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道行般若經卷第三

ABC_IT_K0006_T_003
005_0696_a_01L도행반야경 제3권
005_0696_a_01L道行般若經卷第三

후한 월지국 삼장 지루가참 한역
005_0696_a_02L後漢月支國三藏支婁迦讖譯

4. 구화구사라권조품(漚惒拘舍羅勸助品)1)
005_0696_a_03L摩訶般若波羅蜜漚惒拘舍羅勸助品第四
005_0696_b_02L
그때 미륵보살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어떤 보살마하살이 보시와 계율을 스스로 지키는 사람을 격려하고 돕는다면 이야말로 더없이 존귀하고 위없는 복덕이 됩니다.”
수보리가 미륵보살에게 말했다.
“어떤 보살마하살은 일찍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 나라에서 공덕을 지었으니 이 모든 나라의 부처님 숫자는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그곳에서 완전한 열반에 든 이 보살은 처음에 불도를 닦으려는 마음을 낸 이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아유삼불(阿惟三佛:現等覺)2)과 무여니원계(無餘泥洹界:無餘涅槃)3)를 성취한 다음 마침내 어떤 대상도 없는 경지에 이르러 모든 공덕을 성취하니 그 공덕은 끝이 없습니다.
이것은 모든 성문들의 보시와 계율을 스스로 지키는 공덕, 번뇌가 남아 있는 사람과 스스로 번뇌를 다한 사람의 공덕, 열반에 든 모든 부처님들께서 그 가운데에서 지으시는 공덕, 청정한 계신[淨戒身]과 삼매신(三昧身:定身)과 지혜신(智慧身:慧身)과 이탈신(已脫身:解脫身)과 탈혜소현신(脫慧所現身:解脫知見身)에서 원래의 법을 나타내는 공덕, 더없이 자비로운 불법의 공덕,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불천중천(佛天中天:부처님)의 가르침을 중생들에게 가르쳐 주는 공덕, 일체의 완전한 열반으로부터 부처님들께서 지으신 공덕을 모두 합한 것이니, 이러한 것을 이룰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주는 것을 존귀하다고 하며, 이것은 모든 공덕 중에 가장 훌륭합니다. 보살들은 이와 같이 격려하고 도와주는 뜻을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도록 하는 데에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 보살은 자신의 마음에 의해 능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짐짓 이 마음으로부터 대상을 얻고자 합니다.”
005_0696_a_04L爾時彌勒菩薩謂須菩提若有菩薩摩訶薩勸助爲福出人布施·持戒·自守者上其福轉尊極上無過菩薩摩訶薩勸助福德須菩提謂彌勒菩薩復有菩薩摩訶薩於阿僧祇剎土諸佛所而作功德一一剎土不可計佛其般泥洹者乃從本發意已來自致阿耨多羅三耶三菩成至阿惟三佛乃至無餘泥洹界而般泥洹者後至于法盡於是中所作功德其功德度無極及諸聲聞作布施·持戒自守爲福於有餘功德自致無餘諸有般泥洹佛於其中所作功德至有淨戒身·三昧身·智慧身·已脫身·脫慧所現身佛法極大哀不可計佛天中天所說法於其法中復學諸所有功德乃於諸般泥洹佛所作功德都計之合之勸助爲尊種種德中爲極是上其勸助者是爲勸助勸助已持作阿耨多羅三耶三菩以是爲阿耨多羅三耶三菩署是菩薩有德之人持心能作是求阿耨多羅三耶三菩乃至作是心欲有所得
미륵보살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마음에 의해서는 구할 수도 없고 마음으로부터는 얻을 대상도 없습니다. 이와 같은 이에게는 지혜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뜻과 생각을 갖게 되며, 지혜가 없기 때문에 4전도(顚倒)에 떨어지니, 곧 항상함이 없는 것을 항상함이 있다고 하고 고통을 즐거움이라고 하며 헛된 것을 참되다고 하고 육신이 없는 것을 육신이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보살은 구할 것이 없음에도 굳이 마음에 의해 대상을 구하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그렇다면 보살은 어떻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구해야 합니까?”
005_0696_b_06L彌勒菩薩語須菩其不作是求乃能有所得其作思想者以爲無黠生是意用思想悔還用信悔還但用無黠故還墮四顚倒無常謂有常苦謂有樂空謂有實身謂有身以故思想悔還心悔還悔還菩薩不當作是念心有所求於所求無處所云何求阿耨多羅三耶三
미륵보살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처음 배우는 보살마하살 앞에서 이러한 이야기를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이것을 그대로 따라하다가는 믿음을 잃거나 즐거움을 잃거나 기쁨을 잃거나 행함을 잃을까 해서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반드시 부처의 길로 나아가는 길에서 아유월치의 지위에 오른 보살마하살에게만 설하거나 또는 오랫동안 훌륭한 스승을 모시고 있던 보살마하살에게만 설해야 듣는 이가 놀라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고 무서워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보살마하살들은 다른 사람들을 능히 격려하고 도와주어 살운야에 대한 마음을 갖도록 합니다. 이와 같이 격려하고 도와주면 그 마음도 다 없어져서 있는 것도 없고 잘못된 견해에도 빠지지 않고 보는 것도 없으니, 다시 어떤 마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 어떤 마음이 이것을 구하겠습니까? 마음에는 둘이 없으니 마음은 본래부터 그러하기에 능히 모든 것을 지어냅니다.”
005_0696_b_14L彌勒菩薩謂須菩提不當於新學菩薩摩訶薩前說是語何以故或亡所信亡所樂亡所喜亡所行便從是修當爲阿惟越致菩薩摩訶薩說之久在善師邊者當爲是菩薩摩訶薩可說聞者不恐不怖不畏是菩薩摩訶薩能勸助爲作薩芸若持心作是勸助心亦盡滅無所有無所見何等心當作阿耨多羅三耶三菩者當以何心作之心無兩對心之自然乃能所作
005_0696_c_02L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새로 배우기 시작한 보살마하살이 혹 이 말을 듣고 두려워하고 무서워하거나 보살마하살이 공덕을 짓고자 할 때는 과연 어떻게 권유하고 도와주어야만 그 복덕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겠습니까?”
005_0696_b_24L釋提桓因語須菩提新學菩薩摩訶薩聞是或恐或怖若菩薩摩訶薩欲作功德者當云何勸助其福德作阿耨多羅三耶三菩
수보리가 미륵보살에게 말했다.
“이러한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수호해 주어야 하니, 부처님께서 계시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든지 온갖 악을 파괴하고 애욕을 끊고 행동에 어긋남이 없고 악마의 장난을 물리치고 번뇌의 무거운 짐을 벗고 스스로 모든 고통을 다하여 마음이 해탈했음을 아는 것과 셀 수 없이 많은 찰토(刹土:국토)의 모든 부처님들께서 얻으신 완전한 열반 가운데에서 지은 공덕과 복덕과 모든 성문들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얻은 공덕을 하나로 묶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더없이 존귀하고 모든 공덕 중에서도 아무런 허물이 없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며, 이와 같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려는 이를 이와 같이 권유하고 도와주면 잘못된 생각과 잘못된 마음과 잘못된 견해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뜻입니까?
만약에 보살마하살이 마음을 내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할 때 그 마음을 짐짓 생각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이 보살마하살은 마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습니다. 그러나 마음속으로 모든 것을 안다고 생각하면 짐짓 마음으로 꾸미는 것이니 곧 잘못된 생각과 잘못된 마음과 잘못된 견해에 떨어지고 맙니다.
005_0696_c_04L須菩提語彌勒菩薩當作護是菩薩摩訶薩於諸佛所破壞衆惡而斷愛欲等行如一降伏魔事棄捐重檐是卽自從所有勤苦悉爲已盡其知已脫心卽從計阿僧祇剎土諸佛般泥洹曰者其中所作功德福於諸聲聞中復作功德都計之合之勸助爲尊種種德中無過勸助其勸助者能爲勸助勸助持作阿耨多羅三耶三菩何所是菩薩摩訶薩想不悔還心不悔還所信不悔還正使菩薩摩訶薩持心作阿耨多羅三耶三菩其心無所想者菩薩摩訶薩心得作阿耨多羅三耶三菩正使心念自了知是心則爲是是爲想悔還心悔還所信悔還
005_0697_a_02L만약에 보살마하살이 마음을 붙잡아 분명히 알고 반드시 이와 같이 배운다면 어떤 것도 다하여 있는 것이 없음을 알 수 있으니, 다하였음을 아는 이는 정작 어떤 마음을 붙잡아야 합니까? 무엇인가를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마음을 깨달아야 하지만 정작 마음을 대상화하여 무엇인가를 이루어낸다는 것은 어떻게 된 일입니까?
이는 마치 대상을 따라 대상이 생겨나는 것과 같으며, 이와 같이 진실됨을 지어내는 것을 본래의 지어냄이라고 하고 삿된 지어냄이라고 하지 않으니, 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짓는 바 공덕입니다.
