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五分律卷第五

ABC_IT_K0895_T_005
022_1015_b_01L
미사색부화혜오분율 제5권
022_1015_b_01L五分律卷第五 彌沙塞


송 불타집ㆍ축도생 등 공역
송 성수 번역
곽철환 개역
022_1015_b_02L 宋罽賓三藏佛陁什共竺道生等譯


1. 제1분 ⑤

1) 사타법(捨墮法) ②
022_1015_b_03L初分捨墮法下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에 계셨다.
그때 여러 거사들이 함께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했는데, 그 중에는 땔나무를 쪼개는 이, 물을 길어 오는 이, 땅을 청소하는 이, 방석을 까는 이, 꽃을 벌여 놓는 이, 높은 자리를 펴는 이, 음식을 마련하는 이들이 있었다.
022_1015_b_04L佛在王舍城爾時衆多居士共請佛及僧其中有破薪者取水者掃灑地敷坐具者布華者敷高座者辦具食者
그때 발난타는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먼저 청한 집으로 갔다. 여러 사람들 앞에 이르러 그들이 하는 일에 대해 칭찬했다.
“그대들이 지금 하는 일은 큰 기쁨이고 아주 훌륭합니다.”
022_1015_b_08L時跋難陁晨朝著衣持鉢先往請家至諸人所隨其所爲而讚歎之復語言汝今所作歡喜善好
여러 사람들이 말했다.
“저희는 실로 크게 기뻐하면서 온갖 공양을 짓고 음식을 여러 가지로 힘써 맛있게 만들고 또 장차 옷을 승가 대중에게 보시할 것입니다.”
022_1015_b_10L諸人言我實歡喜作諸供養務令飮食種種甘美亦當以衣布施衆僧
발난타가 말했다.
“여러 사람들이 승가에 보시한 옷이 아주 많습니다. 당신들이 만일 또 보시하면 쌓아 놓게 되어 쓸모없는 물건이 되고 맙니다. 무엇 때문에 쓸 만한 복을 버리면서 나에게는 주지 않습니까? 나에게 준다면 나는 스스로 입고 항상 그대들을 기억하면서 질병이나 관청의 일을 처리해 줄 것입니다.”
022_1015_b_12L跋難陁言衆人施僧衣物甚多汝若復施正當積聚成無用物何爲徒去有用之福而不與我若與我者我當自著恒相憶念疾病官事當相料理
여러 사람들이 들은 뒤에 함께 모여 의논했는데, 그 중에 어떤 이가 말했다.
“만일 승가가 필요하지 않다면 그에게 보시하여 우리들이 보시로 받게 되는 복을 얻읍시다.”
022_1015_b_16L諸人聞已便共集議其中有言若僧不須可以施之使我等得施用之福
또 어떤 이가 말했다.
“본래 승가에 보시하기 위한 것인데, 어찌 돌려서 한 사람에게 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주자고 하는 이들이 많았으므로 마침내 그에게 다 주었다.
022_1015_b_18L或復有言本爲施僧如何復得迴與一人言與者衆遂便與之
그때 발난타가 무거운 옷을 짊어지고 승방으로 돌아오자 여러 비구가 찬탄했다.
“당신은 복덕이 있는 사람이오. 어떻게 잠깐 나가더니 이런 옷을 얻으셨소?”
발난타가 말했다.
“교묘한 말솜씨로 얻은 것이지, 복덕이 있어서가 아닙니다.”
022_1015_b_20L時跋難陁擔重擔衣還歸僧坊諸比丘歎汝福德人如何暫出乃得此衣跋難陁言巧辯所獲非福德也
022_1015_c_01L그리고는 옷을 얻은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자,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었다.
“그대 어리석은 사람아, 어찌하여 승가 승가의 물건을 자기의 물건으로 돌려서 취하는가?”
022_1015_c_01L卽便具說得衣所由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汝愚癡人云何迴與僧物而自入己
그때 그 거사가 음식을 다 마련하고서는 심부름꾼을 보내 부처님을 청했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비구 승가에 앞뒤로 에워싸여 그의 집으로 가셔서 자리에 앉으셨다.
여러 거사들이 몸소 음식을 날랐다. 식사를 마치고 물을 돌리고 나니 더 이상 보시할 것이 없었다.
022_1015_c_03L時彼居士食具已辦遣使白佛於是世尊著衣持鉢與比丘僧前後圍繞往詣其家就座而坐諸居士手自下食食畢行水無布施
먼저 발난타에게 주는 것을 바라지 않던 이들이 가만히 함께 소곤거리기를 “오늘 우리들이 준비한 음식은 갖춰지지 않은 것이 없었으나 아무개 등이 까닭 없이 승가에 보시할 물건을 한 사람에게 다 주어 이 달친(達嚫)1)을 못하게 되었으니, 어찌 부끄러움이 없겠습니까?”라고 했다.
022_1015_c_07L先不欲與跋難陁者竊共議我等今日食無不備某等無故施僧物獨與一人闕此達嚫寧無慚
그러자 여러 비구가 물었다.
“당신들은 소곤거리며 무슨 말을 하고 있습니까?”
자세히 그 일을 말하자 여러 비구는 갖가지로 발난타를 꾸짖었다.
“그대 어리석은 사람아, 어찌하여 승가의 물건을 돌려서 자기 것으로 하는가?”
그때 세존께서는 여러 거사들을 위해 묘한 법을 설하신 뒤에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셨다.
022_1015_c_10L諸比丘問汝等竊語爲何所說以事答諸比丘種種呵責跋難陁愚癡人云何迴與僧物自以入己時世尊爲諸居士說妙法已從坐起
여러 장로 비구들이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5_c_14L諸長老比丘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승가의 물건을 돌려서 자기 것으로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5_c_16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迴與僧物入己薩耆波逸提
어떤 비구들은 그것이 승가에 줄 물건임을 모르고 돌려서 자기 것으로 했다가 뒤에 알고는 부끄러워하면서 참회하기도 했다.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022_1015_c_19L有諸比丘不知是與僧迴以入己後知生慚愧或已悔過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語諸比丘
022_1016_a_01L“만일 승가에 줄 물건임을 모르고 돌려서 자기 것으로 하고는 사타(捨墮)를 범했다고 여긴다면 옳지 않느니라.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단월(檀越)이 승가에 주려고 한 물건임을 비구가 알면서도 돌려서 자기 것으로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5_c_22L不知與僧物而迴入已犯捨墮者有是處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知檀越欲與僧物迴以入己尼薩耆波逸提
‘안다’는 것은 자신이 알거나 다른 이로부터 들은 것이고, ‘승가에게 주려고 한 물건’이라 함은 사람이 마음을 내어서 말하기를 ‘나는 이 물건을 가져가 저 승가 대중에게 주겠다’고 하는 것이니라.
022_1016_a_03L知者若自知若從他聞欲與僧物者若人發心作是語我當持此物與彼衆僧
만일 승가에 주려고 한 물건을 돌려서 다른 사람에 주면 바일제이고, 다른 승가나 비구니 승가ㆍ2부 승가(部僧伽:비구와 비구니)ㆍ사방 승가(四方僧伽:모든 수행승)에 주거나 탑(塔)에 주면 모두 돌길라이니라.
비구니 승가ㆍ2부 승가ㆍ사방 승가에 주려고 한 물건을 돌려서 다른 데에 주는 것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탑에 주려고 한 물건을 돌려서 자기 것으로 하거나 비구 승가ㆍ비구니 승가ㆍ2부 승가ㆍ사방 승가와 그 밖의 다른 사람이나 다른 탑에 주면 모두 돌길라이니라.
022_1016_a_06L若迴欲與僧物與餘人波逸提與餘僧比丘尼僧二部僧四方僧與塔皆突吉羅若迴欲與比丘尼僧二部四方僧物亦如是若迴欲與塔物入己與比丘僧比丘尼僧二部僧方僧餘人餘塔皆突吉羅
사람에게 주려고 한 물건을 돌리는 것도 또한 그와 같고, 나아가 이 축생에게 줄 한 덩이의 밥을 돌려서 저 축생에게 주는 것에 이르기까지 또한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
만일 승가에 아뢰고서 승가가 주거나 시주(施主) 자신이 승가에 주려고 한 물건을 돌려서 주는 것은 범하는 것이 아니니라.”열네 번째 일을 마침
022_1016_a_11L若迴欲與人物亦如是乃至迴與此畜生一搏與彼畜生亦突吉羅比丘尼亦如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白僧僧與若施主自迴欲與僧物不犯十四竟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그때 필릉가바차(畢陵伽婆蹉)가 능구라산(楞求羅山)에 머물렀는데, 허공을 날아다니며 머무는 방을 청소했다.
그때 병사왕(甁沙王)이 그 산에 이르자, 필릉가바차는 왕이 오는 것을 보고 홀연히 돌아와 땅에서 말했다.
“어서 오십시오, 대왕이여. 이 자리에 앉으십시오.”
022_1016_a_16L佛在王舍城爾時畢陵伽婆蹉住楞求羅山飛在空中塗灑所住房時甁沙王往至彼山畢陵伽見王來忽還在地白言善來大王可就此坐
왕이 앉은 뒤에 물었다.
“무엇 때문에 스스로 청소하고 계십니까? 동산지기가 없습니까?”
“없습니다.”
왕이 한 신하에게 말했다.
“이 비구에게 동산지기를 보내주도록 하라.”
022_1016_a_20L王坐已問言何故自作無守園人耶答言王卽語一臣可給此比丘守園人
필릉가가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동산지기를 두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왕이 말했다.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십시오.”
022_1016_a_22L畢陵伽言佛不聽我畜守園人王言可以白佛
022_1016_b_01L왕이 떠난 뒤에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모든 비구들에게 동산지기를 두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16_b_01L王去之後便以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戒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諸比丘畜守園人
왕의 명령을 받은 신하는 부처님의 법을 믿지도 좋아하지도 않는 이라 끝내 사람을 보내 주지 않았고, 필릉가 또한 그에게 요구하지도 않았다.
그 후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성에 들어가 걸식하는데, 왕이 신하들과 함께 누각 위에서 멀리서 그를 보고는 생각하기를 ‘내가 예전에 저 비구에게 동산지기를 주라고 했는데 얻었는지 못 얻었는지 모르겠구나’ 하고는 예전에 명령했던 신하에게 묻자 그가 말했다.
“아직 보내 주지 않았습니다.”
022_1016_b_04L王所勅臣不信樂佛法竟不與之畢陵伽亦不從索後時著衣持鉢入城乞食王與群臣樓上遙見便生是念我先許彼比丘守園人不知得未卽問前所勅臣臣言未與
왕이 다시 물었다.
“내가 칙명한 지 며칠이나 되었는가?”
022_1016_b_08L復問言吾勅來幾日
신하가 말했다.
“벌써 5백 일이 되었습니다.”
왕이 말했다.
“이 날짜 수만큼 사람을 보내주도록 하라.”
022_1016_b_09L臣言已五百日王言隨此日數與之
대신은 분부를 받고 곧 5백 집마다 한 사람씩 그에게 보내도록 했으므로 5백 집에서는 날마다 한 사람씩 뽑혀 방을 청소하고 할 일을 도왔다.
마침 그 마을 사람들이 명절날이 되자 남녀가 장엄하게 꾸며 옷을 곱게 차려입고 밖에 나가 재미있게 노는데, 어느 가난한 여인이 길을 가다가 큰 소리를 내어 슬피 울었다.
022_1016_b_10L大臣奉教卽以五百家家一人與之時五百家日差一人掃除房舍承受所爲時彼村人至節會日男女莊飾衣服璨麗出行遊戲有一貧女行大啼哭
그때 필릉가가 마을에 들어와 걸식하다가 여인이 슬피 우는 것을 보고 그의 어머니에게 물었다.
“당신의 딸은 무엇 때문에 그리도 슬피 웁니까?”
“오늘은 사람들이 모두 옷을 잘 장식하고 나가서 재미있게 노는데, 우리 집은 가난해서 남들처럼 못하므로 그 때문에 슬피 운답니다.”
022_1016_b_14L時畢陵伽入村乞食見女啼哭問其母言汝女何故啼哭如是答言今日諸人皆盛服飾出行遊戲我家貧窮不及於是以悲哭
그때 필릉가는 소가 풀을 뜯는 것을 보고 그의 어머니에게 말했다.
“풀을 조금 가져 오십시오.”
022_1016_b_18L時畢陵伽見牛噉草其母言取少草來
곧 가져다 그에게 주자 필릉가는 풀을 엮어서 신통으로 두 개의 금화만(金華鬘)을 만들어 그 여인의 어머니에게 주면서 말했다.
“천하에는 두 가지 뛰어난 금이 있는데, 염부단금(閻浮檀金)과 신통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당신은 이것을 가져가서 딸에게 주어 쓰게 하십시오.”
