13L居位可修法
致得無爲道
七寶爲首冠
寶服光耀體
衆好自榮恣
如欲界天子
모두 왕위에 있으면서도
스스로 해탈을 이루었으니
역승(力勝)이란 왕도 그러하였고
불미(不迷)란 왕도 그러하였으며
029_0592_c_15L皆居臨王位
自致得解脫
有王名力勝
有王名不迷
식지(識知)란 왕도 또한 그렇고
무력(武力)이란 왕도 그러했다.
이들은 다 왕위에 있으면서
해탈의 길을 이루었다.
029_0592_c_16L有王名識知
有王名武力
此等居王位
逮得解脫滅
이렇게 다만 왕위에 있으면
두 가지를 잃음이 없으며
뜻에 자재함을 얻어
나라와 토지에까지도
방해하거나 폐를 끼칠 이 없으니
반드시 속히 성사되리라.
029_0592_c_17L如是但居國
兩得無所失
於意得自在
及乃國土地
無能妨廢者
必當速成辦
내가 바라는 것은 다섯 가지 옷을
그대에게 주어 장엄하게 함이로다.
그대는 보배 일산 밑에 있게 하고
나는 마침내 산과 늪으로 돌아가리라.”
029_0592_c_19L吾願以五服
容飾駕授卿
沐卿寶蓋下
吾乃居山澤
태자는 겸손하고 공경스럽게
부왕에게 대답해 아뢰었네.
“만약 그 네 가지를 잘 보호하지 못하더라도
원컨대 보고 굳게 막으려 마소서.
029_0592_c_21L太子執謙敬
而報父王曰
若不可保任
願莫見固遮
비록 이것이 진짜 금으로 된 집이라도
불이 나면 마땅히 도망가야 하리니
지혜 있는 이는 마땅히 불을 피해
도망가는 사람을 막지 않는다 합니다.
029_0592_c_22L雖是眞金舍
失火當避走
智者不宜遮
逃災避火者
029_0593_a_01L응당 깨달아야 합니다. 진짜 금으로 된 집과
또한 자재함이 구족하다고
비록 빨리 세 가지 불이 탄다 해도
버리고 도망치지 않으리까.
029_0592_c_23L當覺眞金舍
及與自在俱
雖快三火熾
不當捨逃乎
또 청정한 목욕 연못이 있어
연꽃이 하나 가득 찼고
그 속에 꿀벌들이 있다손
버리지 않겠나이까.
029_0593_a_02L又有淸浴池
芙蓉甚充滿
中有裹蜾%(虫*宿)
不可捨棄耶
손에 큰 활을 버티어 잡아
매우 굳세고 날카롭게 조련되면
병(病)의 괴로운 살을 쏘아
맞추어 어긋나지 않듯이
029_0593_a_03L手執持老弓
甚强停調利
射以病苦箭
發著終不失
둘러싸인 지옥에 떨어지면
염라대왕이 항상 사냥하리니
그가 와서 나를 빨리 쏘기를
어찌 미련스레 기다리고 서 있으리까.
029_0593_a_04L墮宿對之圍
閻王常所獵
何愚當立待
可來快射我
만약 어떤 사람이 허공을 겁내어
방편으로 도망쳐 달아나도
가는 곳마다 허공이 보이므로
공포에 싸여 어쩔 줄 모르듯
029_0593_a_06L若有人畏空
方方逃避走
所到見虛空
怖不知所趣
이렇게 5취(趣)에는
무상함이 두루하기에
두려움 없는 곳으로 가려 하오니
이를 굳이 막아서는 아니 되나이다.”
029_0593_a_07L如是於五趣
無常普周遍
欲至無畏方
是不宜故遮
그러자 정반왕은
묵묵히 대답하지 않고
손으로 태자의 손을 이끌어
일어나라고 일깨웠다네.
029_0593_a_08L於時釋尊王
默然不加報
手自牽子手
曉喩欲令起
곧 옆에 신하들에게 명령해
환락을 더하고 굳게 지키니
그때 성(聖) 태자는
궁에 들어가 스스로 소일했다네.
029_0593_a_10L卽勅諸傍臣
增伎樂牢守
於時聖太子
入宮自消息
11. 출가품(出家品)
029_0593_a_11L佛本行經出家品第十一
태자는 바로 그때
마음이 울적하고 초조해서
다시 부왕의 처소에 나아가
뜻을 다해 부지런히 출가하기를 구했네.
029_0593_a_12L太子於是時
心懷甚憔悴
又更詣父王
盡意勤求出
“부왕이여, 만약 어여삐 여기시면
원컨대 세상의 시끄러움을 보소서.
만나고 모임은 헤어지지 않음 없어
오래도록 보전하기 어렵습니다.
029_0593_a_14L尊若見憐愍
願觀世擾動
合會莫不離
難得保久長
원하건대 다만 허락하시어
선인(仙人)의 산 숲에 이르러
그 곳에서 청정한 행을 닦아
해탈의 길을 열게 하소서.
029_0593_a_15L唯願見聽放
至仙人山澤
於彼修淨行
開現解脫路
다시 다른 소원이 없고
출가보다 나음이 없으니
만약 어여삐 여기신다면
원컨대 반드시 허락해 주소서.”
029_0593_a_16L更無有餘願
過踰出上者
若審見愛愍
願必見聽放
그러자 부왕인 정반왕은
연꽃같이 부드러운 손으로
태자의 손을 잡고서
슬픈 목소리로 그에게 일렀네.
029_0593_a_18L於時白淨王
以蓮花色手
牽太子手已
悲聲而告之
눈물을 흘리면서 자세히 보더니
한참 만에 길게 탄식하였네.
그러고 나서 소리를 내어 말하니
근심하고 고통스러운 말이었네.
029_0593_a_19L垂泣而熟視
良久乃長嘆
然後發聲言
辛酸苦痛辭
“태자는 출가를 허락하라지만
다시는 이런 생각을 품지 말라.
지금은 아직 그대가 산 숲에서
스스로를 지킬 때가 아니로다.
029_0593_a_20L唯子可放捨
莫復懷此心
今未應是汝
山澤自守時
마음으로 영화로운 복락을 즐기며
아직 젊어서 괴로운 짓 하지 말라.
온갖 욕망에게 겁탈되어
마치 어자(御者) 없는 수레 같으니라.
029_0593_a_22L心習受榮樂
未曾少苦勤
爲衆欲所劫
猶如無御車
지금은 바로 내가 산 숲에
스스로를 지킬 그때이며
응당 대왕의 영화로운 왕위를
다음으로 그대에게 주려 하노라.
029_0593_a_23L如今正是吾
山澤自守時
應以王榮位
次欲委授卿
029_0593_b_01L향탕에 그대를 목욕시키고
보배 왕관을 씌워 주리라.
난 기쁜 마음으로 근심치 않고
산 숲에 들어가도 걱정 없노라.
029_0593_b_01L香湯灌沐汝
以寶冠駕授
我懷喜不憂
入山澤無慮
원컨대 그대가 목욕하고 나서
처음으로 왕위에 섬을 보고자 하노라.
왕관을 씌어주고 그대의 모습을 본다면
아비인 나의 바라는 뜻에 위로가 되리라.”
029_0593_b_03L願見汝沐浴
初踐於王位
駕授觀視汝
慰吾父僥意
은애로 나았음을 생각하며
오랫동안 쌓인 울음으로
눈에 가득 찬 눈물이 못에 들 듯하면서
먼저 사람의 교훈으로 막으려 하네.
029_0593_b_04L寫恩愛所生
久積之涕泣
淚盈目入澤
以塞先人責
태자는 왕의 이런 명령 듣고
곧 맑고 깊은 말로 아뢰었네.
029_0593_b_05L太子聞王令如是
卽啓王以淸深辭
“이미 부왕의 어여삐 여김을 깨닫고
저도 효순 공경하고 몹시 사랑하옵니다만
만약 불난 집에서 도망치려 해도
어버이가 사랑으로 막아 나가지 못하게 한다면
어버이의 사랑 때문에 함께 불타오리니
무엇이 좋은지 생각하여 보소서.