만약에 어떤 보살마하살이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께서 지으신 공덕과 모든 성문 및 범부들이 지은 공덕과 가르침을 들은 축생ㆍ천(天)ㆍ용(龍)ㆍ열차(閱叉:야차)ㆍ건타라(健陀羅:건달바)ㆍ아수륜(阿須倫:아수라)ㆍ가루라(迦樓羅)ㆍ견타라(甄陀羅:긴나라)ㆍ마후륵(摩睺勒:마후라가) 등 인비인(人非人)들이 마음을 내어 지은 공덕과 처음으로 보살의 길을 배우는 이들의 공덕을 하나로 뭉쳐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고 더없이 존귀한 것이고 갖가지 공덕 가운데 아무런 허물없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니, 보살은 바로 이와 같이 권유하고 도와주는 복덕에 의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대상도 다하였음을 거듭 알아야 하지만 원래 어떤 대상도 생겨나거나 멸하지 않았고 있는 곳도 없으니 보살은 정작 이와 같이 생겨남이 없는 법에 의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습니다. 이 법은 모양이 있는 대상과는 함께 하지 않으니 바로 그러한 작용에 의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까닭에 잘못된 생각에도 빠지지 않고 잘못된 마음에도 빠지지 않고 잘못된 견해에도 빠지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짐짓 바라는 것도 없고 갖가지 잘못된 일에도 빠지지 않는 것을 가리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합니다.
005_0696_c_19L使菩薩摩訶薩持心了知當作是學知盡無所有知盡者當持何心有所作當了知心何所心法於法有所作如法者爲隨法已於作眞爲是作非邪作是菩薩摩訶薩所作若有菩薩摩訶薩於過去·當來·今現在佛所作功德若諸聲聞下至凡人所作功若畜生聞法者及諸天龍·閱叉·健陁羅·阿須倫·迦樓羅·甄陁羅·摩睺勒·諸人·若非人聞法者發心所作功德初學菩薩道者都計之合之積累爲其勸助者能爲勸助是以極尊種種德中無過勸助是故勸助所當勸助能爲勸助持勸助福用作阿耨多羅三耶三菩正使復知是爲盡法法無所生所滅無處所持無所生法得作阿耨多羅三耶三菩是法不與法有反用作阿耨多羅三耶三菩故是爲無想不悔還心亦不悔還所信不悔還作是無所求衆所不逮是爲阿耨多羅三耶三菩所作
005_0697_b_02L어떤 보살마하살은 복덕 짓는 법을 온전히 알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은 과거 모든 부처님들의 육신은 이미 소멸되었고 권유하고 도와준 복덕도 소멸되어서 있는 것이란 아무것도 없다고 분별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마하살은 반드시 반야바라밀을 행해야만 합니다.
만약 완전한 열반에 든 모든 부처님들께서 이루어 놓으신 공덕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있다면 그러한 생각은 자연스러운 것이기에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불천중천(부처님)께서도 집착하여 생각하지 않으시니 과거는 이미 멸하였다고 생각하지 말 것이며 그렇게 생각하는 이에게는 아무런 공덕도 없습니다.
보살마하살은 반드시 구화구사라(漚惒拘舍羅:선교방편)를 배워야 하니, 아직 반야바라밀을 배우지 못한 이는 여기에 들어갈 수 없고, 이미 반야바라밀을 얻은 이만이 여기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육신에 대해 분별하지 말 것이니, 다 쓰고 나면 이것은 반드시 사라집니다. 이러한 까닭에 육신은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공덕이 있는 사람은 문득 생각을 돌려서 고행 가운데에 머무르고자 하니,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은 결코 이러한 공덕을 지어서 권유하고 도와주는 데에 쓰기를 기꺼워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바르게 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니, 이 사람은 완전한 열반에 드신 부처님들을 보고 문득 생각을 돌립니다. 이러한 까닭에 공덕을 짓는 것을 꺼리고 이에 붙잡히지도 않고 오히려 고행 가운데에 머무릅니다. 이와 같이 분별하지 않는 것이 곧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의 공덕입니다. 반대로 분별하는 것은 비유하면 독(毒)과 같습니다. 왜냐하면 만약에 진수성찬에 독을 섞어 놓으면 빛깔도 보기 좋고 향도 그윽해서 싫어하는 사람이 없겠지만, 그 안에 독이 섞여 있는 줄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이 크게 기뻐하면서 음식을 배불리 먹고 나면 점차 이것이 소화되면서 오랫동안 육신이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
005_0697_a_17L若有菩薩摩訶薩不諦曉了知作福德者所以者何於身恍忽於勸助福亦復恍忽菩薩了知恍忽無所有故爲菩薩摩訶薩般若波羅蜜若於諸般泥洹佛所而作功德持是功德欲作所求其智自然能爲阿耨多羅三耶三菩諸佛天中天所知不著想過去已滅亦無有想而不作想其作想者爲非德菩薩摩訶薩當學漚和拘舍羅未得般若波羅蜜者不得入已得般若波羅蜜乃得入勿爲身作用之有滅以是故無有身有德之人有想便㝵反欲苦住怛薩阿竭阿羅訶三耶三佛不樂作是德持用勸何以故用不正故視般泥洹佛反有想以是故爲㝵所作功德爲不及逮爲反苦住其不作想者是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之德其作想譬若雜毒何以故若設羙飯以毒著中色大甚好而香無不喜者不知飯中有毒愚闇之人食之歡喜飽滿食欲消時久久大不便身
005_0697_c_02L공덕을 어떻게 쌓는지 옳게 알지 못하는 이는 큰 어려움이 있으니, 장차 보살마하살로부터 수호 받는다는 것도 알지 못하고, 반야바라밀을 독송하는 것도 알지 못하고, 그 안의 일도 알지 못하고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이와 같이 공덕을 옳게 쌓는 법을 알지 못한 채 공덕을 쌓는 것을 가리켜 진수성찬에 독이 섞여 있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만약 불도를 구하는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들께서 이루어 놓으신 지계신(持戒身)과 삼매신(三昧身)과 지혜신(智慧身)과 이탈신(已脫身)과 탈혜소현신(脫慧所現身) 및 성문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지은 공덕과, 불천중천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지은 공덕과, 벽지불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지은 공덕을 한데 묶어 다른 사람들에게 권유하고 도와주면서 그 복덕에 의지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고자 한다면 이는 짐짓 자신을 위해 이용하는 것이기에 비유하면 독(毒)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보살마하살이라면 반드시 이와 같이 배워야 하니,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부처님들께서 지어 놓으신 공덕이 어디에 있으며 이로써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권유하고 도와주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수 있겠습니까? 이와 같은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남에게 그대로 전하는 보살은 부처님의 공덕이 자연스레 이루어진다는 것과, 그 모양과 법의 내용을 바로 깨닫고 그 공덕으로 다른 사람을 권유하고 도와주며 이것이 인연이 되어 스스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합니다. 보살마하살이 베푸는 보시 가운데 이에 견줄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이것은 끝내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을 여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보시하는 것은 독이 섞여 있다고 하지 않으니, 이것은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의 가르침에 조금도 어긋나지 않습니다.
005_0697_b_16L不知行德者甚之爲難不曉將護不曉誦讀曉中事不能解知作是行德者爲如雜毒之食佛語善男子·善女人過去·當來·今現在佛持戒身·三昧身·智慧身·已脫身脫慧所現身及於聲聞中所作功德佛天中天所說若復於辟支佛所而作功德都勸助之勸助已持是福德作阿耨多羅三耶三菩持所作爲想用是故譬若雜毒菩薩摩訶薩當作是學何所過去·當來·今現在佛功德當云何勸助作福成得阿耨多羅三耶三菩是菩薩隨怛薩阿竭教者是卽爲作知佛功德所生自然及其相法所有持是福作勸助因其勸助自致得阿耨多羅三耶三菩薩摩訶薩作是施者無有過上不離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是施者爲不雜毒怛薩阿竭阿羅訶三耶三佛所說皆至誠
보살마하살은 청정한 계율과 삼매와 지혜와 해탈과 해탈했음을 스스로 아는 것과, 마찬가지로 욕계(欲界)도 없고 색계(色界)도 없고 무색계(無色界)도 없으며,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고 현재도 없고 있는 것도 없이 보시해야 하고, 보시하는 행위마저도 있는 것이 없어야 하니, 이와 같이 보시해야 법에 어긋나지 않으며, 법마저도 있는 것이 없을 때 비로소 이 사람이 베푸는 보시는 독이 없다 할 수 있습니다. 이것과 다른 보시는 원래의 보시에 어긋납니다.
