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丑分律卷第四

ABC_IT_K0895_T_004
022_1003_c_01L
미사색부화혜오분율 제4권
022_1003_c_01L丑分律卷第四 彌沙塞


송 불타집ㆍ축도생 등 공역
송 성수 번역
곽철환 개역
022_1003_c_02L 宋罽賓三藏佛陁什共竺道生等譯


1. 제1분 ④

3)부정법(不定法)1)
022_1003_c_03L第一分之三不定法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跋難陀)는 언제나 한 명의 거사 집에 드나들었다.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그의 집에 이르러 니사단(尼師檀:좌구)을 펴고 혼자 거사의 부인과 함께 가려진 곳[屛處]에 앉아서 음욕에 관한 추악한 말을 하고 있었다.
022_1003_c_04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常出入一居士家晨朝著衣持鉢往到其舍尼師檀與居士婦獨屛處坐說婬欲麤惡語
그때 비사거녹자모(毘舍佉鹿子母)는 발난타 혼자 거사의 부인과 가려진 곳에 앉아서 음욕에 관한 추악한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듣고 생각하기를 ‘만일 거사가 돌아와서 보면 반드시 나쁜 마음을 내어 다른 비구에게까지도 오랫동안 온갖 고통을 받게 하겠구나. 나는 사람을 보내 세존께 아뢰게 해야겠다’ 하고는 언제나 공양하는 바라문 나린가(那隣伽)에게 말했다.
“당신은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자세히 이 일을 말씀하여 주시오.”
022_1003_c_08L時毘舍佉鹿子母聞跋難陁與居士婦獨屛處坐說婬欲麤惡語念言若居士還見必生惡心向餘比使其長夜受諸苦痛;我當遣人白世尊卽語常供養婆羅門那鄰伽汝往佛所頭面禮足廣說此事
바라문이 곧 가서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그를 위해 갖가지 묘한 법을 설하신 뒤에 돌려 보내셨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022_1003_c_13L羅門卽往白佛佛爲說種種妙法已發遣令還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答言實爾世尊
022_1004_a_01L 부처님께서 갖가지로 꾸짖으신 것이 음욕의 일[婬事] 중에서 하신 것과 같았다.
그런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결정되지 않은 법[不定法]을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 혼자 한 여인과 함께 가려져 있어 음행할 수 있는 곳에 앉았을 때에 믿을 만한 우바이(優婆夷)가 보고 세 가지 법을 낱낱이 설명하되, 바라이나 승가바시사나 바일제라 하고, 만일 비구도 그 우바이가 말한 것과 같다고 하면 그 세 가지 법 가운데 말한 법에 따라 다스려야 한다. 이것을 결정되지 않은 법이라 한다’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3_c_16L佛種種呵責如婬事中說已告諸比丘;十利故爲諸比丘結不定法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共一女人獨屛可婬處坐可信優婆夷見於三法一一法說若波羅夷若僧伽婆尸若波逸提若比丘言如優婆夷所說應三法中隨所說法治是名不定法
‘혼자’라는 것은 한 비구와 한 여인뿐이고, 제3의 사람이 없는 것이니라. ‘가려진 곳’이라는 것은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이고, ‘믿을 만하다’는 것은 네 가지의 참된 진리[四眞諦:4성제]를 본 이가 자신을 위하지도 않고 남을 위하지도 않고 이익을 위해서도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이니라. ‘우바이’라는 것은 3자귀(自歸)를 받고 그릇된 도를 끊은 자이니라.
022_1004_a_02L獨者一比丘一女人更無第三人處者眼所不見處可信者見四眞諦不爲身不爲人不爲利而作妄語婆夷者受三自歸絕於邪道
‘결정되지 않았다[不定]’는 것은 만일 세 가지 법 가운데 한 가지를 설명하면 여러 상좌 비구는 마땅히 그 비구에게 물어야 하나니, ‘그대는 그의 집에 갔는가?’라고 하여 만일 ‘갔습니다’라고 말해도 아직은 다스리지 말아야 한다. 다시 부드러운 말로 묻되, ‘그대는 혼자 여인과 함께 가려진 곳에 앉아서 추악한 말을 하고 음욕을 행했는가?’라고 물어야 한다. 만일 ‘행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하면, 상좌나 하좌 비구가 정중한 말로 묻되, ‘그대는 진실한 말만 하고 거짓말은 하지 말아야 하니, 우바이가 한 설명과 같은가?’라고 한다. 만일 ‘우바이의 설명과 같습니다’라고 하면, 그러한 뒤에야 비로소 그가 말한 법에 따라 다스려야 하느니라. 사미는 돌길라이니라.
022_1004_a_06L不定者若於三法中說一事諸上坐比丘問是比丘汝往彼家不若言未應復應軟語問汝與女人獨屛處坐麤惡語行婬欲不若言上坐下坐比丘應切語問汝實語莫妄語如優婆夷說不若言如優婆夷說然後乃應隨所說法治沙彌突吉羅
두 번째의 결정되지 않은 법은 여인과 함께 드러난 곳[露處]에 앉아 있는 것이고, 바라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위의 설명과 같으니라. ‘드러난 곳’이란 눈으로 보이는 곳이니라.”

4) 사타법(捨墮法)2)
022_1004_a_13L第二不定法與女人在露處坐除若波羅夷餘皆如上說露處者眼所見處也五分律第一分之四捨墮法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3의(衣)만 간직하게 했는데도, 6군 비구는 식전과 식후와 저녁에 모두 다른 옷을 입었으므로 여러 비구가 보고 물었다.
“세존께서 여분의 옷을 간직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신 것을 그대들은 듣지도 못했는가?”
022_1004_a_17L佛在舍衛城爾時世尊教諸比丘唯畜三衣而六群比丘食前食後晡時皆著異衣諸比丘見問言世尊不聽畜長衣汝不聞耶
“우리도 역시 들었습니다. 다만 우리는 이 옷을 승가 안에서 얻기도 하고, 거사들한테서 얻기도 하고, 또 이것은 분소의(糞掃衣)3)일 뿐입니다. 그것은 입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주었고, 5가(家)4)가 축적을 하게 하지도 않았소.”
022_1004_a_21L答言我亦聞之我此衣或僧中得或居士閒得或是糞掃衣彼以著故與我本不使我爲五家畜
022_1004_b_01L여러 비구가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022_1004_b_01L諸比丘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汝實爾不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셨다.
“너희들은 내가 예전에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알아 옷은 마름질하여 몸을 가리고 음식은 목숨을 부지하는 것으로 만족함을 칭찬하는 것을 듣지도 못했느냐? 마치 뭇 새들의 털과 깃이 스스로 몸을 따르는 것처럼 비구는 이와 같이 3의가 언제나 함께 하거늘, 너희들은 어찌하여 지금 법 아닌 것을 축적했느냐?”
022_1004_b_03L種種呵責汝等不聞我先讚歎少欲知足衣裁蔽形食足支命耶譬如衆毛羽自隨比丘如是三衣常俱今云何畜積非法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여분의 옷을 간직하여 하룻밤이 지나면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4_b_07L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畜長衣過一宿尼薩耆波逸提
그때 여러 비구는 낱낱의 옷이 필요하면 승가 대중이 갈마를 하여 나눈 물건을 그에게 주었다.
그때 아나율(阿那律)의 옷이 거칠고 해졌으므로 여러 비구가 말했다.
“그대의 옷은 해졌는데 어째서 승가로부터 가져다가 하루 동안에 만들지 않습니까?”
아나율이 말했다.
“나는 감히 가져오지 못하겠습니다. 하루 동안에 만들지 못해서 니살기바일제를 범할까 두려워서입니다.”
022_1004_b_10L爾時諸比丘若須一一衣衆僧羯磨所應分物與之時阿那律衣麤弊壞諸比丘語言汝衣弊壞何不從僧取使一日成阿那律言我不敢取一日不成犯尼薩耆波逸提罪
그때 파리읍(波利邑)의 여러 비구가 사위성에 와서 후안거(後安居)를 하려 했으나 제때에 올 수 없었으므로 사비타읍(娑鞞陀邑)에서 결가부좌하여 안거를 마치고 16일5)에 부처님 처소로 향했는데, 진흙물이 있는 길을 지나다가 3의가 젖어 너무 무거워 몹시 고생하며 이르렀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자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안거 동안 화합하여 지냈고 걸식에는 모자라지 않았고 길을 오느라 고달프지는 않았느냐?”
022_1004_b_15L爾時波利邑諸比丘來舍衛城欲後安居時到不及便於娑鞞陁邑結坐安居訖十六日便進佛所道經埿水三衣麤重極大疲極;到禮佛足卻坐一面佛問諸比丘安居和合乞食不道路不疲耶
022_1004_c_01L“안거 동안 화합하여 지냈고 걸식에도 모자라지 않았습니다. 저희들이 파리읍에 머물다가 여기에 와서 안거하려 했으나 벗들이 많아 일찍 출발하지 못하여 후좌(後坐)6)에나 도착하려 했는데도 그러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사비타읍에서 결가부좌하여 안거를 마치고 16일에 왔사온데, 진흙물이 있는 길을 지나다가 3의가 젖어 너무 무거워 몹시 고생했습니다.”
022_1004_b_21L答言安居和合乞食不乏我等先住波利邑欲來此安居多諸知識不得早發欲及後坐而復不及遂住娑鞞陁結坐安居訖十六日便來道經埿水三衣麤重極大疲
여러 비구가 이어서 아나율의 일을 부처님께 자세히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가치나(迦絺那)옷7)을 받는 것을 허락하나니, 얻으면 다섯 가지 일[五事]을 해도 범하는 것이 아니니라. 하나는 대중과 따로 먹는 것이고, 둘은 자주 먹는 것이고, 셋은 식전이나 식후에 남의 집에 가면서 다른 비구에게 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이고, 넷은 여분의 옷을 간직하는 것이고, 다섯은 따로 자더라도 3의를 잃지 않는 것이니라.”
022_1004_c_03L諸比丘因是具以阿那律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受迦絺那衣得不犯五事一者別衆食;二數數食;三者食前食後行至餘家不白餘比丘;四者畜長衣;五者別宿不失三衣
그때 여러 비구가 생각하기를 ‘부처님께서는 가치나옷을 받음으로써 여분의 옷을 간직하는 것을 허락하셨는데 얼마 동안 허락하시는 것일까?’ 하고는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가치나옷을 받을 때에는 간직하는 것을 허락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여분의 옷을 간직하되 하룻밤이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4_c_09L時諸比丘作是念佛以受迦絺那衣聽畜長衣爲得幾時念已白佛佛言受迦絺那衣時聽畜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三衣竟捨迦絺那衣已長衣過一宿尼薩耆波逸提
그때 아난이 두 장의 겁패(劫貝)8)를 얻어 사리불을 위해 간직해 두었는데, 그때 사리불이 다른 곳에 있었으므로 아난은 생각하기를 ‘세존께서는 여분의 옷을 간직하되 하룻밤이 지나면 안 된다고 하셨는데, 사리불이 지금 여기에 없으니 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 하고는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물으셨다.
“며칠이 지나야 사리불이 돌아오느냐?”
022_1004_c_13L爾時阿難得二張劫貝爲舍利弗故時舍利弗於異處住阿難作是念世尊不聽畜長衣過一宿舍利弗今不在此此當云何念已白佛佛問阿舍利弗幾日當還
“열흘이나 열흘이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022_1004_c_18L答言或十日不至十日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여분의 옷을 열흘까지는 간직할 수 있지만 그 기한이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4_c_19L佛以是事集比丘僧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三衣捨迦絺那衣已長衣乃至十日;若尼薩耆波逸提
022_1005_a_01L‘3의가 다했다’는 것은 세탁하고 물들이고 깁는 등의 일을 마쳤다는 것이고, ‘가치나옷을 버린다’는 것은 백이갈마(白二羯磨)하여 버리는 것이니라.
022_1004_c_23L三衣竟者浣染縫竟捨迦絺那衣者白二羯磨捨
‘여분’이라는 것은 3의 이외의 옷이면 모두 여분이라 하고, ‘옷’이라는 것은 겁패옷ㆍ털옷ㆍ산누에의 솜옷ㆍ모시베옷ㆍ삼베옷이니라.
022_1005_a_02L長者三衣之外皆名長衣者劫貝衣欽婆羅衣野蠶緜衣麻衣
‘열흘’이라는 것은 만일 1일에 옷을 얻으면 바로 그날 버려야 하고, 받아 지니거나 남에게 보시하거나 정시(淨施)9)해야 하며, 만일 그날 버리지 않고 2일에 다시 옷을 얻으면 이날 모두 버려야 하느니라.
022_1005_a_04L十日者若一日得衣應卽日若受持若施人若淨施;若卽日不二日更得衣應此日皆捨;
만일 이날 버리지 않고 3일 나아가 10일에 다시 옷을 얻으면 역시 이날 모두 버려야 하고, 만일 이날 버리지 않고 11일 새벽 동트기까지 이르면 10일 동안에 얻은 옷은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05_a_06L若此日不捨三日乃至十日更得衣亦應此日皆捨;若此日不捨至十一日明相出時十日中所得衣皆尼薩耆波逸
만일 10일을 지난 옷이 있으면 마땅히 버려 비구 승가에 주어야 하는데, 한 명ㆍ두 명ㆍ세 명의 비구에게 주되, 그 밖의 딴 사람에게나 사람 아닌 이에게는 주지 말아야 하니, 버리고 난 뒤에는 참회해야 하느니라. 만일 버리고서 참회하지 않으면 죄가 더욱 깊으니라.
여분의 3의를 제외한 여분의 옷이나 수건에 이르기까지 10일을 지나면 모두 돌길라요, 비구니도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라.
만일 정시를 하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022_1005_a_10L若有過十日衣應捨與比丘僧與一三比丘不得捨與餘人及非人;捨已然後悔過若不捨而悔過者罪益深除長三衣若長餘衣乃至手過七日皆突吉羅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若淨不犯一事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17군(群) 비구가 안거를 마치고 돌아다니고자 하여 생각하기를 ‘우리는 이곳으로 돌아올 터인데 옷 한 벌이면 충분하다. 많이 가지고 갈 필요가 뭐 있겠는가’ 하고는 보자기에다 나머지 옷을 싸서 시렁 위에 놓아두고 그곳에 사는 비구에게 맡기고 떠났다.
