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佛母大孔雀明王經卷下

ABC_IT_K1293_T_003
036_0903_c_01L
불모대공작명왕경 하권
036_0903_c_01L佛母大孔雀明王經卷下


불공 한역
주법장 번역
김영덕 개역
036_0903_c_02L 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詔譯



부처님께서 아난타에게 말씀하셨다.
“과거 일곱 부처님ㆍ정변지(正遍知)께서도 따라서 기뻐하시고 불모명왕진언(佛母明王眞言)을 널리 말씀하셨으니, 그대는 마땅히 받아 지니도록 하여라. 미발시(微鉢尸:비바시)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3_c_04L佛告阿難陁過去七佛正遍知者復隨喜宣說佛母明王眞言汝當受微鉢尸如來正遍知者亦隨喜宣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아라녜 가라녜 마녜 마나니말다녜 아 바례 사바례 도례
怛儞也二合阿囉嬭迦囉嬭麽嬭麽娜儞韤馱寧嚩㘑捨嚩㘑睹㘑
도례 모례모례 사바례 바라나 사바례 호디 호디 호디 호디
睹㘑母㘑母㘑捨嚩㘑鉢囉拏二合捨嚩㘑十一戶止十二戶止十三戶止十四戶止十五
호디 사바 하1)
戶止十六娑嚩二合、引十七
036_0903_c_08L怛你也二合阿囉嬭迦囉嬭麽嬭麽那你韤馱寧捨嚩㘑睹㘑睹㘑母㘑母捨嚩㘑鉢囉拏二合捨嚩㘑十一戶止十二戶止十三戶止十四戶止十五戶止十六娑嚩二合十七

다시 아난타야, 시기(尸棄)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3_c_14L復次阿難陁尸棄如來正遍知者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


다냐- 타 이대미대 우례 미우례 혜리 미리 계도모례 암바례
怛儞也二合壹𪘨弭𪘨齲㘑尾齲㘑呬里弭哩計睹母黎暗嚩㘑
암바례 바디 노몌노 몌 혜리혜리 구디구디 모디모디 사바
暗嚩㘑嚩底丁以反努謎怒呬里呬里十一矩止矩止十二母止母止十三娑嚩二合
2)
十四
036_0903_c_17L怛你也二合壹𪘨弭𪘨尾齲㘑呬里弭里計睹母黎暗嚩㘑暗嚩㘑嚩底丁以反努謎怒努謎呬里呬里十一矩止矩止十二母止母止十三娑嚩二合十四
036_0904_a_01L
다시 아난타야, 비사부(毗舍浮) 여래ㆍ정변지께서도 따라서 기뻐하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4_a_01L復次阿難陁毘舍浮如來正遍知者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모 리모리 계바디 만니만니디계 하례하례 카례 가례
怛儞也二合哩慕哩計跛知滿膩滿膩底計賀㘑賀㘑佉㘑伽㘑
바 례 바례 바리니난 뎨 난디니 난디니 사가디마가디 나녜 나
頗黎頗里𩕳難難底𩕳十一難底黎十二捨迦知麽迦知十三曩嬭十四
니니 시리시리 시리시리 사바 하3)
膩𩕳十五試哩試哩十六試哩試哩十七娑嚩二合、引十八
036_0904_a_04L怛你也二合哩慕哩計跛知滿膩滿膩底計賀㘑賀佉㘑伽㘑頗黎頗里𩕳難難底𩕳十一難底十二捨迦知麽迦知十三曩嬭曩膩𩕳十五試哩試哩十六試哩試哩十七娑嚩二合十八

다시 아난타야, 갈구촌나(羯句忖那:구류손)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4_a_11L復次阿難陁羯句忖那如來正遍知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혜니 미니 구니모니 도니 알니난 뎨 난디례 샥가리
怛儞也二合呬膩弭膩矩膩母膩睹膩頞嬭難難底黎爍迦哩
작가리 타 가리 다 가리 건자녜 건 자나 바디 바례바례 바례
斫迦哩誐哩誐哩十一建左寧十二左曩嚩底十三嚩㘑嚩㘑十四嚩㘑
바례 난뎨싣디 사바 하
嚩㘑十五難帝悉地十六娑嚩二合、引十七4)
036_0904_a_14L怛你也二合呬膩弭膩矩膩母膩睹膩頞你難底黎爍迦哩斫迦哩誐哩十一建左寧十二左曩嚩底十三嚩㘑嚩㘑十四嚩㘑嚩㘑十五難帝悉地十六娑嚩二合十七
다시 아난타야, 가나가모니(羯諾迦牟尼:구나함모니)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4_a_21L復次阿難陁羯諾迦牟尼如來正遍知者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036_0904_b_01L
다냐- 타 난 다례다다례 다다례 다라구 다 례 미 례미자예
怛儞也二合多黎怛多黎怛多黎多羅妒㘑尾惹曳平、引
미유 다례 아라제 미라제미라자마사 마디 마리 마 리니 문
尾孺馱㘑阿囉薺惹曳反尾囉薺尾囉惹麽斯麽底麽里十一里𩕳十二
녜 시라문 녜 자바 례 자바 례 자바 례 바나라 바
試囉門十三入嚩二合、引十四入嚩二合、引十五入嚩二合十六跋捺囉二合
디 싣디사바 하5)
十七悉地娑嚩二合、引十八
036_0904_b_01L怛你也二合多黎多黎怛多黎多羅姤㘑尾惹曳尾孺馱㘑阿囉薺惹曳反尾囉薺尾囉惹麽麽底麽里十一里𩕳十二試羅門十三入嚩二合十四入嚩二合十五入嚩二合黎入嚩二合十六跋捺囉二合十七悉地娑嚩二合十八

다시 아난타야, 가섭파(迦攝波)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시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036_0904_b_10L復次阿難陁迦攝波如來正遍知者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알나 례 건나례 만나례 건 나례 잠모 잠모나니 잠모
怛儞也二合頞拏建拏㘑曼拏㘑拏㘑昝謀昝謀曩儞昝謀
바디 만뎨만니디계 아마례 싱 혜 하라하라 하라하라 파슈파
嚩底滿帝曼膩底計阿麽㘑思孕反十一賀囉賀囉十二賀囉賀囉十三跛輸跛
슈파슈 파슈파슈 바디싣디사바 하6)
輸跛輸十四跛輸跛輸十五鉢底悉底娑嚩二合、引十六
036_0904_b_13L怛你也二合頞拏建拏曼拏㘑拏㘑昝謀昝謨曩你昝謨嚩底滿帝曼膩底計阿麽㘑思孕反十一囉賀囉十二賀囉賀囉十三跛輸跛輸跛輸十四跛輸跛輸十五鉢底悉底娑二合十六