천중천께서는 이와 같이 법에 어긋나지 않게 보시를 행해야 한다고 가르치셨으니, 이것이 곧 원래의 보시이며 이것으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옳은 말이다. 수보리여,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대로 행하는 것을 일컬어 보살마하살의 보시라고 한다. 설령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중생들을 한결같이 자애롭게 생각하고 차별 없는 마음으로 지켜 주더라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보시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것보다 더 존귀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005_0697_c_12L復次菩薩摩訶薩當作是施如淨戒如三昧如智慧如已脫如脫慧所現無欲界無色界無欲無色界亦無過去·當來·今現在亦無所有所作施亦復無所有其作是施爲已如法亦無所有作是施者爲成所施無有雜毒其作異施者爲作反施是菩薩摩訶薩所施以如法者佛天中天所知是則爲施得作阿耨多羅三耶三佛言善哉善哉須菩提所作爲如是則爲菩薩摩訶薩所施三千大千國土人悉念慈哀護等心無過菩薩摩訶薩上頭所施是卽爲極尊
005_0698_a_02L수보리여, 만약에 삼천대천국토의 모든 중생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 문득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 나라의 보살들에게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세월 동안 의복과 음식과 침구와 의약 등을 기꺼이 보시한다면, 수보리 그대는 복이 많다고 생각하느냐, 적다고 생각하느냐?”
005_0698_a_02L復次須菩提三千大千國土人悉作阿耨多羅三耶三菩便如恒邊沙佛剎人皆供養是菩薩震越衣服·飮食·牀臥具·病瘦醫藥如恒邊沙劫供養隨其喜樂作是布施云何須菩提福寧多不
수보리가 아뢰었다.
“아주 많을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005_0698_a_08L須菩提言甚多甚多天中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다. 수보리여, 다른 사람을 권유하고 도와주면 그 복덕이 훨씬 커서 이루 헤아릴 수 없다.”
佛言勸助功德福過其上不可計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권유하고 도와주는 이의 복덕은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 나라라도 다 받아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005_0698_a_09L須菩提白佛言代勸助功德福者恒邊沙佛剎不能悉受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수보리여, 만약 어떤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붙잡아 이것을 보시하더라도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에는 미치지 못하니, 여기에는 그 백 배, 아니 천 배, 아니 만 배, 아니 억 배, 아니 억만 배의 공덕이 있기 때문이다.”
005_0698_a_11L佛語善哉須菩提若有菩薩持般若波羅蜜所作施爲過其本所布施上已無能過勸助所施上百倍·千倍·萬倍·億倍·巨億萬倍
그때 사천왕(四天王)이 사는 하늘 나라의 2만 명이나 되는 천인 모두가 부처님의 발 위에 이마를 조아리는 예경을 하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선교방편)에 의해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a_15L爾時四王天上二萬人悉以頭面著佛足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薩摩訶薩漚和拘舍羅乃作是施功德甚大尊何以故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005_0698_b_02L다시 도리천(忉利天)의 모든 천인들이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를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 다음 이렇게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a_20L忉利天上諸天人持天華·名香·搗香·澤香·雜香·燒香·天繒華蓋·幢幡·伎樂持用供養娛樂佛供養已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菩薩摩訶薩漚和拘舍羅作是施大德之功德何以故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다시 염천(炎天)의 모든 천자들이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를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 다음 이렇게 말씀드렸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b_03L炎天上諸天人持天華·名香·搗香·澤香·雜香·燒香·天繒華蓋·幢幡·伎樂持用供養娛樂佛供養已·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菩薩摩訶薩漚和拘舍羅乃作是施極大德之功德何以故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다시 도솔천의 모든 천자들이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를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 다음 이렇게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격려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b_09L兜術天上諸天人持天華·名香·搗香·澤香·燒香·天繒華蓋·幢幡·伎樂持用供養娛樂佛供養已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菩薩摩訶薩漚和拘舍羅·乃作是施極大德之功德何以故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다시 니마라제천(尼摩羅提天)의 모든 천인들이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를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 다음 이렇게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b_16L尼摩羅提天上諸天人持天華名香·搗香·澤香·雜香·燒香·天繒華蓋·幢幡·伎樂持用供養娛樂佛供養已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菩薩摩訶薩漚和拘舍羅乃作是施極大尊之功德何以故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005_0698_c_02L다시 바라밀니화야발치천(波羅蜜尼和耶拔致天)의 모든 천인들이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를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 다음 이렇게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구화구사라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보시를 행하니 그 공덕은 아주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에서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b_22L波羅蜜尼和耶拔致天上諸天人持天華·名香·搗香·澤香·雜香·燒香·天繒華蓋·幢幡·伎樂持用供養娛樂佛供養已皆白佛言極大施天中天菩薩摩訶薩漚和拘舍羅乃作是施極大尊之功德何以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中勸助故
범천(梵天)인 범가이천(梵迦夷天)과 범부루천(梵富樓天)과 범파리산천(梵波利産天)과 마하범천(摩訶梵天)과, 합천((病-丙/盍)天)인 파리타천(波利陀天)과 합파마나천((病-丙/盍)波摩那天)과 아회긍수천(阿會亘修天)과 수하천(首訶天)과 파리수하천(波利首訶天)과 하파마수하천(訶波摩首訶天)과 수하가천(首訶迦天)과 비이반라천(比伊潘羅天)과 아비야타천(阿比耶陀天)과 수타시니천(須陀施尼天)과 아가이타천(阿迦貳吒天) 등의 모든 천인들이 모두 이마를 부처님의 발에 대어 절하고 아뢰었다.
“천중천과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크게 보시한 공덕이 지극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이로부터 권유하고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005_0698_c_06L梵天·梵迦夷天·梵富樓天·梵波利產天·摩訶梵天·%(病-丙/盍)天·波利陁天·%(病-丙/盍)波摩那天·阿會亘修天·首訶天·波利首訶天·訶波摩首訶天·首訶迦天·比伊潘羅天·阿比耶陁天·須陁施尼天乃至阿迦貳咤天等諸天人以頭面著佛足皆言甚善天中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極爲大施之功德何以故是菩薩摩訶薩學般若波羅蜜於中勸助故
005_0699_a_02L부처님께서 수타위천(首陀衛天)의 모든 천자들에게 이르셨다.
“삼천대천세계 국토의 모든 보살마하살은 그렇다 치더라도 설령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 나라의 모든 중생들이 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거나, 또는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또 다른 부처님 나라의 모든 중생들이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긴 세월동안 하늘의 꽃과 가루향과 바르는 향과 사르는 향과 잡향과 하늘의 비단과 일산과 깃발과 악기, 아니 설령 그보다 더한 것을 가지고 와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즐겁게 해 드린다고 해도 정작 보살마하살이 권유하고 도와주며 보시를 행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하며, 청정한 삼매신과 지혜신과 이탈신과 탈혜소현신 및 성문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얻은 모든 공덕을 하나로 합한다 해도 권유하고 도와주는 공덕에는 미치지 못한다.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은 이와 같이 더없이 존귀해서 견줄 것이 없으니 보살마하살은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에 의해 비로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005_0698_c_15L佛語首陁衛諸天人置三千大千國土中菩薩摩訶薩乃如恒邊沙佛剎人悉作阿耨多羅三耶三菩復有異恒邊沙佛剎都共供養是輩菩薩摩訶薩震越衣被·飮食·牀臥具·病瘦醫藥供養如恒邊沙劫隨所喜樂作是施與若復過是者不及菩薩摩訶薩勸助之所爲過去·當來·今現在佛淨戒身·三昧身·智慧身·已脫身脫慧所現身·及諸聲聞在其中者所作功德都共計之合之不及勸助者若勸助者以是極尊無能過者作是勸助勸助已作阿耨多羅三耶三菩
수보리가 부처님에게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모든 말씀을 하나로 합한 것은 더없이 존귀합니다. 하지만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으로부터 보살마하살이 얻는 것은 무엇입니까?”
005_0699_a_05L須菩提白佛言屬天中天所說都共計之合之極尊無過勸助悉代·勸助勸助已菩薩摩訶薩從是中得何等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한결같이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대상 가운데에서 취할 것도 없고 버릴 것도 없고 배울 것도 없고 얻을 것도 없다는 것을 알며, 어떤 대상도 생겨난 적이 없고 멸한 적도 없고 대상을 따라 다른 대상이 생겨나거나 멸하지도 않으니, 그 안에서는 끝내 생겨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다는 것을 안다. 이야말로 모든 대상이 머무르는 진실된 모양이니 나 역시 이로써 불도를 구하는 이들을 권유하고 도울 뿐이다. 이와 같이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으로 보시를 행하는 이는 머지않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마하살은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을 존귀하게 여긴다.