022_1005_a_16L佛在舍衛城爾時十七群比丘安居竟欲遊行作是念我尋還此一衣便何須多爲作是念已卽便幞結餘置於架上寄住比丘於是而去
그때 6군 비구가 다른 곳에서 돌아와 그곳에 사는 비구에게 말했다.
“우리에게 방을 내주십시오.”
022_1005_a_20L六群比丘於他處還語住比丘言房與我
그때 그곳에 사는 비구는 17군 비구가 옷을 놓아 둔 방을 그들에게 내주었는데, 6군 비구가 시렁 위의 옷을 보고 물었다.
“당신은 무엇 때문에 이런 여분의 옷을 간직하고 있습니까?”
022_1005_a_22L時住比丘卽差十七群所置衣房與之六群比丘見架上衣問言汝何以故畜此長衣
022_1005_b_01L“이것은 17군 비구가 안거를 마치고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데 가지고 가지 않고 우리에게 맡긴 것입니다.”
022_1005_b_01L答言此是十七群比丘安居竟遊行人閒不能持去留寄我耳
그때 6군 비구가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17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5_b_03L時六群比丘種種呵責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十七群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너희들은 어리석구나. 내가 말하기를 ‘비구는 마땅히 3의와 발우와 함께 해야 하는 것이, 마치 나는 새에 털과 깃이 스스로 따르는 것처럼 하라’고 한 것을 듣지 못했느냐?”
022_1005_b_05L種種呵責汝等愚癡不聞我說比丘應與三衣鉢俱譬如鳥飛毛羽自隨
그리고는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3의 가운데 낱낱의 옷을 떠나서 자되 하룻밤이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5_b_08L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三衣竟捨迦絺那衣已三衣中若離一一衣宿過一夜尼薩耆波逸提
그때 어느 한 분소의(糞掃衣) 비구10)가 사갈타(娑竭陀)읍에 가려고 했지만 옷이 무거워 가져갈 수가 없었다. 그 비구가 그것을 버리고 싶으면서도 어떻게 할 줄을 몰라 이 일을 여러 비구에게 알렸다. 그러자 비구들이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022_1005_b_11L爾時有一糞掃衣比丘欲向娑竭陁衣重不能持去欲捨不知云何是白諸比丘諸比丘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告諸比丘
“만일 비구가 지닌 분소의가 무거워 다른 곳을 돌아다니고자 해도 가져갈 수 없으면 이 비구는 마땅히 승가에게 불실의(不失衣)갈마11)를 청해야 하느니라.
가죽신을 벗고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말하기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저 아무개 비구는 어느 곳을 돌아다니려 하는데 분소의가 무거워서 가져갈 수 없으므로 남겨 두고자 이제 승가로부터 불실의갈마를 청하고자 합니다.’
022_1005_b_15L若比丘持糞掃衣重欲遊行餘處能持去者是比丘應從僧乞不失衣羯磨脫革屣頭面禮足胡跪合掌是言大德僧聽我某甲比丘欲遊行某處糞掃衣重不能持去欲留;今從僧乞不失衣羯磨
이와 같이 두 번ㆍ세 번을 청하고 나면 승가 가운데서 한 비구가 말해야 하느니라.
022_1005_b_21L如是第二第三乞已僧中一比丘唱言
022_1005_c_01L‘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아무개 비구가 어느 곳을 돌아다니려 하는데 분소의가 무거워서 가져갈 수 없으므로 남겨 두고자 승가로부터 불실의갈마를 청합니다. 이제 승가는 그를 위해 불실의갈마를 행하겠습니다. 어느 장로이시든 승인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승인하지 않으시면 말씀하십시오.
승가는 아무개 비구를 위해 불실의갈마를 마쳤습니다. 스님들께서 인정하시어 잠자코 계셨기 때문이니, 이 일은 이와 같이 지니겠습니다’라고 하라.”
022_1005_b_22L大德僧聽某甲比丘欲遊行某處糞掃衣重能持去欲留;從僧乞不失衣羯磨僧與作不失衣羯磨若僧時到僧忍白如是大德僧聽此某甲比丘欲遊行某處糞掃衣重不能持去欲留;從僧乞不失衣羯磨今僧與作不失衣羯磨誰諸長老忍默然;不忍者僧已與某甲比丘作不失衣羯磨竟;僧忍默然故是事如是持
그때 여러 비구가 세존께서 갈마를 하면 옷을 떠나도 된다고 허락하신 것을 보고 언제나 갈마를 하고는 옷을 떠나 자게 되었다. 또 갈마를 하고는 모두 다 3의를 떠나서 해진 옷을 입고 다녔으므로 장로 비구가 보고 물었다.
“그대는 무엇 때문에 해진 옷을 입고 다니는가?”
022_1005_c_08L時諸比丘見世尊聽羯磨離衣便常作羯磨離衣宿亦羯磨盡離三衣著弊壞衣行長老比丘見問言汝何故著弊壞衣
“부처님께서 갈마만 하면 옷을 떠나도 된다고 허락하셨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들은 언제나 갈마를 하고 옷을 떠나 잤고, 또 갈마를 하고는 모두 다 3의를 떠납니다.”
022_1005_c_12L答言佛聽羯磨離衣是故我等常羯磨離衣宿亦羯磨盡離三衣
여러 비구가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언제나 갈마를 하고는 옷을 떠나서 자거나 갈마를 하여 모두 다 3의를 떠나지는 말아야 하느니라.
이 두 가지는 법에 맞지 않은 갈마이니, 비구 승가는 둘 다 돌길라이고, 이 갈마로써 옷을 떠나 자되 한 가지 옷으로 하룻밤을 자면 모두 옷을 잃는 죄를 범하느니라.
022_1005_c_13L諸比丘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汝等不應常羯磨離衣宿及羯磨盡離三衣此二非法羯磨比丘及僧二突吉羅;以此羯磨離衣宿一衣一宿皆犯失衣罪
이제 모든 비구들에게 갈마를 하여 옷을 남겨 두는 것을 허락하나니, 전안거(前安居)자는 아홉 달 동안12)이요, 후안거(後安居)자는 여덟 달 동안13)이며, 갈마를 한다 해도 승가리(僧伽梨)와 안타회(安陀會)는 남겨 둘 수 없고, 갈마를 허락하는 것은 우다라승(優陀羅僧)이니라.14) 도둑의 재난이 있는 곳이면 3의 가운데 베 조각을 기워서 만든 옷으로서 가장 좋은 것은 곳에 따라 남겨 두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05_c_18L今聽諸比丘羯磨留前安居者九月日後安居者八月不得羯磨留僧伽梨安陁會聽羯磨優多羅僧有賊難處三衣中割截衣最勝者聽隨所留
022_1006_a_01L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3의 가운데 낱낱의 옷을 떠나서 자되, 하룻밤을 지나면 승가가 갈마를 한 것을 제외하고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5_c_22L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三衣竟捨迦絺那衣已三衣中若離一一衣宿過一夜除僧羯尼薩耆波逸提
‘옷을 떠난다’는 것은 동산 안과 동산 밖, 집 안과 집 밖, 비구니 정사(精舍) 안과 비구니 정사 밖, 마을 안과 마을 밖, 층집[重屋] 안과 층집 밖, 탈것[乘] 안과 탈것 밖, 배 안과 배 밖, 마당 안과 마당 밖, 나무 아래와 나무 아래 아닌 곳, 한데와 한데 아닌 곳, 다니는 길과 다니지 않는 길이니라.
022_1006_a_02L離衣者園同界異界屋同界異界比丘尼精舍同界異界聚落同界重屋同界異界乘同界異界船同異界場同界異界樹下同界異界露地同界異界行道同界異界
‘동산 안’이라는 것은 승가가 갈마를 하여 불실의계(不失衣界)15)를 지어 그 가운데서는 자유자재로 갔다 왔다 할 수 있는 곳이고, ‘동산 밖’이라는 것은 대중이 갈마를 하지도 않고 불실의계를 짓는 것인데, 비록 지었다 하더라도 그 가운데서 자유자재로 갔다 왔다 할 수 없느니라.
집과 비구니 정사와 마을과 층집에 있어서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022_1006_a_07L園同界者僧羯磨作不失衣界而於中得自在往反異界者僧不羯磨作不失衣界;雖作而於中不得自在往反比丘尼精舍聚落重屋亦如是
‘탈것 안’이라는 것은 그 가운데서는 자유자재로 취하기도 하고 들 수도 있는 곳이고, ‘탈것 밖’이라는 것은 그 가운데서는 자유자재로 취하거나 들 수 없는 곳이니라. 배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022_1006_a_11L乘同界者於中得自在若取若擧異界者於中不得自在若取若擧船亦如是
‘마당 안’이라는 것은 곡식을 처리하는 곳이어서 자유자재로 취할 수 있고, ‘마당 밖’이라는 것은 자유자재로 취할 수 없는 곳이니라.
022_1006_a_13L場同界者踐穀麥處得自在取異界不得自在取
‘나무 아래’라는 것은 나무의 그늘에 덮여진 곳이고, ‘나무 아래 아닌 곳’이라는 것은 나무 그늘에 덮여지지 않은 곳이니라.
022_1006_a_15L樹下同界者樹蔭所覆處異界者樹蔭不覆處
‘한데’라는 것은 결가부좌한 데서 7척(尺) 떨어진 곳이고 ‘한데 아닌 곳’이라는 것은 7척 이외의 곳이니라.
022_1006_a_16L露地同界結加趺坐面去七尺異界者七尺之外
‘다니는 길’이라는 것은 몸에서 7궁(弓)16) 떨어진 곳이고, ‘다니지 않는 길’이라는 것은 7궁 이외의 곳이니라.
022_1006_a_18L行道同界者面去身七弓異界七弓之外
새벽 동틀 때까지 비구가 경계로 돌아와서 경계에 한 다리라도 들여 놓으면 옷을 잃지 않느니라. 또 ‘나는 이 옷을 버렸다’고 입으로 말해도 옷을 잃지 않지만 버린다는 말도 하지 않고 새벽 동트기까지 이르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06_a_19L至明相出時比丘還到乃至一腳入界不失衣若口言捨是衣亦不失衣;若不言捨至明相出時尼薩耆波逸提比丘三衣外餘所受用衣離宿突吉羅
비구가 3의 이외의 수용한 옷을 떠나서 자면 돌길라이고,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라.”두 번째 일을 마침
022_1006_a_23L比丘尼亦如是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二事竟
022_1006_b_01L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때 아닌 옷[非時衣]17)을 얻었으므로 여러 비구가 부끄럽게 여기면서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아직 우리들에게 때 아닌 옷을 받으라고 허락하지 않으셨다.”
022_1006_b_01L佛在舍衛城爾時諸比丘三衣竟迦絺那衣已得非時衣諸比丘慚愧佛未聽我等受非時衣
그리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때 아닌 옷을 얻고서는 부끄럽게 여기면서 ‘부처님께서는 아직 우리들에게 때 아닌 옷을 받으라고 허락하지 않았다’고 말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6_b_04L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等實得非時衣慚愧言佛未聽我等受非時衣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일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는 때 아닌 옷을 받아도 되느니라.”
022_1006_b_07L佛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受非時衣
그때 6군 비구가 생각하기를 ‘세존께서는 우리들에게 때 아닌 옷을 받으라고 허락하셨다’ 하고는 많이 받고서도 수지(受持)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淨施)하지도 않았으므로 여러 비구가 물었다.
“그대들은 세존께서 여분의 옷을 간직해서는 안 된다고 금제하신 것을 듣지도 못했습니까?”
“부처님께서 비록 여분의 옷을 간직하는 것을 금제했다 하더라도 때 아닌 옷은 받으라고 허락하셨습니다.”
022_1006_b_09L時六群比丘作是世尊聽我等受非時衣便多受受持不施人不淨施諸比丘見問言汝不聞世尊制不得畜長衣耶答言佛雖制畜長衣而聽受非時衣
또 물었다.
“그대들은 온갖 때에 때 아닌 옷을 간직하면서도 수지하지도 않았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았고 정시하지도 않았습니까?”
“그렇습니다.”
022_1006_b_13L又問汝等一切時畜非時衣不受持不施不淨施耶答言如是
여러 장로 비구들이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6_b_15L諸長老比丘種種呵責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汝實爾不答言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셨다.
“너희 어리석은 사람들아, 많이 구하거나 욕심을 많이 부려서는 안 되느니라. 외도의 법 중에서는 받는 이는 싫증냄이 없어도 보시하는 이가 그 양을 따지지만, 우리의 바른 법 중에서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지라 보시하늘 이가 싫증냄이 없어도 받는 이가 적게 취해야 하느니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비구가 때 아닌 옷을 얻고서도 수지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으면서 하룻밤을 지나게 되면 돌길라이니라.”
022_1006_b_18L佛種種呵責汝愚癡人不應多求多欲外道法中受者無厭施者籌量;我正法中少欲知足施者雖無受者應少取呵責已告諸比丘比丘得非時衣不受持不施人不淨乃至一宿突吉羅
022_1006_c_01L그때 어느 머무는 곳에 있는 여러 비구가 많은 옷을 얻고서는 수지하고 남에게 보시하고 정시하여 나머지 옷감을 여러 비구에게 주자, 그 비구들은 받지 않으면서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아직 우리들에게 완전하지 못한 옷을 받으라고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우선 받아 두십시오. 보태어 만들면 될 것입니다.”
022_1006_b_23L爾時有一住處諸比丘多得衣受持施人淨施餘段與諸比丘諸比丘不受佛未聽我等受不具足衣語言且受當足令足
그때 장로 가비(迦毘)가 하나의 좁고 짧은 옷을 얻었는데 날마다 펴서 끌어당겨 넓어지고 길어지게 하려 했다.
022_1006_c_03L時長老伽毘得一狹短衣日日舒挽欲令廣長
부처님께서는 언제나 5일마다 여러 방을 살피며 다니시는데, 가비가 옷을 끌어당기고 있는 것을 보고 물으셨다.