다시 아난타야, 석가모니(釋迦牟尼) 여래ㆍ정변지께서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널리 말하였으니, 모든 유정(有情)들을 이롭게 하고자 하기 때문이니라. 진언은 다음과 같으니라.
036_0904_b_20L阿難陁我釋迦牟尼如來正遍知者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爲欲利益諸有情故眞言曰
036_0904_c_01L
다냐- 타 혜리미리기리미리 이 리례 갈다례 케도바례 아나마리
怛儞也二合呬哩弭哩枳哩弭哩里黎羯怛黎計睹嚩黎阿拏麽里
나비섭비 마살라케 마살대 다라 건녜 가 마리 캄모나리
納脾聶脾沒薩囉計沒薩𪘨怛囉二合騫禰十一麽哩十二劍母捺哩二合十三
다로다로 바라니 바라 하리 디능 사대 미리다례 이 디하
怛嚕怛嚕十四嚩囉抳十五鉢囉二合訖哩二合底能瑟𪘨二合十六弭里多黎十七底賀
세 아자례 도다례 바기례 바티바티디케 차타담볘
十八阿左黎十九咄多黎二十嚩枳黎二十一嚩致嚩致底計二十二拶吒膽吠若祈雨時應云
바라사 도녜바 시젼도만다라 바나 나모바 가바구
嚩囉灑二合睹禰嚩若息災求願之時應云悉鈿睹滿怛羅二合鉢那二十三曩謨婆誐嚩妒二十四
이 리자예 우 노혜가 예 바릉 가 리가예 아로디 나
哩惹曳二十五怒呬迦二十六勃陵二合里迦曳二十七阿嚕止二十八
로디 나대 나대바아례 나타바아례 올나야나필리
嚕止二十九捺𪘨三十捺𪘨嚩日㘑二合三十一捺吒嚩日㘑二合三十二嗢娜野納畢哩二合
예 아라다 례 구라다야 나 라야지 바사니 사바 사
三十三阿攞跢三十四矩攞多夜三十五囉野抳三十六鉢捨𩕳三十七娑鉢二合
니 시젼도 나라 미나 만다라 바나 사바 하7)
𩕳三十八悉鈿睹三十九捺囉二合弭拏四十滿怛囉二合鉢娜四十一娑嚩二合、引四十二
036_0904_b_23L怛你也二合呬里弭里里弭里里黎羯怛黎睹嚩黎阿拏麽里納脾聶脾沒薩囉計沒薩𪘨怛囉二合騫禰十一麽哩十二劍母捺哩二合十三怛嚕怛嚕十四嚩囉抳十五鉢囉二合二合底能瑟𪘨二合十六弭里多黎十七底賀十八阿左黎十九咄多黎二十嚩抧黎二十一嚩致嚩致底計二十二拶咤膽吠若祈雨時應云韤囉灑二合睹禰嚩若息災求願時應云悉鈿睹滿怛羅二合鉢那二十三曩謨婆誐嚩姤二十四哩惹曳二十五怒呬迦二十六勃陵二合里迦曳二十七阿嚕止二十八嚕止二十九捺𪘨三十捺𪘨嚩日㘑二合三十一捺咤嚩日㘑二合三十二嗢娜野納畢哩二合三十三阿攞多三十四矩攞多夜三十五囉野抳三十六捨𩕳三十七娑鉢二合捨𩕳三十八悉鈿三十九捺攞二合弭拏四十滿怛囉二合鉢娜四十一娑嚩二合四十二
036_0905_a_01L
아난타여, 나는 이미 그대에게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받아 지니는 법을 가르쳐 주었느니라. 그러므로 독사에 물린 사디(莎底) 비구를 위험에서 구제하여 안온함을 얻도록 하여라. 또한 모든 유정들로 하여금 이 경(經)을 독송하고 받아 지니게 하면,큰 안락을 얻고 수명은 백년토록 장수하고 바라는 원(願)을 성취하니, 앞에서 말한 바와 같으니라.
036_0904_c_21L阿難陁我已教汝受持佛母大孔雀明王法救莎底苾芻蛇毒之難令彼苾芻獲得安隱亦令一切有情讀誦受持是經獲大安樂壽命百年所求遂願已如前說
다시 아난타여, 자씨(慈氏)보살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하였느니라.
036_0905_a_03L復次阿難陁慈氏菩薩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시리시리 시리바나례 유디유디 유디바나례 하례
怛儞也二合試哩試哩試哩跋捺㘑二合孺底孺底孺底跋捺㘑二合賀㘑
하례 하리니 난 디사바례 시볘 슈라바 니니 모 디모 디 모 디모
賀㘑賀哩抳底捨嚩㘑試吠戍囉播抳𩕳地冒十一地冒
디 모 디사다볘 모 디바리바 자니 예사바 하8)
十二地薩怛吠二合十三地鉢哩播左抳曳娑嚩二合、引十四
036_0905_a_05L怛你也二合試哩試哩試哩跋捺㘑二合孺底孺底孺底跋捺二合賀㘑賀㘑賀里抳捨嚩㘑試吠戍羅播抳𩕳地冒十一地冒十二地薩怛吠二合十三地鉢哩播曳娑嚩二合十四

아난타야, 사바[索訶]세계의 주인인 대범천왕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하였느니라.
036_0905_a_12L阿難陁索訶世界主大梵天王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다냐- 타 혜리혜리 미리미리 마리니장가리 기리기리 기리기리
怛儞也二合呬哩呬哩弭哩弭哩麽哩𩕳葬迦哩枳哩枳哩枳哩枳哩
기리기리디 마라 하마 예 구란적계 미나하보세 다라다라 하라하
枳哩枳哩底沒囉二合賀麽二合矩囒擿計尾拏訶普細馱囉馱囉十一賀攞賀
라 보로보로 보로보로사바 하9)
十二普嚕普嚕十三普嚕普嚕娑嚩二合十四
036_0905_a_14L怛你也二合呬里呬里里弭里麽里𩕳葬迦哩枳里枳枳里枳里枳哩枳里底沒囉二合賀麽二合矩囒摘計尾拏訶普細囉馱囉十一賀攞賀攞十二普嚕普十三普嚕普嚕娑嚩二合十四
036_0905_b_01L
아난타여, 이 진언은 모든 나쁜 독을 소멸하고, 모든 독을 지닌 부류들을 제거하니, 부처님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보살마하살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며, 독각(獨覺)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아라한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느니라. 3과(果)10)ㆍ4향(向)11) 성자(聖者)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진실한 말을 하는 이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며,범왕의 지팡이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제석천의 금강저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느니라. 폐솔노(吠率怒:天神의 이름)의 윤력(輪力)으로 독을 제거하고, 화천(火天)의 태우는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며, 수천(水天)의 그물[羂索]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느니라. 아수라의 환술(幻術)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용왕의 광명(光明)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며, 노나라(嚕捺囉:自在天)의 세 갈래진 창[三戟叉]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고, 색건나(塞騫那)의 짧은 창[爍底]의 신력으로 독을 제거하느니라. 그러므로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의 신력은 모든 독을 제거하여 땅 속으로 들어가게 하니,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이 안온하기를 바랍니다’라고 하라.
036_0905_a_20L阿難陁此眞言能滅一切惡毒能除一切毒類佛力除毒菩薩摩訶薩力除毒獨覺力除毒阿羅漢力除毒果四向聖力除毒實語者力除毒王杖力除毒帝釋金剛杵力除毒率怒輪力除毒火天燒力除毒水天羂索力除毒阿蘇羅幻士力除毒王明力除毒嚕捺囉三戟叉力除毒塞騫那爍底力除毒佛母大孔雀明王力能除一切諸毒令毒入地令我某甲及諸眷屬皆得安隱
아난타여, 다시 모든 독을 지닌 부류들이 있는데, 그대는 마땅히 그들의 이름을 일컬어라. 이른바 발차나바독(跋磋那婆毒)ㆍ하라알라독(訶羅遏羅毒)ㆍ가라구타독(迦羅俱吒毒)ㆍ어금니에 묻은 독[牙齒毒]ㆍ벌레의 독[螫毒]ㆍ뿌리의 독[根毒]ㆍ가루독[末毒]ㆍ의심스러운 독[疑毒]ㆍ눈의 독[眼毒]ㆍ번개의 독[電毒]ㆍ구름의 독[雲毒]ㆍ뱀의 독[蛇毒]ㆍ용의 독[龍毒]ㆍ독충의 독[蠱毒]ㆍ도깨비의 독[魅毒]ㆍ모든 쥐들의 독[鼠毒]ㆍ거미의 독[蜘蛛毒]ㆍ코끼리의 독[象毒]ㆍ두꺼비의 독[蝦蟆毒]ㆍ파리의 독[蠅毒]ㆍ모든 벌의 독[蜂毒]ㆍ인비인의 독[人非人毒]ㆍ약의 독[藥毒]ㆍ주문의 독[呪毒]이니라. 이러한 등의 모든 독에 대하여 ‘원하건대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로 하여금 모든 독이 제거되고 안온을 얻고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기를 바랍니다’라고 하라.
036_0905_b_08L阿難陁有一切毒類汝應稱彼名字所謂磋那婆毒訶羅遏羅毒迦羅俱咤毒牙齒毒螫毒根毒末毒疑毒眼毒雲毒蛇毒龍毒蠱毒魅毒一切鼠蜘蛛毒象毒蝦蟆毒蠅毒及諸蜂人非人毒藥毒呪毒如是等一切諸毒願皆除滅令我某甲及諸眷屬悉除諸毒獲得安隱壽命百年願見百秋
아난타여, 제석천왕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하였느니라.
036_0905_b_17L阿難陁帝釋天王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036_0905_c_01L
다냐- 타 아라 선도례 마 라 선도례 자볘디 선도례 말타 니 가
怛儞也二合若邏膳睹黎膳睹黎佐閉胝膳睹黎末他𩕳
다니 아라 살니 하리 시리 니유 디시리 다로다로나 바디
多𩕳仡囉二合薩𩕳賀哩矢哩十一儞庾二合底失哩十二怛嚕但嚕拏嚩底十三
하 하 하 하 싱 혜 디디 디디 구로구로 미라자 도타
十四思孕反十五地底十六地底十七矩嚕矩嚕十八尾囉惹十九咄吒
도타시 말타말타시 시리시리 겁비려 겁비라모례 하히
咄吒枲二十韤吒韤吒枲二十一悉哩悉哩二十二劫比黎二十三劫比羅母黎二十四賀呬引、馨異反

호 살바놋-따 바라 놋-따 남 잠바 능가로 미
二十五薩嚩訥瑟吒二合二十六鉢囉二合訥瑟吒二合二十七昝婆能迦盧二十八
아사다 바 능 가 바라 디잉 가 니아라 다가로미 사하
曷娑多二合二十九鉢羅二合底孕二合三十𩕳蘗囉二合怛迦嚧弭三十一娑賀
다리 나 세 혜녜 볘혜 올징 이 니 소라바디말디 바
怛哩二合三十二呬禰吠呬三十三嗢徵霓以反三十四素囉跛底韤底三十五
아라 바아라 바아라 바아라 바아라 바아라 바
日囉二合嚩日囉二合三十六嚩日囉二合三十七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三十八嚩日囉二合
다예 사바 하12)
多曳三十九娑嚩二合四十
036_0905_b_19L怛你也二合若邏膳睹黎膳睹黎佐閉胝膳睹末他𩕳多𩕳仡囉二合薩𩕳賀哩矢哩十一你庾二合矢哩十二怛嚕怛嚕拏嚩底十三十四思孕反十五地底十六地底十七矩嚕矩十八尾囉惹十九咄咤咄咤枲二十韤咤韤咤枲二十一悉哩悉哩二十二比黎二十三劫比羅母黎二十四賀呬馨異反二十五薩嚩訥瑟咤二合二十六鉢囉二合訥瑟咤二合二十七昝婆能迦嚧二十八曷娑多二合二十鉢羅二合底孕二合三十𩕳蘖二合怛迦盧弭三十一娑賀恒哩二合三十二呬禰吠呬三十三嗢徵霓以反三十四素羅跛底韤底三十五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三十六嚩日囉二合三十七嚩日二合嚩日囉二合三十八嚩日囉二合鉢多曳三十九娑嚩二合四十