그 딸이 그것을 얻고서 아주 기뻐하며 쓰고 나들이를 하자 사람마다 부러워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022_1016_b_19L卽取與之畢陵伽便結草變成二金華鬘與彼女母天下有二種金勝閻浮檀金及神足所化汝可持此與女令著彼女得已極大歡喜便著出入人無不羡
022_1016_c_01L그때 어느 한 사람이 그것을 보고는 미워하고 시샘하여 곧 병사왕에게 알렸다.
아무개 마을 아무개 집에서는 좋은 보물을 얻었습니다. 그 딸이 쓰고 있는 화만은 천하에 견줄 데 없어 대왕의 후궁에게도 아직 없는 것입니다.”
022_1016_b_23L有一人見生憎嫉卽白甁沙王言村某家得好伏藏其女所著華鬘天下無比大王後宮之所未有
왕이 불러서 물었다.
“그대는 보물을 얻었으니, 나에게 보여야 하느니라.”
“저희는 진실로 얻지 못했습니다.”
022_1016_c_03L王卽呼汝得伏藏可以示我答言我實不
왕이 다시 물었다.
“그대의 딸이 쓰고 있는 것은 어디서 얻었는가?”
“그것은 필릉가께서 풀을 엮어서 신통으로 만든 것입니다.”
022_1016_c_05L王復問汝女所著何處得之答言畢陵伽結草化作
왕이 이 말을 듣고 몹시 성을 내며 괴이하게 여기면서 말했다.
“어떻게 풀을 변화시켜 금화만을 만들 수 있단 말인가?”
022_1016_c_06L王聞是語極大嗔云何化草得成金鬘
그리고는 유사(有司)에게 분부하여 가두게 했다.
필릉가가 뒷날 다시 그 마을에 이르렀는데, 전의 그 여인이 큰 소리로 울고 있는 것을 보고 물었다.
“그대는 지금 무엇 때문에 또 슬피 울고 있소?”
“어머니께서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
“어떠한 죄를 지었소?”
“대덕께서 금화만을 주셨기 때문입니다.”
“울지 마시오. 내가 그대를 위해 곧 나올 수 있게 하겠소.”
022_1016_c_07L便勅有司收繫著獄畢陵伽後時復至彼村見先女人方大啼哭問言汝今何故復大啼哭答言家親在獄問言爲何等罪答言由大德施金華鬘語言莫哭當爲汝令尋得出
필릉가가 감옥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가자 그곳의 관리가 보고 문안하고는 말했다.
“대덕께서는 무엇 때문에 몸소 여기에 오셨습니까?”
“동산지기가 감옥에 있다고 하기에 내가 왔소. 당신은 이제 그를 풀어 주시오.”
022_1016_c_12L畢陵伽卽便先往典獄官所典獄官見皆問訊言大德何故抂屈來此答言守園人繫在獄我所以來汝今可爲放出之不
“이 사람은 좋은 보물을 얻었으면서도 왕에게 보여 주지 않았습니다. 만일 왕에게 보인다면 곧 나올 수 있을 겁니다.”
필릉가가 말했다.
“그것은 내가 풀을 엮어서 만든 것이지 보물이 아닙니다.”
그 사람이 말했다.
“풀을 엮어서 금을 만든다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022_1016_c_15L答言此人得好伏藏不以示王若以示王乃可得出畢陵伽言我結草作非是伏藏彼人言結草作金無有是處
필릉가는 곧 그가 앉아 있는 자리를 변화시켜 금 평상으로 만들어 놓고 말했다.
“당신은 지금 자신이 어떤 자리에 앉아 있는가를 보시오.”
자신이 금 평상 위에 앉아 있는 것을 보고 크게 당황하고 두려워하면서 평상에서 내려와 머리를 조아리면서 말했다.
“제발 용서하여 주시고 빨리 이 변화를 풀어 주소서. 만일 왕께서 제가 금 평상에 앉아 있었다는 것을 들으시면 반드시 무거운 벌을 내릴 것입니다.”
022_1016_c_18L陵伽卽變其所座皆作金牀語言今自見坐於何座卽皆自見坐金牀便大惶怖下牀叩頭願見垂恕爲解之若王聞我坐金牀上必重見
필릉가가 말했다.
“동산지기를 놓아 주시오. 그런 뒤에 당신을 풀어 주겠소.”
그가 말했다.
“그것은 제 마음대로 하지 못합니다.”
“그러면 누가 마음대로 하오?”
“왕께서 마음대로 하십니다.”
022_1016_c_23L畢陵伽言放守園人然後解汝此不見由問言由誰答言由王
022_1017_a_01L필릉가가 곧 그를 위해 변화를 소멸시킨 뒤에 날아가 왕에게 가서 공중에 머물러 있었다. 그때 왕이 높은 누각에 있다가 보고 곧 예배하고는 물었다.
“대덕께서는 무슨 일 때문에 오셨습니까?”
“동산지기가 감옥에 있다기에 제가 왔습니다. 그를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022_1017_a_01L陵伽卽爲滅已飛往王所住於空中時王在高樓上見卽作禮問言大德以何故來答言守園人繫在獄我所以來願爲放出
“그 사람은 좋은 보물을 얻었습니다. 만일 나에게 보여 주기만 하면 나올 수 있습니다.”
“내가 풀을 엮어서 만든 것입니다. 그것은 보물이 아닙니다.”
“풀을 엮어서 금을 만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022_1017_a_05L王言彼人得好伏藏若以示我乃得出耳畢陵伽言我結草作非是伏藏王言結草作金無有是處
그때 필릉가가 지팡이로 왕의 누각 기둥을 두드려서 누각을 금으로 변화시켜 놓고 물었다.
“왕이여, 이 높은 누각은 어떤 물건으로 지었습니까?”
왕이 보고 기뻐하면서 곧 분부하여 그를 놓아 주게 했다.
022_1017_a_08L時畢陵伽便以杖叩王樓柱化成金樓問言王此高樓用何物作王見歡喜卽勅放之
필릉가는 이와 같이 네 번의 신통을 나타내었는데, 당시의 모든 백성들은 신통 변화를 듣거나 보고는 부처님과 법과 승가에 대해 믿고 좋아하는 마음을 내었다. 그리고는 스님들에게 전식(前食)ㆍ후식(後食)2)ㆍ달발나(怛鉢那)3)와 때 아닌 때의 음료[非時漿]4)와 목욕할 때의 여러 가지 기구들과 몸과 바르고 등불을 켜는 기름 등을 보시했다.
022_1017_a_10L畢陵伽如是展轉四現神足時諸人民聞見神變佛法衆生信樂心施僧前食後食鉢那非時漿洗浴衆具塗身塗足及然燈油
그때 승가 대중이 생소(生酥 : 우유를 가공한 식품)ㆍ숙소(熟酥 : 우유를 숙성시킨 식품)ㆍ기름ㆍ꿀ㆍ사탕 등을 많이 얻어서 다 먹을 수 없었으므로 땅에 쌓아 두었다. 그런데 그것들이 곳곳에 흘러 옷ㆍ평상ㆍ자리ㆍ침구들을 더럽히자 여러 거사들이 보고 물었다.
“이것은 누구의 물건들입니까?”
어떤 사람이 대답했다.
“이것은 사문 석자들이 쌓아 둔 것들입니다.”
022_1017_a_14L爾時衆僧多得生熟酥油石蜜食不能盡積聚在地處處流漫污埿衣服牀席臥具諸居士見問言此是誰物有人答言是沙門釋子之所稸積
여러 거사들이 말했다.
“사문 석자들은 스스로 음식을 절제한다고 말하면서도 이와 같이 쌓아 놓고 마음껏 먹고 있구나. 이들은 해탈을 구하여 나고 늙고 죽는 것을 여의어야 하는데도 지금 이와 같이 맛있는 것만을 구할 뿐이니,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다.”
022_1017_a_18L諸居士言沙門釋子自言節積聚如此恣意噉之此等爲求解離生老死而今但求如此美味沙門行破沙門法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7_a_21L諸長老比丘聞種呵責以事白佛佛以是事集比丘問諸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17_b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하룻밤을 지난 소(酥)ㆍ기름ㆍ꿀ㆍ사탕을 먹는 것을 허락하지 않나니, 범하면 돌길라이니라.”
022_1017_b_01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從今不聽食宿受酥油石蜜犯者突吉
그때 여러 비구가 병들었는데 정인(淨人)5)
을 얻어 날마다 시중 받을 수도 없고 돈도 없고 또 먹을 것을 구할 곳도 없었으므로 여러 비구가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병든 비구들은 묵은 소ㆍ기름ㆍ꿀ㆍ사탕을 먹되, 여섯 밤까지는 허락하느니라.”
022_1017_b_03L時衆多比丘病不能得淨人從日日受亦無錢直又無買處諸比丘不知云何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諸病比丘食宿受酥油石蜜乃至六夜
그때 여러 비구가 엿새 밤을 지났다. 장로 비구들은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7_b_08L時諸比丘復過六長老比丘種種呵責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022_1017_b_11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병이 들어서 네 가지 함소약(含消藥), 즉 소ㆍ기름ㆍ꿀ㆍ사탕을 먹되 한 번 받으면 7일까지이니, 만일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7_b_12L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病得服四種含消藥石蜜一受乃至七日若過尼薩耆波逸提
만일 1일에 받고 2일에 다시 받고 나아가 7일에 이르기까지 다시 받아 놓았다가 8일 새벽 동틀 때까지 이르게 되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니, 마땅히 아뢰고 승가에 버려야 한다. 승가는 속인이나 사미에게 주거나 등불을 켜거나 발에 바르는데 써야 하니, 오직 약을 버린 비구는 사용할 수 없고 여러 비구도 먹을 수 없느니라.
022_1017_b_15L若一日得受二日更得受至七日更得受留至八日明相出時皆尼薩耆波逸提應白捨與僧僧捨與白衣若用然燈若用塗足唯捨藥比丘不得用一切比丘不得噉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다섯 번째를 마침
022_1017_b_20L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十五竟
022_1017_c_01L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8월 도둑6)이 있었는데 언제나 엿보다가 사람을 붙잡아 죽이고는 하늘에 제사지냈으므로 모든 백성들과 비구들이 놀라고 두려워했다.
제삿날이 다 되어가는 데도 아직 얻은 것이 없자 도둑들이 함께 의논했다.
“아련야(阿練若) 처소에 반드시 비구가 있을 것이니 그들을 잡아오면 쉽게 얻을 것이다.”
022_1017_b_22L佛在舍衛城爾時有八月賊常伺捕殺以祠天一切人民及諸比丘無不驚怖祠日垂至而未有所獲賊共議言阿練若處必有比丘取之易得
그리고는 곧 한 처소로 갔으나 모든 비구들이 이미 듣고 도망가 버렸으므로 도둑들은 얻는 것이 없자 다시 함께 의논했다.
“다른 곳으로 가야겠다. 게으름을 피우다가 제삿날에 실수가 있으면 안 된다.”
022_1017_c_03L卽往一處諸比丘聞各各逃走賊無所得復共議言當至餘處不得懈惰以失祠日
그때 그 여럿 가운데 도를 닦다가 그만둔 이가 하나 있었는데, 여러 사람들에게 말했다.
“내가 듣건대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비구가 옷을 떠나서 하룻밤이라도 자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했으므로 함께 지키고 있으면 날이 훤하게 밝을 때 반드시 그들이 돌아올 것이다.”
여러 사람들이 말했다.
“만일 그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너를 죽일 것이다. 네가 후회하지 않는다면 우리들은 머물러 있겠다.”
“좋다.”
022_1017_c_06L時彼衆中有一罷道者語衆人言我聞佛教不聽比丘離衣一宿但共守之向曉必還衆人言若彼不還便當殺汝汝若不恨吾等當住答言甚善
그리하여 도둑들이 머물러 있었는데, 그때 여러 비구는 옷을 떠나서 자는 죄를 범할까 두려워 새벽이 되자 모두 돌아왔다.
도둑들이 물었다.
“너희들은 우리가 이미 떠난 줄 알았겠지?”
“우리는 너희들이 있는 것을 알았지만 부처님께서 우리들에게 옷을 떠나서 자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돌아왔을 뿐이다.”
022_1017_c_10L於是群賊便住時諸比丘懼犯離衣宿罪後夜悉還賊問言謂吾已去耶答言我知汝在佛不聽我離衣宿是故還耳
도둑들은 곧 그들을 죽여서 피를 필요로 하면 피를 취하고, 살을 필요로 하면 살을 베었다. 나머지 죽지 않은 이들이 생각하기를 ‘세존께서 만일 8월 달이 다 차기까지 낱낱의 옷을 경계 안의 속인 집에 맡겨 놓는 것을 허락만 하셨다면 이런 재난을 만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했다.
022_1017_c_13L賊卽殺之須血取血須肉割肉餘不死者作是念尊若聽我等未滿八月日寄一一衣著界內白衣家者不遭此難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모든 아련야 비구에게 허락하노니, 안거 3개월 동안과 아직 8월이 다 차기까지는 낱낱의 옷을 경계 안의 속인 집에 맡겨 놓고 떠나서 자도 죄가 없느니라.”