“너는 무엇을 하고 있느냐?”
022_1006_c_05L佛常五日案行諸房伽毘牽挽衣問言汝作何等
“이 옷을 얻었사오나 작아서 받아 지닐 수가 없습니다.”
022_1006_c_06L答言此衣小不得受持
부처님께서 다시 물으셨다.
“네가 기다리면 옷감을 얻을 곳이 있느냐?”
“있습니다.”
022_1006_c_07L佛復問汝更望得衣處不答言
“얼마나 기다리면 얻을 수 있겠느냐?”
“한 달 아니면 한 달이 못 되어서 얻을 수 있습니다.”
022_1006_c_08L又問幾時可得答言若一月若減一月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일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때 아닌 옷으로서 완전하지 못한 것을 간직하되, 한 달까지는 옷감이 다 차도록 기다리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06_c_09L佛以是事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畜非時衣不足望足至一月
부처님께서 때 아닌 부족한 옷을 간직해도 된다고 허락하시자, 여러 비구가 이 옷을 가지고 돌아다니다가 한 달을 넘겨 버렸으므로 여러 비구가 물었다.
“때 아닌 부족한 옷은 간직하되 한 달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하셨거늘, 그대들은 어찌하여 이 옷을 짊어지고 돌아다니다가 한 달을 넘겼는가?”
022_1006_c_11L佛旣聽畜非時不足衣諸比丘便持此衣遊行過一月諸比丘見問言不聽畜非時不足衣過一月汝等云何擔此衣遊行過於一月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3의가 다하고 가치나옷을 버리고 나서 때 아닌 옷감을 얻을 경우, 만일 필요하면 받되 빨리 만들어서 받아 지녀야 한다. 완전한 것이면 좋겠지만 옷감이 부족하여 더 얻기를 바라면서 완전하게 이루고자 하면 한 달까지이니, 더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6_c_15L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衣竟捨迦絺那衣已得非時衣若須應受速作受持若足者善;若不足更有得處令具足成乃至一月若過尼薩耆波逸提
022_1007_a_01L‘때 아닌 옷’이라는 것은 가치나옷을 버린 뒤에 얻는 옷이면 모두 때 아닌 옷이라 하고, ‘필요하다’는 것은 3의 가운데 해진 것이 있을 때 필요한 것을 구하여 수선하는 것이니라. ‘더 얻기를 바란다’는 것은 옷감을 더 얻기를 바라면서 하루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한 달까지 얻는 것이니라.
022_1006_c_22L非時衣者捨迦絺那衣已有所得衣皆名非時衣須者三衣中有故壞以補易望更有得處者應更有得衣望一日乃至一月得
만일 비구가 1일에 완전하지 못한 옷을 얻었다가 그날 기다려 얻을 데가 있어 얻게 되면 완전하게 만들어서 수지하거나 남에게 보시하거나 정시(淨施)를 해야 하느니라. 그러나 만일 수지하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으면서 11일의 새벽 동틀 때까지 이르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2일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10일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11일에 바랄 데가 있어서 만일 얻으면 그날에 완성하여 수지하거나 사람들에게 보시하거나 정시해야 하느니라. 그러나 만일 수지하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으면서 12일의 새벽 동틀 때까지 이르면 니살기바일제이고,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30일에 이르기까지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022_1007_a_03L若比丘一日得不具足衣卽日有望若得應足成若施人若淨施;若不受持不施人不淨施至十一日明相出時尼薩耆波逸提二日乃至十日亦如是十一日有望若得卽此日應足成受持施人若淨施若不受持不施人不淨至十二日明相出時尼薩耆波逸乃至三十日亦如是
비구니도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세 번째를 마침
022_1007_a_11L比丘尼亦如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三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우선나읍(優善那邑)에 젊은 거사가 있었는데 나와 다니면서 놀다가 얼굴빛이 복숭아꽃 같고 여인의 자태를 완전히 갖춘 연화색(蓮華色)이라는 한 여인을 보고 마음으로 공경하고 존중하여 곧 그를 맞아들여 아내로 삼았다.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부인이 임신했으므로 친정으로 보내니 달이 차서 딸을 낳았다. 부인이 아이를 낳아서 가까이 할 수 없게 되자 몰래 그녀의 어머니와 통했으므로 연화색이 알고는 그를 버리고 부부간의 도(道)를 끊으려 했다. 그러나 부모에게 누(累)가 될까 두렵고, 젖먹이가 가엾어 부끄러움을 꾹 참으면서 남편의 집으로 돌아갔다. 그리하여 딸이 여덟 살이 될 때까지 길러 놓고는 집을 나가 바라내(波羅奈)에 이르러 굶주림에 지쳐서 물가에 앉아 있었다.
022_1007_a_12L佛在舍衛城爾時優善那邑有年少居士出行遊戲見一女人名蓮華色色如桃華女相具足;情相敬重卽娉爲婦其後少時婦便有身送歸其家月滿生女以婦在產不得附近遂乃私竊通于其母蓮華色知便欲委之絕夫婦道恐累父母顧愍嬰孩呑忍恥愧;還于夫家養女八歲然後乃去至波羅奈飢渴疲極於水邊坐
그때 그곳의 장자가 유람을 하다가 그녀를 보고는 깊이 사랑하여 고향과 부모와 씨족을 묻고는 말했다.
“지금 누구에게 매여 있기에 혼자 여기에 있습니까?”
연화색이 말했다.
“나는 아무개의 딸이고 지금은 딸린 데가 없습니다.”
022_1007_a_21L時彼長者出行遊觀見甚重愛卽問鄕居父母氏族今爲係誰而獨在此蓮華色言我某氏女今無所屬
022_1007_b_01L장자가 다시 물었다.
“딸린 데가 없으시면 나의 정실(正室)이 되어 주시겠습니까?”
“여인에게는 남편이 있어야 하거늘 어찌 안 될 일이 있겠습니까.”
그리고는 곧 수레를 타고 돌아가 정실이 되었다. 연화색은 그 집안을 잘 다스려 위아래가 모두 화목했고, 부부는 서로 중히 여기는 가운데 8년이 흘렀다.
022_1007_b_01L長者復問若無所屬能爲我作正室不答言人有夫何爲不可卽便載歸拜爲正蓮華色料理其家允和大小夫婦相重至于八年
그때 장자가 그의 부인에게 말했다.
“우선나읍(優善那邑)에 이자를 받을 곳이 있소. 빚돈을 거두어들이지 못한 지가 이제 8년이나 되었으니, 불어난 것을 계산하면 억수(億數)가 될 것이오. 이제 빚을 받으러 가고자 하니 당신과는 잠시 떨어져 있어야겠소.”
022_1007_b_05L爾時長者語其婦言我有出息在優善那邑不復債斂今八年考計生長乃有億數今欲往與汝暫乖
부인이 말했다.
“그 읍의 풍속에 여인들은 제멋대로 놀아나는데, 당신이 가시면 혹 장부의 지조를 잃을지 모릅니다. 재물이란 썩은 흙과 같거늘 어찌 헤아릴 것이 있겠습니까?”
“내가 비록 결점이 있고 어리석다 하더라도 그런 문란한 데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오.”
022_1007_b_08L婦言彼邑風俗女人放君往或能失丈夫操財物糞土何足計答言吾雖短闇不至此亂
부인이 다시 말했다.
“반드시 떠나고 싶으시면 하나의 서약을 들려주십시오.”
“아주 좋은 일입니다.”
022_1007_b_10L復言若必宜去思聞一誓答言甚善
그리고는 곧 말했다.
“만일 내가 여기서 출발해서부터 돌아와 문으로 들어오기까지 한 번이라도 그릇된 마음을 낸다면 그 생각과 함께 망할 것입니다.”
022_1007_b_11L便言若我發此至還入門一生邪心與念同滅
이렇게 이별하고 그 읍으로 갔는데, 빚을 거두어들일 곳이 많아서 마침내 해를 넘겼다. 집에서 떠나온 지 오래되었으므로 여인에 대한 생각이 더욱더 깊었으므로 생각하기를 ‘나는 어떻게 하면 먼저의 서약을 어기지 않으면서도 지금의 이 뜻을 이룰 수 있을까?’ 하다가, 다시 생각하기를 ‘내가 만일 음란을 저지르면 본래의 서약을 저버리는 것이 되지만, 별실(別室)을 마련한다면 언약을 어기는 것이 되지 않는다’ 하고는 구하여 찾다가 마침 얼굴이 맑고 아름다우면서 간교함이 전혀 없는 한 여인을 보고는 공경하고 사랑하여 곧 가서 혼인하기를 청했다. 그러자 그녀의 아버지는 장자가 재주도 총명하면서 큰 부자인지라 기뻐하면서 그에게 허락했다.
022_1007_b_13L於是別去到于彼邑債斂處多遂經年歲去家日久思室轉深作是思惟我當云何不違先誓而遂今情復作是念我若邪婬乃負本誓;更取別室不爲違要於是推訪遇見一女顏容雅妙視瞻不邪甚相敬愛便往求婚父以長者才明大富歡喜與之
빚을 다 받자 그녀를 데리고 본국으로 돌아와서 따로 집을 내어 편안히 있게 했다. 그런 뒤에 집에 돌아와서는 새벽에 나갔다가 저물어서 돌아오므로 예전과는 달랐다. 연화색은 이를 이상하게 여겨 몰래 사람을 뒤따르게 한 뒤에 물으니, 그 사람이 대답했다.
“밖에 작은 부인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이러했습니다.”
022_1007_b_20L債索旣畢將還本國安處別宅然後乃歸晨出暮反異于在昔蓮華色怪之密問從人從人答言外有少是故如此
022_1007_c_01L그의 남편이 저물어서 돌아오자 연화색은 물었다.
“당신에게 새 부인이 있다던데 무엇 때문에 감추어 놓고 나에게는 보여 주지 않습니까?”
“당신이 원망할까 두려워서 밖에 있게 했소.”
022_1007_b_23L其夫暮還蓮華色問有新室何故藏隱不令我見答言卿見恨是故留外
부인이 말했다.
“나에게 혐오나 질투가 없는 것은 신명(神明)도 밝게 알고 있습니다. 곧 불러서 오게 하여 당신이 하는 일을 돕게 하십시오.”
022_1007_c_02L婦言我無嫌妒明鑑識便可呼歸助君料理
그러자 곧 데리고 돌아왔다. 그 여인들은 모녀(母女) 사이였지만 보고서도 서로 알지 못했다.
022_1007_c_03L卽便將乃是其女;母子相見不復相識
뒤에 머리를 감겨 주면서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다가 비로소 그녀가 딸일 것이라고 의심하면서 곧 고향과 부모와 성씨를 묻자 여인은 자세히 대답해 주었다. 그제야 알아차리고 어머니는 놀라고 한탄하면서 ‘옛날에는 어머니와 남편이 함께 하더니 오늘날에는 딸과 남편이 같이 하게 되었으니 생사(生死)의 헷갈리고 어지러움이 어찌 이런 지경까지 이르렀단 말인가? 애욕을 끊고 출가하여 도를 배우지 않는다면 이와 같이 뒤바뀐 미혹을 무엇으로 끊을 수 있겠는가’ 했다. 그리하여 곧 버리고 떠나 기원문(祇洹門)에 이르러 굶주림에 지쳐서 나무 아래에 앉아 있었다.
022_1007_c_04L因沐頭諦觀形相乃疑是女;便問鄕父母姓族女具以答爾乃知之驚惋曰昔與母共夫今與女同壻死迷亂乃至於此不斷愛欲出家學如此倒惑何由得息便委而去祇洹門飢渴疲極坐一樹下
그때 세존께서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대중에 둘러싸여 법을 설하고 계셨다.
연화색은 여러 사람들이 오가고 드나드는 것을 보고 ‘명절 모임인 게로구나. 반드시 음식이 있을 것이다’라고 여기면서 정사(精舍)에 들어갔다. 그러다가 불세존께서 대중들을 위해 법을 설하시는 것을 보고, 법을 듣고는 마음이 열리면서 굶주림도 없어져 버렸다.
022_1007_c_10L爾時世尊與無央數衆圍遶說法蓮花色見衆多人往反出入謂是節會當有飮便入精舍見佛世尊爲衆說法法開解飢渴消除
이에 세존께서 대중의 모임을 두루 살펴보시면서 ‘누구를 제도할 수 있을까? 오직 연화색만이 도과(道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시고는 그를 위해 4제(諦), 즉 고ㆍ집ㆍ멸ㆍ도를 말씀하셨다. 그러자 그녀는 그 자리에서 티끌을 멀리 하고 때를 여의어 청정한 지혜를 얻고 과(果)에 이른 뒤에 한마음으로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해 서있었다.
022_1007_c_14L於是世尊遍觀衆誰應得度;唯蓮華色應得道果爲說四眞諦法苦集盡道便於坐上遠塵離垢得法眼淨旣得果已一心合掌向佛而住
부처님의 설법이 끝나고 모인 대중들이 저마다 돌아가자 연화색은 앞으로 나아가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의 법 가운데 출가할 수 있게 해 주십시오.”
022_1007_c_18L佛說法已衆會各還蓮華色前禮佛足長跪合掌白佛言於佛法中願得出家
부처님께서는 이내 허락하시고 파사파제(波闍波提)18) 비구니에게 말씀하셨다.
“이제 이 여인을 제도하여 도를 닦게 하십시오.”
022_1007_c_20L佛卽許之告波闍波提比丘尼汝今可度此女爲道
분부를 받고 곧 제도했는데, 출가와 더불어 계를 받고는 부지런히 정진하여 마침내 아라한이 되었다.
아라한이 되고 나서는 여러 선(禪)의 해탈에서 노닐었고 얼굴에서 빛을 발하는 것이 옛날보다 갑절 더 뛰어났다.