029_0593_b_06L已審覺王垂愛愍
余亦孝敬重愛尊
若欲逃出夫火宅
有親愛遮不令出
以親愛故俱被燒
有何善好願思之
지금 무상의 불길을 피하려 하거늘
지혜로운 이는 막아서 타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다만 벗어나서 함께 타지 않고자 하오니
원컨대 산과 늪에 들어가게 허락하소서.
029_0593_b_09L今欲逃避無常火
智者不宜遮令燒
但欲求免不俱燒
願見聽許入山澤
누군들 일가친척과 함께 하지 않으리오만
모이면 이별하고 흩어지지 않겠습니까.
모든 친척들의 사랑에 물듦이 두터워도
죽음의 힘엔 어찌 이별치 않을 수 있겠습니까.
029_0593_b_11L誰不欲與親屬俱
若永已聚不離散
與諸親厚所愛染
死力不强離別者
그러니 부왕이여, 용서하소서.
사모하지 않음이 아니나
자재롭지 않고 무상하기 때문에
열반을 구하기로 결심했나이다.
029_0593_b_13L是故釋王願恕亮
非爲無爲戀慕心
以不自在屬無常
是故決意求泥洹
전생에 사랑했던 모든 친족들
나는 어디 있고 그는 어디 있는지요?
내 이제 무엇으로 그들을 이익케 하리오.
죽음의 바람이 불면 구름은 흩어집니다.
029_0593_b_15L前世所有諸親愛
我在何許彼何至
我今以何益彼等
宿對風吹如雲散
부왕께선 제가 출가할 때가 아니라 하심은
죽음이 올 때 물리칠 수 있는 사람 같군요.
가벼운 불이 아직 활활 타지 않아도 태우는데
미리 소멸시켜야지 나중에 벗어나서는 안 됩니다.
029_0593_b_17L王勅云非卿去時
若死來時可卻者
曼火未盛有所燒
當與逆滅莫出後
부왕은 왕위를 다 내어 주려 하시나
그것은 믿을 것 없고 귀의할 것 없나이다.
큰 돌을 지고 깊은 물을 건넘 같으니
왕위를 받아서는 안 되옵니다.”
029_0593_b_19L尊以王位盡委授
彼無恃怙無歸救
猶負大石渡深水
是故不宜受王位
왕은 태자의 말을 듣고는
말과 이치가 매우 정직한지라
태자의 말에 대답하지 못하고
억지로 막을 도리가 없었네.
029_0593_b_21L王聞太子言
辭理甚正直
子言不可答
無理可固遮
곧 모든 신하들에게 명령하여
가만히 태자궁을 지키게 하고
모든 환락을 더욱 더하여
태자가 근심하고 슬퍼하지 않도록 했네.
029_0593_b_23L卽令勅諸臣
竊守太子宮
增益其伎樂
莫令子愁慘
029_0593_c_01L그리고 얼마 있지 않아 해가 기울자
이때 태자궁에 들어가니, 달이 구름에 든 듯
앉아 음악을 감상해도 코끼리가 갇힌 듯
음악도 귀찮아 물리치고 잠시 편히 쉬네.
029_0593_c_01L已後不久
日向欲夕
於是入宮
如月入雲
坐觀伎樂
如象被閉
患厭伎樂
小卻偃息
비록 조금 쉬었으나 잠을 깨어 일어나
채녀들의 잠든 모습 보니
영락도 흩어지고 악기도 버린 채
옷도 벗고 몸을 드러낸 채 갖가지로
029_0593_c_04L雖小偃息
於事覺寤
寤寐尋起
見婇女眠
瓔珞逬散
失棄樂器
衣裳發露
種種若干
침과 눈물 흘려 목과 가슴이 더럽기도 하고
퍼져 엎드려 입 벌린 채 볼썽사나웠네.
029_0593_c_07L涎涕流出
塗污咽胸
偃伏張口
難可觀視
어떤 여인은 악기를 안고 자는가 하면
서로 베개하거나 혼자 엎어져 있고
029_0593_c_08L或有女人
抱樂器眠
或更相枕
或獨夫伏
어떤 여인은 곧추 서서 자면서
공작 털처럼 머리를 풀어 헤쳤는가 하면
029_0593_c_09L或有女人
直立而眠
髻解垂髮
如孔雀毛
어떤 여인은 우러러보고 자는데
마치 사력(司曆)이 별을 점치듯 했네.
029_0593_c_11L或有女人
仰視而眠
猶如司曆
仰占星宿
이런 모습 보고 나자 기쁘지 않아
채녀들을 자세히 보며 스스로 골똘히 생각하고
슬피 탄식하자 가슴이 진동하여
궁 안에 있음이 무덤 사이에 있음 같았네.
029_0593_c_12L見如是已
甚懷不悅
諦觀諸女
熟自思惟
慨然長歎
震動胸中
想處宮中
如丘墓閒
모든 채녀가 아름답고 용모도 예쁘나
태자의 근심은 코끼리가 불을 만난 듯
모든 채녀의 고운 자태도,
잠 도적에게 도둑맞아
생각 잃고 악기들만 어지러웠네.
029_0593_c_15L諸女盛美
姿容妙好
太子憂懼
如象遭火
諸女姿好
眠賊所盜
忘失志思
樂器交錯
여인들은 유약한 성격에 항상 부끄러움을 품고
잠이라는 어둠의 코끼리에게 밟히고
묘한 꽃나무의 가지와 잎이 무성해도
졸지에 주린 코끼리를 만나면 뿌리 채 뽑혀지듯
029_0593_c_17L諸女性弱
常懷慚愧
爲眠昏象
而見踏踐
如妙花樹
枝葉繁茂
卒遇餓象
拔破碎散
생ㆍ사가 위태로워 심히 가벼이 흔들리며
험하고 박하게 속이므로 친구가 없고
현재 살아 있어 형체가 이러하나
혹 그 몸의 부끄러움을 모르도다.
029_0593_c_20L生死危害
甚輕躁擾
嶮薄欺僞
無親舊故
此現生存
形體如是
或於是身
不知慚愧
029_0594_a_01L문득 바닥에 떨어져 고운 자태를 잃고
졸음의 곤함이 그 눈을 굳게 하여
수면이 덮치면 그 모양 보기 싫거늘
만약 죽으면 그 모양 어떠할까.
029_0593_c_23L忽然墮地
亡失姿好
睡眠之困
堅䩕其目
睡眠加之
形體難視
若當死亡
其形何似
이는 본래 지체(支體)요 본래 5관(官)이라
수면의 덮개에 엎어져 이렇게 변하고
마치 기관을 잃으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듯
자태를 잃고 누우니 풀과 흙덩이같이
029_0594_a_02L是本支體
是本諸根
眠蓋所覆
乃致斯變
猶失機關
不可復還
失姿則臥
若草土塊
오랜 옛적부터 어리석음의 힘 매우 세어서
귀와 눈이 가려 귀머거리 장님이 되고
몸의 더러움을 드러내 보이네.
엷은 가죽에 덮여 깨닫지 못하고
029_0594_a_05L久遠已來
癡力甚强
覆蔽耳目
令聾盲冥
身之污穢
顯露可見
覆以薄皮
莫能覺知
모든 세상이 심한 곤액을 만나도
의지할 데 없이 바퀴처럼 빨리 돌아
번뇌를 인연하여 잠기고 빠져 있음이
마치 큰 코끼리가 깊은 연못에 잠김 같네.
029_0594_a_08L一切普世
甚遭困厄
無所恃怙
如輪迅轉
緣塵勞垢
所沈湮沒
猶如大象
沈深淵池
이제 나는 이 번뇌의 그물에 끌려
스스로를 결박하지 않으리라.
그러므로 이 5욕의 애착을 싫어하노니
궁전을 버리고 홀로 고요한 산으로 들어가
숙세의 선근을 위하고 깨닫기를 재촉하리라.
029_0594_a_10L今吾不宜
牽連於此
塵勞之網
以自結縛
是故惡此
五欲愛垢
捨屋渾住
獨入山靜
爲宿善本
催逼發寤
태자는 생사에서 벗어날 결심하기를
‘지금 내가 출가할 때가 이르렀구나.
생사는 무서운 것 오래 있어서는 아니 되나니
그러므로 오늘은 산으로 들어가야 하리라.