아난타여, 사대천왕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다음과 같이 널리 말하였느니라.
036_0905_c_16L阿難陁四大天王亦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曰
036_0906_a_01L
다냐- 타 자바 라자바 라나 답바답바나 다마다마나 사라사라
怛儞也二合入嚩二合攞入嚩二合攞曩答跛答跛曩馱麽馱麽曩薩囉薩囉
나 구디구디 모디모디 미디미디 사라사라 하라하라 다라다라 나나
矩胝矩胝母胝母胝弭胝弭胝薩囉薩囉賀囉賀囉怛羅怛囉十一娜娜
나나나 바바바바바하라하라하라하라하라 싣디싣디싣디싣디싣디
娜娜娜十二嚩嚩嚩嚩嚩十三賀攞賀攞賀攞賀攞賀攞十四悉地悉地悉地悉地悉地
사바 사디 사바 사디 사바 사디 사바 사디 사바 사
十五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
디 사바 하
二合娑嚩二合十六13)
036_0905_c_18L怛你也二合入嚩二合攞入二合攞曩答跛答跛曩馱麽馱麽曩薩囉薩囉拏矩胝矩胝母胝母胝弭胝弭胝薩囉薩賀囉賀囉怛羅怛囉十一娜娜娜娜十二嚩嚩嚩嚩嚩十三賀攞賀攞賀攞賀攞賀攞十四悉地悉地悉地悉地悉地十五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娑底二合娑嚩二合十六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로 하여금 모두 모든 귀신사자(鬼神使者)ㆍ염마사자(琰魔使者)ㆍ흑야모천(黑夜母天)에게 검은 밧줄로 묶이는 일 등과 사왕(死王:염마왕)이 주는 벌(罰)ㆍ범천이 주는 벌ㆍ제석천이 주는 벌ㆍ선인(仙人)이 주는 벌ㆍ모든 천이 주는 벌ㆍ용왕이 주는 벌ㆍ아수라가 주는 벌ㆍ마로다(麽嚕多)가 주는 벌ㆍ가루나가 주는 벌ㆍ건달바가 주는 벌ㆍ긴나라가 주는 벌ㆍ마후라가가 주는 벌ㆍ야차가 주는 벌ㆍ나찰사가 주는 벌ㆍ필례다가 주는 벌ㆍ비사차가 주는 벌ㆍ보다가 주는 벌ㆍ구반다가 주는 벌ㆍ포단나가 주는 벌ㆍ갈타포단나가 주는 벌ㆍ색건나가 주는 벌ㆍ온마나가 주는 벌ㆍ차야가 주는 벌ㆍ아발사마라가 주는 벌ㆍ오사다라가가 주는 벌ㆍ폐다나가 주는 벌ㆍ왕이 주는 벌ㆍ도적이 주는 벌ㆍ물과 불이 주는 벌ㆍ모든 곳으로 귀양 보내는 벌ㆍ가볍게 처벌하는 벌 등을 멀리 여의어 받지 않도록 해주십시오.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로 하여금 이러한 나쁜 일들을 멀리 여의고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기를 바랍니다’라고 발원(發願)하라.
036_0906_a_06L令我某甲幷諸眷屬皆得遠離一切鬼神使者琰魔使者黑夜母天持黑索者及死王所罰梵天所罰帝釋所仙人所罰諸天所罰龍王所罰蘇羅所罰麽嚕多罰誐嚕拏罰彦達嚩罰緊那羅罰摩護羅誐罰藥叉所羅剎娑罰畢㘑多罰比舍遮罰多所罰矩畔拏罰布單那罰羯咤布單那罰塞建那罰嗢麽那罰車耶所阿鉢娑麽羅罰塢娑多囉迦罰多拏罰王所罰賊所罰水火所罰一切處所有謫罰及輕小治罰令我某甲幷諸眷屬皆得遠離常見擁護壽命百年願見百秋
036_0906_b_01L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모든 대하왕(大河王)의 이름을 칭념(稱念)하여라.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긍가하왕(殑伽河王)ㆍ신도(信度)하왕ㆍ바추(嚩芻)하왕ㆍ시다(枲多)하왕ㆍ설랍부(設臘部)하왕ㆍ아이라벌디(阿爾囉伐底)하왕ㆍ염모나(琰母娜)하왕ㆍ구하(句賀)하왕ㆍ가미달사다(訶尾怛娑多)하왕ㆍ설다눌로(設多訥嚕)하왕ㆍ미파날(微播捺)하왕ㆍ애라벌디(愛羅伐底)하왕ㆍ전나라파아(戰捺羅婆誐)하왕ㆍ살라사디(薩囉娑底)하왕ㆍ갈차비녕(羯縒比𩕳)하왕ㆍ배유사니(盃喩史抳)하왕ㆍ가미리(迦尾哩)하왕ㆍ담몰라발나(擔沒囉鉢拏)하왕ㆍ말도마디(末度末底)하왕ㆍ익추벌디(益芻伐底)하왕ㆍ우말디(遇末底)하왕ㆍ나말나(捺末娜)하왕ㆍ조미다라(燥蜜怛囉)하왕ㆍ미습바미다라(尾濕嚩蜜怛囉)하왕ㆍ아마라(阿麽囉)하왕ㆍ다마라(跢麽囉)하왕ㆍ반자라(半者羅)하왕ㆍ소바솔도(素婆窣堵)하왕ㆍ바라바나리가(鉢囉婆捺哩迦)하왕ㆍ답포다(答布多)하왕ㆍ미마라(尾麽囉)하왕ㆍ우나바리(遇娜嚩哩)하왕ㆍ니련선나(泥連善那)하왕ㆍ혜라냐벌디(呬囒孃伐底)하왕이다.
036_0906_a_20L阿難陁汝當稱念諸大河王名字名曰弶伽河王信度河王嚩芻河王枲多河王設臘部河王阿爾囉伐底河王琰母娜河王句賀河王訶尾怛娑多河王設多訥嚕河王微播捺河愛羅伐底河王戰捺羅婆誐河王薩囉娑底河王羯蹉比𩕳河王盃喩史抳河王迦尾哩河王擔沒囉鉢拏河王末度末底河王益芻伐底河王遇末底河王捺末娜河王燥蜜怛囉河王尾濕嚩蜜怛羅河王阿麽囉河跢麽囉河王半者羅河王素婆窣堵河王鉢囉婆捺哩迦河王答布多河王尾麽羅河王遇娜嚩里河王連善那河王呬闌孃伐底河王
036_0906_c_01L이러한 등의 모든 대하왕(大河王)들은 이 대지(大地)를 의지하여 머물고, 모든 하왕의 처소마다 천ㆍ용ㆍ아수라ㆍ마로다ㆍ아로나ㆍ건달바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야차ㆍ나찰사ㆍ필례다ㆍ비사차ㆍ보다ㆍ구반다ㆍ포단나ㆍ갈타포단나ㆍ색건나ㆍ온마나ㆍ차야ㆍ아발사마라ㆍ오사다라가 등과 정기(精氣)를 먹는 자ㆍ태(胎)를 먹는 자ㆍ피를 먹는 자ㆍ살을 먹는 자ㆍ기름을 먹는 자ㆍ골수를 먹는 자ㆍ날것을 먹는 자ㆍ목숨을 먹는 자ㆍ제사(祭祠) 음식을 먹는 자ㆍ기(氣)를 먹는 자ㆍ향(香)을 먹는 자ㆍ꽃다발의 향내를 먹는 자ㆍ꽃을 먹는 자ㆍ과일을 먹는 자ㆍ곡물의 싹을 먹는 자ㆍ화제(火祭)를 먹는 자ㆍ고름을 먹는 자ㆍ대변을 먹는 자ㆍ소변을 먹는 자ㆍ눈물을 먹는 자ㆍ침을 먹는 자ㆍ콧물을 먹는 자ㆍ남은 음식을 먹는 자ㆍ구토한 음식을 먹는 자ㆍ부정(不淨)한 물건을 먹는 자ㆍ새는 물을 먹는 자 등이 있느니라.
036_0906_b_12L如是等諸大河王依此大地而住諸河王處若天若龍若阿蘇羅麽嚕誐嚕拏彦達嚩緊那囉摩護囉誐若藥叉羅剎娑畢㘑多比舍遮若步矩畔拏布單那羯咤布單那塞建嗢摩那車耶阿鉢娑麽囉塢娑多羅迦及食精氣者食胎者食血者肉者食脂膏者食髓者食生者食命食祭祠者食氣者食香者食鬘者食花者食菓者食苗稼者食火祭者食膿者食大便者食小便者食涕唾食涎者食涕者食殘食者食吐者食不淨物者食漏水者
이러한 등의 무리들은 갖가지 형모와 갖가지 안색(顔色)이 좋아하는 바를 따라서 몸이 변하고 모든 귀신들도 저 하왕에 의지하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옹호하여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항상 안락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느니라.
036_0906_c_02L如是等種種形貌種種顏色隨樂變身諸鬼神等依彼河住彼等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皆擁護於我某甲諸眷屬令離憂苦壽命百年常受安
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모든 대산왕(大山王)의 이름을 칭념(稱念)하여라.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묘고산왕(妙高山王)ㆍ설(雪)산왕ㆍ향취(香醉)산왕ㆍ백봉(百峯)산왕ㆍ갈지락가(朅地洛迦)산왕ㆍ금협(金脇)산왕ㆍ지광(持光)산왕ㆍ니민달라(𩕳泯達羅)산왕ㆍ윤위(輪圍)산왕ㆍ대륜위(大輪圍)산왕ㆍ인다라석(因陀羅石)산왕ㆍ범택(梵宅)산왕ㆍ유길상(有吉祥)산왕ㆍ선현(善現)산왕ㆍ광대(廣大)산왕ㆍ출보(出寶)산왕ㆍ다충(多蟲)산왕ㆍ보정(寶頂)산왕ㆍ출금강(出金剛)산왕ㆍ아수라암(阿蘇羅巖)산왕ㆍ비마질다라(毗摩質多羅)산왕ㆍ전광(電光)산왕ㆍ마유(馬乳)산왕ㆍ월광(月光)산왕ㆍ일광(日光)산왕ㆍ마라야(摩羅耶)산왕ㆍ빈타(頻陀)산왕ㆍ현석(賢石)산왕ㆍ질달라구타(質怛囉矩吒)산왕ㆍ금봉(金峯)산왕ㆍ파리야다라(播哩耶怛羅)산왕ㆍ묘비(妙臂)산왕ㆍ유마니(有摩尼)산왕ㆍ소쇄나(蘇曬那)산왕ㆍ범취(梵觜)산왕ㆍ지정(智淨)산왕ㆍ우이(牛耳)산왕ㆍ마라질다라(摩羅質怛羅)산왕ㆍ검형(劍形)산왕ㆍ염열(炎熱)산왕ㆍ안선나(安繕那)산왕ㆍ적취(積聚)산왕ㆍ녹색(鹿色)산왕ㆍ달달(達達)산왕ㆍ계라사(罽羅娑)산왕ㆍ대제(大帝)산왕이다.
036_0906_c_07L阿難陁汝當稱念諸大山王名字名曰妙高山王雪山王香醉山王峯山王朅地洛迦山王金脅山王光山王𩕳泯達羅山王輪圍山王輪圍山王因陁羅石山王梵宅山有吉祥山王善現山王廣大山王出寶山王多虫山王寶頂山王出金剛山王阿蘇羅巖山王毘摩質多羅山王電光山王馬乳山王月光山王日光山王摩羅耶山王頻陁山王石山王質怛羅矩咤山王金峯山王播哩耶怛羅山王妙臂山王有摩尼山王蘇曬那山王梵嘴山王智淨山牛耳山王摩羅質怛羅山王劍形山王炎熱山王安繕那山王積聚山鹿色山王達達山王罽羅娑山王大帝山王
036_0907_a_01L이러한 등의 모든 대산왕들이 이 대지에 있고 산왕의 처소마다 천ㆍ용ㆍ아수라ㆍ마로다ㆍ아로나ㆍ건달바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야차ㆍ나찰사ㆍ필례다ㆍ비사차ㆍ보다ㆍ구반다ㆍ포단나ㆍ갈타포단나ㆍ색건나ㆍ온마나ㆍ차야ㆍ아발사마라ㆍ오사다라가 등과 모든 귀신들과 지명대선(持明大仙)과 모든 권속들이 머무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나쁜 일을 없애고 항상 길상(吉祥)만을 보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십시오’라고 하고, 다시 게송을 읊어라.
036_0907_a_01L如是等諸大山王居此大地於彼等所有天阿蘇羅麽嚕多誐嚕拏彦達嚩緊那羅摩護囉誐藥叉羅剎畢㘑多比舍遮步多矩伴拏布單羯咤布單那塞建那嗢麽那車耶阿鉢娑麽羅塢娑多囉迦諸鬼神等及持明大仙幷諸營從眷屬住彼山亦皆以此佛母大孔雀明王擁護於我某甲幷諸眷屬壽命百年除滅惡事常睹吉祥離諸憂惱復說伽他