005_0699_a_08L佛語須菩提菩薩道德之人當知過去·當來·今現在法無所取亦無所捨亦無所知亦無所得其法者爲無所生法亦無有滅法亦無所從生法無所從滅於法中了無有生者法亦無所從有而滅是者法之所法我代勸助之是爲勸助作是施者疾得作阿耨多羅三耶三菩是故須菩提薩摩訶薩勸助爲尊
005_0699_b_02L또한 수보리여, 보살마하살은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부처님께서 계신 곳에서 보시를 행하는 이들을 권유하여 도와주고,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과 지혜를 닦는 이들을 권유하고 도와주는 해탈한 이들을 권유하여 도와주고, 해탈했음을 스스로 아는 이들을 권유하여 도와주니, 해탈은 곧 보시이고, 해탈은 곧 지계이고, 해탈은 곧 인욕이고, 해탈은 곧 정진이고, 해탈은 곧 선정이고, 해탈은 곧 지혜이고, 해탈은 곧 지혜 그 자체로서의 부처님이고, 해탈은 곧 해탈했음을 스스로 아는 것 그 자체로서의 부처님이고, 해탈은 곧 모든 번뇌를 벗어난 것이고, 해탈은 곧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이고, 해탈은 곧 주위의 모든 대상이다. 이러한 까닭에 미래에 나실 모든 부처님들도 해탈과 같고, 현재의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부처님 나라의 모든 불천중천들도 해탈과 같고, 과거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의 제자들도 해탈과 같아서 그 가운데 어느 것에도 집착할 것이 없고 얽매일 것이 없고 벗어날 것이 없다. 이와 같이 아는 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니, 어떤 것도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으로 보시를 행함에 견줄 수 없고, 어떤 것도 이를 무너뜨릴 수 없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여, 보살마하살은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을 존귀하게 여긴다.
하지만 수보리여, 설령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 나라의 모든 보살들이,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긴 세월 동안 의복과 음식과 침구와 의약으로 보살마하살들을 공양하거나 혹은 계율을 지키고 인욕(忍辱)에 힘쓰고 부지런히 정진(精進)하고 선정(禪定)을 닦아 삼매를 얻었다고 하더라도 정작 권유하고 도와주는 것의 공덕은 그보다 백 배, 아니 천 배, 아니 만 배, 아니 억 배, 아니 억만 배나 되며 이로부터 가장 존귀한 복덕이 나온다.”
005_0699_a_17L復次須菩提菩薩摩訶薩於過去·當來·今現在佛所代作布施者勸助之代持戒·忍辱·精進·一心·智慧而勸助代已脫者勸助之代脫慧所現身勸助之作是代勸助其脫者是爲布其脫者是爲持戒其脫者是爲忍其脫者是爲精進其脫者是爲一其脫者是爲智慧其脫者是爲脫其脫者是爲脫慧所現身其脫者是爲已脫其脫者代其勸助其脫者是爲法是故當來有如其脫者今阿僧祇剎土諸佛天中天現在者其脫者是卽諸佛弟子其脫者以過去諸佛弟子其脫者今現在諸佛弟子是法中無著無縛無脫如是法者作阿耨多羅三耶三菩所施爲從中無有能過者無有能壞者是者須菩菩薩摩訶薩勸助之爲尊如恒邊沙佛剎中菩薩悉壽如恒邊沙佛劫恒邊沙佛剎人都悉供養諸菩薩摩訶薩震越衣被·飮食·牀臥具·病瘦醫乃至恒邊沙劫須菩提皆持戒成忍辱於精進而不懈於禪悉得三昧百倍·千倍·萬倍·億倍·若干巨億萬倍不如勸助之功德福最尊出其上

5. 니리품(泥犁品)4)
005_0699_b_19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泥犂品第五
005_0699_c_02L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이루는 것이 많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얻지 못하는 이름이 없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더없이 밝게 비춥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어둠을 몰아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집착하지 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더없이 존귀합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눈 없는 이에게 눈을 가져다 줍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길을 잃고 헤매는 이에게 길을 열어 줍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곧 살운야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곧 보살마하살의 어머니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생겨난 적도 멸한 적도 없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부처님께서 녹야원에서 중생들의 근기에 따라 4제법의 법륜을 세 번 거듭 굴린 일을 구족하였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고통받는 이를 평안하게 합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삶과 죽음으로부터 중생들을 지켜 줍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모든 대상에 대하여 한결같이 그러합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에 어떻게 머물러야 합니까?”
005_0699_b_20L舍利弗白佛言般若波羅蜜者多所天中天因般若波羅蜜無不得字天中天般若波羅蜜爲極照明中天般若波羅蜜爲去冥天中天若波羅蜜爲無所著天中天般若波羅蜜爲極尊天中天無目者般若波羅蜜爲作眼目天中天其迷惑者若波羅蜜悉授道路天中天薩芸若卽般若波羅蜜是天中天般若波羅蜜者是菩薩摩訶薩母天中天所生無所滅卽般若波羅蜜是天中具足三合十二法輪爲轉是般若波羅蜜天中天般若波羅蜜其困苦悉安隱之天中天般若波羅蜜於生死作護天中天般若波羅蜜於一切法悉皆自然菩薩摩訶薩當云何於般若波羅蜜中住天中天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세다라(世多羅)는 반야바라밀에 의해 머물고 부처님을 공경하는 이는 반드시 반야바라밀에 스스로 귀의한다.”
005_0699_c_14L佛謂舍利弗世多羅者因般若波羅蜜住敬佛者當自歸般若波羅蜜
이에 석제환인은 마음속으로 ‘사리불 존자께서는 무슨 까닭에 이런 질문을 드리는 것일까?’라고 생각하고는 바로 사리불에게 물었다.
“존자께서 이렇게 묻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005_0699_c_16L釋提桓因心念尊者舍利弗何因發是問釋提桓因謂舍利弗何因尊者乃作是問
005_0700_a_02L사리불이 석제환인에게 말했다.
“구익이여, 반야바라밀은 보살의 수호를 받기 때문이니 이로써 불도를 구하는 이들을 권유하고 도와주면 그 공덕과 복덕으로 살운야를 성취합니다. 설령 보살이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을 행하더라도 여기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비유하자면 이것은 태어나면서부터 장님인 사람은 설령 백 명이나 천 명이나 만 명이나 천만 명이 있다고 하더라도 정작 앞에서 인도하는 이가 없으면 성 안으로 들어갈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구익이여, 반야바라밀을 제외한 다섯 가지 바라밀도 마치 앞 못 보는 장님 같아서 만약에 반야바라밀을 여의면 살운야에 들어가고자 해도 그렇게 할 수가 없습니다. 반야바라밀은 다섯 가지 바라밀의 수호자이니, 이 모두에게 눈을 가져다 주어서 다섯 가지 바라밀로 하여금 각기 제 이름을 갖고 제 구실을 하도록 합니다.”
005_0699_c_19L舍利弗謂釋提桓因拘翼若波羅蜜者是菩薩護因其勸助功德福持作薩芸若過菩薩之所作爲若布施·持戒·忍辱·精進·禪上譬若如人從生而盲若百人若千人若萬人若千萬人無有前導欲有所至若欲入城者不知當如行如是拘翼五波羅蜜者亦如盲無所見離般若波羅蜜者如是欲入薩芸若中不知當如般若波羅蜜者卽五波羅蜜之護悉與眼目般若波羅蜜是護令五波羅蜜各得名字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떻게 해야 반야바라밀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005_0700_a_07L舍利弗白佛言當云何守入般若波羅蜜中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색를 보지 않아야 들어갈 수 있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보지 않아야 들어갈 수 있고, 5음(陰)을 보지 않아야 들어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야바라밀에 들어갈 수 있다.”
005_0700_a_09L佛語舍利弗色者不見所入痛痒思想生死識亦不見所入視五陰亦不見所入是爲守般若波羅蜜
사리불이 아뢰었다.
“그런데 부처님이시여, 이렇게 얻은 반야바라밀은 어떤 대상으로 돌아갑니까?”
005_0700_a_11L如是者天中天以爲守般若波羅蜜作是守者爲還何法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어떤 대상에도 돌아가지 않는 까닭에 반야바라밀이라고 이름한다.”
005_0700_a_13L佛語舍利弗所守是爲還法守爲般若波羅蜜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살운야에도 돌아가지 않고 이를 붙잡을 수도 없습니다. 설령 반야바라밀에 대해 묻더라도 살운야를 붙잡을 수는 없고 여기로 돌아갈 수도 없고 나고 죽는 것에도 돌아가지 않으며 또한 돌아가지 않는 것도 아니니 그렇다면 어떻게 돌아가야 합니까?”
005_0700_a_14L提桓因白佛言般若波羅蜜不還薩芸若者亦不能得逮若所問般若波羅蜜不逮薩芸若亦不能得還亦不還守於生死亦無所還當云何還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돌아갈 곳이 없기 때문에 돌아가야 한다.”
佛言無所還故能爲還
석제환인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일찍이 들어볼 수 없었던 말씀입니다. 반야바라밀이 그러하듯이 모든 대상 역시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머무르면서도 머무르는 곳이 없다니 말씀입니다.”
005_0700_a_19L釋提桓因言少有及者天中天如般若波羅於諸法無所生無所滅當所可住無所住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만약에 보살이 반야바라밀에 대해 돌아갈 곳이 있다거나 없다거나 하고 분별한다면 바로 반야바라밀을 여의게 됩니다.”