029_0594_a_14L太子決意
欲出生死
吾出家時
今已會至
不宜久處
生死大畏
是故今日
當入山澤
오직 생사란 더운 때 불꽃이거니
내 스스로 살피건대 감당할 수 있고
육신[四大]이 아직 성할 적에 일찍 도망가리라.’
모든 천인들은 태자의 마음이 청정함을 알았네.
029_0594_a_16L唯覺生死
熱時炎光
吾自觀察
有能堪任
四大未分
當早逃走
諸天人覺
太子心淸
이때 정거천왕이 찾아 내려와
모든 시위(侍衛)들을 잠에 취하게 하고
즉시 궁성의 모든 문을 열었네.
029_0594_a_19L時淨居天
尋時來下
壓諸侍衛
純昏眠寐
卽時普開
宮城諸門
만약 보통 때 문을 열면
그 소리와 메아리가 1유순에 사무치나
천왕이 문을 열자 고요하여 소리가 없게 했네.
029_0594_a_21L若當如常
每開門時
其聲嚮徹
聞一由延
天開諸門
令寂無聲
천왕은 태자의 갖가지 공덕을 찬탄하고
모든 천인들은 뛸 듯이 가슴속이 환희로 가득 찼네.
029_0594_a_23L天歎太子
種種功德
諸天踊躍
歡喜充懷
029_0594_b_01L태자를 위해 갖가지 상서를 나타내며
천인들은 꽃과 향을 끊임없이 뿌리고
음악의 노래 소리 허공에 진동하니
길한 상서 보고서 모든 천인들이 권하고 도왔네.
029_0594_b_01L爲太子顯
種種祥瑞
天散花香
連續不斷
伎樂歌詠
震動虛空
見吉祥瑞
諸天勸助
태자의 마음 매우 기뻐하며 곧 이런 생각하되
‘사람이 종친을 사랑하여 버리고 떠나지 못함은
털이 긴 소가 자기 꼬리를 사랑해 불에 탐과 같다.’
029_0594_b_04L心甚歡喜
因作是想
人戀宗親
不能捨離
犛牛愛尾
爲火所燒
곧 자리에서 일어나 결심하고
채녀들의 꽃밭과 보배 궁전 목욕 연못을
마치 기러기의 왕이 꽃 연못을 버리듯
태자도 그러하여 사랑하고 집착함이 없었네.
029_0594_b_06L卽從坐起
意計決定
於婇女花
寶宮浴池
猶如鴈王
棄花淵池
太子亦爾
無所戀著
‘이는 내가 최후로 여인과 함께
집에 머물며 잠을 잔 것이로다.
허공을 쪼개어 백 쪽을 낼지라도
나는 마침내 애욕에 집착하여 돌아오지 않으리라.’
029_0594_b_09L是吾最後
與女人俱
是吾末後
止宿居家
虛空尚可
破爲百分
吾終不著
愛欲還此
곧 궁에서 나오니 사자가 견고한 그물을 찢고
홀로 걸어가듯 또한 그러하였네.
029_0594_b_11L卽時出宮
如師子王
壞裂堅網
獨行遊步
곧 방편으로 차닉(車匿)을 깨워서
부드러운 말로 차닉에게 이르길
“속히 어진 말[馬] 건척(犍陟)을 끌어오라.”
029_0594_b_13L裂家牢網
亦復如是
卽以方便
覺起車匿
以柔耎聲
告語車匿
速取良馬
犍陟使來
모든 천인들이 차닉의 마음을 미혹시켜
곧 흰 말을 이끄니 말 가운데 왕이라
안장과 재갈 등 다 장엄해 갖추게 하니
마치 백학이 구름과 함께한 듯하였네.
029_0594_b_15L諸天迷惑
車匿心意
卽致白馬
猶如馬王
被駕鞍勒
皆令嚴備
喩如白鶴
與雲電俱
이에 태자는 손으로 말머리를 만지며
부드러운 말로 흰 말을 일깨우되
029_0594_b_18L於是太子
手摩馬頭
以柔耎辭
曉喩白馬
“내 큰 서원이 있어 너에게 부탁하노라.
나서 자라기를 함께 함이 어질고 착한 벗 같았으니
꼭 빨리 잘 달려 내게 장애가 없게 하여라.
029_0594_b_19L吾有大願
委累於汝
生長共俱
如賢善友
必爲快善
令吾無礙
굳은 진중을 뚫고 저 언덕에 이르려니
네가 최후로 응당 받들어 섬길 바이니라.
029_0594_b_21L欲突牢陣
度至彼岸
是汝最後
所應奉事
029_0594_c_01L오늘 밤 너는 최후로 나를 태움이 되리니
나는 이후 다시는 건척을 수고시키지 않으리라.
이에 내가 최후로 타고서 이 결단함을 건너리라.”
029_0594_b_23L今夜是汝
最後負重
吾後不復
勞動犍陟
是我最後
乘齊此斷
태자는 말을 마치자 말 위에 오르니
해가 처음 솟아 산언덕에 비추듯
흰 말 위에 있으니 위덕이 드높아라.
029_0594_c_02L太子說已
便前上馬
如日初出
現于山岡
在白馬上
威德巍巍
마치 가을달이 흰 구름을 탄 듯
네 가지 귀신이 빠르게 하고자
말의 발을 들어 매우 뛰어나게 하고
사천왕이 몸소 앞에서 인도하였으며
천인들 쫓아 나와 그 밝기가 한낮의 해와 같았네.
029_0594_c_04L猶秋時月
乘白雲中
四種鬼神
欲令速疾
接擧馬足
甚使精良
四王躬自
在前而導
諸天從出
明如晝日
천룡과 귀신과 선성(仙聖)들이 한 소리로 찬탄하되
“원컨대 가는 길에 장애 없으소서.
사천하와 친척 그리고 보배 궁전을 버린 까닭은
빨리 그 서원을 이루고자 하심이네.”
029_0594_c_07L天龍鬼神
及諸仙聖
同聲歎曰
願行無礙
所以捨棄
四方天下
及親寶宮
疾得其願
태자가 곧 떠나가자 궁성 밖이
진동하고 빛나 화창하게 말하되
029_0594_c_10L太子卽出
宮城之外
震動顯赫
展暢言說
“수미산을 헐되 오히려
입 기운으로 불어 떨어뜨리듯 하더라도
내가 만약 부처의 성스러운 도 이루지 못하면
마침내 붉은 못의 성에 돌아오지 않으리라.”
029_0594_c_11L須彌山王
令尚可散
口氣吹之
或可崩墮
吾若不能
成佛聖道
終不還入
赤澤之城
마치 질풍이 불어 뜬구름을 몰아가듯
순식간에 국경을 벗어나
발심한 대로 잠깐사이에 이르니
029_0594_c_14L猶如疾風
吹遣浮雲
斯須之頃
出釋國界
如發意頃
尋時卽至
마치 해가 서산에 이름 같았고
곧 말에서 내려 산 숲 가운데 드니
마음은 환희를 품고 큰일은 해결 되었네.
029_0594_c_16L猶日到丁
西山之嶽
卽便下馬
入山澤中
心懷歡喜
辦已大事
12. 차닉품(車匿品)
029_0594_c_18L佛本行經車匿品第十二
보살은 넓고 자애로운
검푸른 눈으로
눈물을 비 오듯 흘리며 말하여
마음 다해 차닉을 깨우쳐 주고
금 칼집에 밝은 구슬 자루의 칼
마치 뱀을 뽑아내듯 뽑아
스스로 그 머리털을 베니
천왕들은 공경히 받들어 가지고 갔네.
029_0594_c_19L菩薩以普慈
目睷紺靑色
眼雨淚且言
盡心曉車匿
金鞘明珠靶
拔劍如抽虺
自以剃其頭
天敬接髮去
보배 영락을 풀어 차닉에게 주고
멀리 꿇어앉아 공경스레 부촉하되
“이 보배 구슬을 부왕에게 올리오니
사랑하는 마음에 근심하지 마소서.
029_0594_c_22L解寶瓔珞付車匿
遙跪敬意囑及曰
以此寶珠拜上王
執慈意啓唯莫憂
029_0595_a_01L죽음이 두렵고 두려움을 품어 매우 괴로우므로
부왕에게 분외의 행복을 잃게 했고
슬하에서 길러주신 은혜 아직 보답 못하고
자애로운 어머니를 천상에 잠들게 했나이다.