저로 하여금 밤새도록 편안케 하고
온종일 편안케 하며
모든 시간마다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護念)하소서.
036_0907_a_12L令我夜安隱
晝日亦安隱
於一切時中
諸佛常護念

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모든 성수천(星宿天)의 이름을 칭념하여라. 저 성수천은 큰 위력이 있어 항상 허공을 왕래하면서 길흉(吉凶)의 모양을 나타내느니라.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036_0907_a_14L阿難陁汝當稱念諸星宿天名號星宿天有大威力常行虛空現吉凶其名曰

묘성(昴星)ㆍ필성(畢星)
자성(觜星)ㆍ삼성(參星)ㆍ정성(井星)
귀수(鬼宿)는 길상(吉祥)이며
유성(柳星)14)은 일곱 번째라네.
036_0907_a_17L昴星及畢星
嘴星參及井
鬼宿能吉祥
柳星爲第七

이들 일곱 개의 별들은 동문(東門)에 머물러 동방을 수호하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7_a_19L此等七宿住於東門守護東方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護我某甲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

성수(星宿)는 원적(怨敵)을 꺾으며
장성(張星)ㆍ익성(翼星)도 이와 같네.
진성(軫星)ㆍ각성(角星)ㆍ항성(亢星)이며
저성(底星)15)은 일곱 번째로 머문다네.
036_0907_a_22L星宿能摧怨
張翼亦如是
軫星及角亢
氐星居第七
036_0907_b_01L
이들 일곱 개의 별들은 남문에 머물러 남방을 수호하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7_b_01L此等七宿住於南門守護南方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擁護我某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

방수(房宿)는 큰 위덕(威德)이 있고
심성(心星)ㆍ미성(尾星)도 그렇다네.
기성(箕星)ㆍ두성(斗星)ㆍ우성(牛星)이며
여성(女星)16)은 일곱 번째이네.
036_0907_b_04L房宿大威德
心尾亦復然
箕星及斗牛
女星爲第七

이들 일곱 개의 별들은 서문에 머물러 서방을 수호하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7_b_06L此等七宿住於西門守護西方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擁護我某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

허성(虛星)ㆍ위성(危星)과
실성(室星)ㆍ벽성(辟星)과
규성(奎星)ㆍ누성(婁星)과
위성(胃星)17)은 가장 뒤에 거주하네.
036_0907_b_09L虛星與危星
室星辟星等
奎星及婁星
胃星最居後

이들 일곱 개의 별들은 북문에 머물러 북방을 수호하느니라.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7_b_11L此等七宿住於北門守護北方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擁護我某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
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아홉 가지 집요(執曜)의 이름을 칭념하여라. 이 집요가 스물여덟 개의 별을 따라 하늘을 순행할 때 낮과 밤의 시분(時分)을 늘어나고 줄어들게 하며, 세간에 있는 풍년과 흉년, 괴로움과 즐거움들을 미리 모양으로 나타내느니라.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036_0907_b_14L阿難陁汝當稱念有九種執曜名號此執曜天巡行二十八宿之時能令晝夜時分增減世閒所有豐儉苦樂皆先表其相其名曰

해ㆍ달ㆍ형혹성(熒惑星)
진성(辰星)ㆍ세성(歲星)ㆍ태백성(大白星)
진성(鎭星)ㆍ라후성(羅睺星)ㆍ혜성(彗星)
이들을 집요(執曜)라고 이름한다네.
036_0907_b_18L日月及熒惑
辰歲幷大白
鎭及羅睺彗
此皆名執曜

이들 9요(曜)18)는 큰 위력이 있어 능히 길흉사(吉凶事)를 보이는데, 그들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고, 다시 게송으로 모든 성수(星宿)를 찬탄하라.
036_0907_b_20L此等九曜有大威力能示吉凶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擁護我某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以伽他讚諸星宿
036_0907_c_01L
성수는 스물여덟 개가 있는데
사방으로 각각 일곱 개씩이며
집요(執曜)는 일곱인데
해ㆍ달을 보태어 아홉이 되네.
036_0907_c_01L宿有二十八
四方各居七
執曜復有七
加日月爲九

합하면 모두 서른일곱 개이니
용맹과 큰 위신력으로
숨었다가 나타났다 하면서 세간을 비추어
좋은 일과 나쁜 일을 미리 보여 준다네.
036_0907_c_03L摠成三十七
勇猛大威神
出沒照世閒
示其善惡相

낮과 밤을 줄이기도 하고 늘이기도 하고
큰 광명의 위세가 있으니
모두 청정한 마음으로
이 광명을 따라서 기뻐하네.
036_0907_c_04L令晝夜增減
有勢大光明
皆以淸淨心
於此明隨喜