022_1007_c_21L受教卽度與出家受戒勤行精進成羅漢成羅漢已遊戲諸禪解脫容光發倍勝於昔
022_1008_a_01L식사 때가 되어 발우를 들고서 성에 들어가 걸식하는데, 어느 한 바라문이 보고 좋아하여 집착하는 마음을 내어 생각하기를 ‘이 비구니를 지금은 어떻게 할 수 없으니, 오직 그가 머물러 있는 곳을 알아서 방편을 써서 그를 도모해야겠다’고 했다. 연화색이 걸식을 마치고 안타원(安陀園)으로 돌아와 머물고 있는 방으로 들어갔는데, 그 바라문이 뒤를 따라 와서 그를 살피다가 그가 머무는 곳을 알고 갔다. 뒷날 식사 때가 되어 다시 가서 걸식했는데, 그 바라문이 뒤에 몰래 들어와서 그의 평상 아래에 엎드려 있었다.
022_1008_a_01L到時持鉢入城乞一婆羅門見生樂著心作是念比丘尼今不可得唯當尋其住處便圖之蓮華色乞食畢還安陁園所住房彼婆羅門隨後察之知其住後日時到復行乞食彼婆羅門於後逃入伏其牀下
이날 여러 비구니들은 밤이 늦도록 설법했으므로 몹시 지쳐서 방으로 들어와서는 바로 누워 깊은 잠에 빠졌다. 이에 바라문이 평상 아래서 나와 부정한 행을 하려 하자, 비구니는 곧 잠에서 깨어나 허공으로 솟아올랐다. 그때 바라문은 이내 평상 위에서 산 채로 지옥에 떨어졌다.
022_1008_a_07L是日諸比丘尼竟夜說法疲極還房仰臥熟眠於是婆羅門從牀下出作不淨行比丘尼卽踊升虛空;時婆羅門便於牀上入地獄
연화색은 공중에서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물으셨다.
“너는 그러할 때에 마음이 어떠했느냐?”
“마치 이글거리는 쇠가 몸을 태우는 듯 했습니다.”
022_1008_a_11L蓮華色因從空中往詣佛所頭面禮足以是白佛佛問汝當爾時意爲云何答言如燒鐵爍身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와 같았다면 죄가 없느니라.”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혼자 자다가도 범하는 일이 있사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도를 얻은 이는 범함이 없느니라.”
022_1008_a_13L佛言此無罪復白佛言獨宿當有犯不得道者無犯
그때 어떤 도둑 떼가 모여서 의논했다.
“우리들은 어느 곳에서 재물을 분배하고 그것을 좋은 음식으로 바꾸고 또 좋은 여색도 얻을 수 있겠는가?”
모두 함께 말했다.
“이 안타원의 비구니들이 사는 곳이라면 반드시 좋은 여색이 있을 것이고 또 아주 좋은 공양도 많을 것이다. 거기로 가서 재물을 분배하면 반드시 바라는 대로 될 것이다.”
022_1008_a_15L時有群賊聚共議言我等當於何處分物用易美食又得好色咸言此安陁園比丘尼住處必有好色亦當多有上美供養往彼分物必得所欲
그때 도둑의 우두머리는 부처님의 법을 믿고 좋아한 이라서 이 말을 듣고도 기뻐하지 않고 생각하기를 ‘이들은 여러 비구니들을 괴롭히고 어지럽히리라. 나는 몰래 한 사람을 먼저 보내어 그들에게 가서 말하게 하리라’ 하고는 한 사람을 시켜서 비구니들에게 말하게 했다.
“저물녘에 나쁜 사람들이 올 것입니다. 아마 그대들을 괴롭힐 것이니 부디 피하십시오.”
022_1008_a_19L時彼賊帥信樂佛法聞此不悅卽作是念此諸人等必當惱亂諸比丘尼我當密遣一人先往告語卽便遣之語比丘尼言暮當有惡人恐必相惱幸可避去
022_1008_b_01L여러 비구니들이 듣고 곧 사위성으로 들어갔다. 그리하여 그 성의 대신이 예전에 집 한 채를 비구 승가에 보시했으나 머무는 스님이 없었는지라 날이 저물자 여러 비구니들을 그곳에 묵게 했다.
022_1008_a_23L諸比丘尼聞卽入舍衛城彼城大臣先以一宅施比丘僧而無僧住諸比丘尼暮到往宿
이때 그 도둑 떼가 밤에 안타원으로 들어갔으나 도무지 보이는 이들이 없었다. 도둑의 우두머리는 기뻐하면서 생각하기를 ‘비구니들이 이 재난에서 벗어났으니 어찌 이리도 통쾌한가?’ 했다. 그리고는 최상의 옷과 우유로 만든 아주 맛있는 음식을 담아 나뭇가지에 걸어 놓으면서 생각하기를 ‘만일 도를 얻어 신통이 있는 비구니라면 이 옷과 음식을 가져가리라’고 했다.
022_1008_b_03L時彼群賊夜入安陁園都無所見賊帥歡喜念言比丘尼脫此艱難其快哉卽以最上衣盛滿生熟上美飮食懸著樹枝念言若有得道神通比丘尼取此衣食
그때 연화색 비구니가 힘센 장사가 팔을 굽혔다 폈다 하는 잠깐 동안에 사위성에서 안타원의 나무 위로 가서 그것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는 다음날 공양 때에 그 음식을 장로 우파사나(優波斯那)와 발난타(跋難陀)에게 베풀었다.
022_1008_b_07L於是蓮華色比丘如力士屈申臂頃從舍衛城往安陁園樹上取之明日食時以所得食爲長老優波斯那及跋難陁設供
때가 되자 모두 가서 갖가지 음식을 차려 놓았고 식사가 끝나자 물을 돌리고는 조그마한 상을 가져다 대중 앞에다 놓고 앉아 묘한 법을 설해 주기를 청했다. 우파사나는 그들을 위해 법을 설하고 나서 자리에서 떠났으나 발난타는 남아서 연화색에게 말했다.
“자매여, 어디서 이런 맛있는 음식을 얻었습니까?”
022_1008_b_10L至皆往下種種食食訖行水取小牀於衆前坐請說妙法優波斯那爲說法已從坐而去跋難陁留後語蓮華色言姊妹何從得此美食
연화색이 그 일을 자세히 대답하자 발난타가 말했다.
“나에게 그 옷을 좀 보여주십시오.”
022_1008_b_14L蓮華色具以事答跋難陁言可示我衣
곧 그 옷을 보여 주자 발난타가 보고 탐착을 내어 그에게 청했으므로 연화색이 말했다.
“이것은 안 됩니다. 왜냐하면 여인이란 박복한지라 5의(衣)19)을 간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022_1008_b_15L卽以示跋難陁見便生貪著卽從索之華色言此不可得何以故女人薄福應畜五衣
발난타가 말했다.
“마치 사람에게 코끼리와 말을 보시하고서 안장을 주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어찌하여 갖가지 맛있고 좋은 음식은 공양하면서도 이 한 벌의 옷은 아끼면서 주지 않으려 합니까?”
이렇게 수없는 방편을 쓰면서 간절히 청했으므로 마지못해 그에게 주었다.
022_1008_b_18L跋難陁言如人以象馬布不與鞍韉汝亦如是云何種種餚膳供養惜此一衣而不見與如是無數方便苦索遂不獲已便持與之
발난타가 옷을 얻고서 그가 머무는 데로 돌아오자 여러 비구가 보고 말했다.
“이런 좋은 옷을 얻었으니 당신은 복덕 있는 사람이구려.”
“나는 복덕이 없습니다. 억지로 비구니에게 말하여 간신히 얻었습니다.”
022_1008_b_21L難陁得衣還歸所住諸比丘見語言汝福德人得此好衣答言我無福德强說比丘尼僅乃得之
022_1008_c_01L여러 비구가 듣고는 갖가지로 꾸짖었다.
“당신은 어찌하여 억지로 비구니에게서 옷을 빼앗았소?”
022_1008_c_01L諸比丘聞種呵責汝云何强說奪比丘尼衣
그때 세존께서는 사부대중이 왔다 갔다 하며 심란하게 했으므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이제 석 달 동안 고요한 방에 들어가 있으려 하니 음식을 가져오는 한 비구를 제외하고는 어떤 사람도 나에게 오는 것을 허락하지 않느니라. 너희들도 서로 함께 규칙을 세우도록 하라.”
분부를 받들고 곧 규칙을 세웠다.
“지금부터 함부로 부처님께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오직 음식을 가져가는 한 비구만을 제외하며 범한 이는 바일제이다.”
022_1008_c_02L爾時世尊患於四衆來往憒鬧告諸比丘我今欲三月入靜室不聽有人來至我所除一送食比丘汝等亦當相與立制奉教卽立從今不聽輒至佛所唯除一送食比丘犯者波逸提
그때 장로 우파사나는 승가가 제정한 규칙을 듣지 못했으므로 뒤에 사위성에 이르러 다른 비구에게 물었다.
“부처님께서는 어느 방에 계십니까?”
비구가 가리켜 주자 곧 방 앞에 이르러 손으로 방문을 두드리니, 부처님께서 손수 열어 주셨으므로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022_1008_c_07L時長老優波斯那不聞僧制後到舍衛城問異比丘佛在何房比丘指示卽至房前以手叩房佛自爲開前禮佛足卻坐一面
부처님께서 우파사나에게 물으셨다.
“너희 대중은 청정하고 위의를 완전히 갖추었다. 어떻게 교화했기에 그와 같을 수 있었느냐?”
022_1008_c_11L佛問優波斯那汝衆淸淨威儀具足云何教化而得如此
“만일 사람이 저에게 출가하기를 구하면 12두타(頭陀)를 행하게 했는데, ‘그대는 몸과 수명이 다하도록 아련야(阿練若)에 있고, 늘 걸식하고, 한 자리에 앉아서 먹고, 하루에 한 끼니만 먹고, 한 번만 받아서 먹고, 빈부를 가리지 않고 차례대로 걸식하고, 무덤 사이에 있고, 분소의를 입고, 3의만 지니고, 수시로 자리를 펴서 앉고, 나무 아래에 앉고, 한데서 앉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든지 몸과 목숨이 다하도록 이와 같은 법을 행할 수 있으면 저의 대중으로 들어오게 되고, 저는 그들의 스승이 되어 줍니다.”
022_1008_c_12L答言若人從我求出家者教行十二頭陁汝當盡形壽作阿練若乞食一坐一種食一受食次第乞食冢閒掃衣三衣隨敷坐樹下坐露坐世尊若人能盡形壽行如此法得入我衆我與作師
부처님께서 찬탄하시면서 말씀하셨다.
“장하고 장하구나. 그대 같아야 좋은 가르침의 승가라 할 수 있느니라.”
022_1008_c_18L佛歎言善哉善哉如汝可謂善教徒衆
또 물으셨다.
“너는 이 승가 대중이 제정한 규칙을 알고 있느냐?”
“모르옵니다. 왜냐하면 저는 부처님으로부터 ‘부처님께서 아직 제정하지 않은 것이면 갑자기 제정할 수도 없고, 이미 제정한 것은 마땅히 받들어 행해야 한다’는 것만 들었기 때문이옵니다.”
022_1008_c_19L復問汝知此衆僧有制不答言不知何以故我從佛聞佛未制不得輒制;已制應奉行
부처님께서 자세히 위의 일을 말씀해 주시자 대답했다.
“저는 승가의 제정에 따라 바일제 참회는 할 수 없습니다.”
022_1008_c_21L佛具以上事語之答言我不能隨僧制波逸提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장하다. 네가 말한 대로 이니라.”
佛言善哉如汝所說
022_1009_a_01L그때 여기에 있던 비구들이 방 앞에 서서 우파사나가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말했다.
“당신은 승가가 제정한 규칙을 범했으니, 마땅히 바일제 참회를 해야 합니다.”
“내가 어찌 바일제를 범했습니까?”
022_1008_c_23L時舊住比丘住立房前待優波斯那出語言汝犯僧制應作波逸提悔過答言我犯何波逸提
여러 비구가 위의 일을 자세히 말해 주자 대답했다.
“나는 승가가 제정한 규칙에 따라 참회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직접 부처님께 듣기를 ‘부처님께서 제정하지 않았으면 승가가 제정할 수가 없고, 부처님께서 제정하신 뒤에는 승가는 어길 수 없다’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022_1009_a_03L諸比丘具說上事答言我不隨僧制悔過何以故我親從佛聞若不制僧不得制;若佛制已僧不得
이에 부처님께서 나오시어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만일 아련야 비구로서 우파사나와 같은 이가 있으면 나에게 오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여러 비구가 듣고 생각하기를 ‘나도 두타행을 하면 부처님께로 갈 수 있겠구나’ 하고는 저마다 수행했다.
022_1009_a_06L於是佛自出語諸比丘從今若有阿練若比丘如優波斯那聽至我所諸比丘聞已作是念我亦當行此頭可得輒至佛所便各修行
그때 여러 거사들이 방을 만들어 공양했으나 어떤 사람도 받지 않으므로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사부대중은 자유로이 내게 오는 것을 허락하노라.”
022_1009_a_09L時諸居士所設房舍供養無復人受以是白佛語諸比丘今聽四衆自在見我
그때 파사파제(波闍波提) 비구니는 부처님의 이 분부를 듣고 곧 5백의 비구니와 함께 부처님께로 향하다가 도중에 우파사나를 만났는데, 우파사나 승가의 한 비구가 옷이 거칠고 해졌으므로 물었다.
“장로는 무엇 때문에 이런 옷을 입었습니까?”
“다른 옷이 없어서입니다.”
022_1009_a_11L時波闍波提比丘尼聞佛此教便與五百比丘尼來向佛所中路逢優波斯那優波斯那衆中一比丘衣麤弊問言長老何故著此答言無有餘
비구니는 자기의 옷을 가리키면서 말했다.
“이 옷을 입겠습니까?”
“좋습니다.”
“장로께서 입던 옷은 저에게 주시겠습니까?”
“예, 드리겠습니다.”
그리하여 그것을 바꾸어 입고 부처님께 이르러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자 부처님께서 구담미(瞿曇彌)20)
에게 물으셨다.
“너는 무엇 때문에 이런 해진 옷을 입었느냐?”