029_0595_a_01L畏死懷懼甚苦劇
乃令父王失所僥
未還膝下之報養
乃令慈母宿天上
부자지간의 자애와 효도 은혜를 다하지 못하고
죽음과 이별의 고통이 두려워 입산하였나이다.
생사의 악한 일이 심히 많음 깨닫고
나의 성품 본래 잘 어울리건만 일부러 변해 성글게 하나이다.
029_0595_a_03L未致父子
慈孝恩養
畏死別痛
入山滅意
覺生死惡
事甚衆多
我性本調
强變令疏
부왕이 사랑으로 나에게 대하듯이
저 또한 부왕을 사랑하고 공경하나이다.
이제 그대 차닉은 이 뜻을 자세히 아뢰어라.
어떻게든 은근하게 널리 주달하라.
029_0595_a_06L如父戀愛
以加於我
我亦慈敬
尊重於父
今卿車匿
具達此義
何煩慇懃
廣及囑啓
한가하고 풍요롭고 즐거울 때는
후한 친척 좋은 벗 얻기 아주 쉬우나
우환과 액난을 만나면 좋은 벗 만나기 어려우니라.
029_0595_a_09L閑緩豐饒
快樂之時
親厚良友
甚易可得
遭患遇厄
良友難値
흔쾌히 남의 액난을 능히 건져주는 자
혹 부려짐이 있어도 은애(恩愛)를 입지 못하고
온갖 노역(勞役)을 다 감당하지는 못하리라.
029_0595_a_11L能以快善
濟人厄者
或有僕使
不蒙恩愛
衆勞事役
不悉堪能
그대 차닉은 은애를 받아 감당할 수 있고
나쁨을 만나 그대가 있으니 이 또한 만나기 어려움이라.
029_0595_a_13L如卿車匿
受恩堪能
遭惡有卿
亦難可遇
무릇 사람이란 쾌락을 누리고 지낼 때는
소원한 사람들도 돌아와 벗이 되지만
사람이 곤경과 위험에 처했을 때는
골육이나 친구도 돌아서 남이 되느니라.
029_0595_a_14L凡人居於
快樂中時
疏遠外人
來歸爲友
人遭困儉
苦厄中時
骨肉親友
叛爲他人
우리 조상인 모든 석가족들은
명성이 사방에 떨치고 가풍(家風)이 되었고
우리 선인(先人)들이 산 숲에 노닐었느니라.
모든 석가족도 그렇거늘 나를 비웃으랴.
029_0595_a_17L此吾曩先
諸釋種族
馳聲四遠
家私風俗
是我先人
所由山澤
諸釋亦復
不宜蚩我
재물을 보시하면 모이는 무리가 많지만
좋은 법을 널리 베푸는 것만 못하니라.
좋은 법을 널리 베푸는 사람은
한량없는 겁에도 만나기 매우 어려우니라.
029_0595_a_19L以財施者
甚移衆多
莫有能以
善法廣施
能以善法
廣施與者
無央數劫
甚難遭値
029_0595_b_01L그대 차닉은 지금 집에 돌아가
마땅히 부왕에게 내 결단을 말하라.
세상 사람은 앎으로 말미암아 애착을 버리나니
애착을 이미 없애면 근심과 미련이 없느니라.
029_0595_a_22L如卿車匿
今還歸家
宜向父王
陳吾缺斷
世人由知
捐除愛著
愛著已除
則無憂戀
내가 보건대 온 세상은
모두 우환의 큰 바다와 못에 빠져 있다.
그러므로 집을 버리고 늙고 병듦을 없애려 하나니
서로 고뇌하면서 근심만 더해서는 안 되느니라.
029_0595_b_02L吾見普世
皆沈沒在
憂惱苦患
大海深淵
所以捨家
欲除老病
不宜相惱
增益憂患
사람이 태어나면 항상 사람을 쫓아다니는
늙음 병듦 죽음의 근심 그 해악이 심한데도
뉘라서 마음이 즐겁고 진실로 두렵지 않겠느냐.
029_0595_b_04L人生墮地
常追逐人
老病死患
甚弊惡害
誰能開心
信不畏是
이 칼 빼든 도적이 사람을 쫓아다니고 있거니
만약 멀리 떠날 뜻 열기를 스스로 권하지 않고
가족과 친척의 은애에 물들면
이별하는 근심을 반드시 어쩔 수 없이 만나리라.
죽음은 현명하거나 어리석거나 귀하거나 천하거나 피하지 않느니라.
029_0595_b_06L拔刀惡賊
追人走者
若不自勸
開意遠離
家屬親族
恩愛染著
必當强遭
別離之患
死對不避
賢愚貴賤
친족이란 은애로 만났지만
반드시 끝내는 이별하기 마련이니
어찌하여 일찍이 건너기를 구하지 않고
끝내 죽어 헤어지도록 할 것인가.
029_0595_b_10L親族恩愛會
必當强別離
奚不別求度
不令强死別
부왕이 만약 이런 생각을 하되
‘태자는 산 숲에 들어갈 때가 아니다’라고 하면
착함을 행함에는 때를 기다릴 수 없다고 하여라.
029_0595_b_12L王若懷此想
子非時入山
行善莫待時
목숨은 바람 앞에 촛불이거늘
부왕에 대한 정을 억누르며
멀리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아뢰되
029_0595_b_13L命如燭遇風
勝情於父王
遙跪叉手啓
‘세간은 극심한 괴로움을 만나도
괴로움을 벗어나려 생각지 않으나
저는 이미 늙음의 병을 벗어나
가장 영화로운 낙을 얻겠나이다.
제석천왕이 5욕락을 받는다 해도
제가 낙을 받는 것만은 못합니다.
029_0595_b_14L世閒遭劇苦
莫念脫苦者
吾已脫老病
逮得最榮樂
天帝受五欲
不及我受樂
친족을 떠나 온 까닭은
뒤에 큰 이익을 얻고자 함이요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길이 애증과 이별을 소멸케 하기 위함입니다.’
029_0595_b_16L所以離親族
後圖獲大利
欲令一切生
永滅憎愛離
차닉아, 네가 알듯이 나는 본래 자비롭고
부왕은 나를 사랑하고 중히 여기시니라.
차닉아, 너는 방편으로 여쭈어
부왕에게 간하여 근심을 덜게 하라.”
029_0595_b_17L卿知吾素慈
父王愛重我
車匿方便啓
諌王令釋憂
차닉은 가르쳐 일러주는 말을 듣자
놀라며 슬픔과 괴로움 품고
두려워 숨을 죽인 채 전율 번민했나니
마음이 독화살을 맞은 듯
눈물을 구슬처럼 줄줄 흘리며
무릎을 길게 꿇고 울며 말했네.
029_0595_b_18L車匿聞敎勅
愕然懷悲感
悚息戰慄悶
心如被毒箭
雨淚下連珠
長跪啼且言
“어쩌다 전륜성왕의 거족(巨族)이
이제 태자님 대에 끊기고 마는가.
태자님은 항상 습관적으로 하는 말이
이것도 주고 또 이것도 준다 하셨는데
이제 도리어 구걸을 하신다니
어찌하여 세상이 부끄럽지 않소.
029_0595_b_20L如何轉輪族
令殄滅於尊
尊口恒習言
與是復與是
今反行乞求
如何不恥世
나면서 성품과 몸이 부드러운데
이제 도리어 갑자기 험악함을 당하시며,
몸이 본래부터 연꽃과 같은데
이제 불을 내어 태운단 말입니까.
029_0595_b_22L生性柔體婉
今反卒被惡
本猶芙蓉花
今出火相燒
029_0595_c_01L태자님은 지금 이렇게 빨리
마음으로 싫어하고 생각하셔서
독사가 집에 들어오니
찾아내 버림과 같이 하십시오.
029_0595_c_01L尊今唯宜速
出心之惡奇
毒蛇卒入舍
當尋擲棄去
대왕의 뜻 살피지 않으십니까.
태자님 생각에 마음이 꺾이고 상했습니다.
생각지 않으십니까. 태자님 때문에 번뇌함
마치 낮에 다시 어둠 만난 듯하오리다.
029_0595_c_02L今不審王意
念尊心摧傷
不憶緣尊惱
猶晝更遭冥
말씀하시지 않을까요.