이들 성수천(星宿天) 모두에게 또한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항상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게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7_c_05L此等星宿天皆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常擁護我某甲幷諸眷屬壽命百年
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모든 대선인(大仙人)의 이름을 칭념하여라. 이 모든 선인들은 금계(禁戒)를 성취하여 지니고 항상 고행(苦行)을 닦아 모두 위덕을 갖추어 큰 광명이 있느니라. 그리고 산과 강, 숲 속에 살고, 좋은 일과 나쁜 일을 일으키고자 하여 주문을 염송하여 원하면 좋은 일과 흉한 일이 말대로 이루어지느니라. 또한 5신통(神通)에 자재하고 허공을 날아다니는 등의 모든 일을 하는 데 장애되는 일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그대는 마땅히 다음의 이름을 칭념하여라.
036_0907_c_08L阿難陁汝當稱念諸大仙人名號諸仙人皆持成就禁戒常修苦行具威德有大光明或住山河或居林欲作善惡呪願吉凶隨言成就通自在遊行虛空一切所爲無有障汝當稱念其名曰
036_0908_a_01L아슬타가대선(阿瑟吒迦大仙)ㆍ바마가(嚩麽迦)대선ㆍ바마니바(嚩麽禰嚩)대선ㆍ마리지(摩利支)대선ㆍ말건니야(末建嬭耶)대선ㆍ종종우(種種友)대선ㆍ바사슬차(婆私瑟侘)대선ㆍ발랍미가(跋臘弭迦)대선ㆍ가섭파(迦葉波)대선ㆍ노가섭바(老迦葉波)대선ㆍ발릉우(勃陵隅)대선ㆍ발리라사(勃哩囉娑)대선ㆍ앙이라(鴦儗羅)대선ㆍ바이라사(婆儗囉娑)대선ㆍ아달뢰야(阿怛𡃤耶)대선ㆍ보라싣디야(補攞悉底耶)대선ㆍ녹두(鹿頭)대선ㆍ염마화(焰摩火)대선ㆍ주자(洲子)대선ㆍ흑주자(黑洲子)대선ㆍ하리다(賀哩多)대선ㆍ하리다자(賀哩多子)대선ㆍ등성(等聲)대선ㆍ고용(高勇)대선ㆍ등고용(等高勇)대선ㆍ설인(說忍)대선ㆍ명칭(名稱)대선ㆍ선명칭(善名稱)대선ㆍ존중(尊重)대선ㆍ황(黃)대선ㆍ보달락가(補怛落迦)대선ㆍ아습바라야나(阿濕嚩攞野那)대선ㆍ향산(香山)대선ㆍ설산(雪山)대선ㆍ적목(赤目)대선ㆍ난주(難住)대선ㆍ볘협파야나(吠陜播野那)대선ㆍ바람미가(嚩攬弭迦)대선ㆍ능시(能施)대선ㆍ눌마사(訥麽娑)대선ㆍ설랍파(設臘婆)대선ㆍ마나(麽拏)대선ㆍ주재(主宰)대선ㆍ제석(帝釋)대선ㆍ세성(歲星)대선ㆍ교(嬌)대선ㆍ광(光)대선ㆍ앵무(鸚鵡)대선ㆍ아라녜미(阿羅禰彌)대선ㆍ진성(鎭星)대선ㆍ신성(辰星)대선ㆍ지독(持毒)대선ㆍ건타라(乾陀羅)대선ㆍ독각(獨覺)대선ㆍ선각(仙角)대선ㆍ아가(蘖誐)대선ㆍ단나야나(單拏野那)대선ㆍ건타야나(建姹野那)대선ㆍ연정(烟頂)대선ㆍ가외(可畏)대선ㆍ겁비라(劫比羅)대선ㆍ교답마(嬌答摩)대선ㆍ마등가(摩蹬伽)대선ㆍ주안(朱眼)대선ㆍ묘안(妙眼)대선ㆍ나라나(娜羅那)대선ㆍ산거(山居)대선ㆍ흘리미라(訖哩弭囉)대선이다.
036_0907_c_14L阿瑟咤迦大仙嚩麽迦大仙嚩麽你嚩大仙摩利支大仙末建你耶大仙種支大仙婆私瑟侘大仙跋臘弭迦大仙迦葉波大仙老迦葉波大仙陵隅大仙勃哩羅娑大仙鴦儗羅大婆儗羅娑大仙阿怛𡃤耶大仙攞悉底耶大仙鹿頭大仙焰摩火大洲子大仙黑洲子大仙賀哩多大賀哩多子大仙等聲大仙高勇大等高勇大仙說忍大仙名稱大仙善名稱大仙尊重大仙黃大仙補怛落迦大仙阿濕嚩攞野那大仙香山大仙雪山大仙赤目大仙難住大仙吠陜播野那大仙縛攬弭迦大仙施大仙訥麽娑大仙設臘婆大仙拏大仙主宰大仙帝釋大仙歲星大嬌大仙光大仙鸚鵡大仙阿羅禰彌大仙鎭星大仙辰星大仙持毒大乾陁羅大仙獨覺大仙仙角大仙蘖誐大仙單拏野那大仙建姹野那大煙頂大仙可畏大仙劫比羅大仙嬌答摩大仙摩蹬伽大仙朱眼大仙妙眼大仙娜羅那大仙山居大仙哩弭羅大仙
이러한 모든 선인(仙人)들이 옛 대선에게 나아가서 사명론(四明論)을 배우고 주술을 잘 익혀 뭇 행을 갖추고 자타(自他)가 함께 이익을 성취하느니라. 그들에게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십시오’라고 하고, 다음과 같은 진언을 염송하느니라.
036_0908_a_15L此等諸仙皆是往古大仙造四明論喜閑呪術衆行備成自他俱利彼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擁護我某甲幷諸眷屬壽命百年離諸憂惱復說眞言曰
036_0908_b_01L
다냐- 타 히 리혜리 혜리카리 마리호리 소리하리 혜리혜리 미
怛儞也二合馨異反哩呬哩呬哩佉哩麽哩護哩素哩賀哩呬哩呬哩
리미리 섭보섭보 나섭보 아라 사니 말타니나하니 가다니 바
哩弭哩囁普囁普拏囁普仡囉二合薩𩕳沫他𩕳十一諾賀𩕳十二伽多𩕳十三
자니 바 자니 바다니 다바니 하나니 나하니 나하나하나하
左𩕳十四左𩕳十五播多𩕳十六跢跛𩕳十七賀曩𩕳十八娜賀𩕳十九娜賀娜賀娜賀二十
나라나라나라니 바타니 라 하니 모하니 바담 바니
娜羅娜羅娜囉𩕳二十一播吒𩕳二十二賀𩕳二十三謨賀𩕳二十四婆擔二合婆𩕳二十五
암바니사바 하19)
昝婆𩕳娑嚩二合二十六
036_0908_a_20L怛你也二合馨異反哩呬哩呬哩佉哩麽哩護哩素哩賀哩哩呬哩弭哩弭哩囁普囁普拏囁普仡囉二合薩𩕳沫他𩕳十一諾賀𩕳十二伽多𩕳十三跛左𩕳十四左𩕳十五播多𩕳十六跢跛𩕳十七賀曩𩕳十八娜賀𩕳十九娜賀娜賀娜賀二十娜羅娜羅娜羅𩕳二十一播咤𩕳二十二賀𩕳二十三賀𩕳二十四婆擔二合婆𩕳二十五昝婆𩕳娑嚩二合二十六
036_0908_c_01L
아난타여, 그대는 마땅히 이 대지 중에 큰 독약의 이름을 칭념하여라.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알나라(頞拏囉)ㆍ반나라(半拏囉)ㆍ가라라(迦囉)ㆍ계유라(計庾)ㆍ보등아마디(部蹬誐麽底)ㆍ보다바디(部多鉢底)ㆍ민노바디(泯努鉢底)ㆍ시리바디(悉哩鉢底)ㆍ뎨자바디(帝惹鉢底)ㆍ뎨조아라(帝祖仡囉二合)ㆍ바디(鉢底)ㆍ예슈바디(拽戍鉢底十一)ㆍ예슈아라바디(拽戍仡囉二合鉢底十二)ㆍ아라나(阿囉拏十三)ㆍ다라나(跢囉拏十四)ㆍ아라난(阿囉𧹞十五)ㆍ다라나(怛囉二合十六)ㆍ난다나하(難跢諾賀十七)ㆍ뎨하뎨라(濟賀濟邏十八)ㆍ바라우라(發邏麌邏十九)ㆍ디라난도라(止囉難睹囉二十)ㆍ이리기디가(伊哩枳止迦二十一)ㆍ사차도라(捨且睹囉二十二)ㆍ미보리(尾補里二十三)ㆍ나구리(曩矩哩二十四)ㆍ기리비(枳哩比二十五)ㆍ다랑가리사타(怛郎誐哩瑟吒二合二十六)ㆍ암모마디(闇母麽底二十七)ㆍ암모마디(昝母麽底二十八)ㆍ마마마디(麽麽麽底二十九)ㆍ가마례(迦麽黎三十)ㆍ미마례(尾麽黎三十一)ㆍ군나례(軍拏黎三十二)ㆍ아사도혜(阿四睹呬三十三)ㆍ바케(嚩計三十四)ㆍ바가나뎨(嚩迦拏三十五)ㆍ바나나볘(嚩捺曩陛三十六)ㆍ마하아례(麽賀誐黎三十七)ㆍ도람몌(睹覽迷三十八)ㆍ소람몌(蘇覽迷三十九)이다.
036_0908_b_08L阿難陁汝當稱念此大地中有大毒藥名字其名曰頞拏囉半拏囉迦囉計庾蹬誐麽底多鉢底泯努鉢底悉哩鉢底帝惹鉢底帝祖仡囉二合鉢底拽戍鉢底十一拽戍仡囉二合鉢底十二阿囉拏十三囉拏十四阿囉𧹞十五怛囉二合十六難跢諾賀十七濟賀濟邏十八癹邏麌十九止囉難睹囉二十伊哩枳止迦二十一捨且睹囉二十二尾補里二十曩矩里二十四抧哩比二十五怛郞誐哩瑟咤二合二十六母麽底二十七母麽底二十八麽麽麽底二十九迦麽黎三十尾麽黎三十一軍拏黎三十二阿四睹三十三嚩計三十四嚩迦拏三十五嚩捺曩陛三十六麽賀誐黎三十七覽迷三十八蘇覽迷三十九