022_1017_c_16L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諸阿練若處比丘安居三月未滿八月寄一一衣著界內白衣家離宿無罪
어떤 비구들은 마을에 가까이 머물면서도 낱낱의 옷을 경계 안의 속인의 집에 맡겨 놓고 떠나서 잤으므로 여러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을 가까이에 머물면서 옷을 떠나서 자는 것은 허락하지 않느니라.”
022_1017_c_20L有諸比丘近聚落住亦寄一一衣著界內白衣家離宿諸比丘以是白佛佛言聽近聚落住離衣宿
022_1018_a_01L또 어떤 비구는 아련야이지만 두려움이 없는 곳인데도 옷을 떠나서 자는 이가 있었으므로 여러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또한 아련야이지만 두려움이 없는 곳에서는 옷을 떠나서 자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며, 두려움이 있다고 의심이 난 뒤에라야 허락하느니라.”
022_1017_c_23L復有比丘於阿練若無恐怖處離衣宿諸比丘以是白佛佛言亦不聽阿練若無恐怖處離衣宿有疑恐畏然後乃聽
그때 여러 비구가 옷을 남의 집에 맡겨 놓고는 가서 돌보지 않은 지가 오래되어 습기가 차고 벌레가 생기고 썩었다.
여러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반드시 가서 볕에 쪼여야 하느니라.”
022_1018_a_03L時諸比丘寄衣他家都不往視日久濕穢嚙腐爛諸比丘以是白佛佛言應往視曬
그때 여러 비구가 너무 자주 가자, 거사들이 싫어하고 미워했다.
여러 비구가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10일에 한 번 가보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18_a_06L時諸比丘便數數往居士惡厭諸比丘以是白佛佛言聽十日一視
그때 여러 비구가 승가에 관한 일, 탑에 관한 일, 화상이나 아사리에 관한 일, 그 밖의 다른 일로 경계 밖에 나가야 하는데도 옷 때문에 나갈 수가 없었다.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중요한 일이 있어서 자신이 경계 밖으로 나가야 할 경우에는 옷을 떠나서 하룻밤 자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18_a_07L時諸比丘有僧事塔事和尚阿闍梨及以他事須出界外爲衣故不敢以是白佛佛言若有事要須自出界外聽離衣一宿
그런데 여러 비구가 경계 밖으로 나가서 하룻밤을 자고는 일을 아직 마치지 못했으므로 다시 돌아와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섯 밤까지 자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18_a_11L諸比丘出界外一宿其事未畢復還白佛佛言聽六宿
여섯 밤까지 자는 것을 허락하시자 여러 비구가 거칠고 해진 옷을 입고 가서 여섯 밤을 지나는 자가 있었다. 장로 비구가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8_a_12L聽六宿諸比丘便著麤弊衣行過六宿者長老比丘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아련야 처소에 머물 때에 안거 3개월 동안과 아직 8월이 다 차기 전에 두려움이 있는 처소이면 낱낱의 옷을 경계 안의 속인 집에 맡겨 놓는 것을 허락한다. 만일 인연이 있어서 경계 밖으로 나가게 되면 이 옷을 떠나서 자되 여섯 밤까지이니, 만일 초과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8_a_16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住阿練若處安居三未滿八月若處有恐怖聽寄一一衣著界內白衣家若有因緣出界外離此衣宿乃至六夜若過尼薩耆波逸提
022_1018_b_01L‘안거 3개월 동안’이라는 것은 전안거(前安居)요, ‘아직 8월이 다 차기 전’이라는 것은 후안거(後安居)이니라. ‘낱낱의 옷’이라는 것은 승가리나 우다라승이니, 중히 여기는 한 가지 옷을 맡기는 것이니라. 그러나 안타회는 맡길 수 없으니 몸에 입고 있기 때문이니라. 예배하러 승가에 들어갈 때나 걸식할 때는 한 벌만 입을 수는 없기 때문에 두 가지를 맡길 수 없느니라.
022_1018_a_22L安居三月者前安居未滿八月者安居一一衣者若僧伽梨若優多羅隨所重寄一衣不得寄安陁會著身故禮拜入僧乞食不得單著故不得寄二
‘인연이 있어 경계 밖으로 나가서 여섯 밤을 잔다’는 것은 만일 탑에 관한 일이나 화상ㆍ아사리에 관한 일이나 그 밖의 다른 일이 있어서 낱낱의 옷을 속인의 집에 맡겨 놓고 경계 밖을 나갈 경우, 아무리 많아도 여섯 밤까지만 밖에서 자야한다는 것이니라. 만일 하룻밤이나 이틀 밤 나아가 닷새 밤까지 자면서, 일을 마쳤는데도 돌아오지 않으면 돌길라이며 사미도 돌길라이니라.”열여섯 번째를 마침
022_1018_b_04L有因緣出界外六宿者有塔事和尚阿闍梨及以他事留一一衣白衣家出界外極至六宿若一宿二宿乃至五宿事訖不還突吉羅沙彌突吉羅十六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비사거녹자모(毘舍佉鹿子母)는 부처님과 스님들께 다음날 음식을 베풀겠다고 청했다.
그날은 마침 하늘에서 비가 무섭게 왔는데, 그 비는 마치 역사(力士)가 팔을 폈다 구부렸다 하는 잠깐 동안에도 한 발우에 가득히 찼다. 그러나 땅이 이 빗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마치 한 방울의 기름이 뜨거운 모래 더미에 떨어진 것과 같았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물이 많이 넘쳐서 큰 바다를 이루었을 것이다.
022_1018_b_08L佛在舍衛城爾時毘舍佉鹿子母請佛及僧明日設食其日正遇天恐怖其雨如力士屈申臂頃便滿一鉢地受此水如一渧油落熱沙聚若不爾者浩成大海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 기원(祇洹) 안에 비가 내리는 것처럼 온 염부제(閻浮提)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너희들은 나가서 목욕을 하여라. 이것이 마지막 평등한 비이니라.”
그러자 여러 비구는 빗속으로 가서 알몸으로 목욕했다.
022_1018_b_13L佛告諸比丘如今祇洹中雨遍閻浮提亦復如是汝等可於中洗浴此是最後平等之雨比丘卽出雨中裸形而浴
그때 비사거가 여종을 보내 부처님께 “밥이 다 되었습니다”라고 아뢰게 했다. 여종이 기원에 이르자 비구들이 모두 알몸으로 목욕하는 것을 보고 ‘이들은 외도(外道)이지, 비구가 아니구나’라고 생각하고는 돌아가 그 같은 일을 알렸다.
비사거가 생각하기를 ‘필시 비구들이 한데에서 목욕하는 것을 보고 어리석은 여종이 모르고 이들을 외도라고 여긴 것일 게다’ 하고는 다시 보내면서 말했다.
“너는 기원의 문에 이르러 소리 내어 ‘밥이 다 되었으니 성인이시여, 때가 되었음을 아소서’라고 하여라.”
022_1018_b_16L時毘舍佉遣婢白佛食具已辦婢至祇洹見諸比丘皆裸形浴作是念此是外道是比丘還白如是毘舍佉作是念是比丘露地洗浴癡婢不知謂是外卽復遣言汝至祇洹門作如是唱食具已辦唯聖知時
022_1018_c_01L여종은 가서 기원의 문에 이르러 분부대로 외치려 했다. 그런데 그때 여러 비구가 목욕을 마치고 방으로 들어가서 한 사람도 보이지 않았으므로 또 생각하기를 ‘아까 여기에 가득한 외도들이 지금은 하나도 보이지 않는구나’라고 했다. 그리고는 돌아와서 다시 앞에서와 같이 아뢰었다.
비사거가 또 생각하기를 ‘필시 그들은 비구들로서 목욕을 마치고는 편히 쉬고 있을 것이다’ 하고는 다시 보내면서 말했다.
“너는 문으로 들어가 마당에서 큰 소리로 외쳐라.”
022_1018_b_22L婢卽復往至祇洹門欲如勅唱時諸比丘浴竟還房不見一人復作是念向滿中外道不復見卽便還歸復白如此毘舍佉復作是念必是比丘浴竟宴息復更遣言汝可入門於庭中唱
다시 분부를 받고 기원의 문으로 들어가 마당에서 외치자, 부처님께서는 그 소리를 들으시고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비사거가 때가 되었다고 아뢰었으니, 너희들은 모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서 함께 그의 청을 받아라.”
022_1018_c_04L卽復受教入祇洹門庭中唱之佛聞唱聲告諸比丘毘舍佉已白時到汝等皆著衣持鉢共受彼請
여러 비구가 분부를 받들어 모두 보회강당(普會講堂)에 모이자 여종은 그제야 앞으로 나아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밥이 다 되었사오니 성인이시여, 때가 되었음을 아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먼저 가거라. 뒤따라가겠다.”
022_1018_c_07L諸比丘奉勅盡集普會講堂婢方進前更白佛言食具已唯聖知時佛言汝可先去當隨後
이에 세존께서는 역사(力士)가 팔을 굽혔다가 펴는 잠깐 동안에 여러 비구와 함께 보회강당에서 사라져 비사거가 펴놓은 자리 위로 솟아나왔는데 옷은 젖지 않았다.
비사거는 부처님과 스님들이 홀연히 자리에 계시는데 옷이 젖지 않은 것을 보고 생각하기를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데도 옷이 젖지 않으셨구나. 이와 같은 거룩하신 성인과 그 제자들께 공양하게 되니, 나는 좋은 이익을 얻겠구나’라고 했다. 그리고는 크게 기뻐하면서 갖가지 맛있는 음식을 손수 가져다 드렸다. 식사가 다 끝나자 물을 돌리고는 두 손을 맞잡아 합장하고 한쪽에 서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의 원을 허락해 주소서.”
022_1018_c_10L於是世尊如力士屈申臂頃與諸比丘沒普會講堂踊出毘舍佉所敷座上衣服不濕毘舍佉見佛及僧忽然在座衣服不濕作是念我得善利供養如是聖師及聖弟子天雨洪注而衣服不濕歡喜踊躍種種美食手自下之食畢行水叉手合掌在一面白佛言願世尊與我願
부처님께서는 비사거에게 말씀하셨다.
“부처는 세간에 대한 모든 원을 영원히 여의었느니라.”
비사거가 다시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청정한 원을 허락해 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으니라.”
022_1018_c_17L佛告毘舍佛於世閒諸願永離毘舍佉復白願佛與我淸淨可得之願佛言
022_1019_a_01L비사거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른 아침에 여종을 보내어 ‘밥이 다 되었습니다’라고 아뢰게 했는데, 여러 비구가 알몸으로 목욕하는 것을 여종이 보고는 돌아와 저에게 말하기를 ‘기원에는 모두 외도들이고 비구는 없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비구들로서 화상이나 아사리 앞에서 알몸으로 목욕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이시여, 모든 비구들에게 우욕의(雨浴衣)를 간직하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의 모든 비구들에게 우욕의를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8_c_20L毘舍佉白佛言世尊我晨朝遣婢白食具已辦見諸比丘皆裸形浴便還語我祇洹中盡諸外道無有比丘世尊云何比丘於和尚阿闍梨前裸形浴願佛聽諸比丘畜雨浴衣我當盡命供給舍衛城諸比丘雨浴衣
또 말했다.
“제가 근간에 사소한 일이 있어 아이라하(阿夷羅河)에 이르렀는데, 여러 비구니들이 강에서 옷을 벗고 목욕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때 사람들이 보고 모두 히죽거리면서 말하기를 ‘여인은 옷을 입고 해야 하거늘 하물며 출가한 사람이 알몸이라니’라고 했습니다.
부처님이시여, 모든 비구니에게 수욕의(水浴衣)를 간직하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의 모든 비구니들에게 수욕의를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02L我近小緣至阿夷羅河見諸比丘尼在於河中裸形洗浴時人見之形笑言女人著衣猶尚無好況出家而裸形體願佛亦聽諸比丘尼畜水浴衣我亦盡命供給舍衛城諸比丘尼水浴衣
또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세 가지 병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는 약을 얻거나 약을 얻지 못하거나 간에 죽고, 둘은 약을 얻거나 약을 얻지 못하거나 간에 낫고, 셋은 약을 얻으면 낫고 약을 얻지 못하면 죽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모든 비구들에게 여러 약을 먹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의 모든 비구들에게 약을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08L又言佛說有三種病得藥不得藥死二種得藥不得藥三種得藥差不得藥死願聽諸比丘服諸藥我亦盡命供給舍衛城諸比丘藥
또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세 가지 병을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는 병에 맞는 음식을 얻거나 병에 맞는 음식을 얻지 못하거나 간에 죽고, 둘은 병에 맞는 음식을 얻거나 병에 맞는 음식을 얻지 못하거나 간에 낫고, 셋은 병에 맞는 음식을 얻으면 살고 병에 맞는 음식을 얻지 못하면 죽는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모든 비구들에게 병에 맞는 음식을 먹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의 모든 비구들에게 병에 맞는 음식을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12L又言佛說三種病一種得隨病食不得隨病食死二種得隨病食不得隨病食活三種得隨病食活得隨病食死願聽諸比丘食隨病食我亦盡命供給舍衛城諸比丘隨病
또 말했다.