마땅히 이 묘한 복덕의 부드러운 태자가
시절 맞춰 비 내려 윤택하기를 바랐건만
도리어 석가족에게 불비를 내린다고요.
029_0595_c_03L不謂當有是
妙德柔耎子
望應節雨澤
反雨火釋族
이렇게 크게 자비로운 부왕께선
잘 태자님을 양육하셨거니
갑자기 양육하신 부왕을 버리다니
속임을 행하며 착함을 잃음과 같나이다.
029_0595_c_05L如是大慈父
以善養育尊
忽捨養父王
如行欺失善
이모님이 길러주심 친어머님 같았고
매달려 양육함이 친히 낳으심 같았거니
원컨대 태자님은 갑자기 잊지 마시고
되돌아 갚을 줄 아는 선비같이 하소서.
029_0595_c_06L姨養猶如母
繫育如親生
願尊莫忽忘
如識反復士
이렇듯 모든 친족과
또 형제들과 고향 사람들을
원컨대 만난 인연 버리지 말고
간탐하는 사람이 재물 아끼듯 하소서.
029_0595_c_07L如是諸親族
及昆弟鄕邑
願莫捨是會
如慳人悋財
태자님이 왕성을 떠나신 뒤에
나라 사람들은 미친 듯 근심을 품고
용이 금시조를 만난 것같이
온 나라가 이렇게 움직이리다.
029_0595_c_09L尊與城別後
國人狂懷憂
如龍遇金鳥
擧國動如是
태자님이 탄생할 때 온 나라가
길한 상서로 천상과 같았거니
이제 버리고 산 숲에 듦으로
괴로움에 빠져 지옥에 떨어짐 같으리다.
029_0595_c_10L尊生時普國
吉祥如天上
今捨入山澤
墜苦如墮獄
처음에 복덕을 나라에 베풂은
마치 겨울날에 따뜻한 햇살 같더니
뒤에 근심과 열뇌를 주심은
여름날 목이 타는 듯하옵니다.
029_0595_c_11L初施德於國
猶冬日陽和
後施憂惱熱
如夏亢燋燃
아아, 괴롭고 덕이 없음이여,
살피건대 천인들께 미혹하였나이다.
태자님을 말에 모시고 왔으나
한 나라에 근심과 번민을 끼쳤나이다.
029_0595_c_13L咄哉苦無德
審爲天所迷
致馬來與尊
致憂惱一國
눈물을 백성에게 주시니
마음으로 근심하며 입으로 비나이다.
대왕님이하 모든 남녀들이
근심의 안개와 구름에 덮였습니다.
029_0595_c_14L施目淚於民
心憂口祝禱
王以下男女
覆以憂霧雲
먼저 스승이 예의를 가르쳐
널리 중생들을 사랑하라 했거늘
두 어버이와 종족들을 울리시니
스스로 지키는데 무슨 길이 있으신지요.
029_0595_c_15L先師訓禮儀
當普慈衆生
惱二親種族
自守有何道
코끼리와 말을 천 개 사당에 제사함은
모든 중생들을 가엾이 여김이라
저울로 두 가지 덕을 헤아린다면
자비로운 복이 만억 배나 무거우리.
029_0595_c_17L象馬千祠祀
若慈愍衆生
假稱量二德
慈福萬億重
이제 대왕께서 보배로운 태자를 찾아
늙음에 이르러 근심하는 몸이 무겁고
미친 듯이 걸으며 정신을 잃음
마치 들 코끼리가 자식을 잃음과 같으리다.
029_0595_c_18L今王求寶子
垂老憂體重
狂行失志思
如野象失子
눈물 흘려 눈은 어둡고 빨개지시며
잠 못 이루어 얼굴빛이 변할 것입니다.
대왕님이 지금 탄식하고 신음하심
마치 산새가 새끼를 잃은 듯하며
029_0595_c_19L涕泣目眩赤
失寐顏色變
今王歎呼吟
猶山鳥失子
덕성스럽고 신통한 태자를 잃었으니
나는 어떻게 산단 말인가 하시며
아들에게서 온 오뇌의 소식 만나면
대왕님은 또 이렇게 말씀하시리다.
029_0595_c_21L吾當用活爲
失豐德神子
從子遭惱報
王當云如是
029_0596_a_01L‘태자는 일산 그늘에 살았거니
어떻게 햇볕에 쪼여 탈 수 있단 말인가.
궁중에서 잠잘 때는
보배 장막에 발을 드리운 잠자리에
보배 베개와 무늬 놓은 이불이며
음악 소리로 잠들게 하였거니
이제 풀을 깔고 팔베개하여
새소리 들으며 어찌 잘 수 있으랴.
029_0595_c_22L尊面習蓋蔭
何忍日暴露
在宮寢寐時
寶帳綩綖褥
寶枕文繡被
五音以寢寐
今布草枕臂
鳥鳴如何眠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말을 들으면
비록 금강 같이 굳센 마음이더라도
그의 마음 당장 쪼개질 터인데
하물며 친족과 친지들이리오.’ ”
029_0596_a_02L若人聞此問
縱令金剛心
他聞心當裂
況親族知識
“차닉아, 너는 내 생각을 저버리지 말라.
나를 받드느라 수고가 많았도다.
이제 건척을 데리고 돌아가라.
나는 홀로 산 숲에 지내리라.”
029_0596_a_03L卿莫放吾志
奉我有大勞
今還馬犍陟
吾已居山澤
건척도 태자의 말 듣고
눈에서 곧 뜨거운 눈물 흘리며
땅에 무릎 꿇고 슬피 울면서
문득 태자의 발을 핥았네.
029_0596_a_04L馬聞太子語
目卽雨熱淚
跪地暢悲鳴
便跪舌舐足
태자는 백복(百福)상의 무늬 손으로
건척의 머리를 어루만지며
마치 어진 벗을 달래듯 하였네.
“내 너의 충성을 알고 있노라.”
029_0596_a_06L以百福相手
太子摩馬頭
猶如曉良友
吾當識汝勤
차닉은 공손히 태자께 아뢰되
“이미 뜻을 결단하여 나라를 버리시니
다시 돌아가시길 바랄 수 없으나
태자님을 떠나 저는 어이 살리오.
029_0596_a_07L車匿啓太子
已割意捨國
願莫見遣還
離尊用活爲
태자님 그리는 마음이 불 같으니
어찌 차마 돌아가라 하시는가요.
태자님을 쓸쓸한 들판에 버리고
어떻게 저 홀로 돌아갈 수 있으리오.”
029_0596_a_08L戀尊心燋惱
何忍能還命
捨尊曠野路
云何獨堪諧
“너는 다만 말을 데리고 돌아가라.
갔다가 다시 와 나를 찾아라.
일이 성취되면 고향에 돌아가지만
성취하지 못하면 죽기를 원하노라.”
029_0596_a_10L卿但將馬去
可來還見吾
事成當還國
不成願形枯
차닉은 울면서 다시 돌아가는데
길을 따라 말을 이끌면서도
돌아보고 또 돌아보며
억지로 땅을 밟고 돌아갔다네.
029_0596_a_11L車匿啼且還
順道而牽馬
顧視而無厭
踏地强還歸
태자는 집 버리고 출가하여
원컨대 부동의 경지[不動處] 얻어서
일체 중생 모두 다
이 경지 얻게 하리라 하더라.
029_0596_a_12L太子捨家出
願逮不動處
欲令一切生
皆逮得是處
13. 병사왕문사품(甁沙王問事品)
029_0596_a_14L佛本行經甁沙王問事品第十三
차닉이
말 데리고 돌아간 뒤
고요히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하고 용맹스레 걸음을 옮기니
사자의 왕이
온갖 그물을 찢어버린 듯했네.
029_0596_a_15L於是車匿
將馬去後
寂然滅意
詳雄猛步
如師子王
裂壞衆網
마음을 오롯이 하고
산 숲에서 지내기를 즐기시니
그 형체는 우뚝하고
밝은 눈은 두루 보며
숲 사이에 들어가니
해가 구름 속에 드는 듯했네.
029_0596_a_17L專心一向
樂居山澤
形體巍巍
目明普視
入林樹閒
如日入雲
비록 홀로 걸어가나
덕은 대중과 같고
안으로 모든 착함 나타나며
겉으로 복덕이 흘러 넘쳐라.