005_0700_a_22L須菩提白佛言菩薩或時作是念便離般若波羅蜜
005_0700_b_02L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반야바라밀을 여의니 곧 반야바라밀을 두고 공허하다느니 있는 것이 없다느니 하면서 가까이하지도 않고 멀리하지도 않으면 역시 반야바라밀을 여읜다. 이러한 까닭에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이라고 한다.”
005_0700_a_23L佛語須菩提菩薩儻有所因於所因便念般若波羅蜜知般若波羅蜜空無所有無近無遠是故爲菩薩摩訶薩般若波羅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을 믿으면 어떤 것을 믿지 않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을 믿으면 색을 믿지 않게 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행위를 믿지 않게 되고 수다원(須陀洹)의 가르침을 믿지 않게 되고 사다함(斯陀含)과 아나함(阿那含)과 아라한(阿羅漢)과 벽지불(辟支佛)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지 않게 된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마하바라밀(摩訶波羅蜜)이 곧 반야바라밀입니다.”
005_0700_b_04L須菩提白佛言信般若波羅蜜信何法佛語須菩提信般若波羅蜜爲不信色亦不信痛痒思想生死識有不信須陁洹道不信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佛道須菩提白佛言摩訶波羅蜜者天中天卽般若波羅蜜是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어떻게 해서 마하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이라는 말이냐?”
005_0700_b_10L佛語須菩提云何知摩訶波羅蜜因般若波羅蜜是
수보리가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은 색에 대하여 크다고도 하지 않고 작다고도 하지 않고 색에 의해 깨달음을 얻지도 않고, 색에 의해 깨달음을 얻지 않는 것도 아니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크다고 하지도 않고 작다고 하지도 않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의해 깨달음을 얻지도 않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의해 깨달음을 얻지 않는 것도 아니며,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이 가진 열 가지 능력에 의해 깨달음을 얻지도 않고 깨달음을 얻지 않는 것도 아니며 살운야에 다시 빠지지도 않습니다. 왜냐하면 살운야는 넓지도 않고 좁지도 않기 때문이며 반야바라밀은 짐짓 행함이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에는 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이 가운데에서 대상을 구하거나 있는 것이 있다고 말하면, 이는 크게 어긋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마저 태어난 적이 없으니 반야바라밀도 사람도 원래 저절로 그러하거늘 정작 사람들이 이를 착각하기 때문입니다.
반야바라밀은 헤아릴 수 없고 중생도 헤아릴 수 없으며, 반야바라밀은 무너지지 않고 중생도 무너지지 않으며, 중생은 마치 반야바라밀과 같아서 마침내 아유삼불을 이루며, 중생이 열 가지 능력이 있는 까닭에 달살아갈에게도 열 가지 능력이 나타납니다.
부처님이시여, 이러한 까닭에 마하바라밀이 곧 반야바라밀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005_0700_b_11L須菩提言於色無大無小不以色爲證亦不爲色作證痛痒思想生死識亦無大亦無小於識不以爲證亦不爲識作證便於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十種力卽不復爲弱薩芸若者無廣無狹何以故無廣無狹薩芸若知於般若波羅蜜無所行所以者何般若波羅蜜無所有若人於中有所求有所有是卽爲大非何以故人無所般若波羅蜜與人俱皆自然人恍忽故般若波羅蜜俱不可計人亦不般若波羅蜜亦如是人如般若波羅蜜者便得成至阿惟三佛人亦有力故怛薩阿竭現而有力
005_0700_c_02L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아주 깊고 깊습니다. 만약에 어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깊이 믿어 이를 헐뜯지도 않고 의심하여 흔들리지도 않는다면 이 보살은 어느 곳에서 살다가 여기에 태어난 것이며, 또한 보살의 도를 닦는 도중에 얼마나 오랫동안 반야바라밀을 배우면서 그 가르침을 행해 왔습니까?”
005_0700_c_02L舍利弗白佛言般若波羅蜜甚深甚深天中天若有菩薩摩訶薩信深般若波羅蜜不說中短亦不狐疑其人何所來而生是閒爲行菩薩道已來幾聞解般若波羅蜜事隨教入中者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살마하살은 전에 다른 부처님의 나라에 살다가 이곳에 태어났다. 이 보살마하살은 일찍이 그곳에서 다른 부처님들을 공양하고 반야바라밀의 가르침을 배운 적이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서도 반야바라밀을 배운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전에 내가 본 부처님의 가르침과 아무런 차이도 없다’고 생각한다.”
005_0700_c_07L佛語舍利弗從他方佛剎來生是閒是菩薩摩訶薩於他方供養佛已從受問深般若波羅蜜故以是復聞般若波羅蜜自念言我如見佛無異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은 보고들을 수 있습니까?”
005_0700_c_11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可得見聞不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은 보고들을 수 없다.”
005_0700_c_12L不可得見聞
수보리가 부처님께 물었다.
“부처님이시여, 이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듣고 얼마나 오랫동안 이것을 닦아 왔습니까?”
005_0700_c_13L須菩提問佛是菩薩隨深般若波羅蜜者行已來爲幾聞
005_0701_a_02L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을 듣고 얼마나 오랫동안 이것을 닦아 왔는지는 보살마다 서로 다르다. 어떤 보살은 일찍이 백 분의 부처님, 아니 천 분의 부처님을 직접 뵙고 공양을 올렸으며 그 곁에서 청정한 계율을 닦았다. 하지만 대중과 더불어 반야바라밀에 대한 설법을 듣다가 도중에 자리를 뜨니, 이 보살은 보살마하살의 가르침을 존귀하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보살은 금생에 깊은 반야바라밀을 배우게 되더라도 이를 듣지 않고 도중에 자리를 떠나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보살은 전생에도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다가 도중에 자리를 뜬 적이 있기 때문이다.
보살은 몸과 마음이 모두 무지하여 이로써 죄를 짓는 까닭에 설령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더라도 그 사람으로 하여금 이를 설하지 못하도록 한다. 반야바라밀이 끊어지면 곧 살운야도 끊어지고, 살운야가 끊어지면 다시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법도 끊어지니, 이 보살은 이러한 죄를 짓는 까닭에 죽어서 큰 지옥에 떨어진다.
보살은 백천 년 아니 억천만 년 동안 큰 지옥 안에서 온갖 독에 의해 말로 다할 수 없는 고통을 받으며 그곳에서 목숨이 다하면 다시 다른 큰 지옥에 태어나고 그곳에서도 목숨이 다하면 다시 다른 큰 지옥에 태어나 말로 다할 수 없는 고통을 받는다.”
005_0700_c_14L佛語須菩提是非一輩學各各有行若有已供養若干百佛若干千佛見已於其所皆行淸淨戒已若有於衆中聞般若波羅蜜棄捨去爲不敬菩薩摩訶薩法佛說深般若波羅蜜其人亦棄捨去不欲聞之何以故人前世時聞說深般若波羅蜜用棄捨去故亦不以身心是皆無知罪之所致用是罪故若聞深般若波羅蜜復止他人不令說之止般若波羅蜜爲止薩芸若其止薩芸若者爲止過去·當來·今現在佛用是斷法罪故死入大泥犂中若干百千歲若干億千萬歲當更若干泥犂中具受諸毒痛不可言其中壽盡轉生他方摩訶泥犂中其壽復盡展轉復到他方摩訶泥犂中生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그 죄는 5역죄(逆罪)5)와 서로 같습니까?”
005_0701_a_08L舍利弗白佛言其罪爲隨五逆惡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5역죄를 여기에 비유하는 것은 오히려 과분하다. 만약에 깊은 반야바라밀을 설하거나 읊조리고 있을 때 어떤 사람이 그 법에 대해 마음속으로 의심하여 배우지 않고 ‘이것은 달살아갈의 가르침이 아니다’고 말하면서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방해하고 배우지도 못하게 하면, 이 사람은 스스로 자신을 무너뜨리는 것은 물론 남까지도 무너지게 하며, 스스로 독을 마시는 것은 물론 남에게도 독을 마시도록 하는 것과 같다. 또 이러한 사람은 스스로 죽음에 이르는 것은 물론 남까지도 죽음에 이르도록 하며, 스스로 반야바라밀을 알지 못하는 것은 물론 남까지도 반야바라밀을 알지 못하게 하여 끝내 무너지도록 한다.
사리불이여, 이러한 무리들은 쳐다보는 것조차도 온당치 않고 자리를 함께 하여 앉거나 함께 이야기하거나 함께 음식을 먹는 것도 온당치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무리들은 법을 헐뜯어서 자신도 어둠 가운데에 있는 것은 물론 남도 어둠 가운데에 있도록 하고, 이러한 사람은 스스로 독을 마셔 목숨을 끊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도 독을 마셔 목숨을 끊도록 하니, 이와 같이 법을 끊어 놓는 사람의 말을 믿고 따르는 사람은 그와 똑같은 죄를 받게 된다. 왜냐하면 이 사람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헐뜯고 반야바라밀을 헐뜯고 나아가 모든 법을 헐뜯었기 때문이다.”