“간병(看病)하는 사람이 걸식을 하게 되면 간병을 못하게 되옵니다. 모든 비구들에게 간병하는 사람의 밥을 받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에서 간병하는 사람에게 밥을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17L又言看病人若乞食則有所廢聽諸比丘受看病人食我亦盡命供給舍衛城看病人食
또 말했다.
“객 비구는 길을 다니느라 고달프고 처음 와서는 어느 곳에서 걸식하는지도 잘 모릅니다. 모든 비구들에게 제가 주는 객 비구의 밥을 받도록 허락하시어 고달픈 몸을 쉬게 하고 걸식하는 처소도 알게 하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에 오는 객 비구에게 밥을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19L又言客來比丘行路疲極始至不知何處乞食願聽諸比丘受我客比丘食令息疲極知乞食處我亦盡命供給舍衛城客比丘
022_1019_b_01L또 말했다.
“멀리 가는 비구가 마을에 들어가서 걸식하게 되면 도반을 따라잡지 못해 엉뚱한 길에 이르거나 8월의 도둑7)을 만나거나 길을 잃기도 합니다. 멀리 가는 비구에게 제가 주는, 멀리 갈 때 먹을 밥을 받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에서 멀리 가는 비구에게 밥을 공급하겠습니다.”
022_1019_a_23L又言若有遠行比丘入村乞食便不及伴至迥道中或遇八月賊或失道徑願聽遠行比丘受我遠行食我亦盡命供給舍衛城遠行比丘食
또 말했다.
“저는 ‘세존께서 아나빈두국(阿那頻頭國)에서 모든 비구들에게 죽을 먹도록 허락하셨다’고 들었습니다. 모든 비구들에게 저의 죽을 받도록 허락해 주소서. 저는 또한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위성의 모든 비구들에게 죽을 공급하겠습니다.”
또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의 목숨이 다할 때까지 옷과 밥과 탕약을 받으소서.”
022_1019_b_03L又言我聞世尊聽阿那頻頭國諸比丘食願聽諸比丘受我粥我亦盡命供給舍衛城諸比丘粥又白佛言願世尊受我盡命衣食湯藥
부처님께서 비사거에게 물으셨다.
“너는 어떠한 이익을 보았기에 이러한 아홉 가지 원을 구하는 것이냐?”
“이 나라에는 여러 지방의 비구들이 와서 세존께 문안합니다. 만일 ‘저곳의 아무개 비구가 목숨을 마쳤는데,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을 얻었다’고 하면, 저는 그에게 묻기를 ‘그 비구는 일찍이 여기에 온 적이 있습니까?’라고 합니다. 그러면 대답하기를 ‘일찍이 온 일이 있습니다’라고 하면, 저는 생각하기를 ‘그 비구는 반드시 일찍이 내가 드린 한 번의 공양이라도 받았을 것이다’ 하고는 기뻐하고 선근(善根)을 더욱더 늘릴 것입니다.”
022_1019_b_07L佛問毘舍佉汝見何義利索是九願答言此國當有諸方比丘來問訊世尊若云彼處某甲比丘命過得須陁洹斯陁含那含阿羅漢我當問之彼比丘曾來此不答言曾來我作是念彼比丘必曾受我乃至一種供養便生歡喜益善根
이에 세존께서 비사거에게 말씀하셨다.
“너에게 여덟 가지 원은 허락하나 한 가지 원8)은 허락할 수 없느니라.”
그때 비사거는 조그마한 상을 가져다 부처님 앞에 놓고 앉아서 부처님께 따라 기뻐하는 게송[隨喜偈]을 읊었다.
022_1019_b_14L於是世尊語毘舍佉聽汝八一願不可得時毘舍佉取小牀於佛前坐佛爲說隨喜偈

기뻐하면서 음식을
부처님과 성스러운 제자에게 보시하면
복을 갖추고 아끼고 탐하는 마음을 깨뜨리며
받는 과보는 늘 기쁘고 즐겁습니다.
022_1019_b_16L歡喜施飮食
佛及聖弟子
設福破慳貪
受報常欣樂

천상에 나면 수명이 길고
여기에 돌아오면 번뇌에 물듦을 여의며
법을 행한 큰 과보로
길이 정천(淨天)의 즐거움에 머무나이다.
022_1019_b_18L生天壽命長
還此離染塵
行法之大果
長處淨天樂
022_1019_c_01L
그때 세존께서는 다시 그를 위해 갖가지 미묘한 법을 말씀하시어 가르쳐 보이시고 이롭고 기쁘게 하셨다. 그리고는 기원으로 돌아가셔서 여러 비구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모든 비구들은 우욕의를 받고, 비구니들은 수욕의를 받고, 병에 맞는 약과 병에 맞는 음식과 간병하는 사람의 밥과 객 비구의 밥과 멀리 가는 비구의 밥과 그리고 죽을 받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022_1019_b_19L爾時世尊更爲說種種妙法示教利還祇洹集諸比丘讚少欲知足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諸比丘受雨浴衣諸比丘尼受水浴衣隨病藥隨病食看病人食客比丘食遠行比丘食及粥
그때 여러 비구가 생각하기를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우욕의를 간직하도록 허락하셨다’ 하고는 언제나 구걸하여 간직하면서도 수지(受持)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淨施)하지도 않고, 옷을 무겁게 꾸려 짊어지고 다녔으므로 여러 비구가 물었다.
“그대는 부처님께서 ‘여분의 옷을 간직하지 말라’고 하신 것을 듣지도 못했습니까?”
“부처님께서 비록 금제하셨어도 우욕의를 간직하는 것은 허락하셨습니다.”
022_1019_c_02L時諸比丘作是念佛聽我等畜雨浴衣便常乞畜不受不施人不淨施擔重擔衣行諸比丘見問言汝不聞佛制畜長衣耶佛雖有制而聽畜雨浴衣
여러 비구가 또 물었다.
“그대들은 언제나 우욕의를 간직하고서 수지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022_1019_c_06L諸比丘又問汝等常畜雨浴衣不受持不施不淨施耶答言如是
여러 장로 비구들이 갖가지로 꾸짖고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19_c_08L諸長老比丘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설하기를 ‘비구는 봄의 남은 한 달 동안9)에 우욕의를 구해야 하고, 남은 반 달 동안10)에는 마땅히 지녀야 한다. 만일 아직 한 달이 되기도 전에 구하거나 반 달 먼저 지니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19_c_11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春餘一月應求雨浴衣餘半月應持若未至一月求先半月尼薩耆波逸提
‘우욕의’라는 것은 비로 목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름에 목욕할 때에도 사용한다. 만일 봄의 남은 한 달에 이르러 먼저 우욕의를 보시하겠다고 허락한 이가 있으면, 비구는 그에게 가서 말하기를 ‘지금이 바로 우욕의를 깁고 물들이고 지을 때입니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만일 얻으면 좋겠지만 얻지 못하면 다시 그에게 말하기를 ‘모든 곳에서는 이미 우욕의를 깁고 물들이고 짓고 있습니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만일 얻으면 좋겠지만 얻지 못하면 다시 그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먼저 아무개 비구에게 우욕의를 주겠다고 허락했습니다.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만일 얻으면 좋겠지만 얻지 못하면 그 비구는 다른 곳에서 구걸해야 하느니라.
022_1019_c_15L雨浴衣者雨浴時用夏浴時亦用至春餘一月先有許施雨浴衣者識比丘應爲往語言今是縫染作雨浴衣時若得者善若不得應更爲語諸處皆已縫染作雨浴衣若得者善若不得復應爲語汝先許與某比丘雨浴衣今正是時若得者善若不得彼比丘應更餘處乞
022_1020_a_01L간직하는 것은 8월의 반11)까지이니, 135일 동안 지니는 것이고, 만일 이를 지난 경우, 다른 옷으로 만들지 않거나 수지하지 않거나 남에게 보시하지 않거나 정시(淨施)하지 않으면 돌길라이니라. 사미도 돌길라이니라.”열일곱 번째를 마침
022_1019_c_23L畜至八月半三十五日持若過此不作餘衣不受不施人不淨施突吉羅沙彌突吉十七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6군 비구가 장사꾼 마을에 이르자 장사꾼이 말했다.
“장로여, 여기에 머물면서 안거하십시오. 저희들이 갔다가 돌아와서 안거의 물건을 보시하겠습니다.”
022_1020_a_03L佛在舍衛城爾時六群比丘到估客估客言長老住此安居我等行還當施安居物
6군 비구가 말했다.
“우리들을 머물게 하려면 지금 보시하십시오. 우리는 안거 동안 옷을 만들어 안거가 끝나면 입고 부처님께 문안드리겠습니다.”
장사꾼이 함께 의논했다.
“우리들이 안거의 물건을 보시하면 비구들은 당연히 머무를 것이므로 집안 사람 모두 법의 말씀을 듣게 되고 8분계(分戒)12)를 받아 몸과 입과 뜻이 청정하게 될 것이오.”
그리고는 곧 물건을 거두어 그들에게 주고 떠나갔다.
022_1020_a_06L六群比丘言欲令我住便可施我我安居中作衣安居竟著問訊佛估客共議我等先施安居物比丘當住家中大小得聞法言受八分戒淨身口意便斂物與之然後乃
그때 6군 비구는 안거의 물건을 받고는 장사꾼이 떠나간 뒤에 곧 다른 곳으로 가버렸다.
그때 여러 장사꾼들이 이익을 얻고 돌아와서 집안 사람에게 말했다.
“내가 앞서 여러 비구에게 안거의 물건을 보시했어도 이제 이익을 얻고 안온하게 돌아왔으니 다시 공양해야겠소. 당신들은 편안하게 법을 들었소?”
집안 사람이 대답했다.
“여러 비구는 당신들이 떠나간 뒤에 바로 가버렸습니다.”
022_1020_a_11L時六群比丘得安居施物估客去便至餘處時諸估客得利還歸家人言我先雖施諸比丘安居物旣得利安隱來還當更供養汝等安意聽法家人答言諸比丘行後便去
여러 장사꾼들이 또 근처에서 여러 비구를 청하자 그 비구들이 대답했다.
“당신들은 먼저 청한 이들에게 공양해야 합니다. 우리들은 당신들의 공양을 받을 수 없습니다.”
022_1020_a_15L諸估客更於近處請諸比丘諸比丘答言汝可供養先所請者我等不得受汝供養
그때 여러 장사꾼들이 성을 내어 말했다.
“우리들이 본래 스스로 보시한 것은 안거 동안 머물라고 한 것인데, 물건을 받고는 떠나가 버렸으니 훔친 것과 무엇이 다르겠소.”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6군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0_a_18L時諸估客便瞋恚言我本自施住此安居受物而去與偸何異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六群比丘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안거 동안에 안거의 물건을 보시 받는 것을 허락하지 않나니 범하면 돌길라이니라.”
022_1020_a_22L佛種種呵責告諸比丘從今不聽於安居內受安居施犯者突吉羅
022_1020_b_01L그때 바사닉왕(波斯匿王)이 변경에 도둑이 있으므로 을사달다(乙師達多)와 부란나(富蘭那)13)를 파견하여 토벌하게 하자, 두 사람은 함께 의논했다.
“우리들이 지금 가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함께 물건들을 내어 비구에게 공양해야겠습니다.”
022_1020_b_01L爾時波斯匿王邊境有賊遣乙師達多富蘭那往討伐之二人共議我等今行或能沒命當共出物供養比丘
그리고는 재물을 가지고 비구에게 가서 말했다.
“우리는 지금 도둑을 토벌하러 가는데 돌아오지 못할까 두렵습니다. 이 물건을 보시하니 저희들을 위해 받아 주십시오.”
여러 비구가 생각하기를 ‘세존께서 우리들에게 안거 동안에는 안거의 물건을 보시 받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으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구나’ 하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아난에게 물으셨다.
“자자(自恣)까지는 며칠 남았느냐?”
“10일 남았습니다.”
022_1020_b_04L卽持財物詣比丘所語言我今討賊恐不得還以此物施願爲受之諸比丘作是念世尊不聽我等安居內受安居施不知云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阿難言自恣餘幾日答言餘十日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모든 비구들은 전후(前後) 안거의 자자에 이르기 10일 전부터 급히 보시하는 옷을 받는 것을 허락하노라.”
022_1020_b_09L佛種種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丘從今聽諸比丘前後安居未至自恣十日受急施衣
부처님께서 이미 급히 보시하는 옷은 받아도 된다고 허락하시자 여러 비구는 언제나 간직하면서도 수지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고, 옷을 무겁게 꾸려 짊어지고 곳곳으로 돌아다녔다. 그러자 여러 장로 비구들이 보고 물었다.
“그대는 부처님께서 ‘여분의 옷을 간직하지 말라’는 것을 듣지도 못했습니까?”
“부처님께서 비록 금제하셨어도 급히 보시하는 옷을 받는 것은 허락하셨습니다.”