029_0596_a_19L雖獨遊行
德如大衆
衆善內著
外福始友
가다가 또 스스로 생각하기를
‘비단옷을 입음이 맞지 않다’고 하였네.
문득 제석천왕이 사냥꾼으로 변하여
몸에 가사를 입고 나타났네.
029_0596_a_21L行且自思惟
不宜著綵服
忽見釋化作
獵師被袈裟
보살은 그를 보고 이르기를
“그 옷은 그대에게 맞지 않으니
나의 비단옷을 받아 가지고
그대의 가사를 나에게 주오.”
029_0596_a_23L太子因語曰此服非汝宜
取吾金綵衣
卿袈裟與我
029_0596_b_01L사냥꾼은 보살이 요구하는 대로
목란(木蘭)의 참 가사를 주고
비단옷을 받은 뒤 제석천왕으로 돌아가
홀연히 허공으로 날아올라 갔다네.
029_0596_b_01L獵師尋便與
木蘭眞袈裟
受衣還釋形
忽然昇虛逝
보살은 몸에 가사를 입자
몸은 더욱 곱고 밝아서
마치 가을의 둥근 달이
붉은 구름에 싸인 듯했네.
029_0596_b_02L太子被袈裟
體宜則鮮明
猶如盛秋月
紫雲所纏繞
숲 속에 바라문들이 있어
숨어 살며 신선을 배우다가
보살이 다가오는 것을 보자
마음에 놀라움을 품었네.
029_0596_b_04L林藪有梵志
隱居學神仙
見太子往至
皆懷愕然心
자세히 보살을 보니
그 높음 돌아볼 수 없는지라
한동안 의심에 쌓였다가
곧 다시 서로 일러 말하였네.
029_0596_b_05L熟視觀太子
不能還其竲
懷疑良久頃
乃還相謂曰
“이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여덟째가 아니겠는가.
혹은 승마숙(乘馬宿)이
하강해 세상을 봄이 아닌가.”
029_0596_b_06L得無是北斗
七星第八者
或云乘馬宿
下行視世閒
혹은 그 형상을 보고 말하되
“이는 복덕의 신(神)인 듯하오.”
혹은 일천자(日天子)라 하고
혹은 월천자(月天子)가 하강했다고 말했네.
029_0596_b_08L或云觀其形
將是德神願
或名日天子
或言月天降
그 중에서 지혜가 열린
한 바라문이 말하되
“이는 범천왕(梵天王)이
이 숲에 스스로 하강하심이라
029_0596_b_09L於其中有一
智達梵志曰
將無是梵天
自下至此林
그대 모든 바라문들이
수행함이 무르익었기 때문에
기뻐 우리들을 이익케 하려고
그래서 이 숲에 오신 거라네.”
029_0596_b_10L以卿梵志等
守行純熟故
喜欲充吾僥
故行至此林
이렇게 이야기하면서
이구동성으로 서로 말하니
바라문의 몸이 무거운 사람도
문득 곧 몸이 가뿐해졌다네.
029_0596_b_12L以如是言論
同聲相謂已
梵志體重者
忽然卽輕便
보살은 바라문들에게 물었네.
“그대들은 각기 어떤 도술을 닦는가?
취할 만한 것이 없는가?”
029_0596_b_13L菩薩問梵志
各修何道術
無有可採者
한 바라문이 일어나 대답하기를
“훌륭하시어라. 그대 복덕이 묘한 분이여,
의지의 결단은 심오하고
나이도 한창 젊고 아름답군요.
029_0596_b_14L有一梵志曰
善哉汝德妙
意決甚深奧
年盛德幼美
나고 죽는 욕망의 더러움을 깨닫고
오직 자세히 살펴 알므로
천상의 열반도에 태어난다오.
열반을 취하기를 즐기는 이를
사람이 되었다 말할 것이오.
029_0596_b_15L覺生死欲穢
唯當審諦察
生天泥洹道
樂取滅度者
是可謂爲人
만약 마음에 결정코
무위(無爲)에 나아감을 즐기겠다면
어서 빨리
저 청정한 산 숲에 나아가 찾아보시오.
거기 신선 한 분이 있으니
이름을 무부달(無不達)이라 부른다오.
029_0596_b_17L若心必決定
樂趣無爲者
速疾可往詣
中淸淨山林
於彼有仙士
名曰無不達
그는 자세히 살피는 눈을 얻어
열반의 근원을 보았다 하오.
내 지금 당신의 뜻을 자세히 살피고 관찰하건대
그의 닦고 배우는 것이
어찌 당신의 뜻에 맞으랴.
029_0596_b_19L彼得審諦眼
觀見泥洹無
如我今觀察
仁意之審諦
彼之所修學
豈能合仁意
그 얼굴은 둥근 달 같고
혀는 꽃잎과 같아서
반드시 지혜의 못과 바다를
널리 다 마실 듯하오.”
029_0596_b_21L其面如滿月
舌如花葉者
必當普飮盡
智慧之淵海
보살이 걸어감을 보자
월천자(月天子)가 하강한 듯하였네.
그러자 모든 바라문들
다 같이 일찍이 이런 일 없었다고 찬탄하였네.
029_0596_b_22L視菩薩行步
如月天子降
於是諸梵志
皆嘆未曾有
029_0596_c_01L마음이 뛸 듯이 기뻐함은
깊은 바다에 파도가 밀려오는 듯
감정은 기쁘고 또 기쁘니
마치 어두움에 달빛을 받는 듯했네.
029_0596_c_01L心皆懷踊躍
如淵海潮波
情中欣欣喜
猶冥蒙月光
보살이 그 바라문들의 배움을 얼마간 보니
갖가지 모습 드러낸지라
마음 아파 실망하고 탄식하네.
029_0596_c_02L太子見是等
所學各若干
種種暴露形
心傷悵然歎
“어찌하여 한결같이 심히 나쁠까.
어리석음에 미혹됨이라
세간은 참으로 불쌍하여라.
어리석은 행위로 억지로 고통 속에 드는구나.”
029_0596_c_03L何一惡之甚
愚癡所迷惑
世閒可憐傷
迷行强入苦
마음에 내가 없음을 생각하니
마치 큰 코끼리가 갑자기
두렵고 겁을 내어 한참 불타는
숲에서 뛰어남과 같았네.
029_0596_c_05L心思無吾我
猶如大象王
悚然懷恐懼
出離盛火林
황금빛의 광명을 놓아
숲의 나무들을 빛나게 비추니
마치 가을날 태양이
푸른 구름을 지나가듯 하였네.
029_0596_c_06L金色之光明
晃照林樹邊
猶如秋節日
歷靑雲而去
항하수의 온갖 흐름들 보니
저 큰 바닷물에 이르러
뭇 기러기와 흰 고니로
흰 구슬 영락을 삼고
세차고 거대한 흐름의 파도로써
보배의 가락지와 팔찌로 삼는구나.
029_0596_c_07L見恒運衆流
至於海水王
以群鴈白鵠
爲白珠瓔珞
用勢洪流波
以當寶環釧
항하수 가에 이르니
마치 해신왕(海神王) 같아
백복의 덕상(德相)으로 두루 장엄한 그 몸
항하수 가운데 들어가니
온갖 흐름들 모두 맑아졌네.
029_0596_c_09L來至恒水側
猶如海神王
以百福德相
普莊嚴其身
入於恒水中
衆流皆澄淸
모든 수중의 귀신들
아래로 쫓아와 발을 영접하네.
이렇게 잠깐 사이에 지나가니
마치 기러기의 왕인 듯.
029_0596_c_11L一切水中神
從下迎接足
斯須尋歷過
猶如群鴈王
그때 항하를 건너서는
시절 맞추어 갈 줄 알며
거만한 마음을 없애고
왕사성(王舍城) 촌락에 들어갔네.
029_0596_c_13L時度恒水已
知宜行應節
除去貢高意
入王舍分衛
몸에 사문의 옷을 입었으니
목란(木蘭)의 검은색 가사라
고요히 선정으로 모든 감관 단속하며
걸음걸이도 위의에 맞았네.
029_0596_c_14L被服沙門衣
木蘭色袈裟
寂定攝諸根
行步應威儀
보살의 형상 보니
공덕은 우뚝 빛나구나.