022_1009_a_16L比丘尼便指己衣語言能著此不答言又問長老所著能與我不卽便易之
위의 일을 말씀드리자 부처님께서는 그들을 위해 법을 말씀하시고 머물던 데로 돌아가게 하셨다. 그리고는 부처님께서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해진 옷을 비구니에게 주고 좋은 옷으로 바꾸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9_a_18L前至佛所頭面禮足卻坐一面佛問瞿曇彌汝何故著此弊壞衣
022_1009_b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셨다.
“너 어리석은 사람아, 욕심이 많아서는 안 되느니라.”
여러 비구가 이로 인하여 발난타의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9_a_20L答以上事佛爲說法遣還所佛以是事集比丘僧問彼比丘實以麤弊衣與比丘尼易好衣不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니로부터 옷을 취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9_a_23L佛種種呵責汝愚癡人不應多欲諸比丘因此以跋難陁事白佛佛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世尊
어떤 비구들에게는 친척 비구니가 있어 그들로부터 많은 옷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거칠고 해진 옷을 입고 있었으므로 여러 비구니들이 물었다.
“무엇 때문에 이런 나쁜 옷을 입고 있습니까?”
“얻을 곳이 없어서입니다.”
“어찌하여 우리에게 와서 가져가지 않습니까?”
“부처님께서는 비구니에게서 옷을 취해서는 안 된다고 금제하셨습니다.”
022_1009_b_03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比丘尼取衣尼薩耆波逸提有諸比丘有親里比丘尼多諸知識能得衣物;而諸比丘著麤弊衣諸比丘尼問言何故著此惡衣答言無有得處語言何不就我取佛制不聽就比丘尼取衣
여러 비구니들이 말했다.
“오직 친척만이 알아서 취할 수 있고 알아서 줄 수도 있습니다. 부처님께 이 일을 아뢰십시오.”
022_1009_b_10L諸比丘尼言唯親知可取知可與願以白佛
여러 비구가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로부터 옷을 취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9_b_11L諸比丘卽以白佛佛以是事集比丘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從非親里比丘尼取衣尼薩耆波逸提
그때 사위성의 비구ㆍ비구니가 함께 옷을 보시 받아 그것을 분배했는데, 비구가 입기에 적당한 것을 비구니가 얻기도 하고 비구니가 입기에 적당한 것을 비구가 얻기도 했으므로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아뢰었다.
“나와 옷을 바꿉시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친척이 아닌 비구니로부터 옷을 취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022_1009_b_16L爾時舍衛城比丘比丘尼共得衣施便共分之或比丘宜著比丘尼得;或比丘尼宜著比丘得諸比丘尼白諸比丘與我易衣答言佛不聽我取非親里比丘尼衣
022_1009_c_01L여러 비구니들이 말했다.
“옷으로 옷을 바꾸는 것이거늘 어찌하여 취하는 것이라고 하겠습니까?”
곧 가서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로부터 옷을 취할 때에,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09_b_20L諸比丘尼言衣易衣如何言取便往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比丘尼取衣除貿易尼薩耆波逸提
‘친척이 아니다’라는 것은 부모에서 7세(世)에 이르기까지 친족이 없는 것이고, ‘바꾼다’는 것은 피차에 이익이 있거나 각자의 사정에 따라 하는 것이니라.
022_1009_c_02L非親里者於父母乃至七世無親貿易者彼此有益又各隨所宜
식차마나나 사미니로부터 옷을 취하면 돌길라요, 만일 친척이면서도 계를 범했거나 그릇된 소견이 있는 이로부터 옷을 취해도 돌길라이고, 사미가 비구니ㆍ식차마나ㆍ사미니로부터 옷을 취해도 돌길라이니라.
022_1009_c_04L從式叉摩那沙彌尼取衣突吉羅若親里犯邪見從取衣突吉羅沙彌從比丘式叉摩那沙彌尼取衣突吉羅
만일 구하려는 마음이 없는데도 스스로 보시할 경우 그에게 여분이 있음을 알고 취하면 범한 것이 아니니라.”네 번째를 마침
022_1009_c_07L無心求自布施知彼有長乃取不犯四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跋難陀)가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투라난타(偸羅難陀) 비구니에게 갔다. 그런데 그 비구니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갑자기 옷이 벗겨져 알지 못하는 사이에 형상이 드러났으므로 발난타가 그것을 보고 부정(不淨)이 흘러 나왔다.
비구니가 그것을 알고 말했다.
“장로여, 옷을 벗어 나에게 주십시오. 빨아 드리겠습니다.”
곧 벗어서 그에게 주자 그는 옷을 받고는 이내 부정을 훑어서 그의 몸에 넣었다.
022_1009_c_08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晨朝著衣持鉢往偸羅難陁比丘尼所坐起輕不覺露形跋難陁見失不淨比丘尼知語言長老與我衣浣便脫與之彼旣得衣卽以不淨自內形中
또 여러 비구도 여러 비구니들에게 옷을 주면서 빨게 하고 물들이게 하며 두드리게 했다. 여러 비구니들이 이 때문에 일이 많아지자 외우고 읽고 좌선하고 도를 행하는 데에 방해가 되었다. 이에 여러 속인들이 보고는 갖가지로 꾸짖었다.
“여러 비구니들은 언제나 옷을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는 것을 업으로 삼고 있거늘,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무엇이 다른가?”
022_1009_c_13L又諸比丘亦與諸比丘尼衣令浣諸比丘尼以此多事妨廢誦讀坐禪行道諸白衣見種種呵責言諸比丘尼常以浣打衣爲業與在家人有何等異
그때 파사파제 비구니가 5백의 비구니와 함께 부처님께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발에 예배하고 물러나 한쪽에 앉았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구담미(瞿曇彌)에게 물으셨다.
“여러 비구니들의 손발이 무엇 때문에 모두 물들어 있느냐?”
자세히 그 일을 말씀드리자 부처님께서는 비구니들을 위해 묘한 법을 말씀하시고 나서 저마다 머물던 데로 돌아가도록 하셨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비구니에게 옷을 빨게 하고 물들이게 하고 두드리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09_c_18L時波闍波提比丘尼與五百比丘尼俱詣佛所頭面禮足卻坐一佛問瞿曇彌諸比丘尼手足何故盡有染色具以事答佛爲諸比丘尼說妙法已各還所住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等實使比丘尼浣打衣不答言實爾世尊
022_1010_a_01L여러 비구가 이로 인하여 발난타의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니에게 입었던 옷을 빨게 하거나 물들이게 하거나 두드리게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0_a_01L諸比丘因以跋難陁事白佛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使比丘尼浣故衣若染若打尼薩耆波逸提
늙고 병든 비구들은 자신이 옷을 빨거나 물들이거나 두드릴 수가 없었다. 그러나 친척 비구니는 빨고 물들이고 두드릴 수 있었기에 모두 와서 그것을 해달라고 했는데, 여러 비구가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비구니로 하여금 옷을 빨게 하거나 물들이게 하거나 두드리게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022_1010_a_05L有諸老病比丘不能自浣打衣親里比丘尼能浣皆來從索爲作之諸比丘言佛不聽我等使比丘尼浣打衣
여러 비구니들이 말했다.
“오직 친척만이 알아서 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022_1010_a_09L諸比丘尼言唯親知知不可願以白佛
여러 비구가 곧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이 아닌 비구니에게 입었던 옷을 빨게 하거나 물들이게 하거나 두드리게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0_a_10L諸比丘卽以白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使非親里比丘尼浣故衣若染若打尼薩耆波逸提
‘입었던 옷’이라는 것은 몸에 닿아 때가 낀 것이니라.
만일 빨게 했는데 빨기만 하고 물들이지도 않고 두드리지도 않았거나, 물들이게 했는데 물들이기만 하고 빨지도 않고 두드리지도 않았거나, 두드리게 했는데 두드리기만 하고 빨지도 않고 물들이지도 않았거나, 빨고 물들이게 했는데 빨고 물들이기만 하고 두드리지 않았거나, 빨고 두드리게 했는데 빨고 두드리기만 하고 물들이지 않았거나,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물들이고 두드리기만 하고 빨지 않았거나,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으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10_a_14L故衣者經體有垢若令浣不染打;若令染不浣不打;若令打不染;若令浣染浣染不打;若令浣浣打不染;若令染打染打不浣;若令浣染打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
만일 빨게 했는데 빨지는 않고 물들였거나, 빨게 했는데 빨지는 않고 두드렸거나, 빨게 했는데 빨지는 않고 물들이고 두드렸으면 모두 돌길라이니라.
022_1010_a_19L若令浣不浣而染;若令浣不浣而打;若令浣不浣而染打皆突吉羅
022_1010_b_01L물들이게 했는데 물들이지는 않고 빨거나 두드렸거나 빨고 두드렸거나, 두드리게 했는데 두드리지는 않고 빨거나 물들였거나 빨고 물들였거나, 빨고 물들이게 했는데 빨고 물들이지는 않고 두드렸거나, 빨고 두드리게 했는데 빨고 두드리지는 않고 물들였거나,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물들이고 두드리지는 않고 빤 것도 그와 같으니라.
022_1010_a_21L令染不染而浣而打而浣打;令打不打而而染而浣染;令浣染不浣染而打;令浣打不浣打而染;令染打不染打而浣亦如是
만일 친척 아닌 이에게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이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거나, 친척 아닌 이에게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과 친척 아닌 이가 함께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거나, 친척과 친척 아닌 이에게 함께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이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거나, 친척과 친척 아닌 이에게 함께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 아닌 이가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거나, 친척과 친척 아닌 이에게 함께 빨고 물들이고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과 친척 아닌 이가 함께 빨고 물들이고 두드렸으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10_b_02L若令非親里浣染打親里浣染打;若令非親里浣染打親里非親里共浣染打;若令親里親里共浣染打而親里浣染打;若令親里非親里共浣染打而非親里浣染打;若令親里非親里共浣染打親里非親里共浣染打皆尼薩耆波逸提
만일 아직 옷을 빨거나 물들이거나 두드릴 때가 되지 않았는데도 친척 아닌 이에게 빨거나 물들이거나 두드리게 했으면 돌길라이니라.
022_1010_b_09L若衣未可浣染打而令非親里浣染打突吉羅
만일 친척에게 빨거나 물들이거나 두드리게 했는데 친척 아닌 이가 빨거나 물들이거나 두드렸으면 범하는 것이 아니니라.
그 밖의 모든 것은 옷을 취하는 것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다섯 번째를 마침
022_1010_b_10L若令親里浣染打而非親里浣染打不犯餘皆如取衣中說五事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호의(好衣) 장자가 있었는데 부처님의 법을 믿고 좋아하여 언제나 가서 듣고 받아들였다.
그때 그 장자가 좋은 옷을 포개 입고 여러 하인들을 데리고 성 안에서 나와 세존과 여러 비구를 문안했다. 부처님께서는 그를 위해 법을 말씀하시어 가르쳐 보이시고 이롭고 기쁘게 하셨다.
그리고는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고 돌아가다가 발난타를 만났다. 발난타가 다시 그를 위해 법을 설했기에 떠날 즈음에 말했다.
“장로여, 내일 거친 음식이나마 오셔서 잡수십시오.”
“나는 밥은 모자라지 않습니다만 옷이 없습니다. 당신은 나에게 입을 옷 한 벌을 주실 수 있습니까?”
022_1010_b_12L佛在舍衛城爾時城中有好衣長者信樂佛法常往聽受時彼長者重著好衣將諸儐從從城中出問訊世尊及諸比丘佛爲說法示教利喜已禮辭歸遇跋難陁跋難陁復爲說法臨別白言長老明日見顧蔬食答言我不乏食若無衣服汝能與我身上一衣不
장자가 말했다.
“마땅히 드리겠으나 집에 가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바로 드릴 수는 없습니다.”
발난타가 말했다.
“내가 듣건대 장자는 보시하기를 좋아한다더니 어떻게 나에게만 유독 박대합니까?”
022_1010_b_20L長者言當與至家籌量不得便相與跋難陁言我聞長者好憙布施如何於我而獨疏薄
022_1010_c_01L또 말했다.
“내가 법을 설하는 것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과 근심하고 슬퍼하고 괴로워하는 것을 여의도록 제도하기 위해서인데 그대들은 행하지 않는 구려. 당신은 지금 어찌 옷 한 벌을 아까워합니까?”
이에 장자가 옷을 벗어 그에게 주고 떠나 성문에 이르자 문지기가 물었다.
“조금 전에는 옷을 포개 입고 나가셨는데 지금 벗고 돌아오시니, 여인에게 주셨습니까, 겁탈을 당하셨습니까?”
“나는 여인에게 준 것도 아니고, 강도를 만나지도 않았소. 사문 석자가 억지로 달라고 해서 주었을 뿐이오.”
022_1010_b_22L又言我說法離生老病死憂悲苦惱爲度汝等不營已汝今云何惜此一衣於是長者卽脫與之去至城門守門者問向重衣出而今輕還爲與女人爲遇劫奪耶答言我不與女人亦不遇劫爲沙門釋子所强乞耳
문지기가 말했다.
“그런 말씀 하지 마십시오. 내가 듣건대 사문 석자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알아서 설령 사람들이 보시해도 받으려 하지 않거늘 어떻게 억지로 남의 물건을 달라고 했겠습니까?”
022_1010_c_05L守門者言作是語我聞沙門釋子少欲知足人布施尚不肯受如何於今强乞人
그에게 위의 일을 말하자, 부처님의 법을 믿지도 좋아하지도 않는 어떤 이가 듣고는 곧 외쳤다.
“통쾌하구려, 반드시 빼앗겼다고 해야 합니다. 당신이 만일 다시 친근하게 하면 더 심한 일을 당할 것입니다. 사문 석자는 언제나 보시를 찬탄하고 주지 않는 물건을 취하는 것을 헐뜯으면서도 지금은 남의 옷을 억지로 빼앗았으니 강도와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022_1010_c_08L答之如上有不信樂佛法者聞便唱言快正應奪汝若更親近當復劇沙門釋子常歎布施毀不與取;而今强奪人衣物何異於劫
장자가 집으로 돌아가서도 집안사람들과 묻고 대답했는데 또한 모두 위와 같았다.