여러 비구가 또 물었다.
“그대들은 언제나 급히 보시한 옷을 간직하면서도 수지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022_1020_b_12L佛旣聽受急施衣諸比丘便常畜不受持不施不淨施擔重擔衣處處遊行諸長老比丘見問言汝不聞佛制畜長衣耶答言佛雖有制而聽受急施衣諸比丘又問汝等常畜急施衣不受持施人不淨施耶答言如是
여러 장로 비구들이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러했느냐?”
“실제로 그러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0_b_18L諸長老比丘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20_c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언제나 급히 보시한 옷을 간직하면서도 수지하지 않고, 남에게 보시하지도 않고, 정시하지도 않는 것을 허락하지 않나니, 옷 때[衣時]14)까지는 허락하노라.”
옷 때까지 허락하셨는데 여러 비구는 옷 때를 지나고도 간직했다. 장로 비구들이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0_b_21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從今不聽常畜急施衣不受持不施不淨施聽至衣時旣聽至衣時比丘猶過衣時畜長老比丘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전후 안거의 자자에 이르기 10일 전에 급히 보시하는 옷을 얻게 될 경우, 필요하면 받되 옷 때까지이다. 만일 더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0_c_03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後安居十日未至自恣得急施衣須應受乃至衣時若過尼薩耆波逸
‘급히 보시하는 옷’이라는 것은 군사의 일로 가거나 아이를 낳으려 하는 부인 등이 급할 때의 보시로, 때를 지나면 보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이니라.
‘옷 때’라는 것은 가치나옷을 받았을 때이고, 가치나옷을 버린 뒤에는 옷 때가 아니니라.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여덟 번째를 마침
022_1020_c_08L急施衣者若軍行若垂產婦如是等急時施過時不復施衣時者受迦絺那衣時捨迦絺那衣已名非衣時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突吉羅十八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跋難陁)가 한 장사꾼으로부터 때 아닌 때에 발우를 구걸하면서 말했다.
“나는 지금 발우가 필요하니 주셔야겠습니다.”
“대덕이여,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지금 여러 장사꾼들의 모임이 있는데, 만일 제 시간에 가지 못하면 벌금 5백 금전을 내야 합니다.”
022_1020_c_12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從一估客非時乞鉢語言我今須鉢可以見與答言大德小待今諸估客會若不及罰金錢五百
발난타가 말했다.
“나는 당신이 ‘정진하면서 도를 닦는 이에게 공급한다’고 들었는데 이제는 어찌하여 공덕의 업을 버리고 세속의 일을 먼저 한단 말입니까?”
022_1020_c_16L跋難陁言我聞汝精進供給行道而今云何捨功德業於俗事
장사꾼이 듣고 나서 생각하기를 ‘비록 벌금을 물더라도 반드시 먼저 보시해야겠구나’ 하고는 곧 발우를 사서 그에게 주고 갔으나 제시간에 맞추지 못하게 되었다.
여러 사람들이 말했다.
“벌금을 물어야 합니다.”
그러자 장사꾼이 말했다.
“나는 사사로운 일로 여러 사람들의 규칙을 어긴 것은 아닙니다. 사문이 나에게 발우를 구걸하기에 저버릴 수가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제 때에 못 왔습니다.”
022_1020_c_18L估客聞已作是念正使被罰要當先施便爲買鉢與之乃往遂不及期衆人見已皆言應罰估客言不以私違衆人制沙門從我乞鉢能得捨故不及耳
022_1021_a_01L부처님의 법을 믿지도 좋아하지도 않은 이들이 모두 말했다.
“하나의 사문을 위해 여러 사람의 규칙을 어겼으므로 마땅히 무거운 벌을 내려야 합니다.”
그리고는 그에게 벌금을 내게 했다. 장사꾼은 벌금을 내고 나서 성을 내어 말했다.
“사문 석자는 때를 맞출 줄을 모른다. 조금만 기다려 주면 되는데도 허락하지 않아 나에게 벌을 받게 하는구나.”
022_1020_c_22L不信樂佛法者皆爲一沙門公違衆制正應苦罰便罰之估客旣被罰已便瞋恚言門釋子不知時宜小待不肯使我被
여러 사람들도 갖가지로 비방하고 꾸짖었다.
“사문의 무리들은 언제나 ‘때를 알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안다’고 말하면서도 지금 때 아닌 때에 억지로 남에게 구걸을 하는구나.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다.”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1_a_03L諸人種種譏呵此輩沙門常說知少欲知足而今非時强從人乞沙門行破沙門法諸長老比丘聞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발우에 때운 곳이 없는 경우 이것은 발우인가?”
“그러합니다.”
다시 물으셨다.
“한 번 때운 것부터 다섯 번 때운 것까지도 이것은 발우인가?”
“그러합니다.”
022_1021_a_08L佛種種呵責已問諸比丘於意云鉢無綴是鉢不答言復問一綴乃至五綴是鉢不答言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때운 곳이 없거나 한 번 때운 것부터 네 번 때운 것까지는 발우이지만 다섯 번 때운 것은 발우가 아니니라.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발우를 아직 다섯 번 때우기 전인데도 좋은 것을 가지기 위해 새 발우를 구걸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1_a_10L告諸比丘無綴一綴乃至四綴是鉢五綴非鉢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鉢未滿五綴更乞新鉢爲好故尼薩耆波逸提
발우는 마땅히 승가 안에 버려야 하고, 승가는 마땅히 승가 안에서 가장 아래 발우[最下鉢]15)를 취하여 그에게 주면서 말하기를 ‘그대는 이 발우를 받아서 깨질 때까지 써야 한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이 법은 마땅히 그러해야 하느니라.
022_1021_a_14L是鉢應僧中捨僧應取衆中最下鉢與之語言汝受是鉢乃至破是法應
‘발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쇠 발우[鐵鉢]와 소마 발우[蘇摩鉢]16)와 질그릇 발우[瓦鉢]이며, 다시 세 가지가 있으니 상ㆍ중ㆍ하이니라.
‘상’은 국과 나물을 제외하고 3발타(鉢他)17)의 밥을 받는 것이요, ‘하’는 국과 나물을 제외하고 1발타의 밥을 받는 것이며, ‘중’은 상과 하의 중간이니라.
‘좋은 것을 위한다’는 것은 더 견고한 것을 구하고 더 나은 것을 구하는 것이니라. 만일 때운 곳이 없는 발우에서부터 네 번 때운 발우까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운 곳이 없는 발우에서부터 네 번 때운 발우까지를 구걸하여 얻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만일 때운 곳이 없는 발우에서부터 네 번 때운 발우까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섯 번 때운 발우를 구걸하여 얻으면 모두 돌길라이니라.
022_1021_a_17L鉢有三種鐵鉢蘇摩鉢瓦鉢復有三種上中下上者受三鉢他飯除羹下者受一鉢他飯除羹菜中者下之中爲好者求牢求勝若已有無綴鉢乃至四綴鉢更乞無綴至四綴得者皆尼薩耆波逸提若已有無綴乃至四綴鉢更乞五綴鉢得者突吉羅
022_1021_b_01L‘마땅히 승가 안에 버려야 한다’는 것은 얻은 새 발우는 마땅히 버려서 승가에 주어야 한다는 것이니,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나 세 사람에게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니라.
022_1021_b_01L應僧中捨者所得新鉢應捨與衆僧不得捨與一二三人
버리는 법은 마땅히 승가에 가서 아뢰어야 하느니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아무개 비구는 발우를 아직 다섯 번 때우지 않았는데도 새 발우를 구걸하여 사타(捨墮)를 범했기에 이제 버려서 승가에 주겠습니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1021_b_02L捨法應到僧中白言大德僧聽我某甲比丘鉢未滿五綴更乞新鉢犯捨墮今捨與僧白如是
그러면 승가는 마땅히 백이갈마(白二羯磨)를 해야 하나니, 법을 아는 비구를 뽑아 승가 가운데서 그것을 행해야 하느니라. 한 비구가 외쳐야 하느니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아무개 비구는 발우를 아직 다섯 번 때우지 않았는데도 새 발우를 구걸했다가 이제 버려서 승가에 주려고 합니다. 승가는 이제 아무개 비구를 뽑아 행발인(行鉢人)18)으로 하겠습니다. 만약 승가가 때에 이르렀으면 승가는 승인하시고 허락하십시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1021_b_05L僧應白二羯磨差知法比丘於僧中行之一比丘唱言大德僧聽此某甲比丘鉢未滿五綴更乞新鉢今捨與僧僧今差某甲比丘行鉢人若僧時到僧忍聽白如是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아무개 비구는 발우를 아직 다섯 번 때우지 않았는데도 새 발우를 구걸했다가 이제 버려서 승가에 주었습니다. 승가는 이제 아무개 비구를 뽑아 행발인으로 하겠습니다. 어느 장로이시든지 승인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승인하지 않으시면 말씀하십시오.
승가는 이미 아무개 비구를 뽑아 행발인으로 하는 일을 마쳤습니다. 스님들께서 승인하시어 잠잠히 계셨기 때문이니, 이 일은 이와 같이 지니겠습니다.’
022_1021_b_09L德僧聽此某甲比丘鉢未滿五綴乞新鉢今捨與僧僧今差某甲比丘作行鉢人誰諸長老忍默然不忍者僧已差某甲比丘作行鉢人竟默然故是事如是持
이 비구는 외친 뒤에 모든 비구들에게 각자의 발우를 가지고 나오게 하고는 버린 발우를 가지고 상좌(上座) 앞에 가서 ‘이 발우를 쓰시겠습니까?’ 하고 물어야 하느니라. 만일 ‘쓰겠소’라고 하면 상좌의 발우를 들고 살펴보아야 하느니라. 만일 발우에 때운 곳이 없거나 발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거나 뚫어졌거나 비뚤어졌으면 주지 말아야 하고, 만일 이 다섯 가지가 없으면 마땅히 주어야 하느니라.
022_1021_b_14L是比丘應唱使諸比丘各持鉢出然後持所捨鉢至上座前問須是鉢不若言須應取上座鉢看若無鉢若太大若太小穿缺若喎斜不應與若無五事應與
022_1021_c_01L준 뒤에는 상좌의 발우를 가져다 두 번째 상좌에게 돌리고 나아가 새로 구족계를 받은 사람 앞에 이르기까지 또한 그와 같이 하느니라. 그런 뒤에 승가는 맨 나중의 발우를 가져다가 발우를 버린 비구에게 주어야 하느니라.
만일 발우를 돌릴 때에 어떤 사람도 가지지 않으면 도로 그에게 돌려주면서 승가가 가르치기를 ‘이것은 바로 그대의 발우이니 잘 아끼고 보호하도록 하시오. 땅에다 놓지도 말고, 이것으로 쓰레기를 치우지도 말고, 남겨 두었던 묵은 밥19)을 담지도 말고, 탕을 데우지도 말고, 여기에 향을 담지도 말고, 여기에 약을 담지도 마시오. 이와 같이 아끼고 보호하다가 만일 깨지면 그대가 다시 구걸하는 것을 허락합니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열아홉 번째를 마침
022_1021_b_18L與竟取上座鉢行從第二上座乃至新受具足戒人前亦如是僧應取最後鉢與捨鉢比丘若行鉢都無人取聽還與之僧應教言此是汝鉢好愛護之莫著地莫用除糞掃莫用盛殘宿食莫用煖湯莫用盛香莫用盛藥如是愛護若破者聽汝更乞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十九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가 많은 발우를 얻어서 5ㆍ6일 쓰고는 방치했으므로 묵은 발우가 곳곳에 있었다.
여러 장자들이 보고 물었다.
“누가 이것을 모았습니까?”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것은 발난타의 것입니다.”
여러 장자들이 말했다.
“사문 석자는 언제나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안다고 말하면서도 이제는 싫증내는 일도 없이 거두어들여 모으는 것이 마치 판매인과 같구나.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구나.”
022_1021_c_04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多得諸鉢六日用便擧置如是故鉢處處皆諸長者見問言誰積聚此有人言是跋難陁諸長者言沙門釋子常說少欲知足而今無厭收斂積聚如販鉢人無沙門行破沙門法
여러 장로 비구들이 갖가지로 꾸짖고는 부처님께로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여분의 발우를 간직하여 하룻밤을 묵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1_c_10L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將至佛所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畜長鉢至一宿尼薩耆波逸提
그때 한 비구가 혼자 두 개의 발우를 얻고서 생각하기를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여분의 발우를 간직하여 하룻밤을 묵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다’고 하고는 곧 하나의 발우를 다른 비구에게 보시했는데, 보시한 뒤에 발우가 깨졌으므로 발우 없이 돌아다녔다.
여러 비구가 물었다.
“그대는 먼저 두 개의 발우를 얻었는데, 지금은 왜 발우가 없습니까?”
위에서 한 일을 말하자, 여러 비구가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다른 이에게 발우를 주고 며칠 만에 발우가 깨졌느냐?”
“10일 만이옵니다.”