적멸(寂滅)의 옷을 입고
그 색깔은 청정한 행에 맞는구나.
029_0596_c_15L見太子體相
功德耀巍巍
所服寂滅衣
色應淸淨行
백성들은 모두 놀라
왁자지껄 떠들고 환희에 차
보살의 형상을 자세히 보니
그 눈동자들 마치 묶어 놓은 듯.
029_0596_c_17L人民皆愕然
擾動懷歡喜
熟觀菩薩形
眼睛如繫著
모두 모여 보살을 보자
볼수록 그 마음 싫은 줄 몰라라.
과거세에 공덕 갖춰
모든 상호 구족하였네.
029_0596_c_18L聚觀是菩薩
其心無厭極
宿世功德備
衆相悉具足
마치 묘한 연꽃인양
그 색깔 천 가지로 울긋불긋
모든 사람 앞 다투어 와서 보니
꿀벌들이 연꽃에 모임 같았네.
029_0596_c_19L猶如妙芙蓉
雜色千種藕
衆人往自觀
如蜂集蓮花
보살이 걸음을 옮겨 나아가니
뭇 사람들 다 그 뒤를 따름이
마치 어떤 사람의 손발이
마음 따라 달리고 도는 듯하고
029_0596_c_21L厥所由至趣
衆人悉隨從
譬如人諸根
隨心走周旋
서로 전하고 전해 말하면서
그 공덕 찬탄하고 부러워하기를
“이를 보고 말한다면
이 사람은 사람 가운데 묘한 보배이어라.
029_0596_c_22L因展轉相謂
歎羡其功德
觀此言是人
人中之妙寶
029_0597_a_01L자세히 그 눈과
얼굴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니
마치 금싸라기 모아 놓은 곳에
제석천왕의 푸른 보배가
광명에 둘러싸인 듯
덕상(德相)이 모이고 쌓여 이루었네.
용모와 자태도 정말 어울리며
온갖 상호가 다 구족하구나.”
029_0596_c_23L諦視其眼目
面之妙姿容
譬如聚粟金
中有帝紺寶
光明所纏繞
德相積聚成
姿貌甚和合
衆好悉具足
모든 사람들의 뜻에 가득 차서
눈동자들 한데 모아 보살을 따라가며
자꾸 보고 또 보고 보아도
볼수록 만족스럽고 싫지 않으니
029_0597_a_03L彌一切人意
眼睛俱相隨
數數諦熟視
而無有厭足
마치 폭설(暴雪)을 만나서
추워 얼고 떨며 매우 급한
뭇 사람들 앞 다투어 달려가
뜨거운 불무더기를 얻은 듯하였네.
029_0597_a_04L猶如遇暴雪
寒凍甚猛切
衆人爭競前
猶如得火湯
모든 귀성(貴姓)의 여자들도
저마다 집에서 뛰쳐나와
마치 두터운 구름 속에
환히 번갯불이 비치듯 하며
029_0597_a_06L諸貴姓女人
各馳出其舍
猶如盛雲中
晃晃出電光
또 무우수(無憂樹) 가지와
잎과 꽃이 무성하게 엉키어
바람 불면 굽어지듯이
몸을 굽혀 보살에게 절했네.
029_0597_a_07L譬如無憂樹
枝葉花繁茂
風之所吹屈
傾曲禮菩薩
껴안긴 젖먹이 갓난애도
다 어머니 젖에서 입을 떼고
보살을 뚫어지게 보느라
다시 젖을 찾는 것도 잊었네.
029_0597_a_08L抱上嬰孩兒
口皆放母乳
熟視觀菩薩
忘不還求乳
온 성안의 인민들은
모두 함께 다투어 칭송하면서
각각 말하기를 “좋구나.
묘하구나. 참으로 좋은 상호로다”라고 하였네.
029_0597_a_10L擧城中人民
皆共競嘆譽
各各言是好
是妙是好相
그때 어떤 사람이 말끝나면
곧바로 또 다른 사람이 말하였네.
“석밀(石蜜) 떡을 맛보는 것 같아
아름다우면서 아름다움이 아니로다.
이 분의 생김새 같아서는
한 가지만을 찬탄하려 해도
그 하나만을 찬탄할 수 없구나.
029_0597_a_11L時有一人言
若卒有人言
如嘗石蜜餠
是美是不美
如彼之形貌
若偏歎一事
不可偏說一
온갖 덕(德)과 선(善)이 모이고 쌓여서
자세히 살피면 드러나 알도록
온갖 선이 다 드러나고
그 몸을 장엄하여 꾸며서
사람의 눈과 마음을 가득 채우네.
029_0597_a_13L衆德善積聚
審諦之表識
衆善盡顯露
以嚴飾其身
充滿人心目
그 용모는 온갖 꽃으로 장식한 듯
부드러운 향기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니
마치 따뜻한 봄날이
눈부시게 빛나듯 하였네.
029_0597_a_15L衆花飾其容
耎香感人情
猶如陽春節
顯然而晃昱
그 과거세에 행한 과보로
어찌 자비심이 없으랴.
이 천상인의 형상을 구족하였으니
온 대지의 주인이 안 되랴.
029_0597_a_16L夫宿行之報
如何無慈心
以是天形乞
不爲普地王
능히 알고 이렇게 아는 이가
남에게 걸식을 행한다면
뉘라서 능히 이 분에게 베풀면서
이름 없는 사람이라 생각하리오.”
029_0597_a_18L識能識知是
行從他人乞
誰能施是人
計無有稱者
이때 그 나라의 왕은
이름을 병사(甁沙:빈비사라)라 하였네.
높은 누각 위에서 멀리
보살이 걸어감을 보고서
곧 좌우 신하들에게 물었다네.
029_0597_a_19L爾時其國王
厥號爲甁沙
時處高觀上
遙見太子行
卽問左右曰
“저기 가는 사람은 누구인가.
용모도 아주 단정하고 고운데
몸에 무늬 없는 비단의 색옷을 입었구나.”
029_0597_a_21L彼行者是誰
容貌甚鮮明
而服縵色衣
곁에 있던 신하가 왕에게 아뢰어
그 종성의 청정함을 두루 말씀드리니
왕은 곁의 신하에게 명령하길
“그가 가는 곳을 살펴라” 했네.
029_0597_a_22L傍臣卽啓王
廣陳其種姓
王勅傍臣曰
察其行所趣
왕사성 밖에서 밥을 먹고 나서
반탑(槃塔)이란 산 위에 올라가니
광명의 그림자가 밝게 비쳐
해가 산언덕에 솟은 듯하였네.
029_0597_a_23L於城外食訖
上槃塔名山
光影照然明
如日臨山岡
029_0597_b_01L그러자 병사왕은
시종들을 함께 거느리고
반탑산에 가고자 하였는데
의복과 형용이 특이하였네.
029_0597_b_01L於時王甁沙
單與將從俱
王至槃塔山
服飾形容殊
시종들은 일산을 받쳐 들고
조용히 사자가 걸어가듯
왕은 산 밑에 이르러 수레에서 내려
한 걸음 한 걸음 산에 오르네.
029_0597_b_03L侍從執寶蓋
祥雅師子步
王至下寶車
步步而登山
보살이 홀로 앉음을 보니
모든 감관[根]이 고요히 가라앉아
마치 둥근 보름달이
환하게 구름 위에 있는 듯
029_0597_b_04L見太子獨坐
諸根寂然滅
譬如盛滿月
霍然處雲上
모든 법의 색상(色像)이
문득 화현(化現)한 듯하므로
마음에 몹시 놀라
옆에 신하를 돌아보고 말하였네.
029_0597_b_05L如諸法色像
忽然而化現
意甚懷愕然
顧謂傍臣曰
“그에게 이런 용모가 있으니
그 모습 사랑스럽고 기쁘구나.
지금 이 분은 반드시 보호해드려야 하리니
큰 선덕(善德)을 이루리라.
029_0597_b_07L其有是形貌
姿容可愛喜
今是必可保
能成大善德
지금 그의 온갖 훌륭함을 보니
부드럽고 늠름하고 원만하도다.
대략 그 훌륭한 상으로 보아
오직 부처님만이 이것이 있도다.”