005_0701_a_09L佛謂舍利弗其罪雖有所喩不可引譬若諷誦說深般若波羅蜜時其心疑於法者亦不肯學念是非怛薩阿竭所說止他人言莫得學是爲以自壞復壞他人自飮毒已復飮他人毒是輩人爲以自亡失亡失他人自不曉知深般若波羅蜜轉復壞他人是曹人者不當見之利弗不當與共坐起言語飮食何以是曹之人誹謗法者自在冥中持他人著冥中其人自飮毒殺身無斷法之人所語有信用其言者人所受罪俱等無有異所以者何誹謗佛語故誹謗般若波羅蜜者悉誹謗諸法已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와 같이 법을 헐뜯는 이는 어떤 모습을 받게 되는지 가르쳐 주십시오.”
005_0701_a_23L舍利弗白佛言願聞誹謗法者受形何等像類訖不知其身大如
005_0701_b_02L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법을 헐뜯는 무리들이 내 이야기를 듣게 되면 얼굴에 나 있는 구멍마다 피를 쏟거나 혹은 그 자리에서 바로 죽거나 아니면 그 고통으로 인한 근심이 독이 되어서 그대로 말라비틀어질 것이다. 마치 한낮에 꽃을 꺾으면 바로 말라죽는 것과 같다. 이러한 까닭에 나는 그대의 물음에 더 이상 자세하게 대답할 수가 없다.”
005_0701_b_02L佛語舍利弗是誹謗法人儻聞說是事其人沸血便從面孔出恐便死因是被大痛其人聞之心便愁毒如自消盡譬如斷華著日中爲萎枯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원하오니 이 사람들이 어떤 모습을 받을지를 자세히 밝히시어 혹시 후세인들이 이 말을 듣거든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나는 결코 저 사람처럼 법을 헐뜯거나 끊어 놓지 않으리라고 다짐하도록 해 주십시오.”
005_0701_b_06L舍利弗白佛言願爲人故當說之令知其身受形云何當爲後世人作大明其有聞者畏懼當自念我不可誹謗斷法如彼人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이제 그 사람의 모습을 밝히겠다. 사람은 그러한 원인으로 죄를 받아 육신이 아주 추하고 흉하며 말로 다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하고 고약한 냄새가 나는 곳에 살게 된다. 그 고통은 아주 크며 오랫동안 지속된다. 남자와 선여인들이 이 정도의 말만 들어도 감히 법을 헐뜯지 않으리라고 다짐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005_0701_b_09L佛語舍利弗爲示人之大明已所因罪受其身甚大醜惡極勤苦臭處誠不可說其苦痛甚大如久劇是善男子·善女人聞是語自足已不敢復誹謗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선남자와 선여인들은 항상 몸과 입과 마음을 조심해야 하니 사람들은 입에서 나오는 말에 의해 이러한 죄를 짓는다.”
005_0701_b_13L須菩提白佛言善男子·善女人常當護身口意人但坐口所言乃致是罪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어리석은 사람들은 설령 나의 가르침을 따라 출가한다고 해도 여전히 반야바라밀은 바른 법이 아니라고 헐뜯고 반야바라밀을 끊어 놓으며 부처님과 보살의 씨앗도 끊어 놓고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들의 살운야도 끊어 놓는다. 살운야를 끊는 것은 곧 법을 끊는 것이고 법을 끊는 것은 곧 비구승을 끊는 것이고 비구승을 끊게 되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죄를 받는다.”
005_0701_b_15L佛語須菩是愚癡之人於我法中作沙門誹謗般若波羅蜜言非道止般若波羅蜜者爲止佛菩薩已止佛菩薩者爲斷過去·當來·今現在佛薩芸若已斷薩芸若者爲斷法已斷法者爲斷比丘僧已斷比丘僧者爲受不可計阿僧祇之罪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만약에 어떤 사람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끊어 놓았다면 그것은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005_0701_b_22L須菩提問佛若有斷深般若波羅蜜天中天爲有幾事
005_0701_c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악마에게 휘둘린 까닭에 이 선남자와 선여인들은 반야바라밀을 믿지도 않고 기꺼워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깊은 반야바라밀을 서슴없이 끊어 놓는다.
수보리여, 반야바라밀을 끊어 놓는 것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무엇을 가리켜 그릇된 스승의 네 가지 가르침을 따른다고 하느냐? 첫째는 순순히 따라 배우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법을 높이 받들어 모시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법을 헐뜯기에 힘쓰고, 넷째는 스스로 잘난 체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깔보는 것이다. 이것이 그 네 가지이다.”
005_0701_b_24L佛語須菩提爲魔所中是男子·女人不信不樂是二事故能斷深般若波羅蜜復次須菩提斷般若波羅蜜者復有四事何謂爲四隨惡師所言一不隨順學二不承至法三主行誹謗四索人短自貢高是爲四事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을 믿는 이들은 아주 적습니다. 이 법을 온전히 깨닫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005_0701_c_07L須菩提白佛言少有信般若波羅蜜天中天不曉了是法故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반야바라밀을 믿는 이들은 아주 적다. 이 법을 확실히 깨닫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005_0701_c_09L佛語須菩如是如是少有信般若波羅蜜者曉了是法故
수보리가 아뢰었다.
“무슨 까닭에 이 심오한 반야바라밀을 믿는 이들이 적습니까?”
005_0701_c_11L須菩提言云何深般若波羅蜜少有信者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색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색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색이라고 한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정신 작용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정신 작용이라고 한다.
과거의 색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과거의 색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색이라고 한다. 미래의 색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미래의 색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색이라고 한다. 현재의 색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현재의 색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색이라고 한다.
과거의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과거의 정신 작용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정신 작용이라고 한다. 미래의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미래의 정신 작용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정신 작용이라고 한다. 현재의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은 집착하지도 않고 묶여 있지도 않고 풀려 있지도 않다. 왜냐하면 현재의 정신 작용은 원래부터 저절로 그러하기 때문에 정신 작용이라고 한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작용하는 까닭에 반야바라밀은 깊고 깊으며 믿는 사람들이 적다.”
005_0701_c_12L佛語須菩提色無著無縛無脫何以色之自然故爲色痛痒思想生死識無著無縛無脫何以故識之自然故爲識過去色無著無縛無脫以故過去色之自然色故當來色無無縛無脫何以故當來色之自然色故今現在色無著無縛無脫何以色之自然色故過去痛痒思想生死識無著無縛無脫何以故過去識之自然故當來識無著無縛無脫以故當來識之自然故今現在識無著無縛無脫何以故識之自然故用是須菩提般若波羅蜜甚深少有信者
005_0702_a_02L
6. 청정품(淸淨品) 
005_0702_a_02L摩訶般若波羅蜜道行經淸淨品第六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을 깨닫는 이는 아주 적습니다. 사람들이 이를 친근히 하여 배우지 않기 때문입니다.”
005_0702_a_03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少有曉將未狎習故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반야바라밀을 깨닫는 이는 아주 적으니 사람들이 이를 친근히 하여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그 이유는 색이 청정하면 반야바라밀도 청정하고, 색과 말이 청정하면 반야바라밀도 청정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청정하면 반야바라밀과 말도 모두 청정하니, 이런 까닭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청정하다는 것은 곧 반야바라밀이 청정한 것과 같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색이 청정하면 살운야도 청정하고, 살운야와 말이 청정하면 색도 청정하니, 이러한 까닭에 색이 청정하다는 것은 곧 살운야가 청정하다는 것과 같아서 서로 아무런 차이도 없으며, 이와 같이 현재의 것이 앞의 것을 끊지도 않고 앞에 것이 뒤의 것도 끊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것도 무너짐이 없다.
그러므로 앞의 것이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청정하고 살운야도 청정하다. 살운야가 청정하다는 것은 곧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청정하다는 것과 같아서 서로 아무런 차이도 없으며, 이와 같이 지금의 것이 앞의 것을 끊지 않고 앞의 것이 뒤의 것을 끊지 않는 까닭에 어떤 것도 무너짐이 없다. 그러므로 앞의 것이 끊어지지 않는다.”
005_0702_a_05L佛語須菩提如是般若波羅蜜少有曉者用未狎習之所致何以故須菩提色淸淨道亦淸淨故言色淸淨道亦淸淨痛痒思想生死識亦淸淨故言道淸淨是故識亦淸淨道俱淸淨復次須菩提淸淨薩芸若亦淸淨故言薩芸若淸色亦淸淨是故色淸淨薩芸若亦淸淨等無異今不斷前前不斷後故無壞以是故前爲不斷故言痛痒思想生死識淸淨薩芸若亦淸淨是故薩芸若淸淨識亦淸淨薩芸若淸淨識亦淸淨等無異今不斷前前不斷故無壞以是故前爲不斷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아주 깊습니다.”
005_0702_a_18L舍利弗白佛言淸淨者天中天爲甚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더없이 밝습니다.”