여러 장로 비구들이 이 일을 듣고는 갖가지로 꾸짖은 뒤에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0_c_11L長者還家家中問答亦皆如上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已將至佛所以事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0_c_15L佛種種呵責已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居士士婦乞衣尼薩耆波逸提
그때 여러 비구가 거칠고 해진 옷을 입고 있었으므로 여러 친척들이 보고 말했다.
“왜 저런 해진 옷을 입고 있으면서도 우리에게 얻으려 하지 않습니까?”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거사나 거사의 부인에게 가서 옷을 구걸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승가에 주십시오. 그러면 승가로부터 얻겠습니다.”
022_1010_c_18L爾時諸比丘著麤弊衣諸親里見語言何以著此壞衣不從我取答言佛不聽我等就居士居士婦乞衣可以與僧當從僧取
022_1011_a_01L여러 친척들이 말했다.
“우리는 바로 비구에게 주고 싶습니다. 승가에 주어서 다른 사람이 입는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여러 비구가 말했다.
“만일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친척인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하는 것을 허락하시면 이와 같이 해지고 나쁜 것을 입지 않을 것입니다.”
022_1010_c_22L諸親里言我正欲與比丘;不欲與僧令餘人得諸比丘言若佛聽我從親里居士居士婦乞衣者亦當不著如此弊惡
여러 친척들이 말했다.
“오직 친척만이 알아서 줄 수 있고 알아서 취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어 주십시오.”
여러 비구가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1_a_02L諸親里言唯親知可與知可取願以白佛諸比丘卽以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居居士婦乞衣尼薩耆波逸提
그때 여러 비구가 장사꾼의 뒤를 따라가다가 길을 잘못 들어 강도를 만나 옷들을 빼앗겼다. 그리하여 알몸이 되어 사위성으로 돌아오는데 길 가던 사람이 물었다.
“당신들은 어떤 사람들이오?”
“우리는 바로 사문 석자입니다.”
“당신들의 옷과 발우는 어디에 있소?”
“도둑들에게 빼앗겼습니다.”
022_1011_a_06L爾時衆多比丘隨估客行失道遇劫剝奪赤肉裸形;而還向舍衛城行者問言汝是何人答言我是沙門釋子復問汝衣鉢何在答言爲劫所奪
그리고는 기원(祇洹)에 이르러 여러 비구와 문답한 것도 또한 그와 같았다. 또 물었다.
“그대들이 만일 비구라면, 어떻게 계를 받고 포살(布薩)을 하고 자자(自恣)를 했소?”
“이와 같이 계를 받고 포살을 하고 자자를 했습니다.”
022_1011_a_10L進到祇諸比丘問答亦如是又問汝若是比丘云何受戒布薩自恣答言如是受戒布薩自恣
여러 비구가 끝내 옷을 주지 않자 곧 부처님께 이르니, 부처님께서는 꾸짖으시면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어째서 알몸으로 부처님을 뵙는 것이냐? 어째서 나뭇잎이나 풀을 얻어서라도 몸을 가리지 못했느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알몸으로 부처님 앞에 이르면 돌길라이니라.”
022_1011_a_13L諸比丘竟不與衣便至佛所佛呵責言汝等何以裸形見豈不能得樹葉及草以蔽身耶諸比丘從今裸形至佛前者突吉羅
여러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저희들에게 친족이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저희들의 친척은 여기서 너무도 멀리 떨어져 있는데 어찌 옷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022_1011_a_16L諸比丘白佛佛不聽我從非親里居居士婦乞衣我等親里去此甚遠云何得衣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예전부터 살고 있는 비구의 처소에 가지 않았느냐?”
“갔습니다.”
022_1011_a_19L佛言汝等已到舊比丘所答言已到
“어째서 그들은 옷을 주지 않았느냐?”
“여러 비구가 다 같이 묻기를 ‘어떻게 계를 받고 포살을 하고 자자를 했느냐?’고 하기에 법대로 대답을 했는데도 주지 않았습니다.”
022_1011_a_20L又問何以不與汝衣諸比丘方共見問云何受戒布薩自恣雖如法答猶不見與
022_1011_b_01L부처님께서는 멀리서 예전부터 사는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어떻게 비구들이 알몸인 것을 눈으로 보고도 불쌍히 여기지 않았단 말이냐?”
옷을 잃은 비구들을 위해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할 때는 인연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1_a_22L佛遙呵責舊住比丘云何眼見比丘裸形而不經恤爲失衣比丘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從非親里居士居士婦乞衣除因緣尼薩耆波逸提
‘인연’이란 옷을 빼앗겼거나 옷을 잃었거나 옷이 탔거나 옷이 떠내려갔거나 옷이 망가진 것이니, 이것을 바로 인연이라 하느니라.
022_1011_b_04L因緣者奪衣失衣燒衣漂衣衣壞是名因緣
만일 옷을 빼앗기고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옷이 망가졌어도 다른 헌 옷이 있고 다른 곳에 옷이 있으면 모두 구걸할 수 없나니,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여섯 번째를 마침
022_1011_b_05L若奪衣乃至衣壞故有餘衣及有衣在餘處皆不得乞比丘尼亦如是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六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가 파리읍(波利邑)에서 부처님께로 향해 오다가 도둑을 만나 옷을 잃고는 다 같이 말했다.
“부처님께서 비록 다섯 가지 일의 인연으로 친척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할 수 있다고 하셨더라도 우리는 지금 누구에게 구걸해야 할지 모르겠구나.”
022_1011_b_08L佛在舍衛城爾時衆多比丘從波利邑來向佛所遇劫失衣共作是言雖聽五事因緣得從非親里居士士婦乞衣我今不知當從誰乞
그때 6군 비구가 생각했다.
‘여러 비구가 옷을 잃고는 누구에게 구걸해야 할지 모르고 있으니, 우리가 그들을 위해 구해다 주고 만일 여분이 있으면 그것을 가져야겠다.’
그리고는 이 생각을 옷을 잃은 비구들에게 말하니 그들이 말했다.
“아주 좋은 일입니다.”
022_1011_b_12L時六群比丘作是念此諸比丘失衣不知從誰乞我當爲索若有長者當自取之念已卽以是語語失衣比丘衣比丘言大善
이에 6군 비구는 성 안의 여러 거사와 거사의 부인들에게 두루 말했다.
“여러 비구가 파리읍에서 세존을 뵈려고 오다가 도둑을 만나 옷을 잃었습니다. 당신들은 다 같이 줄이고 잘라서 그들에게 보시해야 합니다.”
022_1011_b_16L於是六群比丘遍語城中諸居士居士婦言有諸比丘從波利邑來欲覲世尊遇劫失衣汝等可共減割施之
여러 거사와 거사의 부인들이 듣고 나서 저마다 줄이고 잘랐기에 그들은 많은 옷을 얻게 되었다. 모두 다 만족하게 되자 옷을 잃은 비구들이 말했다.
“우리들은 이미 만족했으니 더 구걸할 필요는 없습니다.”
022_1011_b_19L諸居士居士婦聞已各各減割大得衣服人人皆足失衣比丘言我等已足不須更乞
6군 비구가 말했다.
“당신들에게는 옷을 구걸할 인연이 있었지만 우리들에게는 아무런 덕이 없었습니다. 우리들은 당신들의 인연으로 좀 더 구걸해야겠습니다.”
옷을 잃은 비구들이 말했다.
“장로들 뜻대로 하십시오.”
022_1011_b_21L六群比丘言汝等有乞衣因緣而我等無;聽我以汝因緣更有所乞失衣比丘言隨長老意
022_1011_c_01L그때 6군 비구가 다시 두루 구걸했으므로 아주 많은 옷을 얻었다.
그때 여러 거사들이 모여서 의논했다.
“옷을 잃은 비구가 아직도 몇 사람이나 있단 말이오? 우리들 성 안의 남녀노소가 줄이고 잘라서 보시했으므로 이미 만족하고도 남아야 하는데, 어째서 다시 구하는 걸까요? 어쩌면 모아 놓았다가 팔고 바꾸면서 범행을 닦지 않으려고 하는 게 아닐까요?”
022_1011_c_01L時六群比丘復更遍乞衣甚多時諸居士集共議言失衣比丘未有幾人我等城中男女大小割布施已應過足何以復索將無欲以積畜販賣貨易不修梵行耶
그때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1_c_05L時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事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옷을 빼앗겼거나 옷을 잃었거나 옷이 탔거나 옷이 떠내려갔거나 옷이 망가져서 친척 아닌 거사나 거사의 부인으로부터 옷을 구걸할 때에, 그 거사나 거사의 부인이 옷을 많이 주려 해도 이 비구는 마땅히 두 가지 옷[二衣]21)만을 받아야 하나니, 만일 이보다 많이 받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1_c_08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奪衣燒衣漂衣衣壞從非親里居士士婦乞衣若居士居士婦欲多與衣是比丘應受二衣;若過是受尼薩耆波逸提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일곱 번째를 마침
022_1011_c_14L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尼突吉羅七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跋難陁)는 언제나 한 거사의 집에 드나들면서 그들을 위해 법을 말하고 질병이나 관청의 일까지 모두 처리해 주었다.
022_1011_c_15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常出入一居士家爲說法疾病官事皆爲料理
어느 한 비구가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성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마침 이 집에 이르렀는데, 그 부부가 함께 의논하기를 ‘발난타는 우리에게 은인이니 이만큼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서 드립시다’라고 하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 비구는 걸식하고 돌아와서 발난타에게 말했다.
“당신은 복덕이 있습니다.”
022_1011_c_17L有一比丘晨朝著衣持鉢入城乞食遇到此家聞其夫婦共議跋難陁於我有恩當以如是衣直作衣與之比丘乞食還語跋難陁汝有福德
발난타가 말했다.
“무슨 복덕이 있다는 겁니까?”
022_1011_c_21L難陁言有何福德
022_1012_a_01L“내가 오늘 걸식하면서 아무개 거사의 집에 이르렀는데 그 부부가 함께 의논하기를 ‘발난타는 우리에게 은인이니 이만큼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 드립시다’라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당신은 이제 거기로 가시면 반드시 얻을 것이 틀림없습니다.”
022_1011_c_22L答言我今乞食到某居士家聞夫婦共議跋難陁於我有恩當以如是衣直作衣與之汝今往彼必得無疑
발난타가 다음날 걸식 때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그 집에 이르자 거사가 곧 나와서 문안했으므로 발난타가 말했다.
“당신은 나를 위해 이만큼의 옷값으로 옷을 지을 겁니까?”
“그렇습니다.”
022_1012_a_02L跋難陁明旦食時衣持鉢往到其家居士卽出問訊難陁言汝爲我以如是衣直作衣耶答言如是
“당신은 스스로 아시겠지만 나는 나쁜 옷은 입지 않습니다. 만일 좋은 옷을 만들어 주면 그것을 입고 언제나 당신을 기억하면서 질병이나 관청 일을 잘 처리해 주겠지만 좋지 않은 옷이면 제자에게 주거나 그릇 속에 감추어 둘 것입니다. 그러니 한갓 그 물건만 버리게 될 뿐, 보시하여 받게 되는 복은 없을 것입니다.”
022_1012_a_05L跋難陁言汝自知我不著惡衣若作好衣我當自著常憶念汝疾病官事當相料理;若不好者當與弟子或藏器中徒去此物無施用福
그때 거사가 좌우의 사람들에게 말했다.
“이 사람은 만족함이 없는지라 공양하기도 어렵고 만족시키기도 어렵다. 나는 마음을 내어서 주려 하는데 다섯 배나 여섯 배로 해도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다. 예전에는 비록 후히 잘해주었다 하더라도 이제부터는 박하게 대해야겠다.”
그리고는 그것도 주지 않았다.
022_1012_a_08L時彼居士語左右言此人無厭難養難滿我發心所與五倍六倍猶不愜先雖厚善於今薄矣遂不與之
그때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2_a_11L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이 함께 의논하기를, ≺이만큼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서 아무개 비구에게 주겠다≻고 할 때에 이 비구가 먼저 자자청(自恣請)22)이 없었는데도 가서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묻기를, ≺당신은 나를 위해 이만큼의 돈으로 옷을 지으려 합니까?≻라고 하여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라고 말할 경우, ≺장하십니다. 거사와 거사의 부인이여, 이와 같은 옷을 지어서 나에게 주십시오. 더 좋게 하기 위해서입니다≻라고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2_a_14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非親里居士居士婦共議≺當以如是衣直作衣與某甲比丘≻是比丘先不自恣請便往問居士居士婦言≺汝爲我以如是衣直作衣不≻答言≺如是≻便≺善哉居士居士婦可作如是衣與爲好故≻尼薩耆波逸提
‘먼저 자자청이 없었다’는 것은 먼저 비구에게 ‘어떠한 옷이 필요하십니까?’ 하고 묻지 않은 것이고, ‘더 좋게 하기 위해서’라는 것은 지극히 좋은 것으로 먼저 계획한 것보다 더 훌륭하게 하기를 요구하는 것이니라.
022_1012_a_22L先不自恣請者先不問比丘爲須何爲好者求令極好勝先所許
022_1012_b_01L만일 친척으로부터 좋은 옷을 구하면 돌길라이고, 비구니도 그와 같으니라.
022_1012_b_01L若從親里索好衣突吉羅比丘尼亦如是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라.”여덟 번째를 마침
022_1012_b_02L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八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발난타에게는 언제나 드나드는 집이 있었는데, 그 부부가 함께 의논하기를 “우리는 각각 발난타를 위해 이만큼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서 그에게 줍시다”라고 했다.
022_1012_b_03L佛在舍衛城跋難陁復有常出入家其夫婦共議我當各爲跋難陁以如是衣直作衣與之
마침 걸식하던 비구가 듣고 다시 그에게 말해 주자, 발난타는 곧 가서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물었다.
“내가 듣건대 당신들은 나를 위해 각기 이만큼씩의 옷값으로 옷을 짓는다고 하셨다는데 실제로 그러했습니까?”
“그랬습니다.”
022_1012_b_06L乞食比丘聞復語跋難陁卽往問居士居士婦言聞汝等爲我各以如是衣直作衣實爾不答言如是
발난타가 말했다.