아난타여, 이 큰 독약과 모든 약신(藥神)에게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으로 저 아무개와 모든 권속들을 수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모든 독의 피해에서 벗어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라.
036_0908_c_04L阿難陁此大毒藥及諸藥神亦以此佛母大孔雀明王守護我某甲幷諸眷壽命百年離諸毒害
다시 아난타여, 이 불모대공작명왕의 가르침은 과거 일곱 부처님ㆍ정변지ㆍ여래께서도 널리 말씀하셨느니라. 이른바 미발(微鉢:비바시)ㆍ시기(尸棄)ㆍ비사부(毗舍浮)ㆍ갈구촌나(羯句忖那:구류손)ㆍ가나가모니(羯諾迦牟尼:구나함모니)ㆍ가섭파(迦攝波)와 나[我] 석가모니(釋迦牟尼)ㆍ정변지 등이 모두 기쁜 마음을 일으키며 널리 말하였느니라. 그리고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자씨보살도 기쁜 마음을 일으켜 널리 말하고, 사바세계의 주인인 대범천왕과 제석천과 사대천왕과 건달바의 주인인 지국천왕ㆍ구반다의 주인인 증장천왕ㆍ용의 주인인 광목천왕ㆍ야차의 주인인 다문천왕과 28대야차의 대장 등도 모두 기쁜 마음을 일으켜 널리 말하였느니라.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산지가대장(散支迦大將)ㆍ하리저모(訶利底母:鬼子母)와 5백 명의 아들과 모든 권속들도 기쁜 마음을 일으키고 널리 말하였느니라.
036_0908_c_07L復次阿難陁此佛母大孔雀明王教七佛正遍知如來之所宣說所謂鉢尸尸棄毘舍浮羯句忖那羯諾迦牟尼迦攝波我釋迦牟尼如來正遍知皆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氏菩薩亦隨喜宣說索訶世界主大梵天王幷天帝釋四大天王持國天王與揵達婆主增長天王與俱槃茶主廣目天王與龍主多聞天王與藥叉幷二十八大藥叉將皆隨喜宣說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散支迦大訶利底母及五百子幷諸眷屬隨喜宣說
036_0909_a_01L아난타여,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어길 수 있는 자가 없으니, 천ㆍ용ㆍ아수라ㆍ마로다ㆍ아로나ㆍ건달바ㆍ긴나라ㆍ마후라가 등도 어기는 자가 없느니라. 야차ㆍ나찰사ㆍ필례다ㆍ비사차ㆍ보다ㆍ구반다ㆍ포단나ㆍ갈타포단나ㆍ색건나ㆍ온마나ㆍ차야ㆍ아발사마라ㆍ오사다라가 등과 모든 귀신들도 어기는 자가 없느니라. 모든 거친 음식을 먹는 자ㆍ정기를 먹는 자ㆍ태를 먹는 자ㆍ피를 먹는 자ㆍ살을 먹는 자ㆍ기름을 먹는 자ㆍ골수를 먹는 자ㆍ날것을 먹는 자ㆍ목숨을 먹는 자ㆍ제사 음식을 먹는 자ㆍ기(氣)를 먹는 자ㆍ향을 먹는 자ㆍ꽃다발의 향내를 먹는 자ㆍ꽃을 먹는 자ㆍ과일을 먹는 자ㆍ곡물의 싹을 먹는 자ㆍ화제(火祭)를 먹는 자ㆍ고름을 먹는 자ㆍ대변을 먹는 자ㆍ소변을 먹는 자ㆍ눈물을 먹는 자ㆍ침을 먹는 자ㆍ콧물을 먹는 자ㆍ남은 음식을 먹는 자ㆍ구토한 음식을 먹는 자ㆍ부정한 물건을 먹는 자ㆍ새는 물을 먹는 자 등 이와 같이 거친 음식을 먹는 이들도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어기지 못하느니라.
036_0908_c_20L阿難陁此佛母大孔雀明王眞言無能違越者若天若龍若阿蘇羅麽嚕多誐嚕拏彦達嚩緊那囉摩護囉誐等亦無能違越者若藥叉若羅剎娑若畢㘑多比舍遮步多伴拏布單那羯咤布單那塞建那麽那車耶阿鉢娑麽囉塢娑跢囉迦一切鬼神亦無能違越者及一切諸惡食者食精氣者食胎者食血者食肉者食脂膏者食髓者食生者命者食祭祠者食氣者食香者食鬘食花者食菓者食苗稼者食火祭食膿者食大便者食小便者食涕唾者食涎者食涕者食殘食者食吐食不淨物者食漏水者如是等諸惡食者亦不能違越此佛母大孔雀明王
또 모든 독충과 도깨비로 상대방을 해치는 자와 주술로 귀신을 부려 상대방을 해치는 자ㆍ모든 악법을 일삼는 자들과 흘률저가(訖㗚底迦)ㆍ갈마나(羯摩拏)ㆍ가구률나(迦具㗚那)ㆍ기라나(枳刺拏)ㆍ폐다나(吠跢拏)ㆍ질자(質者)ㆍ필례쇄가(畢㘑灑迦)도 어기지 못하느니라. 또 다른 이의 피와 골수를 마시고, 사람으로 변하여 몰아쳐 부리며, 귀신을 불러 모든 악업(惡業)ㆍ악식(惡食)ㆍ악토(惡吐)ㆍ악영(惡影)ㆍ악시(惡視) 등을 짓고, 저주하는 글을 쓰며, 악도(惡跳)ㆍ악맥(惡驀)ㆍ악모역(惡冒逆)의 나쁜 일들을 짓는 자들도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어기지 못하느니라. 또 왕과 도적ㆍ물ㆍ불ㆍ다른 나라 군대가 침략하는 재난과 기근ㆍ때 아닌 때 요절하는 것ㆍ지진(地震)ㆍ흉악한 짐승ㆍ원적ㆍ나쁜 친구 등도 어기지 못하여 모두 다 멀리 사라지느니라.
036_0909_a_13L又諸蠱魅厭禱呪術作諸惡法者訖㗚底迦羯麽拏迦具㗚那抧剌拏吠跢拏質者畢㘑灑迦亦不能違越又有飮他血髓變人驅役呼召鬼神造諸惡業惡食惡吐惡影惡視或造厭書惡跳惡驀或惡冒送作惡事者亦不能違越此佛母大孔雀明王諸王賊水火他兵飢饉非時夭壽動惡獸怨敵惡友等亦不能違越皆遠離
036_0909_b_01L모든 나쁜 병ㆍ옴ㆍ문둥병ㆍ부스럼ㆍ치루(痔漏)ㆍ악성 종기ㆍ피부가 까맣고 까칠까칠한 병ㆍ소화불량ㆍ두통ㆍ편두통ㆍ눈의 통증ㆍ귀의 통증ㆍ코의 통증ㆍ입술의 통증ㆍ입의 통증ㆍ뺨의 통증ㆍ치아의 통증ㆍ혀의 통증ㆍ인후통ㆍ가슴의 통증ㆍ옆구리의 통증ㆍ등의 통증ㆍ심장의 통증ㆍ위장의 통증ㆍ허리의 통증ㆍ사타구니의 통증ㆍ넓적다리의 통증ㆍ무릎의 통증ㆍ수족(手足)의 통증ㆍ사지(四支)의 통증ㆍ은밀한 곳의 통증ㆍ몸이 수척해지고 마르는 병ㆍ온몸의 동통(疼痛) 등의 고통도 어기지 못하고 모두 다 멀리 사라지느니라. 또 모든 학질에 걸려 하루ㆍ이틀ㆍ사흘ㆍ나흘 내지 일주일ㆍ보름ㆍ한 달, 혹은 다시 여러 날 아프거나 잠깐 동안 아프며, 혹은 차도가 없는 열병ㆍ수족이 오그라지는 병ㆍ혹이 자라는 병ㆍ귀신으로 인한 장열병ㆍ풍병ㆍ황달ㆍ가래가 나오는 병 등과 혹은 세 가지 병이 한꺼번에 겹치는 일과 404병 등이 모두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어기지 못하느니라.
036_0909_a_22L又諸惡病疥癩瘡癬痔漏癰身皮黑澀飮食不消頭痛半痛耳鼻痛脣口頰痛牙齒舌痛及咽喉胸脅背痛心肚腰胯及䏶膝痛足四肢及隱密處痛瘦病乾消遍身疼痛如是等病亦不能違越皆得遠又諸瘧病一日二日三日四日至七日半月一月或復頻日或復須或常熱病偏邪癭病鬼神壯熱黃痰癊或三集病四百四病皆不能違越此佛母大孔雀明王
아난타여, 다시 귀신ㆍ도깨비ㆍ인비인 등과 모든 나쁜 독으로 해치는 좋지 않은 일들과 모든 나쁜 병을 일으키는 귀신들과 사자(使者)와 원적ㆍ공포ㆍ갖가지 모든 독과 주술, 모든 염도(厭禱) 등이 이 마하마유리불모명왕(摩訶摩瑜利佛母明王)진언을 어기지 못하느니라. 항상 좋지 않은 업에서 아주 멀리 벗어나 큰 길상을 얻어 뭇 성현들께서 가지(加持)하여 구하는 것을 만족하느니라.
036_0909_b_09L阿難陁復有鬼魅人非人等諸惡毒一切不祥及諸惡病一切鬼神幷及使者怨敵恐怖種種諸毒及以呪術一切厭禱皆不能違越此摩訶摩瑜利佛母明王常得遠離一切不善之獲大吉祥衆聖加持所求滿足
다시 아난타여,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마하마유리불모명왕의 이름을 칭념한다면, 곧바로 자신과 다른 사람을 보호하고, 혹은 밧줄로 몸이 묶여 마땅히 죽을죄인데도 물건으로 죗값을 치르고 풀려나며,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하는데도 몽둥이로 가볍게 맞고 풀려나며, 마땅히 몽둥이로 가볍게 맞을 죄인데도 욕설을 듣고 풀려나며, 마땅히 욕설을 들을 죄인데도 그냥 벗어나며, 모든 고통스런 재난(災難)이 다 흩어져 없어지느니라. 그리고 이 사람은 또한 왕ㆍ도적ㆍ물ㆍ불ㆍ나쁜 독ㆍ칼ㆍ몽둥이의 침해를 받지 않으며, 인ㆍ천ㆍ귀신들도 감히 어기지 못하느니라. 잠잘 때에도 편안하고 깨어 있을 때에도 편안하여 모든 공포를 여의고 복덕이 더욱 늘어나며 수명이 늘어나느니라.
036_0909_b_15L次阿難陁若有人纔稱念此摩訶摩瑜利佛母明王名字者便護自身及護他人或結線索身上帶持如其此應合死罪以罰物得脫應合被罰輕杖得脫應合輕杖被罵得脫應合被罵自然得脫一切苦難悉皆消散此人亦不被王賊水火惡毒刀杖之所侵害人天鬼神無敢違越睡安覺離諸恐怖福德增長壽命延長
036_0909_c_01L아난타여, 숙세(宿世)의 결정된 업으로 반드시 과보를 받을 자를 제외하고는 단지 이 경을 독송하면, 반드시 효력을 얻느니라.
036_0909_c_01L阿難陁唯除宿世定業必受報者讀誦此經必獲應效
아난타여, 만약 가물 때나 장맛비가 내릴 때에 이 경을 독송하면, 모든 용들이 환희하여 장맛비가 내릴 때라면 곧바로 개이게 하고, 가물 때라면 반드시 비를 따라 만족하도록 하느니라.
036_0909_c_03L阿難陁若天旱時及雨澇時讀誦此諸龍歡喜若滯雨卽晴若亢旱必令彼求者隨意滿足
아난타여, 이 불모대공작명왕진언을 잠깐이라도 억념하는 이는 능히 공포ㆍ원적 등의 모든 액난을 제거하는데, 하물며 구족하게 독송하고 받아 지님이겠는가. 반드시 안락함을 얻느니라.
036_0909_c_06L阿難陁此佛母大孔雀明王纔憶念能除恐怖怨敵一切厄難何況具足讀誦受持必獲安隱
아난타여, 이 마하마유리불모명왕진언은 능히 재앙과 화를 제거하고 원적을 없애니, 이는 사부대중인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를 수호하여 모든 공포에서 벗어나도록 하고자 하기 때문이니라. 다시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여라.”
036_0909_c_09L阿難陁此摩訶摩瑜利佛母明王能除災禍息怨敵者爲欲守護四衆——苾芻苾芻尼鄔波索迦鄔波斯迦——離諸怖畏故復說眞言曰