022_1021_c_16L爾時有一比丘獨得二鉢作是念佛不聽我畜長鉢一宿卽持一鉢施餘比丘施後鉢無鉢遊行諸比丘問言汝先得二今何故無答以上事諸比丘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彼比丘汝與他鉢幾日後鉢破答言十日
022_1022_a_01L부처님께서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닌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여분의 발우를 간직하되 10일까지이니, 이를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1_c_22L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長鉢乃至十日若過尼薩耆波逸提
두 개의 발우를 얻으면 마땅히 화상이나 아사리에게 묻기를 ‘이 두 개의 발우 중에 어느 것이 낫습니까?’라고 해야 하느니라. 만일 화상이나 아사리가 잘 분별하지 못하면 각각 5일씩 사용해 보고 스스로 나은 것을 알아서 받아 지니고, 그것만 못한 것은 남에게 주어야 하느니라. 사미는 돌길라이니라.”스무 번째를 마침
022_1022_a_02L二鉢應問和尚阿闍梨此二鉢何者若和尚阿闍梨不善分別應各五日用自知勝者受持不如者與人彌突吉羅二十竟
부처님께서 아도비읍(阿荼髀邑)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가 몸을 위해 교사야(憍賖耶)20)로 된 침구를 만들었는데, 자신이 만들기도 하고 또 사람을 시켜서 만들기도 하고, 자신이 누에고치를 메기도 하고 또 사람을 시켜서 메기도 하고, 자신이 삶기도 하고 또 사람을 시켜서 삶기도 했으므로 여러 거사들이 보고 말했다.
“우리들은 속인이라 누에고치를 삶지만 비구도 그렇구나. 사문 석자가 우리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들은 언제나 중생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이제 자신이 몸소 누에고치를 삶고 있으니,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구나.”
022_1022_a_06L佛在阿荼脾邑爾時諸比丘爲身作憍賖耶臥具自作亦使人作自擔繭亦使人擔自煮亦使人煮諸居士見作是言我等煮繭比丘亦爾沙門釋子與我何異此等常說慈忍衆生今親自煮繭無沙門行破沙門法
한 비구가 산누에의 솜으로 여러 비구를 시켜 침구를 만들게 했다가 솜이 조금 모자라자 곧 솜 집으로 가서 말했다.
“내가 만드는 침구에 솜이 모자랍니다. 조금만 보시하십시오.”
그 사람이 대답했다.
“아직 솜이 덜 되었습니다.”
022_1022_a_12L一比丘以成擘野蠶緜倩諸比丘作臥具緜少不足便到緜家語言我臥具緜少少多布施彼人答言未有成
비구가 다시 말했다.
“나를 위해 만들어 주십시오.”
그 사람이 곧 비구 앞에서 누에고치를 삶는데 누에가 꿈틀거리며 소리를 내자 비구가 가르쳐 주었다.
“끓는 물속으로 눌러 넣으시오.”
그러자 그 사람이 꾸짖고 욕설했다.
“당신은 언제나 살생하지 말라는 법을 말하면서 지금은 사람을 시켜 살생을 하게 하니,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다.”
022_1022_a_16L比丘復言可爲我作彼人卽於比丘前煮繭蛹動作聲比丘教言按著湯中彼人卽呵罵言汝常說不殺生而今教人殺生無沙門行破沙門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2_a_20L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22_b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교사야로 된 침구를 만들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2_a_22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憍賖耶作臥具尼薩耆波逸提
‘교사야’라는 것은 누에고치로 만든 솜이고, ‘침구’라는 것은 누울 때 방바닥에 까는 요이며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처음 만들어서 세 번 흔들어도 허물어지지 않으면 침구라고 하느니라. 마땅히 버려서 승가에 주어야 하고, 그 밖의 다른 사람에게는 주지 못하느니라. 승가는 그것을 땅에 펴기도 하고 또 승상(繩牀)이나 눕는 평상 위에 깔기도 하는데, 요를 버린[捨褥] 비구를 제외한 그 밖의 온갖 승가가 차례에 따라 앉고 눕느니라.
따라서 마음을 내어 만들려고 하거나 방편을 쓰면 모두 돌길라요, 만들어 완성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22_b_02L憍賖耶者蠶所作緜臥具者臥褥乃至始成三振不壞名爲臥具應捨與不得捨與餘人僧以敷地若敷繩牀及臥牀上除捨褥比丘餘一切僧隨次坐臥發心欲作及方便皆突吉作成尼薩耆波逸提
스스로 만들지 않았고 남을 시켜서 만들지 않았어도 다른 이가 보시한 것을 받아도 니살기바일제이니라. 사미는 돌길라이니라.”스물한 번째를 마침
022_1022_b_08L雖不自作使人作他施而受尼薩耆波逸提突吉羅二十一竟
부처님께서 구사미성(拘舍彌城)에 계셨다.
그때 여러 발기자(跋耆子:발기국 사람)들이 광택이 좋고 순흑색의 양털로 온갖 의복과 장신구와 침구를 만들었으므로 발기(跋耆)의 여러 비구도 또한 그것을 본받아 만들었다.
그때 여러 거사들이 방에 들어와서 보고는 몹시 두려워하며 이르기를 ‘여기는 발기의 호족들이 모여 노는 곳이다’라고 여기고는 길 가는 사람에게 물었다.
“이것은 어떤 귀인이 입는 옷과 장식품입니까?”
“귀인의 물건들이 아닙니다. 이것들은 발기 비구의 것입니다.”
022_1022_b_10L佛在拘舍彌城時衆多跋耆子用純黑毛氈光澤可愛皆悉以爲服飾跋耆諸比丘亦效作之時諸居士入房觀見便大畏怖謂是跋耆豪族遊便問行人此是何等貴人服飾非貴人物是跋耆比丘許耳
그러자 여러 거사들이 비방했다.
“여러 비구가 마치 국왕이나 대신이나 호족들이 수레나 말을 탈 때의 복장을 하는구나. 우리는 ‘비구는 베 조각들을 기워서 만든 옷을 입고 무위의 도를 구한다’고 들었는데 지금 이 지경이구나.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다.”
022_1022_b_16L諸居士便譏呵言諸比丘如國王如大臣如豪族乘車馬時之所服飾我聞比丘著割截衣求無爲道而今如此沙門行破沙門法
022_1022_c_01L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순흑색의 양털로 새 침구를 만들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2_b_20L諸長老比丘聞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問彼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若比丘純黑羺羊毛作新臥具薩耆波逸提
‘순흑색’이라는 것은 원래 검은 것과 검게 물들인 것이다. 마땅히 버려서 승가에 주어야 하고, 승가는 승상(繩牀)이나 눕는 평상 위에 깔고 땅에는 깔지 못하느니라.
나머지는 교사야(憍賖耶) 침구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스물두 번째를 마침
022_1022_c_03L純黑者生黑及染黑應捨與僧僧以敷繩牀臥牀上不得敷地餘如憍賖耶臥具中說二十二竟
부처님께서 구사미성에 계셨다.
그때 발기(跋耆)의 여러 비구가 흑색의 양털로 침구를 만들면서 약간의 흰색과 갈색 털을 넣어서 만들고 말했다.
“이미 청정해졌다.”
022_1022_c_06L佛在拘舍彌城爾時跋耆諸比丘作黑羺羊毛臥具著少白色及下色毛便言已淨
그때 여러 장로 비구들이 보고 물었다.
“그대들은 부처님께서 ‘순흑색의 양털로 침구를 만드는 것을 금제한다’고 하신 것을 듣지도 못했는가?”
“들었습니다. 우리는 흰색과 갈색 털을 넣었으므로 순흑색은 아닙니다.”
022_1022_c_09L時諸長老比丘見問言不聞佛制純黑羺羊毛作臥具耶但我已著白色及下色毛非復純黑
여러 비구가 말했다.
“순흑색에 조금 섞였으니, 온전한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2_c_12L諸比丘言純黑少雜何足爲異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彼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모든 비구들이 침구를 만들 때는 4분의 2는 순흑색의 양털로 하고, 세 번째 등분은 흰색 털로 하며, 네 번째 등분은 갈색 털로 만드는 것을 허락하느니라.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새 침구를 만들 때에는 반드시 4분의 2는 순흑색의 양털로 하고, 세 번째 등분은 흰색 털로 하며, 네 번째 등분은 갈색 털을 써야 하나니, 이를 초과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2_c_15L佛告諸比丘從今聽諸比丘臥具用二分純黑羺羊毛第三分白第四分下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作新臥應用二分純黑羺羊毛第三分白第四分下若過是作尼薩耆波逸提
만일 비구가 40바라(波羅)21)의 침구를 만들 때는 20바라는 순흑색으로 하고, 10바라는 흰색으로 하며, 10바라는 갈색을 써야 한다. 만일 1바라라도 흑색 털이 더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니라.
나머지는 순흑색의 양털로 침구를 만드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스물세 번째를 마침
022_1022_c_20L若比丘作四十波羅臥具應用二十波羅純黑十波羅白十波羅下若黑長一波羅尼薩耆波逸提餘如純黑羊毛臥具中說二十三竟
022_1023_a_01L부처님께서 구사미성에 계셨다.
그때 발기(跋耆)의 여러 비구가 생각하기를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4분의 2는 순흑색의 양털로 하고, 세 번째 등분은 흰 털로 하며, 네 번째 등분은 갈색 털로 침구를 만들 것을 허락하셨다’고 했다. 그리고는 세 가지 색의 털을 많이 구걸하여 자신이 만들기도 하고 사람을 시켜서 만들기도 하여 머무르는 곳마다 있지 않은 데가 없었다.
여러 거사들이 와서 보고 물었다.
“이것은 누구의 물건들입니까?”
“발기 비구들 것입니다.”
022_1023_a_01L佛在拘舍彌城爾時跋耆諸比丘是念佛聽我等用二分純黑羺羊毛第三分白第四分下作臥具便多乞三色毛自作使人作於所住處無處不有諸居士來看見而問言此是誰答言跋耆比丘
여러 거사들이 비방하고 꾸짖은 것은 여분의 발우를 간직하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
장로 비구가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3_a_07L諸居士譏呵如長鉢中說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彼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새 침구를 만들면 6년 동안 간직해야 하나니, 아직 6년이 되지도 않았는데 버리거나 또는 버리지 않고 새 침구를 만들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3_a_10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作新臥具應六年畜未滿六年若捨若不捨更作新臥具尼薩耆波逸提
그때 한 비구가 누더기로 된 침구의 속이 쓸 만하여 간직하고 있었는데, 사위성에서 사갈타읍(沙竭陀邑)으로 가려고 했으나 침구가 무거워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그 일을 여러 비구에게 알리자 그 비구들은 부처님께로 데리고 가서 그 일을 아뢰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말씀하셨다.
“이 비구가 사갈타읍으로 가려는데 침구가 무거우나 속이 쓸 만하여 버릴 수는 없고 다시 가져갈 수도 없으면, 승가는 마땅히 백이갈마(白二羯磨)를 하여 그에게 가벼운 것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느니라.
022_1023_a_14L爾時一比丘畜糞掃臥具見中利從舍衛城至娑竭陁邑臥具重不能持去不知云何以是白諸比丘諸比丘將到佛所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告諸比丘此比丘欲至娑竭陁邑臥具重見中利不能捨復不能持去僧應白二羯磨與易輕者
그 비구는 마땅히 승가에 청하면서 말해야 하느니라.
‘저 아무개 비구는 침구의 속이 쓸 만하여 간직하고 있다가 지금 어떤 곳으로 돌아다니려 하나 무겁기 때문에 가져갈 수가 없습니다. 승가는 저에게 승가의 가벼운 것으로 바꾸어 주십시오.’
022_1023_a_21L彼比丘應從僧乞言我某甲比丘自畜臥見中利今欲遊行某處以重故不能持去願僧與我易僧輕者
022_1023_b_01L이와 같이 두 번ㆍ세 번 청하면 승가 대중 가운데 한 비구가 아뢰어야 하느니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아무개 비구는 침구의 속이 쓸 만하여 간직하고 있었는데, 이제 어떤 곳으로 돌아다니려 하나 무거워 가져갈 수가 없습니다. 그러하기에 승가에 가벼운 것으로 바꾸어 주기를 청했습니다. 승가는 이제 바꾸어 주겠습니다.
만약 승가가 때에 이르렀으면 승가는 승인하시고 허락하십시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1023_b_01L如是第第三乞僧中應一比丘白大德僧此某甲比丘自畜臥具見中利欲遊行某處以重故不能持去從僧乞易輕者僧今與易若僧時到僧忍白如是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아무개 비구는 침구의 속이 쓸 만하여 간직하고 있었는데, 이제 어떤 곳으로 돌아다니려 하나 무거워 가져갈 수가 없기에 승가에 가벼운 것으로 바꾸어 주기를 청했습니다. 승가는 이제 바꾸어 주겠습니다.
어느 장로이시든지 승인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승인하지 않으시면 말씀하십시오.