“그러면 합쳐서 한 벌의 웃을 만들되 지극히 좋게 하여 주십시오. 만일 지극히 좋으면 그것을 입고서 언제나 당신들을 기억하겠지만 좋지 않으면 그릇 속에 넣어둘 것이니, 한갓 그 물건만 버리게 될 뿐, 보시하여 받게 되는 복은 없을 것입니다.”
022_1012_b_09L跋難陁言可合作一衣令極好若極好我當自著常憶念汝;若不好者當置器中徒去此物無施用福
그때 거사와 거사의 부인은 몹시 성을 내어 말했다.
“이 사람은 만족함이 없고 공양하기도 어렵고 만족시키기도 어렵다. 비록 합쳐서 한 벌의 옷을 만들어 주기를 요구하지만 우리가 마음을 내어 계획한 것보다 다섯 배나 여섯 배를 해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나쁜 사람은 존재할 가치도 없다.”
022_1012_b_12L時居士居士婦便大瞋言此人無厭難養難滿雖求合作一衣於我發心所許五倍六倍猶不愜意如此惡人不足存在
그리고는 다시 내왕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때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었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2_b_15L於是不聽復得來往時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
022_1012_c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친척 아닌 거사와 거사의 부인이 함께 의논하기를, ≺우리는 각기 이만큼씩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 아무개 비구에게 줍시다≻라고 할 때에 이 비구가 먼저 자자청이 없었는데도 곧 가서 거사와 거사의 부인에게 묻기를, ≺당신들은 각기 나를 위해 이만큼씩의 옷값으로 옷을 지어 주겠다고 했습니까?≻라고 하여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라고 할 경우, ≺훌륭하십니다. 거사와 거사의 부인이여, 합쳐서 한 벌의 옷으로 만들어서 나에게 주십시오. 더 좋게 하기 위해서입니다≻라고 말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2_b_19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若非親里居士居士婦共議≺我當各以如是衣直作衣與某甲比丘≻是比丘先不自恣請便往問居士居士婦言≺汝各爲我以如是衣直作衣不答言≺如是≻便言≺善哉居士居士婦合作一衣與我爲好故≻尼薩耆波逸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아홉 번째를 마침
022_1012_c_04L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彌尼突吉羅九事竟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그때 왕사(王舍) 대신이 좌우의 사람들에게 말했다.
“너는 발난타에게 가서 나의 이름으로 예배하고 문안한 뒤에 이 옷값을 가져다 그에게 공양하여라.”
022_1012_c_05L佛在王舍城爾時王舍大臣語左右人言汝往跋難陁所以我名字作禮問訊持此衣直而供養之
심부름꾼이 명을 받고 발난타에게 가서 말했다.
“아무개 대신이 형편을 문안드리고 이 옷값을 대덕께 공양하라 했습니다. 대덕께서는 받으십시오.”
022_1012_c_08L使受勅跋難陁所語言某甲大臣問訊起居送此衣直供養大德大德受之
발난타가 말했다.
“나는 이 옷값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만일 청정한 옷을 얻으면 손수 받아 지니겠습니다.”
심부름꾼이 말했다.
“대덕이시여, 일을 맡아 보는 사람이 있습니까?”
022_1012_c_10L跋難陁言我不應受此衣直若得淨衣手受持使言大德有執事人不
발난타가 그의 처소를 가리켜주자 심부름꾼이 일을 맡아 보는 사람에게 가서 말했다.
“아무개 대신이 이 옷값을 발난타에게 주었는데, 당신이 그분을 위해 받아서 옷을 만들어 두었다가 가지러 오면 드리십시오.”
022_1012_c_12L跋難陁卽指示處使便到執事人所語言某甲大臣送此衣直與跋難陁汝爲受作來取便與
심부름꾼이 그에게 준 뒤에 발난타에게 도로 와서 말했다.
“대덕께서 가르쳐주신, 일을 보는 사람에게 제가 주고 왔습니다. 대덕께서 옷이 필요하실 때에 가셔서 얻도록 하십시오.”
022_1012_c_15L使旣與已還跋難陁白言大德所示執事人我已與竟大德須衣便可往取
그런 뒤에 곧 돌아갔는데, 대신이 뒷날 다시 심부름꾼을 보내 발난타에게 물었다.
“제가 근간에 사람을 시켜 옷값을 일 보는 이에게 맡겼는데, 대덕께서는 그 옷을 입으셨습니까?”
022_1012_c_17L白已便還大臣後時復更遣信問跋難陁我近遣使送衣直付某執事大德爲已著此衣
발난타가 말했다.
“나는 아직 입어보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돌아와서 아뢰기를 그와 같이 하니, 대신이 생각하기를 ‘내가 옷을 지으란 지가 꽤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입지 않은 것을 보니 반드시 나의 옷을 업신여겨 그와 같이 하는 것이로구나’ 하고는 다시 심부름꾼을 보내 발난타에게 말했다.
“제가 옷을 보낸 지가 벌써 오래되었는데, 무엇 때문에 입지 않으셨습니까? 만일 필요하지 않아서 그러시면 나에게 되돌려 주십시오.”
022_1012_c_20L跋難陁言我未取著還白如此臣作是念我作衣已久而猶未取薄我衣故致如此卽復遣信語跋難陁言我送衣已久何故不著若不須可以還我
022_1013_a_01L발난타가 말했다.
“나는 아주 필요합니다.”
그리고는 곧 때 아닌 때에 일을 맡아보는 사람에게 가서 말했다.
“나는 지금 옷이 필요합니다. 주십시오.”
“조금만 더 기다리십시오. 지금 사람들의 모임이 있어서 나는 가 보아야겠습니다. 만일 제 시간에 가지 못하면 나는 5백 금전을 벌금으로 물게 됩니다.”
022_1013_a_01L跋難陁言我甚須之便於非時到執事人所語言我今須衣可以見與答言小待今衆人會我應往赴若不及期便應罰我金錢五百
발난타가 말했다.
“당신은 언제나 믿고 좋아하면서 법연(法緣)에 힘쓰더니 오늘은 무엇 때문에 갑자기 세속의 일을 더 중히 여기시오?”
022_1013_a_04L跋難陁言汝常信樂勤於法緣今日何故忽重俗事
그는 이 말을 듣고 생각하기를 ‘비록 벌금을 내는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옷을 드리고 나서 가야겠구나’ 하고는 곧 다 만들어서 그에게 주었다. 일을 마치자마자 부랴부랴 달려갔으나 이미 회의를 마친 뒤였다. 여러 사람들이 물었다.
“당신은 왜 그렇게 늦었소?”
“발난타가 옷을 찾으러 왔기에 만들어 주고 나니 이렇게 되었습니다.”
022_1013_a_06L彼聞此語便作是念正使彼罰要當付衣然後乃去卽便料理與之事畢星馳已遂稽後衆人問言汝來何晩答言跋難陁索衣理還之所以致此
여러 사람들이 다 함께 말했다.
“한 비구를 위해 여러 사람의 규칙을 업신여기는 것은 도리로 보아서도 용서할 수 없소.”
022_1013_a_10L衆人咸言爲一比而輕衆制理不可恕
그리고는 그를 벌했으므로 그는 벌금을 내고 나서 성을 내어 원망하며 말했다.
“사문 석자는 스스로 도(道)가 있다고 말하면서도 재물에 대한 이익을 챙기느라 지금 도리어 나에게 벌금을 물게 하는구나.”
022_1013_a_11L卽便罰之旣得罰便瞋恨言沙門釋子自言有利益於物;而今乃反令我得罰
부처님의 법을 믿지도 좋아하지도 않는 이들이 모두 다 함께 말했다.
“당신은 사문을 믿고 공경하다가 이런 중한 벌을 받았소. 만일 다시 친근하게 되면 앞으로 이보다 더 큰 일이 날 것이오.”
022_1013_a_13L信樂佛法者咸皆語言汝信敬沙門致此重罰若復親近方當劇是
나쁜 소문이 널리 퍼져 사위성에 두루 했으므로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3_a_15L惡名流布遍舍衛城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13_b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왕이나 대신ㆍ바라문ㆍ거사 등이 비구를 위해 사람을 시켜 옷값을 보냈는데 심부름꾼이 비구에게 이르러서 말하기를, ≺대덕이여, 저 왕ㆍ대신ㆍ바라문ㆍ거사가 이 옷값을 보내면서 대덕에게 받으라고 했습니다≻라고 하면 이 비구가 말하기를, ≺나는 옷값을 받을 수 없소. 만일 청정한 옷을 주면 손수 받아 지니겠습니다≻라고 한다. 그때 말하기를, ≺대덕은 일을 맡아 보는 사람이 있습니까?≻라고 하면 비구가 곧 처소를 가르쳐주면 심부름꾼이 일을 맡아 보는 이에게 가서 말하기를, ≺아무개 왕ㆍ대신은 이 옷값을 아무개 비구에게 주었으니 당신은 그를 위해 받아서 옷을 만들었다가 가지러 오면 곧 주십시오≻라고 하여 심부름꾼이 주고 나서 비구에게로 돌아와서 말하기를, ≺대덕께서 가르쳐주신 일을 맡아 보는 사람에게 제가 이미 주고 왔습니다. 대덕께서는 옷이 필요할 때에 가서 얻도록 하십시오≻라고 하면 이 비구는 두 번ㆍ세 번 일을 맡아 보는 사람에게 가서 말하기를, ≺나는 옷이 필요합니다. 나는 옷이 필요합니다≻라고 해야 한다. 만일 찾게 되면 좋겠지만 만일 찾지 못할 경우 네 번ㆍ다섯 번ㆍ여섯 번까지 일을 맡아 보는 사람에게 가서 잠자코 서 있어야 한다. 만일 찾으면 좋겠지만 그보다 더 찾으러 가서 얻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13_a_19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王若大臣婆羅門居士爲比丘遣使送衣直使到比丘所言≺大德大臣婆羅門居士送此衣直大德受≻是比丘言≺我不應受衣直若得淨當手受持≻便言≺大德有執事人不比丘卽指示處使便到執事所語言≺某王大臣送此衣直與某甲比丘爲受作取便與之≻使旣與已還比丘白言≺大德所示執事人我已與竟大德須衣便可往取≻是比丘二返返到執事所語言≺我須衣我須衣≻若得者善;若不得四返五返六返到執事前默然立若得者善若過求得尼薩耆波逸提
만일 옷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심부름꾼이 온 곳을 따라 가거나 서신을 보내어 말하기를, ≺당신은 아무개 비구를 위해 옷값을 보냈지만 이 비구는 끝내 얻지 못했습니다. 당신은 도로 찾아서 잃지 않게 하십시오. 이 일은 으레 그러해야 합니다≻라고 한다’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3_b_11L若不得衣隨使來處若自往若遣信語言≺汝爲某甲比丘送衣直是比丘竟不得;汝還自莫使失是事應爾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 번째를 마침
022_1013_b_14L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十竟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셨다.
그때 승가 대중이 실을 많이 보시 받았기에 함께 분배하여 여러 비구의 승가리ㆍ우다라승ㆍ안타회와 그 밖의 온갖 옷을 깁고, 또 허리띠와 선대(禪帶)23)와 문고리에 이르기까지 만들었는데도 많이 남았다.
022_1013_b_15L佛在舍衛城爾時衆僧多得縷施共分之諸比丘用縫僧伽梨優多羅安陁會一切餘衣又作腰繩禪帶乃至戶紐猶故不盡
그때 6군 비구가 베 짜는 이에게 한 벌의 옷을 짜게 했는데도 실이 남았다. 그래서 다시 더 짜게 했는데 올이 조금 모자라자 다니면서 장자ㆍ거사들에게 구걸하여 모두 다 가져갔다.
이에 6군 비구가 생각하기를 ‘나는 좋은 이익을 얻었다. 지금부터는 단지 이 일만 해야겠다’ 하고는 많은 실을 구걸하여 베 짜는 이를 모두 고용하여 베를 짜게 했다.
022_1013_b_19L時六群比丘便雇織師織作一衣猶有餘縷;復更雇綖少不足便行求乞長者居士悉皆與之於是六群比丘作是念我得善利從今但當恒作此業便多乞縷一切織師悉皆雇織
022_1013_c_01L그때 어떤 거사가 어느 베 짜는 이에게 가서 옷을 짜달라고 하자 대답했다.
“나는 이미 비구에게 베를 짜기로 승낙했으므로 더 짤 수 없습니다.”
022_1013_c_01L時有居士詣一織師雇織作衣答言我已許比丘得復作
두루 다른 곳에도 가보았으나 모두 역시 그와 같았으므로 이에 거사가 성을 내면서 욕설을 퍼부었다.
“사문 석자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알아야 하는데도 지금 베 짜는 사람들을 모두 다 고용하고서도 만족함이 없으니, 세간의 탐욕 있는 사람들과 무엇이 다른가.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구나.”
022_1013_c_03L遍詣餘處皆亦如是於是居士便瞋罵言沙門釋子少欲知足今遍雇一切織師無有厭足與世貪人有何等異無沙門行破沙門法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3_c_06L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事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를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스스로 가서 실을 구걸하거나 베 짜는 이를 고용해서 옷을 짜게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3_c_09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自行乞雇織師織作衣尼薩耆波逸提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한 번째를 마침
022_1013_c_12L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十一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는 언제나 한 장사꾼 집을 드나들면서 법을 설했고 병을 고쳐 주었다.
장사꾼이 아내에게 말했다.
“발난타는 우리에게 은인이니, 이 실로 베 짜는 이에게 부탁하여 옷을 만들도록 하시오, 내가 돌아와서 주겠소.”
022_1013_c_14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常出入一估客家說法治病估客語婦言跋難陁於我有恩可以此縷雇織師作衣我還當與
그가 떠난 뒤에 부인은 실을 가지고 베 짜는 이에게 가서 옷을 만들어 달라고 하면서 말했다.
“잘 요량해서 꼭 맞추도록 하여 모자라거나 남게 하지 마시오.”
022_1013_c_18L行後婦便持縷詣織師所雇令作之語言籌量令足勿使少長
발난타가 그 일을 듣고 곧 그의 집으로 가자 부인이 나와서 문안하고 말했다.