다냐- 타 야바디 다 니 다라기 구로도로메 사바 하20)
怛儞也二合野嚩底𩕳馱囉枳矩嚕睹嚕銘娑嚩二合、引
036_0909_c_13L怛你也二合野嚩底𩕳馱囉抧矩魯睹魯銘娑嚩二合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세간(世間)의 3독(毒)을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미 끊으시어
진실한 말로 독(毒)을 없애시네.
036_0909_c_16L貪欲瞋恚癡
是世閒三毒
諸佛皆已斷
實語毒消除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세간의 3독을
달마(達磨)는 이미 다 끊어
진실한 말로 독을 없애네.
036_0909_c_18L貪慾瞋恚癡
是世閒三毒
達磨皆已斷
實語毒消除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세간의 3독을
승가(僧伽)는 이미 다 끊어
진실한 말로 독을 없애네.
036_0909_c_19L貪欲瞋恚癡
是世閒三毒
僧伽皆已斷
實語毒消除

모든 세존(世尊)께서는
큰 위신력이 있고
이름 있는 모든 아라한까지
독을 없애어 안온하게 하시네.
036_0909_c_20L一切諸世尊
有大威神力
羅漢具名稱
除毒令安隱

저희들과 권속들이
언제나 재액(災厄)이 없으며
불모명왕께 원하오니
모두 안온하게 해주십시오.
036_0909_c_22L我等幷眷屬
常得離災厄
願佛母明王
令一切安隱
036_0910_a_01L
그때 구수(具壽)인 아난타가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나서부처님의 두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서 부처님의 거룩하신 뜻을 받들고 사디 비구의 처소로 갔다. 그리고 곧바로 이 불모대공작명왕법으로 사디 비구를 위하여 구호하되, 그 땅바닥을 네모난 모양으로 결계(結界)하여 섭수하고 이롭게 하여 그 고뇌를 제거하였다. 그때 사디 비구는 괴로운 독기가 흩어져 없어지고 몸이 편안해졌다. 그리하여 땅에서 일어나 구수 아난타와 함께 부처님의 처소에 나아가서 두 발에 예배하고 한쪽으로 물러났다.
036_0909_c_23L爾時具壽阿難陁聞佛世尊說是經頂禮雙足右遶三帀承佛聖旨莎底苾芻所便以此佛母大孔雀明王法爲彼苾芻而作救護結其地界結方隅界攝受饒益除其苦惱時莎底苾芻苦毒消散身得安隱從地而與具壽阿難陁俱詣佛所禮雙足在一面住
그때 부처님께서 아난타에게 말씀하셨다.
“이러한 인연을 그대는 반드시 사부대중인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와 국왕ㆍ대신ㆍ세간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라. 한 마음으로 이 법을 받아 지녀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 주고 베껴 쓰며 경권(經卷)을 처소마다 유통시키도록 권고하라. 그리고 단장(壇場:曼茶羅를 차린 도량)을 건립하여 장엄하게 꾸미고 향과 꽃과 음식을 각기 분수에 맞게 공양하도록 하여라. 또한 모든 유정들로 하여금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고 무량한 복을 얻으며, 항상 안락을 얻어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도록 하라.”
036_0910_a_08L爾時世尊告阿難陁由此因緣汝當普告四衆——苾芻苾芻尼鄔波索迦波斯迦——及國王大臣世閒人等勸令一心受持此法爲他人說書寫經卷在處流通當令嚴飾建立壇場香花飮食隨分供養令一切有情離諸憂得福無量常獲安樂壽命百年
그때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고 나자, 인ㆍ천ㆍ야차와 모든 귀신ㆍ도깨비 등이 부처님의 가르침과 명령을 받들어 감히 어기지 않고 모두 자비한 마음을 일으켜 경을 호지하였다.
그때에 구수 아난타와 모든 대중들과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ㆍ아수라ㆍ마로다ㆍ얼로나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인비인 등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여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036_0910_a_15L時世尊說是經已人天藥叉及諸鬼奉佛教勅不敢違越皆起慈心持經者時具壽阿難陁及諸大衆藥叉彦達嚩阿蘇羅摩嚕多蘖嚕緊那囉摩護囉誐人非人等聞佛所說皆大歡喜信受奉行