승가는 이미 아무개 비구에게 승가의 가벼운 침구로 바꾸어 주는 일을 마쳤습니다. 스님들께서 승인하시어 잠자코 계셨기 때문이니, 이 일은 이와 같이 지니겠습니다’라고 하라.
022_1023_b_06L大德僧聽此某甲比丘畜臥具見中利欲遊行某處以重故不能持去從僧乞易輕者僧今與易誰諸長老忍默然不忍者僧已與某甲比丘易僧輕臥具竟僧忍默然是事如是持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새 침구를 만들면 마땅히 6년 동안 간직해야 하고, 아직 6년이 되기도 전에 버리거나 또는 버리지 않고 새 침구를 만들면 승가가 갈마를 한 경우를 제외하고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6년’이라고 함은 날의 수를 세어서 6년을 채우는 것이다.
나머지는 순흑색의 양털로 침구를 만드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스물네 번째를 마침
022_1023_b_11L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作新臥具應六年畜未滿六年若捨若不捨更作新臥具除僧羯尼薩耆波逸提六年者數日滿六餘如純黑羊毛臥具中說二十四竟
부처님께서 구사미성에 계셨다.
그때 여러 발기자(跋耆子)들이 순흑색의 양털로 니사단(尼師檀)22)을 만들었으므로 발기의 비구들도 구걸하여 그것을 만들었다. 여러 거사들이 구걸하는 것에 염증을 내고 근심하다가 뒷날 승방(僧房)에 가서 여러 비구가 순흑색의 양털 방석을 많이 저장해 놓은 것을 보고 비난했다. 이것은 순흑색의 침구 중에 설한 것과 같다.
022_1023_b_15L佛在拘舍彌城爾時諸跋耆子作純黑羺羊毛尼師檀跋耆比丘亦乞作諸居士厭患乞索後日到僧房看見諸比丘多畜純黑羺羊毛坐褥便譏呵如純黑臥具中說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3_b_20L諸長老比丘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彼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022_1023_c_01L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순흑색의 양털로 새 니사단을 만들 때는 마땅히 헌 니사단의 1수가타(修伽陀) 뼘을 써서 좋은 빛깔을 무너뜨려야 하나니, 만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3_b_22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純黑羺羊毛作新尼師檀用故尼師檀一修伽陁磔手壞好色若不壞尼薩耆波逸提
‘1수가타 뼘’이라는 것은 가로 세로 2척(尺)이고, ‘좋은 빛깔을 무너뜨린다’는 것은 새 것 위에 덮는 것이니라.
나머지는 순흑색의 양털로 침구를 만드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스물다섯 번째를 마침
022_1023_c_04L一修伽陁磔手者方二尺壞好色者隨意覆新者餘如純黑羊毛臥具中說二十五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가 양털을 짊어지고 길을 가는데 길 가는 사람들이 보고 모두 비방했다.
“우리는 천한 하인이어서 양털을 짊어지지만 여러 비구도 또한 이와 같구나. 한갓 빛깔을 무너뜨린 누더기를 입고 머리를 깎고서 걸식한다 한들 우리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사문의 행도 없고 사문의 법도 무너뜨리고 있다.”
022_1023_c_06L佛在舍衛城爾時諸比丘擔負羊毛隨路行路人見之皆譏呵言我等家擔負羊毛諸比丘亦復如是徒著壞色割截衣剃頭乞食與我何異沙門行破沙門法
산에 있기를 좋아하는 한 비구가 양털을 짊어지고 길을 걷느라 몹시 지쳐서 승방에 이르자마자 뜰 가운데서 넘어졌다.
여러 비구가 보고 ‘이것은 귀신이 달라붙은 것이다’라고 하면서 소변을 가져다가 그에게 뿌리자 그가 말했다.
“장로여, 나한테 무엇을 뿌리는 것입니까?”
“귀신이 달라붙었을까 해서 이것을 뿌리는 것입니다.”
022_1023_c_11L有一比丘山居樂擔負羊毛道路疲極旣至僧坊庭中倒地諸比丘見謂是鬼著卽以小便灑之彼言長老何以見灑答言是鬼著是以灑耳
그는 말했다.
“나는 귀신이 달라붙은 것이 아닙니다. 양털을 무겁게 짊어지고 길을 오느라 너무도 지치고 더워서 그랬을 뿐입니다.”
여러 비구가 말했다.
“부처님께서는 비구에게 3의(衣)와 발우만을 간직하는 것이 마치 나는 새가 털과 깃이 함께 하는 것과 같다고 제정하셨거늘, 그대는 어찌하여 듣지도 못하고 이런 것을 짊어지고 다니는 것이오?”
022_1023_c_15L彼言我非鬼著羊毛重道路疲頓熱悶故耳諸比丘佛制比丘畜三衣鉢譬如飛鳥與毛羽俱汝豈不聞而猶擔此
갖가지로 꾸짖고 나서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3_c_18L種種呵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彼比丘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양털을 짊어지고 길을 걸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3_c_20L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比丘擔羊毛道路行尼薩耆波逸提
022_1024_a_01L그때 어떤 거사가 스님들을 위해 하나의 방을 만들어 놓고 생각하기를 ‘만일 비구가 이 방 안으로 오면 나는 밥을 공양하고 또한 옷을 대주리라’고 했다.
마침 한 비구가 와서 그 방에 머물렀으므로 양털을 보시했으나 그 비구는 받지 않았다.
거사가 말했다.
“제가 양털을 모은 것은 본래 비구를 위한 것이지 제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비구가 대답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양털을 짊어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거늘, 어찌 받을 수 있겠습니까?”
022_1023_c_23L時有居士爲僧作一房念言若比丘來此房中者我當供養亦給施衣一比丘來止其房便施羊毛比丘不居士言我集羊毛本爲比丘不自爲身比丘答言佛不聽我自擔羊毛如何得受
또 어떤 비구가 양털로 만든 침구가 필요했는데, 자신은 만들 줄 모르므로 다른 비구를 고용하려 했으나 감히 받지 않았다.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그 비구에게 물으셨다.
“고용하려는 사람이 여기서 얼마나 떨어졌느냐?”
“여기서 3유순(由旬) 떨어졌습니다.”
022_1024_a_06L復有比丘須羊毛作臥具自不知作欲倩餘比丘而不敢受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彼比所欲倩人去此遠近答言去此三由旬
이에 세존께서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양털을 얻어서 반드시 가지고 가야 할 데가 있을 경우, 3유순까지 자신이 가지고 갈 수 있으니, 만일 더 지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4_a_10L於是世尊讚少欲知足讚戒持戒已告諸比丘從今是戒應如是若比丘得羊毛須持有所至若自乃至三由旬若過尼薩耆波逸提
비구가 양털을 얻어서 가지고 가야 할 데가 있을 때는 마땅히 정인(淨人)23)에게 짊어지게 해야 하고, 만일 정인이 없으면 자신이 가지고 가는 것을 허락하지만, 짐으로 꾸려서 머리에 이거나 등에 짊어져서는 안 되나니 범하면 돌길라이니라. 사미도 돌길라이니라.
‘범하지 않는다’는 것은 3유순 안에서 가지고 가되 사람이 있어서 대신하거나 3유순 되는 데서 가지고 돌아오거나 그리고 5ㆍ6바라(波羅)를 가지고 허리띠나 모자 끈을 만들기 위한 것이니라.”스물여섯 번째를 마침
022_1024_a_13L比丘得羊毛須持有所至應使淨人若無淨人乃聽自持不得擔擔背負犯者突吉羅沙彌突吉羅犯者三由旬內若展轉持若有人代若於三由旬持反及持五六波羅作腰繩帽綖等二十六竟
022_1024_b_01L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가 비구니에게 양털을 빨고 물들이고 다듬질하게 했다. 그러나 여러 비구니들은 공양을 위한 까닭에 감히 사양하거나 꺼리지 못했으므로 일이 많아져서 독송과 좌선과 도를 닦지 못하게 되었다.
여러 거사들이 이를 듣고는 비방했으므로 파사파제(波闍波提) 비구니는 5백 명의 비구니와 함께 부처님께 이르러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한 위의 입었던 옷을 빨게 하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
022_1024_a_19L佛在舍衛城爾時諸比丘使比丘尼羺羊毛諸比丘尼爲供養故不敢辭憚便多事多務妨廢讀誦禪行道諸居士見聞譏呵波闍波提比丘尼與五百比丘尼俱往到佛所亦如上浣故衣中說
이에 세존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여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4_b_02L於是世尊以是事集比丘僧問諸比丘汝等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비구니에게 양털을 빨게 하고 물들이게 하고 다듬질하게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4_b_04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使比丘尼浣擗羺羊毛尼薩耆波逸提
그때 여러 비구가 친척 비구니가 있어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 또한 입었던 옷을 빨게 하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다.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찬탄하시고, 계를 찬탄하시고, 계 지니는 것을 찬탄하시고 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친척 아닌 비구니에게 양털을 빨게 하고 물들이게 하고 다듬질하게 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나머지는 위의 입었던 옷을 빨게 하는 것 중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스물일곱 번째를 마침
022_1024_b_07L爾時諸比丘有親里比丘尼亦如上浣故衣中說卽以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讚少欲知足讚戒讚持戒已告諸比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使非親里比丘尼浣羺羊毛若染若擗薩耆波逸提餘如上浣故衣中說二十七竟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셨다.
그때 발난타가 여러 가지 무역을 해서 다른 이의 이익을 얻었으나 다른 사람은 그에게서 이익을 얻는 이가 없었다.
한 외도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옷을 얻어서 외도의 집으로 가지고 가서 말했다.
“나를 위해 바느질 좀 해 주십시오.”
여러 사람들이 대답했다.
“우리 집은 일이 많아서 지어 드릴 수가 없습니다. 사문 석자는 일이 없어 한가하고 또 보시 받은 옷이 많습니다. 그러니 거기에 가서 빌리시거나 바꾸도록 하십시오. 그러나 그 사문은 언제나 크게 명성이 난 장사꾼에게 억지를 써서 얻으므로 당신은 가더라도 부디 조심하셔야 합니다.”
022_1024_b_13L佛在舍衛城爾時跋難陁種種貿易能得人利而人無能得其利者有一外道得未成衣持到外道家語言我縫成諸人答言我家多務不得作沙門釋子閑逸無事又多施衣就借倩亦可貿易然彼沙門常能强得大名估客汝往宜愼
022_1024_c_01L이에 외도는 그것을 가지고 승방으로 가서 찾아뵙고 말했다.
“누가 저를 위해 이 옷을 만들어 주시겠습니까?”
모두 말했다.
“못하겠습니다.”
그러자 발난타에게 말했다.
“대덕에게는 이미 완성된 옷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한 벌의 옷을 저와 바꾸겠습니까?”
“당신들 여러 외도들은 마음이 견고하지도 바르지도 못해서 변덕과 후회가 죽 끓듯 한지라 얻은 뒤에는 말하기를 ‘귀하고 천한 것이 공평하지 않다’고 하니, 만일 뒤에 말이 없다면 주겠습니다.”
“다른 사람은 혹 그렇기도 하겠지만 나는 끝내 후회하지 않습니다.”
이에 발난타는 빨고 두드려 조밀하게 만들어 탁한 염색 즙으로 물들인 거친 겁패(劫貝)를 그에게 주었다.
022_1024_b_20L於是外道持至僧坊訪問言誰能爲我縫此衣者皆言不能又白跋難陁我聞大德已成衣可以一衣與我貿不答言諸外道心不堅正變悔無常旣得便言貴賤不等若後無言當以相與餘人或爾我終不悔於是跋難陁以濁染汁染麤劫貝濕打緻密而以與之
그가 옷을 얻은 뒤에 외도의 승가에 돌아가자 외도가 물었다.
“완성된 옷을 얻었습니까?”
“바꿀 수 있었습니다.”
“가지고 오십시오. 봅시다.”
그가 내어 보이자 여러 외도들이 다 함께 말했다.
“큰 값어치 있는 옷을 잃고 이런 몹쓸 옷을 얻었으니 멍청하구려. 이것의 다섯 배나 여섯 배로도 비교될 것이 아니니, 그것을 돌려주시오. 일을 마치고 나서 당신을 위해 함께 만들어주겠소.”
022_1024_c_05L彼得衣已還外道衆外道問言得成衣不答言已得貿易取來看之彼卽出示諸外道見咸言咄哉去大價衣得此弊服非是五倍六倍之挍可還取之當共廢事爲汝縫成
그는 곧 가지고 가서 발난타에게 말했다.
“그대 석종자(釋種子)여, 어찌하여 이 몹쓸 옷으로 나를 속였소? 돌려주면 당신의 악을 퍼뜨리지는 않겠소.”
발난타가 말했다.
“나는 외도의 마음이 견고하지도 바르지도 못해서 변덕과 후회가 죽 끓듯 함을 알기에 당신에게 주지 않으려고 했소. 그런데 당신이 ‘후회하지 않겠다’고 말했기 때문에 따랐는데 어찌 이제 와서 이런 말을 하는 것이오?”