“저의 남편이 저에게 대덕을 위해 옷을 만들게 했으므로 저는 이미 사람을 사서 만들게 했습니다.”
022_1013_c_19L跋難陁聞卽往其家婦出問訊言夫教我爲大德作衣我已雇人令作
발난타가 말했다.
“당신은 누구를 시켜 만들게 했습니까?
“아무개입니다.”
022_1013_c_21L跋難陁言汝雇誰作答言某甲
발난타는 곧 베 짜는 이에게 가서 말했다.
“당신은 나를 위해 이 옷을 만드는 것임을 아십니까? 촘촘하고 넓게 잘 짜십시오. 내가 얼마만큼의 수고비는 따로 주겠습니다.”
022_1013_c_22L跋難陁便往織師所語言汝知不此衣爲我作汝好織令緻廣自當少多私相
022_1014_a_01L베 짜는 이가 말했다.
“그 부인이 나에게 말하기를 ‘요량해서 꼭 맞추라’고 했습니다. 내가 어떻게 촘촘하고 넓게 짤 수 있겠습니까.”
022_1014_a_02L織師言彼婦語我籌量令足我今云何令得緻廣
발난타가 말했다.
“잘만 만드십시오. 만일 실이 모자라면 나의 뜻을 전하면서 달라고 하면 당신에게 줄 것입니다.”
022_1014_a_03L跋難陁言但好作之若綖不足持我意索自當與汝
베 짜는 이가 그 말에 따라 실을 다 쓰고는 가서 구하자, 장사꾼의 부인이 말했다.
“나는 먼저 당신에게 ‘요량해서 꼭 맞추라’고 말했는데 무엇 때문에 다시 더 달라고 합니까?”
베 짜는 이가 자세히 그 일을 말해 주자 부인은 더 주었다.
022_1014_a_04L織師隨語用盡往索估客婦言我先語汝籌量令足何故復索織師具以事答婦便更與
장사꾼이 행상에서 돌아와 부인에게 물었다.
“예전에 당신에게 발난타를 위해 옷을 만들게 했는데 다 만들어 놓았소?”
“다 만들어 놓았습니다.”
“가져오시오, 봅시다.”
022_1014_a_07L估客行還問婦言我先令汝爲跋難陁作衣爲已作未答言可取來看
부인이 옷을 가져다 보이자 옷이 아주 촘촘하고 좋았으므로 물었다.
“얼마 되지 않은 실로 어떻게 이렇게 만들 수 있었소?”
“발난타가 와서 실을 더 가져갔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습니다.”
022_1014_a_09L婦卽取示衣甚緻好用少許縷那得如此答言跋難陁更來取縷所以得爾
장사꾼이 성이 나서 욕하며 말했다.
“발난타에게는 공양하기도 어렵고 만족시키기도 어렵고 만족함도 없다.
나의 본래의 뜻보다 이 옷은 몇 갑절 더하구나. 먼저는 비록 은혜가 있었다 하더라도 지금부터는 끊으리라.”
그리고는 그에게 주지 않았다.
022_1014_a_11L估客便瞋罵言跋難陁難養難滿無有厭足;如我本此衣數倍先雖有恩於今絕矣不與之
이와 같은 나쁜 소문이 주위에 널리 퍼졌으므로 장로 비구가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로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4_a_14L如是惡聲流布遠近長老比丘聞種種呵責將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거사나 거사의 부인이 비구를 위해 베 짜는 이에게 옷을 짜게 할 때에, 이 비구가 먼저 자자청이 없었는데도 베 짜는 이에게 가서 말하기를, ≺당신은 나를 위해 이 옷을 만드는 것임을 아십니까? 당신은 나를 위해 아주 촘촘하고 넓게 잘 짜십시오. 따로 당신에게 보상하겠습니다≻라고 하여 뒤에 만일 밥 한 끼나 한 끼니 값을 주고서 얻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4_a_17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居士居士婦爲比丘使織師織作衣是比丘先不自恣請便到織師所作是言≺汝知不此衣爲我作汝好爲我織令極緻廣當別相報≻後若與一食若一食直尼薩耆波逸提
022_1014_b_01L비구니도 역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두 번째를 마침
022_1014_b_01L比丘尼亦如是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十二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가 제자 달마(達磨)에게 말했다.
“너와 함께 돌아다니다가 구살라국(拘薩羅國)에 이르고 싶구나.”
달마가 말했다.
“거기는 춥습니다. 옷이 없어 갈 수 없습니다.”
“가겠다면 너에게 옷을 주겠다.”
“먼저 저에게 옷을 주십시오. 그런 뒤에 가겠습니다.”
022_1014_b_02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語弟子達摩言今欲與汝遊行到拘薩羅國摩言彼寒無衣不能得去跋難陁言若能去者當與汝衣達摩言先與我然後當去
그에게 옷을 주니 옷을 얻고 나서는 가려고 하지 않았으므로 발난타가 말했다.
“너는 옷을 얻으면 가겠다고 말했는데 어찌하여 옷을 얻은 뒤에는 가려고 하지 않느냐? 가지 않겠다면 옷을 나에게 돌려다오.”
022_1014_b_07L卽便與之旣得衣已便不肯去跋難陁言汝言得衣當去何得衣而復不肯若不能去以衣還
“스님께서는 이미 주셨는데 어찌 다시 찾으려 하십니까?”
“나는 너에게 준 것이 아니다. 함께 다니겠다고 했기 때문에 주었을 뿐이다. 네가 이제는 가지 않겠다면서 무슨 이유로 나에게 돌려주지 않으려 하느냐?”
022_1014_b_10L達摩言師已見施云何復索跋難陁言我非施汝欲共遊行故相與耳汝今不去欲以何理而不還我
그리고는 억지로 그것을 빼앗았으므로 그는 크게 소리 내어 울었다.
장로 비구가 듣고 물었다.
“너는 무엇 때문에 우느냐?”
“스승께서 나의 옷을 빼앗았습니다.”
022_1014_b_12L便强奪之彼卽高聲大哭長老比丘問何故哭答言師奪我衣
여러 비구가 갖가지로 발난타를 꾸짖었다.
“억지로 사람의 옷을 빼앗으니, 어떻게 비구라 하겠소.”
“나와 함께 구살라국에 가겠다고 해서 옷을 그에게 주었는데, 그가 옷을 얻고 나서는 가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 때문에 가져왔을 뿐이지 억지로 빼앗은 것은 아닙니다.”
022_1014_b_14L諸比丘種種呵責跋難陁云何名比丘强奪人衣答言我欲共行至拘薩羅國以衣雇彼旣得衣便不肯去是以取之爲强奪
여러 비구가 갖가지로 달마를 꾸짖었다.
“너는 어찌하여 스승을 속였느냐? 옷을 주면 간다고 해 놓고서 얻고서는 가지 않겠다고 했으니 말이다.”
022_1014_b_18L諸比丘復種種呵責達摩云何欺師索衣許行得而不去
두 사람을 같이 부처님께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제자에게 주고서 도로 빼앗았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4_b_19L便將二人同至佛所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以衣與弟還奪取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다시 달마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스승을 속였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4_b_22L佛復問達摩汝實誑師不答言實爾世尊
022_1014_c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두 비구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에게 옷을 주었다가 도로 빼앗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4_b_23L種種呵責二比丘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與比丘衣還奪尼薩耆波逸提
그때 6군 비구가 여러 비구에게 옷을 주었다가 다시 사미와 동산지기를 시켜 빼앗게 했으므로 여러 비구가 물었다.
“그대는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옷을 주었다가 도로 빼앗아서는 안 된다’는 금제를 듣지도 못했습니까?”
“들었습니다. 우리는 지금 사미와 동산지기를 시켜 빼앗게 한 것이므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긴 것은 아닙니다.”
022_1014_c_04L爾時六群比丘與諸比丘衣復使沙彌守園人奪諸比丘問言不聞佛制與比丘衣不得還奪耶我今使沙彌守園人奪不違佛
그러자 여러 비구가 말했다.
“자신이 빼앗는 것과 사람을 시켜서 빼앗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단 말입니까?”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4_c_08L諸比丘言自奪教人有何等異種呵責已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汝實爾不答言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에게 옷을 주었다가 자신이 빼앗거나 사람을 시켜서 빼앗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4_c_11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與比丘衣若自奪若使人奪尼薩耆波逸提
여러 객(客) 비구들이 예전부터 살던 비구에게 옷을 맡기고서 갔다가 돌아왔는데, 너무 오랜 시일이 지났는지라 이 계를 범할까 두려워 감히 다시 찾지를 못했다. 또 어떤 비구들이 길을 가면서 비구에게 옷을 맡겼는데, 가는 길이 너무 멀었으므로 이 계를 범할까 두려워 역시 다시 찾지 않았다. 또 어떤 이는 이미 찾았다가 부끄러워하면서 이 계를 범했다고 여겨 사타(捨墮)참회24)를 하는 이도 있었다.
022_1014_c_13L諸客比丘寄舊住比丘衣行還日久恐犯此戒不敢復索;復有諸比丘在路行寄比丘衣行路旣遠恐犯此戒亦不復索;或有已索便生慚愧謂犯此戒作捨墮悔過者
여러 비구가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4_c_18L諸比丘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15_a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일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시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맡겼던 옷을 찾는데도 사타를 범했다고 여기는 것은 옳지 않느니라.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에게 옷을 주었다가 뒤에 성을 내거나 좋아하지 않아 자신이 빼앗거나 사람을 시켜 빼앗으면서 말하기를, ≺나의 옷을 돌려다오. 그대에게 주지 않겠다≻고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4_c_20L佛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索寄衣犯捨墮者無有是處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與比丘衣後瞋不喜若自奪若使人奪作是語≺還我不與汝≻尼薩耆波逸提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세 번째를 마침
022_1015_a_02L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
十三竟
五分律卷第四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㓮造
  1. 1)비구가 은밀한 장소나 노출된 장소에서 한 여인과 음란한 말을 주고받은 죄를 저질렀는데, 그것이 바라이(波羅夷)에 해당하는지, 승가바시사에 해당하는지, 바일제(波逸提)에 해당하는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2. 2)사타(捨墮)는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 범어 naiḥsargika-prāyaścittika)의 번역이다. 옷이나 발우 등의 물건을 규정 이상으로 소유한 가벼운 죄이다. 이 죄를 저지른 비구ㆍ비구니는 그 물건을 버리고, 네 명 이상의 비구 앞에서 참회하면 죄가 소멸되지만 참회하지 않으면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다고 한다. 물건을 버리므로 사(捨), 지옥에 떨어지므로 타(墮)라고 한다.
  3. 3)남이 버린 헌 옷이나 베 조각들을 기워서 만든 옷이다.
  4. 4)5중(衆), 즉 비구ㆍ비구니ㆍ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를 말한다.
  5. 5)후안거를 마치는 음력 8월 16일을 말한다.
  6. 6)후안거를 시작하는 음력 5월 16일을 말한다.
  7. 7)가치나(迦絺那)는 범어 kaṭhina의 음사로, 공덕(功德)ㆍ견고(堅固)라고 번역한다. 전안거(前安居)를 마친 비구에게 주는 간편한 옷이다. 이 옷을 받은 비구는 전안거가 끝나는 7월 16일부터 5개월 동안 다섯 가지 일, 즉 5사(事)를 해도 계를 범하는 것이 아니다.
  8. 8)범어 karpāsa의 음사로, 씨가 솜털로 덮여 있는 겁패(劫貝)나무의 그 솜털로 만든 옷이다.
  9. 9)보시 받은 옷을 서로 잘 아는 한 비구에게 맡겨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도로 받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10. 10)분소의만 입고, 거사들이 보시하는 옷은 입지 않는 비구이다.
  11. 11)3의(衣)를 떠나 먼 데를 간다 해도 3의를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승가의 승인을 청하는 의식이다.
  12. 12)7월 16일부터 이듬해 4월 15일까지이다.
  13. 13)후안거는 전안거보다 한 달 늦기 때문에 8월 16일부터 이듬해 4월 15일까지이다.
  14. 14)승가리는 범어 saṃghāṭī의 음사로 3의 가운데 가장 큰 옷이고, 안타회는 범어 antarvāsa의 음사로 내의(內衣)이고, 우다라승은 범어 uttara-āsaṅga의 음사로 윗도리이다. 가사(袈裟)는 이 세 가지 옷을 말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사라고 하면 승가리를 가리킨다.
  15. 15)옷을 잃지 않는, 즉 옷을 지녀야 하는 지역을 말한다. 보통 섭의계(攝衣界)라고 한다.
  16. 16)『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제4권에 1궁은 4주(肘)라 했다. 1주(肘)는 2자이다.
  17. 17)가치나옷을 버린 뒤에 얻는 옷은 모두 때 아닌 옷이다.
  18. 18)범어 mahāprajāpatī의 음사로, 싯다르타의 어머니 마야(māyā)의 여동생이다. 마야가 싯다르타를 낳은 지 7일 만에 세상을 떠나자 그를 양육했다. 정반왕(淨飯王)과 결혼하여 난타(難陀)를 낳았고, 왕이 세상을 떠나자 싯다르타의 아내 야쇼다라와 함께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다.
  19. 19)3의와 비구니가 3의 안에 입는 부견의(覆肩衣)와 비로 목욕할 때 입는 우욕의(雨浴衣)이다. 또는 우욕의 대신에 통치마인 구소락가(俱蘇洛迦)라고도 한다.
  20. 20)범어 gautamī의 음사로, 크샤트리야 계급에 속하는 여러 성(姓) 가운데 구담(瞿曇)의 성(姓)을 가진 여성을 말한다. 여기서는 파사파제를 가리킨다.
  21. 21)내의(內衣:安陀會)와 상의(上衣:鬱多羅僧 또는 僧伽梨)를 말한다.
  22. 22)필요한 물건을 마음껏 가져가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23. 23)좌선할 때 허리를 바로 세우고 복부를 차지 않게 하기 위해 허리에 두르는 띠.
  24. 24)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 범어 naiḥsargika-prāyaścittika)의 번역이 사타(捨墮)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