005_0702_a_20L舍利弗言淸淨爲極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에는 때가 끼지 않습니다.”
005_0702_a_21L舍利弗言淨無有垢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더럽지 않습니다.”
005_0702_a_22L舍利弗言淸淨無有瑕穢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a_23L佛言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에는 있는 것이 없습니다.”
舍利弗言淸淨無所有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a_24L佛言甚淸淨
005_0702_b_02L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욕계(欲界)에서도 욕망을 갖지 않습니다.”
005_0702_b_02L舍利弗言於欲而無欲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색계(色界)에서도 색을 낳지 않습니다.”
005_0702_b_03L舍利弗言於色而無色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b_04L佛言甚淸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무색계(無色界)에서도 정신을 낳지 않습니다.”
005_0702_b_05L舍利弗言無所生爲無色甚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모든 것을 알면서도 정작 아는 것이 없습니다.”
005_0702_b_06L舍利弗言於有智而無智甚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b_07L佛言甚淸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지혜가 있으면서도 지혜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005_0702_b_08L舍利弗言於智如無智者甚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색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습니다.”
005_0702_b_09L舍利弗言於色如有智無有智者甚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b_10L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한 것은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습니다.”
005_0702_b_11L舍利弗言於痛痒思想生死識如有智無有智者甚淸淨天中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청정해서 살운야에 더할 것도 없고 덜할 것도 없습니다.”
005_0702_b_13L舍利弗言般若波羅蜜甚淸淨薩芸若者不增不減天中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甚淸淨
사리불이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청정해서 어떤 대상도 취하지 않습니다.”
005_0702_b_15L舍利弗言般若波羅蜜甚淸淨於諸法無所取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2_b_16L甚淸淨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색도 청정합니다.”
005_0702_b_17L須菩提白佛言我者淸淨色亦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청정합니다.”
005_0702_b_19L須菩提言故曰我淸淨痛痒思想生死識亦淸淨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도(道)가 청정합니다.”
005_0702_b_21L須菩提言我者淸道亦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살운야가 청정합니다.”
005_0702_b_22L菩提言我者淸淨薩芸若亦淸淨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아무런 단서도 없습니다.”
005_0702_b_24L須菩提言我者淸淨無端緖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005_0702_c_02L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끝 간 데가 없고 색도 끝 간 데가 없습니다.”
005_0702_c_02L須菩提言我者淸淨無有邊色亦無有邊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내가 청정하기에 끝간데가 없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끝간데가 없습니다.”
005_0702_c_04L須菩提言我者淸淨無有邊痛痒思想生死識亦無有邊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여기에도 없고 저기에도 없고 그 중간에도 없습니다.”
005_0702_c_06L須菩提言般若波羅蜜者亦不在彼亦不在是亦不在中閒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佛言本淸淨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은 이러한 것을 알아서 반야바라밀을 행하지만 분별하는 이는 문득 반야바라밀을 여의어서 멀리합니다.”
005_0702_c_08L菩提白佛言菩薩摩訶薩知是者行般若波羅蜜有想者便離般若波羅蜜遠已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수보리여, 이름자가 있으면 분별이 있고 그러한 까닭에 집착하게 된다.”
005_0702_c_11L佛言善哉善哉須菩提字者便有想以故著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참으로 어렵습니다. 안일한 생각으로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005_0702_c_12L須菩提白佛言難及般若波羅蜜天中天安隱決於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무엇을 집착이라고 합니까?”
舍利弗問須菩提何所爲著
수보리가 말했다.
“색이 텅 비었다고 아는 것을 집착이라고 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텅 비었다고 아는 것을 집착이라고 합니다. 과거의 대상을 단지 과거의 대상으로만 아는 것을 집착이라고 하며, 미래의 대상을 단지 미래의 대상으로만 아는 것을 집착이라고 하며, 현재의 대상을 단지 현재의 대상으로만 아는 것을 집착이라고 합니다. 어떤 보살이 이와 같은 대상에 의해 큰 공덕을 얻고자 한다면 이것은 곧 집착입니다.”
005_0702_c_14L須菩提言知色空者是曰爲著知痛痒思想生死識空者是曰爲著於過去法知過去法是曰爲著於當來法知當來法是曰爲著於現在法知現在法曰爲著如法者爲大功德發意菩薩是卽爲著
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왜 집착이라고 합니까?”
005_0702_c_20L釋提桓因問須菩提何謂爲著
수보리가 말했다.
“구익이여, 마음에 새겨들으십시오. 이와 같이 분별하는 마음으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습니다.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능히 얻는 것이 있으니, 선남자와 선여인이 모든 집착을 여의는 것은 곧 본래의 모습도 버리는 것입니다.”
005_0702_c_21L須菩提言心知拘翼持是知心施與作阿耨多羅三耶三菩心者本淸淨能可有所作善男子·善女人以離諸著棄本際
005_0703_a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수보리여, 그대는 보살마하살들로 하여금 본래의 모습을 깨닫고 집착이 무엇인지를 알도록 하였구나. 또 수보리여, 내가 이제 다시 깊고도 미묘한 집착의 뜻을 설할 터이니 잘 듣도록 해라. 처음 말이나 중간 말이나 끝의 말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듣도록 해라.”
005_0703_a_02L佛言善哉善哉須菩提令菩薩摩訶薩知本際爲覺著事復次菩提有著甚深微妙我今說之諦聽諦聽上中下言悉善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기꺼이 듣도록 하겠습니다.”
005_0703_a_05L須菩提白佛願樂欲聞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에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 달살아갈ㆍ아라하ㆍ삼야삼불의 모양을 생각하고 이를 따른다면 이것은 집착이다.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불천중천께서 성취하신 번뇌가 없는 법으로 불도를 구하는 이들을 격려하고 도와주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하면 이것은 집착이다. 어떤 대상에도 대상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기 때문에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고 현재도 없으며, 이러한 까닭에 지어내는 것도 없고 분별할 수도 없고 인연을 만들 수도 없고 보고들을 수도 없다.”
005_0703_a_06L佛言若善男子·善女人於怛薩阿竭阿羅呵三耶三佛念欲作想所想者是故爲著過去·當來·今現在佛天中天於無餘法代勸助之是爲勸助阿耨多羅三耶三菩於法者而無法故曰無過去·當來·今現在以是不可有所作亦不可有想亦不可作因緣有不可見聞如心可知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이 모든 대상의 본성은 아주 깊습니다.”
005_0703_a_13L須菩提白佛其本甚深淸淨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다.”
005_0703_a_14L佛言本淸
수보리가 아뢰었다.
“저는 이제 반야바라밀에 귀의하겠습니다.”
須菩提言今自歸般若波羅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법에는 지어낸 이가 없기 때문에 아유삼불을 얻는다.”
005_0703_a_15L法無作者故得阿惟三佛
수보리가 아뢰었다.
“어떤 법도 실제로 아유삼불을 이룬 적이 없습니다.”
005_0703_a_16L須菩提諸法實無作阿惟三佛者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서로 다른 두 가지 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작용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에 이를 일컬어 하나라고 한다. 청정한 까닭에 어떤 것도 지어내지 않고 청정함조차도 없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러한 까닭에 모든 집착을 여의는 것은 곧 본래의 모습도 버리는 것이다.”
005_0703_a_17L佛語須菩提無有兩法用之本淨故曰爲一其淨者於一切無有作者乃至無淨於一切亦無作者佛語須菩提是以離諸著爲棄本際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참으로 어렵습니다.”
005_0703_a_21L須菩提白佛言般若波羅蜜者難了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아유삼불은 있는 것도 없고 얻을 것도 없다.”
005_0703_a_23L佛言如是無有得阿惟三佛
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005_0703_a_24L須菩提言般若波羅蜜不可計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이것은 마음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佛言如是須菩提非心之所知
005_0703_b_02L수보리가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
005_0703_b_02L須菩提言爲無作者天中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착도 없다.”
005_0703_b_03L佛言有作者故無所著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그렇다면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어떻게 행해야 합니까?”
005_0703_b_04L須菩提問佛菩薩當云何行般若波羅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색을 분별[想]하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분별하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색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으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색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 것은 곧 색을 행하지 않는 것이고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바라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 것은 곧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의 행위를 행하지 않는 것이고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005_0703_b_05L佛言不想色爲行般若波羅蜜不想痛痒思想生死識行爲行般若波羅蜜不滿色爲行般若波羅蜜不滿痛痒思想生死識行爲行般若波羅蜜色不滿爲非色行爲行般若波羅蜜痛痒思想生死識不滿爲非識行爲行般若波羅蜜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참으로 어렵습니다. 집착하는 가운데에도 집착함이 있지 않고 이러한 집착은 오히려 집착이 아니라니 말씀입니다.”
005_0703_b_12L須菩提白佛言難及天中天於著無所著是著實爲不著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색을 바라보는 것에 집착하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바라보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행하면 설령 보살마하살이 색을 바라보더라도 집착하는 것이 아니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바라보더라도 집착하는 것이 아니며,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 벽지불과 부처님의 도를 따르더라도 집착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집착을 뛰어넘고 다시 살운야도 훌쩍 벗어나기 때문이니, 이러한 것을 가리켜 반야바라밀을 행한다고 한다.”