022_1024_c_09L彼卽持還語跋難陁言汝釋種子云何以此弊服欺誑於我可以見還不揚汝跋難陁言我知外道心不堅正悔無常不欲相與汝云不悔是故相云何於今方作此言
그리고는 끝내 그것을 주지 않자, 그는 큰 소리로 울었으므로 여러 거사들이 물었다.
“당신은 무엇 때문에 우시오?”
그 일을 자세히 말해 주자 여러 거사들이 비방하면서 꾸짖었다.
“속인도 팔고 사고 할 적에 7일까지는 도로 돌려주거늘, 어찌하여 사문으로서 잠시 동안인데 돌려주지 않는가? 모습과 의복은 속인과 다르면서도 사고팔고 하는 것은 속인보다 더하구나.”
022_1024_c_14L遂不與之便大哭諸居士問汝何故哭具以事諸居士便譏呵言白衣賣買七日猶悔如何沙門須臾不得形服與人而販賣過於人
이와 같은 나쁜 명성이 주위에 널리 퍼졌으므로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갖가지로 사고팔고 하여 이익을 구하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4_c_18L如是惡名流布遠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是白佛以是事集比丘僧問跋難陁實爾不答言實爾世尊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種種販賣求利尼薩耆波逸提
022_1025_a_01L만들어진 것을 만들어진 것과 바꾸거나, 만들어진 것을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거나, 만들어진 것을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거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거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만들어진 것과 바꾸거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거나,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거나,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만들어진 것과 바꾸거나, 만들어진 것이나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것과 바꾸면 모두 니살기바일제이니라.
022_1025_a_01L以作易作以作易未作以作易作以未作易未作以未作易作以未易作未作以作未作易作未作未作易作以作未作易未作皆尼薩耆波逸提
만일 비구가 무역을 하려면 마땅히 정인(淨人)에게 말하기를 “나를 위해 이 물건을 저 물건과 바꾸어 주시오”라고 해야 하느니라. 또 생각하기를 ‘차라리 그에게 나의 이익을 얻게 할지언정, 나는 그의 이익을 얻지 않으리라’고 해야 하느니라.
만일 스스로 무역을 할 때는 마땅히 5중(衆) 가운데 해야 하고, 속인과 무역을 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라.”스물여덟 번째를 마침
022_1025_a_06L若比丘欲貿易應使淨語言爲我以此物易彼物又應心寧使彼得我利我不得彼利若自貿易應於五衆中若與白衣貿易吉羅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二十八竟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그때 난타(難陁)와 발난타(跋難陁)가 금ㆍ은ㆍ금은전(金銀錢)ㆍ잡전(雜錢)으로 물건을 사고팔아 그것을 가졌다.
그때 도둑 떼들이 왕사성에 이르러 부잣집을 엿보며 찾다가, 두 비구가 크게 금은과 돈으로 물건을 사고팔아 그것을 가지는 것을 보고 곧 함께 의논했다.
“이 마을을 살펴보건대 사문 석자보다 더 나은 부자는 없는 것 같소. 아련야 처소에서 빼앗는 것이 더 쉽겠소.”
022_1025_a_11L佛在王舍城爾時難陁跋難陁用金金銀錢雜錢買物亦賣物取之有群劫到王舍城伺覓富室見二比丘大以金銀及錢買物又賣物取之便共議言觀此邑里無勝沙門釋子之富阿練若處劫之又易
그리고는 다음날 아련야 처소에 가서 여러 비구를 붙잡고 금은과 모든 돈과 재물을 내놓으라고 매질하자 여러 비구가 말했다.
“우리들은 이미 금은과 돈을 떠난 사람이라 그런 더러운 물건을 받거나 간직하지 않소.”
도둑들이 말했다.
“너희들은 거짓말하고 있다. 우리는 몸소 비구들이 팔고 사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는 그들을 고문하여 거의 다 죽어가자 옷과 발우를 모조리 빼앗고는 떠나갔다.
022_1025_a_17L便於後日至阿練若處捉諸比丘拷責金銀及諸錢物諸比丘言我等已離金銀及錢不復受畜此不淨物劫言汝等妄語我親見比丘用以賣買拷之垂死奪衣鉢而去
022_1025_b_01L이 여러 비구가 멀리서 난타와 발난타를 꾸짖었다.
“어떻게 출가했으면서도 보물을 축적하여 우리들에게 재앙이 있게 하는가?”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난타와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5_a_22L此諸比丘卽遙呵責難跋難陁如何出家積畜寶物以殃我等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難陁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셨다.
“너희 어리석은 사람아, 만일 이런 일을 하지 않았더라면 저 모든 비구들이 무슨 이유로 이런 재앙을 만나겠느냐?”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금은과 돈으로 여러 가지를 팔고 사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022_1025_b_03L佛種種呵責汝愚癡人若不作彼諸比丘何由遭此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以金銀及錢種種賣買尼薩耆波逸提
마땅히 승가 안에 버려야 하고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나 세 사람에게 주지 못하느니라.
이 비구는 마땅히 승가에 아뢰어야 하느니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저 아무개 비구는 금은과 돈으로 팔고 사고 하여 사타(捨墮)를 범했기에 이제 승가 안에 버립니다. 이와 같이 아룁니다.’
그러면 승가는 마땅히 백이갈마(白二羯磨)를 하여 한 비구를 뽑아 금은과 돈을 버리는 사람으로 해야 하느니라.
022_1025_b_07L應僧中捨不得與一三人是比丘應白僧言大德僧聽我某甲比丘金銀及錢賣買犯捨墮今於僧中捨如是僧應白二羯磨差一比丘作棄金銀及錢人
한 비구가 아뢰어야 하느니라.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아무개 비구는 금은과 돈으로 팔고 사고 하여 사타를 범하고서 이제 버려서 승가에 주었습니다. 승가는 아무개 비구를 뽑아 금은과 돈을 버리는 사람으로 하겠습니다.
만약 승가가 때에 이르렀으면 승가는 승인하시고 허락하십시오. 이와 같이 아룁니다.’
022_1025_b_12L一比丘白言大德僧聽此某甲比丘用金銀及錢賣買犯捨今捨與僧僧差某甲比丘作棄金銀及錢人若僧時到僧忍聽白如是
‘대덕 승가는 들으십시오. 이 아무개 비구는 금은과 돈으로 팔고 사고 하여 사타를 범하고서 이제 버려서 승가에 주었습니다. 승가는 아무개 비구를 뽑아 금은과 돈을 버리는 사람으로 하겠습니다. 어느 장로이시든지 승인하시면 잠자코 계시고 승인하지 않으시면 말씀하십시오.
승가는 이미 아무개 비구를 뽑아 금은과 돈을 버리는 사람으로 하는 일을 마쳤습니다. 스님들께서 승인하시어 잠자코 계셨기 때문이니, 이 일은 이와 같이 지니겠습니다.’
022_1025_b_15L大德僧聽此某甲比丘用金銀及錢賣買犯捨墮今捨與僧僧差某甲比作棄金銀及錢人誰諸長老忍不忍者僧已差某甲比丘作棄金銀及錢人竟僧忍默然故是事如是持
그 비구는 마땅히 이 물건을 버리되, 구덩이 속이나 불구덩이나 흐르는 물속이나 넓은 들판에 놓아야 하고 처소를 기록해 놓지 말아야 하느니라. 만일 가져다 다른 곳에 두면 다시는 가져서는 안 되니, 그 비구는 마땅히 승가에 ‘이 물건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묻지 말아야 하느니라. 승가도 또한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고 가르치지 말아야 하느니라.
022_1025_b_20L彼比丘應棄此物著坑中火中流水曠野中不應記處若捉著餘處得更捉彼比丘不應問僧此物當云僧亦不應教作是作是
022_1025_c_01L만일 버리지 않거나 승가에 묻지도 않고 정인(淨人)을 시켜 승가의 옷과 밥으로 바꾸어서 승가에 주면 승가는 받을 수 있고, 분배할 경우 죄를 범한 사람만은 분배를 받을 수 없느니라.
비구니도 또한 그와 같고, 식차마나ㆍ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라.
범하지 않는 것은 비록 비구에게 보시했다 하더라도 비구가 알지 못하고, 정인이 그것을 받아서 그들을 위해 청정한 물건을 사는 경우이니라.”스물아홉 번째를 마침
022_1025_c_01L若不棄問僧而使淨人以貿僧所衣食之物來與僧僧得受若分者唯犯罪人不得受分比丘尼亦如是式叉摩那沙彌沙彌尼突吉羅不犯者雖施比丘丘不知淨人受之爲買淨物二十九竟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그때 난타와 발난타가 손수 금은과 돈을 가지기도 하고 사람을 시켜서 가지기도 하며 사람이 보시하면 또한 받았다.
여러 거사들이 보고 비방하면서 꾸짖은 것은 양털을 짊어지고 가는 것에서 설한 것과 같다.
여러 장로 비구들이 듣고 갖가지로 꾸짖고는 그 일을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비구 승가를 모아 놓고 난타와 발난타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이 실제로 그렇게 했느냐?”
“실제로 그렇게 했습니다, 세존이시여.”
022_1025_c_06L佛在王舍城爾時難陁跋難陁手自捉金銀及錢教人捉人施亦受諸居士見譏呵如擔羊毛中說諸長老比丘聞種種呵責以是白佛佛以是事集比丘僧問難陁跋難陁汝實爾不答言實爾世尊
부처님께서는 갖가지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이익 때문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계를 제정하나니, 지금부터 이 계는 마땅히 설하기를 ‘만일 비구가 스스로 금은과 돈을 가지거나 사람을 시켜서 가지거나 마음을 내어 받으면 니살기바일제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나머지는 금은과 돈으로 팔고 사는 것에서 설한 것과 같으니라.”서른 번째를 마침
022_1025_c_12L佛種種呵責已告諸比丘以十利故爲諸比丘結戒從今是戒應如是說若比丘自捉金銀及若使人捉若發心受尼薩耆波逸餘如用金銀錢中說三十竟
五分律卷第五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범어 dakṣiṇā의 음사로, 시송(施頌)ㆍ재시(財施)라고 번역한다. 보시할 재물, 또는 음식물을 받은 비구가 그에 보답하는 뜻으로 시주(施主)에게 설법하는 것을 말한다.
  2. 2)전식은 아침에 목만 적실 정도로 조금 먹는 묽은 죽이고, 후식은 걸식해서 먹는 밥이다. 비구는 하루에 한 끼만 먹기 때문에 전식ㆍ후식이라 해도 두 끼를 먹는다는 것은 아니다.
  3. 3)범어 tarpaṇa의 음사로, 곡식 가루로 만든 음식이다.
  4. 4)병든 수행자에게 아침부터 초저녁에 한하여 먹도록 허락한 여러 가지 과일즙이나 미음 따위를 말한다.
  5. 5)비구의 시중을 드는 세속의 사람.
  6. 6)여름 안거가 끝나면 비구들은 옷과 물건을 분배받는데, 그때 그들의 소유물을 훔치는 무리를 말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하늘에 제사하기 위한 희생물로서 사람을 죽이는 것을 8월 도둑이라 했다.
  7. 7)여름 안거가 끝나면 수행승들은 옷과 물건을 분배받는데, 그때 그들의 소유물을 훔치는 무리를 말한다.
  8. 8)목숨이 다할 때까지 세존께 옷과 밥과 탕약을 공급하겠다는 원이다.
  9. 9)3월 16일부터 4월 15일까지이다.
  10. 10)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이다.
  11. 11)4월 1일부터 우욕의를 받아 8월 15일에 버리기 때문에 넉 달 반, 즉 1백 35일 동안 사용하게 된다.
  12. 12)8재계(齋戒)를 말한다.
  13. 13)두 사람은 바사닉왕의 장군으로 불심이 깊었다. 『사분율』 제15권에 두 사람은 형제라고 했다.
  14. 14)가치나(迦絺那)옷을 받은 비구는 7월 16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가치나옷을 받지 않은 비구는 7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를 옷 때라고 한다.
  15. 15)상ㆍ중ㆍ하 가운데 하(下)의 발우가 아니라 비구 가운데 가장 낮은 자의 발우라는 뜻이다.
  16. 16)소마국(蘇摩國)에서 생산되는 귀하고 값이 나가는 발우이다.
  17. 17)발타(鉢他)는 범어 prastha의 음사이다. 용량의 단위로, 한 되이다.
  18. 18)발우를 돌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상좌(上座)부터 차례로 맨 하좌(下座)에까지 새 발우를 쓰겠느냐고 묻는 비구를 말한다.
  19. 19)걸식하기 싫어서 하루 저장해 두었다가 다음날에 먹는 밥을 말한다.
  20. 20)범어 kauśeya의 음사로, 명주ㆍ실크이다.
  21. 21)1바라는 네 냥(兩)이다.
  22. 22)범어 niṣīdana의 음사로, 좌구(坐具)라고 번역한다. 비구가 앉거나 누울 때, 땅이나 잠자리에 까는 직사각형의 베이다.
  23. 23)절에 있으면서 스님들의 시중을 드는 속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