천ㆍ아수라ㆍ야차 등으로서
법문을 들으러 오는 이는
불법을 옹호하여 영원히 존속하려는 마음으로
제각기 세존의 가르침을 부지런히 행하네.
036_0910_a_21L天阿蘇羅藥叉等
來聽法者應至心
擁護佛法使長存
各各勤行世尊教
036_0910_b_01L
모든 세계에서 들으려고 오는 이들은
땅 위나 허공에 거처하여
항상 인간 세상에 자비심을 일으켜
밤낮으로 자신을 법에 의지하여 머문다네.
036_0910_a_23L諸有聽徒來至此
或在地上或居空
常於人世起慈心
晝夜自身依法住

원하건대 모든 세계가 항상 안온하고
무변한 복과 지혜로 중생을 이롭게 하여
죄장이 모두 없어지며
뭇 고통을 멀리 여의어 열반의 세계에 돌아가고
036_0910_b_02L願諸世界常安隱
無邊福智益群生
所有罪業竝消除
遠離衆苦歸圓寂

항상 계향(戒香)으로 온몸이 빛나며
선정의 옷으로 몸을 가리고
보리의 미묘한 꽃으로 두루 장엄하여
머무는 곳마다 항상 안락하기를 바랍니다.
036_0910_b_04L恒用戒香塗瑩體
常持定服以資身
菩提妙花遍莊嚴
隨所住處常安樂
佛母大孔雀明王經卷下
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araḍe karaḍe made madabardhani avare śapare ture ture cure cure śapare parṇaśapare huci huci muci muci svāhā.
  2. 2)iṭṭe miṭṭe khure bikhure hili hili mili mili ketu mūle amb- arai ambarābati dumbe dodumpe hili hili kuci kuci muci muci svāhā.
  3. 3)mori mori kebaṭṭe manṭi maṇṭi teke hare hare ghare ghare khare khare phale phala phalini dante danteni dantele śikaṭi makaṭi naṭe naṭini śiri śiri śiri śiri śiri śiri svāhā.
  4. 4)hiḍi miḍi kuḍi muḍi tuḍi āḍi dante dantile śakari cak- are thagari tagari kāñcini kāñcanābati bare bare bare bare dante siddhi svāhā.
  5. 5)taddhale tatale tatale talatotale bire bijaya bijjadhare araje biraje birājā masi mati māti mālini munṭi śrīmunṭi jvale jvale jvale jvale bhadra bati siddhi svāhā.
  6. 6)aṇṭire kaṇṭare maṇṭare khaṇṭare jambu jambu jambu- nati jambubati medtem naḍitike amare siddhi hara hara hara hara paśu paśu paśu paśu paśu patisiddhi svāhā.
  7. 7)hili mili kili mili ilili katale ketūmūle aḍamali ḍapphe ṭṭapphe pusarake pusaṭe narakanṭe kāmaṇi kambudara kerurutara bāraṇi prakriti daṃṣṭe mili tale hiti hāse abale tupale pilaṃke padṭi padṭi tike aḍantube biḍitumme bariśayatume basiddhyentu mantra pada svāhā namo bhagavate ...... irijaye gonohikāye bhriṅghārikaye aruci naruci nadṭe nadṭe vajre nadṭe vajre udyanabriye ale tale kule tāle nārāyaṇi bārāyani baśyani sparśani siddhyentu drabiṭa mantra pada svāhā.
  8. 8)śiri śiri śiri bhadre jyoti jyoti jyoti bhadre hare hare hare hariṇi dantiśabare śibe śūlapāṇini bodhi bodhi bodhi bodhi bohdhisatve bodhiparicāraṇiye svāhā.
  9. 9)hili hili mili mili mālinicaṃ kari kiri kiri kiri kiri kirite brahmaye radnakaraṇṭake biḍohuphusse dhara dhara hara hara phuru phuru phuru phuru phuru svāhā.
  10. 10)아나함과(阿那含果:不還果)를 말한다.
  11. 11)아라한향(阿羅漢向)을 말한다.
  12. 12)jalajantule mālājantule cabeṭijantule mathanigātani grasani hariśari dyutiśire taru taruṇabati haha hahaha siṃhe dhiti dhiti kuru kuru basare vajre tuṭa tuṭasi baṭa baṭasi sili sili kabili kabilamūle hā hī hū sarvanaṣṭa pranaṣṭanāṃ jambh- anagarumi hastapanaaṃga pranāṃgakarumi sogadharitriṃ śasi- te vasya uṣṭigini surapatibarti vajra vajra vajra vajra vajra bataye svāhā.
  13. 13)jvala jvalaṇa tapa tapana pata patana dhama dham- ana sara saraṇa kuṭi kuṭi muṭi muṭi miṭi miṭi sara sara mara mara hara hara tara tara tiri tiri ṭaṭa ṭaṭa dādā dādādā bābā bābābā hala hala hala hala hala siddhi siddhi siddhi siddhi siddhi svasti svasti svasti svasti svasti svāhā.
  14. 14)인도의 28수(宿) 가운데 처음의 일곱 별을 순서대로 범명ㆍ한역명(漢譯名)ㆍ성수(星數)ㆍ형상(形相)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①Kṛttikāㆍ묘(昴)ㆍ6ㆍ체도(剃刀). ②Rohiṇīㆍ필(畢)ㆍ5ㆍ수레. ③Mṛgaśirasㆍ자(觜)ㆍ3ㆍ녹수(鹿首). ④Ārdrāㆍ참(參)ㆍ1ㆍ정주(頂珠). ⑤Punarvasuㆍ정(井)ㆍ2ㆍ인보(人步). ⑥Puṣyaㆍ귀(鬼)ㆍ3ㆍ병(甁). ⑦Āśleṣāㆍ류(柳)ㆍ5ㆍ곡구(曲鉤).
  15. 15)이하 동일. ①Maghāㆍ성(星)ㆍ6ㆍ하곡(河曲). ②Pūrva Phalgunīㆍ장(張)ㆍ2ㆍ인보(人步). ③Uttara Phalgunīㆍ익(翼)ㆍ2ㆍ인보(人步). ④Hastaㆍ진(軫)ㆍ5ㆍ수(手). ⑤Citrāㆍ각(角)ㆍ1ㆍ정주(頂珠). ⑥Svātīㆍ항(亢)ㆍ1ㆍ정주(頂珠). ⑦Viśākhāㆍ저(氐)ㆍ4ㆍ우각(牛角).
  16. 16)이하 동일. ①Anurādhāㆍ방(房)ㆍ4ㆍ연주(連珠). ②Jyeṣṭhāㆍ심(心)ㆍ3ㆍ맥(麥). ③Mūlāㆍ미(尾)ㆍ9ㆍ헐(蠍). ④P. Āṣāḍhāㆍ기(箕)ㆍ4ㆍ우보(牛步). ⑤U. Āṣāḍhāㆍ두(斗)ㆍ4ㆍ상보(象步). ⑥Abhijitㆍ우(牛)ㆍ3ㆍ우두(牛頭). ⑦Śravaṇaㆍ녀(女)ㆍ3ㆍ맥(麥).
  17. 17)이하 동일. ①Dhaniṣṭhāㆍ허(虛)ㆍ4ㆍ비조(飛鳥). ②Āatabhiṣāㆍ위(危)ㆍ1ㆍ정주(頂珠). ③P. Bhādrapadāㆍ실(室)ㆍ2ㆍ인보(人步). ④U. Bhādrapadāㆍ벽(壁)ㆍ2ㆍ인보(人步). ⑤Revatiㆍ규(奎)ㆍ1ㆍ정주(頂珠). ⑥Aśvinīㆍ루(婁)ㆍ2ㆍ마수(馬首). ⑦Bharaṇīㆍ위(胃)ㆍ3ㆍ정(鼎).
  18. 18)범어로는 navagraha이다. 천문현상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태양을 비롯한 중요한 9가지를 인격화한 것이다. 9집(執)이라고도 한다. 즉, ①일요(日曜, Āditya) 태양ㆍ일정(日精)ㆍ일성(日星)이라고도 한다. ②월요(月曜, Soma) ③화요(火曜, Aṅgāraka) ④수요(水曜, Budha) ⑤목요(木曜, Bṛhaspati) ⑥금요(金曜, Śukra) ⑦토요(土曜, Śanaiścara) ⑧라후성(羅睺星, Rāhu) ⑨계도성(計都星, Ketu)의 아홉이다. 일요는 태양(太陽)이며, 월요는 태음(太陰)이고, 화요는 형혹성(熒惑星)이며, 수요는 신성(辰星)이다. 목요는 세성(歲星)이고, 금요는 태백성(太白星)이며, 토요는 진성(鎭星)으로, 이상의 일곱을 7요(曜)라 칭한다. 라후는 황번성(黃旛星)으로 식신(蝕神)이라고도 칭하는데, 해와 달이 겹치는 것을 식(蝕)이라 한다.
  19. 19)hiri hiri khiri khiri miri miri phuriphuri suri suri hili hili mili mili siri siri ḍabphu ḍaḍabphu grasani mathāni damani dahala dālani bāṭani rahani mohani stambhani jambhani svāyambhū svāhā.
  20. 20)yāpati dhāpati dharaki hulu hulu me svāh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