005_0703_b_13L佛言著色行者爲行般若波羅蜜不著痛痒思想生死識行者爲行般若波羅是爲菩薩摩訶薩行於色爲不著於痛痒思想生死識爲不著於須陁洹·斯陁含·阿那含·阿羅漢·辟支佛·佛道亦不著所以者何以過諸著故出薩芸若中是爲般若波羅蜜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말씀하시는 법은 너무 깊어서 알기가 어려우니 설령 설하더라도 이 법은 줄어들지 않고 설령 설하지 않더라도 줄어들지 않으며 설령 설하더라도 늘어나지 않고 설령 설하지 않더라도 늘어나지 않습니다.”
005_0703_b_20L須菩提白佛言所說法甚深難逮天中天若所說者不減不說者亦不減若所說者不增不說者亦不增
005_0703_c_02L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고도 옳은 말이다. 수보리여, 비유하자면 이것은 달살아갈께서 설령 목숨이 다하도록 허공을 찬탄해도 허공은 결코 늘어나지 않고, 찬탄하지 않아도 허공은 줄어들지 않는 것과 같으며, 비유하면 허깨비를 칭찬해도 늘어나지 않고 칭찬하지 않아도 줄어들지 않는 것과 같다. 또 착하다는 말을 들어도 기뻐하지 않고 악하다는 말을 들어도 성내지 않는 것과 같다. 수보리여, 이와 같이 모든 대상이 한결같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소리내어 읊조리더라도 이것은 결코 늘어나지도 않고 줄어들지도 않는다.”
005_0703_b_23L佛言如是如是須菩提譬如怛薩阿竭盡壽稱譽空空不增若不稱譽空空亦不減譬如稱譽幻人者亦不增若不稱譽亦不減聞善不喜聞惡不怒如是須菩提於法各各諷誦學之法亦不增不減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은 아주 겸손해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합니다. 반야바라밀을 수호하는 이는 게으르지도 않고 무서워하지도 않고 두려워하지도 않고 흔들리지도 않고 되돌아가지도 않습니다.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을 수호하는 것은 곧 허공을 수호하는 것이기 때문이니, 누구라도 보살마하살에게 반드시 예경을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보살마하살은 모든 중생들을 위해 위대한 승나(僧那:誓願)의 갑옷을 입으니 마치 허공과 맞서 싸우는 것과 같습니다. 보살마하살은 모든 중생들을 위해 위대한 승나의 갑옷을 입으니 마치 허공을 들어 올리는 것과 같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이 보살마하살은 대용맹(大勇猛)이라고 부릅니다. 텅 비어있는 법에 바탕 하는 까닭에 스스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고 아유삼불을 얻습니다.”
005_0703_c_06L須菩提白佛言菩薩摩訶薩甚謙苦行般若波羅蜜若有守般若波羅蜜者其不懈不恐不怖不動何以故守般若波羅蜜者爲守空一切皆當爲菩薩摩訶薩作禮被僧那大鎧故與空共戰爲一切人著僧那鎧與空共鬪是菩薩摩訶薩被極大鎧用一切人故而擧空菩薩摩訶薩爲大勇猛天中天用空法故自致阿耨多羅三耶三菩得成阿惟三佛
그때 무리 가운데에 있던 어떤 비구가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나는 반드시 반야바라밀에 귀의할 것이니 어떤 대상도 이로부터 생겨난 적이 없고 멸한 적도 없다.’
005_0703_c_16L有異比丘心念之當自歸般若波羅蜜爲無所生法亦爲無所滅法
그러자 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만약에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따르고자 한다면 어떤 가르침을 따라야 합니까?”
수보리가 말했다.
“텅 비어 있다는 가르침을 따라야 합니다.”
005_0703_c_18L釋提桓因語須菩提菩薩隨般若波羅蜜教者爲隨何教須菩提言爲隨空教
석제환인이 말했다.
“어떻게 하는 것이 텅 비어 있다는 가르침을 따르는 것입니까?”
005_0703_c_20L釋提桓因言何所爲隨空教者
수보리가 말했다.
“번뇌가 스러져 고요한 것을 좋아한다면 이것을 가리켜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안다고 합니다.”
005_0703_c_21L須菩提言其欲寂靜者是菩薩摩訶薩爲知般若波羅蜜
석제환인이 말했다.
“어떤 사람이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나는 언제까지라도 이를 수호하겠습니다.”
005_0703_c_22L釋提桓因其學般若波羅蜜者當護幾何閒
수보리가 석제환인에게 말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구익이여, 그대는 이 법이 잘 수호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까?”
005_0703_c_23L須菩提謂釋提桓因云何拘翼能見法當所護者不而言欲護之
005_0704_a_02L석제환인이 말했다.
“볼 수 없습니다.”
005_0704_a_02L釋提桓因言
수보리가 말했다.
“석제환인이시여, 만약에 어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른다면 반드시 수호를 받을 것이니, 인비인(人非人)이 끝내 마음대로 하지 못할 것입니다.”
005_0704_a_03L須菩提言隨般若波羅蜜教住者是爲以得護若人若非人終不能得其便
수보리가 말했다.
“만약에 어떤 보살마하살이 허공을 수호한다면 곧 반야바라밀을 따라 행하는 것입니다. 구익이시여, 그대 생각에 메아리를 수호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005_0704_a_05L須菩提言若菩薩摩訶薩護空者爲隨般若波羅蜜行已云何拘翼能可護響不
석제환인이 말했다.
“할 수 없습니다.”
釋提桓因言不能
수보리가 말했다.
“구익이시여, 설령 어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더라도 그 법은 정작 이 메아리와 같은 것입니다. 이와 같이 앎으로써 다시는 분별하는 일이 없으니 분별하지 않고 생각하는 것이 곧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입니다.”
그때 부처님께서 가지신 위신력의 작용으로 삼천대천국토의 사천왕들과 모든 석제환인과 범천왕들이 일시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와서 그 주위를 세 번 도는 예경을 하고 한쪽으로 물러나 앉았다.
사천왕들과 모든 석제환인과 범천왕들은 곧 부처님의 위신력에 의해 천 분의 부처님들을 보았다. 이들은 모두 석가문(釋迦文:석가모니)이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그 주위를 에워싼 비구들은 모두 수보리라고 불렸는데, 이들이 부처님께 반야바라밀을 묻는 것이 곧 지금의 석제환인과 똑같았다.
005_0704_a_07L須菩提言拘翼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者其法亦如響以知是者復無想以無想念爲行般若波羅蜜用佛威神三千大千國土諸四天王諸釋梵及諸尊天一切皆來到佛所前爲佛作禮遶竟三帀各住一面四天王諸釋梵及諸尊天悉承佛威念諸千佛皆字釋迦文其比丘者皆字須菩提問般若波羅蜜者皆如釋提桓因
道行般若經卷第三
己亥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

  1. 1)구화구사라는 선교방편(善巧方便)과 같음. 훌륭하고 솜씨 좋게 중생의 근기(根機)에 맞도록 여러 가지 수단방법을 쓰는 것이다.
  2. 2)아유삼불(阿惟三佛)은 아비삼불타(阿毘三佛陀) 범어 abhisambuddha를 말함. 또 아비삼불(阿毘三佛)이라 함. 의역(意譯)하면 현등각(現等覺)임. 정각(正覺)을 성취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3. 3)무여열반(無餘涅槃)을 말한다. 범어 nirupadhiśeṣa-nirvāṇa. 4종열반(種涅槃)의 하나. 신역(新譯)하여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이라 함. 생사(生死)의 괴로움을 여읜 진여(眞如). 번뇌장(煩惱障)을 끊고 얻는 것. 이숙(異熟)의 고과(苦果)인 현재의 신체(身體)까지 멸해 더 이상 의지할 곳이 없어진 곳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같이 이름. 생존의 근원을 남기지 않은 열반. 신체에 관해서도 남김이 없는 열반. 유여열반(有餘涅槃)에 상대되는 명칭이다.
  4. 4)지옥의 본명. 범어 niraya(泥囉耶), naraka(捺洛迦)의 간략한 번역. 니려(泥黎)ㆍ니리(泥梨)라고도 한다. 즉 유루복(有漏福)도 무루복(無漏福)도 없다는 뜻이며 즐거움이 전혀 없고 고통만 가득한 곳이다. 10계(界)에서 가장 하열(下劣)한 경계(境界)이다.
  5. 5)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는 가장 무거운 죄. 즉 어머니를 살해하는 것[殺母], 아버지를 살해하는 것[殺父], 성자를 살해하는 것[殺阿羅漢], 부처님의 신체를 상처 입혀 피가 나오게 하는 것[出血佛身], 교단의 화합을 파괴하고 분열시키는 것[破和合僧團]이다.