029_0597_b_08L今觀其衆善
宛耎而柔弱
略視其要相
唯佛應有是
교만한 생각 없애고
겸손한 태도로 절한 뒤
왕은 그때에 알맞게
보살에게 문안을 드렸네.
029_0597_b_09L除去憍慢意
執謙而爲禮
王因其時宜
而問訊菩薩
왕은 마음을 청정케 하고
푸른 돌 위로 가서 앉아
곧 보살에게 아뢰되
게송으로 말하였네.
029_0597_b_11L王以淸淨意
前坐靑石上
卽便啓菩薩
因是說偈言
“태자님의 먼 조상은
일천자(日天子)에서 났고
나이는 한창 젊어
형용도 정말 아리땁고 빛나는데
그 까닭 알지 못하겠네.
029_0597_b_12L太子之先族
出於日天子
年時在壯幼
形容甚照曜
不審其緣故
이런 뜻을 일으켜서
걸식하여 자기를 건지고
세상의 왕위도 달가워하지 않으시다니.
029_0597_b_14L乃興發此意
乞丐以自濟
不甘世王位
몸매가 의젓하고 빛나며
이미 선(善)을 쌓아 시원스러움은
마치 염부수(閻浮樹)나무의
모든 꽃이 무성하고 좋음 같아라.
029_0597_b_15L姿媚甚怡照
已積善快然
猶如閻浮樹
衆花茂盛好
이 빛깔의 가사를 입고 계시다니
비유하면 풀로 싼 것 같고
꽃나무가 눈[雪]이 두려워
감히 그 빛을 드러내지 못한 것 같네.
029_0597_b_16L服著此袈裟
喩如以草裹
猶樹花畏雪
不敢顯其輝
태자님은 마땅히
천상의 보배 옷을 입으셔야 하거늘
지금 이 무늬 없는 빛깔의 옷은
전혀 그 모습과 어울리지 않는구나.
029_0597_b_17L太子宜服著
天上之名寶
今此縵色衣
殊不與相宜
마치 정결한 물건이 있다면
약간 더러움이 흠이라 해도
드러나고 다 나타나
없앨 길 없음 같구나.
029_0597_b_19L若有潔淨物
有微穢可訶
顯露而悉現
無方可以除
팔은 매우 길고 좋으니
마치 붉은 황금 기둥 같아라.
마땅히 일곱 가지 보배로 장식하고
묘한 활을 잡으셔야 하거늘
029_0597_b_20L臂傭甚長好
猶如紫金柱
宜飾以七寶
應執持妙弓
이러한 손과 팔을 가지고
다만 스스로 은혜를 베풀지언정
이런 손으로써 남에게서
음식을 비는 건 마땅치 않네.
029_0597_b_21L如是之手臂
但宜以惠施
不宜以是手
從人而乞取
만약에 겸손하고 공경하기에
부왕의 지위를 받고 싶지 않다면
내 이제 사랑하고 공경함을 다하여
청하옵나니 저의 나라에 오소서.
029_0597_b_23L若其執謙敬
不肯習父位
今我盡愛敬
相請臨鄙國
029_0597_c_01L모든 영화와 복록을 다하며
이 마갈타국[摩竭國]을 누리소서.
만약 넓은 땅을 바라시면
저는 몸을 굽혀 신하가 되오리다.
029_0597_c_01L盡所有榮祿
享此摩竭國
若欲普土地
鄙當躬相佐
당신 같은 덕상(德相)이라면
응당 천상세계도 다스리리니
다만 그 손으로 잡게 되면
천상세계인들 어찌 힘에 겨우리오.
029_0597_c_02L如仁之德相
幷應攝天世
但以手執持
天世豈足勞
지금 저 제석천왕이라도
중앙에 모시고 신하가 될 것인데
하물며 이 세간 땅 위의
우리 같은 왕들이야 말할 나위 없으리다.
029_0597_c_04L如今天帝釋
起中爲人臣
何況此地上
如吾等諸王
내 선법(善法)을 싫어하지 않고
또한 의(義)를 지킴도 근심치 않거니
그때 아닌 때에 버리고 출가함은
오직 내 마음을 의심케 할 뿐이오.
029_0597_c_05L我不厭善法
亦不患守義
非時捨出家
唯此疑我情
젊고 한창인 나이에
벌써 지나치게 뜻이 쇠약합니다.
모든 감관 고르고 좋으니
돌려 잡기란 말고삐 당김과 같으리다.
029_0597_c_06L初如少壯年
已過志衰弱
諸根以調良
易迴如馬勒
지혜와 계행을 베풀고
온갖 행의 면목을 스스로 지켜서
과거세의 행을 드러내 나타내고
전생의 선근(善根)을 만나게 되거든
나이 차츰 늙어갈 무렵
그때에 곧 법을 받드십시오.
029_0597_c_08L施慧戒自守
衆行之面目
發現先世行
逮遇前善本
頃年轉長大
爾乃可奉法
나이 많고 뜻이 고르면
모든 욕심을 쫓고 따르지 않으리다.
그러므로 그 형체를
고통스럽게 해서는 안 됩니다.
029_0597_c_10L年高意便調
不隨逐諸欲
以是故不可
困極其形體
지금은 얻은 경사로운 복덕을
순리대로 누리고
육근[六情]이 하고 싶은 바를
응하는 대로 꼭 채우십시오.
그런 뒤에 버리고 출가하여
감로의 해탈법을 구함이 좋을 것입니다.
029_0597_c_11L今所逮福慶
順理可享食
六情之可欲
如應決充益
然後乃出求
甘露解脫法
용모의 광명은
태양의 정기를 뛰어넘고
당신의 덕이 이 세간의 사람이나
모든 천상의 사람보다 났거늘
029_0597_c_13L姿容之光明
超逾日之精
仁德已過出
世人諸天人
예부터 아직껏 듣지 못했고
또한 일찍이 보지도 못했거니
이렇게 원만한 상호는
보는 사람마다 모두 놀랍니다.
029_0597_c_14L自古未曾聞
亦所不曾見
如是之形貌
睹者皆愕然
지금 태자가
거동하시는 풍모를 보고
또 살피건대 그 뜻이
본래 매우 굳고 용맹스럽나이다.
029_0597_c_16L如今見太子
擧動之風姿
又察其志本
甚猛銳堅强
마치 깊은 못 속의 바닥에
온갖 물고기가 가운데서 떼 지어 놀더라도
위에는 비록 나타나지 않았으나
밖의 움직임을 보아 알 수 있음과 같다오.
029_0597_c_17L猶如深淵底
群魚於中遊
於上雖不現
察外動可知
지금 여러 가지 법식(法式)을 보건대
사람의 몸에 숨은 점이 있어서
결정코 밝게 비추어 빛남은
전륜성왕의 왕위를 가리킴이오.
029_0597_c_18L今見諸揩式
在體而隱胗
決定照然明
指示聖王位
이렇게 묘하고 또 훌륭함은
덕이 박한 사람에게 더하지 못하며
길상스럽고 훌륭한 이름은
어리석은 자식에게 돌아가지 않는다오.
029_0597_c_20L如是之妙善
不加薄德人
吉祥善名號
不歸不肖子
만일 마음에 의심을 품고서
다시 자기 씨족을 욕되게 한다면
사문의 형상을 꾸몄다 해서
어찌 도로 버리지 않겠습니까.
029_0597_c_21L假令心懷疑
還恥於門族
以服沙門形
如何當還捨
과거세의 모든 제왕이며
대왕들도 대를 이어 계속하여
장년에는 나라의 왕위에 있고
늙어서야 모두 집을 버리고 출가했나이다.”
029_0597_c_22L古世諸帝代
天王未以來
壯年欲國位
垂老皆捨家
029_0598_a_01L병사왕은 이런 일 말하면서
널리 비유와 고사를 끌어오고
또 그 밖에 수고롭게 몸을 굽혀
겸손한 태도로 공경히 말하고는
029_0598_a_01L甁沙說是事
廣牽引比故
又有餘辛酸
寫體謙敬辭
살펴보니 보살의 뜻은
태산과 같이 움직이지 않으신지라
자비롭게 묵묵히 바라보면서
고요한 마음으로 대답하시는 가르침을 기다렸네.
029_0598_a_02L視覺菩薩意
不動如太山
執慈而默視
淸心聽報誨
佛本行經卷第二
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